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156A - Color-based sor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olor-based sor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3156A
KR20170133156A KR1020160064270A KR20160064270A KR20170133156A KR 20170133156 A KR20170133156 A KR 20170133156A KR 1020160064270 A KR1020160064270 A KR 1020160064270A KR 20160064270 A KR20160064270 A KR 20160064270A KR 20170133156 A KR20170133156 A KR 20170133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lected object
particles
sorted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2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30891B1 (en
Inventor
이소향
Original Assignee
이소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향 filed Critical 이소향
Priority to KR1020160064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891B1/en
Publication of KR20170133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1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8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Electro-optical investigation, e.g. flow cytometers
    • G01N15/1456Electro-optical investigation, e.g. flow cytometers without spatial resolution of the texture or inner structure of the particle, e.g. processing of pulse signals
    • G01N15/1463Electro-optical investigation, e.g. flow cytometers without spatial resolution of the texture or inner structure of the particle, e.g. processing of pulse signals using image analysis for extracting features of the part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01J3/50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N15/143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01N33/10Starch-containing substances, e.g. doug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Electro-optical investigation, e.g. flow cytometers
    • G01N15/1456Electro-optical investigation, e.g. flow cytometers without spatial resolution of the texture or inner structure of the particle, e.g. processing of pulse signals
    • G01N15/1463Electro-optical investigation, e.g. flow cytometers without spatial resolution of the texture or inner structure of the particle, e.g. processing of pulse signals using image analysis for extracting features of the particle
    • G01N2015/1465Electro-optical investigation, e.g. flow cytometers without spatial resolution of the texture or inner structure of the particle, e.g. processing of pulse signals using image analysis for extracting features of the particle image analysis on colour im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color selecting device. The color selecting device selects selected object particles by using a color difference. The color selecting device comprises: a raw material supplying unit; a detecting unit; and an air injecting device. The raw material supplying unit includes a hopper having a discharging unit for falling the selected object particles and discharging the same. The detecting unit photographs the selected object particle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ing unit; and detects a defective matter or a foreign substance. The air injecting device blows the defective matter or the foreign substance determined as a selected object in the detecting unit to be removed. The detecting unit includes: an irradiating light source which irradiates light to an image detecting point to photograph images of the selected object particles which are passed through the image detecting point by being fallen from the discharging unit; and two or more multi-refraction reflecting mirrors which are provided at a straight distance from the image detecting point, and refract the images of the selected object particles passing the image detecting point more than twice to be reflected to a camera.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shorten a gap between the selected object particles, and the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selected object particles; and to extend a scanning width of a subject (the selected object particles), thereby remarkably reducing a volume of the detecting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a shutter which arranges and supplies the selected object particles by installing a pair of supply rollers inside the hopper. The present invention remarkably reduces a height or a volume of the color selecting device by directly supplying the selected object particles to the hopper.

Description

색채 선별장치{COLOR-BASED SORTING APPARATUS}{COLOR-BASED S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색채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물이나 곡물, 수지 또는 분말을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선별 대상입자를 한 쌍의 로울러를 통하여 정렬하여 배출함으로써 입자 정렬용 슈터가 불필요하게 될 수 있고, 선별 대상입자의 이미지 촬상을 2번 이상 굴절시키고 프리즘을 이용하여 필요한 파장을 취득함으로써, 선별 대상을 보다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별 대상입자를 촬영하는 카메라의 위치와 간격을 현저하게 단축하여 배치할 수 있음으로써 소형화를 이룰 수 있는 색채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or sor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lor sorting apparatus for sorting minerals, grains, resins or powders by sorting and discharging sorted particles through a pair of rollers, It is possible to refine the image pickup of the particle to be sifted more than twice and to acquire the necessary wavelength by using the prism so that the sorting object can be more easily selected and the position and interval of the camera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lor separator which can be miniaturized because it can be arranged in a remarkably short time.

일반적으로 색채 선별기는 선별 대상입자의 색채를 분석하여 선별 대상입자에 포함된 불량물이나 이물질 등을 선별하여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1에는 일반적인 곡물용 색채 선별기 내부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In general, a color sorter is a device for sorting and separating defective substances or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particles to be sorted by analyzing the colors of the particles to be sorted. FIG. 1 schematically shows a general internal structure of a color sorter for grai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곡물용 색채 선별기는 선별 대상 곡물(G)을 하방으로 배출하는 곡물 배출부(100)와 촬상을 위한 가시광선 및 적외선을 제공하기 위한 형광등(200)과 할로겐 램프(300), 곡물(G)을 촬상하는 씨씨디(CCD) 촬상부(400) 및 적외선 촬상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he conventional color sorter for grain includes a grain discharging unit 100 for discharging downward the grain G to be sorted, a fluorescent lamp 200 for providing visible light and infrared rays for image pickup, (CCD) imaging unit 400 for imaging the grain G, and an infrared ray imaging unit 500. The infrared ray imaging unit 500 includes a CCD (Charge Coupled Device)

