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484A - 케이블용 행거 - Google Patents

케이블용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484A
KR20170135484A KR1020160067481A KR20160067481A KR20170135484A KR 20170135484 A KR20170135484 A KR 20170135484A KR 1020160067481 A KR1020160067481 A KR 1020160067481A KR 20160067481 A KR20160067481 A KR 20160067481A KR 20170135484 A KR20170135484 A KR 20170135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upport plate
hanger
support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5254B1 (ko
Inventor
박규리
Original Assignee
박규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규리 filed Critical 박규리
Priority to KR1020160067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254B1/ko
Publication of KR20170135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 지주에 수직하게 설치된 조가선으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을 지지하는 행거에 있어서, 상기 조가선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상태로 상기 조가선을 지지하는 제1지지판; 상기 제1지지판에 대향되게 마련되어 상기 케이블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상태로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고, 상기 제1지지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판; 및 상기 제1지지판 및 상기 제2지지판을 일체적으로 고정하면서 상기 조가선 및 상기 케이블을 가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지지판의 일단에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케이블의 요동을 제한하도록 설치되는 고정구의 일단이 걸림상태로 체결되는 제1지지판 걸고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용 행거를 통해 조가선에 지지된 상태로 케이블들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고, 케이블의 요동을 방지하는 케이블 고정구를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용 행거{A HANGER FOR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용 행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에 설치된 조가선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을 지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케이블용 행거에 관한 것이다.
조가선은 전주와 전주사이에 가설되어 케이블 등을 지지하거나 전주를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와이어로프를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조가선에는 전술한 케이블을 지지하는 별도의 현수장치가 설치되고, 설치된 현수장치를 통해 케이블을 지지하면서 케이블의 처짐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케이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신주간에 수평상태로 설치된 조가선에 현수상태로 배선되어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건물로 연결된다.
이러한 종래의 현수장치는 등록특허 제10-1206556호(2012.11.2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조가선에 이격된 상태로 배선되는 지지선, 조가선 및 지지선에 고정되어 통신케이블을 수용하여 현수하는 행거, 조가선에 지지선을 고정하는 클램프 및 통신케이블을 행거에 배선하는 견인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현수장치는 복수의 행거를 조가선에 정렬시킬 수 있으며, 통신케이블의 인출만으로 통신케이블을 조가선에 가설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현수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구성들을 통해 케이블을 조가선에 현수하는 것으로, 그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고, 이에 따른 작업자의 작업량이 가중되어 가설시간이 크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전술한 케이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가선의 하부에 수평상태로만 현수되기 때문에 케이블이 조가선의 일부분에 연결되어 타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건물로 가설될 경우에는 케이블을 지지하여 고정할 수 없고, 이를 위한 고정장치를 별도로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번거로운 문제점뿐만 아니라, 비용이 크게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게다가 전술한 케이블은 주변환경에 따라 풍압이나 외력이 발생할 경우 케이블분배기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이 케이블분배기로부터 이탈하게 되면 전력공급이 중단되거나 통신, 신호 등을 전달할 수 없어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므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구를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케이블 고정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특허 10-0801906(2008.01.3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이 케이블분배기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케이블 고정구의 걸고리가 걸려 고정되는 별도의 와이어클램프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시간 및 비용을 소요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클램프는 제1가압편, 제2가압편 및 가압볼트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제1가압편과 제2가압편을 매번 완벽히 분리한 상태에서 조가선 및 지지선을 수용하므로 설치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제1가압편과 제2가압편사이에 수용되는 조가선 및 지지선은 단일로만 수용할 수 있고, 제1가압편과 제2가압편 사이의 간격조절이 불가능하여 정해진 굵기의 조가선 및 지지선만을 수용하므로 상이한 굵기를 갖는 다른 조가선 및 지지선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6886호(2012.11.26), 발명의 명칭 :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1906호(2008.01.31). 