KR20170135517A - 면도기 - Google Patents

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517A
KR20170135517A KR1020160067548A KR20160067548A KR20170135517A KR 20170135517 A KR20170135517 A KR 20170135517A KR 1020160067548 A KR1020160067548 A KR 1020160067548A KR 20160067548 A KR20160067548 A KR 20160067548A KR 20170135517 A KR20170135517 A KR 20170135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blade
razor
blades
sh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현
Original Assignee
정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현 filed Critical 정재현
Priority to KR1020160067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5517A/ko
Publication of KR20170135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9/00Clippers or shavers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cutting edges, e.g. hair clippers, dry shavers
    • B26B19/38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 clippers, or dry shavers, e.g. housings, casings, grips, guards
    • B26B19/3846Blades;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B26B21/4031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characterised by special geometric shaving parameters, e.g. blade span or exp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54Razor-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날이 경사지게 대향 배치 되는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면도기는 복수개의 날이 수평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50 내지 85도가 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작은 힘을 들여도 정밀한 면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면도기는 다양한 각을 가지는 각 날의 커팅부 방향이 면도를 위한 방향으로 일괄 배치되기 때문에 더욱 정밀하고 깔끔한 면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면도기는 면도를 위한 헤드부에 빈 공간이 없도록 커팅부의 길이가 다양하게 날이 배치되기 때문에 헤드부의 공간 대비 면도 효과가 상승된다.