씨씨디(CCD) 촬상부(400) 및 적외선 촬상부(500)에서 촬상된 곡물(G)의 영상 신호는 미도시된 영상 처리장치에 의해 분석되고, 분석 결과 촬상된 곡물(G)이 불량물 또는 이물질로 판단된 경우 에어 노즐(600)을 작동시켜 불량미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The image signals of the grains G picked up by the CCD imaging section 400 and the infrared ray imaging section 500 are analyzed by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not shown and the grains G picked up as the analysis result are defective O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oreign object is a foreign substance, the air nozzle 600 is operated to remove defective or foreign matter.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곡물용 색채 선별기는 곡물(G)을 촬상하기 위해 각 촬상부(400, 500)가 곡물(G) 배출방향의 양측에 곡물(G)을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촬상 시의 충분한 초점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각 촬상부(400, 500)와 곡물(G) 간에 충분한 거리가 확보되어야 하며 그에 따라 장치 전체의 부피가 증가되고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ventional color sorter for grain is provided in such a direction that the image pickup units 400 and 500 are directed to the grain G on both sides of the grain G discharging direction in order to image the grain G. At this time, in order to secure a sufficient focal distance at the time of imaging, a sufficient distance must be ensured between the imaging units 400 and 500 and the grain G, thereby increasing the volume of the entire apparatus and raising the unit price .

따라서, 이러한 종래 곡물용 색채 선별기의 불합리한 점을 극복하고 장치의 크기를 컴팩트화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serious need for a device that can overcome the unreasonable points of the conventional color grain discriminating device and make the size of the device compact.

한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295184호(공고일 : 2001.07.12)에는 색채 선별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채선별기(100)는 상층부에 입상물질을 담는 호퍼(1)가 구비되어 있고, 그 밑에는 피더(2)(일명 슈터)가 구비되어 있으며, 피더(2)는 입상물질이 활강사면로(4)로 잘 퍼져서 내려가도록, 그 구조는 앞단이 경사져 있고, V자 혹은 U자형의 가이드홈(17)을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a color sorte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295184 (public notice: 2001.07.12) as a prior art. 1, the color sorter 100 is provided with a hopper 1 for containing a particulate material in an upper layer, a feeder 2 (aka a shooter) is provided below the hopper 1, and a feeder 2 The structure is inclined at the front end and has a V-shaped or U-shaped guide groove 17 so that the granular material spreads well down to the descending slope 4.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색채 선별기는 입상물질을 정렬하여 피더(슈터)로 낙하시킬 경우에 토출구가 크면 입상물질이 분산되거나 비산되고, 좁을 경우에는 서로 엉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lor sorter having such a structure, when the granular materials are aligned and dropped into the feeder (shooter), the granular materials are dispersed or scattered when the discharge port is large, and when they are narrow, they are tangled with each other.

또한, 색채 선별기의 호퍼 하부에 선별 대상입자의 입자를 정렬시키기 위한 슈터가 설치됨으로써 색채 선별기의 전체 높이가 높아지게 되어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 since a shoe for aligning the particles of the particles to be sorted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pper of the color sorter, the height of the color sorter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volume.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295184호(공고일 : 2001.07.12). Korean Patent No. 10-0295184 (Published on July 12, 2001)

본 발명의 목적은, 선별 대상입자과 선별 대상입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사이의 간격을 단축시켜 피사체(선별 대상입자)의 스캔 폭을 넓게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고, 선별 대상입자를 용이하게 정렬하여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ans capable of shortening the interval between the target particle and the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target particle to widen the scan width of the subject (the target particle) And to provide a means for supply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선별 대상입자의 입자를 정렬하여 공급하였던 슈터를 삭제하고, 선별 대상입자를 곧바로 감지부에 공급할 수 있는 무슈터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색채 선별기의 높이를 줄일 수 있는 수단을 제공ㅎ하는데 있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ffler structur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a hopper to eliminate a shooter in which particles of sorting particles are aligned and supplied and feed the sorting particle directly to the sensing portion, To provide a means to reduce the amount of money.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t least partially solve th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arts. It can be understoo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선별 대상입자를 색채 차이를 이용하여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별 대상입자를 낙하시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갖는 호퍼로 이루어진 원료 공급부와,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선별 대상입자를 촬상하여 불량물이나 이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선별대상으로 판별된 불량물이나 이물질을 불어내어 제거하기 위한 공기분사기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낙하하여 이미지 검출지점을 통과하는 선별 대상입자의 이미지 촬상을 위하여 상기 이미지 검출지점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조사광원; 및 상기 이미지 검출지점과 직선거리에 배치되어 상기 이미지 검출지점을 통과하는 선별 대상입자의 상을 2번 이상 굴절시켜 카메라로 반사시키기 위한 2개 이상의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채 선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s can be accomplished by a method for sorting particles to be sorted by using a color difference, comprising: a raw material supply part composed of a hopper having an outlet for dropping and discharging particles to be sorted; And an air injector for blowing out and removing defective matter or foreign matter identified as a sorting object in the detection section, wherein the detecting section is configured to drop from the outlet and to detect an image detection point An irradiation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image detection point for image pickup of a particle to be sorted passing through the image detection point; And at least two multiple refraction mirrors disposed at a straight line distance from the image detection point for refracting an image of the particle to be sifted passing through the image detection point more than twice and reflecting the refraction to the camera. Is achieved by the color sorting apparatus.