발명의 명칭 : "케이블 고정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주에 설치되는 조가선의 일부분에 제1부재가 지지되면서 제2부재를 통해 조가선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을 지지할 수 있는 케이블 행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제1부재와 제2부재를 밀착상태로 가압하여 조가선에 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는 케이블 행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게다가 제1부재에 제1걸림부를 제공하여 케이블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클램프의 일단을 걸림상태로 체결하여 클램프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행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제2부재에 제2걸림부를 제공하여 케이블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클램프의 일단을 걸림상태로 체결하여 클램프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행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소정길이만큼 이격시켜 서로 걸림상태를 유지하면서 간결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행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제1부재에 마련된 돌출부가 제2부재의 홀부에 출입되면서 걸림상태를 이룰 수 있는 케이블 행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게다가 홀부의 일부분을 연장하여 돌출부가 원활히 출입가능한 폭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제1부재와 제2부재는 소정길이만큼 단계적으로 간격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행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 제1부재나 제2부재는 홈 형태의 안착부를 제공하여 조가선 및 케이블의 일부분을 면접촉상태로 수용시킬 수 있는 케이블 행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안착부에 마련된 복수의 압박돌기를 통해 조가선 및 케이블의 일부분에 부분적으로 압박을 가하여 조가선 및 케이블이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행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에 더하여 케이블용 행거에 설치되는 연결부재를 통해 별도로 마련되는 케이블 분배기를 조가선에 현수할 수 있는 케이블용 행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용 행거는 지주에 수직하게 설치된 조가선으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을 지지하는 행거에 있어서, 상기 조가선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상태로 상기 조가선을 지지하는 제1지지판; 상기 제1지지판에 대향되게 마련되어 상기 케이블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상태로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고, 상기 제1지지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판; 및 상기 제1지지판 및 상기 제2지지판을 일체적으로 고정하면서 상기 조가선 및 상기 케이블을 가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판의 일단에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케이블의 요동을 제한하도록 설치되는 고정구의 일단이 걸림상태로 체결되는 제1지지판 걸고리;를 더 포함한다.
게다가 상기 제1지지판 걸고리에 대향되게 엇갈리는 상태로 상기 제2지지판의 일단에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고정구의 일단이 걸림상태로 체결되는 제2지지판 걸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이 서로 걸림되면서 간격조절이 가능한 간격조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제1지지판의 일단에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걸림돌기; 및 상기 제2지지판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져 걸림되는 구멍형태의 걸림홀더;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홀더는 상기 걸림돌기의 일단이 출입가능한 공간을 연장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출입가능한 폭을 제공하는 홈형태의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1지지판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연결바; 상기 제1지지판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연결바의 양측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돌출형성되어 상기 걸림홀더에 끼워져 걸리는 제1걸림부; 및 상기 제1걸림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연결바의 양측으로 상이한 길이를 갖도록 돌출형성되어 상기 걸림홀더에 끼워져 걸리는 제2걸림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판은 상기 조가선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어 상기 조가선을 면접촉 상태로 수용하는 홈 형태의 조가선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2지지판은 상기 케이블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어 상기 케이블을 면접촉 상태로 수용하는 홈 형태의 케이블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스너는 상기 제1지지판의 일측에 관통설치되는 관통볼트; 상기 제2지지판의 일측 일부분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관통볼트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관통볼트와 결합하면서 상기 제1지지판 및 상기 제2지지판을 밀착시켜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한다.
또 상기 조가선시트는 상기 조가선을 부분적으로 압박하여 슬립을 방지하는 논슬립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시트는 상기 케이블을 부분적으로 압박하여 슬립을 방지하는 논슬립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일측이 상기 패스너에 설치되고, 타측에 케이블 분배기를 설치하여 상기 조가선의 하부로 상기 케이블 분배기를 현수할 수 있는 분배기 행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행거는 제1지지판이 조가선에 지지된 상태로 제2지지판을 통해 케이블을 지지하여 케이블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판 걸고리에 케이블의 요동을 방지하는 클램프의 일단이 걸림상태로 체결되므로 클램프의 유동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클램프의 이탈 및 분실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 제2지지판 걸고리에 전술한 클램프의 일단이 걸림상태로 체결되므로 클램프를 더욱 효과적으로 고정시키고, 클램프의 이탈 및 분실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간격조절수단을 제공하여 제1지지판 및 제2지지판이 걸림상태로 간격조절이 가능하므로 제1지지판 및 제2지지판은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용이하게 간격조절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조가선 및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확장되므로 조가선 및 케이블의 굵기에 상관없이 제1지지판 및 제2지지판의 간격 사이로 조가선 및 케이블을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간격조절수단은 걸림돌기 및 걸림홀더로 간단하게 구성되고, 걸림홀더에 걸림돌기가 출입되는 간단한 방법을 통해 