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920A - Large prefabricated tank - Google Patents

Large prefabricated ta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920A
KR20170123920A KR1020160053242A KR20160053242A KR20170123920A KR 20170123920 A KR20170123920 A KR 20170123920A KR 1020160053242 A KR1020160053242 A KR 1020160053242A KR 20160053242 A KR20160053242 A KR 20160053242A KR 20170123920 A KR20170123920 A KR 20170123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fixing
wall
side wall
side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2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기영
김명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신하이텍
김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신하이텍, 김명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신하이텍
Priority to KR1020160053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3920A/en
Publication of KR20170123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92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ssembly-type water tub for a large-scale fish farm, wherein the assembly-type water tub comprises: a bottom plate which forms the bottom surface of a water tub; a plurality of sidewalls which are plate-shaped structures connected to one another so as to form, above the bottom plate, a space capable of containing water while being vertically disposed on top of the bottom plate, and have connection units provided on edge portions on both sides thereof where the sidewalls are connected, wherein the connection units are coupled in a mutually corresponding manner so as to enlarge the contact area; a wall connection means which is installed on the sidewalls to enable the edge portions where the sidewalls are mutually connected to be fixedly coupled; and a lower wall fixing means which fixedly couples lower ends of the sidewalls to the top of the bottom plate. Accordingly, as the sidewalls are mutually connected to one another on top of the bottom plate so as to form the space capable of containing water; the wall connection means enables the edge portions of the both sides of the sidewalls to be fixedly coupled; and the lower wall fixing means enables the lower ends of the sidewalls to be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plate, the assembly-type water tub for a large-scale fish f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and disassembled, and can be reinstalled as well.

Description

대형 양식장용 조립식 수조{Large prefabricated tank}{Large prefabricated tank}

본 발명은 육상에서 각종 어류를 양식할 수 있게 하는 대형 양식장용 조립식 수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water tank for large-scale aquaculture which enables various kinds of fish to be cultured on the land.

일반적으로 육상의 양식장에서 각종 어류를 양식하는 데 사용되는 양식수조는 소정량의 사육수가 저장되는 수조본체의 내측 중앙부에 파이프 형태의 수위조절기구가 설치된 것이 가장 보편적인 형태를 이루며, 최근에는 어류의 유영성과 활동성을 고려하여 원판 형태의 수조바닥과 원통 형상의 수조벽체를 가지는 원형수조가 사용된다.In general, the aquaculture tank used for aquaculture in the aquaculture farm is the most common form in which a pipe-shaped water level control mechanism is installed in the inner central part of the aquarium body where a predetermined amount of fish is stored. In recent years, In consideration of swimming and activity, a circular water tank having a disk-shaped tank bottom and a cylindrical tank wall is used.

이러한, 양식장용 수조는 설치하고자 하는 현장에서 수조 바닥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수조벽체를 용접하여 제작하거나, 수조 바닥 및 벽체를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제작하게 된다.Such aquaculture water tank is manufactured by welding the water tank wall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at the site to be installed or by pouring the tank bottom and the wall into concrete.

그러나, 종래의 양식장용 수조는 설치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과 더불어 수조의 위치 이동이나 재설치가 필요한 경우, 해체 및 재설치가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quarium for aquaculture takes a lot of time to install, and when the water tank needs to be moved or reinstalled, disassembly and re-installation are almost impossible.

이같은, 종래의 양식장용 수조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4775호(2004.03.03)에 제시된다.Such a conventional aquarium for aquaculture is present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344775 (Mar. 3, 2004).

본 발명은,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재설치 작업을 가능하게 하도록 해체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대형 양식장용 조립식 수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water tank for a large aquaculture facility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work and disassembling to enable the reinstallation work.

본 발명은, 수조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바닥판 상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도록 상호 연결되는 판 형상의 구조물로, 상호 연결되는 양측 테두리 부분에는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도록 상호 대응되게 체결되는 연결부가 마련된 복수의 측벽, 상기 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측벽의 상호 연결되는 양측 테두리 부분을 고정 결합되게 하는 벽체연결수단, 상기 측벽의 하단을 상기 바닥판 상면에 고정 결합되게 하는 벽체하단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대형 양식장용 조립식 수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te-like structure interconnected to form a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water in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plate in a state of being vertically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 plurality of sidewalls provided on both side edges of the sidewall, the sidewalls being provided with connecting portions mutually correspondingly joined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all connecting means provided on the sidewalls, And a wall bottom e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bottom end of the side wall to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또한, 상기 측벽은, 판 형상의 벽체본체, 상기 벽체본체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격자구조의 보강철근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wall may include a plate-shaped wall body, and a reinforcing bar having a grid structure inserted into the wall body.