상기 조사광원은, 엘이디의 빛을 집광하기 위한 실린더컬 렌즈를 구비할 수 있다.The irradiation light source may include a cylindrical lens for condensing the light of the LED.

상기 검출부는, 상기 이미지 검출지점을 기준으로 양쪽에 대칭으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The detection unit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image detection point.

상기 이미지 검출지점과 상기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 사이 또는 각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들 사이에는, 반사되는 이미지의 파장을 필터링하여 이색을 분리하기 위한 프리즘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A prism filter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image detecting point and the multiple refracting mirror or between each multiple refracting mirror for filtering the wavelength of the reflected image to separate the two colors.

상기 원료 공급부는, 상기 배출구의 상부 쪽에 해당하는 상기 호퍼의 내부 양쪽에 설치되고, 선별 대상입자의 낙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는 한 쌍의 제1,2 공급로울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공급로울러와 제2 공급로울러는 서로 회전속도가 다르게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herein the raw material supply portion includes a pair of first and second supply rolle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opper corresponding to an upp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and rotat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falling direction of the particles to be sorted, The first supply roller and the second supply roller may be configured to rotate at different rotational speeds.

상기 제1 공급로울러와 제2 공급로울러 사이의 간격을 가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공급로울러와 제2 공급로울러의 각 축을 상기 호퍼에 형성된 장공에 설치하되, 상기 상기 제1 공급로울러와 제2 공급로울러 사이의 간격은, 정상적인 범위에 속하는 선별 대상입자의 크기보다 0.1 - 3mm 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Wherein each axis of the first supply roller and the second supply roller is provided in a slot formed in the hopper so as to vary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supply roller and the second supply roller, The distance between the rollers can be formed to be 0.1 - 3 mm larger than the size of the particles to be sorted belonging to the normal range.

상기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들 중에서 이미지를 마지막으로 상기 카메라에 반사시키는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는,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선별 대상입자의 이미지를 특성이 서로 다른 각각의 카메라에 반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herein the multiple refracting mirror for reflecting an image of the multiple refractory halving mirrors to the camera is provided so as to be adjustable in angle by an angle adjusting means so that an image of the to- And may be configured to reflect to the camera.

본 발명에 의하면, 선별 대상입자과 선별 대상입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사이의 간격을 단축시켜 피사체(선별 대상입자)의 스캔 폭을 넓게 할 수 있음으로써, 검출부의 부피를 현저하게 축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interval between the cameras to pick up the particles to be sorted and the cameras for picking up the particles to be selected, thereby widening the scan width of the subject (selection subject particle), thereby remarkably reducing the volume of the detection unit .

또한, 호퍼의 내부에 한 쌍의 공급로울러를 설치함으로써 선별 대상입자를 정렬하여 공급하던 슈터를 제거할 수 있고, 선별 대상입자를 호퍼에서 바로 감지부로 공급할 수 있음으로써 색채 선별기 자체의 높이나 부피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pair of supply rollers in the hopper,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shooter that supplies and sort the particles to be sorted, and the particles to be sorted can be supplied directly to the sensing portion from the hopper, whereby the height or volume of the color separator itself becomes remarkab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reducing the amount of the ink.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색채 선별기를 도시한 개략적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색채 선별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색채 선별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색채 선별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1 and 2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color separator.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lor sorter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lor sorter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lor sorter according to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색채 선별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lor sorter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색채 선별장치(10)는, 선별 대상입자(A)를 색채 차이를 이용하여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선별 대상입자(A)를 낙하시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4)를 갖는 호퍼(32)로 이루어진 원료 공급부(30)와, 배출구(34)로부터 배출되는 선별 대상입자(A)를 촬상하여 불량물이나 이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40)와, 검출부(40)에서 선별대상으로 판별된 불량물이나 이물질을 불어내어 제거하기 위한 공기분사기(5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3, the color sort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sorting the particles to be sorted (A) by using a color difference, and comprises a discharge port A detector 40 for detecting defective particles or foreign matter by picking up the particle to be sorted A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34, And an air injector (50) for blowing off the defective or foreign matter determined to be the sorting object in the washing machine (40).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is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원료 공급부(30)는, 호퍼(32)로 공급된 선별 대상입자(A)를 정렬하여 배출구(34)로 낙하시키도록 된 것이다. 배출구(34)는 호퍼(32)의 저면에 직하방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원료 공급부(30)는 종래기술과 같이 선별 대상입자(A)를 정렬하여 공급하기 위한 슈터를 구비하지 않고, 호퍼(32)에서 검출부(40)로 바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The raw material supplying section 30 aligns the sorting target particles A supplied to the hopper 32 and drops them to the discharge port 34. [ The discharge port (34) is disposed directly below the bottom surface of the hopper (32). That is, the raw material supply unit 30 is configured to supply directly from the hopper 32 to the detection unit 40 without providing a shooter for sorting and supplying the particles to be sorted A as in the prior art.

