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162A -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 - Google Patents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162A
KR20170135162A KR1020160066642A KR20160066642A KR20170135162A KR 20170135162 A KR20170135162 A KR 20170135162A KR 1020160066642 A KR1020160066642 A KR 1020160066642A KR 20160066642 A KR20160066642 A KR 20160066642A KR 20170135162 A KR20170135162 A KR 20170135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ertilizer
prescription
user
nutrient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1481B1 (ko
Inventor
우승호
정경희
이강모
윤지효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그린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그린코프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그린코프
Priority to KR1020160066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481B1/ko
Publication of KR20170135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ydropon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앱 또는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웹을 통해 제공되는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은, 원수 및 배수, 배지, 식물체에 대한 분석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정보의 생성이 요청되면, 상기 원수 및 배수, 배지에 대한 분석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분석정보와 비료가격정보와 표준처방정보와 양액재배방식정보를 토대로 필요 비료들 및 상기 필요 비료들 각각에 대한 양을 검출하여 비료처방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양액재배방식정보는 배지의 종류정보와 배액재사용 여부정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fertilizer recipe service method for the hydroponic culture of horticultural crops}
본 발명은 원예작물의 양액재배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액에 대한 비료성분의 처방시에 원예작물의 재배형태, 재배상태 및 생육단계는 물론이고 원수 분석정보, 배액 분석정보, 배지 분석정보, 식물체 분석정보, 표준양액 처방정보와 비료의 가격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양액처방에 대한 신뢰도를 높임과 동시에 양액재배시의 비용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는 토양을 이용하지 않는 재배 방법으로 생육에 필요한 영양 성분(다량 및 미량원소)을 적절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알맞은 조성과 농도로 조절된 배양액을 식물에 공급해주며 재배하는 방법이다. 상기 양액재배는 물만으로 재배하는 순수 수경 재배(水耕栽培)와 배지(인공토양)에 심어 재배하는 배지경 수경재배가 있으며, 배양액을 만들어 재배하기 때문에 용액 재배(Solution Culture)고도 한다.
이러한 양액재배는 단기간에 많은 양의 작물을 수확할 수 있고 토양재배와 비교하여 자연환경의 지배를 덜 받기 때문에 농경이 불가능한 곳에서도 원예작물이 재배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 양액재배는 많은 자본이 필요하고, 양액이 작황에 지배적인 영향을 가져오므로 상기 양액에 대한 세심한 관리가 요구되었다.
상기한 양액재배는 양액의 재활용 여부에 따라 순환식과 비순환식으로 구분되는데, 비순환식 시스템은 일정시간 사용한 양액을 다시 재사용하지 않고 배출하는 방식으로 배출양액의 잔여 비료성분으로 인하여 환경오염 및 비료의 불필요한 과다사용으로 인한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순환식 시스템은 양액 이용율의 극대화 및 환경문제 해결을 위하여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나, 재배후 재활용되는 양액 내의 성분 이온별 농도 측정이 어려워 널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더욱이 상기 순환식 시스템은 배양액의 전기전도도(Electric conductivity:EC)를 측정한 뒤 기준 농도에 맞도록 농축배양액을 첨가하여 전체적인 배양액의 농도를 보정해주는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양액내의 이온간 불균형상태를 완전히 해소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양액내 성분 이온들 사이의 불균형을 해소하고자 부족한 비료성분을 알맞게 투입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망되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14680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547300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6-0044558호
본 발명은 양액에 대한 비료성분의 처방시에 원예작물의 재배형태, 재배상태 및 생육단계는 물론이고 원수 분석정보, 배액 분석정보, 배지 분석정보, 식물체 분석정보, 표준양액 처방정보와 비료의 가격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양액처방에 대한 신뢰도를 높임과 동시에 양액재배시의 비용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기온도, 태양복사 및 그 적산량, 광투과율, 엽면적지수(Leaf Area Index: 단위 토양면적 당 잎의 면적, m2/m2) 등과 같은 양액재배 환경상태 및 생장정보를 다방면으로 모니터링하여 양액처방시에 반영함으로써 양액처방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앱 또는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웹을 통해 제공되는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은, 원수 및 배수, 배지, 식물체에 대한 분석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정보의 생성이 요청되면, 상기 원수 및 배수, 배지에 대한 분석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분석정보와 비료가격정보와 표준처방정보와 양액재배방식정보를 토대로 필요 비료들 및 상기 필요 비료들 각각에 대한 양을 검출하여 비료처방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양액재배방식정보는 배지의 종류정보와 배액재사용 여부정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액에 대한 비료성분의 처방시에 원예작물의 재배형태, 재배상태 및 생육단계는 물론이고 원수 분석정보, 배액 분석정보, 배지 분석정보, 식물체 분석정보, 표준양액 처방정보와 비료의 가격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양액처방에 대한 신뢰도를 높임과 동시에 양액재배시의 비용절감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기온도, 태양복사 및 그 적산량, 광투과율, 엽면적지수 등과 같은 양액재배 환경상태정보를 다방면으로 모니터링하여 양액처방시에 반영함으로써 양액처방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기술의 이용 범위를 정리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의 절차도.
