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795A - Lens Module - Google Patents

Lens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3795A
KR20170133795A KR1020160065034A KR20160065034A KR20170133795A KR 20170133795 A KR20170133795 A KR 20170133795A KR 1020160065034 A KR1020160065034 A KR 1020160065034A KR 20160065034 A KR20160065034 A KR 20160065034A KR 20170133795 A KR20170133795 A KR 20170133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bject side
here
concave
following ex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0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19650B1 (en
Inventor
장동혁
박성재
Original Assignee
오필름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필름코리아(주) filed Critical 오필름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60065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650B1/en
Priority to CN201610945470.4A priority patent/CN106597637B/en
Publication of KR20170133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7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6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05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having F-Theta characteristi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3Align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7/005Motorised align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01/00Compositions: ceramic
    • Y10S501/90Optical glass, e.g. silent on refractive index and/or ABBE nu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module. The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ens, a second lens, a third lens, a fourth lens, a fifth lens, and a sixth lens arranged in order from an object side to an image side. The first lens has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 convex object side, and a concave image side. The second lens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 convex object side, and a convex image side. The third lens and the fourth lens have a refractive power. The fifth lens has a refractive power, a concave object side, and a convex image side. The object side of the fifth lens has two or more inflection points when viewed from a cross section including an optical axis. The sixth lens has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 concave object side, and a convex image side.

Description

렌즈 모듈 {Lens Module}A lens module {Lens Module}

본 발명은 렌즈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6매의 렌즈로 구성되며 고해상도 고화각을 구현할 수 있는 초소형 광학계를 갖는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ns module having a micro-optical system which is composed of six lenses and can realize a high resolution high angle of view.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용 카메라는 렌즈 모듈과 촬상 소자를 포함한다.Generally, a camera for a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lens module and an imaging device.

여기서, 렌즈 모듈은 다수의 렌즈를 포함하며, 다수의 렌즈 피사체의 상을 촬상 소자로 투사하는 광학계를 구성한다. 그리고 촬상 소자는 CCD 등의 소자가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1.4 ㎛ 이상의 픽셀 크기를 갖는다.Here, the lens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lenses and constitutes an optical system for projecting images of a plurality of lens subjects onto an image pickup element. An element such as a CCD is used as the imaging element, and typically has a pixel size of 1.4 μm or more.

그런데 휴대용 단말기의 크기와 카메라의 크기가 점차 작아짐에 따라 촬상 소자의 픽셀 크기가 1.12 ㎛ 이하로 축소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조건에서도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는 2.3 이하의 낮은 F 넘버를 갖는 렌즈 모듈의 개발이 필요해 지고 있다.However, as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ize of the camera gradually become smaller, the pixel size of the image pickup device is reduced to 1.12 μm or less, and accordingly, a lens module having a low F number of 2.3 or less Is required.

KR10-1504033 B1KR10-1504033 B1 KR10-1504062 B1KR10-1504062 B1 KR10-1452150 B1KR10-1452150 B1 US8743483 B2US8743483 B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해상도 및 넓은 화각을 갖는 초소형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iniature lens module having a high resolution and a wide angle of vie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물체 측에서 상 측으로 순서대로 배치된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제4 렌즈, 제5 렌즈 및 제6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볼록한 물체 측면과 오목한 상 측면을 갖고, 상기 제2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볼록한 물체 측면과 볼록한 상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3 렌즈 및 제4 렌즈는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5 렌즈는 굴절력을 갖고, 오목한 물체 측면과 볼록한 상 측면을 갖고, 상기 제5 렌즈의 물체 측면은 광축을 포함하는 단면에서 바라볼 때 2개 이상의 변곡점을 가지며, 상기 제6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오목한 물체 측면과 볼록한 상 측면을 가지며, 하기 [식 1]을 만족한다. 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ens, a second lens, a third lens, a fourth lens, a fifth lens, and a sixth lens arranged in order from the object side to the image side, 1 lens has negative refracting power, and has a convex object side and a concave upper side, the second lens has positive refracting power, has a convex object side and a convex upper side, and the third lens and the fourth lens have a refracting power Wherein the fifth lens has a refracting power, has a concave object side and a convex upper side, the object side of the fifth lens has two or more inflection points when viewed from a cross section including an optical axis, Has a concave object side surface and a convex image side surface, and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 (1).

[식 1] -35 < f1/f < -16 [Equation 1] -35 <f 1 / f <-16

여기서, f는 전체 렌즈 모듈의 초점 거리이고, f1은 상기 제1 렌즈의 초점 거리이다. Here, f is the focal length of the entire lens module, and f 1 is the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상기 제5 렌즈의 물체 측면은 광축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변곡점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bject side surface of the fifth lens may include an inflection point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ptical axis.

하기 [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The following expression (2) can be satisfied.

[식 2] |f5/f| > 80[Formula 2] | f 5 / f | > 80

여기서, f는 전체 렌즈 모듈의 초점 거리이고, f5은 상기 제5 렌즈의 초점 거리이다. Here, f is the focal length of the entire lens module, and f 5 is the focal length of the fifth lens.

상기 제6 렌즈의 오목한 물체 측면은 광축 상에 형성된 제1 만곡부와, 상기 광축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제2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cave object side surface of the sixth lens may include a first curved portion formed on the optical axis and a second curved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separated from the optical axi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제6 렌즈의 볼록한 상 측면은 광축 상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x upper surface of the sixth lens may include a concave portion formed on the optical axis.

상기 제4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오목한 물체 측면과 볼록한 상 측면을 가질 수 있다.The fourth lens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may have a concave object side surface and a convex upper side surface.

하기 [식 3]을 만족할 수 있다.The following expression (3) can be satisfied.

[식 3] V1 - V3 > 25[Formula 3] V 1 - V 3 > 25

여기서, V1은 제1 렌즈의 아베수이고, V3는 제3 렌즈의 아베수이다.Here, V 1 is the Abbe number of the first lens, and V 3 is the Abbe number of the third lens.

하기 [식 4]를 만족할 수 있다.The following expression (4) can be satisfied.

[식 4] V6 - V5 > 34 [Formula 4] V 6 - V 5 > 34

여기서, V6은 제6 렌즈의 아베수이고, V5는 제5 렌즈의 아베수이다.Here, V 6 is the Abbe number of the sixth lens, and V 5 is the Abbe number of the fifth lens.