이를 위해서, 호퍼(32)의 배출구(34) 상부 쪽에 해당하는 호퍼(32)의 내부 양쪽에는 제1 공급로울러(36A)와 제2 공급로울러(36B)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제1,2 공급로울러(36A,36B)는 선별 대상입자(A)의 낙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특히 제1 공급로울러(36A)와 제2 공급로울러(36B)는 서로 회전속도가 다르게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2 공급로울러(36A,36B)는 구동모터에 의해 직접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기어군 또는 밸트들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서로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2 공급로울러(36A,36B)는 원통 로울러이다.A first supply roller 36A and a second supply roller 36B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 hopper 32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port 34 of the hopper 32. [ The first and second supply rollers 36A and 36B are configured to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the falling direction of the particle to be sorted A and in particular the first supply roller 36A and the second supply roller 36B And rotate at different rotational speeds. The first and second supply rollers 36A and 36B may be configured to be driven directly by a drive motor and configured to rotate at different rotational speeds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by gears or belts. The first and second supply rollers 36A and 36B are cylindrical rollers.

이와 같이 제1,2 공급로울러(36A,36B)가 선별 대상입자(A)의 낙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되, 서로 회전하는 속도가 다르도록 구성된 것은, 정상적인 선별 대상입자(A)의 크기를 기준으로 큰 사이즈의 선별 대상입자(A)은 한 방향으로 밀어내고, 정상적 범위 내의 크기를 갖는 선별 대상입자(A)은 정렬하여 배출구(34)로 낙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supply rollers 36A and 36B are rotat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ropping direction of the particle to be sorted A and the rotation speeds thereof are different is that the size of the normal sorting target particle A is The sorting target particle A having a large size is pushed out in one direction and the sorting target particles A having a size within the normal range are aligned and fall into the outlet 34. [

이를 위해서, 제1 공급로울러(36A)와 제2 공급로울러(36B) 사이의 간격은, 정상적 범위에 속하는 선별 대상입자(A)의 크기보다 0.1 - 3mm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정상적 범위의 선별 대상입자(A)의 크기보다 더 큰 선별 대상입자(A)은 제1,2 공급로울러(36A,36B)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게 하고, 한 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것이다. 만약, 0.1mm보다 작게 되면, 입자(A)의 형상이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입자(A)의 통과가 어렵고, 3mm보다 크게 되면, 정상적인 범위 밖의 입자(A)도 통과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supply roller 36A and the second supply roller 36B is formed larger by 0.1 - 3 mm than the size of the particle to be sorted A belonging to the normal range. This is intended to prevent the sorting target particle A larger than the size of the normal sorting particle (A) from pass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ly rollers 36A and 36B and to push it in one direction. If it is smaller than 0.1 mm, it is difficult to pass the particle A because the shape of the particle A is not uniform. When the particle A is larger than 3 mm, the particles A outside the normal range are also undesirable.

이때, 제1 공급로울러(36A)와 제2 공급로울러(36B)의 사이의 간격을 가변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급로울러(36A)와 제2 공급로울러(36B)의 축(37)을 장공(35)에 설치하고, 도시되지 않은 조임볼트 등을 조이거나 푸는 조작으로 축(37)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제1 공급로울러(36A)와 제2 공급로울러(36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supply roller 36A and the second supply roller 36B can be varied and adjusted. 3, the axes 37 of the first supply roller 36A and the second supply roller 36B are provided in the elongated holes 35, and by tightening or unfastening the unshown tightening bolts or the lik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supply roller 36A and the second supply roller 36B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haft 37. [

여기서, 제1 공급로울러(36A)와 제2 공급로울러(36B)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서로 다른 회전 속도로 회전함으로써 크기가 큰 선별 대상입자(A)가 제1 공급로울러(36A)와 제2 공급로울러(36B)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고, 정상적인 사이즈의 선별 대상입자(A)만 제1 공급로울러(36A)와 제2 공급로울러(36B)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구(34)로 낙하될 수 있는 것이다. Here, when the first supply roller 36A and the second supply roller 36B are rotated at different rotational speeds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he larger size selection target particles A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supply roller 36A and the second supply roller 36A, The particles to be sorted A having the normal size can pas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irst supply roller 36A and the second supply roller 36B and fall into the discharge port 34 without passing between the rollers 36B.

