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2363A -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2363A
KR20170132363A KR1020160062589A KR20160062589A KR20170132363A KR 20170132363 A KR20170132363 A KR 20170132363A KR 1020160062589 A KR1020160062589 A KR 1020160062589A KR 20160062589 A KR20160062589 A KR 20160062589A KR 20170132363 A KR20170132363 A KR 20170132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transformer
partial discharge
amount
r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3171B1 (ko
Inventor
민병운
최원호
김준태
Original Assignee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filed Critical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60062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171B1/ko
Publication of KR20170132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01R31/027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1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using a fluid for insulating purpos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장치는 변압기 오일에서 추출된 절연유의 유중가스 발생량 및 상기 유중가스의 가연성 가스함유율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변압기의 부분방전량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부분방전량에 따른 상기 유중가스의 상승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변압기의 내부방전을 발생시키는 결함요인, 상기 결함요인의 크기를 분석한 후, 상기 변압기의 위험도를 추정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HTOD FOR ESTIMATING PARTIAL DISCHARGE OF ELECTRIC TRNSFORMER}
본 발명은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분방전이라 함은 각종 산업체 및 전력계통 변전소에 설치되는 수전설비 및 고압 배전반, 고압 케이블, 변압기, GIS(Gas Insulated Switchger, 가스절연계폐장치), 개폐기, 수전설비 등 전력기기 시스템의 어느 한 부분에 생기는 방전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전극의 첨단 부근에 생기는 코로나 방전, 절연물의 표면을 따라 생기는 연면방전, 절연물 내의 공극에 생기는 보이드 방전 등을 들 수 있다.
전력기기의 이상 유무 감지 및 절연체의 열화 정도를 감시하고 수리시기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부분 방전의 측정 및 감시로 이러한 예측 관리가 가능하다. 이러한 이러한 목적으로 고압 케이블, 변압기, GIS(Gas Insulated Switchgear, 가스절연 개폐장치), 개폐기, 수전설비, 고압반, 저압반, 모터제어반, 배전반 등 전력기기 시스템 내부 전력설비 등의 다양한 전력설비에서 부분방전 측정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다.
산업의 고도화로 전력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고압 케이블, 변압기, GIS, 수전설비, 전력기기 시스템 내의 전력설비에 의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는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기술적 손실도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고전압 전력기기는 국가 기간산업뿐 아니라, 민수용에서도 매우 중요한 시설로 취급되고 있으며, 전력기기의 사고는 인명의 피해, 전력 시설의 직접적 손실과 함께 정보통신망에도 영향을 미치는 국가적으로도 중차대한 사안이다. 발전소, 변전소 및 대형공장 등에 설치되어 있는 전력기기 시스템 내에 변압기, 케이블, 차단기, 개폐기, 고압 케이블, 변압기, GIS, PT, CT, 피뢰기 등의 각종 전력기기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들 전력기기에서 접촉 불량, 절연물의 절연내력 저하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국부적 방전현상(부분방전)은 사고로 이어져 전력공급 시스템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3677호 (발명의 명칭: 부분방전 검출 기능을 갖는 유입 변압기 및 부분방법 검출방법)
본 발명은 변압기에서 발생되는 부분 방전량과 절연유에서 발생되는 유중 가스별 상승비율을 비교하여 변압기에 치명적인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내부방전(절연물 보이드, 아크 등)을 정확히 판정할 수 있는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장치는 변압기 오일에서 추출된 절연유의 유중가스 발생량 및 상기 유중가스의 가연성 가스함유율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변압기의 부분방전량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부분방전량에 따른 상기 유중가스의 상승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변압기의 내부방전을 발생시키는 결함요인, 상기 결함요인의 크기를 분석한 후, 상기 변압기의 위험도를 추정하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검출부는 HFCT(High Frequency Current Transformer) 센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유중가스 발생량에 따른 발생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방전량의 크기를 측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부분방전량에 따른 상기 유중가스의 가연성가스함유률 및 상기 유중가스의 상승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결함요인의 종류 및 크기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의 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변압기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위험도 추정부는 유중가스의 