걸림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걸림홀더의 일부분을 연장형성한 홈 형태의 연장부를 통해 걸림돌기의 일단이 출입가능한 공간을 마련하고, 이에 따라 걸림돌기가 출입가능한 폭을 제공하므로 걸림돌기가 걸림홀더에 원활하게 출입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돌기는 상이한 간격을 갖는 제1걸림부 및 제2걸림부를 통해 제1지지판 및 제2지지판의 간격을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 제1지지판에 홈 형태의 조가선시트를 제공하여 조가선을 수용하는 상태로 조가선에 지지될 수 있고, 이때 조가선의 외주면을 면접촉상태로 수용시키므로 제2지지판과 밀착됨에 따라 조가선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접촉면적이 확장되어 증가된 마찰력에 의해 조가선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지지판에 홈 형태의 케이블시트를 제공하여 케이블을 수용하는 상태로 케이블을 지지할 수 있고, 이때 케이블의 외주면을 면접촉상태로 수용시키므로 제1지지판과 밀착됨에 따라 케이블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접촉면적이 확장되어 증가된 마찰력에 의해 케이블이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패스너를 제공하여 제1지지판에 관통된 관통볼트를 제2지지판의 수용부에 수용시키고 관통볼트에 너트를 체결하는 것으로, 이러한 간단한 구성 및 방법을 통해 제1지지판과 제2지지판을 밀착시키면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게다가 조가선시트나 케이블시트에 마련된 논슬립돌기는 제1지지판 및 제2지지판이 밀착됨에 따라 조가선 및 케이블의 일부분을 부분적으로 압박하여 고정하므로 조가선 및 케이블이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케이블용 행거에 설치되는 분배기 행거를 통해 케이블 분배기를 별도의 구성없이 용이하게 조가선에 용이하게 현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현수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케이블 고정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용 행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용 행거를 나타낸 전체도면이다.
도 5는 도 4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케이블용 행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케이블용 행거의 간격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케이블용 행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케이블용 행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케이블용 행거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소요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행거는 제1지지판, 제2지지판 및 패스너를 포함한다.
제1지지판(110)은 조가선(W)에 지지되는 구성요소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가선(W)의 일부분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제1지지판(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판 걸고리(111)를 포함한다.
제1지지판 걸고리(111)는 케이블(C)에 장착되어 케이블(C)의 요동을 방지함에 따라 케이블(C)의 일단이 케이블(C)분배기나 조가선(W)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술한 케이블 고정구(등록특허 제10-0801906호)의 걸고리가 걸리는 구성요소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판(110)의 일단에 일체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제1지지판 걸고리(1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후크형태의 걸고리로 구성되어 전술한 케이블 고정구의 걸고리(66)가 개방된 부분을 통해 출입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 고정구는 케이블(C)을 고정함과 동시에 별도의 거치대(등록특허 제10-0801906호에 개시된 와이어클램프의 행거)를 구비하지 않아도 제1지지판(110)의 제1지지판 걸고리(111)를 통해 걸림상태로 거치시킬 수 있다.
한편 제1지지판(110)은 조가선(W)에 지지되기 위한 구성으로 조가선시트(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가선시트(113)는 조가선(W)을 수용하는 구성요소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판(110)의 일부분이 홈 형태로 함몰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조가선시트(113)는 조가선(W)이 설치된 방향에 대응되는 길이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조가선시트(113)는 조가선(W)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나 조가선(W)의 일부분만을 수용가능한 직경을 갖게 형성되어 조가선(W)의 외주면 일부분만을 수용하고, 나머지 일부분은 조가선시트(113) 외측으로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조가선시트(1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가선(W)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제1지지판(110)은 후술하는 제2지지판(130)이 결합되면서 조가선(W)의 외주면과 케이블시트(133)가 면접촉상태로 가압됨에 따라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조가선(W)에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조가선시트(113)는 논슬립돌기(11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논슬립돌기(113a)는 조가선(W)의 외주면을 부분적으로 압박하는 구성요소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가선시트(113)에 돌출형성된다. 자세하게는 논슬립돌기(113a)는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가선(W)의 외주면을 압박하는 형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논슬립돌기(113a)는 조가선(W)의 외주면에 부분적으로 걸리므로 조가선(W)에 지지된 제1지지판(110)이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지지판(130)은 케이블(C)을 지지하는 구성요소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상태로 전술한 제1지지판(110)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2지지판(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판 걸고리(131)를 포함한다.
제2지지판 걸고리(131)는 전술한 제1지지판 걸고리(111)와 동일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제2지지판 걸고리(13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판(130)의 일단에 일체적으로 마련되며, 전술한 제1지지판 걸고리(111)와 서로 대향되게 엇갈리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차이점이다. 이에 따라 케이블 고정구의 걸고리(66)는 어느 방향에서나 전술한 제1지지판 걸고리(111) 또는 제2지지판 걸고리(131)에 걸림상태로 걸림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지지판 걸고리(111)와 제2지지판 걸고리(131)는 서로 소정간격 이격된 출입공간(S)을 제공할 수 있다.
