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7310A - A smartphone electroshock facility - Google Patents

A smartphone electroshock facil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7310A
KR20170127310A KR1020160057798A KR20160057798A KR20170127310A KR 20170127310 A KR20170127310 A KR 20170127310A KR 1020160057798 A KR1020160057798 A KR 1020160057798A KR 20160057798 A KR20160057798 A KR 20160057798A KR 20170127310 A KR20170127310 A KR 20170127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electric shock
button
circui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7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엄예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레아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레아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레아스테크
Priority to KR1020160057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7310A/en
Publication of KR20170127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31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5/00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nunchakus, throwing knives
    • F41B15/02Batons; Truncheons; Sticks; Shillelaghs
    • F41B15/04Batons; Truncheons; Sticks; Shillelaghs with electric stunning-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3/00Means of attack or defen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H13/0012Electrical discharge weapons, e.g. for stunn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CELECTRIC CIRCUITS OR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EQUIPMENT FOR KILLING, STUNNING, OR GUIDING LIVING BEINGS
    • H05C1/00Circuit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shock effects
    • H05C1/02Circuit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shock effects providing continuous feeding of dc or ac volt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electroshock facility which comprises: a cover (10) of a smartphone (12) in which an electroshock circuit (16) leading to an electroshock is contained; two electrodes (14) managing the electroshock; at least one operation button to lead to the electroshock by operating the electroshock circuit; a safety machine using the operation button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electroshock; a communication channel placed between the smartphone (12) and the electroshock circuit (16), and operating the electroshock while controlling the electroshock circuit (16); and power supplies (40, 48) supplying electricity leading to the electroshock.

Description

스마트폰 전기충격기{A SMARTPHONE ELECTROSHOCK FACILITY}{A SMARTPHONE ELECTROSHOCK FACILITY}

본 발명은 자가방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defens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phone electric shocker.

스턴건은 전기충격을 가해 사람을 순간적으로 불능화시키는 무기이지만 치명적이지 않다. 스턴건은 근육기능을 정지시키는 전기충격을 일으키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이런 목적으로 특수하게 발명된 것이다. 최근에는 휴대전화기가 널리 사용되고, 휴대전화기에 전기충격 기능을 부여하려는 몇가지 시도가 있어왔다.The stun gun is a weapon that momentarily disables a person by applying an electric shock, but it is not fatal. Stun guns are electrical shocks that stop muscle function, and are generally invented specifically for this purpose. In recent years, cellular phones have been widely used, and there have been several attempts to impart electric shock function to cellular phones.

Kroll의 US7,986,965는 전기충격기를 결합한 휴대전화기를 소개하고 있다. 이 특허의 도 9는 안전스위치의 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전기충격 회로를 작동시키려면 조작자가 라운드 스위치(700)를 심하게 눌러야만 한다. 휴대전화기를 사용중이서 머리 가까이 대고 있으면, 이런 동작을 하기가 어렵고, 조작자 자신이 충격을 받을 위험도 있다. 이 스위치(700)를 누르려면 후드를 위로 들어올리는 2차 작업도 필요하다. 이런 후드는 이중 안전 특징을 위해서이다. US Pat. No. 7,986,965 to Kroll is introducing a cell phone incorporating a stun gun. Figure 9 of this patent shows the location of the safety switch. To operate the electric shock circuit, the operator must press the round switch 700 hard. If you are using your mobile phone close to your head while using it, it is difficult to do this,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operator will be shocked. In order to press the switch 700, a secondary operation of raising the hood up is also necessary. These hoods are for double safety features.

