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4850A - Close Range Device for Broadcasting Asynchronous Radio Frequency Signal - Google Patents

Close Range Device for Broadcasting Asynchronous Radio Frequency Sig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4850A
KR20170134850A KR1020160065341A KR20160065341A KR20170134850A KR 20170134850 A KR20170134850 A KR 20170134850A KR 1020160065341 A KR1020160065341 A KR 1020160065341A KR 20160065341 A KR20160065341 A KR 20160065341A KR 20170134850 A KR20170134850 A KR 20170134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signal
asynchronous radio
communication
chip modu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3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윈
Priority to KR1020160065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4850A/en
Publication of KR20170134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8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04W4/0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4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rt range communication device performing multiplex transmission of asynchronous wireless signals.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device performing multiplex transmission of the asynchronous wireless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ower supply unit receiving an external power source; a power transforming unit transforming the external power source into a set power source; a power charging unit charging a charging power source via the transformed power source; and a chip module including a signal transmission unit transmitting the asynchronous wireless signal without specifying a separate reception side and a transmission control unit controlling multiplex transmission of asynchronous wireless signals with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asynchronous wireless signals with high output signal strength amplified to set signal strength when the asynchronous wireless signals are transmitted using the external power source.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determines position relationship between a user and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device.

Description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Close Range Device for Broadcasting Asynchronous Radio Frequency Signal}[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rt range device for broadcasting asynchronous radio signals,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전원과 내부에 충전된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며 와이파이 통신을 제공하는 칩모듈을 탑재한 근거리장치에서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 시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l device equipped with a chip module for transmitting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using an external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a recharged power source inside and for providing Wi-Fi communicatio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the high output signal strength amplified with the designated signal strength are multiplexed.

2010년 6월에 발표된 블루투스(Bluetooth) 버전 4.0 이후의 블루투스 스마트는 BLE(Bluetooth Low Energy)에서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비콘 신호를 송출하게 되었다. 최근 출시된 스마트폰의 경우 안드로이드 4.3 이후 버전부터 비콘 신호를 인식할 수 있으며, 아이폰의 경우 iOS5 이후부터 비콘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Since the Bluetooth version 4.0 released in June 2010, Bluetooth Smart has been transmitting beacon signals without specifying the receiver side in BLE (Bluetooth Low Energy). The recently released smartphone can recognize the beacon signal from Android 4.3 or later, and the iPhone can recognize the beacon signal after iOS5.

이러한 비콘 신호를 기능을 구비한 칩모듈을 탑재한 근거리장치를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운전자의 차량 내에 존재하는 근거리장치에서 비콘 신호를 송출하면 상기 차량에 탑승하려는 사용자의 무선단말에서 상기 비콘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차량 탑승과 관련된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는 서비스가 개시된다.When a beac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a local device existing in the driver's vehicle by providing a near device equipped with a chip module having such a beacon signal function to the vehicle driver, And receives various services related to the boarding of the vehicle.

그런데 비콘은 BLE모드로 동작하도록 기본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근거리장치가 차량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차체의 금속재질이나 유리재질과 같은 무선신호 방해재질에 의해 상기 차량 내부의 비콘 신호가 차량 외부의 지정된 서비스 위치까지 송출되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However, since the beacon is basically set to operate in the BLE mode, when the near device exists in the vehicle, the beacon signal inside the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designated service outside the vehicle by the radio signal interference material such as metal material or glass material of the vehicle body It is difficult to send it to the location.

설사 상기 비콘 신호가 차량 외부의 지정된 서비스 위치까지 송출되더라도 상기 차량 내부의 근거리장치에서 송출된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스마트폰을 소지한 사용자가 언제 차량에 탑승하는지 인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Even if the beacon signal is transmitted to a designated service location outside the vehicle,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know when a user having a smartphone that receives a beacon signal transmitted from a near device in the vehicle knows when to board the vehicle .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전원과 내부에 충전된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며 와이파이 통신을 제공하는 칩모듈을 탑재한 근거리장치에서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 시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지정된 서비스 위치까지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사용자와 근거리장치 간 위치 관계를 판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local device equipped with a chip module for transmitting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using an external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a recharged power source inside and providing a Wi- When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is transmitted using an external power source,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a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a high output signal strength amplified with a designated signal strength are controlled to be multiplexed, And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for determin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user and a near device through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a low output signal strength.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는, 와이파이 통신을 제공하는 근거리장치에 있어서,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외부 전원을 지정된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전원을 통해 충전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를 구비하며, 별도의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와,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 시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송출 제어부를 구비한 칩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hort range device for multiplexing and transmitting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ort range device for providing Wi-Fi communication, comprising: a power supply part supplied with external power; a power conversion part converting the external power into a designated power; A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without specifying a separate reception side;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with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a low output signal strength whe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s transmitted using the external power source, And a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the high output signal strength amplified by the signal strength and the signal strength to be multiplexed.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출 제어부는, 상기 충전 전원을 통해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 시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may control to transmit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a low output signal strength whe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charging power source.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는, 상기 칩모듈의 LE(Low Energy) 상태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신호강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may include a signal strength set to output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in a LE (Low Energy) state of the chip module .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는, 상기 근거리장치를 구비한 공간에 구비된 무선신호 방해재질을 투과하지 못하는 신호강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may include a signal strength that can not transmit a radio signal interference material provided in the space provided wit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는, 블루투스(Bluetooth) 기반의 비콘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는, BLE(Bluetooth Low Energy) 상태에서 비콘 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설정된 신호강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es a Bluetooth based beacon signal, and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may be a beacon signal in a Bluetooth low energy (BLE) state, And a signal strength set for transmitting the signal strength.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출력 신호강도는, 상기 근거리장치를 구비한 공간에 구비된 무선신호 방해재질을 투과하도록 증폭된 신호강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ort-range apparatus for multiplexing and transmitting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igh-output signal strength includes signal strength amplified to transmit a radio signal interference material provided in a space provided with the short- do.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출 제어부는, 시분할 방식으로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상기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다중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control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high output signal strength to be multiplexed and transmitted in a time- do.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칩모듈은,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 시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상기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구별되게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s transmitted us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the chip module transmit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high output signal strength And a signal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ignals to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칩모듈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을 식별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통신 식별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p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unit for performing a procedure for identifying a user wireless terminal through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칩모듈은,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과 함께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을 다중 구비하며, 상기 근거리장치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p module may include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tting function and the bidirectional loc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short-range communication.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은, 페어링 기반의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포함하고,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는,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 신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for multiplexing asynchronous wireless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idirectional short range communication including pairing-based Bluetooth communication and the asynchronous wireless signal including a Bluetooth-based beacon signal .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은, 케이블 연결 기반의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을 포함하고,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는,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 신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i-directional short-range communication includes a universal serial bus (USB) communication based on a cable connection,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es a Bluetooth-based beacon signal .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출 제어부는, 상기 칩모듈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소유자의 무선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상기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다중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is operable to control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high output signal strength of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 cooperation with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performing two-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s multiplexed and transmitted.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장치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과 케이블 연결을 처리하는 커넥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칩모듈은, 상기 커넥터부를 통해 케이블 연결된 소유자의 무선단말과 USB 통신을 처리하는 USB 통신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unit for processing a cable connection with a wireless terminal of an owner possessing the short range wireless unit, And a USB communication unit for processing the USB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전원을 외부로 인가하는 커넥터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unit for applying the converted power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칩모듈의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hort range device for multiplexing and transmitting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n operation unit for operating the operation of the chip module.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장치는,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되는 시가잭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hort-distance device for multiplexing and transmitting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range device includes a cigar jack device inserted into a cigar jack insertion port of the vehicle.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장치의 칩모듈에서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함으로써 지정된 서비스 위치까지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함과 동시에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사용자와 근거리장치 간 위치 관계를 자동 판단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a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a high output signal strength are multiplexed and transmitted to a designated service position, and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a low output signal strength is transmit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and the local device is automatically determin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저출력과 고출력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200)를 운영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근거리장치(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근거리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근거리장치(2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근거리장치(200)와 소유자의 무선단말(300)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근거리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configuration for operating a short range device 200 that multiplexes asynchronous radio signals with low output and high out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short range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terminal 300 of an owner possessing the short range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idirectional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procedure between the short range device 200 and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through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In other words, the following embodiments correspond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 specific configuration (or step) is omitted, or a specific configuration (or step) (Or steps), or an embodiment that incorporates functions implemented in more than one configuration (or step) into any one configuration (or step), a particular configuration (or step)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refore, it should be clearly stated that various embodiments corresponding to subsets or combinations based on the following embodiments can be subdivided based on the filing d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nly.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저출력과 고출력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200)를 운영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configuration for operating a short range device 200 that multiplexes asynchronous radio signals with low output and high out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전원과 내부에 충전된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칩모듈(230)을 탑재한 근거리장치(200)에서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 시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장치에서 상기 근거리장치(200)와의 위치 관계를 판단하도록 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본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hort range device 200 equipped with a chip module 230 for transmitting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using an external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a charging power source charged inside thereof,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the high output signal strength amplified with the designated signal strength are multiplexed and transmitted to the near device 200 in the signal receiving device receiving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reference to and / or modification of the drawings may be made by various embodiments of the system, , Some components omitted, or subdivided, or combined) It is made, including any exemplary way in which the inference, to which the technical feature that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method shown in the figure 1.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적어도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구비한 칩모듈(230)을 탑재한 소유자 소유의 근거리장치(200)와, 상기 칩모듈(230)을 탑재한 근거리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가 소유한 무선단말(300)과, 상기 소유자의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지정된 경로를 경유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과 통신하거나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한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장치와 통신하는 운영서버(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 또는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100)를 구현하는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를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의 형태로 구현하는 경우 각 서버는 상호 연계된 둘 이상의 사업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an owner-owned short range device 200 equipped with a chip module 230 having at least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ssion function and a local device 200 having the chip module 230 mounted thereon Communicates with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via a designated path for receiving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wner-owned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 owner's proximity device (200) chip module (230) And an operation server (100) for communicating with a signal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The operating server 100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serv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rver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operating server 100 is implemented. When the operating server 10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ervers, each server may be a server operated by two or more operator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근거리장치(200)는 무선신호를 수신할 대상을 특정하지 않고 불특정 대상으로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칩모듈(230)을 탑재한 장치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과 함께 상기 근거리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 소유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처리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을 다중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hort range device 200 is a general term for a device equipped with a chip module 230 having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to an unspecified target without specifying an object to receive a radio signal, The chip module 230 of the mobile terminal 300 is provided with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tting function and the bidirectional local communication function for processing bidirectional local area communication with the owner's own mobile terminal 300 possessing the local device 200 desirabl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장치(200)는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되는 시가잭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근거리장치(200)가 상기 시가잭장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종류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 range device 200 may include a cigar jack device inserted into a cigar jack inlet of a vehicle. However, the near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igar jack device, but may include various devices according to the intent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type of the near device 200.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불특정 대상으로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기본 구비하며, 상기 내부에 충전된 충전 전원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전원 중 어느 한 전원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basically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to an unspecified target and selectively uses any one of the power source charged in the inside and the external power source supplied from the outside Thereby transmitting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충전 전원을 통해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칩모듈(230)은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는 상기 칩모듈(230)이 LE(Low Energy) 상태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설정된 신호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는 상기 근거리장치(200)를 구비한 공간에 구비된 무선신호 방해재질을 투과하지 못하는 신호강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can transmit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through the charging power source. In this case, the chip module 230 outputs asynchronous radio signals of a specified low- The wireless signal can be transmitted. Here,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may include a signal strength set for transmitting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 the LE (low energy) state of the chip module 230. Preferably,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includes a signal strength that can not transmit the radio signal interference material provided in the space provided with the short range device 2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칩모듈(230)은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출력 신호강도는 상기 근거리장치(200)를 구비한 공간에 구비된 무선신호 방해재질을 투과하도록 증폭된 신호강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can transmit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using the external power source. In this case, the chip module 230 outputs a low- Asynchronous radio signals and asynchronous radio signals with high output signal strength amplified with the specified signal strength can be multiplexed. Preferably, the high output signal strength includes a signal strength amplified to transmit a radio signal interference material provided in a space provided with the short range device 200.

