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184A - 광섬유 검사기 - Google Patents

광섬유 검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3184A
KR20170133184A KR1020160064336A KR20160064336A KR20170133184A KR 20170133184 A KR20170133184 A KR 20170133184A KR 1020160064336 A KR1020160064336 A KR 1020160064336A KR 20160064336 A KR20160064336 A KR 20160064336A KR 20170133184 A KR20170133184 A KR 20170133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light
module
adapter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티
이상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티, 이상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티
Priority to KR1020160064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3184A/ko
Publication of KR20170133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1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a modulation of one or mor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dur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e.g. electro-reflec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a modulation of one or mor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dur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e.g. electro-reflectance
    • G01N2021/1725Modulation of properties by light, e.g. photoreflec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38Optionally different kinds of measurements; Method being valid for different kinds of measurement
    • G01N2021/1742Optionally different kinds of measurements; Method being valid for different kinds of measurement either absorption or refl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01N2021/177Detector of the video camera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 검사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광원으로부터 광섬유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광섬유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손실량을 측정하는 삽입손실 측정 모듈;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섬유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광섬유로부터 반사되어 출사되는 광의 반사량을 측정하는 반사손실 측정 모듈;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섬유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광섬유의 연결상태 또는 표면상태를 측정하는 광섬유 발광 모듈; 상기 광섬유의 단면을 촬영하는 광섬유 촬영 모듈; 및 상기 삽입손실 측정 모듈, 반사손실 측정 모듈, 광섬유 발광 모듈 및 광섬유 촬영 모듈 사이의 전환이 가능한 모듈 전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기기로 광섬유의 단면 촬영뿐만 아니라 광섬유에 광을 조사하여 조사된 광의 삽입손실, 반사손실 또는 광섬유의 손상부위 등까지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하도록 소형화되어, 현장에서 발생하는 광섬유 관련문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하기가 용이하다.

Description

광섬유 검사기{Optical Fiber Insp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광섬유 검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섬유가 내장되어 있는 광케이블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광섬유 검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통신(Optical Communication)은 반도체 레이저 또는 발광 다이오드의 빛에 신호를 실어 광섬유 광케이블을 통해서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전기 신호로 복귀시키는 통신 시스템이다. 그리고 광섬유 검사기는 광섬유의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광섬유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일종의 계측기이다.
광통신은 종래의 동(copper)과 같은 금속 매체에 의한 통신 시스템에 비해 전송용량이 매우 크고, 전자파장애(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가 전혀 발생하지 않으며, 부피에 비해 무게가 작다는 점 등 많은 장점이 있다.
특히 광통신의 전송용량이 매우 크다는 점에 기해, 광통신은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의 키워드로 자리매김해 나가고 있다.
또한 인터넷 망의 보급률 증가와 회선당 속도의 증가로 인하여 IDC(Integrated Data Center)의 집중화와 대형화가 점점 가속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IDC의 추가 건설 이외에, IDC 내의 집선 장치의 단위 면적당 광섬유 수용능력(Capacity)을 증가시키는 방안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다심형 광케이블의 경우 복수 개(예컨대, 12개(12 core) 이상)의 광섬유 수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다심형 광케이블을 서버 등과 같은 장비와 연결하기 위한 다심형 커넥터 중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MPO(Multifiber Push On) 등을 현장 및 IDC 등에서 원할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다심형 광케이블의 특성 및 상태를 빠르고 간편하게 측정 또는 확인할 수 있는 계측장비가 필요하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72858호(2015.11.24. 등록)는 휴대용 와이파이 광섬유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광섬유의 단면을 촬영한 영상을 와이파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스마트기기 스마트기기와 실시간으로 통신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72858호는 광섬유 단면만을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광섬유는 촬영이 불가능한 부분이 항상 존재하기 마련이고, 촬영만으로 광섬유의 광통신 수행 능력을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572858 B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섬유의 단면 촬영뿐만 아니라 광섬유에 광을 조사하여 조사된 광의 삽입손실, 반사손실 또는 광섬유의 손상부위 등까지 하나의 기기로 확인할 수 있는 광섬유 검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가 가능하도록 소형화하여 현장에서 발생하는 광섬유 관련문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하기 위한 광섬유 검사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는, 광원으로부터 광섬유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광섬유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손실량을 