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5602A - Fire form pad for charging of fire partition of sleeve - Google Patents
Fire form pad for charging of fire partition of sleev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25602A KR20170125602A KR1020160055623A KR20160055623A KR20170125602A KR 20170125602 A KR20170125602 A KR 20170125602A KR 1020160055623 A KR1020160055623 A KR 1020160055623A KR 20160055623 A KR20160055623 A KR 20160055623A KR 20170125602 A KR20170125602 A KR 201701256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foam pad
- foam
- partition
- fireproof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079 fire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1150012579 ADSL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0775 Adenylosuccinate ly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700040193 Adenylosuccinate ly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339 Matucare v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리브 내의 방화구획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방화용 폼 패드로서, 발포체로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또는 발포체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화구획 내에 방화용 폼 패드의 충진 확인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즉, 방화용 폼 패드의 돌출부를 누름으로써 또는 방화용 폼 패드의 관통홀을 통해 방화구획 내에 방화용 폼 패드의 충진이 제대로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방화구획 내에 방화용 폼 패드의 충진이 제대로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이 용이하므로, 작업자는 방화구획 내에 방화용 폼 패드를 충분히 충진하게 되고, 이로 인해 결국 화재가 발생하여도 대형 참사로 이어지는 문제점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urality of fireproof foam pads to be fitted in a fire partition in a sleeve, comprising: a body formed of a foam; And protrusion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Or foam; And a through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confirm filling of the fireproof foam pad in the fire partition. That is,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the fire foam pad is properly filled in the fire partition through the projection of the fire foam pad or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fire foam pad. In addition, since it is easy to check whether the foam pads are properly filled in the fire partition, the operator sufficiently fills the fire foam pads in the fire partition, There is an effect to be preven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화용 폼 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상 케이블 트레이가 구비되는 슬리브 내의 방화구획에서 방화용 폼 패드의 충진이 충분히 이루어졌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화용 폼 패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e pad,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re pad capable of easily confirming whether or not a fire pad is sufficiently filled in a fire partition in a sleeve provided with a granular cable tray.
최근의 건축물들은 건축기술의 발달에 기인함은 물론 수요자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나날이 고층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아파트 등과 같은 대표적인 집합건물을 건축할 경우에, 각 세대에는 전력공급을 위한 전기선뿐만 아니라, 통신 서비스 및 멀티미디어의 서비스를 위한 각종 약전선들 예컨대 전화선, ADSL 이나 VDSL 등과 같은 초고속 인터넷 전용선, CATV선, MATV선, 및 홈 오토메이션 선 등이 배설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집합건물에는 EPS(Electrical Pipe Shaft) 실 및 TPS(Telecommunication Pipe Shaft) 실의 설치가 법규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초고속정보통신 1등급 공동주택 건축물은 건물의 간선계를 단면적 0.24 평방미터(깊이 30cm) 이상의 TPS 또는 5.4평방미터 이상의 동별 통신장비 설치 공간을 확보하도록 규정되어 있어, 법적인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통신 관로 전용의 수직 간선계 구성이 불가피하게 된다.Recent buildings are not only due to the development of architectural technology, but also have been increasingly in tune with the demands of customers. In the case of constructing a typical collective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each household is provided not only an electric wire for electric power supply but also various electric wires for services of communication service and multimedia such as a telephone line, a high-speed Internet exclusive line such as ADSL or VDSL, MATV line, home automation line, and the like can be disposed. For this purpose, EPS (Electrical Pipe Shaft) room and TPS (Telecommunication Pipe Shaft) room are regulated in the assembly building. For example, it is stipulated that the first-class apartment building of the high-speed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is required to secure TPS of at least 0.24 square meters (depth of 30 cm) or communication equipment installation area of more than 5.4 square meters per square meter of the building, The vertical trunk line configuration dedicated to the communication line becomes inevitable.
이와 같은 EPS 실이나 TPS 실은 집합건물의 층간에 설치되는 것이 기본으로 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를 이용하여 각 세대별 케이블 배전이 흔히 이루어진다.The EPS and TPS rooms are installed between the layers of the building. In this case, cable distribution is often performed for each household by using a cable tray.