한편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과 함께 상기 근거리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을 식별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기능을 다중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칩모듈(230)의 비동기 무선신호는 대상을 특정하지 않고 송출되기 때문에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로 수신됨을 물론,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의 수신 범위(예컨대, 30m 내외, 최대 100m)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수신장치로도 수신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신호수신장치는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별도 사용자 소유의 무선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chip module 230 of the near device 200 identifies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that owns the near device 200 together with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asynchronous wireless signal, And two-way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Since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chip module 230 is transmitted without specifying an object,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s not received by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but is present in the reception range of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for example, Or at least one signal receiving device for receiving the signal. For example,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includes a separate user-owned wireless terminal for receiving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비동기 무선신호는, 지정된 규격의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측과 이를 수신하는 수신 측이 사전에 페어링하거나 사전에 상대방을 식별/인증하지 않고도, 송신 측에서 불특정한 수신 측으로 전달할 지정된 데이터 구조의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비동기 송출(=방송)하면, 불특정 수신 측에서 상기 송출(=방송)된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한 불특정 수신 측 중에서 상기 데이터 구조를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수신 측은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지정된 데이터 구조의 정보를 인식하여 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송신 측은 수신 측을 미리 특정하거나 식별하지 않고 다만 불특정 수신 측에서 수신 가능한 지정된 규격의 비동기 무선신호에 지정된 데이터 구조의 정보를 포함시켜 송출(=방송)하며,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한 불특정 수신 측 중에서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수신 측에서만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인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비동기 무선신호는 와이파이(WiFi) 규격에 기반하는 비동기 방식 무선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비동기 무신신호가 와이파이 규격에 기반한 비동기 방식 무선신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규격(예컨대, 블루투스 4.0 규격 등)의 비동기 방식 무선신호를 포함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ransmitted to a transmitting side that transmits a radio signal of a specified standard and a receiving side that receives the radio signal in advance without pairing or identifying / (= Broadcast) a radio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f a designated data structure to be transmitted, receive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unspecified receiver, and transmit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to the non- At least one designated receiver capable of reading the data structure can recognize and use the information of the designated data structure included i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That is, the transmitting side transmits information (= broadcasting) including the information of the data structure specified i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specified standard that can be received at the unspecified receiving side without specifying or identifying the receiving side in advance, and transmit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can be recognized and used only by at least one designated receiving side that can read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from the receiving side.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based on a WiFi standard. However, the asynchronous wakeup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synchronous wireless signal based on the Wi-Fi standard, and it is obvious that it can include asynchronous wireless signals of various standards (for example, Bluetooth 4.0 standar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I will.

본 발명의 제1 근거리장치(200)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지정된 규격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Broadcasting)하는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근거리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을 식별 또는 페어링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과 와이파이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을 다중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는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는 저전원 상태의 무선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설정된 신호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칩모듈(230)의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은 와이파이 기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이 와이파이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규격(예컨대, 블루투스 4.0 규격 등)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와이파이 외에 다른 규격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is provided with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ssion function for broadcasting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a specified standard, 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function for processing Wi-Fi based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by identifying or pairing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possessing the short range device 200. [ In this case,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may include a signal strength set for transmitting a low power radio signal using battery power.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tting function of the chip module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Wi-Fi based asynchronous radio signal. Meanwhile, the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Wi-Fi based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may include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various standards (for example, Bluetooth 4.0 standar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t is evident that other standards of bidirectional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근거리장치(200)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지정된 규격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근거리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300)과 케이블 연결되어 USB(Universal Serial Bus)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처리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을 다중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는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는 저전원 상태의 무선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설정된 신호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칩모듈(230)의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은 와이파이 기반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second short range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is provided with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ssion function for transmitting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a designated standard, Directional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based on USB (Universal Serial Bus) based on a cable connec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owner who owns the wireless LAN 200. In this case,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may include a signal strength set for transmitting a low power radio signal using battery power.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tting function of the chip module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Wi-Fi based asynchronous radio signal.

한편 본 발명의 근거리장치(200)에 탑재되는 칩모듈(230)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이 상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칩모듈(230)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은 근거리에 위치하는 소유자의 무선단말(300)과 직접 통신세션을 형성하여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면 족하고, 상기 칩모듈(230)의 비동기 무선신호는 대상을 특정하지 않고 근거리에 위치하는 소유자의 무선단말(300) 내지 근거리에 위치하는 각종 신호수신장치로 도달할 수 있는 무선신호라면 족하다. 즉, 본 발명의 칩모듈(230)에 구현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과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은 특정 통신 규격이나 신호 규격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기의 조건을 만족한다면 어떤 방식이 채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It should be apparent that the bidirectional loc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ssion function of the chip module 230 mounted in the short range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bi-directional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chip module 230 may establish a direct communication session with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located at a short distance to enable bidirectional data communication. The asynchronous wireless signal of the chip module 230 It may be a wireless signal that can be reached to the various signal receiving apparatuses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owner located at a close distance without specifying the wireless terminal 300. [ That is, the bidirectional loc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ssion function implemented in the chip module 23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a specific communication standard or signal standard. Even if any method is adopted, It is clear that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right.

상기 근거리장치(200)는 소유자가 휴대하거나 적어도 소유자와 함께 이동 가능하며,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는 소유자가 접근하는 각종 신호수신장치로 수신/인식된다.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is received / recognized by various signal receiving devices to which the owner accesses, do.

본 발명의 제1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ss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transmits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ing a unique code unique to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Can be transmitted.

본 발명의 제2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와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인증코드는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씨드로 이용하여 동적 생성한 일회용코드,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를 통해 복호화 가능하게 암호화한 암호코드,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 구비된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칩모듈(23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자서명한 서명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transmits a unique code unique to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and the unique code stored in the short range device 200 And transmit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by the chip module 230 of the mobile terminal 200. [ The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by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is transmitted to the short range device 200 through information provided in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and information dynamically determined by the chip module 230, A disposable code dynamically generated by using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provided from a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a communication as a seed, information on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A password decrypted by the operating server 100 so that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dynamically determined in the module 230 and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bidirectional local area communication are encrypted so as to be decryptable,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chip module 230 and the information dynamically determined in the chip module 230 may be transmitted through bidirectional local area communication using the certificate provided in the chip module 230 of the device 200 At least one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ogram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owner may include at least one code of the electronic signature A signature code.

본 발명의 제3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와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소유자의 무선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코드는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에서 생성한 난수코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에서 지정된 씨드를 통해 동적 생성한 일회용코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에서 지정된 인증서를 통해 지정된 정보를 전자서명한 서명코드, 지정된 운영서버(100)에서 생성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 제공한 난수코드, 지정된 운영서버(100)에서 지정된 씨드를 통해 동적 생성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 제공한 난수코드, 지정된 운영서버(100)에서 지정된 인증서를 통해 지정된 정보를 전자서명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 제공한 서명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transmits a unique code stored in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and the unique code stored in the short range device 200 And an authentication code provid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owner who performs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chip module 230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 Here, the authentication code provided from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may be generated by a random number code generated by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 random number generated dynamically through a seed specified by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 signature code generated by digitally signing the information designated through the certificate specified by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 random number generated by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and provided to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The code is generated by dynamically generating a code through a designated seed in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100 and digitally signing the designated information through a designated certificate in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100 by a random number code provided to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ignature codes provided by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본 발명의 제4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에서 제공한 고유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 고유한 코드가 저장되어 있더라도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에서 제공한 고유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by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ing the inherent unique code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In this case, even if a unique code is stored in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transmits a unique code provided by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nd transmit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ing the signal.

본 발명의 제5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에서 제공한 고유한 고유코드와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생성한 인증코드는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씨드로 이용하여 동적 생성한 일회용코드,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를 통해 복호화 가능하게 암호화한 암호코드,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 구비된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칩모듈(23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자서명한 서명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may transmit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to the wireless module 300 of the owner 300 which performs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by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can be transmitted. The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by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is transmitted to the short range device 200 through information provided in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and information dynamically determined by the chip module 230, A disposable code dynamically generated by using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provided from a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a communication as a seed, information on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A password decrypted by the operating server 100 so that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dynamically determined in the module 230 and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bidirectional local area communication are encrypted so as to be decryptable,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chip module 230 and the information dynamically determined in the chip module 230 may be transmitted through bidirectional local area communication using the certificate provided in the chip module 230 of the device 200 At least one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program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owner may include at least one code of the electronic signature A signature code.