상승비율 및 부분방전신호의 PRPD(Phasor Reserved Partial Discharge)의 패턴 분석을 통해 위험도를 추정한 후, 변압기 주요가스의 증가비/month에 따라 상기 위험도를 등급별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방법은 변압기 오일에서 추출된 절연유의 유중가스 발생량 및 상기 유중가스의 가연성 가스함유율을 검출하는 제1 단계; 상기 변압기의 부분방전량을 측정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부분방전량에 따른 상기 유중가스의 상승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변압기의 내부방전을 발생시키는 결함요인, 상기 결함요인의 크기를 분석한 후, 상기 변압기의 위험도를 추정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부분방전량에 따른 상기 유중가스의 가연성가스함유률 및 상기 유중가스의 상승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결함요인의 종류 및 크기를 분석하는 결함요인 분석단계; 및 상기 결함요인 분석단계의 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변압기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위험도 판단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위험도 추정단계는 유중가스의 상승비율 및 부분방전신호의 PRPD(Phasor Reserved Partial Discharge)의 패턴 분석을 통해 위험도를 추정한 후, 변압기 주요가스의 증가비/month에 따라 상기 위험도를 등급별로 분류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면, 변압기의 유중가스 발생에너지를 판정하여 변압기의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고, 정확한 내부방전의 결함원인을 판정할 수 있어, 결함원인별 변압기의 유지보수 업무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최소한으로 줄 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S730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장치 및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장치(100)는 검출부(110), 측정부(120), 처리부(130) 및 표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장치(100)는 부하율을 모니터링하는 부하율 모니터링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하율은 변압기의 용량 대비 현재의 부하전력의 백분율로 구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장치(100)는 계측 구조의 SCADA 시스템(집중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으로 구축될 수 있다. 즉, 검출부(110) 및 측정부(120) 내의 센서들이 변압기에 다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센서들을 중간에서 로컬 감시장치에 의해 감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검출부(110) 및 상기 측정부(120)는 내부에 상기 처리부(130) 또는 로컬 감시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은 RF(Radio Frequency),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와이브로(Wibro),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방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공간 내에 설치된 모션감지부의 개수, 모션감지부와 데이터 수집부간의 거리, 통신혼선 등을 고려하여 통신방식이 결정되어지며, 이러한 통신은 AP(Access Point) 등의 중계기(미도시)를 경유할 수 도 있다.
상기 검출부(110)는 변압기 오일에서 추출된 절연유의 유중가스 발생량 및 상기 유중가스의 가연성 가스함유율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유중가스는 부분방전, 열, 아크에 의한 에너지 유입으로 발생되는 가스일 수 있다.
상기 측정부(120)는 상기 변압기(M)의 부분방전량을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부(120)는 상기 유중가스 발생량에 따른 발생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방전량의 크기를 측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부(120)는 UHF(초고주파, Ultra High Frequency) 센서, 초고주파 안테나 센서 및 고주파 전류(High Frequency Current Transformer, HFCT) 센서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측정부(120) 내의 센서가 초고주파 안테나 센서일 경우, 변압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300MHz ~ 3GHz의 극초단파를 이용하여 변압기에서의 부분방전으로 생성된 초고주파 신호를 검출한 후, 검출된 초고주파 신호에 기초하여 부분방전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부(120) 내의 센서가 고주파 전류 센서일 경우, 변압기의 접지선에 취부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검출하여, 검출된 신호에 기초하여 부분방전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부분방전이 변압기 내부에서 일어날 때, 그 방전에 의한 고주파 전자기파동이 금속 벽 표면에 일어나고, 표면 전류를 야기시킨다.
측정부(120) 내의 센서가 UHF 센서일 경우, 마이크로스트립패치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고, 300MHz 내지 3000MHz의 주파수 측정범위를 갖으며, 변압기 내부 전자파 방전 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토대로 부분방전을 검출할 수 있다. UHF 센서는 변압기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되어 부분방전 발생시 동반되는 전자파를 검출한다.
UHF 센서는 변압기 내부에 설치하여 검출하는 내장형 타입의 센서나, 변압기의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는 외장형 타입의 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측정부(120) 내의 센서가 HFCT(High Frequency Current Transformer) 센서일 경우, 변압기 내부에서 부분방전이 발생하면 펄스형태의 방전전류가 외부 접지선으로 흐르게 된다. 따라서 HFCT(High Frequency Current Transformer) 센서는 접지선을 통해 흐르는 부분방전 펄스전류를 검출한다.
