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0399A - 사용자 장비의 이동성 추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장비의 이동성 추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0399A
KR20170130399A KR1020177025410A KR20177025410A KR20170130399A KR 20170130399 A KR20170130399 A KR 20170130399A KR 1020177025410 A KR1020177025410 A KR 1020177025410A KR 20177025410 A KR20177025410 A KR 20177025410A KR 20170130399 A KR20170130399 A KR 20170130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quipment
pilot signal
network
state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1290B1 (ko
Inventor
조셉 비나미라 소리아가
팅팡 지
피터 푸이 록 앙
나가 부샨
게이이치 구보타
개빈 버나드 호른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30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72/048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6/04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장비의 이동성 추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 장비을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는 신호들을 수신하고 네트워크 내의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로 신호들을 전송하는 안테나 및 그 안테나에 커플링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안테나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를 광고하기 위해 파일롯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안테나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로서 작용하는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파일롯 응답을 수신하며, 및 서빙 노드를 통해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파일롯 신호는 사용자 장비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로드가 후속되는 네트워크 노드들이 추적할 참조 시퀀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참조 시퀀스는 사용자 장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변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참조 시퀀스는 랜덤으로 선택된다.

Description

사용자 장비의 이동성 추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본 출원은 2015년 11월 19일자로 출원된 미국 유틸리티 특허 출원 제 14/946,374 호의 이익을 주장하고, 2015년 3월 13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 62/133,219 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각각의 전체 내용들이 참조에 의해 여기에 포함된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셀룰러 네트워크들을 위한 통신 방법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 장비의 이동성 추적에 관한 것이다.
3 세대 (3G), 4 세대 (4G), 및 5 세대 (5G) 이동 네트워크들과 같은 오늘날의 통신 시스템들의 다수는 복수의 지리적으로 분포된 기지국들 또는 노드들을 갖는 셀룰러 또는 이동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이동 디바이스들 또는 사용자 장비 (UE) 로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사용자 장비가 노드들 내로 및 주위로 이동함에 따라, 사용자 장비의 로케이션을 추적하고 노드들 중 어느 것이 사용자 장비를 위한 서빙 노드로서 작용할지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전통적인 접근법들은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에서 위상적으로 어디에 위치되는지를 결정하는 일차적인 책임을 담당하고 서빙 노드를 선택하는 것을 돕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존하여 왔다. 이들 접근법들은 통상적으로 사용자 장비에 고가의 계산상 부담을 지우고, 종종 서빙 노드를 선택하기 전에 사용자 장비가 다수의 근처의 노드들과 다수의 메시지들을 교환할 것을 요구했다. 이들 교환들은 종종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전력 예산 뿐아니라 네트워크의 대역폭에 상당한 부담을 지웠다. 또, 사용자 장비의 서빙 노드의 선택은 전체 네트워크 능력 및/또는 효율을 희생하면서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장비의 추적 및 각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의 선택을 개선하는 시스템들 및 방법들을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는 신호들을 수신하고 네트워크 내의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로 신호들을 전송하는 안테나 및 안테나에 커플링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안테나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를 광고하기 위해 파일롯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안테나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로서 작용하는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파일롯 응답을 수신하며, 서빙 노드를 통해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파일롯 신호는 사용자 장비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로드가 후속되는 네트워크 노드들이 추적할 참조 시퀀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네트워크에 복수의 사용자 장비들을 커플링하는 네트워크 노드는 신호들을 수신하고 복수의 사용자 장비로 신호들을 전송하는 안테나 및 안테나에 커플링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안테나를 사용하여 제 1 사용자 장비로부터 파일롯 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과 파일롯 신호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며, 파일롯 신호에 대한 교환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로서 그 네트워크 노드를 선출하거나 선출하지 않고, 안테나를 사용하여, 그 네트워크 노드가 제 1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로서 선출되는 경우 제 1 사용자 장비로 파일롯 응답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파일롯 신호는 제 1 사용자 장비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로드가 후속되는 네트워크 노드 및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이 추적할 참조 시퀀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네트워크의 구역에 대한 구역 제어기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사용자 장비로부터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신된 파일롯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파일롯 신호에 대한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로서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로부터 제 1 네트워크 노드를 선택하며, 제 1 네트워크 노드가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라는 제 1 네트워크 노드로의 통지의 송신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파일롯 신호는 사용자 장비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로드가 후속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이 추적할 참조 시퀀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반도체 디바이스는 비일시적 메모리 및 그 비일시적 메모리에 커플링되고 디바이스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기 위해 그 비일시적 메모리로부터 명령들을 판독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그 동작들은 사용자 장비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의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에게 사용자 장비를 광고하기 위해 파일롯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것, 안테나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로서 작용하는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파일롯 응답을 수신하는 것, 및 서빙 노드로 안테나를 통해 메시지들을 전송 및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파일롯 신호는 사용자 장비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로드가 후속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이 추적할 참조 시퀀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방법은 안테나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서의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에게 사용자 장비를 광고하기 위해 파일롯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안테나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로서 작용하는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파일롯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서빙 노드를 통해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파일롯 신호는 사용자 장비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로드가 후속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이 추적할 참조 시퀀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에서의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에게 사용자 장비를 광고하기 위해 파일롯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수단,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로서 작용하는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파일롯 응답을 수신하는 수단, 및 서빙 노드를 통해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파일롯 신호는 사용자 장비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로드가 후속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이 추적할 참조 시퀀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방법은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로부터 파일롯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네트워크 노드에 커플링된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과 파일롯 신호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 단계, 파일롯 신호에 대한 교환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로서 네트워크 노드를 선출하거나 선출하지 않는 단계, 안테나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노드가 제 1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로서 선출되는 경우 제 1 사용자 장비로 파일롯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파일롯 신호는 제 1 사용자 장비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로드가 후속되는 네트워크 노드 및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이 추적할 참조 시퀀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네트워크 노드는 사용자 장비로부터 파일롯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네트워크 노드에 커플링된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과 파일롯 신호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 수단, 파일롯 신호에 대한 교환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로서 네트워크 노드를 선출하거나 선출하지 않는 수단, 네트워크 노드가 제 1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로서 선출되는 경우 제 1 사용자 장비로 파일롯 응답을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파일롯 신호는 제 1 사용자 장비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로드가 후속되는 네트워크 노드 및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이 추적할 참조 시퀀스를 포함한다.
도 1 은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이동 네트워크의 단순화된 다이어그램이다.
도 2 는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단순화된 다이어그램이다.
도 3 은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파일롯 신호의 단순화된 다이어그램이다.
도 4 는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단순화된 상태도이다.
도 5 는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파일롯 신호의 송신 특성들에 대한 분포된 할당 접근법을 사용하는 이동성 검출의 방법의 단순화된 다이어그램이다.
도 6 은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파일롯 신호에 대한 네트워크 분포된 송신 특성들을 사용하는 이동성 검출의 방법의 단순화된 다이어그램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본 개시와 일관된 일부 실시형태들을 기술하는 특정의 상세들이 진술된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일부 실시형태들이 이들 특정의 상세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없이 실시될 수도 있다는 것이 분명할 것이다. 여기에 개시된 특정의 실시형태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는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않지만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다른 엘리먼트들을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하나의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도시 및 기술된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특정적으로 달리 기술되지 않거나 그 하나 이상의 특징들이 실시형태를 비기능적으로 만든다면 다른 실시형태들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전통적인 이동 네트워크에서, 각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의 선택은 통상적으로, 사용자 장비에 의한 이동 네트워크 내의 사용자 장비의 로케이션의 추적에 기초한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사용자 장비가 어느 노드들이 근처에 있는지 및 근처의 노드들 각각의 능력들을 결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근처의 기지국들 또는 노드들과 추적 메시지들을 교환하는 것을 수반하다. 추적 메시지들에서 사용자 장비에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비는 노드들 중 어느 것이 그것의 서빙 노드로서 작용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이것은 사용자 장비에게 사소하지 않은 계산적 부담을 지우며, 이는 그것이 추적 메시지들을 요청 및 수신하고 서빙 노드의 선택을 행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또한 다른 서비스들 및/또는 특징들을 위해 더 양호하게 사용될 수 있을 수도 있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전력 및 대역폭 자원들 양자 모두를 소비한다. 또, 서빙 노드에 대한 사용자 장비의 선택은 전체로서의 이동 네트워크에 대한 최선의 선택이 아닐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서빙 노드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 의존하는 것은 또한 2 개의 서빙 노드들 사이의 사용자 장비의 핸드오프를 복잡하게 만들 수도 있다.