따라서, '965 특허는 전기충격기의 조작의 용이성과 오작동 방지라는 2가지 반대되는 문제점들을 갖고있다. 이 특허에서 제시한 한가지 방식은 오퍼레이터가 라운드 스위치(700)를 심하게(하드하게) 누르도록 하고, 조작 버튼을 휴대전화기의 정면 중앙에 두어, 한손으로 휴대전화기를 쥔 상태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 방식은 스마트폰의 정면을 스크린이 차지하여 정면 중앙에 조작 버튼을 배치할 수 없는 대부분의 스마트폰에는 적용할 수 없다.Thus, the '965 patent has two opposite problems: ease of operation of the electric shocker and prevention of malfunction. One approach proposed in this patent is to allow the operator to press the round switch 700 hard (hard) and to place the operating button in the center of the front of the mobile phone so that it can be easily accessed while holding the mobile phone with one hand will be. However, this method can not be applied to most smart phones where the screen occupies the front of the smartphone and the operation button can not be plac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전기충격을 일으키는 전기충격 회로(16)가 들어있는 스마트폰(12)의 커버(10); 전기충격을 관리하는 2개의 전극(14); 전기충격 회로를 작동시켜 전기충격을 일으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작동 버튼; 전기충격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작동 버튼을 이용하는 안전기; 스마트폰(12)과 전기충격 회로(16) 사이에 있고, 전기충격 회로(16)를 제어하며 전기충격을 작동시키는 통신채널; 및 전기충격을 일으키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40,48)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ver (10) of a smartphone (12) containing an electric shocking circuit (16) for generating an electric shock; Two electrodes 14 for managing electric shock; One or more actuation buttons for actuating the electric shocking circuit to produce an electric shock; A safety device using the operation button to prevent a malfunction of electric shock; A communications channel between the smartphone 12 and the electrical impulse circuit 16 for controlling the electrical impulse circuit 16 and activating an electrical impulse; And a power source (40, 48)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causing electric shock.

본 발명에 있어서, 작동 버튼(20)이 커버의 양 측면에 배치되고, 전기충격 회로는 작동 버튼이 동시에 눌려져야만 전기충격을 일으켜 오작동을 방지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button 2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ver, and the electric shock circuit prevents electric shock and malfunctions only when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at the same time.

2개의 작동 버튼(20)이 3초 이상 동시에 눌려졌는지 여부를 전기 충격 회로가 감지하도록 하여 안전기가 구현될 수 있다.A safety device can be realized by allowing the electric shock circuit to detect whether the two operation buttons 20 are simultaneously pressed for three seconds or more.

전극이 커버의 윗면이나 바닥에 배치될 수 있다. Electrodes may be placed on the top or bottom of the cover.

또, 전원이 커버에 배치된 배터리(48)이거나, 스마트폰(12)의 배터리(40)일 수 있다.The power source may be a battery 48 disposed on the cover or a battery 40 of the smartphone 12. [

또, 작동 버튼이 물리적 버튼(20)이거나, 스마트폰의 물리적 버튼(34)이나 가상 버튼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button may be the physical button 20, or may be a physical button 34 or a virtual button of the smartphone.

또, 커버가 스마트폰의 하부만 가려, 위험에 노출된 상태에서만 연결이 되도록 함으로써, 전기충격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lfunction of the electric shock by making the cover only connect to the lower part of the smart phone and to be connected only in a state of being exposed to the danger.

또, 안전기가 작동 버튼들을 일정 순서로 일정 시간 눌러서 구현될 수도 있다.Also, the safety device may be implemented by pressing the operation buttons in a predetermined order for a predetermined time.

또, 본 발명의 전기충격기는 스마트폰(12)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앱(38)을 더 포함하고, 이 앱(38)이 통신채널을 통해 전기충격 회로(16)와 통신할 수도 있다.The electric shock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oftware application 38 running on the smartphone 12 and the application 38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ic shock circuit 16 via a communication channel.

또, 통신채널은 유선 통신채널(36)이거나, 무선 통신채널일 수 있고, 무선 통신채널은 오디오 통신채널(46)일 수 있는데, 이런 오디오 통신채널이 DTMF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Also, the communication channel may be a wired communication channel 36 or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may be an audio communication channel 46, which may utilize the DTMF signal.

또, 일정 기간 슬립모드에 있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의 같은 장소에 유저가 자기 손가락을 대고있는지 여부를 소프트웨어 앱이 감지하도록 하여 안전기를 구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safety device may be implemented by allowing the software application to detect whether the user is putting his or her finger in the same place on the display of the smartphone in the sleep mod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소프트웨어 앱이 전기충격이 일어났을 때 스마트폰의 위치를 알려주는 (예컨대 SMS에 의한) 경고메시지를 일정 주소로 전송할 수도 있다.A software application may send a warning message to an address (eg, via SMS) that informs the location of the smartphone when an electrical shock occurs.

