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0475A - 어댑터 - Google Patents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0475A
KR20170130475A KR1020177029701A KR20177029701A KR20170130475A KR 20170130475 A KR20170130475 A KR 20170130475A KR 1020177029701 A KR1020177029701 A KR 1020177029701A KR 20177029701 A KR20177029701 A KR 20177029701A KR 20170130475 A KR20170130475 A KR 20170130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female connector
sliding portion
arm
v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9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4665B1 (ko
Inventor
유스케 노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170130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06Piercing means
    • A61J1/201Piercing means having one piercing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06Pier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A61J1/065Rigid ampoules, e.g. glass ampou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61J1/1425Snap-fi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61J1/2044Separating means having sl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48Conn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48Connecting means
    • A61J1/2055Connecting means having grip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48Connecting means
    • A61J1/2065Connecting means having aligning and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011Locking means for securing connection; Additional tamper safe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4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for connecting tubes having sealed e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2Needle sets, i.e. connections by puncture between reservoir and tube ; Connections between reservoir and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6Combination of a vial and a syringe for transferring or mixing their cont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수 부재(10)에 대향하는 아암(20)에, 수 부재(10)를 향해 돌출된 걸림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어댑터(1)는, 수 부재를 암 커넥터에 삽입하고 또한 걸림부를 암 커넥터에 걸어맞춘 상태로 암 커넥터에 접속할 수 있다. 아암은, 걸림부가 수 부재로부터 이격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걸림부는, 어댑터를 암 커넥터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암 커넥터 상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33a)를 구비한다. 슬라이딩부는, 슬라이딩부가 암 커넥터 상을 슬라이딩할 때, 걸림부를 수 컨넥터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수 부재를 통과하는 중심축(1a)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본 슬라이딩부의 윤곽 형상은, 매끄러운 볼록 곡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어댑터
본 발명은, 암 커넥터(예를 들면 바이알병의 마개체)에 삽입 가능한 수 부재와, 수 부재를 암 커넥터에 삽입했을 때에 암 커넥터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림부를 구비한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분말상의 약제를 기밀하게 봉입한 바이알병이 널리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약제를 환자에게 투여하는 경우, 바이알병 내에 용해액을 주입하고 약제를 용해하여 약액을 얻은 후, 당해 약액을 바이알병으로부터 약액 백에 이송한다. 바이알병에 대한 용해액의 주입이나 약액의 취출은, 바이알병의 입구(개구)를 봉지하는 마개체(고무마개)에 천자침(「병침」이라고 불리기도 한다)을 천자하여 행해진다.
바이알병에 수납된 약제가, 예를 들면 항암제와 같이 극약으로 지정된 약제인 경우가 있다. 이러한 위험한 약제나 그 약액이 작업자의 손가락 등에 부착되거나, 약제나 그 증기를 작업자가 흡인하는 사태는 회피해야 한다. 그래서, 바이알병의 마개체에 천자한 천자침이 마개체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빠지는 일이 없도록, 바이알병의 입구를 둘러싸는 직경이 확대된 플랜지(또는 이것을 덮은 알루미늄 캡)에 걸어맞춰지는 걸림부가 천자침과 함께 일체적으로 설치된 어댑터가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어댑터의 일례가,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의 어댑터(900)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자침(910)에 대향하는 아암(920)의 선단 부분에, 천자침(910)을 향해 돌출된 걸림부(930)가 설치되어 있다. 아암(920)은, 걸림부(930)가 천자침(910)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외측)으로 반경 방향을 따라 변위하도록,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 가능하다. 어댑터(900)를 바이알병의 마개체를 향해 밀어넣으면, 천자침(910)이 마개체를 천자하기 시작하는 것을 전후하여, 걸림부(930)의 슬라이딩부(933a)가 바이알병의 알루미늄 캡의 끝가장자리에 맞닿는다. 천자침(910)이 마개체 내에 진입함에 따라서, 슬라이딩부(933a)가 알루미늄 캡 상을 슬라이딩한다. 슬라이딩부(933a)는 경사져 있으므로, 슬라이딩부(933a)가 알루미늄 캡 상을 슬라이딩할 때, 걸림부(930)는 천자침(910)으로부터 이격하도록 외측으로 변위한다. 걸림부(930)가 알루미늄 캡을 통과하기를 마치면, 아암(920)이 탄성 복귀하여, 걸림부(930)가 플랜지에 걸어맞춰진다. 이와 같이, 어댑터(900)를 바이알병을 향해 단지 밀어넣는 것 만으로, 천자침(910)을 마개체에 천자하고 또한 걸림부(930)를 플랜지에 걸어맞춰지게 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4-79355호 공보
어댑터(900)를 바이알병에 접속하는 과정에 있어서, 어댑터(900)를 바이알병을 향해 밀어넣는 힘은, 걸림부(930)를 알루미늄 캡 상을 슬라이딩시키면서 외측으로 변위시키도록 작용한다. 종래의 어댑터는, 걸림부(930)를 변위시키기 위해, 매우 큰 힘을 어댑터(900)에 가할 필요가 있다는 과제가 있다. 특히, 보다 큰 외경의 알루미늄 캡을 가지는 바이알병에 어댑터(900)를 접속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걸림부(930)를 보다 크게 변위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어댑터(900)에 더 큰 힘을 가할 필요가 있어, 어댑터(900)를 바이알병에 접속하는 것이 사실상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억지로 어댑터(900)를 바이알병을 향해 밀어넣으면, 힘의 방향이 기울어짐으로써 어댑터(900)가 바이알병에 대해 기울어져, 천자침과 천자침이 천자한 마개체의 구멍 사이의 미소한 간극을 통하여, 위험한 약제가 외계로 누출되는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며,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고 암 커넥터에 접속할 수 있는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어댑터는, 수 부재와, 상기 수 부재에 대향하는 아암과, 상기 수 부재를 향해 돌출하도록 상기 아암에 설치된 걸림부를 구비한다. 상기 어댑터는, 상기 수 부재를 암 커넥터에 삽입하고 또한 상기 걸림부를 암 커넥터에 걸어맞춘 상태로 상기 암 커넥터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아암은, 상기 걸림부가 상기 수 부재로부터 이격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어댑터를 암 커넥터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암 커넥터 상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한다.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암 커넥터 상을 슬라이딩할 때, 상기 걸림부를 상기 수 컨넥터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 부재를 통과하는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본 상기 슬라이딩부의 윤곽 형상은, 매끄러운 볼록 곡선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딩부의 윤곽 형상이, 매끄러운 볼록 곡선을 포함한다. 이것에 의해, 어댑터에 가해지는, 암 커넥터로 향하는 힘을, 걸림부가 수 부재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걸림부를 이동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큰 힘을 어댑터에 가하지 않고, 어댑터를 암 커넥터에 접속할 수 있다. 또, 어댑터를 접속할 수 있는 암 커넥터의 직경의 범위가 확대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어댑터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어댑터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어댑터의 하방으로부터 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어댑터의, 중심축 및 걸림부를 포함하는 면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어댑터가 접속되는 바이알병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어댑터를 바이알병에 접속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어댑터를 바이알병에 접속하는 도중의 제1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어댑터를 바이알병에 접속하는 도중의 제2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어댑터를 바이알병에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종래의 어댑터를 바이알병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걸림부가 받는 반력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어댑터를 바이알병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걸림부가 받는 반력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된 어댑터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된 어댑터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된 어댑터의 측면도이다.