측정하는 삽입손실 측정 모듈;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섬유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광섬유로부터 반사되어 출사되는 광의 반사량을 측정하는 반사손실 측정 모듈;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섬유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광섬유의 연결상태 또는 표면상태를 측정하는 광섬유 발광 모듈; 상기 광섬유의 단면을 촬영하는 광섬유 촬영 모듈; 및 상기 삽입손실 측정 모듈, 반사손실 측정 모듈, 광섬유 발광 모듈 및 광섬유 촬영 모듈 사이의 전환이 가능한 모듈 전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의 일부에 설치되고, 상기 광섬유의 양단이 광학적 또는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어댑터;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광이 조사되는 광원; 상기 몸체의 일부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손실 측정 모듈 또는 상기 반사손실 측정 모듈 또는 상기 광섬유 검사 모듈을 통해 측정한 값이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몸체의 일부에 설치되고, 어느 한 어댑터에 접속된 광섬유를 분리시킬 필요없이 각종 측정 모듈 또는 측정 모드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모듈 전환 스위치에 신호를 보내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다심 광케이블이 접속가능한 다심어댑터; 및 단심 광케이블이 접속가능한 단심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광섬유 발광 모듈을 통해 조사되는 광이 가시광선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에 있어서, 상기 삽입손실 측정 모듈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광섬유의 일단에 입사되는 광의 양과 상기 광섬유의 타단에서 출사되는 광의 양을 측정하여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에 있어서, 상기 반사손실 측정 모듈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광섬유의 일단에 입사되는 광의 양과 상기 광섬유 내부에서 반사되어 다시 상기 광섬유의 일단으로 출사되는 광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발광 모듈은 상기 광섬유의 발광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섬유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광섬유는 외부에 피복이 배치되며, 상기 피복은 상기 광섬유의 발광을 사용자가 확인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발광 모듈은, 상기 광섬유가 일부에 절단이나 스크래치 또는 크랙이 발생한 경우, 상기 광섬유의 절단부위나 스크래치부위 또는 크랙부위에서 발광되는 광도가 주위와 상대적으로 차이가 발생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광원이 상기 광섬유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발광 모듈은, 상기 광섬유가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되었을 경우,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내부에 어댑터에 접속된 상기 광섬유의 일단을 촬영하는 제1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 촬영 모듈은, 상기 제1카메라를 통해 단면의 모습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삽입손실 측정 모듈, 상기 반사손실 측정 모듈, 상기 광섬유 발광 모듈 또는 상기 광섬유 촬영 모듈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USB에 저장할 수 있도록 USB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의 전자기기와 공유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부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 또는 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 거치 또는 분리가능한 프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는, 다른 전자기기의 어댑터에 삽입가능한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 배치된 제2카메라; 및 상기 몸체의 일측에 거치되고, 상기 몸체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카메라를 통해 상기 다른 전자기기의 어댑터 내부의 촬영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기기로 광섬유의 단면 촬영뿐만 아니라 광섬유에 광을 조사하여 조사된 광의 삽입손실, 반사손실 또는 광섬유의 손상부위 등까지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하도록 소형화되어, 현장에서 발생하는 광섬유 관련문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하기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의 프로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 제2 ,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광케이블(미도시)에는 광섬유가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광케이블에 내장된 광섬유의 상태를 측정 또는 검사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기 광케이블의 불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1)의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1)의 모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1)의 프로브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1)는 삽입손실 측정 모듈(10), 반사손실 측정 모듈(20), 광섬유 발광 모듈(30), 광섬유 촬영 모듈(40)을 또는 모듈 전환 스위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삽입손실 측정 모듈(10), 반사손실 측정 모듈(20), 광섬유 발광 모듈(30) 또는 광섬유 촬영 모듈(40)을 구현하기 위하여, 몸체(100), 어댑터(200), 광원(300), 디스플레이부(400), 조작부(500) 및 저장부(6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1)를 나타낸 사시도로, 광섬유 검사기(1)가 포함하는 구성들은 그 배치가 도 1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는 제작자의 선택사항으로, 제작자는 각 기능의 구동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포함하는 구성들을 다양하게 배치가능하다.
몸체(100)는 소형화되어있고, 휴대가 가능하다. 그리고 몸체(100)는 도면에 도시된 형상 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가능하다.
몸체(100)의 일측에는 어댑터(200)가 배치될 수 있다. 어댑터(200)에는 광섬유(미도시)를 포함하는 광케이블(미도시)이 끼워진다. 상기 광케이블은 내부에 상기 광섬유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케이블의 양단에는 어댑터(200)에 체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어댑터(200)에 상기 커넥터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광케이블의 광섬유는 몸체와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는 어댑터(200)가 몸체(100)의 측면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어댑터(200)는 몸체(100)의 정면 또는 배면과 같이 다양하게 배치가 가능하다. 아울러, 몸체(100)에 배치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들은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배치가 가능하다.
