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0719A - Latch Bolt For Using Push-Pull Door Lock - Google Patents

Latch Bolt For Using Push-Pull Door 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0719A
KR20170130719A KR1020160061257A KR20160061257A KR20170130719A KR 20170130719 A KR20170130719 A KR 20170130719A KR 1020160061257 A KR1020160061257 A KR 1020160061257A KR 20160061257 A KR20160061257 A KR 20160061257A KR 20170130719 A KR20170130719 A KR 20170130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bar
door
stopper
guid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2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10480B1 (en
Inventor
윤채희
Original Assignee
윤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채희 filed Critical 윤채희
Priority to KR1020160061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480B1/en
Publication of KR20170130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7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4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05B15/101Spring-retracted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22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operated by a pulling or pushing a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late, i.e. by pulling or pushing the wing itsel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tch bolt for a push-pull door lock, capable of preventing sudden opening of a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ch bolt comprises: a latch housing having an opening part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formed on one surface to be inserted and installed in a side surface of a door; a guide bod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latch housing to be able to move, and having a first coupling part outwardly protruding in a top of the one surface and a second coupling part outwardly protruding in a top of the other surface; a latch head hinge-coupling one top thereof to the first coupling part of the guide body to outwardl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part; a latch bar coupling one end thereof to the latch head, allowing the other end thereof to penetrate the guide body and a center of the latch housing to be coupled to an opening/closing unit interlocked with motion pushing or pulling a door handle, and interlocked with operation of the opening/closing unit to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to open the door when the door is opened; and a stopper coupling one end thereof to the second coupling part of the guide body to be able to rotate, and having a stopper hole through which the latch bar is penetrated formed in a center to be inserted into the outside of the latch bar. Accordingly, as one end is rotated on a center by a pushing force of a spring elastically installed in the guide body to form an inclination, the stopper allows the stopper hole to limit movement of the latch bar, thereby preventing rotation of the latch head. Moreover, as the latch bar is vertically erected by a force applied in an opposite direction of the spring when the latch bar is moved in accordance with opening of the door, the stopper hole releases the latch head, thereby allowing the latch head to be rotated on a hinge.

Description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Latch Bolt For Using Push-Pull Door Lock}[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tch bolt for a push-pull door lock,

본 발명은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편리하고 부드럽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고, 도어의 개방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도어의 닫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tch bolt for a push-pull door 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tch bolt for a push-pull door lock capable of opening a door conveniently and smoothly with a small force, minimizing noise generated when the door is opened, To a latch bolt for a push-pull door lock.

일반적으로 도어락 장치는 도어의 양면에 각각 회전식 손잡이가 구비되고, 각 손잡이와 연동하는 래치가 도어의 단부에 돌출된 상태로 탄설되어 구현된다. 이에 사용자가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래치가 도어 내측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기면 도어가 개방된다.Generally, the door lock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rotary knob on both sides of a door, and a latch interlocking with each knob is buried in a state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door. Accordingly,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by hand, the latch is pulled to the inside of the door. When the door is pushed or pulled in this state, the door is opened.

그러나, 종래의 도어락 장치는 도어의 개방 시 사용자가 손으로 도어 손잡이를 잡고 회전시킨 상태에서 도어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이를 열고자 할 경우 먼저 손잡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도어를 밀거나 당겨야 하는 2가지 동작을 연속적으로 행하여야 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door lock apparatus, when the door is opened, the user has to open the door by pushing or pulling the door while holding the door handle by hand. That is, if the door is to be opened in a closed state, the door must be rotated and rotated first, and then the door must be pushed or pulled in succession.

특히 어린이, 노약자, 장애인 등은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출입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양손에 물건을 잡고 있는 사용자가 출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들고 있는 물건을 바닥에 내려놓거나, 타인에 도움의 얻어 도어를 개방시킨 후 다시 그 물건을 들고 출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Especially for children, elderly people and the disabled, it is not easy to turn the door handle, so it is difficult to access. Also, if the user holding the object in both hands wants to go in, put the object on the floor, There was an inconvenience that the door had to be opened and then carried again.

최근에는 도어 손잡이를 회전시키지 않고 단순히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도어를 개폐시키는 푸시풀 도어락 장치가 제시되고 있다.Recently, a push-pull door lock device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door is simply opened or closed by simply pushing or pulling the handle without rotating the door handle.

종래의 푸시풀 도어락 장치에 사용되는 래치볼트는 도어의 닫힘시와 개방시를 고려하여 래치헤드의 형상이 직선면과 호형의 원호면으로 형성된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latch bolt used in the conventional push-pull door lock device has a fan shape in which the shape of the latch head is formed by a rectilinear surface and an arcuate arc surface in consideration of the closing and opening of the door.

이러한 형상의 래치볼트는 도어의 개방시 래치헤드의 직선면과 수평인 방향으로 이동되어 도어틀의 홈으로부터 빠져나오기 때문에 도어를 빠르게 개방시키면 래치헤드의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으로부터 미처 빠져나오지 못하여 도어틀의 홈에 걸리게 됨에 따라 도어의 개방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또한, 직선면의 끝단이 도어틀을 빠져나오기 전까지는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다가 직선면의 끝단이 도어틀을 빠져나오는 순간 도어가 급작스럽게 열리게 됨에 따라 도어의 개방 동작이 부드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Since the latch bolt having such a shape is mov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traight surface of the latch head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omes out from the groove of the door frame, if the door is opened quickly, the straight surface of the latch head will not come out from the groove of the door frame The door is not opened smoothly as it is caught in the groove of the door frame and the door is not opened until the end of the straight surface comes out of the door frame. When the end of the straight surface comes out of the door fra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door is not smooth as the door is suddenly opened.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73263 (공고일 2014.06.19)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20-0473263 (Notice date 2014.06.19)

