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1887A - 비콘 신호를 이용한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환경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비콘 신호를 이용한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환경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1887A
KR20170131887A KR1020160062631A KR20160062631A KR20170131887A KR 20170131887 A KR20170131887 A KR 20170131887A KR 1020160062631 A KR1020160062631 A KR 1020160062631A KR 20160062631 A KR20160062631 A KR 20160062631A KR 20170131887 A KR20170131887 A KR 20170131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ironment information
terminal
user terminal
information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4503B1 (ko
Inventor
김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시티그리드
Priority to KR1020160062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503B1/ko
Publication of KR20170131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비콘 신호를 이용한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환경 정보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일 양상에 따른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은 비콘 신호를 생성하는 비콘 단말, 환경 정보를 관리하고, 비콘 단말을 통해 인식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단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인증 및 환경 정보 이용 승인을 처리하고, 환경 정보 이용이 승인된 사용자 단말에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환경 정보 서버와 비콘 단말에 의해 생성된 비콘 신호를 감지하고, 비콘 신호가 감지되면 단말 정보를 환경 정보 서버에 전송하고, 환경 정보 서버에 의해 인증 및 이용 승인이 완료되면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콘 신호를 이용한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환경 정보 제공 방법{Environment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beacon signal, User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환경 정보를 수집 제공하는 기술과 관련되며, 특히 비콘 신호를 사용한 환경 정보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환경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경정보 제공 시스템은 다양한 통신 기법을 이용하여 단말기기와의 연동을 통한 실시간 결재가 가능 할 수 있어야 한다. 단말기기의 가입자 정보 등록/인증을 위해서는 비콘 단말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 비콘 단말이 환경정보제공시스템으로 올바른 데이터 및 환경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선 다양한 기종의 비콘 단말에서 동일한 버전의 가입자 프로파일을 지원해야 한다. 따라서 환경정보제공시스템 구성에서 가입자 프로파일을 자동으로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KR101214503B1 (2012-12-21)
비콘을 통한 환경정보관리 시스템과 사용자 단말간의 인증/등록 절차를 통해 데이터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공간 기반 환경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비콘 단말로부터 출력된 비콘 신호를 감지하는 비콘 신호 감지부, 비콘 신호가 감지되면, 비콘 단말을 통해 환경 정보 서버에 단말 인증 및 환경 정보 이용 승인을 요청하는 인증 요청부와 환경 정보 서버에 의해 사용자 단말의 인증 및 이용 승인이 완료되면,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 정보 서버에 전송하고,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환경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환경 정보는 온도, 날씨, 습도, 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및 불쾌지수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환경 정보 제공부는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초로 하여 소정 공간에 대한 환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인증 요청부는, 비콘 신호가 감지되면, 비콘 단말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정보 전송부,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수행한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인증키를 수신하는 인증키 수신부와 수신된 인증키를 기초로 환경 정보 서버에 환경 정보의 이용 승인을 요청하고, 이용 승인이 완료되면 승인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이용 승인 요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환경 정보 제공부는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환경 정보 이용 승인이 완료되면,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경 정보를 환경 정보 서버에 전송하는 환경 정보 수집부,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환경 정보 이용 승인이 완료되면, 환경 정보 서버에 환경 정보 제공을 요청하고,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환경 정보 요청부와 승인 완료 메시지, 수집된 환경 정보 및 수신된 환경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은 비콘 신호를 생성하는 비콘 단말, 환경 정보를 관리하고, 비콘 단말을 통해 인식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단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인증 및 환경 정보 이용 승인을 처리하고, 환경 정보 이용이 승인된 사용자 단말에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환경 정보 서버와 비콘 단말에 의해 생성된 비콘 신호를 감지하고, 비콘 신호가 감지되면 단말 정보를 환경 정보 서버에 전송하고, 환경 정보 서버에 의해 인증 및 이용 승인이 완료되면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환경 정보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위한 인증키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인증 수행부 수신된 단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고, 미등록 단말인 경우 등록을 수행하는 단말 등록부 인증키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환경 정보 이용 승인 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의 등록 여부를 기초로 환경 정보 이용 승인을 처리하는 이용 승인 처리부와 사용자 단말의 이용 승인이 처리되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여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환경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환경 정보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환경 정보 관리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환경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소정 공간 내의 환경 정보를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환경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비콘 단말은, 연결된 사용자 단말의 개수 및 환경 정보 이용 승인 요청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비콘 신호의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수집된 