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7415A - Catheter - Google Patents

Cathe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7415A
KR20170127415A KR1020177022128A KR20177022128A KR20170127415A KR 20170127415 A KR20170127415 A KR 20170127415A KR 1020177022128 A KR1020177022128 A KR 1020177022128A KR 20177022128 A KR20177022128 A KR 20177022128A KR 20170127415 A KR20170127415 A KR 20170127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wire
slit
wire lumen
catheter
distal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21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51722B1 (en
Inventor
히로후미 미조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굿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굿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굿맨
Publication of KR20170127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4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7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5/09041Mechanisms for insertion of 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025/0177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having external means for receiving guide wires, wires or stiffening members, e.g. loops, clamps or later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025/018Catheters having a lateral opening for guiding elongated means lateral to the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025/0183Rapid exchange or monorail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025/0188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having slitted or breakaway lum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008Guide wires having a balloon

Abstract

체내 관강으로부터 잡아 뽑을 때의 가이드 와이어의 걸림을 회피할 수 있는, 신규 구조의 모노레일 타입의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에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이 형성된 모노레일 타입의 카테터(10)에 있어서,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에 인열 용이부(36)를 설치하고, 카테터(10)의 잡아 뽑기 시에 가이드 와이어가 걸렸을 때, 주벽부가 인열 용이부(36)에서 갈라져서 가이드 와이어가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으로부터 외부로 이탈할 수 있도록 하였다.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norail type catheter having a novel structure capable of avoiding engagement of a guide wire when pulled out from a body lumen.
A monorail type catheter 10 in which a guide wire lumen 20 is formed on a distal end portion 18 of a shaft 12 is provided with an easy tear portion 36 on the peripher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20, The guide wire is separated from the guidewire lumen 20 when the guidewire is caught at the time of pulling out the guide wire 10,

Description

카테터Catheter

본 발명은 의료 분야에서 사용되는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샤프트의 선단 부분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이 형성된 모노레일 타입의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heter used in the medical fiel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norail type catheter having a guide wire lume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shaft.

종래부터, 의료 분야에서는 각종 카테터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유저는, 카테터를 혈관이나 복강 등의 체내에 삽입하여 약액 등을 주입하거나 혈액이나 체액을 채취하는 것 이외에, 카테터를 통하여 체내에 삽입한 디바이스로 치료나 검사 등을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혈관의 협착 부위에 카테터를 삽입하고, 카테터 선단 부분에 설치된 벌룬으로 협착 부위를 확장함으로써 혈류를 회복시키는 시술 등이 행해지고 있다.BACKGROUND ART Various catheters have been used in the medical field. For example, the user can perform treatment, examination, or the like with a device inserted into the body through a catheter, in addition to inserting a catheter into a body such as a blood vessel or an abdominal cavity to inject a drug or the like, or to collect blood or body fluids. Specifically, for example, a procedure is performed in which a catheter is inserted into a stenotic region of a blood vessel and blood flow is restored by expanding a stenotic region with a balloon installed at a distal portion of the catheter.

이러한 카테터는, 일반적으로, 체외부터 경피적으로 혈관 등의 체내 관강에 삽입되어, 미리 관강에 도입한 가이드 와이어로 유도됨으로써, 처치해야 할 위치에까지 도달시켜진다. 그 때문에, 카테터에는, 가이드 와이어가 삽입 관통되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이 형성되어 있다. 카테터로서, 가이드 와이어 루멘이 샤프트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된 오버 더 와이어형의 카테터 이외에, 샤프트의 선단 부분에만 가이드 와이어 루멘이 형성된 래피드 익스체인지형 등의 모노레일 타입의 카테터가 알려져 있다. 모노레일 타입의 카테터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10-85339호 공보(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Such a catheter is generally inserted into a body lumen such as a blood vessel percutaneously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and is guided into the guide wire introduced into the lumen in advance, thereby reaching the position to be treated. Therefore, the catheter is provided with a guide wire lumen through which the guide wire is inserted. As a catheter, there is known a monorail-type catheter such as a rapid-wire-type catheter in which a guide wire lumen is formed over the entire length of a shaft, and a rapid-wire-type catheter in which a guide wire lumen is formed only at a distal end portion of a shaft. The monorail-type catheter is disclosed, for example,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85339 (Patent Document 1).

모노레일 타입의 카테터에서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선단측 포트가 카테터 선단면에 위치하고 있고,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기단측 포트가 카테터 외주면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전체 길이가 카테터의 전체 길이보다도 짧아진다. 그 때문에 카테터는, 가이드 와이어를 용이하게 삽입 잡아 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카테터의 삽입 잡아 뽑기에 필요해지는 가이드 와이어의 길이도 짧게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e mono-rail type catheter, the distal end side port of the guide wire lumen is located at the catheter distal end, and the proximal end port of the guide wire lumen is located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theter. Thereby, the total length of the guide wire lumen is shorter than the total length of the catheter. Therefore, the catheter is configured so that the guide wire can be easily inserted and pulled out, and the length of the guide wire required for inserting and pulling the catheter can be set to be short.

그런데, 모노레일 타입의 카테터에 있어서는, 가이드 와이어로 안내되어서 체내 관강에 삽입된 상태에서 잡아 뽑을 때, 체내 관강에 유치되는 가이드 와이어가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기단측 포트보다도 전방측에서 휘면, 기단측 포트에 원활하게 들어가지 않고 기단측 포트 주연에 걸려버릴 우려가 있었다.In the case of a monorail type catheter, when a guide wire is guided by a guide wire and is pulled out while being inserted into a body tube, a guide wire that is guided in the body tube is bent at a front side relative to the base end side port of the guide wire lumen,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ap is caught by the base of the base end port without smoothly entering.

이러한 가이드 와이어의 걸림이 발생하면, 카테터를 잡아뽑는 작업에 큰 지장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특히 휜 가이드 와이어가 루프상으로 되거나 하여 강하게 걸린 상태에서는, 카테터를 잡아 뽑지 못하게 될 우려도 있다. 카테터를 무리하게 잡아뽑으면, 가이드 와이어에 걸려 있는 기단측 포트 부근을 기점으로 카테터가 파단되어 선단측이 분리 탈락되어 버리는 경우도 생각된다.When such a guide wire is caught, it is inevitable that the operation of pulling out the catheter becomes a serious hindrance. In particular, when the fin guidewire is in a looped state and is strongly caugh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atheter can not be pulled out. When the catheter is forcibly pulled out,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catheter is broken from the vicinity of the proximal port on the guidewire and the distal end side is separated and dropped off.

일본 특허 공개 평10-85339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85339

여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사정을 배경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해결 과제로 하는 바는, 체내 관강으로부터 잡아 뽑을 때의 가이드 와이어의 걸림을 회피할 수 있는, 신규 구조의 모노레일 타입의 카테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circumstance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vel structure of a monorail type which can avoid hooking of a guide wire when pulled out from a tube in a body Catheter.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샤프트의 선단 부분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이 형성된 모노레일 타입의 카테터이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 길이 방향의 인열 강도가 둘레 방향에 비하여 작은 부분인 인열 용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s a monorail type catheter in which a guide wire lume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haft is formed, And an easy-to-tear portion, which is a small portion as compared with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본 형태에 따르는 구조로 된 카테터에서는, 체내 관강으로부터 잡아 뽑을 때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기단측 포트에 가이드 와이어가 걸리면, 기단측 포트 주연에 작용하는 걸림력이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 대하여 절입력이나 확대 개방력으로서 작용한다. 그 때,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는, 인열될 것을 예정하여 인열 강도가 작게 된 인열 용이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절입력이나 확대 개방력의 작용으로 인열 용이부가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도록 개방된다. 그 결과, 걸려 있었던 가이드 와이어는, 개방된 인열 용이부를 통하여 가이드 와이어 루멘으로부터 외부로 이탈하는 것이 허용되는 것이며, 가이드 와이어가 인열 용이부를 통하여 가이드 와이어 루멘으로부터 벗겨지게 된다.In the catheter having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guide wire is hooked on the proximal end port of the guide wire lumen when pulled out from the body lumen, the hooking force acting on the proximal end port of the proximal end side port And acts as an enlarged opening force. At this time,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of the guide wire lumen is provided with an easy tearable portion with a small tear strength intended to be tearable, so that the tearable portion is opened to facilitate the tear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result, the engaged guide wire is allowed to escape from the guide wire lumen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tearable portion, and the guide wire is peeled from the guide wire lumen through the tearable portion.

그 때문에, 걸린 가이드 와이어에 의해 카테터의 선단 부분에 과대한 외력이 미치는 것이 방지되어서, 카테터가 파단되어 선단측만이 분리되어버리는 문제도 방지된다. 그리고, 가이드 와이어가 인열 용이부를 통하여 가이드 와이어 루멘으로부터 벗겨짐으로써 가이드 와이어의 걸림이 해소된 카테터는, 가이드 와이어로부터 독립하여 체내 관강으로부터 용이하게 잡아뽑는 것이 가능해진다.Therefore, an excessive external force is prevented from being applied to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atheter by the engaged guide wire, thereby preventing the problem that the catheter is broken and only the distal end side is separated. The catheter in which the guide wire is released from the guide wire lumen through the easy-to-tear portion to thereby release the guide wire can be easily pulled out of the body tube independently of the guide wire.