본 발명의 제6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에서 제공한 고유한 고유코드와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소유자의 무선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코드는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에서 생성한 난수코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에서 지정된 씨드를 통해 동적 생성한 일회용코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에서 지정된 인증서를 통해 지정된 정보를 전자서명한 서명코드, 지정된 운영서버(100)에서 생성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 제공한 난수코드, 지정된 운영서버(100)에서 지정된 씨드를 통해 동적 생성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 제공한 난수코드, 지정된 운영서버(100)에서 지정된 인증서를 통해 지정된 정보를 전자서명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 제공한 서명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by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nd transmit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code provid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owner who performs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in the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Here, the authentication code provided from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may be generated by a random number code generated by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 random number generated dynamically through a seed specified by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 signature code generated by digitally signing the information designated through the certificate specified by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 random number generated by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and provided to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The code is generated by dynamically generating a code through a designated seed in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100 and digitally signing the designated information through a designated certificate in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100 by a random number code provided to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ignature codes provided by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본 발명의 제7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제1 내지 제6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하나 이상을 부분적으로 선택 또는 조합한 형태로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변형하여 도출 가능한 모든 실시예를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According to the seventh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ss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may be configured to partially select or combine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ixth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ssion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all embodiments that can be derived b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 as a scope of right.

한편 본 발명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장치(200)는 소유자가 운행하는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 가능한 시가잭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시가잭장치는 소유자가 운행하는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로 소유자(또는 차량)과 함께 이동하며, 상기 시가잭장치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는 상기 차량의 이동에 의해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의 유효 범위 이내로 접근하는 각종 신호수신장치로 수신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근거리장치(200)를 구현하는 실시예가 상기 시가잭장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유자와 함께 이동 가능하며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을 구비한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통해서도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이하 편의상 상기 근거리장치(200)가 시가잭장치인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 range device 200 may include a cigar jack device that can be inserted into a cigar jack inlet of a vehicle operated by the owner. In this case, the cigar jack device is moved together with the owner (or the vehicle) in a state where the cigar jack device is inserted into a cigar jack insertion port of a vehicle operated by the owner, and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ip module 230 of the cigar jack device To the various signal receiving apparatuses that are within the effective range of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However, the embodiment implementing the near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igar jack device,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any device as long as it is movable with the owner and has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ssion function. . Hereinaft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in which the short range device 200 is a cigar jack device.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은 상기 근거리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가 이용하는 무선통신기기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하는 망 통신 기능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단말(300)은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 및/또는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비동기 무선신호 수신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은 상기 망 통신 기능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 및 비동기 무선신호 수신 기능을 구비한 소유자 소지(또는 소유)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is a collective ter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ed by an owner who owns the short range device 200 and preferably has a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for connecting to a designated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terminal 300 includes a bidirectional local communication function for processing at least one bi-directional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and / And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receiving function for receiving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ip module 23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owner-owned (or owned) mobile phone, smart phone, tablet PC, etc., having the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bidirectional loc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asynchronous radio signal receiving function can do.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에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망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지정된 운영서버(100)와 통신(예컨대, 통신망을 경유하여 운영서버(100)와 통신채널을 연결, 또는 지정된 중계서버를 경유하여 운영서버(100)와 중계 통신)하고, 상기 무선단말(300)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데이터 통신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무선단말(300)의 비동기 무선신호 수신 기능을 이용하여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한 비동기 무선신호를 인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설치 실행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can communicate with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using the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for example, the operation server 100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communicates with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by using the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A program code for performing a bidirectional data communication procedure and performing a procedure for recognizing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by using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reception fun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he included program is ru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단말(300)의 망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상기 소유자의 근거리장치(200)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하는 고유코드와, 상기 근거리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300)(또는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고유코드와 고유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은 상기 근거리장치(200)(또는 무선단말(300))을 소유한 소유자에 대한 소유자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소유자정보를 상기 고유코드 및/또는 고유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is transmitted to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100 using the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can register unique code for unique identif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or the program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owned by the owner who owns the local device 200, (100) can store the unique code and unique information by map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gram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may register owner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local device 200 (or the wireless terminal 300) with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server 100 may store the owner information by mapping the owner information to the unique code and / or unique information.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근거리장치(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short range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을 다중 구비한 칩모듈(230)을 탑재한 근거리장치(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근거리장치(200)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2 shows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short range device 200 equipped with a chip module 230 having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tting function and a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func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refer to and / or modify the FIG. 2 to infer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e.g., some configuration portions omitted, or fragmented, or combin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근거리장치(200)는,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을 다중 구비한 칩모듈(230)을 내장하여 제작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거리장치(200)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 상기 단자를 통해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205), 상기 공급된 외부의 전원을 지정된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210), 상기 외부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215), 상기 칩모듈(230)의 소유자 조작을 위한 조작부(225),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 중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위한 커넥터부(220)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근거리장치(200)가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되는 시가잭장치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205)는 상기 시가잭장치를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 시 상기 단자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으로부터 인가되는 차량 전원(예컨대, 12V DC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전원 변환부(210)는 상기 차량 전원을 USB 전원(예컨대, DC 5V) 및/또는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며, 상기 전원 충전부(215)는 상기 전원 공급부(205)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 및/또는 상기 전원 변환부(210)를 통해 변환된 전원을 충전한다. 상기 전원 충전부(215)에 충전된 충전 전원은 상기 시가잭장치가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 또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도 상기 칩모듈(230)로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short range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incorporating a chip module 230 having multiple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ssion functions and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 range device 200 includes a terminal for receiving external power, a power supply unit 205 for receiving external power through the terminal, a power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supplied external power into a designated power source, A power source charging unit 215 for charging the external power source, an operation unit 225 for operating the owner of the chip module 230, and a connector unit 220 for short- And may further include one configuration. For example, when the near-field device 200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cigar jack device inserted into a cigar jack insertion port of a vehicle, the power source supply unit 205 uses the terminal to insert the cigar jack device into the cigar- (For example, 12V DC power source) applied from a vehicle, and the power conversion unit 210 converts the vehicle power into a USB power (e.g., DC 5V) and / or an operating power of the chip module 230 And the power charging unit 215 charges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05 and / or the power converted through the power conversion unit 210. The charging power source charged in the power charging unit 215 can supply the operating power to the chip module 230 even when the cigar jack device is not inserted into the cigar jack insertion port of the vehicle or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전원 충전부(215)를 통해 충전된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칩모듈(230)은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는 상기 칩모듈(230)이 LE(Low Energy) 상태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설정된 신호강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는 상기 근거리장치(200)를 구비한 공간에 구비된 무선신호 방해재질을 투과하지 못하는 신호강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can transmit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using the charged power source charged through the power source charging unit 215. In this case, (230) may transmit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a specified low output signal strength. Here,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may include a signal strength set for transmitting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 the LE (low energy) state of the chip module 230. Preferably,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includes a signal strength that can not transmit the radio signal interference material provided in the space provided with the short range device 2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장치(200)가 상기 전원 공급부(205)를 통해 외부 전원(예컨대, 차량 전원 등)을 공급받는 경우, 상기 칩모듈(230)은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칩모듈(230)은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출력 신호강도는 상기 근거리장치(200)를 구비한 공간에 구비된 무선신호 방해재질을 투과하도록 증폭된 신호강도를 포함한다. 예를들어, 상기 근거리장치(200)를 시가잭장치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 상기 칩모듈(230)은 상기 시가잭장치가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되어 차량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에서 상기 차량 전원을 이용하여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할 수 있으며, 상기 고출력 신호강도로 송출되는 비동기 무선신호는 상기 차량 차체의 금속재질 또는 창문의 유리재질(특히 자외선차단 필름을 장착한 유리재질)에 의한 신호 방해를 극복하고 차량 외부의 지정된 근거리까지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가 상기 신호 방해를 극복하고 지정된 근거리까지 도달하더라도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의 신호강도는 일정량 감소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near field device 20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e.g., vehicle power source) through the power source supply unit 205, the chip module 230 uses the external power source In this case, the chip module 230 can multiplex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the designated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the high output signal strength amplified with the designated signal strength. Preferably, the high output signal strength includes a signal strength amplified to transmit a radio signal interference material provided in a space provided with the short range device 200. For example, when the near-field device 200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cigar jack device, the chip module 230 uses the vehicle power source in a state where the cigar jack device is inserted into the cigar jack insertion port of the vehicle,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the high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the high output signal strength amplified with the designated signal strength can be multiplexed and outputted a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the high output signal strength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metal material of the vehicle body or the window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signal disturbance caused by the material (in particular, the glass material with the ultraviolet ray shielding film) and to reach the specified short distance outside the vehicle. However, the signal strength of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may be reduced by a certain amount even if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vercomes the signal interference and reaches the specified near range.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커넥터부(220)는 상기 칩모듈(230)과 소유자의 무선단말(300) 간의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근거리장치(200)가 시가잭장치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부(220)는 상기 전원 공급부(205)를 통해 공급받아 상기 전원 변환부(210)를 통해 USB 전원으로 변환된 전원을 외부로 인가하는 커넥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nector 22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may provide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between the chip module 230 and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When the short range device 200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cigar jack device, the connector unit 220 receives the power converted from the USB power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10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05, As shown in FIG.

상기 근거리 장치의 조작부(225)는 근거리장치(200)에 탑재되어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유자 조작을 입력받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또는 둘 이상의 조합)의 스위치 또는 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225)는 기본적으로 ‘On’ 또는 ‘Off’의 동작을 조작(또는 토글) 가능하며, 추가적으로 미리 지정된 조작 패턴의 소유자 조작을 입력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조작부(225)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을 ‘On’ 또는 ‘Off’의 조작을 반복하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 이상으로 길게 ‘On’ 또는 ‘Off’의 조작을 구현하거나, 둘 이상의 스위치/버튼이 포함된 경우 둘 이상의 스위치/버튼을 동시 조작하거나 기 설정된 시간차를 두고 조작하는 등의 다양한 조작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다양한 조작 패턴은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225 of the near device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component which is mounted on the short range device 200 and receives an owner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hip module 230. The operation unit 225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Switch or butt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unit 225 can basically operate (or toggle) the operation of 'On' or 'Off', and further can input the owner operation of the predetermined operation pattern.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225 may repeatedly perform an operation of 'On' or 'Off' for a preset time interval, or implement an operation of 'On' or 'Off' When the above switch / button is included, various operation patterns such as simultaneous operation of two or more switches / buttons or operation with a predetermined time difference can be implemented. The various operation patterns can control various operations of the chip module 230.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칩모듈(230)은,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50)와,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셋트(또는 프로그램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40)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과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하는 RF 처리부(245)와, 상기 RF 처리에 대응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커넥터부(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처리하는 USB 통신부(235)를 더 구비한다.2, the chip module 230 includes a control unit 25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hip module 230, and a control unit 250 for storing a data set (or program cod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hip module 230 An RF processor 245 for performing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RF processing for transmitting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and an antenna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frequenc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F processing, And a USB communication unit 235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unit 220 to process the bi-directional short-distance cable communication.