또한, 상기 벽체연결수단은, 상기 측벽의 양측 테두리 부분 내측면 및 외측면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삽입 설치되는 복수의 체결너트, 상호 연결된 상기 측벽들의 양측 테두리 부분을 연결하도록 상기 측벽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 각각 밀착 배치되며, 길이방향 양측에는 체결너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체결공이 형성되는 복수의 조립체결판, 상기 체결공을 통해 상기 체결너트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조립체결판이 상기 측벽에 고정 결합되게 하는 복수의 체결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ll connecting means may include a plurality of fastening nuts which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inner side surface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edge portions of the side wall, A plurality of assembly bosses each of which is fastened to a side surface and an outer side of the fastening hole and which are respectively formed with fastening hole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nuts on both sides in the lengthwise direction and inserted into the fastening nut through the fastening holes,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호 형합되는 결합돌기 및 결합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ortion may be composed of coupling protrusions and coupling grooves which are mutually combined.

또한, 상기 측벽의 상호 연결되는 연결부 사이에는 접합제가 더 설치될 수 있다.Further, a bonding agent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interconnecting connection portions of the side walls.

또한,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 하단면에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게 삽입 체결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벽체하단고정수단은, 상기 측벽의 하단 일측면에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삽입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너트, 일단은 상기 측벽의 하단 일측면에 밀착 배치되며, 타단은 상기 바닥판 상면에 결합되는 'L'자 단면형상을 가지고, 일단 일측에는 상기 고정너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공이 형성된 복수의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공을 통해 상기 고정너트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이 상기 측벽에 고정 결합되게 하는 복수의 고정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fixing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a fix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side wall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And the other end of the fixing nut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the other end of the fixing nut is connected to the fixing nut at one end, A plurality of fixing brackets formed with fixing holes at corresponding positions, and a plurality of fixing bolts inserted into the fixing nuts through the fixing holes to fix the fixing brackets to the side walls.

또한, 상기 측벽 하단면과 상기 바닥판 상면의 상호 연결되는 고정홈과 고정돌기 사이에는 실링제가 더 설치될 수 있다.A sealing agent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s and the fixing grooves that ar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또한,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는 상기 바닥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하부받침대를 더 결합 구비하며, 상기 바닥판의 일측에는 상기 바닥판 상으로 물을 공급 또는 상기 바닥판 상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The bottom plat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lower supports for supporting the bottom plate, wherein water is supplied onto the bottom plate at one side of the bottom plate or water contained in the bottom plat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holes may be formed.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양식장용 조립식 수조는, 바닥판 상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조성되도록 복수의 측벽들을 상호 연결되게 배치시킨 후, 벽체연결수단은 측벽들의 상호 연결된 양측 테두리 부분을 고정상태로 결합되게 하고, 벽체하단고정수단은 측벽들의 하단을 바닥판에 고정상태로 결합되게 하는 바,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재설치 작업도 가능하게 된다.A plurality of sidewal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uch that a space for receiving water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ttom plate, and then the wall connecting means includes a pair of side walls, And the wall lower end fixing means allows the lower ends of the side walls to be fixedly coupled to the bottom plate so that the installation and disassembling operation can be facilitated and a reinstall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양식장용 조립식 수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측벽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water tank for a large aquacultu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Fig. 1.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ide wall shown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shown i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양식장용 조립식 수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측벽의 확대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나타낸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대형 양식장용 조립식 수조는, 바닥판(100), 측벽(200), 벽체연결수단(300), 벽체하단고정수단(400)을 구비하고 있다.1 is a front elevational view of Fig. 1,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side wall shown in Fig. 1, and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shown in Fig. 1 to 4, the prefabricated water tank for a large aquacultu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ttom plate 100, a side wall 200, a wall connecting means 300, and a wall bottom end fixing means 400.

상기 바닥판(100)은 대형 양식장용 조립식 수조의 바닥면을 구성하게 되는 판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바닥판(100)은 대형 양식장용 조립식 수조를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 상부에 안착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바닥판(100)의 상면 둘레로는 고정홈(110)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100)의 상면 테두리 단부는 상방으로 절곡된 지지단(12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110)은 이후 설명될 측벽(200)의 하단을 삽입상태로 걸림 배치되게 하며, 상기 지지단(120)은 상기 측벽(200)의 외측면과 밀착되면서 상기 측벽(200)과의 접촉면을 증대시켜 상기 측벽(200)의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The bottom plate 100 is a plate portion constitu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water tank for large-scale culture. The bottom plate 100 is seated on the bottom of the floor where the prefabricated water tank for large-scale culture is installed. At this time, a fixing groove 110 is formed arou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0, and a support end 120 bent upward can be formed at an upper edge of the bottom plate 100. The supporting end 120 is engag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200 while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20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0. The supporting end 120 is engaged with the side wall 200, So that the side wall 200 can be stably supported.

