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913A - 생체방어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의학용 원격진료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체방어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의학용 원격진료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913A
KR20170122913A KR1020160051862A KR20160051862A KR20170122913A KR 20170122913 A KR20170122913 A KR 20170122913A KR 1020160051862 A KR1020160051862 A KR 1020160051862A KR 20160051862 A KR20160051862 A KR 20160051862A KR 20170122913 A KR20170122913 A KR 20170122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ood
unit
user
me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2421B1 (ko
Inventor
임상배
박성훈
박지훈
Original Assignee
박스뱅크주식회사
박성훈
박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스뱅크주식회사, 박성훈, 박지훈 filed Critical 박스뱅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1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421B1/ko
Publication of KR20170122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G06F19/3418
    • G06F19/32
    • G06F19/345
    • G06F19/34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t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생체방어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의학용 원격진료시스템은, 사용자의 키, 몸무게 및 병력정보를 고려하여 예방 차원의 식단을 제공하는 프리 케어(Pre Care)와, 상기 사용자를 원격진료 하는 케어(Care)와, 상기 원격진료의 결과를 토대로 관리 차원의 식단을 제공하고, 치료과정을 추천하는 포스트 케어(Post Care)를 제공하는 진료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생체방어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의학용 원격진료시스템{Telemedicine system using bio-defense technology for food}
본 발명은 원격진료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생체방어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의학용 원격진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급식은 생산 - 구매 - 물류 - 검수 - 조리(제조) - 음식(제품)의 단계로 이루어지며, 최종음식이 불량이 나는 경우에는 바로 식중독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급식은 학교, 공장, 병원 등에서 학생, 종업원, 환자 등에 식사를 제공하는 것과, 가정 밖의 일정한 장소에서 비영리로 특정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식사를 제공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급식은 학생들에게 영양적으로 균형을 이룬 음식물을 섭취하게 함으로써, 심신의 건전한 발달을 도모하는 학교급식, 직장 종업원의 노동력 증진이나 직업병 예방을 고려한 음식을 준비하는 직장급식, 입원환자의 치료효과를 높이고, 질병치료에 부합되는 음식을 제공하는 병원급식, 육해공의 군인들의 체력 향상을 위한 군부대의 급식 등의 다양한 형태의 단체 급식이 있다.
여기서, 학교 급식은 성장기 아동에게 균형적인 영향을 공급, 체력을 향상시켜 아동의 심신 발달이 건전해지고 지역 사회와 국민 식생활 개선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선택해야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급식 형태가 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며, 최근의 학교급식 실시율은 거의 100%에 육박하고 있다.
이러한, 학교급식은 가정에서의 식사와는 달리 규모가 큰 대량급식으로 식단, 급식비, 시간과 일손, 시설과 설비 등의 제약과 위생관리의 문제점 등으로 인해 많은 결함을 내포하고 있으며, 그 예로서는 식단에 변화가 없거나 맛이 좋지 않은 경우가 있으며, 여름철에는 위생관리 및 식재료의 유통기간 이행을 철저히 하지 않을 경우 집단 식중독을 일으킬 염려가 있으므로 매우 주의를 요구하여야 한다.
한편, 영양사는 급식 관리상 가장 중요한 영양면, 경제면, 조리면, 작업면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식단을 작성하되, 식단의 주기는 정해진 요일에 같은 음식이 제공되지 않고 변화를 주어여 한다.
현재의 급식에 있어서는 1~2명의 영양사가 관리를 진행하게 되므로 식단 메뉴의 설정에 많은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학교 급식소에 따라 조리과정이 서로 상이하여 음식맛에 많은 차이가 있게 된다.
