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368A - 이종의 데이터 수집을 이용한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종의 데이터 수집을 이용한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368A
KR20170123368A KR1020160052010A KR20160052010A KR20170123368A KR 20170123368 A KR20170123368 A KR 20170123368A KR 1020160052010 A KR1020160052010 A KR 1020160052010A KR 20160052010 A KR20160052010 A KR 20160052010A KR 20170123368 A KR20170123368 A KR 20170123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sease
server
healthcare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관
Original Assignee
제이예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예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예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2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3368A/ko
Publication of KR20170123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3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1Ergometry, e.g. by using bicycle type apparatus
    • A61B5/222Ergometry, e.g. by using bicycle type apparatus combined with detection or measurement of physiological parameters, e.g. heart rate
    • G06F19/322
    • G06F19/3456
    • G06Q50/24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의 데이터 수집을 이용한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통신망을 통해 건강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이종의 데이터 수집을 이용한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건강 관리를 예측하기 위한 질병을 선정하는 제1 단계와, 선정된 질병에 관련된 질병 관련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서로 다른 기관에 구비된 기관 서버 및 개인용 의료단말로부터 수집하는 제2 단계와, 수집된 질병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질병에 걸릴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건강 관리 대상 고객을 파악하는 제3 단계와, 파악된 건강 관리 대상 고객 별 건강 관리 예측 데이터를 도출하는 제4 단계와, 도출된 건강 관리 예측 데이터를 건강 관리 대상 고객의 통신수단으로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종의 데이터 수집을 이용한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Health Management Prediction Service by Using Collection of Separate Data}
본 발명은 다양한 기관(건강보험공단, 공공기관, 의료기관 등) 및 개인 단말(헬스관리용 단말)로부터 특정 질병(예컨대, 유방암 등)과 관련된 이종의 데이터(건강보험공단-지역별 사망원인, 진료명세서, 진료내역, 처방전 내역, 건강검진내역, 공공기관-기상, 환경, 전파 관련 데이터, 의료기관-진단명, 진료과, 입/퇴원일시, 수술명, 처치명, 약제투약 정보, 검사 결과 등)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질병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고, 대상 고객을 선정하여 질병 예측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및 모바일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대중화됨에 따라 사용자들은 인터넷을 통해 더욱 더 많은 정보를 접하게 되었다.
한편,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인터넷 등을 통해 다양한 건강 관련 정보들을 접할 수 있고, 자신과 관련된 질병에 대한 증세나 예방방법 등도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7714호(2014년09월05일 공개)는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것의 건강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자 의무 기록(Electical Medical Record, EMR)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자료를 기초로, 사용자로부터 전송되는 건강 데이터를 진단하여 사용자에게 질병 발생 가능성을 알려주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특정 사용자의 의무 기록만을 분석하여 예측하는 것으로, 여러 기관의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여러 사용자들을 위한 예측 정보를 제공하기는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기관 및 개인 단말로부터 특정 질병과 관련된 이종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질병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고, 대상 고객을 선정하여 질병 예측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을 통해 건강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이종의 데이터 수집을 이용한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 제공 방법은, 건강 관리를 예측하기 위한 질병을 선정하는 제1 단계와, 선정된 질병에 관련된 질병 관련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서로 다른 기관에 구비된 기관 서버 및 개인용 의료단말로부터 수집하는 제2 단계와, 수집된 질병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질병에 걸릴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건강 관리 대상 고객을 파악하는 제3 