그리고, 상기 바닥판(100)의 하면에는 상기 바닥판(100)을 설치하는 장소의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복수의 하부받침대(130)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A plurality of lower pedestals 13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0 to support the floor plate 100 in a spaced-apart relation from the ground.

또한, 상기 바닥판(10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닥판(100)의 중앙부에는 외부에서 상기 바닥판(100) 상으로 물을 공급하거나 상기 바닥판(100) 상에 수용된 물을 다시 상기 바닥판(10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관통구(140)가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닥판(100)의 상면은 상기 배출구(14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140)를 통한 물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관통구(140)는 이송관(도면미도시)과 연결되어, 상기 물을 배출시키고자 하는 위치로 이송시키거나 외부에서 상기 바닥판(100) 상으로 물을 공급되게 이송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이송관에는 상기 물을 펌핑시킬 수 있도록 펌프(도면미도시)가 연결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t one side of the bottom plate 100, more specifically at the center of the bottom plate 100, wat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bottom plate 100 or water contained in the bottom plate 100 is re- And a through hole 140 is formed to penetrate the bottom plate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0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discharge port 140 so that the discharge of water through the through-hole 140 can be facilitated. The through-hole 140 is connected to a transfer pipe (not shown) to transfer the water to a position to be discharged or to be supplied with water from the outside to the bottom plate 100 And a pump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so as to pump the water.

상기 측벽(200)은 상기 바닥판(100)의 상면에 수직하게 밀착 배치된 상태로 상기 바닥판(100) 상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도록 상호 연결되는 복수의 판 형상 구조물이다. 즉, 상기 복수의 측벽(200)은 상기 바닥판(100)의 상면 테두리 둘레로 연결 설치되면서, 상기 바닥판(100)의 상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통 구조를 가지게 한다. 이러한, 상기 측벽(200)은 벽체본체(210), 보강철근(220)을 포함한다.The side wall 200 is a plurality of plate-like structures interconnected to form a space for receiving water on the bottom plate 100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walls 200 are vertically closely dispos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0. That is, the plurality of sidewalls 200 are connected to the upper edge of the bottom plate 100 to have a tubular structure capable of receiving water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plate 100. The side wall 200 includes a wall body 210 and a reinforcing bar 220.

상기 벽체본체(210)는 판 형상의 부재로써,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넣어 판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벽체본체(210)의 양측 테두리 부분에는 상호 접하는 상기 벽체본체(210)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킴과 더불어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부(230)가 마련된다. 즉, 상기 연결부(230)는 상호 형합되는 결합돌기(231) 및 결합홈(232)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결합돌기(231)는 상기 벽체본체(210)의 일측면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232)은 상기 벽체본체(210)의 타측면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호 연결되는 상기 벽체본체(210)의 결합돌기(231)와 결합홈(232)이 대응되게 삽입 체결되게 하면서 복수의 상기 벽체본체(210)를 연결상태로 배치하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wall body 210 is a plate-like member in which the concrete is formed into a plate shape in a form,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Here, the connection portions 230 are provided on both side edges of the wall body 210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wall body 210,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o maintain a stable connection state. The coupling protrusion 231 is formed at one side edge of the wall body 21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31 is formed at one side edge of the wall body 210, The groove 232 is formed at the other side edge portion of the wall body 210. Therefore, the plurality of wall bodies 210 are arranged in a connected state while the coupling protrusions 231 of the wall body 210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oupling grooves 232 are correspondingly inserted.

상기 보강철근(220)은 상기 벽체본체(210)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격자구조물이다. 이러한, 상기 보강철근(220)은 상기 벽체본체(210)를 보강하는 구조물로, 상기 벽체본체(210)를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넣어 양생하기전에 상기 거푸집에 넣어 상기 콘크리트에 내설하게 된다.The reinforcing bar 220 is inserted into the wall body 210 and is installed in the lattice structure. The reinforcing bar 220 is a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wall body 210. The wall body 210 is inserted into the concrete before putting the concrete into the concrete mold.