따라서, 본 형태에 따르는 구조로 된 카테터에서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전체 길이가 짧게 되는 것에 의한 전술한 바와 같은 모노레일 타입의 카테터의 이점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가이드 와이어의 걸림에 의한 카테터 잡아 뽑기 조작 시의 문제가 방지되어, 양호한 조작성이 안정적으로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catheter having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advantage of the monorail type catheter as described above by shortening the overall length of the guide wire lumen can be attained without deteriorating the advantage of the catheter pulling- So that a good operability can be stably achieved.

또한, 본 형태에 있어서의 인열 용이부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 있어서 중심축과 대략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에 따라서,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걸림 시에 미치는 외력으로 더한층 원활하게 인열될 수 있다. 물론,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중심축에 대하여 경사나 만곡, 굴곡되거나 하는 형태로,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의 길이 방향으로 인열 용이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그에 따라서, 예를 들어 인열 강도의 조절 등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earable portion in this embodiment is form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enter axis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and accordingly, the tearable portion of the guide wire lumen . Of course, an easy tear portion may b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in such a manner as to be inclined, curved or bent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guide wire lumen. Thus, for example, adjustment of the tear strength It is also possible to do.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상기 인열 용이부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 있어서 벽 두께 방향으로 미관통인 절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arable portion includes a notched portion in the wall thickness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본 형태에 따르는 구조로 된 카테터에서는, 벽 두께 방향으로 미관통인 절입부의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주벽부의 인열 강도가 부분적으로 작게 되어서 인열 용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절입부가 미관통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주벽부에 있어서의 인열 용이부의 내인열 강도를, 미관통으로 남겨진 부분으로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절입부의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인열 용이부의 내인열 강도를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In the catheter having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y forming the slit of the perforated notch in the wall thickness direction, the tear strength of the circumferential wall can be partially reduced, and the tear easily can be formed. Furthe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ut-out portion is a non-tapered tub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inner heat intensity of the easy tear portion in the peripheral wall portion as a portion left by the aesthetic tube, and by controlling the depth of the tear portion,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set the heat intensity.

또한, 본 형태에 관련되는 미관통된 절입부는, 예를 들어 소정 두께로 형성된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 대하여 커터 등을 사용하여 소정 깊이로 미관통의 절입을 형성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지만, 이하의 형태에 기재한 바와 같이, 주벽부를 두께 방향으로 적층 구조로 하고, 특정한 층 부분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을 형성해 둠으로써도 실현 가능하다.Further, the not-penetrated notche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formed by forming a non-penetrating opening at a predetermined depth by using a cutter or the like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of the guide wire lumen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main wall part in a laminated structur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to form a slit penetrating a specific layer part in the thickness direction.

즉,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상기 제2 형태에 관한 카테터에 있어서, 내벽이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형성하는 통형 부재이며,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슬릿이 형성된 통형 부재인 제1 통형부와, 상기 제1 통형부에 대하여 벽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 통형부를 덮는 제2 통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입부는, 상기 제1 슬릿이, 상기 제2 통형부로 덮임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That is,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wherein the inner wall is a cylindrical member forming the guide wire lumen, and the first slit is a cylindrical member having a first slit penetrating in the wall thickness direction, And a second tubular portion that covers the first tubular portion in a wall thicknes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tubular portion, wherein the first slit is formed by covering the first tubular portion with the second tubular portion It is.

이렇게 적층 구조로 된 특정한 층 부분에만 관통하는 제1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 있어서 두께 방향으로 일정한 치수로 된 슬릿을 용이하게 또한 안정된 두께 방향의 치수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슬릿이 형성된 층의 내주면과 외주면의 양측에 각각 슬릿을 갖지 않는 통형부를 설치하여 슬릿을 덮음으로써, 슬릿의 개구를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 표면에 노출시키지 않고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By forming the first slit passing through only a specific layer portion of the laminated structure in this way, it becomes possible to easily form a slit having a constant dimens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of the guide wire lumen with a dimens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slit so that the opening of the slit is not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by providing the tubular portion having no slit on bo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ayer on which the first slit is formed .

본 발명의 제4 형태는, 상기 제1 내지 3 중 어느 형태에 관한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인열 용이부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 있어서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슬릿을 포함하는 것이다.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athete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aspects, wherein the tearable portion includes a second slit passing through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in the wall thickness direction.

본 형태에 따르는 구조로 된 카테터에서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 있어서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제2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주벽부의 인열 용이부를 보다 확실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슬릿은, 예를 들어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하여,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의 탄성이나 강성에 의해 당해 슬릿이 정상 시에는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는 한편, 가이드 와이어의 걸림으로 정상적이지 않은 외력이 미쳤을 때 인열 용이부로서의 슬릿이 개방되도록 해도 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슬릿은, 이하의 형태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In the catheter having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y forming the second slit which penetrates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in the wall thickness direction,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form the tear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wall. Further, the second slit in this embodiment is form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guide wire lumen, for example, and the slit is kept closed in the normal state due to the elasticity and rigidity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And the slit as an easy-to-tear portion may be opened when an un-normal external force is caused by the engagement of the guide wire. Particularly preferably, the second slit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with the following form.

즉, 본 발명의 제5 형태는, 상기 제4 형태에 관한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릿은,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의 길이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That is,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atheter of the fourth aspect, wherein the second slit is formed part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본 형태에 따르는 구조로 된 카테터에서는, 인열 용이부에 있어서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슬릿이 형성된 부분과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주벽부에 있어서의 인열 용이부의 내인열 강도를, 제2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슬릿이 형성된 부분과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길이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인열 용이부의 내인열 강도를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In the catheter having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re is a portion where the second slit penetrates in the wall thickness direction and a portion that is not formed in the tear easily, so that the inner heat resistance of the easy- It can be ensured at a portion where the second slit is not formed. It is also possible to appropriately set the heat resistance of the easy-to-tear portion by adjusting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slit is formed and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slit penetrat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wall.

또한, 본 형태에 관한 벽부를 관통하는 제2 슬릿은, 예를 들어 소정의 간격을 갖고 스티치형으로 형성되는 외에, 주벽부의 축방향 한쪽 단부로부터 타단부에까지는 이르지 않는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형태나, 주벽부의 축방향 중간 부분에 있어서 양단부까지는 이르지 않는 길이로 연장되는 형태 등, 임의의 길이나 수, 형상 등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형태에 관한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를 미관통의 절입부와, 제4 형태에 관한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를 관통하는 제2 슬릿을, 주벽부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다른 장소 등에 형성하여 병용하여 인열 용이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cond slit passing through the wall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stitched shape with a predetermined gap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that does not extend from one axial end of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to the other end And a shape extending in a length not reaching both end portions in the axial middle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second slit not passing through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of the second aspect and the second slit passing through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of the fourth embodiment at different plac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wall, So that the tearable portion can be constituted.

본 발명의 제6 형태는, 상기 제1 내지 5 중 어느 형태에 관한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기단측 포트는,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상기 주벽부에 있어서의 상기 인열 용이부를 향하여 개구 폭이 좁아지는 부분인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를 포함하는 것이다.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athete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ifth aspects, wherein the base end side port of the guide wire lumen is configured such tha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es a narrow opening edge which is a portion where the opening width becomes narrow toward the tearable portion.

본 형태에 따르는 구조로 된 카테터에서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기단측 포트가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인열 용이부를 향하여 개구 폭이 좁아지는 부분인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를 포함하고 있는 것에 의해, 걸린 가이드 와이어가 기단측 포트 내에서 인열 용이부를 향하여 유도되게 된다. 그 결과, 인열 용이부에 대하여, 걸린 가이드 와이어에 의한 인열력이 효율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의 인열에 의한 가이드 와이어의 이탈 작용이 더한층 안정적으로 달성되게 된다.In the catheter having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proximal end side port of the guide wire lumen includes a narrow opening edge which is a portion where the opening width is narrowed toward the easy tearabl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And is guided toward the tearable portion in the proximal port. As a result, the tearing force by the engaged guide wire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tearable portion, and the tearing action of the guide wire by the tearing of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can be achieved more stably.

