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0088A - 기능성 첨가물이 함유된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 및 이를 이용한 칫솔 - Google Patents

기능성 첨가물이 함유된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 및 이를 이용한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0088A
KR20170130088A KR1020160060661A KR20160060661A KR20170130088A KR 20170130088 A KR20170130088 A KR 20170130088A KR 1020160060661 A KR1020160060661 A KR 1020160060661A KR 20160060661 A KR20160060661 A KR 20160060661A KR 20170130088 A KR20170130088 A KR 20170130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icrocapsules
group
substance
brist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태
김성진
황소희
Original Assignee
비비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비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비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0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30088A/ko
Publication of KR20170130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0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06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specially adapted to feed the bristle upper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 A46B17/065Sterilising brushes; products integral with the brush for sterilising, e.g. tablets, rinse, disinfecta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06Antimicrobial, disinfectant bristles, handle, bristle-carrier or pack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61K35/644Beeswax; Propolis; Royal jelly; Honey

Abstract

본 발명은 제올라이트, 탄소, 일라이트, 벤토나이트, 이산화티탄 및 실리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담지체에 프로폴리스 및 자몽종자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인 항균물질, 홍삼추출물, 인삼추출물, 녹차추출물, 장미추출물 및 레몬수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기능성 천연물질, 편백나무추출물 및 허브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인 방향물질, 광촉매 및 은나노 물질을 담지한 후 이를 마이크로 캡슐화하여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 및 이를 이용한 칫솔을 제공함으로써 양치 시 항균, 항염, 음이온 방출, 방향, 기능성 물질 방출 효과를 지속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첨가물이 함유된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 및 이를 이용한 칫솔{Bristles containing microcapsuled functional additives and toothbrush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칫솔모 및 이를 이용한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담지체에 항균물질, 기능성 천연 물질, 방향 물질, 광촉매 및 은나노 등을 담지한 후 마이크로캡슐화하여 이를 칫솔모에 포함시켜 우수한 항균, 항염 및 방향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첨가물이 함유된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 및 이를 이용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칫솔은 칫솔모와, 칫솔모가 식모되는 헤드부와, 헤드부에 연결되는 손잡이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칫솔은 구상 위생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서 항상 위생적이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칫솔모는 항상 습하고 환기가 잘 되지 않는 화장실에서 주로 보관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위생적인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어려워 각종 세균 번식으로 인해 질병을 유발하고 있다.
최근에는 칫솔을 화학적으로 소독하거나 또는 자외선으로 소독하는 방법 등이 개발되었으나, 이는 사용자가 직접 칫솔을 소독하거나, 자외선으로 소독해야 하는 등의 복잡한 절차로 인하여 사용 상의 불편을 호소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칫솔모의 세균번식을 억제하기 위한 살균 장치들이 개발된 바 있으나, 이러한 살균 장치는 가격이 매우 고가이므로 일반 가정에서 손쉽게 장만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작동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전력이 공급되어야 하므로 전력소모가 발생되어 결제적으로 비효율적이며, 휴대가 어렵다는 단점 등으로 인하여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종래의 항균 칫솔은 항균 재질을 칫솔모의 수지와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 경우 이들이 갖는 고유의 색상으로 칫솔모에 착색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으며, 혼합 또는 코팅 과정에서 불균일한 혼합으로 코팅이 쉽게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항생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항생제의 과잉 사용으로 인해 그에 따른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이 단순 혼합을 하였을 때는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는 경우에도 계속 항균 효과가 유지되고 있어 항균기능의 수명이 자연스레 단축되는 것이 현실이다. 그리고 항균 물질이 외부에 바로 노출되기 때문에 외부의 자극에 따른 항균물질의 변이, 소실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항균 물질 뿐만 아니라 각종 기능성 물질들이 양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외부의 자극에 노출되지 않고 그대로 현상 유지 하면서도, 양치할 때만 기능성 물질들이 방출되며, 이 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관련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8758호(2003.08.25.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칫솔모 제조방법 및 그 칫솔이 기재되어 있다.
