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0213A -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0213A
KR20170130213A KR1020160061005A KR20160061005A KR20170130213A KR 20170130213 A KR20170130213 A KR 20170130213A KR 1020160061005 A KR1020160061005 A KR 1020160061005A KR 20160061005 A KR20160061005 A KR 20160061005A KR 20170130213 A KR20170130213 A KR 20170130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raw material
composition
oil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5973B1 (ko
Inventor
정소원
Original Assignee
정소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소원 filed Critical 정소원
Priority to KR1020160061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973B1/ko
Publication of KR20170130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우엉, 하수오, 어성초, 양제근, 숙지황, 상백피 및 마치현을 혼합한 제1 원료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제1 성분과, 천궁, 당귀, 박하, 세신, 감초, 홍삼, 창포 및 자몽을 혼합한 제2 원료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제2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원료와과 제2 원료는 6:4~5:5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A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AND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MEDICAL HERB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모발은 약 10만 내지 15만 개 정도이며,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갖고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를 거쳐 성장 및 탈락한다. 정상인에서 이러한 주기는 보통 3∼6년에 걸쳐 반복되는데 그 결과 일일 평균 60∼100개의 모발이 탈락하게 된다. 반면 탈모증 환자에서는 모발의 성장 및 탈락 주기 중에서 성장기에 있는 모발비율이 감소하고 퇴행기 및 휴지기의 모발 비율이 증가하여 비정상적으로 모발의 탈락이 증가된다.
탈모의 원인으로 혈액순환 불량설, 남성호르몬 작용 과잉설, 피지분비과잉설, 비듬균 및 기타세균 등에 의한 두피 기능저하설, 유전적 요인, 노화, 스트레스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요인들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탈모 외에도 발모효과 어린모발을 잘 자라게 해 주는 육모효과 가늘고 힘이 없는 모발을 굵고 튼튼하게 해주는 양모효과의 부진, 피지의 과잉생성, 비듬균의 번식, 가려움 유발, 두피 및 모발의 건조화, 모발의 유연성 저하 및 갈라짐 등 각종 두피 및 모발의 이상 증상을 유발한다. 특히, 두피에 나타나는 가려움증과 비듬은 탈모 증세를 악화 시킬 뿐만 아니라 염증을 유발하여 모근을 막는 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최근에는 식생활의 변화, 사회 환경 등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로 인해 상기와 같은 두피 및 모발의 이상 증상으로 고민하는 인구가 늘어나는 추세이고 그 연령 또한 낮아지고 있으며, 여성의 탈모 인구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에 따라 탈모를 비롯한 각종 두피 및 모발의 이상 증상을 방지하고 두피 및 모발의 상태를 개선시킬 수 있는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관련하여 육모제 같은 모발용 화장품은 비타민 E등의 비타민, 세린 또는 메티오닌 등의 아미노산, 아세밀콜린 유도체등의 혈관확장제, 리토스페룸 뿌리 추출액 등의 항염증제, 에스트라디올 등의 여성호르몬, 세파라틴 등의 피부기능 촉진제, 구리 판토테네이트 등의 멜라닌 합성 촉매제, 살리실산등의 각질용해제 등의 육모효과를 나타내는 여러 성분을 함유한다. 이들 성분은 탈모증의 예방 및 치료를 돕기위해 이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여러 화학적 합성물질을 사용할 경우 두피 및 모발의 자연적으로 조절가능한 진정 및 정화 작용을 기대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두피 및 모발에 이상 자극이 유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두피 및 모발 관련 제품들은 그 효과를 나타내는 주성분이 화학물질인 경우가 많아 장기간 사용시 두피를 자극하는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고, 환경오염에 주범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인체에 최대한 유해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탈모예방 및 양모와 각종 두피염증과 가려움증 비듬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건강한 