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6353A -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6353A
KR20170126353A KR1020160056670A KR20160056670A KR20170126353A KR 20170126353 A KR20170126353 A KR 20170126353A KR 1020160056670 A KR1020160056670 A KR 1020160056670A KR 20160056670 A KR20160056670 A KR 20160056670A KR 20170126353 A KR20170126353 A KR 20170126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abetes
user
analysis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핑거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핑거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핑거앤
Priority to KR1020160056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6353A/ko
Publication of KR20170126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3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Patholog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당뇨병 관련 정보를 당뇨 정보 관리 서버를 전송하는 당뇨 정보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당뇨병 관련 정보에 기초한 분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당뇨 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당뇨 정보 관리 장치는, 상기 당뇨병 관련 정보와 상기 당뇨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분석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S FOR MANAGING DIABETES}
본 발명은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당뇨병 관련 정보를 간편하게 획득하고 이에 대한 분석 정보를 대화식으로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당뇨병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기타 원인으로 인하여 혈당이 정상 범위 내에서 유지되지 않는 질환으로서, 다양한 합병증을 불러 일으킨다는 점에서 매우 심각한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당뇨병 환자의 수도 매년 증가하고 있어서 당뇨병 관리 문제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당뇨병은 혈당 조절이 매우 중요한데 이러한 혈당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균형잡힌 식사, 적절한 운동과 같은 요인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당뇨병 환자들은 자신의 혈당을 측정하고 식사 및 운동 정보를 수첩 등에 기록하면서 혈당 변화를 체크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당뇨병과 관련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5596호(2011.10.20.공고)는 "당뇨병 관리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혈당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혈당 관련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단순한 기록 및 관리에 불과하여 결국 종래의 수첩을 스마트폰으로 대체한 정도에 그치고 있다. 또한, 단순 입력/저장 기능에 불과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흥미를 잃어버리기 쉬워 계속적인 정보 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한계점도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당뇨병 관련 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흥미를 유발함으로써 당뇨병 관리를 꾸준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75596호(2011.10.20.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폰의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당뇨병 관련 정보를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 획득된 당뇨병 관련 정보에 대한 분석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지속적인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당뇨병 관련 정보와 분석 정보를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대화식으로 순차적으로 또한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마치 대화하는 느낌으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당뇨병 관리에 대한 동기 부여를 부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당뇨병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추가적인 안내 메시지나 코멘트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월 단위 등과 같이 소정 주기로 혈당 패턴과 생활 습관 패턴을 분석하고 그에 상응하여 사용자가 혈당 관리를 잘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분석 및 리포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당뇨병 관련 정보를 당뇨 정보 관리 서버를 전송하는 당뇨 정보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당뇨병 관련 정보에 기초한 분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당뇨 정보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당뇨 정보 관리 장치는, 상기 당뇨병 관련 정보와 상기 당뇨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분석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당뇨 정보 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당뇨병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당뇨병 관련 정보 획득부; 당뇨 정보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당뇨병 관련 정보를 당뇨 정보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당뇨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분석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연동부; 당뇨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분석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분석 정보를 인터페이스 관리부로 전송하는 분석 정보 처리부; 및 당뇨 정보 관리 장치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뇨병 관련 정보는, 혈당 정보, 식사 정보, 복약 정보 및 인슐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관리부는, 사용자가 당뇨병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당뇨병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당뇨병 관련 정보 획득부로 전송하고, 분석 정보 처리부로부터 전송되는 분석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되, 상기 당뇨병 관련 정보와 분석 정보를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당뇨 정보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당뇨병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 연동부; 상기 단말 연동부로부터 수신한 당뇨병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 정보 생성부; 및 사용자 가입 정보, 로그인 정보, 사용자별 당뇨병 설정 정보 및 분석 정보 생성을 위한 당뇨병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정보 생성부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별 당뇨병 설정 정보 및 당뇨병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당뇨병 관련 정보에 상응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되는 당뇨병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별로 소정의 주기 마다 사용자별 혈당 패턴을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생활 습관에 대한 생활 습관 리포트를 생성하여 서버 연동부를 통해 생성된 분석 정보와 생활 습관 리포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패턴 분석/리포트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분석/리포트 생성부는, 사용자별로 혈당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기간마다 주기적으로 혈당 패턴을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 연동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혈당 