이와 같이, 호퍼(32)의 내부에 제1 공급로울러(36A)와 제2 공급로울러(36B)가 설치되어 제1 공급로울러(36A)와 제2 공급로울러(36B)가 선별 대상입자(A)를 정렬하여 배출구(34)로 공급함으로써 선별 대상입자(A)를 정렬하여 공급하기 위하여 호퍼(32)의 하부에 경사지게 길게 설치되었던 별도의 슈터가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고, 따라서 색채 선별기(10)의 높이가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고, 색채 선별기(10) 전체의 부피도 줄어들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upply roller 36A and the second supply roller 36B are provided in the hopper 32 so that the first supply roller 36A and the second supply roller 36B are separated from the sorting target particle A, A separate shooter, which is long and obliquely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hopper 32, is not required to be aligned and supplied to the sorting particle A by supplying the sorted particles to the discharge port 34. Therefore, the height of the color separator 10 And the volume of the color separator 10 as a whole can be reduced.

검출부(40)는, 배출구(34)를 통하여 낙하하여 배출되는 선별 대상입자(A)를 촬상하여 불량물이나 이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배출구(34)로부터 낙하하여 이미지 검출지점(P)을 통과하는 선별 대상입자(A)의 이미지 촬상을 위하여 이미지 검출지점(P)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조사광원(42)과, 이미지 검출지점(P)과 직선거리에 배치되어 이미지 검출지점(P)을 통과하는 선별 대상입자(A)의 상을 2번 이상 굴절시켜 카메라(46)로 반사시키기 위한 2개 이상의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44)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detection unit 40 is for detecting defective or foreign matter by picking up the particles to be sorted falling an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34. The detection unit 40 drops from the discharge port 34 and passes through the image detection point P An irradiation light source 42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image detection point P for image pickup of the particle to be sorted A and an image detection point P arranged at a straight line distance from the image detection point P And at least two multi-refraction mirrors 44 for refracting the image of the passing subject particle A to be refracted more than once and reflecting it to the camera 46.

이때, 조사광원(42)은, 엘이디(42A)의 빛을 집광하기 위한 실린더컬 렌즈(42B)를 구비한다. 조사광원(42)을 실린더컬 렌즈(42B)로 하는 이유는, 저전력 저광도 모드에서도 고광도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At this time, the irradiation light source 42 includes a cylindrical lens 42B for condensing the light of the LED 42A. The reason why the irradiation light source 42 is used as the cylindrical lens 42B is that high light intensity can be exerted even in the low power low light mode.

그리고, 검출부(40)를 이루는 조사광원(42)과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44) 및 카메라(46)는, 이미지 검출지점(P)을 기준으로 양쪽에 대칭으로 각각 배치된다.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42, the multiple refraction mirror 44 and the camera 46 constituting the detection unit 40 are arrang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image detection point P,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서, 선별 대상입자(A)의 상을 2번 이상 굴절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44)를 이미지 검출지점(P)에 근접한 제1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44A)와 제1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44A)에서 반사된 이미지를 다시 카메라(46)에 반사하기 위한 제2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44B)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44)를 2개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2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 - 10개 이내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44)의 수를 증가시키게 되면, 카메라(46)와 이미지 검출지점(P) 간의 거리(반사거리가 아닌 실질적인 거리)가 축소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s a means for refracting the image of the particle to be sorted A more than twice, the multiple refracting mirror 44 is divided into a first multiple refracting mirror 44A close to the image detecting point P And a second multiple refraction mirror 44B for reflecting the image reflected by the first multiple refraction mirror 44A to the camera 46 agai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multiple refracting mirror 44 is two,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to two, and may be two or more, preferably two to ten. As described abov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multiple refracting mirrors 44, the distance between the camera 46 and the image detecting point P (a substantial distance, not a reflection distance) can be reduced.