도 1 은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이동 네트워크 (100) 의 단순화된 다이어그램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네트워크 (100) 는 복수의 기지국들 또는 노드들 (111-117) 을 포함한다. 단지 7 개의 노드들 (111-117) 이 이동 네트워크 (100) 에 도시되어 있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이동 네트워크 (100) 가 7 개 보다 적거나 더 많은 노드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수의 노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노드들 (111-117) 각각은 각각의 노드 (111-117) 의 지리적 및/또는 통신 범위 내에 위치된 사용자 장비로 이동 및/또는 셀룰러 (음성 및/또는 데이터 양자 모두)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도 1 에 도시되지 않지만, 노드들 (111-117) 의 지리적 및/또는 통신 범위는 통상적으로 커버리지에서의 갭들, 리던던시, 더 유연한 핸드오프들 등을 피하기 위해 중첩한다. 즉, 이동 네트워크 (100) 내에 위치된 각 사용자 장비는 임의의 시간에 노드들 (111-117) 중 2 이상과 통신할 수 있을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노드들 (111-117) 각각은 셀룰러 타워, 피코 셀, 펨토 셀, 원격 무선 헤드 등과 연관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이동 네트워크 (100) 의 노드들 (111-117) 은 구역 (120) 에서 조직화된다. 일부 예들에서, 구역 (120) 과 같은 구역들은 더 큰 네트워크의 서브유닛으로서 복수의 노드들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구역 (120) 은 이동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서비스 영역, 대도시 영역 등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이동 네트워크 (100) 는 선택적으로 구역 제어기 (130) 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일부 예들에서, 구역 (120) 의 노드들 (111-117) 각각은 구역 제어기 (130) 에 의해 관리될 수도 있다. 구역 제어기 (130) 는 구역 (120) 내의 노드들 (111-117) 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을 조정하기 위한 책임을 갖는다. 일부 예들에서, 이것은 대역폭, 로드 밸런싱, 서빙 노드 핸드 오프 등을 더 양호하게 관리하기 위해 서비스들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역 제어기 (130) 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링크들 및/또는 네트워크 연결들을 통해 노드들 (111-117) 각각에 커플링된다. 일부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링크들 및/또는 네트워크 연결들은 무선 및/또는 유선 링크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스위칭 디바이스들 및/또는 라우터들 (도시하지 않음) 을 포함할 수도 있다. 구역 제어기 (130) 가 별개의 디바이스로서 도시되지만, 구역 제어기 (130) 는 노드들 (111-117) 사이에 분포된 방식으로 동작될 수도 있으며, 노드들 (111-117) 은 구역 (120) 에 대한 원하는 관리 능력들을 제공하기 위해 그들 사이에 관리 메시지들을 교환한다.
이동 네트워크 (100) 는 또한 서비스들을 위해 이동 네트워크 (100) 를 사용하는 사용자 장비의 임의의 것을 나타낼 수도 있는 사용자 장비 (140) 와 함께 도시된다. 일부 예들에서, 사용자 장비 (140) 는 셀룰러 폰, 스마트 폰, 태블릿, 에어 카드를 갖는 컴퓨터, 이동 액세스 포인트 등일 수도 있다. 통상적인 동작에서, 이동 네트워크 (100) 의 노드들 (111-117) 과 사용자 장비 (140) 사이의 통신의 대부분은 사용자 장비 (140) 에 대한 서빙 노드로서 지정된 노드들 (111-117) 중 단일의 노드에 의해 핸들링된다. 일부 예들에서, 서빙 노드는 지리적 로케이션, 신호 강도, 로드 밸런싱 등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팩터들에 기초하여 노드들 (111-117) 중에서 선택된다.
사용자 장비 (140) 에 대한 서빙 노드를 결정함에 있어서 제 1 단계로서, 사용자 장비 (140) 는 하나 이상의 파일롯 신호들을 송신함으로써 이동 네트워크 (100) 및 구역 (120) 에 그것의 존재를 광고한다. 특정의 접근법에 따라, 구역 (120) 내의 노드들 (111-117) 중 하나 이상은 사용자 장비 (140) 에 의해 송신된 하나 이상의 파일롯 신호들을 청취한다. 하나 이상의 파일롯 신호들을 수신 및 디코딩할 수 있는 노드들 (111-117) 각각은 사용자 장비 (140) 에 대한 가능한 서빙 노드들의 활성 세트 내의 노드가 된다. 도 1 로부터의 가능한 예에서, 사용자 장비 (140) 에 의해 송신된 하나 이상의 파일롯 신호들은 사용자 장비 (140) 에 대한 그들의 더 가까운 근접성에 기인하여 노드들 (114, 115, 및 116) 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다. 노드들 (111-117) 이 상이한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파일롯 신호들 사이를 구별하는 것을 돕기 위해, 각 파일롯 신호의 페이로드는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 (140) 에게 적어도 국부적으로 고유한 식별자를 포함한다. 노드들 (111-117) 이 사용자 장비 (140) 로부터 파일롯 신호를 수신한 후, 사용자 장비 (140) 에 대한 서빙 노드가 선택된다. 서빙 노드를 선택하는 접근법은 구역 제어기 (130) 가 서빙 노드를 선택하고 있는지 여부 또는 분포된 방식으로 노드들 (111-117) 이 서빙 노드를 선택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변한다.
서빙 노드가 분포된 방식으로 선택되는 일부 예들에서, 활성 세트 내의 노드들 (111-117) 각각은 대응하는 참조 시퀀스 및/또는 사용자 장비 식별자를 갖는 파일롯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나타내기 위해 활성 세트 내의 노드들 (111-117) 중 다른 노드들과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교환한다. 일부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파일롯 신호의 페이로드로부터의 추가적인 정보 및/또는 각각의 노드의 파일롯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페이로드는 채널 상태, 송신 버퍼 상태, 노드들 (111-117) 로부터 이전에 수신된 하나 이상의 신호들의 신호 강도들, 로케이션 정보 등과 같은, 사용자 장비 (140) 에 의해 보고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파일롯 신호에 대한 정보는 각각의 노드 (111-117) 에 의해 수신되는 바와 같은 파일롯 신호의 신호 강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각각의 노드에 대한 정보는 IP 또는 MAC 어드레스 및/또는 네트워크 할당 노드 ID 와 같은 각각의 노드에 대한 식별자, 각각의 노드의 각각의 프로세싱 로드, 각각의 노드에 대한 각각의 대역폭 활용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활성 세트 내의 노드들 (111-117) 각각은 그 후 활성 세트 내의 노드들 (111-117) 중 어느 것이 서빙 노드로서 선택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규칙들의 공통의 세트를 적용한다.