본 발명의 제7 형태는, 상기 제1 내지 6 중 어느 형태에 관한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원위단측에 벌룬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기단측 포트는, 상기 벌룬보다도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A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atheter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sixth aspects, wherein a balloon is provided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shaft, and a proximal end port of the guide wire lumen has a distal end side As shown in FIG.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초음파 화상 진단 카테터(IVUS)나 흡인 카테터, 마이크로 카테터(관통용 카테터) 등, 모노레일 타입의 각종 카테터에 적용 가능한데, 특히 본 형태와 같은, 벌룬으로부터 선단측으로 연장한 카테터 선단 부분에만 짧은 가이드 와이어 루멘이 형성된 벌룬 카테터에도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벌룬 카테터에서는, 체내 관강의 만곡부에의 추종성 등을 고려하여 고도의 유연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은 가이드 와이어의 걸림에 기인하는 선단부의 파단 분리의 문제가 발생되기 쉬운 카테터에 있어서,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카테터 선단부의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걸린 가이드 와이어를 가이드 와이어 루멘으로부터 이탈시켜서 카테터 제거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monorail type catheters such as an ultrasonic diagnostic catheter (IVUS), a suction catheter, and a micro catheter (penetrating catheter). In particular, the catheter tip end portion extending from the balloon to the distal end side Lt; RTI ID = 0.0 > a < / RTI > short guide wire lumen. Such a balloon catheter is required to have a high degree of flexibility in consideration of the ability of a body tube to follow a curved portion and the like. Therefore, in a catheter in which a problem of fracture separation of a distal end portion, By applying the invention, it becomes possible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removing the catheter by releasing the engaged guide wire from the guide wire lumen while maintaining the flexibility of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본 발명에 따르는 구조로 된 모노레일 타입의 카테터에서는, 체내 관강으로부터의 잡아 뽑기 시에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기단측 포트에 가이드 와이어 루멘이 걸린 경우에,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 설치된 인열 용이부로부터 가이드 와이어가 루멘 밖으로 이탈될 수 있다. 그 때문에, 걸린 가이드 와이어에 의해 카테터 선단부에의 과대한 외력 작용이 방지되고, 카테터 선단부의 파단 분리도 방지되어, 카테터를 용이하게 잡아 뽑기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monorail type catheter having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uidewire lumen is caught in the proximal end port of the guide wire lumen at the time of pulling out from the body lumen, The wire may be pulled out of the lumen. Therefore, an excessiv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is prevented by the engaged guide wire, and fracture separa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is prevented. Thus, the catheter can be easily pulled 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벌룬 카테터의 전체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벌룬 카테터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벌룬 카테터에 있어서 가이드 와이어 루멘이 형성된 선단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IV-IV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벌룬 카테터를 구성하는 선단 튜브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델도이며, (a)는 종단면도, (b)는 횡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선단 튜브의 다른 형태를 모델적으로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선단 튜브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모델도이며, (a)는 종단면도, (b)는 횡단면도, (c)는 벌룬 카테터의 선단 부분에의 적용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면 설명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선단 튜브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모델도이며, (a)는 종단면도, (b)는 횡단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선단 튜브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모델도이며, (a)는 종단면도, (b)는 횡단면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선단 튜브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모델도이며, (a)는 종단면도, (b)는 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인 벌룬 카테터의 선단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 3에 대응한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있어서의 XII-XII 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entirety of a balloon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balloon catheter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enlargedly showing a distal end portion of the balloon catheter shown in Fig. 1 in which a guide wire lumen is formed;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in Fig.
FIG. 5 is a model view for explaining a structure of a distal end tube constituting the balloon catheter shown in FIG. 1, wherein FIG. 5 (a)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and FIG. 5 (b) is a transverse sectional view.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modelally showing another form of the tip tube shown in Fig. 5; Fig.
Fig. 7 is a model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distal end tube shown in Fig. 5, wherein (a)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Fig. 7 (b) is a transverse sectional view, and Fig. 7 Explanatory diagram.
FIG. 8 is a model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tip tube shown in FIG. 5, wherein FIG. 8A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and FIG. 8B is a transverse sectional view.
Fig. 9 is a model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tip tube shown in Fig. 5, wherein (a)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and Fig. 9 (b) is a transverse sectional view.
10 is a model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tip tube shown in Fig. 5, wherein (a)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and Fig. 10 (b) is a transverse sectional view.
Fig. 1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3, showing an enlarged front end portion of a balloon cath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I-XII in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카테터의 일 실시 형태인 벌룬 카테터(10)의 전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10)는 경피성 혈관 성형술의 시술 시에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시술자는, 선행하여 혈관에 삽입된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 벌룬 카테터(10)를 협착 또는 폐색한 혈관의 병변 부위에 삽입한다. 벌룬 카테터(10)는 선단측이 소정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혈관 내에 삽입된다. 시술자는, 벌룬 카테터(10)를 기단측에서 조작하여, 선단측에 설치된 벌룬으로 혈관의 병변 부위를 확장하여 혈류 회복의 처치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의 좌측 방향, 우측 방향은 각각, 벌룬 카테터(10)의 원위측, 근위측이다.FIG. 1 shows an overall view of a balloon catheter 10, which is one embodiment of a cath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loon catheter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in the procedure of percutaneous angioplasty.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practitioner inserts the balloon catheter 10 into the lesion site of the narrowed or occluded blood vessel along the guide wire previously inserted into the blood vessel. The balloon catheter 10 is inserted into the blood vessel until the distal end side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operator can operate the balloon catheter 10 on the proximal end side to expand the lesion portion of the blood vessel with the balloon provided on the distal end side to perform the blood flow recovery treatment.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FIG. 1 are the distal, proximal sides of the balloon catheter 10, respectively.

보다 상세하게는, 벌룬 카테터(10)는 소정 길이의 샤프트(12)를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12)의 기단에는, 허브(14)가 접속되어 있다. 기단은 수기자(手技者)의 근위측이다. 샤프트(12)의 선단 가까이에는, 직경 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벌룬(16)이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샤프트(12)와 허브(14)와 벌룬(16)을 포함하는 벌룬 카테터(10)의 기본 구조는, 상기 특허문헌 1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지의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balloon catheter 10 has a shaft 12 of a predetermined length. A hub 14 is connected to the base end of the shaft 12. The base is the proximal side of the handler. Near the tip of the shaft 12, a balloon 16 expandable in the radial direction is provided. The basic structure of the balloon catheter 10 including the shaft 12, the hub 14 and the balloon 16 is well known as described in the above patent document 1.

샤프트(12)의 내부에는, 허브(14)부터 벌룬(16)에까지 이르는 급배 루멘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허브(14)에 접속되는 외부 관로로부터 급배 루멘을 통해서, 압력 유체가 벌룬(16)에 대하여 급배 가능하다. 벌룬(16)은 압력 유체의 작용으로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다.In the interior of the shaft 12, a diverging lumen extending from the hub 14 to the balloon 16 is formed. Then, pressure fluid can be radiated to the balloon 16 from an external conduit connected to the hub 14 through the diverting lumen. The balloon 16 may expand and contract due to the action of the pressure fluid.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은 벌룬(16)의 선단측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선단측을 향하여 더 돌출되어 있다. 선단 부분(18)은 혈관에의 삽입시 등에 혈관벽에 닿기 쉽기 때문에 특히 유연하고 변형 용이함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샤프트(12)의 본체 부분보다도 연질의 재료로 형성된 선단 팁이, 샤프트(12)의 본체 부분의 선단에 고착되어도 된다. 즉, 선단 부분(18)은 선단 팁이 일체적으로 접속됨으로써 구성되어도 된다.The distal end portion 18 of the shaft 12 is further projected from the distal end side of the balloon 16 toward the distal end 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distal end portion 18 is preferably flexible and easy to deform because it easily touches the blood vessel wall at the time of insertion into the blood vessel. For this reason, for example, a tip end formed of a material softer than the body portion of the shaft 12 may be fixed to the tip of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shaft 12. That is, the tip portion 18 may be configured by integrally connecting the tip tips.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룬(16)으로부터 선단측으로 돌출된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에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의 좌측 방향, 우측 방향은 각각, 벌룬 카테터(10)의 원위측, 근위측이다.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은 선단 부분(18)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은 선단측 포트(22)와 기단측 포트(24) 사이에서 연장되는 관통 구멍이다. 선단측 포트(22)는 샤프트(12)의 선단면에서 개구되어 있다. 기단측 포트(24)는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의 외주면에서 개구되어 있다. 기단측 포트(24)는 벌룬(16)보다도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다.3, a guide wire lumen 20 is formed on the tip end portion 18 of the shaft 12 protruding from the balloon 16 toward the distal end side.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FIG. 3 are the distal, proximal sides of the balloon catheter 10, respectively. The guide wire lumen 2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in the tip portion 18. The guide wire lumen 20 is a through hole extending between the distal end side port 22 and the proximal end side port 24. The distal end side port (22) is opened at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shaft (12). The proximal end side port 24 is opened 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portion 18 of the shaft 12. And the proximal-end side port 24 is formed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balloon 16.

즉,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은 샤프트(12)에 있어서 벌룬(16)으로부터 돌출된 선단 부분(18)에만 형성되어 있다. 즉, 벌룬 카테터(10)는 가이드 와이어가 샤프트(12)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삽입 관통되지 않는 모노레일 타입의 카테터이다.That is, the guide wire lumen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only on the tip end portion 18 protruding from the balloon 16 in the shaft 12. That is, the balloon catheter 10 is a monorail type catheter in which the guide wire does not penetrate the entire length of the shaft 12.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기단측 포트(24)는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의 외주면에서 개구되는 개구부이다(도 2 참조). 기단측 포트(24)의 형상은, 소정의 위치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개구 폭이 양측으로부터 좁아져서 점차 작아지는 형상이다. 구체적으로는, 기단측 포트(24)는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26)를 포함한다.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26)는 선단을 향하여 개구 모서리의 폭이 좁아지는 모서리가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측 포트(24)의 주연부는,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약간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그 때문에, 기단측 포트(24)의 주연부의 높이 중,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26)의 선단의 높이가 가장 높다. 높이란,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축선으로부터의 최단 거리에 상당한다. 즉, 기단측 포트(24)의 주연부 중,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26)의 선단이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축선으로부터 가장 이격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ase end side port 24 of the guide wire lumen 20 is an opening portion opened 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p end portion 18 of the shaft 12 (see Fig. 2). The shape of the base end side port 24 is a shape in which the opening width narrows from both sides toward a tip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gradually decreases. Specifically, the proximal-side port 24 includes an opening edge 26 that has a narrow end. The end opening edge 26 is an edge that narrows the width of the opening edge towards the tip. 3, the peripheral edge of the base end side port 24 is inclined so as to become slightly higher from the base end side toward the tip end side. Therefore, the height of the tip of the opening edge 26 of the height of the peripheral edge of the base end side port 24 is the highest. The height corresponds to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axis of the guide wire lumen 20. That is, the distal end of the opening edge 26 of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base end side port 24 is most spaced from the axis of the guide wire lumen 20.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에 선단 튜브(30)가 배치되어 있다. 선단 튜브(30)는 대략 일정한 원형의 단면에서 연장되는 스트레이트한 통형 부재(제1 통형부)이다. 선단 튜브(30)는 샤프트(12)의 선단면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고,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기단측 포트(24) 가까이까지 연장되어 있다. 선단 튜브(30)의 내부 구멍이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을 형성하고 있다.Further, in this embodiment, the tip tube 30 is disposed at the tip end portion 18 of the shaft 12. The tip tube 30 is a straight tubular member (first tubular member) extending in a substantially constant circular cross section. The distal end tube 30 is directed from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shaft 12 to the proximal end side and extends to near the proximal end side port 24 of the guide wire lumen 20. The inner hole of the tip tube (30) forms the guide wire lumen (20).