모공을 만들어 양모와 발모를 개선할 수 있는 제품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천연 한약재 추출물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우엉, 하수오, 어성초, 양제근, 숙지황, 상백피 및 마치현을 혼합한 제1 원료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제1 성분과, 천궁, 당귀, 박하, 세신, 감초, 홍삼, 창포 및 자몽을 혼합한 제2 원료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제2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원료와과 제2 원료는 6:4~5:5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원료는, 우엉, 하수오, 어성초, 양제근, 숙지황, 상백피 및 마치현이 12: 12: 10: 8: 6: 6: 6의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제2 원료는, 천궁, 당귀, 박하, 세신, 감초, 홍삼, 창포 및 자몽이 6: 6: 6: 5: 6: 5: 3: 3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은 샴푸, 린스, 헤어팩, 헤어트리트먼트, 헤어비누, 헤어토너,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및 헤어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우엉, 하수오, 어성초, 양제근, 숙지황, 상백피 및 마치현을 각각 세척 및 세절하여 제1 원료를 준비하는 제1 단계;
천궁, 당귀, 박하, 세신, 감초, 홍삼, 창포 및 자몽을 각각 세척 및 세절하여 제2 원료를 준비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원료와 물을 1:4~6의 중량비로 중탕기에 투입한 후, 90~100℃에서 2~3시간 동안 중탕가열하여 추출함으로써, 제1 성분을 제조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를 거친 중탕기에, 상기 제2 원료와 물을 1:3~5의 중량비로 더 투입한 후, 90~100℃에서 3~4시간 동안 중탕가열하여 추출함으로써,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원료와 제2 원료는 6:4~5:5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단계는, 우엉, 하수오, 어성초, 양제근, 숙지황, 상백피 및 마치현이 12: 12: 10: 8: 6: 6: 6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1 성분 재료를 준비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천궁, 당귀, 박하, 세신, 감초, 홍삼, 창포 및 자몽이 6: 6: 6: 5: 6: 5: 3: 3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2 성분 재료를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에 무해한 우엉 추출물과 양제근, 하수오, 숙지황, 상백피, 어성초, 마치현의 추출물을 제1 성분으로 하며, 천궁, 당귀, 홍삼, 세신, 창포, 박하, 감초, 자몽 추출물을 제2 성분으로 이용하여 최적으로 배합시켜 제조함으로써 탈모의 원인이 되는 각종 염증과 지루성 피부염, 비듬, 두피 가려움증을 효과적으로 완화시켜 주의 탈모의 원인을 제거하여 탈모를 억제시킴과 동시에 발모를 촉진하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할 경우, 우엉에 의하여 두피의 염증 치료 및 예방 효과를 나타내고, 하수오, 어성초, 천궁, 당귀에 의하여 혈액순환 촉진을 도와 두피 상태를 개선하고, 숙지황 및 홍삼에 의한 모발의 굵기를 개선하며, 하수오, 창포에 의한 모발의 노화를 방지하고, 숙지황, 상백피, 당귀, 홍삼, 창포, 감초 및 양제근에 의하여 탈모를 방지하며, 하수오, 숙지황에 의하여 머리를 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발 및 두피 개선에 효능을 나타내는 아로마 오일을 더 배합함으로써 한약재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고, 아로마 오일에 의한 향기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아로마 오일에 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된 중탕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 전 및 5개월 사용 후 두피 상태(50대 남성)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 전 및 5개월 사용 후 두피 상태(40대 여성)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 전 및 5개월 사용 후 두피 상태(40대 남성)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 전 및 5개월 사용 후 두피 상태(60대 여성)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은,
우엉, 하수오, 어성초, 양제근, 숙지황, 상백피 및 마치현을 혼합한 제1 원료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제1 성분과, 천궁, 당귀, 박하, 세신, 감초, 홍삼, 창포 및 자몽을 혼합한 제2 원료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제2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원료와과 제2 원료는 6:4~5:5의 비율로 포함한다.