도 9d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된 어댑터의 하방으로부터 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된 어댑터를 바이알병에 접속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된 어댑터를 바이알병에 접속한 상태를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어댑터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상기의 본 발명의 어댑터에 있어서, 상기 매끄러운 볼록 곡선은, 원호 또는 타원의 일부여도 된다. 이것에 의해, 더 작은 힘으로 어댑터를 암 커넥터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리브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혹은,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에 평행한 면을 따른 리브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딩부와 암 커넥터 사이의 마찰력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더 작은 힘으로 어댑터를 암 커넥터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수 부재는, 예리한 선단을 가지는 천자침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고무마개 등의 마개체로 봉지된 암 커넥터에 접속할 수 있는 어댑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암 커넥터는, 바이알병의 마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바이알병의 입구를 둘러싸는 직경이 확대된 플랜지에 걸어맞춰져도 된다. 이것에 의해, 바이알병에 접속할 수 있는 어댑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접속할 수 있는 마개체 및 플랜지의 직경의 범위가 넓은 어댑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을 적합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참조하는 각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구성하는 주요 부재를 간략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각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임의의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어서, 이하의 각 도면에 나타난 각 부재를 변경 또는 생략할 수 있다. 이하에 나타내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하고 있으며, 그들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련된 어댑터(1)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b는 어댑터(1)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c는 어댑터(1)의 하방으로부터 본 단면 사시도, 도 1d는, 어댑터(1)의 중심축(1a) 및 걸림부(30)를 포함하는 면을 따른 어댑터(1)의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심축(1a)의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하고, 중심축(1a)에 직교하는 평면에 평행한 방향을 「수평 방향」이라고 한다. 어댑터(1)의 「상」 및 「하」는, 도 1a~도 1d에 나타낸 어댑터(1)의 방향(자세)에 의거하여 정의한다. 또, 중심축(1a)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직선의 방향을 「반경 방향」이라고 하고, 중심축(1a)의 둘레를 회전하는 방향을 「둘레방향」이라고 한다. 반경 방향에 있어서, 중심축(1a)에 가까운 쪽을 「내측」이라고 하고, 중심축(1a)으로부터 먼 쪽을 「외측」이라고 한다. 단, 「상하 방향」, 「상」, 「하」, 「수평 방향」은, 어댑터(1)의 실제의 사용 시의 방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어댑터(1)는, 중심축(1a)을 따라 연장된 천자침(수 부재)(10)을 구비한다. 천자침(10)은, 그 하단에 예리한 선단(10t)을 구비한다. 천자침(10)의 내부에는, 액체(예를 들면 약액)가 흐르는 유로(11)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11)는, 천자침(10)의 선단(10t) 근방의 외주면에 설치된 개구(12)에 연통하고 있다.
도 1c 및 도 1d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천자침(10)의 기단부(10b)의 근방의 부분을 관형상부(14)가 둘러싸고 있다. 관형상부(14)는, 중공의 원통형상을 가지며, 천자침(10)과 동일축에 배치되어, 천자침(10)으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관형상부(14)의 상단은, 천자침(10)의 기단부(10b)에 접속되어 있다. 관형상부(14)의 하단으로부터 천판(15)이 반경 방향을 따라 바깥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천판(15)은, 중심축(1a)과 대략 수직인 평판이다. 도 1a, 도 1b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천판(15)의 외주 끝가장자리로부터 4개의 아암(20)이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각 아암(20)은, 천판(15)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된 한 쌍의 탄성부(21)와, 한 쌍의 탄성부(21)의 하단을 연결하는 가교부(22)를 포함하고, 이들에 의해 전체적으로 대략 「U」자형상을 가지고 있다. 가교부(22)는, 중심축(1a)을 따라 보았을 때 중심축(1a)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을 가지고 있다. 아암(20)과 천판(15)으로, 이들에 둘러싸인 대략 직사각형의 개구(23)가 형성되며, 당해 개구(23)를 통하여 아암(20)보다 내측의 천자침(10)을 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천자침(10)의 기단부(10b)와 천판(15) 사이에 관형상부(14)가 개재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관형상부(14)를 생략하고, 천판(15)의 중앙으로부터 천자침(10)이 하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탄성부(21)는, 중심축(1a)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탄성부(21)는 하방으로 감에 따라 중심축(1a)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져 있어도 된다.
4개의 아암(20)이, 천자침(10)에 대향하여, 천자침(10)을 둘러싸고 있다.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는 아암(20)은, 슬릿(25)을 통하여 이격하고 있다. 슬릿(25)은,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면을 따라, 천판(15)에까지 이르고 있다.
아암(20)의 선단 부분을 구성하는 가교부(22)에 걸림부(30)가 설치되어 있다. 걸림부(30)는, 가교부(22)의 천자침(10)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천자침(10)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걸림부(30)는, 걸림판(31)과, 걸림판(31)의 하면에 설치된 리브(33)를 포함한다. 걸림판(31)은, 대략 부채꼴형상 또는 대략 삼각형상을 가지는 평판이며, 천판(15)에 대향하고 있다. 걸림판(31)은, 중심축(1a)에 가까워짐에 따라 천판(15)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다. 리브(33)는,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면을 따라 걸림판(31)의 하면으로부터 하방(또는 중심축(1a))을 향해 돌출된 박판형상의 돌기이다. 리브(33)는, 걸림부(30)의 선단(또는 걸림판(31)의 선단)(30t)으로부터 가교부(22)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1d에 가장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리브(33)의 하측의 끝가장자리(본 발명에서는 이것을 「슬라이딩부」라고 한다)(33a)의 윤곽 형상은 원호이다.
