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5190A - Connecto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nnecto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5190A
KR20170125190A KR1020160054920A KR20160054920A KR20170125190A KR 20170125190 A KR20170125190 A KR 20170125190A KR 1020160054920 A KR1020160054920 A KR 1020160054920A KR 20160054920 A KR20160054920 A KR 20160054920A KR 20170125190 A KR20170125190 A KR 20170125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ilm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9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옥
김종태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4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5190A/en
Publication of KR20170125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19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connector and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nector having the width of a non-contact part with respect to a gate line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a contact part. Accordingly, an impedance mismatching phenomenon can be suppressed.

Description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CONNECTO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본 실시예들은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s relate to a connector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최근, 디스플레이 산업은 고해상도 및 대면적화의 방향으로 품질이 향상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추구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최근 FHD(Full High Definition Television)와 대략 FHD 면적의 4배 면적에 해당하는 UHD(Ultra High Definition Television)가 개발되었으며, 크기가 크면서도 고화질의 얇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display industry is pursuing a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quality in the direction of high resolution and large size. Accordingly, recently, a UHD (Ultra High Definition Television) having a full FHD (Full High Definition Television) and an area approximately four times larger than the FHD area has been developed, and the display device continues to develop with a large- have.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는 구동 전원 및 제어 신호와 같은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패널 구동 유닛, 및 디스플레이 패널과 패널 구동 유닛을 지지하는 지지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패널 구동 유닛은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제어 기판,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된 인쇄 회로 기판, 및 제어 기판으로부터 인쇄 회로 기판으로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공급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Generally, a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a panel drive unit for supplying a drive signal such as a drive power for driving the display panel and a control signal, and a support cover for supporting the display panel and the panel drive unit do. The panel drive unit includes a control board for supplying driving signals, a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and a supply cable for transmitting driving signals from the control boar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한편, 제어기판, 인쇄회로기판 및 공급 케이블은 각 구성들의 패드부에 배치되는 커넥터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커넥터 간의 체결 불량이 발생하였을 경우, 커넥터들 사이의 체결 불량으로 인해 임피던스 미스매칭(impedance mismatching)이 발생하게 되는데, 임피던스 미스매칭이 발생한 영역에서는 높은 임피던스 값으로 인해 신호 불량이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bo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upply cable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or disposed in a pad portion of each of the components. However, when a connector failure occurs between the connectors, an impedance mismatching occurs due to a failure in fastening between the connectors. In a region where an impedance mismatch occurs, a signal failure occurs due to a high impedance value.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접하여 배치되는 커넥터 간의 간격을 늘리는 방법이 시도 되었으나, 제어기판, 인쇄회로기판 및 공급 케이블의 공간이 한정적인 문제로 인해 적용에 한계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connectors is tried, but its application is limited due to the limited space of the control bo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upply cable.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커넥터들의 폭을 좁히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이 경우, 커넥터의 전류(current) 용량이 축소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미세 커넥터 형성으로 인한 설계, 제작 및 생산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narrowing the width of the connectors has been proposed. In this case, however, the current capacity of the connector is reduced, and the design, manufacture, and production costs are increased Respectively.

본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촉부에서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이 비 접촉부에서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커넥터를 활용하여, 임피던스 미스매칭을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connector in which the width of the contact portion in the non-contac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gate line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ontact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gate line is used to suppress impedance mismatch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connector.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및 복수의 게이트 라인 배치된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의 일 측에 연결되는 패널 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패널 구동 유닛은 표시패널과 연결되는 제 1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또한, 패널 구동 유닛은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제 1 필름을 포함한다. 또한, 패널 구동 유닛은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제 1 필름을 연결시키고,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제 1 필름 각각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커넥터 중 적어도 1 개의 커넥터는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접촉부의 폭이 비 접촉부의 폭보다 크게 이루어진다.A connector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 a display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data lines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are arranged. Further, the connector and th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 a panel drive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Here, the panel drive unit includes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In addition, the panel drive unit includes a first film connected to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The panel drive unit further includes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that connect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first film and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first film, respectivel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has a width of a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larger than a width of the non-contact portion with reference to the gate line direction.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표시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1 개의 필름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적어도 1 개의 필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1 개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표시패널과 적어도 1 개의 필름 또는 적어도 1 개의 필름과 적어도 1 개의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커넥터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제 1 및 제 2 커넥터 중 적어도 1 개의 커넥터는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접촉부의 폭이 비 접촉부의 폭보다 크게 이루어진다.Also. A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include a display panel. Further, a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include at least one film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Further, a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include at least one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film. Further, a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include a display panel and first and second connectors connecting at least one film or at least one film and at least one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or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has a width of a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Largely.