도 4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료처방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표시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료처방 방법의 처리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비료처방을 이행하는 절차를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은 양액에 대한 비료성분의 처방시에 원예작물의 재배형태, 재배상태 및 생육단계는 물론이고 원수 분석정보, 배액 분석정보, 배지 분석정보, 식물체 분석정보, 표준양액 처방정보와 비료의 가격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양액처방에 대한 신뢰도를 높임과 동시에 양액재배시의 비용절감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기온도, 태양복사 및 그 적산량, 광투과율, 엽면적지수 등과 같은 양액재배 환경상태정보를 다방면으로 모니터링하여 양액처방시에 반영함으로써 양액처방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기술 이용범위>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기술의 이용 범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시설 원예 산업 전반은 물론이고, 정부/민간 기관 및 기업, 농가/학생/연구자/컨설턴트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농가/학생/연구자/컨설턴트는 양액재배 현장에서 활용함과 아울러 교육 및 컨설팅시에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정부/민간 기관 및 기업의 경우에는 분석처방, 관수장비 및 양액장비의 개발 및 제작시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비료처방 기술은 인터넷 웹 서비스 및 비료 생산 및 판매 사업에도 활용될 수 있다.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시스템의 구성도>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시스템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하이드로피드(HydroFeed) 서비스 시스템은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와 데이터베이스(102)로 구성된다.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는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app) 또는 웹(web)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로 본 발명에 따르는 하이드로피드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 설치파일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02)는 본 발명에 따르는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데이터베이스(102)에는 표준 처방정보 및 처방 정정정보, 사용자 정보 등이 저장된다. 특히 상기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 기초정보, 원예작물 재배소에 대한 GPS 위치정보, 재배작물에 대한 식별정보, 사용하고자 하는 표준처방의 설정정보, 원수분석정보, 배수분석정보, 식물체 분석정보, 배지 분석정보, 투과율정보, 광단위변환정보, 엽면적지수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는 본 발명을 위해 일조량 및 날씨정보 서비스 서버(400)로부터 지역별 일조량 및 날씨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일조량 및 날씨 정보 서비스 서버(400)로부터 지역별 일조량 및 날씨 정보를 다운로드받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의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 이하 편이상 제1사용자 단말기(2001)는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 또는 웹을 통해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하거나 독립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하이드로피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2001)는 사용자 기초정보, 원예작물 재배소에 대한 GPS 정보, 사용하고자 하는 표준처방의 설정정보, 원수 분석정보, 배수 분석정보, 식물체 분석정보, 배지 분석정보, 투과율 정보, 광단위변환 정보, 엽면적지수 정보 등을 미도시된 내부 저장소에 저장함과 아울러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에 제공하여 데이터베이스(102)에 등록한다. 이때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 또는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제1사용자 단말기(2001)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02) 또는 내부 저장소에 저장된 정보들과 해당 지역에 대한 일조량 및 날씨정보, 비료가격정보 등을 토대로 원예작물에 공급될 비료의 처방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200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비료의 처방정보를 생성하는 경우에, 상기 비료의 처방정보를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에 제공하여 데이터베이스(102)에 그 이력이 기록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2001)는 실험실 등에 구비된 분석기를 통해 원수분석정보, 배수분석정보, 식물체 분석정보, 배지 분석정보를 손쉽게 입력받기 위해 QR 코드로 변환된 정보들을 입력받아 디코딩하는 디코딩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비료 처방정보의 손쉬운 공유를 위해 비료의 처방정보를 QR 코드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코딩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2001)는 기기가 구비하고 있는 조도계와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원예작물 재배소의 각부에서의 광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내부 저장소에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에 제공하여 데이터베이스(102)에 그 이력이 기록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1사용자 단말기(2001)는 조도계와 자이로센서를 통해 광도와 높이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원예작물 재배소의 외부와 내부에서의 광도를 측정하고, 외부광도 및 내부광도 센싱값에 따른 광투과율을 산출한다.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2001)는 산출한 광투과율정보를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에 제공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광투과율 정보를 기록하여 이력정보를 등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사용자 단말기(2001)는 조도계와 자이로센서를 통해 광도와 높이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원예작물의 수관상부 및 수관하부에서의 광도를 측정하고, 수관상부 및 수관하부에서의 광도 센싱값에 따른 엽면적지수를 산출한다. 상기 제1사용자 단말기(2001)는 산출한 엽면적지수 정보를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에 제공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엽면적지수를 기록하여 이력정보를 등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사용자 단말기(2001)를 통해 원예작물 재배소의 각부에서의 광도를 측정하는 것만을 설명하였으나, 원예작물 재배소의 각부에 점선으로 도시한 광도측정기들(306,308,310,312)을 설치하고, 그 광도측정기들(306,308,310,312)을 통해 센싱된 광도 센싱값을 제1사용자 단말기(2001)가 무선으로 제공받아 투과율 및 엽면적 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내부 저장소에 저장함과 아울러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에 제공하여 데이터베이스(102)에 그 이력이 기록되게 할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의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상기 원예작물 재배소에는 원예작물에 공급될 원수가 저장된 원수탱크(300)와 농축된 양액을 저장하는 양액탱크(314)와 원예작물로부터 공급되었다가 배출되는 배액이 수용된 배액탱크(302)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원수는 지하수, 우수, 수돗물 혹은 지표수 등이다.