또한, 제2 통형부로서의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은 벽 두께 방향으로 제1 통형부로서의 선단 튜브(30)를 덮는다. 즉, 선단 튜브(30)의 외주면은,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으로 대략 전체면이 덮여 있다. 그 때문에, 선단 부분(18)이 선단 튜브(30)를 덮고 있는 부분은, 선단 튜브(30)가 내주벽부이며,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이 외주벽부인 2층의 주벽 구조로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는, 내주벽부인 선단 튜브(30)와, 외주벽부인 선단 부분(18)으로 구성되는 2층의 주벽 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적층 구조의 주벽부는, 예를 들어 미리 준비한 선단 튜브(30)를 세트한 성형 캐비티에 소정의 수지 재료를 충전하고, 선단 튜브(30)의 외주면에 수지층을 성형함으로써, 수지 성형과 동시에 선단 튜브(30)가 일체화된 선단 부분(18)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The distal end portion 18 of the shaft 12 as the second tubular portion covers the distal end tube 30 as the first tubular portion in the wall thickness direction. That i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tube 30 is covered by the distal end portion 18 of the shaft 12, substantially entirely. Therefore, the portion of the distal end portion 18 covering the distal end tube 30 is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two-layered peripheral wall structure in which the distal end tube 30 is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and the distal end portion 18 of the shaft 12 is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 Thus,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20 includes a two-layered circumferential wall structure constituted by the distal end tube 30 as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and the distal end portion 18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The peripheral wall of the laminated structure is formed by filling a predetermined cavity with a predetermined resin material and forming a resin layer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end tube 30, And the tube 30 is formed by forming the integrated tip end portion 18.

또한,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을 형성하는 재질과 선단 튜브(30)를 형성하는 재질은 각각,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도에 따른 내약품성 등 외에, 전체적으로 샤프트 선단에 요구되는 유연성이나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인열성을 충족할 수 있도록, 연질의 합성 수지 재료가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폴리우레탄 수지나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등이,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과 선단 튜브(30)를 형성하는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material for forming the tip end portion 18 of the shaft 12 and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tip end tube 3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 soft synthetic resin material is preferably employed so as to satisfy the flexibility required at the tip of the shaft as a whole as well as the tear property requir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chemical resistance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Specifically, a polyurethane resin, a polyamide resin, a polyolefin, or the like can be preferably used as a material for forming the tip end portion 18 of the shaft 12 and the tip tube 30.

도 3부터 도 5를 참조하여,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에 설치된 인열 용이부(36)에 대하여 설명한다.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에 매설 상태로 배치된 선단 튜브(30)의 통벽부에는, 절입형 슬릿(32)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 튜브(30)에 형성된 슬릿(32)은 선단 튜브(30)의 통벽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제1 슬릿이다(도 4 참조). 또한 선단 튜브(30)의 길이 방향으로는, 슬릿(32)은 선단 튜브(30)보다도 짧은 길이로 부분적으로 형성된다(도 3 참조). 이에 의해, 선단 튜브(30)의 길이 방향으로 슬릿 미형성 부분(34)도 남겨져 있다. 슬릿 미형성 부분(34)은 슬릿(32)을 따라서 연장되는 가상선 상에 있어서, 슬릿(32)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다.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the easy-to-tear section 36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20 will be described. A slit 32 is formed in the wall of the front end tube 30, which is disposed in a state of being embedded in the front end portion 18 of the shaft 12. Particularly, in this embodiment, the slit 32 formed in the distal end tube 30 is the first slit passing through the wall portion of the distal end tube 30 in the thickness direction (see Fig. 4). In add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tal end tube 30, the slit 32 is partially formed to have a length shorter than the distal end tube 30 (see FIG. 3). As a result, the slit-formed portion 34 is also lef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tal end tube 30. The slit non-forming portion 34 is a portion where the slit 32 is not formed on an imaginary line extending along the slit 32.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도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단 튜브(3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선단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절입형 슬릿(32)과, 기단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절입형 슬릿(32)이 선단 튜브(30)에 형성되어 있다. 길이 방향에 있어서, 2개의 슬릿(32)의 사이가 슬릿 미형성 부분(34)이다. 또한, 선단 튜브(30)의 기단측 개구부는, 슬릿(32)의 형성 부분에 있어서 확대 개방되어 있다. 이 확대 개방된 부분에 들어가도록, 샤프트(12)의 기단측 포트(24)의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26)가 위치하고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tal end tube 30, a slit 32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distal end toward the proximal end, Shaped slit 32 is formed in the front end tube 30. [0051] As shown in Fi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pace between the two slits 32 is the slit forming portion 34. [ The opening at the base end side of the distal end tube 30 is enlarged at the portion where the slit 32 is formed. The small opening edge 26 of the base end side port 24 of the shaft 12 is located so as to enter the enlarged opening portion.

이와 같이,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를 구성하는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이 2층 구조로 되어 있고, 그 1층을 이루는 선단 튜브(30)에 슬릿(32)이 형성되어 있다. 선단 튜브(30)에 슬릿(32)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선단 부분(18)에 있어서의 인열 강도가, 슬릿(32)이 위치하는 둘레 상 위치에서 부분적으로 작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선단 부분(18)은 슬릿(32)을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인열되기 쉽게 되어 있다. 이렇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에, 선단 튜브(30)의 슬릿(32, 32)을 따라서 축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인열 용이부(36)가 설치되어 있다.Thus, the distal end portion 18 of the shaft 12 constituting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20 has a two-layer structure, and the slit 32 is formed in the front end tube 30 constituting the one-layer structure have. The slit 32 is formed in the front end tube 30 so that the tear strength at the front end portion 18 is partially reduced at the peripheral position where the slit 32 is located. As a result, the tip end portion 18 is liable to te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slit 32. In this embodiment, the tip portion 18 of the shaft 12 is provided with a tearable portion 36 that extends linearly along the slits 32, 32 of the tip tube 30 in the axial direction .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슬릿(32)은 선단 부분(18)의 둘레 상에서,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기단측 포트(24)가 형성되어 있는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다. 즉, 슬릿(32)의 연장선 상에는 기단측 포트(24)가 위치하고 있다. 기단측 포트(24)의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26)는 슬릿(32)을 향하여 개구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26)의 선단은 슬릿(32)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lit 32 is formed within the range where the base end side port 24 of the guide wire lumen 20 is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tip end portion 18. That is, the base end side port 24 is located on the extension of the slit 32. The opening edge 26 of the base end side port 24 is narrowed toward the slit 32 to have a narrow opening width. The tip of the opening edge 26 is located on the extension of the slit 32.

이러한 벌룬 카테터(10)를 사용하여 혈류 회복 처치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시술자는 가이드 와이어를 경피적으로 혈관 내에 삽입하여 선단을 병변 부위까지 유도한다. 그 후, 시술자는 벌룬 카테터(10)의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에 대하여 가이드 와이어를 기단측으로부터 삽입하고, 벌룬 카테터를 가이드 와이어를 따라서 혈관 내의 병변 부위까지 도입한다. 그 후, 허브(14)로부터 급배 루멘을 통해서, 벌룬(16)에 압력 유체를 공급하여 확장시킨다. 이에 의해 혈관의 병변 부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확장 처치 후에는, 급배 루멘(18)을 통하여 벌룬(16)으로부터 압력 유체를 배출시켜서 수축시키고 나서, 벌룬 카테터(10)를 혈관으로부터 발거하게 된다.In order to perform the blood flow restoration treatment using the balloon catheter 10, for example, the operator inserts the guide wire percutaneously into the blood vessel to guide the tip to the lesion site. Thereafter, the practitioner inserts the guide wire from the base end side with respect to the guide wire lumen 20 of the balloon catheter 10, and introduces the balloon catheter to the lesion portion in the blood vessel along the guide wire. Thereafter, pressure fluid is supplied to the balloon 16 from the hub 14 through the diverting lumen and expanded. Whereby the lesion area of the blood vessel can be expanded. After the expansion treatment, the pressure fluid is discharged from the balloon 16 through the delivery lumen 18 and contracted, and then the balloon catheter 10 is discharged from the blood vessel.

여기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벌룬 카테터(10)에서는, 혈관으로부터 발거할 때에 도 3에 가상선(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와이어(38)가 루프상 등으로 만곡되어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기단측 포트(24)에 걸린 상태에서, 벌룬 카테터(10)를 가이딩 카테터(미도시)로부터 발거할 수 없게 되거나, 기단측 포트(24)로부터 횡단 방향으로 파단되어 선단 부분(18)만이 혈관 내에 유치되어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방지된다.Here, in the balloon catheter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guide wire 38 is curved in the form of a loop or the like, as indicated by a virtual line (dotted chain line) in Fig. 3, The balloon catheter 10 can not be ejected from the guiding catheter (not shown) in the state where it is caught by the base end side port 24 of the base end side port 20, Is prevented from being attracted to the blood vessel.