패턴 분석부; 및 당뇨병 관련 정보 중에서 사용자의 생활 습관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혈당 패턴을 유발하는 생활 습관 정보를 분석하고, 해당 생활 습관 정보에 상응하는 생활 습관 리포트를 단말 연동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생활 습관 리포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혈당 패턴 분석부에서 생성되는 분석 정보는, 사용자가 해당 패턴에 속한다는 메시지와 해당 패턴에 상응하는 안내 메시지 및 해당 패턴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혈당 측정 예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혈당 측정 예약 정보를 저장하고, 혈당 측정 예약 정보에 상응하는 시간에 알람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한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당뇨병 관련 정보를 당뇨 정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1 단계; 당뇨 정보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당뇨병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분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당뇨병 관련 정보와 상기 당뇨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분석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의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당뇨병 관련 정보를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하고, 획득된 당뇨병 관련 정보에 대한 분석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지속적인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뇨병 관련 정보와 분석 정보를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대화식으로 순차적으로 또한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마치 대화하는 느낌으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당뇨병 관리에 대한 동기 부여를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뇨병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분석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추가적인 안내 메시지나 코멘트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월 단위 등과 같이 소정 주기로 혈당 패턴과 생활 습관 패턴을 분석하고 그에 상응하여 사용자가 혈당 관리를 잘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분석 및 리포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전체 구성 및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사용자 단말기(10)에 포함된 당뇨 정보 관리 장치(11)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혈당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혈당 목표치를 초과한 경우의 분석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당뇨병 관련 정보가 식사 정보인 경우의 분석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당뇨병 관련 정보가 복약 정보인 경우의 분석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당뇨병 관련 정보가 인슐린 정보인 경우의 분석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당뇨병 관련 정보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혈당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1)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패턴 분석/리포트 생성부(24)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혈당 패턴 분석부(241)에서 생성된 분석 정보 중에서 혈당 측정 예약 정보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생활 습관 리포트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전체 구성 및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이하 간단히 "시스템(100)"이라 한다)은, 사용자 단말기(10) 및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를 포함하며, 이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여기에서,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망, 공중 전화망, 인터넷 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서, 종래 알려져 있는 일반적인 네트워크를 의미하므로 여기에서는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종래 알려져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본 발명에서는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설치하고 실행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의 당뇨병 관련 정보를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로 전송하고,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가 당뇨병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분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당뇨병 관련 정보와 상기 분석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당뇨 정보 관리 장치(11)를 포함하는데, 당뇨 정보 관리 장치(110)는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1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당뇨병 관련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분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사용자 단말기(10) 및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사용자 단말기(10)에 포함된 당뇨 정보 관리 장치(11)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당뇨 정보 관리 장치(11)는, 당뇨병 관련 정보 획득부(111), 서버 연동부(112), 분석 정보 처리부(113) 및 인터페이스 관리부(114)를 포함한다.
당뇨병 관련 정보 획득부(111)는 사용자의 당뇨병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수단이다. 여기에서, 당뇨병 관련 정보는, 혈당 정보, 식사 정보, 복약 정보 및 인슐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혈당 정보는, 사용자의 혈당 측정값을 포함하며, 측정 상태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혈당 측정값은 사용자가 별도의 혈당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한 후 입력하거나 사용자 단말기(10)에 결합되어 당뇨 정보 관리 장치(11)와 연동하는 전용의 혈당 측정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혈당을 측정하면 자동으로 획득도록 할 수 있다. 혈당 측정 장치는 본 발명의 직접적인 목적이 아니며 종래 기술에 의해 알려져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측정 상태 정보는 예컨대 아침 식사 전/아침 식사 후, 점심 식사 전/점심 식사 후, 저녁 식사 전/저녁 식사 후 등과 같이 혈당을 측정한 시간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식사 정보는,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물의 종류 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식사 시간 정보, 식사량 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식사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약 정보는, 사용자가 복용한 약 이름 정보를 포함하며, 복용 시간 정보 등과 같이 복약과 관련된 기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약 정보 또한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인슐린 정보는, 사용자가 예컨대 주사 등으로 주입한 인슐린의 종류와 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또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서버 연동부(112)는,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와 연동하여, 당뇨병 관련 정보 획득부(111)에서 획득된 당뇨병 관련 정보를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로 전송하고,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가 당뇨병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및 전송하는 분석 정보를 수신하는 수단이다. 당뇨병 관련 정보 및 분석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된다.
