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081A -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081A
KR20170123081A KR1020160052285A KR20160052285A KR20170123081A KR 20170123081 A KR20170123081 A KR 20170123081A KR 1020160052285 A KR1020160052285 A KR 1020160052285A KR 20160052285 A KR20160052285 A KR 20160052285A KR 20170123081 A KR20170123081 A KR 20170123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flow rate
submerged
flood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6184B1 (ko
Inventor
남창환
이동섭
김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에스글로벌
이동섭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에스글로벌, 이동섭,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에스글로벌
Priority to KR1020160052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184B1/ko
Publication of KR20170123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06F17/30241
    • G06F17/500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은 인접하는 복수의 셀로 구획되는 지역에 대한 침수 경로를 추적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유입 유량 정보 획득부, 인접 셀 수위 판단부, 유량 전이 판단부, 및 유량 유출부를 포함한다. 유입 유량 정보 획득부는 침수 셀로 유입되는 미리 설정된 기간별 유량 정보를 획득하고, 인접 셀 수위 판단부는 침수 셀의 인접 셀 중 침수 셀보다 수위가 낮은 셀을 판단하고, 유량 전이 판단부는 침수 셀로 유입되는 홍수의 유속을 미리 설정된 전이 범위와 비교하며, 유량 유출부는 유입되는 홍수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전이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침수 셀로 유입되는 유량을 침수 셀보다 수위가 낮은 셀로 유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지형도(DEM 또는 DSM)와 유입홍수량의 간단한 수문자료만으로 홍수범람으로 인한 제내지(도심지)의 침수-확산 경로를 모의할 수 있게 되어 홍수범람으로 인한 제내지(도심지)의 침수-확산 경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FLOODED AREA, AND RECORDING MEDIUM HAVIG COMPUTER READABLE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은 토목 건축 분야의 예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홍수 범람시 제내지에서의 침수 추적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과 홍수로 전 지구적인 물 재난이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가뭄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지역 또한 이후 홍수로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 연구를 보면 기후변화로 인해 미래로 갈수록 극한강수의 크기가 커지고 극한강수와 가뭄의 심도가 증가하며, 발생빈도 또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런데, 현재의 배수관련 사회기반시설의 설계는 정상성(Stationarity)이라는 가정하에 빈도해석을 하고 있어 극한기후를 반영하기 어렵게 설계되어 있고, 극한강수 빈도 역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제방의 월류 파쇄 등으로 인한 제내지(도심지)의 홍수범람 피해 가능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 특히, 홍수범람시 도심지로의 도달시간이 짧은 도시하천에서는 홍수위가 급격히 증가하여 도로, 교량 등의 하천 시설물과 제내지 건물 등의 피해 위험이 더욱 크다.
이와 같이 홍수범람에 의한 침수는 수 시간 내에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 이를 해석하기 위한 모형들은 침수 범위를 정확히 예측하지 못하거나, 예측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 비정상적인 강우조건에 의한 침수 지역을 신속히 예측하여 대피 계획을 수립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홍수범람으로 인한 제내지(도심지)의 침수-확산 경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은 인접하는 복수의 셀로 구획될 수 있는 지역에 대해 침수 경로를 추적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유입 유량 정보 획득부, 인접 셀 수위 판단부, 유량 전이 판단부, 및 유량 유출부를 포함한다.