KR10-2003-006875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담지체에 항균물질, 기능성 천연물질, 방향물질, 광촉매 및 은나노을 담지한 후 마이크로 캡슐화하여 이를 칫솔모에 포함시킴으로써 칫솔 사용시에 음이온 방출뿐만 아니라 항균, 항염, 방향, 기능성 물질을 지속적으로 방출시키는 칫솔모 및 그를 이용한 칫솔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담지체는 제올라이트, 탄소, 일라이트, 벤토나이트, 이산화티탄 및 실리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담지체이며, 항균물질은 프로폴리스, 자몽종자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인 항균물질, 홍삼추출물, 인삼추출물, 녹차추출물, 장미추출물 및 레몬수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기능성 천연물질, 편백나무 추출물, 허브추출물 등의 방향물질, 광촉매 및 은나노 물질을 마이크로 캡슐화하여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 및 이를 이용한 칫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담지체의 함량은 마이크로 캡슐 전체 중량의 10 내지 99.9 wt%이며, 항균물질, 방향물질, 기능성 천연물질, 광촉매 및 은나노의 총 함량은 마이크로 캡슐 전체 중량의 0.1 내지 10 wt%인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 및 이를 이용한 칫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담지체 중 탄소는 활성탄, 챠콜, 감귤숯 및 목숯 중 하나 이상인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 및 이를 이용한 칫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담지체, 항균물질, 기능성 천연물질, 방향물질, 광촉매, 은나노 및 물을 혼합, 교반하여 미립화시키는 단계, 상기 미립화 시킨 혼합물에 분산제를 첨가하여 50 내지 60 ℃에서 혼합하고 교반하여 1차 캡슐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1차 캡슐에 마이크로 캡슐의 외벽재를 첨가, 혼합하고 60 내지 70 ℃에서 교반하여 2차 캡슐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2차 캡슐을 서서히 교반하면서 상온에서 숙성시켜 첨가물이 포함된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첨가물이 포함된 마이크로 캡슐을 칫솔모에 투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를 이용하여 제조된 칫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 캡슐에 친환경 청정 원료인 프로폴리스 또는 자몽종자추출물을 항균물질로 첨가하여 칫솔모를 형성함으로써, 항곰팡이 항균 효과가 우수하여 항균성 99% 이상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취를 제거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은 마이크로 캡슐에 제올라이트, 탄소(활성탄, 챠콜, 감귤숯, 목숯 등), 일라이트, 벤토나이트, 이산화티탄, 실리카 등의 담지체는 10 내지 99.9 wt%를 첨가하여 칫솔모를 형성함으로써 원적외선 및 음이온의 방사에 의해 아토피 원인 물질인 포름알데히드 탈취율 92%, 암모니아 탈취율 99%, 항균성 96% 이상으로 곰팡이, 대장균 등의 퇴치가 가능하여 항염, 항균 효과가 있고, 인체의 피로회복 및 혈액 순환과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생명활동을 원활하게 하므로 건강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마이크로 캡슐에 홍삼 추출물, 인삼추출물, 녹차추출물, 장미추출물 및 레몬수추출물을 첨가하여 칫솔모를 형성함으로써 잇몸, 치아를 튼튼하게 하는 효과가 있고 전술한 추출물은 발향 추출물로 방향 효과까지 나타낸다.
더욱이, 편백나무추출물 및 각종 허브추출물 등을 첨가하여 칫솔모를 형성함으로써 항균작용뿐 만 아니라 양치한 후 구강 내 청량감을 줄 수 있는 방향 효과가 뛰어나다.
더불어 본 발명은 마이크로 캡슐에 광촉매제 및 은나노를 첨가하여 칫솔모를 형성함으로써 정화, 항균, 살균, 탈취 효과가 뛰어나다.
도 1은 감귤숯을 포함하지 않은 배지에서 대장균을 배양하여 형성된 콜로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감귤숯을 함유한 배지에서 대장균을 배양하여 형성된 콜로니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프로폴리스가 첨가된 마이크로 캡슐의 SEM 분석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담지체로 실리카를 사용하고 이에 프로폴리스가 첨가된 마이크로 캡슐의 UV 흡광도를 나타낸 분석도이다.
도 5는 담지체로 실리카를 사용하고 이에 녹차추출물이 첨가된 마이크로 캡슐의 UV 흡광도를 나타낸 분석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모의 마이크로 캡슐은 담지체, 항균물질, 기능성 천연물질, 방향물질, 광촉매 및 은나노를 포함한다.
먼저, 담지체는 제올라이트, 활성탄, 챠콜, 감귤숯, 목숯, 일라이트, 벤토나이트, 이산화티탄, 실리카 또는 기타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감귤숯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전술한 담지체의 형태는 분말형태가 바람직하고, 평균 입자크기는 200 내지 800 nm가 바람직하다.
이 중 감귤숯은 친환경 원료로서, 분자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인체의 세포를 활성화시켜 혈액순환과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 효과를 가지며, 중금속 및 전자파 차단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감귤숯은 각종 곰팡이의 발생과 병원균 및 박테리아의 서식을 억제하는 기능이 우수하므로 항곰팡이 항균 효과를 가지며, 암모니아, 포름알데히드, 유기화합물 등의 탈취를 제거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이러한 감귤숯은 감귤박을 탄화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감귤박의 탄화는 400도씨 내지 800도씨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감귤박의 탄화시 400 도씨 이하에서는 산성화도가 높고, 800도씨 이상에서는 강한 알카리성이 될 수 있기 때문에, 400 도씨 내지 800 도씨의 온도에서 탄화하여 약한 알카리성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감귤박은 당: 7~10%, 펙틴: 4~4.5%, 카로틴: 15mg, 비타민-C: 150~200mg, 기타 소량의 플라보노이드, 및 잔부 수분을 주된 성분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감귤박을 탄화시켜 다공질의 숯을 제조함으로써 감귤박이 갖는 약리적 효능과 숯이 갖는 정화, 조습, 활성, 흡착, 원적외선 및 음이온의 방사에 따른 살균 및 청정기능과 같은 장점들을 가질 수 있다.