아암(20)은, 천판(15)과의 접속 부분을 고정단으로 하는 캔틸레버 지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아암(20)을 구성하는 탄성부(21)는, 가는 봉형상의 부재이며, 비교적 용이하게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 가능하다. 걸림부(30)는, 아암(20)의 자유단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아암(20)은, 걸림부(30)가 천자침(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아암(20)의 변형은, 탄성부(21)가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면을 거의 따라 굽힘 변형됨으로써 가능하다. 서로 이웃하는 아암(20) 간에 슬릿(25)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각 아암(20)은 서로 독립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관형상부(14)의 상방에 커넥터(4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c, 도 1d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40)는, 대략 원통형상을 가지는 통형상부(41)과, 통형상부(41)의 상단에 설치된 격벽 부재(「세프탐」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42)와, 격벽 부재(42)에 씌여진 캡(43)을 구비한다. 통형상부(41) 내의 내강(41a)은, 천자침(10) 내의 유로(11)와 연통하고 있다. 격벽 부재(42)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원형의 평면에서 본 형상을 가지는 얇은 판자이다. 격벽 부재(42)의 중앙에, 격벽 부재(4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직선형상의 슬릿(절입)(42a)이 형성되어 있다. 통형상부(41)의 상단에 격벽 부재(42)를 올려놓고, 격벽 부재(42)의 상방으로부터 캡(43)을 씌운다. 통형상부(4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걸어맞춤 돌기(41p)가 캡(43)의 주위벽을 관통하는 걸어맞춤 구멍(43h) 내에 끼워넣어져, 걸어맞춤 돌기(41p)와 걸어맞춤 구멍(43h)의 끝가장자리가 걸어맞춰진다(도 1c를 참조). 격벽 부재(42)는 통형상부(41)와 캡(43)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협지된다. 격벽 부재(42)의 슬릿(42a)은, 캡(43)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43a) 내에 노출된다(도 1a를 참조). 격벽 부재(42)의 슬릿(42a)에, 예리한 선단을 가지지 않는 통형상의 수 루어(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면, 격벽 부재(42)가 탄성 변형되어, 통형상부(41) 내의 내강(41a)과 수 루어가 연통한다. 수 루어를 격벽 부재(42)로부터 뽑아 내면, 격벽 부재(42)는 즉시 초기 상태로 복귀하고, 슬릿(42a)은 액밀하게 닫혀진다. 이와 같이, 격벽 부재(42)는, 자폐식의 밸브체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자폐식의 커넥터(40)는, 「니들리스 포트」라고도 불린다.
어댑터(1)의, 격벽 부재(42) 및 캡(43)을 제외한 부분은,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일부품으로서 일체적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할 수 있는 수지 재료는 제한은 없지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스티렌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부틸렌스티렌블록 공중합체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의료용으로 이용되는 것이나 아암(20)이 탄성 굽힘 변형되는 것을 고려하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캡(43)의 재료는 제한은 없지만, 경질의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경질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수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격벽 부재(42)의 재료는 제한은 없지만, 고무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이소프렌 고무, 실리콘 고무, 부틸 고무 등의 고무 재료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 1의 어댑터(1)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어댑터(1)를 바이알병에 접속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도 2는, 바이알병(80)의 일례의 단면도이다. 바이알병(80)은, 병 본체(81)의 상단의 직경이 확대된 플랜지(82)로 둘러싸인 입구(개구)(83)에, 플랜지(82)와 대략 동일 외경을 가지는 마개체(고무마개)(86)를 끼워넣고 당해 입구(83)를 기밀 및 액밀하게 봉지한 밀폐 용기이다. 플랜지(82)의 외주면은, 그 바로 아래의 부분(잘록한 부분)(84)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대략 원통면이다. 따라서, 플랜지(82)와 잘록한 부분(84) 사이에는, 양자의 외경차에 의거하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마개체(86)가 병 본체(81)의 입구(83)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개체(86) 및 플랜지(82)에 캡(88)이 장착되어 있다. 캡(88)은, 금속(예를 들면 알루미늄), 수지 등의 시트로 이루어지며, 마개체(86) 및 플랜지(82)에 밀착되어 있다. 캡(88)의 하단은, 플랜지(82)의 대략 원통면인 외주면보다 하측에까지 이르고 있다. 캡(88)의 상단은, 마개체(86)의 상면에까지 이르고 있다. 마개체(86)의 상면의 중앙의 영역은, 캡(88)에 설치된 원형의 개구(88a)를 통하여 외계로 노출되어 있다(후술하는 도 3을 참조).
마개체(86)의 외주면과 플랜지(82)의 외주면은, 대략 동일 직경의 원통면이다. 따라서, 마개체(86) 및 플랜지(82)에 장착된 캡(88)의 외주면(88c)도 대략 원통면이다. 캡(88)의 외주면(88c)의 상단(또는, 캡(88)의 상면의 외주 끝가장자리)을 상측 끝가장자리(88b)로 하고, 또, 당해 외주면(88c)의 하단을 하측 끝가장자리(88d)로 한다.
바이알병(80)은 캡(88)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경우에는, 상측 끝가장자리(88b), 하측 끝가장자리(88d), 외주면(88c)은, 마개체(86) 또는 플랜지(82)에 대응하는 개소를 의미한다.
바이알병(80) 내에는, 분말상의 약제(도시하지 않음)가 수용되어 있다.
먼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댑터(1)를 바이알병(80)의 마개체(암 커넥터)(86)에 대향시킨다. 이 상태로부터, 어댑터(1)를 마개체(86)에 접근시킨다.
어댑터(1)의 걸림부(30)의 선단(33t)에서의 내경은, 바이알병(80)의 캡(88)의 외경보다 작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자침(10)의 선단(10t)이 캡(88)의 개구(88a) 내에 노출된 마개체(86)에 맞닿음과 거의 동시에 또는 이에 전후하여, 걸림부(30)의 리브(33)의 슬라이딩부(33a)가 캡(88)의 상측 끝가장자리(88b)에 맞닿는다.
어댑터(1)를 바이알병(80)을 향해 밀어넣으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자침(10)이 마개체(86)에 삽입되고, 이것과 병행하여, 걸림부(30)의 슬라이딩부(33a)가 캡(88)의 상측 끝가장자리(88a) 상을 슬라이딩한다. 슬라이딩부(33a)는, 상측 끝가장자리(88a) 상을 슬라이딩하면서, 걸림부(30)를 반경 방향을 따라 천자침(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외측)으로 이동시킨다. 걸림부(30)의 이동은, 아암(20)의 탄성부(21)가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됨으로써 가능해진다. 이 후, 걸림부(30)의 선단(30t)은, 상측 끝가장자리(88b)를 통과하고, 계속해서, 캡(88)의 외주면(88c) 상을 하방을 향해 슬라이딩한다. 선단(30t)이, 캡(88)의 하측 끝가장자리(88d)에 이르면, 탄성부(21)는 탄성 회복하여, 걸림부(30)가 플랜지(82)보다 아래의 잘록한 부분(84)에 끼워넣어진다.
이렇게 해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댑터(1)를 바이알병(80)에 접속할 수 있다.
천자침(10)이 마개체(86)를 관통하여, 천자침(10)의 선단 근방에 형성된 개구(12)가 마개체(86)보다 하측에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천자침(10)의 유로(11)와 바이알병(80)의 내강이 연통한다.
걸림부(30)가, 직경이 확대된 플랜지(82)에 걸어맞춰져 있다. 따라서, 어댑터(1)와 바이알병(80)을 분리하는 방향의 인장력이나 진동이 어댑터(1) 및 바이알병(80)에 인가되어도, 천자침(10)이 마개체(86)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빠지는 일은 없다.
