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0796A -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0796A
KR20170130796A KR1020160061460A KR20160061460A KR20170130796A KR 20170130796 A KR20170130796 A KR 20170130796A KR 1020160061460 A KR1020160061460 A KR 1020160061460A KR 20160061460 A KR20160061460 A KR 20160061460A KR 20170130796 A KR20170130796 A KR 20170130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authentication
user
mo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제훈
Original Assignee
이제훈
이지스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제훈, 이지스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제훈
Priority to KR1020160061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0796A/ko
Publication of KR20170130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7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06K9/0034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3Recognition of whole body movements, e.g. for sport tr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 동작을 동영상으로 획득하여 프레임 단위의 동작 영상으로 관리하는 영상 획득부, 프레임 단위의 동작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 동작을 분석하고 경로 및 속도 벡터를 포함하는 움직임 패턴을 생성하는 영상 특징 추출부, 및 움직임 패턴과 인증 패턴을 비교하여 사용자 동작에 대한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USER GESTUR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사용자 동작을 기반으로 하여 온라인 거래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과 관련된다.
인터넷 뱅킹이나 온라인 전자 결제와 같은 비대면 금융거래의 사용이 확대됨에 따라 비대면 금융거래의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비대면 금융거래 시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인증 방식이 제안되었고, 예를 들어, ID/PW와 같이 사용자의 지식에 따른 입력을 받는 방식이나, 하드웨어, 공인인증서, OTP(One Time Password) 기기, 보안카드와 같이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물품에 근거한 정보를 입력하여 사용자를 인증받는 방식 등이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소지하고 있는 물품에 근거하여 인증을 하는 방식에 대한 불편함이 제기되었고 복잡한 인증 절차를 대신하여 생체 인증을 활용하는 FIDO(Fast Identity Online) 바이오 인증 서비스가 제안되었다.
KR 10-1457377 B1 2014. 11. 3.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은, 소지하고 있는 물품이 없이도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도록 하여 모바일 단말기를 활용한 비대면 거래에서 사용자 인증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은, 일반적인 생체 인증 과정에서 지문, 눈동자, 얼굴 인식을 위하여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생체를 노출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에 따르면 일상의 3차원 공간에서 사용자의 특정한 손동작을 인지하거나 손가락의 움직임을 추적함으로써 인증을 위한 사용자의 불편함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기존의 2차원 인지 방식보다도 훨씬 많은 조합의 사용자 인증 패턴을 생성할 수 있어 사용자 인증의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은, 사용자 동작을 동영상으로 획득하여 프레임 단위의 동작 영상으로 관리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프레임 단위의 동작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동작을 분석하고 경로 및 속도 벡터를 포함하는 움직임 패턴을 생성하는 영상 특징 추출부, 및 상기 움직임 패턴과 인증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동작에 대한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방법은, 단말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를 통하여 사용자 동작을 동영상으로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동작 동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동작을 분석하여 경로 및 속도 벡터를 포함하는 움직임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움직임 패턴과 인증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동작에 대한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은, 온라인 거래 시에 사용자가 초기에 입력한 사용자 동작을 3차원 공간에서 획득함으로써 사용자가 특별한 물품을 소지할 필요가 없으며 인체의 특별한 부위를 노출하여 인증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인증을 위해 감내해야 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은,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사용자 동작을 조합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움직임 패턴을 생성하고, 또한 사용자 동작을 3차원으로 분석하기 때문에 2차원 공간에서의 인증 방법보다도 현저히 많은 조합의 인증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증 패턴의 수가 증가하는 한편으로 3차원 분석을 통하여 각 사용자 개인의 행동에 적합한 패턴을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인증의 보안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거래를 위한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을 구비하는 단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을 기능적으로 구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윤곽 특징 추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경로 특징 추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기반의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움직임 패턴의 생성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방법에 있어서 인증 패턴의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서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거래를 위한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장치(1)를 소지한 사용자는 단말장치(1)에 구비된 촬상소자(PE)의 촬영 범위 내에서 일정한 동작을 취함으로써 단말장치(1)에 접촉하지 않고 자신이 단말장치(1)의 진정한 사용자임을 인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는 촬상소자(PE) 및 디스플레이(DSP)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촬상소자(PE)의 촬영 범위 내에서 동작을 취하면 촬상소자(PE)는 사용자의 동작을 연속된 동영상으로 촬영한다. 촬영된 동영상은 단말장치(1) 내부에서 영상 처리를 통해 움직임 패턴으로 분석되고 사용자가 초기 단말의 인증 등록 시에 입력한 인증 패턴과 비교되어 패턴의 일치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인증될 수 있다. 