특히, 감귤박에는 플로보노이드(FLAVONOID)가 함유되어 있는데, 플로보노이드는 Hesperidin, Neohesperidin, Naringin을 위주로 하여 Diosmin, Quercetin 등의 화합물로 되어 있어 소염작용, 항균 및 항바이러스작용, 항히스타민작용, 항산화작용 등의 약리상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외에도 전술한 담지체는 다공성이기 때문에 다른 첨가물질들을 흡착하여 이들을 지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며, 담지체는 원적외선 방사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의 방사에 의해 아토피 원인 물질인 포름알데히드 탈취율 92%, 암모니아 탈취율 99%, 항균성 96% 이상으로 곰팡이, 대장균 등의 퇴치가 가능하여 항염, 항균 효과가 있고, 인체의 피로회복 및 혈액 순환과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생명활동을 원활하게 하므로 건강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항균물질로 프로폴리스 또는 자몽종자추출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폴리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자신의 생존과 번식을 위해 여러 식물에서 뽑아낸 수지(樹脂)와 같은 물질에 자신의 침과 효소 등을 섞어서 만든 물질로, 성분으로는 유기물과 미네랄(무기염류)이 가장 많은데, 미네랄, 비타민, 아미노산, 지방, 유기산, 플라보노이드 등은 세포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테르펜류 등은 항암 작용을 한다. 주요한 효능으로는 항염, 항산화, 면역증강 등이 있다. 항염 효과를 내는 것은 사람의 몸에 염증을 일으키는 프로스타그란딘을 만들어내는 효소를 절반까지 줄이기 때문이다. 또 주요 성분인 플라보노이드가 활성산소를 없애기 때문에 항산화 효과가 있다.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케르세틴 등이 있어 암세포의 유전자가 복제되기 전에 차단하는 일을 한다.
그리고, 자몽종자추출물은 부패성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살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다량의 토코페롤을 함유하고 있어 은은한 향기를 가지며 강한 박취력이 있어 악취와 부패취를 없애는데 유용한 물질이다.
또한, 기능성 천연물질은 열에 약한 천연 물질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홍삼추출물, 인삼추출물, 녹차추출물, 장미추출물 또는 레몬수추출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녹차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천연물질은 잇몸의 염증을 예방하여 잇몸, 치아를 튼튼하게 하는 효과가 있고 전술한 추출물은 발향 추출물로 방향 효과까지 나타낸다.
이 중 녹차추출물은 찻잎 중 유효성분을 분리, 정제한 것으로 휘발성 황화물 제거에 탁월한 플라보놀, 항산화 작용을 하는 폴리페놀 및 살균작용을 하는 카테킨을 포함함으로써, 구강 내 악취 성분에 대하여 강한 구취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레몬수추출물은 알데히드 및 모노테르펜 히드로카본을 주 구성성분으로 하며, 방부, 살균 및 면역 강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레몬수 추출물은 칼슘 이온 흡착으로 치석, 치태 억제 효과가 있는 구연산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방향물질은 편백나무추출물 또는 각종 허브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편백나무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방향물질은 양치하였을 때 구강 내 청량감을 느끼게 해주는 방향효과가 뛰어나다.
전술한 허브추출물의 허브는 딜, 아니스, 월계수, 오레가노, 타라곤, 바질, 세이지, 백리향, 박하, 파슬리, 처빌, 고수, 로즈메리, 히솝, 보리지, 러비지, 세이보리, 멜리사, 라벤더, 페퍼민트, 캐모마일, 재스민, 시계초, 아니카, 스파티움, 로즈힙, 애플민트, 레몬그라스, 펜넬, 타임, 셀프힐, 차이브, 디기탈리스, 마조람, 베르가모트, 센티드제라늄, 아티초크, 안젤리카, 야로우, 오레가노, 콘플라워, 탄지, 포트마리골드, 스피아민트, 헬리오트로프, 캔들플랜트, 골드레몬타임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은나노 및 광촉매제는 정화, 항균, 살균, 탈취 효과가 뛰어나며, 광촉매제는 빛에너지를 흡수하여 주변의 유해물질을 산화반응으로 무해한 요소로 바꾸는 기능을 하며, 구체적으로 산화아연(ZnO), 황화카드늄(CdS), 산화텅스텐(WO3), 이산화티탄(TiO2)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티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광촉매제의 경우 평균 입자크기가 10 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은나노의 평균입자크기는 10 내지 30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담지체는 마이크로 캡슐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99.9 wt%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항균물질, 기능성 천연물질, 방향물질, 은나노 및 광촉매제는 총 합한 함량이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wt%일 수 있다.
