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8008A - 비용접근법을 이용한 기업무형자산가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비용접근법을 이용한 기업무형자산가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8008A
KR20170128008A KR1020160059077A KR20160059077A KR20170128008A KR 20170128008 A KR20170128008 A KR 20170128008A KR 1020160059077 A KR1020160059077 A KR 1020160059077A KR 20160059077 A KR20160059077 A KR 20160059077A KR 20170128008 A KR20170128008 A KR 20170128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intangible
business
individual
as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대
Original Assignee
이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대 filed Critical 이영대
Priority to KR1020160059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8008A/ko
Publication of KR20170128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0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업의 무형자산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기업의 자산 가치를 평가하는 경우에 유형자산만을 무형자산의 가치를 평가하는 경우에도 특허권에 대하여만 평가를 하여 스포츠기업 같은 경우에는 기업의 가치 평가가 실제 가진 잠재적인 성장에 대하여 저평가되어 금융자산의 대출 등에 있어서 불이익을 받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본 발명은 기업의 무형자산가치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하여 기업이 사용한 비용으로부터 특허권, 상표권, 저작권에 관련된 가치를 추출하고, 이렇게 구한 가치로부터 산업연관분석에 따라 각 무형재산권의 총 가치로부터 개별무형재산권이 차지하는 가치를 산출하였으며, 이렇게 구해진 개별무형재산권별로 계층화분석법(Analytic Hierarchy Process:AHP)을 이용하여 실제 각 개별무형재산권이 기업의 자산가치에 기여한 정도를 산출하여 실질적으로 기업의 자산으로 평가될 수 있는 무형자산의 가치를 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기업의 무형자산 가치 평가방법은 스포츠 기업과 같이 특허가 없음에도 인적가치와 사회적가치가 높은 기업에 대하여 저작권이나 상표권의 영향에 의하여 증가되는 기업의 객관적인 무형자산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으므로 정책적인 금융지원을 받는데 사용하여 창업기 기업의 경우 대출을 받는데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용접근법을 이용한 기업무형자산가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Business Intangible Asset Valu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Cost Approach and Methods}
본 발명은 기업의 무형자산가치를 평가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업의 재무정보, 그 중에서도 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에 수록된 비용정보로부터 무형자산에 해당하는 계정의 값을 도출하여 기업의 전체 무형재산권의 가치를 구하고, 기업이 보유한 개별 무형재산권을 바탕으로 관련 산업에 대한 영향력 등을 반영하여 개별 무형자산의 가치를 구한 후 계층화분석법을 적용하여 개별 무형재산권이 기업의 자산에 영향을 주는 실제 가치를 산출하는 것으로, 비용으로부터 실제 기업의 무형자산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 객관적인 기업의 무형자산가치 평가에 관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금융기관, 보증기관, 또는 정책자금을 집행하는 기관이 대출을 할 때 거래기업의 자산가치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종래에는 기업의 자산을 평가할 때 객관적으로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유형적인 자산에 의하여 평가를 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였다. 대출을 하는 경우에도 주로 부동산 담보대출에 의존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 창업하는 기업의 경우 서비스업종이나 IT 분야 그리고 스포츠 기업과 같이 유형자산이 부족하지만, 자체의 기술력이나 조직관리능력, 인적자원의 잠재력 등 무형자산에 의존하는 기업이 더욱 늘어나고 있으며, 이런 무형자산의 가치에 의하여 시장에서 높은 기업가치를 갖게 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미래 기업가치가 우수한 우량기업과 미래의 기업가치가 열악한 불량기업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무형자산의 가치를 이용하여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하지만 현재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경우 거의 유형자산인 부동산이나 현금을 위주로 평가하고 있으며, 무형자산을 기업의 가치 평가의 대상으로 삼는 경우에도 주로 특허권의 가치만을 평가함에 따라 상표권이나 저작권에 의하여 늘어나는 기업의 가치에 대해서는 평가하는 수단은 없었다. 즉, 무형자산의 가치를 고려하여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종합적인 방법론은 아직까지 제시된 바 없으며, 이로 인하여 무형자산의 가치만을 적용하여 창업기업에 대한 대출이 이루어지는 것은 요원한 상태이다.