상기 처리부(130)는 상기 부분방전량에 따른 상기 유중가스의 상승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변압기의 내부방전을 발생시키는 결함요인, 상기 결함요인의 크기를 분석한 후, 상기 변압기의 위험도를 추정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결함요인은 절연물 보이드, 아크 등일 수 있다.
상기 처리부(130)는 결함분석부(131) 및 위험도 추정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함분석부(131)는 상기 부분방전량에 따른 상기 유중가스의 가연성가스함유률 및 상기 유중가스의 상승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결함요인의 종류 및 크기를 분석한다.
상기 위험도 추정부(132)는 상기 결함분석부(131)의 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변압기의 위험도를 추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험도 추정부(132)는 유중가스별 상승비율(변화량) 및 부분방전신호의 PRPD(Phasor Reserved Partial Discharge)의 패턴 분석을 통해 위험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이때, 변압기 주요가스의 증가비/month에 따라 위험도를 A~D 등급으로 분류한다.
상기 위험도 추정부(132)는 유중가스별 상승비율(변화량) (ppm/day,ppm/month)로 1차 위험도를 평가(판단)하고, 유중가스별 분해에너지를 환산한 환산값과 측정부(120)에서 측정한 부분방전신호를 비교하여 2차 위험도를 평가(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1차 평가(판단)는 변압기의 현재 열화정도를 평가할 때 유효하지만, 수평 및 위험도를 평가하기에는 역부족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2차 평가(판단), 즉 유중가스별 분해에너지를 환산한 환산값과 측정부(120)에서 측정한 부분방전신호를 비교분석하여 아킹에 의한 급속한 열화인지, 미소방전에 의한 약한 열화인지 판단한다.
참고로, 유중가스가 증가했다고 해서 위험도가 증가한다고 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금속에 의한 컨택트(Contact) 문제 및 미확인 물질에 의한 가스 증가는 향후 수렴 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위험도 추정부(132)는 부분방전신호의 PRPD(Phasor Reserved Partial Discharge)분석을 이용하여 보이드(절연물 변이)를 판정한다. 상기와 같은 분석을 통해 변압기의 위험도를 보다 정확히 평가할 수 있다.
한편, 부분방전이 발생되는 위치에 있는 절연물의 결합형태에 따라 위험도가 바뀔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변합기의 위험도를 복수 개의 등급으로 구분하여 평가한다.
두 개의 판단 결과를 조합하여 유중가스 증가비/PRPD 패턴/부분 방전량의 조합으로 A~D로 구분하여 위험도를 평가한다.
참고로, 변압기의 절연유는 변압기 내의 결함원인에 대한 다양한 가스가 발생한다. 예컨대, 수소(H2), 아세틸렌(C2H2)는 변압기의 결함원인을 판정할 수 있는 대표적인 가스이다. 수소(H2) 가스는 변압기의 부분방전을 대표할 수 있으며, 아세틸렌(C2H2) 가스는 내부아크를 대표할 수 있는 가스이다. 즉, 결함원이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유중가스의 발생비율이 달라지며, 이는 상기 유중가스의 가연성가스함유률 및 상기 유중가스의 증가비가 가변됨을 의미한다.
참고로, 유중가스의 증가비는 변압기의 결함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값으로 갑작스러운 증가는 변압기의 문제를 나타낸다.
또한 부분방전이나 아크에 의한 유중가스(H2, C2H2)의 변화는 부분방전량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가스이다. 이 가스의 증가비와 HFCT에서 측정된 부분 방전량이 유사하게 증가한다면 변압기의 위험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변압기의 위험도를 상술한 바와 같이, 평가하면 부분방전 패턴(보이드, 플로팅 등) 및 부분방전 발생 빈도의 변화가 나타낸 시점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변압기의 위험도를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처리부에서 처리된 결과값을 2D 또는 3D로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표시부(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14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S730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방법(S700)은 S710 내지 S730을 포함한다.