본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는 커넥터의 비 접촉부의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이 접촉부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짐으로써, 커넥터 간의 물리적인 체결 면적을 확보하는 동시에 비 접촉부 간의 거리를 증가시키고, 임피던스 미스매칭을 억제하고 커넥터의 전류 용량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nnector and th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have a width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contac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gate line direction of the non-contact portion of the connector, thereby ensuring a physical engagement area between the connectors, The impedance mismatching can be suppressed and the current capacity of the connector can be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level.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포함한 인쇄회로기판 및 필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포함한 인쇄회로기판 및 필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포함한 인쇄회로기판 및 필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B의 영역에 포함되는 패드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C의 영역에 포함되는 패드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D의 영역에 포함되는 패드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비교예와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들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2 is a view showing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film including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3 is a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4 is a view showing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film including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5 is a view showing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film including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pad portion included in the region B of Fig.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pad portion included in the region C of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pad portion included in the region D of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connectors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first embodiment are connec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dimensions and relative sizes of the layers and regions in the figure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illustration.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It will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or layer is referred to as being another element or "on" or "on ", it includes both intervening layers or other elements in the middle, do. On the other hand, when a device is referred to as "directly on" or "directly above ", it does not intervene another device or layer in the middle.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 (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 할 수 있다.The terms spatially relative, "below," "lower," "above," "upper," and the like, And may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with other elements o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 shown in the drawings, terms that include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device during use or operation. For example, when inverting an element shown in the figures, an elem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element may be placed "above" another element.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include both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der, or number of the components.

도 1은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132) 및 복수의 게이트 라인(131)이 배치된 표시패널(110)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으로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Source Driver, 120)와 복수의 게이트 라인으로 스캔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게이트 드라이버(Gate Driver, 130)와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120) 및 복수의 게이트 드라이버(130)를 제어하는 타이밍 컨트롤러(140) 등을 포함한다.1, a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panel 110 having a plurality of data lines 132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131, A plurality of source drivers 120 for outputting scan signals to a plurality of gate lines, a plurality of gate drivers 130 for outputting scan signals to a plurality of gate lines, a plurality of source drivers 120 and a plurality of gate drivers 130 A timing controller 140 and the like.

복수의 게이트 드라이버(130)는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을 구동하는 드라이버로서 도 1과 같이, 표시패널(110)의 한 측에 연결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표시패널(110)의 양측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120) 각각은 표시패널(110)에 배치된 복수의 데이터 라인을 구동하는 드라이버로서, 일 예로,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120) 각각은 필름(121)과 이 필름(121)상에 실장된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 Source Driver IC) 칩(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gate drivers 130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110 as shown in FIG. 1 as a driver for driving a plurality of gate lines arranged in the display panel 110, (Not shown). 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source drivers 120 is a driver for driving a plurality of data lines arranged on the display panel 110, and may be implemented by, for example, a chip on film (COF) method. That is, each of the plurality of source drivers 120 may be composed of a film 121 and a source driver IC (S-DIC) chip 122 mounted on the film 121.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120) 각각은 일 측이 표시패널(110)과 연결되고, 타측이 소스 인쇄회로기판(S-PCB: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150)에 연결된다. 여기서, 소스 인쇄회로기판(S-PCB, 150)은 소스 보드(Source Board)라고도 한다. Each of the plurality of source drivers 120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a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S-PCB) 150. Here, the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S-PCB) 150 is also referred to as a source board.

한편, 도 1 에서는 소스 인쇄회로기판이 표시장치(100) 내에 1 개가 배치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표시장치(100)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120) 각각의 필름(121)은 일 측이 표시패널(110)과 연결되고, 타 측이 소스 인쇄회로기판(150)과 연결된다.1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one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is disposed in the display device 100.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and at least one of the source printed circuit boards may be disposed in the display device 100. FIG. That is, one side of the film 121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ource drivers 120 is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150.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컨트롤 인쇄회로기판(C-PCB: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160)에 배치된다. 여기서, 컨트롤 인쇄회로기판(C-PCB, 160)은 컨트롤 보드(Control Board)라고도 한다. In addition, the timing controller 140 is disposed on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160. Here,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C-PCB) 160 is also referred to as a control board.

이러한 타이밍 컨트롤러(140)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120)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 이외에,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120) 및 복수의 게이트 드라이버(1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하여, 데이터 제어 신호(DCS: Data Control Signal), 게이트 제어 신호(GCS: Gate Control Signal) 등의 각종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 인쇄회로기판(C-PCB, 160)에는 전원 관리 집적회로(PMIC: Power Management IC) 등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The timing controller 140 outputs a data control signal DCS to control the operation timings of the plurality of source drivers 120 and the plurality of gate drivers 130 in addition to outputting data to the plurality of source drivers 120. [ : Data Control Signal), and Gate Control Signal (GCS: Gate Control Signal). A power management IC (PMIC) or the like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control PCB (C-PCB) 160.

또한, 소스 인쇄회로기판(150)과 컨트롤 인쇄회로기판(160)은 연성 플랫 케이블(FFC: Flexibl Flat Cable) 또는 연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필름(170)을 통해 연결된다. 한편, 도 1에서는 필름(170)의 구성이 표시장치(100) 내에 1 개가 배치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필름(170)은 표시장치(100)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있을 수 있다.The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150 and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16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film 170 such as a flexible flat cable (FFC)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1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one film 170 is arranged in the display device 100, but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lm 170 may be a film having at least one There may be abnormalities.

