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7730A - 체력 측정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체력 측정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7730A
KR20170127730A KR1020160058199A KR20160058199A KR20170127730A KR 20170127730 A KR20170127730 A KR 20170127730A KR 1020160058199 A KR1020160058199 A KR 1020160058199A KR 20160058199 A KR20160058199 A KR 20160058199A KR 20170127730 A KR20170127730 A KR 20170127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ysical strength
measurement
data
individual recognition
fi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진
Original Assignee
김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진 filed Critical 김용진
Priority to KR1020160058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7730A/ko
Publication of KR20170127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61Strain gau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체력 측정 자동화 시스템은 체력 측정 대상자가 착용하여 개별 인식코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개별인식장치와, 체력 측정 종목에 따라 체력 측정 대상자의 체력 측정 상태를 센싱하는 하나 이상의 체력측정장치와, 개별인식장치 및 체력측정장치와 연동되어 체력측정데이터를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릴레이장치와, 개별인식장치 및 릴레이장치와 연동되어 측정상태를 체크하도록 구성되는 측정자 단말기와, 릴레이장치와 연결되어 체력측정정보를 통합관리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체력 측정 자동화 시스템{AUTOMATIC SYSTEM FOR PHYSICAL TEST}
본 발명은 체력 측정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별 인식장치와 다양한 체력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통합적이고 종합적인 체력측정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는 체력 측정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초스피드의 정보화 사회물결 속에서 아웃도어의 신체활동보다는 인도어 공간에서의 정적활동에 익숙해지면서 정적인 생활습관으로 정착되어 충분한 신체활동량이 보장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 신체는 점차 쇠약일변도를 걷고 있으며 두드러진 비만 상승율과 생활습관병의 추세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각국에서는 학생들의 신체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테스트제도를 유지하고 있는데, 미국은 5종류의 체력평가 시상제를 하고 있고, 일본은 신체력 테스트 제도를 하고 있고, 중국은 국민 체력검사제도를 실행하여 청소년들 뿐만 아니라 청소년기 동안 참여했던 제도를 장년기까지 유지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지나친 입시위주의 교육과 초경쟁 사회로 접어들면서 체력상태가 저하되고 있는데, 2004년 체육과학연구원에서 우리나라 국민 5천여 명을 대상으로 체력정도를 조사한 결과, 청소년들은 체격 향상에 비해 체력은 급격하게 저하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청소년들의 키와 몸무게는 일본청소년과 중국청소년을 능가하는 동북아시아 최고 수준이지만, 체력에서는 1200m 달리기(심폐지구력), 제자리 멀리뛰기(순발력), 50m 달리기(스피드), 팔굽혀펴기(근지구력), 윗몸일으키기(근력), 앉아 윗몸 아래로 굽히기(유연성) 등 6개 부문에서 일본과 중국의 청소년에 비해 모두 뒤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스피드와 순발력에서는 크게 뒤쳐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2005년 교육부에서는 “학생체육 혁신방안”을 수립하였고, 2007년 “학생건강체력평가 시스템구축”을 하였으며, 2008년 전문가 의견수립 및 추진 계획안을 마련하여 현재 전국의 초, 중, 고에서 “학생 신체능력검사(PAPS)”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추세에도 불구하고, 현재 체력 측정 현장에서는 측정 인력의 부족, 전문화 및 특화된 측정장비의 부족으로 인해 평가가 형식적으로 측정되고 있으며, 본래의 취지인 “건강체력 중심의 종합체력평가 및 운동처방”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측정장비의 경우에는 고가의 측정장비로 인해 도입이 어렵고, 측정장비의 오류로 인해 신뢰성이 미확보되며, 범용 측정기구의 활용에 따른 데이터의 전산화 및 자동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체력 측정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데이터를 검출하지 못하기 때문에, 측정이 종료된 이후에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에 대한 보정이 어렵고 재측정을 실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00757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체력 측정 장치와 연동되어 측정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력 측정이 용이하고 데이터의 오류를 발견하여 실시간으로 보정할 수 있는 