소프트웨어 앱이 전기충격 회로(16)의 오실레이터(28)의 입력 전압을 통해 전극(14) 사이에서 생기는 전압을 제어할 수도 있다. The software application may control the voltage generated between the electrodes 14 through the input voltage of the oscillator 28 of the electric shock circuit 16.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충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기충격기를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전기충격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커버(10)를 사용한 스마트폰(12)의 사시도;
도 5는 도 3~4의 실시예의 주요부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충격 회로의 구성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ck absor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using the electric shocker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lectric sho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phone 12 using the cover 10 of FIG. 3;
Figure 5 is a block diagram of the main part of the embodiment of Figures 3-4;
6 is a block diagram of the main par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ctric shock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충격기를 보여주고, 도 2는 도 1의 전기충격기를 이용한 스마트폰(12)을 보여준다. FIG. 1 shows the electric shoc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hows the smart phone 12 using the electric shocker of FIG.

전기충격기의 스마트폰 커버(10) 아랫부분에는 전기충격 회로(16)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24)이 있다. 도 1~2에서는 스마트폰 커버 내부에 배치된 회로(16)를 볼 수 없다.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martphone cover 10 of the electric shocker, there is a space 24 for disposing the electric shock circuit 16. 1 and 2, the circuit 16 disposed inside the smartphone cover can not be seen.

커버(10)의 양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작동 버튼(20)이 배치된다. 커버의 바닥에 배치된 전극(14)이 전기충격을 관리한다.On both sides of the cover (10), one or more actuation buttons (20) are arranged. Electrodes 14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cover manage electrical shock.

충격을 일으키는 전력은 커버 안에 설치된 전용 배터리나, 스마트폰의 배터리에서 공급된다. 후자의 경우, 스마트폰의 암커넥터에 대응하는 숫커넥터(18)가 커버(10)에 달려있고, 숫커넥터를 통해 회로(16)가 스마트폰 배터리에 연결된다. 편의상 스마트폰 배터리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다.The shocking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installed in the cover or from the battery of the smart phone. In the latter case, a male connector 18 corresponding to the female connector of the smartphone is attached to the cover 10, and the circuit 16 is connected to the smartphone battery via the male connector. For convenience, the smartphone battery is not shown in the drawing.

커버(10) 양쪽에 배치된 2개의 버튼(20)이 전기충격을 일으키는데, 2개의 버튼을 동시에 사용하도록 하면 사용의 용이성과 오작동 방지라는 2가지 목적이 구현된다. 따라서, 긴급상황에서는 사용자가 손바닥에 있는 스마트폰의 양 측면을 쥐면 전기충격이 일어난다. 스마트폰 유저 공격자에게 충격을 주려면 전극(14)이 공격자에게 닿아야 한다. Two buttons 2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ver 10 cause an electric shock. When two buttons are used at the same time, two purposes are realized: ease of use and prevention of malfunction. Thus, in an emergency situation, electric shock occurs when a user grasps both sides of the smartphone in the palm of the hand. In order to impact the smartphone user attacker, the electrode 14 must touch the attacker.

일반적인 누르는 힘보다 더 큰 힘으로만 버튼이 작동되는 "하드" 버튼을 채택하면 오작동율이 늘어난다. 예컨대, 애플의 iPhone의 버튼(34)이 "하드" 버튼이다. Adoption of a "hard" button that only operates with a force greater than the normal pressing force increases the malfunction rate. For example, the button 34 of Apple's iPhone is a "hard" button.

충격기에 안전조치를 추가하고, 안전조치가 되어야만 충격기가 대기상태로 들어가도록 하면 충격기의 오작동을 더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가 양쪽 버튼(20)을 5초간 동시에 눌러야만 대기상태에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충격기가 대기상태에 들어가면 오디오나 진동 등의 신호로 유저에게 경고한 다음, 유저가 양쪽 버튼을 놓아도 된다. 충격을 일으키고자 하면, 유저가 양쪽 버튼을 1초 정도의 "짧은" 시간동안 동시에 다시 누른다. 한편, 유저가 예컨대 5초간 버튼을 계속 누르고 있으면, 장치는 대기상태를 나간다. If a safety measure is added to the impactor and safety measures are taken, the impactor can be put into a standby state to further prevent malfunction of the impactor. For example, the user can press the both buttons 20 for five seconds at the same time to enter the standby state. When the paddle enters the standby state, the user may be warned by audio or vibration signals, and then the user may release both buttons. To cause a shock, the user simultaneously presses both buttons again for a "short" time of about one second.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continuously presses the button for 5 seconds, for example, the device exits the standby state.

