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002A -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 - Google Patents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002A
KR20170135002A KR1020160066160A KR20160066160A KR20170135002A KR 20170135002 A KR20170135002 A KR 20170135002A KR 1020160066160 A KR1020160066160 A KR 1020160066160A KR 20160066160 A KR20160066160 A KR 20160066160A KR 20170135002 A KR20170135002 A KR 20170135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erior
water level
buoyancy
management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재
정병길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66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5002A/ko
Publication of KR20170135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03F5/107Active flow control devices, i.e. moving during flow reg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20Measuring flow in sewe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토실 유수관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는 수단을 통해 폭우 시 우수토실에 유입된 하수가 협잡물로 인해 역류되는 것을 방지시켜 주고, 갑작스런 폭우와 같은 위험상황이 발생하기 전부터 이를 예측하여 이를 체크하고, 그 체크에 따라 사고발생 가능성 위험지역에 위치하는 관리자 쪽으로 이를 안내하여 우수토실에 유입된 하수 관련 다양한 사고의 발생 위험성을 극소화시켜 주는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우수토실(100)의 측벽에 고정되는 것으로,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1)를 갖는 유수관(110)과; 상기 유수관(110)의 개구된 끝단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된 걸림날개(112)들과; 상기 유입구(111)가 개폐되도록 상기 유수관(110)의 양측면에 힌지축(121)에 의해 지지되는 디스크(120)와; 상기 힌지축(121)에 일측이 고정되는 연결대(131), 상기 연결대(131)의 타측에 고정되는 부구(132)를 갖아 유입되는 우수를 통한 부력에 의해 상기 디스크(120)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하는 부력기반 개폐제어부재(130)와; 상기 부력기반 개폐제어부재(130)의 연결대(131)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날개(112) 사이마다 진입되는 제거편(181)들이 돌출된 제거대(18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Control system for buoy type shut-off valve having a removal means of adulteration}
본 발명은 우수토실 유수관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는 수단을 통해 폭우 시 우수토실에 유입된 하수가 협잡물로 인해 역류되는 것을 방지시켜 주고, 갑작스런 폭우와 같은 위험상황이 발생하기 전부터 이를 예측하여 이를 체크하고, 그 체크에 따라 사고발생 가능성 위험지역에 위치하는 관리자 쪽으로 이를 안내하여 우수토실에 유입된 하수 관련 다양한 사고의 발생 위험성을 극소화시켜 주는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거에는 가정에서 발생 되는 생활하수 및 공장이나 사업장에서 나오는 공장 폐수와 같은 오수 및 오염물질이 많은 초기우수는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도하기 위해 개폐기를 설치고, 상기 개폐기는 통상 하수 관거 내부에 형성되는 우수토실 상에 형성되어 수압에 의해 맑은 빗물은 하천으로 방류하고, 오수 및 초기우수 만을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도하여 준다.
또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하수관로로 유입되는 오수 또는 일부 우수는 우수토실, 침전조 또는 차집거에 모은 상태에서 유입되는 유량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되는 부표식 자동 차단 밸브에 의해 적정량의 유량을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보내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부표식 자동 차단밸브는 장기간 사용에 따른 장치구성들 간의 느슨해진 결합구조에 의한 유격 등의 발생으로 인하여 부표가 사전에 설정된 부력에 따른 호의 궤적운동을 수행하지 못하여 대처가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된 종래의 수위감지를 통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을 통해 해소되었다.