상기 칩모듈(230)은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과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을 위한 하나 이상의 SMD(Surface Mount Devices)를 구비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제어부(250), 메모리부(240) 및 RF 처리부(245) 등은 통합 칩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PCB에 실장되는 개별 소자 형태, 또는 통합 칩과 각 소자의 조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근거리장치(200) 내에 칩모듈(230)을 구현하는 방식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The chip module 230 may be fabricated in the form of having at least one SMD (Surface Mount Device) for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ssion to a PCB (Printed Circuit Board) 250, the memory unit 240, and the RF processing unit 24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chip, an individual device mounted on a PCB, or a combination of integrated chips and device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chip module 230 is implemented within the short range device 200.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칩모듈(23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칩모듈(23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칩모듈(2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칩모듈(230)에 구현되는 프로그램 구성을 본 제어부(250)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250 is a general ter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hip module 230. The control unit 25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and an execution memory,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50 loads at least one program code included in the chip module 230 into the execution memory through the processor, and outputs the result through at least one configuration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hip module 230. [0035] Hereinafter, the program configuration implemented in the chip module 230 in the form of a program code will be described in the control unit 250 for convenience.

상기 메모리부(240)는 상기 칩모듈(230)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25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240)는 기본적으로 상기 칩모듈(23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240)에 저장된다.The memory unit 240 is a general term of a nonvolatile memory included in the chip module 230 and includes at least one program code executed through the controller 250 and at least one data set used by the program code And stores it. The memory unit 240 basically stores a system program code and a system data set corresponding to an operating system of the chip module 230 and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code and an application data set, The program code and data set are also stored in the memory unit 24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240)는 상기 근거리장치(200)(또는 칩모듈(230))의 제작 시(또는 최초 동작 시, 또는 상기 메모리부(240)에 고유코드 저장 전 동작 시), 상기 근거리장치(200)(또는 칩모듈(230))에 대한 고유코드를 등록받아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한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ory unit 240 may store the unique code before the near device 200 (or the chip module 230) is manufactured (or at the time of initial operation or before storing the unique code in the memory unit 240) The microprocessor 230 registers the unique code for the local device 200 (or the chip module 230) in the designated storage area.

상기 RF 처리부(245)는 안테나부를 통해 비동기 무선신호를 방송하기 위한 RF 처리(예컨대, 무선 주파수 신호 변조 등) 및/또는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예를들어 와이파이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과 지정된 규격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은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측을 식별하거나 페어링 하지 않고 송출되는 무선신호를 포함한다.The RF processor 245 is a generic term for performing RF processing (e.g., radio frequency signal modulation and the like) for broadcasting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through the antenna unit and / or RF processing for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 WiFi-based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RF processing for transmitting a specified standard asynchronous radio signal. Here, the transmission of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es a radio signal transmitted without identifying or pairing the receiving side that receives the radio signal.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칩모듈(230)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의 근거리통신장치 중 상기 근거리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며, 상기 RF 처리부(245)는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p module 230 can communicate with the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owner who owns the short range device 200 among the short range short range communication devices supporting the two-way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RF processor 245 performs RF processing for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

상기 USB 통신부(235)는 상기 커넥터부(220)에 구비된 USB 커넥터(예컨대, D+ 및/또는 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부(220)에 연결된 외부의 무선단말(300)(예컨대, 소유자 소유의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과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은 USB 패킷을 송수신하는 USB 통신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부(220)에 연결된 외부의 무선단말(300)로 하여금 상기 칩모듈(230)을 검출하고 USB 통신을 준비하게 하는 USB 프로토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B communication unit 23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USB connector (for example, D + and / or D-) included in the connector unit 220 a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wireless terminal 300 For example, it can handle bidirectional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s with owner-owned mobile phones, smart phones, tablet PCs, and the like. The bidirectional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includes a USB communication func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USB packet, and the external wireless terminal 300 connected to the connector 220 detects the chip module 230 and prepares for USB communication USB protocol functionality.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B 통신부(235)는 상기 커넥터부(220)의 USB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상기 USB 통신부(235)의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 기능은 지정된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며, 상기 USB 통신부(235)의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커넥터부(220)에 연결된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약 상기 USB 통신부(235)의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에는 상기 커넥터부(220)에 무선단말(300)이 연결되더라도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처리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B communication unit 235 maintains a state of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SB connector of the connector unit 220, but the bidirectional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USB communication unit 235 Directional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300 connected to the connector unit 220 when the bi-directional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USB communication unit 235 is activated, Directional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USB communication unit 235 is disabled, the bidirectional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may not be processed even if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unit 220. [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을 식별하는 통신 식별부(255)와, 상기 식별된 소유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부(260)를 구비하며, 상기 USB 통신부(235)를 통해 상기 커넥터부(220)에 케이블 연결된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을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연결하는 근거리 케이블 통신 연결부(260)를 구비한다.2,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unit (not shown) for identifying the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owner who owns the short range device 200 using bidirectional short- And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60 for connecting bidirectional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identified owner and connected to the connector unit 220 through the USB communication unit 235 And a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60 for connecting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to the two-way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상기 통신 식별부(255)는 상기 칩모듈(230)의 최초 동작 시(또는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을 식별 전 동작 시, 또는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에 대한 통신식별정보가 저장되기 전 동작 시, 또는 상기 조작부(225)를 통한 소유자 조작 시), 상기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근거리통신장치 중에서 상기 근거리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을 식별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예를들어, 상기 RF 처리부(245)가 와이파이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RF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통신 식별부(255)는 지정된 페어링 절차에 따라 상기 근거리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300)과 페어링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와이파이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식별부(255)는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을 식별한 결과로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메모리부(240)에 저장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부(260)는 별도의 식별 절차 없이 상기 통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identifying unit 255 identifies the owner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be connected with the bidirectional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t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chip module 230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the owner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among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devices capable of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hip module 230 at the time of operation befo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or at the time of the owner operation through the operation unit 225) And performs a procedure for identifying the terminal 300. For example, when the RF processor 245 performs RF processing for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on Wi-Fi, the communication identifier unit 255 determines whether the owner of the near- The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owner to connect the Wi-Fi-based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identified by performing the pairing procedure with the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identifier 255 identifies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s communication identifier information for connecting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with the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owner using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out a separate identification process. In this cas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60 may perform the two- You can connect.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부(26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식별부(255)를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을 식별한 결과 또는 상기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통신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근거리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60 refers to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owner or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240 throug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unit 255, Way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owner who owns the mobile terminal 200.

한편 상기 근거리 케이블 통신 연결부(260)는 USB 통신부(235)와 연동하여 상기 커넥터부(220)에 케이블 연결되는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을 확인하고,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거리 케이블 통신 연결부(260)는 상기 커넥터부(220)와 케이블 연결되는 장치 중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을 식별하는 통신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부(24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근거리 케이블 통신 연결부(260)는 상기 통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소유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 및/또는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구성부를 통칭하여 통신 연결부(260)라고 한다.Meanwhile, the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60 identifies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connected to the connector unit 220 in cooperation with the USB communication unit 235, Cable communication can be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60 may acquir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mong the devices connected to the connector unit 220 by cable and store the same in the memory unit 240 In this case, the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60 may connect the two-way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with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Hereinafter, a configuration unit for connecting at least one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between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nd two-way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d / or two-way short distance cable communication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60.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소유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 처리부(265)를 구비하고,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식별코드를 확인하는 코드 확인부(270)와,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확인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280)를 구비하며,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될 식별코드 중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부(275)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65 for processing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to which the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is connected. A code checking unit 270 for checking an identification code to be transmitted through a radio signal and a signal transmitting unit 280 for transmitting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ed identification code through the RF processor 245, And a code generation unit 275 for generating an authentication code among the identification codes to be included i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상기 통신 처리부(265)는 상기 통신 연결부(260)를 통해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소유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과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처리한다.The communication processor 265 processes at least one bidirectional local area communication between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 bidirectional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60.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시켜 송출 가능한 지정된 코드 구조의 식별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한다.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80 confirms an identification code of a designated code structure that can be transmitted by being included i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and processe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RF processor 245.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시가잭장치의 칩모듈(230)은,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 시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송출 제어부(285)와,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 시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상기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구별되게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290)를 구비한다.2, the chip module 230 of the cigar jack device transmits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a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a high output signal strength amplified with a designated signal strength whe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s transmitted using the external power source A signal controller (285) for controlling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high output signal strength to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whe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s transmitted using the external power source 290).

상기 신호 송출부(280)를 통해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경우, 상기 송출 제어부(285)는 상기 칩모듈(230)이 상기 전원 공급부(205)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지 또는 상기 전원 충전부(215)를 통해 충전된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지 확인한다. 예를들어, 상기 송출 제어부(285)는 상기 전원 공급부(205) 또는 전원 충전부(215)에 구비된 센서 또는 회로를 통해 상기 칩모듈(230)이 외부 전원을 통해 동작하는지 또는 충전 전원을 통해 동작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80,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85 transmit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to the chip module 230 using the external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205 Or by using the charged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charging unit 215. [ For example, the dispatch control unit 285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hip module 230 through an external power source through a sensor or a circuit provided in the power supply unit 205 or the power charging unit 215, .

만약 상기 칩모듈(230)이 충전 전원을 통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송출 제어부(285)는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송출 제어부(285)의 제어에 따라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한다. If the chip module 230 operates through the charging power source,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85 controls the transmission of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designated low output signal strength.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80 transmit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low power signal intensity to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85 To output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designated low output signal strength.