한국등록특허: 10-1453945 (공고일 2014.10.23)
Korean Registered Patent: 10-1453945 (Notification date October 23, 2014)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개방시 래치바의 이동에 따라 래치헤드가 래치하우징 내로 인입되다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지게 함으로써 종래 래치헤드의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에 걸려 도어의 개방이 원활하지 못했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고, 아울러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부드럽게 빠져나오게 함으로써 도어가 급작스럽게 열리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는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tching apparatus and a latching apparatus which can prevent the latching of a latching member when the door is opened, And a latch bolt for a push-pull door lock which solves the problem that the door is suddenly opened by allowing the straight surface to smoothly come out from the groove of the door frame smoothly in the course of the rotation of the latch head about the hinge,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닫힘시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래치바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도어의 닫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tch bolt for a push-pull door lock which stably maintains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by restricting movement of the latch bar so that the latch head is not rotated around the hinge when the door is clos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린이 및 노약자와 같이 손힘이 약한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편리하고 부드럽게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고, 도어의 개방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tch bolt for a push-pull door lock which can open a door conveniently and smoothly with a small force, such as a child and a senior citizen, with a small force,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는 일면에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도어의 측면에 삽입장착되는 래치하우징; 상기 래치하우징 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면의 상단에 외향 돌출되는 제 1 결합부와 이면의 상단에 외향 돌출되는 제 2 결합부가 구비되는 가이드몸체;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 1 결합부에 일측 상단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래치헤드; 상기 래치헤드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몸체 및 래치하우징의 중앙을 관통하여 도어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하는 개폐유닛과 결합되며, 도어의 개방시 개폐유닛의 구동에 연동되어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래치바;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 2 결합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상기 래치바가 관통되는 스토퍼홀이 형성되어 상기 래치바의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몸체에 탄지되는 스프링의 미는 힘에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기울기를 갖음에 따라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이동을 구속하여 래치헤드의 회전을 방지하고, 도어의 개방에 따른 래치바의 이동시 스프링의 반대방향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기울기가 작아짐에 따라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구속을 해제하여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허용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atch bolt for a push-pull door lock, the latch bolt having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n one side of the latch housing; A guide body movably coupled to the latch housing and including a first engag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face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 at an upper end of the back face; A latch head hing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side of the guide body and protruding outside the opening; The door is coupled to the latch head at one end thereof. The other end of the door is coupled to the door body through the center of the guide body and the latch housing. The door is interlocked with the pushing or pulling operation of the door handle. A latch bar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latch bar is opened; A stopper hole through which the latch bar is passe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topper hole so as to be rotatably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part of the guide body and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latch bar, The stopper hole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latch bar to prevent rotation of the latch head and the slope is reduced by the force act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pring when the latch bar is moved along with the opening of the door And a stopper for releasing the latch bar from the stopper hole and allowing the latch head to rotate around the hinge.

여기서, 상기 스토퍼는 도어의 개방에 따른 래치바의 이동시 가이드몸체와 연동하여 이동하다가 래치하우징에 밀려 기울기가 작아지고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구속을 해제하여 래치헤드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opper is moved in conjunction with the guide body when the latch bar is moved along with the opening of the door, is pushed by the latch housing to reduce the inclination thereof, and the stopper hole releases the latch bar to allow rotation of the latch head .

상기 래치바의 타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에는 길이가 래치바보다 짧고 경사면의 돌출턱이 형성되며 타단이 개폐유닛에 결합된 슬라이드바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경사면의 돌출턱에 걸리는 지지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개폐유닛의 구동에 따른 슬라이드바의 이동시 상기 스토퍼의 기지돌기가 돌출턱의 경사면을 타고 승강함에 따라 스토퍼의 기울기가 작아지고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구속을 해제하여 래치헤드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guide bar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latch ba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lide bar having a length shorter than the latch bar and having a protruding protrusion of an inclined surfac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opening / closing unit is movably coupled, The stopper is provided with a support protrusion that catches the projection of the inclined surface. When the slide bar is moved by the driving of the opening / closing unit, the base protrusion of the stopper rides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rotrusion, And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bar to allow rotation of the latch head.

또한, 상기 래치바는 단면의 형상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래치바가 관통되는 스토퍼홀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atch bar may have a hexagonal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stopper hole through which the latch bar passes may be a hexagonal shape.

이에 더하여 상기 가이드몸체와 래치하우징에는 각각 래치바가 관통되는 제 1, 제 2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제 2 관통홀은 육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ide body and the latch housing are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through-holes, respectively, through which the latch bar passes, and the first and second through-holes are hexagonal or circular.

그리고, 상기 가이드몸체의 이면과 래치하우징의 후방 내측벽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몸체를 탄성력으로 지지하여 상기 래치헤드가 래치하우징의 개구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탄지시키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elastic spring is provid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body and the rear inner side wall of the latch housing to elastically support the guide body to project the latch head protruding outside the opening of the latch housing.

그리고, 상기 래치하우징은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의 몸체와 상기 중공의 몸체 후방을 커버하는 후면판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atch housing has a hollow body having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rear plate covering the rear side of the hollow body.

그리고, 상기 래치헤드는 상기 제 1 결합부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편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부가 접촉되는 면에 곡면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래치바가 결합되는 면에는 상기 래치바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편이 형성되고, 래치헤드의 원호면 하단부에는 래치하우징의 개구부에 걸리는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atch head has a first coupling part protruded for hinge-coupling with the first coupling part, a curved groove is formed on a surface to which the first coupling part is brought into contact, A second engagement piece for hinge engagement of the latch bar is formed, and a step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rc surface of the latch head to engage with the opening of the latch housing.

이에 더하여 상기 가이드몸체의 일면 하단부에는 상기 래치바의 이동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래치헤드의 하단부를 수용하도록 유도경사면을 갖는 안내편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guide member having an induction slope is integrally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guide body to receive a lower end portion of the latch head rotated about the hinge when the latch bar is mov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어를 빠르게 개방시킬 때 또는 도어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힘이 약할 때 래치헤드의 직선면이 도어틀의 홈에 걸려 도어의 개방이 원활하지 못했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고 아울러 도어가 급작스럽게 열리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oor is quickly opened or when the force of pushing or pulling the door handle is weak, the straight face of the latch head is caught by the groove of the door fram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that the door is not opened smoothly And the door is opened suddenly.

그리고, 도어의 닫힘시 래치헤드에 F1의 힘이 작용하더라도 기울기를 갖는 스토퍼의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이동을 구속하여 래치헤드의 회전을 방지함에 따라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보안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Even when the force of F1 is applied to the latch head when the door is closed, the stopper hole of the stopper having a slope restrains the movement of the latch bar to prevent the latch head from rotating. Thus,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is maintained, .