즉, 종래의 개선된 수위감지를 통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우수토실 내로 유입되는 하수(우수 및 오수 포함)의 수위 및 그 수위에 의해 발생되는 부력에 따른 부구 위치를 참조하여, 이를 바탕으로 우수토실에 유입되는 우수의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적정하게 위치되는 부구의 위치를 벗어난 경우 부구가 현재 우수의 수위에 따른 적정위치로 강제이동 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통해 장기간 사용에 따른 부표식 차단밸브를 이루는 장치 구성들 간의 느슨해진 결합구조에 의한 유격 등의 발생으로 인하여 부표가 사전에 설정된 부력에 따른 호의 궤적운동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을 예방하여 줌으로써, 우수토실의 우수처리기능이 최적으로 유지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개선된 수위감지를 통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은 하수에 포합된 낙옆이나 비닐 같은 협잡물에 의해 우수토실에 구비된 유수관이 막힐 경우 이를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개선된 수위감지를 통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은 갑작스런 폭우와 같은 위험상황이 발생하기 전부터 이를 예측하여 이를 체크하고, 그 체크에 따라 사고발생 가능성 위험지역에 위치하는 관리자 쪽으로 이를 안내하여 사고발생 위험성을 극소화시켜 주는 기능은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0525160호(2005년10월24일) 특허문헌 2 :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1361608호(2014년02월05일)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토실 유수관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는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갑작스런 폭우와 같은 위험상황이 발생하기 전부터 이를 예측하여 이를 체크하고, 그 체크에 따라 사고발생 가능성 위험지역에 위치하는 관리자 쪽으로 이를 안내하여 사고발생 위험성을 극소화시켜 주는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은, 우수토실의 측벽에 고정되는 것으로,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갖는 유수관과; 상기 유수관의 개구된 끝단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된 걸림날개들과; 상기 유입구가 개폐되도록 상기 유수관의 양측면에 힌지축에 의해 지지되는 디스크와; 상기 힌지축에 일측이 고정되는 연결대, 상기 연결대의 타측에 고정되는 부구를 갖아 유입되는 우수를 통한 부력에 의해 상기 디스크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하는 부력기반 개폐제어부재와; 상기 부력기반 개폐제어부재의 연결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날개 사이마다 진입되는 제거편들이 돌출된 제거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에는, 우수토실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부력기반 개폐제어부재에 연결되어, 그 연결된 상기 부력기반 개폐제어부재가 강제적으로 이동되게 하는 강제이동수단과; 우수토실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부력기반 개폐제어부재를 이루는 부구의 높이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감지하여 수위별 부구위치신호를 생성하는 부구위치 감지센서와; 우수토실에 설치되는 것으로, 우수토실에 수용되는 우수의 수위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감지하여 우수수위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수위감지센서와; 부구위치별 강제이동수단 구동요청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강제이동수단을 구동 조작하여 부구가 현재 우수의 수위에 따른 적정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부구위치 감지센서 및 상기 수위감지센서에서 기설정된 주기마다 생성되는 수위별 부구위치신호 및 우수수위 감지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제어패널과; 우수토실에 유입되는 우수의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적정하게 위치되는 부구의 위치를 수위별로 나타내는 수위별 부구위치 구간정보를 갖는 것으로, 상기 제어패널로부터 전송된 수위별 부구위치신호 및 우수수위 감지신호를 상기 수위별 부구위치 구간정보와 매칭하여 우수토실에 유입된 수위의 부력에 대응하는 부구의 위치가 수위별 부구위치 구간을 벗어난 경우 상기 강제이동수단을 구동 조작하여 부구가 현재 우수의 수위에 따른 적정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부구위치별 강제이동수단 구동요청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어패널로 전송하는 우수토실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에는, 상기 제어패널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감시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패널은, 상기 우수토실 관리서버로부터 부구위치별 강제이동수단 구동요청신호가 전송된 경우 상기 감시카메라를 작동제어하여, 상기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토실의 영상정보인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우수토실 관리서버로 실시간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에는, 상기 우수토실 관리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관리자용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우수토실 관리서버는 상기 제어패널로부터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가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저장되면,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로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가 