촬상소자(PE)를 통하여 촬영된 사용자의 동작은 디스플레이(DSP)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확인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 거래를 함에 있어서, 이미 거래를 위한 정보와 단말장치(1)의 식별정보가 연계되어 있는 경우에 단말장치(1)를 통한 온라인 거래 도중에 단말장치(1)의 진정한 사용자가 온라인 거래를 요청하였다는 것을 인증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온라인 거래를 인증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에서 인증을 위하여 분석되는 사용자의 동작은 손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손 전체를 활용하여 다양한 손 모양을 하고, 손 모양의 시계열적 조합을 통하여 인증을 위한 움직임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손가락만으로 서명을 하는 동작을 하여 인증을 위한 움직임 패턴을 구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동작은 단말장치(1)를 통하여 3차원으로 분석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동일한 손 모양의 조합을 취한다고 하더라도 동일 평면에서 손 모양을 취하는 것이 아니라 가까운 곳에서 일정한 동작을 취했다가 멀리 떨어져 동작을 취하는 등으로 서로 다른 움직임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으로 서명을 하는 동작을 취함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은 2차원의 서명 그대로가 아니라 특정 획에서의 서명 속도 등도 함께 분석하여 패턴화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동작을 3차원으로 분석하는 경우, 단말장치(1)에 포함된 촬상소자(PE)는 두 개 이상의 촬상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은 사용자가 단말장치(1)에 접촉하지 않고도 다양한 사용자 동작을 패턴화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으며 더욱이 동작의 3차원 분석 및 속도 벡터의 분석에 따라서 기존 2차원 분석보다도 더 구체적인 사용자 동작의 패턴화가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을 구비하는 단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장치(1)는 입력부(10), 프로세서(20), 디스플레이(30) 및 저장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1)는 데스크탑(desktop),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tablet)과 같은 전자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을 물리적 단위로 구분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을 기능적 단위로 구분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구성요소들과 도 3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구성요소들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은 도 2의 프로세서(20) 및 저장부(40)에서 일부 기능들이 나뉘어 수행될 수 있다.
입력부(10)는 단말장치(1)에 대하여 다양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입력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1)는 입력부(1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0)는 마이크(Microphone),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카메라(camera)와 같은 촬상소자(도 1의 PE), 그리고 디스플레이와 함께 구현된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 동작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입력부(1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촬상소자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취하는 동작을 3차원으로 분석할 수 있다.
프로세서(20)는 단말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별히 배제하지 않는 한, 단말장치(1)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프로세서(2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프로세서(20)는 입력부(10), 디스플레이(30), 및 저장부(40)와 같이 단말장치(1)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0)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AP(Application Processor)와 같은 연산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0)는 GPU(Graphical Processing Uni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GPU는 디스플레이(30)의 출력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0)는 다양한 연산 장치가 통합된 SoC(System on Chip)와 같은 통합 칩(Integrated Chip (I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합 칩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20) 외에도 통신 모듈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에는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가 온라인 거래를 위하여 단말장치(1)의 사용자임을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등록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등록을 하는 과정에서 촬상소자, 즉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되는 사용자 동작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될 수 있으며,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하기 위하여 점, 선, 형태로 이루어진 안내(Guidance)가 디스플레이(30)를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단말장치(1)를 통하여 온라인 거래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30)를 통하여 사용자 동작을 통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인증 요청 화면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인증 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사용자 등록을 위하여 제공되는 화면과 동일한 사용자 동작 인식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10)와 함께 구현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0)는 터치 패널, EMR(Electro-Magnetic Resonance) 패널, 또는 센싱 모듈을 포함하여 디스플레이(30)와 함께 설치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30) 상의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 동작을 인식하는 과정에서는 디스플레이(30)가 터치 입력을 수신할 필요가 없다. 다만, 사용자 동작 인식 이외의 다른 기능, 예를 들어 새로운 사용자 인증 패턴을 등록하기 위하여 특정한 메뉴를 선택하거나 사용자 동작을 완료하였다는 것을 인식시키기 위한 동작 등, 사용자 동작을 수행하기 이전 혹은 이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3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30) 상의 터치 기능을 활용하지 않고도 사용자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단말장치(1)의 촬상소자가 촬영 가능한 범위 내에서 동작을 취함에 따라서 사용자 인증을 할 수 있다.