또한, 도어의 개방시 래치바에 F2의 힘이 작용하여 래치바가 이동되면 가이드몸체와 함께 이동된 스토퍼가 래치하우징의 후면판에 밀려 수직으로 세워짐에 따라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구속을 해제하게 되며 아울러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도어를 빠르고 부드럽게 개방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latch bar is moved by the force of F2 when the door is opened, the stopper moved together with the guide body is vertically pushed by the rear plate of the latch housing, so that the stopper hole releases the latching of the latch bar, The latch head is rotated around the hinge to open the door quickly and smoothly.

또한, 도어의 개방에 따른 개폐유닛의 구동시, 힘(F2)의 방향으로 슬라이드바가 먼저 당겨져 이동되고, 슬라이드바의 이동에 의해 스토퍼의 지지돌기가 돌출턱의 경사면을 타고 승강되어 스토퍼가 수직에 가깝게 세워짐에 따라 스토퍼의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구속을 해제하게 되며, 래치바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에서 래치바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래치바의 부드러운 이동과 동시에 래치헤드의 원활한 회전으로 도어의 안정적인 개방이 이루어지고 아울러 도어의 개방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door is opened, the slide bar is first pulled and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force F2. When the slide bar is moved, the support protrusions of the stopper are lifted and raised along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protrusions, The stopper hole of the stopper releases the restraint of the latch bar and the latch bar is moved in a state where the restraint of the latch bar is released, so that smooth movement of the latch bar and smooth rotation of the latch head, And the noise generated when the door is opened is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를 도시한 외형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에서 도어의 닫힘시 래치헤드에 F1의 힘이 작용할 때 기울기를 갖는 스토퍼의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이동을 구속하여 래치헤드의 회전을 방지함에 따라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에서 도어의 개방시 래치바에 F2의 힘이 작용하여 래치바가 이동되면 기울어진 스토퍼가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구속을 해제하여 래치바의 이동을 허용하는 동작과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의 단면도로서, 도어의 닫힘시 래치헤드에 F1의 힘이 작용할 때 기울기를 갖는 스토퍼의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이동을 구속하여 래치헤드의 회전을 방지함에 따라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로서 도어의 개방시 개폐유닛의 구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드바가 먼저 당겨져 이동하고, 슬라이드바의 이동에 스토퍼의 지지돌기가 경사면의 돌출턱을 타고 승강하여 스토퍼가 수직이 되게 지지함에 따라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구속을 해제하여 래치바의 이동을 허용하는 동작과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latch bolt for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tch bolt for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latch bolt for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tch bolt for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of a latch bolt for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oor is kept closed as the door is closed.
5 and 6, in the latch bolt for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atch bar is moved by the force F2 applied to the latch bar when the door is opened, the tilted stopper is vertically erected, Fig. 5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latch bar and allowing the movement of the latch bar and an operation of rotating the latch head about the hing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atch bolt for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tch bolt for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orce of F1 is applied to a latch head when a door is closed, a stopper hole of a stopper restrains movement of the latch bar, Fig. 6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kept closed as the head is prevented from rotating.
9 to 11 are latch bolts for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oor is opened, the slide bar is pulled and moved in conjunction with driv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When the slide bar is moved, The stopper hole is released from the restraint of the latch bar to permit the movement of the latch bar and the operation in which the latch head is rotated around the hinge Cross-section.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Thes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a latch bolt for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purposes of this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unless otherwise indicated.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의 구성을 설명하고, 도 4를 참고로 하여 도어의 닫힘시 래치헤드에 F1의 힘이 작용할 때 기울기를 갖는 스토퍼의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이동을 구속하여 래치헤드의 회전을 방지함에 따라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상태를 설명하며, 도 5 및 도 6을 참고로 하여 도어의 개방시 래치바에 F2의 힘이 작용하여 래치바가 이동되면 기울어진 스토퍼가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구속을 해제하여 래치바의 이동을 허용하는 동작과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동작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1 to 3, the construction of a latch bolt for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Referring to Fig. 4, when the door is closed, The stopper hole of the stopper restrains the movement of the latch bar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latch head to keep the door closed. Referring to FIGS. 5 and 6, when the door is opened, F2 An operation of allowing the stopper hole to release the restraint of the latch bar to permit movement of the latch bar and an operation of rotating the latch head about the hinge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는 래치하우징(100)과, 가이드몸체(200)와, 래치헤드(300)와, 래치바(400)와, 스토퍼(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3, a latch bolt for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tch housing 100, a guide body 200, a latch head 300, a latch bar 400 , And a stopper (500).

먼저, 래치하우징(100)은 내부에 수용부(130)가 구비되고, 수용부의 일면에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부(111)가 형성되며, 개구부가 외부를 향하도록 도어의 측면에 삽입 장착된다.First, the latch housing 10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130, an opening 111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latch housing 100 is inserted and mounted on the side of the door with the opening facing outward.

여기서, 래치하우징(100)은 일면에 개구부(111)가 형성된 중공의 몸체(110)와, 중공의 몸체(110) 내에 가이드몸체, 래치헤드, 래치바, 스토퍼가 삽입되어 조립되도록 중공의 몸체(110) 후방을 커버하는 후면판(120)이 결합되어 수용부(130)를 형성한다. 그리고, 후면판(120) 중앙에는 후술되는 래치바(400)의 후단부가 통과되는 제 1 관통공(121)이 형성되고, 제 1 관통공(121)의 상부에는 후술되는 가이드몸체의 제 2 결합부가 출입되는 구멍(122)이 형성된다.The latch housing 100 includes a hollow body 110 having an opening 111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hollow body 110 for inserting a guide body, a latch head, a latch bar, and a stopper into the hollow body 110, 110 are covered with a rear plate 120 to form a receiving portion 130. A first through hole 121 through which a rear end of a latch bar 400 described later is forme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ar plate 120. A second through hole 121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through hole 121, And a hole 122 through which an additive enters and exits is formed.

그리고, 래치하우징(100)의 수용부(130) 내에 가이드몸체(200)가 삽입된다.The guide body 20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30 of the latch housing 100.

가이드몸체(200)는 외면이 래치하우징의 수용부(130) 내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수용부(130) 내에 수용된다. 그리고, 수용부(13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당기거나 미는 힘의 가해지면 수용부(130) 내면을 따라 접촉되는 형태로 이동하게 된다.The guide body 200 has the same outer surface as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30 of the latch housing and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130. When the pulling or pushing force is applied in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30, the pushing or pushing force is mov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30.