즉, 가이드 와이어(38)가 만곡되어 기단측 포트(24)에 걸리면, 벌룬 카테터(10)에 외부로부터 가해진 잡아 뽑기력에 의해, 기단측 포트(24)의 개구 주연에 대하여 가이드 와이어(38)가 강하게 눌러진다. 이 누르는 힘은,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에 대하여 기단측 포트(24)의 개구 주연을 선단측을 향하여 밀어서 개방하여 인열하는 외력으로서 가해지게 된다. 그 결과,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는, 둘레 상에서 인열 강도가 국소적으로 작게 된 인열 용이부(36)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인열된다. 그것과 동시에, 가이드 와이어(38)가 인열 부분을 통과하여 가이드 와이어 루멘(20)부터 외부로 벗겨지게 된다.That is, when the guide wire 38 is bent and caught by the proximal-side port 24, the guide wire 38 is guided by the pulling force externally applied to the balloon catheter 10 against the opening edge of the proximal-side port 24, Is strongly pressed. The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peripher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20 as an external force to open and open the opening edge of the base end side port 24 toward the tip end side. As a result,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20 is tearable from the base end side to the tip end side by the external force in the tearable portion 36 whose tear strength is locally reduced on the periphery. At the same time, the guide wire 38 passes through the tearing portion and is peeled from the guide wire lumen 20 to the outside.

그리고,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에 있어서, 기단측 포트(24)로부터 서서히 인열 부분이 연장되어, 인열 부분이 선단측 포트(22)에까지 달하여 전체 길이에 걸치면,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으로부터 가이드 와이어(38)가 벗겨진다. 이에 의해 벌룬 카테터(10)에 대한 가이드 와이어(38)의 걸림이 완전히 해소된다. 따라서, 벌룬 카테터(20)의 혈관으로부터의 잡아 뽑기를, 가이드 와이어(38)에 의해 저해되는 일 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When the tear portion gradually extends from the proximal end side port 24 i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20 and the tear portion reaches the distal end side port 22 and extends over the entire length, The guide wire 38 is peeled off. Whereby the engagement of the guide wire 38 with respect to the balloon catheter 10 is completely eliminated. Therefore, the pulling out of the balloon catheter 20 from the blood vessel can be easily performed without being hindered by the guide wire 38.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단측 포트(24)에 있어서의 선단측 주연부는, 인열 용이부(36)를 향하여 점차 개구 폭이 좁아지는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26)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기단측 포트(24)에 걸린 가이드 와이어(38)의 눌림 위치는, 선단 개구 모서리(26)를 따라서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26)의 선단을 향하여 유도된다.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26)의 선단은 인열 용이부(36)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와이어(38)와 기단측 포트(24)의 접촉 부분이 인열 용이부(36)에 근접하는 위치에 유도되도록, 기단측 포트(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단측 포트(24)의 주연부에 대한 가이드 와이어(38)의 눌리는 힘이, 인열 용이부(36)에의 인열력으로서, 더한층 효율적으로 또한 안정적으로 작용한다.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38)의 걸림의 해제 작용이 안정적으로 발휘될 수 있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ading edge peripheral portion of the base end side port 24 includes a tapered opening edge 26 whose opening width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tearable portion 36. The pressed position of the guide wire 38 caught in the base end side port 24 is guided toward the tip of the opening edge 26 which is narrow along the leading end opening edge 26. [ The leading end of the opening edge 26 with an end is located on the extension of the tearable portion 36. The base end side port 24 is formed so that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guide wire 38 and the base end side port 24 is guided to a position close to the easy tear portion 36. [ The pressing force of the guide wire 38 against the peripheral edge of the base end side port 24 acts as a tearing force to the tearable portion 36 more efficiently and stably. Whereby the releasing action of the engagement of the guide wire 38 can be stably exhibit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 부분(18)을 구성하는 선단 튜브(30)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 슬릿 미형성 부분(34)이 남겨져 있다. 슬릿 미형성 부분(34)의 길이를 변경함으로써, 선단 부분(18)에 있어서의 내인열 강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lit non-forming portion 34 is left in the middl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tal end tube 30 constituting the distal end portion 18.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slit non-forming portion 34,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inner heat intensity at the tip portion 18.

또한, 슬릿 미형성 부분(34)이 존재하고 있더라도, 그 길이 방향 양측에 형성된 슬릿(32, 32)의 단부 간이, 인열 방향으로 접근하여 대향 위치하고 있는 점에서, 기단측의 슬릿(32)의 형성 부분을 따라서 선단 부분(18)에 생성시킨 인열부는, 길이 방향으로 대략 직선적으로 연장되고, 대략 연장선 상에 위치하는 선단측의 슬릿(32)의 형성 부분에 이르러 성장을 계속하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the slit non-forming portion 34 exists, the end portions of the slits 32, 32 form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re located closer to each other in the tearing direction so as to face each other, The phosphor portion generated in the tip portion 18 along the portion extends substantially linear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eaches the formation portion of the slit 32 on the tip side located on the substantially extended line and continues to grow.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슬릿(32)이 선단 튜브(30)의 선단 개구부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선단 튜브(30)의 선단 개구부의 변형 강성 나아가서는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에 있어서의 선단 개구부의 변형 강성이, 슬릿(32)에 의해 한층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특히 혈관 등의 관강 내면에 닿기 쉬운 샤프트(12)의 최첨단부를 기단측과 비교하여 유연하게 설정하는 것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샤프트(12)의 최첨단부를 더한층 유연하게 설정하기 위해서, 선단 튜브(30)의 선단 개구부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절입을, 상술한 인열 용이부(36)를 구성하는 슬릿(32)과는 별도로, 둘레 상의 적절한 위치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lit 32 is formed toward the proximal end side from the distal end opening of the distal end tube 30. The deformation rigidity of the distal end opening of the distal end tube 30 and the deformation rigidity of the distal end opening of the distal end portion 18 of the shaft 12 are further reduced by the slit 32. [ Thus, it is easy to set the most advanced portion of the shaft 12, which tends to touch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such as a blood vessel, more flexibly than the base end. In order to further set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shaft 12 to be more flexible, the infiltration extending from the distal end opening of the distal end tube 30 toward the proximal end side is formed by the slit 32 constituting the aforementioned tearable portion 36 It is also possible to form it at an appropriate position on the periphery.

그런데, 상술한 실시 형태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를 구성하는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에 있어서의 인열 용이부(36)의 일 형태를 예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선단 부분(18)의 인열 강도를 둘레 상의 특정 부위에서 저하시킨 각종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몇 가지의 다른 형태를 이하에 예시한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xemplifies one form of the tear-off portion 36 at the tip end portion 18 of the shaft 12 constituting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20.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opt various shapes in which the tear strength of the tip portion 18 is lowered at a specific peripheral portion. Some of the other forms are illustrated below.

도 6은, 상기 실시 형태에서 채용되고 있었던 선단 튜브에 있어서, 슬릿의 형성 부분과 미형성 부분의 다른 형태를 예시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형태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조로 된 선단 튜브(40)에 있어서,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42)이 축방향으로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본 형태의 선단 튜브(40)에서는, 슬릿(42)은 축방향에 있어서 기단으로부터 중앙을 넘어서 선단 가까이까지 연장되고, 슬릿 미형성 부분(44)은 슬릿(42)의 선단으로부터 선단 튜브(40)의 선단까지 연장되어 있다.Fig. 6 illustrates another form of the slit forming portion and the non-forming portion in the front end tube adopted in the above embodiment. 6, a slit 42 penetrating in the wall thickness direction of the front end tube 40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axially extended from the proximal end side toward the distal end side to a predetermined length Respectively. That is, in the tip tube 4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lit 42 extends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base end to near the distal end, and the slit non-forming portion 44 extends from the tip of the slit 42 40).

이러한 형태의 선단 튜브(40)도,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선단 튜브(30) 대신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형태도,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형태의 선단 튜브(40)에서는, 축방향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하나의 슬릿(42)(제1 슬릿)을 형성하면 되므로, 축방향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슬릿을 구비한 상기 실시 형태의 선단 튜브(30)에 비하여 제작도 용이하게 된다.This type of end tube 40 can also be used in place of the end tube 30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This embodiment can obtain the same operational effec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Particularly, in the tip tube 40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one slit 42 (first slit) extending from one axial direction to the other is formed,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tip tube 40 with two slits extending from both sides in the axial direction It is easier to manufacture than the tip tube 3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또한, 도 7에는, 상기 실시 형태에서 채용되고 있던 선단 튜브 대신에 채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선단 튜브(46)가 도시되어 있다. 본 형태의 선단 튜브(46)는 전체 길이에 걸쳐서 대략 원통 형상이다. 선단 튜브(46)에는, 각각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슬릿(48)(제1 슬릿)이 대략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슬릿(48)은 동일선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슬릿(48)은 각각,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복수의 슬릿(48) 중 인접하는 슬릿(48)의 사이는,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슬릿 미형성 부분(49)이다. 바꾸어 말하면, 본 형태에서는, 슬릿(48)과 슬릿 미형성 부분(49)이 교대로 형성되고, 인열 용이부는 스티치(또는 절취선) 형의 슬릿으로 형성되어 있다.7 shows another type of tip tube 46 that can be employed in place of the tip tube employed in the above embodiment. The tip tube 46 of this embodiment is substantially cylindrical in shape over its entire length. A plurality of slits 48 (first slits)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re formed in the tip tube 46 at substantially regular intervals. A plurality of slits 48 are formed on the same line. Each of the plurality of slits 48 has a predetermined length. The portion of the plurality of slits 48 between adjacent slits 48 is a slit-formed portion 49 where no slit is formed. In other words, in this embodiment, the slit 48 and the slit non-forming portion 49 are formed alternately, and the easy tear portion is formed by a slit of a stitch (or perforated line) type.