이에 따라, 컨트롤 인쇄회로기판(160) 상에 배치된 타이밍 컨트롤러(140), 전원 관리 집적회로(180) 등은,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120), 복수의 게이트 드라이버(130) 및 표시패널(110) 간의 신호 전달이 가능해질 수 있다. 여기서, 선호 전달은 각종 전원(전압, 전류), 제어 신호, 센싱 신호,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전기적인 신호의 전달을 의미한다.The timing controller 140 and the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180 and the like disposed o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160 a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ource drivers 120, the plurality of gate drivers 130, and the display panel 110 ) May be possible. Here, preference transfer refers to transmission of all electrical signals including various power sources (voltage, current), control signals, sensing signals, data, and the like.

한편, 소스 드라이버(120)는 데이터 구동을 위한 데이터, 전원, 신호 등 이외에도, 게이트 드라이버(130)로 공급될 각종 제어 신호의 전달 경로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소스 드라이버(120)는 패널 센싱 및 보상 등의 다양한 기능과 관련된 신호를 타이밍 컨트롤러(140)와 주고 받을 수 있다.Meanwhile, the source driver 120 may be used as a transmission path for various control signals to be supplied to the gate driver 130, in addition to data, power, and signals for data driving. In addition, the source driver 120 may send and receive signals related to various functions such as panel sensing and compensation to and from the timing controller 140.

한편, 표시패널(110)에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및 복수의 게이트 라인이 배치되어, 복수의 서브픽셀(SP: Sub Pixel)이 정의되어, 각 서브픽셀 영역마다 트랜지스터 등의 회로 소자가 배치된다. 이러한 각 서브픽셀은 하나의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데이터 전압을 공급받고, 하나 이상의 게이트 라인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스캔 신호를 공급받는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data lines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are arranged in the display panel 110, and a plurality of sub pixels (SP) are defined, and circuit elements such as transistors are arranged for each sub pixel area. Each of the subpixels receives a data voltage from one data line and receives one or more scan signals from the one or more gate lines.

이러한 각 서브픽셀은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 및 하나 이상의 캐패시터 등의 각종 회로 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서브픽셀 내 회로 소자의 개수 및 종류 등은 표시장치(100)의 종류, 픽셀 설계, 서브픽셀 설계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각 서브픽셀은 내부의 회로 소자에 따라 데이터 전압 및 스캔 신호 이외에, 다양한 종류의 전원이 공급된다.Each such subpixel may be composed of various circuit elements such as one or more transistors and one or more capacitors. The number and type of circuit elements in each subpixel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display device 100, the pixel design, and the subpixel design scheme. Each of the subpixels is supplied with various kinds of power in addition to the data voltage and the scan signal according to internal circuit elements.

또한, 표시패널(110)은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및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각 서브픽셀(SP) 영역마다 트랜지스터 등의 회로 소자들이 배치되는 기판(111)과 이 기판(111) 상의 다른 구성들(112)을 포함한다. 여기서, 다른 구성들(112)은 표시장치(100)의 종류(유기발광표시장치, 액정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장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표시장치(100)가 액정표시장치인 경우, 기판(111)과 대향하는 컬러 필터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표시장치(100)가 유기발광표시장치인 경우, 봉지층(Encapsulation Lay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10 includes a substrate 111 on which circuit elements such as transistors are arrang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data lines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and each sub pixel SP region and other structures 112 ). Here, the other structures 112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display device 100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liquid crystal display, plasma display, etc.). When the display device 100 is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color filter substrate opposed to the display panel 111. When the display device 100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n encapsulation layer.

한편, 표시패널(100)과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120),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120)와 소스 인쇄회로기판(150), 소스 인쇄회로기판(150)과 필름(170) 및 필름(170)과 컨트롤 인쇄회로기판(160)은 각 구성요소의 패드부에 배치된 커넥터(미도시)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100 includes a plurality of source drivers 120, a plurality of source drivers 120 and a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150, a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150, a film 170,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16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connectors (not shown) disposed in the pad portion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예를 들면, 컨트롤 인쇄회로기판(160)의 일 측에는 컨트롤 인쇄회로기판(160)의 패드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커넥터(이하, 제 1 커넥터)가 배치되고, 필름(170)의 일 측에는 필름(170)의 패드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커넥터(이하, 제 2 커넥터)가 배치된다. 이 때, 제 1 커넥터(미도시)의 접촉부와 제 2 커넥터(미도시)의 접촉부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쇄회로기판과 필름, 필름과 표시패널 등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a plurality of connecto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connector) provided on the pad por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160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160, A plurality of connecto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connector) provided in a pad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170 are disposed. At this time,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not shown)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or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us,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film, the film, and the display panel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구체적으로는, 컨트롤 인쇄회로기판(160)과 필름(170) 간의 원활한 신호 공급을 위해 컨트롤 인쇄회로기판(160)의 패드부와 필름(170)의 패드부를 서로 대응되도록 본딩 시켜야 한다. 패드부 본딩 공정을 통해, 복수의 제 1 커넥터(미도시)와 복수의 제 2 커넥터(미도시)가 본딩될 수 있다. The pad portio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160 and the pad portion of the film 170 must be bonded to each other in order to smoothly supply signals between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160 and the film 170. [ A plurality of first connectors (not shown)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ors (not shown) may be bonded through the pad bonding process.