하기 [식 5]를 만족할 수 있다.The following expression (5) can be satisfied.

[식 5] FOV/T > 15[Equation 5] FOV / T > 15

여기서, FOV는 렌즈 모듈의 화각이고, T는 상기 제1 렌즈의 물체 측면에서 상 면까지의 거리이다.Here, FOV is the angle of view of the lens module, and T is the distance from the object side to the image plane of the first lens.

하기 [식 6]을 만족할 수 있다.The following expression (6) can be satisfied.

[식 6] (R1a - R1b)/(R1a + R1b) < 0.1[Formula 6] (R 1a - R 1b ) / (R 1a + R 1b ) <0.1

여기서 R1a는 상기 제1 렌즈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경이고, R1b는 상기 제1 렌즈의 상 면의 곡률 반경이다. Here, R 1a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object 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and R 1b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ens.

상기 제5 렌즈의 변곡점은 광축 중심으로부터 0.6 내지 0.9 mm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고, 하기 [식 7]을 만족할 수 있다. The inflection point of the fifth lens is located at a distance of 0.6 to 0.9 mm from the center of the optical axis, and can satisfy the following expression (7).

[식 7] -6 < (R5a - R5b)/(R5a + R5b) < 0.2 [Formula 7] -6 < ( R5a - R5b ) / ( R5a + R5b ) < 0.2

여기서 R5a는 상기 제5 렌즈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경이고, R5b는 상기 제5 렌즈의 상 면의 곡률 반경이다. Here, R 5a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object side surface of the fifth lens, and R 5b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image surface of the fifth lens.

하기 [식 8]을 만족할 수 있다.The following Expression 8 can be satisfied.

[식 8] -25 < f1/T < -10[Equation 8] -25 <f 1 / T <-10

여기서, f1은 상기 제1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T는 상기 제1 렌즈의 물체 측면에서 상 면까지의 거리이다. Here, f 1 is the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and T is the distance from the object 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to the image surface.

하기 [식 9]를 만족할 수 있다.The following expression (9) can be satisfied.

[식 9] 70 < | f5/T |< 250[Equation 9] 70 <| f 5 / T | <250

여기서, f5은 상기 제5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T는 상기 제1 렌즈의 물체 측면에서 상 면까지의 거리이다.Where, f 5 is the focal length of the fifth lens, T is the distance to the surface at the object side of the first lens.

상기 제1 렌즈의 물체 측면 방향으로 조리개가 배치될 수 있다.A diaphragm may be disposed in the object side direction of the first lens.

본 발명에 따르면 고해상도의 넓은 화각을 갖는 초소형 렌즈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ry small lens module having a high resolution and a wide angle of view.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실시예의 변조 전달 함수 (MTF: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실시예의 수차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2 실시예의 MTF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4의 제2 실시예의 수차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3 실시예의 MTF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7의 제3 실시예의 수차 그래프이다.
1 is a lens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graph of a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of the first embodiment of FIG.
3 is an aberration graph of the first embodiment of Fig.
4 is a lens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MTF graph of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6 is an aberration graph of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7 is a lens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MTF graph of the third embodiment of FIG.
9 is an aberration graph of the third embodiment of Fig.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se embodiments are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disclosure disclos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비제한적이고 예시적인 제1,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을 도 1, 도 4 및 도 7에 도시하였다. 이하, 도 1의 제1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각 렌즈들의 구성 및 특징에 대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들에도 적용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인 적용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lens modules according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non-limiting an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 Figs. 1, 4 and 7. Fig. Hereinafter, the first embodiment of FIG. 1 will be described as a reference, but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ch lens is also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depending on specific application conditions.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성을 나타내는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물체 측에서 상 측으로 순서대로 배치된 제1 렌즈(11), 제2 렌즈(12), 제3 렌즈(13), 제4 렌즈(14), 제5 렌즈(15) 및 제6 렌즈(16)를 포함한다. 1 showing a lens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ns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ens 11 arranged in order from the object side to an image side, A third lens 13, a fourth lens 14, a fifth lens 15, and a sixth lens 16,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모듈은 6매의 렌즈로 구성된 촬상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렌즈 모듈은 제1 렌즈 내지 제6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렌즈 모듈이 6매의 렌즈로만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모듈은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stop)(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6 렌즈의 상 측 방향으로 광학 필터(IF)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상 면(IP)이 순차적으로 더 형성될 수 있다. The lens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maging optical system composed of six lenses. That is, the lens module may be composed of the first lens to the sixth lens. However, the lens module does not consist of only six lenses, and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s needed. For example, the lens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top S for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Further, an image surface IP including the optical filter IF and the image sensor may be sequentially formed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sixth lens.

따라서, 물체의 이미지는 제1 렌즈 내지 제6 렌즈를 거쳐 이미지 센서가 배치된 상 면(IP)으로 입사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고체촬상소자(CCD; Charged Coupled Device) 및 보상금속반도체(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이미지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mage of the object is formed so as to be incident on the image surface IP on which the image sensor is disposed via the first to sixth lenses. The image sensor may include a Charged Coupled Device (CCD) and a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CMO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images Sensors can be applied.

상기 제1 렌즈 내지 제6 렌즈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제1 렌즈 내지 제6 렌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는 수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to sixth lenses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or a glass material.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sixth lenses may include one or more aspherical surfaces to minimize aberration.

도 1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렌즈(11)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볼록한 물체 측면(11a)과 오목한 상 측면(11b)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렌즈(11)가 부의 굴절력을 갖도록 형성되므로, 전체 렌즈의 시야를 확대할 수 있다. 상기 제1 렌즈(11)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므로, 입사하는 광들을 최소화하여 렌즈 모듈을 통과하게 하게 한다. 제1 렌즈(11)의 부의 굴절률 값이 높을수록 화각이 넓어지나, 지나치게 넓어지면 수차 보정이 어려워 진다. 1, the first lens 11 is formed to have a convex object side surface 11a and a concave upper side surface 11b, which have a negative refractive power. Since the first lens 11 is formed to have a negative refractive power, the field of view of the entire lens can be enlarged. Since the first lens 11 has a negative refractive power, the incident light is minimized to pass through the lens module. The higher the value of the negativ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lens 11, the wider the angle of view, but if it is too wide, the aberration correction becomes difficult.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렌즈(11)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도록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first lens 11 is formed so as to satisfy the following expression (1).