담지체는 다공성 물질로 전술한 항균물질, 기능성 천연물질, 방향물질, 은나노 및 광촉매제와 같은 첨가물질들을 흡착시켜 안정화하는 기능도 있으므로, 10 wt% 미만인 경우 전술한 첨가물질들을 흡착시키기에는 함량이 적어 마이크로 캡슐을 만들었을 때 첨가물질들이 안정화되지 않을 수 있으며, 99.9wt%를 초과하는 경우 다른 첨가물질들을 기능을 발휘할만큼 충분히 첨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항균물질, 기능성 천연물질, 방향물질, 은나노 및 광촉매제와 같은 첨가물질의 총 함량이 0.1 wt% 미만인 경우에는 항균, 항염, 방향 등의 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물질들이 충분히 방출되지 못하고, 10 wt% 초과하는 경우에는 담지체에 완전히 흡착하지 않을 수 있어 안정화하는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칫솔모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나일론 수지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만이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나일론 수지만이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수지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나일론 수지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칫솔모의 필라멘트 강도 및 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terephthalate: PT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terephtalate: PBT)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수평균분자량이 30,000 ~ 50,000 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수평균분자량이 상기의 범위로 큰 것을 이용해야 칫솔모의 강도 및 탄성을 향상시키는데 보다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일론 수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마찬가지로, 칫솔모의 필라멘트 강도 및 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나일론 수지로는 나일론6 수지, 나일론11 수지, 나일론12 수지, 나일론6,6 수지, 나일론6,10 수지, 나일론6,11 수지, 나일론6,12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조성물은 폴리아미드, 폴리락틱에시드,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및 이들의 유도체와, 폴리 유산(poly lactic acid) 및 폴리글리콜산(poly glycolic acid)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수지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는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제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첨가제로는 연마제, 커플링제 등일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연마제로는 이산화규소, 수산화알루미늄, 탄산칼슘, 실리카, 벤토나이트 점토, 인산칼슘, 인산이칼슘, 무수 이인산칼슘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커플링제는 수지 조성물과 연마제 간의 상호 작용을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칫솔모에 포함되는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담지체, 항균물질, 광촉매제, 기능성 천연물질, 방향물질, 은나노 및 물을 혼합하여 교반하여 미립화시키는 단계, 미립화 시킨 혼합물에 분산제를 첨가하여 55 내지 60 ℃ 를 유지시키면서 혼합한 후 교반하여 1차 마이크로 캡슐을 성형하는 단계, 1차 마이크로 캡슐에 외벽재를 첨가, 혼합하여 60 내지 70 ℃에서 교반하여 2차 마이크로 캡슐을 성형하는 단계, 2차 마이크로 캡슐을 서서히 교반하면서 상온에서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첫번째 미립화된 혼합물은 만들기 위하여 교반하는 경우 혼합한 후 30 내지 1시간 동안 3000 내지 7500 rpm으로 교반할 수 있다.
또한 그 후 미립화된 혼합물의 경우 그 크기가 2 내지 5 ㎛일 수 있다.
그리고 1차 마이크로 캡슐을 성형하기 위하여 분산제를 첨가하는데, 분산제는 큰 입자와 응집한 입자를 분쇄하여 보다 작은 입자와 콜로이드 입자로 만들 때 생성된 미소 입자의 응집을 방지하기 위해 가하는 물질. 계면 활성제, 고분자 물질 등 흡착성 물질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분산제로는 유동파라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레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폴리알콜계 고분자, 소르비탄 에스테르(Span), 폴리에톡실레이티드 소르비탄 에스테르, 소듐라우릴설페이트, 폴리우레탄 및 아라비아검 고무 중에서 선택된 하나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분산제를 첨가한 후에는 55 내지 60 ℃를 유지하면서 30 분 내지 1시간 동안 2500 내지 4000 rpm으로 교반하여 분산제가 상기 미립화된 혼합물에 1차 코팅되어 1차 마이크로 캡슐로 성형된다.
그 후에는 더 단단하고 내열성을 갖게 하기 위하여 외벽재를 첨가하여 2차 코팅할 수 있는데, 이 때 외벽재로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일 수 있고, 수용성 고분자 물질로 코팅하였을 경우 양치 시 양치압 이외의 수용성 고분자 물질의 수분 흡수로 인해 첨가물질들의 방출이 최대한으로 높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등의 폴리아크릴계 고분자,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즈, 메틸셀룰로오즈, 에틸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메틸에틸셀룰로오즈 등의 셀룰로오즈계 고분자,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라텍스, 셀락, 로진 왁스,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실리콘, 젤라틴, 멜라민 수지, 폴리우레탄, 에폭시-우레탄 수지 및 합성고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외벽재를 1차 마이크로 캡슐에 첨가, 혼합한 후에는 온도 60 내지 70 ℃를 유지하면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3000 내지 4000 rpm으로 교반하여 2차 마이크로 캡슐을 성형한다.
상기 2차 마이크로 캡슐을 상온에서 숙성시키면 캡슐의 외부면이 굳어져 단단한 고체 상태의 마이크로 캡슐이 제조된다.
전술한 마이크로 캡슐은 최종적으로 그 직경이 1 내지 25 ㎛ 일 수 있다.
이 담지체에 첨가물질이 담지된 마이크로 캡슐과 칫솔모의 베이스가 되는 수지 조성물을 혼합하여 용융압출하고 나서 노즐을 이용하여 압출 방사한 다음, 압출 방사된 원사를 물에 냉각시켜 단섬유를 제조하게 된다.