분석 정보는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에서 당뇨병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데,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분석 정보는 하나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분석 정보 처리부(113)는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로부터 수신한 분석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분석 정보를 인터페이스 관리부로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 관리부(114)는 당뇨 정보 관리 장치(11)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수단이다.
인터페이스 관리부(114)는, 사용자가 당뇨병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당뇨병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당뇨병 관련 정보 획득부(111)로 전송한다.
또한, 분석 정보 처리부(113)에서 전송되는 분석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당뇨병 관련 정보와 분석 정보는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도 3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당뇨병 관련 정보가 혈당 정보인 경우, 이에 대응하는 분석 정보가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혈당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당뇨병 관련 정보 획득부(111)로 전송되며, 당뇨병 관련 정보 획득부(111)는 이를 서버 연동부(112)를 통해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로 전송하고,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가 당뇨병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분석 정보는 서버 연동부(112)를 통해 분석 정보 처리부(113)로 전달된다. 분석 정보 처리부(113)는 분석 정보를 인터페이스 관리부(114)로 전송하고 인터페이스 관리부(114)는 분석 정보를 사용자가 입력한 당뇨병 관련 정보 위에 순차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이 입력한 당뇨병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분석 정보를 대화식으로 또한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는, 단말 연동부(21), 분석 정보 생성부(22) 및 데이터베이스(23)를 포함한다.
단말 연동부(21)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와 연동하여 당뇨병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분석 정보 생성부(22)는 상기 단말 연동부(21)로부터 수신한 당뇨병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데이터베이스(23)는 사용자 가입 정보, 로그인 정보, 사용자별 당뇨병 설정 정보, 분석 정보 생성을 위한 당뇨병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수단이다.
단말 연동부(21)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당뇨병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 정보 생성부(22)로 전달하고, 분석 정보 생성부(22)에서 분석 정보가 생성되면 이를 수신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분석 정보 생성부(22)는 데이터베이스(23)에 저장된 사용자별 당뇨병 설정 정보 및 당뇨병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당뇨병 관련 정보에 상응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분석 정보는 당뇨병 관련 정보가 어떤 종류의 것인지를 우선 파악하고, 그에 상응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당뇨병 관련 정보는, 혈당 정보, 식사 정보, 복약 정보 및 인슐린 정보 등과 같은 것일 수 있다.
당뇨병 관련 정보가 혈당 정보인 경우, 혈당 정보는 사용자의 혈당 측정값과 측정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분석 정보 생성부(22)는 사용자의 혈당 측정값과 측정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별 당뇨병 설정 정보 및 당뇨병 데이터를 참조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분석 정보 생성부(22)는 혈당 측정값 및 측정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혈당 목표치 범위인지를 판단한다.
도 5는 혈당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별로 측정 상태에 따른 혈당 목표치가 사용자별 당뇨병 설정 정보로서 미리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설정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의 당뇨 정보 관리 장치(11)를 통해 설정해 둘 수 있다. 또는, 임상적으로 검증된 값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함으로써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혈당 측정값이 "75mg/dL"이고 측정 상태 정보가 식사전인 경우, 혈당 목표치보다 낮은 값이다. 따라서, 분석 정보는 혈당 목표치보다 낮다는 것과 혈당 목표치보다 낮을 때의 유의할 점므로, 혈당 목표치보다 낮다는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분석 정보 생성부(22)는 혈당 측정값과 측정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혈당 목표치 범위 이내인지, 초과했는지, 미달했는지를 판단하고 그에 상응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초과/미달의 경우에 혈당 측정값에 따라 경계 수준인지 위험 수준인지를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석 정보는, 혈당 목표치 범위 이내인지, 초과/미달인지에 따른 안내 메시지와 그에 상응하는 코멘트 메시지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 코멘트 메시지는 예컨대 혈당 목표치를 초과한 경우 목표치를 초과하는 원인에 대한 내용과 최근의 혈당 조절 여부와 혈당 조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행동을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혈당 목표치를 초과한 경우의 분석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혈당 측정값이 목표치보다 높다는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하고, 연속적으로 코멘트 메시지 1~4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 후, 사용자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이러한 안내 메시지와 코멘트 메시지들이 연속적으로 대화식으로 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당 목표치 범위의 여부에 대한 안내 메시지와 그에 상응하는 코멘트 메시지를 연속적으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혈당이 잘 유지되고 있는지 또한 혈당 조절과 관련된 각종 안내 정보를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의 분석 정보 생성부(22)로부터 얻을 수 있다.