도 1은 일반적인 입상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70)는 각층의 바닥층(40)을 통과하여 벽체 슬라브(50)에 고정된다. 케이블 트레이(70)는 사이드 레일들(71)과, 사이드 레일들(71)을 서로 평행하게 고정하는 가로대(72)로 구성된다. 케이블 트레이(70)는 각층의 세대별에 필요한 각종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들(60)을 수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eneral standing cable tray is installed. Referring to FIG. 1, a
벽체 슬라브(50)에 가까이 있는 바닥층(40)의 일부에는 케이블 트레이(70)를 통과시키기 위해 대체로 직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슬리브(sleeve:20)가 있다. 슬리브(20) 내에는 방화구획(30)이 형성된다. 방화구획(30)은 큰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화재가 건축전체에 번지지 않도록 내화구조로 만들어지는 구획이다.A portion of the
이러한 방화구획(30)은 방화용 폼 패드(10)로 충진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방화용 폼 패드(10)를 충진하는 공정의 번거로움 때문에 빈 공간으로 남겨두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종래의 설치 상태가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다. 도 2a와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슬리브 내의 방화구획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방화용 폼 패드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This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구획(30) 내에 방화용 폼 패드(10) 충진 시, 빈 공간(E)을 두고 방화용 폼 패드(10)를 끼운다. 방화용 폼 패드(10)는 방화구획(30) 내를 통과하는 케이블(60)의 종류, 개수, 및 형상에 따라 그 형태를 재단하여 끼워야 하고, 끼워 넣은 뒤에도 접촉 부분에 코킹(caulking)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그 공정이 번거롭다. 따라서, 작업자는 방화구획(30) 내에 빈 공간(E)을 남겨두고 방화용 폼 패드(10)를 끼워 공정을 마무리하는 경우가 허다하다.As shown in FIGS. 2A and 2B, when the
이러한 경우, 화재 발생 시, 화재가 층간으로 번지게 되고, 작은 화재 피해로 끝날 수 있는 사고가 대형 참사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방화구획(30)의 형성 및 방화구획(30) 내의 충진은 건축법 시행령에도 개시되어 있는 사항이다.In such a case, when a fire occurs, the fire spreads to the floor, and an accident that may result in a small fire damage leads to a large-scale disaster. The formation of the
그런데, 방화구획(30) 내에 방화용 폼 패드(10)가 바르게 충진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즉, 방화용 폼 패드(10)는 슬리브(20) 내의 방화구획(30)에 구비되므로, 방화용 폼 패드(10)의 충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검사자가 슬리브(20)를 내부까지 뜯어내어 확인하는 것 밖에 없다.However, there is no method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따라서, 방화구획(30) 내에 방화용 폼 패드(10)의 충진 확인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방화구획(30) 내의 방화용 폼 패드(10)를 충분히 충진하지 않는 문제점으로 이어지고, 이로 인해 결국 화재 발생 시, 대형 참사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t is not easy to check the filling of th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방화구획 내에 방화용 폼 패드의 충진 확인이 용이한 방화용 폼 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ti-fogging foam pad which is easy to confirm the filling of the fireproof foam pa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화용 폼 패드의 돌출부를 누름으로써 방화구획 내에 방화용 폼 패드의 충진 확인이 가능한 방화용 폼 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am pad capable of confirming filling of a fireproof foam pad in an fireproof compartment by pressing a protrusion of the fireproof foam pa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화용 폼 패드의 관통홀을 통해 방화구획 내에 방화용 폼 패드의 충진 확인이 가능한 방화용 폼 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am pad capable of confirming filling of a fireproof foam pad in a fire partition through a through hole of the fireproof foam pa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내의 방화구획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방화용 폼 패드는, 발포체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am pad for fire protection, the foam pad comprising: a body formed of a foam; And protrusions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body.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폼 패드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상기 몸체의 타면에 상기 돌출부와 같은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The foam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am pad is depres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so as to be recessed in the form of the protrus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폼 패드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서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The protrusion of the foam pa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 내의 방화구획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방화용 폼 패드는, 발포체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am pad for fire protection, the foam pad comprising: a body formed of a foam; And a through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폼 패드의 상기 관통홀은 상기 각 방화용 폼 패드의 몸체마다 다른 크기로 형성되되, 복수 개의 상기 방화용 폼 패드가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적층될 시, 상기 관통홀의 크기가 점점 커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The through-holes of the fireproof foam pa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sizes for the respective fireproof foam pads, and when the plurality of fire foam pads are stacked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It is characterized by increasing size.
