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917B1 - Electric shock apparatus for self protection - Google Patents

Electric shock apparatus for self prot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917B1
KR102074917B1 KR1020170174025A KR20170174025A KR102074917B1 KR 102074917 B1 KR102074917 B1 KR 102074917B1 KR 1020170174025 A KR1020170174025 A KR 1020170174025A KR 20170174025 A KR20170174025 A KR 20170174025A KR 102074917 B1 KR102074917 B1 KR 102074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ischarge needle
button
battery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0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2885A (en
Inventor
이화정
Original Assignee
(주)247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247코리아 filed Critical (주)247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174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917B1/en
Publication of KR20190072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8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9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3/00Means of attack or defen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H13/0012Electrical discharge weapons, e.g. for stun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 G08B15/004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using portable persona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 G08B15/005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by electric shoc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CELECTRIC CIRCUITS OR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EQUIPMENT FOR KILLING, STUNNING, OR GUIDING LIVING BEINGS
    • H05C1/00Circuit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shock effects
    • H05C1/04Circuit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shock effects providing pulse volt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호신용 전기 충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방전 침; 상기 방전 침을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수납된 상태로 구속하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하는 버튼부; 상기 방전 침을 상기 본체의 제1 인출 공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공간으로 인출시키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방전 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전기 충격기가 제공될 수 있다.A self-defense gun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main body; A pair of discharge needles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 button unit including a first stopper for restraining the discharge needle in a state accommodated in an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A first elastic member for drawing the discharge needle to an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first drawing hole of the main body; And a batter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batter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needle.

Description

호신용 전기 충격기{ELECTRIC SHOCK APPARATUS FOR SELF PROTECTION}ELECTRIC SHOCK APPARATUS FOR SELF PROTECTION}

본 발명은 호신용 전기 충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격기 본체에 결합된 방전 침을 인체에 직접 접촉시켜 전기 충격을 가할 수 있는 호신용 전기 충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explosive impa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lf-explosion impactor that can be subjected to an electric shock by directly contacting the discharge needle coupled to the body of the impactor body.

일반적으로 전기 충격기는 상대방의 인체에 고전압의 전기 충격을 가해 상대방을 제압하여 본인을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호신용 장비이다. 이러한 전기 충격기에는 방전 침이 격발되는 형태의 총포식 전기 충격기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작은 크기의 충격기 본체에 한 쌍의 방전 침이 돌출된 형태의 휴대용 전기 충격기를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an electric shock machine is a device for self-defense that is used to protect a person by applying a high voltage electric shock to the body of an opponent. Although such a taser also includes a gun-type stun gun in which a discharge needle is triggered, in most cases, a handheld taser of a type in which a pair of discharge needles protrude from a small size impactor body is used.

휴대용 전기 충격기는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최대한 작은 크기로 제작될 필요가 있고, 특히 휴대 중 오작동에 의한 사고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안정장치를 구비하여야 한다.A portable stun gun needs to be made as small as possible in order to increase portability, and in particular, it must be equipped with a stabilizer that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accidents caused by malfunctions while carrying.

종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돌출된 형태의 방전 침을 감싸 보호하는 커버를 충격기 본체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치한을 만나는 등 위급한 상황에서 커버를 분리하는데 소요되는 약간의 노력과 시간도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전 침이 평상시 충격기 본체에 수납된 상태로 보관되었다가 버튼 등 간편한 조작에 의해 인출될 수 있는 형태의 전기 충격기에 대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대부분의 전기 충격기가 평상시에는 사용되지 않고 먼지가 많은 가방 속에 보관되었다가 위급한 상황에서만 사용되는 현실을 고려해 보면, 방전 침 인출 구조는 전자 장치보다 확실한 작동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기계 장치를 사용하여 최대한 간단한 구조로 제작할 필요가 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was common to use a cover to cover the protruding discharge needle to protect the impactor body, but a little effort and time required to remove the cover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encountering molars. It can be a problem. Accordingly, research and development has been made on a shock pad of a type in which the discharge needle is normally stored in the shock pad body and drawn out by a simple operation such as a button. Furthermore, given the reality that most stun guns are not used in normal use, but are stored in dusty bags and used only in emergency situations, discharge needle draw-out structures offer mechanical devices that can guarantee more reliable operation than electronic devices. It is necessary to make the structure as simple as possibl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96255호(2002.12.31, 전기충격기)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96255 (2002.12.31, electric shock machin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휴대 중 오작동에 의한 사고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호신용 전기 충격기를 제공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hock gun for the body that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accidents caused by a malfunction while carrying.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방전 침; 상기 방전 침을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수납된 상태로 구속하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하는 버튼부; 상기 방전 침을 상기 본체의 제1 인출 공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공간으로 인출시키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방전 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전기 충격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main body; A pair of discharge needles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 button unit including a first stopper for restraining the discharge needle in a state accommodated in an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A first elastic member for drawing the discharge needle to an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first drawing hole of the main body; And a batter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batter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needle.