그리고 분석기(304)는 원예작물 재배소 또는 연구소 등에 구비될 수 있으며, 원수분석부, 배액분석부, 배지분석부, 잎분석부로 구성된다. 상기 원수분석부는 원수에 포함된 원소들의 수치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그대로 출력하거나 QR 코드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액분석부는 배액에 포함된 원소들의 수치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그대로 출력하거나 QR 코드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지분석부는 배지에 포함된 원소들의 수치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그대로 출력하거나 QR 코드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잎분석부를 잎에 포함된 원소들의 수치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그대로 출력하거나 QR 코드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기(304)는 상기한 QR 코드를 공유/인식하고 서로 QR 코드로 정보 전달도 가능하게 한다. 이는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QR 코드 표준 변환기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의 처리 과정>
상기한 바와 같은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의 처리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체적인 처리절차>
본 발명에 따르는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의 전체적인 처리과정을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는 비료처방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을 통해 독립적으로 실행되거나,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가 제공하는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웹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비료처방 방법의 실행을 위해 사용자 단말기와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는 사용자 기초정보, 원예작물 재배소에 대한 GPS 정보, 사용하고자 하는 표준처방의 설정정보, 원수 분석정보, 배수 분석정보, 식물체 분석정보, 배지 분석정보, 광투과율 정보, 광단위변환 정보, 엽면적지수 정보 등을 공유한다. 또한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는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의 동작을 모니터링함으로써 하이드로피드 서비스가 안정적으로 실행되도록 관여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편이상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서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비료처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내부 저장소에 표준 처방 DB(800)에 다수개의 표준 처방 정보를 저장한다(800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양액재배 작물 선택정보, 다수개의 표준 처방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선택정보, 배지의 종류 선택정보, 배액 재사용 여부 선택정보, 농축비 및 탱크 용량 선택정보, 요구 EC 결정정보, 비료선택정보, 중탄산 버퍼량 결정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한다(802,804,806,808,810,812,814단계).
여기서 상기 요구 EC에 대해 좀 더 설명한다. 표준 처방에는 보통 공급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ctivity, mS/cm) EC를 제시한다. 이는 작물에 주어지는 양분의 농도를 알 수 있게 하는 수치로서, 비료를 모두 물에 탔을 경우의 전기 전도도값이다. 이는 처방에서 2.1을 제시하였더라도 사용자가 2.6을 원할 경우에, 이를 처방에 반영해 주기 위한 기능이다.
그리고 상기 비료선택은 자동으로 선택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자동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가장 경제적인 비료를 기준으로 선택되며, 사용자가 특정 비료를 선택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비료를 최대한 반영하여 결과를 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특정 비료를 선택한 경우에는 표준처방과 벗어나는 원소와 그 정도를 알 수 있도록 표준처방과의 차이를 퍼센트로 안내한다. 예를들어 5%이내는 푸른색, 그 이상은 붉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중탄산 버퍼량 결정에 대해 좀더 설명한다. 중탄산(HCO3-)은 원수 혹은 양액의 pH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액재배에서 권장하는 pH의 범위는 5.5 ~ 6.0이나, 원수에 중탄산이 많은 경우에는 pH가 7.0 이상으로 높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중탄산을 중화시키기 위해서 넣게 되는 산으로는 보통 질산(HNO3)과 인산(H2PO4)을 이용한다. 이러한 중화를 위해서 산을 넣어 중탄산을 전부 없애 PH를 5.0 이하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원예작물의 뿌리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 이에 버퍼를 가지며, 상기 버퍼는 50~100 ppm로 정해질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질산과 인산을 넣는 경우에는 NO3 혹은 PO4와 같은 양분이 함께 공급되기 때문에 표준 처방의 질소와 인의 양에 있어 공급 과잉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의 과잉 혹은 부족이 나타날 경우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메시지를 표시하여 안내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QR 코드리더 또는 분석기(304)와의 통신을 통해 원수 분석정보, 배액 분석정보, 근권 분석정보, 식물체(잎) 분석정보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표준처방정보를 제공받아 결합하여 출력한다(820,822,824,826,828,830단계).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원수 분석정보, 배액 분석정보, 근권 분석정보, 식물체(잎) 분석정보를 보정 DB에 기록된 정보들, 각종 분석정보, 광투과율 정보, 엽면적지수 정보, 광량, 일장, 날씨를 고려하여 보정될 수 있다(834단계). 이러한 보정에 관련된 알고리즘은 미리 보정에 반영되는 요소인, 사용자의 입력값(작물의 종류, 분석치: 원수/배지/배액/식물체, 작물생육정도 등), 센싱값(광도, 온도, LAI 등), 배지의 종류를 보정 DB에 저장하고 이 요소들이 입력 혹은 센싱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의사를 묻고 표준처방에 이를 다시 반영 후 결과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계산반영요소 선택정보를 제공받아(832단계), 상기 원수 분석정보, 배액분석정보, 근권 분석정보, 식물체(잎) 분석정보 중 하나 이상과 양액재배 작물 선택정보, 다수개의 표준 처방정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표준 처방정보, 배지의 종류 선택정보, 배액 재사용 여부정보, 농축비 및 탱크 용량 선택정보, 요구 EC 결정정보, 비료선택정보, 중탄산 버퍼량 결정정보를 토대로 최적 및 최소 비용의 처방전정보를 생성하여 내부 저장소의 처방전정보 DB에 저장한다(816,818,832,842단계).