그러나, 이러한 패드부 본딩 공정 시, 컨트롤 인쇄회로기판(160)의 복수의 제 1 커넥터(미도시)와 필름(170)의 복수의 제 2 커넥터(미도시) 간의 얼라인먼트가 맞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안정적인 신호 공급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such a pad bonding step, there may occur a situation where alignment between a plurality of first connectors (not shown)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160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ors (not shown) of the film 170 is inconsistent In this case, a problem may arise that stable signal supply becomes impossible.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 1 커넥터(미도시)와 제 2 커넥터(미도시) 간의 체결 불량이 발생하였을 경우, 제 1 및 제 2 커넥터(미도시) 사이의 체결 불량으로 인해 임피던스 미스매칭(impedance mismatching)이 발생하게 되는데, 임피던스 미스매칭이 발생한 영역에서는 높은 임피던스 값으로 인해 신호 불량이 발생한다.More specifically, when a failure in fastening between the first connector (not shown) and the second connector (not shown) occurs, an impedance mismatching due to a failure in fasten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 In a region where impedance mismatch occurs, a signal failure occurs due to a high impedance value.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 1 커넥터(미도시) 간의 간격과 제 2 커넥터(미도시) 간의 간격을 늘리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컨트롤 인쇄회로기판(160) 및 필름(170)의 공간이 한정적이므로 이를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각 커넥터의 폭을 좁히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을 적용할 경우, 커넥터의 전류(current) 용량이 축소되는 문제가 있으며, 미세 커넥터 형성으로 인한 설계, 제작, 생산 비용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nectors (not shown) and the second connector (not shown) has been proposed. However, since the space of the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160 and the film 170 is limited, There is a limit. In addition, there is a method of narrowing the width of each connector. However, when this method is appli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rrent capacity of the connector is reduced, which may lead to an increase in the design, manufacture, and production cost due to the formation of the microconnector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의 신규한 구조를 적용한다. 이러한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novel structure of the connector is applied in this embodiment.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포함한 인쇄회로기판 및 필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2는 도 1의 A의 영역에 포함되는 패드부를 확대한 영역을 나타낸다. 2 is a view showing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film including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ere, FIG. 2 shows an enlarged area of the pad portion included in the region A of FIG.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서로 형상이 상이한 제 1 커넥터(200) 및 제 2 커넥터(300)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 1 인쇄회로기판(160) 상에는 제 1 커넥터(200)가 배치되고, 제 1 필름(170) 상에는 제 2 커넥터(300)가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onnector 200 and a second connector 300 having different shapes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or 20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160, and the second connector 30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film 170.

여기서, 제 1 인쇄회로기판(160)은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으며, 제 1 필름(170)은 연성 플랫 케이블일 수 있다. 한편, 제 1 커넥터(200) 및 제 2 커넥터(300)는 각각 제 1 인쇄회로기판(160)과 제 1 필름(170)의 패드부에 배치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160 may be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first film 170 may be a flexible flat cable. The first connector 200 and the second connector 300 may be disposed on the pad portions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160 and the first film 170, respectively.

제 1 커넥터(200)는 제 1 접촉부(210)와 제 1 비 접촉부(220)로 구분될 수 있고, 제 2 커넥터(300)는 제 2 접촉부(310)와 제 2 비 접촉부(320)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커넥터(200)의 제 1 접촉부(210)와 제 2 커넥터(300)의 제 2 접촉부(310)는 본딩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or 200 may be divided into a first contact portion 210 and a first non-contact portion 220 and the second connector 300 may be divided into a second contact portion 310 and a second non- . Here,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of the first connector 200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310 of the second connector 3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bonding.

한편,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제 1 커넥터(200)의 제 1 접촉부(210) 의 폭은 제 1 비 접촉부(220)의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커넥터(200)는 제 1 커넥터(200)는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 1 커넥터(200)의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제 1 접촉부(210)의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이 제 1 비 접촉부(220)의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형상이면 충분하다.The width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of the first connector 200 with respect to the gate line direction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non-contact portion 220 with respect to the gate line direction.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or 200 may have a T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first connector 200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width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with respect to the gate line direction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non-contact portion 220 with respect to the gate line direction Shape is sufficient.

그리고, 제 2 커넥터(300)의 제 2 접촉부(310)와 제 2 비 접촉부(320)의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 1 커넥터(200)의 제 1 접촉부(210)의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은 제 2 커넥터(300)의 제 2 접촉부(310)의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과 동일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widths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310 and the second non-contact portion 320 of the second connector 300 may be equ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gate line direction. The width of the first connector 200 relative to the gate line direction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second connector 300 along the gate line direction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310 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즉,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들에서, 제 1 커넥터(200)의 제 1 비 접촉부(220)의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은 제 1 커넥터(200)의 제 1 접촉부(210), 제 2 커넥터(300)의 제 2 접촉부(310) 및 제 2 비 접촉부(320)의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at is, in the connector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width of the first non-contact portion 220 of the first connector 200 with respect to the gate line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of the first connector 200, Contact portion 320 of the second connector 300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310 and the second non-contact portion 320,

여기서, 제 1 커넥터(200)의 제 1 비 접촉부(220)의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이 제 1 커넥터(200)의 제 1 접촉부(210)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짐으로써, 제 1 커넥터(200) 및 제 2 커넥터(300) 각각의 접촉부(210, 310)의 컨택 영역을 적절히 유지하는 동시에 제 1 커넥터(200)의 비 접촉부(220) 간의 거리를 늘릴 수 있다. 이를 통해, 임피던스 미스매칭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width of the first non-contact portion 220 of the first connector 200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of the first connector 200, The distance between the non-contact portions 220 of the first connector 200 can be increased while the contact regions of the contact portions 210 and 310 of the first connector 200 and the second connector 300 are appropriately maintained. Thereby, the occurrence of impedance mismatch can be suppressed.