한편, 당뇨병 관련 정보가 식사 정보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물의 종류 정보, 식사 시간 정보, 식사량 정보 등과 같은 정보가 당뇨병 관련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로 전송된다.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는 수신된 식사 정보에 기초하여, 식사 종류를 비교하여, 단순당 위주/탄수화물 위주/어육류/간식, 야식/음주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식사 시간을 비교하여 이른 식사/제시간/늦은 식사인지를 판단한다. 또한, 식사량을 비교하여, 식사 거름/조금/적당히/과식 등인지를 판단하고, 이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그에 상응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 연동부(21)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도 7은 당뇨병 관련 정보가 식사 정보인 경우의 분석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식사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면 이는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로 전송되고,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의 분석 정보 생성부(22)는 데이터베이스(23)를 참조하여, 수신된 당뇨병 관련 정보(식사 정보)를 분석하고, 그에 상응하는 분석 정보 1 및 2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10)는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화식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당뇨병 관련 정보와 함께 순차적으로 표시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당뇨병 관련 정보가 복약 정보인 경우, 사용자가 복용한 약 이름 정보, 복용 시간 정보 등과 같이 복약과 관련된 기타 정보가 당뇨병 관련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로 전송된다.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는 수신된 복약 정보에 기초하여, 약 종류에 따른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성분을 기준으로 DPP-4억제제/GLP-1유사체/SGLT-2억제제/바이구아나이드계/설포닐우레아계/알파글루코시다제제/치아졸리디네디온계인지의 여부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 연동부(21)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도 8은 당뇨병 관련 정보가 복약 정보인 경우의 분석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복약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면 이는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로 전송되고,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의 분석 정보 생성부(22)는 데이터베이스(23)를 참조하여, 수신된 당뇨병 관련 정보(복약 정보)를 분석하고, 그에 상응하는 분석 정보 1 및 2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10)는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화식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당뇨병 관련 정보와 함께 순차적으로 표시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당뇨병 관련 정보가 인슐린 정보인 경우, 사용자가 주사한 인슐린의 종류와 양에 대한 정보가 당뇨병 관련 정보로서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로 전송될 수 있다.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는 수신된 인슐린 정보에 기초하여 인슐린 종류에 따른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초속효성/속효성/중간형/지속형/혼합형 등인지의 여부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 연동부(21)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도 9는 당뇨병 관련 정보가 인슐린 정보인 경우의 분석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인슐린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면 이는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로 전송되고,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의 분석 정보 생성부(22)는 데이터베이스(23)를 참조하여, 수신된 당뇨병 관련 정보(인슐린 정보)를 분석하고, 그에 상응하는 분석 정보 1 및 2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10)는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대화식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당뇨병 관련 정보와 함께 순차적으로 표시함을 알 수 있다.
도 10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시스템(100)에서 수행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 단말기(10)에서 당뇨 정보 관리 장치(11)가 실행되어 당뇨병 관련 정보 획득부(111)가 사용자에 대한 당뇨병 관련 정보를 획득한다(S100).
전술한 바와 같이, 당뇨병 관련 정보는 혈당 정보, 식사 정보, 복약 정보 및 인슐린 정보 등과 같은 것일 수 있다. 혈당 정보 중에서 혈당 측정값은 사용자 단말기(10)에 결합하는 혈당 측정 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획득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식사 정보, 복약 정보 및 인슐린 정보들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당뇨병 관련 정보의 획득을 위해 당뇨 정보 관리 장치(11)는 인터페이스 관리부(114)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당뇨병 관련 정보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과 같이, 당뇨 정보 관리 장치(11)의 인터페이스 관리부(114)는 당뇨병 관련 정보(인슐린, 식사, 운동, 복약, 혈당)를 입력할 수 있는 선택 버튼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선택하면 관련된 당뇨병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12는 혈당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에서 사용자가 혈당 선택 버튼을 선택하면 도 12와 같은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 도 12에 나타낸 아침식사전, 식후 2시간, 점심/저녁 식사전, 운동 전/중, 운동 후, 아픈 날, 자기전, 새벽 등과 같은 선택 버튼은 측정 상태 정보를 미리 구분해 둔 것으로서, 사용자가 이들 중에서 자신의 현재 측정 상태에 대한 버튼을 선택하고 혈당 측정값을 입력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당뇨병 관련 정보가 획득되면, 당뇨병 관련 정보 획득부(111)는 당뇨병 관련 정보를 서버 연동부(112)로 전송하고, 서버 연동부(112)는 당뇨병 관련 정보를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S110).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의 단말 연동부(21)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당뇨병 관련 정보를 분석 정보 생성부(22)로 전송하고, 분석 정보 생성부(22)는 수신한 당뇨병 관련 정보에 상응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S12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석 정보는 분석 정보 생성부(22)가 데이터베이스(23)에 저장된 사용자별 당뇨병 설정 정보 및 당뇨병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당뇨병 관련 정보에 상응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분석 정보가 생성되면 분석 정보 생성부(22)는 생성된 분석 정보를 단말 연동부(21)로 전송하고, 단말 연동부(21)는 분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S130).