유입 유량 정보 획득부는 침수 셀로 유입되는 미리 설정된 기간별 유량 정보를 획득하고, 인접 셀 수위 판단부는 침수 셀의 인접 셀 중 침수 셀보다 수위가 낮은 셀을 판단하고, 유량 전이 판단부는 침수 셀로 유입되는 홍수의 유속을 미리 설정된 전이 범위와 비교하며, 유량 유출부는 유입되는 홍수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전이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침수 셀로 유입되는 유량을 침수 셀보다 수위가 낮은 셀로 유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지형도(DEM 또는 DSM)와 유입홍수량의 간단한 수문자료만으로 홍수범람으로 인한 제내지(도심지)의 침수-확산 경로를 모의할 수 있게 되어 홍수범람으로 인한 제내지(도심지)의 침수-확산 경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침수 셀보다 수위가 낮은 셀이 없는 경우 유입되는 유량에 대응하여 침수 셀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수위 조절부는 홍수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전이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도 유입되는 유량에 대응하여 침수 셀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전이 범위는 유속이 침수 셀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기간으로 나눈 값보다 큰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지역의 침수 셀들의 수위 데이터를 저장하는 수위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지역에 대한 침수 추적 정보 제공시 저장이나 전송 데이터 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침수 셀보다 수위가 낮은 인접 셀이 복수인 경우, 유량 유출부는 침수 셀과의 수위차에 따라 미리 설정된 비율로 침수 셀로 유입되는 유량을 나누어 각각의 인접 셀로 유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셀간의 수위차를 반영하여 보다 실제 상황에 가깝게 침수 상황을 모의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시스템을 방법의 형태로 구현한 발명과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형도(DEM 또는 DSM)와 유입홍수량의 간단한 수문자료만으로 홍수범람으로 인한 제내지(도심지)의 침수-확산 경로를 모의할 수 있게 되어 홍수범람으로 인한 제내지(도심지)의 침수-확산 경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역에 대한 침수 추적 정보 제공시 저장이나 전송 데이터양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셀간의 수위차나 유속을 반영하여 보다 실제 상황에 가깝게 침수 상황을 모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다중흐름방향 방법을 이용한 셀간의 유량 분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평수가정을 이용한 셀간의 유량 확산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지역 추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
도 7은 수치표면모형의 지형 데이터의 예.
도 8은 도 1의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입력화면.
도 9는 서로 다른 침수 면적 추정 방법에 따라 추정된 시간별 침수 면적을 비교한 그래프.
도 10은 LEIM 방법에 의한 침수 지역의 시간대별 침수면적이 도시된 도면.
도 11은 침수 면적 추정 방법별 시간에 따른 침수면적 변화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100)은 유입 유량 정보 획득부(110), 인접 셀 수위 판단부(120), 유량 전이 판단부(130), 유량 유출부(140), 및 수위 조절부(150), 및 침수 셀 수위 데이터 저장부(16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100)의 각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로만 구현될 수 있겠지만, 하드웨어 상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것이 보다 일반적일 것이다.
유입 유량 정보 획득부(110)는 침수 셀로 유입되는 미리 설정된 기간별 유량 정보를 획득한다.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100)은 인접하는 복수의 셀로 구획되는 지역에 대한 침수 경로를 추적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발생된 홍수범람유량은 시간에 따라 임의의 셀에서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루트 시작 셀에서부터 특정 시간 간격의 유출 총량은 인접한 셀로 전이되며, 루트 시작 셀의 설정이나 루트 시작 셀로의 시간 간격별 유입 유량의 설정은 사용자 등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후 전이된 셀에서의 유입 유량은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100)에 의해 산출된 정보를 이용한다.
인접 셀 수위 판단부(120)는 침수 셀의 인접 셀 중 침수 셀보다 수위가 낮은 셀을 판단한다. 이때 인접 셀이 이미 침수된 셀이 아닌 경우에는 수위로는 미리 설정된 바에 따라 지표면의 고도 또는 지상 구조물의 고도가 사용된다.
유량 전이 판단부(130)는 침수 셀로 유입되는 홍수의 유속을 미리 설정된 전이 범위와 비교한다. 이때 미리 설정된 전이 범위는 유속이 침수 셀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기간으로 나눈 값보다 큰 범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속이 10m/s 이고, 홍수가 유입되는 침수 셀이 가로세로 각각 5m의 크기인 경우, 유량 전이 판단부(130)는 유속이 전이 범위에 해당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때의 유속은 유입되는 유량과 셀들간의 수위차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수위차나 유속을 반영하여 보다 실제 상황에 가깝게 침수 추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유량 유출부(140)는 유입되는 홍수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전이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침수 셀로 유입되는 유량을 침수 셀보다 수위가 낮은 셀로 유출한다.