본 실시 형태 1의 어댑터(1)는, 도 1d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걸림부(30)의 슬라이딩부(33a)의, 중심축(1a)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본 윤곽 형상이 원호인 점에서, 걸림부(930)의 슬라이딩부(933a)의 윤곽 형상이 직선인 종래의 어댑터(900)(도 12 를 참조)와 현저하게 상이하다. 이 상이점에 기인하여, 본 발명의 어댑터(1)는, 종래의 어댑터(900)에 비해, 바이알병(80)에 접속할 때에 필요한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7a는, 종래의 어댑터(900)의 걸림부(930)가, 바이알병(80)의 캡(88)의 상측 끝가장자리(88b)에 최초로 맞닿은 상태(본 실시 형태 1의 도 4에 상당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의 단면은, 천자침(910)을 통과하는 중심축 및 걸림부(930)의 슬라이딩부(933a)를 포함한다. 도 7a에서는, 도면을 간단화하기 위해, 어댑터(900)를 구성하는 1개의 걸림부(930) 만을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로, 어댑터(900)에 바이알병(80)을 향하는 아래방향의 힘을 인가한다. 이 때, 걸림부(930)는 캡(88)의 상측 끝가장자리(88b)로부터 반력(F)을 받는다. 반력(F)의 방향은, 슬라이딩부(933a)와 상측 끝가장자리(88b)의 접점에서의 접선에 수직이다. 슬라이딩부(933a)의 윤곽 형상은 직선이기 때문에, 반력(F)의 방향은 슬라이딩부(933a)에 대해 수직이다. 슬라이딩부(933a)는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기 때문에, 반력(F)의 방향도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다. 반력(F)은, 수평 방향 성분(F1)과 상하 방향 성분(F2)으로 분해할 수 있다. 수평 방향 성분(F1)은, 아암(920)을 탄성 굽힘 변형시키는데 기여한다.
어댑터(900)가 바이알병(80)을 향해 밀어넣어짐에 따라서, 아암(920)은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되어, 걸림부(930)는 상측 끝가장자리(88b) 상을 슬라이딩하면서 반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한다. 걸림부(930)는, 반경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데 수반하여, 그 자세(기울기)가 변화한다. 도 7b는, 걸림부(930)가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본 실시 형태 1의 도 5에 상당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와 비교하면, 슬라이딩부(933a)의 수평 방향에 대한 기울기는 작아져 있다. 따라서, 걸림부(930)가 상측 끝가장자리(88b)로부터 받는 반력(F)의 방향은 상하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변화하고 있다. 이해하기 쉽도록, 도 7b의 반력(F)을 나타내는 화살표의 길이는 도 7a의 반력(F)의 그것과 일치시키고 있다. 도 7a에 비해, 도 7b에서는, 반력(F)의 수평 방향 성분(F1)은 작아지고, 반력(F)의 상하 방향 성분(F2)은 커져 있다. 즉, 상하 방향 성분(F2)에 대한 수평 방향 성분(F1)의 비 F1/F2가 작아진다. 이것은, 어댑터(900)에 가해지는 아래방향의 힘으로부터, 아암(920)을 탄성 굽힘 변형시키는데 기여하는 수평 방향 성분(F1)으로의 변환의 효율이 저하되고 있는 것이 의미한다. 따라서, 도 7a의 상태에 비해, 도 7b의 상태에서는, 걸림부(930)를 반경 방향의 외측으로 더 이동시키기 위해, 어댑터(900)에 의해 큰 아래방향의 힘을 가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걸림부(930)가 외측으로 이동하면 할수록, 걸림부(930)를 더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보다 큰 힘을 어댑터(900)에 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걸림부(930)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서서히 곤란해진다. 또, 어댑터(900)에 가하는 힘이 커지면 반력(F)이 커지므로, 슬라이딩부(933a)와 상측 끝가장자리(88b) 사이의 마찰력이 커진다. 이것이, 걸림부(930)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더 곤란하게 한다.
또, 캡(88)의 외경이 보다 큰 바이알병(80)에 어댑터(900)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걸림부(930)를 외측으로 더 크게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비 F1/F2가 더 작아져, 어댑터(900)에 의해 큰 힘을 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어댑터(900)를, 외경이 큰 캡(88)을 가지는 바이알병(80)에 접속하는 것은 사실상 곤란하며, 어댑터(900)를 접속할 수 있는 바이알병(80)의 사이즈의 범위가 좁다.
도 8a, 도 8b는, 본 실시 형태 1의 어댑터(1)에 있어서 걸림부(30)가 캡(88)으로부터 받는 반력(F)를, 도 7a, 도 7b와 동일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는, 걸림부(30)가, 바이알병(80)의 캡(88)의 상측 끝가장자리(88b)에 최초로 맞닿은 상태(도 4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걸림부(30)는 상측 끝가장자리(88b)로부터 반력(F)을 받는다. 반력(F)은, 수평 방향 성분(F1)과 상하 방향 성분(F2)으로 분해할 수 있다. 도 8b는, 어댑터(1)이 바이알병(80)을 향해 밀어넣어진 결과, 걸림부(30)가 반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도 5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걸림부(30)의 자세(기울기)가 변화하고 있다. 또, 반력(F)의 방향은, 수평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변화하고 있다. 도 8a와 비교하면, 도 8b에서는, 반력(F)의 수평 방향 성분(F1)은 커지고, 반력(F)의 상하 방향 성분(F2)은 작아져 있다. 종래의 어댑터(900)에 대한 도 7a 내지 도 7b에 대한 비 F1/F2의 변화와는 반대로,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비 F1/F2가 커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걸림부(30)가 캡(88)의 상측 끝가장자리(88b) 상을 슬라이딩하면서 외측으로 이동하면 할수록, 어댑터(1)에 가하는 힘을 약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것에 의해, 슬라이딩부(33a)와 상측 끝가장자리(88b) 사이의 마찰력이 작아진다. 이것은, 어댑터(1)에 가하는 힘을 더 작게 하는데 유리하다.
또, 캡(88)의 외경이 보다 큰 바이알병(80)에 어댑터(1)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걸림부(30)를 외측으로 더 크게 변위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비 F1/F2는 도 8b보다 더 커지고, 어댑터(1)에 가하는 힘은 더 작아도 된다. 따라서, 종래의 어댑터(900)에 비해, 본 실시 형태 1의 어댑터(1)는, 외경이 보다 큰 캡(88)을 가지는 바이알병(80)에도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할 수 있는 바이알병(80)의 사이즈의 범위가 넓다. 시장에는 다양한 사이즈의 바이알병이 실제로 유통되고 있다. 본 실시 형태 1의 어댑터(1)를, 바이알병의 사이즈마다 복수 종류 준비할 필요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걸림부(30)의 슬라이딩부(33a)의 윤곽 형상은, 종래의 어댑터(900)의 슬라이딩부(933a)와 현저하게 상이하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어댑터(1)에 가해지는 아래방향의 힘으로부터, 수평 방향 성분(F1)을, 걸림부(30)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 어댑터(1)에 가하는 아래방향의 힘에 대항하는 상하 방향 성분(F2)이 과대해지는 경우는 없다. 그 결과, 어댑터(1)에 큰 아래방향의 힘을 가하지 않고, 어댑터(1)를 바이알병(80)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실시 형태 1에서는, 걸림부(30)가 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비 F1/F2가 커졌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걸림부(30)가 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비 F1/F2가 작아져도 되고, 혹은 대략 일정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비 F1/F2는 대략 일정 또는 커진다.