저장부(40)는 단말장치(1)의 동작을 위한 명령어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저장부(40)에는 사용자 인증 어플리케이션(45)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어플리케이션(45)은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또는 온라인 거래 중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트리거(trigger)에 응답하여 구동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어플리케이션(45)은 프로세서(20)에 의해 실행될 때 입력부(10)에 구비된 촬상소자를 활성화하고, 디스플레이(30)를 통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동작을 동영상으로 촬영하며 촬영된 사용자 동작을 디스플레이(30)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표시하도록 단말장치(1)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 인증 어플리케이션(45)은 촬영된 사용자 동작을 분석하여 움직임 패턴을 생성하고 생성된 움직임 패턴과 기존의 인증 패턴을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명령어 또는 프로그램 코드(programmable 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기반의 인증 방법이 단말장치(1) 내에서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또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 동작을 통하여 습득된 인증 패턴 및/또는 움직임 패턴을 저장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단말장치(1)는 통신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단말장치 또는 서버와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50)는 2G/3G,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와 같은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0)는 Wi-Fi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통신부(50)는 다른 단말장치 또는 서버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다양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RF(Radio Frequency) 칩(chip)이나 회로(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50)는 단말장치(1)에 포함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50)는 온라인 거래를 요청하는 거래 서버로부터 거래 인증 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 동작의 분석에 따라 움직임 패턴과 기존의 인증 패턴을 비교한 인증 결과를 거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거래 서버는 단말장치(1)와 연계된 거래 정보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단말장치(1)를 통하여 제공된 인증 결과에 따라 거래 정보가 인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에 따르면, 거래 정보에 연계된 단말장치(1)의 사용자가 사용자 동작을 통하여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거래를 완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을 기능적으로 구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100)은, 영상 획득부(110), 영상 특징 추출부(120) 및 인증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10)는 도 1의 입력부(100)를 통하여 사용자 동작을 동영상으로 획득하여 프레임 단위의 동작 영상으로 관리한다. 영상 획득부(110)에서는 연속적인 사용자 동작의 동영상을 프레임 단위의 동작 영상으로 분할하여 관리한다.
영상 특징 추출부(120)는 프레임 단위의 동작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 동작을 분석하고 경로 및 속도 벡터를 포함하는 움직임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특징 추출부(120)는 윤곽 특징 추출부(121) 및 이동경로 특징 추출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윤곽 특징 추출부(121)는 프레임 단위의 동작 영상에서 윤곽선 및 윤곽선 내 지점을 포함하는 벡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고유 벡터의 방향 히스토그램 및 위치 변화율을 특징 벡터로 정의하여 제스쳐 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윤곽 특징 추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윤곽 특징 추출부(121)는 사용자의 손모양의 윤곽선을 파악하고, 윤곽선 상, 그리고 윤곽선 내 영역 중에서 특징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지점을 특징점으로 포함하는 일련의 벡터를 고유 벡터로 구성한다. 윤곽 특징 추출부(121)는 윤곽선 벡터에 대한 방향 히스토그램과 위치 변화율을 특징 벡터로 정의하고, 주 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이용하여 손 모양에 대한 고유 벡터(eigen-vectors)를 구하여 특징을 최적화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윤곽의 특징을 추출하여 파악할 수 있는 동작의 모양은 일련의 손 동작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손짓들의 조합으로 사용자 동작을 구성할 수 있다.
