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5711A -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5711A
KR20170125711A KR1020170050411A KR20170050411A KR20170125711A KR 20170125711 A KR20170125711 A KR 20170125711A KR 1020170050411 A KR1020170050411 A KR 1020170050411A KR 20170050411 A KR20170050411 A KR 20170050411A KR 20170125711 A KR20170125711 A KR 20170125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cod
mcb
specific channe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2223B1 (ko
Inventor
최덕신
Original Assignee
최덕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덕신 filed Critical 최덕신
Publication of KR20170125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어지는 스마트폰 및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받는 MCB 셋탑장비(100), 상기 MCB 셋탑장비(100)로부터 특청 채널신호 및 상기 특정 채널신호와 연동되어진 해당되는 콘텐츠의 정보를 수신받는 MCoD 시스템(200), 상기 MCoD 시스템(200)에 저장되어진 해당 콘텐츠는 상기 MCB 셋탑장비(100)를 통해서 사용자 TV모니터 및 스마트폰에 제공하는 사용자 디스플레이(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 및 시스템은 종래의 채널 또는 메뉴를 선택하는 방식이 아닌 아이콘화 된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손쉽게 감상할 수 있어 나이가 많은 어르신들도 손쉽게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 및 시스템{SPECIFIED CHANNEL USING MULTI CONTENTS OF DEMAND ENJOYING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IP TV 또는 케이블 TV를 이용하여 채널을 감상하기 위해 단계별로 콘텐츠를 선택하는 방식이 아닌 감상을 원하는 콘텐츠를 아이콘으로 미리 등록하여 리모콘 또는 스마트폰에 설정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무선망을 이용하여 IP TV용 Set Top BOX나 케이블 TV의 보급으로 인하여 다양한 TV채널과 함께 여러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이러한 IP TV나 케이블 TV는 다양한 채널과 다시보기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 및 콘텐츠를 감상하기 위해서는 선택해야하는 아이콘이 너무 많고, 사용하기 복잡하여 어르신들이 사용하기에 어려움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사업자가 제공하는 영상물을 사용자가 감상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로 나누어진 메뉴를 선택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특히 어르신들의 경우에는 사용방법을 익히기가 어려워, 이러한 기능의 사용이 무용지물인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물을 손쉽게 감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사용자가 감상을 원하는 채널 및 콘텐츠를 손쉽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이 간편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물을 감상하는 새로운 구조의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 및 시스템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채널 또는 메뉴를 선택하는 방식이 아닌 아이콘화 된 메뉴를 리모콘 또는 스마트폰에 설정하여 단순하게 특정 번호만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손쉽게 선택하여 감상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한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TV채널 또는 콘텐츠를 아이콘으로 미리 등록하고, 상기 해당되는 아이콘을 스마트폰 또는 리모콘의 채널번호에 의해 선택하여 미리 등록되어진 콘텐츠를 유무선 또는 케이블망을 통해 사용자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 및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TV채널 또는 콘텐츠를 아이콘으로 표현되어지도록 하기 위해, 스마트폰 또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상기 TV 채널 및 콘텐츠를 MCoD 시스템에 등록하며, 상기 MCoD 시스템에 등록되어진 해당 콘텐츠를 특정 채널번호 별로 요청하는 단계(S100); 상기 해당 콘텐츠의 정보가 등록된 MCoD 시스템은 사용자의 정보 또는 가입자의 정보가 저장된 MCB 셋탑장비에서 발생된 신호가 특정 채널번호인지의 여부가 분석되어지는 채널분석 단계(S200); 상기 MCB 셋탑장비는 송수신한 신호가 특정채널인 경우 유무선 또는 케이블망을 통해 MCoD 시스템에 접속하며, 상기 MCoD 시스템에 등록되어진 해당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S300); 상기 MCoD 시스템에 등록되어진 해당 콘텐츠는 MCB 셋탑장비에서 송신된 신호에 해당되는 콘텐츠를 상기 MCB 셋탑장비에 데이터 송신하는 단계(S400); 상기 MCB 셋탑장비는 상기 MCoD 시스템에서 등록되어진 해당 콘텐츠의 데이터를 수신 받아 상기 사용자 디스플레이로 해당 