구체적으로는, 커넥터의 접촉부와 비 접촉부 모두 임피던스 미스매칭에 영향을 주며, 임피던스 미스매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커넥터의 접촉부와 비 접촉부의 폭(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방향의 폭)을 축소시키고, 인접하여 배치되는 커넥터 사이의 거리를 증가 시켜야 한다. 그러나, 인쇄회로기판 및 필름의 영역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커넥터 사이의 거리를 무한정 증가시킬 수 없으며, 커넥터의 간의 접촉을 원활히 하기 위해 커넥터의 폭을 축소시키는 것에도 한계가 있다.Specifically, both the contact portion and the non-contact portion of the connector have an influence on the impedance mismatching. In order to prevent impedance mismatching, the width of the contact portion and the non-contact portion of the connector (width in th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ate line direc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disposed connectors must be increased. However, since the are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film is limited,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ors can not be increased indefinitely, and the width of the connector is also limited in order to smooth the contact between the connectors.

한편,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커넥터(200)는 제 1 비 접촉부(220)의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이 제 1 커넥터(200)의 제 1 접촉부(210)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짐으로써, 커넥터 간의 물리적인 체결 면적을 확보하는 동시에 제 1 비 접촉부(220) 간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제 1 커넥터(200)의 제 1 접촉부(210)와 제 1 비 접촉부(220)의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을 다르게 함으로써, 커넥터들의 전류 용량을 유지하는 동시에, 임피던스 미스매칭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width of the first connector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of the first connector 200 with respect to the gate line direction of the first non- The physical connection area between the connectors can be secur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non-contact portions 220 can be increased. That is, by making the widths of the first connector 200 and the first non-contact portion 220 different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gate line direction, the current capacity of the connectors can be maintained, and impedance mismatch phenomenon Can be suppressed.

상술한 제 1 커넥터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Th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connecto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is a view showing a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는 표시장치의 복수의 인쇄회로기판 및 필름의 패드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200)의 제 1 접촉부(210)와 제 1 비 접촉부(220)로 구분된다. 여기서, 제 1 접촉부(210)는 다른 커넥터의 접촉부와 접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onnector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may be disposed on a plurality of printed circuit boards of the display device and a pad portion of the film.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of the connector 200 and the first non-contact portion 220 are separated. Here,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can contact the contact portion of another connector.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200)의 제 1 비 접촉부(220)의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Z)은 커넥터(200)의 제 1 접촉부(210)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X)의 최대 2/3일 수 있다. 이 때, 제 1 비 접촉부(220)의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Z)이 제 1 접촉부(210)의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X)의 2/3을 초과할 경우, 제 1 비 접촉부(220) 간의 거리(Y)가 가까워짐으로써, 임피던스 미스매칭 현상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The width Z based on the gate line direction of the first non-contact portion 220 of the connector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 width (width) with respect to the gate line direction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of the connector 200 / RTI > can be up to two-thirds of (X). At this time, when the width Z based on the gate line direction of the first non-contact portion 220 exceeds 2/3 of the width X based on the gate line direction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10, As the distance Y between the first non-contacting portions 220 approaches, the impedance mismatching phenomenon may increase.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들을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포함한 인쇄회로기판 및 필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포함한 인쇄회로기판 및 필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Next, referring to Fig. 4, the connector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4 is a view showing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film including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film including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includ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can be omitted.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인쇄회로기판(160)의 패드부 상에 제 3 커넥터(201)가 배치되고, 제 1 필름(170)의 패드부 상에 제 4 커넥터(301)가 배치된다. 여기서, 제 3 커넥터(201)와 제 4 커넥터는 각각 접촉부(211, 311)와 비 접촉부(221, 321)로 구분될 수 있다.4, a third connector 201 is disposed on the pad portion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160, and a fourth connector 301 is disposed on the pad portion of the first film 170. Here, the third connector 201 and the fourth connector may be divided into contact portions 211 and 311 and non-contact portions 221 and 321, respectively.

여기서, 제 1 인쇄회로기판(160) 상에 배치되는 제 3 커넥터(201)의 접촉부(211)의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과 제 3 커넥터(201)의 비 접촉부(212)의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은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3 커넥터(201)는 'I'자 형상일 수 있다. The width of the contact portion 211 of the third connector 201 disposed on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160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gate line and the width of the gate line of the non-contact portion 212 of the third connector 201, The width based on direction can be the same. Specifically, the third connector 201 may have an I-shape.