이동경로 특징 추출부(123)는 프레임 단위의 동작 영상에서 이동경로 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경로 특징 추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경로 특징 추출부(123)는 손가락의 위치를 파악하여 손가락의 이동경로 패턴을 추출하여 최적화한다. 이동경로 특징 추출부(123)는 손가락의 위치, 방향, 속도를 포함하는 벡터들을 이동경로 패턴으로 추출한다. 손 또는 손가락을 추적하는 알고리즘은 반복적인 베이지안(Baysian) 기반의 칼만 필터(Kalman filter) 프레임워크(framework)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동경로 특징 추출부(123)는 손가락의 위치를 파악하고 특징점들의 벡터들을 토대로 손가락의 위치, 방향, 속도를 포함하는 벡터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동경로 특징 추출부(123)에서 추적되는 손 또는 손가락의 상태 변수(State variable)는 손을 둘러싸는 윤곽선의 위치와 속도의 벡터로 표현될 수 있다. 상태 변수가 가우시안(Gaussian) 분포를 가지지 않을 경우, 파티클(particle) 필터와 같은 비선형 필터 프레임 워크가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경로 특징 추출부(123)는 칼만 필터 프레임 워크와 비선형 필터 프레임 워크를 적절히 활용하여 이동경로 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특징 추출부(120)는 영상 분할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분할부(125)는 영상 획득부(110)로부터 프레임 단위의 동작 영상을 수신하여, 동작 영상 중에서 분석에 필요한 영역, 즉 ROI(Region Of Interest)을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신체 영역과 배경을 구분한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손동작이 프레임 단위의 동작 영상으로 수신된 경우에는 손 부분과 배경으로 영상을 구분할 수 있다.
영상 분할부(125)는 관심 영역을 얻기 위하여 컴퓨터 비전 기술인 다양한 영역 분할(Image segmentation) 알고리즘을 활용할 수 있다. 영역 분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수신된 영상을 다른 칼라 채널(color channel)로 변환하거나, 영상 필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또는 영상을 규격화(normalization)한다. 영역 분할은 단순한 영상 이진화(image thresholding), 윤곽 기반의 active contours, 그래프 이론에 기반한 graph-cut, 확률 밀도 함수의 최빈값(mode)을 찾는 mean-shift 등의 알고리즘이 활용될 수 있다.
영상 분할부(125)를 통하여 프레임 단위 영상 중에서 원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분석함에 따라서 윤곽 특징 추출부(121) 및 이동경로 특징 추출부(123)의 영상 처리 부하가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특징 추출부(120)가 움직임 패턴을 생성하는 속도 또한 빨라질 수 있다.
인증부(130)는 영상 특징 추출부(120)에서 생성된 움직임 패턴과 인증 패턴을 비교하여 사용자 동작에 대한 인증 여부를 판단한다. 인증부(130)는 초기에 사용자가 단말장치(1)에 등록한 인증 패턴을 관리한다. 그리고 이후에 온라인 거래에 대한 인증을 위하여 사용자에게 인증이 요청되고 사용자가 새로이 동작을 취함으로써 수신된 사용자 동작에 근거하여 움직임 패턴이 생성되면, 기저장된 인증 패턴과 움직임 패턴을 비교하여 인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인증부(130)는 인증 패턴과 움직임 패턴 사이에 기설정된 수치를 기준으로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동작을 인증할 수 있다.