단계와, 파악된 건강 관리 대상 고객 별 건강 관리 예측 데이터를 도출하는 제4 단계와, 도출된 건강 관리 예측 데이터를 건강 관리 대상 고객의 통신수단으로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기관 서버가 건강보험공단에 구비된 경우, 시/도 지역별 사망원인 데이터, 진료명세서 데이터, 진료내역 데이터, 처방전 내역 데이터, 건강검진내역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병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기관 서버가 공공기관에 구비된 경우, 기상 데이터, 환경 데이터, 전파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병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기관 서버가 의료기관에 구비된 경우, 진단명 데이터, 진료과 데이터, 입/퇴원 일시 데이터, 수술/처치명 데이터, 약제투약 정보 데이터, 검사결과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병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인용 의료단말은, 개인 고객의 신체로부터 측정된 심박수 데이터, 혈압 데이터, 혈당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질병 관련 데이터를 측정하거나 입력받는 무선 단말 또는 유선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건강 관리 예측 데이터는, 건강 관리 대상 고객 별 위험 요인, 주의사항, 권고 사항, 권유 사항, 진료기관 추천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기관이나 개인 단말로부터 질병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특정 고객뿐만 아니라 고객군을 대상으로 하는 포괄적인 예방 대책 마련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질병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통신망을 통해 건강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서버에서 다양한 기관 및 개인 단말로부터 특정 질병과 관련된 이종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질병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고, 대상 고객을 선정하여 질병 예측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간단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다양한 기관에 구비된 기관 서버(예컨대, 건강관리공단서버(145), 의료기관서버(150), 공공기관서버(155) 등) 및 개인 단말(160)로부터 특정 질병과 관련된 이종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질병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고, 대상 고객을 선정하여 질병 예측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를 고객 단말(165)로 제공하는 서버(100)와, 상기 서버(100)의 요청에 따라 또는 상기 서버(100)로 직접 질병 관련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다양한 기관에 구비된 기관 서버와, 개인 사용자의 질병 관련 데이터를 제공하는 개인 단말(160)과, 관리대상고객이 소지하며 상기 서버(100)로부터 건강 관리 예측 정보를 제공받는 고객 단말(16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관 서버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질병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보관, 관리, 처리, 수집하는 기관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기관 서버가 건강관리공단서버(145)인 경우, 시/도 지역별 사망원인 데이터, 진료명세서 데이터, 진료내역 데이터, 처방전 내역 데이터, 건강검진내역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병 관련 데이터를 상기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관 서버가 의료기관서버(150)인 경우, 진단명 데이터, 진료과 데이터, 입/퇴원 일시 데이터, 수술/처치명 데이터, 약제투약 정보 데이터, 검사결과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병 관련 데이터를 상기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관 서버가 공공기관서버(155)인 경우, 기상 데이터, 환경 데이터, 전파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병 관련 데이터를 상기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개인 단말(160)은 개인 고객의 건강 관리를 위해 신체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측정되는 심박수 데이터, 혈압 데이터, 혈당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질병 관련 데이터를 상기 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개인 단말(160)은 개인 고객이 소지한 유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을 포함하거나, 개인 고객이 진료받거나 진료를 의뢰한 개인의료기관의 단말일 수 있다.
상기 고객 단말(165)은 상기 서버(100)에 의해 관리 대상 고객으로 선정된 고객이 소지하거나 운용하는 유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객 단말(165)을 통해 상기 고객은 상기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특정 질병에 대한 건강 관리 예측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도면1에 따르면, 도시된 서버(100)는 질병 선정부(105), 데이터 수집부(110), 데이터 분석부(115), 고객 확인부(120), 데이터 도출부(125), 데이터 제공부(130), 정보 저장부(135) 및 저장매체(14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질병 선정부(105)는 서로 다른 기관에 구비된 기관 서버(예컨대, 건강관리공단서버(145), 의료기관서버(150), 공공기관서버(155) 등)로부터 수집할 특정 질병을 선정한다
예컨대, 상기 질병 선정부(105)는 현재 유행하고 있는 질병, 유행이 의심되는 질병, 시기나 계절 등에 따라 통계적으로 발병할 확률이 높은 질병 등을 확인하여 하나 이상의 질병을 선정할 수 있다.