측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체력 측정 자동화 시스템은 체력 측정 대상자가 착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체력 측정 대상자의 개별 인식코드를 제공하는 개별인식장치; 체력 측정 종목에 따라 상기 체력 측정 대상자의 체력 측정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력측정장치; 상기 체력 측정 대상자의 체력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고 통합 관리하기 위한 메인서버; 상기 개별인식장치 또는 상기 체력측정장치와 연동되어 체력 측정 데이터를 센싱하거나 전달받아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체력 측정 데이터를 상기 메인서버에 전달하는 릴레이장치;및 상기 개별인식장치 또는 상기 릴레이장치와 연동되어 상기 체력 측정 대상자의 측정 데이터를 체크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측정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체력측정장치는 왕복오래달리기, 스텝검사, 오래달리기,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악력검사, 팔굽혀펴기, 50m 달리기, 및 제자리멀리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체력 측정항목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체력측정장치는 압력센서, 심박수 측정기, 초음파거리센서, 악력센서, 및 진동 및 굽힘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릴레이장치는 상기 체력측정장치, 상기 측정자 단말기, 또는 상기 메이서버와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개별인식장치를 인식하고 측정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센싱부; 상기 체력측정장치와 유무선 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체력측정장치에 의해 센싱된 데이터 정보를 처리하는 센서연결부; 상기 체력측정데이터를 검증하고 처리하기 위한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앙처리부는 상기 개별인식장치 또는 상기 체력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정 범위를 벗어나는 오류데이터를 검출하여 피드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앙처리부는 상기 메인서버에서 체력 측정 종목과 측정 대상자의 조건에 따라 빅데이터로 분석된 데이터값을 기준으로 측정된 정규 데이터를 기준으로 오류데이터를 검출하여 피드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체력 측정 자동화 시스템에 의하면, 측정 종목별로 특화된 체력측정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데이터를 측정하고, 메인서버에 의해 통합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체력 측정 및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체력 측정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오류를 발견하여 미리 고지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정하고 재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체력 측정 자동화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릴레이 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중앙처리부의 처리상태를 보인 데이터 처리 상태도.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체력 측정 자동화 시스템의 체력 측정 장치의 구성을 각 측정 종목별로 나타낸 도면.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력 측정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체력 측정 자동화 시스템은 PAPS(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와 같은 신체 활동 평가 시스템에 적용되기 위한 것으로서, 신체활동 평가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기 위한 통합적인 전문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체력 측정 자동화 시스템은 체력 측정 대상자가 착용하여 개별 인식코드를 제공하는 개별인식장치(100)와; 체력 측정 종목에 따라 체력 측정 대상자의 체력 측정 상태를 센싱하는 하나 이상의 체력측정장치(200)와; 상기 개별인식장치(100) 및 체력측정장치(200)와 연동되어 체력 측정 데이터를 메인서버로 전달하는 릴레이장치(300)와; 상기 개별인식장치(100) 및 릴레이장치(300)와 연동되어 측정 대상자의 측정상태를 체크하고 측정데이터의 오류여부를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측정자 단말기(400)와; 상기 릴레이장치(300)와 연결되어 체력측정정보를 통합관리하는 메인서버(500)를 포함한다.
개별인식장치(100)는 체력 측정 대상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릴레이장치(300)에 개별 인식코드를 제공하여 측정 대상자를 구분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개별인식장치(100)는 목걸이나 팔찌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얇고 가볍지만 내구성과 신축성이 있는 띠(110)와 소정 개수의 태그(120)를 포함할 수 있다.
개별인식장치(100)의 태그(120)에는 고유한 개별정보가 내장되어 있고, 각각의 개별정보를 체력 측정 대상자의 아이디와 일치시킴으로써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릴레이장치(300) 및 측정자 단말기(400)와 연동될 수 있다.