또한, 식재료에 대한 영양과 칼로리 등을 환산하여 한국인 영양 권장량에 해당하는 영양관리와 식재료 관리에 있어 보다 과학적으로 체계적이지 못함으로 인해 운영상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식품위생법에서는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인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을 정하고 있는데, 이는 식품의 안전성을 자율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관리체제로서, 과학적이고 비용효과적이며 예방적인 방법으로 자율적인 관리를 통해 식품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전세계 식품규제기관들이 그 적용을 급속히 확대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국제교역에서의 그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식품위생법을 통해 이 제도의 적용을 확대하고 있으며, 전 세계 선진국들이 자국에서 생산되는 식품과 수입식품에 대한 동등한 수준의 안전성 확보를 요구하며, 이의 유효한 수단으로 HACCP의 적용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현대 사회에서 잘못된 식생활 습관으로 인하여 비만, 고혈압 및 당뇨병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데, 급식에서는 표준 체형의 정상인을 기준으로 식단을 구성하므로, 잘못된 식생활 습관을 개선할 수 없었다.
특히 비만, 고혈압 및 당뇨병 등과 같이 식생활습관으로 인해 증상이 악화될 있는 질병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키, 몸무게 및 병력정보를 토대로 예방 차원의 식단을 제공하거나 그 사용자의 진료결과를 반영하여 식단을 변경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프리 케어(Pre Care), 케어(Care) 및 포스트 케어(Post Care)를 제공할 수 있는 생체방어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의학용 원격진료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키, 몸무게 및 병력정보를 고려하여 예방 차원의 식단을 제공하는 프리 케어(Pre Care)와, 상기 사용자를 원격진료 하는 케어(Care)와, 상기 원격진료의 결과를 토대로 관리 차원의 식단을 제공하고, 치료과정을 추천하는 포스트 케어(Post Care)를 제공하는 진료 시스템;을 포함하는 생체방어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의학용 원격진료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병력정보는 비만, 고혈압 및 당뇨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료 시스템은, 치료과정을 추천함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거주지 및 근무지와,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치료비용을 토대로 적어도 하나의 병원과 진료과정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식기에 음식물의 정보가 저장된 RFID 태그가 부착되며, 상기 사용자가 개인정보 - 키, 몸무게, 병력정보, 진료정보 - 가 저장된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시, 상기 RFID 태그의 정보를 토대로 음식물의 칼로리 정보를 제공하는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은, 상기 RFID 태그의 정보를 토대로, 선택된 음식물이 추천식품, 주의식품 및 제한식품 중 어느 식품에 포함되는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은, 제한식품에 포함되는 음식물의 결제를 자동으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 - 키, 몸무게, 병력정보, 진료정보 - 를 토대로 추천 칼로리를 파악하여, 선택된 음식물의 총 칼로리 정보와 비교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생산이력 관리 시스템, 물류관제 시스템 및 조리공정 관리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진료 시스템의 상기 원격진료의 결과를 토대로 상기 생산이력 관리 시스템에 생산 요구사항이 전달되고, 상기 물류관제 시스템에 물류정보 변경사항이 전달되며, 상기 조리공정 관리 시스템에 조리공정 변경사항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방어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의학용 원격진료시스템은, 프리 케어(Pre Care), 케어(Care) 및 포스트 케어(Post Care)를 제공하여, 원격진료의 결과를 토대로 관리 차원의 식단을 제공하고, 치료과정을 추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방어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의학용 원격진료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
도 3은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의 RFID 태그의 예시도
도 4는 도 1의 진료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도 1의 생산이력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
도 6은 도 1의 물류관제 시스템의 개념도
도 7은 도 1의 조리공정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식품 모니터링시스템부의 전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생체방어 융합식품 모니터링시스템부의 식재료 이력 생산정보 확인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생체방어 융합 식품 모니터링시스템부의 식중독 예방대응(HACCP)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11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생체방어 융합 식품 모니터링시스템부의 물류 및 배송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11abc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생체방어 융합 식품 모니터링시스템부를 통해 GPS/GP시스템에 의한 배송차량의 정보를 제공하는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생체방어 융합 식품 모니터링시스템부의 VOD 컨텐츠 