이러한 최적 및 최소 비용 처방값의 계산과정에 대해 좀더 설명한다. 먼저 양액재배(수경재배)는 무토양 재배방식으로 양분을 식물에 인위적으로 주입하여야 하며, 표준처방은 이러한 재배를 위하여 작물에 공급되어야 하는 각종 필요 양분(무기염류)의 종류와 양(농도/산도)을 규명해 놓은 DB(작물별, 재배를 위한 배지별, 생육단계별 재배방식별DB)이다.
본 발명은 상기 표준처방 DB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분석정보 중에서 원수(사용자가 사용을 원하는 수원: 지하수, 지표수 등)에 존재하는 양분의 종류와 양을 표준처방에서 제시한 종류와 양에서 뺀 나머지를 식물에 공급할 수 있도록 계산하고, 그 결과에 대응되는 필요 비료들과 그 필요비료들 각각의 양을 비료 처방정보의 형태로 제공한다.
또한 최소 비용으로의 비료 처방정보의 산출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요구되는 비료의 조성비를 맞추고 그 조성비의 맞춤에 있어서 사용자가 비료 선택시 해당 비료의 중량당 단가를 기초로 화학 성분비에 따른 목표 원소의 MOL당 단가를 계산하여 비료의 단가를 비교하여 비료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과정을 각 원소마다 반복 계산하여 전체 양액을 경제적인 가격으로 조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로, 엔 등의 환율을 웹에서 조회한 후에 사용자 단말기의 국가코드에 대응되는 화폐단위로 환산하여 안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는 하이드로피드 서비스는 사용자가 원할 경우 원수, 배액, 근권부 정보를 모두 반영하여 필요 양분의 종류와 양을 계산한 후에, 가장 경제적인 비료의 종류와 양으로 치환하여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하이드로피드 서비스는 사용자가 직접 표준처방을 수정/변경/추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 또는 연구원에 의한 처방정보의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계산반영요소의 선택은,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한 것이다. 즉 어떤 사용자는 원수의 분석정보만 표준처방에 반영하기를 원할 수 있고, 어떤 사용자는 근권부 또는 배액의 분석정보를 더 고려하여 처방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에 상기 계산반영요소의 선택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분석정보만을 취하여 처방값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계산반영요소의 선택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으며 그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는 변경 또는 수정결과에 대응되는 처방정보를 다시 생성하여 안내한다. 특히 상기 변경 또는 수정은 비율로 입력될 수 있으며, 그 입력된 비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는 필요비료들과 그 필요비료들의 양을 다시 산출하여 안내한다.