개별인식장치(100)는 RFID, NFC, Beacon, Zigbee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무선통신방식으로 네트워킹을 할 수 있으며, 개별인식장치(100)가 릴레이장치(300)나 측정자 단말기(400)에 근접하여 무선통신방식에 의해 상호 인식될 수 있다.
체력측정장치(200)는 체력 측정 종목에 따라 체력 측정 대상자의 체력 측정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서, 체력 측정항목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센서 및 장치들로 구성될 수 있다.
체력측정장치(200)에 의해 측정되는 측정항목은 왕복오래달리기, 스텝검사, 오래달리기,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악력검사, 팔굽혀펴기, 50m 달리기, 및 제자리멀리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왕복오래달리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거리(초등학교 15m, 중고등학교 20m)에 두 개의 아스콘(210)을 설치하고, 아스콘(210)의 왕복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체력을 측정하는 테스트이다.
왕복오래달리기는 일정 거리 이격된 두 개의 아스콘(210)에 각각 릴레이장치(300)를 설치하고 개별인식장치(100)를 착용한 측정 대상자가 아스콘(210)을 통과하면서 릴레이장치(300)에 인식된 시간 정보를 통해 측정시간 및 기록횟수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텝검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폐지구력 측정을 위한 항목으로서 심박수 측정기를 착용하고 측정자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일정 높이의 스텝박스를 한 발씩 오르고 내리는 동작을 3분 동안 반복하는 테스트이다.
스텝검사는 스텝박스(220)에 설치되는 압력센서(230)와, 측정 대상자가 착용하는 심박수 측정기(240)에 의해 측정될 수 있으며, 스텝박스(220)에 연결되는 릴레이장치(300)가 압력센서(230) 및 심박수 측정기(240)와 연결되어 스텝횟수 및 시간에 따른 심박수 측정결과를 측정할 수 있다.
오래 달리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해진 트랙을 돌기 위한 테스트로서 트랙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주의하여 정해진 거리를 완주하도록 하는 테스트이다.
오래 달리기는 트랙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릴레이장치(300)가 측정 대상자의 개별인식장치(100)와 연동되어 실시간으로 어느 정도의 거리를 어느 정도의 시간에 통과하는지를 센싱하고, 트랙 내로 측정 대상자가 들어오지 않도록 릴레이장치(300)가 경고음을 울리거나 신호를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자가 무릎을 편 상태로 윗몸을 앞으로 굽힘으로써 손가락 끝이 위치한 지점을 측정함으로써 유연성을 테스트하는 것이다.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는 측정 대상자의 손가락끝까지의 거리를 센싱하기 위한 초음파거리센서(250)와, 초음파거리센서(250)와 연동되는 릴레이장치(300)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악력검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손가락과 엄지 손가락의 협응성으로 손으로 물건을 쥐는 힘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의 악력계(260)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악력검사는 악력계(260)에 구비되는 악력센서(270)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팔굽혀펴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30cm의 팔굽혀펴기 봉을 잡고 팔을 굽혀 가슴과 봉사이의 거리가 10cm 이하가 되고 팔꿈치의 각도가 90도가 되도록 하는 테스트이다. 팔굽혀펴기는 진동 및 굽힘센서(280)를 측정 대상자에게 설치하여 측정 대상자가 일정 각도로 팔을 굽혀 펴기 동작을 몇회 하는지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다.
50m 달리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m 직선주로에 서서 측정자의 깃발이나 신호기가 땅에서 떨어지는 순간부터 주자의 몸통이 결승선에 닿을 때까지의 시간을 0.01초 단위로 측정하는 테스트이다.