또한, 상기 측벽(200)의 상호 연결되는 양측 테두리 부분 사이, 즉 상기 벽체본체(210)의 연결부(230) 사이에는 접합제(24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접합제(240)는 상기 측벽(200)의 상호 연결되는 연결부(230) 사이를 통해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정적인 밀폐상태를 유지하는 수단으로써, 그라우트나 연성을 가지는 고무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판재로 선택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 bonding agent 24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opposite side edge portions of the side wall 200, that is,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s 230 of the wall body 210. The bonding agent 240 is a means for maintaining a stable sealing state so as to prevent leakage of water through the interconnecting connection portions 230 of the side wall 200. The bonding agent 240 may be a rubber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It can be applied as a plate material.

더불어, 상기 측벽(200)의 하단 테두리 부분에는 상기 바닥판(100)의 고정홈(110)에 대응되게 삽입 체결되는 고정돌기(250)가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측벽(200) 하단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고정돌기(250)가 상기 바닥판(100)의 고정홈(110)에 대응되게 삽입 체결됨으로써, 상기 측벽(200)의 하단면과 상기 바닥판(100) 상면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안정적인 밀폐상태로의 연결 및 상기 측벽(200)을 상기 바닥판(100) 상에 안정적인 안착상태로 배치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 fixing protrusion 250,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0 of the bottom plate 100, is protruded from the lower edge of the side wall 200. The fixing protrusion 250 formed at the lower edge of the side wall 20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0 of the bottom plate 100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ide wall 200 and the bottom surface The contact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0 can be widen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tably establish the connection to the closed state and to arrange the side wall 200 on the bottom plate 100 in a stable seating state.

이러한, 상기 측벽(200)의 하단면과 상기 바닥판(100) 상면 사이,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연결되는 고정홈(110)과 상기 고정돌기(250) 사이에는 실링제(260)를 구비하여, 상기 측벽(200)의 하단면과 상기 바닥판(100) 상면 사이를 안정적으로 밀폐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제(260)는 연성을 가지는 고무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판재로 선택 적용할 수 있다.The sealing member 260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ide wall 2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0 and more specifically between the fixing groove 110 and the fixing protrusion 250,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side wall 2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0 can be stably sealed. The sealing agent 260 may be selected from a flexible rubber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벽체연결수단(300)은 상기 연결부(230)에 의해 양측면 테두리 부분에 상호 접한 상태로 연결된 복수의 상기 측벽(200)을 고정 결합되게 한다. 즉, 상기 복수의 측벽(200)을 결합상태로 고정되게 하면서, 상기 측벽(200) 사이를 안정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벽체연결수단(300)은 체결너트(310), 조립체결판(320), 체결볼트(330)를 포함한다.The wall connecting means 300 allows the plurality of side walls 200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at both side edge portions by the connecting portion 230. That is, the plurality of side walls 200 are fixed in a coupled state, and the side walls 200 can be stably sealed. The wall connection means 300 includes a coupling nut 310, an assembly coupling plate 320, and a fastening bolt 330.

상기 체결너트(310)는 상기 측벽(200)의 양측 테두리 부분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삽입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너트(310)는 상기 측벽(200)의 양측 테두리 부분 내측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삽입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체결너트(310)는 이후 설명될 체결볼트(330)의 단부가 상기 측벽(200)에 삽입 체결될 수 있게 한다.A plurality of the fastening nuts 310 are installed at both side edges of the side wall 20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fastening nuts 310 are inserted into the side edges of the side wall 200 so as to be vertically spaced from each other. The coupling nut 310 allows the end of the fastening bolt 3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be inserted into the side wall 200.

상기 조립체결판(320)은 상호 연결된 상기 측벽(200)들의 양측 테두리 내측면 및 외측면 부분을 연결하도록 상기 측벽(200)의 양측 테두리 내측면 및 외측면에 각각 밀착 배치되는 복수개의 판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조립체결판(32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측벽(200)에 설치된 상기 체결너트(3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체결공(321)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공(321)은 체결볼트(330)의 단부가 관통한 상태로 상기 체결너트(310)에 삽입 체결되고, 상기 조립체결판(320)은 체결볼트(330)의 헤드 부분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조립체결판(320)의 양단은 각각 상호 연결된 한 쌍의 상기 측벽(200)에 고정 결합된다.The assembly plate 320 is a plurality of plate members closely disposed on the inner side surface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wall 200 of the side wall 200 so as to connect the inner side surface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edges of the side walls 200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astening holes 321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nuts 310 provided on the side wall 200 on both sides of the assembly bushing 3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astening bolt 33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nut 310 while the end of the fastening bolt 33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bolt 330. The fastening bolt 330 is press- Both ends of the assembly bushing 320 are fixedly coupled to a pair of mutually connected side walls 200.