제공수단 및 맞춤형 방송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생체방어 융합 식품 모니터링시스템부의 마켓 플레이스수단을 도시한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생체방어 융합 식품 모니터링시스템부의 검색수단을 통해 검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생체방어 융합 식품 모니터링시스템부의 주문수단을 통해 주문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방어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의학용 원격진료시스템(1)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생체방어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의학용 원격진료시스템(1)은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생체방어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의학용 원격진료시스템(1)은, 생산이력 관리 시스템(1000)과, 물류관제 시스템(2000)과, 조리공정 관리 시스템(3000)과,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4000)과, 진료 시스템(50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생산이력 관리 시스템(1000), 물류관제 시스템(2000) 및 조리공정 관리 시스템(300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4000)의 개념도이고, 도 3은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의 RFID 태그의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4000)에서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각의 식기에는 음식물의 정보가 저장된 RFID 태그가 부착되어 있다. 식기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음식물 정보는 칼로리 정보,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등과 같은 영양소 정보, 알러지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RFID 태그는 HF(13.56MHz) 대역과 UHF(920MHz) 대역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에이치에프 유에이치에프 다중대역 알에프아이디 태그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는 학생증 이나 별도의 카드를 이용하여, 선택한 식기의 음식물을 결제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소유한 카드에도 RFID 태그가 내장되며, RFID 태그에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 키, 몸무게, 병력정보, 진료정보 - 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의 카드를 결제 단말에 접촉하여 결제를 시도할 때, 식기의 RFID 태그에 저장된 RFID 태그의 정보를 토대로 음식물의 칼로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4000)은 식기 및 카드의 RFID 태그의 정보를 토대로, 선택된 음식물이 추천식품, 주의식품 및 제한식품 중 어느 식품에 포함되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식기의 RFID 태그는 칼로리 정보와,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등과 같은 영양소 정보와, 알러지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고,
사용자의 카드의 RFID 태그는 개인정보 - 키, 몸무게, 병력정보, 진료정보 - 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병력정보 및 진료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선택한 음식물이 추천식품, 주의식품 및 제한식품 중 어느 범주에 속하는지 분류될 수 있다.
이때,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4000)은 제한식품에 포함되는 음식물의 결제를 자동으로 제한하여, 사용자가 무의식적으로 음식물을 섭취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4000)은 주의식품에 포함되는 음식물은 결제를 허용하되, 영수증에 해당 정보를 인쇄하여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4000)은 사용자의 개인정보 - 키, 몸무게, 병력정보, 진료정보 - 를 토대로 추천 칼로리를 파악하여, 선택된 음식물의 총 칼로리 정보와 비교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결제 단말 및 영수증에 표시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결제 단말은 사용자의 개인정보 - 키, 몸무게, 병력정보, 진료정보 - 와, 섭취한 음식물 정보를 일정기간동안 데이터 베이스화 하여 저장한다.
특히, 결제 단말은 사용자의 몸무게 정보를 기간별로 검토하여 추천 칼로리의 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일주일 단위 또는 한달 단위마다 사용자의 몸무게의 변화량을 토대로 추천 칼로리의 기준을 상향시키거나 하향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주일 동안 몸무게가 10% 상승했을 경우 추천 칼로리는 최초의 수치보다 10% 낮추고, 일주일 동안 몸무게가 5% 하강했을 경우 추천 칼로리는 최초의 수치보다 5% 높일 수 있다. 즉 몸무게의 변화량에 정비례하여 추천 칼로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진료 시스템(5000)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4를 동시에 참조하면,
진료 시스템(5000)은, 사용자의 키, 몸무게 및 병력정보를 고려하여 예방 차원의 식단을 제공하는 프리 케어(Pre Care)와, 사용자를 원격진료 하는 케어(Care)와, 원격진료의 결과를 토대로 관리 차원의 식단을 제공하고, 치료과정을 추천하는 포스트 케어(Post Care)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병력정보는 비만, 고혈압 및 당뇨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1단계 프리 케어(Pre Care)는 prevantion care(예방) 지칭하고, 2단계 케어(Care)는 care(의사 수술 및 진료)를 지칭하고, 3단계 포스트 케어(Post Care)는 post care(사후관리)를 지칭하는 것이다.