50m 달리기는 출발선과 도착선에 설치된 아스콘(210)에 릴레이장치(300)를 설치하여 시간을 측정할 수 있으나, 별도의 초음파거리센서(250)를 도착선 아스콘(210)에 설치하여 더욱 정확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제자리 멀리뛰기는 제자리에서 멀리뛰는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테스트 패드에 설치되어 있는 압력센서(230)에 의해 출발선에서 가장 가깝게 센싱된 거리를 측정하여 테스트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체력측정장치(200)는 압력센서(230), 심박수 측정기(240), 초음파거리센서(250), 악력센서(270), 및 진동 및 굽힘센서(280)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장치(300)는 개별인식장치(100) 및 체력측정장치(200)와 연동되어 체력 측정 데이터를 메인서버(500)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체력측정장치(200) 기능의 수행도 가능함은 물론이고, 체력측정장치(20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릴레이장치(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력측정장치(200), 측정자 단말기(400), 또는 메인서버(500)와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부(310)와; 개별인식장치(100)를 인식하여 측정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센싱부(320)와; 체력측정장치(200)와 유무선 상으로 연결되기 위한 센서연결부(330)와; 릴레이장치(300)의 측정상태 및 오류상태 등을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40)와; 측정 대상자 또는 측정자에게 신호음을 전달하기 위한 음성부(350)와;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체력 측정 상태를 검증하기 위한 중앙처리부(360)를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주로 인터넷망을 통해 체력측정장치(200), 측정자 단말기(400), 또는 메인서버(500)와 네트워킹하고, 센싱부(320)는 앞서 말한 RFID, NFC, Beacon, 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에 의해 네트워킹한다.
센서연결부(330)는 체력측정장치(200)와 유무선 상으로 연결되기 위한 일종의 연결단자와 같은 것으로서, 체력측정장치(200)에서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중앙처리부(360)에 전달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40)를 통해 측정 대상자의 측정상태나 오류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음성부(350)에 의해 경고음 등을 제공하여 측정 대상자에게 주의를 주거나 이상 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중앙처리부(360)는 측정자 단말기(400) 또는 메인서버(500)와의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릴레이장치(300)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거나, 개별인식장치(100) 및 체력측정장치(200)로부터 측정된 데이터값을 분석하여 특정 범위를 벗어나는 오류 데이터를 검출하여 피드백함으로써 체력측정을 다시 하도록 하거나 오류를 수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3에는 중앙처리부(360)에 의해 측정 데이터 오류를 검증하는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인식장치(100) 또는 체력측정장치(200)로부터 측정데이터가 전달되면, 해당 데이터 값을 분석하여 기특정된 측정범위를 벗어하는 오류데이터를 검출해내도록 구성된다.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메인서버(500)에서 측정대상종목과 측정 대상자의 나이 등을 고려하여 빅데이터로 분석된 데이터값에 의해 일정한 값의 정규 데이터 범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정규 데이터가 중앙처리부(360)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처리부(360)로 측정데이터가 전달되면, 해당 측정데이터가 정규 데이터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범위에 포함되면 측정자 단말기(400) 및 메인 서버(500)로 데이터값을 전달하고, 해당 범위에서 벗어나면 측정자 단말기(400) 또는 메인 서버(500)에 오류 메시지를 전달한다.