어댑터(200)는 다심어댑터(210, 230, 240)와 단심어댑터(220, 250)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하고자 하는 광케이블은 광섬유를 복수 개 수용할 수 있다. 예컨대, 어느 한 광케이블은 내부에 12개의 광섬유를 수용하는 다심광케이블일 수 있다. 다심어댑터(210, 230, 240)는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와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복수 개의 광섬유와 대응하는 광섬유가 어댑터(20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다심어댑터(210)는 상기 다심광케이블 내부의 광섬유에 대응하여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작자는 상기 다심광케이블 내부의 광섬유가 원형으로 배치된 경우, 다심어댑터(210, 230, 240) 역시 그와 대응하여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측정하고자 하는 광케이블에 수용되는 광섬유는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단심어댑터(220, 250)는 상기 하나의 광섬유와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하나의 광섬유와 대응하는 광섬유가 어댑터(200)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심어댑터는 제1다심어댑터(210)와 제2다심어댑터(230) 및 제3다심어댑터(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다심어댑터(210)는 상기 광섬유의 일단과 대응하여 상기 광섬유와 접속될 수 있다. 제2다심어댑터(230)와 제3다심어댑터(240)는 상기 광섬유의 타단과 대응하여 상기 광섬유와 접속될 수 있다. 이때, 제2다심어댑터(230)와 제3다심어댑터(240)는 후술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모듈에 따라 상기 광섬유의 타단이 접속될 수 있다.
단심어댑터는 제1단심어댑터(220)와 제2단심어댑터(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단심어댑터(220)와 제2단심어댑터(250)는 상기 광섬유의 타단과 대응하여 상기 광섬유와 접속될 수 있다. 이때, 제1단심어댑터(220)와 제2단심어댑터(250)는 후술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모듈에 따라 상기 광섬유의 타단이 접속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광섬유가 포함된 광케이블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광케이블의 양단에 설치된 상기 커넥터를 어댑터(200)에 체결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광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을 제1다심어댑터(210)에 삽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케이블의 타단을 제2다심어댑터(230), 제3다심어댑터(230), 제1단심어댑터(220) 또는 제2단심어댑터에 삽입시킬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이 연결되는 어댑터(200)가 단심어댑터(미도시)로 형성되고, 상기 단심어댑터에 단심광케이블(미도시)이 접속될 수 있다.
몸체(100)는 내부에 광원(300)이 수용될 수 있다. 광원(300)은 어댑터(200)에 장착된 광케이블(미도시)의 광섬유(미도시)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몸체(100)의 일측에는 디스플레이부(400)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0)는 후술하는 삽입손실 측정 모듈(10) 또는 반사손실 측정 모듈(20) 또는 광섬유 촬영 모듈(40)을 통해 측정한 값이나 영상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몸체(100)의 일측에는 조작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500)는 후술하는 각종 측정 모듈 또는 측정 모드를 조작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삽입손실 측정 모듈(10)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손실 측정 모듈(10)은 어댑터(200)에 연결된 광섬유를 통과하는 광 중 손실되는 광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삽입손실 측정 모듈(10)은 광원(300)으로부터 제1다심어댑터(210)에 체결된 광케이블, 즉 상기 광케이블에 수용된 광섬유의 일단에 광을 조사한다. 상기 광섬유의 타단은 상기 광케이블에 수용된 광섬유의 수에 따라 제2다심어댑터(230) 또는 제1단심어댑터(220)에 체결되어 몸체(100)와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광섬유의 일단으로 입사된 광은 상기 광섬유의 타단으로 출사될 수 있다. 몸체(100)에서는 상기 광섬유의 일단으로 조사된 광의 양과, 상기 광섬유의 타단으로 출사된 광의 양을 비교할 수 있다. 예컨대, 몸체(100)는 상기 광의 양을 비교하는 광량측정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광량측정센서는 삽입손실 측정 모듈(10)에 포함될 수 있다.