상기 제1 성분 중, 우엉(우방 牛蒡, Arctium lappa)은 특히 껍질에 사포닌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열독(熱毒)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어, 탈모의 원인이 되는 각종 염증, 지루성 피부염. 비듬, 두피 가려움증 등을 효과적으로 완화시켜 주어 탈모의 원인을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우엉은 특히 우엉 껍질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성분 중 하수오(何首烏 Pleuropterus multiflorus)는 혈기를 보하고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정수(精髓)를 보충하며 머리털을 검게 하기 위하여 포함된다. 이러한 하수오는 특히, 생체 에너지원을 얻는데 필수적인 산소를 전달하는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됨으로써 두피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모근을 탄탄하게 하고, 항산화작용을 하는 레시틴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노화를 방지하고 모발의 노화인 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 성분 중 어성초는 열을 내리고 해독(解毒)하며 이뇨(利尿)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을 가진 약재로서, 특히 항균 및 살균 작용이 뛰어나고 혈액순환효과도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됨으로써 탈모의 원인 중 하나인 미세먼지나 황사, 기타 더러운 물질들에 의한 두피 트러블과 이로 인한 탈모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두피 및 모발속 노폐물의 제거와 혈액순환 촉진을 통해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성분 중 양제근은 대머리의 채소라는 뜻인 독채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는 채소로, 특히 병증의 형태, 두피의 피부염으로 인한 탈모증을 개선하는 역할은 한다.
또한 상기 제1 성분 중 숙지황(熟地黃)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됨으로써 모발을 검게 하고, 혈허로 인한 탈모 또는 모발 가늘어짐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 성분 중 상백피(桑白皮)는 소염작용이 뛰어난 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됨으로써 두피 진정 및 두피염 완화의 효과를 가져오며, 특히 베타 토코페롤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발모를 촉진하는 효과를 부여하고, 모발에 윤기를 부여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성분 중 마치현은, 약리 실험에서 강심(强心) 작용, 혈압 상승 작용, 항균 작용, 자궁 수축 작용, 지혈 작용 등의 작용이 밝혀진 바 있으며, 특히 열을 내리고 살균, 해독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됨으로써 두피 클렌징 효과는 물론, 항염, 향균, 항알러지 등 두피 진정효과가 우수하고, 수렴 및 보습 효과를 부여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성분에 있어서, 상기 제1 원료는 우엉, 하수오, 어성초, 양제근, 숙지황, 상백피 및 마치현이 12: 12: 10: 8: 6: 6: 6의 비율로 혼합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비율로 혼합될 때, 우엉에 의한 두피 염증의 완화, 하수오에 의한 탈모 방지 및 모근 강화, 어성초에 의한 두피 클렌징, 양제근에 의한 두피 염증 완화, 숙지황에 의한 탈모 방지, 상백피 및 마치현에 의한 두피 진정 및 발모촉진의 효과를 최적화, 마치현 및 하수오에 의한 두피의 염증 완화 효과를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성분 중 천궁은 혈행을 개선해주어서 두피를 맑게 해주고 모근에 영양분을 공급하여 모발을 건강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고, 항균작용을 나타내어 두피 진정 및 완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제2 성분 중 당귀(當歸)는 보혈작용을 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 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됨으로써 활혈작용, 혈류량 촉진을 통해 두피의 건조를 막고 두피에 영양을 공급하여 두피 건조증을 개선하는 효과를 부여한다.
또한 상기 제2 성분 중 박하(薄荷)는, 특히 해열작용과 소염작용을 가지는 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됨으로써 두피의 열을 낮추고 두피의 염증, 가려움증을 완화시키고 청량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성분 중 세신(細辛)은 항염작용이 있어 두피 진정 및 완화는 물론이고, 발모(發毛) 또는 양모(養毛)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제2 성분 중 감초(甘草)는 해독 및 진정 작용으로 두피의 염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세포재생을 도와서 건강한 모발이 자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다른 약재와의 조화를 도울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2 성분 중 홍삼(紅蔘)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진세노사이드(사포닌)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모근의 강화는 물론 모발을 굵고 튼튼하게 해주어 탈모의 방지 및 양모 개선 효과를 부여한다.