콘텐츠의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채널분석 단계(S200)의 특정 채널분석은 리모콘 또는 스마트폰에서 송신된 특정 채널번호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등록된 해당 콘텐츠 및 상기 해당 콘텐츠와 연동되어진 채널번호를 비교하여 리모콘 또는 스마트폰에서 송신된 특정 채널번호가 일치할 경우, 상기 MCoD 시스템에 등록된 해당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S300)는 MCB 셋탑장비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각 패킷별로 분할하게 되며, 상기 분할된 패킷은 MCoD 시스템에 저장된 해당 콘텐츠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채널분석 단계(S200)는 채널번호가 미등록된 특정 채널번호일 경우, 본래의 채널 영상으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TV채널 또는 콘텐츠를 아이콘으로 미리 등록하고, 상기 해당되는 아이콘을 스마트폰 또는 리모콘의 채널번호에 의해 선택하여 미리 등록되어진 콘텐츠를 유무선 또는 케이블망을 통해 사용자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 및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멀티 콘텐츠 감상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어지는 스마트폰 또는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받는 MCB 셋탑장비(100), 상기 MCB 셋탑장비(100)로부터 특정 채널신호와 연동되어진 해당되는 콘텐츠의 정보를 수신받는 MCoD 시스템(200), 상기 MCoD 시스템(200)에 저장되어진 해당 콘텐츠는 상기 MCB 셋탑장비(100)를 통해서 TV모니터 또는 스마트폰에 제공하는 사용자 디스플레이(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MCB 셋탑장비(100)는 스마트폰 또는 리모콘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 받는 채널 수신부(110)와, 상기 채널 수신부(110)에서 받는 신호가 특정 채널번호 신호인지 판단하는 채널 분석부(120)와, 상기 채널 분석부(120)에서 판단된 특정 채널번호는 상기 MCoD 시스템에 등록된 해당 콘텐츠를 요청하기 위해 상기 특정 채널번호와 연동되어진 해당 콘텐츠의 정보를 패킷별로 분할하여 상기 MCoD 시스템에 저장된 콘텐츠를 요청하는 콘텐츠 요청부(130)와, 상기 MCoD 시스템에 등록되어진 해당 콘텐츠와 연동된 특정 채널번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있는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140)는 리모콘 또는 스마트폰의 신호를 통해서 접속되어진 사용자 또는 가입자 정보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MCB 셋탑장비(100)는 상기 MCoD 시스템(200)에서 발송한 해당 콘텐츠를 수신하는 MCB 콘텐츠 수신부와, 상기 MCB 콘텐츠 수신부에서 받는 해당 콘텐츠를 사용자 디스플레이(300)에 제공하는 셋탑박스 인터페이스 장치(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MCoD 시스템(200)는 패킷송신파트(130)에서 발송한 특정 채널번호와 연동되어진 해당 콘텐츠의 정보를 수신하는 MCoD 수신부(210)와, 각 특정 채널번호 별로 해당되는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부(220)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220)에 저장된 해당 콘텐츠를 MCB 셋탑장비(100)에 구성된 MCB 콘텐츠 수신부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MCoD 송신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디스플레이(300)는 상기 MCB 셋탑장비(100)를 통해서 각 특정 채널번호 별로 해당되는 콘텐츠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상기 MCB 셋탑장비(100) 와 사용자 디스플레이(300) 사이에는 무선 또는 유선 인터페이스 장비(310)가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 및 시스템은 종래의 채널 또는 메뉴를 선택하는 방식이 아닌 아이콘화 된 메뉴를 리모콘 또는 스마트폰에 설정하여 단순하게 특정 번호만 선택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손쉽게 감상할 수 있어 나이가 많은 어르신들도 손쉽게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CB 셋탑장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CoD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블록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MCB 셋탑장비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7은 MCoD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따른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어지는 스마트폰 또는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받는 MCB 셋탑장비(100)와, MCoD 시스템(200) 및 사용자 디스플레이(30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CB 셋탑장비(100)를 나타낸 블록도에 관한 것으로, 상기 MCB(Multi Contents Box) 셋탑장비(100)는 저가형 셋탑장비 수준으로 기본적인 인터페이스 및 기능만을 제공하며,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어지는 스마트폰 또는 리모콘으로부터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 받도록 한다.