삽입손실 측정 모듈(10)에 의해 광원(300)이 조사하는 광은 적외선 영역일 수 있다. 예컨대, 광원(300)은 700㎚ 내지 1650㎚의 적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원(300)은 싱글모드에 해당할 때 1310㎚ 또는 1550㎚ 또는 1620㎚의 파장을 갖는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즉, 광원(300)은 어댑터(200)에 연결된 어느 하나의 광섬유의 일단에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1310㎚ 또는 1550㎚ 또는 1620㎚의 파장의 광을 조사가능하다. 또한, 광원(300)은 멀티모드에 해당할 때 850㎚ 또는 1300㎚의 파장을 갖는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광원(300)은 어댑터(200)에 연결된 어느 하나의 광섬유의 일단에 850㎚ 또는 1300㎚의 파장을 갖는 광을 동시에 조사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광이 두 가지의 파장으로 광섬유에 조사되지만, 상기 광량측정센서는 이를 분리하여 각각 측정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반사손실 측정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손실 측정 모듈(20)은 어댑터(200)에 연결된 광섬유에 조사되는 광 중 반사되는 광의 양을 측정할 수 있다. 광원(300)으로부터 제1다심어댑터(210)에 체결된 광케이블, 즉 광섬유의 일단에 광을 조사한다. 상기 광섬유의 타단은 제3다심어댑터(240) 또는 제2단심어댑터(25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섬유의 타단은 몸체(100) 내부와 전기적 또는 광학적인 연결이 차단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광원(300)으로부터 조사된 광은, 상기 광섬유의 일단에 입사되어 상기 광섬유의 타단까지 전달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광섬유의 타단은 차단부재(미도시) 또는 사용자의 설정 등에 의해 몸체(100)와 전기적 또는 광학적인 연결이 차단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전달된 광은 다시 반사되어 상기 광섬유의 일단을 향해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섬유의 일단으로 전달된 광은 입사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출사되어, 몸체(100) 내부의 광량측정센서(미도시)에 의해 광의 양을 측정될 수 있다. 즉, 몸체(100)에서는 상기 광섬유의 일단으로 조사된 광의 양과, 반사되어 다시 상기 광섬유의 일단으로 출사된 광의 양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광량측정센서는 반사손실 측정 모듈(2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광량측정센서는 삽입손실 측정 모듈(10)에 포함된 광량측정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광섬유 발광 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섬유 발광 모듈(30)은 어댑터(200)에 연결된 광섬유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광섬유의 연결상태 또는 표면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광섬유 발광 모듈(30)은 광원(300)으로부터 제1다심어댑터(210)에 체결된 광케이블, 즉 광섬유의 일단에 광을 조사한다. 상기 광섬유의 타단은 제2다심어댑터(230) 또는 제1단심어댑터(220)에 체결되어 몸체(100)와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광섬유, 즉 광케이블(미도시)은 상기 광섬유 외측에 피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섬유는 광원(300)으로부터 광이 조사되면 사방으로 발광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광섬유의 발광을 육안으로 가능하다. 즉, 상기 피복은 상기 광섬유의 발광을 저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피복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상기 광섬유에 절단이나 스크래치 또는 크랙과 같은 문제가 있다면, 상기 광섬유의 절단부위나 스크래치부위 또는 크랙부위는 광원(300)으로부터 조사된 광이 새어나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광섬유의 절단부위나 스크래치부위 또는 크랙부위로부터 새어나오는 광을 육안으로 확인가능하다. 다시 말해, 상기 광섬유는 조사되는 광에 의해 발광하는데, 절단부위나 스크래치부위 또는 크랙부위에서 새어나오는 광은 그 주변의 광도(光度)와 차이가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절단부위나 스크래치부위 또는 크랙부위를 확인 가능하다. 이때, 광원(300)이 조사하는 광은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가시광선 영역의 광일 수 있다. 덧붙이자면, 어댑터(200)에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연결된 상기 광섬유의 길이가 길수록, 광원(30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양이 늘어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광원(30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양을 조절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광원(30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양을 조절하지 않고 미리 정해진 양의 광을 조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광원(300)은 사용자가 상기 광섬유의 길이에 상관없이 상기 광섬유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가능하도록, 상당한 양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한편, 광섬유 발광 모듈(30)은 상기 광섬유가 어댑터(200)로부터 분리된 경우, 광원(30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다. 만약, 자동으로 차단되지 않으면, 사용자는 광원(300)으로부터 조사되어 어댑터(200)로 새어나오는 광에 의해 시력에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광섬유 촬영 모듈(4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섬유 촬영 모듈(40)은 제1카메라(11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0)의 어댑터(200)에 광섬유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어댑터(200)에는 제1카메라(11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카메라(110)는 상기 광섬유의 일단을 촬영하여 디스플레이부(400)에 촬영된 영상을 표시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모듈 전환 스위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 전환 스위치(5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광섬유의 상태를 측정하는 각종 모듈, 즉 삽입손실 측정 모듈(10), 반사손실 측정 모듈(20), 광섬유 발광 모듈(30) 또는 광섬유 촬영 모듈(40) 사이의 모드 전환이 가능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후술하는 조작부(500)의 조작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각종 측정 모듈 또는 측정 모드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모듈 전환 스위치(50)에 신호를 보냄으로써 상기 모듈 사이의 모드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한 어댑터에 접속된 광섬유를 분리시킬 필요없이 각종 측정 모듈 또는 측정 모드의 조작 또는 전환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조작부(500)를 조작하여 모듈 전환 스위치(50)를 통해 광섬유 촬영 모듈(40)로 전환시키면, 몸체(100) 내부에 수용된 제1카메라(110)는 어댑터(200)에 접속된 상기 광섬유의 단면을 촬영가능하다. 이때, 어댑터(200)는 제1 내지 제3다심어댑터(210, 230, 240)일 수도 있고, 제1 내지 제2단심어댑터(220, 250)일 수도 있다.