[식 1] -35 < f1/f < -16 [Equation 1] -35 <f 1 / f <-16

여기서, f는 전체 렌즈 모듈의 초점 거리이고, f1은 상기 제1 렌즈의 초점 거리이다. [식 1]은 렌즈 모듈 전체의 초점거리에 대한 제1 렌즈의 초점거리의 비를 나타낸 값이다. 상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원하는 화각(FOV)을 확보하기 어렵고, 하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렌즈의 굴절력이 지나치게 커지게 되어 수차 보정이 어려워진다. Here, f is the focal length of the entire lens module, and f 1 is the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Equation 1] is a value representing the ratio of the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to the focal length of the entire lens module. When the upper limit value is exceeded, it is difficult to secure a desired angle of view (FOV). When the lower limit value is exceeded, the refractive power of the lens becomes excessively large, and aberration correction becomes difficult.

또한, 상기 제1 렌즈(11)는 하기 [식 6]을 만족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lens 11 can satisfy the following expression (6).

[식 6] (R1a - R1b)/(R1a + R1b) < 0.1[Formula 6] (R 1a - R 1b ) / (R 1a + R 1b ) <0.1

여기서 R1a는 상기 제1 렌즈(11)의 물체 측면(11a)의 곡률 반경이고, R1b는 상기 제1 렌즈(11)의 상 측면(11b)의 곡률 반경이다. 위와 같은 제1 렌즈(11a)의 곡률 반경의 비는 제1 렌즈(11a)의 형상을 최적화 하기 위한 조건이 될 수 있다. Here, R 1a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object side surface 11a of the first lens 11, and R 1b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image side surface 11b of the first lens 11. The ratio of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lens 11a as described above can be a condition for optimizing the shape of the first lens 11a.

또한, 상기 제1 렌즈(11)는 하기 [식 8]를 만족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lens 11 can satisfy the following expression (8).

[식 8] -25 < f1/T < -10[Equation 8] -25 <f 1 / T <-10

여기서, f1은 상기 제1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T는 상기 제1 렌즈(11)의 물체 측면(11a)에서 상이 형성되는 면, 즉 상 면(IP)까지의 거리이다. T는 렌즈 모듈을 구성하는 광학계의 전체 전장을 의미하며, T값이 작아질수록 소형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다. Here, f 1 is the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and T is the distance from the object side surface 11a of the first lens 11 to the surface on which the image is formed, that is, the top surface IP. T denotes the total length of the optical system constituting the lens module, and the smaller the T value, the smaller the optical system can be realized.

그러나, T값이 작아진다는 것은 포함할 수 있는 렌즈의 개수가 제한되며, 렌즈 개수가 제한됨에 따라 수차 보정이 더욱 어려워지게 된다. 제1 렌즈의 초점 거리와 전체 광학계의 전장의 비는, 6매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에서 제1 렌즈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조건이 될 수 있으며, 상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원하는 화각을 구현할 수 없고, 하한 값을 미만인 경우 굴절률이 너무 커져 수차 특성이 나빠질 수 있다. However, a smaller T value limits the number of lenses that can be included, and aberration correction becomes more difficult as the number of lenses is limited. The ratio of the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to the total length of the entire optical system may be a condition for optimizing the performance of the first lens in the lens module including six lenses and when the upper limit value is exceeded, If it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value, the refractive index becomes too large and the aberration characteristic may be deteriorated.

상기 제2 렌즈(12)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볼록한 물체 측면(12a)과 볼록한 상 측면(12b)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렌즈(12)는 빛을 모으도록 형성된다. The second lens 12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is formed to have a convex object side face 12a and a convex upper side face 12b. The second lens 12 is formed to collect light.

상기 제3 렌즈(13)는 굴절력을 갖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부의 굴절력을 갖도록 형성되며, 오목한 물체 측면(13a)과 볼록한 상 측면(13b)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3 렌즈(13)는 상의 수차를 보정하는 역할을 한다. The third lens 13 is formed to have a refractive power, and is formed to have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is formed to include a concave object side surface 13a and a convex upper side surface 13b. The third lens 13 serves to correct the aberration of the image.

그리고, 상기 제3 렌즈(13)는 하기 [식 3]을 만족할 수 있다.The third lens 13 can satisfy the following expression (3).

[식 3] V1 - V3 > 25[Formula 3] V 1 - V 3 > 25

여기서, V1은 제1 렌즈(11)의 아베수이고, V3는 제3 렌즈(13) 의 아베수이다. 아베수는 각 렌즈의 재질을 정의하는 조건으로, 상기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광학계의 수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Here, V 1 is the Abbe number of the first lens 11, and V 3 is the Abbe number of the third lens 13. The Abbe number is a condition defining the material of each lens, and by satisfying the above condition, the aberration of the optical system can be minimized.

또한, 제3 렌즈(13)는 1.6 이상의 굴절률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고굴절률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므로, 얇은 두께로 높은 굴절률을 갖는 렌즈를 제공할 수 있다. Further, the third lens 13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6 or more. Since the lens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a lens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with a small thickness can be provided.

상기 제4 렌즈(14)는 굴절력을 갖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오목한 물체 측면(14a)과 볼록한 상 측면(14b)을 가질 수 있다. 제4 렌즈는 렌즈 모듈의 광전 감도를 낮추어 색수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The fourth lens 14 is formed to have a refractive power, preferably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may have a concave object side surface 14a and a convex upper side surface 14b. The fourth lens can minimize the chromatic aberration by lowering the photoelectric sensitivity of the lens module.

상기 제5 렌즈(15)는 굴절력을 갖고, 오목한 물체 측면과 볼록한 상 측면을 갖고, 상기 제5 렌즈의 물체 측면은 광축을 포함하는 단면에서 바라볼 때 2개 이상의 변곡점을 갖는다. 상기 제5 렌즈(15)는 정의 또는 부의 굴절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5 렌즈(15)의 굴절률은 비점수차 특성을 최적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fifth lens 15 has a refracting power, has a concave object side and a convex upper side, and the object side of the fifth lens has two or more inflection points when viewed from a cross section including an optical axis. The fifth lens 15 may be formed to have a positive or negative refractive index,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fth lens 15 may optimize the astigmatism characteristic.

상기 제5 렌즈(15)는 하기 [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The fifth lens 15 can satisfy the following expression (2).