이때, 침수 셀보다 수위가 낮은 인접 셀이 복수인 경우, 유량 유출부(140)는 침수 셀과의 수위차에 따라 미리 설정된 비율로 침수 셀로 유입되는 유량을 나누어 각각의 인접 셀로 유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홍수 시나리오를 통해 발생된 홍수범람유량이 시작하는 루트 셀을 결정하면, 이 루트 셀로부터 홍수가 시작된다. 홍수가 시작되면 발생된 홍수 총량은 인접한 셀로 할당되어 이동하게 되는데 실제의 홍수범람에 의한 흐름방향은 경사에 따라 여러 방향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루트 셀보다 낮은 고도의 셀로 할당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루트 셀보다 낮은 인접셀에 홍수총량을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각 인접셀의 고도차를 가중치로 할당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즉, 가장 낮은 고도차를 1이라 보고 그보다 작은 고도차를 최저 고도차의 비율에 따라 차등 분배하는 방법으로 인접셀에 홍수총량을 할당한다. 이렇게 분배된 홍수량은 최저표고에 도달하여 인접 셀의 표고가 루트 셀보다 높을 때까지 계속된다. 도 2는 다중흐름방향 방법을 이용한 셀간의 유량 분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에는 그리드화된 셀구조에서 홍수전이를 위해 주별셀과의 경사를 이용하여 차등 분배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수위 조절부(150)는 침수 셀보다 수위가 낮은 셀이 없는 경우 유입되는 유량에 대응하여 침수 셀의 수위를 조절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홍수 흐름이 최저고도에 이르면 이 셀이 루트 시작 셀로 되고 홍수총량은 이 루트 시작 셀에 누적된다.
도 3 내지 도 5는 평수가정을 이용한 셀간의 유량 확산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에는 낮은 고도의 셀에서 수위가 높아져 인접셀보다 증가하면 그 수위는 인접 셀들과 균등해 진다는 가정을 이용한 셀간 유량 전이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3에서 Z1 셀의 수위(water level)는 물 확산 조건[Z1 + h1 > Z2] 이 충족될 때까지 증가한다. 도 4에서와 같이 홍수총량이 더해지면 Z2는 평수가정 [Z1 + h1 = Z2 + h2]을 만족시키기 위해 수위가 높아져야 하고, 이와 같은 메커니즘으로 도 5에서와 같이 홍수총량이 더해지는 셀은 점증적으로 추가된다.
또한, 수위 조절부(150)는 침수 셀보다 수위가 낮은 인접 셀이 있는 경우에도 홍수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전이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유입되는 유량에 대응하여 침수 셀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침수 셀 수위 데이터 저장부(160)는 침수 셀들의 수위 데이터를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침수 지역의 예측 정보는 모의 지역의 지형 정보와 함께 제공되는 데, 모의 지역이 넓을수록 또한 지형 정보가 상세할수록 지형 정보의 양이 커져 저장이나 후속 작업을 위해 제공되는 데이터의 양이 현저히 커지게 된다.
침수 셀 수위 데이터 저장부(160)는 전체 모의 지역이 아니라 침수된 셀들에 대한 수위 데이터만을 저장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저장이나 전송에 필요한 데이터의 양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와 함께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수 지역 추적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6에서 먼저,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은 침수 지역 추적을 위해 설정된 필수 데이터를 입력받고(S110), 기본적인 시스템 초기화 작업을 수행한다(S120). 이때, 필수 데이터로는 유입홍수량과 지형자료(DEM 또는 DSM)의 두 가지 입력자료가 입력될 수 있다.
유입홍수량은 사용자 등에 의해 입력된 가상의 데이터 또는 과거 실제 발생한 데이터나 이를 이용한 예측 데이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입홍수량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도록 입력될 수도 있으며,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에서 시간에 따라 변화하도록 산출될 수도 있다.