다시 몸체(100)를 설명하면, 몸체(10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600)와, USB포트(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600)는 삽입손실 측정 모듈(10), 반사손실 측정 모듈(20), 광섬유 발광 모듈(30) 또는 광섬유 촬영 모듈(40)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USB포트(610)는 사용자가 USB를 삽입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는 저장부(600)에 저장된 데이터를 휴대하고 있는 USB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면(도 4)에는 무선으로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는 유선으로도 상기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 또는 수신을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조작부(500)를 통해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등과 같은 무선 송수신 설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는 프로브(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에 의해 광섬유가 정상으로 판단되더라도, 상기 광섬유가 삽입되어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다른 장비에 이상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른 장비에 정상적인 광섬유로 연결되어도 상기 다른 장비는 작동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브(700)는 상기 다른 장비에 배치된 어댑터 내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로브(700)는 몸체(100)의 일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몸체(100)에 거치 또는 몸체(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프로브(700)는 일측에 삽입부(710)가 돌출될 수 있다. 삽입부(710)의 끝단에는 제2카메라(720)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로브(700)는 일측에 상기 다른 장비의 어댑터에 삽입되어 체결되도록 커넥터(미부호)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의 내부는 삽입부(710)와 제2카메라(720)가 수용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프로브(700)는 제2카메라(720)가 상기 다른 장비의 어댑터 내부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몸체(100)의 디스플레이부(400)에 나타내도록 유선 또는 무선(예컨대,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설정 등)으로 송신이 가능하다.
프로브(700)의 내부에는 배터리(730)가 내장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730)는 프로브(700)가 몸체(100)의 일측에 거치되었을 때 충전가능하다. 예컨대, 프로브(700)와 몸체(100)에 서로 대응하는 충전단자(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충전단자가 서로 접촉하면서 프로브(700)의 배터리(730)는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730)는 프로브(700)가 몸체(100)에 배치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광섬유 검사기(1)에 의해 무선으로 충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사용자는 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광섬유(미도시)를 포함하는 광케이블(미도시)을 어댑터(200)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광케이블의 양단에는 커넥터(미도시)가 배치되어 있고, 어댑터(200)에 삽입됨으로써 몸체(100)와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몸체(100)에 배치된 조작부(500)를 조작하여 광섬유의 상태를 측정하고자하는 모듈을 선택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삽입손실 측정 모듈(10)을 선택한 경우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상기 광케이블이 포함하는 광섬유의 개수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어댑터(200)에 상기 커넥터를 삽입한다. 예컨대, 상기 광케이블이 다심형 광케이블인 경우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은 제1다심어댑터(210)에 삽입하고, 상기 광케이블의 타단은 제2다심어댑터(230)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광케이블의 타단이 분기되어 있다면, 상기 광케이블의 타단을 제1단심어댑터(220)에 삽입한다. 그리고 조작부(500)를 조작하여 광원(300)으로부터 상기 광케이블로 광을 조사한다. 상기 광케이블의 양단은 모두 몸체(100)에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몸체(100) 내부의 광량측정센서는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으로 조사된 광의 양과, 상기 광케이블의 타단으로 출사된 광의 양을 각각 측정하여 그 값을 비교한다. 