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7304A - 휴대용 정화캡슐 및 그 정화캡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화캡슐 및 그 정화캡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7304A
KR20170127304A KR1020160057783A KR20160057783A KR20170127304A KR 20170127304 A KR20170127304 A KR 20170127304A KR 1020160057783 A KR1020160057783 A KR 1020160057783A KR 20160057783 A KR20160057783 A KR 20160057783A KR 20170127304 A KR20170127304 A KR 20170127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urification
powder
procedur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만
Original Assignee
박창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만 filed Critical 박창만
Priority to KR1020160057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7304A/ko
Publication of KR20170127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3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bott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정화캡슐 및 그 정화캡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파인세라믹, 동, 견운모, 황금흑운모, 에코늄 성분으로 이루어진 혼합물, 예컨대, 정화조성물을 이용한 일종의 캡슐형 구조로서, 휴대 및 보관, 교환설치, 세척 등 일련의 취급관계를 편리화 되도록 하고, 이를, 가정용 물병, 휴대용수통, 휴대용 보온병 등에 선택적으로 투입하여, 그러한 용기들에 수용된 물을 효과적으로 정화처리되게 함으로서, 사용자 인체에 유익한 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정화캡슐 및 그 정화캡슐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개방된 입구, 정화물질 수용부, 그리고, 통수공으로 이루어진 필터케이스 본체와, 상기 필터케이스 본체의 개방된 입구로 탈,부착 결합되는 고정설치마개와, 상기 통수공 내측면으로 결합되는 유출방지망과, 상기 정화물질 수용부로 충진 수용되는 정화조성물로 이루어지게 하여 달성한다.
아울러, 상기 정화캡슐을 제조하는 일련의 과정으로서, 조성물질 준비공정과, 조성물질 교반공정과, 조성물질 용융혼합 공정과, 조성물질 소성공정과, 소성볼 선별공정과, 소성볼 정화처리공정과, 마감공정을 행하도록 하여 달성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정화캡슐 및 그 정화캡슐 제조방법{Bucket water filter}
본 발명은 정화캡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수통에 충진된 음용수를 안정적으로 정화처리되도록 하고, 휴대, 보관 등 일련의 취급관계 또한 편리화 되도록 하여 사용 효율성을 되도록 한 휴대용 정화캡슐 및 그 정화캡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급속한 산업의 발달과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천혜의 자원인 물과 공기는 날로 심각한 상태로 훼손 오염되고 있는 상황이며, 이러한 자연자원의 훼손과 오염의 원인으로 인해, 인간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수자원, 예컨대, 상수원 또한 그 오염상태가 위험수위를 넘어, 이제는 우리의 신체건강에 이르기까지 위협을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정부에서는 이러한 상수원의 오염된 물을 음용 가능한 생활용수로 공급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수처리장 설비를 구축하고, 이와 같이, 구축된 정수처리장을 통해 각종 오염물질이 포함된 물을 1차적으로 여과처리 함은 물론, 상기 여과처리된 물에 재차 살균 소독제의 일종인 염소를 투입, 정수처리 하여, 이를 수도관을 통해 각 가정에 공급되게 하는 하나의 상수도 공급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현실이다.