사용자 단말기(10)의 당뇨 정보 관리 장치(11)의 서버 연동부(112)는 분석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 정보 처리부(113)로 전송하고, 분석 정보 처리부(113)는 분석 정보를 저장한 후 인터페이스 관리부(114)로 전송한다. 인터페이스 관리부(114)는 분석 정보를 도 3, 도 6, 도 7,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뇨병 관련 정보가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한다(S140).
이때, 분석 정보 중에서 도 6의 코멘트 메시지 4와 같이 사용자가 추가적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메시지가 제공된 경우, 사용자가 추가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저장하거나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로부터 추가 정보에 대한 추가 분석 정보를 다시 수신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다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절차는 추가 정보 처리라고 할 수 있다(S150). 여기에서, 추가 정보 처리는 예컨대 혈당 측정 시간을 예약하고 해당 예약 시간에 알림 메시지를 제공해서 사용자가 혈당을 측정하여 혈당 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1)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의 실시예의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1)는, 도 4에 나타낸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와 비교해 볼 때, 패턴 분석/리포트 생성부(24)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패턴 분석/리포트 생성부(24)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의 당뇨병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별로 소정의 주기 예컨대 월단위로 혈당 패턴을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생활 습관에 대한 리포트를 생성하여, 단말 연동부(21)를 통해 생성된 분석 정보와 리포트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도 14는 패턴 분석/리포트 생성부(24)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패턴 분석/리포트 생성부(24)는 혈당 패턴 분석부(241)와 생활 습관 리포트 생성부(242)를 포함한다.
혈당 패턴 분석부(241)는, 사용자별로 혈당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기간마다 주기적으로 혈당 패턴을 분석하고 분석 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분석 정보를 단말 연동부(21)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혈당 패턴의 분석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예컨대 매월말에 1개월 단위의 사용자별 혈당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혈당 패턴이 미리 설정된 패턴 중 어떠한 것인지를 판단한다. 미리 설정된 패턴과 해당 패턴에 속하는지의 판단 방법은 예컨대 다음과 같은 것일 수 있다.
1) 저혈당 패턴
1개월간의 혈당 정보 중 조절 목표보다 낮은 혈당 측정값이 3회 이상 검출되었는지에 의해 판단
2) 공복고혈당 패턴
1개월간의 혈당 정보 중 아침식사전 혈당 측정값이 조절 목표보다 높은 횟수가 5회 이상 검출되었는지에 의해 판단
3) 식후고혈당 패턴
1개월간의 혈당 정보 중, 식후 2시간 혈당 측정값이 조절 목표보다 높은 횟수가 5회 이상 검출되었는지에 의해 판단
4) 정상 패턴
1개월간의 혈당 정보가 모두 조절 목표 내에 포함된 경우
이와 같이 사용자의 혈당 정보가 상기 혈당 패턴 중 어느 경우에 속하는지를 판단하고
혈당 패턴 분석부(241)는 소정 기간 내의 사용자의 혈당 정보로부터 상기와 같은 4가지의 혈당 패턴 중에서 어떤 패턴에 속하는지를 판단하고, 그에 상응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 사용자의 혈당 정보가 복수개의 패턴에 해당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모든 복수개의 패턴에 대해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우선 순위를 두고 우선 순위의 순서대로 해당하는 하나의 패턴에 대해서만 분석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분석 정보는, 사용자가 해당 패턴에 속한다는 메시지와 해당 패턴에 상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저혈당 