또한 상기 제2 성분 중 창포(菖蒲)는 모발에 윤기를 부여함은 물론, 항염, 항균 및 항산화 작용으로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성분 중 자몽은 탁월한 항산화기능성을 가지고 있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시 보존제 및 천연 방부제로서의 역할을 부여함은 물론, 모발에 윤기를 부여하고 건강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성분에 있어서, 상기 제2 원료는 천궁, 당귀, 박하, 세신, 감초, 홍삼, 창포 및 자몽이 6: 6: 6: 5: 6: 5: 3: 3의 비율로 혼합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비율로 혼합될 때, 천궁, 홍삼, 세신, 창포에 의한 모근 강화, 발모 촉진 효과와, 당귀, 박하, 세신, 감초, 홍삼에 의한 두피 진정 및 두피 염증 완화의 효과, 박하에 의한 청량감 부여 등의 효과가 조화롭게 발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은 용액, 유화물, 점성형 혼합물 등의 형상을 취할 수 있으며,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샴푸, 린스, 헤어팩, 헤어트리트먼트, 헤어비누, 헤어토너,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및 헤어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은, 원료 한약재를 각각 세척 및 세절하여 제1 원료 및 제2 원료를 준비한 다음, 중탕가열의 방법으로 조성물을 제조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우엉, 하수오, 어성초, 양제근, 숙지황, 상백피 및 마치현을 각각 세척 및 세절하여 제1 원료를 준비하는 제1 단계; 천궁, 당귀, 박하, 세신, 감초, 홍삼, 창포 및 자몽을 각각 세척 및 세절하여 제2 원료를 준비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원료와 물을 1:4~6의 중량비로 중탕기에 투입한 후, 90~100℃에서 2~3시간 동안 중탕가열하여 추출함으로써, 제1 성분을 제조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를 거친 중탕기에, 상기 제2 원료와 물을 1:3~5의 중량비로 더 투입한 후, 90~100℃에서 3~4시간 동안 중탕가열하여 추출함으로써,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특히 제1 원료와 물을 중탕기에 투입한 후 90~100℃의 고온으로 중탕가열하여 추출함으로써 원료의 약성을 높이면서 추출효율을 높여 제1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 미만으로 중탕시 추출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온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영양소 및 비타민의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성분을 추출한 중탕기에 상기 준비한 제2 원료와 물을 더 투입하여 중탕가열하여 제2 성분을 추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성분의 추출 후 제2 성분의 추출시 제1 원료에 대한 재가열이 이루어지게 되어 미추출된 성분을 재추출하여 제1 성분의 추출 효율을 높임은 물론 제2 성분이 추출이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약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성분의 추출과 마찬가지로, 90~100℃의 고온으로 중탕가열하여 추출함으로써 원료의 약성을 높이면서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은 적절한 비중 및 점도를 유지하도록 조절하여 원하는 제형으로 성형하고, 용기에 충진하여 제품화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성물은 비중 1.010~1.030 및 점도 10,000~13,000 값을 가짐에 따라 특별한 화학적 첨가제 없이도 샴푸 제형으로 성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통상 발모촉진제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의 배합이 가능하다. 첨가해도 되는 배합성분으로는 유지성분, 보습제, 자외선 흡수제, 식물 추출물, 정제수, 혈행 촉진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3 중량부로 배합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조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에, 아로마 오일을 더 혼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로마 오일을 혼합 및 숙성시킨 다음 숙성된 아로마 오일을 상기 제조된 조성물에 더 혼합함으로써 점도를 조절하고, 아로마 오일에 의한 기능성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로마 오일의 혼합 및 숙성 단계는 라벤더 오일, 로즈마리 오일, 시더우드 오일, 타임 오일, 마조람 오일 및 유칼립투스 오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의 아로마 오일을 혼합(블렌딩) 및 숙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혼합 및 숙성 과정은 별도의 용기에서 15~30℃ 온도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8~23℃이다. 또한, 숙성 시간은 20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20~40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24시간이다. 