[식 2] |f5/f| > 80[Formula 2] | f 5 / f | > 80

여기서, f는 전체 렌즈 모듈의 초점 거리이고, f5는 상기 제5 렌즈의 초점 거리이다. 상기 식은 렌즈 모듈을 촤적화하기 위한 식으로서, 하한 값 미만인 경우 비점수차 특성이 나빠질 수 있다. Here, f is the focal length of the entire lens module, and f 5 is the focal length of the fifth lens. The above equation is used to reduce the lens module, and if it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value, the astigmatism characteristic may be deteriorated.

또한, 하기 [식 9]를 만족할 수 있다.Further, the following expression (9) can be satisfied.

[식 9] 70 < | f5/T |< 250[Equation 9] 70 <| f 5 / T | <250

여기서, f5은 상기 제5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T는 상기 제1 렌즈의 물체 측면에서 상이 형성되는 면까지의 거리이다. 상기 식은 전체 전장 대비 제5 렌즈의 성능 및 형상을 최적화하는 조건으로, 상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수차 특성이 나빠지며, 하한 값 미만인 경우 렌즈 모듈의 소형화가 어려워진다. Where, f 5 is the focal length of the fifth lens, T is the distance to the surface on which image is formed on the object-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The above equation is a condition for optimizing the performance and shape of the fifth lens with respect to the total electric field. When the upper limit value is exceeded, the aberration characteristic deteriorates. When the lower limit value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value, miniaturization of the lens module becomes difficult .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5 렌즈(15)의 물체 측면(15a)은 광축(X)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변곡점(P1, P2)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object side 15a of the fifth lens 15 may include inflection points P1 and P2 formed at a position separated from the optical axis X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본 명세서에서 변곡점(P1, P2)은 곡률 반경이 변경되는 지점을 의미하며, 광축(X)을 포함하는 단면에서 볼 때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즉, 제5 렌즈(15)의 입체 형상에서는 도 1의 2개의 변곡점은 광축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 배치된 원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inflection points P1 and P2 refer to a point at which the radius of curvature is changed, and are described based on a view in a section including the optical axis X. [ That is, in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fifth lens 15, the two inflection points in Fig. 1 are formed to have a circular shap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ptical axis.

상기 제5 렌즈(15)의 변곡점은 광축 중심으로부터 0.6 내지 0.9 mm 떨어진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5 렌즈(15)의 형상의 최적화를 위한 조건으로, 상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렌즈의 크기가 커지게 되며, 하한 값 미만인 경우 원하는 굴절률을 확보하기 어렵다. The inflection point of the fifth lens 15 may be located 0.6 to 0.9 mm from the center of the optical axis. As a condition for optimizing the shape of the fifth lens 15, when the upper limit value is exceeded, the size of the lens becomes larger, and when it is lower than the lower limit value, it is difficult to secure a desired refractive index.

그리고 상기 제5 렌즈(15)는 하기 [식 7]을 만족할 수 있다. The fifth lens 15 can satisfy the following expression (7).

[식 7] -6 < (R5a - R5b)/(R5a + R5b) < 0.2 [Formula 7] -6 < ( R5a - R5b ) / ( R5a + R5b ) < 0.2

여기서, R5a는 상기 제5 렌즈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경이고, R5b는 상기 제5 렌즈의 상 면의 곡률 반경이다. Here, R 5a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object side surface of the fifth lens, and R 5b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fth lens.

변곡점의 위치와 함께 상기 제5 렌즈의 곡률 반경 조건은, 제5 렌즈의 굴절률과 크기를 최적화하기 위한 조건이 될 수 있다. The curvature radius condition of the fifth lens together with the position of the inflection point may be a condition for optimizing the refractive index and size of the fifth lens.

상기 제6 렌즈(16)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오목한 물체 측면(16a)과 볼록한 상 측면(16b)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6 렌즈(16)의 오목한 물체 측면(16a)은 광축(X) 상에 형성된 제1 만곡부(P4)와, 상기 광축(X)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제2 만곡부(P3, P4)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xth lens 16 may have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may have a concave object side surface 16a and a convex upper side surface 16b. The concave object side surface 16a of the sixth lens 16 has a first curved portion P4 formed on the optical axis X and a second curved portion P3 formed on the optical axis X at a predetermined distance, P4).

상기 제1 만곡부(P4)는 제6 렌즈(16)의 입체 형상에서 광축 상에 형성된 볼록한 지점이고, 상기 제2 만곡부(P3, P4)은 입체 형상으로 볼 때에 광축 둘레에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볼록한 부분일 수 있다. The first curved portion P4 is a convex point formed on the optical axis in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sixth lens 16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s P3 and P4 are convex in the form of a ring around the optical axis Lt; / RTI &gt;

또한, 상기 제6 렌즈(16)의 볼록한 상 측면(16b)은 광축(X) 상에 형성된 오목부(P6)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vex upper surface 16b of the sixth lens 16 may include a concave portion P6 formed on the optical axis X. [

위와 같은 제6 렌즈(16)의 형상은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6 렌즈(16)는 제5 렌즈(15)와의 관계에서 하기 [식 4]를 만족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sixth lens 16 as described above is for optimizing the aber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optical system and the sixth lens 16 can satisfy the following expression 4 in relation to the fifth lens 15.

[식 4] V6 - V5 > 34 [Formula 4] V 6 - V 5 > 34

여기서, V6는 제6 렌즈(16)의 아베수이고, V5는 제5 렌즈(16) 의 아베수이다. 아베수는 각 렌즈의 재질을 정의하는 조건으로, 상기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광학계의 수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Here, V 6 is the Abbe number of the sixth lens 16, and V 5 is the Abbe number of the fifth lens 16. The Abbe number is a condition defining the material of each lens, and by satisfying the above condition, the aberration of the optical system can be minimize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광화각을 갖고 해상도가 우수한 렌즈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초소형 렌즈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ens module having a wide angle of view and excellent resolution. In addition, a very small lens module can be provid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렌즈 모듈은 [식 5]를 만족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lens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atisfy [Expression 5].