환경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환경 정보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비콘 단말로부터 출력된 비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비콘신호가 감지되면, 비콘 단말을 통해 환경 정보 서버에 환경 정보 서버에 단말 인증 및 환경 정보 이용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와 환경 정보 서버에 의해 사용자 단말의 인증 및 이용 승인이 완료되면,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 정보 서버에 전송하고,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는 비콘 신호가 감지되면, 비콘 단말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수행한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승인 완료 메시지, 수집된 환경 정보 및 수신된 환경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콘을 기반으로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과 사용자 단말간의 인증/등록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환경 정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자 단말의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인증 요청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환경 정보 제공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환경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는 일 예에 따른 환경 정보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환경 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사용자 단말의 실시 예들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비콘 신호 감지부(110), 인증 요청부(120) 및 환경 정보 제공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비콘 신호 감지부(110)는 비콘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비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비콘 신호 감지부(110)는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이 비콘 단말과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 들어왔는지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비콘 단말은 사용자 단말과 환경 정보 서버를 중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의 AP(Access Point)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과 환경 정보 서버 사이의 통신은 일반적으로 비콘 단말을 통해 이루어 지는 것이고,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 단말과 환경 정보 서버 사이의 통신 경로에 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인증 요청부(120)는 비콘 신호 감지부(110)가 비콘 신호를 감지하면, 비콘 단말을 통해 환경 정보 서버에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인증 요청부(120)는 환경 정보 서버에 수집되어 저장된 환경 정보의 이용에 사용자 단말이 유효한 권한을 부여 받아 이용 가능하도록 환경 정보 서버에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의 인증은 인증 수행부(310)가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번호를 비콘 단말을 통해 환경 정보 서버에 등록하여 수행될 수 있고, 환경 정보 서버가 전송한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인증키를 수신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함으로써 인증을 완료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비콘 단말을 통해 환경 정보 서버에서 인증이 완료된 단말에만 접속을 허용함으로써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인증 요청부(120)는 사용자 단말의 인증이 완료되면 환경 정보 서버에 수집된 환경 정보 이용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요청부(120)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소정 공간에서 수집된 환경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특정 공간의 환경 정보를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환경 정보란 온도, 날씨, 습도, 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 및 불쾌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에 따르면, 인증된 단말의 환경 정보 이용이 승인되면, 환경 정보 제공부(130)는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환경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수신되는 환경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초로 하는 소정 공간에 대한 환경정보일 수 있다. 이때, 환경 정보 제공부(130)는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 단말이 속한 공간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 정보 서버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도2 및 3을 참조하여 인증 요청부(120) 및 환경 정보 제공부(13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인증 요청부(12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증 요청부(120)는 단말 정보 전송부(121), 인증키 수신부(122) 및 이용승인 요청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단말정보 전송부(121)는 비콘 신호 감지부(110)가 비콘 신호를 감지하면,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 또는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환경 정보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는 비콘 단말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할 수 있으며, 단말 정보 전송부(121)가 둘 이상의 비콘 단말과 통신하는 경우 기 설치된 비콘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정할 수도 있다. 한편,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가방이나 주머니 안에 위치하여 비콘 단말의 세기를 측정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기 설치된 비콘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환경 정보 서버에 전송 함으로써 대략적인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정할 수도 있다. 즉, 단말 정보 전송부(121)는 비콘 신호의 수신 감도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정확한 위치 추정이 가능하면,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환경 정보 서버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의 정확한 위치 추정이 어려운 경우 비콘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환경 정보 서버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비콘 단말은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계산하는 이전의 GPS에 비해 위치 구별의 정확성이 높고, 전력 소모가 적으며, 실내에서도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이 GPS모듈을 포함하고 위성 신호 수신 감도가 양호한 경우, GPS를 통해 결정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환경 정보 서버에 전송할 수도 있으며, 수신된 비콘 신호 및 위성 신호를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이 환경 정보 서버에서 서로 구분되어 식별될 수 있는 단말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되는 단말 정보는 환경 정보 서버에서 기 수집된 환경 정보의 업데이트 또는 수신되는 환경 정보의 통계에 