가령, 측정 대상자의 개별인식장치(100)가 순간적으로 센싱되지 않아서 체력측정값이 측정되지 않거나 과도하게 높아지거나 낮아진 경우나, 체력측정장치(200)의 오류로 인해 정상범위를 벗어나서 측정값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에 측정자 또는 메인서버(500)에 오류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즉각적으로 재측정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측정 대상자가 장난으로 개별인식장치(100)를 서로 바꾸어 테스트함으로써 종전의 체력 측정 레벨과 다른 레벨로 측정되는 경우에는 의심 측정값으로 분류하여 측정자 단말기(400)에 전송함으로써 측정값 오류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가령, 측정 대상자의 이전 측정값이 체력기준표에 의해 정해지는 소정 범위 내에 있다고 판단되었는데, 특정 측정값에서 기설정된 체력기준표의 범위를 현저하게 상회하거나 현저하게 저하된 경우에는 측정값 오류 의심 경고를 생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측정 데이터의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는 중앙처리부(360)가 메인서버(500)나 측정자 단말기(400)에 오류 정보를 제공하고, 메인서버(500)나 측정자 단말기(400)에서 재측정을 입력하게 되면, 해당 개별인식장치(100)와 관련된 테스트 정보를 폐기하고, 다시 입력할 수 있도록 릴레이장치(300)를 셋팅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자 단말기(400)는 체력 측정자가 측정 대상자의 측정 데이터를 확인하고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단말기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측정자 단말기(400)는 체력 측정자에게 측정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고, 오류 데이터에 따라 측정자가 재측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메인서버(500)는 릴레이장치(300)로부터 전달되는 체력측정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고 인터넷 등을 통해 학교서버나 일반행정서버에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여 공유함으로써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체력 측정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측정되는 과정을 이하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체력 측정 대상자가 해당 체력 측정을 하기 위해 릴레이장치(300)에 본인의 개별코드를 인식시키는 개별인식단계(S100)가 수행된다.
개별인식단계(S100)를 통해 측정 대상자의 고유아이디가 릴레이장치(300)에 확인되면, 릴레이장치(300)에 의해 체력측정장치(200)에 체력 측정을 할 준비가 되고, 측정자 단말기(400)에 측정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고지한다.
그리고, 측정 대상자가 해당 체력 측정을 실시하면, 측정 대상자의 체력 측정 데이터를 취득하는 측정 데이터 수집단계(S200)가 수행된다. 측정 데이터 수집단계(S200)에서는 각 체력 측정 단계에 구비되는 체력측정장치(200)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가 릴레이장치(200)로 전달된다.
릴레이장치(200)로 측정 데이터가 전달되면, 릴레이장치(200)의 중앙처리부(360)에 의해 오류 데이터 검증단계(S300)가 실시된다. 오류 데이터 검증단계(S300)는 개별인식장치(100) 또는 체력측정장치(200)로부터 측정된 데이터값을 분석하여 특정 범위를 벗어나는 오류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이다.
오류 데이터 검증단계(S300)에서 오류 데이터로 검증이 되면, 측정자 단말기(400) 또는 메인 서버(500)에 오류 메시지를 전달하는 오류 메시지 전달단계(S400)가 수행된다. 오류 메시지가 전달되면, 측정자 단말기(400) 또는 메인 서버(500)를 통해 재측정 요청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체력 재측정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단계에 의해 데이터 오류가 수정되면, 메인서버(500) 및 측정자 단말기(400)에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측정 데이터 전송단계(S500)가 실시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체력 측정이 완료되면, 측정자 단말기(400) 또는 메인 서버(500)에 체력 측정 완료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가 수행되고, 최종 승인이 종료되면 체력 측정이 완료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개별인식장치 110 : 띠
120 : 테그 200 : 체력측정장치
230 : 압력센서 240 : 심박수 측정기
250 : 초음파거리센서 270 : 악력센서
280 : 진동 및 굽힘센서 300 : 릴레이장치
310 : 통신부 320 : 센싱부
330 : 센서연결부 340 : 디스플레이부
350 : 음성부 360 : 중앙처리부
400 : 측정자 단말기 500 : 메인서버

Claims (6)

  1. 체력 측정 대상자가 착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체력 측정 대상자의 개별 인식코드를 제공하는 개별인식장치;
    체력 측정 종목에 따라 상기 체력 측정 대상자의 체력 측정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력측정장치;
    상기 체력 측정 대상자의 체력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고 통합 관리하기 위한 메인서버;
    상기 개별인식장치 또는 상기 체력측정장치와 연동되어 체력 측정 데이터를 센싱하거나 전달받아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체력 측정 데이터를 상기 메인서버에 전달하는 릴레이장치;및
    상기 개별인식장치 또는 상기 릴레이장치와 연동되어 상기 체력 측정 대상자의 측정 데이터를 체크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측정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체력 측정 자동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력측정장치는
    왕복오래달리기, 스텝검사, 오래달리기,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악력검사, 팔굽혀펴기, 50m 달리기, 및 제자리멀리뛰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체력 측정항목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체력 측정 자동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력측정장치는