일부 예들에서, 그 규칙들은 최고의 신호 강도를 갖는 파일롯 신호를 수신한 노드에 기초하여 서빙 노드를 선택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규칙들은 최저 프로세싱 로드, 대역폭 활용 등을 갖는 노드에 기초하여 서빙 노드를 선택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규칙들은 사용자 장비에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노드에 기초하여 서빙 노드를 선택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규칙들은 임계 신호 강도 레벨 아래의 신호 강도를 갖는 파일롯 신호를 수신한 임의의 노드를 서빙 노드로서 배제시키는 규칙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규칙들은 사용자 장비에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노드에 기초하여 서빙 노드를 선택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다른 규칙들을 조합하는 복합적 규칙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규칙들은 최고 또는 최저 식별자를 갖는 노드를 서빙 노드로서 선택하는 하나 이상의 타이-브레이킹 (tie-breaking) 규칙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서빙 노드가 구역 제어기 (130) 에 의해 선택되는 일부 예들에서, 활성 세트 내의 노드들 (111-117) 각각은 대응하는 참조 시퀀스 및/또는 사용자 장비 식별자를 갖는 파일롯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구역 제어기 (130) 로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송신한다. 일부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은, 분포된 선택 케이스와 유사하게, 각각의 노드의 파일롯 신호에 대한 정보 및/또는 파일롯 신호의 페이로드로부터의 추가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단 구역 제어기 (130) 가 메시지들을 수신하면, 구역 제어기 (130) 는 서빙 노드를 선택하기 위해 상술된 규칙들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규칙들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구역 제어기 (130) 는 그렇지 않으면 무승부인 노드들 중에서 서빙 노드의 라운드 로빈 선택과 같은 더 정교한 타이-브레이킹 규칙을 적용할 수도 있다. 구역 제어기 (130) 가 서빙 노드를 선택한 후, 그것은 선택된 서빙 노드에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송신함으로써 적어도 서빙 노드에게 통지한다.
일단 서빙 노드가 선택되면, 서빙 노드는 사용자 장비 (140) 로 파일롯 응답을 송신함으로써 사용자 장비 (140) 에 의해 송신된 하나 이상의 파일롯 신호들에 응답한다. 파일롯 응답은 사용자 장비 (140) 에게 노드들 (111-117) 중 어느 것이 서빙 노드인지를 통지한다. 일부 예들에서, 파일롯 응답은 파일롯 신호에서 전달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비 (140) 로 송신될 수도 있다. 일단 서빙 노드가 선택 및 통신되면, 사용자 장비 (140) 는 이동 네트워크 (100) 와 통신하고 및/또는 이동 네트워크 (100) 의 추가적인 서비스들에 액세스하기 위해 그 서빙 노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이동 네트워크 (100) 에 의해 사용되는 서빙 노드 선택 프로세스는 노드들의 활성 세트 내의 노드들 및 서빙 노드의 선택을 발견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에게 더 많이 의존하는 더 전통적인 접근법들에 비해 하나 이상의 이점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분포된 방식으로 또는 구역 제어기 (130) 에 의한, 파일롯 신호들 및 서빙 노드 선택의 사용은 서빙 노드 선택 프로세스 동안 사용자 장비 (140) 와 이동 네트워크 (100) 사이에 사용되는 메시징 및 대역폭의 양을 감소시킨다. 일부 예들에서, 사용자 장비 (140) 는 서빙 노드 선택을 수행하기 위해 더 낮은 계산적 부담을 겪게되고 및/또는 더 적은 전력을 사용한다. 일부 예들에서, 사용자 장비 (140) 에 대한 서빙 노드는 노드들 (111-117) 이 그들의 노드 ID 들을 브로드캐스트하고 및/또는 사용자 장비 (140) 와 공유할 필요 없이 선택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분포 선택 프로세스 및/또는 구역 제어기 (130) 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세스는 프로세싱 로드의 로드 밸런싱, 대역폭 등을 설명하고 및/도는 다른 네트워크 및/또는 전 구역 관심들을 설명하기 위해 이동 네트워크 (100) 내의 다수의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들을 더 양호하게 선택할 수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자 장비 (140) 에 대한 서빙 노드의 선택은 이동 네트워크 (100) 에 대해 더 최적일 수도 있다.
도 2 는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200) 의 단순화된 다이어그램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200) 는 노드들 (111-117), 구역 제어기 (130), 및/또는 사용자 장비 (140) 중 임의의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 (200) 는 메모리 (220) 에 커플링된 제어 유닛 (210) 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 (200) 의 동작은 제어 유닛 (210) 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유닛 (210) 은 하나 이상의 중앙 프로세싱 유닛들, 멀티-코어 프로세서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들 (FPGAs), 주문형 반도체들 (ASICs)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 (220) 는 제어 유닛 (210) 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제어 유닛 (210) 의 동작 동안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메모리 (220) 는 하나 이상의 타입들의 머신 판독가능 매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들의 일부 통상의 형태들은 플로피 디스크, 유연성 디스크,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임의의 다른 자기 매체, CD-ROM, 임의의 다른 광학 매체, 펀치 카드들, 페이퍼 테이프, 구멍들의 패턴들을 갖는 임의의 다른 물리적 매체, RAM, PROM, EPROM, FLASH-EPROM, 임의의 다른 메모리 칩 또는 카트리지, 및/또는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가 판독하도록 적응되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220) 는 사용자 장비 (140) 및 이동 네트워크 (100) 를 위한 서빙 노드 선택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해사용될 수도 있는 이동성 관리 애플리케이션 (230) 을 포함한다. 이동성 관리 애플리케이션 (230) 은 파일롯 신호들을 수신 및/또는 송신하고, 파일롯 응답들을 수신 및/또는 송신하며, 및/또는 이동성 관리 애플리케이션 (230) 이 사용자 장비, 노드, 및/또는 구역 제어기에 위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의존하여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를 선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APIs)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동성 관리 애플리케이션 (230) 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서 도시되지만, 이동성 관리 애플리케이션 (230) 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 (200) 가 사용자 장비 (140) 및/또는 노드들 (111-117) 중 임의의 것을 나타내는 실시형태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200) 는 파일롯 신호들, 파일롯 응답들, 및/또는 사용자 장비와 노드들 사이에서 통상적으로 교환되는 다른 관리 및/또는 데이터 메시지들을 송신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 (240)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 (200) 가 노드들 (111-117) 및/또는 구역 제어기 (130) 중 임의의 것을 나타내는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 (200) 는 노드들 (111-117) 및/또는 구역 제어기 (130) 중 다른 것들 사이에 메시지들을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포트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그 메시지들은 분포된 서빙 노드 선택 프로세스를 위해 사용되는 활성 세트 내의 노드들 (111-117) 에 의해 교환되는 메시지들 및/또는 구역 제어기 (130) 로 파일롯 신호의 수신을 보고하기 위해 활성 세트 내의 노드들 (111-117) 에 의해 그리고 서빙 노드가 선택되었다는 것을 서빙 노드에 통지하기 위해 구역 제어기 (130) 에 의해 송신되는 메시지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상술되고 여기서 더 강조되는 바와 같이, 도 2 는 단순히 청구범위의 범위를 부적절하게 제한하지 않아야 하는 예일 뿐이다. 