먼저, 상기 MCB 셋탑장비(100)는 채널 수신부(110), 채널 분석부(120), 콘텐츠 요청부(130), 데이터 저장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채널 수신부(110)는 MCoD 시스템(200)에 등록되어진 해당 콘텐츠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TV채널을 사용자 디스플레이(300)에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해당 콘텐츠 또는 TV채널을 아이콘으로 등록되어진 특정 채널번호를 수신받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 별로 각 특정 채널번호에 다음과 같이 등록하게 된다. 여기서, 보여줄 사진콘텐츠를 특정 채널번호 901번, 보여줄 동영상 콘텐츠를 902번, 음악감상 컨텐츠를 903번으로 설정한다.
상기 리모콘 또는 스마트폰에 의해 특정 채널번호를 수신받은 채널 수신부(110)는 상기 MCB 셋탑장비(100)에 구성되어진 채널 분석부(120)에 의해 특정 채널번호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상기 판단여부는 특정 채널번호에 해당되는 콘텐츠의 정보가 저장되어있는 데이터베이스(140)와 상기 리모콘 또는 스마트폰에 의해 특정 채널번호의 정보를 수신 받은 채널 수신부(110)을 통해서 비교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해당 콘텐츠와 연동되어진 특정 채널번호의 정보는 MCoD 시스템(200)에 구성된 데이터 베이스부(220)에 의해 업데이트 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220)는 사용자 또는 가입자가 새로운 콘텐츠에 대한 특정 채널번호 정보를 MCoD 시스템(200)에 구성된 데이터 베이스부(220)에 업데이트시킴으로써, 상기 업데이트된 데이터 베이스부(220)는 실시간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140)는 리모콘 또는 스마트폰의 신호를 통해서 접속되어진 사용자 또는 가입자의 정보가 더 포함한다.
상기 채널 분석부(120)는 채널 수신부(110)에서 받은 신호와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정보가 특정 채널번호일 경우 상기 특정 채널번호는 MCoD 시스템(200)에 정보를 보내기 위해 각 패킷별로 분할되며, 상기 분할된 패킷은 콘텐츠 요청부(130)를 통해서 상기 MCoD 시스템(200)에 저장되어진 해당 콘텐츠를 요청하는 신호를 보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채널 분석부(120)는 채널 수신부(110)에서 받은 신호가 미등록되어진 특정 채널번호일 경우, 상기 MCB 셋탑장치(100)에 구성된 메시지 생성부(150)를 통해서 사용자 스마트폰 및 사용자 디스플레이(300)에 현재상태에 대한 알림 메시지가 표시되어지도록 제공된다.
상기 메시지 생성부(150)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발송하도록 하며, 현재 현 채널인 상태인 경우 다음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다음 단계란 사용자가 현재 감상하고 있는 TV채널 또는 해당 콘텐츠를 계속해서 감상할 것인지 아니면, 다른 특정 채널번호를 통해서 상기 특정 채널번호와 연동되어진 해당 콘텐츠를 감상하는 여부의 선택 메시지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데이터 베이스(140)에 저장된 원하는 콘텐츠를 특정 채널번호에 등록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상기 메시지 생성부(150)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한다.