도 1~2의 실시예에서는 커버(10) 바닥에 전극(14)이 배치되어 있지만, 커버 윗면과 같은 다른 곳에 전극을 배치할 수도 있다. 유저의 사용 편의성 면에서 보면 커버 윗쪽에 전극을 배치하는 것이 좋지만, 안정성 면에서는 커버 바닥쪽에 전극을 노출되지 않게 배치하는 것이 좋다. In the embodiment of Figs. 1 and 2, the electrode 14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cover 10, but electrodes may be arranged elsewhere, such as the cover top surface. From the viewpoint of user's convenience, it is preferable to dispose the electrode above the cover. However, in terms of stability, it is preferable to dispose the electrode on the bottom of the cover so as not to be exposed.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전기충격기를, 도 4는 도 3의 커버(10)를 이용한 스마트폰(12)을 각각 보여준다.Fig. 3 shows another electric shock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shows a smart phone 12 using the cover 10 of Fig. 3, respectively.

이 실시예와 이전 실시예의 차이는, 여기서는 스마트폰(예; 스마트폰의 전용 앱)이 전기충격기의 동작을 제어하지만, 이전 실시예에서는 그렇지 않다는데 있다. 또, 이전 실시예에서는 커버(10)가 스마트폰 전체를 커버하지만, 여기서는 커버(10)가 스마트폰의 바닥면만 가린다. 이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 버튼이 없다. The difference between this embodiment and the previous embodiment is that a smartphone (e.g., a dedicated app on a smart phone)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shocker, but not in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cover 10 covers the entire smartphone, but the cover 10 covers only the bottom surface of the smartphone. Therefore, there is no operation button in this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을 (a) 전기충격기의 컨트롤러와, (b) 전기충격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2가지 기능으로 사용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smartphone is used as two functions of (a) a controller of a stun gun and (b) a user interface of a stun gun.

유저 인터페이스는 전기충격기에 의한 충격의 특성들과 같은 변수들을 설정하도록 설계된다. 전기충격기의 컨트롤러는 충격을 일으키는 전기충격 회로(16)에 명령을 내리는 부분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user interface is designed to set parameter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impact by the impactor. The controller of the electric shock unit is a part for giving an instruction to the electric shock circuit 16 causing the shock.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2의 버튼(20)을 사용하지 않고, 도 3~4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채택한다. 즉, 물리적인 버튼(20)을 스마트폰의 소프트웨어나 버튼으로 대체한다. 이때문에, 회로(16)와 스마트폰(12)의 회로 사이에 데이터 연결이 일어난다. The user interface of the smart phone is adopted in the embodiment of Figs. 3 to 4 without using the button 20 of Figs. That is, the physical button 20 is replaced with the software or button of the smartphone. Thus, a data connection occurs between the circuit 16 and the circuitry of the smartphone 12.

커버(10)에 설치된 전기충격 회로(16)와 스마트폰 회로 사이의 데이터 연결을 통해, 전기충격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복잡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수 있다.Through the data connection between the smartphone circuit and the electric shock circuit 16 provided on the cover 10, a complex user interface for operating the electric shocker can be designed.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이를 위한 전용 앱을 설치하여 충격 전압을 세팅할 수 있다. 또, 스마트폰 자체의 버튼들 중의 하나를 길게 누르면 전기충격기가 작동되거나 대기상태로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you can install a dedicated app for your smartphone to set the shock voltage. Also, by pressing and holding one of the buttons of the smartphone itself, the electric shocker can be activated or entered into the standby state.

현재의 많은 스마트폰들은 몇분간 아무 활동이 없으면 기능을 정지시키는 "슬립" 상태를 적용한다. 유저가 스마트폰의 버튼을 하나라도 누르면 슬립상태가 종료하고, 스크린에 명령어들이 나타난다. 이런 조건들은 유저가 전기충격기를 즉각 작동시켜야 하는 비상상황에는 맞지 않는다.Many current smartphones apply a "sleep" state that stops the function if there is no activity for a few minutes. When the user presses one of the buttons on the smartphone, the sleep state ends and the commands appear on the screen. These conditions do not fit the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the user must operate the stun gun immediately.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의 물리적 버튼들의 일부를 전기충격기의 작동 버튼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유저가 버튼을 5초 정도로 "길게" 누르면, 전기충격기가 대기모드로 들어가고, 스마트폰의 소리나 진동 등으로 유저에게 경고한다. 이어서 유저가 이 버튼을 놓으면 된다. 유저가 버튼을 1초 정도로 짧게 다시 누르면 전기충격기가 충격을 일으킨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me of the physical buttons of the smartphone are used as operating buttons of the electric shocker. 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long" for about 5 seconds, the electric striker enters the standby mode and warns the user by the sound or vibration of the smartphone. The user then releases this button.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again for about one second, the electric shocker causes a shock.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는, 슬립모드에 있는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할 수도 있다. 유저가 터치스크린에 손가락을 5초 정도로 "길게" 대고있으면, 스마트폰이 전기충격기를 대기상태로 둔다. 유저가 터치스크린을 놓았다가 다시 건드리면, 충격이 생긴다.In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screen of a smartphone in a sleep mode may be used. When the user "holds" the finger on the touch screen for about 5 seconds, the smartphone puts the electric shock pendant on standby. When the user releases the touch screen and touches it again, a shock occurs.