또한, 이미지 검출지점(P)과 제1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44A) 사이 또는 제1,2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44A,44B)들 사이에는, 반사되는 이미지의 파장을 필터링하여 이색을 분리하기 위한 프리즘 필터(48)가 설치된다. 이러한 프리즘 필터(48)는, 이미지 검출지점(P)에서 제1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44A) 또는 제2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44B)에 반사되는 선별 대상입자(A)에 대한 이미지의 특정 파장의 색만을 취득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프리즘 필터(48)를 통하여 특정 파장의 색만을 취득할 수 있음으로써 선별 대상입자(A)의 이미지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The wavelength of the reflected image is filtered between the image detecting point P and the first multiple refraction mirror 44A o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ultiple refraction mirror 44A and 44B, A prism filter 48 is provided. This prism filter 48 is used to determine the image of the target particle A to be reflected on the first multiple refraction mirror 44A or the second multiple refraction mirror 44B at the image detection point P Only the color of the wavelength is acquired. In this manner, only the color of a specific wavelength can be acquired through the prism filter 48, so that the image of the particle to be sorted A can be detected more accurately.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색채 선별장치(10)는 프리즘 필터(48)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즉,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검출부(40)에 프리즘 필터(48)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color separator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not provided with the prism filter 48. That is, the prism filter 48 may not be provided in the detection unit 40 as in the other embodiments.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색채 선별장치(1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lor separ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호퍼(32)에 공급된 선별 대상입자(A)은, 제1,2 공급로울러(36A,36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서로 다른 회전수로 회전하게 되면, 정렬된 상태로 제1,2 공급로울러(36A,36B)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구(34)로 낙하되어 배출된다. 이때, 호퍼(32)에 수용된 선별 대상입자(A)들 중에서 정상범위를 벗어난 크기의 입자들은 제1,2 공급로울러(36A,36B)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으로 모이게 된다. When the first and second supply rollers 36A and 36B are rotated at different rotational speeds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he sorting target particles A supplied to the hopper 32 are sorted in the aligned state, (36A, 36B), falls to the discharge port (34), and is discharged. At this time, among the particles to be sorted (A) housed in the hopper 32, particles having a size out of the normal range can not pas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ly rollers 36A and 36B, do.

이와 같이, 호퍼(32)의 내부에 구비된 제1,2 공급로울러(36A,36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서로 다른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호퍼(32)에 수용된 선별 대상입자(A)들은 뭉침이나 비산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정렬되어 정확하게 이미지 검출지점(P)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In this manner, the first and second supply rollers 36A and 36B provided in the hopper 32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rotate at different rotational speeds, Can be stably aligned without being lumped or scattered and can be supplied to the image detection point P accurately.

이 과정으로 호퍼(32)에 수용된 선별 대상입자(A)들은 안정된 상태로 정렬되어 배출구(34)를 통하여 이미지 검출지점(P)으로 낙하되면, 조사광원(42)에서 발생된 빛이 이미지 검출지점(P)을 통과하는 선별 대상입자(A)에 조사되고, 선별 대상입자(A)에 빛이 조사되면, 선별 대상입자(A)의 이미지가 제1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44A)에 반사되고, 제1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44A)에서 프리즘 필터(48)를 통과하면서 필터링 된 후 제2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44B)에 의해 카메라(46)로 반사된다. When the particles A to be sorted received in the hopper 32 are aligned in a stable state and fall into the image detection point P through the discharge port 34, The particle to be sorted A passing through the screen P is irradiated with light and the image of the particle to be sorted A is reflected by the first multiple refraction mirror 44A Is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rism filter 48 in the first multiple refracting mirror 44A, and then reflected to the camera 46 by the second multiple refracting mirror 44B.

이때, 조사광원(42)의 엘이디(42A)에서 발생된 빛은 실린더컬 렌즈(42B)에 의해 집광되어 이미지 검출지점(P)에 조사되므로, 이미지 검출지점(P)을 통과하는 선별 대상입자(A)의 이미지 검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44A)와 제2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44B) 사이에 프리즘 필터(48)가 설치됨으로써, 반사되는 선별 대상입자(A) 이미지의 광파장을 분해 후 필요한 파장만을 취득할 수 있음으로써 선별 대상입자(A)의 이미지를 보다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42A of the irradiation light source 42 is condensed by the cylindrical lens 42B and irradiated to the image detection point P, A can be easily detected and a prism filter 48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multiple refraction mirror 44A and the second multiple refraction mirror 44B so that reflected refraction particles A) It is possible to acquire only necessary wavelengths after decomposing the light wavelength of the image, so that the image of the particle to be sorted A can be acquired more accurately.

전술한 과정으로 이미지 검출지점(P)을 통과하는 선별 대상입자(A)의 이미지를 검출한 카메라(46)의 검출신호를 토대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해당 선별 대상입자(A)가 불량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정상일 경우에는 통과시키고, 비정상적인 입자일 경우에는 공기 분사기(50)를 작동시켜 해당 불량 입자를 불어 제거하는 작동을 하게 된다.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camera 46 that has detected the image of the particle to be sorted A passing through the image detection point P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control unit (not shown) determines whether the particle to be sorted A is defective If it is abnormal, it is operated to operate the air injector 50 to blow out the defective particles.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색채 선별장치((10)는,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44)들 중에서 이미지를 마지막으로 카메라(46)에 반사시키는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44), 즉 제2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44B)가 각도조절수단(60)에 의해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별 대상입자(A)의 이미지를 특성이 서로 다른 각각의 카메라(46B,46C)에 반사하도록 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4, the color separator (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reflects an image from among the multiple refraction mirror (44) to the camera (46) lastly, as shown in FIG. 4 The second multiple refracting mirror 44B is provided so as to be adjustable in angle by the angle adjusting means 60 so that the images of the to-be-selected particles A are made to have mutually different characteristics Except that it is made to be reflected to the other respective cameras 46B and 46C.