만약 광량측정센서가 측정한 값이 광원(300)으로부터 조사된 광량의 값과 상기 광케이블의 타단으로 출사된 광량 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값보다 작게 나타난다면, 사용자는 삽입손실이 적은 것으로 보고 상기 광케이블을 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광량측정센서가 측정한 값이 광원(300)으로부터 조사된 광량의 값과 상기 광케이블의 타단으로 출사된 광량 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값보다 크게 나타난다면, 사용자는 삽입손실이 큰 것으로 보고 상기 광케이블을 불량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반사손실 측정 모듈(20)을 선택한 경우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상기 광케이블이 포함하는 광섬유의 개수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어댑터(200)에 상기 커넥터를 삽입한다. 예컨대, 상기 광케이블이 다심형 광케이블인 경우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은 제1다심어댑터(210)에 삽입하고, 상기 광케이블의 타단은 제3다심어댑터(240)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광케이블의 타단이 분기되어 있다면, 상기 광케이블의 타단을 제2단심어댑터(250)에 삽입한다. 그리고 조작부(500)를 조작하여 광원(300)으로부터 상기 광케이블로 광을 조사한다.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은 몸체(100)에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제3다심어댑터(240) 또는 제2단심어댑터(250)는 차단부재(미도시) 등에 의해 광섬유를 통한 광전달이 차단되므로, 상기 광케이블의 타단은 몸체(100)와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광원(300)으로부터 조사된 광은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에 입사되어 상기 광케이블의 타단까지 전달되었다가,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으로 다시 출사된다.
몸체(100) 내부의 광량측정센서는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으로 조사된 광의 양과,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을 통해 출사된 광의 양을 각각 측정하여 그 값을 비교한다. 만약 광량측정센서가 측정한 값이 광원(300)으로부터 조사된 광량의 값과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으로 출사된 광량 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값보다 적게 나타난다면, 사용자는 반사손실이 적은 것으로 보고 상기 광케이블을 정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광량측정센서가 측정한 값이 광원(300)으로부터 조사된 광량의 값과 상기 광케이블의 타단으로 출사된 광량 값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값보다 크게 나타난다면, 사용자는 반사손실이 큰 것으로 보고 상기 광케이블을 불량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광섬유 발광 모듈(30)을 선택한 경우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상기 광케이블이 포함하는 광섬유의 개수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어댑터(200)에 상기 커넥터를 삽입한다. 예컨대, 상기 광케이블이 다심형 광케이블인 경우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은 제1다심어댑터(210)에 삽입하고, 상기 광케이블의 타단은 제2다심어댑터(230)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광케이블의 타단이 분기되어 있다면, 상기 광케이블의 타단을 제1단심어댑터(220)에 삽입한다. 그리고 조작부(500)를 조작하여 광원(300)으로부터 상기 광케이블로 광을 조사한다. 상기 광케이블의 양단은 모두 몸체(100)에 전기적 또는 광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500)를 조작하여 광원(300)으로부터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에 광을 조사한다. 상기 광케이블은 상기 광섬유에 조사되는 광에 의해 발광가능하다. 이때, 광원(30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가시광선 영역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광케이블 내부의 광섬유에 절단, 스크래치 또는 크랙 등이 형성되어 있다면, 상기 광섬유의 절단부위, 스크래치부위, 크랙부위에서 조사된 광이 새어나와 사용자는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광케이블을 불량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광섬유의 절단부위, 스크래치부위, 크랙부위에서 새어나오는 광도는 상기 상기 광섬유의 절단부위, 스크래치부위, 크랙부위 주변의 광섬유에서 발광되는 광도와 차이가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광도의 차이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광케이블이 어댑터(200)로부터 분리된 경우, 광원(300)으로부터 어댑터(200)를 통해 새어나오는 빛은 사용자의 눈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자동적으로 광의 조사가 차단되도록 설정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광섬유 촬영 모듈(40)을 선택하였을 경우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상기 광케이블이 포함하는 광섬유의 개수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어댑터(200)에 상기 커넥터를 삽입한다. 예컨대, 상기 광케이블이 다심형 광케이블인 경우 상기 광케이블의 일단은 제1다심어댑터(210)에 삽입하고, 상기 광케이블의 타단은 제2다심어댑터(230)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광케이블의 타단이 분기되어 있다면, 상기 광케이블의 타단을 제1단심어댑터(220)에 삽입한다.