상기 버튼부는, 상기 본체의 제2 인출 공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공간으로 상향 돌출되는 인출버튼; 및 상기 인출버튼을 상향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출버튼이 하향 가압되면, 상기 인출버튼에 결합되는 상기 제1 스토퍼가 상기 방전 침의 삽입 홈으로부터 이탈하면서 상기 방전 침의 일단이 상기 제1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의 외부공간으로 인출될 수 있다.The button unit may include: a withdrawal button protruding upward into an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second withdrawing hole of the main body; And a second elastic member configured to pressurize the discharge button upward, and when the withdrawal button is pressed downward, the first stopper coupled to the withdrawal button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of the discharge needle. The first elastic member may be drawn out to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상기 버튼부는, 상기 인출버튼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스토퍼로부터 상기 방전 침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제2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어 상기 방전 침을 일단이 인출된 상태로 구속할 수 있다.The butt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topper coupled to the withdrawal button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topper along a mov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needle, and the second stopper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o prevent the discharge needle. One end can be restrained in the drawn state.

상기 버튼부는, 상기 제2 스토퍼가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면, 상기 방전 침에 접촉하여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utt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terminal contacting the discharge needl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when the second stopp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방전 침의 제1 단자에 접촉하게 되면 접촉신호를 생성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접촉신호를 수신하면 기 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배터리의 전기 공급을 허용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sensor for generating a contact signal when the second terminal comes in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of the discharge needle; And a timer for allowing the battery to be supplied with electricity after a preset time when the contac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nsor.

상기 배터리의 전기 공급을 허용하는 전원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power button for allowing the electricity supply of the battery.

상기 방전 침에는 상기 본체에 상기 방전 침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가이드 홀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공간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needle may be provided with a sliding protrusion protruding into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through a guide hole formed in the main body to exten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needle.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지문입력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LED 램프;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휴대폰과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지문입력부에서 입력된 지문 정보가 기 저장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배터리에서의 전기 공급을 허용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폰에 위급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폰은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위급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폰에 설치된 스피커 또는 램프를 통해 알람을 생성하고, GPS 데이터, 카메라 촬상 데이터, 음성 녹음 데이터 및 구조요청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A fingerprint input unit coupled to the main body; An LED lamp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indicating a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user's mobile phone in a Bluetooth manner; And a controller for allowing electricity supply from the battery and transmitting an emergency signal to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en the fingerprint information input from the fingerprint input unit matches the pre-stored fingerprint information. When the emergency signal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 alarm may be generated through a speaker or a lamp installed in the mobile phone, and at least one of GPS data, camera image data, voice recording data, and rescue request text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a preset server. hav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전 침이 평상시 충격기 본체에 수납된 상태로 구속됨으로써 오작동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방전 침을 인출시킬 수 있어 위급한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게 할 수 있다. 특히, 평상시 전기 충격기의 보관 환경을 고려해 보면, 스프링, 스토퍼 등과 같은 기계요소를 사용함으로써 전자장치와 비교하여 높은 작동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needle is normally restrained in the state of being stored in the impactor body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due to a malfunction, and the discharge needle can be withdrawn by a simple operation of pressing a button in an emergency situation. You can make it quick. In particular, in consideration of the storage environment of the electric shock pad for everyday use, by using mechanical elements such as springs, stoppers, it is possible to ensure a high operating reliability compared to electronic devices.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전 침이 인출된 후 바로 전기가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타임 딜레이를 두거나 전원 버튼을 추가 조작하여야 하는 등 안전장치를 2중으로 마련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afety device may be provided twice, such as a time delay or additional operation of a power button, instead of being supplied with electricity immediately after the discharge needle is drawn out.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휴대폰을 소지한 현실을 고려하여, 전기 충격기 사용시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동되는 휴대폰 어플리케이션에서 알람을 생성하거나 구조요청 문자 등을 발송하게 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는 기존 휴대폰에 설치된 스피커 등의 장치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전기 충격기에 별도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장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reality that most people have a mobile phone, a service such as generating an alarm or sending a rescue request text, etc. in a mobile phone application that is linked by a Bluetooth method when using an electric shock machine. Can provide. Such a service can utilize devices such as a speaker installed in an existing mobile phone as it is, and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device in an electric shock machine, which can be advantageous in miniaturizing th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신용 전기 충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호신용 전기 충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방전 침이 본체의 내부공간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방전 침의 일단이 본체의 외부공간으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ock gun for imp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lf-shock taser of FIG. 1.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ler.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needle is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discharge needle is drawn out to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th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n" means to be located above or below the target portion,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to be located above the gravity direction.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각 구성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요소에 각 구성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does not only mean that the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in physically contacting relationship, but also other compon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components, and the compon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component. The concept is to be used until the component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요소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호신용 전기 충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self-defense gu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d thereto.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신용 전기 충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호신용 전기 충격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lf-shock ta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lf-shock taser of Figure 1,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uni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신용 전기 충격기(10)는 본체(100), 한 쌍의 방전 침(200), 제1 탄성부재(300), 버튼부(400), 기판(500) 및 배터리(60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self-defense shock machin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 pair of discharge needles 200, a first elastic member 300, and a button unit 400. ), A substrate 500, and a battery 600.