통상의 기술자는 다수의 변경들, 대안들, 및 수정들을 인식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제어 유닛 (210) 및 메모리 (220) 는 ASIC, 칩, 패키지 등과 같은 단일의 반도체 디바이스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3 은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파일롯 신호 (300) 의 단순화된 다이어그램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파일롯 신호 (300) 는 도 1 의 콘텍스트에서 기술된 하나 이상의 파일롯 신호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롯 신호 (300) 는 참조 시퀀스 (310) 및 페이로드 (320) 를 포함한다. 이동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는 멀티플렉싱의 타입에 의존하여, 파일롯 신호 (300) 는 임의의 타입의 주파수 및/또는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을 사용하여 멀티플렉싱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동일한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상이한 파일롯 신호들은 비직교적으로 송신될 수도 있다 (즉, 다른 파일롯 신호들과 동일한 주파수 및/또는 시간 슬롯을 재사용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상이한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파일롯 신호들은 무충돌 접근법이 원해지는지 여부에 의존하여 직교적으로 및/또는 비직교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참조 시퀀스 (310) 는 파일롯 신호 (300) 에 대한 검색 및/또는 채널 추정, 파일롯 응답을 위해 사용할 시그널링에 대한 추천들 및/또는 제안들 등을 지원하기 위해, 파일롯 신호 (300) 의 인식을 지원하는 송신 및/또는 시그널링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페이로드 (320) 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식별자 (ID) (330) 및/또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참조 시퀀스 (310) 및/또는 페이로드 (320) 의 내용은 사용자 장비의 동작 상태에 의존하여 변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페이로드 (320) 는 사용자 장비에게 네트워크에 의해 전송된 마지막 송신으로부터 측정된 채널 상태 및/또는 사용자 장비의 송신 버퍼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 는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단순화된 상태도 (400) 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 (140) 와 같은 사용자 장비는 이동 네트워크와의 이전의 레벨 및/또는 타입의 사용자 장비 통신에 의존하여 3 개의 상태들: RRC_IDLE 상태 (410), RRC_SHORT 상태 (420), 및/또는 RRC_LONG 상태 (430) 중 하나에서 일반적으로 동작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RRC_IDLE 상태 (410) 는 사용자 장비가 최근에 파워 업되고, 재부팅되고, 및/또는 이동 네트워크의 서비스 영역으로 들어간 상황들에 대응한다. 일부 예들에서, RRC_IDLE 상태 (410) 는 사용자 장비와 이동 네트워크 사이의 더 공식적인 연결이 확립되지 않았다는 것 및/또는 이동 네트워크에 의한 사용자 장비의 인증이 아직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RRC_IDLE 상태 (410) 에 있는 동안, 사용자 장비는 선택적으로 네트워크에 그 자신을 광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상이한 타입들의 파일롯 신호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시스템 정보 블록 (SIB) 요청이 파일롯 신호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장비는 통상적으로 등록 절차를 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매우 드물게 (예를 들어, 하루 2 회) SIB 요청을 행한다. SIB 요청은 페이로드에서 사용자 장비 식별자를 포함하지 않고, 예약된 참조 시퀀스를 사용하며, 특수 동기화 서브프레임에서와같이 예약된 자원 할당을 사용하여 송신된다. 일부 예들에서, 연결 셋업 파일롯 신호는 RRC_IDLE 상태 (410) 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장비는 통상 재부팅 또는 파워 업 후에 그리고 사용자 장비가 식별자를 수신했고 및/또는 이동 네트워크에 의해 식별자가 할당되었기 전에 이동 네트워크에 대한 연결을 요청하기 위해 연결 셋업 파일롯 신호를 사용한다. 일부 예들에서, 연결 셋업 파일롯 신호의 페이로드 내의 사용자 장비 식별자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선택된 랜덤 식별자 또는 GUTI (globally unique temporary identifier) 일 수도 있다. 상태 천이 (440) 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는 일단 사용자 장비가 이동 네트워크에 대한 더 공식적인 액세스가 승인되었다면 RRC_IDLE 상태 (410) 로부터 RRC_SHORT 상태 (420) 로 천이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RRC_SHORT 상태 (420) 는 사용자 장비와 그것의 서빙 노드 사이의 트래픽 및/또는 데이터의 연속적인 및/또는 거의 연속적인 교환이 발생하고 있는 때에 대응할 수도 있다. RRC_SHORT 상태 (420) 에서, 사용자 장비와 그것의 서빙 노드 사이의 핸드셰이킹, 킵 얼라이브 (keep alive), 관리 교환들 등이 매 10 내지 100 ms 마다와 같이 더 빠른 간격들로 발생한다. RRC_SHORT 상태 (420) 에 있는 동안, 사용자 장비는 선택적으로 파일롯 신호로서 SIB 요청을 사용하거나 활성 세트 추적 파일롯 신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활성 세트 추적 파일롯 신호의 페이로드는 일부 예들에서 16 비트 길이인 구역- 또는 클러스터-할당 랜덤 네트워크 시간적 식별자 (RNTI) 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활성 세트 추적 파일롯 신호의 페이로드는 채널 상태들, 송신 버퍼 상태들 등을 보고하기 위해 채널 품질 표시자 (CQI), 상태 보고 (SR), 및/또는 버퍼 상태 보고 (BSR)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참조 시퀀스 및 자원 할당은 더 빠른 주기성을 제공하고 및/또는 사용자 장비가 서빙 노드들 사이에서 핸드 오프되는 경우에 더 매끄러운 (seamless)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자 장비로 할당된다. 사용자 장비는 상태 천이 (450) 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와 서빙 노드 사이에 시기적절한 진행중인 통신 트래픽이 발생하는 동안 RRC_SHORT 상태 (420) 에 유지된다. 활성 데이터 전송들과 같은 활성 트래픽이 중단되고 및/또는 타임 아웃이 적절한 트래픽, 활성 데이터 전송, 및/또는 메시지 교환 없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장비는 상태 천이 (460) 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RRC_LONG 상태 (430) 로 천이한다.
일부 예들에서, RRC_LONG 상태 (430) 에서, 사용자 장비와 서빙 노드 사이의 핸드셰이킹, 킵 얼라이브, 관리 교환들 등은 1 초 또는 최대 수 분과 같이 덜 빈번한 간격들로 발생할 수도 있다. RRC_LONG 상태 (430) 에 있는 동안, 사용자 장비는 선택적으로 파일롯 신호로서 SIB 요청을 사용하거나, 이동성 추적 파일롯 신호를 사용하거나, 온-디맨드 (on-demand) 파일롯 신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동성 추적 파일롯 신호 및/또는 온-디맨드 파일롯 신호의 페이로드는 일부 예들에서 40 비트 길이인 구역- 또는 클러스터-할당 RNTI 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온-디맨드 파일롯 신호의 페이로드는 채널 상태들, 송신 버퍼 상태들 등을 보고하기 위해 SR 및/또는 BSR 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동성 추적 파일롯 신호 및/또는 온-디맨드 파일롯 신호에 대한 참조 시퀀스 및 자원 할당은 풀 (pool) 로부터와 같이 사용자 장비에 의해 랜덤으로 선택될 수도 있고, 및/또는 네트워크에 의해 할당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동성 추적 참조 신호는 매 초와 같이 주기적으로 송신될 수도 있고, 온-디맨드 참조 신호는 랜덤 액세스 절차 (RACH) 이벤트들과 같은 소정의 이벤트들에 대응하여 송신될 수도 있다. 새로운 트래픽이 도착하고, 메시지 교환이 재개되고, 및/또는 구성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 장비는 상태 천이 (470) 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RRC_SHORT 상태 (420) 로 다시 천이한다.
도 3 을 다시 참조하면, 파일롯 신호 (300) 및/또는 페이로드 (320) 의 내용은 사용자 장비의 현재의 상태에 의존할 수도 있다. 대표적인 예들로서 도 4 의 상태들을 사용하면, 표 I 는 서빙 노드 선택 프로세스의 부분으로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된 파일롯 신호에 대한 수개의 상이한 가능한 후보들을 나타낸다.