이러한 형태의 선단 튜브(46)도, 도 7의 (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선단 튜브(30) 대신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에 의해,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슬릿(48)이 단속적으로 형성된 부위에 있어서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열 용이부(36)를 형성하여,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The tip tube 46 of this type can also be used in place of the end tube 30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c). Thereby,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tearable portion 36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20 at the portion where the slit 48 is intermittently formed, The same function and effect can be exerted.

본 형태에서는, 슬릿(48)과 슬릿 미형성 부분(49)이 교대로 위치하므로, 인열 용이부에 있어서 인열 강도가 약한 부분과 강한 부분이 교대로 위치한다. 그 때문에, 걸린 가이드 와이어(38)로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가 인열될 때에, 벌룬 카테터(10)를 잡아뽑는 시술자의 조작 손에 대하여 인열 용이부를 인열하고 있는 감촉이 더한층 전해지기 쉬워, 시술자의 의식을 적극적으로 일으킴으로써 보다 신중한 수기(手技)를 의식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슬릿(48)의 각각의 길이는 대략 동일하다. 그러나 복수의 슬릿(48)의 길이는 서로 상이해도 된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slit 48 and the slit non-forming portion 49 are alternately arranged, the weak tear strength portion and the strong portion are alternately positioned in the tear easily. Therefore, when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of the guide wire lumen 20 is torn by the caught guide wire 38, the feeling tearing the easy tear portion of the operation hand of the practitioner pulling out the balloon catheter 10 is more likely to be transmitted, By actively raising the consciousness of the practitioner, it becomes possible to become conscious of more careful hand technique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slits 48 are approximately the same. However, the lengths of the plurality of slits 48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그런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상기 실시 형태나 도 6 내지 도 7에 도시한 다른 형태와 같이, 선단 튜브의 길이 방향으로 슬릿 형성 부분과 슬릿 미형성 부분이 형성되는 경우, 축방향에 있어서, 슬릿 형성 부분의 합계 길이는 슬릿 미형성 부분의 합계 길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38)가 걸렸을 때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가 인열 용이부(36)에 있어서 보다 원활하게 인열되어서 가이드 와이어(38)의 이탈이 실현된다.However, when the slit forming portion and the slit forming portion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ading end tub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5 and other forms shown in Figs. 6 to 7, , The total length of the slit forming portions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total length of the slit forming portions. As a result, when the guide wire 38 is caught,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20 tears more smoothly in the tearable portion 36, and the guide wire 38 is released.

또한, 도 7의 (c)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3에 대응하는 종단면도이며,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조로 된 부재나 부위에 대해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해 둔다. 또한, 도 7의 (a), (b)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도 5에 대응하는 모델도이며, 실제의 축척에 상관없이 특징적인 구성 부분을 알기 쉽게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본 형태의 선단 튜브(46)의 기단측은, 도 5의 (a), (b)에 도시된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절개되어서 확대 개방된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Fig. 7C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3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members and parts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ose of the above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 will give it. 7 (a) and 7 (b) are model views corresponding to FIG. 5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characteristic constituent parts are enlarged and shown for easy understanding regardless of the actual scale.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distal end tube 46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into a tapered shape that is cut open and enlarged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hown in Figs. 5A and 5B.

또한, 도 7에 도시한 선단 튜브(46) 대신에 채용될 수 있는, 또 다른 형태의 선단 튜브가, 각각, 도 8의 (a), (b), 도 9의 (a), (b), 도 10의 (a), (b)에 도시되어 있다.8 (a), 9 (b), 9 (a), and 9 (b),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end tube shown in Fig. 7, , And Figs. 10 (a) and 10 (b).

도 8의 (a), (b)에 도시한 선단 튜브(50)에는, 둘레 상의 1개소를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까지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슬릿(52)(제1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형태의 선단 튜브(50)는 슬릿(52)에 의해 전체 길이에 걸쳐서 갈라져 있다. 그리고, 이 슬릿(52)이 선단 튜브(50)의 외층을 이루는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으로 덮임으로써, 인열 용이부(36)가 형성된다.The end tube 50 shown in Figs. 8A and 8B is provided with a slit 52 (one end portion of the slit 52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base end side to the tip end side) 1 slit) are formed. That is, the end tube 50 of this embodiment is divided over the entire length by the slit 52. The slit 52 is covered with the tip end portion 18 of the shaft 12 constituting the outer layer of the front end tube 50 so that the tearable portion 36 is formed.

도 9의 (a), (b)에 도시한 선단 튜브(56)에는,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하여 벽 두께 방향으로 미관통의 깊이로 형성된 슬릿(58)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58)은 선단 튜브(56)의 기단부터 선단까지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된다. 그리고, 슬릿(58)이 형성된 선단 튜브(56)의 외주면이,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으로 덮여서 2층 구조로 됨으로써,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에 인열 용이부(36)가 형성된다.9 (a) and 9 (b), a slit 58 is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depth not penetrating in the wall thickness direction. The slit 58 extends continuously from the base end to the tip of the tip tube 56 in the axial direc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tube 56 in which the slit 58 is formed is covered with the distal end portion 18 of the shaft 12 to have a two-layer structure, whereby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wire lumen 20 is easily torn 36 are formed.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선단 튜브(50, 56)에는, 축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대략 일정 단면으로 연장되는 슬릿(52, 58)에 의해 인열 용이부(36)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선단 튜브(50, 56)에 설치된 인열 용이부의 내인열 강도는, 전체 길이에 걸쳐서 대략 일정하다. 그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38)가 걸렸을 때,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가, 인열 용이부(36)를 따라서 더한층 원활하게 안정적으로 인열되어서 가이드 와이어의 걸림이 해소될 수 있다.The tip tubes 50 and 56 shown in Figs. 8 and 9 are formed with the tearable portions 36 by the slits 52 and 58 extending substantially in a certain section over the entire axial length. Therefore, the heat intensity of the inner portion of the easy-to-tear portion provided on the end tubes 50, 56 is substantially constant over the entire length. Therefore, when the guide wire 38 is caught,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of the guide wire lumen 20 can stably tear more smoothly along the tearable portion 36, so that the engagement of the guide wire can be solved.

도 9에 도시한 선단 튜브(56)에서는, 인열 용이부에 있어서의 내인열 강도가 길이 방향에 있어서 변화해도 된다. 예를 들어 슬릿(58)의 벽 두께 방향의 깊이가, 선단 튜브(56)의 길이 방향으로 상이해도 된다.In the tip tube 56 shown in Fig. 9, the inner heat intensity at the easy tear portion may chan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the depth of the slit 58 in the wall thickness direction may be differ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tal tube 56.

또한, 도 10의 (a), (b)에 도시한 선단 튜브(60)에는, 도 8에 도시한 선단 튜브(50)와 마찬가지로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62)(제1 슬릿)이 축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단 튜브(60)의 외주에는, 대략 원환상의 마커(64)가 장착되어 있다. 이 마커(64)는 예를 들어 백금 등의 X선 불투과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시술중의 X선에 의한 시인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축방향 길이를 갖는다.10 (a) and 10 (b), a slit 62 (first slit) penetrating in the wall thickness direction is formed in the distal tube 60 in the same manner as the distal tube 50 shown in Fig. 8 And are continuously formed over the entire axial length. Further,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eading end tube 60, a substantially circular marker 64 is mounted. The marker 64 is formed of, for example, an X-ray opaque material such as platinum, and has an appropriate axial length in consideration of visibility by X-rays during the procedure.

또한, 이러한 마커(64)는 반주를 초과하는 둘레 방향 길이를 가짐으로써, 선단 튜브(60)의 외주면에 걸림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커(64)에는 둘레 상의 1개소에서 분단된 개구부(66)가 형성되어 있다. 마커(64)가 선단 튜브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개구부(66)는 선단 튜브(60)의 슬릿(62)에 대하여 둘레 상에서 동일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In addition, the marker 64 has a circumferential length exceeding half the circumference, so that the marker 64 is hook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tube 60. The marker 64 is formed with an opening 66 divided from one perimeter. In the state where the marker 64 is mounted on the distal tube, the opening 66 is located at the same circumferenti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lit 62 of the distal tube 60.

그리고, 마커(64)가 장착된 선단 튜브(60)의 외주면이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으로 덮임으로써, 가이드 와이어 루멘은 2층의 주벽 구조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슬릿(62)과 개구부(66)는 둘레 상에서 동일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둘레 상에 있어서 슬릿(62)과 개구부(66)가 위치하는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하여 길이 방향의 인열 강도가 작다. 이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가 걸렸을 때,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 있어서, 슬릿(62)으로부터 마커(64)의 개구부(66)를 통과하여 외주면에 이르는 인열부가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게 된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tube 60 on which the marker 64 is mounted is covered with the distal end portion 18 of the shaft 12 so that the guide wire lumen is constituted by a two-layer peripheral wall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slit 62 and the opening 66 are located at the same position on the circumference. Therefore, the portion where the slit 62 and the opening 66 are located on the periphery has a smaller tear str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the other portions. As a result, when the guide wire is caught, a tear portion extending from the slit 62 through the opening 66 of the marker 64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through the wall thickness direction .