최근에 창업하는 기업의 대부분이 서비스업이나 IT 업종 그리고 스포츠 기업 등 무형자산의 가치가 미래의 기업가치와 관련되는 경우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정책금융을 지원하는 경우에 무형자산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1488242(2015.1.26.) KR 10-1279781(2013.6.24.) KR 10-1324214(2013.10.2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정책자금을 집행하는 기관의 측면에서는 보다 객관적이면서도 무형자산의 가치를 반영한 기업가치 평가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업이나 IT업종 및 스포츠기업 등 기존의 평가방법에 의하여 발굴해내지 못한 미래경쟁력을 갖춘 창업기업에 대한 지원을 통하여 정책자금을 효율적으로 집행할 수가 있게되는 기업 무형자산가치의 평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업의 측면에서 자금의 대출시 정부로부터 무형자산을 이용하여 기업가치를 인증받는 효과가 발생하므로 기업가치를 객관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채널이 확보될 수 있으며, 우량한 무형자산을 보유한 기업의 경우 정책자금의 지원 등 실질적인 혜택을 보게 되는 기업 무형자산가치의 평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업 무형자산가치평가 시스템은 기업의 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로부터 자료를 입력할 수 있는 재무정보입력부와; 산업연관표의 중간수요계의 값을 입력할 수 있는 중간수요 입력부와; 특허청의 특허권이나 상표권의 서지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서지정보입력부로 구성된 정보입력시스템과; 재무정보입력부를 통해서 입력받은 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로부터 무형자산의 가치를 산출하기 위하여 해당 재무정보에서 특허, 상표, 저작권에 관련된 계정항목을 등록하여 각 무형재산권의 가치로 반영하고, 반영된 특허권, 상표권, 저작권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효과를 상표권에 반영한 후 각 권리의 보호기간에 따라 정해진 기간 동안 해당 자산의 가치를 상각하여 무형자산의 현재가치로 반영하는 재무정보처리부와; 중간수요입력부와 서지정보입력부에서 입력된 산업연관표와 특허청의 서지정보로부터 기업이 가지는 개별 무형재산권의 가치를 산출할 수 있는 산업연관분석부와; AHP평가시스템으로부터 얻은 결과를 개별무형재산권의 가치에 반영하여 자산화 비율을 도출하는 계층화분석부로 구성된 자산화비율도출시스템과;
자산화도출시스템의 계층화분석부에서 계층화 분석을 위하여 사용자들이 쌍대비교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AHP가중치입력부와; 개별 무형재산권에 대하여 전문가들이 정성적인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AHP평가부로 구성된 AHP평가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기업의 재무정보로부터 그 기업이 가진 특허, 상표, 저작권 등이 실제 기업의 자산으로 가지는 가치를 산출하기 위한 자산화비율도출시스템은 재무정보처리부와 산업연관분석부와 계층화분석부의 순서로 단계적인 계산을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자산화비율도출시스템내의 계산을 위하여 정보입력시스템으로부터 입력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자산화비율도출시스템내의 재무정보처리부는 정보입력시스템의 재무정보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의 비용정보로부터 특허, 상표, 저작권과 관련된 계정을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저장된 비용정보로부터 각 무형재산권의 값을 계산한 후 상호간의 효과를 상표권에 반영하는 단계; 그리고 각 무형재산권의 가치를 특허 20년, 상표 10년, 저작권 20년의 기간으로 감가상각하여 각 무형재산권의 현재가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자산화비율도출시스템내의 산업연관분석부에서 개별특허의 가치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정보입력시스템의 서지정보입력부로부터 특허청에서 제공하는 국제특허분류(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IPC)코드와 패밀리수 및 산업(KSIC) - 특허(IPC) 연계표를 입력받고 중간수요입력부로 부터는 산업연관표를 입력받는 단계;와 산업-특허 연계표를 중심으로 산업연관표에서 기업의 개별특허권을 기준으로 관련된 산업의 중간수요를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국제특허분류와 패밀리수를 기준으로 중간수요를 사용하여 개별 특허의 실제 생산력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자산화비율도출시스템내의 산업연관분석부에서 개별상표의 가치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정보입력시스템의 서지정보입력부로부터 상품분류-산업연관표를 입력받고 중간수요입력부로 부터는 산업연관표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품분류-산업연관표를 중심으로 산업연관표에서 기업의 개별상표권을 기준으로 관련된 산업의 중간수요를 추출하는 단계; 그리고 각 상품분류별로 상표의 개수를 기준으로 중간수요를 사용하여 개별 상표의 파급력을 산출한 후 개별상표의 상품별 가치를 모두 합하여 실제 개별 상표권의 파급력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자산화비율도출시스템의 계층화분석부에서 실제 기업의 무형재산권의 가치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AHP평가시스템의 AHP가중치입력부로부터 쌍대비교를 수행한 결과를 입력받아 AHP가중치 결과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개별 무형재산권에 대하여 정성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AHP평가시스템의 AHP평가부로부터 입력받아 AHP 정성평가결과를 처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자산화비율도출시스템의 개별 무형재산의 가치에 정성평가의 결과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무형자산가치평가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가치평가 기관의 경우 기업의 무형자산에 대한 자산화 비율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므로 기업에 대한 대출 집행시 위험률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게 되어 위험이 높은 기업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대출자금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둘째, 정부측면의 경우 미래경쟁력을 갖춘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통해 정책자금을 보다 효율적으로 집행할 수 있게 되므로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정책 활성화에 이바지함은 물론 과거에 유형자산이 없어서 지원이 불가능했지만 기술력을 겸비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정책자금의 융자가 가능하게 되어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의 발굴, 육성이 가능하다.