즉, 상기 MCB 셋탑장비(100)는 리모콘 또는 스마트폰에서 발생되어진 특정 채널번호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특정 채널번호가 일치할 경우 유무선 또는 케이블망을 통해서 MCoD 시스템(200)에 접속하며, 상기 MCoD 시스템(200)에 저장된 상기 특정 채널번호와 연동되어진 콘텐츠를 요청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MCoD 시스템(2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MCoD(Multi Contents on Demand) 시스템(200)은 상기 콘텐츠 요청부(130)송신된 패킷정보를 분석하며, 상기 분석되어진 패킷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등록되어진 해당되는 특정 채널번호의 콘텐츠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MCoD 시스템(200)은 MCoD 수신부(210), 데이터 베이스부(220), MCoD 송신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MCoD 시스템은 사용자 또는 가입자가 원하는 TV채널 또는 해당 콘텐츠를 특정 채널번호와 연동하여 상기 MCoD 시스템(200)에 구성된 데이터 베이스부(220)에 저장하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220)에는 제3자의 사용자가 유무선망을 통해 리모콘 또는 스마트폰으로 접속이 가능하게 되며, 데이터 베이스부(220)에 저장되어진 콘텐츠를 특정 채널번호로 설정하여 아이콘으로 등록 저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자의 사용자는 데이터 베이스부(220)의 인증수단을 통하여 인증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만일 상기 인증절차를 통화하지 못할 시에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220)에서 접속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인증절차는 IP인증, 핸드폰인증, 개인정보 인증 등이 있으며, 이에 대한 실시예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MCoD 수신부(210)는 MCB 셋탑장비(100)에 구성된 콘텐츠 요청부(130)에서 전송된 패킷을 수신한다. 여기서, 전송된 패킷은 분할되어진 패킷이며, 상기 분할되어진 패킷을 하나의 패킷으로 재구성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 MCoD 수신부(210)에 구비된 패킷부(211)를 통해 재구성 하는 패킷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패킷은 각 특정 채널번호 별로 해당되는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부(220)에 접속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220)는 MCoD 수신부(210)에서 요청한 특정 채널번호에 해당되는 콘텐츠를 상기 MCoD 시스템(200)에 구비된 MCoD 송신부(230)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특정 채널번호에 해당되는 콘텐츠를 수신받은 MCoD 송신부(230)는 유무선 또는 케이블망을 통해서 상기 MCB 셋탑장치(100)에 구비된 MCB 콘텐츠 수신부를 통해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MCoD 송신부(230)을 통해서 특정 채널번호에 해당되는 콘텐츠의 데이터를 수신 받은 MCB 콘텐츠 수신부는 다시 사용자 디스플레이(300)에 제공을 하기 위해 상기 MCB 셋탑장비에 구비된 셋탑박스 인터페이스 장치(160)를 통해서 제공하도록 한다.
즉, 상기 MCoD 시스템(200)은 상기 MCB 셋탑장비(100)에서 요청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정보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부(220)에 저장되어진 특정 채널번호에 해당되는 콘텐츠를 사용자 디스플레이(300)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디스플레이(300)와 연결되어진 MCB 셋탑장치(100)에 전송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디스플레이(3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디스플레이(300)는 MCB 셋탑장비(100)를 통해서 수신 받은 해당 콘텐츠를 제공하게 된다.
먼저, 사용자 디스플레이(300)는 MCB 셋탑장비(100)에서 송신된 데이터를 내장된 저장장치에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며, 상기 저장된 해당 콘텐츠를 TV화면 또는 스마트폰에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310)가 구비된다.
도 5 내지 도 6은 MCoD 시스템(200)에서 송신한 해당 콘텐츠를 사용자 디스플레이(300)에 제공을 하기 위해 MCB 셋탑장비(100)에 구비된 셋탑박스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서 사용자 디스플레이(300)에 구성된 인터페이스 장치(310)를 통해서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셋탑박스 인터페이스 장치와 인터페이스 장치는 고선명 멀티미디어를 입출력하기 위한 HDMI포드부와, VGA급 영상을 입출력하기 위한 RGB포트부와, 음성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잭, AUX를 포함하는 음성출력 포트부와, 외부 유무선망에 접속되어지기 위한 LAN 포트부를 더 포함하게 되어있어 다양한 외부기기들과 서로 연결되어 확장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 7은 MCoD 시스템(200)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MCoD 시스템(200) 내부에는 웹서버, WAS, 콘텐츠 서버, 스트리밍 서버, 파일링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저장데이터로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사용자가 원하는 TV채널 또는 콘텐츠를 아이콘으로 표현되어지도록 하기 위해, 스마트폰 또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상기 TV 채널 및 콘텐츠를 MCoD 시스템에 등록하며, 상기 MCoD 시스템에 등록되어진 해당 콘텐츠를 특정 채널번호 별로 요청한다.(S100)
그 다음, 상기 해당 콘텐츠의 정보가 등록된 MCoD 시스템은 사용자의 정보 또는 가입자의 정보가 저장된 MCB 셋탑장비에서 발생된 신호가 특정 채널번호인지의 여부가 분석되어지는 채널분석을 실시하게 된다.(S200)