즉, 단섬유는 압출기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이때, 압출기로는 이축 스크류 압출기 등 다양한 종류의 압출기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수지 조성물 및 감귤숯 분말은 압출기내에서 용융물로서 혼합되고, 생성된 혼합물은 다이 플레이트(die plate)를 갖는 스핀 팩(spin pack)내로 계량된다. 혼합물은 여과되고, 다이 플레이트의 구멍을 통해 압출됨으로써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원사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원사의 단면 모양은 다이 플레이트 구멍의 모양에 의해 결정되며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삼각형, 정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원사는 단일 방사 구조를 갖거나, 또는 코어층과 시스층을 갖는 코어-시스 이중방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코어-시스 이중방사 구조에서 시스층은 코어층을 동축 또는 동심 형태로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사는 용융 방사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압출 공정에서, 원사 가닥은 다이 플레이트로부터 나온 후, 급냉 수욕 내에서 고화된 다음, 원래 길이의 3 ~ 8배로 연신하기 위한 일련의 연신 롤을 통해 수송된다. 원사는 일정한 속도 및 시간에 따라 연신되고, 드럼(drum) 또는 스풀(spool)과 같은 권취기 상에서 권취되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원사는 상이한 색상, 직경, 중합체 조성, 길이, 및 모양의 원사가 하나의 다발로 모여 특정한 칫솔모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캡슐의 함량은 최종 칫솔모 전체 중량에 대해 1 내지 8 wt% 일 수 있다. 1 wt% 미만이면 양치할 때 각종 첨가물질의 방출이 미미하여 첨가물질이 가지는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우며, 8 wt%를 초과하면 방사하여 칫솔모를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칫솔모 자체의 고유 물성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칫솔모를 이용하여 칫솔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한 칫솔모는 양치 시 양치압 및 수분에 의하여 칫솔모에 포함된 마이크로 캡슐 구조가 파괴되며, 이에 따라 담지체에 담지된 항균물질, 기능성 천연물질, 방향물질, 광촉매제 및 은나노가 방출되는데, 담지체가 원적외선 방사물질인 경우, 음이온 방출이 될 수 있고 항균물질, 기능성 천연물질, 방향물질, 광촉매제 및 은나노가 담지체에 흡착되어 안정화되어 있기 때문에 캡슐이 터질 때 마다 지속적으로 항균, 항염, 탈취, 방향 및 치아 건강을 위한 기능성 물질을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이 포함된 칫솔모 및 이를 이용한 칫솔을 사용하면서 구취제거, 방향의 기능뿐 만 아니라 음이온 방출, 항균, 치아에 흡착됨으로 인한 치석 제거, 항염 등의 효과로 인해 치주염 등의 각종 구강 질환을 예방하여 양치를 하면서 건강한 치아와 잇몸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첨가물질을 마이크로 캡슐화하여 첨가하였기 때문에 기존의 칫솔모에 단순히 코팅하거나 분말로 첨가하는 것에 비해 효율적인데, 양치를 하면서 발생하는 양치압 및 수분에 의해 마이크로 캡슐이 깨지면서 기능성 있는 첨가물질들이 방출되기 때문이다. 즉 양치를 하기 전 마이크로 캡슐이 깨지기 전까지는 상기 각종 첨가물질들은 안정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외부의 자극에 노출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도 1은 감귤숯을 포함하지 않은 배지에서 대장균을 배양하여 형성된 콜로니를 나타낸 사진이다. 사진과 같이 감귤숯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장균이 실험하는 페트리 접시 전체에 퍼져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감귤숯을 함유한 배지에서 대장균을 배양하여 형성된 콜로니를 나타낸 사진이다. 감귤숯을 함유한 배지에서는 대장균 콜로니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대조군인 도 1과 비교했을 때 대장균이 거의 전멸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고, 이로써 감귤숯에는 우수한 항균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은 프로폴리스가 포함된 마이크로 캡슐의 SEM 분석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외벽재의 코팅이 잘 이루어졌기 때문에 마이크로 캡슐이 터지지 않고 잘 보존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담지체로 실리카를 사용하고 이에 프로폴리스가 첨가된 마이크로 캡슐의 UV 흡광도를 나타낸 분석도이다.