사용될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일 예에 따르면, 인증키 수신부(122)는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인증키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되는 인증키는 환경 정보 서버가 수신된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인증키일 수 있으며, 인증키의 생성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한편, 인증키 수신부(122)는 환경 정보 서버에서 송신된 인증키를 수신하는 것으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증키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된 인증키에 대응되는 보안코드를 입력함으로써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이용 승인 요청부(123)는 환경 정보 서버에 환경 정보의 이용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이용 승인 요청부(122)는 인증 요청부(120)에서 사용자 단말의 인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수신된 인증키를 기초로 환경 정보 서버에 환경 정보의 이용 승인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때 요청 가능한 환경 정보는, 사용자 단말이 포함된 소정 공간의 환경 정보, 기 수집된 정보의 통계정보, 특정 시간 및 지역의 환경정보가 될 수 있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환경 정보 제공부(130)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환경 정보 제공부(130)는 환경 정보 수집부(131), 환경 정보 요청부 (132), 정보 출력부(133) 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환경 정보 수집부(131)는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환경 정보 이용의 승인이 완료되면,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환경 정보 수집부(131)는 환경 정보 수집 센서(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소정 공간의 환경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정보 수집 센서(미도시)는 소음 측정 센서, 공기 성분 측정 센서, 기압 센서, 고도 센서 및 온도 센서가 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장착된 환경 정보 수집 센서에 따라 수집 가능한 환경 정보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 환경 정보를 수집 가능한 센서가 없는 경우에는 환경 정보를 수집하지 않고, 환경 정보 이용 승인이 완료되는 즉시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환경 정보 수집부(131)는 수집된 환경 정보를 비콘 단말을 통해 환경 정보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인증 및 환경 정보 이용 승인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에서 수집된 환경 정보를 환경 정보 서버에 전송 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의 없이 환경 정보가 수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집된 환경 정보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환경 정보 수집부(131)는 환경 정보 서버와 연결된 비콘 단말의 통신 범위 내에 속해 있는 동안 소정 시간 간격으로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환경 정보를 비콘 단말을 통해 실시간으로 환경 정보 서버에 전송 할 수 있고, 수집된 환경 정보의 통계 정보를 환경 정보 서버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환경 정보 요청부(132)는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환경 정보 이용 승인이 완료되면, 환경 정보 서버에 환경 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요청 가능한 환경 정보는 환경 정보 수집부(131)에서 수집되어 환경 정보 서버에 전송한 환경 정보와 일치할 필요는 없으며, 기 수집되어 환경 정보 서버에 저장된 다양한 종류의 환경 정보의 요청이 가능하다.
다른 예에 따르면, 환경정보 요청부(132)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소정 공간의 환경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현재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공간 이외의 특정 공간의 환경 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또한, 환경 정보 요청부(132)는 환경 정보 제공 요청에 따라 환경 정보 서버에서 전송된 환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정보 출력부(133)는 수신된 환경 정보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사용자 단말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고, 사용자가 시각적인 표시 정보를 구분할 수 있는 구성이면 족하며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정보 출력부(133)는 터치 입력 가능한 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경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구획을 나누어 각 환경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소정의 기준에 따라 시인성을 달리하여 환경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미세먼지, 오존, 일산화탄소 농도를 구획을 나누어 표시하고, 일산화탄소 농도가 0~2ppm인 경우 '좋음', 2.01~9ppm인경우 '보통', 9.01~15ppm인 경우 '나쁨', 15.01 ppm 이상인 경우 '매우 나쁨'으로 각 구간을 별로 파랑, 초록, 노랑 및 빨강색으로 표시하여 시인성을 달리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정보 출력부(133)는 환경 정보 수집부(131)가 수집하거나 환경 정보 요청부(132)가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수신한 환경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시각적(예: 정보 출력부의 디스플레이 점멸), 촉각적(예: 진동), 청각적(예: 벨소리)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출력부(133)는 수신된 환경 정보 중 일산화탄소 농도가 0~2ppm인 경우 '좋음', 2.01~9ppm인경우 '보통', 9.01~15ppm인경우 '나쁨', 15.01 ppm 이상인 경우 '매우 나쁨'으로 구분하고 일산화탄소 농도가 2.01ppm이상이 되면, 사용자에게 일산화탄소 정보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출력부(133)는 환경 정보 수집부(131)에서 수집된 환경 정보를 기초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으며, 환경 정보 요청부(132)에서 수신된 환경 정보의 소정 기간에 대한 통계 정보를 사용하여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정보 출력부(133)는 사용자 단말의 인증 상태, 환경 정보 이용 승인 요청 결과 및 환경 정보 알림을 표시하고, 환경 정보 송수신의 제어가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정보 출력부(133)는 비콘 신호 감지부(110)가 비콘 단말로부터 비콘 신호를 감지하면, 사용자 단말이 환경 정보 서버와 통신 가능한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고, 이용 승인 요청부(122)의 환경 정보 이용 승인 요청에 따라 환경 정보 서버가 환경 정보의 이용을 승인하면, 승인 완료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환경 정보 제공부(130)는 사용자 단말의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실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정보 출력부(133)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환경 정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환경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여 수집된 환경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환경 정보 제공 방법의 일 예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비콘 단말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410).