슬라이딩부(33a)가 상측 끝가장자리(88b) 상을 슬라이딩하면서 걸림부(30)가 외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의 비 F1/F2의 변화는, 슬라이딩부(33a)의 윤곽 형상에 의존한다.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슬라이딩부(33a)의 윤곽 형상은 원호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부(33a)의 윤곽 형상이 매끄러운 볼록 곡선을 포함하면, 비 F1/F2를 높게 유지할 수 있어, 바이알병(80)에 접속하기 위해 어댑터(1)에 가하는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라이딩부(33a)의 윤곽 형상은, 타원의 일부여도 되고, 곡율이 반경 방향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임의의 볼록 곡선이어도 된다. 슬라이딩부(33a)의 윤곽 형상은, 매끄러운 볼록 곡선 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슬라이딩부(33a)의 윤곽 형상은, 볼록 곡선과 직선을 조합하여 이들을 매끄럽게 연결한 것이어도 된다. 볼록 곡선과 직선을 조합하는 경우, 직선은 볼록 곡선보다 반경 방향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라이딩부(33a)의 윤곽 형상은, 그 일부에 오목 곡선을 포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오목 곡선은, 비 F1/F2를 급격하게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슬라이딩부(33a)의 윤곽 형상은, 어댑터(1)를 바이알병(80)에 접속하기 위해 어댑터(1)에 과대한 힘을 가하지 않으면 안 되는 사태가 생기지 않도록 적당히 설계된다.
슬라이딩부(33a)에 설치되는 상기의 「매끄러운 볼록 곡선」은, 아암(20)이 변형되어 있지 않는 초기 상태(도 1d를 참조)에 있어서, 중심축(1a)에 가까워짐에 따라 수평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즉, 슬라이딩부(33a)에 접하는 접선의 기울기)가 커지는 곡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결과, 슬라이딩부(33a)의 가장 내측단(중심축(1a)에 가장 가까운 지점)은, 슬라이딩부(33a) 중에서 가장 높은 위치(최상 위치)에 위치한다. 걸림부(30)의 선단(30t)은, 슬라이딩부(33a)의 최상위 위치에 위치한다.
걸림부(30)의 슬라이딩부(33a)가 캡(88)의 상측 끝가장자리(88b) 상을 슬라이딩할 때의 마찰력을 저감하는 관점에서, 슬라이딩부(33a)와 상측 끝가장자리(88b)의 접촉 면적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실시 형태 1과 같이, 슬라이딩면(33b)을,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박판형상의 리브(33) 상에 설치하는 것은, 슬라이딩부(33a)와 캡(88)의 접촉 면적이 작아져, 양자 간의 마찰력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어댑터(1)에 가하는 힘을 더 작게 하는데 유리하다.
상기의 실시 형태 1은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 1에 한정되지 않고,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특히, 걸림부(30)의 슬라이딩부(33a) 이외의 구성은,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걸림부(30)가 설치되는 아암(20)의 형상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아암은, 대략 「U」자형상을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다. 또, 아암과 천판(15)으로 둘러싸인 개구(23)가 형성될 필요는 없다. 아암은, 예를 들면, 천판(15)의 외주 끝가장자리로부터 천자침(10)에 대향하도록 하방을 향해 연장된 긴 직사각형상(대략 「I」자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아암의 수는 4개에 한정되지 않고, 4개보다 많아도, 적어도 된다. 단, 아암의 수는 2개 이상이며, 그들 아암이 중심축(1a)에 대해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개의 아암에 설치되는 걸림부의 수는, 1개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이어도 된다.
걸림부(30)의 걸림판(31)의 기울기는 임의이다. 걸림판(31)은,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을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수평 방향과 평행이어도 된다. 걸림판(31)을 생략하고, 걸림부가 리브(33) 만(즉,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판형상물)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실시 형태 2)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된 어댑터(2)를, 실시 형태 1의 어댑터(1)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참작하는, 어댑터(2)를 나타낸 도면에 있어서, 실시 형태 1의 어댑터(1)를 구성하는 부재와 동일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련된 어댑터(2)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b는 어댑터(2)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9c는 어댑터(2)의 측면도, 도 9d는 어댑터(2)의 하방으로부터 본 단면 사시도이다. 도 9d에 있어서, 2점 쇄선(2a)은 어댑터(2)의 중심축이다.
도 9d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천자침(10)의 기단부(10b)에, 관형상부(14)의 상단이 접속되어 있다. 관형상부(14)의 하단에, 천판(215)이 설치되어 있다. 도 9a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천판(215)은, 수평 방향을 따른 얇은 판자이다. 상방으로부터 본 천판(215)은, 육상 경기의 트럭과 거의 동일한 평면에서 본 형상을 가지고 있다. 천판(215)의 단축 방향에 대향하는 2변에 2개의 아암(220)이 설치되어 있다.
아암(220)은, 반경 방향으로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 어깨부(221)와, 어깨부(221)의 원위단(遠位端)(천자침(10)으로부터 가장 먼 단부)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된 현가부(222)를 구비한다. 현가부(222)는 천자침(10)에 대향하고 있다. 도 9c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현가부(222)는, 그 하단(즉, 선단)에 가까워짐에 따라 천자침(10)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져 있다.
걸림부(230)가, 천자침(10)을 향해 돌출하도록, 현가부(222)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다. 걸림부(230)는, 걸림판(231)과, 걸림판(231)의 하면에 설치된 2장의 리브(233)를 포함한다. 걸림판(231)은, 현가부(222)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된 판형상물이며, 중심축(2a)(또는 천자침(10))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천판(215)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다. 걸림부(230)의 선단(또는 걸림판(231)의 선단)(230t)에는, 천자침(10)과 대략 동축의 원호형상을 가지는 오목부(230a)가 설치되어 있다(도 9a를 참조). 리브(233)는, 걸림판(231)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된 박판형상의 돌기이다. 리브(233)는, 걸림판(231) 뿐만 아니라, 현가부(222)의 외측면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각 리브(233)는 중심축(2a)을 포함하는 면에 평행이다. 동일 걸림부(230)에 설치된 2장의 리브(233)는, 이격하여,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9c에 가장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리브(233)는, 대략 쐐기형상을 가지고 있다. 리브(233)의 하측(또는 천자침(10)의 측)을 향한 끝가장자리(본 발명에서는 이것을 「슬라이딩부」라고 한다)(233a)의 윤곽 형상은 원호이다. 원호형상을 가지는 슬라이딩부(233a)가, 걸림부(230)의 선단(230t)으로부터, 리브(233)의 하단(즉, 대략 쐐기형상의 선단)(233b)까지 연장되어 있다.