상기한 비료 처방정보의 저장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처방정보에 대응되는 QR 코드를 생성하여 그 QR 코드를 통한 공유를 이행하거나, 처방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거나 상기 처방정보를 전송하거나 다른 처방정보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840,838,836단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 처방방법을 크게 기초정보 입력과정, 처방 정보의 생성과 출력 및 그외 유용한 기능들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기초정보 입력과정>
먼저 본 발명에 따르는 비료처방을 위한 기초정보 입력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 또는 미도시된 앱 마켓 시스템에 접속하여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 설치파일을 요청할 수 있다(500단계). 이 경우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 또는 미도시된 앱 마켓 시스템은 상기 요청에 따라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 설치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502단계).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 설치파일을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 설치파일을 실행하여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을 설치 및 실행한다(504단계).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은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각종 정보의 입력 및 조회, 유용한 기능의 실행명령 등을 위한 메인화면을 구비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은 기본적으로 3개 국어(한국어, 영어, 일어)를 제공한다.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을 통해 사용자는 사용자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하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내부 저장소에 저장함과 아울러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로 제공하여 데이터베이스(102)에 사용자 정보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506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를 제공받은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한다(508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는 도 1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름, 재배작물, 재배면적, 주수, 정식일, 첫꽃 개화일, 마지막 적심일, 재배장소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재배장소는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된 GPS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위치정보로서, 해당 장소에서의 일조량이나 기온 등의 기후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표준처방의 설정요청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표준처방 설정 요청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표준처방의 설정정보를 내부 저장소에 저장하고, 이를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로 제공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표준처방 설정정보의 등록을 요청한다(510단계). 상기 표준처방의 설정요청정보를 제공받은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사용자가 설정요청한 표준처방 설정정보를 저장한다(512단계). 여기서, 상기 표준처방은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다수가 존재하며 사용자는 다수의 표준처방을 안내받은 상태에서 자신이 원하는 표준처방을 선택하여 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표준처방을 선택한 후에 선택 처방의 각 원소의 양을 임의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정 및 저장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을 통해 사용자가 원수 분석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원수 분석정보를 저장함과 아울러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로 제공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원수 분석정보의 이력을 등록하도록 요청한다(514단계). 상기 원수 분석정보를 제공받은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상기 원수 분석정보를 일시정보와 함께 저장하여 원수 분석정보의 이력정보를 구성한다(516단계). 여기서, 상기 원수 분석정보는 도 1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분석기(304)가 출력하는 원수에 대한 다량 원소들의 수치들인 원수수치정보들로 구성되며, 이러한 원수 분석정보는 QR코드로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QR코드로 원수 분석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QR코드를 원수 분석정보로 복원하여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함과 아울러 내부 저장소에 저장하고,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로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을 통해 사용자가 배수 분석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배수 분석정보를 내부 저장소에 저장함과 아울러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로 제공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배수 분석정보의 이력을 등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518단계). 상기 배수 분석정보를 제공받은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상기 배수 분석정보를 일시정보와 함께 저장하여 배수분석정보의 이력정보를 구성한다(520단계). 여기서, 상기 배수 분석정보는 도 16에 예시한 바와 같이 분석기(304)가 출력하는 배수에 대한 다량 원소들의 수치들인 배수 수치정보들로 구성되며, 이러한 배수 분석정보는 QR코드로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QR코드로 배수 분석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QR코드를 배수 분석정보로 복원하여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함과 아울러 내부 저장소에 저장하고,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로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을 통해 사용자가 식물체 분석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식물체 분석정보를 저장함과 아울러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로 제공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식물체 분석정보의 이력을 등록하도록 요청한다(522단계). 상기 식물체 분석정보를 제공받은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상기 식물체 분석정보를 일시정보와 함께 저장하여 식물체 분석정보의 이력정보를 구성한다(524단계). 여기서, 상기 식물체 분석정보는 도 17에 예시한 바와 같이 분석기(304)가 출력하는 식물체에 대한 다량 원소들의 수치들인 식물체 분석 수치정보들로 구성되며, 이러한 식물체 분석정보는 QR코드로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QR코드로 식물체 분석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QR코드를 식물체 분석정보로 복원하여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함과 아울러 내부 저장소에 저장하고,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로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을 통해 사용자가 배지 분석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배지 분석정보를 내부 저장소에 저장함과 아울러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로 제공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배지 분석정보의 이력을 등록하도록 요청한다(526단계). 상기 배지 분석정보를 제공받은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상기 배지 분석정보를 일시정보와 함께 저장하여 배지 분석정보의 이력정보를 저장한다(528단계). 여기서, 상기 배지 분석정보는 도 18에 예시한 바와 같이 분석기(304)가 출력하는 배지에 대한 다량 원소들의 수치들인 배지 분석 수치정보들로 구성되며, 이 배지 분석 수치정보들은 QR코드로 입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QR코드로 배지문석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QR코드를 배지 분석정보로 복원하여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함과 아울러 내부 저장소에 저장하고,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로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각종 분석정보를 입력할 때에 QR 코드를 이용하도록 구현하였으며, 이는 많은 수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입력하게 함은 물론이고 분석정보의 공유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비료처방을 위한 기초정보 입력과정이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을 통해 이루어지는 과정만을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가 제공하는 하이드로 서비스웹에 접속하여 기초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의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비료 처방정보의 생성 및 출력과정>
이제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 처방정보의 생성 및 출력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을 통해 양액에 대한 비료 처방정보의 생성을 요청하면, 비료 처방정보를 독립적으로 생성하거나 비료 처방정보 생성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한다(600,602단계).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독립적으로 비료 처방정보를 생성할 때에 미리 저장해둔 원수분석정보, 배수분석정보, 식물체 분석정보, 배지분석정보, 관수날짜, 양액재배방식, 비료가격정보, 원예작물 재배소의 위치에서의 일조량 및 날씨를 이용하여 표준 처방에 부합되는 비료 처방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비료 처방정보의 생성을 요청받았다면,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는 해당 사용자의 원수분석정보, 배수분석정보, 식물체 분석정보, 배지분석정보, 관수날짜, 양액재배방식, 비료가격정보, 원예작물 재배소의 위치에서의 일조량 및 날씨를 이용하여 표준 처방에 부합되는 비료 처방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 정보에 기록하여 이력정보를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반환한다(604단계).