어댑터(200)에 내장된 제1카메라(110)는 상기 어댑터(200)에 삽입된 상기 광케이블의 단면을 촬영한다. 예를 들어, 어댑터(210, 220, 230)에 각각 제1카메라(110)가 설치될 수 있고, 제1카메라(110)는 어댑터(210, 220, 230)에 삽입된 상기 광케이블의 단면을 촬영하며, 사용자는 촬영영상을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광케이블의 단면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광케이블의 불량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프로브(700)를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몸체(100)에는 프로브(700)가 거치되어 있고, 프로브(700)는 배터리(730)를 내장하여 몸체(100)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력이 충전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1)의 몸체(100)의 일측에 거치된 프로브(700)를 몸체(100)로부터 분리시킨다. 프로브(700)는 일측에 삽입부(710)가 돌출되고, 삽입부(710)의 끝단에는 제2카메라(7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삽입부(710)에는 다른 장비의 어댑터(미부호)에 삽입되도록 커넥터(미부호)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다른 장비의 어댑터에 삽입되도록 프로브(700)를 상기 다른 장비에 결합시키고, 제2카메라(720)는 상기 다른 장비의 어댑터에 노출된 광섬유의 단면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프로브(700)와 몸체(100)는 유선 또는 무선(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등)으로 송신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제2카메라(720)가 촬영한 영상을 몸체(100)의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모듈로부터 얻어지는 측정값이나 촬영영상들은 몸체(100) 내부의 저장부(6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 USB포트(610)에 USB를 삽입하거나, 유선 또는 무선(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을 통해 다른 전자기기로 상기 저장부(6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가능하고, 반대로 다른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저장부(600)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검사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광섬유 검사기
10 : 삽입손실 측정 모듈 20 : 반사손실 측정 모듈
30 : 광섬유 발광 모듈 40 : 광섬유 촬영 모듈
50 : 모듈 전환 스위치
100 : 몸체 110 : 제1카메라
200 : 어댑터 210 : 제1다심어댑터
220 : 제1단심어댑터 230 : 제2다심어댑터
240 : 제2단심어댑터 250 : 제3다심어댑터
300 : 광원 400 : 디스플레이부
500 : 조작부 600 : 저장부
610 : USB포트 700 : 프로브
710 : 삽입부 720 : 제2카메라
730 : 배터리

Claims (14)

  1. 광원으로부터 광섬유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광섬유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손실량을 측정하는 삽입손실 측정 모듈;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섬유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광섬유로부터 반사되어 출사되는 광의 반사량을 측정하는 반사손실 측정 모듈;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섬유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광섬유의 연결상태 또는 표면상태를 측정하는 광섬유 발광 모듈;
    상기 광섬유의 단면을 촬영하는 광섬유 촬영 모듈; 및
    상기 삽입손실 측정 모듈, 반사손실 측정 모듈, 광섬유 발광 모듈 및 광섬유 촬영 모듈 사이의 전환이 가능한 모듈 전환 스위치를 포함하는 광섬유 검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의 일부에 설치되고, 상기 광섬유의 양단이 광학적 또는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어댑터;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광이 조사되는 광원;
    상기 몸체의 일부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손실 측정 모듈 또는 상기 반사손실 측정 모듈 또는 상기 광섬유 검사 모듈을 통해 측정한 값이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몸체의 일부에 설치되고, 어느 한 어댑터에 접속된 광섬유를 분리시킬 필요없이 각종 측정 모듈 또는 측정 모드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모듈 전환 스위치에 신호를 보내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광섬유 검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다심 광케이블이 접속가능한 다심어댑터; 및
    단심 광케이블이 접속가능한 단심어댑터를 포함하는 광섬유 검사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광섬유 발광 모듈을 통해 조사되는 광이 가시광선 영역인 광섬유 검사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손실 측정 모듈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광섬유의 일단에 입사되는 광의 양과 상기 광섬유의 타단에서 출사되는 광의 양을 측정하여 비교하는 광섬유 검사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손실 측정 모듈은,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어 상기 광섬유의 일단에 입사되는 광의 양과 상기 광섬유 내부에서 반사되어 다시 상기 광섬유의 일단으로 출사되는 광의 양을 측정하는 광섬유 검사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발광 모듈은 상기 광섬유의 발광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섬유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광섬유는 외부에 피복이 배치되며,
    상기 피복은 상기 광섬유의 발광을 사용자가 확인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광섬유 검사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발광 모듈은,
    상기 광섬유가 일부에 절단이나 스크래치 또는 크랙이 발생한 경우, 상기 광섬유의 절단부위나 스크래치부위 또는 크랙부위에서 발광되는 광도가 주위와 상대적으로 차이가 발생하여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상기 광원이 상기 광섬유에 광을 조사하는 광섬유 검사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발광 모듈은,
    상기 광섬유가 상기 몸체로부터 분리되었을 경우,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광섬유 검사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내부에 어댑터에 접속된 상기 광섬유의 일단을 촬영하는 제1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 촬영 모듈은,
    상기 제1카메라를 통해 단면의 모습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광섬유 검사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삽입손실 측정 모듈, 상기 반사손실 측정 모듈, 상기 광섬유 발광 모듈 또는 상기 광섬유 촬영 모듈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광섬유 검사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USB에 저장할 수 있도록 USB포트를 더 포함하는 광섬유 검사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의 전자기기와 공유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부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 또는 수신이 가능한 광섬유 검사기.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 거치 또는 분리가능한 프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는,
    다른 전자기기의 어댑터에 삽입가능한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 배치된 제2카메라; 및
    상기 몸체의 일측에 거치되고, 상기 몸체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카메라를 통해 상기 다른 전자기기의 어댑터 내부의 촬영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가능한 광섬유 검사기.