상기 체결볼트(330)는 상기 조립체결판(320)을 상기 측벽(200)에 고정 결합되게 하도록 복수개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체결볼트(330)의 단부는 상기 조립체결판(320)의 체결공(321)을 통해 상기 측벽(200)에 설치된 상기 체결너트(310)에 삽입 체결되며, 상기 체결볼트(330)의 헤드 부분은 상기 조립체결판(320)을 가압하면서 상기 조립체결판(320)이 상기 측벽(200)에 고정 결합되게 한다.A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330 are provided to fix the assembly plate 320 to the side wall 200. The end of the fastening bolt 33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nut 310 installed on the side wall 200 through the fastening hole 321 of the fastening bolt 330, The head portion presses the assembly plate 320 so that the assembly plate 320 is fixedly coupled to the side wall 200.

상기 벽체하단고정수단(400)은 상기 측벽(200)의 하단을 상기 바닥판(100)에 고정 결합되게 하는 체결수단이다. 즉, 상기 벽체하단수단(400)은 상기 측벽(200)의 하단과 상기 바닥판(100)의 상면을 상호 연결 상태에서 안정적인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고정 결합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벽체하단고정수단(400)은 고정너트(410), 고정브라켓(420), 고정볼트(430)를 포함한다.The lower wall fixing means 400 is a fastening means for fixing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200 to the bottom plate 100. In other words, the wall lower end means 400 allows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2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0 to be fixedly coupled so as to maintain a stable closed state in the interconnection state. The lower wall fixing means 400 includes a fixing nut 410, a fixing bracket 420, and a fixing bolt 430.

상기 고정너트(410)는 상기 측벽(200)의 하단 테두리 부분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삽입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너트(410)는 상기 측벽(200)의 하단 일측면, 즉 상기 측벽(200)의 하단 내측에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삽입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너트(410)는 이후 설명될 고정볼트(430)의 단부가 상기 측벽(200)에 삽입 체결될 수 있게 한다.A plurality of the fixing nuts 410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lower edge of the side wall 200. More specifically, the fixing nuts 410 are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200, that is, inside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20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The fixing nut 410 allows the end of the fixing bolt 430 to be inserted into the side wall 20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고정브라켓(420)은 상기 바닥판(100)에 결합 설치된 상태로 고정볼트(430)에 의해 상기 고정너트(410)에 연결 결합되면서, 상기 바닥판(100)과 상기 고정브라켓(420)이 상기 고정너트(410)에 의해 상호 연결 결합되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고정브라켓(420)은 'L'자 단면형상을 가지며, 상방으로 절곡된 일단은 상기 바닥판(100)의 고정홈(110)에 삽입 배치된 상기 측벽(200)의 하단 일측면에 밀착되게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420)의 상기 바닥판(100)에 대향되는 타단은 상기 바닥판(100) 상면에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420)의 일단 일측에는 상기 고정너트(4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공(421)이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공(421)은 고정볼트(430)의 단부가 관통한 상태로 상기 고정너트(410)에 삽입 체결되고, 상기 고정브라켓(420)의 일단은 고정볼트(430)의 헤드 부분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고정브라켓(420)은 상기 측벽(200)의 하단에 고정 결합된다.The fixing bracket 420 is coupled to the fixing nut 410 by a fixing bolt 430 in a state where the fixing bracket 420 is coupled to the bottom plate 100 and the bottom plate 100 and the fixing bracket 420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ixing nut 410. One end of the fixing bracket 420 has an L-shaped cross-section and the upper end of the fixing bracket 420 is bent at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200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10 of the bottom plate 100 And are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bottom plate 100 of the fixing bracket 420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0. At one end of the fixing bracket 420, a fixing hole 42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nut 410. The fixing hole 421 is inserted into the fixing nut 410 in a state where the end of the fixing bolt 430 penetrates and one end of the fixing bracket 420 is fixed to the head portion of the fixing bolt 430 The fixing bracket 420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200. [

상기 고정볼트(430)은 상기 고정브라켓(420)을 상기 측벽(200)에 고정 결합되게 하도록 복수개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볼트(430)의 단부는 상기 고정브라켓(420)의 고정공(421)을 통해 상기 측벽(200)의 하단에 설치된 상기 고정너트(410)에 삽입 체결되며, 상기 고정볼트(430)의 헤드 부분은 상기 고정브라켓(420)의 일단을 가압하면서 상기 측벽(200)의 일측면에 밀착상태로 고정 결합되게 한다.A plurality of fixing bolts 430 are provided to fix the fixing bracket 420 to the side wall 200. The end of the fixing bolt 43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nut 410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200 through the fixing hole 421 of the fixing bracket 420 and the fixing bolt 430 Is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ide wall 200 while pressing one end of the fixing bracket 420.