지형자료는 기본적으로 수치표고모형(Digital Elevation Model, DEM)을 이용하나, 도로나 건물과 같은 시설물에 의한 침수-확산 경로를 모의하기 위해 시설물의 표고값이 적용되는 수치표면모형(Digital Surface Model, DSM)을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수치표면모형의 지형 데이터의 예이다.
도 8은 도 1의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입력화면이다. 화면의 1번은 지도읽기 기능으로 아스키(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파일 형태의 DEM 또는 DSM 파일을 불러올 수 있다. 2번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홍수 유입이 시작되는 루트 셀로 화면의 좌표값을 입력하거나 마우스를 이용해 원하는 시작 셀을 정할 수 있다. 3번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유량파일로 시간별 누가유출총량을 엑셀이나 텍스트 형태로 불러올 수 있다.
또한, 4번은 유속값으로 분당 이동거리를 입력하게 되어 있으며 제방붕괴지점에서의 시간당 평균유속을 사용한다. 자료입력이 끝나고 5번 분석 기능을 선택하면 모형이 구동된다. 모형의 결과는 6번 시간대별 출력 버튼을 누르는 경우 7번에서와 같이 시간대별로 침수-확산범위가 출력되게 된다. 또한, 출력된 자료는 시간대별로 아스키 파일로 저장되어 GIS 툴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유량이 포함된 모든 셀에 대해 각각 유량 전이 과정을 수행한다(S130). 이를 위해, 각 셀에서는 먼저 시간대별 유입 유량데이터를 획득하고(S132), 현재 위치보다 낮은 지역(수위 포함)이 있는 지를 판단한다(S134). 낮은 지역이 없는 경우 유입된 유량을 저장하여 수위를 증가시키고(S134), 낮은 지역이 있는 경우 유속이 다음셀로 진압 가능한가를 판단한다(S135). 판단 결과 유속이 다음셀로 진입 가능한 경우 유입 유량을 다음셀로 전달하여 다음셀로 진입하고(S136), 진입 불가능한 경우 유입된 유량을 저장하여 수위를 증가시킨다(S134).
다음으로, 유량이 포함된 모든 셀의 수위데이터 파일을 저장하고(S140), 시간 종료 여부를 판단하며(S150), 설정된 전체 추적 시간이 종료되지 아니한 경우는 추적 수행 시간을 증가시키고(S160) 다음 시간대의 추적 과정을 수행하며, 설정된 전체 추적 시간이 종료한 경우 전체 추적 과정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적합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적용된 방법과 기존에 대략적인 침수 범위를 산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방법의 예측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1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서 시간에 따른 침수경로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고, 방법 2는 유입홍수량 최저표고 적산법으로 시간에 따라 유입되는 홍수총랑(m3)을 제내지의 최저표고부터 순차적으로 누가 적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평수가정법을 응용한 것으로 표고차에 의한 홍수총량 적산방법이다.
방법 3은 월류수위 연장법으로 홍수위험지도를 작성할 때 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제내지로 유입되는 홍수위 표고를 연장하여 침수면적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이 세 가지 방법의 결과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9는 서로 다른 침수 면적 추정 방법에 따라 추정된 시간별 침수 면적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9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시간에 따른 침수면적이 비교적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유입홍수량을 최저표고로부터 적산한 방법(이하 LEIM)은 14∼15시간 사이에 침수면적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도 10에서 더욱 확연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LEIM 방법은 낮은 표고값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누적되기 때문에 가장 넓은 지역의 표고가 20.1m(El.)인 지역에서 침수가 발생했을 때 침수면적이 순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도 10은 LEIM 방법에 의한 침수 지역의 시간대별 침수면적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은 침수 면적 추정 방법별 시간에 따른 침수면적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언급한 세 가지 방법 모두 시간에 따른 침수면적 변화를 나타낼 수 있지만, LEIM 방법은 시간에 따른 불연속성을 가지고 있고, FLEM 방법은 피해면적이 과대 산정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SIMOD(Simplified Inundation Model) 모형의 결과는 시간에 따른 침수경로와 침수면적 결과를 연속성 있게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천 제방 붕괴로 인한 제내지의 홍수 침수 경로를 추적하기 위하여 단순화시킨 홍수범람 모형인 SIMOD(Simplified Inundation Model)을 제공한다. 침수경로를 만들기 위하여 다중흐름방향(Multi Direction) 방법을, 최저표고에서 홍수를 누적시키기 위해서 평수가정(Flat-Water Assumption)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홍수가 유입되는 지점에서부터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홍수가 확산되어 나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량과 지형자료로 모형 구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모의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강우-유출 모형 또는 제방붕괴 모형 등을 통해서 유입되는 홍수량만 파악을 할 수 있다면 수 분 내에 결과를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EAP(Emergency Action Plan)과 같은 대피계획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비록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뒷받침되는 상기 실시예의 변혀이나 개량에도 미쳐야 할 것이다.