그리고, 제 1 필름(170) 상에 배치되는 제 4 커넥터(301)의 접촉부(311)의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은 제 4 커넥터(301)의 비 접촉부(321)의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3 커넥터 접촉부(211)의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은 제 4 커넥터 접촉부(211)의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width of the contact portion 311 of the fourth connector 301 disposed on the first film 170 with reference to the gate line direction is set so that the width of the gate line direction of the non-contact portion 321 of the fourth connector 301 is Can be made larger than the standard width. The width of the third connector contacting portion 211 with respect to the gate line direction may be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fourth connector contacting portion 211 with respect to the gate line direction.

이를 통해, 제 3 커넥터(201)와 제 4 커넥터(301)의 컨택이 용이한 동시에, 제 4 커넥터(301)의 비 접촉부(321) 간의 거리 증가로 임피던스 미스매칭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facilitate the contact between the third connector 201 and the fourth connector 301 and to suppress the impedance mismatching phenomenon by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non-contact portions 321 of the fourth connector 301. [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제 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들을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포함한 인쇄회로기판 및 필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포함한 인쇄회로기판 및 필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5, the connector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5 is a view showing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 film including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film including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includ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can be omitted.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인쇄회로기판(160)과 제 1 필름(170)의 패드부 상에 각각 커넥터(200, 301)가 배치된다. 여기서, 제 1 인쇄회로기판(160) 및 제 1 필름(170) 상에 각각 배치되는 커넥터(200, 301)들은 접촉부(210, 311)의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이 비 접촉부(220, 321)의 수평방향이 폭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connectors 200 and 301 are disposed on the pad portions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160 and the first film 170, respectively. The connectors 200 and 301 disposed on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160 and the first film 170 are connected to the non-contact portions 220, 321 may be made larger than the width.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는 커넥터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구성요소(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과 필름)들 중 적어도 1 개의 구성요소의 패드부 상에 배치되는 커넥터의 접촉부의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이 비 접촉부의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폭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nnector disposed on the pad portion of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for example,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film) The width based on the gate line direction of the non-contact portion can be made larger than the width based on the gate line direction of the non-contact portion.

한편, 도 2 내지 도 5에서는 제 1 인쇄회로기판(160)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이고, 제 1 필름(170)이 연성 플랫 케이블인 구성을 개시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들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표시장치에 포함되는 다른 인쇄회로기판 및 필름의 패드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표시장치에 포함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필름의 패드부 상에 배치되는 커넥터로 인한 임피던스 미스매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2 to 5,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160 is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first film 170 is a flexible flat cable. However, the connec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sposed on another printed circuit board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and on the pad portion of the film.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impedance mismatch due to the connector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and the pad portion of the film.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8. FIG.

도 6은 도 1의 B의 영역에 포함되는 패드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케이블(200, 300)이 각각 제 1 필름(170)과 제 2 인쇄회로기판(150)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 1 필름(170)은 연성 플랫 케이블일 수 있고, 제 2 인쇄회로기판(150)은 소스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6 is an enlarged view of the pad portion included in the region B of Fig. Referring to FIG. 6, the first and second cables 200 and 3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disposed on the first film 170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150, respectively. Here, the first film 170 may be a flexible flat cable,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150 may be a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한편, 도 6에서는 제 1 필름(170) 상에 접촉부(210)의 게이트라인 방향으로의 폭이 비 접촉부(220)의 게이트라인 방향으로의 폭보다 큰 제 1 커넥터(200)가 배치되고, 제 2 인쇄회로기판(150) 상에는 접촉부(310)와 비 접촉부(320)의 게이트라인 방향으로의 폭이 동일한 제 2 커넥터(300)가 배치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6, the first connector 200 having the width of the contact portion 210 in the gate line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non-contact portion 220 in the gate line direction is disposed on the first film 170, 2, a second connector 300 having the same width in the gate line direction of the contact portion 310 and the non-contact portion 320 is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50.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제 1 필름(170)과 제 2 인쇄회로기판(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 상에 접촉부의 게이트라인 방향으로의 폭이 비 접촉부의 게이트라인 방향으로의 폭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커넥터가 배치되는 구성이면 충분하다. 이를 통해, 제 1 필름(170)과 제 2 인쇄회로기판(150)을 연결하는 커넥터로 인해 발생하는 임피던스 미스매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width of the contact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gate line on the component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film 170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150 may be set to a direction It is sufficient that the connector is dispose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onnector. Accordingly, the impedance mismatching phenomenon caused by the connector connecting the first film 170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150 can be prevented.

도 7은 도 1의 C의 영역에 포함되는 패드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케이블(200, 300)이 각각 제 2 연성회로기판(150)과 제 2 필름(120)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 2 연성회로기판(150)은 소스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고, 제 2 필름(120)은 소스 드라이버일 수 있다.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pad portion included in the region C of Fig. Referring to FIG. 7, the first and second cables 200 and 3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disposed on the second flexible circuit board 150 and the second film 120, respectively. Here, the seco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50 may be a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film 120 may be a source driver.