사용자 단말이 비콘 신호를 감지하고 나면, 사용자 단말(100)은 환경 정보 서버에서 송신된 인증키를 수신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420). 이때 사용자 단말의 인증은 인증키를 수신하는 것만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나, 수신된 인증키와 대응되는 보안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인증을 완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인증은 사용자 단말이 유효한 권한을 가지고 환경 정보 서버에 접속 가능한 단말임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은 비콘 신호를 감지하고 환경 정보 서버에서 송신된 인증키를 수신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 및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위해 수신된 인증키는 사용자 단말이 송신한 단말정보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인증키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이 포함된 소정 공간을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인하대학교 도서관 로비"로 전송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승인"버튼을 누름으로써 사용자단말의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의 인증이 유효하게 이루어진 다음, 사용자 단말은 환경 정보 서버에 접속하여 환경 정보 이용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430). 유효한 인증을 수행하지 않은 단말의 환경 정보 서버의 접속을 차단함으로써 환경 정보 서버의 데이터 부하 및 환경 정보의 신뢰성과 사용자 단말의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환경 정보 이용이 승인되면,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440). 여기서 수신되는 환경정보의 종류 및 범위는 사용자 단말의 접속 빈도, 환경 정보 제공이 빈도에 기초하여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차등 없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은 환경 정보 서버에서 수집된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 단말이 포함된 소정 공간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 정보 서버에 전송한 후에 환경 정보 서버에서 업데이트된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다음, 사용자 단말은 수신된 환경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450). 예를 들어, 시각적인 표시 정보를 구분 가능한 디스플레이에 수신된 환경정보를 구획을 나누어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 단말은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에 수신된 환경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사용자는 구획을 나누어 표시된 환경 정보를 터치함으로써 해당 환경 정보의 시간별 변화량, 월간, 일간 및 주간 통계 정보와 같은 세부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수신된 환경 정보를 표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수신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각 환경 정보에 대한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고, 수신된 환경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시각적(예: 정보 출력부의 디스플레이 점멸), 촉각적(예: 진동), 청각적(예: 벨소리) 알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수신된 환경 정보 중 일산화탄소 농도가 0~2ppm인 경우 '좋음', 2.01~9ppm인경우 '보통', 9.01~15ppm인경우 '나쁨', 15.01 ppm 이상인 경우 '매우 나쁨'으로 구분하고 일산화탄소 농도가 2.01ppm이상이 되면, 사용자에게 일산화탄소 정보 알림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500)은 사용자 단말(100), 비콘 단말 (200) 및 환경 정보 서버(30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위에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과 동일한 것으로 이하 비콘 단말 및 환경 정보 서버를 중심으로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비콘 단말(200)은 환경 정보 관리 서버와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과 환경 정보 서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비콘 단말은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송출하여 비콘 단말의 통신 범위 내에 환경 정보 서버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이 진입 하였는지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환경 정보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환경 정보 서버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이 검색되면, 비콘 단말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확한 위치 정보를 환경 정보 서버에 전송할 수 있으며, 신호 간섭의 문제로 사용자 단말의 정확한 위치 파악이 어려운 경우 비콘 단말이 설치된 위치를 환경 정보 서버에 전송 함으로써 대략적인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비콘 단말은 실내에도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므로,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계산하는 이전의 GPS에 비해 건물 내부 또는 지하와 같이 위성 신호의 도달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정확한 사용자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콘 단말은 실내 또는 지하 공간에도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므로, 백화점, 도서관, 대형 마트 및 지하 주차장과 같이 다수의 사람이 빈번하게 출입하지만 환기가 용이하지 않은 구역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과 통신함으로써 환경 정보를 용이하게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환경 정보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환경 정보 서버(300)는 인증 수행부(310), 단말 등록부(320), 이용 승인 처리부(330), 환경 정보 관리부(340), 단말 정보 데이터베이스(350) 및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36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수행부(310)는 비콘 단말(20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위한 인증키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은 수신된 단말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이 기 수집된 환경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유효한 권한을 부여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이 아무런 인증 절차 없이 비콘 단말(200)을 통해 환경 정보 서버(300)에 접속 가능한 경우 비콘 단말(200) 및 환경 정보 서버(300)에 불필요한 데이터 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수집된 환경 정보의 신뢰도를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인증 수행부(310)는 비콘 단말(200)과 