업로드 되었다는 위급상황 안내메시지를 통보하여,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에서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의 시청요청이 있는 경우 저장된 상기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를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우수토실 관리서버는 상기 제어패널로부터 기설정된 주기마다 우수수위 감지신호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우수수위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사고 발생 예측 상황이 감지된 경우 그 예측된 우수위 관련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대응하는 절차를 나타낸 우수수위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를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은 우수토실 유수관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는 수단을 통해 폭우 시 우수토실에 유입된 하수가 협잡물로 인해 역류되는 것을 방지시켜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갑작스런 폭우와 같은 위험상황이 발생하기 전부터 이를 예측하여 이를 체크하고, 그 체크에 따라 사고발생 가능성 위험지역에 위치하는 관리자 쪽으로 이를 안내하여 우수토실에 유입된 하수 관련 다양한 사고의 발생 위험성을 극소화시켜 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유수관에 구비되는 협잡물 제거수단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유수관에 구비되는 협잡물 제거수단 부분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유수관에 구비되는 협잡물 제거수단 부분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중 유수관에 구비되는 협잡물 제거수단 부분을 나타낸 측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을 이용하여 협잡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은 크게 우수토실(100)에 설치되는 유수관(110), 디스크(120), 부력기반 개폐제어부재(130), 강제이동수단(140), 부구위치 감지센서(150), 수위감지센서(160), 제거대(180), 제어패널(200)과 더불어 우수토실 관리서버(3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우수토실(100)은 유입부(10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오수도 포함)가 하수종말 처리장(도시하지 않음)으로 유동되게 안내하는 공간부재이다.
상기 유수관(110)은 우수토실(100)의 측벽에 고정되는 것으로,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1)를 갖는 관부재로서, 유수관(110)의 개구된 끝단에는 일정간격마다 걸림날개(112)들이 설치되어 우수토실(100)로 유입되는 하수에 포함된 협잡물들이 걸림날개(112)들에 걸려 유수관(11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켜준다.
상기 디스크(120)는 유수관(110)의 유입구(111)가 개폐되도록 유수관(110)의 양측면에 힌지축(121)에 의해 지지되는 원통형상의 폐쇄부재이다.
상기 부력기반 개폐제어부재(130)는 디스크(120)의 힌지축(121)에 일측이 고정되는 연결대(131) 및 연결대(131)의 타측에 고정되는 부구(132)로 이루어져, 우수토실(100) 내로 유입되는 우수를 통한 부력에 의해 상기 디스크(120)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하는 부재이다. 이를 통해, 수위가 낮은 평상시에는 우수토실(100)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에 의한 부력이 약해 디스크(1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적정량의 우수가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동 된다.
상기 제거대(180)는 부력기반 개폐제어부재(130)의 연결대(131)에 설치되는 것으로, 걸림날개(112) 사이마다 진입되는 제거편(181)들이 돌출되어, 그 돌출된 제거편(181)들이 걸림날개(112) 사이마다 진입하여 걸림날개(112)들에 걸려 있는 협잡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우수토실(100)에 하수가 없을 때는 부구(132)가 하부에 위치하여 우수토실(100)로 유입되는 비닐이나 낙엽을 포함하는 협잡물이 걸림날개(112)들에 걸려 유수관(110)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켜주고, 강우와 같이 하수가 많을 때는 부구(132)가 상부로 회동하면서 걸림날개(112)들에 걸린 협잡물이 제거대(180)의 걸림편(181)들에 걸려 올려지면서 제거됨으로써, 유입된 하수가 막힘 없이 유수관(110)을 통해 유동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상기 강제이동수단(140)은 우수토실(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이 부력기반 개폐제어부재(130)에 연결되어, 그 연결된 부력기반 개폐제어부재(130)가 강제적으로 이동되게 안내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강제이동수단(140)의 세부구성은 우수토실(100)의 측벽에 설치되는 거치프레임(141) 및 일측이 상기 거치프레임(14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부력기반 개폐제어부재(13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실린더(142)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구위치 감지센서(150)는 우수토실(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부력기반 개폐제어부재(130)를 이루는 부구(132)의 높이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감지하여 수위별 부구위치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재이다.