데이터 수집부(110)는 상기 질병 선정부(105)를 통해 질병 관련 데이터를 요청할 하나 이상의 질병이 선정되면, 상기 선정된 질병에 대한 질병 관련 데이터를 상기 건강관리공단서버(145), 의료기관서버(150), 공공기관서버(155)로 요청하여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 수집부(110)는 상기 건강관리공단서버(145)로 상기 선정된 질병과 관련된 질병 관련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건강관리공단서버(145)로부터 시/도 지역별 사망원인 데이터, 진료명세서 데이터, 진료내역 데이터, 처방전 내역 데이터, 건강검진내역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병 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부(110)는 상기 의료기관서버(150)로 상기 선정된 질병과 관련된 질병 관련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의료기관서버(150)로부터 진단명 데이터, 진료과 데이터, 입/퇴원 일시 데이터, 수술/처치명 데이터, 약제투약 정보 데이터, 검사결과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병 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부(110)는 상기 공공기관서버(155)로 상기 선정된 질병과 관련된 질병 관련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공공기관서버(155)로부터 기상 데이터, 환경 데이터, 전파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병 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부(110)는 상기 서버(100)와 연동하는 개인 단말(160)로부터 개인 고객의 심박수 데이터, 혈압 데이터, 혈당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질병 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115)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110)를 통해 상기 건강관리공단서버(145)로부터 시/도 지역별 사망원인 데이터, 진료명세서 데이터, 진료내역 데이터, 처방전 내역 데이터, 건강검진내역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병 관련 데이터가 수집되고, 상기 의료기관서버(150)로부터 진단명 데이터, 진료과 데이터, 입/퇴원 일시 데이터, 수술/처치명 데이터, 약제투약 정보 데이터, 검사결과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병 관련 데이터가 수집되고, 상기 공공기관서버(155)로 상기 선정된 질병과 관련된 질병 관련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공공기관서버(155)로부터 기상 데이터, 환경 데이터, 전파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병 관련 데이터가 수집되면, 상기 수집된 질병 관련 데이터와 상기 질병 선정부(105)를 통해 선정된 질병 간의 연관 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질병 선정부(105)를 통해 유방암이 선정되었다면, 상기 데이터 분석부(115)는 상기 수집된 질병 관련 데이터로부터 유방암 환자가 많은 지역을 확인하거나, 유방암 환자들의 처방전, 유방암 환자들의 진료명세서, 건강검진내역 등을 확인하거나, 유방암 발병의 원인되는 인자들을 확인하거나, 치료 또는 완치된 유방암 환자들이 위치하는 지역의 기후나 날씨 등을 확인하거나, 유방암 환자의 추가 예상 질병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분석부(115)는 상기 확인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유방암 초기의 증상과, 유방암이 잘 걸리는 지역, 기후 등을 분석하고, 또한 이를 대비하기 위해 어떤 처방이나 치료가 필요한 지, 유방암 재발 방지를 위한 최적의 기후 조건 등은 무엇인지 등을 분석할 수 있다.
고객 확인부(120)는 상기 데이터 분석부(115)를 통해 유방암이라는 질병에 대해서 상기 여러 기관으로부터 수집된 질병 관련 데이터를 적용하고 분석하여, 유방암이 많이 발병되는 지역, 기후 등에 대한 분석과, 유방암 환자들의 처방이나 치료에 대한 분석 등이 수행되면,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고객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객은 상기 서버(10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이거나, 상기 서버(100)와 제휴된 기관을 통해 가입한 회원이거나, 특정 지역에 거주하거나, 특정 직업을 갖고 있는 불특정 다수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객 확인부(120)는 유방암이 많이 발병되는 지역이나 기후에 거주하거나, 유방암이 많이 발생하는 직업이나 나이이거나, 유방암 환자들이 초기에 겪었던 증상을 보이는 고객을 건강 관리 대상 고객으로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 도출부(125)는 상기 고객 확인부(120)를 통해 확인된 각 건강 관리 대상 고객들을 위한 건강 관리 예측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예컨대, 유방암이 많이 발병되는 지역이나 기후에 거주하는 건강 관리 대상 고객을 위해서는 유방암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기후나 기상, 주위 환경 등에 대한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유방암이 많이 발생하는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건강 관리 대상 고객을 위해서는 유방암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기후나 기상, 주위 환경 등에 대한 데이터와, 유방암 예방을 위한 음식에 관한 데이터, 유방암 초기 증상에 대한 데이터 등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유방암이 이미 걸렸었던 건강 관리 대상 고객을 위해서는 유방암 재발의 초기 증세에 대한 데이터와, 유방암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기후나 기상, 주위 환경 등에 대한 데이터 등을 도출할 수 있다.