이러한 가이드몸체(200)는 일면의 상단에 외향 돌출되는 제 1 결합부(210)가 구비되고, 이면의 상단에 외향 돌출되는 제 2 결합부(220)가 구비되며, 중앙부에는 후술되는 래치바(400)가 통과되는 제 2 관통공(230)이 형성된다. The guide body 200 is provided with a first coupling part 21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upper end of one side and a second coupling part 22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back side, 400 are passed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230.

그리고, 가이드몸체(200)의 제 1 결합부(210)에는 래치헤드(300)가 결합된다.The latch head 300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of the guide body 200.

래치헤드(300)는 도어의 닫힘시와 개방시를 고려하여 직선면과 호형의 원호면으로 형성된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latch head 300 is formed into a fan shape having a straight surface and an arcuate arc surface in consideration of the closing and opening of the door.

그리고, 래치헤드(300)의 일측 상단 즉, 직선면의 일단에는 가이드몸체의 제 1 결합부(210)와의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편(310)이 형성된다. A first coupling part 310 for coupling with the first coupling part 210 of the guide body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atch head 300, that is, at one end of the linear surface.

래치헤드(300)의 제 1 결합편(310)은 가이드몸체(200)의 제 1 결합부(210)와 힌지(311) 결합되고 이로 인하여 래치헤드는 힌지(311)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이때, 힌지(311)에는 일단이 제 1 결합부(210)에 결합되고 타단이 래치헤드의 제 1 결합편(310)에 결합되는 스프링(312)이 감기며, 스프링(312)은 래치헤드(300)의 회전시 복원력을 부여한다.The first engaging piece 310 of the latch head 300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210 of the guide body 200 so that the latch head is rotatable about the hinge 311 . At this time, the hinge 311 is wound with a spring 312,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iece 310 of the latch head, 300).

또한, 래치헤드(300)에는 가이드몸체의 제 1 결합부(210)가 접촉되는 면에 곡면의 홈(313)이 형성된다. 곡면의 홈(313)은 래치헤드(300)의 회전시 제 1 결합부(210)와 마찰되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안내한다. In addition, the latch head 300 is formed with a curved groove 313 on the surface where the first engaging portion 210 of the guide body contacts. The groove 313 of the curved surface guides smooth rotation without friction with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210 when the latch head 300 rotates.

또한, 래치헤드(300)의 후면에는 래치바(400)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편(320)이 형성되고, 제 2 결합편에는 장홀(321)이 형성된다.A second coupling piece 320 for hinge coupling with the latch bar 40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atch head 300 and an elongated hole 321 is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iece.

그리고, 가이드몸체(200)의 이면과 래치하우징(100)의 후면판(120) 사이에는 가이드몸체(200)를 탄성력으로 밀어내는 탄성스프링(330)이 장착된다. An elastic spring 330 is mount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body 200 and the rear plate 120 of the latch housing 100 to push the guide body 200 with an elastic force.

탄성스프링(330)은 가이드몸체(200)의 이면에 형성된 홈(201)과 후면판(120)에 형성된 돌기(123)에 끼움되어 장착되고, 탄성력으로 가이드몸체(200)를 밀어서 래치헤드(300)가 래치하우징의 개구부(111) 외측으로 돌출되게 탄지시킨다.The elastic spring 33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01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guide body 200 and the protrusion 123 formed on the rear plate 120 and is push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guide body 200, Is protruded outside the opening 111 of the latch housing.

이로 인하여 가이드몸체(200)의 제 1 결합부(210)에 결합된 래치헤드(300)는 래치하우징의 개구부(111)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래치헤드(300)의 원호면 하단부에는 래치하우징의 개구부(111) 내측 턱에 걸리는 단턱(340)이 형성되고, 단턱(340)은 래치헤드(300)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나 복귀시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여 래치헤드(300)가 개구부(111)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한다. As a result, the latch head 300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210 of the guide body 200 maintains a state protruding outside the opening 111 of the latch housing. At this time, a step 34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ircular arc surface of the latch head 300 so as to engage with the inner jaw of the opening 111 of the latch housing. The step 340 is formed on the way that the latch head 300 protrudes outward, The rotation angle is limited so that the latch head 300 does not deviate from the opening 111.

그리고, 래치헤드(300)의 제 2 결합편(320)에는 래치바(400)가 결합된다.The latch bar 400 is coupled to the second engaging piece 320 of the latch head 300.

래치바(400)는 일단부에 핀홀(401)이 형성되고 래치헤드의 제 2 결합편(320)에 형성된 장홀(321)에 핀홀(401)이 포개져서 핀(402) 결합된다. 그리고, 래치바(400)의 타단부는 가이드몸체(200)에 형성된 제 2 관통공(230)과 래치하우징의 후면판(120)에 형성된 제 1 관통공(121)을 통과하여 도어 손잡이(미도시)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하는 개폐유닛(미도시)과 결합된다.A pinhole 401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atch bar 400 and a pinhole 401 is superimposed on the pinhole 402 in an elongated hole 321 formed in the second engaging piece 320 of the latch head. The other end of the latch bar 400 passes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230 formed in the guide body 200 and the first through hole 121 formed in the rear plate 120 of the latch housing, (Not shown) interlocked with the pushing or pulling action of the push button (not shown).

여기서, 래치바(400)는 단면의 형상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래치바(400)가 통과되는 제 1, 제 2 관통공(121,230)은 육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Here, the latch bar 400 has a hexagonal cross-sectional shap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121 and 230 through which the latch bar 400 passes are hexagonal or circular.

그리고, 래치바(400)는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도어 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면 이에 연동하는 개폐유닛의 동작과 연동되어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구간 이동된다.When the user pushes or pulls the door handle to open the door, the latch bar 400 is mov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door in coopera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unit linked to the door.

즉,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힘(F2)이 작용하여 래치바(400)가 힘(F2)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래치바(400)에 결합된 래치헤드(300)가 래치바(400)의 이동방향으로 이끌려 가게 되는데 이때, 래치헤드(300)가 결합된 가이드몸체(200)도 함께 이끌려 이동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latch bar 40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orce F2 by the force F2 act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the latch head 300 coupled to the latch bar 400, The guide body 200 to which the latch head 300 is coupled is also moved along with it.