더불어, 상기 측벽(200)을 상기 바닥판(100) 상에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판(100) 상부에 고정상태로 결합 설치한 후에는, 상호 연결된 상기 측벽(200)의 일측면, 즉 상기 측벽(200)의 내측면에 코팅제(도면미도시)를 도포하여, 수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팅제는 친환경 소재의 합성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물의 오염을 최소화하여 어류의 생육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fter the side wall 200 is fixedly coupled to the top plate 100 to receive water on the bottom plate 100, the side walls 200, That is, a coating agent (not shown) may be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200 to maintain a watertight state stably. By using the synthetic resin of the eco-friendly material, the coating agent minimizes the contamination of the water, thereby enabling the growth of the fish to be stably maintained.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 실시예의 대형 양식장용 조립식 수조의 설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installing the prefabricated water tank for a large aquaculture system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의 지면에 상기 바닥판(100)을 설치한다. 즉, 지면 상에 지지단(120)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단(120)의 상부에 상기 바닥판(100)을 안착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100)의 관통구(140)에 이송관을 연결 설치한다.First, the bottom plate 100 is installed on the ground of a place to be installed. That is, the supporting end 120 is provided on the ground, and the bottom plate 100 is placed on the supporting end 120 in a sitting position. A transfer pipe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140 of the bottom plate 100.

이후, 상기 측벽(200)을 상기 바닥판(100)에 고정 설치하면서, 상기 바닥판(100) 상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한다. 즉, 상기 측벽(200)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돌기(250)가 상기 바닥판(100)의 고정홈(110)에 대응 삽입되도록 수직하게 배치한다. 그리고,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측벽(200)들의 양측 테두리 부분을 연결부(230)가 대응되게 체결되도록 연결되게 한다. 이때, 상호 연결되는 상기 측벽(200)의 연결부(230)인 결합돌기(231)와 결합홈(232) 사이에는 실링제(260)가 삽입되게 하고, 상기 측벽(200)의 고정돌기(250)와 상기 바닥판(100)의 고정홈(110) 사이에는 접합제(240)를 삽입 배치되게 하여, 수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Thereafter, the side wall 200 is fixed to the bottom plate 100,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water on the bottom plate 100 is formed. That is, the fixing protrusions 250 formed at the lower ends of the side walls 200 are vertically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s 110 of the bottom plate 100. In addition, the side edge portions of the side walls 20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s 230 are fasten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a sealant 260 is inserted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 231 and the coupling groove 232 of the side wall 200, and the fixing protrusion 250 of the side wall 20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rotrusion 231, The bonding agent 24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fixing groove 110 of the bottom plate 100 and the bottom plate 100 so that the watertightness can be stably maintained.

이같이, 복수의 상기 측벽(200)이 상기 바닥판(100) 상에 안착 배치된 상태로 상기 측벽(200)들의 양측 테두릴 부분을 연결되게 한 후에는, 상기 벽체연결수단(300)을 통해 상호 연결 배치된 상기 측벽(200)들을 고정 결합되게 하고, 상기 벽체하단고정수단(400)을 통해 상기 측벽(200)의 하단을 상기 바닥판(100) 상면에 고정 결합되게 한다.After the plurality of side walls 200 are placed on the bottom plate 100 and the two side walls of the side walls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200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00 through the wall lower end fixing means 400. [

즉, 상기 벽체연결수단(300)의 조립체결판(320)에 형성된 체결공(321)이 상호 접하도록 배치된 일측의 상기 측벽(200)에 설치된 체결너트(310) 및 타측의 측벽(200)에 형성된 체결너트(310)에 대응되게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체결볼트(330)가 체결공(321)을 통해 상기 체결너트(310)에 삽입 체결되게 하면서 상기 조립체결판(320)을 상기 측벽(200)에 고정 결합되게 하는 바, 상기 측벽(200)의 양측 테두리 부분은 상호 고정상태로 연결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That is, the fastening holes 310 formed in one side of the side wall 200 and the side walls 200 on the other side, which are arranged so that the fastening holes 321 formed in the assembly plate 320 of the wall connecting means 3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fastening nut 310 formed. The assembly bolt 33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nut 310 through the coupling hole 321 so that the assembly coupling plate 320 is fixedly coupled to the side wall 200, Are fixed to each other and the connecting joints are stably maintained.