[식 5] FOV/T > 15[Equation 5] FOV / T > 15

여기서, FOV는 렌즈 모듈의 화각이고, T는 렌즈 모듈의 전장이다. 상기 식은 렌즈 모듈의 전장에 대한 화각의 비로서, 값이 작아질수록 렌즈 모듈이 커지거나 화각이 작아지는 것을 의미하며, 값이 커질수록 렌즈 모듈이 작아지고 화각이 커짐을 의미한다. 상기 하한 값 미만인 경우, 6매의 렌즈 모듈에서 원하는 화각을 구현할 없다. Here, FOV is the angle of view of the lens module, and T is the total length of the lens module. The smaller the value, the smaller the lens module or the angle of view, and the larger the value, the smaller the lens module and the larger the angle of view. If it is less than the lower limit value, the desired angle of view can not be realized in the six lens modules.

본 발명의 경우 4.85 mm 이하의 전장으로도 대략 80도 이상의 넓은 화각을 갖는 렌즈 모듈을 구현할 수 있어, 성능이 우수한 렌즈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lens module having a wide angle of view of about 80 degrees or more even in the case of an overall length of 4.85 mm or less, thereby realizing a lens module having excellent perform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렌즈(11)의 물체 측면(11a)으로 조리개(S)가 배치될 수 있다. 광학계의 구조는 조리개의 위치에 따라 성능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계 구조에서 제1 렌즈(11)의 물체 측면(11a) 앞에 조리개(S)를 배치함으로써, 수차, 화각 및 MTF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phragm S may be disposed on the object side surface 11a of the first lens 11. The structure of the optical system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diaphragm. By disposing the stop S in front of the object side surface 11a of the first lens 11 in the optical system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erration, the angle of view, and the MTF characteristic can be optimized.

이하에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알아보자.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concrete examples.

이하의 각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비구면은 공지의 [식 10]으로부터 얻어지는 코닉(Conic) 상수(K) 및 비구면 계수(A, B, C, D, E, F, G)를 나타낸다. 그리고 숫자들에서 "E 및 이어지는 숫자"는 10의 거듭제곱을 나타낸다. 일 예로, E-05는 10- 5을 나타낸다. The aspherical surface used in each of the following examples represents the Conic constant K and the aspheric coefficients A, B, C, D, E, F, and G obtained from the known [Expression 10]. And "E and the following number" in the numbers represent the power of 10. For example, E-05 10 - represents a 5.

[식 10][Equation 10]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Z: 렌즈 정점에서부터 광축 방향의 거리 Z: Distance from the lens apex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R: 광축에 수직 방향으로의 거리 (

Figure pat00002
)R: Distanc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
Figure pat00002
)

α: 렌즈의 정점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의 역수 (

Figure pat00003
)α: the reciprocal of the radius of curvature at the apex of the lens (
Figure pat00003
)

K: 코닉 상수K: Kornic constant

A, B, C, D, E, F, G: 비구면 계수A, B, C, D, E, F, G: Aspherical surface coefficient

하기 [표 1] 내지 [표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렌즈 모듈의 수치 예를 나타낸다. 제1 실시예의 렌즈 모듈은 제1 렌즈(11), 제2 렌즈(12), 제3 렌즈(13), 제4 렌즈(14), 제5 렌즈(15) 및 제6 렌즈(16)를 포함하며, 광학 필터(IF)와 상 면(IP)이 상 측면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렌즈(11)의 물체 측면(11a)의 앞에 조리개(S)가 배치된다. The following [Table 1] to [Table 3] show numerical examples of the lens modu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 module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lens 11, a second lens 12, a third lens 13, a fourth lens 14, a fifth lens 15 and a sixth lens 16 And the optical filter IF and the top face IP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upper side. A diaphragm S is disposed in front of the object side surface 11a of the first lens 11.

하기 면 번호는, 도 1에 도시된 렌즈들의 면 번호를 지칭한다. 아래 [표 1]에서 *는 비구면을 나타내며, [표 2]는 제1 렌즈(11) 내지 제6 렌즈(16)의 코닉 상수와 비구면 계수들을 나타낸다. The face numbers below refer to face numbers of the lenses shown in Fig. In the following Table 1, * denotes an aspherical surface, and Table 2 shows the conic constant and aspherical surface coefficients of the first lens 11 to the sixth lens 16.

이하, 본 명세서에서 곡률 반경(R), 두께(t), 초점 거리(f) 단위는 mm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unit of radius of curvature R, thickness t, and focal length f is mm.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렌즈(11)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볼록한 물체 측면(11a)과 오목한 상 측면(11b)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렌즈(12)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볼록한 물체 측면(12a)과 볼록한 상 측면(12b)을 갖는다. 상기 제3 렌즈(13)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오목한 물체 측면(13a)과 오목한 상 측면(13b)을 갖는다. 상기 제4 렌즈(14)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오목한 물체 측면(14a)과 볼록한 상 측면(14b)을 갖는다. 상기 제5 렌즈(15)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오목한 물체 측면(15a)과 볼록한 상 측면(15b)을 갖는다. 그리고, 광축(X)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만큼 떨어진 위치에 단면 상으로 볼 때에 2개의 변곡점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6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에 오목한 물체 측면(16a)과 볼록한 상 측면(16b)을 가지며, 물체 측면(16a)에는 단면을 기준으로 3개의 만곡 부분, 상 측면(16b)에는 1개의 오목 부분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first lens 11 includes a convex object side surface 11a and a concave upper surface side 11b with a negative refractive power. The second lens 12 has a convex object side 12a and a convex upper side 12b with a positive refractive power. The third lens 13 has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concave object side surface 13a and a concave upper side surface 13b. The fourth lens 14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concave object side surface 14a and a convex upper side surface 14b. The fifth lens 15 has a negative refracting power and has a concave object side surface 15a and a convex upper surface 15b. It has two inflection points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ptical axis X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ixth lens has a negative refracting power and has a concave object side surface 16a and a convex upper side surface 16b when viewed as a whole. The object side surface 16a is provided with three curved portions on the basis of a cross section, ) Includes one concave portion.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 Fno가 2이고, 화각(FOV)은 80.43 도이다. 그리고, [표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실시예는 상세한 설명의 [식 1] 내지 [식 9]를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F no is 2, field of view (FOV) is 80.43 degrees. Referring to [Table 3],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embodiment satisfies [Expression 1] to [Expression 9] in the detailed description.

즉, 제1 실시예의 경우, 우수한 광학 특성의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짧은 광학계의 전장을 구현하면서도, 우수한 광학 특성을 갖는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That is,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a lens module having excellent optical characteristics is provided. It can be seen that a lens module having excellent optical characteristics is provided while realizing a short optical system.