본 발명에 따르면 방화구획 내에 방화용 폼 패드의 충진 확인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confirm filling of the fireproof foam pad in the fire partition.
예컨대, 방화용 폼 패드의 돌출부를 누름으로써 방화구획 내에 방화용 폼 패드의 충진이 제대로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즉, 작업자가 최상부에 구비된 방화용 폼 패드의 돌출부를 누르면, 그 하부에 방화용 폼 패드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돌출부가 아래로 눌러지지 않게 되고, 그 하부에 방화용 폼 패드가 구비되어 있지 않는 경우 빈 공간으로 인해 돌출부가 아래로 눌러지게 되므로, 방화구획 내에 방화용 폼 패드의 충진이 제대로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For example, by pressing the projection of the fire pad,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fire pad is properly filled in the fire compartment. That is, when the worker presses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fireproof foam pad provided at the uppermost portion, if the fireproof foam pad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the projection is not pressed downward, and the fireproof foam pad is not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The protruding portion is pressed downward due to the empty space, so that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fireproof foam pad is properly filled in the fire partition.
그리고 방화용 폼 패드의 관통홀을 통해 방화구획 내에 방화용 폼 패드의 충진이 제대로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즉,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적층되는 방화용 폼 패드의 관통홀의 크기가 점점 크게 형성되므로, 최상부에 구비된 방화용 폼 패드의 관통홀을 통해 하부에 구비되는 방화용 폼 패드의 관통홀들을 확인함으로써, 방화구획 내에 방화용 폼 패드의 충진이 제대로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rough the through holes of the fire pad,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fire pad is properly filled in the fire compartment. That is, since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of the fire foam pad stacked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is gradually increased, the through holes of the fire foam pad provided at the lower part through the through holes of the fire foam pad provided at the upper part,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fireproof foam pad is properly filled in the fire protection compartment.
또한, 이와 같이 방화구획 내에 방화용 폼 패드의 충진이 제대로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이 용이하므로, 작업자는 방화구획 내에 방화용 폼 패드를 충분히 충진하게 되고, 이로 인해 결국 화재가 발생하여도 대형 참사로 이어지는 문제점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easy to confirm that the fireproof foam pad is properly filled in the fire partition, the operator sufficiently fills the fireproof foam pad in the fireproof partition, and thus, even if a fire eventually occurs, Is prevented.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일반적인 입상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와 도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슬리브 내의 방화구획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방화용 폼 패드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폼 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폼 패드가 방화구획 내에 충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폼 패드를 이용하여 방화구획 내에 방화용 폼 패드가 충진 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폼 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폼 패드가 방화구획 내에 충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폼 패드를 이용하여 방화구획 내에 방화용 폼 패드가 충진 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폼 패드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eneral standing cable tray is installed.
FIGS. 2A and 2B are views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plurality of fire foam pads inserted into a fire partition in a sleeve according to a related art.
3 is a view showing a foam pa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eproof foam p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lled in the fireproof compartment.
FIGS. 5A and 5B are views showing a method for confirming whether a fireproof foam pad is filled in an fire partition using the fireproof foam p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foam pa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a side view and a top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eproof foam pa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lled in the fire partition.