이상의 설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충격기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례일 뿐이고, 다른 식으로 유저 인터페이스를 설계할 수도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is only an example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electric shocker using the smartphone, and the user interface may be designed in a different manner.

전기충격기를 작동시킬 비상상황과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작동시킬 비상상황 사이에는 유사성이 있다. 현재의 스마트폰에서 카메라를 비상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예컨대 버튼(34)을 눌러) 유저가 슬립모드를 종료할 때 나타나는 디스플레이에 아이콘을 제시한다. 마찬가지로, 전기충격기를 작동시킬 다른 아이콘을 이용해 슬립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용 버튼을 작동시킬 수 있다.There is a similarity between the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the stun gun is activated and the emergency situation in which the camera of the smartphone is operated. The ic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that appears when the user exits the sleep mode (for example, by depressing the button 34) in such a manner that the current smart phone emits the camera. Similarly, you can use a different icon to activate the stun gun to activate a dedicated button that can be used in sleep mode.

도 5는 도 3~4의 실시예의 주요 구성들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nfigurations of the embodiment of Figs.

전기충격기의 커버(10)에 전기충격 회로(16)가 설치되고, 스마트폰(12)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앱(38)을 커버가 이용할 수 있다.The cover 10 of the electric shocker is provided with the electric shock circuit 16 and the cover can be used for the software application 38 executed on the smartphone 12. [

스마트폰 배터리(40)의 전력이 유선 통신채널(36)을 통해 커버의 전기충격 회로(16)에 공급되고, 통신채널(36) 안에서 전선(44)을 통해 암수 커넥터(22,18)가 연결된다. 전기충격 회로는 전극(14)을 통한 충격을 관리한다.The power of the smartphone battery 40 is supplied to the electric shock circuit 16 of the cover through the wired communication channel 36 and the female and male connectors 22 and 18 are connected through the wire 44 in the communication channel 36 do. The electric shock circuit manages the shock through the electrode 14.

여컨대,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유선 통신채널이 (a) 스마트폰의 소프트웨어 앱과 커버에 배치된 전기충격 회로 사이에서는 데이터통신용이고, (b) 스마트폰 배터리(40)와 전기충격 회로(16) 사이에서는 아날로그 통신용이다. 5, the wired communication channel is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the softwar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and the electric shock circuit disposed on the cover, (b) the smartphone battery 40 and the electric shock circuit 16 ) Is for analog communication.

도 6은 본 발명으 다른 실시예의 주요 요소들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Figure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major element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유선 통신채널을 통해 서로 통신하는 도 5의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부인 소프트웨어 앱과 커버의 전기충격 회로가 오디오 통신채널을 통해 통신한다. Unlike the embodiment of FIG. 5, which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via a wire communication channel, in this embodiment, the software application, which is a communication unit, and the electric shock circuit of the cover communicate through an audio communication channel.

"오디오 통신채널"이란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와 같은 오디오신호로 데이터 통신을 하는 통신채널로서, 양방향이거나 일방향이다. 양방향일 경우 각각의 통신부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일방향일 경우 한쪽 통신부는 데이터를 송신하고 다른쪽 통신부는 데이터를 수신하기만 한다."Audio communication channel" is a communication channel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n audio signal such as a DTMF (Dual Tone Multi Frequency) signal, either bidirectional or unidirectional. In the case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each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nd in the case of one direction, on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data and the other communication unit only receives data.