출입공간(S)은 전술한 케이블 고정구의 걸고리(66)가 출입가능한 틈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판(110)과 제2지지판(1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지지판 걸고리(111)와 제2지지판 걸고리(131) 사이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케이블 고정구의 걸고리(66)는 출입공간(S)을 통해 용이하게 출입되어 제1지지판 걸고리(111) 또는 제2지지판 걸고리(131)에 걸릴 수 있다.
한편 제2지지판(130)은 케이블시트(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시트(133)는 케이블(C)을 수용하는 구성요소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판(130)의 일부분이 홈 형태로 함몰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케이블시트(133)는 케이블(C)이 설치된 방향에 대응되는 길이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케이블시트(133)는 전술한 조가선(W)의 일부분으로부터 건물로 연결되는 케이블(C)의 방향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시트(1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제각기 다른 방향으로 연결되는 케이블(C)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할 수 있고, 이러한 케이블(C)들을 모두 수용할 수도 있다. 이때 케이블시트(133)는 케이블(C)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나 케이블(C)의 일부분만을 수용가능한 직경을 갖게 형성되어 케이블(C)의 외주면 일부분만을 수용하고, 나머지 일부분은 케이블시트(133) 외측으로 노출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케이블시트(1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제2지지판(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판(110)에 결합되면서 케이블(C)의 외주면과 케이블시트(133)가 면접촉상태로 가압됨에 따라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케이블(C)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지지판(130)은 논슬립돌기(11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논슬립돌기(113a)는 케이블(C)의 외주면을 부분적으로 압박하는 구성요소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시트(133)에 돌출형성된다. 자세하게는 논슬립돌기(113a)는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 즉, 케이블(C) 피복의 외주면을 압박하는 형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논슬립돌기(113a)는 케이블(C)의 외주면에 부분적으로 걸리므로 제2지지판(130)에 수용된 케이블(C)이 슬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패스너(150)는 제1지지판(110)과 제2지지판(130)을 고정하는 구성요소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볼트(151), 수용부(153) 및 너트(155)를 포함한다.
관통볼트(151)는 일반적인 나사와 같은 체결구성요소 중 하나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판(110)의 일단에 관통설치된다.
수용부(153)는 관통볼트(151)의 일부분에 걸림되는 구성요소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판(130)의 일측에 마련된다. 이러한 수용부(153)는 제2지지판(130)의 일측이 홈 형태로 관통형성되고, 관통된 일부분이 개방된 상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수용부(15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볼트(151)를 수용하는 상태로 걸림되고, 관통볼트(151)의 일부분이 제2지지판(13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너트(155)는 체결구성요소 중 하나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너트(155)로 구성된다. 이러한 너트(155)는 전술한 제2지지판(130)의 외측으로 노출된 관통볼트(151)의 일단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너트(155)는 관통볼트(151)와 나사결합되고, 점차적으로 제2지지판(130)을 가압하면서 제1지지판(110)와 일체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용 행거(100)는 간격조절수단(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조절수단(170)은 전술한 제1지지판(110) 및 제2지지판(130)을 이격가능하게 조절하는 구성요소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171) 및 걸림홀더(173)를 포함한다.
걸림돌기(171)는 후술하는 걸림홀더(173)에 출입되면서 걸리는 구성요소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171a), 제1걸림부(171b) 및 제2걸림부(171c)를 포함한다.
연결바(171a)는 걸림홀더(173)에 출입되는 구성요소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판(11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다. 이러한 연결바(171a)는 바 형태로, 전술한 제2지지판(130)이 결합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에 따라 연결바(171a)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2지지판(130)의 걸림홀더(173)에 출입될 수 있다.