8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for checking whether a fire pad is filled in an fire partition using the fire pa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oam pa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내의 방화구획의 충진 확인이 용이한 방화용 폼 패드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fire pa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폼 패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폼 패드가 방화구획 내에 충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a foam pa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am pa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lled in the fire partition.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폼 패드(100)는 몸체(110), 돌출부(120), 및 함몰부(130)로 구성된다.3 and 4, the
몸체(110)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의 발포체로 형성된다. 몸체(110)는 슬리브 내의 방화구획(30) 내에 끼워져서 충진된다.The
돌출부(120)는 몸체(11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120)는 몸체(110)의 상부면에서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3에는 돌출부(120)가 몸체(110)의 상면에서 우측에 형성되고, 위아래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함몰부(130)는 돌출부(120)와 대응되는 몸체(110)의 타면에 돌출부(120)와 같은 형태로 함몰 형성된다. 함몰부(130)는 몸체(110)의 하면에 형성된다. 도 3에는 함몰부(130)가 몸체(110)의 하면에서 우측에 형성되고, 위아래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이러한 방화용 폼 패드(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 내의 방화구획(30)에 끼워진다. 통상적으로 방화구획(30) 내에는 방화용 폼 패드(100)가 4개 구비되는데,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와 같이, 방화용 폼 패드(100)가 방화구획(30) 내에 제대로 충진되는 경우, 작업자가 화살표 방향으로 돌출부(120)를 누르더라도 아래로 눌러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방화용 폼 패드(100)의 돌출부(120)를 누름으로써 방화구획(30) 내에 방화용 폼 패드(100)의 충진이 제대로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is fire pad (100) fits into the fire compartment (30) in the sleeve, as shown in FIG. In general, four fire-proofing
한편, 방화용 폼 패드(100)가 제대로 충진되지 않은 경우, 이를 확인하는 상태가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폼 패드를 이용하여 방화구획 내에 방화용 폼 패드가 충진 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부와 최하부에만 방화용 폼 패드(100)가 끼워진 경우, 최상부의 방화용 폼 패드(100)의 돌출부(120)를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0)가 아래로 눌러지게 된다. 즉, 하부에 방화용 폼 패드(100)가 구비되어 있지 않는 경우 빈 공간으로 인해 돌출부(120)가 아래로 눌러지게 되므로, 방화구획(30) 내에 방화용 폼 패드(100)의 충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5A, when the
이와 같이, 작업자가 최상부에 구비된 방화용 폼 패드(100)의 돌출부(120)를 누르면, 그 하부에 방화용 폼 패드(100)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돌출부(120)가 아래로 눌러지지 않게 되고, 그 하부에 방화용 폼 패드(100)가 구비되어 있지 않는 경우 빈 공간으로 인해 돌출부(120)가 아래로 눌러지게 되므로, 방화구획(30) 내에 방화용 폼 패드(100)의 충진이 제대로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When the operator pushes the
그리고 이와 같이 방화구획(30) 내에 방화용 폼 패드(100)의 충진이 제대로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이 용이하므로, 작업자는 방화구획(30) 내에 방화용 폼 패드(100)를 충분히 충진하게 되고, 이로 인해 결국 화재가 발생하여도 대형 참사로 이어지는 문제점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Since it is easy to check whether or not th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내의 방화구획의 충진 확인이 용이한 방화용 폼 패드(100)는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중심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폼 패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폼 패드가 방화구획 내에 충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및 상면도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foam pa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A to 7C are sid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am pa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lled in the fire partition And FIG.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화용 폼 패드(200)는 몸체(210), 및 관통홀(22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6, the
몸체(210)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의 발포체로 형성된다. 몸체(210)는 슬리브 내의 방화구획(30) 내에 끼워져서 충진된다.The
관통홀(220)은 몸체(21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되게 형성된다. 도면에는 관통홀(220)이 몸체(210)의 전면 측면에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통홀(220)은 각 방화용 폼 패드(200)의 몸체(210)마다 다른 크기로 형성된다. 예컨대, 복수 개의 방화용 폼 패드(200)가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적층될 시, 관통홀(220)의 크기가 상부로 갈수록 점점 커지도록 적층한다.The through