그리고, 상기 벽체하단고정수단(400)의 고정브라켓(420)에 형성된 고정공(421)을 통해 상기 고정너트(410)에 상기 고정볼트(430)를 삽입 체결되게 하면서 상기 측벽(200)의 하단을 상기 바닥판(100)에 고정상태로 연결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The fixing bolt 43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nut 410 through the fixing hole 421 formed in the fixing bracket 420 of the wall lower end fixing means 40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200 So that the connection coupling can be stably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bottom plate 100.

이렇게, 상호 연결 배치되는 상기 측벽(200)들의 양측 테두리를 상기 벽체연결수단(300)에 의해 고정 결합시키고, 상기 측벽(200)의 하단은 상기 벽체하단고정수단(400)에 의해 상기 바닥판(100)에 고정되게 한 후에는, 상기 측벽(200)의 내측면을 코팅제로 도포하여 건조한 후, 상기 측벽(200)에 의해 공간이 마련된 상기 바닥판(100) 상으로 물을 공급되게 한다.The lower ends of the side walls 200 are fixed to the bottom plate 200 by means of the lower wall fixing means 400. The lower ends of the side walls 200 are fixed by the wall connecting means 300, 100, the inner side of the side wall 200 is coated with a coating agent, dried, and then water is supplied onto the bottom plate 100 provided with the side wall 200.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대형 양식장용 조립식 수조는, 상기 바닥판(100) 상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조성되도록 복수의 상기 측벽(200)들을 상호 연결되게 배치시킨 후, 상기 벽체연결수단(300)은 상기 측벽(200)들의 상호 연결된 양측 테두리 부분을 고정상태로 결합되게 하고, 상기 벽체하단고정수단(400)은 상기 측벽(200)들의 하단을 상기 바닥판(100)에 고정상태로 결합되게 하는 바,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재설치 작업도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fabricated water tank for a large aquacultur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plurality of the side walls 200 are arranged so as to be interconnected so that a space for receiving water can be formed on the bottom plate 100, The connecting means 300 allows the two side edges of the side walls 200 to be coupled in a fixed state and the lower wall fixing means 400 fixes the lower ends of the side walls 200 to the bottom plate 100 As a result, the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peration can be facilitated, and the reinstalla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바닥판 110: 고정홈
120: 지지단 130: 하부받침대
140: 관통구 200: 측벽
210: 벽체본체 220: 보강철근
230: 연결부 240: 접합제
250: 고정돌기 260: 실링제
300: 벽체연결수단 310: 체결너트
320: 조립체결판 321: 체결공
330: 체결볼트 400: 벽체하단고정수단
410: 고정너트 420: 고정브라켓
430: 고정볼트
100: bottom plate 110: fixing groove
120: support end 130: lower support
140: through hole 200: side wall
210: wall body 220: rebar
230: connection part 240: bonding agent
250: Fixing projection 260: Sealing agent
300: wall connecting means 310: fastening nut
320: assembly assembly plate 321: fastening hole
330: fastening bolt 400: wall bottom fixing means
410: Fixing nut 420: Fixing bracket
430: Fixing bolt

Claims (8)