아암(220)은, 천판(215)과의 접속 부분을 고정단으로 하는 캔틸레버 지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아암(220)을 구성하는 어깨부(221)는, 박판형상의 부재이며, 비교적 용이하게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 가능하다. 걸림부(230)는, 아암(220)의 자유단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아암(220)은, 걸림부(230)가 천자침(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아암(220)의 변형은, 주로 어깨부(221)가 중심축(2a)을 포함하는 면을 따라 굽힘 변형됨으로써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현가부(222) 및 걸림판(231)은, 리브(23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는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리브(233)를 걸림판(231)에만 설치하고, 현가부(222)도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도 9b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돌기(216)가, 천판(215)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돌기(216)는, 천판(215)의 장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관형상부(14)의 상방에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커넥터(40)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 2의 어댑터(2)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바이알병(80)(도 2를 참조)에 접속할 수 있다.
먼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댑터(2)를 바이알병(80)의 마개체(암 커넥터)(86)에 대향시킨다. 이 상태에서, 어댑터(2)를 마개체(86)에 접근시킨다.
어댑터(2)의 걸림부(230)의 선단(233t)에서의 내경은, 바이알병(80)의 캡(88)의 외경보다 작다. 따라서, 천자침(10)의 선단(10t)이 캡(88)의 개구(88a) 내에 노출된 마개체(86)에 맞닿음과 거의 동시에 또는 이에 전후하여, 걸림부(230)의 리브(233)의 슬라이딩부(233a)가 캡(88)의 상측 끝가장자리(88b)에 맞닿는다.
어댑터(2)를 바이알병(80)을 향해 밀어넣으면, 천자침(10)이 마개체(86)에 삽입되고, 이것과 병행하여, 걸림부(230)의 슬라이딩부(233a)가 캡(88)의 상측 끝가장자리(88a) 상을 슬라이딩한다. 본 실시 형태 2에서는, 2개의 아암(220)의 각각에, 2개의 리브(233)가 이격해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4개의 리브(233)에 설치된 4개의 슬라이딩부(233a)가 캡(88)의 상측 끝가장자리(88a) 상을 동시에 슬라이딩한다. 이 때문에, 어댑터(2)가 바이알병(80)에 대해 기울어지지 않고, 어댑터(2)를 바이알병(80)에 밀어넣을 수 있다.
슬라이딩부(233a)는, 상측 끝가장자리(88a) 상을 슬라이딩하면서, 걸림부(230)를 반경 방향을 따라 천자침(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외측)으로 이동시킨다. 걸림부(230)의 이동은, 아암(220)의 어깨부(221)가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됨으로써 가능해진다.
이 후, 걸림부(230)의 선단(230t)은, 상측 끝가장자리(88b)를 통과하고, 계속해서, 캡(88)의 외주면(88c) 상을 하방을 향해 슬라이딩한다. 선단(230t)이, 캡(88)의 하측 끝가장자리(88d)에 이르면, 어깨부(221)는 탄성 회복하여, 걸림부(230)가 플랜지(82)보다 아래의 잘록한 부분(84)에 끼워넣어진다.
이렇게 해서,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댑터(2)를 바이알병(80)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1a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걸림부(230)가, 직경이 확대된 플랜지(82)에 걸어맞춰져 있다. 따라서, 어댑터(2)와 바이알병(80)을 분리하는 방향의 인장력이나 진동이 어댑터(2) 및 바이알병(80)에 인가되어도, 천자침(10)이 마개체(86)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빠지는 일은 없다.
걸림부(230)의 오목부(230a) 내에, 바이알병(80)의 잘록한 부분(84)이 끼워넣어져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2의 어댑터(2)가 가지는 걸림부(230)의 수가 2개 뿐임에도 불구하고, 외력이나 진동이 가해져도 어댑터(2)가 바이알병(80)에 대해 기울어지지 않고, 어댑터(2)를 바이알병(80)에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천자침(10)이 기울어짐으로써, 천자침(10)과 천자침(10)이 천자한 마개체(86)의 구멍 사이에 간극이 생겨, 당해 간극을 통하여 바이알병(80) 내의 약제가 외계로 누출된다는 사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돌기(216)가, 마개체(86)의 상면 또는 캡(88)의 상면에 맞닿아 있다. 이 때문에, 아암(220), 특히 그 어깨부(221)가, 마개체(86) 또는 캡(88)에 충돌함으로써 아암(220)이 굽힘 변형되어, 걸림부(230)와 플랜지(82)의 걸어맞춤이 불안정해진다는 사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어댑터(2)가 바이알병(80)에 대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1b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천자침(10)이 마개체(86)를 관통하여, 천자침(10)의 선단 근방에 형성된 개구(12)가 마개체(86)보다 하측에서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천자침(10)의 유로(11)와 바이알병(80)의 내강이 연통한다.
중심축(2a)에 수직인 방향(리브(233)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본 슬라이딩부(233a)의 윤곽 형상은, 실시 형태 1의 어댑터(1)의 슬라이딩부(33a)(도 1c를 참조)와 마찬가지로 원호이다(도 9c를 참조). 따라서, 실시 형태 1의 어댑터(1)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 형태 2의 어댑터(2)도, 종래의 어댑터(900)에 비해, 바이알병(80)에 접속할 때에 필요한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어댑터(2)를 접속할 수 있는 바이알병(80)의 사이즈의 범위가 넓다.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도, 슬라이딩부(233a)의 윤곽 형상은, 원호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매끄러운 볼록 곡선을 포함하는 형상이면, 상기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슬라이딩부(233a)가, 박판형상의 리브(233)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슬라이딩부(233a)와 캡(88)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하고, 양자 간의 마찰력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어댑터(2)에 가하는 힘을 더 작게 하는데 유리하다.
실시 형태 1의 리브(33)는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 2의 리브(233)는, 중심축(2a)을 포함하는 면이 아니라, 당해 면에 평행한 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중심축(2a)을 포함하는 면으로부터 리브(233)까지의 거리는 극히 작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2는, 리브에 설치된 슬라이딩부가 나타내는 상기의 효과에 관해서 실시 형태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생각해도 된다.
상기의 실시 형태 2는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 2에 한정되지 않고,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특히, 걸림부(230)의 슬라이딩부(233a) 이외의 구성은,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걸림부(230)가 설치되는 아암(220)의 형상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아암(220)을 중심축(2a)에 수직인 방향에서 보았을 때(도 9c를 참조), 어깨부(221) 및 현가부(222)는, 수평 방향 및 상하 방향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경사져 있어도 된다. 아암(220)은, 어깨부(221)와 현가부(222)가 굴곡부를 통하여 접속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아암 전체가, 매끄러운 곡선을 따라 만곡되어 있어도 된다. 실질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천판(215)을 수평 방향을 따라 어깨부(221)의 원위단에 상당하는 위치까지 연장하고, 아암은, 당해 천판(215)의 외주 끝가장자리로부터 천자침(10)에 대향하도록 하방을 향해 연장된 긴 직사각형상(대략 「I」자형상)의 부재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당해 긴 직사각형상을 가지는 부분이 탄성적으로 굽힘 변형된다.