이러한 방화용 폼 패드(200)는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 내의 방화구획(30)에 끼워진다. 통상적으로 방화구획(30) 내에는 방화용 폼 패드(200)가 4개 구비되는데,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부의 방화용 폼 패드(200)의 관통홀(220)의 크기가 가장 크고, 그 아래의 관통홀들은 점점 작아지는 형태이다. 도면에는 최하부 방화용 폼 패드(200)에는 관통홀(220)이 없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최하부에 끼워지는 방화용 폼 패드(200)에는 관통홀(220)이 필요 없기 때문인데,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is fire pad (200) fits into the fire compartment (30) in the sleeve, as shown in Figures 7a and 7b. Normally, four
이러한 방화용 폼 패드(200)는 관통홀(220)을 통해 방화구획(30) 내에 방화용 폼 패드(200)의 충진이 제대로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즉,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적층되는 방화용 폼 패드(200)의 관통홀(220)의 크기가 점점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부에 구비된 방화용 폼 패드(200)의 관통홀(220)을 통해 하부에 구비되는 방화용 폼 패드(200)의 관통홀(220)들을 확인함으로써, 방화구획(30) 내에 방화용 폼 패드(200)의 충진이 제대로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한편, 방화용 폼 패드(200)가 제대로 충진되지 않은 경우, 이를 확인하는 상태가 도 8에 도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폼 패드를 이용하여 방화구획 내에 방화용 폼 패드가 충진 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부와 최하부에만 또는 최상부에만 방화용 폼 패드(200)가 끼워진 경우, 최상부의 방화용 폼 패드(200)의 관통홀(220) 외에는 다른 관통홀들이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방화구획(30) 내에 방화용 폼 패드(200)의 충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8, when the
이와 같이,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적층되는 방화용 폼 패드(200)의 관통홀(220)의 크기가 점점 크게 형성되므로, 최상부에 구비된 방화용 폼 패드(200)의 관통홀(220)을 통해 하부에 구비되는 방화용 폼 패드(200)의 관통홀(220)들을 확인함으로써, 방화구획(30) 내에 방화용 폼 패드(200)의 충진이 제대로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Since the size of the through
그리고 이와 같이 방화구획(30) 내에 방화용 폼 패드(200)의 충진이 제대로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이 용이하므로, 작업자는 방화구획(30) 내에 방화용 폼 패드(200)를 충분히 충진하게 되고, 이로 인해 결국 화재가 발생하여도 대형 참사로 이어지는 문제점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Since it is easy to check whether or not th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다른 방화용 폼 패드(300)가 도 9에 도시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방화용 폼 패드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another
도 9를 참조하면, 방화용 폼 패드(300)는 몸체(310)와 관통홀(320)로 구성된다. 관통홀(320)은 몸체(310)의 상면과 하면을 통과하도록 형성되고, 몸체(31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9, the
이러한 방화용 폼 패드(300) 역시,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방화용 폼 패드(200)와 마찬가지로 방화구획(30) 내에 끼워진다.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적층되는 방화용 폼 패드(300)의 관통홀(320)의 크기가 점점 크게 형성되므로, 최상부에 구비된 방화용 폼 패드(300)의 관통홀(320)을 통해 하부에 구비되는 방화용 폼 패드(300)의 관통홀(320)들을 확인함으로써, 방화구획(30) 내에 방화용 폼 패드(300)의 충진이 제대로 이루어져 있는지 확인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한편, 이러한 관통홀들(220, 320)은 방화용 폼 패드(200, 300)의 충진 확인을 한 뒤, 코킹 작업 등을 통해 마무리할 수 있다.Meanwhile, the through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 내의 방화구획의 충진 확인이 용이한 방화용 폼 패드(200, 300)는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중심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10, 100, 200, 300; 방화용 폼 패드
20; 슬리브
30; 방화구획
40; 바닥층
50; 벽체 슬라브
60; 케이블
70; 케이블 트레이
71; 사이드 레일
72; 가로대
110, 210, 310; 몸체
120; 돌출부
130; 함몰부
220, 320; 관통홀10, 100, 200, 300; Fire Foam Pads
20; sleeve
30; Fire partition
40; Bottom
50; Wall slab
60; cable
70; cable tray
71; Side rail
72; crossbar
110, 210, 310; Body
120; projection part
130; Depression
220, 320; Through hole
Claims (5)
발포체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폼 패드.A plurality of fire foam pads to be fitted in a fire partition in a sleeve,
A body formed of a foam;
And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body.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상기 몸체의 타면에 상기 돌출부와 같은 형태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패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epressed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ortion so as to be recessed in the same shape as the protruding portion.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서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폼 패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jection
Wherein the foam pad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t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발포체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폼 패드.A plurality of fire foam pads to be fitted in a fire partition in a sleeve,
A body formed of a foam;
