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6112A - 커피원두 분쇄용 컵 - Google Patents

커피원두 분쇄용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6112A
KR20170126112A KR1020160056084A KR20160056084A KR20170126112A KR 20170126112 A KR20170126112 A KR 20170126112A KR 1020160056084 A KR1020160056084 A KR 1020160056084A KR 20160056084 A KR20160056084 A KR 20160056084A KR 20170126112 A KR20170126112 A KR 20170126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cup
net
crushing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기
함훈한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이덕기
이동훈
함훈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기, 이동훈, 함훈한 filed Critical 이덕기
Priority to KR1020160056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6112A/ko
Publication of KR20170126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1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8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 A47J31/20Apparatus in which ground coffee or tea-leaves are immersed in the hot liquid in the beverage container having immersible, e.g. rotatabl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의 뚜껑이며 커피원두를 분쇄하는 분쇄 뚜껑부; 및 상기 분쇄 뚜껑부에 대응되며 커피원두를 분쇄하는 분쇄망부; 및 분쇄망 하부에 결합되어 분쇄된 원두커피가루를 걸러주는 걸름망부; 및 분쇄망과 걸름망을 고정하고 지지하는 분쇄망 및 걸름망 홀더로 구성된 커피원두 분쇄용 컵으로써 컵 뚜껑 자체에다 분쇄 장치를 한 것으로, 컵 뚜껑 내부의 로스팅된 커피원두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음용할 때 바로 분쇄하는 것임으로 커피원두의 손실이 없을 뿐만 아니라 커피원두 고유의 향을 그대로 지닌 커피를 맛 볼 수 있고 본인이 직접 원두커피를 만드는 것으로 재미와 함께 안전 식품에 대한 믿음을 제공해주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커피원두 분쇄용 컵{cap for grinding roast coffee bean}
본 발명은 로스팅된 커피원두 등과 같은 과립 상태의 원료를 넣은 일회용 컵의 뚜껑에 있어서, 컵 뚜껑 내부에 분쇄기를 장치하여 뚜껑 내부에 담겨진 과립 상태의 커피 원두를 컵 뚜껑의 조작으로써 직접 분쇄하여 분말로 변화된 향긋한 원두커피가루를 컵 내부의 걸름망 위로 살포하고 뚜껑을 제거한 이후 온수를 투입하여 원두커피가 컵 내부에 조성되도록 하고 분쇄망 및 걸름망을 제거하여 음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대량생산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특징이 있다.
종래에는 완전히 작말된 상태의 원두커피가루 등의 원료를, 병이나 파우치에 넣어서 판매 내지는 사용하여 왔었던 것이며, 따라서 미리 커피 원두를 로스팅하고 분쇄하여 분말로 담겨진 이러한 원두커피는 그 고유의 향이 증발되거나 원두커피의 허실을 갖고 있는 결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결함을 보완하고자, 개인이 사용하고자 하는 컵 뚜껑 내부에 과립 상태로 로스팅된 커피원두와 같은 원료를 넣어둔 다음 음용할 때에 컵의 중간부위 내부에 있는 분쇄망 테두리를 한손으로 잡아 고정하고 다른 손으로 컵의 뚜껑을 회전함으로써 분쇄기 사이에 넣어둔 커피원두를 직접 분쇄하여 과립 상태의 커피원두를 분말로 변환하여 향긋한 원두커피가루를 조성하고 차례로 분쇄 뚜껑을 제거하고 온수를 투입하고 분쇄망 및 걸름망부를 제거하여 향긋한 원두커피를 음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야외 활동이 빈번한 현대사회에 신선하고 수준 있는 원두커피 등을 언제든 음용할 수 있도록 하고 다중이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구성의 고안품이 절실한 상황이 대두되었다.