셋째, 본 발명은 기업측면에서는 무형재산에 의하여 기업의 가치를 인증 받는 효과가 발생하게 되므로 기업가치가 양호한 기업은 실질적인 금융혜택을 보게 되고, 현재 무형자산에 대한 투자가 적은 기업들도 무형자산에 대한 투자를 유인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형자산 가치평가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특허, 저작, 상표권의 상호영향이 상표권에 반영되는 영향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개별 특허권의 가치를 산출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NICE 상품분류-산업연관표 상품분류 연계도
도 5는 개별 상표권의 가치를 산출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AHP가중치입력부에 입력한 내용으로부터 쌍대비교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3차원 정방행렬로 구성된 쌍대비교 매트릭스로부터 고유벡터를 구하는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8은 일관성비율을 구하기 위한 과정을 예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무형자산가치 평가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업의 무형자산가치 평가시스템의 구성에 따른 흐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기업의 무형자산가치평가시스템은 기업의 기본적인 재무정보인 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를 입력할 수 있는 재무정보 입력부(210)와; 산업연관표의 중간수요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중간수요입력부(220)와; 특허청의 서지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서지정보입력부(230)로 구성된 정보 입력시스템(200)과; 정보 입력시스템(200)에서 입력된 정보로부터 각 비용계정에서 특허·상표·저작권에 해당하는 금액을 산출하고, 특허와 저작권이 상표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한 후, 각 무형재산권의 권리보호기간에 따라 감가상각하여 기업의 기본적 재무정보로부터 각 무형재산권의 종합적인 가치를 산출하는 재무정보 처리부(110);와 산업연관표와 특허청의 서지정보로부터 개별 무형재산권의 가치를 산출하는 산업연관분석부(120)와; 개별 무형재산권의 가치로부터 실제 기업의 가치평가에 기여하는 자산화도출 비율을 산출하기 위한 계층화분석부(130);로 구성된 자산화비율도출시스템(100)과; AHP가중치를 산출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쌍대비교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AHP가중치입력부(310)와; 전문가들로부터 개별 무형재산권의 가치를 0에서 10점의 형태로 입력받을 수 있는 AHP평가부(320);로 구성된 AHP평가시스템(30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기업무형자산가치평가시스템을 구성하는 자산화도출시스템(100)과, 정보입력시스템(200) 그리고 AHP평가시스템(300)의 각 기술적 수단들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정보입력시스템(200)내의 재무정보입력부(210)는 기업의 재무정보인 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를 입력받을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정보입력시스템(200)내의 중간수요입력부(220)는 산업연관표로부터 기업이 보유한 특허·상표·저작권 등의 무형재산권과 관련된 중간수요계 값을 입력받을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정보입력시스템(200)내의 서지정보입력부(230)는 특허청의 서지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특허권의 경우 패밀리수, 국제특허분류코드(IPC) 및 산업-특허 연계표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상표권의 경우 도 4에서 보이는 상품분류-산업연관표 및 개별 상표의 지정상품분류명을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자산화비율도출시스템(100)내 재무정보처리부(110)는 기업의 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의 계정과목에서 