이는 실리카에 흡착시킨 후에도 프로폴리스가 그대로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측정으로, 대조군으로 프로폴리스 자체의 UV 흡광도를 측정하고, 이 후 프로폴리스를 흡착시킨 실리카의 UV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흡광도를 비교함으로써, 프로폴리스 성분이 그대로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바닥상태에 있는 원자나 분자가 자외선 및 가시광선을 흡수하면 전자전이 현상이 일어난다. 또 원자나 분자는 그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특정한 파장의 자외선이나 가시광선을 흡수하면서 전자 전이를 일으킨다. 따라서 흡수하는 파장을 알게 되면 그 원자 또는 그 분자가 어떤 것인지를 알아낼 수 있다. 그리고 흡수하는 빛의 양인 흡광도(absorbance)를 알면 그 원자나 분자의 농도도 결정할 수 있게 되는 바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UV 분석법으로 성분의 존재, 농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에서 확인되는 것과 같이 실리카에 흡착되지 않은 프로폴리스는 파장이 180 내지 250 nm인 적외선에서 흡광도가 3 AU(Absorbance Unit, 흡광도의 단위) 이상인 최대점이 있으며, 실리카에 흡착된 프로폴리스는 3회에 걸쳐 측정하였을 때 모두 파장이 180 내지 250 nm에서 흡광도가 3 AU 이상인 최대점이 존재하며 이 값이 원형 그대로의 프로폴리스와 유사하며, 파장에 따른 흡광도 스펙트럼의 형태가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실리카에 흡착되었어도 프로폴리스는 어떠한 소실 또는 변형도 없이 흡착 전의 농도를 유지하며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담지체로 실리카를 사용하고 이에 녹차추출물이 첨가된 마이크로 캡슐의 UV 흡광도를 나타낸 분석도인데 도 4와 같은 목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리카에 흡착하지 않은 녹차 추출물의 경우 180 내지 250 nm 에서 3 AU 이상인 최대점이 있으며, 실리카에 흡착된 녹차추출물의 경우에도 유사한 결과를 가진다. 또한 이들도 200 nm 이하에서 1 AU 부근의 흡광도를 가지는 점이 있는 것 등 파장에 따른 흡광도 스펙트럼의 형대가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실리카에 흡착되어도 녹차추출물은 어떠한 소실 또는 변형 없이 흡착 전의 농도를 유지하며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감귤숯 항균력 측정
표 1과, 도 2 및 도 3은 감귤숯의 항균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1) 사용공시균주: Escherichia coli ATCC 25922
2) 시험조건: 시험균액을 37 ± 1 에서 1 시간 진탕 배양 후 균수 측정 (진탕 횟수 120 회/분)
3) 시험시료 중량: 2.0 g
4) 중화용액: 인산완충용액 (pH 7.0 ± 0.2)
5) 감소율(%): [(Mb - Mc) / Mb] * 100
Ma: 대조시료의 초기 균수 (평균치)
Mb: 1 시간 배양 후 대조 시료의 균수 (평균치)
Mc: 1 시간 배양 후 시험 시료의 균수 (평균치)
구분 시험균주
Escherichia coli ATCC 25922
접종균 농도(CFU/㎖) 2.5 × 105
Ma 2.5 × 105
Mb 2.8 × 105
Mc < 10
감소율(%) 99.9
[CFU는 Colony Forming Unit 으로 균수를 확인할 수 있는 단위이다.]
항균성 측정 결과,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5 × 105 CFU/ml의 대장균이 배양된 대조 시료의 배지에서는 균의 성장이 활발하여 매우 많은 수의 콜로니가 확인되었으나(도 1 참조), 감귤숯이 혼합된 시험 시료의 배지에서는 항균력이 매우 우수하여 배지에서 형성된 콜로니를 매우 적은 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참조).
2. 감귤숯 원적외선 측정
표 2는 감귤숯의 원적외선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1) 시험방법: KCL-FIR-1005:2011
2) 측정온도: 40
3) 측정파장: 5㎛ ~ 20㎛
구분 시험결과
원적외선 방사율 0.893
원적외선 방사에너지(W/m2) 3.60 × 102
원적외선 측정 결과,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귤숯은 0.893의 원적외선 방사율과 3.60 × 102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칫솔모 제조
증류수에 감귤숯 50 wt%에 프로폴리스, 자몽종자추출물, 편백나무 추출물, 녹차추출물, 광촉매, 은나노를 총 10 wt%를 혼합하여 40 분 동안 4000 rpm으로 교반하여 미립화시켰다.
미립화 시킨 혼합물에 폴리비닐알콜을 첨가하고 60 ℃에서 40 분 동안 3000 rpm으로 교반하여 1차 마이크로 캡슐을 성형하였다. 상기 1차 마이크로 캡슐에 젤라틴을 첨가, 혼합하고 70 ℃를 유지시키면서 40 분동안 3000 rpm으로 교반하여 2차 캡슐을 성형하였고 그 후 서서히 교반하면서 상온까지 식히고 숙성시켜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캡슐이 포함된 현탁액을 얻었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조성물 92 wt%와 마이크로 캡슐 현탁액 8 wt%를 혼합한 후, 250 ℃에서 용융압출하고 나서 0.8mm 크기의 노즐을 이용하여 압출 방사하였다.
다음으로, 압출 방사된 원사를 10 ℃의 물로 냉각한 후, 180 ℃에서 연신을 실시하여 단섬유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단섬유를 직경 40 mm의 번들로 제조한 후, 60 mm의 길이로 절단하여 칫솔모를 제조하였다.
3. 프로폴리스 용출 데이터 (무기물 분석)
실시예 1의 칫솔모를 대상으로 ICP (Inductively Coupled Plasma Spectrometry) 분석법에 따라 프로폴리스에 대한 무기물 분석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3와 같이 나타난다.
구성물질 (ppm) 프로폴리스 (ppm) 프로폴리스가 없는 PBT 칫솔모 (ppm) 프로폴리스가 포함된 PBT 칫솔모 (ppm) MDL
Mg 5.00 1.33 4.32 0.5
K 33.6 N.D N.D 5
Na 5.32 3.00 3.64 1
Ca 18.4 9.01 16.4 0.5
Fe 4.87 2.18 7.63 0.5
수치는 존재하여도 측정되지 않는데, 그 한계선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N.D는 Not Detected로 MDL 보다 작은 값을 가져 검출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실시예 1에 포함된 무기물의 함량이 프로폴리스 원액보다는 적은 양이나, 기존의 프로폴리스가 없는 칫솔모에 비해서는 많고 전체적으로 프로폴리스 원액에 포함된 무기물의 함량과 비슷한 정도의 함량이 검출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는 기존에 프로폴리스에 함유된 무기물의 함량이 유사하게 포함되는 바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4. 칫솔모 안전성 분석
시험방법은 CPSC-CH-C1001-09.3, GC/MS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하기의 표 4는 안전성 분석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테스트 물질 단위 MDL 검출 결과
Di-(2-ethylhexyl)phthalate (DEHP) mg/kg 50 N.D.