스마트폰은 마이크로폰과 스피커를 구비하므로,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앱은 다른 부분과 오디오통신을 할 수 있다. 양 통신부 사이의 오디오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양 통신부 사이에 유선통신이 없을 경우에도 스마트폰으로 전기충격을 일으킬 수 있다. Because a smartphone has a microphone and a speaker, a software app running on a smartphone can communicate audio with other parts. Even if there is no wired communication between both communicating units using the audio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communicating units, an electric shock may be caused to the smart phone.

도 6에서는 커버가 마이크로폰과 스피커를 이용하고, 이는 커버의 회로와 양방향 통신 세션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스마트폰만 커버의 회로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일방향 통신도 가능하다.In Figure 6, the cover uses a microphone and a speaker, which means that it can perform a two-way communication session with the circuitry of the cover. However, unidirectional communication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only to a circuit of a smart phone only is also possible.

배터리(48)는 스마트폰이 아닌 전기충격기의 커버의 장치이므로, 독립적인 전력공급이 가능하다.Since the battery 48 is a device of the cover of the electric shock absorber, not the smartphone, independent power supply is possible.

또, 긴급상황이 일어나 유저가 전기충격기를 사용해야만 할 때, 유저의 위치를 스마트폰의 GPS를 통해 알아내 휴대전화망을 통해 경찰서와 같은 긴급센터로 보낼 수 있다. Also, when an emergency occurs and a user has to use a stun gun, the user's location can be found via the GPS of the smartphone and sent to an emergency center such as a police station through the mobile phone network.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충격 회로를 보여준다.7 shows an electric shock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접점(26)으로 입력하면 전극(14)에서 스파크가 일어난다. 접점(26)의 입력에 의해 릴레이(30)가 작동하면 오실레이터(28)가 동작한다. (전극(14)에는 연결되지 않은) 오실레이터는 교류전류를 일으키고, 이 교류전류는 변압기(42)의 1차권선에 공급된다.When input to the contact 26, a spark occurs at the electrode 14. When the relay 30 is activated by the input of the contact 26, the oscillator 28 operates. An oscillator (not connected to the electrode 14) produces an alternating current which is supplied to the primary winding of the transformer 42.

변압기(42)에는 1차권선과 2차권선(도시 안됨)이 있고, 그 사이에서 교류전류가 증폭된다. 변압기의 2차권선의 증폭된 전압은 충전 커패시터(32)에 저장된다. 변압기의 1차권선과 2차권선의 권선수 비율에 따라 수십 kV의 전압이 커패시터(32)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된 전압에 의해 전극(14)에서 스파크가 방출된다. The transformer 42 has a primary winding and a secondary winding (not shown), and an alternating current is amplified therebetween. The amplified voltage of the secondary winding of the transformer is stored in the charge capacitor 32. A voltage of several tens kV may be stored in the capacitor 32 depending on the turn ratio of the primary winding and the secondary winding of the transformer. The spark is discharged from the electrode 14 by the stored voltage.

릴레이(30)가 오래 작동할수록 커패시터(32)의 충전량이 커진다. The longer the relay 30 operates, the larger the amount of charge of the capacitor 32 becomes.

오실레이터(28)의 진동율(주파수)는 오실레이터(28)에 대한 입력전압을 변화시켜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앱에 의해 조절되고, 이런 입력전압이 진동율을 결정한다.
The oscillation rate (frequency) of the oscillator 28 is controlled by a software application running on the smartphone that changes the input voltage to the oscillator 28, and this input voltage determines the oscillation rate.

Claims (15)