상기 비료 처방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비료 처방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프린트장치를 통해 인쇄하거나, QR 코드로 코딩하여 표시하는 방식 등으로 출력한다(606단계). 이를 위한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은 도 19에 예시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관수일, 양액재배방식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처방정보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은 도 20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비료 처방정보를 직접 입력받은 후에 내부 저장소에 저장함과 아울러, 이를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로 제공하여 비료 처방정보의 이력 등록을 요청할 수도 있다(608~614단계).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가 입력한 비료 처방정보를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하고,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비료 처방정보를 해당 사용자 정보에 기록하여 비료 처방정보의 이력정보를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은 도 22 및 도 2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비료 처방정보 공유요청에 따라 비료 처방정보를 이메일 등을 통해 공유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이로서 처방정보의 손쉬운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615~620단계). 또한 도 23은 Excel QR 생성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24 및 도 25와 같은 표준 시트(Sheet)를 제공하여 외부 분석 기관에서 분석한 결과치를 기입하면 자동으로 QR를 생성하는 것으로, 타 원수, 배액, 식물체 등의 분석 결과 및 표준처방 결과를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사용자들이 쉽게 공유 및 이용할 수 있게 하며, 데이터 입력에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각 분석기관 및 연구소에 QR코드 표준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은 사용자의 처방정보 출력요청에 따라 처방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한 방식에 따라 출력한다(622,624단계). 여기서 상기 출력방식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면에 표시하거나 프린트장치를 통해 인쇄하거나, 도 24 및 도 25, 도 12에 예시한 바와 같이 QR 코드로 코딩하여 표시하는 방식 등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처방정보를 입력할 때에 QR 코드로 출력 및 전송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으며, 이는 많은 수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입력하게 함은 물론이고 처방정보의 공유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의 유용한 기능들을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을 실행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도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일조량 및 날씨 정보 조회요청에 따라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 또는 외부 정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일조량 및 날씨정보를 제공받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한다(700~706단계).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을 실행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투과율 조회요청에 따라 외부광도 및 내부광도를 센싱하고, 그에 따른 센싱값들을 이용하여 광투과율을 산출하여 광투과율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함과 아울러 내부 저장소에 저장하고,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에 제공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광투과율정보를 기록하여 이력정보를 등록한다(708~712단계).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을 실행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광단위변환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광단위변환정보를 입력받아 광단위변환을 실행함과 아울러 광단위변환정보를 출력함과 아울러 내부 저장소에 저장하고, 그 광단위변환정보를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로 제공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광단위변환정보를 기록하여 이력정보를 등록한다(714~718단계).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을 실행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비료 처방분석정보 조회요청에 따라 내부 저장소에 저장된 비료 처방정보를 독출하여 비료 원소별 농도를 계산하고 그 결과인 비료 처방 분석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로 요청하고, 그 요청정보에 따라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가 비료 처방정보를 제공하여 이를 비료 원소별 농도를 계산하고 그 결과인 비료 처방 분석정보로서 표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한다(720~726단계). 상기 도 10에는 사용자가 타 비료 표준처방의 각 비료 원소의 농도(ppm 혹은 mol/L)를 알고자 하는 타 비료 표준처방에서 제시하고 있는 각종 비료의 양 혹은 사용자가 알고자 하는 비료 및 그 양을 기입하면 본 발명의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에서 자동으로 분석하여 각 비료 원소들의 농도를 계산해서 알려주는 기능이다.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을 실행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도 1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엽면적지수 측정요청에 따라 수관상부 및 하부의 광도를 센싱하고, 그에 따른 센싱값들을 제공받아 엽면적지수를 산출하여 그 결과인 엽면적지수정보를 출력함과 아울러 내부 저장소에 저장하고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에 제공하여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에 엽면적지수정보를 기록하여 이력정보를 등록한다(728~732단계). 또한 상기 도 11에는 사용자 단말기의 자이로를 이용하여 높이와 높이차를 측정하는 과정이 예시되어 있다.
<양액재배를 위한 처방정보의 생성예>
이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는 양액재배를 위한 처방정보 생성예를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 또는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100)가 제공하는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웹을 통해 표준처방을 선택한다(900단계). 이는 작물별, 생육단계별, 배지별, 배액사용 유무별로 상이하게 결정된다.