표 I - 예시적인 사용자 장비 쳐프들
파일롯 신호 타입 사용자 장비 상태 페이로드 (320) 빈도 참조 시퀀스 (310) 및 자원들
SIB 요청 임의 없음 희박 (예를 들어, 하루 2 회) 예약됨
연결-셋업 RRC_IDLE (410) 랜덤 ID 또는 GUIT 희박 (예를 들어, 파워 업) 예약됨
이동성 추적 RRC_LONG (430) RNTI 매초 또는 매분 UE 에 의해 랜덤으로 선택되거나 네트워크-할당됨
온-디맨드 RRC_LONG (430) RNTI, SR, BSR 이벤트-구동 UE 에 의해 랜덤으로 선택되거나 네트워크-할당됨
활성 세트 추적 RRC_SHORT (420) RNTI, CQI, SR, 및 BSR 매 10 ms - 100 ms 네트워크-할당됨
도 5 는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파일롯 신호의 송신 특성들에 대한 분포된 할당 접근법을 사용하는 이동성 검출의 방법 (500) 의 단순화된 다이어그램이다. 방법 (500) 의 프로세스들 (510-550) 중 하나 이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예를 들어, 제어 유닛 (210)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에 의해 실행될 때, 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프로세스들 (510-550)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는 비일시적인, 유형의, 머신 판독가능 매체들상에 저장된 실행가능한 코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방법 (500) 은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 (140) 와 같은) 사용자 장비, (노드들 (111-117) 중 임의의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노드들, 및/또는 (구역 제어기 (130) 와 같은) 구역 제어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프로세스 (510) 에서, 사용자 장비는 파일롯 신호에 대한 송신 특성들을 결정한다. 방법 (500) 이 수행되고 있는 이동 네트워크의 타입 및/또는 특성에 의존하여, 시간, 주파수, 및/또는 코드 자원들을 포함하는 송신 특성들의 공통의 풀 (pool) 이 파일롯 신호 (300) 와 같은 파일롯 신호들을 위해 사용되도록 확보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송신 특성들의 풀은 이동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자 장비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송신 특성들의 풀은 이동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는 멀티플렉싱의 타입 및/또는 이동 네트워크 내에서의 다른 관리 및 데이터 통신들을 위한 시간, 주파수, 및/또는 코드 자원들의 활용에 기초하여 지정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사용되는 송신 특성들의 풀의 사이즈는 파일롯 신호들에 전용인 대역폭의 양과 송신 특성들의 풀로부터의 동일한 시간, 주파수, 및/또는 코드 자원을 선택한 2 이상의 사용자 장비의 파일롯 신호들 사이의 충돌들의 가능성 사이의 트레이드오프를 용이하게 하도록 관리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사용자 장비에게 시간 자원들의 선택에 대한 제어를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 장비의 다른 통신 태스크들 주위에 파일롯 신호들을 스케쥴링하는 사용자 장비의 능력 및/또는 사용자 장비에 의한 통신 채널들의 활용을 더 양호하게 수용한다. 일부 예들에서, 사용자 장비는 일부 다른 적합한 접근법을 사용하여 및/또는 풀로부터 랜덤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프로세스 (520) 에서, 사용자 장비는 프로세스 (510) 동안 결정된 파일롯 신호 특성들을 사용하여 파일롯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한다. 일부 예들에서, 사용자 장비는 파일롯 신호를 포맷하고 안테나 (240) 와 같은 안테나를 사용하여 파일롯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CODEC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파일롯 신호는 도 3 을 참조하여 이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장비의 상태에 의존하는 페이로드 및/또는 참조 시퀀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스 (530) 에서, 하나 이상의 노드들은 파일롯 신호를 수신한다. 이동 네트워크의 어느 노드들이 사용자 장비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지에 의존하여, 하나 이상의 노드들은 프로세스 (520) 동안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된 파일롯 신호를 수신한다. 일부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노드들은 각각 안테나 (240) 와 같은 각각의 안테나상에서 파일롯 신호를 수신하고 및/또는 파일롯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해 CODEC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파일롯 신호를 수신 및/또는 디코딩할 수 있는 노드들 각각은 노드들의 활성 세트의 멤버가 된다.
프로세스 (540) 에서, 서빙 노드가 선택된다. 프로세스 (530) 동안 결정된 노드들의 활성 세트를 사용하여, 프로세스 (520) 동안 파일롯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한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가 선택된다. 일부 예들에서, 서빙 노드는 도 1 을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활성 세트 내의 노드들에 의해 분포된 방식으로 또는 구역 제어기 (130) 와 같은 구역 제어기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지리적 로케이션, 신호 강도, 로드 밸런싱 등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팩터들 중 임의의 것이 도 1 을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서빙 노드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스 (550) 에서, 파일롯 응답이 프로세스 (550) 동안 선택된 서빙 노드에 의해 전송된다. 사용자 장비로 파일롯 응답을 전송함으로써, 서빙 노드는 사용자 장비에게 그것의 존재를 광고하고, 서빙 노드는 그 후 사용자 장비와 이동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의 일차적 (primary) 포인트가 된다. 일부 예들에서, 파일롯 응답은 프로세스 (530) 동안 수신된 파일롯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비로 송신될 수도 있다.
프로세스 (550) 의 완료 후, 사용자 장비는 서빙 노드를 통해 이동 네트워크와 더 완전하게 (more fully) 통신할 수 있다. 방법 (500) 은 사용자 장비가 이동 네트워크에서 이동하고 및/또는 조건들이 이동 네트워크 내에서 변화함에 따라 사용자 장비를 계속적으로 추적하고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적절한 서빙 노드의 할당을 허용하기 위해 간격을 두고 반복된다. 일부 예들에서, 그 간격들은 표 I 의 간격들과 일관성이 있을 수도 있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파일롯 신호가 브로드캐스트될 때마다, 파일롯 신호에 대한 새로운 송신 특성들이 결정되지만, 일부 실시형태에서는, 프로세스 (510) 가 후속 파일롯 신호들에 대해 스킵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2 이상의 상이한 사용자 장비에 의한 파일롯 신호들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면, 프로세스 (510) 는 그들 각각의 다음 파일롯 신호들에 대한 새로운 송신 특성들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의 각각에 의해 반복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충돌에 관계된 사용자 장비 각각은 다음 파일롯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기 전에 알로하, CSMA, 및/또는 다른 충돌 관리 프로토콜들에 의해 사용되는 것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백-오프 (back-off) 절차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 은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른 파일롯 신호에 대한 네트워크 분포된 송신 특성들을 사용하는 이동성 검출의 방법 (600) 의 단순화된 다이어그램이다. 방법 (600) 의 프로세스들 (610-680) 중 하나 이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예를 들어, 제어 유닛 (210)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에 의해 실행될 때, 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프로세스들 (610-680)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는 비일시적인, 유형의, 머신 판독가능 매체들상에 저장된 실행가능한 코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방법 (600) 은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 (140) 와 같은) 사용자 장비, (노드들 (111-117) 중 임의의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노드들, 및/또는 (구역 제어기 (130) 와 같은) 구역 제어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프로세스 (610) 에서, 네트워크는 사용자 장비로 파일롯 신호에 대한 송신 특성들을 제공한다. 방법 (600) 이 수행되고 있는 이동 네트워크의 타입 및/또는 특성에 의존하여, 각 사용자 장비로 제공되는 파일롯 신호의 송신 특성들은 구역 제어기 (130) 와 같은 구역 제어기에 의해, 시간, 주파수, 및/또는 코드 자원들을 포함하는 송신 특성들의 공통의 풀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송신 특성들의 풀은 이동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되는 멀티플렉싱의 타입 및/또는 이동 네트워크 내의 다른 관리 및 데이터 통신들에 대한 시간, 주파수, 및/또는 코드 자원들의 활용에 기초하여 지정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사용되는 송신 특성들의 풀의 사이즈는 파일롯 신호들에 전용인 대역폭의 양과 방법 (600) 에 의해 동시에 지원될 수도 있는 사용자 장비의 예상된 수 사이의 트레이드오프를 용이하게 하도록 관리될 수도 있다.