인증 패턴과 움직임 패턴 사이의 유사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내부 파라미터와 외부 파라미터의 수치를 기준으로 특정한 조건식을 만족하는 경우에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정한 조건식의 작성 방식에 따라서 인증 패턴과 움직임 패턴이 서로 유사한 경우에 조건식 결과가 기설정된 수치보다 큰 경우와 작은 경우가 모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기설정된 수치를 기준으로 유사성이 있는 경우로 판단되는 것은 조건식에 대입하였을 경우에 기설정된 수치보다 큰 값을 가지거나 작은 값을 가지는 경우를 모두 포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개념에 근거하여 인증부(130)가 기설정된 수치를 기준으로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인증부(130)는 패턴 매칭을 수행하는데, 저장된 인증 패턴의 벡터 데이터와 실시간으로 수신된 움직임 패턴의 벡터 데이터 사이의 유사성은 유사도 측정 공식 및 통계적 매칭 방법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부(130)는 Sum of Absolute Difference(SAD), Sum of Squared Differences(SSD), Normalized Cross Correlation(NCC), Sum of Hamming Distances(SHD), Bhattacharyya Distance(BH), Mahalanobis Distance(MH), Entropy Measurement 등을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인증 패턴과 움직임 패턴 사이의 유사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인증부(130)는 저장된 인증 패턴과 움직임 패턴의 유사도가 기설정된 수치를 넘으면 인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인증부(130)는 새로운 움직임 패턴이 수신됨에 따라 기저장된 인증 패턴을 갱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부(130)는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알고리즘을 통하여 인증 패턴을 갱신할 수 있다. 기존의 참조 정보 벡터에 새롭게 인증된 움직임 벡터의 벡터 정보가 더해지면서 참조 정보를 구성하는 매개변수(parameter)가 갱신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증 패턴의 갱신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서 인증 성공 횟수가 증가할수록 사용자 동작에 대한 강건한(robust) 참조 정보의 저장이 가능해 진다.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100)은 제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온라인 거래에 대한 인증 요청을 지시하는 거래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동작 기반의 인증 세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동작 기반의 인증 세션을 활성화하는 것은, 단말장치(1)에 구비된 촬상소자를 구동시켜 사용자 동작을 동영상으로 획득하고, 획득한 동영상을 분석하여 움직임 패턴을 생성한 이후에 움직임 패턴과 인증 패턴을 비교하여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거래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동작 기반의 인증 세션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제어부(140)는 영상 획득부(110), 영상 특징 추출부(120) 및 인증부(130)의 동작을 모두 제어할 수 있다. 영상 획득부(110), 영상 특징 추출부(120) 및 인증부(130)의 순차적인 영상 분석을 통해 결과적으로 인증부(130)에서 인증 결과를 수신함에 따라, 제어부(140)는 인증 결과를 거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40)는 도 2의 통신부(50)를 통하여 거래 서버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인증 결과를 거래 서버로 전송하도록 통신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 인증 요청은 거래 서버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상응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40)는 초기 혹은 인증 패턴이 노출되어 사용자가 인증 패턴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인증 패턴 등록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인증 패턴 등록신호에 응답하여 영상 획득부(110)가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 동작을 복수 회 동영상으로 획득하고, 영상 특징 추출부(120)가 획득된 복수 개의 동영상들을 분석하여 움직임 패턴을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복수 개의 움직임 패턴들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변이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즉 이러한 경우에는 이후에 사용자 동작이 입력되어도 인증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유사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하여 인증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정도가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제어부(140)는 등록을 위한 인증 패턴의 신뢰성을 판단하여 인증 가능한 정도가 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움직임 패턴을 인증 패턴으로 인증부(130)에 저장한다. 인증 패턴이 등록된 이후, 인증부(130)는 거래 인증을 위하여 사용자 동작이 입력됨에 따라 추출된 움직임 패턴 중 인증에 성공한 움직임 패턴을 통하여 인증 패턴을 지속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동작이 단말장치(1)의 디스플레이 상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에는 사용자 동작을 안내하기 위하여 점, 선, 형태로 구성된 화면이 함께 제공될 수 있는데,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100)에 포함된 인터페이스부(15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단말장치(1)의 디스플레이(30)에서 사용자 동작을 시작하기 위한 초기 시작점 입력 지점을 지정하거나,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동작을 윤곽선 형태 모양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의 동작 궤적을 따라 선 형태로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50)가 디스플레이(30) 상에 안내를 위한 형태, 선, 점 등을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동작이 어떻게 인식되는지를 확인하면서 동작을 취할 수 있어 이전에 등록한 동작과 최대한 유사한 동작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인증 성공률을 더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기반의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획득부(110)가 단말장치(1)에 구비된 촬상소자(PE), 즉 입력부(10)를 통하여 사용자 동작을 동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610).
영상 특징 추출부(120)는 사용자 동작 동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 동작을 분석하여 경로 및 속도 벡터를 포함하는 움직임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620). 영상 특징 추출부(120)가 움직임 패턴을 생성하는 과정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인증부(130)는 영상 특징 추출부(120)에서 생성된 움직임 패턴과 기저장된 인증 패턴을 비교하여 사용자 동작에 대한 인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630). 실시 예에 따라, 인증부(130)에서 인증여부를 판단하면,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인증여부에 대한 정보가 거래 서버로 전송될 수도 있다 (단계 S650).