이 때, 소스 드라이버(120)의 패드부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커넥터(300) 들은 배선(305)을 통해 소스 드라이버(120) 상에 배치되는 칩(122)과 연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nnectors 300 disposed on the pad portion of the source driver 120 may be connected to the chip 122 disposed on the source driver 120 through the wiring 305. [

한편, 도 7에서는 제 2 인쇄회로기판(150) 상에 접촉부(210)의 게이트라인 방향으로의 폭이 비 접촉부(220)의 게이트라인 방향으로의 폭보다 큰 제 1 커넥터(200)가 배치되고, 제 2 필름(120) 상에는 접촉부(310)와 비 접촉부(320)의 게이트라인 방향으로의 폭이 동일한 제 2 커넥터(300)가 배치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7, the first connector 200 having the width of the contact portion 210 in the gate line direction an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non-contact portion 220 in the gate line direction is disposed on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150 And the second connector 300 having the same width in the direction of the gate line of the contact portion 310 and the non-contact portion 320 is disposed on the second film 120.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제 2 인쇄회로기판(150)과 제 2 필름(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 상에 접촉부의 게이트라인 방향으로의 폭이 비 접촉부의 게이트라인 방향으로의 폭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커넥터가 배치되는 구성이면 충분하다. 이를 통해, 제 2 필름(120)과 제 2 인쇄회로기판(150)을 연결하는 커넥터로 인해 발생하는 임피던스 미스매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width of the contact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gate line on the component of at least one of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150 and the second film 120 may be ch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gate line It is sufficient that the connector is dispose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onnector. Accordingly, the impedance mismatching phenomenon caused by the connector connecting the second film 120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150 can be prevented.

도 8은 도 1의 D의 영역에 포함되는 패드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케이블(200, 300)이 각각 제 2 필름(120)과 표시패널(110)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 2 필름(120)은 소스 드라이버일 수 있다.8 is an enlarged view of the pad portion included in the region D of Fig. Referring to FIG. 8, the first and second cables 200 and 3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disposed on the second film 120 and the display panel 110, respectively. Here, the second film 120 may be a source driver.

한편, 본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구성에 국한되지 않으며, 제 2 필름(120)과 표시패널(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 상에 접촉부의 게이트라인 방향으로의 폭이 비 접촉부의 게이트라인 방향으로의 폭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커넥터가 배치되는 구성이면 충분하다. 이를 통해, 제 2 필름(120)과 표시패널(110)을 연결하는 커넥터로 인해 발생하는 임피던스 미스매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8, and the width of the contact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gate line on at least any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second film 120 and the display panel 110 is larger than that of the non- It is sufficient that the connector is arranged larger than the width in the gate line direction. As a result, the impedance mismatch phenomenon caused by the connector connecting the second film 120 and the display panel 110 can be preven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은 표시장치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의 패드부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임피던스 상향설계(커넥터의 폭 작게 설정) 시 발생하는 물리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도 9를 참조하여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embodiments can be applied to the pad portion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thereby overcoming the physical limitations caused by the impedance up-design (setting the width of the connector small). This effec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9는 비교예와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들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커넥터들(250, 300)은 모두 접촉부와 비 접촉부의 게이트라인 방향으로의 폭이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들 중 1 개의 커넥터(200)는 접촉부(210)의 게이트라인 방향으로의 폭이 비 접촉부(220)의 게이트라인 방향으로의 폭보다 크게 이루어진다.9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connectors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first embodiment are connected. Referring to FIG. 9, the connectors 250 and 300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all have the same width in the gate line direction of the contact portion and the non-contact portion. One of the connectors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as a width in the gate line direction of the contact portion 210 larger than a width in the gate line direction of the non-contact portion 220.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커넥터(200)의 비 접촉부(210) 간의 거리(Y)는 동일 위치에 배치되는 비교예에 따른 커넥터(250)의 비 접촉부 간의 거리(Y')보다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전체의 폭을 줄이지 않더라도 임피던스 미스매칭 구간을 짧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임피던스 미스매칭으로 인한 신호 영향성을 삭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distance Y between the non-contact portions 210 of the first connector 2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Y between the non-contact portions of the connector 250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 Therefore, even if the width of the entire connector is not reduced, the impedance mismatching section can be shortened, thereby eliminating the signal influence due to the impedance mismatching.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one embodiment. Further, the features, structures, effects, and the like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s may be combined or modified in other embodi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combinations and modifications.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110: 표시패널
120: 제 2 필름
150: 제 2 인쇄회로기판
160: 제 1 인쇄회로기판
170: 제 1 필름
200: 제 1 커넥터
300: 제 2 커넥터
110: Display panel
120: Second film
150: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160: first printed circuit board
170: first film
200: first connector
300: second connector

Claims (13)