도 2는 제1 실시예의 MTF그래프로서, 이미지를 여러 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각각의 구간별 MTF 그래프를 표현한 것이다. 각 구간에서의 공간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도는 비교적 완만한 기울기로 저하되었다. 제1 실시예의 경우, 최종 공간주파수에 대하여 최대 0.1 정도로 반응도가 떨어져 비교적 선명한 상을 구현하는 것을 알 수 있다.2 is an MTF graph of the first embodiment, in which an imag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an MTF graph of each section is expressed. As the spatial frequency in each section increased, the response decreased to a relatively gentle slope.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response is as low as about 0.1 at the final spatial frequency, resulting in a relatively clear image.

또한, 도 3은 제1 실시예의 구면 수차, 비점 수차 및 왜곡 수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는 각종 수차 특성이 우수한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3 is a graph showing spherical aberration, astigmatism, and distortion aber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embodiment provides a lens module having various aberration characteristics.

하기 [표 4] 내지 [표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렌즈 모듈의 수치 예를 나타낸다. 제2 실시예의 렌즈 모듈은 제1 렌즈(21), 제2 렌즈(22), 제3 렌즈(23), 제4 렌즈(24), 제5 렌즈(25) 및 제6 렌즈(26)를 포함하며, 광학 필터(IF)와 상 면(IP)이 상 측면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렌즈(21)의 물체 측면(21a)의 앞에 조리개(S)가 배치된다. The following [Table 4] to [Table 6] show numerical examples of the lens modul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 module of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first lens 21, a second lens 22, a third lens 23, a fourth lens 24, a fifth lens 25 and a sixth lens 26 And the optical filter IF and the top face IP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upper side. A diaphragm S is disposed in front of the object side surface 21a of the first lens 21.

하기 면 번호는, 도 4에 도시된 렌즈들의 면 번호를 지칭한다. 아래 [표 4]에서 *는 비구면을 나타내며, [표 5]는 제1 렌즈(21) 내지 제6 렌즈(26)의 코닉 상수와 비구면 계수들을 나타낸다. The face number below refers to the face number of the lenses shown in Fig. In Table 4, * denotes an aspherical surface, and Table 5 shows the conic constant and aspherical surface coefficients of the first lens 21 to the sixth lens 26. [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렌즈(21)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볼록한 물체 측면(21a)과 오목한 상 측면(21b)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렌즈(22)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볼록한 물체 측면(22a)과 볼록한 상 측면(22b)을 갖는다. 상기 제3 렌즈(23)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오목한 물체 측면(23a)과 오목한 상 측면(23b)을 갖는다. 상기 제4 렌즈(24)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오목한 물체 측면(24a)과 볼록한 상 측면(24b)을 갖는다. 상기 제5 렌즈(25)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오목한 물체 측면(25a)과 볼록한 상 측면(25b)을 갖는다. 그리고, 광축(X)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만큼 떨어진 위치에 단면 상으로 볼 때에 2개의 변곡점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6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에 오목한 물체 측면(26a)과 볼록한 상 측면(26b)을 가지며, 물체 측면(26a)에는 단면을 기준으로 3개의 만곡 부분, 상 측면(26b)에는 1개의 오목 부분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lens 21 includes a convex object side surface 21a and a concave upper surface side 21b with a negative refractive power. The second lens 22 has a convex object side surface 22a and a convex upper side surface 22b with a positive refractive power. The third lens 23 has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concave object side surface 23a and a concave upper side surface 23b. The fourth lens 24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concave object side surface 24a and a convex upper side surface 24b. The fifth lens 25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concave object side surface 25a and a convex upper side surface 25b. It has two inflection points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ptical axis X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ixth lens has a negative refracting power and has a concave object side surface 26a and a convex upper side surface 26b when viewed as a whole. Three curved portions are formed on the object side surface 26a, ) Includes one concave portion.

상기 제 실시예의 경우 Fno가 2.13이고, 화각(FOV)은 79.82 도이다. 그리고, [표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실시예는 상세한 설명의 [식 1] 내지 [식 9]를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F no is 2.13, angle of view (FOV) is 79.82 degrees. Referring to Table 6,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embodiment satisfies [Expression 1] to [Expression 9] in the detailed description.

즉, 제2 실시예의 경우, 우수한 광학 특성의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짧은 광학계의 전장을 구현하면서도, 우수한 광학 특성을 갖는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a lens module with excellent optical characteristics is provided. It can be seen that a lens module having excellent optical characteristics is provided while realizing a short optical system.

도 5는 제2 실시예의 MTF그래프로서, 이미지를 여러 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각각의 구간별 MTF 그래프를 표현한 것이다. 각 구간에서의 공간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도는 비교적 완만한 기울기로 저하되었다. 제2 실시예의 경우, 최종 공간주파수에 대하여 최대 0.1 정도로 반응도가 떨어져 비교적 선명한 상을 구현하는 것을 알 수 있다.5 is an MTF graph of the second embodiment, in which an imag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and an MTF graph of each section is expressed. As the spatial frequency in each section increased, the response decreased to a relatively gentle slope.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response is as low as about 0.1 at the final spatial frequency, resulting in a relatively clear image.

또한, 도 6은 제2 실시예의 구면 수차, 비점 수차 및 왜곡 수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는 각종 수차 특성이 우수한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6 is a graph showing spherical aberration, astigmatism, and distortion aber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embodiment provides a lens module having various aberration characteristics.

하기 [표 7] 내지 [표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렌즈 모듈의 수치 예를 나타낸다. 제3 실시예의 렌즈 모듈은 제1 렌즈(31), 제2 렌즈(32), 제3 렌즈(33), 제4 렌즈(34), 제5 렌즈(35) 및 제6 렌즈(36)를 포함하며, 광학 필터(IF)와 상 면(IP)이 상 측면으로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렌즈(31)의 물체 측면(31a)의 앞에 조리개(S)가 배치된다. The following [Table 7] to [Table 9] show numerical examples of the lens module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 module of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first lens 31, a second lens 32, a third lens 33, a fourth lens 34, a fifth lens 35 and a sixth lens 36 And the optical filter IF and the top face IP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upper side. A diaphragm S is disposed in front of the object side surface 31a of the first lens 31. [