또한, 인증이 성공한 움직임 패턴은 인증부(130) 내에서 기존에 저장된 인증 패턴에 더하여 인증 패턴을 갱신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단계 S640).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방법은 결제 서버로부터 제공된 거래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제어부(140)가 인증 세션을 활성화함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움직임 패턴과 인증 패턴의 비교 결과, 인증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반복적으로 단계 S610 내지 단계 S630이 반복될 수 있다. 해당 단계들이 반복되는 횟수는 기설정된 횟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5회 이상 단계 S610 내지 단계 S630을 반복할 수 있고 반복 결과 지속적으로 인증에 실패하는 경우, 단말장치(1)가 분실되었거나 사용자가 인증 패턴을 분실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140)는 인증부(130)의 기저장된 인증 패턴을 초기화할 수 있다.
복수 회 동안 사용자 인증이 실패한 경우,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다른 인증 수단을 통한 본인 인증이 수행된 이후에 새로이 인증 패턴이 등록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움직임 패턴의 생성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영상 획득부(110)가 단말장치(1)에 구비된 촬상소자(PE), 즉 입력부(10)를 통하여 사용자 동작을 동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610).
영상 특징 추출부(120)의 윤곽 특징 추출부(121)는 사용자 동작 동영상에서 윤곽선(예를 들어, 손의 윤곽선) 및 손 내부의 지점을 포함하는 벡터를 추출하고, 벡터의 방향 히스토그램 및 위치 변화율을 특징 벡터로 정의하여 제스쳐 패턴을 추출한다 (단계 S621). 영상 특징 추출부(120)의 이동경로 특징 추출부(123)는 사용자 동작 동영상에서 손가락 이동경로 패턴을 추출한다 (단계 S623).
실시 예에 따라, 영상 획득부(110)는 사용자 동작 동영상을 분할하여 프레임 단위의 동작 영상으로 관리하고 (단계 S625), 영상 특징 추출부(120)의 영상 분할부(125)는 프레임 단위로 분할된 동작 영상에서 손 영역의 영상만을 분할하여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627).
윤곽 특징 추출부(121)에서 수행되는 단계 S621 및 이동경로 특징 추출부(123)에서 수행되는 단계 S623는 수신되는 사용자 동작에 따라 적절히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 동작이 손 모양의 조합과 사인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단계 S623 및 단계 S621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 동작이 사인을 하는 동작으로만 이루어지면 단계 S621은 생략되고 단계 S623만 수행될 수 있다.
영상 특징 추출부(120)에서 생성된 움직임 패턴은 인증부(130)로 제공되어 인증부(130)의 인증 패턴과의 유사성이 판단된다. 판단 결과, 유사성이 기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 (단계 S631, 예), 인증 성공의 메시지가 거래 서버로 전송된다 (단계 S650). 또한 인증에 성공한 움직임 패턴 정보는 인증부(130)에서 기존의 인증 패턴을 갱신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단계 S640).
움직임 패턴과 인증 패턴의 유사성이 기설정된 수치 미만인 경우 (단계 S631, 아니오), 제어부(140)는 영상 획득부(110), 영상 특징 추출부(120) 인증부(130)로 하여금 단계 S610 내지 단계 S631을 반복하도록 제어한다. 단계의 반복은 인증이 성공할 때까지 계속되거나, 기설정된 횟수만큼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유사성이 기설정된 수치 이상과 이하라는 기준은 움직임 패턴과 인증 패턴이 기설정된 수치를 기준으로 유사성이 높은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고 조건식의 작성 방식에 따라 움직임 패턴과 인증 패턴의 유사성이 높은 경우에 도 7에 도시한 것과는 반대로 기설정된 수치 이하일 수 있고, 유사성이 낮은 경우에 기설정된 수치를 초과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방법에 있어서 인증 패턴의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증 패턴의 등록은 초기 등록의 경우, 또는 인증 패턴이 타인에게 노출되어 새로운 인증 패턴의 등록이 필요한 경우, 또는 다수 회 동안 인증에 실패하여 인증 패턴이 초기화된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인증 패턴을 등록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입력 또는 외부 서버의 트리거에 의하여 인증 패턴 등록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인증 패턴 등록신호에 응답하여 등록 세션을 개시한다 (단계 S810). 제어부(140)는 단말장치(1)에 구비된 촬상소자를 통해 영상 획득부(110)로 하여금 사용자 동작을 동영상으로 획득하고 (단계 S610, 도 6 참조), 영상 특징 추출부(120)로 하여금 사용자 동작 동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 동작을 분석하여 경로 및 속도 벡터를 포함하는 움직임 패턴을 생성(단계 S620, 도 6 참조)하도록 한다.