100: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
110: 유입 유량 정보 획득부
120: 인접 셀 수위 판단부
130: 유량 전이 판단부
140: 유량 유출부
150: 수위 조절부
160: 침수 셀 수위 데이터 저장부

Claims (13)

  1. 인접하는 복수의 셀로 구획될 수 있는 지역에 대한 침수 경로를 추적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침수 셀로 유입되는 미리 설정된 기간별 유량 정보를 획득하는 유입 유량 정보 획득부;
    상기 침수 셀의 인접 셀 중 상기 침수 셀보다 수위가 낮은 셀을 판단하는 인접 셀 수위 판단부;
    상기 침수 셀로 유입되는 홍수의 유속을 미리 설정된 전이 범위와 비교하는 유량 전이 판단부; 및
    상기 유입되는 홍수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전이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침수 셀로 유입되는 유량을 상기 침수 셀보다 수위가 낮은 셀로 유출하는 유량 유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수 셀보다 수위가 낮은 셀이 없는 경우 상기 유입되는 유량에 대응하여 상기 침수 셀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위 조절부는 상기 홍수의 유속이 상기 미리 설정된 전이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유입되는 유량에 대응하여 상기 침수 셀의 수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역의 침수 셀들의 수위 데이터를 저장하는 침수 셀 수위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량 유출부는
    상기 침수 셀보다 수위가 낮은 인접 셀이 복수인 경우,
    상기 침수 셀과의 수위차에 따라 미리 설정된 비율로 상기 침수 셀로 유입되는 유량을 나누어 각각의 인접 셀로 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
  6. 상기 미리 설정된 전이 범위는 상기 유속이 상기 침수 셀의 크기를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으로 나눈 값보다 큰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
  7.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이 인접하는 복수의 셀로 구획될 수 있는 지역에 대한 침수 경로를 추적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침수 셀로 유입되는 미리 설정된 기간별 유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침수 셀의 인접 셀 중 상기 침수 셀보다 수위가 낮은 셀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침수 셀로 유입되는 홍수의 유속을 미리 설정된 전이 범위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유입되는 홍수의 유속이 미리 설정된 전이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침수 셀로 유입되는 유량을 상기 침수 셀보다 수위가 낮은 셀로 유출하는 유량 유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지역 추적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침수 셀보다 수위가 낮은 셀이 없는 경우 상기 유입되는 유량에 대응하여 상기 침수 셀의 수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지역 추적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홍수의 유속이 상기 미리 설정된 전이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유입되는 유량에 대응하여 상기 침수 셀의 수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지역 추적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역의 침수 셀들의 수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지역 추적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유량 유출 단계는,
    상기 침수 셀보다 수위가 낮은 셀이 복수인 경우,
    상기 침수 셀과의 수위차에 따라 상기 침수 셀로 유입되는 유량을 나누어 각각의 인접 셀로 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지역 추적 방법.
  12. 상기 미리 설정된 전이 범위는 상기 유속이 상기 침수 셀의 크기를 상기 미리 설정된 기간으로 나눈 값보다 큰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지역 추적 방법.