한편 상기 칩모듈(230)이 외부 전원을 통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송출 제어부(285)는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게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의 신호강도를 증폭하여 지정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으로 송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송출 제어부(285)의 제어에 따라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한다.Meanwhile, when the chip module 230 operates through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85 controls the transmission of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designated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amplifi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And output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high output signal strength amplified with the designated signal strength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85 Of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송출 제어부(285)는 시분할 방식으로 상기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상기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다중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송출 제어부(285)의 제어에 따라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85 may control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designated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amplified high output signal strength to be multiplexed and transmitted in a time division manner, Unit 280 multiplexe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high output signal strength amplified by the designated signal strength under the control of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85. [

한편 상기 송출 제어부(285)는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해 상기 시가잭장치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하며,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의 결과로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로부터 수신되는 명령 또는 제어정보를 근거로 상기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상기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다중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송출 제어부(285)의 제어에 따라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한다.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that owns the cigar jack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65 and transmits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specified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amplified high output signal strength may be multiplexed and transmitted based on the command or the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 And output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the high output signal strength amplified with the designated signal strength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85. [

본 발명의 제1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ss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de checking unit 270 checks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a unique code unique to the memory unit 240 of the chip module 230, The transmitting unit 280 may proces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RF processor 245.

본 발명의 제2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생성부(275)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정보(예컨대, 씨드 값),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예컨대, 상기 전원 충전부(215)의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카운트되는 시간 값,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300)과 시간 동기화 후 상기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카운트되는 시간 값 등),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예컨대,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시간 값, 난수 값, 무선단말(300)의 기기ID 값,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이 운영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제공한 값 등)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씨드로 이용하여 일회용코드 형태의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와 상기 코드 생성부(275)를 통해 생성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The code generation unit 275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information (for example, seed value) stored in the memory unit 240 of the chip module 230, information on the chip module 230, (For example, a time value counted by using the charging power source of the power charging unit 215), a count value of the charging power source after the time synchronization with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via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65, (For exampl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65) through the bidirectional short-range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65 A random number value, a device ID value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a value received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by the program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 like) The verification code for Can. In this case, the code checking unit 270 checks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a unique code stored in the memory unit 240 of the chip module 230 and an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through the code generating unit 275,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80 may proces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RF processor 245.

또는, 상기 코드 생성부(275)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를 통해 복호화 가능하게 암호화한 암호코드 형태의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와 상기 코드 생성부(275)를 통해 생성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de generating unit 275 may receiv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memory unit 240 of the chip module 230, information dynamically determined in the chip module 230, and bidirectional near field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65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authentication code in the form of a cipher code in which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re encrypted so as to be decryptable through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 In this case, the code checking unit 270 checks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a unique code stored in the memory unit 240 of the chip module 230 and an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through the code generating unit 275,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80 may proces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RF processor 245.

또는, 상기 코드 생성부(275)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구비된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칩모듈(23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자서명한 서명코드 형태의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와 상기 코드 생성부(275)를 통해 생성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de generation unit 275 may generate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chip module 230 and the information dynamically determined in the chip module 230 using the certificate provided in the memory unit 240 of the chip module 230 And an authentication code in the form of a signature code obtained by digitally signing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bidirectional short-range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or 265. [ In this case, the code checking unit 270 checks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a unique code stored in the memory unit 240 of the chip module 230 and an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through the code generating unit 275,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80 may proces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RF processor 245.

본 발명의 제3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코드는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에서 생성한 난수코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에서 지정된 씨드를 통해 동적 생성한 일회용코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에서 지정된 인증서를 통해 지정된 정보를 전자서명한 서명코드, 지정된 운영서버(100)에서 생성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 제공한 난수코드, 지정된 운영서버(100)에서 지정된 씨드를 통해 동적 생성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 제공한 난수코드, 지정된 운영서버(100)에서 지정된 인증서를 통해 지정된 정보를 전자서명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 제공한 서명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hird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ss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de verifying unit 270 receives the authentication code provided from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bidirectional short-range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65 Identifies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a unique code unique to the memory unit 240 of the chip module 230 and an authentication code provided from a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bidirectional local area communication,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80 may proces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RF processor 245. Here, the authentication code provided from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may be generated by a random number code generated by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 random number generated dynamically through a seed specified by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 signature code generated by digitally signing the information designated through the certificate specified by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 random number generated by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and provided to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The code is generated by dynamically generating a code through a designated seed in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100 and digitally signing the designated information through a designated certificate in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100 by a random number code provided to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ignature codes provided by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본 발명의 제4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유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tt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de verifying unit 270 identifies a code unique to the owner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which is provided from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the bidirectional local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65 And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80 can proces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RF processor 245.

본 발명의 제5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유한 고유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코드 생성부(275)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정보,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씨드로 이용하여 일회용코드 형태의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유한 고유코드와 상기 코드 생성부(275)를 통해 생성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fth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ssio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de verifying unit 270 can identify the unique asynchronous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program of the owner's radio terminal 300 through bidirectional local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65 And the code generation unit 275 receives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240 of the chip module 230, information dynamically determined by the chip module 230,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authentication code in the form of a disposable code by using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as a seed. In this case, the code checking unit 270 checks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a unique code received from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nd an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through the code generating unit 275,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80 may proces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RF processor 245.

또는,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유한 고유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코드 생성부(275)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를 통해 복호화 가능하게 암호화한 암호코드 형태의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유한 고유코드와 상기 코드 생성부(275)를 통해 생성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de checking unit 270 may check the unique code received from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bidirectional local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65, Information of the owner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or 265 and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memory unit 240 of the chip module 230 and the information dynamically determined by the chip module 230,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authentication code in the form of an encrypted code in which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rogram are encrypted so as to be decryptable through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 In this case, the code checking unit 270 checks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a unique code received from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nd an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through the code generating unit 275,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80 may proces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RF processor 245.

또는,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유한 고유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코드 생성부(275)는 상기 칩모듈(230)의 메모리부(240)에 구비된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칩모듈(230)에 구비된 정보와 상기 칩모듈(230)에서 동적 결정된 정보와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자서명한 서명코드 형태의 인증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유한 고유코드와 상기 코드 생성부(275)를 통해 생성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de checking unit 270 may check the unique code received from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bidirectional local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65,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chip module 230 and the information dynamically determined in the chip module 230 by using the certificate provided in the memory unit 240 of the chip module 230,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authentication code in the form of a signature code by electronically signing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bidirectional short-range communication. In this case, the code checking unit 270 checks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a unique code received from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nd an authentication code generated through the code generating unit 275,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80 may proces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RF processor 245.

본 발명의 제6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통신 처리부(265)를 통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유한 고유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코드를 확인한 후,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유한 고유코드와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로부터 제공받은 인증코드는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에서 생성한 난수코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에서 지정된 씨드를 통해 동적 생성한 일회용코드,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에서 지정된 인증서를 통해 지정된 정보를 전자서명한 서명코드, 지정된 운영서버(100)에서 생성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 제공한 난수코드, 지정된 운영서버(100)에서 지정된 씨드를 통해 동적 생성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 제공한 난수코드, 지정된 운영서버(100)에서 지정된 인증서를 통해 지정된 정보를 전자서명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으로 제공한 서명코드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ixth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tt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de identifying unit 270 identifies the code unique to the owner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which is provided from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the bidirectional local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65 And confirms the authentication code provided from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through the bidirectional local area communication and then transmits the unique code and authentication code received from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80 may proces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RF processor 245. Here, the authentication code provided from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may be generated by a random number code generated by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 random number generated dynamically through a seed specified by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 signature code generated by digitally signing the information designated through the certificate specified by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 random number generated by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and provided to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The code is generated by dynamically generating a code through a designated seed in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100 and digitally signing the designated information through a designated certificate in the designated operating server 100 by a random number code provided to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ignature codes provided by the program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본 발명의 제7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확인부(270)는 상기 제1 내지 제6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하나 이상을 부분적으로 선택 또는 조합한 형태로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송출부(280)는 상기 RF 처리부(245)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변형하여 도출 가능한 모든 실시예를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According to the seventh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tting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de verifying unit 270 may receive the unique code and / or the code in the form of partially selecting or combin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through sixth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tting embodiments. Or the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the authentication code, and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280 can proces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through the RF processor 245.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embodiments which can be derived from a modific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as a scope of right.

상기 송출 제어부(285)가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상기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는 상호 구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신호 제어부(290)는 상기 제1 내지 제7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동일한 실시예에 따라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처리하되 각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에 해당 신호강도를 식별/판별 가능한 신호강도 식별자를 포함시켜 송출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한 신호수신장치는 해당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신호강도 식별자를 판독하여 어떤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였는지 판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신호 제어부(290)는 상기 제1 내지 제7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를 통해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게 제어하되 다른 한 실시예를 통해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게 제어함으로써 각각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한 신호수신장치로 하여금 어떤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였는지 판별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transmission control unit 285 controls to transmit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designated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amplified high output signal strength using the external power source,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high output signal It is preferable that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s of the strength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For this purpose, the signal controller 290 processe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high output signal strength in accordance with the same embodiment of the first to seventh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ssion embodiments, In this case,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that receives each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ts the signal strength identifier included i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to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signal strength of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s received. Alternatively, the signal controller 290 may control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a low output signal strength to be transmitted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to seventh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tting embodiments, By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the radio signal, it is possible to cause the signal receiving apparatus that has received each asynchronous radio signal to determine which signal strength of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s received.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근거리장치(200)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terminal 300 of an owner who owns the short range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며 상기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인식 가능한 무선단말(30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무선단말(3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본 도면3의 무선단말(300)은 망 통신 기능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 및 단방향 무선 신호 수신 기능을 구비한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및 각종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3 shows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wireless terminal 300 capable of recognizing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ip module 230 in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refer to and modify various aspects of the functionality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with reference to and / And the technical features thereof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 3 may include at least one of various smart phones, various tablet PCs, and various mobile phones having a network communication function, a bi-directional loc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unidirectional wireless signal receiving function.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은, 제어부(302)와 메모리부(320)와 화면 출력부(304)와 조작 입력부(306)와 사운드 처리부(316)와 케이블 통신부(310)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와 근거리망 통신부(312)와 무선망 통신부(314)와 USIM 리더부(318) 및 USIM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한다.3, the wireless terminal 300 includes a control unit 302, a memory unit 320, a screen output unit 304, an operation input unit 306, a sound processing unit 316, a cable communication unit 310,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8,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2,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4, a USIM reader unit 318, and a USIM, and has a battery for power supply.