연결된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수집된 환경 정보의 신뢰성과 사용자 단말의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인증 수행부(310)는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위한 인증키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으로 인증을 완료할 수도 있으나, 환경 정보 시스템의 보안도에 따라 인증 수행부(310)가 인증키 및 인증키에 대응되는 보안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증키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보안 코드를 전송 받은 뒤에 인증키에 대응되는 보안코드와 비교하여 보안코드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인증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여 인증을 완료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인증 수행부(310)는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400)의 운용 필요에 따라 권한에 차등을 둔 보안 코드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이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로 분류되는 경우 사용자의 위치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고, 수신되는 환경 정보의 신뢰도를 보장하기 위해 높은 등급의 보안 코드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에 더 높은 권한을 부여할 수 있고, 유사하게 환경 정보만은 수집하도록 고정된 단말의 경우 비교적 낮은 등급의 보안 코드를 생성하여 부여할 수도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단말 등록부(320)는 수신된 사용자 단말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 정보 데이터베이스(350)에 사용자 단말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등록부(320)는 사용자 단말이 인증을 요청하면 단말 정보 데이터 베이스(350)로부터 사용자 단말이 환경 정보 서버(300)에 접속한 이력을 조회하여 최초 인증을 요청한 단말인 경우, 미등록 단말로 분류하고 수신된 단말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번호를 단말 정보 데이터 베이스(350)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단말 등록부(320)는 사용자 단말의 환경 정보 서버(300) 접속 이력이 저장된 단말 정보 데이터베이스(350)에서 단말의 등록 여부를 조회하여 기 등록 단말인 경우 곧바로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정보 데이터베이스(350)는 수집된 단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정보 데이터베이스(350)는 인증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 번호에 따라 최근 접속 빈도, 접속 지역, 접속 시간 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이용 승인 처리부(330)는 인증키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환경 정보 이용 승인 요청이 수신되면 환경 정보 이용 승인을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인증 수행부(310)에서 사용자 단말에 인증키를 송신하는 것으로 인증을 완료한 경우, 이용 승인 처리부(330)는 유효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 단말의 환경 정보 이용 승인 요청에 따라 환경 정보의 이용을 승인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이용 승인 처리부(330)는 사용자 단말의 등록 여부에 기초하여 환경 정보 이용 승인을 처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이용 승인 처리부(330)는 단말 등록부(320)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의 접속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접속 빈도 및 환경 정보 제공이 빈도가 높을수록 이용 가능한 환경 정보에 차등을 두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접속 빈도가 각 10회로 동일한 사용자 단말 A, B가 있고, 각 단말의 환경 정보 제공 빈도가 각각 5회 및 10회인 경우 이용 승인 처리부(330)는 단말 B의 환경 정보 제공 빈도의 기여도를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 A보다 사용자 단말 B에 더 넓은 범위의 환경 정보의 이용을 승인 처리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인증이 완료되어 유효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 단말의 이용 승인 요청에 따라 차등을 두지 않고 환경 정보 이용 승인을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에 따르면, 이용 승인 처리부(330)는 보안 코드를 사용하여 인증을 완료한 사용자 단말이 이용 승인을 요청하는 경우 발행된 보안코드의 등급에 따라 환경 정보의 이용에 차등을 두어 이용 승인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등급의 보안 코드를 통해 인증을 완료한 사용자 단말은 수집된 환경 정보 전부를 자유롭게 이용 가능한 반면, 낮은 등급의 보안 코드를 통해 인증을 완료한 단말은 그 단말이 제공한 환경 정보에 한하여 접근 가능하도록 차등을 두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이용 승인 처리부(330)는 단말 정보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이용 승인에 우선순위를 두어 이용 승인을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우선순위는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500)에 인증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이 접속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수를 초과하여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500)의 접속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 어느 사용자 단말에 먼저 환경 정보 이용 승인을 하여 환경 정보를 먼저 제공할 것인지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이용 승인 처리부(330)는 단말 정보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의 최근 접속 빈도를 기초로 접속 빈도가 높은 사용자 단말일수록 높은 우선 순위를 두어 동일한 시간에 인증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비해 우선하여 인증을 수행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접속 지역을 기초로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경우 동일한 지역에서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500)에 상시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에 비하여 사용자 단말이 이동하며 복수의 지역에서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500)에 접속을 시도하는 사용자 단말에 우선 순위를 높게 부여함으로써, 복수 지역의 환경 정보를 다양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에 따르면, 환경 정보 관리부(340)는 수신된 환경 정보를 환경 정보 데이터 베이스(360)에 저장하면서 저장된 환경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여기서 환경 정보의 업데이트는 저장된 환경 정보를 수신된 환경 정보로 교체하는 것일 수 있고, 소정의 시간 동안 수신된 환경 정보의 평균값과 같은 통계 정보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온도에 관한 환경 정보는 하루 사이의 온도 변화의 평균 온도 보다는 현재 온도에 관심을 가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저장된 