즉, 진료 시스템(5000)은 프리 케어(Pre Care)를 진행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키, 몸무게 및 병력정보를 고려하여 예방 차원의 식단을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4000), 조리공정 관리 시스템(3000), 물류관제 시스템(2000) 및 생산이력 관리 시스템(10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스템으로 전달한다.
예방 차원의 식단은 개인별 식단일 수도 있으며, 단체 급식의 경우 그 단체의 평균치를 고려한 식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료 시스템(5000)에서 처리된 개인별 식단이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4000) 및 조리공정 관리 시스템(3000)으로 전달될 경우,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4000)의 결제 단말은, 진료 시스템(5000)의 프리 케어(Pre Care)에서 제공된 예방 차원의 식단과, 사용자 카드의 RFID 태그에 저장된 개인정보 - 키, 몸무게, 병력정보, 진료정보 - 를 동시에 고려하여 선택된 음식물이 추천식품, 주의식품 및 제한식품 중 어느 식품에 포함되는지를 분류하고 그에 따른 동작을 진행한다. - 상술한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4000)의 기본동작임 -
또한, 조리공정 관리 시스템(3000)은 제공된 예방 차원의 식단을 기준으로 조리과정을 진행한다.
또한, 진료 시스템(5000)에서 처리된 단체식단이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4000) 및 조리공정 관리 시스템(3000)으로 전달될 경우,
여기에서의 단체식단이 학생식단이라고 가정할 경우, 전체학생의 평균연령, 비만도, 체중, 혈압, 병력정보 등을 모두 고려하여 예방 차원의 식단이 제공된다.
특히 병력정보가 조리공정 관리 시스템(3000)에 제공되는 경우, 소수의 학생일 경우에도, 병력정보를 통해 제한식품에 포함되는 음식물 및 재료를 최소화시키며, 유사한 영양소를 가진 다른 음식물 및 재료로 대체하여 조리가 진행된다.
다음으로, 진료 시스템(5000)은 케어(Care)를 진행함에 있어서, 원격진료를 통해 의사가 사용자를 진료하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는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키, 몸무게 및 병력정보를 의사에게 전송하고, 상호간에 실시간 화상통화를 진행하면서 원격진료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혈압, 혈당, 식단, 섭취한 칼로리 정보를 의사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진료 시스템(5000)은 포스트 케어(Post Care)를 진행함에 있어서, 원격진료의 결과를 토대로 관리 차원의 식단을 제공하고, 치료과정을 추천한다.
즉, 진료 시스템(5000)의 원격진료의 결과를 토대로 관리 차원의 식단이 제공될 경우, 진료 시스템(5000)에 의해 생산이력 관리 시스템(1000)에 생산 요구사항이 전달되고, 물류관제 시스템(2000)에 물류정보 변경사항이 전달되며, 조리공정 관리 시스템(3000)에 조리공정 변경사항이 전달되고,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4000)에 관리 차원의 식단이 전달된다.
진료 시스템(5000)은, 치료과정을 추천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거주지 및 근무지와, 사용자가 설정한 치료비용을 토대로 적어도 하나의 병원과 진료과정을 추천한다.
즉, 의사가 원격진료를 진행한 이후에, 원격진료 결과를 시스템에 입력할 경우,
사용자의 거주지, 근무지, 출퇴근 시간, 근무시간과, 각 병원의 진료예약이 상호 연동되어 사용자의 단말기에 표시되며, 사용자가 설정한 치료비용을 고려하여 진료과정이 선택되어 해당 병원에 예약이 진행된다. 여기에서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총칭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단말기로 가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진료 시스템(5000)에서 포스트 케어(Post Care)를 진행할 때, 원격진료의 결과를 토대로한 관리 차원의 식단이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4000)으로 전달된다.
즉, 관리 차원의 식단이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4000), 조리공정 관리 시스템(3000), 물류관제 시스템(2000) 및 생산이력 관리 시스템(10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스템으로 전달된다.