하지만, 상기 정수처리장에서 살균 소독제로 투입되는 염소는 물과 반응하는 강력한 산화력에 의해 우수한 살균 및 소독효과를 제공하는 것이기는 하나, 이는 물질(염소) 특유의 자극적 냄새로 인해 음용시 불쾌한 느낌을 주는 것이며, 특히 그 성분에는 유기염소계 용제 및 각종 발암성 화합물들이 다량 혼합되어 있고, 더 나아가, 가정으로 공급되는 과정에 있어, 노후 된 수도관으로부터 유출되는 부식생성물의 추가 혼합으로 인해, 사실상 식수로는 거의 이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상수도 시설의 문제점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 예컨대, 좀더 깨끗하고, 인체에 유익한 성분의 물을 제공하기 위한 선원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청에 선출원된 "슬림형 살균정수기(특허출원 제2011-0124345호)"외 다양한 기능의 정수기들이 널리 개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선원기술로 개발된 종래 정수기들의 구성예를 살펴보면, 이는, 수도꼭지에 연결 사용되는 배관형, 일정한 용기에 물을 저장한 후, 낙하작용에 의해 정수처리하는 스탠드형, 그리고 외부 전원공급에 의해 물의 성분을 변환되게 하는 전기분해식 환원수기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이고, 또한 이들을 사용하고자 함에 있어서는 모두 일정한 설치공간을 확보해야 함은 물론 전문적인 설치기술을 요해야 하는 구조적 특성을 갖는 것이었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는 일정한 설치공간을 요해야 하는 과다한 부피구성과 그에 따른 전문 설치기술의 요구로써, 상대적으로 제품의 가격을 상승 되게 하는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으며, 그 사용관계에 있어서 또한, 한정된 위치에 고정되는 설치 특성으로 인해, 자유로운 원거리 이동(휴대) 사용이 불가능한, 상당한 제품 구조상의 문제점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한편, 또 다르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정수기는 일정한 사용주기마다 필터의 교환 및 청소, 소독 등 정기점검을 필요로 하고, 이러한 정기점검 또한 전문기술자의 도움을 받아 행해야 하는 등,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운 사용관계를 갖게 되는 것이었던바, 이에 제품의 관리 및 취급상에 있어서 또한 예견하지 못한 다양한 문제점들을 상존 되게 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정수기 이용에 따른 제반적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인세라믹, 동, 견운모, 황금흑운모, 에코늄 성분으로 이루어진 혼합물, 예컨대, 정화조성물을 이용한 일종의 캡슐형 구조로서, 휴대 및 보관, 교환설치, 세척 등 일련의 취급관계를 편리화 되도록 하고, 이를, 가정용 물병, 휴대용수통, 휴대용 보온병 등에 선택적으로 투입하여, 그러한 용기들에 수용된 물을 효과적으로 정화처리되게 함으로서, 사용자 인체에 유익한 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정화캡슐 및 그 정화캡슐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잡한 기구적 구성요소 내지 과다한 설치공간, 그리고 기타 전문 설치기술 등을 요하지 않는 단순한 제품구성에 따라 불필요한 비용 낭비의 문제점을 예방하고, 아울러 이와 같은, 비용 낭비의 예방으로서, 경제성을 향상되게 하여, 제품 경쟁력 또한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정화캡슐 및 그 정화캡슐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화캡슐 및 그 정화캡슐의 제조방법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개방된 입구, 정화물질 수용부, 그리고, 통수공으로 이루어진 필터케이스 본체와, 상기 필터케이스 본체의 개방된 입구로 탈,부착 결합되는 고정설치마개와, 상기 통수공 내측면으로 결합되는 유출방지망과, 상기 정화물질 수용부로 충진 수용되는 정화조성물로 이루어지게 하여 달성한다.