  13. 청구항 6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0160052285A 2016-04-28 2016-04-28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816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285A KR101816184B1 (ko) 2016-04-28 2016-04-28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285A KR101816184B1 (ko) 2016-04-28 2016-04-28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081A true KR20170123081A (ko) 2017-11-07
KR101816184B1 KR101816184B1 (ko) 2018-01-08

Family

ID=6038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285A KR101816184B1 (ko) 2016-04-28 2016-04-28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1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62631A (zh) * 2017-12-29 2018-05-22 广东工业大学 城市内涝风险评估方法、装置及终端
CN112097851A (zh) * 2019-06-17 2020-12-18 深圳市振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易涝点涝情检测方法及内涝预测方法
CN112097851B (zh) * 2019-06-17 2024-06-04 深圳市振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易涝点涝情检测方法及内涝预测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445B1 (ko) * 2018-12-24 2019-11-2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시간에 따른 강우의 지표유출 흐름성 예측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2686B2 (ja) * 2002-12-03 2008-04-30 財団法人河川情報センター リアルタイム動的氾濫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6207889B2 (ja) * 2013-06-21 2017-10-04 株式会社東芝 浸水予測システム、浸水予測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62631A (zh) * 2017-12-29 2018-05-22 广东工业大学 城市内涝风险评估方法、装置及终端
CN112097851A (zh) * 2019-06-17 2020-12-18 深圳市振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易涝点涝情检测方法及内涝预测方法
CN112097851B (zh) * 2019-06-17 2024-06-04 深圳市振瀚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易涝点涝情检测方法及内涝预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184B1 (ko) 2018-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itao et al. Real-time forecasting urban drainage models: full or simplified networks?
Park et al. Optimal design of stormwater detention basin using the genetic algorithm
Schuurman et al. Response of braiding channel morphodynamics to peak discharge changes in the Upper Yellow River
KR101816184B1 (ko) 침수 지역 추적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20170051971A (ko) 도시 계획 지원 시스템 및 도시 계획 정보 제공 방법
Yoon et al. Urban stream overflow probability in a changing climate: Case study of the Seoul Uicheon Basin, Korea
Wu et al. A novel approach for determining integrated water discharge from the ground surface to trunk sewer networks for fast prediction of urban floods
Warnock et al. Self-adaptive kinematic-dynamic model for overland flow
Harlan et al. Derivation of the critical rainfall level needed for an early flood warning in the Upper Citarum river basin Indonesia
Chen et al. Flood control through engineered avulsions and floodways in the lower Yellow River
Mazzoleni et al. Data assimilation in hydrologic routing: Impact of model error and sensor placement on flood forecasting
Irvem et al. Evaluation of flood simulation for zeyzoun dam-break in Syria using HEC-RAS model
Bellos et al. 2D flood modelling: The case of Tous dam break
KR101970196B1 (ko) 우수 배수 시스템을 고려한 유출 플럭스 계산 방법
US20220413181A1 (en) Coupled pluvial, fluvial, and urban flood tool
Savage et al. The impact of scale on probabilistic flood inundation maps using a 2D hydraulic model with uncertain boundary conditions
Sadek The effect of upper nile projects implementation on water management strategy
Van Den Zegel et al. Real-time control of floods along the Demer river, Belgium, by means of MPC in combination with GA and a fast conceptual river model
Yusof et al. Floodplains modelling due to dam break
Mohammad et al. A numerical study of pumping effects on flow velocity distributions in Mosul Dam reservoir using the HEC‐RAS model
CN116882215B (zh) 一种多要素的自激励预警方法
Altinakar et al. New generation modeling and decision support tools for studying impacts of dam failures
Vouillamoz et al. Mapping flood-related hazards in karst using the KARSYS approach: Application to the Beuchire-Creugenat karst system (Ju, Switzerland) NCKRI Symposium 2: Proceedings of the Thirteenth Multidisciplinary Conference on Sinkholes and the Engineering and Environmental Impacts of Karst
Saniskoro et al. The simulation of flood discharge in Citarum River Indonesia using HEC–RAS 5.0. 7 programming
Albo-Salih et al. Real-Time Operation of Reservoirs during Flood Conditions Using Optimization-Simulation with One-and Two-Dimensional Mode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