상기 제어부(302)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무선단말(300)에 구비된 각 구성부와 버스(BUS)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302)는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300)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상기 버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단말(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 편의상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는 본 발명의 프로그램(325) 구성을 본 제어부(302)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302 is a general ter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he control unit 302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and an execution memory, B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302 loads at least one program code included in the wireless terminal 300 into the execution memory through the processor, and outputs the result through at least one configuration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FIG.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ogram 325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for convenience, will be described in the control unit 302. FIG.

상기 메모리부(320)는 상기 무선단말(300)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302)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320)는 기본적으로 상기 무선단말(3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무선단말(30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 및 적어도 하나의 응용프로그램코드와 응용데이터셋트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프로그램(325)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도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된다.The memory unit 320 is a general term of a nonvolatile memory corresponding to a storage resource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and includes at least one program code executed through the control unit 302 and at least one Save and maintain the dataset. The memory unit 320 basically includes a system program code and a system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a communication program code and a communication data set for proces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he program code and data set corresponding to the program 325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stored in the memory unit 320. In addition,

상기 화면 출력부(304)는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3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 장치로 출력한다.The screen output unit 304 includes a screen output unit (e.g.,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or the like) and a driving module for driving the screen output unit 304. The screen output unit 304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302, And outputs an oper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output to the screen output device.

상기 조작 입력부(306)는 하나 이상의 입력기(예컨대,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화면 출력부(304)와 연동하는 터치스크린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2)와 연동되어 상기 제어부(302)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302)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한다.The operation input unit 306 is composed of one or more input devices (e.g., a button, a keypad, a touch pad, a touch screen or the like linked to the screen output unit 304) And inputs a command for commanding various operations of the control unit 302 or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302. [

상기 사운드 처리부(316)는 스피커와 마이크로폰과 및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사운드 출력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디코딩(Decoding)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상기 제어부(302)로 전달한다.The sound processing unit 316 includes a speaker, a microphone, and a driving module for driving the speaker. The sound processing unit 316 decodes sound data corresponding to the sound output from the various calculation results of the control unit 302 and outputs the sound data through the speaker Or a sound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and transmits the encoded sound signal to the controller 302. [

상기 케이블 통신부(310)는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USB 기반의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제공하는 구성부로서, 상기 유선 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다. 상기 케이블 통신부(310)는 유선 케이블 연결 시 USB 기반의 근거리 케이블 통신이 가능한지 판별하며, USB 기반의 근거리 케이블 통신이 가능한 경우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USB 기반의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처리한다.The cable communication unit 310 receives power using a cable or provides USB-based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and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cable is charged in the battery. The cable communication unit 310 determines whether USB-based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is available when the cable is connected, and USB-based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when the USB-based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is available.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는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고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한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 가능한 구성부로서, 바람직하게 와이파이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고 지정된 규격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와이파이 구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의 통신 규격 내지 신호 규격이 상기 와이파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고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한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 가능하다면 어떤 통신 규격 내지 신호 규격이 적용되더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8 is a unit for processing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and capable of receiving the asynchronous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And may include a Wi-Fi component that preferably handles Wi-Fi based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ceives an asynchronous wireless signal of a specified standard. However, the communication standard and the signal standard of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8 are not limited to the Wi-Fi.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8 may perform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It is evident that any communication standard or signal standard is applicable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dule 230. [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와 근거리망 통신부(312)는 상기 무선단말(300)을 지정된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선단말(300)은 무선망 통신부(314)를 기본 통신 자원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근거리망 통신부(312)를 구비할 수 있다.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4 and the short-range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2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communication resources for connecting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a designated communication network. Preferably, the wireless terminal 300 may include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4 as a basic communication resource, and may include one or more short-range network communication units 312.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는 상기 무선단말(300)을 기지국을 경유하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RF모듈, 기저대역모듈, 신호처리모듈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2)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02)의 각종 연산 결과 중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302)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무선 통신의 접속, 등록, 통신, 핸드오프의 절차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는 상기 무선단말(300)을 교환기를 경유하는 통화채널과 데이터채널을 포함하는 통화망에 연결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교환기를 경유하지 않고 패킷 통신 기반의 무선망 데이터 통신(예컨대, 인터넷)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할 수 있다.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4 collectively refers to a communication resource for connecting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via a base st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14 may include an antenna, an RF module, a baseband module, And transmits the calculation result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among the various calculation results of the controller 302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receives data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control unit 302, and performs the connection, registration, communication, and handoff procedur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4 can connect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a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communication channel and a data channel via the exchange, and in some cases, Based wireless network data communication (e.g., the Interne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는 CDMA/WCDMA/LTE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망에 접속, 위치등록, 호처리, 통화연결,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이동 통신 구성을 포함한다. 한편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는 IEEE 802.16 관련 규격에 따라 휴대인터넷에 접속, 위치등록, 데이터통신, 핸드오프를 적어도 하나 수행하는 휴대 인터넷 통신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히 밝혀두는 바이다. 즉,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는 무선 구간의 주파수 대역이나 통신망의 종류 또는 프로토콜에 무관하게 셀 기반의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는 구성부의 총칭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4 is a mobile communication unit that performs at least one of connec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location registration, call processing, call connection, data communication, and handoff according to the CDMA / WCDMA / ≪ / RTI > Meanwhile,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4 may further include a portable internet communication structure for performing at least one of connection to the portable Internet, location registration, data communication and handoff according to the IEEE 802.16 standard, It is evid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configuration provided by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4. [ That is,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4 is a general term for a configuration unit that connect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cell-based base station irrespective of a frequency band of a wireless section, a type of a communication network, or a protocol.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2)는 일정 거리 이내(예컨대, 10m)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통신매체로 이용하여 통신세션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3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키는 통신 자원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통신, 공중무선 통신, UW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300)을 통신망에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2)는 상기 무선망 통신부(314)와 통합 또는 분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망 통신부(312)는 무선AP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300)을 패킷 통신 기반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데이터망에 연결한다.The short-range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2 collectively refers to a communication resource for connecting a communication session using a radio frequency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e.g., 10 m) as a communication medium and connecting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the communication session , The wireless terminal 30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t least one of Wi-Fi communication,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 and UW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2 may be integrat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range network communication unit 312 connects the wireless terminal 300 to a data network providing packet-based short-rang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AP.

상기 USIM 리더부(318)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상기 무선단말(3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범용가입자식별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과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교환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상기 데이터셋트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교환된다.The USIM reader unit 318 is a generic term of a configuration for exchanging at least one data set with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mounted or detach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300 based on the ISO / IEC 7816 standard , And the data set is exchanged in a half duplex communication manner through an APDU (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상기 USIM은 상기 ISO/IEC 7816 규격에 따른 IC칩이 구비된 SIM 타입의 카드로서, 상기 USIM 리더부(318)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점을 포함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적어도 하나의 IC칩용 프로그램코드와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IC칩 메모리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무선단말(300)로부터 전달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에 따라 상기 IC칩용 프로그램코드를 연산하거나 상기 데이터셋트를 추출(또는 가공)하여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전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USIM is an SIM type card having an IC chip conforming to the ISO / IEC 7816 standard, and includes an input / output interface including at least one contact connected to the USIM reader 318, a program code for at least one IC chip (Or processing) the program code for the IC chip in accordance with at least one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300, or extracting (or processing) the data set in association with the input / output interface To the input / output interface.

상기 제어부(302)는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연동하는 프로그램(325)을 다운로드하여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하며, 이후 상기 프로그램(325)이 구동되어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2 downloads a program 325 linked with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to store the program in the memory unit 320, 325 are driven to perform opera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와 연동하여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무선단말(300)의 소유자가 소유한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을 식별하는 칩모듈 식별부(330)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와 연동하여 상기 식별된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과 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칩모듈 연결부(335)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블 통신부(310)와 연동하여 유선 케이블이 연결된 근거리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연결하는 근거리 케이블 칩모듈 연결부(335)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3, the program 325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include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8,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0, A chip module identification unit 330 for identifying a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8 in cooperation wit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8, And a short-distance cable chip module connection unit 335 having a short-range wireless chip module connection unit 335 connected to the short-distance device 200 and connected to the cable communication unit 310, .

상기 칩모듈 식별부(330)는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의 최초 동작 시(또는 칩모듈(230)에서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을 식별 전 동작 시, 또는 칩모듈(230)에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에 대한 통신식별정보가 저장되기 전 동작 시, 또는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조작부(225)를 통한 소유자 조작 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를 통해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근거리통신장치 중에서 상기 소유자가 소유한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을 식별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예를들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가 와이파이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하는 경우, 상기 칩모듈 식별부(330)는 지정된 페어링 절차에 따라 상기 소유자가 소유한 근거리장치(200)와 페어링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와이파이 기반의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소유자의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칩모듈 식별부(330)는 상기 소유자의 근거리장치(200)를 식별한 결과로서 상기 소유자의 근거리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통신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 칩모듈 연결부(335)는 별도의 식별 절차 없이 상기 통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유자의 근거리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The chip module identification unit 330 identifies the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owner to connect the bidirectional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t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At the time of operation before the communication identifier information of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is stored in the chip module 230 or at the time of owner operation through the operation unit 225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And performs a procedure for identifying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owned by the owner among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devices capable of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08. [ For example, when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8 processes the Wi-Fi-based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chip module identification unit 330 performs a pairing process with the short- Procedure,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of the owner to connect the WiFi-based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p module identification unit 330 identifies the owner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owner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as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connecting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hort range device 200 of the owner The short range wireless chip module connection unit 335 may identify the short range wireless LAN device 200 and the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0 using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without a separate identification process, Communication can be connected.

상기 근거리 무선 칩모듈 연결부(335)는 상기 근거리 무선 칩모듈 식별부(330)를 통해 소유자의 근거리장치(200)를 식별한 결과 또는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된 통신식별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소유자의 근거리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The local wireless chip module connection unit 335 refers to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local device 200 of the owner or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unit 320 through the local area wireless chip module identification unit 330, 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hort range device 200 of FIG.