이로 인하여 래치헤드(300)가 래치하우징의 수용부(130) 내로 인입되고, 아울러 가이드몸체(200)의 제 2 결합부(220)에 결합된 스토퍼(500)가 래치하우징의 후면판(120)에 걸려 가이드몸체(200)가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면 래치바(400)가 이끄는 힘에 의해 래치헤드(300)가 힌지(311)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지게 된다. The latch head 300 is retrac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30 of the latch housing and the stopper 500 coupled to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20 of the guide body 200 is engaged with the rear plate 120 of the latch housing. The latch head 300 is rotated about the hinge 311 by the force of the latch bar 400 and is turned by the force of the latch bar 400 when the guide body 200 is no longer moved.

이때, 가이드몸체(200)의 하단부에는 힌지(311)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지는 래치헤드(300)의 하단부를 수용하도록 유도경사면(251)을 갖는 안내편(250)이 일체로 구비된다.At this time, a guide piece 250 having a guide slope 251 is integrally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guide body 200 to receive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latch head 300, which is rotated around the hinge 311.

안내편(250)은 래치헤드(300)의 회전각과 동일한 곡면의 유도경사면(251)을 형성하여 힌지(311)를 중심으로 젖혀지는 래치헤드(30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한다. The guide piece 250 forms a guide slope 251 having a curved surface that is the same as the rotation angle of the latch head 300 to stably guide the movement of the latch head 300 which is turned around the hinge 311.

여기서, 래치헤드(300)가 힌지(311)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지는 동작은 래치바(400)가 힘(F2)의 방향으로 이동할 때 래치바(400)가 래치헤드(300)를 당기는 힘에 의해 젖혀질 수도 있지만, 역으로 래치헤드(300)의 직선면에 힘(F1)이 가해질 때 래치헤드가 힌지(311)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짐으로 인해 래치바(400)가 이동되는 동작이 발생할 수도 있다.Herein, the operation in which the latch head 300 is rotated about the hinge 311 and is turned is performed such that when the latch bar 40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orce F2, the force that the latch bar 400 pulls the latch head 300 The latch bar 400 may be moved due to rotation of the latch head about the hinge 311 when the force F1 is applied to the straight surface of the latch head 300. However, May occur.

이는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 도어 손잡이를 밀거나 당겨서 도어를 개방시키려는 의도가 아닌 도어에 외력이 가해져 래치헤드(300)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도어가 임의로 열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This is not intended to open the door by pushing or pulling the door handle in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but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oor,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door, the door may be opened arbitrarily.

따라서, 래치헤드(300)에 외력이 가해질 때는 도어를 개방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아니기 때문에 래치헤드(300)가 힌지(311)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래치바(4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500)가 구비된다. Therefore, the latch head 300 is not intended to open the door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latch head 300. Therefore, a stopper (not shown)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latch bar 400 so that the latch head 300 is not rotated about the hinge 311 500).

스토퍼(500)는 일단이 가이드몸체(200)의 제 2 결합부(2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래치바(400)가 관통되는 스토퍼홀(510)이 형성되어 래치바(400)의 외측에 끼워진다. 그리고, 가이드몸체(200)의 이면에 탄지되는 스프링(520)의 미는 힘에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기울기를 갖는다. The stopper 5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engaging part 220 of the guide body 200 and has a stopper hole 510 through which the latch bar 400 passes, . Then, the pushing force of the spring 520, which is resiliently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guide body 200, is rotated around one end to have a tilt.

여기서, 스토퍼의 일단은 가이드몸체의 제 2 결합부에 핀 결합되어 회전될 수도 있고, 제 2 결합부에 스토퍼의 일단이 끼워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Here, the one end of the stopper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engaging portion of the guide body and rotated, or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engaging portion so that one end of the stopper is inserted.

그리고, 스토퍼의 스토퍼홀(510)은 래치바의 형상과 동일하게 육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육각형 형상의 스토퍼홀((510)은 스토퍼(500)의 기울기에 의해 경사지며, 경사진 스토퍼홀(510)이 래치바(400)의 외면을 물어 래치바의 이동을 구속한다. The stopper hole 510 of the stopper has a hexagonal shap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latch bar. The hexagonal stopper hole 510 is inclined by the inclination of the stopper 500 and the inclined stopper hole 510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latch bar 400 to restrict movement of the latch bar.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헤드(30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스토퍼(500)의 구속에 의해 래치바(400)가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래치헤드(300)가 힌지(311)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게 되고 아울러 도어가 임의로 열리지 않게 된다. 4,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latch head 300, since the latch bar 400 is not moved due to the restraint of the stopper 500, the latch head 300 is moved around the hinge 311 So that the door is not opened arbitrarily.

그리고, 스토퍼(500)는 스프링(520)의 미는 힘의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힘이 가해지면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수직으로 세워짐에 따라 경사진 스토퍼홀(510)이 수평의 상태가 되면서 래치바(400)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stopper 50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ushing force of the spring 520, the stopper hole 510 is turned horizontally as the slope of the stopper 500 is vertically raised, (400) is released.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개방시 개폐유닛의 연동에 따라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힘(F2)이 작용하면 래치바(400)가 힘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래치바(400)에 결합된 래치헤드(300)와 함께 가이드몸체(200)가 이끌려 래치바(400)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아울러 가이드몸체의 제 2 결합부(220)에 결합된 스토퍼(500)도 이동하여 래치하우징(100)의 후면판(120)에 닿게 되면서 후면판에 밀려 수직에 가깝게 세워진다. 이때, 스토퍼홀(510)이 래치바(400)의 구속을 해제하여 래치바(400)의 이동을 허용한다. 5, when the force F2 act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according to the interlock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when the door is opened, the latch bar 40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orce, The guide body 200 is pulled together with the latch head 300 coupled to the latch bar 400 to mov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atch bar 400 and the stopper coupled to the second engaging part 220 of the guide body 500 are also moved to come in contact with the rear plate 120 of the latch housing 100 and are pushed by the rear plate and are vertically positioned. At this time, the stopper hole 510 disengages the latch bar 400 to allow the latch bar 400 to move.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헤드(300)는 계속되는 래치바(400)의 이동에 이끌려 래치하우징의 수용부(130) 내로 인입되고 가이드몸체(200)의 제 2 결합부(220)에 결합된 스토퍼(500)가 래치하우징의 후면판(120)에 걸려 가이드몸체(200)가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면 래치바(400)가 이끄는 힘에 의해 래치헤드(300)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지게 된다. 6, the latch head 300 is retracted by the movement of the latch bar 400 and is drawn into the receiving portion 130 of the latch housing 200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20 of the guide body 200 When the coupled stopper 500 is caught by the rear plate 120 of the latch housing and the guide body 200 is no longer moved, the latch head 400 is rotated by the force of the latch bar 400 about the hinge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도어의 닫힘시 래치헤드에 F1의 힘이 작용하면 기울기를 갖는 스토퍼의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이동을 구속하여 래치헤드의 회전을 방지함에 따라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도어의 개방시 래치바에 F2의 힘이 작용하여 래치바가 이동되면 가이드몸체와 함께 이동된 스토퍼가 래치하우징의 후면판에 밀려 수직에 가깝게 세워짐에 따라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구속을 해제하게 되고 아울러 구속이 해제된 래치바의 이동에 이끌려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도어를 빠르고 부드럽게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orce of F1 is applied to the latch head when the door is closed, the stopper hole of the stopper having the inclination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latch bar to prevent rotation of the latch head, When the latch bar is moved by the force of F2 on the latch bar when the door is opened, the stopper moved together with the guide body is pushed by the rear plate of the latch housing and is positioned close to the vertical, so that the stopper hole releases the latch bar And the latch head is moved about the hinge by the movement of the latch bar whose restraint is released,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quickly and smoothly.