본체(100)는 전기 충격기(10)의 외곽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may form an outer frame of the taser 10.

본체(100)에는 각종 전기 기계 장치가 탑재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may have an internal space in which various electromechanical devices may be mounted.

본체(100)의 길이 방향의 일단 가장자리 면에는 한 쌍의 방전 침(200)이 각각 인출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1 인출 공(110)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drawing hole 110 may be formed at one edge of the body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pair of discharge needles 200 may be drawn out, respectively.

한 쌍의 방전 침(200)은 배터리(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인체에 접촉하면 고전압의 전류를 흘러 전기 충격을 가할 수 있다.The pair of discharge needles 2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600, and when the body is in contact with the human body, a pair of discharge needles 200 may apply electric shock by flowing a high voltage current.

방전 침(200)은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수납되어 본체(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discharge needle 2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00 and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방전 침(200)은 사용자가 슬라이딩 돌기(210)를 잡고 수동으로 이동시켜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슬라이딩 돌기(210)는 본체(100)의 가이드 홀(120)을 통해 본체(100)의 외부공간으로 돌출되도록 방전 침(200)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홀(120)은 방전 침(2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needle 2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00 by the user holding the sliding protrusion 210 and manually moving it. The sliding protrusion 210 may be formed in the discharge needle 200 to protrude into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guide hole 120 of the main body 100. The guide hole 12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exten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needle 200.

방전 침(200)은 제1 탄성부재(300)에 의해 제1 인출 공(110)을 통해 본체(100)의 외부공간으로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다.The discharge needle 200 may be automatically drawn out to the ex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first drawing hole 110 by the first elastic member 300.

제1 탄성부재(300)의 양단은 본체(100)와 방전 침(20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first elastic member 300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and the discharge needle 200, respectively.

제1 탄성부재(300)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lastic member 300 may include a coil spring.

버튼부(400)는 인출버튼(410), 제2 탄성부재(420), 제1 스토퍼(430) 및 제2 스토퍼(4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tton unit 400 may include a withdrawal button 410, a second elastic member 420, a first stopper 430, and a second stopper 440.

인출버튼(410)은 본체(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withdrawal button 410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인출버튼(410)은 본체(100)의 제2 인출 공(130)을 통해 본체(100)의 외부공간으로 상향 돌출될 수 있다. 제2 인출 공(130)은 본체(10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withdrawal button 410 may protrude upward into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second withdrawal ball 130 of the main body 100. The second withdrawal ball 130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제2 탄성부재(420)는 인출버튼(410)이 본체(100)의 외부공간으로 돌출되도록 인출버튼(410)을 상향 가압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420)의 양단은 본체(100)와 인출버튼(41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member 420 may press the draw button 410 upward so that the draw button 410 protrudes into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100. Both ends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420 may be coupled to the main body 100 and the withdrawal button 410, respectively.