KR1020160064336A 2016-05-25 2016-05-25 광섬유 검사기 KR201701331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336A KR20170133184A (ko) 2016-05-25 2016-05-25 광섬유 검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336A KR20170133184A (ko) 2016-05-25 2016-05-25 광섬유 검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184A true KR20170133184A (ko) 2017-12-05

Family

ID=60920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336A KR20170133184A (ko) 2016-05-25 2016-05-25 광섬유 검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318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033A (ko) * 2020-12-16 2022-06-23 한국광기술원 광섬유의 융착접속 분석 장치 및 그 분석 방법
CN115144704A (zh) * 2022-09-02 2022-10-04 深圳永贵技术有限公司 电缆生产的故障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30030403A (ko) * 2021-08-25 2023-03-06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화염감지용 광섬유의 진단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033A (ko) * 2020-12-16 2022-06-23 한국광기술원 광섬유의 융착접속 분석 장치 및 그 분석 방법
KR20230030403A (ko) * 2021-08-25 2023-03-06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화염감지용 광섬유의 진단기
KR20230124517A (ko) * 2021-08-25 2023-08-25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화염감지용 광섬유의 진단기
CN115144704A (zh) * 2022-09-02 2022-10-04 深圳永贵技术有限公司 电缆生产的故障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5144704B (zh) * 2022-09-02 2022-11-15 深圳永贵技术有限公司 电缆生产的故障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98393B2 (ja) 光送受信モジュールの構造及びその製法
CA2640195C (en) Installation tool with integrated visual fault indicator for field-installable mechanical splice connector
CN103226056B (zh) 利用阵列连接器的拓扑现场测试器和利用阵列连接器的拓扑多波长现场测试器
JP6820945B2 (ja) 光検出器を備える光コネクタ、光コネクタのためのアダプター、及びシステム
US20210296843A1 (en) Laser Alignment Apparatus and System for Alignment of Output Fiber of a Fiber Laser
CN107917732B (zh) 一种光纤几何参数、衰减系数综合测试系统
US201801253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berscope employing single fiber bundle for co-propagation of image and illumination
US11860058B2 (en) Fiber-optic testing source and fiber-optic testing receiver for multi-fiber cable testing
US20150103336A1 (en) Optical connector monitoring
US10241002B2 (en) Optical fiber test apparatus with combined light measurement and fault detection
US20200124498A1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link connection testing
KR20170133184A (ko) 광섬유 검사기
US10234614B2 (en) Light source assemblies and systems and methods with mode homogenization
US8523460B2 (en) Optical signal measurement devices
US20150116699A1 (en) Removable device for inspecting polish of an optical fiber endface using a portable camera, and related components, systems, and methods
CN106062602A (zh) 光连接器、线缆和光通信装置
US10900866B2 (en) Optical fiber endface inspection with optical power measurement
WO2017132549A1 (en) Optical power detector and reader
EP3156780B1 (en) Test probes for smart inspection
CN103217756B (zh) 光学模块及其制造方法
KR20110070598A (ko) 광케이블의 단면 검사와 출력 측정이 동시에 가능한 휴대용 광케이블 검사장치
EP3786606A1 (en) Parallel optics based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 acquisition
CN105388604A (zh) 一种带有弯曲报警功能的共聚焦微探头及其配套装置与检测方法
US20110205533A1 (en) Optical signal measurement device
CN217034326U (zh) 单纤三向光器件和光功率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