데이터 제공부(130)는 상기 데이터 도출부(125)를 통해 건강 관리 대상 고객 별로 적절한 건강 관리 예측 데이터가 도출되면, 상기 건강 관리 대상 고객의 통신수단을 확인하여, 확인된 고객의 통신수단으로 상기 건강 관리 예측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저장부(135)는 상기 질병 선정부(105)를 통해 질병 선정 내역과, 상기 데이터 수집부(110)를 통해 기관별 데이터 수집 내역과, 상기 데이터 분석부(115)를 통한 데이터 분석 내역과, 상기 고객 확인부(120)를 통해 건강 관리 대상 고객 확인 내역과, 상기 데이터 도출부(125)를 통해 건강 관리 대상 고객 별 건강 관리 예측 데이터 도출 내역과, 상기 데이터 제공부(130)를 통해 건강 관리 대상 고객 별 건강 관리 예측 데이터 제공 내역을 상기 저장매체(140)에 저장하도록 한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질병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서버(100)에서 다양한 기관 및 개인 단말로부터 특정 질병과 관련된 이종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다양한 기관 및 개인 단말로부터 특정 질병과 관련된 이종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본 도면에 도시된 특정 질병과 관련된 이종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은, 서버(100)에서 고객들의 건강 관리를 예측하기 위한 특정 질병을 선정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200).
여기서, 상기 서버(100)는 현재 유행하고 있는 질병, 유행이 의심되는 질병, 시기나 계절 등에 따라 통계적으로 발병할 확률이 높은 질병 등을 확인하여 하나 이상의 질병을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질병 관련 데이터를 요청할 하나 이상의 질병이 선정되면, 상기 서버(100)는 상기 선정된 질병에 대한 질병 관련 데이터를 상기 건강관리공단서버(145)로 요청할 수 있다(205).
그리고, 상기 서버(100)는 상기 건강관리공단서버(145)로부터 시/도 지역별 사망원인 데이터, 진료명세서 데이터, 진료내역 데이터, 처방전 내역 데이터, 건강검진내역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병 관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210).
또한, 상기 서버(100)는 상기 선정된 질병에 대한 질병 관련 데이터를 의료기관서버(150)로 요청할 수 있다(215).
그리고, 상기 서버(100)는 상기 의료기관서버(150)로부터 진단명 데이터, 진료과 데이터, 입/퇴원 일시 데이터, 수술/처치명 데이터, 약제투약 정보 데이터, 검사결과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병 관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220).
또한, 상기 서버(100)는 상기 선정된 질병에 대한 질병 관련 데이터를 공공기관서버(155)로 요청할 수 있다(225).
그리고, 상기 서버(100)는 상기 공공기관서버(155)로부터 기상 데이터, 환경 데이터, 전파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병 관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230).
또한, 상기 서버(100)는 하나 이상의 개인 단말(160)로 질병 관련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으며(235), 상기 개인 단말(160)로부터 개인 고객의 심박수 데이터, 혈압 데이터, 혈당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질병 관련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240).
상기 과정을 통해 질병 관련 데이터의 수집이 완료되면, 상기 서버(100)는 수집된 질병 관련 데이터를 상기 선정된 질병에 부합되도록 취합할 수 있다(245).