여기서, 상기 MCB 셋탑장비는 송수신한 신호가 특정채널인 경우 유무선 또는 케이블망을 통해 MCoD 시스템에 접속하며, 상기 MCoD 시스템에 등록되어진 해당 콘텐츠를 요청하게 된다.(S300)
상기 MCoD 시스템에 등록되어진 해당 콘텐츠는 MCB 셋탑장비에서 송신된 신호에 해당되는 콘텐츠를 상기 MCB 셋탑장비에 데이터 송신하게 된다.(S400)
상기 MCB 셋탑장비는 상기 MCoD 시스템에서 등록되어진 해당 콘텐츠의 데이터를 수신 받아 상기 사용자 디스플레이로 해당 콘텐츠의 영상을 제공하게 된다.(S500)
즉, 상기와 같은 감상방법으로 인하여, 여러단계로 나누어진 복잡한 메뉴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TV채널 또는 해당 콘텐츠의 특정 채널번호를 아이콘화 된 메뉴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 또는 TV 채널을 손쉽게 선택하여 감상이 가능하며 사용하기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MCB 셋탑장비 200 : MCoD 시스템
300 : 사용자 디스플레이

Claims (10)

  1. 사용자가 원하는 TV채널 또는 콘텐츠를 아이콘으로 미리 등록하고, 상기 해당되는 아이콘을 스마트폰 또는 리모콘의 채널번호에 의해 선택하여 미리 등록되어진 콘텐츠를 유무선 또는 케이블망을 통해 사용자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 및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TV채널 또는 콘텐츠를 아이콘으로 표현되어지도록 하기 위해, 스마트폰 또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상기 TV 채널 및 콘텐츠를 MCoD 시스템에 등록하며, 상기 MCoD 시스템에 등록되어진 해당 콘텐츠를 특정 채널번호 별로 요청하는 단계(S100);
    상기 해당 콘텐츠의 정보가 등록된 MCoD 시스템은 사용자의 정보 또는 가입자의 정보가 저장된 MCB 셋탑장비에서 발생된 신호가 특정 채널번호인지의 여부가 분석되어지는 채널분석 단계(S200);
    상기 MCB 셋탑장비는 송수신한 신호가 특정채널인 경우 유무선 또는 케이블망을 통해 MCoD 시스템에 접속하며, 상기 MCoD 시스템에 등록되어진 해당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S300);
    상기 MCoD 시스템에 등록되어진 해당 콘텐츠는 MCB 셋탑장비에서 송신된 신호에 해당되는 콘텐츠를 상기 MCB 셋탑장비에 데이터 송신하는 단계(S400);
    상기 MCB 셋탑장비는 상기 MCoD 시스템에서 등록되어진 해당 콘텐츠의 데이터를 수신 받아 상기 사용자 디스플레이로 해당 콘텐츠의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분석 단계(S200)의 특정 채널분석은 리모콘 또는 스마트폰에서 송신된 특정 채널번호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등록된 해당 콘텐츠 및 상기 해당 콘텐츠와 연동되어진 채널번호를 비교하여 리모콘 또는 스마트폰에서 송신된 특정 채널번호가 일치할 경우, 상기 MCoD 시스템에 등록된 해당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S300)는 MCB 셋탑장비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각 패킷별로 분할하게 되며, 상기 분할된 패킷은 MCoD 시스템에 저장된 해당 콘텐츠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분석 단계(S200)는 채널번호가 미등록된 특정 채널번호일 경우, 본래의 채널 영상으로 돌아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
  5. 사용자가 원하는 TV채널 또는 콘텐츠를 아이콘으로 미리 등록하고, 상기 해당되는 아이콘을 스마트폰 또는 리모콘의 채널번호에 의해 선택하여 미리 등록되어진 콘텐츠를 유무선 또는 케이블망을 통해 사용자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 및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멀티 콘텐츠 감상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어지는 스마트폰 또는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받는 MCB 셋탑장비(100),
    상기 MCB 셋탑장비(100)로부터 특정 채널신호와 연동되어진 해당되는 콘텐츠의 정보를 수신받는 MCoD 시스템(200),
    상기 MCoD 시스템(200)에 저장되어진 해당 콘텐츠는 상기 MCB 셋탑장비(100)를 통해서 TV모니터 또는 스마트폰에 제공하는 사용자 디스플레이(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콘텐츠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MCB 셋탑장비(100)는
    스마트폰 또는 리모콘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수신 받는 채널 수신부(110)와, 상기 채널 수신부(110)에서 받는 신호가 특정 채널번호 신호인지 판단하는 채널 분석부(120)와, 상기 채널 분석부(120)에서 판단된 특정 채널번호는 상기 MCoD 시스템에 등록된 해당 콘텐츠를 요청하기 위해 상기 특정 채널번호와 연동되어진 해당 콘텐츠의 정보를 패킷별로 분할하여 상기 MCoD 시스템에 저장된 콘텐츠를 요청하는 콘텐츠 요청부(130)와, 상기 MCoD 시스템에 등록되어진 해당 콘텐츠와 연동된 특정 채널번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있는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콘텐츠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140)는 리모콘 또는 스마트폰의 신호를 통해서 접속되어진 사용자 또는 가입자 정보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MCB 셋탑장비(100)는
    상기 MCoD 시스템(200)에서 발송한 해당 콘텐츠를 수신하는 MCB 콘텐츠 수신부와, 상기 MCB 콘텐츠 수신부에서 받는 해당 콘텐츠를 사용자 디스플레이(300)에 제공하는 셋탑박스 인터페이스 장치(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MCoD 시스템(200)는 패킷송신파트(130)에서 발송한 특정 채널번호와 연동되어진 해당 콘텐츠의 정보를 수신하는 MCoD 수신부(210)와, 각 특정 채널번호 별로 해당되는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부(220)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부(220)에 저장된 해당 콘텐츠를 MCB 셋탑장비(100)에 구성된 MCB 콘텐츠 수신부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MCoD 송신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콘텐츠 시스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스플레이(300)는 상기 MCB 셋탑장비(100)를 통해서 각 특정 채널번호 별로 해당되는 콘텐츠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상기 MCB 셋탑장비(100) 와 사용자 디스플레이(300) 사이에는 무선 또는 유선 인터페이스 장비(310)가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콘텐츠 시스템.