제1걸림부(171b)는 후술하는 걸림홀더(173)에 걸림되는 구성요소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판(110)으로부터 소정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의 연결바(171a) 양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제1걸림부(171b)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171a)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로 구성되고, 이러한 돌기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이때 제1걸림부(171b)는 후술하는 걸림홀더(173)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걸림부(171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홀더(173)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기가 제2지지판(130)의 일측면에 걸리다. 따라서 제1지지판(110)과 제2지지판(130)은 제1걸림부(171b)를 통해 가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지지판(110)과 제2지지판(1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걸림부(171b)를 통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1지지판(110)으로부터 전술한 소정간격만큼 제2지지판(130)을 이격시킬 수 있어 전술한 조가선(W) 및 케이블(C)의 굵기에 맞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제2걸림부(171c)는 후술하는 걸림홀더(173)에 걸림되는 구성요소로, 전술한 제1걸림부(171b)와 동일하다. 다만 제2걸림부(171c)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판(110)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 즉, 제1걸림부(171b)를 지나친 위치의 연결바(171a) 양측으로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차이점이다. 이에 따라 제2걸림부(171c)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홀더(173)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기가 제2지지판(130)의 일측면에 걸린다. 따라서 제1지지판(110)과 제2지지판(130)은 제2걸림부(171c)를 통해 가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지지판(110)과 제2지지판(1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걸림부(171b)를 통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1지지판(110)으로부터 전술한 소정간격만큼 즉, 전술한 제1걸림부(171b)를 지나친 소정간격만큼 제2지지판(130)을 이격시킬 수 있어 전술한 조가선(W) 및 케이블(C)의 굵기에 맞게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제2걸림부(171c)는 전술한 제1걸림부(171b)와 다르게 연결바(171a)의 양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돌기가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갖는 차이점도 있다. 제2걸림부(171c)는 일측이 전술한 제1걸림부(171b)의 돌기와 동일한 길이를 갖고, 타측은 전술한 제1걸림돌기(171)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제2걸림부(171c)는 전술한 제1걸림부(171b)보다 넓은 폭을 형성하여 걸림홀더(173)로부터 더욱더 이탈이 쉽지 않으므로 가고정상태를 한층 더 강화시킬 수 있다.
걸림홀더(173)는 걸림돌기(171)가 출입되는 구성요소로, 제2지지판(130)의 타측 즉, 전술한 수용부(153)가 마련된 타측에 마련된다. 걸림홀더(173)는 구멍형태로 관통형성되고, 전술한 제1걸림부(171b)재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걸림홀더(173)에 걸림돌기(171)가 삽입될 경우 걸림돌기(171)의 돌기가 이루는 폭이 걸림홀더(173)가 이루는 폭보다 크기 때문에 걸림돌기(171)의 돌기는 걸림홀더(173)의 테두리에 걸림상태로 가고정된다. 즉, 제1지지판(110)과 제2지지판(130)은 가고정상태를 이루므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걸림홀더(173)는 연장부(17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173a)는 제1걸림부(171b)나 제2걸림부(171c)의 일측 돌기가 출입가능한 폭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걸림홀더(173)의 일측에 연장형성된다. 연장부(173a)는 홈 형태로 걸림홀더(173)의 폭을 연장시킨다. 자세하게는 연장부(173a)는 걸림홀더(173)의 폭을 소정간격 확장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확장된 폭은 전술한 연결바(171a)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제1걸림부(171b)의 일측 돌기까지의 폭보다 큰 폭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부(173a)는 제1걸림부(171b)나 제2걸림부(171c)의 일측 돌기를 먼저 출입시킬 경우. 나머지 돌기를 걸림홀더(173)에 용이하게 출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용 행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가선에 지지된 상태로 케이블들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고, 케이블의 요동을 방지하는 케이블 고정구의 걸림부를 제1지지판 걸고리 또는 제2지지판 걸고리에 용이하게 걸어 거치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용 행거(100)는 분배기 행거(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배기 행거(190)는 별도로 마련되는 케이블 분배기(190)를 조가선(W)에 현수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형태로 길게 형성된 판재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분배기 행거(190)는 자체의 강성을 높이도록 만곡된 형태를 이루어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별로도 마련되는 케이블 분배기(190)를 용이하게 지탱할 수 있다.
분배기 행거(19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전술한 케이블용 행거(100)의 일측에 고정된다. 자세하게는 분배기 행거(190)는 일측에 케이블용 행거(100)의 관통볼트(151)가 관통삽입되고, 삽입된 관통볼트(151)의 일단에 전술한 너트(155) 또는 별도의 너트를 구비하여 체결되는 나사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배기 행거(190)는 케이블용 행거(10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분배기 행거(19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에 별도로 마련되는 케이블 분배기(190)가 고정된다. 여기서 분배기 행거(190)와 케이블 분배기(190)의 결합방법은 전술한 나사결합 등 통상의 방법을 통해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용 행거는 분배기 행거를 통해 조가선의 일측으로 케이블 분배기 및 케이블 분배기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용이하게 현수할 수 있다.