상기 S710은 변압기 오일에서 추출된 절연유의 유중가스 발생량 및 상기 유중가스의 가연성 가스함유율을 검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S720은 상기 변압기의 부분방전량을 측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S730은 상기 부분방전량에 따른 상기 유중가스의 상승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변압기의 내부방전을 발생시키는 결함요인, 상기 결함요인의 크기를 분석한 후, 상기 변압기의 위험도를 추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S730은 결함요인 분석단계(S731) 및 위험도 추정단계(S7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함요인 분석단계(S731)는 상기 부분방전량에 따른 상기 유중가스의 가연성가스함유률 및 상기 유중가스의 상승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결함요인의 종류 및 크기를 분석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위험도 추정단계(S732)는 상기 결함요인 분석단계의 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변압기의 위험도를 추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험도 추정단계(S732)는 유중가스의 상승비율 및 부분방전신호의 PRPD(Phasor Reserved Partial Discharge)의 패턴 분석을 통해 위험도를 추정한 후, 변압기 주요가스의 증가비/month에 따라 상기 위험도를 등급별로 분류하는 단계일 수 있다.
참고로, 유중가스가 증가했다고 해서 위험도가 증가한다고 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금속에 의한 컨택트(Contact) 문제 및 미확인 물질에 의한 가스 증가는 향후 수렴 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위험도 추정단계(S732)는 부분방전신호의 PRPD(Phasor Reserved Partial Discharge)분석을 이용하여 보이드(절연물 변이)를 판정하는 단계로서, 상기와 같은 분석을 통해 변압기의 위험도를 보다 정확히 평가할 수 있다.
한편, 부분방전이 발생되는 위치에 있는 절연물의 결합형태에 따라 위험도가 바뀔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변합기의 위험도를 복수 개의 등급으로 구분하여 평가한다.
두개의 판단 결과를 조합하여 유중가스 증가비/PRPD 패턴/부분 방전량의 조합으로 A~D로 구분하여 위험도를 평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면, 변압기의 유중가스 발생에너지를 통해 변압기의 위험도를 손쉽게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변압기의 내부발생의 결함원인의 종류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결합원인별 변압기의 유지보수가 가능하여 유지보수 업무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개시된 “~ 부” 는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는 추가적인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스토리지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에 로딩될 수 있다.
한편, 컴퓨팅 디바이스는 네트워크을 통하여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온도 측정부, 영점 보정부)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 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장치
110: 검출부 120: 측정부
130: 처리부 131: 결함요인 분석부
132: 위험도 추정부
140: 모니터링부

Claims (8)

  1. 변압기 오일에서 추출된 절연유의 유중가스 발생량 및 상기 유중가스의 가연성 가스함유율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변압기의 부분방전량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부분방전량에 따른 상기 유중가스의 상승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변압기의 내부방전을 발생시키는 결함요인, 상기 결함요인의 크기를 분석한 후, 상기 변압기의 위험도를 추정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HFCT(High Frequency Current Transformer) 센서를 포함하는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유중가스 발생량에 따른 발생에너지에 기초하여 상기 부분방전량의 크기를 측정하는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부분방전량에 따른 상기 유중가스의 가연성가스함유률 및 상기 유중가스의 상승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결함요인의 종류 및 크기를 분석하는 결함요인 분석부; 및
    상기 분석부의 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변압기의 위험도를 추정하는 위험도 추정부를 포함하는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 추정부는,
    유중가스의 상승비율 및 부분방전신호의 PRPD(Phasor Reserved Partial Discharge)의 패턴 분석을 통해 위험도를 추정한 후, 변압기 주요가스의 증가비/month에 따라 상기 위험도를 등급별로 분류하는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장치.
  6. 변압기 오일에서 추출된 절연유의 유중가스 발생량 및 상기 유중가스의 가연성 가스함유율을 검출하는 제1 단계;
    상기 변압기의 부분방전량을 측정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부분방전량에 따른 상기 유중가스의 상승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변압기의 내부방전을 발생시키는 결함요인, 상기 결함요인의 크기를 분석한 후, 상기 변압기의 위험도를 추정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부분방전량에 따른 상기 유중가스의 가연성가스함유률 및 상기 유중가스의 상승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결함요인의 종류 및 크기를 분석하는 결함요인 분석단계; 및
    상기 결함요인 분석단계의 결과값에 기초하여 상기 변압기의 위험도를 판단하는 위험도 추정단계를 포함하는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 추정단계는,
    유중가스의 상승비율 및 부분방전신호의 PRPD(Phasor Reserved Partial Discharge)의 패턴 분석을 통해 위험도를 추정한 후, 변압기 주요가스의 증가비/month에 따라 상기 위험도를 등급별로 분류하는 단계인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방법.