도 7 내지 도 1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를 설명한다. A latch bolt for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1. FIG.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는 일 실시 예와 동일하게 래치하우징(100)과, 가이드몸체(200)와, 래치헤드(300)와, 래치바(400)와, 스토퍼(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래치하우징(100)과 가이드몸체(200)와 래치헤드(300)는 일 실시 예와 동일한 설명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래치하우징과 가이드몸체와 래치헤드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차이점이 존재하는 래치바(400)와 스토퍼(50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7 to 11, a latch bolt for a push-pull door 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tch housing 100, a guide body 200, a latch head 300, A latch bar 400, and a stopper 500. As shown in Fig. Here, the latch housing 100, the guide body 200, and the latch head 300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embodiment.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latch housing, the guide body, and the latch head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latch bar 400 and the stopper 500 in which the difference exists will be described.

먼저 래치바(400)는 일단부에 형성된 핀홀(401)이 래치헤드의 제 2 결합편(320)에 형성된 장홀(321)과 핀(402) 결합되고, 타단부가 가이드몸체에 형성된 제 2 관통공(230)과 래치하우징의 후면판(120)에 형성된 제 1 관통공(121)을 통과하여 도어 손잡이(미도시)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하는 개폐유닛(P)과 결합된다.The latch bar 400 has a pin hole 401 formed at one end thereof coupled to a pin hole 402 formed in the second engagement piece 320 of the latch head and a second end (P) interlocked with the operation of pushing or pulling the door handle (not shown) through the hole 230 and the first through hole 121 formed in the rear plate 120 of the latch housing.

이에 더하여 래치바(400)의 타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410)이 형성되고, 가이드홀(410)에는 슬라이드바(420)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가이드홀(410)은 래치바(400)의 끝단에서 개방된 형태이고, 슬라이드바(420)는 가이드홀(410) 내외부로 인출입되게 결합된다. In addition, a guide hole 410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other end of the latch bar 400, and a slide bar 420 is movably coupled to the guide hole 410. Here, the guide hole 410 is opened at the end of the latch bar 400, and the slide bar 420 is coupled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guide hole 410 so as to be drawn in and out.

그리고, 슬라이드바(420)는 일면에 경사면(422)을 갖는 돌출턱(421)이 형성되고 타단이 개폐유닛(P)에 결합된다. 이때, 슬라이드바(420)의 길이는 래치바(400)보다 짧게 형성되어 개폐유닛에 결합시 슬라이드바(420)의 끝단이 래치바(400)의 끝단보다 전방에 위치하게 되어 개폐유닛(P)의 구동시 슬라이드바(420)가 먼저 당겨져 이동하게 되고 슬라이드바(420)의 끝단이 래치바(400)의 끝단과 동일선상에 위치될 때 래치바(400)가 같이 당겨져 이동하게 된다.The slide bar 420 is formed with a projecting step 421 having an inclined surface 422 on one side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P. [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slide bar 420 is shorter than that of the latch bar 400, so that when the slide bar 420 is engaged with the opening / closing unit, the end of the slide bar 420 is positioned forward of the end of the latch bar 400, The slide bar 420 is pulled and moved first. When the end of the slide bar 420 is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end of the latch bar 400, the latch bar 400 is pulled together and moved.

스토퍼(500)는 일단이 가이드몸체의 제 2 결합부(2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래치바(400)와 슬라이드바(420)가 관통되는 스토퍼홀(510)이 형성되어 래치바(400)와 슬라이드바(420)의 외측에 끼워진다. 그리고, 스토퍼(500)의 타단에는 슬라이드바(420)에 형성된 돌출턱(421)의 경사면(422)에 대응되도록 지지돌기(530)가 구비된다. 그리고, 가이드몸체의 이면에 탄지되는 스프링(520)의 미는 힘에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기울기를 갖는다. The stopper 5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engaging portion 220 of the guide body at one end thereof and has a stopper hole 510 through which the latch bar 400 and the slide bar 420 are passed, 400 and the slide bar 420, respectively. A support protrusion 53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topper 5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clined surface 422 of the protrusion 421 formed on the slide bar 420. Then, the pushing force of the spring 520, which is resiliently mount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guide body, is rotated around one end and has a tilt.

이때, 스토퍼홀(510)은 스토퍼(500)의 기울기에 의해 경사지며, 경사진 스토퍼홀(510)이 래치바(400)와 슬라이드바(420)의 외면을 물어 래치바(400)의 이동을 구속하고 아울러 지지돌기(530)가 돌출턱의 경사면(422)에 걸려 슬라이드바(420)의 이동을 구속한다. At this time, the stopper hole 510 is inclined by the inclination of the stopper 500, and the tilted stopper hole 510 contacts the latch bar 4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lide bar 420 to move the latch bar 400 And the support protrusions 530 are caught by the inclined surfaces 422 of the protruding jaws to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slide bars 420.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헤드(30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스토퍼(500)의 구속에 의해 래치바(400) 및 슬라이드바(420)가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래치헤드(300)가 힌지(311)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게 되고 아울러 도어가 임의로 열리지 않게 된다. 8,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latch head 300, since the latch bar 400 and the slide bar 420 are not moved by the restraint of the stopper 500, The door 311 is not rotated around the door 311 and the door is not opened arbitrarily.