KR1020170050411A 2016-05-04 2017-04-19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 및 시스템 KR101992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120 2016-05-04
KR20160055120 2016-05-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711A true KR20170125711A (ko) 2017-11-15
KR101992223B1 KR101992223B1 (ko) 2019-09-30

Family

ID=60387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411A KR101992223B1 (ko) 2016-05-04 2017-04-19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2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3274A1 (de) 2017-09-28 2019-03-28 Lg Display Co., Ltd. Beleuchtungseinheit und flüssigkristallanzeigevorrichtung aufweisend die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231A (ko) * 2008-04-21 2009-10-26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Iptv서비스에서의 방송 컨텐츠 시청정보 제공 방법 및그 시스템
KR20140067438A (ko) * 2012-11-26 2014-06-05 주식회사 케이티 개인화된 단축 번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실행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단축 번호를 관리하는 서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231A (ko) * 2008-04-21 2009-10-26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Iptv서비스에서의 방송 컨텐츠 시청정보 제공 방법 및그 시스템
KR20140067438A (ko) * 2012-11-26 2014-06-05 주식회사 케이티 개인화된 단축 번호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실행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단축 번호를 관리하는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3274A1 (de) 2017-09-28 2019-03-28 Lg Display Co., Ltd. Beleuchtungseinheit und flüssigkristallanzeigevorrichtung aufweisend die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223B1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7559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control
US8370878B2 (en) Mobile interface for accessing interactive television applications associated with displayed content
US99005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set-top box management
US87198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for recording content
US8412774B2 (en) Picture-in-picture video content distribution
US83929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home audio and video communication
EP2664133B1 (en) Output of content from the internet on a media rendering device
US9918125B2 (en) Remote viewing of multimedia content
US981375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lecting multimedia content
KR101372904B1 (ko) 인터넷전화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아이피티브이 셋톱박스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9242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production using terminal
KR20170125711A (ko) 특정 채널을 이용한 주문형 멀티 콘텐츠 감상 방법 및 시스템
CA280005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 service
KR20140094995A (ko) 콘텐츠 공유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콘텐츠 공유 방법
US20090013346A1 (en) Method for restricting viewing access to broadcast program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60068142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양방향 텔레비젼 포털 서비스시스템
KR101982152B1 (ko) 방송 수신 장치에서 방송 서비스와 연동되어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브젝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4980784A (zh) 多媒体装置及其光标控制方法
KR20170090100A (ko) 디지털 디바이스,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36934A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20051465A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