상기 수위감지센서(160)는 우수토실(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우수토실(100)에 수용되는 우수의 수위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감지하여 우수수위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재이다.
상기 제어패널(200)은 부구위치별 강제이동수단 구동요청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강제이동수단(140)을 구동 조작하여 부구(132)가 현재 우수의 수위에 따른 적정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부구위치 감지센서(150) 및 수위감지센서(160)에서 기설정된 주기마다 생성되는 수위별 부구위치신호 및 우수수위 감지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후술되는 우수토실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제어부재이다.
이때, 통신망은 3G 또는 4G를 기반으로 하는 유선통신망 또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일예로, 근거리 유선통신(USB 등), WLAN(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블루투스(Bluetooth), Zigbe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등) 등 다양한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어패널(200)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메모리부가 구비되어, 제어패널이 설치되는 우수토실(100)을 식별하는 정보인 우수토실 식별정보가 저장되는데, 일예로, 우수토실 식별정보는 우수토실(100)을 행정구역별로 구분하여 이루어진 정보일 수 있다.
제어패널(200)은 우수토실 관리서버(300)로 부구위치 감지센서(150) 및 수위감지센서(160)에서 생성되는 수위별 부구위치신호 및 우수수위 감지신호를 전송 시 우수토실 식별정보를 취합하여 전송함으로써, 우수토실 관리서버(300)에서 행정구역별로 산재되어 있는 각 우수토실(100)들을 식별하여 관리할 수 있게 안내한다.
상기 우수토실 관리서버(300)는 우수토실(100)에 유입되는 우수의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적정하게 위치되는 부구(132)의 위치를 수위별로 나타내는 수위별 부구위치 구간정보를 갖는 것으로, 제어패널(200)로부터 전송된 수위별 부구위치신호 및 우수수위 감지신호를 수위별 부구위치 구간정보와 매칭하여 우수토실(100)에 유입된 수위의 부력에 대응하는 부구(132)의 위치가 수위별 부구위치 구간을 벗어난 경우 상기 강제이동수단(140)을 구동 조작하여 부구(132)가 현재 우수의 수위에 따른 적정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부구위치별 강제이동수단 구동요청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망을 통해 제어패널(200)로 전송하는 서버부재이다.
이때, 수위별 부구위치 구간정보는 행정구역별로 산재되어 있는 각 우수토실(100)들의 우수처리 수용능력에 따라 차별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해당 우수토실(100)의 우수토실 식별정보를 통해 개별관리될 수 있도록 수위별 부구위치 구간정보에도 각각 개개의 우수토실 식별정보가 취합되어 매칭될 수 있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우수토실 관리서버(300)에도 DB부가 구비되어, 수위별 부구위치 구간정보가 저장된다.
이를 통해, 제어패널(200)은 우수토실 관리서버(300)에서 부구위치별 강제이동수단 구동요청신호가 전송되면, 부구위치별 강제이동수단 구동요청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강제이동수단(140)을 구동 조작하여 부구(132)가 현재 우수의 수위에 따른 적정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원활하게 우수 및 오수를 처리할 수 있게 제어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우수토실 관리서버(300)의 DB부에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우수수위 감지신호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우수수위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사고 발생 예측 상황이 감지된 경우 그 예측된 우수위 관련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대응하는 절차를 나타낸 우수수위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도 우수토실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우수토실의 행정구역별로 구분하여 각각 저장된다.