도면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2에 도시된 질병 관련 데이터 수집 과정을 통해 다양한 기관 및 개인 단말로부터 질병 관련 데이터가 수집된 이후, 수집된 질병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고 건강 관리 대상 고객을 선정하여 선정된 건강 관리 대상 고객에게 건강 관리 예측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건강 관리 대상 고객에게 건강 관리 예측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본 도면에 도시된 건강 관리 대상 고객에게 건강 관리 예측 데이터를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도면2의 과정을 통해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서버(100)에서 다양한 기관 및 개인 단말로부터 특정 질병과 관련된 이종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취합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300).
이후, 상기 서버(100)는 상기 다양한 기관 및 개인 단말로부터 수집된 특정 질병과 관련된 이종의 데이터를 분석한다(305).
예컨대, 상기 서버(100)는 상기 건강관리공단서버(145)로부터 시/도 지역별 사망원인 데이터, 진료명세서 데이터, 진료내역 데이터, 처방전 내역 데이터, 건강검진내역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병 관련 데이터가 수집되고, 상기 의료기관서버(150)로부터 진단명 데이터, 진료과 데이터, 입/퇴원 일시 데이터, 수술/처치명 데이터, 약제투약 정보 데이터, 검사결과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병 관련 데이터가 수집되고, 상기 공공기관서버(155)로 상기 선정된 질병과 관련된 질병 관련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공공기관서버(155)로부터 기상 데이터, 환경 데이터, 전파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병 관련 데이터가 수집되면, 상기 수집된 질병 관련 데이터와 상기 질병 선정부(105)를 통해 선정된 질병 간의 연관 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서버(100)에서 유방암에 대한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하였다면, 상기 서버(100)는 상기 수집된 질병 관련 데이터로부터 유방암 환자가 많은 지역을 확인하거나, 유방암 환자들의 처방전, 유방암 환자들의 진료명세서, 건강검진내역 등을 확인하거나, 유방암 발병의 원인되는 인자들을 확인하거나, 치료 또는 완치된 유방암 환자들이 위치하는 지역의 기후나 날씨 등을 확인하거나, 유방암 환자의 추가 예상 질병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100)는 상기 확인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유방암 초기의 증상과, 유방암이 잘 걸리는 지역, 기후 등을 분석하고, 또한 이를 대비하기 위해 어떤 처방이나 치료가 필요한 지, 유방암 재발 방지를 위한 최적의 기후 조건 등은 무엇인지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종의 질병 관련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가 도출되면, 상기 서버(100)는 상기 분석 결과를 근거로 건강 관리 대상 고객을 확인할 수 있다(310).
예컨대, 상기 서버(100)는 유방암이라는 질병에 대해서 상기 여러 기관으로부터 수집된 질병 관련 데이터를 적용하고 분석하여, 유방암이 많이 발병되는 지역, 기후 등에 대한 분석과, 유방암 환자들의 처방이나 치료에 대한 분석 등이 수행되면,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고객을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객은 상기 서버(10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이거나, 상기 서버(100)와 제휴된 기관을 통해 가입한 회원이거나, 특정 지역에 거주하거나, 특정 직업을 갖고 있는 불특정 다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100)는 유방암이 많이 발병되는 지역이나 기후에 거주하거나, 유방암이 많이 발생하는 직업이나 나이이거나, 유방암 환자들이 초기에 겪었던 증상을 보이는 고객을 건강 관리 대상 고객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건강 관리 대상 고객이 확인되면, 상기 서버(100)는 확인된 건강 관리 대상 고객 별 건강 관리 예측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315).