온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된 환경 정보로 교체할 수 있으며, 수집된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장된 온도 정보를 비교적 짧은 시간(예: 5분)동안 수집된 온도 정보의 평균 값으로 업데이트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환경 정보 관리부(340)는 사용자 단말이 이동 통신 단말인 경우 사용자 단말의 이동에 따라 변화하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변경된 위치의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360)를 업데이트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을 휴대한 사용자가 소정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환경 정보 관리부(340)는 이동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이동 후 소정 공간의 환경 정보를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360)에 업데이트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환경 정보 관리부(340)는 사용자 단말이 환경 정보 제공을 요청하면,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된 환경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정보 관리부(340)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된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별도의 지정 없이 현재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소정 공간의 환경 정보를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360)로부터 획득하여 획득된 환경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에 의해 요청되는 특정 공간의 환경 정보를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360)로부터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가 될 수 있으며, 비콘 단말(200)과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신 상태의 양호도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 비콘 단말(200)이 설치된 위치를 환경 정보 서버(300)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의 대략적인 위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환경 정보 관리부(340)는 단말 정보 데이터베이스(350) 및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된 단말 정보와 환경 정보를 연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환경 정보 관리부(340)는 단말 정보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단말 별로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360)의 환경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단말정보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단말 A 및 B가 전송한 환경 정보를 서로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독립된 환경 정보 관리를 통해, 환경 정보 관리부는 소정 공간의 환경 정보 통계값과 특정 사용자 단말이 전송한 환경 정보 값을 비교함으로써 특정 사용자 단말이 송신한 환경 정보가 유효한 것인지 판단하고, 해당 사용자 단말의 신뢰도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환경 정보 관리부(340)는 허용 오차 범위 0.5ppm인 소정 공간의 일산화탄소 농도 값이 5ppm을 유지하고 있을 때, 사용자 단말 A가 전송한 일산화탄소 농도 값이 5.3ppm이면 사용자 단말 A가 전송한 일산화탄소 농도는 허용 오차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유효한 환경 정보라고 판단하여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360)을 업데이트하는 환경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 단말 B가 전송한 일산화탄소 농도 값이 8ppm인 경우 사용자 단말 B가 전송한 일산화탄소 농도는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유효하지 않은 환경 정보라고 판단하여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360)를 업데이트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B가 지속적으로 허용 오차범위를 벗어나는 환경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환경 정보 관리부(340)는 사용자 단말 B의 신뢰도를 낮게 조정하여 단말 정보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이용 승인 처리부(320)는 단말 정보 데이터베이스(350)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의 신뢰도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정 공간에 포함되어 있는 과반수의 사용자 단말이 허용 오차범위를 초과하는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환경 정보 관리부(340)는 환경 정보의 급격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수신된 환경 정보를 기초로 환경 정보 데이터 베이스(360)를 업데이트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에 따르면, 환경 정보 서버(300)는 비콘 단말(200)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의 개수, 단말의 등록, 인증 수행 및 환경 정보 이용 승인 요청 빈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비콘 단말(200)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의 강도, 전송 주기 및 활성화 상태를 조정하는 비콘 신호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콘 단말(200)은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고, 하나의 비콘 단말(200)이 하나의 사용자 단말과 환경 정보 서버(300)를 중계하는 경우와 하나의 비콘 단말(200)이 열 개의 사용자 단말과 환경 정보 서버(300)를 중계하는 경우를 비교하면, 비콘 단말(200)의 부담은 후자의 경우가 더 클 수 있다. 이때, 비콘 신호 제어부(미도시)는 이 경우 하나 이상의 비콘 단말(200)을 대기상태에서 활성상태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과 환경 정보 서버(300) 사이의 중계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비콘 신호 송출 주기는 100ms로 최초 설계될 수 있으며, 비콘 신호 제어부는 소정 공간 내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의 환경 정보 이용 승인을 요청이 일정 빈도를 초과하는 경우 비콘 신호 송출 주기를 50ms로 조정함으로써 환경 정보 전송 지연을 경감시킬 수도 있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환경 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500)이 수행하는 환경 정보 관리 방법의 일 예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과 환경 정보 서버(300)는 비콘 단말(200)을 통해 환경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비콘 단말(200)은 환경 정보 관리 서버와 통신 가능한 범위 내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과 환경 정보 서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701, 702).
일 예에 따르면, 비콘 단말은 주기적으로 비콘 신호를 송출하여 비콘 단말의 통신 범위 내에 환경 정보 서버와 통신 가능한 사용자 단말이 진입 하였는지 검색할 수 있다(701).