100 : 케이블용 행거 110 : 제1지지판
111 : 제1지지판 걸고리 113 : 조가선시트
113a : 논슬립돌기 130 : 제2지지판
131 : 제2지지판 걸고리 133 : 케이블시트
150 : 패스너 170 : 간격조절수단
171 : 걸림돌기 171a : 연결바
171b : 제1걸림부 171c : 제2걸림부
173 : 걸림홀더 173a : 연장부
W : 조가선 C : 케이블
S : 출입공간

Claims (5)

  1. 지주에 수직하게 설치된 조가선으로부터 연장된 케이블을 지지하는 행거에 있어서,
    상기 조가선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상태로 상기 조가선을 지지하는 제1지지판;
    상기 제1지지판에 대향되게 마련되어 상기 케이블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상태로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고, 상기 제1지지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판; 및
    상기 제1지지판 및 상기 제2지지판을 일체적으로 고정하면서 상기 조가선 및 상기 케이블을 가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판의 일단에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케이블의 요동을 제한하도록 설치되는 고정구의 일단이 걸림상태로 체결되는 제1지지판 걸고리;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용 행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판 걸고리에 대향되게 엇갈리는 상태로 상기 제2지지판의 일단에 일체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고정구의 일단이 걸림상태로 체결되는 제2지지판 걸고리;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용 행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이 서로 걸림되면서 간격조절이 가능한 간격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용 행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상기 제1지지판의 일단에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걸림돌기; 및
    상기 제2지지판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져 걸림되는 구멍형태의 걸림홀더;를 포함하는 케이블용 행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제1지지판의 일측에 관통설치되는 관통볼트;
    상기 제2지지판의 일측 일부분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관통볼트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관통볼트와 결합하면서 상기 제1지지판 및 상기 제2지지판을 밀착시켜 고정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케이블용 행거.


KR1020160067481A 2016-05-31 2016-05-31 케이블용 행거 KR101815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481A KR101815254B1 (ko) 2016-05-31 2016-05-31 케이블용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481A KR101815254B1 (ko) 2016-05-31 2016-05-31 케이블용 행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484A true KR20170135484A (ko) 2017-12-08
KR101815254B1 KR101815254B1 (ko) 2018-01-05

Family

ID=60919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481A KR101815254B1 (ko) 2016-05-31 2016-05-31 케이블용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2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9667A (zh) * 2019-10-25 2020-01-24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厦门供电公司 一种c型线夹安装工具及其使用方法
CN112436469A (zh) * 2020-11-13 2021-03-02 江西泉新电气有限公司 一种固线街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886B1 (ko) * 2011-08-22 2012-11-30 박귀현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
KR101713980B1 (ko) 2015-10-16 2017-03-10 동서텔레콤(주) I 볼트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지지선 결속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9667A (zh) * 2019-10-25 2020-01-24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厦门供电公司 一种c型线夹安装工具及其使用方法
CN112436469A (zh) * 2020-11-13 2021-03-02 江西泉新电气有限公司 一种固线街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254B1 (ko) 2018-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8075E1 (en) Unitized seismic bracket
US6327758B1 (en) Resilient unitary lighting clip
US6390421B1 (en) Hanger for multiple pipes
MXPA00004417A (es) Suspensor de barra y ensamble de abrazadera de montaje.
US9376812B2 (en) Ceiling panel mounting system
KR101815254B1 (ko) 케이블용 행거
US6651948B2 (en) System for hanging a picture frame
KR20110127383A (ko) 그레이팅 스토퍼
US8158882B1 (en) Electrical box hanger
CN111295541A (zh) 管支撑结构
US5445348A (en) Auxiliary cable attachment
US8076573B1 (en) Electrical box hanger
US6421965B2 (en) Unitized seismic brace
US8220757B2 (en) Conduit hanger
US5484125A (en) Appliance mounting system
US4046344A (en) Conduit clamping device
KR200417712Y1 (ko) 파이프용 크램프가 결합된 케이블 행거
KR20160043653A (ko) 에어컨 배관용 행거
WO2019110969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ipe support systems
US7568313B1 (en) Suspended ceiling projector mount apparatus
JP7168978B2 (ja) 吊りボルト固定具
US9093827B2 (en) Wire pulling device
KR20210004569A (ko) 다중 가스 라인용 고정 브라켓 장치
EP0733812B1 (en) Blind fastener device
KR200179138Y1 (ko) 단자함 설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