관리 차원의 식단은 개인별 식단일 수도 있으며, 단체 급식의 경우 그 단체의 평균치를 고려한 식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료 시스템(5000)에서 처리된 개인별 식단이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4000) 및 조리공정 관리 시스템(3000)으로 전달될 경우,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4000)의 결제 단말은, 진료 시스템(5000)의 포스트 케어(Post Care)에서 제공된 관리 차원의 식단과, 사용자 카드의 RFID 태그에 저장된 개인정보 - 키, 몸무게, 병력정보, 진료정보 - 를 동시에 고려하여 선택된 음식물이 추천식품, 주의식품 및 제한식품 중 어느 식품에 포함되는지를 분류하고 그에 따른 동작을 진행한다.
참고적으로 사용자의 약물복용정보가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4000)의 결제 단말로 제공될 경우, 약물복용정보를 바탕으로 추천식품, 주의식품 및 제한식품의 범주가 재분류 되며, 사용자가 선택한 음식물이 주의식품 및 제한식품 중 어느 하나에 속하더라도 결제가 제한된다.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4000)의 결제 단말은, 사용자의 몸무게, 혈압, 혈당량, 식사량(칼로리)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약물복용정보가 추가로 제공될 경우,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4000)은 사용자의 몸무게의 변화량 및 최근 식사량을 토대로 약물복용량 조절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약물복용량 조절정보는 영수증에 표시되거나,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조리공정 관리 시스템(3000)은 제공된 관리 차원의 식단을 기준으로 조리과정을 진행한다.
생산이력 관리 시스템(1000), 물류관제 시스템(2000), 조리공정 관리 시스템(3000),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40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질병관리 서버와 상시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질병관리 서버에서 전염병 정보 - 조류 독감, 돼지 콜레라, 구제역 등 - 가 전달될 경우, 이미 획득한 식재료나, 그 식재료에 의해 조리된 음식물과 전염병의 연관도를 고려하여,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4000)은 해당 음식물의 배식을 취소하고, 조리공정 관리 시스템(3000)은 조리 공정 - 조리 방법, 조리 온도 및 세척 횟수 - 을 변경하고, 물류관제 시스템(2000)은 전염병 발생이외지역의 식재료를 공수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방어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의학용 원격진료시스템은, 프리 케어(Pre Care), 케어(Care) 및 포스트 케어(Post Care)를 제공하여, 원격진료의 결과를 토대로 관리 차원의 식단을 제공하고, 치료과정을 추천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생산이력 관리 시스템(1000)의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1의 물류관제 시스템(2000)의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1의 조리공정 관리 시스템(3000)의 개념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생산이력 관리 시스템(1000) 및 물류관제 시스템(2000)은 생산농가, 가공업자, 유통업자, 관리시스템, 소비자와의 실시간 네트워크망을 형성하여, 각 생산품의 생산이력 및 유통정보를 제공한다.