연구비, 개발비 등과 같이 조직내 기술과 관련된 계정과목은 특허권에 광고선전비, 판매운반비 등 외부적인 영향을 주는 계정과목은 상표권에 인건비, 교육훈련비 등 기업의 인적조직에 영향을 주는 계정과목을 저작권에 해당하도록 구성하여 각 무형재산권에 해당하는 계정과목의 금액을 합산하고, 합산한 금액으로부터 도 2와 같이 각 무형자산이 상호간 미치는 영향을 주는 효과를 산출한 후 각 무형재산권의 권리보호기간에 따라 감가상각을 수행하여 기업의 특허권과 상표권 및 저작권의 가치를 산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각 무형자산 상호간에 미치는 영향을 상표권에 반영하는 것에 대해서는 기업의 특허권이나 저작권의 경우 기업내부의 조직과 인적자산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특허권이나 저작권이 우량한 기업의 경우 기업의 평판요소가 높아 결과적으로 대외적인 기업의 이미지를 제고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특허권과 저작권이 기업에 작용하는 평판요소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부분을 상기 재무정보처리부(110)에서는 도 2의 대각선 방향의 무형자산가치로 나타나게 되며 이 무형자산가치를 상표권으로 수정 반영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특허와 저작권의 경우 권리보호기간이 장기이고 상표권은 10년으로 비교적 단기이므로 이를 상기 재무정보처리부(110)에서 반영하여 특허권과 저작권은 20년으로 상표권은 10년으로 각 무형재산의 가치를 감가상각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산업연관분석부(120)는 재무정보처리부(110)에서 얻어진 각 무형재산권의 가치를 산업연관표와 특허청 서지정보인 국제특허분류(IPC)코드와 패밀리수 그리고 산업-특허 연계표를 바탕으로 기업이 보유한 개별 특허권의 가치를 산출하고, 또한 산업연관표로부터 도출되는 중간수요계의 값과 국제상품분류를 이용하여 개별 상표권의 가치를 산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개별 특허권의 가치를 구하기 위해서는 도 3의 상단부 표와 같이 기업이 보유한 개별 특허권에 따라 특허청 서지정보로부터 패밀리수 및 국제특허분류코드(IPC)를 추출하고 산업-특허 연계표를 이용하여 기업이 보유한 특허와 관련된 산업을 도 3의 관련산업을 기준으로 도 3의 하단부 표와 같이 배열한다. 다음 도 3의 하단부 표와 같이 산업별로 배열한 후 산업연관표에서 얻은 중간수요계 값을 입력한 후 중간수요계 값을 정규화 하여 각 산업별 비율을 산출한 후 이 값을 패밀리수와 곱하여 생산력을 구하여 정규한 값이 생산력비율이 된다. 이렇게 구한 생산력비율에 재무정보처리부(110)에서 얻은 기업의 특허권의 값을 곱한 값이 각 산업별 비용이 되며, 각 산업별 비용을 다시 패밀리수로 나누어 개별 특허권의 가치를 구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개별 상표권의 가치를 구하기 위해서는 도 4의 특허청 서지정보인 NICE 상품분류-산업연관표에 의하여 기업이 보유한 각 상표를 도 5와 같이 배열한 후 해당 상품분류에 속하는 기업의 상표를 모두 추출하여 개수를 입력한다. 또한 산업연관표로부터 해당기업이 보유한 상표와 관련된 상품군의 산업별 비용의 중간수요계 값을 입력한 후 각 산업별 비율(A)을 도 5와 같이 중간수요계 값을 정규화하여 산출한 후 각 상표의 개수를 제곱한 값(G)과 곱하여 파급력값을 산출한다. 이렇게 산출한 파급력 값을 다시 정규화하여 해당 기업이 보유한 상표의 산업별 비율(C)을 도출한 후 상기 재무정보처리부(110)에서 얻은 상표권의 총액(D)과 곱한 값이 산업별 비용에 해당하며, 이렇게 구한 산업별 비용을 상표의 개수를 제곱한 값의 상품군별 합인 산업영향력값으로 나눈 것이 개별상표의 평균가치가 되고, 이 개별상표의 평균가치에 다시 상표의 개수를 제곱한 값을 곱하여 각 개별 상표권의 가치를 구하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계층화분석부(130)는 산업연관분석부(120)를 통하여 얻어진 개별 무형재산권의 실제 기업의 가치에 기여하는 정도를 산출하기 위하여 AHP예비평가로부터 가중치를 구해내고, AHP정성평가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반영함으로 실제 개별 무형재산권이 기업의 무형자산의 가치에 기여하는 자산화비율을 산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AHP예비평가는 각 무형재산권인 특허권·상표권·저작권별로 기술성, 권리성, 시장성, 거래성, 기업수익 및 생산성과 관련된 지표 및 하부지표를 선정하여 도 1의 AHP평가시스템(300)을 이용하여 도 6과 같은 화면에서 보이는 AHP가중치 입력부(310)로부터 각 지표 및 