Dibutyl phthalate (DBP) mg/kg 50 N.D.
Benzyl butyl phthalate (BBP) mg/kg 50 N.D.
Diisobutyl phthalate (DIBP) mg/kg 50 N.D.
Diisodecyl phthalate (DIDP) mg/kg 50 N.D.
Diisononyl phthalate (DINP) mg/kg 50 N.D.
Di-n-octyl phthalate (DnOP) mg/kg 50 N.D.
상기 표 4의 테스트 물질은 모두 프탈레이트계 인공 화학물질로 암, 생식 기능 장애 등을 초래할 수 있는 유해물질이다. 그러나 실시예 1의 칫솔모에서는 상기 유해물질이 모두 검출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담지체, 항균물질, 기능성 천연물질, 방향물질, 광촉매 및 은나노 물질을 마이크로 캡슐화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체는,
    제올라이트, 탄소, 일라이트, 벤토나이트, 이산화티탄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물질은 프로폴리스 및 자몽종자추출물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능성 천연물질은 홍삼추출물, 인삼추출물, 녹차추출물, 장미추출물 및 레몬수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방향물질은 편백나무추출물 및 허브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체의 함량은 마이크로 캡슐 전체 중량의 10 내지 99.9 wt%이며;
    상기 항균물질, 상기 기능성 천연물질, 상기 방향물질, 상기 광촉매 및 상기 은나노의 총 함량은 마이크로 캡슐 전체 중량의 0.1 내지 10 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는 활성탄, 챠콜, 감귤숯 및 목숯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탄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캡슐의 직경은 1 내지 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캡슐의 재질은,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등의 폴리아크릴계 고분자,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즈, 메틸셀룰로오즈, 에틸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메틸에틸셀룰로오즈 등의 셀룰로오즈계 고분자,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레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폴리알콜계 고분자, 유동파라핀, 소르비탄 에스테르, 폴리에톡실레이티드 소르비탄 에스테르, 소듐라우릴설페이트, 폴리우레탄, 아라비아검 고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라텍스, 셀락, 로진 왁스,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실리콘, 젤라틴, 멜라민 수지, 폴리우레탄, 에폭시-우레탄 수지 및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
  8. 담지체, 항균물질, 기능성 천연물질, 방향물질, 광촉매, 은나노 및 물을 혼합, 교반하여 미립화시키는 단계;
    상기 미립화 시킨 혼합물에 분산제를 첨가하여 55 내지 60 ℃에서 혼합하고 교반하여 1차 캡슐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1차 캡슐에 마이크로 캡슐의 외벽재를 첨가, 혼합하고 60 내지 70 ℃에서 교반하여 2차 캡슐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2차 캡슐을 서서히 교반하면서 상온에서 숙성시켜 첨가물이 포함된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첨가물이 포함된 마이크로 캡슐을 칫솔모 수지조성물에 혼합하여 압출 방사 성형 방식으로 칫솔모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담지체는 제올라이트, 탄소, 일라이트, 벤토나이트, 이산화티탄 및 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항균물질은 프로폴리스 및 자몽종자추출물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 천연물질은 홍삼추출물, 인삼추출물, 녹차추출물, 장미추출물 및 레몬수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방향물질은 편백나무추출물 및 허브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레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폴리알콜계 고분자, 유동파라핀, 소르비탄 에스테르, 폴리에톡실레이티드 소르비탄 에스테르, 소듐라우릴설페이트, 폴리우레탄 및 아라비아검 고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의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재는 폴리아크릴산,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등의 폴리아크릴계 고분자,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즈, 메틸셀룰로오즈, 에틸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메틸에틸셀룰로오즈 등의 셀룰로오즈계 고분자,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라텍스, 셀락, 로진 왁스,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실리콘, 젤라틴, 멜라민 수지, 폴리우레탄, 에폭시-우레탄 수지 및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의 제조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를 이용하여 제조된 칫솔.