프로세스 (620) 에서, 파일롯 신호에 대한 송신 특성들이 사용자 장비로 전송된다. 사용자 장비와 이동 네트워크 사이의 연결 셋업의 부분으로서, 프로세스 (610) 동안 사용자 장비에 할당된 파일롯 신호에 대한 송신 특성들이 사용자 장비로 전송될 수도 있다.
프로세스 (630) 에서, 노드들은 파일롯 신호에 대한 송신 특성들을 갖는 파일롯 신호를 청취한다. 일부 예들에서, 송신 특성들의 풀 내의 특성들의 가능한 조합들 각각에 대한 파일롯 신호들을 모니터링해야 하는 것에 기인하는 이동 네트워크의 노드들상의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해, 노드들의 후보 세트 내의 노드들만이 할당된 파일롯 신호 특성들을 갖는 파일롯 신호들을 청취한다. 일부 예들에서, 노드들의 후보 세트는 파일롯 신호를 가장 수신 및/또는 디코딩할 수 있을 것같은 노드들로 제한될 수도 있다.
프로세스 (640) 에서, 사용자 장비는 프로세스 (640) 동안 수신되는 송신 특성들을 사용하여 파일롯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한다. 일부 예들에서, 사용자 장비는 파일롯 신호를 포맷하고 안테나 (240) 와 같은 안테나를 사용하여 파일롯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CODEC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프로세스 (650) 에서, 노드들의 활성 세트는 파일롯 신호를 수신한다. 이동 네트워크의 어느 노드들이 사용자 장비의 통신 범위 내에 있는지에 의존하여, 하나 이상의 노드들은 프로세스 (640) 동안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송신된 파일롯 신호를 수신하고, 노드들의 활성 세트의 멤버들이 된다. 일부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노드들은 각각 안테나 (240) 와 같은 각각의 안테나상에서 파일롯 신호를 수신하고 및/또는 파일롯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해 CODEC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파일롯 신호를 수신 및/또는 디코딩할 수 있는 노드들 각각은 노드들의 활성 세트의 멤버가 된다.
프로세스 (660) 에서, 서빙 노드가 선택된다. 프로세스 (650) 동안 결정된 노드들의 활성 세트를 사용하여, 프로세스 (640) 동안 파일롯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한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가 선택된다. 일부 예들에서, 서빙 노드는 도 1 을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활성 세트 내의 노드들에 의해 분포된 방식으로 또는 구역 제어기 (130) 와 같은 구역 제어기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지리적 로케이션, 신호 강도, 로드 밸런싱 등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팩터들 중 임의의 것이 도 1 을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서빙 노드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스 (670) 에서, 파일롯 응답이 프로세스 (660) 동안 선택된 서빙 노드에 의해 전송된다. 사용자 장비로 파일롯 응답을 전송함으로써, 서빙 노드는 사용자 장비에게 그것의 존재를 광고하고, 서빙 노드는 그 후 사용자 장비와 이동 네트워크 사이의 통신의 일차적 포인트가 된다. 일부 예들에서, 파일롯 응답은 프로세스 (650) 동안 수신된 파일롯 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장비로 송신될 수도 있다.
프로세스 (680) 에서, 노드들의 후보 세트가 업데이트된다. 일부 예들에서, 노드들의 후보 세트는 서빙 노드 및 이동 네트워크 내의 서빙 노드에 대해 (예를 들어, 지리적으로) 인접한 이웃들인 노드들 각각으로서 선택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노드들의 후보 세트는 서빙 노드의 인접한 이웃들에 대해 인접한 이웃들 (즉, 거리 2 의 이웃들) 인 노드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노드들의 후보 세트는 노드들의 활성 세트를 포함하도록 뿐아니라 선택적으로 노드들의 활성 세트 내의 노드들에 대해 임의의 합리적인 거리의 이웃들을 포함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사용자 장비의 이동의 투영된 방향은 노드들의 후보 세트에 추가적인 노드들을 추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후보 세트의 사이즈와 사용자 장비에 대한 이동성의 빠른 레이트의 가능성 사이의 트레이드오프가 1 의, 2 의 및/또는 더 큰 거리에서 서빙 노드에 인접한 노드들을 포함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고려될 수도 있다.
프로세스 (680) 의 완료 후에, 프로세스들 (630-680) 은 사용자 장비가 이동 네트워크에서 이동하고 및/또는 조건들이 이동 네트워크 내에서 변화함에 따라 사용자 장비를 계속적으로 추적하고 사용자 장비에 대한 적절한 서빙 노드의 할당을 허용하기 위해 간격을 두고 반복될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그 간격들은 표 I 의 간격들과 일관성이 있을 수도 있다. 일부 예들에서, 방법 (600) 은 덜 빈번한 간격으로 및/또는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가 변화할 때마다 프로세서들 (610 및 620) 을 반복할 수도 있다.
상술되고 여기서 더 강조되는 바와 같이, 도 6 은 단순히 청구범위의 범위를 부적절하게 제한하지 않아야 하는 예일 뿐이다. 통상의 기술자는 다수의 변경들, 대안들, 및 수정들을 인식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구역 및/또는 이동 네트워크에서의 노드들 각각은 프로세스 (630) 동안 후보 세트에 대해 청취를 제한하지 않고 파일롯 신호를 청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접근법이 사용되는 경우, 프로세스 (680) 는 선택적이고 생략될 수도 있다.
노드들 (111-117), 구역 제어기 (130), 사용자 장비 (140), 및/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200) 과 같은 네트워스 디바이스들의 일부 예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예를 들어, 제어 유닛 (210) 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에 의해 실행될 때, 그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방법들 (500 및/또는 600) 의 프로세스들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는 실행가능한 코드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유형의, 머신 판독가능 매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방법들 (500 및/또는 600) 의 프로세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들의 일부 통상적인 형태들은 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유연성 디스크,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임의의 다른 자기 매체, CD-ROM, 임의의 다른 광학 매체, 펀치 카드들, 페이퍼 테이프, 구멍들의 패턴들을 갖는 임의의 다른 물리적 매체, RAM, PROM, EPROM, FLASH-EPROM, 임의의 다른 메모리 칩 또는 카트리지, 및/또는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가 판독하도록 적응되는 임의의 다른 매체이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이 도시 및 기술되었지만, 광범위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상기 개시에서 생각되고, 일부 예들에서, 실시형태들의 일부 특징들은 다른 특징들의 대응하는 사용 없이 채용될 수도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다수의 변형들, 대안들, 및 변경들을 인식할 것이다.

Claims (70)

  1. 사용자 장비로서,
    신호들을 수신하고 네트워크 내의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로 신호들을 전송하는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에 커플링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를 광고하기 위해 파일롯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상기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로서 작용하는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파일롯 응답을 수신하며; 및
    상기 서빙 노드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일롯 신호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로드가 후속되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이 추적할 참조 시퀀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 동안 송신 자원들의 풀로부터 상기 파일롯 신호에 대한 송신 자원들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는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장비와 상기 서빙 노드 사이에 능동적으로 전송되고 있지 않는 RRC_LONG 상태인, 사용자 장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신호의 상기 페이로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로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전송된 마지막 송신으로부터 측정된 채널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신호의 상기 페이로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송신 버퍼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태에 의존하는 간격들로 상기 파일롯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시퀀스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변하는, 사용자 장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 동안 상기 참조 시퀀스를 랜덤으로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신호의 타입은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변하는, 사용자 장비.