하부지표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입력받아, 상대적인 추정가중치를 산출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으로 전문가 집단인 사용자들로부터 입력받은 중요도를 바탕으로 쌍대비교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부분과 일관성 지수를 산출하여 이 값이 0.1을 초과할 때 전문가 사용자 집단으로부터 다시 입력을 받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쌍대비교 매트릭스를 생성시키는 방법은 도 6과 같이 AHP가중치 입력부(310)로부터 입력받은 값을 이용하여 매트릭스 생성하는 것으로 도 6의 화면에서 비교되는 지표들을 각각 행과 열로 동일한 순서로 배열한다. 행과 열이 동일한 지표의 행렬칸은 1로 채우고 화면에서 선택한 라디오 버튼의 위쪽 열의 값을 보다 가까운 지표쪽의 행과 먼쪽의 열의 값에 채운다. 도 6에서 화면 1열의 기술성과 권리성의 쌍대비교의 경우 라디오 버튼이 있는 열은 약간이라는 표기아래 괄호로 3의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권리성이 높으므로 행은 권리성 열은 기술성의 칸에 3을 채우는 방식으로 매트릭스를 채운다. 이와 같이 화면의 매트릭스를 채우고 나서 채워진 비워진 매트릭스는 행과 열의 지표를 바꾼 위치에는 원래의 행과 열에 채워진 수의 역수로 채우게 된다. 즉, 도 6의 권리성행 기술성열이 3인 경우 기술성행 권리성열은 이 값의 역수인 1/3로 채워서 기본적인 쌍대 매트릭스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쌍대비교 매트릭스로부터 고유벡터까지 구하는 과정은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쌍대 매트릭스를 생성한 후 각 지표의 열의 합을 구하여 열의 합으로 행렬의 각 칸을 나누면 도 7의 최종표와 같이 나타나게 되고 각 행의 합을 구하여 행렬 전체의 합으로 나누게 되면 각 지표의 고유벡터가 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일관성 지수를 산출하여 가중치의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도 8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생성된 쌍대비교 매트릭스의 지표의 각 열에 동일 지표의 고유벡터를 곱한후 결과 매트릭스의 요소별 합을 구한다. 이 요소별 합을 동일한 행의 대각선 행렬의 값으로 나누어 그 값의 평균을 값을 구한 후 도 8에서 보듯이 행과열의 차수를 이용하여 일관성 지수를 산출한다. 이렇게 산출한 일관성지수를 난수지수로 나누면 일관성비율이 산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일관성 비율이 0.1 이상이 되는 경우 AHP가중치평가는 종료되지 않고 전문가 사용자로부터 다시 권리의 쌍대비교를 수정하여 오류를 정정하여 일관성 비율이 0.1 미만이 되었을 때 AHP가중치 평가가 종료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AHP정성평가의 경우에는 도 1의 AHP평가시스템(300)내의 AHP평가부(320)로부터 전문가들의 평점을 0점에서 10점 구간범위로 입력을 받은 후 상기 AHP가중치평가부(310)에서 구한 고유벡터와 전문가들이 입력한 정성평가값을 곱한 값으로 자산화 도출 비율을 산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기업의 무형자산가치 평가시스템은 재무정보처리부(110)로부터 각 계정과목의 비용으로부터 각 무형재산권의 가치를 구한 후 산업연관분석부(120)에서 산업연관표와 특허청의 서지정보로 얻은 정보를 입력하여 개별 무형재산권의 가치로 환산한 다음 다시 계층화분석부(130)에서 얻은 고유벡터와 전문가들이 입력한 정성평가값을 곱한 값인 자산화 도출 비율을 개별 무형재산권의 가치에 곱하여 실제 각 개별 무형재산권이 기업 전체의 무형자산가치로 환산되어 자산가치 평가의 기준이 될 수 있도록 재무정보의 비용과 산업연관표, 특허청 서지정보를 통하여 무형재산권의 실제 가치를 평가하는 자산화도출비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00 : 자산화 비율도출 시스템
110 : 재무정보처리부
120 : 산업연관분석부
130 : 계층화분석부
200 : 정보입력시스템
210 : 재무정보입력부
220 : 중간수요입력부
230 : 서지정보입력부
300 : AHP평가시스템
310 : AHP가중치 입력부
320 : AHP평가부

Claims (7)

  1. 기업 무형자산가치평가시스템에 있어서,
    기업의 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로부터 자료를 입력할 수 있는 재무정보입력부와; 산업연관표의 중간수요계의 값을 입력할 수 있는 중간수요 입력부와; 특허청의 특허권이나 상표권의 서지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서지정보입력부로 구성된 정보입력시스템과;