기존에는 완전히 작말된 상태의 원두커피가루 등의 원료를, 병이나 파우치에 넣어서 판매 내지는 사용하여 왔었던 것이며, 따라서 미리 커피 원두를 로스팅하고 분쇄하여 분말로 담겨진 이러한 원두커피는 그 고유의 향이 증발되거나 원두커피의 허실을 갖고 있는 결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견지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원두커피를 음용하고자 할 때 컵 뚜껑 내부에 담겨져 있는 로스팅된 커피의 원두를 직접 분말로 변환하여 커피 원두 고유의 향을 그대로 지닌 원두커피를 맛 볼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것을 목적하되 경제적으로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최대 효용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인 원두커피 분쇄 일회용 컵은,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담아 저장하고, 분쇄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분쇄 뚜껑부 ; 및 상기 분쇄 뚜껑부에 대응되는 분쇄망부; 및 상기 분쇄망부 테두리를 한손으로 고정하고 다른 한손으로 분쇄 뚜껑부를 회전시켜서 획득한 커피원두 가루를 담아두고 온수는 통과되고 가루는 걸러주는 기능이 있는 원두커피가루 걸름망부; 및 커피를 담아서 음용할 수 있는 용기인 컵으로 구성함으로써, 신선하고 향긋한 원두커피를 저렴한 비용으로 음용하는 목적을 이루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컵 뚜껑 자체에다 분쇄 장치를 한 것으로, 컵 뚜껑 내부의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음용할 때 바로 분쇄하는 것임으로 커피원두의 손실이 없을 뿐만 아니라 커피원두 고유의 향을 그대로 지닌 커피를 맛 볼 수 있고 본인이 직접 원두커피를 만드는 것으로 재미와 함께 안전 식품에 대한 믿음을 제공해주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분해 구성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분쇄망 및 걸름망 홀더 평면 및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걸름망 평면 및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분쇄망 평면 및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분쇄 뚜껑 평면 및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적용사례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로스팅된 커피원두를 분쇄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 분쇄 뚜껑부와 분쇄 뚜껑부에 대응되는 분쇄망부와 분쇄되어 가루가 된 원두커피를 걸러주는 원두커피가루 걸름망부에 의한 커피원두 분쇄용 컵(1)의 한 양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는 커피원두 분쇄용 컵(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 커피원두 분쇄용 컵(1)의 사시도는 기본적으로 5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컵(10)의 뚜껑이며 로스팅된 커피원두(50)를 분쇄할 수 있는 분쇄돌기(61)를 구비하고, 분쇄망(40) 사이에 보관된 로스팅된 커피원두(50)가 부서지지 않도록 공간을 유지해주는 공간 유지구(63)와 로스팅된 커피원두(50)가 분쇄되며 뚜껑이 하방으로 움직일 수 있는 뚜껑 유동구가 뚜껑 주변에 배치되고, 컵이 고정되는 기능을 하는 뚜껑 고정구(61)를 구비하고 있는 분쇄 뚜껑부(60)와 분쇄 뚜껑부(60)에 대응되는 일단으로서 로스팅된 커피원두(50)를 보관하는 분쇄망(40)인데 분쇄망(40)의 중심부위에서는 커피원두가 분쇄되지 않기에 커피원두가 존재하지 않도록 기능하는 커피원두 도피구(42)가 분쇄 판(40)의 중앙에 위치하고 로스팅된 커피원두(50)가 구멍 테두리에 걸려서 분쇄되도록 기능하며 분쇄된 원두커피가루(51)가 빠져서 내려갈 수 있는 분쇄 구멍(41)이 구성되어 있고, 컵 내부에 위치해야 할 분쇄망(40)과 걸름망(30)이 고정될 수 있도록 기능하는 분쇄망 및 걸름망 홀더(20)가 컵(10)의 상부와 결합되어 고정해 주는 기능의 컵 고정구(21)와 로스팅된 커피원두(50)가 분쇄되어 낙하할 때 보관해 주는 걸름망(30)이 분쇄망 및 걸름망 홀더(20)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해주는 걸름망 고정핀(23)이 하부에 구비되는데 걸름망 고정핀(23)은 다수개가 있는 것이 권장되고, 걸름망 고정핀(23) 상부에는 분쇄망(40)을 정한 위치에 고정해 주기 위한 분쇄망 고정구(22)가 분쇄망 및 걸름망 홀더(20)의 중간에 위치하게 된다. 분쇄 뚜껑부(50)를 회전시킬 때 같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쇄망 고정구(22) 위치에 대응하는 컵(10) 외부에 표시선이 구비되는 것이 권장된다. 원두커피가루(51)를 보관하고 온수를 투입했을 때 걸러주는 원두커피가루 걸름망(30)과 음용할 수 있는 용기로서 컵(1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는 커피원두 분쇄 일회용 컵(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인 커피원두 분쇄용 컵(1)에서 우선 조립하는 순서를 기준으로 서술하면 컵(10) 내부로 분쇄망 및 걸름망 홀더(20)을 삽입하여 컵 고정구(21)가 컵의 상부와 결합되도록 한다. 분쇄망 및 걸름망 홀더(20) 속으로 걸름망(30)을 투입하여 걸름망 고정핀(23)에 끼워서 고정한다. 그리고 분쇄망(40)을 분쇄망 고정구(22) 위에 올려 놓고 결합시킨다. 이후에 분쇄망(40) 위에 로스팅된 커피원두(50)를 놓고, 분쇄 뚜껑부(60)를 올려놓고 눌러서 뚜껑 고정구(62)와 컵(10) 출입구 테두리 하부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추가로 로스팅된 커피원두(50)가 외부 공기와 접촉을 차단하기 위해 결합이 완료된 커피원두 분쇄용 컵(1)의 외부를 밀폐 포장재로 감싸는 것이 권장된다.