그 다음, 사용자 단말(100)은 송출된 비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702). 예컨대, 비콘 신호가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 및/또는 사용자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정보를 환경 정보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702, 703).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비콘 신호의 수신 감도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정확한 위치 추정이 가능하면, 비콘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환경 정보 서버(300)에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의 정확한 위치 추정이 어려운 경우 비콘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환경 정보 서버(300)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다음, 환경 정보 서버(300)가 단말 정보를 수신하면, 환경 정보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위한 인증키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704, 705). 또한, 이에 제한되지 않고 환경 정보 시스템(500)의 보안도에 따라 인증키 및 인증키에 대응되는 보안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증키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100)은 비콘 단말(200)을 경유하여 인증키를 수신하는 것으로 인증을 완료할 수도 있으나(705), 환경 정보 시스템(500)의 보안도에 따라 수신된 인증키에 대응되는 보안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인증을 완료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환경 정보 서버(300)는 수신된 보안 코드와 인증키를 생성하며 함께 생성된 보안코드를 비교하여 보안코드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인증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여 인증을 완료할 수도 있다.
인증이 완료 되면, 사용자 단말은 환경 정보 서버(300)에 수집된 환경 정보 이용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706). 여기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소정 공간에서 수집된 환경 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 특정 공간의 환경 정보를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다음, 환경 정보 서버(300)는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이 환경 정보 이용 승인 요청이 수신되면 환경 정보 이용 승인을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인증 사용자 단말에 인증키를 송신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완료한 경우, 환경 정보 서버(300)는 유효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 단말의 환경 정보 이용 승인 요청에 따라 환경 정보의 이용을 승인할 수 있다.
환경 정보 이용이 승인되면, 사용자 단말(100)은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비콘 단말(200)을 통해 환경 정보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707).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인증 및 환경 정보 이용 승인이 완료된 사용자 단말에서 수집된 환경 정보를 환경 정보 서버에 전송 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의 없이 환경 정보가 수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집된 환경 정보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환경 정보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집된 환경 정보서 수신되면, 수신된 환경 정보를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면서 저장된 환경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708). 여기서 환경 정보의 업데이트는 저장된 환경 정보를 수신된 환경 정보로 교체하는 것일 수 있고, 소정의 시간 동안 수신된 환경 정보의 평균값과 같은 통계 정보가 될 수 있다.
그 다음, 환경 정보 서버(300)는 업데이트 된 환경 정보를 비콘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709). 예를 들어, 환경 정보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된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별도의 지정 없이 현재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소정 공간의 환경 정보를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여 획득된 환경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에 의해 요청되는 특정 공간의 환경 정보를 환경 정보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환경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환경 정보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710).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경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구획을 나누어 각 환경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소정의 기준에 따라 시인성을 달리하여 환경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미세먼지, 오존, 일산화탄소 농도를 구획을 나누어 표시하고, 일산화탄소 농도가 0~2ppm인 경우 '좋음', 2.01~9ppm인경우 '보통', 9.01~15ppm인 경우 '나쁨', 15.01 ppm 이상인 경우 '매우 나쁨'으로 각 구간을 별로 파랑, 초록, 노랑 및 빨강색으로 표시하여 시인성을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환경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수신한 환경 정보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시각적(예: 정보 출력부의 디스플레이 점멸), 촉각적(예: 진동), 청각적(예: 벨소리) 알림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작성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
110 : 비콘 신호 감지부
120 : 인증 요청부
121 : 단말 정보 전송부
122 : 인증키 수신부
123 : 이용 승인 요청부
130 : 환경 정보 제공부
131 : 환경 정보 수집부
132 : 환경 정보 요청부
133 : 정보 출력부
200 : 비콘 단말
300 : 환경 정보 서버
310 : 인증 수행부
320 : 단말 등록부
330 : 이용 승인 처리부
340 : 환경 정보 관리부
350 : 단말 정보 데이터베이스
360 :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10)

  1. 비콘 단말로부터 출력된 비콘 신호를 감지하는 비콘 신호 감지부;
    비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비콘 단말을 통해 환경 정보 서버에 사용자 단말의 인증 및 환경 정보 이용 승인을 요청하는 인증 요청부; 및
    상기 환경 정보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 및 이용 승인이 완료되면,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환경 정보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환경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는 온도, 날씨, 습도, 미세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 및 불쾌지수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 정보 제공부는,
    상기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기초로 하여 소정 공간에 대한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요청부는,
    비콘 신호가 감지되면, 비콘 단말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정보 전송부;
    상기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수행한 상기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인증키를 수신하는 인증키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인증키를 기초로 환경 정보 서버에 환경 정보의 이용 승인을 요청하고, 이용 승인이 완료되면 승인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는 이용 승인 요청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 제공부는,
    상기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환경 정보 이용 승인이 완료되면,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경 정보를 상기 환경 정보 서버에 전송하는 환경 정보 수집부;
    상기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환경 정보 이용 승인이 완료되면, 상기 환경 정보 서버에 환경 정보 제공을 요청하고,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환경 정보 요청부; 및
    상기 승인 완료 메시지, 상기 수집된 환경 정보 및 상기 수신된 환경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5. 비콘 신호를 생성하는 비콘 단말;