예컨대, 유방암이 많이 발병되는 지역이나 기후에 거주하는 건강 관리 대상 고객을 위해서는 유방암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기후나 기상, 주위 환경 등에 대한 데이터를 도출하거나, 유방암이 많이 발생하는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건강 관리 대상 고객을 위해서는 유방암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기후나 기상, 주위 환경 등에 대한 데이터와, 유방암 예방을 위한 음식에 관한 데이터, 유방암 초기 증상에 대한 데이터 등을 도출하거나, 유방암이 이미 걸렸었던 건강 관리 대상 고객을 위해서는 유방암 재발의 초기 증세에 대한 데이터와, 유방암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기후나 기상, 주위 환경 등에 대한 데이터 등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건강 관리 대상 고객 별 건강 관리 예측 데이터가 도출되면, 상기 서버(100)는 상기 건강 관리 대상 고객의 통신수단을 확인하여, 확인된 고객의 통신수단으로 상기 건강 관리 예측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320).
그리고, 상기 서버(100)는 상기 질병 선정 내역과, 상기 다양한 기관별 데이터 수집 내역과, 상기 이종의 데이터 분석 내역과, 상기 건강 관리 대상 고객 확인 내역과, 상기 건강 관리 대상 고객 별 건강 관리 예측 데이터 도출 내역과, 상기 건강 관리 대상 고객 별 건강 관리 예측 데이터 제공 내역을 상기 저장매체(140)에 저장하도록 한다(325).
100 : 서버 105 : 질병 선정부
110 : 데이터 수집부 115 : 데이터 분석부
120 : 고객 확인부 125 : 데이터 도출부
130 : 데이터 제공부 135 : 정보 저장부
140 : 저장매체 145 : 건강관리공단 서버
150 : 의료기관 서버 155 : 공공기관 서버
160 : 개인 단말 165 : 고객 단말

Claims (4)

  1. 통신망을 통해 건강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이종의 데이터 수집을 이용한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건강 관리를 예측하기 위한 질병을 선정하는 제1 단계;
    선정된 질병에 관련된 질병 관련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서로 다른 기관에 구비된 기관 서버 및 개인용 의료단말로부터 수집하는 제2 단계;
    수집된 질병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질병에 걸릴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건강 관리 대상 고객을 파악하는 제3 단계;
    파악된 건강 관리 대상 고객 별 건강 관리 예측 데이터를 도출하는 제4 단계; 및
    도출된 건강 관리 예측 데이터를 건강 관리 대상 고객의 통신수단으로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이종의 데이터 수집을 이용한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기관 서버가 건강보험공단에 구비된 경우, 시/도 지역별 사망원인 데이터, 진료명세서 데이터, 진료내역 데이터, 처방전 내역 데이터, 건강검진내역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병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기관 서버가 공공기관에 구비된 경우, 기상 데이터, 환경 데이터, 전파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병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기관 서버가 의료기관에 구비된 경우, 진단명 데이터, 진료과 데이터, 입/퇴원 일시 데이터, 수술/처치명 데이터, 약제투약 정보 데이터, 검사결과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질병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데이터 수집을 이용한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용 의료단말은,
    개인 고객의 신체로부터 측정된 심박수 데이터, 혈압 데이터, 혈당 데이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질병 관련 데이터를 측정하거나 입력받는 무선 단말 또는 유선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데이터 수집을 이용한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관리 예측 데이터는,
    건강 관리 대상 고객 별 위험 요인, 주의사항, 권고 사항, 권유 사항, 진료기관 추천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의 데이터 수집을 이용한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60052010A 2016-04-28 2016-04-28 이종의 데이터 수집을 이용한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701233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010A KR20170123368A (ko) 2016-04-28 2016-04-28 이종의 데이터 수집을 이용한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010A KR20170123368A (ko) 2016-04-28 2016-04-28 이종의 데이터 수집을 이용한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368A true KR20170123368A (ko) 2017-11-08

Family

ID=60385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010A KR20170123368A (ko) 2016-04-28 2016-04-28 이종의 데이터 수집을 이용한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336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660A (ko) * 2018-02-19 2019-08-28 주식회사 셀바스에이아이 건강나이 예측 방법
KR20200095593A (ko) 2019-01-25 2020-08-11 (주)비아이매트릭스 이종 빅데이터의 딥러닝 학습을 위한 이종 빅데이터의 전처리 저장 시스템