도3은 본 발명의 분쇄망 및 걸름망 홀더(40) 평면 및 단면도이다. 분쇄망 및 걸름망(40)은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품이 권장되며, 걸름망 베이스(24)의 중앙에 걸름망 고정핀(23)이 배치되는 것이 좋은 배치이나 운반과정의 충격 등에도 견디기 위해서는 다수의 핀으로 구성되는 것이 권장된다. 그리고, 이 걸름망 고정핀(23)은 분쇄망(40) 밑면에 접촉할 수 있는 길이로 하는 것이 걸름망(30)의 이탈을 예방할 수 있기에 권장된다.
도4는 본 발명의 걸름망 평면 및 단면도이다.
걸름망(30)은 통상적으로 펄프 재질이 권장되나 걸름의 기능과 배수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플라스틱 재질도 적용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분쇄망 평면 및 단면도이다.
분쇄망(40)은 플라스틱의 재질로서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고 식품에 접촉되어도 유해물질이 발생되지 않는 종류의 플라스틱으로 적용되는 것이 권장된다. 분쇄 구멍(41)은 아래로 내려가면서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디자인되는 것이 권장된다. 로스팅된 커피원두(50)이 미끄러지지 않고 분쇄 구멍(41)에 걸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분쇄 뚜껑부 평면 및 단면도이다.
분쇄 뚜껑부(60)의 분쇄 돌기(61)는 플라스틱의 재질로서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고 식품에 접촉되어도 유해물질이 발생되지 않는 종류의 플라스틱으로 적용하고, 삼각형의 단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권장되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는 분쇄 뚜껑(60)이 작동하는 순간의 작동 상태도이다.
신선하고 향긋한 원두커피의 맛을 음미하기 위하여 로스팅된 커피원두(50)를 분쇄하여 원두커피가루(51)로 변환하는 과정을 서술한다.
캡(10)의 내부에 위치하는 분쇄망(40)을 고정하는 분쇄망 고정구(22) 위치에 표기된 표시선을 컵(10) 외부에서 컵(10)과 함께 한손으로 잡아서 고정한다. 그리고, 분쇄 뚜껑부(60)를 다른 한손으로 잡고 눌러서 가압하며 회전시키는데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교대로 회전시켜 효율을 높이는 것이 권장된다. 분쇄 뚜껑부(60)와 분쇄망(40) 사이의 커피원두(50)가 분쇄되어 원두커피가루(51)로 변화되어 낙하하면 원두커피가루 걸름망(30) 위에 쌓이게 된다.
이렇게 커피원두(50)가 모두 분쇄되어 원두커피가루(51)가 되면, 커피원두(50)가 없어지며 컵(10) 테두리 부위와 결합된 분쇄 뚜껑부(60)의 뚜껑 고정구(62)가 헐거워지며 틈새가 생기면 분쇄 뚜껑부(60)를 제거한다.
그리고, 따뜻한 음용수를 분쇄망부(40) 위로 부어 원두커피가루(51)와 혼합되고, 걸름망(30)을 통과한 커피음료(70)가 컵(10)에 모아지게 된다. 따뜻한 음용수가 모두 낙하하게 되면 걸름망(30)이 결합된 분쇄망 및 걸름망 홀더(20)를 제거하고 커피음료(70)를 식용하면 된다.
상술한 것은 커피원두 분쇄용 컵(1)의 일례를 서술한 것이나 커피원두 이외의 원료에도 적용을 확대할 수 있다.