패턴인 경우 해당 패턴에 대한 원인, 해결 방법 등과 같은 안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석 정보는 해당 패턴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혈당 측정 예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혈당 패턴 분석부(241)에서 생성된 분석 정보 중에서 혈당 측정 예약 정보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상기 1)~4)의 패턴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경우, 해당 패턴에 상응하여 적절하게 미리 설정된 혈당 측정 예약 정보를 분석 정보에 포함시켜 제공하면, 사용자 단말기(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혈당 측정 예약 정보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면 해당 혈당 측정 예약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시간에 혈당 측정 시간이 되었음을 알리는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혈당 측정을 잊어버리지 않고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14를 참조하면, 생활 습관 리포트 생성부(242)는 당뇨병 관련 정보 중에서 사용자의 생활 습관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혈당 패턴을 유발하는 생활 습관 정보를 분석하고, 해당 생활 습관 정보에 상응하는 생활 습관 리포트를 단말 연동부(21)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생활 습관 리포트 생성부(242)는, 상기 혈당 패턴 중에서 문제가 되는 패턴(예컨대 상기 1)~3)의 패턴)에 대해 해당 혈당 패턴을 유발할 수 있는 생활 습관 정보를 당뇨병 관련 정보로부터 추출해 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당뇨병 관련 정보는, 혈당 정보 이외에 식사 정보, 복약 정보 및 인슐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당뇨병 관련 정보로부터 해당 혈당 패턴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는 정보를 추출해 낸다. 예컨대, 저혈당 패턴인 경우, 식사 정보로부터 부실한 식사/탄수화물 위주의 식사/어육류, 견과류 위주의 식사로 인해 해당 패턴으로 분류된 것인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은 데이터베이스(23)에 미리 설정해 둔 기준값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 때의 혈당 패턴은 전술한 혈당 패턴 분석부(241)에서 혈당 패턴 분석에 사용된 기준치와 다른 값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혈당 패턴 분석부(241)의 결과를 이용하지 않고 다른 기준에 의해 혈당 패턴을 분석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1)의 저혈당 패턴의 경우, 1개월간 혈당 정보 중에서 조절 목표보다 낮은 혈당 정보가 2회 이상 검출된 경우 저혈당 패턴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의 공복고혈당 패턴의 경우, 1개월간 혈당 정보 중에서 아침식사전의 혈당 측정값이 조절목표보다 2회 이상 검출된 경우 공복 고혈당 패턴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의 식후 고혈당 패턴의 경우에도 1개월간 혈당 정보 중에서 식후 2시간의 혈당 측정값이 조절목표보다 2회 이상 높은 경우 식후 고혈당 패턴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혈당 패턴에 원인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인으로는 운동 정보가 있는데, 당뇨병 관련 정보로서 운동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고, 운동 정보에 기초하여 저혈당 패턴으로 분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활 습관 리포트 생성부(242)는 사용자의 생활 습관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활 습관 리포트를 생성하고 이를 단말 연동부(21)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수신된 생활 습관 리포트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한다.
도 16은 생활 습관 리포트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 혈당 패턴에 따라 식사 정보 및 생활 습관에 따라 분석된 생활 습관 리포트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제공된다.