한편, 스토퍼(500)는 스프링(520)의 미는 힘의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힘이 가해지면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수직에 가깝게 세워지고 아울러 경사진 스토퍼홀(510)이 수평의 상태가 되면서 래치바(400)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ushing force of the spring 520, the stopper 500 is rotated about its one end to be vertically positioned and the inclined stopper hole 510 is horizontal, So that the restraint of the bar 400 is released.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개방시 개폐유닛(P)의 구동에 연동하여 슬라이드바(420)가 래치바(400) 보다 먼저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슬라이드바(420)의 이동에 따라 스토퍼의 지지돌기(530)가 돌출턱의 경사면(422)을 타고 승강하여 돌출턱(421)의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지지돌기(530)는 스프링(520)의 미는 힘의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스토퍼(500)를 지지하는 힘을 가하게 되므로 스토퍼(500)가 수직으로 세워지고 스토퍼홀(510)이 래치바(400)와 수평이 되는 상태가 되어 래치바(400)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9, the slide bar 420 mov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opened before the latch bar 400 is interlocked with the driving of the opening / closing unit P when the door is opened The support protrusion 530 of the stopper moves up and down on the inclined surface 422 of the protruding protrusion and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protrusion 421 as the slide bar 420 moves. At this time, since the support protrusion 530 applies a force for supporting the stopper 50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ushing force of the spring 520, the stopper 500 is vertically erected and the stopper hole 510 is engaged with the latch bar 400 So that the restraint of the latch bar 400 is released.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바(420)의 끝단이 래차바(400)의 끝단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개폐유닛의 구동에 의해 래치바(400)와 슬라이드바(420)가 같이 힘(F2)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래치바(400)의 이동에 이끌려 래치헤드(300)는 래치하우징의 수용부(130) 내로 인입되고 가이드몸체(200)는 수용부(130) 내에서 이동하게 된다.10, when the end of the slide bar 420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end of the turn bar 400, the latch bar 400 and the slide bar 420 are moved together The latch head 300 is mov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30 of the latch housing and the guide body 20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force F2 by the movement of the latch bar 400, .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500)가 래치하우징(100)의 후면판(120)에 걸려 가이드몸체(200)가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되면 래치바(400)가 이끄는 힘에 의해 래치헤드(300)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젖혀지게 된다. 11, when the stopper 500 is caught by the rear plate 120 of the latch housing 100 and the guide body 200 can not move any further, the latch bar 400 is pulled by the latch bar 400, The hinge 300 is rotated around the hinge to be ben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도어의 닫힘시 래치헤드에 F1의 힘이 작용하더라도 기울기를 갖는 스토퍼의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이동을 구속하고 동시에 스토퍼의 지지돌기가 슬라이드바의 돌출턱에 걸려 래치바의 이동을 구속함에 따라 래치헤드의 회전이 방지되어 도어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force of F1 is applied to the latch head when the door is closed, the stopper hole of the stopper having the inclination restrains the movement of the latch bar, and at the same time, By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latch bar, the rotation of the latch head is prevented and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is maintained.

또한, 도어의 개방에 따른 개폐유닛의 구동시, 힘(F2)의 방향으로 슬라이드바가 먼저 당겨져 이동되고, 슬라이드바의 이동에 의해 스토퍼의 지지돌기가 돌출턱의 경사면을 타고 승강되어 스토퍼가 수직이 되게 지지함에 따라 스토퍼의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구속을 해제하게 되며, 래치바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에서 래치바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래치바의 부드러운 이동과 동시에 래치헤드의 원활한 회전으로 도어의 안정적인 개방이 이루어지고 아울러 도어의 개방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하게 된다. When the door is opened, the slide bar is pulled and moved first in the direction of the force F2. By the movement of the slide bar, the support protrusion of the stopper is lifted and rais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rotrusion, The stopper hole of the stopper releases the restraint of the latch bar, and as the latch bar is moved in a state where the restraint of the latch bar is released, the smooth movement of the latch bar and the smooth rotation of the latch head, And the noise generated when the door is opened is minimiz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may be resorted to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0: 래치하우징 110: 몸체
111: 개구부 120: 후면판
121: 제 1 관통공 122: 구멍
123: 돌기 130: 수용부
200: 가이드 몸체 201: 홈
210: 제 1 결합부 220: 제 2 결합부
230: 제 2 관통공 250: 안내편
251: 유도경사면 300: 래치헤드
310: 제 1 결합편 311: 힌지
312: 스프링 313: 곡면의 홈
320: 제 2 결합편 321: 장홀
330: 탄성스프링 340: 단턱
400: 래치바 401: 핀홀
402: 핀 410: 가이드홀
420: 슬라이드바 421: 돌출턱
422: 경사면 500: 스토퍼
510: 스토퍼홀 520: 스프링
530: 지지돌기
100: latch housing 110: body
111: opening 120: rear plate
121: first through hole 122: hole
123: projection 130:
200: guide body 201: groove
210: first coupling part 220: second coupling part
230: second through hole 250: guide
251: guide slope 300: latch head
310: first coupling piece 311: hinge
312: spring 313: groove of curved surface
320: second coupling piece 321: long hole
330: elastic spring 340: step
400: Latch bar 401: Pinhole
402: pin 410: guide hole
420: slide bar 421: protruding jaw
422: slope 500: stopper
510: stopper hole 520: spring
530: support projection

Claims (9)