이와 더불어, 우수토실(100)에는 갑작스런 폭우 또는 주변 공사로 인한 급격한 오수의 발생 등과 같은 위급상황 발생 시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토실(100) 내부 상태를 관리자가 시청하면서 대응할 수 있게 제어패널(20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감시카메라(170)가 설치제공되고, 우수토실 관리서버(30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우수토실(100)을 관리하는 관리자용 단말기(400)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용 단말기(400)는 전용 콘트롤러,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내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TV(smart TV),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중앙 방송실을 운영하기 위한 정보의 입력 및 출력과 더불어 정보의 가공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패널(200)은, 우수토실 관리서버(300)로부터 부구위치별 강제이동수단 구동요청신호가 전송된 경우 상기 감시카메라(170)를 작동제어하여, 감시카메라(170)에서 촬영되는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토실(100)의 영상정보인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에 우수토실 식별정보를 취합한 상태에서 통신망을 통해 우수토실 관리서버(300)로 실시간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우수토실 관리서버(300)는 제어패널(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가 전송되면 이를 저장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DB부(도시하지 않음)에는 행정구역별마다 우수토실 식별정보로 구분되는 우수토실 관리내역정보 DB가 구비되어, 우수토실 식별정보를 통해 해당 우수토실 관리내역정보 DB에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가 저장되게 제어한다.
이때, 우수토실 관리내역정보 DB에 저장되는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에는 우수토실 식별정보와 더불어 해당 우수토실(100)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관리자용 단말기(400) 연락처정보도 연계되어 저장된다.
이후, 우수토실 관리서버(300)는 실시간 저장되는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에 연계된 해당 관리자용 단말기(400) 연락처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관리자용 단말기(400)로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가 업로드 되었다는 위급상황 안내메시지를 통보한다.
이후, 우수토실 관리서버(300)는 관리자용 단말기(400)에서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의 시청요청이 있는 경우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를 관리자용 단말기(4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우수토실(100) 내부를 인지하면서 관리운영할 수 있게 제공한다.
그리고 우수토실 관리서버(300)는 제어패널(200)로부터 기설정된 주기마다 우수수위 감지신호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우수수위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사고 발생 예측 상황이 감지된 경우 그 예측된 우수위 관련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대응하는 절차를 나타낸 우수수위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를 추출하되, 우수토실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우수토실(100)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관리자용 단말기(4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하수가 급증 시 우수토실에서 발생가능한 다양한 재난사고들을 메뉴얼을 보며 대응할 수 있어 사고발생 위험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갑작스런 폭우와 같이 날씨환경에 따른 위급상황 발생시에는 이를 사전에 인지하여 관리자가 대처할 수 있도록 우수토실 관리서버(30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기설정된 주기단위로 날씨예보가 안내된 정보인 주기별 날씨예보정보를 상기 우수토실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일기예보 안내서버(500)가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우수토실 관리서버(300)는, 일기예보 안내서버(500)를 통해 기설정된 주기마다 전송되는 주기별 날씨예보정보를 참조하여, 장마나 폭우와 같은 위급상황 날씨예보에 해당할 경우 감시카메라(170)가 작동되도록 요청하는 감시카메라 구동요청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망을 통해 제어패널(200)로 전송한다.
이후, 제어패널(200)은, 우수토실 관리서버(300)로부터 감시카메라 구동요청신호가 전송되면, 감시카메라(170)를 구동제어하여, 감시카메라(170)에서 촬영되는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토실(100)의 영상정보인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가 통신망을 통해 우수토실 관리서버(300)로 실시간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후, 우수토실 관리서버(300)는 제어패널(200)로부터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가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저장되면, 관리자용 단말기(400)로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가 업로드 되었다는 위급상황 안내메시지를 통보하여, 관리자용 단말기(400)에서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의 시청요청이 있는 경우 저장된 상기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를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4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100 : 우수토실 101 : 유입부
110 : 유수관 111 : 유입구
112 : 걸림날개 120 : 디스크
121 : 힌지축 130 : 부력기반 개폐제어부재