이러한 15~30℃ 온도는 블렌딩되는 아로마 오일의 유효 성분 활성이 저해되지 않고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균형점으로서, 이러한 온도에서의 혼합 및 숙성 과정을 통해 아로마 오일을 안정화시킴으로써 유효 성분의 활성도를 극대화시키고, 공정과정에서의 아로마 오일 향기 휘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상기 아로마 오일은 천연의 식물에서 정유 추출된 아로마 오일로서, 라벤더 오일, 로즈마리 오일, 시더우드 오일, 타임 오일, 마조람 오일 및 유칼립투스 오일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모발 및 두피 개선에 효능을 나타내는 아로마 오일을 추가로 포함시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로마 오일의 숙성 단계에서 아로마 오일 유효 성분의 피부 전달력을 높임으로써 유효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추가의 오일 성분, 예를 들면, 호호바 오일, 아르간 오일, 로즈힙 오일, 스위트아몬드 오일, 올리브 오일, 녹차씨 오일, 달맞이꽃 오일, 동백유, 미강유(현미유), 사플라워 오일, 살구씨유, 아보카도 오일, 체리씨드 오일, 포도씨 오일, 피넛 오일, 해바라기씨유, 헴프씨드 오일 및 위트점 오일 등을 첨가시켜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호호바 오일, 아르간 오일 또는 로즈힙 오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라벤더(Lavender) 오일은 스트레스와 숙면을 도와주며 두피에 있어서도 지성두피와 탈모성두피에 도움이 된다. 또한, 세포성장촉진, 피지분비 밸런싱 조정에 효능이 있다. 상기 로즈마리(Rosemary) 오일은 비듬억제와 탈모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염증완화 및 수렴 작용을 한다. 상기 시더우드(Cedarwood) 오일은 피부염, 마른버짐, 지루 탈모증에 효과적이다. 상기 타임(Thyme) 오일은 방부효과 및 살균소독작용을 하며, 비듬이나 탈모예방에 유효하다. 상기 마조람(Marjoram) 오일은 마음을 진정시키고 걱정 신경성 문제, 불면증을 해소시켜 준다. 또한 혈액순환을 좋게 한다. 상기 유칼립투스(Eucalyptus) 오일은 산소운반을 도와 피부 호흡을 증가시키고 머리를 맑게 하고 각종 염증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상기 호호바(Jojaba) 오일은 아로마 오일 성분들의 유효한 물질을 피부로 전달하고, 두피를 활성화시키고 영양 공급기능을 한다. 상기 아르간(Argan) 오일은 피부에 필요한 수분과 영양분을 공급해주어 피부를 재생시켜 주며, 손상된 피부나 아토피, 건성피부, 습진 등에 효과가 있다. 상기 로즈힙(Rosehip) 오일은 필수 지방산인 리놀산과 리놀렌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피부 세포의 재생이나 세포막을 증강시키는 효과가 뛰어나고, 수분 유지 및 피부 노화를 억제한다.
본 발명의 아로마 오일은 시판되는 것을 이용하거나, 각 식물에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정유 추출시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로마 오일은 라벤더 오일, 로즈마리 오일, 시더우드 오일, 타임 오일, 마조람 오일 및 유칼립투스 오일 중에서 선택되는 둘 이상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로마 오일 종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로마 오일 성분에 호호바 오일, 아르간 오일 또는 로즈힙 오일 등을 추가로 첨가시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아로마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라벤더 오일, 로즈마리 오일, 시더우드 오일, 타임 오일, 마조람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및 호호바 오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성분은 라벤더 오일, 로즈마리 오일, 시더우드 오일, 타임 오일, 마조람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및 호호바 오일을 20~35 : 20~35 : 15~25 : 16~24 : 1~5 : 1~5 : 3~10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30 : 25~30 : 17~20 : 18~21 : 1~3 : 1~3 : 5~8이다. 상기 아로마 오일들은 상기한 중량비로 혼합될 때 상쾌하고 청량감이 도는 향기로 블렌딩될 수 있으며, 피부자극 없이 아로마 오일의 유효 활성을 얻을 수 있고, 특히, 탈모방지, 발모촉진, 비듬방지 또는 두피염증완화가 동시에 개선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아로마 오일의 혼합 단계는, 상기 혼합 및 숙성시킨 아로마 오일을 상기 제조한 조성물에 18~23℃에서 혼합하는 단계이다. 이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아로마 오일이 0.01 내지 10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아로마 오일의 함유량이 0.01 중량부 이하이면 아로마 오일이 갖는 유효 활성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10 중량부 이상이면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혼합 과정은 18~23℃ 온도에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아로마 오일의 안정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샴푸 조성물과의 혼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혼합 과정 이후 용기 충진은 오일 안정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혼합 과정과 동일 온도인 18~23℃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샴푸 조성물의 제조
먼저, 우엉 및 우엉 껍질, 하수오, 어성초, 양제근, 숙지황, 상백피 및 마치현 건조물을 각각 준비하고 깨끗이 세척한 후 5~10 cm 크기로 세절하여 제1 원료를 준비하였다.