제어부(140)는 움직임 패턴들의 유사성이 기설정된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따라서 초기 등록 과정에서는 복수 회 동안 단계 S610 및 단계 S620을 반복하여 복수 개의 움직임 패턴들의 유사성을 비교할 수 있다. 초기에 비교되는 움직임 패턴들의 수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복수 개의 움직임 패턴들이 기설정된 범위 내의 변이(variation)를 가지는 지 판단하여, 기설정된 범위 내의 변이를 가지는 경우 (단계 S820, 예), 제어부(140)는 획득한 복수 개의 움직임 패턴들에 기초하여 인증 패턴을 인증부(130)에 등록할 수 있다 (단계 S830).
복수 개의 움직임 패턴들이 기설정된 범위 내의 변이를 가지지 않는 경우 (단계 S820, 아니오), 제어부(140)는 사용자 동작을 동영상으로 획득하고 (단계 S610), 획득된 동영상을 분석하여 움직임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S620) 동작을 움직임 패턴들의 변이가 기설정된 범위 이내일 때까지 반복할 수 있다.
다만, 실시 예에 따라 기설정된 횟수 이상을 반복하였으나 움직임 패턴들 사이에 신뢰성있는 상관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다른 사용자 동작을 입력할 것을 요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동작 기반의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은 사용자 동작을 촬영하여 3차원 동영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공인인증서를 항상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 ID/PW를 분실하였을 때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생체 인식을 위해 모자나 선글라스를 벗어야 하고, 동공 인식을 위해 적정한 건강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등, 사용자의 의식적인 행동을 요구하지도 않는다. 또한 생체 인증 정보는 한번 노출되면 재사용이 어렵지만 본 발명의 사용자 동작은 재사용이 가능하며 손동작이나 제스쳐, 서명하는 동작을 통하여 가상의 암호를 생성, 저장, 매칭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자동차, IoT 단말기, 가정용 스마트 기기, 도어락 등 다양하고 폭넓게 활용될 수 있으며 온라인 거래에 용도가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시스템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110 : 영상 획득부
120 : 영상 특징 추출부
130 : 인증부
140 : 제어부
150 : 인터페이스부

Claims (20)

  1. 사용자 동작을 동영상으로 획득하여 프레임 단위의 동작 영상으로 관리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프레임 단위의 동작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동작을 분석하고 경로 및 속도 벡터를 포함하는 움직임 패턴을 생성하는 영상 특징 추출부; 및
    상기 움직임 패턴과 인증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동작에 대한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특징 추출부는,
    상기 프레임 단위의 동작 영상에서 윤곽선 및 윤곽선 내 지점을 포함하는 벡터를 추출하고, 상기 벡터의 방향 히스토그램 및 위치 변화율을 특징 벡터로 정의하여 제스쳐 패턴을 추출하는 윤곽 특징 추출부; 및
    상기 프레임 단위의 동작 영상에서 이동경로 패턴을 추출하는 이동경로 특징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동작은 손동작 및 손가락을 이용한 서명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경로 특징 추출부는 상기 손가락의 위치, 방향, 속도를 포함하는 이동경로 패턴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기설정된 수치를 기준으로 상기 인증 패턴과 상기 움직임 패턴 사이의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동작을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상기 인증 패턴을 저장하며, 상기 영상 특징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움직임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패턴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거래 인증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동작 기반의 인증 세션을 활성화하고 상기 인증 여부를 거래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증 패턴 등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동작을 복수 회 동영상으로 획득하고 분석하여 상기 영상 특징 추출부에서 추출된 상기 움직임 패턴들이 기설정된 범위 내의 변이(variation)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움직임 패턴을 상기 인증 패턴으로 상기 인증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영상 특징 추출부는,
    상기 프레임 단위의 동작 영상에서 손 영역의 영상을 분할하여 획득하는 영역 분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동작에 따라 움직이는 점, 선, 모양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10. 단말장치에 구비된 촬상소자를 통하여 사용자 동작을 동영상으로 획득하는 제1 단계;
    상기 사용자 동작 동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동작을 분석하여 경로 및 속도 벡터를 포함하는 움직임 패턴을 생성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움직임 패턴과 인증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 동작에 대한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동작은 손동작 및 손가락을 이용한 서명 동작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 동영상에서 손의 윤곽선 및 손 내부의 지점을 포함하는 고유 벡터를 추출하여 상기 고유 벡터의 방향 히스토그램 및 위치 변화율을 특징 벡터로 정의하여 제스쳐 패턴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동작 동영상에서 상기 손가락의 이동경로 패턴을 추출하여 이동경로 패턴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방법.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사용자 동작의 동영상을 프레임 단위의 동작 영상으로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방법.