KR1020160062589A 2016-05-23 2016-05-23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장치 및 방법 KR102053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589A KR102053171B1 (ko) 2016-05-23 2016-05-23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589A KR102053171B1 (ko) 2016-05-23 2016-05-23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363A true KR20170132363A (ko) 2017-12-04
KR102053171B1 KR102053171B1 (ko) 2019-12-09

Family

ID=60921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589A KR102053171B1 (ko) 2016-05-23 2016-05-23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1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05500A (zh) * 2020-11-20 2021-03-16 武汉第二船舶设计研究所(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基于超高频检测方式的局部放电严重程度评估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2921A (ko) * 2006-10-11 2008-04-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프랙탈 분석을 통한 gis 부분방전 3차원 패턴의분류기법
KR20110046226A (ko) * 2009-10-27 2011-05-04 주식회사 태광이엔시 변압기의 복합적 부분방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103677B1 (ko) 2010-11-11 2012-01-11 박기주 부분방전 검출 기능을 갖는 유입 변압기 및 부분방전 검출방법
KR20130074674A (ko) * 2011-12-26 2013-07-04 주식회사 효성 유중가스 조성비를 통한 유입변압기의 내부 결함 진단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2921A (ko) * 2006-10-11 2008-04-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프랙탈 분석을 통한 gis 부분방전 3차원 패턴의분류기법
KR20110046226A (ko) * 2009-10-27 2011-05-04 주식회사 태광이엔시 변압기의 복합적 부분방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103677B1 (ko) 2010-11-11 2012-01-11 박기주 부분방전 검출 기능을 갖는 유입 변압기 및 부분방전 검출방법
KR20130074674A (ko) * 2011-12-26 2013-07-04 주식회사 효성 유중가스 조성비를 통한 유입변압기의 내부 결함 진단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05500A (zh) * 2020-11-20 2021-03-16 武汉第二船舶设计研究所(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基于超高频检测方式的局部放电严重程度评估方法
CN112505500B (zh) * 2020-11-20 2022-07-26 武汉第二船舶设计研究所(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基于超高频检测方式的局部放电严重程度评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171B1 (ko) 201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3289B2 (en) Automated digital earth fault system
JP4323418B2 (ja) ガス絶縁機器の異常状態診断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203298870U (zh) 基于红外温度传感器的gis设备触头温度在线监测系统
CN102928752B (zh) 一种高电压设备绝缘状态监测分析系统及其方法
KR101604110B1 (ko) 비접촉 반도체형 통합 온습도 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의 부스바 통합 관리 시스템
CN203071482U (zh) 具有气体分析功能的高压开关柜
JP2015078882A (ja) 絶縁診断装置
CN204064509U (zh) 一种高压开关柜温度在线监测系统
CN103487728B (zh) 测量gis局部放电的窄带电磁波信号耦合方法及检测系统
CN102147444B (zh) 用于检测电气设备内部放电的平板感应式传感器及检测方法
CN206193087U (zh) 一种基于电致发光效应的非接触式过电压监测装置
CN103163353B (zh) 基于电流波形相空间重构和分形理论的电弧故障检测方法
CN103234578A (zh) 基于ZigBee网络的开关柜环境状态参数监测装置
CN110596553A (zh) 一种变压器在线监测测量装置
Fan et al. Online detection technology for SF6 decomposition products in electrical equipment: A review
CN107505551A (zh) 气体绝缘组合开关设备特高频传感器布置试验装置及应用
KR102053171B1 (ko) 유중가스별 발생량을 이용한 변압기 부분방전량 추정장치 및 방법
Bian et al. The effect of surface roughness on corona-generat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or long-term operating conductors
CN102426076A (zh) 12kV真空灭弧室在线检测真空度、温度的方法
Zhu et al. Study of Non-contact voltage detector of 1000kV UHV AC based on MEMS electric field sensor
CN203148469U (zh) 基于ZigBee网络的开关柜环境状态参数监测装置
Li et al. On-line temperature monitoring of the GIS contacts based on infrared sensing technology
Jaber et al. Frequency spectrum analysis of radiated partial discharge signals
Ji et al. Review of partial discharge detection technology for transient earth voltage of HV switchgear cabinet
KR101311364B1 (ko) 배전 전력 원격 감시 제어 접속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전 전력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3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704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09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5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5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