KR102170991B1 (ko) * 2019-11-14 2020-10-28 주식회사 헬스케어뱅크 개체에 대한 관찰정보의 입력 및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20210151584A (ko) * 2020-06-05 2021-12-1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국민건강보험 검진 데이터를 이용한 심혈관질환 발병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9660A (ko) * 2018-02-19 2019-08-28 주식회사 셀바스에이아이 건강나이 예측 방법
KR20200095593A (ko) 2019-01-25 2020-08-11 (주)비아이매트릭스 이종 빅데이터의 딥러닝 학습을 위한 이종 빅데이터의 전처리 저장 시스템
KR102170991B1 (ko) * 2019-11-14 2020-10-28 주식회사 헬스케어뱅크 개체에 대한 관찰정보의 입력 및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WO2021096276A1 (ko) * 2019-11-14 2021-05-20 주식회사 헬스케어뱅크 개체에 대한 관찰정보의 입력 및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US11847296B2 (en) 2019-11-14 2023-12-19 Healthcare Bank Co., Ltd. Method for inputting and sharing of observation information on the object, and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210151584A (ko) * 2020-06-05 2021-12-1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국민건강보험 검진 데이터를 이용한 심혈관질환 발병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stry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of the cost-effectiveness of telemedicine and telecare. Changes in the economic evidence over twenty years
Jassem et al. Delays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breast cancer: a multinational analysis
Wilkinson et al. The myocardial ischaemia national audit project (MINAP)
Jencks et al. Quality of medical care delivered to Medicare beneficiaries: a profile at state and national levels
US20190214113A1 (en) Dynamic analysis of health and medical data applied to clinical trials
Dudley et al. Beneficial effects of a combined navigator/promotora approach for Hispanic women diagnosed with breast abnormalities
CN110494919A (zh) 帮助医师实现用于基于价值支付的质量措施的面向患者的移动技术
KR20170140757A (ko) 임상 의사결정 지원 앙상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임상 의사결정 지원 방법
US2010025702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ating, storing, analyzing and enabling access to collected and analyzed data associated with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test subjects
Mubarak et al.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impact of collaborative practice between community pharmacist and general practitioner on asthma management
KR20170123368A (ko) 이종의 데이터 수집을 이용한 건강 관리 예측 서비스 제공 방법
Hall et al. Benchmarks for acute stroke care delivery
US8041580B1 (en) Forecasting consequences of healthcare utilization choices
CN107506567A (zh) 一种居民医疗智能管理系统及方法
Mittmann et al. Examination of health system resources and costs associated with transitioning cancer survivors to primary care: a propensity-score–matched cohort study
JP4393081B2 (ja) バーチャルペーシェントシステム
Boufous et al. Hospital admissions following presentations to emergency departments for a fracture in older people
Brogan et al. The excess costs of hospitalization for acute stroke in people with communication impairment: a Stroke123 data linkage substudy
JP2007011747A (ja) 健康診断支援システム及び健康診断支援方法
Karavan et al. Teledermatology in the diagnosis of melanoma
Seitz et al. Approach towards an evidence-oriented knowledge and data acquisition for the optimization of interdisciplinary care in dentistry and general medicine
Aspy et al. Improving mammography screening using best practices and practice enhancement assistants: an Oklahoma Physicians Resource/Research Network (OKPRN) study
JP2000099605A (ja) 健診情報分析サーバおよびネットワーク健康情報システム
KR102531211B1 (ko) 온라인 네트워크 기반 비대면 브이첵 자가검사에 따른 원격 의료진단 플랫폼 시스템
Colantonio et al. Who waits for inpatient rehabilitation services in Canada after neurotrauma? A population based-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