한편 상기 근거리 케이블 칩모듈 연결부(335)는 케이블 통신부(310)와 연동하여 상기 유선 케이블이 연결된 소유자의 근거리장치(200)를 확인하고, 상기 소유자의 근거리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거리 케이블 칩모듈 연결부(335)는 상기 유선 케이블이 연결되는 장치 중 상기 소유자의 근거리장치(200)를 식별하는 통신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부(32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근거리 케이블 칩모듈 연결부(335)는 상기 통신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소유자의 근거리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소유자의 근거리장치(200)와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 및/또는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구성부를 통칭하여 칩모듈 연결부(335)라고 한다.Meanwhile, the short-distance cable chip module connection unit 335 is connected to the cable communication unit 310 to identify the short-range unit 200 of the owner to which the cable is connected and to connect the two-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distance cable-module connection unit 335 may acquire communication-identifying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short-distance device 200 of the owner of the apparatus to which the cable is connected, In this case, the short-distance cable chip module connection unit 335 may connect the short-distance local cable communication with the short range device 200 of the owner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Hereinafter, a configuration unit for connecting at least one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between the near device 200 of the owner and two-way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and / or two-way short distance cable communication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chip module connection unit 335.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된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처리하는 칩모듈 통신부(340)를 구비하고, 상기 칩모듈 통신부(340)를 통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여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을 관리하는 칩모듈 관리부(345)를 구비한다.3, the program 325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includes a chip module communication unit 340 for processing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to which the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is connected And a chip module management unit 345 for performing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through the chip module communication unit 340 to manage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Respectively.

상기 칩모듈 통신부(34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와 연동하여 상기 칩모듈 연결부(335)를 통해 통신 연결된 소유자의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칩모듈 관리부(345)는 상기 칩모듈 통신부(340)를 통해 상기 통신 연결된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로부터 상기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에 대한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chip module communication unit 340 processes bi-directional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of the owner who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wit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8 through the chip module connection unit 335 . The chip module management unit 345 receives status information o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ip module 230 from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device 200 through the chip module communication unit 340 And output i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칩모듈 관리부(345)는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을 통해 송출할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시킬 별도의 고유코드를 설정 받거나 및/또는 인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칩모듈 통신부(340)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근거리장치(200)로 상기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을 통해 상기 제공된 별도의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가 포함된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게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p module management unit 345 may set a unique code to be included i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and / And provides the unique code and / or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short range device 200 through the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of the chip module communication unit 340 to thereby transmit the unique code and / or the authentication code through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the provided unique code and / or the authentication code to be transmitted.

또는 상기 칩모듈 관리부(345)는 지정된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을 통해 송출할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시킬 별도의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칩모듈 통신부(340)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근거리장치(200)로 상기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을 통해 상기 제공된 별도의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가 포함된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게 제어할 수 있다.Or the chip module management unit 345 receives another unique code and / or authentication code to be included i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to be transmitted from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 Or by providing the unique code and / or the authentication code to the short range device 200 through the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of the chip module communication unit 340, And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ing an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an inherent code of the authentication code and / or an authentication cod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칩모듈 관리부(345)는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여 상기 칩모듈(230)이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 중인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이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 중이라면, 상기 칩모듈 관리부(345)는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칩모듈(230)은 상기 제어정보를 근거로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p module management unit 345 performs bi-directional short-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to check whether the chip module 230 is operating using external power. If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is operating using external power, the chip module management unit 345 control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designated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high output signal strength The control unit 230 may generate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to be multiplexed and provide the control information to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via the bidirectional local area communicatio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amplified high output signal strength can be controlled to be multiplexed.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325)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와 연동하여 소유자의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된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인식하는 신호 인식부(350)와, 상기 인식된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판독하여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유효한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송출하는지 분석하는 신호 분석부(355)를 구비한다.3, the program 325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receives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of the owner in cooperation wit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8 A signal recognition unit 350 for recognizing a unique code and / or an authentication code included i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and a control unit 350 for reading the recognized unique code and / And a signal analyzing unit 355 analyzing whether the unique code and / or the authentication code is valid.

상기 신호 인식부(350)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와 연동하여 소유자의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송출한 비동기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소유자의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한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인식한다.The signal recognition unit 350 receive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of the owner in cooperation with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08 and read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Recognizes a unique code and / or an authentication code transmitted from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via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상기 신호 분석부(355)는 상기 칩모듈 통신부(340)를 통한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과의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근거로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해야 하는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신호 인식부(350)를 통해 인식된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가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해야 하는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와 매칭되는지 분석할 수 있다. The signal analyzer 355 analyzes the signal from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based on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via the chip module communication unit 340 A unique code and / or an authentication code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s checked, and a unique code and / or an authentication code recognized through the signal recognition unit 350 is transmitted to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It is possible to analyze whether the unique code and / or the authentication code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s matched.

만약 상기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가 매칭되는 경우, 상기 신호 분석부(355)는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을 통해 송출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기반으로 요청되는 각종 서비스가 유효한 것으로 처리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신호 분석부(355)는 상기 칩모듈 관리부(345)를 통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을 통해 각종 서비스에 유효한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가 송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f the unique code and / or the authentication code are matched, the signal analyzer 355 analyze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Otherwise, the signal analyzer 355 transmits a unique code and / or an authentication code valid for various services through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through the chip module management unit 345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to be transmitted.

한편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이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출력 중이라면, 상기 신호 분석부(355)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308)와 연동하여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다중 출력 중인지 인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이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다중 출력 중인 상태인데도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다중 출력 중이 아니라면, 상기 신호 분석부(355)는 상기 칩모듈 관리부(345)를 통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이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 다중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if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is multiplexing and outputting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the high output signal strength, the signal analyzing section 355 analyze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high output signal strength are multiplexed in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by interlocking with each other. If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high output signal strength are multiplexed while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is in the multiplex output state of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high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high output signal strength, The signal analysis unit 355 analyze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high output signal intensity through the chip module management unit 345,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multiplex and output radio signals.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근거리장치(200)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전원 공급에 의해 지정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 대한 동작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동작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4 shows an operation procedure of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for transmitting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designated by the power supply.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refer to and / or modify the FIG. 4 to derive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operation of the near device 200 (e.g., omitting some of the steps or changing the ord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

도면4를 참조하면,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로 동작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400),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비동기 무선신호의 송출 여부를 확인한다(405).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전원 공급과 동시에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근거리장치(200)에 구비된 조작부(225)를 통한 소유자 조작을 근거로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소유자 무선단말(300)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거나 상기 소유자 무선단말(300)의 지시에 의해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when operation power is supplied to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400),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confirms whether or not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s transmitted (405).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transmits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simultaneously with the power supply and / or transmit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through the operation unit 225 provided in the short range device 200 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between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and the owner wireless terminal 300 is connected or an instruction of the owner wireless terminal 300 is transmitted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만약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한다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한다(410).If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s transmitted,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transmit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eventh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ss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410) the identification code including the unique code and / or the authentication code to be transmitted.

만약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를 통해 송출할 식별코드가 확인되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확인된 식별코드를 비동기 무선신호에 포함시키며(415),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이 외부로부터 외부 전원(예컨대, 근거리장치(200)가 시가잭장치인 경우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차량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상태인지 확인한다(420).If the identification code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s confirmed,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includes the identified identification code i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415, It is checked whether the chip module 230 of the chip module 230 is in a state of being supplied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for example, vehicle power supplied from the vehicle in a state where the short range device 200 is inserted into the cigar jack insertion port of the vehicle when the short distance device 200 is a cigar jack device) ).

만약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이 외부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상태가 아니라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근거리장치(200)에 충전된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예컨대,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는 저전원 상태에 설정된 신호강도)로 송출한다(425).If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is not supplied with external power,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uses the charged power source charged in the short range device 200 (425)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ing the identification code to the designated low output signal strength (e.g., the signal strength set in the low power state using battery power).

한편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이 외부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상태라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와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로 다중 송출한다(430).Meanwhile, if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is receiving external power,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transmits the asynchronous radio The signal is multiplexed (430) with the designated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amplified high output signal strength.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근거리장치(200)와 소유자의 무선단말(300) 간 양방향 근거리 통신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idirectional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short range device 200 and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소유자의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소유자의 무선단말(300) 사이에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 연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도면5는 편의상 소유자의 근거리장치(200)와 소유자의 무선단말(300) 사이에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연결하는 과정을 위주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은 소유자의 근거리장치(200)와 소유자의 무선단말(300) 사이에 양방향 근거리 케이블 통신을 연결하는 실시예도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5 illustrates a process of connecting a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between a chip module 230 of an owner's short range device 200 and an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fer to and / or modify this FIG. 5 to infer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bidirectional, short-range communication connection process (e.g., omitting some steps or changing the ord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method shown i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necting two-way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n owner's short range device 200 and an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ort range device 200 of the owner, It is evid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n embodiment in which a bidirectional short-range cable communica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terminals 300. [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근거리장치(200)의 동작 중에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소유자 무선단말(300)의 통신식별정보가 상기 칩모듈(230)의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500). 만약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 소유자 무선단말(300)의 통신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소유자 무선단말(300)을 식별하는 절차(예컨대, 페어링 절차 등)를 수행하며(505),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도 근거리에 존재하는 근거리통신장치 중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소유자의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을 식별하는 절차를 수행한다(505).Referring to FIG. 5,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 4 transmits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D) of the owner wireless terminal 300 Information is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area of the chip module 230 (500). If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wner wireless terminal 300 is not stored in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transmits an owner wireless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performs a procedure for identifying the terminal 300 (e.g., a pairing procedure) (505), and the owner's local terminal 200 (Step 505). ≪ / RTI >

만약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소유자의 무선단말(300)이 식별되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식별된 소유자 무선단말(300)의 통신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하며(510), 이후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저장영역에 저장된 소유자 무선단말(300)의 통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도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을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 대한 통신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515).If the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owner to connect the bidirectional LAN is identified,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acquires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owner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 chip module 230 of the local device 200 stor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wner wireless terminal 300 in the storage area using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wner wireless terminal 300, Communication can be connected. Meanwhile, the program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may identify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and may acquire and store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515).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 상기 소유자 무선단말(300)의 통신식별정보가 저장된 경우,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통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근거리에 존재하는 소유자의 무선단말(30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하며(520), 이에 대응하여 상기 소유자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도 상기 소유자의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 대한 통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연결한다(520).When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wner wireless terminal 300 is stored in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uses the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existing owner's wireless terminal 300 and the corresponding program of the owner wireless terminal 300 correspondingly transmits the communication to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of the owner 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520).