그 때문에,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시술중에 X선으로 인식할 수 있는 마커(64)의 장착 구조와 아울러,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에 있어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란,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열 용이부(36)를 형성하고, 벌룬 카테터(10)의 잡아 뽑기 시에의 가이드 와이어의 걸림을 빠르게 해소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same operation and effect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e tip portion 18 of the shaft 12, in addition to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marker 64 which can be recognized by X-rays during the procedure. The same operation and effect as those of the above embodiment are obtained by forming the tearable portion 36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20 and preventing the guide wire from being caught by the balloon catheter 10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quickly.

또한, 도 10에 도시된 형태에 있어서 사용되는 선단 튜브(60)의 슬릿 구조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도 5 내지 9에 도시한 슬릿 구조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용이하게 파단할 수 있는 재질이나 형상 치수를 사용하면, 반드시 마커(64)의 둘레 상에 개구부(66)가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걸린 가이드 와이어(38)로 미치게 되는 외력으로 절단되는 링형의 마커(64)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마커(64)의 구체적 형상이나 수도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선단 튜브(6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마커가 장착되어도 된다.Further, the slit structure of the end tube 60 us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one, and for example, the slit structure shown in Figs. 5 to 9 may be used. In addition, by using a material or a shape dimension that can be easily broken, the opening 66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marker 64. For example, a ring-shaped marker 64 may be used which is cut by an external force that is pulled by the engaged guide wire 38. The specific shape and the number of the markers 64 are not limited. For example, a plurality of markers may be moun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nd tube 60.

상술한 기재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각각 슬릿(32, 42, 48, 52, 58, 62)이 형성된 선단 튜브(30, 40, 46, 50, 56, 60)를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으로 덮음으로써,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에 있어서 벽 두께 방향으로 미관통인 절입부를 포함하는 인열 용이부(36)가 구성되어 있다.The front end tubes 30, 40, 46, 50, 56 and 60, in which the slits 32, 42, 48, 52, 58 and 62 are formed, 12 is covered with the leading end portion 18 of the guide wire lumen 20 so as to constitute an easy tear portion 36 including a notched tear por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20.

또한,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를 구성하는 샤프트(12)의 선단 부분(18)에 있어서의 인열 용이부(36)는 전술한 바와 같은 선단 튜브(30, 40, 46, 50, 56, 60)를 채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지만, 그러한 선단 튜브를 사용하지 않아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tearable portion 36 at the tip end portion 18 of the shaft 12 constituting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20 has the tip tubes 30, 40, 46, 50, 56, 60, but it is also possible to realize it without using such a tip tube.

구체적으로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는 선단 튜브를 사용하지 않고 단일의 수지층을 포함하는 선단 부분(18)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1 내지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단 부분(18)의 외주벽으로부터 내주벽을 향하여 벽 두께 방향으로 소정 깊이로 연장되는 슬릿(70)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에 있어서 벽 두께 방향으로 미관통인 절입부를 포함하는 인열 용이부(36)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슬릿(70)은 선단 부분(18)의 내주벽으로부터 외주벽을 향하여 벽 두께 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도 된다.Specifically,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20 may be composed of a tip portion 18 including a single resin layer without using a tip tube.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1 to 12, by forming the slit 7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al wall of the leading end portion 18 to the inner peripheral wall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wall, It is also possible to constitute the easy-to-tear portion 36 including the notched portion in the wall thickness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of the base 20. The slit 70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wall thickness direction from the inner peripheral wall of the tip end portion 18 toward the outer peripheral wall.

또한, 이러한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는 선단 부분(18)에 있어서도,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제2 슬릿)을 축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형성하거나, 축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스티치형으로 형성되거나,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제2 슬릿)을 축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해도 된다.Also in this single-layered tip portion 18, a slit (second slit) penetrating in the wall thickness direction may be partially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or may be formed in a stitch shape intermittently in the axial direction, (Second slit) may be formed to extend over the entire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또한,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는 선단 부분(18)에도,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마커(64)가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에 장착되어도 된다.10, the markers 64 may also be mounted o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20 in the tip portion 18 formed of a single layer.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서로 다른 형태 몇 가지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구체적 형태예에 관한 기재에 의해 전혀 한정적으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예를 들어,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는 3층 이상의 적층 구조여도 된다. 이 경우, 인열 용이부는, 3층 이상의 복수의 층 중 1개 이상의 층에 대하여 슬릿이 형성됨으로써 설치되어도 된다. For example,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may have a laminated structure of three or more layers. In this case, the tearable portion may be provided by forming a slit in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layers of three or more layers.

또한,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 있어서의 인열 용이부의 구체적 형태로서는, 예시한 바와 같은 슬릿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편조한 카본 섬유 등의 강화 섬유를 통형으로 하여 주벽부에 매설할 때에, 통상의 강화 섬유에 있어서 둘레 상의 소정의 위치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단부를 형성함으로써,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주벽부에 있어서 벽 두께 방향으로 미관통인 절입부를 포함하는 인열 용이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인열 용이부는, 슬릿과 절단부의 조합으로 구성되어도 된다.The specific shape of the easy-to-tear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of the guide wire lumen is not limited to the slit as illustrated. For example, when reinforcing fibers such as braided carbon fibers are tubularly embedded in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a cut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peripheral position of the ordinary reinforcing fiber is formed, thereby forming the guide wire lumen 20 It is also possible to constitute an easy-to-tear portion including a notched por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wall. The tearable portion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e slit and the cut portion.

또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를 구성하는 수지층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배향시킨 단섬유를 배합하거나, 수지의 분자 구조의 배열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등에 의해, 둘레 방향에 비하여 축방향의 인열 강도를 저하시켜서 인열 용이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a staple fiber orie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blended with the resin layer constituti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uide wire lumen, or by aligning the molecular structure of the res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an easy tear portion.

상술한 설명으로부터도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에 있어서의 인열 용이부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인열 강도가 둘레 상에서 부분적으로 작게 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외주벽에 있어서 둘레 상에서 특정된 개소에만 인열 용이부가 형성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실시 형태나 복수의 다른 형태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가이드 와이어 루멘(20)의 외주벽의 둘레 상에서 1개소에만 인열 용이부를 설정함으로써, 인열이 예정되는 부위를 특정하여 설계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은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섬유 배향이나 분자 배열의 편향 등에 의해 둘레 상의 복수 개소에 인열 용이부가 설정되는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걸림에 수반하는 외력은 1개소에 집중적으로 작용하여 1개소의 인열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처음에 인열이 전체 길이에 이른 인열 용이부를 통하여 가이드 와이어가 이탈되기 때문에, 목적으로 하는 가이드 와이어의 이탈 작용은 유효하게 발휘될 수 있다.As is understood from the above descrip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earable portion of 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partially reducing the tear str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in which the tear-off easy portion is formed only at the position specified on the periphery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20. That is, as show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plurality of other forms, it is possible to specify and design a region where tearing is to be carried out by setting the easy-to-tear portion only at one place around the outer peripher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20 There is an advantage of. However, even when an easy tearing is set at a plurality of locations on the circumference by, for example, fiber orientation or deflection of molecular arrangement, an external force accompanying the engagement of the guide wire lumen generally acts at one location,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urther, since the guide wire is released through the tearable portion where the tear reaches the entire length at the beginning, the desired release action of the guide wire can be effectively exhibited.

또한, 둘레 상에서 복수 개소에 인열 용이부가 설치되어도 된다. 즉,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는, 복수의 인열 용이부가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가이드 와이어의 걸림 위치가 예정하지 않은 개소에 발생한 경우나 어떤 원인으로 하나의 인열 용이부에서의 인열이 저해된 경우에도, 다른 인열 용이부에 있어서의 인열 작용을 페일세이프적으로 기능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그 경우에, 복수의 인열 용이부의 내인열 강도가 서로 상이하도록, 복수의 인열 용이부를 설치함으로써, 인열이 발생하는 개소에 순위 부여를 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an easy tear portion may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on the periphery. That is, a plurality of tearable portions may be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In this case, even when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guide wire occurs at an unspecified position or the tearing at one tearable portion is inhibited for some reason, the tearing action at the other tearable portion is made functioning fail-safe .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o place a plurality of tear-easily-accessible portions so that the tear strength of the plurality of tear-easily portion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by assigning a ranking to portions where tearing occurs.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벌룬 카테터를 예로 사용하여 본 발명의 설명을 하였다. 그러나 카테터의 종류는 벌룬 카테터가 아니어도 된다. 카테터는, 예를 들어 초음파 화상 진단 카테터(IVUS)나 흡인 카테터, 마이크로 카테터(관통용 카테터) 등, 모노레일 타입의 각종 카테터여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using a balloon catheter as an example. However, the type of catheter need not be a balloon catheter. The catheter may be a monorail-type catheter, such as, for example, an ultrasound diagnostic catheter (IVUS), a suction catheter, or a microcatheter (penetrating catheter).