    재무정보입력부를 통해서 입력받은 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로부터 무형자산의 가치를 산출하기 위하여 해당 재무정보에서 특허, 상표, 저작권에 해당하는 계정항목을 등록하여 각 무형재산권의 가치로 반영하고, 반영된 특허권, 상표권, 저작권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효과를 상표권에 반영한 후 각 권리의 보호기간에 따라 정해진 기간 동안 해당 자산의 가치를 상각하여 무형자산의 현재가치로 반영하는 재무정보처리부와; 중간수요입력부와 서지정보입력부에서 입력된 산업연관표와 특허청의 서지정보로부터 기업이 가지는 개별 무형재산권의 가치를 산출할 수 있는 산업연관분석부와; AHP평가시스템으로부터 얻은 결과를 개별무형재산권의 가치에 반영하여 자산화 비율을 도출하는 계층화분석부로 구성된 자산화비율도출시스템과;
    자산화도출시스템의 계층화분석부에서 계층화 분석을 위하여 사용자들이 쌍대비교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AHP가중치입력부와; 개별 무형재산권에 대하여 전문가들이 정성적인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AHP평가부로 구성된 AHP평가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 무형자산가치평가시스템 및 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업무형자산가치평가시스템 내의 자산화비율도출시스템은 재무정보처리부와 산업연관분석부와 계층화분석부의 순서로 단계적인 계산을 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 무형자산가치평가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업무형자산가치평가시스템 내의 자산화비율도출시스템의 재무정보처리부의 계산을 위하여 정보입력시스템으로부터 입력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 무형자산가치평가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산화비율도출시스템의 재무정보처리부는 정보입력시스템의 재무정보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의 비용정보로부터 특허, 상표, 저작권과 관련된 계정을 구분하여 저장하는 단계;
    저장된 비용정보로부터 각 무형재산권의 값을 계산한 후 상호간의 효과를 상표권에 반영하는 단계;
    각 무형재산권의 가치를 특허 20년, 상표 10년, 저작권 20년의 기간으로 감가상각하여 각 무형재산권의 현재가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업 무형자산가치평가를 수행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산화비율도출시스템의 산업연관분석부는 정보입력시스템의 서지정보입력부로부터 국제특허분류코드와 패밀리수 및 산업-특허 연계표를 입력받고 중간수요입력부로 부터는 산업연관표를 입력받는 단계;
    산업-특허 연계표를 중심으로 산업연관표에서 기업의 개별특허권을 기준으로 관련된 산업의 중간수요를 추출하는 단계;
    국제특허분류와 패밀리수를 기준으로 중간수요를 사용하여 개별 특허의 실제 생산력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업 무형자산가치평가를 수행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산화비율도출시스템의 산업연관분석부는 정보입력시스템의 서지정보입력부로부터 상품분류-산업연관표를 입력받고 중간수요입력부로 부터는 산업연관표를 입력받는 단계;
    상품분류-산업연관표를 중심으로 산업연관표에서 기업의 개별상표권을 기준으로 관련된 산업의 중간수요를 추출하는 단계;
    각 상품분류별로 상표의 개수를 기준으로 중간수요를 사용하여 개별 상표의 파급력을 산출한 후 개별상표의 상품별 가치를 모두 합하여 실제 개별 상표권의 파급력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업 무형자산가치평가를 수행하는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산화비율도출시스템의 계층화분석부는 AHP평가시스템의 가중치입력부로부터 쌍대비교를 수행한 결과를 처리하는 단계;
    개별 무형재산권에 대하여 정성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자산화비율도출시스템의 개별 무형재산의 가치에 정성평가의 결과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업 무형자산가치평가를 수행하는 방법.