이때, 각도조절수단(60)은 도면에 되지 않았으나, 제2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44B)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프레임에 힌지로 결합시키고, 하우징의 배면에는 반원형의 랙기어를 결합시킨 후 스텝모터의 피니언기어를 랙기어에 맞물리도록 결합하여, 스텝모터를 구동 제어함으로써, 제2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44B)의 각도가 가변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case, although the angle adjusting means 60 is not shown in the drawing, a housing for receiving the second multiple refracting mirror 44B is hinged to the frame, a semicircular rack gear is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housing, The angle of the second multiple refraction mirror 44B can be varied by engaging the pinion gear of the second multiple refraction mirror 44B with the rack gear so that the step motor is driven and controlled.

그리고, 각각의 카메라(46B,46C)는 UV용 카메라, 가시광선용 카메라, IR용 카메로 구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cameras 46B and 46C can be constituted of a UV camera, a visible light camera, and an IR camera.

이와 같이, 제2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44B)가 각도조절수단(60)에 의해 다갹도로 가변될 수 있고, 특성이 다른 각각의 카메라(46,46B,46C)를 적용할 수 있음으로써, 여러개의 카메라(46,46B,46C)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피사제(선별 대상입자)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cond multiple refraction mirror 44B can be varied by the angle adjusting means 60 and each of the cameras 46, 46B and 46C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can be applied, The user can select one of the cameras 46, 46B, and 46C of the photographing device (photographing target particl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별 대상입자(A)가 통과하는 이미지 검출지점(P)에 빛을 집광시켜 조사하고, 이미지를 다수개의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44)로 카메라(46)에 다중 반사하며, 프리즘 필터(48)를 설치함으로써, 선별 대상입자(A)를 촬영하는 카메라(46) 사이의 간격을 단축시켜 선별 대상입자(A)의 스캔 폭을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검출부(40)의 부피를 현저하게 축소시킬 수 있고, 호퍼(32)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서로 다른 회전수로 회전하는 제1,2 공급로울러(36A,36B)가 설치됨선별 대상입자(A)를 용이하고 정확하게 정렬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is condensed and irradiated onto the image detection point P through which the particle to be sorted A passes, and the image is multiply reflected by the multiple refracting mirror 44 to the camera 46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interval between the cameras 46 for photographing the particle to be sorted A and to enlarge the scan width of the particle to be selected A so that the volume of the detector 40 And first and second supply rollers 36A and 36B which are rotated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and rotate at different rotational speeds are provided in the hopper 32. The sorting target particles A are easily and accurately aligned .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색채 선별장치 30 : 원료 공급부
32 : 호퍼 34 : 배출구
36A,36B : 제1,2 공급로울러 40 : 검출부
42 : 조사광원 42A : 엘이디
42B : 실린더컬 렌즈 44 :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
44A : 제1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 44B : 제2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
46,46A,46B : 카메라 48 : 프리즘 필터
50 : 공기분사기 60 : 각도조절수단
10: Color sorting device 30: Material supply part
32: hopper 34: outlet
36A and 36B: first and second supply rollers 40:
42: irradiation light source 42A: LED
42B: cylinder lens lens 44: mirror for multiple refraction mirrors
44A: first multi-refraction mirror 44B: second multi-refraction mirror
46, 46A, 46B: camera 48: prism filter
50: air injector 60: angle adjusting means

Claims (7)