아울러, 상기 정화캡슐을 제조하는 일련의 과정으로서, 조성물질 준비공정과, 조성물질 교반공정과, 조성물질 용융혼합 공정과, 조성물질 소성공정과, 소성볼 선별공정과, 소성볼 정화처리공정과, 마감공정을 행하도록 하여 달성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화캡슐 및 그 정화캡슐 제조방법은, 캡슐본체 내에 파인세라믹, 동, 견운모, 황금흑운모, 에코늄 성분으로 이루어진 정화조성물을 수수용시킨 구조로서, 휴대 및 보관, 교환설치, 세척 등 일련의 취급관계를 편리화 되게 한 것이고, 아울러, 이러한 캡슐본체를, 가정용 물병, 휴대용수통, 휴대용 보온병 등의 용기 내에 선택적으로 투입하여, 그 용기들에 수용된 물을 안정적으로 정화처리되게 함에 따라, 사용자 인체에 유익한 정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 다르게, 복잡한 기구적 구성요소 내지 과다한 설치공간, 그리고 기타 전문 설치기술 등을 요하지 않는 단순한 캡슐형 구성에 따라 불필요한 비용 낭비의 문제점을 예방하고, 아울러 이와 같은, 비용 낭비의 예방으로서, 경제성을 향상되게 하여, 제품 경쟁력 또한 증대되도록 한 것으로, 이는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화캡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화캡슐의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능성 정화조성물의 성분구성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화캡슐의 제조공정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화캡슐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화캡슐 및 그 정화캡슐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며보면, 이는, 필터케이스 본체(1)와, 고정설치마개(2)와, 유출방지망(3)과, 정화조성물(4)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필터케이스 본체(1)는, 본 발명을 형성하는 전체적인 외관몸체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인바, 이에 이와 같은, 필터케이스 본체(1)는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 구조로서, 상부면에 개방된 입구(11)를 형성하고, 내측면에 소정의 공간구성을 갖는 정화물질 수용부(12)를 형성하며, 재차, 필터케이스 본체(1)의 외경면 둘레에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다수개의 관통구성으로 통수공(13)을 더 배치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도면 미설명 부호 N1은 수나사산)
또한, 상기 고정설치마개(2)는, 전술한 필터케이스 본체(1)에 있어, 개방된 입구(11)에 나사체결 방식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인바, 이에, 이와 같은, 고정설치마개(2)는, 하부면이 개방된 원형형 구조로서, 외측 상부면 둘레에 띠 형상으로 돌출된 안착편(21)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편(21)의 하부 고정설치마개(2)의 외경면 둘레에 탄성확장 구조로 탈,부착 결합되는 연질의 합성수지 소재로서 밀폐고정링(22)을 더 마련되게 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도면 미설명 부호 N2는 암나나산)
또한, 상기 유출방지망(3)은, 본 발명에 있어, 도 1의 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케이스 본체(1)에 있어, 정화물질 수용부(13)내로 충진 수용된 정화조성물(3)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한 구성인바, 이에, 이와 같은, 유출방지망(2)은 동나노 코팅층이 형성된 미세 격자망 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유출방지망(2)에 있어, 동나노 코팅층은 주지된 바와 같은, 재질 특성으로서, 항균력이 우수하고, 탈취 및 식품의 보존기간 연장에 탁월할 효과가 있으며, 항미생 기능에 의해 세균증식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정화조성물(3)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발생 기능에 의해, 음용수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원인 물질을 정화처리하는 수단, 예컨대, 탈취, 제독 및 불순물 흡착 등의 기능을 행하도록 한 구성으로서, 이에,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능성 정화조성물(3),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물질구성, 예컨대, 파인세라믹스 분말과, 동 분말과, 견운모 분말과, 황금흑운모 분말과, 에코늄 분말을 혼합조성하고, 그 혼합된 조성물을 소결 가공시킨 소성볼 구성으로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능성 정화조성물(3)에 포함되는 상기 파인세라믹스는, 기존 세라믹스가 가지고 있는 특정 기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고도로 정제된 천연 또는 합성 원료를 소결시켜 제조한 무기재료로서, 이는, 통상, 고순도의 원재료를 모아서, 원하는 성분비로 혼합하고, 이들 혼합된 성분을 입경이 안정되도록 분쇄하며, 재차, 여기에, 유기계 점결제 등을 가하여, 정밀 성형한 후, 이를 전기로에 의해 일정시간 소결하여, 형성하게 되는 물질구성인 바, 이에, 이와 같은 파인 세라믹스는 