아암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단, 복수의 아암은, 중심축(1a)에 대해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개의 아암에 설치되는 리브(233)의 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1개 또는 3개 이상이어도 된다.
1개의 아암에 설치되는 걸림부(230)의 수는 1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걸림부(230)(즉, 걸림판(231))를 리브(233)마다 분할하여, 1개의 아암에 리브(233)와 동수의 걸림부(230)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걸림부(230)의 걸림판(231)의 기울기는 임의이다.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수평 방향과 평행이어도 된다. 걸림판(231)을 생략하고, 걸림부가 리브(233) 만(즉, 중심축(1a)을 포함하는 면에 평행한 면을 따른 판형상물)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걸림부(230)의 선단(230t)에, 오목부(230a)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천판(215)의 하면에 설치된 돌기(216)의 구성(예를 들면, 그 형상, 위치, 수)은 임의이다. 예를 들면, 돌기(216)는, 반구면형상의 볼록한 형상물이어도 된다. 혹은, 중심축(2a)과 동심의 원을 따라 배치된, 환상, 원호형상, 또는, 점상의 돌기여도 된다. 돌기(216)가 아암(220)(특히 그 어깨부(221))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돌기(216)를 생략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 2는, 상기를 제외하고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실시 형태 1의 설명은, 본 실시 형태 2에도 적용된다.
상기의 실시 형태 1, 2에서는, 아암(20, 220)은, 관형상부(14) 및 천판(15, 215)을 통하여, 천자침(10)의 기단부(10b)에 간접적으로 지지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관형상부(14)를 생략하고, 천자침(10)의 기단부(10b)에 천판(15, 215)을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아암(20, 220)은 천판(15, 215)을 통하여, 천자침(10)의 기단부(10b)에 간접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혹은, 천판(15, 215)을 생략하고, 관형상부(14)에 아암(20, 220)을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아암(20, 220)은 관형상부(14)를 통하여, 천자침(10)의 기단부(10b)에 간접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혹은, 관형상부(14) 및 천판(15, 215)을 생략하고, 천자침(10)의 기단부(10b)에 아암(20, 220)을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아암(20, 220)은 천자침(10)의 기단부(10b)에 직접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혹은, 관형상부(14) 및 천판(15, 215) 이외의 다른 부재가, 천자침(10)의 기단부(10b)와 아암(20, 220) 사이에 개재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아암은, 수 부재(10)의 기단부(10b)에, 간접적인지 직접적인지를 불문하고, 지지되어 있으면 된다.
아암의 적어도 일부가 천자침(10)에 대향하고 있으면 되며, 아암의 모든 부분이 천자침(10)에 대향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아암의 전체가 탄성 굽힘 변형되어도 되고, 아암의 일부 만이 탄성 굽힘 변형되어도 된다. 아암 중, 탄성 굽힘 변형되는 부분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슬라이딩부」란, 어댑터를 암 커넥터에 접속하는 과정에 있어서, 암 커넥터의 소정 개소(상기의 실시 형태 1, 2에서는 상측 끝가장자리(88b)) 상을 슬라이딩하는 부분이며, 암 커넥터의 당해 소정 개소 상을 슬라이딩하면서, 아암을 굽힘 변형시켜 걸림부를 천자침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부분을 의미한다. 따라서, 걸림부(또는 리브) 중, 어댑터를 암 커넥터에 접속하는 과정에 있어서 암 커넥터에 접촉되는 일이 없는 부분은, 「슬라이딩부」에 해당하지 않고, 그러한 부분의 형상은 임의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슬라이딩부는 소정의 영역을 가지며, 슬라이딩부가 암 커넥터의 소정 개소 상을 슬라이딩할 때, 암 커넥터의 소정 개소에 접촉하는 슬라이딩부의 개소는, 시시각각 변화한다. 따라서, 슬라이딩부의 종단에, 또는 슬라이딩부의 종단에 인접해서 설치된 걸림부의 선단은, 어댑터를 암 커넥터에 접속하는 과정에 있어서, 암 커넥터의 소정 개소에 접촉하는 개소가 시시각각 변화할 정도의 영역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에 포함되지 않는다. 「슬라이딩부」는, 걸림부의 선단(걸림부 중 가장 수 부재에 접근한 부분)에 대해 외측(즉, 수 부재와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걸림부의 선단은, 슬라이딩부의 내측단(슬라이딩부 중 가장 수 부재에 접근한 개소)과 일치한다. 따라서, 슬라이딩부는, 바람직하게는, 걸림부의 선단을 시점으로 하여 외측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어댑터가 접속되는 암 커넥터는, 바이알병(80)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이알병(80)과 마찬가지로, 고무마개로 봉지된 입구(개구)의 주위에, 직경이 확대된 플랜지가 설치된 임의의 암 커넥터에, 본 발명의 어댑터를 접속할 수 있다. 이러한 암 커넥터는, 예를 들면 유연한 튜브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약액 등을 저류하는 용기(형상 유지성을 가지는 보틀형상의 용기, 형상 유지성을 가지지 않는 주머니형상의 용기(백) 등)의 포트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암 커넥터가, 커넥터(40)와 동일한, 탄성의 격벽 부재(42)를 구비한, 이른바 니들리스 포트여도 된다.
암 커넥터의 종류에 따라, 암 커넥터에 삽입되는 수 부재의 구성을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천자침(10) 내에, 독립된 2개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한쪽의 유로는 바이알병(80)과의 사이에서 액체가 흐르는 액체 유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다른쪽의 유로는, 바이알병(80)에 대해 액체가 출입할 때에 바이알병(80) 내의 압력 변동을 저감하기 위해, 기체가 흐르는 기체 유로로서 이용할 수 있다.
유로(11)와 연통한 개구(12)의 수는, 2개 이상이어도 된다.
수 부재가, 천자침(10)이 아니라, 예리한 선단을 구비하지 않은, 이른바 통형상의 수 루어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수 루어는, 암 커넥터가 니들리스 포트인 경우에 바람직하게 채용할 수 있다.
수 부재 내의 유로를 흐르는 액체는, 약액여도 되지만, 약액 이외의 임의의 액체여도 된다.