수조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바닥판 상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도록 상호 연결되는 판 형상의 구조물로, 상호 연결되는 양측 테두리 부분에는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도록 상호 대응되게 체결되는 연결부가 마련된 복수의 측벽과;
상기 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측벽의 상호 연결되는 양측 테두리 부분을 고정 결합되게 하는 벽체연결수단; 및
상기 측벽의 하단을 상기 바닥판 상면에 고정 결합되게 하는 벽체하단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대형 양식장용 조립식 수조.
A bottom plate constituting a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A plate-like structure interconnected to form a space for receiving water on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plate in a state of being vertically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 plurality of side walls provided with connecting portions correspondingly fastened;
Wall connecting means installed on the side wall for making the mutually connected side edge portions of the side wall to be fixedly engaged; And
And a lower wall fixing means for fixing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판 형상의 벽체본체와,
상기 벽체본체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격자구조의 보강철근을 포함하는 대형 양식장용 조립식 수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wall
A plate-like wall body,
And a reinforcing reinforcing bar having a lattice structur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wall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벽체연결수단은,
상기 측벽의 양측 테두리 부분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삽입 설치되는 복수의 체결너트와,
상호 연결된 상기 측벽들의 양측 테두리 부분을 연결하도록 상기 측벽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 각각 밀착 배치되며, 길이방향 양측에는 체결너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체결공이 형성되는 복수의 조립체결판, 및
상기 체결공을 통해 상기 체결너트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조립체결판이 상기 측벽에 고정 결합되게 하는 복수의 체결볼트를 포함하는 대형 양식장용 조립식 수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ll connecting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ing nuts inserted into the side walls of the sidewall so as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assembly bosses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wall so as to connect both side edges of the sidewalls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having fastening hole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nuts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nuts through the fastening holes to fix the fastening assemblies to the side wall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호 형합되는 결합돌기 및 결합홈으로 구성된 대형 양식장용 조립식 수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comprises an engaging projection and an engaging groove which are mutually combin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벽의 상호 연결되는 연결부 사이에는 접합제가 더 설치되는 대형 양식장용 조립식 수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onding agent is further provided between interconnecting connecting portions of the side wall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측벽 하단면에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게 삽입 체결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벽체하단고정수단은,
상기 측벽의 하단 일측면에 폭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삽입 설치되는 복수의 고정너트와,
일단은 상기 측벽의 하단 일측면에 밀착 배치되며, 타단은 상기 바닥판 상면에 결합되는 'L'자 단면형상을 가지고, 일단 일측에는 상기 고정너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공이 형성된 복수의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공을 통해 상기 고정너트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이 상기 측벽에 고정 결합되게 하는 복수의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대형 양식장용 조립식 수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xing groove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Wherein a fixing protrusion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ide wall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The wall lower end fixing means comprises:
A plurality of fixing nuts inserted into one side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fixing brackets having an L-shaped cross-sectional shape, one end of which is closely fitt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And a plurality of fixing bolts inserted into the fixing nut through the fixing holes to fix the fixing bracket to the side wall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벽 하단면과 상기 바닥판 상면의 상호 연결되는 고정홈과 고정돌기 사이에는 실링제가 더 설치되는 대형 양식장용 조립식 수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ealing agent is further provided between a fixing groove and a fixing protrusion which are mutually connect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는 상기 바닥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하부받침대를 더 결합 구비하며,
상기 바닥판의 일측에는 상기 바닥판 상으로 물을 공급 또는 상기 바닥판 상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관통구가 형성된 대형 양식장용 조립식 수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lower pedestals for supporting the bottom plate are further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And a through hole for supplying water to the bottom plate or discharg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bottom plate to the outsid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plate.
KR1020160053242A 2016-04-29 2016-04-29 Large prefabricated tank KR2017012392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242A KR20170123920A (en) 2016-04-29 2016-04-29 Large prefabricated ta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242A KR20170123920A (en) 2016-04-29 2016-04-29 Large prefabricated ta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920A true KR20170123920A (en) 2017-11-09

Family

ID=60385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242A KR20170123920A (en) 2016-04-29 2016-04-29 Large prefabricated ta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392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6590A (en) * 2016-04-07 2018-11-27 기어 노달-페덜슨 Fish farm equipment and methods
KR20200114720A (en) 2019-03-29 2020-10-07 권희영 Composition method for aquaculture tan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6590A (en) * 2016-04-07 2018-11-27 기어 노달-페덜슨 Fish farm equipment and methods
KR20200114720A (en) 2019-03-29 2020-10-07 권희영 Composition method for aquaculture tan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249B1 (en) Collapsible skimmer
KR100644141B1 (en) Foundation pad for water tank
CA20486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trench
US20080191053A1 (en) Fountain base with basin, statue support and access lid
CA2048607A1 (en) Apparatus for forming a trench
KR20170123920A (en) Large prefabricated tank
US4471501A (en) Two piece knockdown shower stall
JP2001115635A (en) Floor of building
EA018370B1 (en) Modular assembly of parallel arranged containers for metal electrolysis processes
KR20190023601A (en) bottom frame for cultivation of abalone
CN206302938U (en) Leakage dropping-board mounting structure
KR100951908B1 (en) Structure for assembling plate of fabricated tank
CN205727515U (en) Modularity sheep hurdle
CN209975949U (en) Frame type decoration structure
KR200180693Y1 (en) A water reservior easy to wash
KR20140052190A (en) Modularized assembly for supporting toilet bowl seat
KR200233297Y1 (en) Manhole assembly
CN217694935U (en) Industrial aquaculture pond and collet
KR102118835B1 (en) Structure of septic tank
KR20190051659A (en) Lower frame of fish and shellfish farm in marine
KR20200081793A (en) Float Unit for fish farming cage
CN221030501U (en) Integral bathroom
CN213086996U (en) Integral bathroom chassis with water seal
CN220133062U (en) Drainage structure for ceramic tile integrated waterproof bottom box
KR200163462Y1 (en) An assembly water lever apparatus for a rice f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