하기 면 번호는, 도 7에 도시된 렌즈들의 면 번호를 지칭한다. 아래 [표 4]에서 *는 비구면을 나타내며, [표 8]은 제1 렌즈(31) 내지 제6 렌즈(36)의 코닉 상수와 비구면 계수들을 나타낸다. The face numbers below refer to the face numbers of the lenses shown in Fig. In Table 4 below, * denotes an aspherical surface, and Table 8 shows the conic constant and aspherical surface coefficients of the first lens 31 to the sixth lens 36.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2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렌즈(31)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볼록한 물체 측면(31a)과 오목한 상 측면(31b)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렌즈(32)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볼록한 물체 측면(32a)과 볼록한 상 측면(32b)을 갖는다. 상기 제3 렌즈(33)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오목한 물체 측면(33a)과 오목한 상 측면(33b)을 갖는다. 상기 제4 렌즈(34)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오목한 물체 측면(34a)과 볼록한 상 측면(34b)을 갖는다. 상기 제5 렌즈(35)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오목한 물체 측면(35a)과 볼록한 상 측면(35b)을 갖는다. 그리고, 광축(X)으로부터 기설정된 간격만큼 떨어진 위치에 단면 상으로 볼 때에 2개의 변곡점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6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에 오목한 물체 측면(36a)과 볼록한 상 측면(36b)을 가지며, 물체 측면(36a)에는 단면을 기준으로 3개의 만곡 부분, 상 측면(36b)에는 1개의 오목 부분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first lens 31 includes a convex object side surface 31a and a concave upper surface side 31b with a negative refractive power. The second lens 32 has a convex object side surface 32a and a convex upper side surface 32b with a positive refractive power. The third lens 33 has a negative refracting power and has a concave object side surface 33a and a concave upper surface 33b. The fourth lens 34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concave object side surface 34a and a convex upper side surface 34b. The fifth lens 35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concave object side 35a and a convex upper side 35b. It has two inflection points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ptical axis X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ixth lens has a negative refracting power and has a concave object side surface 36a and a convex upper side surface 36b when viewed as a whole. The object side surface 36a is provided with three curved portions, ) Includes one concave portion.

상기 제 실시예의 경우 Fno가 2.13이고, 화각(FOV)은 83.71 도이다. 그리고, [표 9]를 참조하면, 상기 제3 실시예는 상세한 설명의 [식 1] 내지 [식 9]를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F no is 2.13, angle of view (FOV) is 83.71 degrees. Referring to Table 9, it can be seen that the third embodiment satisfies [Expression 1] to [Expression 9] in the detailed description.

즉, 제3 실시예의 경우, 우수한 광학 특성의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짧은 광학계의 전장을 구현하면서도, 우수한 광학 특성을 갖는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That is,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a lens module having excellent optical characteristics is provided. It can be seen that a lens module having excellent optical characteristics is provided while realizing a short optical system.

도 8은 제3 실시예의 MTF그래프로서, 이미지를 여러 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각각의 구간별 MTF 그래프를 표현한 것이다. 각 구간에서의 공간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반응도는 비교적 완만한 기울기로 저하되었다. 제3 실시예의 경우, 최종 공간주파수에 대하여 최대 0.1 정도로 반응도가 떨어져 비교적 선명한 상을 구현하는 것을 알 수 있다.FIG. 8 is an MTF graph of the third embodiment, in which an image is divided into several sections and an MTF graph for each section is expressed. As the spatial frequency in each section increased, the response decreased to a relatively gentle slope. 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response is as low as about 0.1 at the final spatial frequency, resulting in a relatively clear image.

또한, 도 9는 제3 실시예의 구면 수차, 비점 수차 및 왜곡 수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는 각종 수차 특성이 우수한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9 is a graph showing spherical aberration, astigmatism, and distortion aber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Referring to FIG. 9, it can be seen that the third embodiment provides a lens module having various aberration characteristics.

X: 광축
11, 21, 31: 제1 렌즈
12, 22, 32: 제2 렌즈
13, 23, 33: 제3 렌즈
14, 24, 34: 제4 렌즈
15, 25, 35: 제1 렌즈
16, 26, 36: 제1 렌즈
IF: 광학 필터
IP: 상 면
X: optical axis
11, 21, 31: a first lens
12, 22, 32: a second lens
13, 23, 33: Third lens
14, 24, 34: fourth lens
15, 25, 35: first lens
16, 26, 36: a first lens
IF: Optical filter
IP: Top

Claims (14)