전기충격을 일으키는 전기충격 회로(16)가 들어있는 스마트폰(12)의 커버(10);
상기 전기충격을 관리하는 2개의 전극(14);
상기 전기충격 회로를 작동시켜 전기충격을 일으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작동 버튼;
상기 전기충격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작동 버튼을 이용하는 안전기;
상기 스마트폰(12)과 전기충격 회로(16) 사이에 있고, 전기충격 회로(16)를 제어하며 전기충격을 작동시키는 통신채널; 및
전기충격을 일으키는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40,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A cover (10) of a smartphone (12) containing an electric shocking circuit (16) for generating an electric shock;
Two electrodes (14) for managing the electric shock;
At least one operating button for actuating the electric shock circuit to generate an electric shock;
A safety device using the operation button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electric shock;
A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smartphone 12 and the electrical impulse circuit 16 for controlling the electrical impulse circuit 16 and for activating an electrical impulse; And
And a power source (40, 48)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cause electric sh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20)이 커버의 양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기충격 회로는 작동 버튼이 동시에 눌려져야만 전기충격을 일으켜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The smartphone electric shock absor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ctuating button (2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ver, and the electric shock circuit prevents electric shock only by pressing the actuating button simultaneously.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작동 버튼(20)이 3초 이상 동시에 눌려졌는지 여부를 상기 전기 충격 회로가 감지하도록 하여 상기 안전기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The smartphone electric shock absor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afety device is implemented by allowing the electric shock circuit to detect whether the two operation buttons (20) are simultaneously pressed for 3 seconds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커버의 윗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The smartphone electric shock absor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de is disposed on a top surface of the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커버의 바닥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The smartphone electric shock absor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de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이 커버에 배치된 배터리(4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The smartphone stun gun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source is a battery (48) disposed on the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이 스마트폰(12)의 배터리(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2. The smartphone stabbing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source is a battery (40) of the smartphone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이 물리적 버튼(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The smartphone stun gun of claim 1, wherein the actuation button is a physical button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이 스마트폰의 물리적 버튼(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The smartphone stun gun of claim 1, wherein the actuation button is a physical button (34) of a smart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버튼이 스마트폰의 가상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The smartphone stun gu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button is a virtual button of a smart pho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스마트폰의 하부만 가려, 위험에 노출된 상태에서만 연결이 되도록 함으로써, 전기충격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The smartphone electric shock absor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ver covers only the lower portion of the smartphone and is connected only in a state of being exposed to the danger, thereby preventing a malfunction of the electric sh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기가 작동 버튼들을 일정 순서로 일정 시간 눌러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The smartphone electric shock absor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afety device is implemented by pressing operation buttons in a predetermined order for a predetermined time. 제1항에 있어서, 스마트폰(12)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앱(38)을 더 포함하고, 이 앱(38)이 통신채널을 통해 전기충격 회로(16)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The smartphon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oftware application (38) running on the smartphone (12), the application (38) communicating with the electrical impulse circuit (16) Shock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채널이 유선 통신채널(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The smartphone stab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a wired communication channel (3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채널이 무선 통신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기충격기.
The smartphone stun gun of claim 1, wherein the communication channel is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KR1020160057798A 2016-05-11 2016-05-11 A smartphone electroshock facility KR2017012731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798A KR20170127310A (en) 2016-05-11 2016-05-11 A smartphone electroshock faci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798A KR20170127310A (en) 2016-05-11 2016-05-11 A smartphone electroshock facil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310A true KR20170127310A (en) 2017-11-21

Family

ID=60808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798A KR20170127310A (en) 2016-05-11 2016-05-11 A smartphone electroshock facil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731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060A (en) 2018-01-31 2019-08-08 이훈민 Electric Shocker Cell Phone Cas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060A (en) 2018-01-31 2019-08-08 이훈민 Electric Shocker Cell Phone Ca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1087U (en) A smartphone electroshock facility
CN203913385U (en) Electronic cigarette
KR102517610B1 (en) Electronic device
JP5783352B2 (en) Conversation system, conversation system ring, mobile phone ring, ring-type mobile phone, and voice listening method
EP3002933B1 (en) User terminal light control method and corresponding apparatus
CN109068206A (en) Principal and subordinate's earphone method for handover control and Related product
TW201724690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harging, power adapter and mobile terminal
EP2579522B1 (en) Wireless power charging and communication wit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2586142B1 (en) Human machine interface system
CN109819506B (en) Intelligent connection method, wearable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70127310A (en) A smartphone electroshock facility
EP2579423A1 (en) Wireless charging and communication with power source devices and power charge de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3763413A (en) Smartphone control plug
CN103699315A (en) Touch screen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integrated with gamepad
CN110543231A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related equipment
CN202475505U (en) Separated mobile phone and separated mobile phone mouse
CN205824568U (en) A kind of joystick of self-shooting bar
KR101612382B1 (en) Mobile terminal case apparatus having electrostatic touch pannel and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CN110797927B (en) Wireless charging control method and charging equipment
KR20130053698A (en) A apparatus with cradle port for smart phone
CN115381709A (en) Control method of split type pedicure instrument and split type pedicure instrument
CN108566221A (en) Call control method and relevant device
CN114913563A (en) Electronic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device
CN103945031B (en) A kind of realize the self-defence or method and device of first aid based on mobile terminal
KR102074917B1 (en) Electric shock apparatus for self pro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