원자간 결합력이 강하기 때문에 열팽창계수가 작고 급열, 급랭에 견딜 수 있으며, 고온에도 강한 성질을 갖는 것이며, 특히, 원적외선 발생에 따라 항균작용이 우수한 물질특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기능성 정화조성물(3)에 포함되는 상기 동은 구리족 원소에 속하는 전이금속으로 원소기호는 Cu이고, 이는, 자연계에서 천연 상태로 산출되거나 혹은, 휘동석(輝銅石),황동석(黃銅石) 등과 같은 광물을 제련하여 얻은 불순한 구리를 전기적 분해로 정제시켜 순수 구리로 이용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동은 주지된 바와 같이, 항균 및 멸균기능이 우수한 항미생 물질특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기능성 정화조성물(3)에 포함되는, 상기 견운모는,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활성도석으로서, 이러한, 견운모는 주지된 바와 같이, 다공질의 입자구조를 취함에 따라 유해 불순물에 대한 흡착력이 우수하고, 탈취 및 항균 작용에 탁월한 효능을 갖는 것이며, 여기에, 더하여, 음이온 방출기능으로서, 정화효율 또한 우수한 물질특성을 갖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정화조성물(3)에 포함되는, 상기 황금흑운모는, 주지된 바와 같은, 단사정계에 속하는 광물로서 주로 판상 또는 인상(비늘 모양으로 된 형상)을 이루며 육각형 또는 능면체를 나타내는 것이며, 황토 또는 맥반석 등에 비하여 3배 이상의 원적외선 방사율(94%)이 높은 것으로, 이는, 살균, 탈취작용은 물론, 발암물질 제거기능까지 행하는 물질특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능성 정화조성물(3)에 포함되는, 상기 에코늄은 주지된 바와 같이, 천연광물질로서, 규칙적인 생체 파동에너지를 발생하여, 강력한 살균 및 멸균작용을 행하는 것임은 물론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또한 다량 방출되게 하는 물질특성을 갖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화캡슐의 상호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이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케이스 본체(1)의 통수공(13) 내측면에 동나노 코팅층이 형성된 유출방지망(3)을 더 결합 설치하고, 이어, 상기 유출방지망(3)이 결합된 필터케이스 본체(1)의 정화물질 수용부(12)에 정화조성물(4)을 수용 충진시키며, 상기 정화조성물(4)이 충진된 필터케이스 본체(1) 입구(11)에 고정설치마개(2)를 결합시켜 마감처리 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화캡슐을 구현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화캡슐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비된 일련의 구성요소 및 특징적 물질성분들을 이용하여, 또 다른 차별화된 형태의 휴대용 정화캡슐 제조방법을 구현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제조방법은;
조성물질 준비공정(S1)과, 조성물질 교반공정(S2)과, 조성물질 용융혼합 공정(S3)과, 조성물질 소성공정(S4)과, 소성볼 선별공정(S5)과, 소성볼 정화처리공정(S6)과, 마감공정(S7)을 통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먼저 상기 원료준비공정(S1)은, 본 발명에 있어, 정화조성물(4)에 포함되는 물질구성 요소들을, 각 성분별로 구분하여 준비하는 과정으로서, 먼저, 그들 성분별 물질, 예컨대, 파인세리믹스와, 동과, 견운모와, 황금흑운모와, 에코늄 원료를 종류별로 분리하여 마련하고, 이와 같이 마련된 성분물질들을 각각 개별적인 분리 형태로 산업용 입자분쇄기(도시생략)에 투입하여, 5~10㎛ 입자크기의 분말 형태로 분쇄,가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질 교반공정(S2)은, 전술한 원료준비공정(S1)을 통해 분쇄가공된 성분물질에 있어, 먼저, 파인세라믹 분말을 40~60% 중량비율하여, 여기에, 동 분말 5~10% 중량비율, 견운모 분말 5~10% 중량비율, 황금흑운모 분말 5~10% 중량비율, 에코늄 분말 5~10% 중량비율로 각각 첨가 혼합하고, 이어, 이들을 산업용 교반기(도시생략)에 투입하여, 60~80분간의 시간범위로 고르게 혼합 조성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질 용융혼합 공정(S3)은, 전술한 조성물질 교반공정(S2)을 통해 혼합된 조성물, 예컨대, 정화조성물(4)을, 재차, 산업용 용융로(도시생략)에 투입하여, 1500~2000℃의 온도범위 내에서 8시간 내지 10시간 동안의 시간범위로 가열하고, 이와 같은, 고온의 열에 의해 상기 혼합된 성분들을 용융되게 하여, 재차, 용융혼합된 형태의 정화조성물(4)을 형성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질 