일면에 외부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도어의 측면에 삽입장착되는 래치하우징;
상기 래치하우징 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면의 상단에 외향 돌출되는 제 1 결합부와 이면의 상단에 외향 돌출되는 제 2 결합부가 구비되는 가이드몸체;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 1 결합부에 일측 상단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래치헤드;
상기 래치헤드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몸체 및 래치하우징의 중앙을 관통하여 도어손잡이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연동하는 개폐유닛과 결합되는 래치바;
상기 가이드몸체의 제 2 결합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중앙에 상기 래치바가 관통되는 스토퍼홀이 형성되어 상기 래치바의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몸체에 탄지되는 스프링의 미는 힘에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기울기를 갖음에 따라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이동을 구속하여 래치헤드의 회전을 방지하고, 도어의 개방에 따른 래치바의 이동시 스프링의 반대방향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짐에 따라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구속을 해제하여 래치헤드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허용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푸시풀 도어락 래치볼트.
A latch housing having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n one surface thereof and inserted and mounted on a side surface of the door;
A guide body movably coupled to the latch housing and including a first engag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face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 at an upper end of the back face;
A latch head hing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side of the guide body and protruding outside the opening;
A latch ba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atch head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an opening / closing unit interlocked with an operation of pushing or pulling the door handle through the center of the guide body and the latch housing;
A stopper hole through which the latch bar is passe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topper hole so as to be rotatably engaged with the second engaging part of the guide body and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latch bar, The stopper hole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latch bar to prevent rotation of the latch head. As the latch bar is vertically lifted by the force act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pring when the latch bar is moved along with the opening of the door And a stopper hole releasing the latch bar and allowing the latch head to be rotated about the hin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도어의 개방에 따른 래치바의 이동시 가이드몸체와 연동하여 이동하다가 래치하우징에 밀려 수직으로 세워지고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구속을 해제하여 래치헤드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락 래치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pper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guide body when the latch bar is moved along with the opening of the door, is vertically pushed by the latch housing, and the stopper hole releases the latching of the latch bar to allow rotation of the latch head. Door lock latch bol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바의 타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에는 길이가 래치바보다 짧고 경사면의 돌출턱이 형성되며 타단이 개폐유닛에 결합된 슬라이드바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경사면의 돌출턱에 걸리는 지지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개폐유닛의 구동에 따른 슬라이드바의 이동시 상기 스토퍼의 기지돌기가 돌출턱의 경사면을 타고 승강하여 스토퍼가 수직으로 세워지게 지지하고 스토퍼홀이 래치바의 구속을 해제하여 래치헤드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락 래치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guide bar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latch ba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lide bar having a length shorter than the latch bar and having a protruding protrusion of an inclined surfac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opening / closing unit is movably coupled, The stopper is provided with a support protrusion which is caught by the protruding jaw of the inclined surface
When the slide bar is moved by the driving of the opening / closing unit, the base protrusion of the stopper is lifted up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rotruding jaw so that the stopper is vertically erected and the stopper hole releases the latching of the latch bar to allow rotation of the latch head Wherein the latching bolt is a push-pull door lock bol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바는 단면의 형상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래치바가 관통되는 스토퍼홀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락 래치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tch bar has a hexagonal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stopper hole through which the latch bar passes is hexagonal.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와 래치하우징에는 각각 래치바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육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락 래치볼트.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uide body and the latch housing are each formed with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latch bar passes, and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a hexagonal or circular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의 이면과 래치하우징의 후방 내측벽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몸체를 탄성력으로 지지하여 상기 래치헤드가 래치하우징의 개구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탄지시키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esilient spring for resiliently urging the latch body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pening of the latch housing by supporting the guide body by elastic force is provid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body and the rear inner wall of the latch housing. vol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하우징은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의 몸체와 상기 중공의 몸체 후방을 커버하는 후면판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락 래치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tch housing comprises a hollow body having an opening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rear plate covering the rear side of the hollow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헤드는 상기 제 1 결합부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편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부가 접촉되는 면에 곡면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래치바가 결합되는 면에는 상기 래치바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편이 형성되고, 래치헤드의 원호면 하단부에는 래치하우징의 개구부에 걸리는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atch head has a first coupling part protruded for hinge-coupling with the first coupling part, a curved groove is formed on a surface contacting the first coupling part, And a stepped portion formed at an opening of the latch housing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arc-shaped surface of the latch hea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의 일면 하단부에는 상기 래치바의 이동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래치헤드의 하단부를 수용하도록 유도경사면을 갖는 안내편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풀 도어락용 래치볼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uide member having an induction slope is integrally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guide body so as to receive a lower end portion of the latch head rotated about the hinge when the latch bar is moved.
KR1020160061257A 2016-05-19 2016-05-19 Latch Bolt For Using Push-Pull Door Lock KR1018104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257A KR101810480B1 (en) 2016-05-19 2016-05-19 Latch Bolt For Using Push-Pull Door 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257A KR101810480B1 (en) 2016-05-19 2016-05-19 Latch Bolt For Using Push-Pull Door 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719A true KR20170130719A (en) 2017-11-29
KR101810480B1 KR101810480B1 (en) 2017-12-20

Family

ID=60811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257A KR101810480B1 (en) 2016-05-19 2016-05-19 Latch Bolt For Using Push-Pull Door 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48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09936A (en) * 2019-06-28 2019-11-05 上海三一重机股份有限公司 A kind of locking devicen, door gear and excavator
WO2019245498A3 (en) * 2018-02-13 2020-02-27 Desi̇ Alarm Ve Güvenli̇k Si̇stem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Biaxial operating door latc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932B1 (en) * 2018-07-20 2018-11-28 김영수 Auto lock device of draw latch for do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5498A3 (en) * 2018-02-13 2020-02-27 Desi̇ Alarm Ve Güvenli̇k Si̇stem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Biaxial operating door latch
CN110409936A (en) * 2019-06-28 2019-11-05 上海三一重机股份有限公司 A kind of locking devicen, door gear and exca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480B1 (en)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0488B1 (en) Latch Bolt For Using Push-Pull Door Lock
KR101810480B1 (en) Latch Bolt For Using Push-Pull Door Lock
KR101781593B1 (en) The lock system the latch automatically pop up
KR101810487B1 (en) Latch Bolt For Using Push-Pull Door Lock
KR101956107B1 (en) Latch bolt for using push-pull door lock
JPS5914147B2 (en) door handle device
JP2008163655A (en) Latch device and furniture with latch device
KR101962898B1 (en) Latch bolt for using push-pull door lock
KR101312239B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KR101722709B1 (en) Window structure of safety for building
KR101810482B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JP2006299690A (en) Handle device and fittings
KR102151620B1 (en) Room open and close apparatus
KR101810481B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Exit
JPH0724044Y2 (en) Door lock device for wire cage for animals
KR102151621B1 (en) Open and close apparatus
JP4343097B2 (en) Door guard
KR101942920B1 (en) a locking device for a door
KR20170122019A (en) A reclaimed type door lock using magnet
JP2004225384A (en) Push/pull lock
JPH0728363Y2 (en) Latch device for drawers, doors, etc.
JPH08199889A (en) Latch device of door
JP2003314140A (en) Opening device
JPH063091Y2 (en) Latch lock
JP4475461B2 (en) Sliding door handle and sliding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