다음, 천궁, 당귀, 박하, 세신, 감초 및 창포의 건조물, 홍삼 및 자몽을 각각 준비하고 깨끗이 세척한 후 5~10 cm 크기로 세절하여 제2 원료를 준비하였다.
도 1에 도시한 대용량 중탕기(규격 800*800*1700(mm), 전원 3상 380V, 12KW 4P, Air 압력 2Kg, 용량 100L)에 상기 준비한 제1 원료 1 kg과 물 5 kg를 투입한 후 95℃로 약 2시간 가열하여 제1 성분을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중탕기를 다시 오픈하여 상기 준비한 제2 원료 1kg과 물 3 kg를 투입한 후 95℃로 약 3시간 가열하여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을 추출하였다.
중탕기에서 얻어진 생성물을 여과하여 상온에서 냉각함으로써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고 용기에 충진하였다.
< 실험예 1> 샴푸 조성물의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샴푸 조성물의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40대 남성, 40대 여성, 50대 남성, 60대 여성 각각 5명씩 선발하였다. 5개월 간 상기 샴푸 조성물을 이용하여 매일 한번씩 통상적인 방법으로 머리를 감도록 하여 두피 보습 정도, 비듬의 감소 정도, 탈모 방지 정도에 대해서 5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였다. 각 그룹별 평균값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연령 두피의 보습 비듬 감소 탈모 방지 발모 촉진
40대 남성 4.8 4.9 4.9 4.9
40대 여성 4.8 4.7 4.7 4.7
50대 남성 4.6 4.8 4.8 4.8
60대 여성 4.3 4.8 4.6 4.7
두피의 보습 정도, 비듬 감소 정도,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정도 모두에 대해 우수한 점수로 평가되었고, 특히 비듬감소,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도 2 내지 도 5는, 50대 남성, 40대 여성, 40대 남성, 60대 여성 그룹 중 1명의 두피 상태를 나타낸 사진으로, 네 그룹 모두에서 사용 전에 비하여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한 우엉 추출물과 양제근, 하수오, 숙지황, 상백피, 어성초, 마치현의 추출물을 제1 성분으로 하며, 천궁, 당귀, 홍삼, 세신, 창포, 박하, 감초, 자몽 추출물을 제2 성분으로 이용하여 최적으로 배합시켜 제조함으로써 탈모의 원인이 되는 각종 염증과 지루성 피부염, 비듬, 두피 가려움증을 효과적으로 완화시켜 주의 탈모의 원인을 제거하여 탈모를 억제시킴과 동시에 발모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5)

  1. 우엉, 하수오, 어성초, 양제근, 숙지황, 상백피 및 마치현을 혼합한 제1 원료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제1 성분과, 천궁, 당귀, 박하, 세신, 감초, 홍삼, 창포 및 자몽을 혼합한 제2 원료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제2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원료와과 제2 원료는 6:4~5:5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료는, 우엉, 하수오, 어성초, 양제근, 숙지황, 상백피 및 마치현이 12: 12: 10: 8: 6: 6: 6의 비율로 혼합되고,
    상기 제2 원료는, 천궁, 당귀, 박하, 세신, 감초, 홍삼, 창포 및 자몽이 6: 6: 6: 5: 6: 5: 3: 3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샴푸, 린스, 헤어팩, 헤어트리트먼트, 헤어비누, 헤어토너,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및 헤어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4. 우엉, 하수오, 어성초, 양제근, 숙지황, 상백피 및 마치현을 각각 세척 및 세절하여 제1 원료를 준비하는 제1 단계;
    천궁, 당귀, 박하, 세신, 감초, 홍삼, 창포 및 자몽을 각각 세척 및 세절하여 제2 원료를 준비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원료와 물을 1:4~6의 중량비로 중탕기에 투입한 후, 90~100℃에서 2~3시간 동안 중탕가열하여 추출함으로써, 제1 성분을 제조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3 단계를 거친 중탕기에, 상기 제2 원료와 물을 1:3~5의 중량비로 더 투입한 후, 90~100℃에서 3~4시간 동안 중탕가열하여 추출함으로써,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원료와 제2 원료는 6:4~5:5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우엉, 하수오, 어성초, 양제근, 숙지황, 상백피 및 마치현이 12: 12: 10: 8: 6: 6: 6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1 성분 재료를 준비하고,