    압력센서, 심박수 측정기, 초음파거리센서, 악력센서, 및 진동 및 굽힘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체력 측정 자동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장치는
    상기 체력측정장치, 상기 측정자 단말기, 또는 상기 메이서버와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개별인식장치를 인식하고 측정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센싱부;
    상기 체력측정장치와 유무선 상으로 연결되고, 상기 체력측정장치에 의해 센싱된 데이터 정보를 처리하는 센서연결부;
    상기 체력측정데이터를 검증하고 처리하기 위한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체력 측정 자동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개별인식장치 또는 상기 체력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특정 범위를 벗어나는 오류데이터를 검출하여 피드백하도록 구성되는
    체력 측정 자동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메인서버에서 체력 측정 종목과 측정 대상자의 조건에 따라 빅데이터로 분석된 데이터값을 기준으로 측정된 정규 데이터를 기준으로 오류데이터를 검출하여 피드백하는
    체력 측정 자동화 시스템.
KR1020160058199A 2016-05-12 2016-05-12 체력 측정 자동화 시스템 KR20170127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199A KR20170127730A (ko) 2016-05-12 2016-05-12 체력 측정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199A KR20170127730A (ko) 2016-05-12 2016-05-12 체력 측정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730A true KR20170127730A (ko) 2017-11-22

Family

ID=60810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199A KR20170127730A (ko) 2016-05-12 2016-05-12 체력 측정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77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42940A4 (en) * 2019-10-31 2022-11-23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GAME EXPERIENCE SYSTEM
KR102604544B1 (ko) * 2023-05-31 2023-11-23 씨아이넷 주식회사 체력시험 항목에 기반한 체력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42940A4 (en) * 2019-10-31 2022-11-23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GAME EXPERIENCE SYSTEM
KR102604544B1 (ko) * 2023-05-31 2023-11-23 씨아이넷 주식회사 체력시험 항목에 기반한 체력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29510B (zh) 移动通信设备和通信方法
US20120109676A1 (en) Multiuser health monitoring using biometric identification
KR101509082B1 (ko)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체력검사 시스템
US20120197090A1 (en) Biomedical device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function and method thereof for user identification, biomedical data measurement, biomedical data upload/download, biomedical data management, and remote medical care
CN204909419U (zh) 一种人体生理指标检测装置
CN106994015A (zh) 身高检测方法和装置及根据身高检测体脂率的方法和系统
WO2006001602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exercise control of fitness center suitable for member's health condition and apparatus used therein
US20220133149A1 (en)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association between wireless sensors and a monitored patient
KR101859608B1 (ko) 운동량을 환산하여 화폐 유통이 가능한 핀테크 시스템
CN107847161A (zh) 生成患者的状况的指示符
AU2023204401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injury risk and athletic readiness
KR20170127730A (ko) 체력 측정 자동화 시스템
KR20160147297A (ko)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CN107865665A (zh) 一种心理测试系统
KR20170103704A (ko) 개인 식별 기능을 구비하는 신체 및 생체 정보 측정 및 관리 시스템
KR20100052951A (ko) 일체형 헬스케어 장치
KR20180104444A (ko) 건강 검진, 식사 및 운동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KR101277177B1 (ko) 운동 보조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운동보조 장치를 이용한 회원들의 운동능력 통합관리 시스템
CN105832283A (zh) 一种智能视力检测系统及方法
WO2011120524A1 (en) Sound device for indications of health condition
KR20200023915A (ko) 골밀도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
CN107349073A (zh) 一种临床护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70078420A (ko)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체력검정 방법 및 장치
CN103377313A (zh) 健康测量及管理系统
US20160339299A1 (en) Integrated impairment value calcul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