소성공정(S4)은, 전술한 조성물질 용융혼합 공정(S3)을 통해 혼합 용융된 정화조성물(4)을, 산업용 압출성형기(도시생략)에 의한 성형가공에 의해 지름 1mm ~ 3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소성볼 구성으로 성형하고, 이와 같이, 성형된 소성볼 구성의 정화조성물(4)을 상온 냉각과정을 통해 고형화시키며, 재차, 상기 고형화된 정화조성물(4)의 외관표면을 산업용 연마기에 의한 마찰 마모 작용에 의해 매끄럽게 마감처리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성볼 선별공정(S5)은, 전술한 조성물질 소성공정(S4)을 통해 성형된 소성볼 형태의 정화조성물(4)을, 통상의 입자선별기(도시생략)에 투입하여, 지름 1mm이하의 크기, 그리고, 지름 3mm 이상을 넘는 크기의 정화조성물(4)을 선별, 분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성볼 정화처리공정(S6)은, 전술한 소성볼 선별공정(S5)을 통해 선별된 소정볼을 염화나트륨 용액에 침지시켜, 세척 및 소독작업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염화나트륨 용액은 멸균 및 소독작용이 우수한 주지의 성분특성을 갖는 것이며, 이는 렌즈 등의 세정제로 또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감공정(S7)은, 전술한 소성볼 정화처리공정(S6)을 통해 세척 및 소독된 소성볼을 발열작용을 행하는 히터 또는 온풍기 등을 이용한 열풍건조에 의해 건조시키고, 그 건조된 소성볼을 필터케이스 본체(1)의 정화물질 수용부(13)내로 충진 수용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러한, 일련의 공정단계를 행하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화캡슐 제조방법을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1 : 필터케이스 본체 2 : 고정설치마개 3 : 유출방지망
4 : 정화조성물 11 : 입구 12 : 정화물질 수용부
21 : 안착편 22 : 밀폐고정링

Claims (2)

  1. 상부면에 개방된 입구(11)가 형성되고, 내측면에 정화물질 수용부(12)가 형성되며, 외경면 둘레에 다수개의 통수공(13)이 배치 형성된 필터케이스 본체(1)를 마련하고;
    상기 필터케이스 본체(1)의 개방된 입구(11)에 나사체결 방식으로 탈,부착 결합하는 고정설치마개(2)를 더 설치 형성하되, 상기 고정설치마개(2)는, 외측 상부면 둘레에 띠 형상으로 돌출된 안착편(21)과, 상기 안착편(21)의 하부 외경면에 탄성확장 구조로 탈,부착 결합하는 밀폐고정링(22)을 더 마련하며;
    상기 필터케이스 본체(1)의 통수공(13) 내측면에 동나노 코팅층을 형성한 유출방지망(3)을 더 결합 설치하고;
    상기 정화물질 수용부(12)로 충진 수용되는 정화조성물(4)을 형성하되, 상기 정화조성물(4)은, 파인세라믹 분말과, 동 분말과, 견운모 분말과, 황금흑운모 분말과, 에코늄 분말을 혼합조성하고, 그 혼합된 조성물을 소결 가공시킨 소성볼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화캡슐.
  2. 파인세라믹과, 동과, 견운모와, 황금흑운모와, 에코늄 원료를 종류별로 분리하여 입자분쇄기에 투입한 후, 이들을 5~10㎛의 분말 입자크기로 분쇄,가공하는 조성물질 준비공정(S1);
    상기 조성물질 준비공정(S1)을 통해 분쇄된 파인세라믹 분말을 40~60% 중량비율하고, 여기에, 동 분말 5~10% 중량비율, 견운모 분말 5~10% 중량비율, 황금흑운모 분말 5~10% 중량비율, 에코늄 분말 5~10%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이들을 산업용 교반기에 투입하고, 30~60분간의 시간범위로 혼합하여 기능성 정화조성물(4)을 형성하는 조성물질 교반공정(S2);
    상기 조성물 교반공정(S2)을 통해 형성된 기능성 정화조성물(4)을 용융로에 투입, 1500~2000℃의 온도범위에서 8~10시간 동안 가열하여 용융 혼합되게 하는 조성물질 용융혼합 공정(S3);
    상기 조성물질 용융혼합 공정(S3)을 통해 용융혼합된 기능성 정화조성물(4)을 압출성형기와 연마기에 의해 순차적으로 성형, 그리고, 마찰가공하여 지름 1mm ~ 3mm 입자크기의 소성볼 형상의 정화조성물(4)로 성형하는 조성물질 소성공정(S4);
    상기 조성물질 소성공정(S4)을 통해 성형된 소성볼을 입자선별기에 투입하여, 지름 1mm 이하, 그리고, 지름 3mm 이상의 입자크기를 갖는 소성볼 분리제거하는, 소성볼 선별공정(S5);
    상기 소성볼 선별공정(S5)을 통해 선별된 소정볼을 염화나트륨 용액에 침지시켜, 세척 및 소독작업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는 소성볼 정화처리공정(S6);
    상기 소성볼 정화처리공정(S6)을 통해 세척 및 소독된 소성볼을 열풍건조에 의해 건조시키고, 그 건조된 소성볼을 필터케이스 본체(1)의 정화물질 수용부(13)내로 충진 수용되게 하는 마감공정(S7)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화캡슐 제조방법.