131 : 연결대 132 : 부구
140 : 강제이동수단 141 : 거치프레임
142 : 구동실린더 150 : 부구위치 감지센서
160 : 수위감지센서 170 : 감시카메라
180 : 제거대 181 : 제거편
200 : 제어패널 300 : 우수토실 관리서버
400 : 관리자용 단말기
500 : 일기예보 안내서버

Claims (8)

  1. 우수토실(100)의 측벽에 고정되는 것으로, 우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1)를 갖는 유수관(110)과;
    상기 유수관(110)의 개구된 끝단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설치된 걸림날개(112)들과;
    상기 유입구(111)가 개폐되도록 상기 유수관(110)의 양측면에 힌지축(121)에 의해 지지되는 디스크(120)와;
    상기 힌지축(121)에 일측이 고정되는 연결대(131), 상기 연결대(131)의 타측에 고정되는 부구(132)를 갖아 유입되는 우수를 통한 부력에 의해 상기 디스크(120)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하는 부력기반 개폐제어부재(130)와;
    상기 부력기반 개폐제어부재(130)의 연결대(131)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날개(112) 사이마다 진입되는 제거편(181)들이 돌출된 제거대(1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우수토실(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부력기반 개폐제어부재(130)에 연결되어, 그 연결된 상기 부력기반 개폐제어부재(130)가 강제적으로 이동되게 하는 강제이동수단(140)과;
    우수토실(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부력기반 개폐제어부재(130)를 이루는 부구(132)의 높이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감지하여 수위별 부구위치신호를 생성하는 부구위치 감지센서(150)와;
    우수토실(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우수토실(100)에 수용되는 우수의 수위를 기설정된 주기마다 감지하여 우수수위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수위감지센서(160)와;
    부구위치별 강제이동수단 구동요청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강제이동수단(140)을 구동 조작하여 부구(132)가 현재 우수의 수위에 따른 적정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부구위치 감지센서(150) 및 상기 수위감지센서(160)에서 기설정된 주기마다 생성되는 수위별 부구위치신호 및 우수수위 감지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제어패널(200)과;
    우수토실(100)에 유입되는 우수의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적정하게 위치되는 부구(132)의 위치를 수위별로 나타내는 수위별 부구위치 구간정보를 갖는 것으로, 상기 제어패널(200)로부터 전송된 수위별 부구위치신호 및 우수수위 감지신호를 상기 수위별 부구위치 구간정보와 매칭하여 우수토실(100)에 유입된 수위의 부력에 대응하는 부구(132)의 위치가 수위별 부구위치 구간을 벗어난 경우 상기 강제이동수단(140)을 구동 조작하여 부구(132)가 현재 우수의 수위에 따른 적정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부구위치별 강제이동수단 구동요청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어패널(200)로 전송하는 우수토실 관리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감지를 통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20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감시카메라(17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패널(200)은, 상기 우수토실 관리서버(300)로부터 부구위치별 강제이동수단 구동요청신호가 전송된 경우 상기 감시카메라(170)를 작동제어하여, 상기 감시카메라(170)에서 촬영되는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토실(100)의 영상정보인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우수토실 관리서버(300)로 실시간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토실 관리서버(30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관리자용 단말기(400);를 포함하고,
    상기 우수토실 관리서버(300)는 상기 제어패널(200)로부터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가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저장되면,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400)로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가 업로드 되었다는 위급상황 안내메시지를 통보하여,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400)에서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의 시청요청이 있는 경우 저장된 상기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를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4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토실 관리서버(300)는 상기 제어패널(200)로부터 기설정된 주기마다 우수수위 감지신호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우수수위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사고 발생 예측 상황이 감지된 경우 그 예측된 우수위 관련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대응하는 절차를 나타낸 우수수위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를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4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20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감시카메라(170);를 포함하고,
    상기 우수토실 관리서버(30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 기설정된 주기단위로 날씨예보가 안내된 정보인 주기별 날씨예보정보를 상기 우수토실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일기예보 안내서버(500);를 포함하며,