이후 사용자는 원수 분석정보, 배액 분석정보, 근권 분석정보를 QR 코드 등을 통해 입력하면,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 또는 웹은 상기 원수 분석정보, 배액 분석정보, 근권 분석정보를 식물체의 분석정보, 엽면적, 광량, 일장, 날씨 등을 고려하여 보정한다(902단계). 좀더 설명하면,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은 배액 근권 분석정보로부터 근권 타겟(Target)을 근권 보정치로 수정하며, 이는 보정DB에 기록된 기준을 따른다. 그리고 근권 보정치를 토대로 EC값의 높음, 낮음을 판별 표식(Remark)에 표시하며, 이 역시 보정DB에 기록된 기준을 따른다. 또한 근권 보정치를 역시 기준하여 EC한계 범위를 판별하여 한계 범위의 EC보정을 실시하며, 이 역시 보정DB에 기록된 기준을 따른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은 칼슘 흡수 증가 여부 물은 결과에 따라 다른 보정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원수 분석정보, 배액 분석정보 및 근권 분석정보의 파악이 완료되면,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 또는 웹은 PH를 보정한다(904단계). 여기서 pH 보정이란 양액의 pH를 보정하는 뜻이 아니고, 처방 중에 뿌리에서 이온흡수로 인하여 생리적인 pH 변화를 표준처방에 다시 반영하기 위해 보정하는 것으로, 보정DB에 기록된 기준에 따른다.
또한 NH4를 조절 보정하고, K,Ca비율에 따른 K,Ca 보정하고, Si보정이 있는 작물은 규소 보정을 실시하고, EC보정이 필요한 작물(심비디움 등)은 사용자 질문을 통해 생육단계별 EC보정%을 이행한다.
이후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 또는 웹은 Mo의 보정 및 Ca 흡수를 더 돕기 위한 보정을 실행한다(906,908단계).
이후 상기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앱 또는 웹은 표준처방과 원수분석정보의 차이값 파악한 후에 EC 보정하고 중탄산 버퍼값을 반영한다(912,914단계). 여기서 중탄산은 질산 혹은 인산으로 조절한다.
이후 상기 하이드로 피드 서비스 앱 또는 웹은 비료 조합 및 비료량을 계산한다. 즉 NH4, K, Ca, Mg, H3O, NO3 SO4 H2PO4 등 제일 저렴한 비료 조합을 우선 고려하되, 단, 질산 혹은 인산은 중탄산을 버퍼링 설정값만 반영한다. 그리고 최종 계산 후 NO4가 5% 이상 새로운 처방 제시값과 차이가 날 경우는 메세지 출력하여 사용자가 인지하거나 다른 비료를 선택하도록 유도한다. 또한 질산, 인산을 제외한 나머지 비료의 조합으로 맞추며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비료성분이 있다면 그 차이를 나타내는 성분과 %차만 안내한다.
100 : 하이드로피드 서비스 서버
102 : 데이터베이스
2001~200N : 제1 내지 제N사용자 단말기
300 : 원수탱크
302 : 배액탱크
304 : 분석기
306 : 외부광도 측정기
308 : 내부광도 측정기
310 : 수관상부 광도 측정기
312 : 수관하부 광도 측정기
314 : 양액탱크

Claims (11)

  1.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앱 또는 서비스 서버가 제공하는 웹을 통해 제공되는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에 있어서,
    원수 및 배수, 배지, 식물체에 대한 분석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정보의 생성이 요청되면, 상기 원수 및 배수, 배지에 대한 분석정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분석정보와 비료가격정보와 표준처방정보와 양액재배방식정보를 토대로 필요 비료들 및 상기 필요 비료들 각각에 대한 양을 검출하여 비료처방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양액재배방식정보는 배지의 종류정보와 배액재사용 여부정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원예작물 재배소의 외부와 내부 사이의 광도 차이에 따른 투과율을 검출하고, 상기 원수 및 배수, 배지에 대한 분석정보를 상기 투과율에 따라 보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원예작물의 수관상부 및 수관하부 사이의 광도 차이에 따른 엽면적지수를 검출하고, 상기 원수 및 배수, 배지에 대한 분석정보를 상기 엽면적지수에 따라 보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정보는 원예작물 재배소 또는 연구소에 설치된 분석기로부터 제공받으며,
    상기 분석기는 상기 분석정보를 미리 정해둔 방식으로 코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분석정보를 디코딩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료처방정보의 출력은 표시 또는 프린트,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출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비료처방정보를 코딩하여 생성한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코드를 비료처방정보로 복원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요 비료의 선택은 사용자의에 선택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된 표준처방에 대응되게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원예작물 재배소의 날씨 및 일조량에 대한 기후정보를 외부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원수 및 배수, 배지에 대한 분석정보를 상기 기후정보에 따라 보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료처방정보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비료처방정보의 전송시에는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코딩되어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 및 배수, 배지에 대한 분석정보를 상기 식물체에 대한 분석정보에 따라 보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
KR1020160066642A 2016-05-30 2016-05-30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 KR101871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642A KR101871481B1 (ko) 2016-05-30 2016-05-30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642A KR101871481B1 (ko) 2016-05-30 2016-05-30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162A true KR20170135162A (ko) 2017-12-08
KR101871481B1 KR101871481B1 (ko) 2018-06-27

Family

ID=60919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642A KR101871481B1 (ko) 2016-05-30 2016-05-30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4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8382A (zh) * 2018-08-23 2019-01-01 吉林省土壤肥料总站 土壤墒情与施肥量关系模型的建立方法及应用