제2 탄성부재(420)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member 420 may include a coil spring.

제1 스토퍼(430) 및 제2 스토퍼(440)는 인출버튼(4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시로, 인출버튼(410)은 제1 스토퍼(430) 및 제2 스토퍼(440)와 일체로 형성되어 인출버튼(410)이 상하로 이동하면 제1 스토퍼(430) 및 제2 스토퍼(440)도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stopper 430 and the second stopper 440 may be coupled to the withdrawal button 410. For example, the withdrawal button 4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stopper 430 and the second stopper 440 so that the first stopper 430 and the second stopper 440 when the withdrawal button 410 moves up and down. ) Can also move up and down.

제1 스토퍼(430)와 제2 스토퍼(440)는 방전 침(2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상호간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stopper 430 and the second stopper 44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needle 200.

제1 스토퍼(430)는 방전 침(200)이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방전 침(200)에 형성되는 삽입 홈(220, 도 4 및 5 참조)에 삽입되어 방전 침(200)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할 수 있고, 제2 스토퍼(440)는 방전 침(200)의 일단이 본체(100)의 외부공간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방전 침(200)에 형성되는 삽입 홈(220)에 삽입되어 방전 침(200)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할 수 있다.The first stopper 4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20 (refer to FIGS. 4 and 5) formed in the discharge needle 200 in a state where the discharge needle 200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00, thereby discharging the discharge needle ( The second stopper 440 may be restrained from moving, and the second stopper 440 may include an insertion groove 220 formed in the discharge needle 200 in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discharge needle 200 is drawn out to an ex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00. ) To restrain the discharge needle 200 from moving.

제2 스토퍼(440)에는 제2 단자(450)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단자(450)는 배터리(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스토퍼(440)가 방전 침(200)의 삽입 홈(220)에 삽입되면 방전 침(200)에 결합된 제1 단자(230, 도 4 및 도 5 참조)에 접촉하여 배터리(600)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방전 침(20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제1 단자(230)와 제2 단자(450)가 접촉한 상태가 되어야 배터리(600)에서 방전 침(200)에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45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topper 440. The second terminal 4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600, and when the second stopper 4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20 of the discharge needle 200, the first terminal coupled to the discharge needle 200.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battery 600 may be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needle 200 by contacting the reference numeral 230 (see FIGS. 4 and 5). That is, the current may be supplied to the discharge needle 200 from the battery 600 only when the first terminal 230 and the second terminal 45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기판(500) 및 배터리(600)는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결합 내지 탑재될 수 있다.The substrate 500 and the battery 600 may be coupled to or mounted in an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00.

기판(500)은 타이머(510), 무선통신부(520), 고전압발생부(530) 및 제어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bstrate 500 may include a timer 51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20, a high voltage generator 530, and a controller 540.

타이머(510)는 제1 단자(230)와 제2 단자(450)가 접촉하게 되면 기 설정된 시간 후에 배터리(600)의 전기 공급을 허용할 수 있다. 즉, 방전 침(200)이 본체(100)의 외부공간으로 인출된 후 타이머(510)에 의해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 전까지 방전 침(200)에 대한 전기 공급은 제어부(540)에 의해 제한되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1 단자(230)와 제2 단자(450)의 접촉 여부는 센서(700), 예를 들어 접촉 센서 등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When the first terminal 230 and the second terminal 45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timer 510 may allow the battery 600 to be supplied with electricity after a preset time. That is, the electricity supply to the discharge needle 200 is limited by the control unit 540 until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by the timer 510 after the discharge needle 200 is drawn out to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100. It may not be done. Meanwhile, whether the first terminal 230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450 may be detected by the sensor 700, for example, a touch sensor.