조리공정 관리 시스템(3000)은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인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에 적합한 조리과정이 진행되는지 여부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생산이력 관리 시스템(1000), 물류관제 시스템(2000), 조리공정 관리 시스템(3000) 및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4000)이 각각의 개별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예시를 설명하였으나,
생산이력 관리 시스템(1000), 물류관제 시스템(2000), 조리공정 관리 시스템(3000) 및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4000)은 하나의 시스템, 즉 생체방어 융합 식품모니터링시스템으로 통합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생산이력 관리 시스템(1000), 물류관제 시스템(2000), 조리공정 관리 시스템(3000) 및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4000)이, 하나의 시스템, 즉 생체방어 융합 식품모니터링시스템으로 구성된 예시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생체방어 융합 식품 모니터링시스템부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체 급식소 또는 음식점에 제공되는 식재료에 관련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되, 식재료에 대한 정보를 RFID 태그(71)에 담아 부착시키고, 식재료의 DNA 정보를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에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식재료 생산 클라이언트부(10)와, 상기 식재료 생산 클라이언트부(10)를 통해 생산된 식재료를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가공하되, 식재료의 가공에 따른 정보를 RFID 태그(71)에 담아 부착시켜 관리하고, 식재료의 가공에 따른 정보는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식재료 가공 클라이언트부(20)와, 단체 급식소 또는 음식점에 제공되는 식재료에 관련된 정보 서비스를 식재료에 부착된 RFID 태크(71)를 통해 제공받고, 식재료의 DNA 정보를 분석하여 원재료 여부를 식별하는 급식소 및 업소측 클라이언트부(30)와, 상기의 각 클라이언트부와 이동 통신망 및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클라이언트부에서 전송되는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따른 소정의 정보 및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되, 식재료가 각 급식소 또는 업소에 제공되기까지의 전 과정, 즉 식재료가 되는 농축산물의 재배 및 사육과정, 식재료의 가공과정, 물류 배송과정, 급식소 식품 보관 및 조리과정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서, 각 클라이언트부는 식재료의 제공되는 경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식재료가 생산되어 유통될 때, 식재료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태그 정보를 관리하고, 식재료에 대한 DNA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각 클라이언트부를 통해 식재료에 대한 DNA 정보 요청시, DNA 정보를 통해 식재료에 대한 원산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며, 식재료에 대한 맞춤형 방송을 실시간으로 방송할 수 있도록 하는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와, 상기 식재료 생산 및 가공 클라이언트부(10)를 통해 식재료에 대한 등급 요청시, 상기 식재료에 대한 등급을 검사하여 등급정보를 제공하는 등급판정기관(160)을 구성하여 식품 위해요소로부터 소비자들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식재료 생산 클라이언트부(10)는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등급판정기관(160)과 식재료에 대한 등급 판정정보를 송·수신하는 클라이언트용 컴퓨터(11)와 상기 등급판정기관(160)을 통해 제공된 등급 판정정보 및 식재료에 대한 정보를 RFID 태그에 저장하여 발행하는 RFID 태그 발행기(12)와 이동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를 통해 식재료에 대한 태그정보 및 DNA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휴대용 정보입력수단(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휴대용 정보입력수단(13)은 태그정보 입력부(13a), DNA 정보 입력부(13b), 정보관리부(13c), 메모리부(13d)로 이루어져 이동 통신망을 통해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와 태그정보 및 DNA 정보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것으로, 별도의 독립된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휴대폰 또는 PDA에 상기의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태그정보 입력부(13a)는 식재료가 출고되기 전에 식재료에 부착되어 있는 RFID 태그 발행기(12)를 통해 발행된 RFID 태그(71)에 담겨진 EPC(전자상품코드) 코드정보를 읽어들이는 RFID 리더기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RFID 태그(71)를 통해 식재료의 원산지, 품질 등의 기본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RFID 태그(71)에 저장된 EPC 코드정보를 정보관리부(13c)로 전송한다.