    환경 정보를 관리하고, 비콘 단말을 통해 인식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단말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 및 환경 정보 이용 승인을 처리하고, 환경 정보 이용이 승인된 사용자 단말에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환경 정보 서버; 및
    상기 비콘 단말에 의해 생성된 비콘 신호를 감지하고, 비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단말 정보를 상기 환경 정보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환경 정보 서버에 의해 인증 및 이용 승인이 완료되면 상기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 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위한 인증키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인증 수행부;
    상기 수신된 단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고, 미등록 단말인 경우 등록을 수행하는 단말 등록부;
    상기 인증키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환경 정보 이용 승인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등록 여부를 기초로 환경 정보 이용 승인을 처리하는 이용 승인 처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용 승인이 처리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여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환경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환경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 정보 관리부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환경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소정 공간 내의 환경 정보를 상기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환경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단말은,
    연결된 사용자 단말의 개수 및 환경 정보 이용 승인 요청 빈도에 기초하여 상기 비콘 신호의 강도를 조정하는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9. 수집된 환경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환경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비콘 단말로부터 출력된 비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비콘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비콘 단말을 통해 환경 정보 서버에 상기 환경 정보 서버에 단말 인증 및 환경 정보 이용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환경 정보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 및 이용 승인이 완료되면,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환경 정보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환경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는,
    비콘 신호가 감지되면, 비콘 단말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수행한 상기 환경 정보 서버로부터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승인 완료 메시지, 상기 수집된 환경 정보 및 상기 수신된 환경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환경 정보 제공 방법.
KR1020160062631A 2016-05-23 2016-05-23 비콘 신호를 이용한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환경 정보 제공 방법 KR101874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631A KR101874503B1 (ko) 2016-05-23 2016-05-23 비콘 신호를 이용한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환경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2631A KR101874503B1 (ko) 2016-05-23 2016-05-23 비콘 신호를 이용한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환경 정보 제공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891A Division KR20180074651A (ko) 2018-06-27 2018-06-27 비콘 신호를 이용한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환경 정보 제공 방법
KR1020180073906A Division KR20180074652A (ko) 2018-06-27 2018-06-27 비콘 신호를 이용한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환경 정보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887A true KR20170131887A (ko) 2017-12-01
KR101874503B1 KR101874503B1 (ko) 2018-08-02

Family

ID=60921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631A KR101874503B1 (ko) 2016-05-23 2016-05-23 비콘 신호를 이용한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환경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5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416B1 (ko) * 2023-04-07 2023-11-09 주식회사 류템 스마트카드 기반 사물 이력 관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416B1 (ko) * 2023-04-07 2023-11-09 주식회사 류템 스마트카드 기반 사물 이력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503B1 (ko)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5522B2 (en) Bluetooth crowd-sourced triangulation
US9801062B2 (en) Bluetooth transmission security pattern
US10121299B2 (en) Electronic identification, location tracking, communication and notification system with beacon clustering
US9603013B2 (en) Bluetooth beacon protocol
US10389729B2 (en) Access control us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10074225B2 (en) Validation in secure short-distance-based communication and enforcement system according to visual object flow
US10115253B2 (en) Electronic location identiication and tracking system with beacon clustering
US10223887B2 (en) Anti-theft apparatus for smart device
CN105577487A (zh) 一种智能家居设备的控制方法、信息处理装置
JP2009135892A (ja) 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における位置依存制御アクセス
US10607431B2 (en) Electronic identification, location tracking, communication and notification system with beacon clustering
KR20170032147A (ko) 단말 및 이의 위치 측정 방법
KR101874503B1 (ko) 비콘 신호를 이용한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환경 정보 제공 방법
EP3415942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door tracking via wi-fi fingerprinting and electromagnetic fingerprinting
KR20180074652A (ko) 비콘 신호를 이용한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환경 정보 제공 방법
KR20180074651A (ko) 비콘 신호를 이용한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사용자 단말 및 환경 정보 제공 방법
KR102609613B1 (ko) Qr 코드 및 비콘 기반의 실내출입통제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7270A (ko) 숙박 관리 서버, 숙박 관리 방법, 숙박 관리를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및 휴대 단말
KR101998879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인 차단장치 제어방법
US20200374697A1 (en) Automatic building system control restrictions based on physical presence defined by access control event information and knowledge base system
KR101840409B1 (ko) 비주기적 갱신 기반 사용자 위치정보 처리 방법
KR102538507B1 (ko) 작업자 안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49633A (ko)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위치추적 장치
KR102192460B1 (ko)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침입 탐지 시스템 및 침입 탐지 방법
KR102170932B1 (ko) 절전량 관리장치, 관리서버 및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