KR1020160060661A 2016-05-18 2016-05-18 기능성 첨가물이 함유된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 및 이를 이용한 칫솔 KR201701300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661A KR20170130088A (ko) 2016-05-18 2016-05-18 기능성 첨가물이 함유된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 및 이를 이용한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661A KR20170130088A (ko) 2016-05-18 2016-05-18 기능성 첨가물이 함유된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 및 이를 이용한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088A true KR20170130088A (ko) 2017-11-28

Family

ID=60811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661A KR20170130088A (ko) 2016-05-18 2016-05-18 기능성 첨가물이 함유된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 및 이를 이용한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30088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995A (ko) * 2018-01-26 2019-08-0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열성 향상을 위한 기능성 물질 캡슐, 이를 이용한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158179A (zh) * 2018-02-06 2019-08-23 代明 一种化妆刷用备长炭丝人造毛
WO2020091308A1 (ko) * 2018-10-29 2020-05-07 비비씨 주식회사 기능성 마스터배치 칩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102175680B1 (ko) 2020-04-03 2020-11-09 주식회사 케이비덴탈 유무기 하이브리드 항균제를 함유하는 서방성 항균칫솔
AU2020239781B2 (en) * 2020-04-14 2021-11-25 Guangdong Newdermo Biotech Co.,Ltd Method for preparing porous antibacterial fiber brush
KR102358182B1 (ko) * 2021-06-02 2022-02-08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티 차량 램프용 방습제 조성물
CN115247018A (zh) * 2022-08-02 2022-10-28 百草边大生物科技(青岛)有限公司 一种含苦参提取物的大生物功能剂制备方法
CN115413878A (zh) * 2022-10-19 2022-12-02 西安交通大学口腔医院 一种牙刷刷毛及其制备方法、一种牙刷
KR20230172699A (ko) * 2022-06-16 2023-12-26 주식회사 밸런스테크 프로폴리스를 함유한 실리콘 조성물이 포함된 치아교정장치
KR20230173237A (ko) * 2022-06-16 2023-12-27 주식회사 밸런스테크 은나노 성분을 함유한 실리콘 조성물이 포함된 치아교정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0995A (ko) * 2018-01-26 2019-08-05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열성 향상을 위한 기능성 물질 캡슐, 이를 이용한 필라멘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158179A (zh) * 2018-02-06 2019-08-23 代明 一种化妆刷用备长炭丝人造毛
WO2020091308A1 (ko) * 2018-10-29 2020-05-07 비비씨 주식회사 기능성 마스터배치 칩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102175680B1 (ko) 2020-04-03 2020-11-09 주식회사 케이비덴탈 유무기 하이브리드 항균제를 함유하는 서방성 항균칫솔
AU2020239781B2 (en) * 2020-04-14 2021-11-25 Guangdong Newdermo Biotech Co.,Ltd Method for preparing porous antibacterial fiber brush
KR102358182B1 (ko) * 2021-06-02 2022-02-08 주식회사 에이치에스티 차량 램프용 방습제 조성물
KR20230172699A (ko) * 2022-06-16 2023-12-26 주식회사 밸런스테크 프로폴리스를 함유한 실리콘 조성물이 포함된 치아교정장치
KR20230173237A (ko) * 2022-06-16 2023-12-27 주식회사 밸런스테크 은나노 성분을 함유한 실리콘 조성물이 포함된 치아교정장치
CN115247018A (zh) * 2022-08-02 2022-10-28 百草边大生物科技(青岛)有限公司 一种含苦参提取物的大生物功能剂制备方法
CN115413878A (zh) * 2022-10-19 2022-12-02 西安交通大学口腔医院 一种牙刷刷毛及其制备方法、一种牙刷
CN115413878B (zh) * 2022-10-19 2023-09-19 西安交通大学口腔医院 一种牙刷刷毛及其制备方法、一种牙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0088A (ko) 기능성 첨가물이 함유된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칫솔모 및 이를 이용한 칫솔
CN104902785B (zh) 牙刷毛的制造方法及利用该牙刷毛的牙刷
JP5390739B2 (ja) 物質担持多孔質シリカ
KR101391545B1 (ko) 한방추출물과 프로폴리스가 첨가된 치약
US5423337A (en) Medicated dental floss
JP2006248832A (ja) 物質担持多孔質シリカ
CN106435824A (zh) 一种自芳香天然抗菌除臭纤维
US20060178445A1 (en) Composition for controlled sustained release of a gas
KR102477881B1 (ko) 뇌 혈류 개선이 되는 기능성 베개 및 그 제조 방법
KR102175680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항균제를 함유하는 서방성 항균칫솔
CN101283839B (zh) 防臭袜的制备方法
WO2008086982A1 (de) Kupferenthaltende formmasse aus polyester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KR102199844B1 (ko) 순지트 함유 항균 칫솔모 제조방법
CN104381326A (zh) 一种防霉杀菌香珠
KR101735662B1 (ko) 감귤숯을 이용한 고기능성 칫솔모 및 이를 이용한 칫솔
CN104341673A (zh) 具有缓释技术的多功能复合聚合物粒子制备方法
KR101839755B1 (ko) 산호칼슘을 이용한 고기능성 칫솔모 및 이를 이용한 칫솔
KR101225308B1 (ko) 항균 미백 칫솔모 및 그 제조방법
CN101745131A (zh) 一种空气消毒熏香的制作方法
CN108410046A (zh) 一种抗菌杀菌释放负离子可清洗垫及其制备方法
CN110982633B (zh) 净味抑菌清洁剂
KR20170049300A (ko) 대나무 숯을 이용한 항균 칫솔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10588B1 (ko) 친환경 방향성 벽 구조체 및 그 건물 내벽 시공방법
US20230172196A1 (en) A biodegradable nano - encapsulated disinfectant composition
KR200337914Y1 (ko) 애완동물의 기능성 용액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