KR1020160057783A 2016-05-11 2016-05-11 휴대용 정화캡슐 및 그 정화캡슐 제조방법 KR20170127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783A KR20170127304A (ko) 2016-05-11 2016-05-11 휴대용 정화캡슐 및 그 정화캡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783A KR20170127304A (ko) 2016-05-11 2016-05-11 휴대용 정화캡슐 및 그 정화캡슐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304A true KR20170127304A (ko) 2017-11-21

Family

ID=60808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783A KR20170127304A (ko) 2016-05-11 2016-05-11 휴대용 정화캡슐 및 그 정화캡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730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8383A (zh) * 2018-06-01 2018-10-16 哈尔滨共阳科技咨询有限公司 一种化粪池管道过滤方法
CN109607715A (zh) * 2018-11-27 2019-04-12 国红环保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污水消毒池加药和搅拌装置
KR20200102063A (ko) * 2019-02-21 2020-08-31 김승제 에코늄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정수필터 및 그 필터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8383A (zh) * 2018-06-01 2018-10-16 哈尔滨共阳科技咨询有限公司 一种化粪池管道过滤方法
CN109607715A (zh) * 2018-11-27 2019-04-12 国红环保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污水消毒池加药和搅拌装置
KR20200102063A (ko) * 2019-02-21 2020-08-31 김승제 에코늄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정수필터 및 그 필터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7304A (ko) 휴대용 정화캡슐 및 그 정화캡슐 제조방법
CN104496420A (zh) 饮用水净化功能陶瓷球
US20200247700A1 (en) Multistage shower water filter and water filtering method
JP3983912B2 (ja) アルカリイオン水製造用多孔質セラミックス、該多孔質セラミックスの製造方法及びアルカリイオン水生成器
KR101721209B1 (ko) 제올라이트 및 석회석으로 조성되는 수질정화용 세라믹 펠릿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수질정화용 세라믹 펠릿
CN103588257B (zh) 负离子烧结活性炭净水滤芯的制备方法
JP2007050399A (ja) イオン水生成体及び生成装置
JP2007261906A (ja) 多孔質粒状体
JP2013107066A (ja) 浄水整水装置
KR102202920B1 (ko) 에코늄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정수필터 및 그 필터의 제조방법
JP2006219335A (ja) 竹炭セラミック複合組成物
KR100362223B1 (ko) 온수, 냉수 겸용 살균활성수기 및 그 제조방법
CN205635234U (zh) 水处理装置
KR20150033285A (ko) 다용도 캡슐형 정수필터
KR100892761B1 (ko)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정화 장치
JP2002066540A (ja) 浄水剤とその浄水剤の製造方法
KR101875033B1 (ko) 블록형 정수부재가 구비된 정수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정수장치
KR20020075156A (ko) 은 클러스터가 함침된 제올라이트, 굴 패각을 이용한다공질 세라믹 정수필터 제조
KR20140117082A (ko) 카트리지필터용 여과조제 볼의 제조방법
CN105060868A (zh) 饮茶伴侣陶瓷球
JP6481867B2 (ja) 殺菌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ES2396638B1 (es) Esferas cerámicas, baldosas filtrantes y tubos cerámicos porosos con aplicación y utilidad en el sistema de depuración biológica por lechos bacterianos o biofiltro.
JPH09208292A (ja) 遠赤外線放射体
JP2007105430A (ja) 空気イオン発生成型体及び発生装置
JPH10211428A (ja) 吸着セラミ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