1: 커피원두 분쇄 일회용 컵
10: 컵
20: 분쇄망 및 걸름망 홀더
21: 컵 고정구
22: 분쇄망 고정구
23: 걸름망 고정핀
24: 걸름망 베이스
30: 걸름 망
40: 분쇄 망
41: 분쇄 구멍
42: 커피 원두 도피구
50: 로스팅된 커피원두
51: 분쇄된 원두커피가루
60: 분쇄 뚜껑부
61: 분쇄 돌기
62: 뚜껑 고정구
63: 공간 유지구
70: 커피음료

Claims (4)

  1. 커피 원두 분쇄용 컵으로서, 컵의 뚜껑이며 커피원두를 분쇄하는 분쇄 뚜껑부; 및 상기 분쇄 뚜껑부에 대응되며 커피원두를 분쇄하는 분쇄망부; 및 분쇄망 하부에 위치되어 분쇄된 원두커피가루를 걸러주는 걸름망부; 및 분쇄망과 걸름망을 고정하고 지지하는 분쇄망 및 걸름망 홀더가 컵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커피원두 분쇄용 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뚜껑부의 하부에는 분쇄 기능을 높이기 위한 분쇄돌기가 구비된 커피원두 분쇄용 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망의 분쇄구멍은 고운 형태의 가루를 생성하기 위해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원두 분쇄용 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가지 주요 구성 부품을 순서대로 컵과 결합하여 조립이 완성되는 특징이 있는 커피원두 분쇄용 컵.
KR1020160056084A 2016-05-09 2016-05-09 커피원두 분쇄용 컵 KR201701261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084A KR20170126112A (ko) 2016-05-09 2016-05-09 커피원두 분쇄용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084A KR20170126112A (ko) 2016-05-09 2016-05-09 커피원두 분쇄용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112A true KR20170126112A (ko) 2017-11-17

Family

ID=60808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084A KR20170126112A (ko) 2016-05-09 2016-05-09 커피원두 분쇄용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61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21603U1 (ru) * 2023-09-12 2023-11-14 Виталий Павлович Панкратов Стакан-термос с теплоизолированным внешним держателем капсул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21603U1 (ru) * 2023-09-12 2023-11-14 Виталий Павлович Панкратов Стакан-термос с теплоизолированным внешним держателем капсул
RU222529U1 (ru) * 2023-09-25 2024-01-09 Виталий Павлович Панкратов Стакан с внешним держателем капсул системы безопасн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RU225089U1 (ru) * 2023-12-30 2024-04-12 Виталий Павлович Панкратов Стакан-термос - внешний держатель с кольцевой полкой и фиксаторам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8882B1 (ko) 핸드드립커피 텀블러
AU2011355935B2 (en) Beverage extraction device
US5895672A (en) Product and process for preparing a tea extract
US10080460B2 (en) Beverage extraction apparatus
CA2821049C (en) Brewed beverage appliance and method
US9320383B2 (en) French press blender
KR101011692B1 (ko) 필터 일체형 핸드밀
KR20140079584A (ko) 휴대용 드립커피 메이커
JP2011101790A (ja) ディスポーザブルホールビーンコーヒーフィルター
KR100995873B1 (ko) 밀이 내장되는 휴대용 커피 추출장치
KR20170126112A (ko) 커피원두 분쇄용 컵
JP3203798U (ja) ミニコーヒー機器
US20220175176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brewing beverages
KR200474168Y1 (ko) 다각 믹서기
KR200473090Y1 (ko) 커피 원두 분쇄기용 덮개
KR20170122921A (ko) 커피원두 분쇄 일회용 컵
KR100277216B1 (ko) 휴대용원두커피섭취용기세트
KR20060108043A (ko) 멀티 푸드메이커
JP6795815B2 (ja) コーヒー豆粉砕器
KR200329549Y1 (ko) 투명 소재 케이스를 구비한 원두커피 자판기
TWI687185B (zh) 濾泡式咖啡過濾器
JP3043913U (ja) 粉砕式調理器
KR200150092Y1 (ko) 분쇄기로서의 역할도 하는 주스 추출기
KR20000036367A (ko) 걸름망을 갖는 주서컵
RU2782225C2 (ru) Блок для кофейного аппарат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