한편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은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의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을 위한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설정하는 절차를 수행할 지 여부를 확인한다(525). 만약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로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을 위한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설정한다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부합하도록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로 비동기 무선신호의 송출을 위한 고유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설정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530).When the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is connected, the program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transmit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525) whether to perform the procedure of setting the code and / or the authentication code. If the unique code and / or the authentication code for transmitting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s set to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the program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o seventh asynchronous radio A procedure for setting a unique code and / or an authentication code for transmission of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to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via the bidirectional local area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signal transmission embodiment (530).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근거리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through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근거리장치(200)를 소유한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이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근거리장치(200)의 전원 공급 상태를 판독하여 외부 전원을 통해 동작 중인 경우에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에서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다중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동작 제어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6 shows a state in which the program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having the local device 200 reads the power supply state of the local device 200 through the bidirectional local area communicatio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amplified high output signal strength are multiplexed and transmitted by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refer to and / or modify the FIG. 6 to illustrate various implementations of the operation control process of the near device 200 (e.g.,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of the above-described methods of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Technical features are not limited.

도면6을 참조하면,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소유자의 무선단말(300)과 연결된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칩모듈(230)의 전원 공급 상태(예컨대, 외부 전원 공급 또는 충전 전원 공급)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상기 소유자의 무선단말(300)로 제공하고(600),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확인된 상태정보를 근거로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이 외부 전원을 통해 동작 중인지 확인한다(605).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이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로 상기 칩모듈(230)의 전원 공급 상태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칩모듈(230)은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칩모듈(230)의 전원 공급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정보를 상기 무선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600).6,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distance device 200 transmits a power supply state of the chip module 230 (for example, an external power supply or a charge (600), the program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provides the st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l device (300) to the wireless terminal (300) of the owner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bidirectional local communication 200 chip module 230 is operating through an external power source (605). Meanwhile, the program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may request the power supply state of the chip module 230 to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through bidirectional local area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troller 230 may provide statu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wer supply status of the chip module 230 to the wireless terminal 300 in response to the request.

만약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이 외부 전원을 통해 동작 중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무선단말(300)의 프로그램은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이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생성하여(610),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로 제공한다(615).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is operating through the external power source, the program of the wireless terminal 300 may be programmed such that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has low output signal strength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with high output signal strength to be multiplexed is generated 610 and provided to the chip module 230 of the short range device 200 through the bidirectional local communication 615 ).

상기 근거리장치(200)의 칩모듈(230)은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비동기 무선신호의 다중 송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수신하고(620), 상기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다중 송출되도록 처리한다(625).The chip module 230 of the near device 200 receives (620) control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multiplex transmission of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through the bidirectional local area communication, and uses the control information to transmit asynchronous And processe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radio signal and the amplified high output signal strength to be multiplexed (625).

100 : 운영서버 200 : 근거리장치
205 : 전원 공급부 210 : 전원 변환부
215 : 전원 충전부 220 : 커넥터부
225 : 조작부 230 : 칩모듈
235 : USB 통신부 240 : 메모리부
245 : RF 처리부 250 : 제어부
255 : 통신 식별부 260 : 통신 연결부
265 : 통신 처리부 270 : 코드 확인부
275 : 코드 생성부 280 : 신호 송출부
285 : 송출 제어부 290 : 신호 제어부
100: Operational server 200: Near device
205: power supply unit 210: power conversion unit
215: Power source charging unit 220:
225: Operation part 230: Chip module
235: USB communication unit 240: memory unit
245: RF processor 250:
255: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unit 260: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265: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270: code checking unit
275: code generation unit 280: signal transmission unit
285: sending control section 290: signal control section

Claims (17)

와이파이 통신을 제공하는 근거리장치에 있어서,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
상기 외부 전원을 지정된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전원을 통해 충전 전원을 충전하는 전원 충전부;를 구비하며,
별도의 수신 측을 특정하지 않고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송출부와,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 시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지정된 신호강도로 증폭된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송출 제어부를 구비한 칩모듈;을 구비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
A short range device for providing Wi-Fi communication,
A power supply unit supplied with external power;
A power conversion unit converting the external power source to a designated power source; And
And a power charging unit charging the charging power through the converted power source,
A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without specifying a separate receiving side;
And a transmiss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a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a high output signal strength amplified with a designated signal strength whe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s transmitted us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A short range device that multiplexes asynchronous radio signal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 제어부는,
상기 충전 전원을 통해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 시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controls to transmit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a low output signal strength whe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charging power sourc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는,
상기 칩모듈의 LE(Low Energy) 상태에서 비동기 무선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신호강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low-
And a signal intensity set to output an asynchronous radio signal in a LE (Low Energy) state of the chip modul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는,
상기 근거리장치를 구비한 공간에 구비된 무선신호 방해재질을 투과하지 못하는 신호강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low-
And a signal intensity that can not transmit the radio signal interference material provided in the space provided with the short range device is included in the short range radio signal.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는, 블루투스(Bluetooth) 기반의 비콘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는, BLE(Bluetooth Low Energy) 상태에서 비콘 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설정된 신호강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es a Bluetooth based beacon signal,
Wherein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includes a signal intensity set for transmitting a beacon signal in a Bluetooth low energy (BLE) sta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출력 신호강도는,
상기 근거리장치를 구비한 공간에 구비된 무선신호 방해재질을 투과하도록 증폭된 신호강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igh-
And a signal intensity amplified to transmit a radio signal interference material provided in a space provided with the short range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 제어부는,
시분할 방식으로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상기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다중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having the high output signal strength are multiplexed and transmitted in a time division mann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칩모듈은,
상기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비동기 무선신호를 송출 시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상기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구별되게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
The chip modul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ignal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high output signal strength to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whe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s transmitted using the external power source. A short range device to transm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칩모듈은,
양방향 근거리 통신을 통해 사용자 무선단말을 식별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통신 식별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
The chip modul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identifying unit for performing a procedure for identifying a user wireless terminal through bidirectional local area communic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칩모듈은,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 송출 기능과 함께 양방향 근거리 통신 기능을 다중 구비하며, 상기 근거리장치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
The chip modu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transmitting function and the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function are provided in the bidirectional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owner possessing the short range devic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은, 페어링 기반의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포함하고,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는,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 신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bi-directional short-range communication includes pairing-based Bluetooth communication,
Wherei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es a Bluetooth-based beacon signal.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근거리 통신은, 케이블 연결 기반의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을 포함하고,
상기 비동기 무선신호는,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 신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bidirectional local area communication includes USB (Universal Serial Bus) communication based on cable connection,
Wherein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includes a Bluetooth-based beacon signal.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 제어부는,
상기 칩모듈과 양방향 근거리 통신하는 소유자의 무선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저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와 상기 고출력 신호강도의 비동기 무선신호가 다중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low output signal strength and the asynchronous radio signal of the high output signal strength to be multiplexed and transmitted in cooperation with the owner's wireless terminal performing bi-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장치를 소유한 소유자의 무선단말과 케이블 연결을 처리하는 커넥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칩모듈은, 상기 커넥터부를 통해 케이블 연결된 소유자의 무선단말과 USB 통신을 처리하는 USB 통신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nector unit for processing cable connection with a wireless terminal of an owner possessing the near device,
Wherein the chip module further comprises a USB communication unit for processing USB communication with a wireless terminal of an owner cable-connected through the connector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전원을 외부로 인가하는 커넥터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nector unit for applying the converted power to the outs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칩모듈의 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on unit operable to operate the operation of the chip modu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장치는,
차량의 시가잭 삽입구에 삽입되는 시가잭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 무선신호를 다중 송출하는 근거리장치.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 cigar jack device inserted into the cigar jack insertion port of the vehicle.
KR1020160065341A 2016-05-27 2016-05-27 Close Range Device for Broadcasting Asynchronous Radio Frequency Signal KR201701348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341A KR20170134850A (en) 2016-05-27 2016-05-27 Close Range Device for Broadcasting Asynchronous Radio Frequency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341A KR20170134850A (en) 2016-05-27 2016-05-27 Close Range Device for Broadcasting Asynchronous Radio Frequency Sig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850A true KR20170134850A (en) 2017-12-07

Family

ID=60920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341A KR20170134850A (en) 2016-05-27 2016-05-27 Close Range Device for Broadcasting Asynchronous Radio Frequency Sig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485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0280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OBD Interlocking Device in a Car
KR20180110288A (en) Method for Making a Judgment User’s Position State by using Sound Output Device in a Car
KR20170134884A (en) Method for Providing Payment by using Close Range Device
KR20160139136A (en) Method for Controlling Bluetooth of Cigar Jack
KR20170134850A (en) Close Range Device for Broadcasting Asynchronous Radio Frequency Signal
KR20160139135A (en) Bluetooth Module of Cigar Jack Device
KR20180110286A (en) OBD Interlocking Device in a Car for Broadcasting One-Way Radio Frequency Signal
KR20170029727A (en) Method for Making a Judgment Users Boarding State by using Cigar Jack Device
KR20170134886A (en) Cigar Jack Device for Broadcasting Asynchronous Radio Frequency Signal
KR20170029728A (en) Close Range Device for Broadcasting One-Way Radio Frequency Signal
KR20180056483A (en) Black Box Device for Broadcasting One-Way Radio Frequency Signal
KR20170029726A (en) Cigar Jack Device for Broadcasting One-Way Radio Frequency Signal
KR20180056484A (en) Car Navigation Device for Broadcasting One-Way Radio Frequency Signal
KR20180110279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Sound Output Device in a Car
KR20170134851A (en) Method for Making a Judgment User’s Position State by using Close Range Device
KR20180110285A (en) Sound Output Device in a Car for Broadcasting One-Way Radio Frequency Signal
KR20180056485A (en) Method for Making a Judgment User’s Position State by using Black Box Device
KR20170029729A (en) Method for Making a Judgment Users Position State by using Close Range Device
KR20170134887A (en) Method for Making a Judgment User’s Boarding State by using Cigar Jack Device
KR20170134892A (en) Method for Reverse Sharing Parker Device by using Sharer's Mobile Device
KR20180056486A (en) Method for Making a Judgment User’s Position State by using Car Navigation Device
KR20170134881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Close Range Device
KR20180056471A (en) Method for Certificating Car Navigation
KR20170134883A (en) Close Range Device, Certification Method of Close Range Device
KR20180056476A (en) Car Navigation Device, Certification Method of Car Navig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