    상기 제2 단계는, 천궁, 당귀, 박하, 세신, 감초, 홍삼, 창포 및 자몽이 6: 6: 6: 5: 6: 5: 3: 3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2 성분 재료를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60061005A 2016-05-18 2016-05-18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5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005A KR101835973B1 (ko) 2016-05-18 2016-05-18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005A KR101835973B1 (ko) 2016-05-18 2016-05-18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213A true KR20170130213A (ko) 2017-11-28
KR101835973B1 KR101835973B1 (ko) 2018-03-07

Family

ID=60811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005A KR101835973B1 (ko) 2016-05-18 2016-05-18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9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306A (ko) * 2018-04-20 2019-10-30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00076101A (ko) * 2018-12-19 2020-06-29 이충식 천연 발모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107653A (ko) * 2021-01-26 2022-08-02 주식회사 비쎌 혼합 한약재 추출물과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KR102555866B1 (ko) * 2022-12-30 2023-07-14 (주)위몬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888B1 (ko) * 2020-11-23 2022-09-05 김설은 천연약재 달인 물을 이용한 경피용 영양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184B1 (ko) * 2012-05-29 2012-09-18 노세응 발모촉진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267198B1 (ko) * 2012-08-15 2013-05-27 김진옥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샴푸 제조방법
KR101550179B1 (ko) * 2015-05-13 2015-09-03 주식회사 제이코스메틱스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2306A (ko) * 2018-04-20 2019-10-30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200076101A (ko) * 2018-12-19 2020-06-29 이충식 천연 발모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107653A (ko) * 2021-01-26 2022-08-02 주식회사 비쎌 혼합 한약재 추출물과 아로마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헤어케어 화장료 조성물
KR102555866B1 (ko) * 2022-12-30 2023-07-14 (주)위몬 천연물질을 이용한 살균탈취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973B1 (ko)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973B1 (ko) 한약재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814890B (zh) 一种沉香型护发、生发精油及其制备方法
KR102017187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3052B1 (ko) 한방 샴푸 조성물
KR20080108718A (ko) 천연 연화식물체를 포함하는 피부 마사지 화장료 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JP2006036751A (ja) 漢薬材を利用した発毛剤組成物
CN104940050A (zh) 沉香挥发油原液在制备护肤品中的用途
KR20190041068A (ko) 소리쟁이 조성물을 이용한 탈모방지, 발모촉진 및 지루성 피부염 치료 샴푸의 제조방법
CN102846503A (zh) 一种清凉去屑滋养保健型洗头膏及其制备方法
CN111529477A (zh) 一种用于护理头发的组合物及其制剂和应用
CN102258453A (zh) 一种天然美发美肤护理剂及其使用方法
KR100664400B1 (ko) 탈모예방 및 양모(養毛) 조성물
CN105495374A (zh) 一种适用于孕妇的美白祛斑猪肚药膳及其制备方法
CN105213279A (zh) 一种消除萎缩纹的身体乳及其制备方法
CN102670479B (zh) 中药消炎拔痘美容霜及其制备方法
KR101709918B1 (ko) 한방 약재 추출물이 포함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033307B1 (ko) 생약추출액이 함유된 샴푸조성물
KR101914969B1 (ko)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CN103655890A (zh) 一种防治斑秃复方擦剂
CN105410716A (zh) 一种美白祛斑的猪肚药膳及其制备方法
KR101685895B1 (ko)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37635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제품
KR101944259B1 (ko) 천연소재를 이용한 발모제 조성물
CN106398916A (zh) 一种安神助眠手工皂
CN112076268A (zh) 一种防治脱发及乌发的中药洗剂及制备方法、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