복수의 데이터 라인 및 복수의 게이트 라인 배치된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의 일 측에 연결되는 패널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 구동 유닛은,
상기 표시패널과 연결되는 제 1 인쇄회로기판;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제 1 필름; 및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제 1 필름을 연결시키고,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제 1 필름 각각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 중 적어도 1 개의 커넥터는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접촉부의 폭이 비 접촉부의 폭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data lines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are arranged; And
And a panel drive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The panel drive unit includes:
A first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A first film connected to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nd
And a first connector and a second connector connecting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first film and dispos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first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first film,
Wherein a width of a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with respect to a gate line direction is larger than a width of a non-contact por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는 각각의 접촉부에서 서로 접촉하고, 상기 비 접촉부에서 서로 비 접촉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contact portions, and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at the non-contact por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 중 적어도 1 개의 커넥터는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is formed in a T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 중 적어도 1 개의 커넥터는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비 접촉부의 폭의 최대 값이 접촉부의 폭의 2/3인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ximum value of the width of the non-contac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gate line direction is at least 2/3 of the width of the contact por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 중 적어도 1 개의 커넥터는 인접하여 배치되는 접촉부 사이의 거리보다 인접하여 배치되는 비 접촉부 사이의 거리가 긴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has a longer distance between non-contact portion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an a distance between adjacent contact por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의 다른 측면에 연결되는 제 2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과 제 1 필름을 연결시키고, 제 2 인쇄회로기판과 제 1 필름 각각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제 3 커넥터 및 제 4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및 제 4 커넥터 중 적어도 1 개의 커넥터는 제 3 및 제 4 커넥터의 접촉부의 폭이 비 접촉부의 폭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ilm,
And a third connector and a fourth connector that connect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first film and are dispos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first film,
And at least one of the third and fourth connectors has a width of a contact portion of the third and fourth connectors larger than a width of the non-contact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일 측에 연결되는 제 2 필름 및 상기 제 2 필름의 일 측에 연결되는 제 2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필름과 제 2 인쇄회로기판을 연결시키고, 제 2 필름과 제 2 인쇄회로기판 각각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제 5 커넥터 및 제 6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5 및 제 6 커넥터 중 적어도 1 개의 커넥터는 제 5 및 제 6 커넥터의 접촉부의 폭이 비 접촉부의 폭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film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and a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film,
And a fifth connector and a sixth connector connecting the second film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os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second film and the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Wherein at least one connector of the fifth and sixth connectors has a width of a contact portion of the fifth and sixth connectors larger than a width of the non-contact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일 측에 연결되는 제 2 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필름과 표시패널을 연결시키고, 제 2 필름과 표시패널 각각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제 7 커넥터 및 제 8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7 및 제 8 커넥터 중 적어도 1 개의 커넥터는 제 7 및 제 8 커넥터의 접촉부의 폭이 비 접촉부의 폭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표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film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And a seventh connector and an eighth connector that connect the second film and the display panel and are dispos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second film and the display panel,
And at least one of the seventh and eighth connectors has a width of a contact portion of the seventh and eighth connectors larger than a width of the non-contact portion.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1 개의 필름;
상기 적어도 1 개의 필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1 개의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표시패널과 적어도 1 개의 필름 또는 적어도 1 개의 필름과 적어도 1 개의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제 1 및 제 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 중 적어도 1 개의 커넥터는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접촉부의 폭이 비 접촉부의 폭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표시장치.
Display panel;
At least one film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At least one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film; And
And first and second connectors connecting the display panel with at least one film or at least one film and at least one printed circuit board,
Wherein a width of a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with respect to a gate line direction is larger than a width of a non-contact por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소스 인쇄회로기판 또는 컨트롤 인쇄회로기판이고,
상기 필름은 연성 플랫 케이블(FFC: Flexibl Flat Cable) 또는 소스 드라이버인 표시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a source printed circuit board or a control printed circuit board,
Wherein the film is a flexible flat cable (FFC) or a source drive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 중 적어도 1 개의 커넥터는 'T'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is formed in a T shap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 중 적어도 1 개의 커넥터는 상기 표시패널의 게이트라인 방향을 기준으로 한 비 접촉부의 폭의 최대 값이 접촉부의 폭의 2/3인 표시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aximum value of the width of the non-contac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gate line direction of the display panel is at least 2/3 of the width of the contact por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 중 적어도 1 개의 커넥터는 인접하여 배치되는 접촉부 사이의 거리보다 인접하여 배치되는 비 접촉부 사이의 거리가 긴 표시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has a longer distance between non-contact portion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an a distance between adjacent contact portions.
KR1020160054920A 2016-05-03 2016-05-03 Connecto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7012519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920A KR20170125190A (en) 2016-05-03 2016-05-03 Connecto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920A KR20170125190A (en) 2016-05-03 2016-05-03 Connecto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190A true KR20170125190A (en) 2017-11-14

Family

ID=60387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920A KR20170125190A (en) 2016-05-03 2016-05-03 Connecto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519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6807B2 (en) Chip on fi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330882B1 (en) Display device
US9728595B2 (en) Display device with power supply in cover type
KR20160096739A (en) Display device
US20230052091A1 (en)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module
KR20080000199A (en)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1131800A (en) Display device, flexible member, and method thereof
US10931047B2 (en) Connect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494531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160351155A1 (en) Chip on film packag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60112969A (en) Intagrated chip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050162581A1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for a display
JP6714683B2 (en) Connect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060197459A1 (en) Layout configuration of flat display device
KR20210085642A (en) Display device
KR20230044372A (en) Semiconductor Package
WO2019242213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applying same
KR20170125190A (en) Connector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1189207B2 (en) Chip-on-film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10932365B2 (en) Flexible wiring board and display device
JP2018093101A (en) Flexible print circuit board and image display unit
US11540391B2 (en) Display device
KR102503746B1 (en) Display device
KR102301999B1 (en) Drive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4253430B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