Description

면도기{RAZOR}
본 발명은 면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날이 경사지게 대향 배치 되는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도기는 면도날이 한 개로 된 외날 면도기, 두 개로 된 양날 면도기, 전기 면도기 등이 있으며, 면도날 부분과 손잡이 부분이 분리되어 면도날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면도기와 일체로 된 일회용 면도기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면도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보통은 칼을 이용하여 어떤 물체를 자를 때에는 그 물체에 정면으로 힘을 가하면서 자르는 것보다 약간 비스듬하게 칼을 대면서 자르면, 칼날이 물체에 대하여 약간 미끄러지면서 보다 잘 베어지게 되는데, 종래의 면도기는 손잡이를 상하로 당기면서 위와 같이, 면도날이 수염에 대하여 정면으로 힘이 가해지는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면도날이 쉽게 무디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잘 베어지지 않아서 수명이 짧아지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인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75151호인 '면도날이 경사진 구조를 갖는 면도기'에서는 면도기의 손잡이 부분을 헤드 부분으로부터 경사지게 연결하여 실제 면도 시 경사진 날이 피부에 닿도록 하는 기술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다수의 날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1회 커팅 시에 커팅되는 대상이 날의 개수만큼만 커팅되기 때문에 비효율 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종래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면도날을 구비하는 면도기에 대한 기술이 공지 되어 있지만, 실제로 커팅되는 날의 각도가 기존의 정면인 각도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기 때문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날의 커팅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날이 수평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50 내지 85도가 되도록 배치되는 면도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다양한 각을 가지는 각 날의 커팅부 방향이 면도를 위한 방향으로 일괄 배치되는 면도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면도를 위한 헤드부에 빈 공간이 없도록 커팅부의 길이가 다양하게 날이 배치되는 면도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면도기를 제공한다. 이는 다수의 날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면도기에 있어서, 날의 하단부 양 끝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수평 프레임과 날 상단부의 커팅부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수평 보호 덮개부를 포함하는 헤드부 및 헤드부와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면도를 위한 헤드부의 상부면을 수평 방향으로 제 1구역 및 제 2구역으로 나누고, 구역 간 경계를 중심으로 제 1구역의 날과 제 2구역의 날이 대향 배치되며, 제 1구역 및 제 2구역으로부터 헤드부의 상부면의 장축을 기준으로 대향 배치된 제 3구역 및 제 4구역이 추가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구역 및 제 4구역의 커팅부 방향이 제 1구역 및 제 2구역의 커팅부 방향과 각각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역 간 경계 부근의 제 1구역 및 제 2구역 각각에 날보다 길이가 짧은 날이 추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역 간 경계의 헤드부 하단부에 길이가 짧은 날의 하단부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수직 프레임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역 간 경계를 따라 길이가 짧은 날의 커팅부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수직 보호 덮개부를 포함한다.
제 1구역의 날의 하단부와 제 3구역의 날의 하단부 및 제 2구역의 날의 하단부와 제 4구역의 날의 하단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면도기는 복수개의 날이 수평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50 내지 85도가 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작은 힘을 들여도 정밀한 면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면도기는 다양한 각을 가지는 각 날의 커팅부 방향이 면도를 위한 방향으로 일괄 배치되기 때문에 더욱 정밀하고 깔끔한 면도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면도기는 면도를 위한 헤드부에 빈 공간이 없도록 커팅부의 길이가 다양하게 날이 배치되기 때문에 헤드부의 공간 대비 면도 효과가 상승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면도를 위한 헤드부 상부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면도기의 헤드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면도기 날의 커팅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면도를 위한 헤드부(10) 상부면을 나타낸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면도 방향은 아래에서 윗방향이고, 다수의 날(11)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면도기로서, 각각 날(11)이 배치되는 제 1구역(17a) 및 제 2구역(17b)이 존재한다. 구역 간 경계에는 길이가 짧은 날(18)이 배치될 수 있다. 길이가 짧은 날(18)은 구역 간 경계 뿐만 아니라, 헤드부(10)의 상부면에 빈 공간이 발생하는 경우 배치될 수 있다.
제 1구역(17a)의 날(11)은 수평 방향(헤드부(10) 상부면 사각형에서 아래쪽 장축)으로부터 50 내지 85도 각도를 가지고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 때 제 1구역(17a)에서 날(11)이 수평 방향(사각형에서 아래쪽 장축)과 이룰 수 있는 각을 1사분면의 각도로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2사분면에서 형성되는 각을 95 내지 130도로 표기하지 않고, 1사분면에서의 각도인 50 내지 85도로 표기하기로 한다. 수평 방향과 이루는 날(11)의 각도가 클수록 정밀한 면도 효과가 상승된다.
날(11)이 경사지게 배치될수록 절단하고자 하는 길이가 더욱 길어져 일의 원리에 의해 면도 시 필요한 힘의 크기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아래의 표는 날(11)이 수평 방향과 이루는 각도에 따른 날(11)의 작용길이 증폭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 표 1 >
Figure pat00001
종래의 기술에서는 45도 각도 또는 그보다 작은 각도로 날(11)이 경사지게 배치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50도 이상 85도 이하로 날(11)을 배치하여 날(11)에 작용하는 힘을 비약적으로 감소시켰다.
한편, 제 1구역(17a)의 날(11)이 수평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각각 상이할 수 있다. 즉, 다수개의 날(11) 중 하나는 50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가 하면, 또다른 날(11)은 75도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이한 각도로 날(11)이 배치되는 경우, 날(11)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간격을 조절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구역(17b)의 날(11)은 헤드부(10) 상부면에 공간 효율을 위해 제 1구역(17a)의 날(11)과 대향 배치되도록 하였다. 이 때, 날(11) 간 간격은 등 간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날(11)의 상단부에는 커팅부(11a)가 구비되고, 커팅부(11a)의 양 측 가장자리에 수평 보호 덮개(15)가 배치된다. 이는 커팅부(11a) 가장자리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즉, 헤드부(10) 상부면의 위, 아래 장축에 수평 보호 덮개(15)가 배치된다. 구역 간 경계 또는 헤드부(10) 상부면의 좌, 우 단축 부근에 길이가 짧은 날(18)이 배치되는 경우, 길이가 짧은 날(18)의 상단부 커팅부(11a)의 가장자리를 보호하기 위해 수직 보호 덮개(16)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제 1구역(17a)의 날(11) 및 제 2구역(17b)의 날(11)의 커팅부(11a) 방향은 헤드부(10) 상부면의 아랫방향이다.
헤드부(10)에는 날(11)을 고정시키기 위한 삽입홈(12)이 형성되어 있고, 수직 및 수평 보호 덮개(15)를 장착하기 위한 체결홈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의 헤드부(10) 상부면에서 장축을 기준으로 제 1구역(17a) 및 제 2구역(17b)으로부터 대향 배치되는 제 3구역(17c) 및 제 4구역(17d)이 생성된다. 따라서, 제 1구역(17a)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제 3구역(17c)이 생성되고, 제 2구역(17b)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제 4구역(17d)이 생성된다. 이러한 다단 배치는 제 3구역(17c) 및 제 4구역(17d)으로 한정되지 않고, 더욱 정밀한 면도기 제조 시에 더 많은 구역으로 다단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대향 배치에 의해 제 1구역(17a)의 날(11) 및 제 3구역(17c)의 날(11)과 제 2구역(17b)의 날(11) 및 제 4구역(17d)의 날(11)은 서로 상이한 각도를 가지게 된다. 다만, 대향 배치 시, 제 1구역(17a)의 날(11) 및 제 3구역(17c)의 날(11)의 커팅부(11a)와 제 2구역(17b)의 날(11) 및 제 4구역(17d)의 날(11)의 커팅부(11a)의 방향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한다. 서로 상이한 각도를 가지는 커팅부(11a)에 의해 1회 면도 시, 절삭 대상의 다양한 방향에서 절삭이 수행되기 때문에 더욱 정밀한 면도 효과가 있다.
도 1에서와 유사하게 구역 간 경계에 길이가 짧은 날(18)이 배치되는 경우, 수직 보호 덮개(16)를 배치할 수 있으며, 길이가 짧은 날(18)을 고정시키기 위해 헤드부(10) 하부에 수직 프레임(1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단 배치가 되는 경우에는 다단 배치되는 경계에 수평 보호 덮개(15)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고, 헤드부(10)의 하부에 삽입홈(12)이 형성된 수평 프레임(13)이 구비되어, 각각의 날(11)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단 배치되는 기준 장축에 수평 프레임(13)을 추가로 구비하는 대신, 제 1구역(17a)의 날(11) 및 제 3구역(17c)의 날(11)의 하단부를 일체형으로 하여 추가적으로 수평 프레임(13)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면도기 날(11)의 커팅부(11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1구역(17a)의 커팅부(11a)와 제 3구역(17c)의 커팅부(11a)의 방향이 서로 엇갈리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면도 방향이 아래에서 위일 때, 제 1구역(17a)의 커팅부(11a)에 의해 1차적으로 절삭 대상이 절삭된 후, 제 3구역(17c)의 커팅부(11a)에 의해 2차적으로 절삭 되어 정밀한 면도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헤드부
11 : 날
11a : 커팅부
12 : 삽입홈
13 : 수평 프레임
14 : 수직 프레임
15 : 수평 보호 덮개
16 : 수직 보호 덮개
17a : 제 1구역
17b : 제 2구역
17c : 제 3구역
17d : 제 4구역
18 : 길이가 짧은 날