커넥터(40)의 구성은, 상기의 실시 형태 1, 2에서 나타낸 니들리스 포트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테이퍼면을 구비한 공지의 커넥터여도 된다. 혹은, 커넥터(40)를 설치하지 않고, 수액 세트 등이 유연한 튜브가 유로(11)에 연통하도록 어댑터에 직접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이용 분야에 제한은 없고, 의료, 식품, 화학 등의 각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의료 분야에 있어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특히, 항암제와 같은 극약을 넣고 빼는 암 커넥터에 접속되는 어댑터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2 어댑터 1a, 2a 중심축
10 천자침(수 부재) 10b 천자침의 기단부
20, 220 아암 30, 230 걸림부
33, 233 리브 33a, 233a 슬라이딩부
80 바이알병 82 플랜지
86 마개체

Claims (6)

  1. 수 부재와, 상기 수 부재에 대향하는 아암과, 상기 수 부재를 향해 돌출하도록 상기 아암에 설치된 걸림부를 구비한 어댑터로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수 부재를 암 커넥터에 삽입하고 또한 상기 걸림부를 암 커넥터에 걸어맞춘 상태로 상기 암 커넥터에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아암은, 상기 걸림부가 상기 수 부재로부터 이격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어댑터를 암 커넥터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암 커넥터 상을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암 커넥터 상을 슬라이딩할 때, 상기 걸림부를 상기 수 커넥터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 부재를 통과하는 중심축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본 상기 슬라이딩부의 윤곽 형상은, 매끄러운 볼록 곡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끄러운 볼록 곡선은 원호 또는 타원의 일부인, 어댑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을 따른 리브 상에 설치되어 있는, 어댑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중심축을 포함하는 면에 평행한 면을 따른 리브 상에 설치되어 있는, 어댑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 부재는 예리한 선단을 가지는 천자침인, 어댑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 커넥터는 바이알병의 마개체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바이알병의 입구를 둘러싸는 직경이 확대된 플랜지에 걸어맞춰지는, 어댑터.
KR1020177029701A 2015-03-23 2016-03-18 어댑터 KR102564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60038 2015-03-23
JPJP-P-2015-060038 2015-03-23
JPJP-P-2015-217564 2015-11-05
JP2015217564 2015-11-05
PCT/JP2016/058787 WO2016152801A1 (ja) 2015-03-23 2016-03-18 アダプ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475A true KR20170130475A (ko) 2017-11-28
KR102564665B1 KR102564665B1 (ko) 2023-08-08

Family

ID=56978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701A KR102564665B1 (ko) 2015-03-23 2016-03-18 어댑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660822B2 (ko)
EP (1) EP3275476B1 (ko)
JP (1) JP6731165B2 (ko)
KR (1) KR102564665B1 (ko)
CN (1) CN107405445B (ko)
ES (1) ES2781206T3 (ko)
MY (1) MY188947A (ko)
SG (1) SG11201707646TA (ko)
WO (1) WO20161528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9913B2 (en) 2015-07-30 2018-08-07 Carefusion 303, Inc. Tamper-resistant cap
IL267972B2 (en) * 2017-01-12 2023-10-01 Becton Dickinson & Co Ltd Pressure resistant membrane closed system
JP6929733B2 (ja) * 2017-07-31 2021-09-01 大和製罐株式会社 容器接続具、及び、接続器具
JP6972747B2 (ja) * 2017-08-03 2021-11-24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アダプタ組立体
JP7371495B2 (ja) 2019-12-27 2023-10-31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接続具
DE102020210898A1 (de) * 2020-08-28 2022-03-03 B. Braun Melsungen Aktiengesellschaft Kopplungsvorrichtung für einen Adapter für ein Vial, Adapter für ein Vial, Set umfassend einen derartigen Adapter und System umfassend einen derartigen Adapter
US11674614B2 (en) 2020-10-09 2023-06-13 Icu Medical, Inc. Fluid transfer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same
CN114948726B (zh) * 2022-07-29 2022-11-15 上海奥科达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液体制剂多次给药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6288A1 (fr) * 1999-07-14 2001-01-25 Taiko Denki Co., Limited Connecteur de cable a fibres optiques
JP2006526477A (ja) * 2003-06-03 2006-11-24 ホスピラ・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危険物質ハンド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1512205A (ja) * 2008-02-18 2011-04-21 アイシーユー・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バイアルアダプタ
WO2011068190A1 (ja) * 2009-12-04 2011-06-09 テルモ株式会社 バイアルアダプタ
JP2014079355A (ja) 2012-10-16 2014-05-08 Jms Co Ltd 穿刺針アダプ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4179A (en) * 1992-10-16 1994-08-02 Abbott Laboratories Latching piercing pin for use with fluid vials of varying sizes
US6253804B1 (en) 1999-11-05 2001-07-03 Minimed Inc. Needle safe transfer guard
US7390025B2 (en) * 2004-03-31 2008-06-24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Secondary latch/verifier for a quick connector
SG174092A1 (en) * 2007-06-08 2011-09-29 Jms Co Ltd Female connector and connector
WO2012150587A1 (en) * 2011-05-03 2012-11-08 Sabiedriba Ar Ierobezotu Atbildibu "Sdmd" Vial adap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6288A1 (fr) * 1999-07-14 2001-01-25 Taiko Denki Co., Limited Connecteur de cable a fibres optiques
JP2006526477A (ja) * 2003-06-03 2006-11-24 ホスピラ・インコーポレイテツド 危険物質ハンド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1512205A (ja) * 2008-02-18 2011-04-21 アイシーユー・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バイアルアダプタ
WO2011068190A1 (ja) * 2009-12-04 2011-06-09 テルモ株式会社 バイアルアダプタ
JP2014079355A (ja) 2012-10-16 2014-05-08 Jms Co Ltd 穿刺針アダプ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05445B (zh) 2020-10-09
EP3275476A4 (en) 2019-01-09
ES2781206T3 (es) 2020-08-31
CN107405445A (zh) 2017-11-28
SG11201707646TA (en) 2017-10-30
US10660822B2 (en) 2020-05-26
MY188947A (en) 2022-01-14
US20180064605A1 (en) 2018-03-08
WO2016152801A1 (ja) 2016-09-29
JPWO2016152801A1 (ja) 2018-01-18
KR102564665B1 (ko) 2023-08-08
EP3275476B1 (en) 2020-03-18
EP3275476A1 (en) 2018-01-31
JP6731165B2 (ja) 202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0475A (ko) 어댑터
JP6222512B2 (ja) 穿刺針アダプタ
US9345643B2 (en) Medical connector
EP3260161B1 (en) Lever lock male connector and male connector assembly
EP2939648B1 (en) Vial shield
JP4814473B2 (ja) 容器を医療装置に接続できるハウジング
CN106456443B (zh) 医药品容器用连接器以及阳部件用罩
US11052235B2 (en) Lever lock-type male connector and male connector assembly
JP5994400B2 (ja) メスコネクタ
JP6340898B2 (ja) 医薬品容器用コネクタ
WO2015166993A1 (ja) 医薬品容器用コネクタ及びオス部材用カバー
EP3199200A1 (en) Medical connector
WO2019026796A1 (ja) アダプタ組立体
JP2017153728A (ja) 穿刺針用コネクタ及び連結管
WO2019225604A1 (ja) レバーロック式オスコネクタ
WO2013150956A1 (ja) オス部材用フード及びオスコネクタ
JP2016054805A (ja) 容器カバー
JP7352818B2 (ja) バイアルアダプタ
JP7371495B2 (ja) 接続具
WO2020196511A1 (ja) アダプタ
JP6769190B2 (ja) バイアルアダプタ
JP6582412B2 (ja) コネクタ
JP2022130123A (ja) コネクタ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