다른 예시로서, 본체(100)의 전면에는 배터리(600)의 전기 공급을 허용하는 전원버튼(140)이 결합될 수 있다. 방전 침(200)이 본체(100)의 외부공간으로 인출된 후 사용자가 전원버튼(140)을 누를 때까지 방전 침(200)에 대한 배터리(600)의 전기 공급은 제어부(540)에 의해 제한되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체(10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지문을 입력할 수 있는 지문입력부(150) 및 배터리(600)의 충전량을 표시할 수 LED 램프(160)가 결합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 power button 140 for allowing electricity supply of the battery 60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The electricity supply of the battery 600 to the discharge needle 200 is limited by the controller 540 until the user presses the power button 140 after the discharge needle 200 is drawn out to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100. It may not be done. On the other hand,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may be coupled to the fingerprint input unit 150, the user can input the fingerprint and the LED lamp 160 that can display the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600.

무선통신부(520)는 사용자의 휴대폰(20)과 블루투스 방식으로 무선 통신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20 may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user's mobile phone 20 in a Bluetooth manner.

고전압발생부(530)는 배터리(600)에서 공급되는 전기의 전압을 약 30,000V ~ 50,000V까지 승압하여 방전 침(200)에 공급할 수 있다.The high voltage generator 530 may boost the voltage of electricity supplied from the battery 600 to about 30,000 V to 50,000 V to supply the discharge needle 200.

제어부(540)는 지문입력부(150)에서 입력된 지문 정보가 기 저장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면 배터리(600)에서의 전기 공급을 허용할 수 있고, 위급신호를 생성한 후 무선통신부(520)를 통해 사용자의 휴대폰(20)에 위급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지문입력부(150)에 의해 사용자의 신원이 확인될 때까지 방전 침(200)에 대한 배터리(600)의 전기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대안으로,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패턴 스캔(pattern scan), 보안 스캔(security scan)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휴대폰(20)은 방전 침(200)에 대한 배터리(600)의 전기 공급이 이루어진 후 무선통신부(520)로부터 위급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휴대폰(20)에 설치된 스피커 또는 램프를 통해 알람을 생성할 수 있고, GPS 데이터, 카메라 촬상 데이터, 음성 녹음 데이터 및 구조요청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서버(미도시), 예를 들어 경찰청 서버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0)에도 GPS 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고, 제어부(540)는 무선통신부(520)를 통해 전기 충격기(10)의 GPS 정보를 주기적으로 휴대폰(2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폰(20)은 전기 충격기(10)와 휴대폰(20)의 GPS 정보를 기초로 전기 충격기(10)가 휴대폰(2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지게 되면 알람을 생성하여 도난 사고를 예방할 수도 있다.If the fingerprint information input from the fingerprint input unit 150 matches the pre-stored fingerprint information, the controller 540 may allow electricity supply from the battery 600, and after generating an emergency signa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20. The emergency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s mobile phone 20. That is, the electricity supply of the battery 600 to the discharge needle 200 may not be performed until the user's identity is confirmed by the fingerprint input unit 150. Alternatively, a pattern scan, security scan, or the like may be used as a means to verify the identity of the user. When the mobile phone 20 receives the emergency signal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20 after the electricity supply of the battery 600 to the discharge needle 200 is generated, an alarm may be generated through a speaker or a lamp installed in the mobile phone 20. At least one of the GPS data, the camera image data, the voice recording data, and the rescue request text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a predetermined server (not shown), for example, a police station server. Meanwhile, a GPS device (not shown) may also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100, and the controller 540 may periodically transmit GPS information of the taser 10 to the mobile phone 2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20. . In this case, the mobile phone 20 may generate an alarm when the taser 10 is separated from the mobile phone 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based on the GPS information of the taser 10 and the cell phone 20 to prevent theft accident. .

배터리(600)는 외부 전원에 연결하여 충전할 수 있는 리튬이온 전지일 수 있고, 이를 위해 본체(100)에는 충전 USB가 결합할 수 있는 충전단자(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The battery 600 may be a lithium ion battery that can be charged by being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for this purpose, a charging terminal (not shown) to which a charging USB can be coupled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100.