Claims (6)

  1. 다수의 날이 경사지게 배치되는 면도기에 있어서,
    상기 날의 하단부 양 끝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수평 프레임과 상기 날 상단부의 커팅부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수평 보호 덮개부를 포함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와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면도를 위한 상기 헤드부의 상부면을 수평 방향으로 제 1구역 및 제 2구역으로 나누고, 구역 간 경계를 중심으로 상기 제 1구역의 날과 상기 제 2구역의 날이 대향 배치되며,
    상기 제 1구역 및 상기 제 2구역으로부터 상기 헤드부의 상부면의 장축을 기준으로 대향 배치된 제 3구역 및 제 4구역이 추가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구역 및 상기 제 4구역의 커팅부 방향이 상기 제 1구역 및 상기 제 2구역의 커팅부 방향과 각각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3. 제 1항에 있어서,
    구역 간 경계 부근의 상기 제 1구역 및 상기 제 2구역 각각에 상기 날보다 길이가 짧은 날이 추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4. 제 3항에 있어서,
    구역 간 경계의 상기 헤드부 하단부에 상기 길이가 짧은 날의 하단부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수직 프레임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5. 제 4항에 있어서,
    구역 간 경계를 따라 상기 길이가 짧은 날의 커팅부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수직 보호 덮개부를 포함하는 면도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구역의 날의 하단부와 상기 제 3구역의 날의 하단부 및 상기 제 2구역의 날의 하단부와 상기 제 4구역의 날의 하단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면도기.


KR1020160067548A 2016-05-31 2016-05-31 면도기 KR20170135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548A KR20170135517A (ko) 2016-05-31 2016-05-31 면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548A KR20170135517A (ko) 2016-05-31 2016-05-31 면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517A true KR20170135517A (ko) 2017-12-08

Family

ID=60919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548A KR20170135517A (ko) 2016-05-31 2016-05-31 면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55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3645B2 (en) Embedded blade cutters
CN104440969B (zh) 一种剃须刀片架
RU2018118083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рижки c коллектором для волосков
RU2666652C2 (ru) Пластинчатая державка режущего инструмента, выполненная из твердого сплава, и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с такой пластинчатой державкой
RU2019130324A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ручной триммер для волос с ограничителем ножей
US9676110B2 (en) Concaved cutter head assembly for hair trimmer
US10421202B2 (en) Blade, shaver with a blade and method for producing a blade
MX2017012101A (es) Cartucho de rasuradora.
US20210206010A1 (en) Razor system
MX2016011188A (es) Un cartucho para navaja de afeitar, un rastrillo que comprende tal cartucho para navaja de afeitar y un metodo para la fabricacion del tal cartucho para navaja de afeitar.
RU2016116792A (ru) Набор лезви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рижки волос
RU2017132504A (ru) Бритвенный картридж
EP2168729A4 (en) INNER BLADES OF AN OSCILLATING ELECTRIC SHAVER
RU2017117372A (ru) Кассета с лезвиями для бритья и бритва, содержащая такую кассету с лезвиями для бритья
KR20170135517A (ko) 면도기
CN111452097B (zh) 用于毛发切割装置的双面梳齿
KR101635800B1 (ko) 분절 가능한 양날형 면도날
KR200482245Y1 (ko) 커트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커트 빗을 구비한 이발기
KR20130125538A (ko) 면도기 카트리지
ATE449673T1 (de) Schersystem für einen trockenrasierer
US20170239826A1 (en) Manual Razor Having Diagonally Positioned Blades
CN204160504U (zh) 一种一次成型的刀片结构
US9604377B2 (en) Safety razor blade equipped with multiple protuberances
CN104369203B (zh) 一种一次成型的刀片结构及加工方法
US3070884A (en) Mounting plate protective member for dry shaver 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