선별 대상입자를 색채 차이를 이용하여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별 대상입자를 낙하시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갖는 호퍼로 이루어진 원료 공급부와,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선별 대상입자를 촬상하여 불량물이나 이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선별대상으로 판별된 불량물이나 이물질을 불어내어 제거하기 위한 공기분사기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낙하하여 이미지 검출지점을 통과하는 선별 대상입자의 이미지 촬상을 위하여 상기 이미지 검출지점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조사광원; 및
상기 이미지 검출지점과 직선거리에 배치되어 상기 이미지 검출지점을 통과하는 선별 대상입자의 상을 2번 이상 굴절시켜 카메라로 반사시키기 위한 2개 이상의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채 선별장치.
The selection target particles are selected using color difference,
And a hopper having a discharge port for dropping and discharging the particles to be sorted, a detector for detecting defective or foreign matter by picking up the particles to be sorted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and a defective And an air injector for blowing out water or foreign matter,
Wherein:
An irradiation light source for irradiating the image detection point with light for image capturing of the particle to be sorted falling from the outlet and passing through the image detection point; And
And at least two multiple refraction mirrors disposed at a straight line distance from the image detection point for refracting an image of the particle to be sifted passing through the image detection point more than once and reflecting the refraction to the camera. ,
Color sel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광원은,
엘이디의 빛을 집광하기 위한 실린더컬 렌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채 선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rradiation light source
And a cylindrical lens for collecting the light of the LED.
Color sel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이미지 검출지점을 기준으로 양쪽에 대칭으로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채 선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image sensing unit is dispos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image sensing point.
Color sel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검출지점과 상기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 사이 또는 각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들 사이에는, 반사되는 이미지의 파장을 필터링하여 이색을 분리하기 위한 프리즘 필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채 선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rism filter is provided between the image detection point and the multiple refraction mirror or between each multiple refraction mirror for filtering the wavelength of the reflected image to separate the two colors.
Color selection devic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공급부는,
상기 배출구의 상부 쪽에 해당하는 상기 호퍼의 내부 양쪽에 설치되고, 선별 대상입자의 낙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는 한 쌍의 제1,2 공급로울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공급로울러와 제2 공급로울러는 서로 회전속도가 다르게 회전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채 선별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raw-
And a pair of first and second supply rolle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hopper corresponding to an upper side of the discharge port and rotat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a falling direction of the particles to be sorted, 2 feed rollers rotate at different rotational speeds.
Color selection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로울러와 제2 공급로울러 사이의 간격을 가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공급로울러와 제2 공급로울러의 각 축을 상기 호퍼에 형성된 장공에 설치하되, 상기 상기 제1 공급로울러와 제2 공급로울러 사이의 간격은, 정상적인 범위에 속하는 선별 대상입자의 크기보다 0.1 - 3mm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채 선별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each axis of the first supply roller and the second supply roller is provided in a slot formed in the hopper so as to vary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supply roller and the second supply rolle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ollers is 0.1 to 3 mm larger than the size of the particles to be sorted belonging to the normal range.
Color selection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들 중에서 이미지를 마지막으로 상기 카메라에 반사시키는 다중 굴절 반사용 미러는,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선별 대상입자의 이미지를 특성이 서로 다른 각각의 카메라에 반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채 선별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ultiple refracting mirror for reflecting an image of the multiple refractory halving mirrors to the camera is provided so as to be adjustable in angle by an angle adjusting means so that an image of the to- And the light is reflected by the camera.
Color selection device.
KR1020160064270A 2016-05-25 2016-05-25 Color-based sorting apparatus KR1018308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270A KR101830891B1 (en) 2016-05-25 2016-05-25 Color-based sor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270A KR101830891B1 (en) 2016-05-25 2016-05-25 Color-based sor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156A true KR20170133156A (en) 2017-12-05
KR101830891B1 KR101830891B1 (en) 2018-02-21

Family

ID=6092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270A KR101830891B1 (en) 2016-05-25 2016-05-25 Color-based sor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89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426B1 (en) 2018-08-23 2019-03-08 주식회사 이소닉스 Color sorter with grading function
CN109570072A (en) * 2018-11-29 2019-04-05 安徽格瑞农业开发有限公司 A kind of emperor chrysanthemum color sor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8299A (en) 1999-07-29 2001-02-13 Yamamoto Co Ltd Hasking and separating device
JP2005150202A (en) 2003-11-12 2005-06-09 Ojima Shisaku Kenkyusho:Kk Condenser of light emitting diode, and ultraviolet rays irradiation device
JP4675120B2 (en) * 2005-02-28 2011-04-20 株式会社クボタ Granule so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891B1 (en)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27260B1 (en) Cereal grain color sorting apparatus
JP2010042326A (en) Optical cereal grain sorting apparatus
CN1056104C (en) Colour selecting device of particles
KR101083293B1 (en) Screw sorting device
JP4063885B2 (en) Classification device
CN107076680B (en)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ssion light inspection of containers
JP7151089B2 (en) optical sorter
JP2008302314A (en) Optical rice grain sorter
CN104646315A (en) Intelligent agricultural product sorting machine with aflatoxin detection function
EP0789633A1 (en) Sorting apparatus
EP0631828B1 (en) Color sorter for sorting out moldy pulse
CN103917305B (en) Utilize the somascope of alternately side lighting
KR101830891B1 (en) Color-based sorting apparatus
CN1129615A (en) Cereal grain color sorting apparatus
GB2492358A (en) Optical sorting and inspection apparatus
KR20150122917A (en) Color sorting device
RU83436U1 (en) DEVICE FOR SORTING GRAIN BY COLOR
KR101955426B1 (en) Color sorter with grading function
JP7066494B2 (en) Coin wear or deformation detection device, coin processor, and coin wear or deformation detection method
BE1020796A3 (en) OPTICAL INSPECTION MACHINE AND OPTICAL SORTING MACHINE.
JP2012143670A (en) Optical sorter and method for sorting by optical sorter
WO2021100372A1 (en) Optical sorter
JPH09304182A (en) Grain color selector
JP2009154084A (en) Optical grain grader
JP2018202370A (en) Rod-like body sel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