  10. 네트워크에 복수의 사용자 장비들을 커플링하는 네트워크 노드로서,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장비로 신호들을 전송하는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에 커플링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안테나를 사용하여, 제 1 사용자 장비로부터 파일롯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커플링된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과 상기 파일롯 신호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며;
    상기 파일롯 신호에 대한 교환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선출하거나 선출하지 않고; 및
    상기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 1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로서 선출되는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 장비로 파일롯 응답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일롯 신호는 상기 제 1 사용자 장비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로드가 후속되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이 추적할 참조 시퀀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복수의 사용자 장비들을 커플링하는 네트워크 노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은 구역의 부분인, 네트워크에 복수의 사용자 장비들을 커플링하는 네트워크 노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 1 사용자 장비로 상기 파일롯 신호의 송신 특성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에 복수의 사용자 장비들을 커플링하는 네트워크 노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신호의 송신 특성들은 송신 특성들의 풀로부터 선택되는, 네트워크에 복수의 사용자 장비들을 커플링하는 네트워크 노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특성들은 시간, 주파수, 및 코드 자원들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자원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복수의 사용자 장비들을 커플링하는 네트워크 노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신호에 대한 상기 정보는 상기 파일롯 신호의 신호 강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복수의 사용자 장비들을 커플링하는 네트워크 노드.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신호의 상기 페이로드는 상기 제 1 사용자 장비의 송신 버퍼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복수의 사용자 장비들을 커플링하는 네트워크 노드.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시퀀스는 상기 제 1 사용자 장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변하는, 네트워크에 복수의 사용자 장비들을 커플링하는 네트워크 노드.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시퀀스는 상기 제 1 사용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 동안 상기 제 1 사용자 장비에 의해 랜덤으로 선택되는, 네트워크에 복수의 사용자 장비들을 커플링하는 네트워크 노드.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신호의 타입은 상기 제 1 사용자 장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변하는, 네트워크에 복수의 사용자 장비들을 커플링하는 네트워크 노드.
  2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과 네트워크 로드 정보를 교환하고; 및
    교환된 상기 네트워크 로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장비에 대한 상기 서빙 노드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더 선출하거나 선출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에 복수의 사용자 장비들을 커플링하는 네트워크 노드.
  2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장비의 상태에 기초하는 간격들로 상기 제 1 사용자 장비로부터 추가적인 파일롯 신호들을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과 상기 추가적인 파일롯 신호들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며;
    수신된 각각의 추가적인 파일롯 신호와 함께 상기 추가적인 파일롯 신호들에 대한 교환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장비에 대한 상기 서빙 노드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선출하는 것 또는 선출하지 않는 것으로 다시 찾아가고; 및
    상기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 1 사용자 장비에 대한 상기 서빙 노드로서 계속 선출되는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 장비로 제 2 파일롯 응답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에 복수의 사용자 장비들을 커플링하는 네트워크 노드.
  22. 네트워크의 구역에 대한 구역 제어기로서,
    사용자 장비로부터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신된 파일롯 신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파일롯 신호에 대한 수신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로서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로부터 제 1 네트워크 노드를 선택하며;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상기 서빙 노드라는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로의 통지의 송신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롯 신호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로드가 후속되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이 추적할 참조 시퀀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구역에 대한 구역 제어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상기 파일롯 신호를 청취하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의 서브세트를 선택하고; 및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상기 파일롯 신호를 청취하는 상기 서브세트 내의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 각각에게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의 구역에 대한 구역 제어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상기 서빙 노드로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의 상기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세트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의 구역에 대한 구역 제어기.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내의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의 로케이션들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세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의 구역에 대한 구역 제어기.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사용자 장비의 이동의 투영된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세트를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의 구역에 대한 구역 제어기.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신호의 상기 페이로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송신 버퍼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구역에 대한 구역 제어기.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시퀀스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변하는, 네트워크의 구역에 대한 구역 제어기.
  29.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시퀀스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 동안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랜덤으로 선택되는, 네트워크의 구역에 대한 구역 제어기.
  30.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신호의 타입은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변하는, 네트워크의 구역에 대한 구역 제어기.
  31.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네트워크 로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상기 서빙 노드로서 상기 제 1 네트워크 노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의 구역에 대한 구역 제어기.
  32. 반도체 디바이스로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커플링되고, 상기 디바이스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기 위해 상기 메모리로부터 명령들을 판독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들은,
    사용자 장비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의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에게 상기 사용자 장비를 광고하기 위해 파일롯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것;
    상기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로서 작용하는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파일롯 응답을 수신하는 것; 및
    상기 서빙 노드로 상기 안테나를 통해 메시지들을 전송 및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파일롯 신호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로드가 후속되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이 추적할 참조 시퀀스를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 동안 송신 특성들의 풀로부터 상기 파일롯 신호에 대한 송신 특성들을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는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장비와 상기 서빙 노드 사이에 능동적으로 전송되고 있지 않는 RRC_LONG 상태인, 반도체 디바이스.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신호의 상기 페이로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로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전송된 마지막 송신으로부터 측정된 채널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36.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신호의 상기 페이로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송신 버퍼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37.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태에 의존하는 간격들로 상기 파일롯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38.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시퀀스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변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들은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 동안 상기 참조 시퀀스를 랜덤으로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40.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신호의 타입은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변하는, 반도체 디바이스.
  41. 방법으로서,
    안테나를 사용하여, 네트워크에서의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에게 사용자 장비를 광고하기 위해 파일롯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로서 작용하는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파일롯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빙 노드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롯 신호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로드가 후속되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이 추적할 참조 시퀀스를 포함하는, 방법.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 동안 송신 특성들의 풀로부터 상기 파일롯 신호에 대한 송신 특성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3.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신호의 상기 페이로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로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전송된 마지막 송신으로부터 측정된 채널 상태에 관한 정보, 상기 사용자 장비의 송신 버퍼 상태에 관한 정보, 또는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방법.
  44.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태에 의존하는 간격들로 상기 파일롯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5.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시퀀스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변하는, 방법.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 동안 상기 참조 시퀀스를 랜덤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7.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신호의 타입은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변하는, 방법.
  48. 사용자 장비로서,
    네트워크에서의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에게 상기 사용자 장비를 광고하기 위해 파일롯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수단;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로서 작용하는 제 1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파일롯 응답을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서빙 노드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파일롯 신호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로드가 후속되는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이 추적할 참조 시퀀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 동안 송신 특성들의 풀로부터 상기 파일롯 신호에 대한 송신 특성들을 선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50.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신호의 상기 페이로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로 상기 네트워크에 의해 전송된 마지막 송신으로부터 측정된 채널 상태에 관한 정보, 상기 사용자 장비의 송신 버퍼 상태에 관한 정보, 또는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51.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태에 의존하는 간격들로 상기 파일롯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52.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시퀀스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변하는, 사용자 장비.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 동안 상기 참조 시퀀스를 랜덤으로 선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54.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신호의 타입은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변하는, 사용자 장비.
  55.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노드에서 안테나를 사용하여, 사용자 장비로부터 파일롯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커플링된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과 상기 파일롯 신호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 단계;
    상기 파일롯 신호에 대한 교환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선출하거나 선출하지 않는 단계; 및
    상기 안테나를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제 1 사용자 장비에 대한 상기 서빙 노드로서 선출되는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 장비로 파일롯 응답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롯 신호는 상기 제 1 사용자 장비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로드가 후속되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이 추적할 참조 시퀀스를 포함하는, 방법.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로 상기 파일롯 신호의 송신 특성들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7.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신호의 송신 특성들은 송신 특성들의 풀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58.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신호에 대한 상기 정보는 상기 파일롯 신호의 신호 강도를 포함하는, 방법.