물체 측에서 상 측으로 순서대로 배치된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제4 렌즈, 제5 렌즈 및 제6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볼록한 물체 측면과 오목한 상 측면을 갖고,
상기 제2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볼록한 물체 측면과 볼록한 상 측면을 가지며,
상기 제3 렌즈 및 제4 렌즈는 굴절력을 갖고,
상기 제5 렌즈는 굴절력을 갖고, 오목한 물체 측면과 볼록한 상 측면을 갖고, 상기 제5 렌즈의 물체 측면은 광축을 포함하는 단면에서 바라볼 때 2개 이상의 변곡점을 가지며,
상기 제6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오목한 물체 측면과 볼록한 상 측면을 가지며,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식 1] -35 < f1/f < -16
여기서, f는 전체 렌즈 모듈의 초점 거리이고, f1은 상기 제1 렌즈의 초점 거리이다.
A first lens, a second lens, a third lens, a fourth lens, a fifth lens, and a sixth lens arranged in order from the object side to the image side,
Wherein the first lens has a negative refracting power and has a convex object side and a concave upper side,
The second lens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has a convex object side and a convex upper side,
The third lens and the fourth lens have a refractive power,
Wherein the fifth lens has a refracting power, has a concave object side and a convex upper side, the object side of the fifth lens has two or more inflection points when viewed from a cross section including an optical axis,
Wherein the sixth lens has a nega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concave object side and a convex upper side, and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 (1).
[Equation 1] -35 <f 1 / f <-16
Here, f is the focal length of the entire lens module, and f 1 is the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렌즈의 물체 측면은 광축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변곡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object side surface of the fifth lens includes an inflection point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ptical axis.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식 2] |f5/f| > 80
여기서, f는 전체 렌즈 모듈의 초점 거리이고, f5는 상기 제1 렌즈의 초점 거리이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 (2).
[Formula 2] | f 5 / f | > 80
Here, f is the focal length of the entire lens module, and f 5 is the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렌즈의 오목한 물체 측면은 광축 상에 형성된 제1 만곡부와, 상기 광축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제2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cave object side surface of the sixth lens includes a first curved portion formed on the optical axis and a second curved portion formed at a position separated from the optical axi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렌즈의 볼록한 상 측면은 광축 상에 형성된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convex upper side of the sixth lens includes a concave portion formed on the optical axi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고, 오목한 물체 측면과 볼록한 상 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ourth lens has a positive refractive power and has a concave object side surface and a convex upper side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식 3] V1 - V3 > 25
여기서, V1은 제1 렌즈의 아베수이고, V3는 제3 렌즈의 아베수이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 (3).
[Formula 3] V 1 - V 3 > 25
Here, V 1 is the Abbe number of the first lens, and V 3 is the Abbe number of the third lens.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식 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식 4] V6 - V5 > 34
여기서, V6은 제6 렌즈의 아베수이고, V5는 제5 렌즈의 아베수이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 (4).
[Formula 4] V 6 - V 5 > 34
Here, V 6 is the Abbe number of the sixth lens, and V 5 is the Abbe number of the fifth lens.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식 5]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식 5] FOV/T > 15
여기서, FOV는 렌즈 모듈의 화각이고, T는 상기 제1 렌즈의 물체 측면에서 상 면까지의 거리이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 (5).
[Equation 5] FOV / T > 15
Here, FOV is the angle of view of the lens module, and T is the distance from the object side to the image plane of the first lens.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식 6]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식 6] (R1a - R1b)/(R1a + R1b) < 0.1
여기서 R1a는 상기 제1 렌즈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경이고, R1b는 상기 제1 렌즈의 상 면의 곡률 반경이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6): &quot; (6) &quot;
[Formula 6] (R 1a - R 1b ) / (R 1a + R 1b ) <0.1
Here, R 1a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object 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and R 1b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e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렌즈의 변곡점은 광축 중심으로부터 0.6 내지 0.9 mm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며, 하기 [식 7]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식 7] - 6 < (R5a - R5b)/(R5a + R5b) < 0.2
여기서 R5a는 상기 제5 렌즈의 물체 측면의 곡률 반경이고, R5b는 상기 제5 렌즈의 상 면의 곡률 반경이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flection point of the fifth lens is located at a distance of 0.6 to 0.9 mm from the center of the optical axis, and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 (7).
R5a - R5b / R5a + R5b < 0.2 <
Here, R 5a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object side surface of the fifth lens, and R 5b is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image surface of the fifth lens.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식 8]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식 8] -25 < f1/T < -10
여기서, f1은 상기 제1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T는 상기 제1 렌즈의 물체 측면에서 상 면까지의 거리이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 (8).
[Equation 8] -25 <f 1 / T <-10
Here, f 1 is the focal length of the first lens, and T is the distance from the object 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to the image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 [식 9]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식 9] 70 < | f5/T |< 250
여기서, f5은 상기 제5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T는 상기 제1 렌즈의 물체 측면에서 상 면까지의 거리이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 (9).
[Equation 9] 70 <| f 5 / T | <250
Where, f 5 is the focal length of the fifth lens, T is the distance to the surface at the object side of the first le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의 물체 측면 방향으로 조리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aphragm is disposed in a direction of an object side surface of the first lens.
KR1020160065034A 2016-05-26 2016-05-26 Lens Module KR1018196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034A KR101819650B1 (en) 2016-05-26 2016-05-26 Lens Module
CN201610945470.4A CN106597637B (en) 2016-05-26 2016-11-02 Eyeglass mould gro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5034A KR101819650B1 (en) 2016-05-26 2016-05-26 Lens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795A true KR20170133795A (en) 2017-12-06
KR101819650B1 KR101819650B1 (en) 2018-01-17

Family

ID=58590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034A KR101819650B1 (en) 2016-05-26 2016-05-26 Lens Modu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19650B1 (en)
CN (1) CN106597637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26488B (en) 2017-03-28 2018-06-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Photographing optical lens assembly, image capturing unit and electronic device
TWI616700B (en) 2017-04-17 2018-03-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Optical image capturing lens assembly, imag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102102633B1 (en) * 2019-04-12 2020-04-22 주식회사 세코닉스 Small photographing wide angle lens system
JP6854576B2 (en) 2019-06-10 2021-04-07 カンタツ株式会社 Imaging lens
WO2021003721A1 (en) * 2019-07-10 2021-01-14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Optical imaging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CN113050256B (en) * 2021-04-28 2022-08-09 天津欧菲光电有限公司 Optical lens, camera module, electronic equipment and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0615A (en) * 1997-11-25 1999-06-18 Konica Corp Large-diameter lens
WO2014013677A1 (en) * 2012-07-18 2014-01-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Imaging lens, and imaging device equipped with imaging lens
TWI438521B (en) * 2012-10-02 2014-05-21 Largan Precision Co Ltd Image system lens assembly
KR101539845B1 (en) * 2013-06-25 2015-07-27 삼성전기주식회사 Lens module
JP2015022145A (en) * 2013-07-19 2015-02-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Image capturing lens and image capturing device having the same
TWI519810B (en) * 2013-10-03 2016-02-01 光燿科技股份有限公司 Wide angle optical lens system
TWI480574B (en) * 2014-01-24 2015-04-11 Largan Precision Co Ltd Image capturing lens assembly, image captur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97637A (en) 2017-04-26
CN106597637B (en) 2019-04-05
KR101819650B1 (en) 201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261B1 (en) Optical system
KR102009431B1 (en) Optical system
KR101819650B1 (en) Lens Module
KR101834729B1 (en) Wide angle lens and imag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1652849B1 (en) Lens module
CN107065143B (en) Lens module
KR101933422B1 (en) Optical system
KR20180076742A (en) Optical system
KR101719876B1 (en) Optical system
KR101882990B1 (en) Imaging Lens System
JP5096226B2 (en) Wide angle lens
KR101820952B1 (en) Imaging Lens System
KR20170018624A (en) Imaging Lens System
KR20160019236A (en) Photographic Lens Optical System
KR20160068330A (en) Lens module
KR20160025868A (en) Optical system
KR20140089005A (en) Imaging lens system
KR101729470B1 (en) Photographic Lens Optical System
KR20150053682A (en) Lens module
KR101710320B1 (en) Photographic Lens Optical System
KR20180059396A (en) Optical system
KR102378519B1 (en) Single focus lens and photographing lens having the same
KR101670136B1 (en) Optical system
KR102430178B1 (en) Optical system
KR102448595B1 (en) Optica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