KR1020160059077A 2016-05-13 2016-05-13 비용접근법을 이용한 기업무형자산가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1280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077A KR20170128008A (ko) 2016-05-13 2016-05-13 비용접근법을 이용한 기업무형자산가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077A KR20170128008A (ko) 2016-05-13 2016-05-13 비용접근법을 이용한 기업무형자산가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008A true KR20170128008A (ko) 2017-11-22

Family

ID=60810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077A KR20170128008A (ko) 2016-05-13 2016-05-13 비용접근법을 이용한 기업무형자산가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800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22557A (zh) * 2017-05-03 2017-09-01 国网上海市电力公司 一种变压器分体冷却系统效能评价方法
CN108332696A (zh) * 2018-01-27 2018-07-27 中国地质科学院探矿工艺研究所 滑坡监测方法选择方法
CN109521672A (zh) * 2018-10-22 2019-03-26 东北大学 一种电弧炉供电曲线的智能选取方法
CN112184461A (zh) * 2020-10-19 2021-01-05 万汇链智能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供应链资产上链融资的管理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22557A (zh) * 2017-05-03 2017-09-01 国网上海市电力公司 一种变压器分体冷却系统效能评价方法
CN108332696A (zh) * 2018-01-27 2018-07-27 中国地质科学院探矿工艺研究所 滑坡监测方法选择方法
CN109521672A (zh) * 2018-10-22 2019-03-26 东北大学 一种电弧炉供电曲线的智能选取方法
CN109521672B (zh) * 2018-10-22 2021-08-13 东北大学 一种电弧炉供电曲线的智能选取方法
CN112184461A (zh) * 2020-10-19 2021-01-05 万汇链智能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供应链资产上链融资的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mkriangkrai et al.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profiles, stock returns, and financial policy: Australian evidence
Marti et al. Are firms that contribute to sustainable development better financially?
Grassi et al. Do we still need financial intermediation? The case of decentralized finance–DeFi
Jain et al. Value-relevanc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Evidence from short selling
Wu et al. Evaluating business performance of wealth management banks
Breuer et al. Investment Dynamics and Earnings‐Return Properties: A Structural Approach
Coleman et al.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s and corporate performance of firms in Nigeria and Ghana
KR20170128008A (ko) 비용접근법을 이용한 기업무형자산가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Mutai et al. Effects of supplier evaluation on procurement performance of public universities in Kenya
Alora et al. Development of a supply chain risk index for manufacturing supply chains
Han et al. A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evaluation model in the global construction industry
Iswanaji Challenges inhibiting Islamic banking growth in Indonesia using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Viviani et al. The effects of socially responsible dimensions on risk dynamics and risk predictability: A value-at-risk perspective
Zhao et al. Corporate social network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 perspective of interlocking directorates
Branch et al. Do socially responsible index investors incur an opportunity cost?
Morrós Materiality in sustainability reporting: multiple standards and looking for common principles and measurement. The case of the seven biggest groups in Spain
Hua et al. Busy audit committee members and internal control deficiencies
Engida et al. Investment inefficiency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Kiptis et al. Influence of Bancassurance on Financial Performance of Commercial Banks in Nakuru Town, Kenya
Mukhlis et al. Enterprise risk management to minimizing financial distress condition using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method in PT. XYZ
Budd Re-regulating the financial system: the return of state or societal corporatism?
Susan et al. A critical review of information asymmetry in the business cycle: How digital ledger technology can transform and sustain the business cycle
WO2015170152A1 (en) A methodology for analyzing private investment portfolios
Alora et al. Supplier selection among manufacturing companies based on their MSME partners’ supply chain finance adoption capability using BWM and VIKOR
MIEBI et al. Determinants Of Audit Quality Among Deposit Money Banks In Nigeria: An Empirical Ins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