  59.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시퀀스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변하는, 방법.
  60.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시퀀스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 동안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램덤으로 선택되는, 방법.
  61.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신호의 타입은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변하는, 방법.
  62.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과 네트워크 로드 정보를 교환하는 단계; 및
    교환된 상기 네트워크 로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상기 서빙 노드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더 선출하거나 선출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3. 네트워크 노드로서,
    사용자 장비로부터 파일롯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커플링된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과 상기 파일롯 신호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 수단;
    상기 파일롯 신호에 대한 교환된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노드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선출하거나 선출하지 않는 수단; 및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상기 서빙 노드로서 선출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장비로 파일롯 응답을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파일롯 신호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로드가 후속되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 및 상기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이 추적할 참조 시퀀스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64.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로 상기 파일롯 신호의 송신 특성들을 송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65.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신호의 송신 특성들은 송신 특성들의 풀로부터 선택되는, 네트워크 노드.
  66.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신호에 대한 상기 정보는 상기 파일롯 신호의 신호 강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67.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시퀀스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변하는, 네트워크 노드.
  68.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시퀀스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적어도 하나의 동작 상태 동안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램덤으로 선택되는, 네트워크 노드.
  69.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롯 신호의 타입은 상기 사용자 장비의 상태에 기초하여 변하는, 네트워크 노드.
  70.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과 네트워크 로드 정보를 교환하는 수단; 및
    교환된 상기 네트워크 로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장비에 대한 상기 서빙 노드로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더 선출하거나 선출하지 않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KR1020177025410A 2015-03-13 2016-02-18 사용자 장비의 이동성 추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571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33219P 2015-03-13 2015-03-13
US62/133,219 2015-03-13
US14/946,374 US9794944B2 (en) 2015-03-13 2015-11-19 System and method for mobility tracking of user equipment
US14/946,374 2015-11-19
PCT/US2016/018506 WO2016148831A1 (en) 2015-03-13 2016-02-18 System and method for mobility tracking of user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399A true KR20170130399A (ko) 2017-11-28
KR102571290B1 KR102571290B1 (ko) 2023-08-25

Family

ID=56888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410A KR102571290B1 (ko) 2015-03-13 2016-02-18 사용자 장비의 이동성 추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794944B2 (ko)
EP (1) EP3269071B1 (ko)
JP (1) JP6795511B2 (ko)
KR (1) KR102571290B1 (ko)
CN (1) CN107431593B (ko)
AU (1) AU2016233832B2 (ko)
BR (1) BR112017019545B1 (ko)
TW (1) TWI697241B (ko)
WO (1) WO20161488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8998B2 (en) * 2015-04-01 2022-06-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 tracking chann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07739B1 (en) * 2016-03-14 2019-05-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beam switching
US11153909B2 (en) 2016-06-08 2021-10-19 Qualcomm Incorporated Two-stage chirp signal transmission in user equipment centric mobility (UECM)
WO2018063079A1 (en) * 2016-09-30 2018-04-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inimizing network planning using reference signal grouping
WO2022036565A1 (zh) * 2020-08-18 2022-02-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的方法及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0873A (ja) * 2002-09-27 2006-01-05 インターディジタル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ビーム形成アンテナ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モバイルユニットのハンドオーバを行うモバイル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30163532A1 (en) * 2011-12-23 2013-06-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Implemented in an eNodeB Base Station
US20140192729A1 (en) * 2011-04-25 2014-07-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ceiv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access system and terminal therefor
WO2014137780A1 (en) * 2013-03-06 2014-09-12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that facilitate handover decisions and related measurements
WO2014139588A1 (en) * 2013-03-15 2014-09-1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ordinated multipoint joint transmission with relaxed backhaul requirements
JP2015502078A (ja) * 2011-11-11 2015-01-19 富士通株式会社 無線ユーザエンドポイントに無線通信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に通信機を選択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4789B1 (en) 2000-09-18 2004-03-30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inter-frequency handoff and capacity enhancement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9730100B2 (en) 2002-10-28 2017-08-08 MeshDynamics Terse message networks
US7693527B2 (en) 2006-07-31 2010-04-06 Alcatel Lucent Restricted frequency band remote device communication authorization by geographic location
CN101489305B (zh) * 2008-01-17 2011-11-1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上行数据传输方法、通信系统及装置
CN101594661A (zh) * 2008-05-27 2009-12-0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下行传输的方法、系统、基站及用户设备
KR101073935B1 (ko) 2009-09-03 2011-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범용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위치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670253B1 (ko) * 2010-02-16 2016-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억세스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3113137A1 (en) * 2012-01-30 2013-08-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rrc switching
CN103249167B (zh) 2012-02-01 2016-12-21 华为技术有限公司 物理随机接入信道接入方法、基站和用户设备
US10097962B2 (en) 2013-09-12 2018-10-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virtual user-specific connectivity management
US9936469B2 (en) * 2014-11-03 2018-04-03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centric medium access control layer-based signaling between a base station and U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0873A (ja) * 2002-09-27 2006-01-05 インターディジタル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ビーム形成アンテナ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モバイルユニットのハンドオーバを行うモバイル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40192729A1 (en) * 2011-04-25 2014-07-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ceiv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access system and terminal therefor
JP2015502078A (ja) * 2011-11-11 2015-01-19 富士通株式会社 無線ユーザエンドポイントに無線通信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に通信機を選択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30163532A1 (en) * 2011-12-23 2013-06-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Implemented in an eNodeB Base Station
WO2014137780A1 (en) * 2013-03-06 2014-09-12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that facilitate handover decisions and related measurements
WO2014139588A1 (en) * 2013-03-15 2014-09-1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ordinated multipoint joint transmission with relaxed backhaul requirement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2049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68998B2 (en) * 2015-04-01 2022-06-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 tracking chan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97241B (zh) 2020-06-21
CN107431593A (zh) 2017-12-01
BR112017019545B1 (pt) 2024-03-05
TW201633808A (zh) 2016-09-16
JP2018514962A (ja) 2018-06-07
EP3269071A1 (en) 2018-01-17
JP6795511B2 (ja) 2020-12-02
AU2016233832B2 (en) 2020-06-11
EP3269071B1 (en) 2021-09-01
WO2016148831A1 (en) 2016-09-22
BR112017019545A2 (pt) 2018-05-02
AU2016233832A1 (en) 2017-08-17
US20160270082A1 (en) 2016-09-15
US9794944B2 (en) 2017-10-17
KR102571290B1 (ko) 2023-08-25
CN107431593B (zh) 2020-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49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paging
US115827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hierarchical paging, cell selection and cell reselection
US10660018B2 (e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20200045674A1 (en) Sidelink radio resource allocation
EP2992715B1 (en) Transmitting a synchronization indication
EP2837228B1 (en) Supported, self-optimizing wireless networks, optimized with respect to energy, mobility, and capacity
KR102571290B1 (ko) 사용자 장비의 이동성 추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5856689B2 (ja) システム情報の配信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
CN110225570B (zh) 无线接入电信系统中的系统信息分配的方法、终端和小区
US11343797B2 (en) Paging related methods and apparatus
US20230379823A1 (en) Methods for wake up signal communication, related radio access network nodes, related wireless devices and related core network nodes
KR20150090867A (ko)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10274468A1 (en) Acquisition of system information
KR20230093009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복수의 sim들을 포함하는 단말에 의한 페이징 충돌 회피
CN107820288B (zh) 一种基于d2d的移动管理方法、装置及存储设备
WO201602017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ntrol node and method
JP498888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アクセスゲートウェイ及び通信方法
US10524196B2 (en) Intra control node handover agnostic to user n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