상기 DNA 정보 입력부(13b)는 식재료의 DNA를 분석하여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의 데이터베이스 저장수단(150)으로 전송해 분석된 식재료의 DNA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DNA 정보 입력부(13b)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유기·생물분석그룹의 박상열 박사팀에서 개발한 유전자 및 단백질을 기존보다 60배 이상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24채널 전기영동칩을 사용하여 초고속으로 식재료에 대한 DNA를 자동 분석할 수 있는데, 상기 전기영동은 생화학물질에 전기를 가할 때 분자들의 크기와 전하량에 따라 음극과 양극으로 이동하는 속도가 다른 원리를 이용하여 유전자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정보관리부(13c)는 태그정보 입력부(13a) 및 DNA 정보 입력부(13b)에서 전송된 식재료에 관련된 정보를 메모리부(13d)에 저장하는 소프트웨어적인 모듈로서, 상기 메모리부(13d)에 저장된 식재료에 관련된 RFID 태그(71) 및 DNA 정보를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로 무선으로 전송하여 원산지에서 생산되어 소비자에게 유통되는 전과정에 대한 식재료의 정보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메모리부(13d)에 저장된 식재료에 대한 정보를 열람하기 위해서는 RFID 태그(71)에 저장된 EPC 코드정보에 해당하는 식재료의 정보를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를 통해 해당 식재료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모리부(13d)는 태그정보 입력부(13a) 및 DNA 정보 입력부(13b)를 통해 입력된 식재료의 정보를 소정의 분류체계에 따른 카테고리별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의 데이터베이스 저장수단(140)과 동기화를 통해 해당 식재료에 관련된 정보가 백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식재료 가공 클라이언트부(20)는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등급판정기관과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 식재료에 대한 등급 판정정보를 송·수신하는 클라이언트용 컴퓨터(21)와 상기 등급판정기관을 통해 제공된 등급 판정정보 및 가공된 식재료에 대한 정보를 RFID 태그에 저장하여 발행하되, 한우가 부분육으로 해체되는 경우와 같이 식재료가 분리되어 가공되면, 부분별로 여러 개의 태그정보로 분리하여 RFID 태그를 발행하는 RFID 태그 발행기(22)와 이동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를 통해 가공된 식재료에 대한 태그정보 및 DNA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휴대용 정보 입력수단(23)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휴대용 정보 입력수단(23)에 대한 설명은 식재료 생산 클라이언트부(10)의 휴대용 정보 입력수단(13)와 동일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급식소 및 업소측 클라이언트부(30)는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와 급식소 또는 업소에 제공되는 식재료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를 통해 전송되는 맞춤형 방송이 실시간으로 방영되는 출력부를 구비한 클라이언트용 컴퓨터(31)와 이동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를 통해 식재료에 대한 태그정보 및 DNA 정보를 무선으로 확인하는 휴대용 정보 확인수단(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휴대용 정보 확인수단(32)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a), 태그정보 확인부(32b), DNA 정보 확인부(32c), 정보관리부(32d), 메모리부(32e)로 이루어져 이동 통신망을 통해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와 식재료 관련 정보, 태그정보 및 DNA 정보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것으로, 별도의 독립된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휴대폰 또는 PDA에 상기의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a)는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에 접속할 수 있는 기본적인 환경인 U-RTBD(Ubiquitous-Real Time Bio Defense), 즉 무선방식으로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인터페이스부로서, 식재료의 공급되는 전과정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2a)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를 통해 전송되는 식재료에 대한 맞춤형 방송을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출력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태그정보 확인부(32b)는 각 급식소 또는 업소에 공급되는 식재료에 부착된 RFID 태그에 담겨진 EPC(전자상품코드) 코드정보를 읽어들이는 RFID 리더기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RFID 태그(71)를 통해 원산지 및 유통경로 등의 식재료에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RFID 태그(71)에 저장된 EPC 코드정보를 정보관리부(32d)로 전송한다.