KR20220043648A (ko) * 2020-09-29 2022-04-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소형 수경재배 시스템의 급액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32290A (ko) * 2021-08-30 2023-03-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순환식 수경재배 시스템의 급액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680B1 (ko) 2006-12-08 2008-03-20 대한민국 휴대형 양액 성분 분석장치
JP2009106261A (ja) * 2007-10-30 2009-05-21 Asuzac Inc 作物の栽培支援装置
JP4677164B2 (ja) * 2000-06-01 2011-04-27 株式会社テクノメデイカ 養液栽培における植物の育成状態診断装置
KR20140133267A (ko) * 2013-05-10 2014-11-19 신한에이텍 주식회사 배액 재활용을 위한 순환식 살균 방법
KR101547300B1 (ko) 2014-06-13 2015-08-26 (주)티에스엠 순환식 수경재배용 배액제어장치
KR101582386B1 (ko) * 2013-12-12 2016-01-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작물의 무토양 재배시 배양액 공급량 제어방법
KR20160044558A (ko) 2013-08-19 2016-04-25 메비올 가부시키가이샤 식물 재배용 시스템 및 식물 재배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7164B2 (ja) * 2000-06-01 2011-04-27 株式会社テクノメデイカ 養液栽培における植物の育成状態診断装置
KR100814680B1 (ko) 2006-12-08 2008-03-20 대한민국 휴대형 양액 성분 분석장치
JP2009106261A (ja) * 2007-10-30 2009-05-21 Asuzac Inc 作物の栽培支援装置
KR20140133267A (ko) * 2013-05-10 2014-11-19 신한에이텍 주식회사 배액 재활용을 위한 순환식 살균 방법
KR20160044558A (ko) 2013-08-19 2016-04-25 메비올 가부시키가이샤 식물 재배용 시스템 및 식물 재배 방법
KR101582386B1 (ko) * 2013-12-12 2016-01-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작물의 무토양 재배시 배양액 공급량 제어방법
KR101547300B1 (ko) 2014-06-13 2015-08-26 (주)티에스엠 순환식 수경재배용 배액제어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8382A (zh) * 2018-08-23 2019-01-01 吉林省土壤肥料总站 土壤墒情与施肥量关系模型的建立方法及应用
CN109118382B (zh) * 2018-08-23 2021-08-10 吉林省土壤肥料总站 土壤墒情与施肥量关系模型的建立方法及应用
KR20220043648A (ko) * 2020-09-29 2022-04-0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소형 수경재배 시스템의 급액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32290A (ko) * 2021-08-30 2023-03-0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순환식 수경재배 시스템의 급액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481B1 (ko)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rker et al. Using active canopy sensors to quantify corn nitrogen stress and nitrogen application rate
EP3179319B1 (en) Method for irrigation planning and system for its implementation
Millar et al. Nitrogen fertilizer management for nitrous oxide (N 2 O) mitigation in intensive corn (Maize) production: an emissions reduction protocol for US Midwest agriculture
Lukina et al. Nitrogen fertilization optimization algorithm based on in-season estimates of yield and plant nitrogen uptake
US8340828B2 (en) Water and fertilizer management system
Peets et al. Methods and procedures for automatic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data acquired from on-the-go sensors with application to on-the-go soil sensors
WO2016158987A1 (ja) 養液土耕システム、養液土耕制御サーバ、塩類集積判定方法及び土壌ecセンサ
Jia et al. Maize drought disaster risk assessment of China based on EPIC model
KR101871481B1 (ko) 원예작물의 양액재배를 위한 비료처방 방법
JP2017217013A (ja) 養液土耕システム及び養液土耕制御サーバ
JP2015080438A (ja) 養液土耕システム、養液土耕制御サーバ、養液土耕制御プログラム及びコントローラ
CN112042353A (zh) 一种适用于日光温室的水肥精准决策方法及系统
Ogunti IoT based crop field monitoring and irrigation automation system
Tagle et al. Development of an automated data acquisition system for hydroponic farming
Arnall et al. Development of an NDVI‐based nitrogen rate calculator for cotton
JP2015027296A (ja) 施肥設計方法および施肥設計システム
CN115423643A (zh) 水肥计算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Williams et al. An investigation of farm-scale adaptation options for cotton production in the face of future climate change and water allocation policies in southern Queensland, Australia
José et al. Quantification of cotton water consumption by remote sensing
Wellens et al. On the use of decision-support tools for improved irrigation management: AquaCrop-Based applications
Hariono et al. Data acquisition for monitoring IoT-based hydroponic automation system using ESP8266
CN105974055B (zh) 无土栽培营养液磷浓度在线检测系统及检测方法
Cohen et al. Applications of sensing to precision irrigation
Mahbod et al. Adjustment of radiation use efficiency of winter wheat by air temperature at different irrigation regimes and nitrogen rates
CN113408666A (zh) 一种用于景观的温室绿植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