도 4는 방전 침이 본체의 내부공간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방전 침의 일단이 본체의 외부공간으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needle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discharge needle is drawn out to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인출버튼(410)을 누르면, 제1 스토퍼(430)가 방전 침(200)의 삽입 홈(220)에서 이탈되면서 방전 침(200)이 제1 탄성부재(300)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100)의 외부공간으로 인출될 수 있다. 방전 침(200)이 본체(100)의 외부공간으로 인출되면, 제2 스토퍼(440)가 제2 탄성부재(420)에 의해 상승하여 방전 침(200)의 삽입 홈(220)에 삽입되면서 방전 침(20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자(230)와 제2 단자(450)가 접촉하면서 방전 침(230)과 배터리(6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도 5에 도시된 상태에서 인출버튼(410)을 누르고 슬라이딩 돌기(210)을 가이드 홀(120)을 따라 이동시키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방전 침(200)은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방전 침(200)이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수납되면, 제1 스토퍼(320)가 제2 탄성부재(420)에 의해 상승하여 방전 침(200)의 삽입 홈(220)에 삽입되면서 방전 침(20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4 and 5, when the user presses the withdrawal button 410 in the state shown in FIG. 4, the first stopper 430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220 of the discharge needle 200 while the discharge needle ( 200 may be drawn out to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100 by the first elastic member 300 as shown in FIG. When the discharge needle 200 is drawn out to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100, the second stopper 440 is lifted by the second elastic member 420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20 of the discharge needle 200 to discharge the discharge. The movement of the needle 200 may be restricted. In this case, the discharge needle 230 and the battery 6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while the first terminal 230 and the second terminal 450 contact each other. In addi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withdraw button 410 in the state shown in FIG. 5 and moves the sliding protrusion 210 along the guide hole 120, the discharge needle 200 is shown in FIG. It can be sto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When the discharge needle 200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00, the first stopper 320 is lifted up by the second elastic member 420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20 of the discharge needle 200 to discharge the discharge. The movement of the needle 200 may be restricted.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should add, change, delete, add, etc. a component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idea of this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which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전기 충격기 20: 휴대폰
100: 본체 110: 제1 인출 공
120: 가이드 홀 130: 제2 인출 공
140: 전원버튼 150: 지문입력부
160: LED 램프 200: 방전 침
210: 슬라이딩 돌기 220: 삽입 홈
230: 제1 단자 300: 제1 탄성부재
400: 버튼부 410: 인출버튼
420: 제2 탄성부재 430: 제1 스토퍼
440: 제2 스토퍼 450: 제2 단자
500: 기판 510: 타이머
520: 무선통신부 530: 고전압발생부
540: 제어부 600: 배터리
700: 센서
10: taser 20: mobile phone
100: main body 110: first withdrawal ball
120: guide hole 130: second withdrawal ball
140: power button 150: fingerprint input unit
160: LED lamp 200: discharge needle
210: sliding projection 220: insertion groove
230: first terminal 300: first elastic member
400: button portion 410: withdraw button
420: second elastic member 430: first stopper
440: second stopper 450: second terminal
500: substrate 510: timer
52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530: high voltage generation unit
540: control unit 600: battery
700: sensor

Claims (8)