And a through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상기 관통홀은 상기 각 방화용 폼 패드의 몸체마다 다른 크기로 형성되되, 복수 개의 상기 방화용 폼 패드가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적층될 시, 상기 관통홀의 크기가 점점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용 폼 패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hrough holes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sizes from one body to the other of the fireproof foam pads, and when the plurality of fire foam pads are stacked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the size of the through holes is gradually increased.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5623A KR101965031B1 (en) | 2016-05-04 | 2016-05-04 | Fire form pad for charging of fire partition of sleev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5623A KR101965031B1 (en) | 2016-05-04 | 2016-05-04 | Fire form pad for charging of fire partition of sleev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5602A true KR20170125602A (en) | 2017-11-15 |
KR101965031B1 KR101965031B1 (en) | 2019-04-02 |
Family
ID=60387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5623A KR101965031B1 (en) | 2016-05-04 | 2016-05-04 | Fire form pad for charging of fire partition of sleev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5031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99950A (en) | 2005-09-26 | 2005-10-17 | 오태수 | Cable distribution box structure for use in apartment house |
JP2007522416A (en) * | 2004-02-13 | 2007-08-09 | ビール エンジニアリング ビー.ブイ. | System and method for sealing an opening in a wall through which at least one transport device such as a cable, pipe or tube is inserted |
KR20080049915A (en) | 2006-12-01 | 2008-06-05 |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 Cable tray with fire spreading function and thermal foaming fireproof bulkhead for it |
KR101396033B1 (en) | 2013-01-08 | 2014-05-16 | 박재원 | Vertical tray sleeve of electric cable |
-
2016
- 2016-05-04 KR KR1020160055623A patent/KR10196503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522416A (en) * | 2004-02-13 | 2007-08-09 | ビール エンジニアリング ビー.ブイ. | System and method for sealing an opening in a wall through which at least one transport device such as a cable, pipe or tube is inserted |
KR20050099950A (en) | 2005-09-26 | 2005-10-17 | 오태수 | Cable distribution box structure for use in apartment house |
KR20080049915A (en) | 2006-12-01 | 2008-06-05 |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 Cable tray with fire spreading function and thermal foaming fireproof bulkhead for it |
KR101396033B1 (en) | 2013-01-08 | 2014-05-16 | 박재원 | Vertical tray sleeve of electric cab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65031B1 (en) | 2019-04-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25793B1 (en) | Indoor wire connection of apartment house electrical connection | |
US7651353B2 (en) | Modular wall panel electrical assembly | |
KR20200018213A (en) | Medea wall | |
CN110469048B (en) | Wiring method for assembled wall | |
US4030259A (en) | Method for forming wiring channels in a concrete floor | |
KR101925453B1 (en) | Cable tray a function of fire spread prevention | |
KR102035541B1 (en) | Fixing device of distribution house in apartment house | |
KR101991089B1 (en) | Flooring construction method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stairs | |
JPS59208898A (en) | Panel | |
KR101965031B1 (en) | Fire form pad for charging of fire partition of sleeve | |
KR101930368B1 (en) | Non bolt joint connector apparatus for sleeve of standing cable tray | |
US5828001A (en) | Plastic junction box with receptacle boxes | |
KR101884013B1 (en) | Electric equipment | |
KR101648911B1 (en) | The box device of wall laying total cabinet | |
KR200375853Y1 (en) | A Sandwitch panel built in electric cable | |
KR102035540B1 (en) | Electric piping system for apartment buildings and indoor buildings | |
KR100985855B1 (en) | Method for installing cable distribute box in apartment house | |
EP4006249B1 (en) | Plasterboard wall, particularly for housing electrical cables and pipes, and method for making such plasterboard wall | |
CN210806625U (en) | Cable penetrating structure and equipment container | |
JP4235166B2 (en) | In-building 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 |
EP0852839B1 (en) | Plastic junction box with receptacle boxes | |
JP2002271948A (en) | Inorganic fiber mat and fire-preventing structure of compartment penetrating portion | |
JPH0547703B2 (en) | ||
JPS6098044A (en) | raised floor | |
JPS6098043A (en) | pan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