  15.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패턴이 생성됨에 따라 상기 인증 패턴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수치를 기준으로 상기 인증 패턴과 상기 움직임 패턴 사이의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동작을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방법.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인증 여부에 대한 판단을 거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방법.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동작을 획득하기 위한 점, 선, 모양 중 하나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방법.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인증 패턴 등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를 복수 회 반복하여 움직임 패턴들을 복수 회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 회 추출된 상기 움직임 패턴들이 기설정된 범위 내의 변이(variation)를 가지는 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움직임 패턴이 기설정된 범위 내의 변이를 가지는 경우, 상기 움직임 패턴을 기초하여 상기 인증 패턴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패턴이 기설정된 범위 내의 변이를 가질 때까지 상기 제1 단계 및 상기 제2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방법.
KR1020160061460A 2016-05-19 2016-05-19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307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460A KR20170130796A (ko) 2016-05-19 2016-05-19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460A KR20170130796A (ko) 2016-05-19 2016-05-19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796A true KR20170130796A (ko) 2017-11-29

Family

ID=60811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460A KR20170130796A (ko) 2016-05-19 2016-05-19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07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7537A (zh) * 2019-03-01 2019-05-17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智能打卡开门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WO2020256160A1 (ko) * 2019-06-17 2020-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홈 로봇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20090351A (ko) * 2020-12-22 2022-06-29 전인복 모션 정보를 이용한 3중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7537A (zh) * 2019-03-01 2019-05-17 深圳市沃特沃德股份有限公司 智能打卡开门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WO2020256160A1 (ko) * 2019-06-17 2020-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홈 로봇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20090351A (ko) * 2020-12-22 2022-06-29 전인복 모션 정보를 이용한 3중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44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biometric identifier
EP3846051A1 (e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information-based identity authentication method, device, system and medium
EP3422250A1 (en) Facial ve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9922237B2 (en) Face authentication system
Das et al. Recent advances in biometric technology for mobile devices
KR102202690B1 (ko) 지문 인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1989275B2 (en) Passive identification of a device user
US11790064B2 (en) Motion-based credentials using magnified motion
US20150302252A1 (e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multi-factor eye gaze
US8983207B1 (en) Mitigating replay attacks using multiple-image authentication
KR20180050861A (ko) 지문 등록 방법 및 장치
KR102313981B1 (ko) 지문 인증 방법 및 장치
US1021700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ing user liveness detection
US10963552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authenticating a user
US10552596B2 (en) Biometric authentication
KR20200002785A (ko) 생체 특징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및 장치
US11552944B2 (en) Server, method for controlling server, and terminal device
KR102205495B1 (ko) 지문 인식 방법 및 장치
KR20170130796A (ko) 사용자 동작 기반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710353B2 (en) Spoof detection based on challenge response analysis
Chavez-Galaviz et al. Embedded biometric cryptosystem based on finger vein patterns
CN110651268B (zh) 认证用户的方法和电子设备
JP2019066918A (ja) 認証システム、物品及びプログラム
KR102447100B1 (ko) 지문 인증 방법 및 장치
CN111292087A (zh) 身份验证方法、装置、计算机可读介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