또한 선단 부분(18)은 예를 들어 샤프트(12)의 본체 부분보다도 연질의 재료로 형성된 선단 팁이, 샤프트(12)의 본체 부분의 선단에 고착되어 일체적으로 접속함으로써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은 선단 팁의 내강에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선단 팁의 선단에 선단측 포트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선단 팁의 외주벽에 기단측 포트가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선단 팁의 주벽 구조는, 1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복수의 층으로 선단 팁의 주벽 구조가 구성되는 경우, 각 층을 형성하는 재료는 서로 상이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내층에만 인열 용이부(36)가 형성된 2층의 통형 부재가 카테터 선단에 접합됨으로써, 선단 부분(18)이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은 2층의 통형 부재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선단측 포트는, 2층의 통형 부재의 선단면에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기단측 포트는, 2층의 통형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The distal end portion 18 may be formed by, for example, fixing a tip end formed of a material softer than the body portion of the shaft 12 to the distal end of the body portion of the shaft 12 and integrally connecting them. In this case, the guide wire lumen may be formed in the lumen of the tip end. Specifically, the tip end port may be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tip tip, and the proximal end port may be formed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tip tip. The peripheral wall structure of the tip end may be constituted by one layer or may b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layers. When the peripheral wall structure of the tip end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layers, the materials forming each layer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urther, for example, the distal end portion 18 may be constituted by joining the two-layered tubular member having the tearable portion 36 formed only on the inner layer to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In this case, the guide wire lumens may be formed on the two-layered tubular member. For example, the distal end side port of the guide wire lumen is formed on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two-layer cylindrical member. The base end side port of the guide wire lume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wo-layer cylindrical member.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기단측 포트의 형상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 삼각형 등의 다각형이나 타원 등의 원형이어도 된다. 또한 기단측 포트는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기단측 포트의 개구 모서리의 폭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일정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26)의 선단은 슬릿(32)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26)의 선단은 슬릿(32)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26)의 선단은 슬릿(32)의 연장선 상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있어도 된다.The shape of the base end side port of the guide wire lumen may be, for example, a polygon such as a rectangle, a triangle, or a circle such as an ellipse. Also, the proximal port may not include an open-ended opening edge.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opening edge of the base end side port may be consta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tip end of the narrow opening edge 26 is located on the extension of the slit 32. [ However, the tip of the open-ended opening edge 26 may not be located on the extension of the slit 32. For example, the tip of the opening edge 26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extension of the slit 3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기타, 일일이 열거는 하지 않지만, 본 발명은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여러가지 변경, 수정, 개량 등을 가한 형태에 있어서 실시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그러한 실시 형태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modifications, improvements, and the like based on the knowledg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lso,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y are all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벌룬 카테터
12: 샤프트
18: 선단 부분
20: 가이드 와이어 루멘
22: 선단측 포트
24: 기단측 포트
26: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
30, 40, 46, 50, 56, 60: 선단 튜브
32, 42, 48, 52, 58, 62, 70: 슬릿
34, 44, 49: 슬릿 미형성 부분
36: 인열 용이부
38: 가이드 와이어
64: 마커
66: 개구부
10: balloon catheter
12: Shaft
18:
20: Guide wire lumen
22:
24: base port
26: Opening edge corner
30, 40, 46, 50, 56, 60: end tube
32, 42, 48, 52, 58, 62, 70:
34, 44, 49: slit-formed portion
36: Easy to tear
38: Guide wire
64: Marker
66: opening

Claims (7)

샤프트의 선단 부분을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이 형성된 모노레일 타입의 카테터이며,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 길이 방향의 인열 강도가 둘레 방향에 비하여 작은 부분인 인열 용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A monorail type catheter in which a guide wire lume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distal end portion of a shaft is formed,
Wherein an easy tear portion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the tearable portion being a portion of the guidewire lumen having a tear str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maller tha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용이부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 있어서 벽 두께 방향으로 미관통인 절입부를 포함하는 카테터.The catheter of claim 1, wherein the tearable portion comprises a perforated trough in a wall thickness direction at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제2항에 있어서, 내벽이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형성하는 통형 부재이며,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슬릿이 형성된 통형 부재인 제1 통형부와,
상기 제1 통형부에 대하여 벽 두께 방향으로, 상기 제1 통형부를 덮는 제2 통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입부는, 상기 제1 슬릿이, 상기 제2 통형부로 덮임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카테터.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inner wall is a tubular member forming the guide wire lumen, the first tubular portion being a tubular member having a first slit penetrating in the wall thickness direction,
And a second tubular portion covering the first tubula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tubular portion in a wall thickness direction,
Wherein the notch portion is formed by covering the first slit with the second tubular port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용이부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에 있어서 벽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슬릿을 포함하는 카테터.The cathet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easy-to-tear portion includes a second slit passing through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in the wall thickness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릿은,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주벽부의 길이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카테터.5. The catheter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slit is formed parti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 circumferential wall of the guide wire lumen.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기단측 포트는,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상기 주벽부에 있어서의 상기 인열 용이부를 향하여 개구 폭이 좁아지는 부분인 끝이 가는 개구 모서리를 포함하는 카테터.The guide wire lume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base end side port of the guide wire lumen has a narrow opening width toward the easy tear portion in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of the guide wire lum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catheter includes an angled opening edge that is a losing portion.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원위단측에 벌룬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의 기단측 포트는, 상기 벌룬보다도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는 카테터.
The ball screw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a balloon is provided on a distal end side of the shaft,
Wherein a proximal end port of the guide wire lumen is formed at a distal end side of the balloon.
KR1020177022128A 2015-03-30 2016-03-18 Catheter KR10205172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69706A JP6727757B2 (en) 2015-03-30 2015-03-30 catheter
JPJP-P-2015-069706 2015-03-30
PCT/JP2016/058621 WO2016158475A1 (en) 2015-03-30 2016-03-18 Cathe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415A true KR20170127415A (en) 2017-11-21
KR102051722B1 KR102051722B1 (en) 2019-12-03

Family

ID=57005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2128A KR102051722B1 (en) 2015-03-30 2016-03-18 Cathet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27757B2 (en)
KR (1) KR102051722B1 (en)
CN (1) CN107206205B (en)
WO (1) WO2016158475A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5339A (en) 1996-09-11 1998-04-07 Schneider Europ Ag Catheter apparatus
JP2006515213A (en) * 2003-01-17 2006-05-25 ゴア エンタープライズ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Ruptureable catheter
JP2008508059A (en) * 2004-07-29 2008-03-21 ウィルソン−クック・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Catheter with shaft and stripper that can break walls
JP2013184020A (en) * 2012-03-12 2013-09-19 Goodman Co Ltd Cathet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9087A (en) * 1991-09-19 1995-02-14 Baxter International Inc. Fully exchangeable over-the-wire catheter with rip seam and gated side port
US5383853A (en) * 1992-11-12 1995-01-24 Medtronic, Inc. Rapid exchange catheter
AU3762495A (en) * 1994-10-04 1996-04-26 Medtronic, Inc. Rapid exchange catheter
US6007522A (en) * 1996-09-13 1999-12-28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Single operator exchange biliary catheter
JP2000279507A (en) * 1999-03-30 2000-10-10 Nippon Zeon Co Ltd Balloon catheter with low-temperature blow-molded balloon
US20040143286A1 (en) * 2003-01-17 2004-07-22 Johnson Eric G. Catheter with disruptable guidewire channel
WO2006015323A2 (en) * 2004-07-29 2006-02-09 Wilson-Cook Medical Inc. Catheter with splittable wall shaft and peel tool
WO2009091836A1 (en) * 2008-01-14 2009-07-2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device
JP5777936B2 (en) * 2010-07-16 2015-09-09 テルモ株式会社 Suction cathe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5339A (en) 1996-09-11 1998-04-07 Schneider Europ Ag Catheter apparatus
JP2006515213A (en) * 2003-01-17 2006-05-25 ゴア エンタープライズ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Ruptureable catheter
JP2008508059A (en) * 2004-07-29 2008-03-21 ウィルソン−クック・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Catheter with shaft and stripper that can break walls
JP2013184020A (en) * 2012-03-12 2013-09-19 Goodman Co Ltd Cath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06205B (en) 2020-04-03
WO2016158475A1 (en) 2016-10-06
JP6727757B2 (en) 2020-07-22
CN107206205A (en) 2017-09-26
JP2016187527A (en) 2016-11-04
KR102051722B1 (en)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2104B2 (en) System to divert fluid
JP66083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verting fluid
JP5184512B2 (en) Supply device, bolster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6293927B1 (en) Stationary central tunnel dialysis catheter with optional separable sheath
US20080082083A1 (en) Perforated expandable implant recovery sheath
CN107530532B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a treatment in a tube in the body of a patient
KR20010080519A (en) Finishing technique for a guiding catheter
CN111407479A (en) Rotatable stent delivery apparatus for covering a puncture site
JP5919862B2 (en) Balloon catheter
EP2977075B1 (en) A Ureteral Stent
JP6817948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performing treatment within the patient's body lumen
CN110381896A (en) Bracket transfer device
US20170079679A1 (en) Intravascular catheter having an expandable incising portion and medication delivery system
KR20170127415A (en) Catheter
US20170119559A1 (en) A Ureteral Stent
JP6672604B2 (en) Tube stent
JP2019187771A (en) Catheter assembly
US9681888B2 (en) Wireguide set for changing access sites
JP2019146599A (en) Balloon catheter
CN113811339A (en) Bidirectional perfusion cannula
CN111067590A (en) Catheter tube
CN219071718U (en) Tearable sheath tube
JP6307388B2 (en) Cathe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20110586A (en) Apparatus for stent delivery and positioning to cover access site
JP2002315836A (en) Guide wire introduction auxiliary tool and catheter provided with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