본체;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방전 침;
상기 방전 침을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수납된 상태로 구속하는 제1 스토퍼를 포함하는 버튼부;
상기 방전 침을 상기 본체의 제1 인출 공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공간으로 인출시키는 제1 탄성부재; 및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방전 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본체의 제2 인출 공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공간으로 상향 돌출되는 인출버튼과; 상기 인출버튼을 상향 가압하는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인출버튼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스토퍼로부터 상기 방전 침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제2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출버튼이 하향 가압되면, 상기 인출버튼에 결합되는 상기 제1 스토퍼가 상기 방전 침의 삽입 홈으로부터 이탈하면서 상기 방전 침의 일단이 상기 제1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의 외부공간으로 인출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스토퍼는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어 상기 방전 침을 일단이 인출된 상태로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전기 충격기.
main body;
A pair of discharge needles slid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 button unit including a first stopper for restraining the discharge needle in a state accommodated in an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A first elastic member for drawing the discharge needle to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first drawing hole of the main body; And
And a battery coupled to the bod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needle.
The button unit may include: a withdrawal button protruding upward into an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second withdrawing hole of the main body; A second elastic member which presses the drawout button upward; And a second stopper coupled to the withdrawal button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topper along a mov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needle.
When the withdrawal button is pressed downward, the first stopper coupled to the withdrawal button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of the discharge needle so that one end of the discharge needle is drawn out to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by the first elastic member. Lose,
And the second stopp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o constrain the discharge needle with one end drawn ou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제2 스토퍼가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면, 상기 방전 침에 접촉하여 상기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전기 충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button unit,
And the second stopp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further includes a second terminal in contact with the discharge needl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방전 침의 제1 단자에 접촉하게 되면 접촉신호를 생성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접촉신호를 수신하면 기 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배터리의 전기 공급을 허용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전기 충격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sensor for generating a contact signal when the second terminal comes in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of the discharge needle; And
Receiving a contact signal from the sensor further includes a timer for allowing the electricity supply of the battery after a predetermined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전기 공급을 허용하는 전원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전기 충격기.
The method of claim 1,
Self-shock taser further comprises a power button to allow the electricity supply of the batte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침에는 상기 본체에 상기 방전 침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가이드 홀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공간으로 돌출되는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전기 충격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sliding needle protruding from the discharge needle into the main body through a guide hole extend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ischarge needle to the outer space of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지문입력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LED 램프;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휴대폰과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지문입력부에서 입력된 지문 정보가 기 저장된 지문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배터리에서의 전기 공급을 허용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상기 휴대폰에 위급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휴대폰은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위급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폰에 설치된 스피커 또는 램프를 통해 알람을 생성하고, GPS 데이터, 카메라 촬상 데이터, 음성 녹음 데이터 및 구조요청 문자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신용 전기 충격기.
The method of claim 1,
A fingerprint input unit coupled to the main body;
An LED lamp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indicating a charge amount of the battery;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user's mobile phone in a Bluetooth manner; And
If the fingerprint information input from the fingerprint input unit is matched with the pre-stored fingerprint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for allowing the electricity supply from the battery, and transmits an emergency signal to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When the mobile phone receives an emergency signal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mobile phone generates an alarm through a speaker or a lamp installed in the mobile phone, generates at least one of GPS data, camera image data, voice recording data, and rescue request text. Self-shock taser,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KR1020170174025A 2017-12-18 2017-12-18 Electric shock apparatus for self protection KR1020749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025A KR102074917B1 (en) 2017-12-18 2017-12-18 Electric shock apparatus for self prot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025A KR102074917B1 (en) 2017-12-18 2017-12-18 Electric shock apparatus for self prote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885A KR20190072885A (en) 2019-06-26
KR102074917B1 true KR102074917B1 (en) 2020-02-07

Family

ID=67105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025A KR102074917B1 (en) 2017-12-18 2017-12-18 Electric shock apparatus for self prot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91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487B1 (en) * 2019-09-23 2021-03-31 대경이노텍 주식회사 Multi-function portable fa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255A (en) 2001-06-19 2002-12-31 실버레이 주식회사 An electric shock device
KR20140094931A (en) * 2013-01-23 2014-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Blood glucose test meter
KR20160063189A (en) * 2014-11-26 2016-06-03 차대헌 self-defense apparatus for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885A (en) 2019-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5606B2 (en) Electronic cigarette charging device
KR101473612B1 (en) Tempered glass destruction device for emergency situations
US9142976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2074917B1 (en) Electric shock apparatus for self protection
US9331519B2 (en) Protec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KR20160001087U (en) A smartphone electroshock facility
WO2016064065A1 (en) Portable terminal case having electric shock function with additional fingerprint recognition
KR20210014303A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for performing adjusting regading stylus
CN203974283U (en) A kind of high-protection level confidential folder
TW201947841A (en) Wireless charging active touch system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of active touch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poor charging efficiency caused by poor contact between electrodes
CN209447130U (en) A kind of long continuation of the journey smart pen
JP6026489B2 (en) Case of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electric shock function
CN108338473A (en) A kind of the shatter-resistant protective device and mobile terminal of mobile terminal
JP3214386U (en) Charge protection device for mobile transfer device
US20200389037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KR101920667B1 (en) Mobile phone case for charging device
CN107750384A (en) The control of magnetic connection between electric device and cable
KR20120007594A (en) Portable injection device for solid airosol type fire extinguisher
KR101855467B1 (en) Case of personal terminal device with electric shocking function
CN204348049U (en) The battery-powered wireless security system of non-electrical
US20130303237A1 (en) Electric shocker
KR20170127310A (en) A smartphone electroshock facility
CN111092469A (en) Multifunctional escape charger
CN208836418U (en) Wireless search equipment
CN207540966U (en) A kind of toxic gas infrared detection analytical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