좌측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탄수화물 위주의 식사"를 선택하면, 우측의 화면과 같이 탄수화물 위주의 식사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수정/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기(10) 및 당뇨 정보 관리 서버(20)는 의료 기관 및 상담 센터와 연결되어 당뇨병 관련 정보 및 분석 정보를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정보를 의료 기관 및 상담 센터와 공유함으로써, 해당 정보에 기초한 정확한 의료 서비스와 상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100...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사용자 단말기
20...당뇨 정보 관리 서버

Claims (11)

  1.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사용자의 당뇨병 관련 정보를 당뇨 정보 관리 서버를 전송하는 당뇨 정보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당뇨병 관련 정보에 기초한 분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당뇨 정보 관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당뇨 정보 관리 장치는, 상기 당뇨병 관련 정보와 상기 당뇨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분석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 정보 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당뇨병 관련 정보를 획득하는 당뇨병 관련 정보 획득부;
    당뇨 정보 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당뇨병 관련 정보를 당뇨 정보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당뇨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분석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연동부;
    당뇨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분석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분석 정보를 인터페이스 관리부로 전송하는 분석 정보 처리부; 및
    당뇨 정보 관리 장치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병 관련 정보는, 혈당 정보, 식사 정보, 복약 정보 및 인슐린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관리부는,
    사용자가 당뇨병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당뇨병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당뇨병 관련 정보 획득부로 전송하고,
    분석 정보 처리부로부터 전송되는 분석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되, 상기 당뇨병 관련 정보와 분석 정보를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에서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뇨 정보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당뇨병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분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 연동부;
    상기 단말 연동부로부터 수신한 당뇨병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 정보 생성부; 및
    사용자 가입 정보, 로그인 정보, 사용자별 당뇨병 설정 정보 및 분석 정보 생성을 위한 당뇨병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정보 생성부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별 당뇨병 설정 정보 및 당뇨병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당뇨병 관련 정보에 상응하는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획득되는 당뇨병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별로 소정의 주기 마다 사용자별 혈당 패턴을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생활 습관에 대한 생활 습관 리포트를 생성하여 서버 연동부를 통해 생성된 분석 정보와 생활 습관 리포트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패턴 분석/리포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분석/리포트 생성부는,
    사용자별로 혈당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기간마다 주기적으로 혈당 패턴을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 연동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혈당 패턴 분석부; 및
    당뇨병 관련 정보 중에서 사용자의 생활 습관과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혈당 패턴을 유발하는 생활 습관 정보를 분석하고, 해당 생활 습관 정보에 상응하는 생활 습관 리포트를 단말 연동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생활 습관 리포트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혈당 패턴 분석부에서 생성되는 분석 정보는, 사용자가 해당 패턴에 속한다는 메시지와 해당 패턴에 상응하는 안내 메시지 및 해당 패턴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혈당 측정 예약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혈당 측정 예약 정보를 저장하고, 혈당 측정 예약 정보에 상응하는 시간에 알람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에 의한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한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당뇨병 관련 정보를 당뇨 정보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제1 단계;
    당뇨 정보 관리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당뇨병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분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 단계; 및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당뇨병 관련 정보와 상기 당뇨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분석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60056670A 2016-05-09 2016-05-09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263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670A KR20170126353A (ko) 2016-05-09 2016-05-09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670A KR20170126353A (ko) 2016-05-09 2016-05-09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353A true KR20170126353A (ko) 2017-11-17

Family

ID=60808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670A KR20170126353A (ko) 2016-05-09 2016-05-09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63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147B1 (ko) * 2019-08-30 2020-04-17 주식회사 수일개발 인슐린펌프 연동 u-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
KR102115120B1 (ko) * 2019-08-30 2020-05-26 주식회사 수일개발 U-헬스 케어 기술을 이용한 환자 맞춤형 당뇨관리 및 치료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147B1 (ko) * 2019-08-30 2020-04-17 주식회사 수일개발 인슐린펌프 연동 u-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
KR102115120B1 (ko) * 2019-08-30 2020-05-26 주식회사 수일개발 U-헬스 케어 기술을 이용한 환자 맞춤형 당뇨관리 및 치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7438B2 (en) Managing insulin administration
EP2715583B1 (en) Location enabled food database
US10733154B2 (e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ation, execution,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of a structured collection procedure which runs on a collection device
CN109997198B (zh) 综合疾病管理系统
US20180197628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experiential medication dosage calculations
CN101785702B (zh) 健康信息系统、方法及对应装置、设备及试剂载体
US20010037060A1 (en) Web site for glucose monitoring
EP2463796A2 (en) Health care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health care
US20060041452A1 (en) All-in-one electronic method and a technology designed to collect, integrate, analyze & display medical & health data ( brand name : health-e-window)
US20120143621A1 (en) Health care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health care
US20190320976A1 (en) Metabolic monitoring system
US20170098040A1 (en) Weigh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60210430A1 (en) Data management unit for supporting health control
KR20170126353A (ko) 당뇨병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Reddy et al.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requirements with the use of intermittently scanned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Usoh et al. Telehealth technologies and their benefits to people with diabetes
US20220369960A1 (en) Process for managing or assisting in the monitoring of a physiological parameter of an individual, in particular the blood sugar level
Unnikrishnan et al. Technology in the management of diabetes mellitus
KR20190083795A (ko) 당뇨질환자 건강관리 정보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Tsilivigos et al. Smartphone-Based Technology in Diabetes Management
JP2023536039A (ja) カスタマイズヘルスケア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方法
IRUNGU MT SELF-MANAGEMENT UNIVERS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