    상기 우수토실 관리서버(300)는, 상기 일기예보 안내서버(500)를 통해 기설정된 주기마다 전송되는 주기별 날씨예보정보를 참조하여, 장마나 폭우와 같은 위급상황 날씨예보에 해당할 경우 상기 감시카메라(170)가 작동되도록 요청하는 감시카메라 구동요청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어패널(20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패널(200)은, 상기 우수토실 관리서버(300)로부터 감시카메라 구동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감시카메라(170)를 구동제어하여, 상기 감시카메라(170)에서 촬영되는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토실(100)의 영상정보인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우수토실 관리서버(300)로 실시간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토실 관리서버(30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관리자용 단말기(400);를 포함하고,
    상기 우수토실 관리서버(300)는 상기 제어패널(200)로부터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가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저장되면,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400)로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가 업로드 되었다는 위급상황 안내메시지를 통보하여,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400)에서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의 시청요청이 있는 경우 저장된 상기 우수수위 인지용 동영상정보를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4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토실 관리서버(300)는 상기 제어패널(200)로부터 기설정된 주기마다 우수수위 감지신호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우수수위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사고 발생 예측 상황이 감지된 경우 그 예측된 우수위 관련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대응하는 절차를 나타낸 우수수위별 재난 전 이상징후 대응메뉴얼 정보를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4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
KR1020160066160A 2016-05-30 2016-05-30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 KR20170135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160A KR20170135002A (ko) 2016-05-30 2016-05-30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160A KR20170135002A (ko) 2016-05-30 2016-05-30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002A true KR20170135002A (ko) 2017-12-08

Family

ID=60919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160A KR20170135002A (ko) 2016-05-30 2016-05-30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50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750B1 (ko) * 2018-11-20 2019-08-23 주식회사 이지에버텍 자동개폐 구조의 센서박스
CN111021476A (zh) * 2020-01-16 2020-04-17 卓培琨 一种用于水利工程的防堵蓄水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750B1 (ko) * 2018-11-20 2019-08-23 주식회사 이지에버텍 자동개폐 구조의 센서박스
CN111021476A (zh) * 2020-01-16 2020-04-17 卓培琨 一种用于水利工程的防堵蓄水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707B1 (ko) 유압식 수문을 이용한 초기우수 제어 시스템
KR101786494B1 (ko) 대규모 빗물 저류조의 유지 관리 시스템
US20160298383A1 (en) Flood vent trigger systems
US20210404167A1 (en) Detecting vacuum presure and anomalous cylcing in a vacuum sewer system
US11447996B2 (en) Structure for operating watertight door by buoyancy
JP6860898B2 (ja) 初期雨水除去装置とこれを備えた雨水タンク装置、雨水タンク装置の通信ネットワーク、初期雨水除去方法
KR102356340B1 (ko) 지하차도의 진입차단을 위한 통합 제어시스템
KR20170135002A (ko) 협잡물 제거수단이 구비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
US11371235B2 (en) Partial blockage detection using backwater valve
CN103993649A (zh) 雨水收集池控制系统及方法
US20220254004A1 (en) Monitoring standing water and drainage problems
KR101398010B1 (ko) Rtu를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및 제어방법
KR20170014094A (ko) 스마트 빗물 펌프장의 운영시스템 및 운영방법
CN207392409U (zh) 一种多功能型截流井系统
CN210803433U (zh) 一种综合管网水质监测平台及其井盖
KR101361608B1 (ko) 수위감지를 통한 자동유량 조절시스템
CN109339209B (zh) 一种可联网的智能下水道井盖系统及其控制方法
CN206639025U (zh) 一种具有防淹功能的泵房控制系统
CN210530435U (zh) 一种防淹地下车库的自动控制系统
US11009257B2 (en) H.V.A.C. condensate clean out
CN115638850A (zh) 用于洪涝减灾的方法、井盖设备、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8978845B (zh) 一种在雨天能自动开关排除杂物的雨水篦子装置
KR20150129380A (ko) 수위 또는 수압 변동량을 이용한 수문 자동개폐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00073941A (ko) 창호 결로 제거를 위한 창호 제어 시스템 및 창호 제어 방법
KR102298001B1 (ko) 배수통관 수위계를 설치할 수 없는 도심 내 수문 운영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