상기 DNA 정보 확인부(32c)는 식재료의 DNA를 분석하여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를 통해 DNA 인증과정을 거쳐 공급된 식재료가 원산지에서 이송된 원재료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DNA 정보 확인부(32c)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유기·생물분석그룹의 박상열 박사팀에서 개발한 유전자 및 단백질을 기존보다 60배 이상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24채널 전기영동칩을 사용하여 초고속으로 식재료에 대한 DNA를 자동 분석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상기 전기영동은 생화학물질에 전기를 가할 때 분자들의 크기와 전하량에 따라 음극과 양극으로 이동하는 속도가 다른 원리를 이용하여 유전자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정보관리부(32d)는 태그정보 확인부(32b) 및 DNA 정보 확인부(32c)에서 전송된 식재료의 정보를 메모리부(32e)에 저장하는 소프트웨어적인 모듈로서, 상기 메모리부(32e)에 저장된 식재료에 관련된 RFID 태그 및 DNA 정보는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의 데이터베이스 저장수단(140)으로 무선으로 전송하여 식재료에 대한 정보가 일괄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메모리부(32e)에 저장된 식재료에 대한 정보를 열람하기 위해서는 RFID 태그(71)에 저장된 EPC 코드에 해당하는 식재료의 정보를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71)를 통해 조회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모리부(32e)는 태그정보 확인부(32b) 및 DNA 정보 확인부(32c)를 통해 입력된 식재료의 정보를 소정의 분류체계에 따른 카테고리별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의 데이터베이스 저장수단(140)과 동기화를 통해 해당 식재료에 관련된 정보가 백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는 학교 급식 또는 일반 쇠고기 전문점 등과 같은 업소에 제공하는 식재료에 대한 정보, 식재료의 배송정보 및 각 업소에 제공되는 식재료에 대한 정보, 즉 원산지, 품질, DNA 등에 관련된 정보를 RFID 방식으로 관리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상기 식재료에 대한 정보를 맞춤형으로 제작하여 방영할 수 있도록 VOD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 저장수단(150)에 저장하여 클라이언트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해당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접속수단(41), 인터페이스 제공수단(42), 시스템 운영수단(43), RFID태그 인증수단(50), DNA 인증수단(60), 식재료 이력생산정보 확인수단(70), 식재료 가공정보 확인수단(80), 식중독 예방대응수단(90), 물류 및 배송수단(100), VOD 컨텐츠 제공수단(110), 맞춤형 방송수단(120), 마켓 플레이스수단(130), 데이터베이스 관리수단(140), 데이터베이스 저장수단(1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수단(41)은 인터넷으로 세션을 형성해 연결되어 있는 급식소 및 업소, 식재료 생산 및 식재료 가공 클라이언트부(10,20.30)와 식재료 관련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급식소 및 업소측 클라이언트부(30)의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식재료 관련 정보 및 급식소나 업소별 맞춤형 방송 등의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에서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며, 각 클라이언트부의 휴대용 정보 입력수단 또는 휴대용 정보 확인수단에서 무선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각 이동 통신사의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게이트웨이장치를 통해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수단(42)은 각 클라이언트부에서 전송된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본적인 환경인 U-RTBD(Ubiquitous-Real Time Bio Defense) 인터페이스부가 클라이언트부의 휴대용 정보 확인수단(32)의 액정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본적인 환경인 U-RTBD 인터페이스부(32a)는 클라이언트부의 휴대용 정보 확인수단(32)의 액정화면상에 다양한 스킨방식으로 구현하되, 구성의 배치는 상이하게 될 수 있으나 기본적인 구성요소는 변하지 않는 것으로,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각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가장 적절한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콘부를 형성하되, 상기 U-RTBD 인터페이스부의 아이콘부를 통해 단체 급식소 또는 일반 쇠고기 전문점 등과 같은 업소에 제공되는 식재료의 재배 또는 사육되는 과정, 보관 및 운송되는 과정, 납품 후 급식소에서의 보관 및 조리과정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를 위해요소로부터 방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시스템 운영수단(43)은 각 클라이언트부에서 전송되는 명령어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다른 명령을 처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 프로세싱 과정을 거치도록 하는데, 식재료에 대한 태그 정보 및 DNA 인증 요청이 있는 경우 데이터베이스 저장수단(150)과 연동하여 태그 정보 및 DNA 정보에 대한 인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식재료 생산 및 가공 클라이언트부(10,20)를 통해 제공되는 UCC(User Created Contents)기술을 이용한 동영상, 이미지 및 텍스트로 이루어지는 식재료 정보를 수신하여 소정의 분류체계에 따른 방식으로 해당 데이터베이스 저장수단(150)에 저장하되, 식재료에 대한 정보인 원산지, 품질 등의 정보를 VOD형태의 컨텐츠로 제작하여 실시간으로 맞춤형 방송을 방영할 수 있도록 하며, 각 급식소 및 업소에서 사용되는 식자재에 대한 습도 및 온도 등을 체크하여 식재료로 인한 식중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관리하며, 식재료의 배송시, 배송차량에 대한 위치, 식재료 보관상태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부의 휴대용 정보확인수단(32)에 설치된 U-RTBD 인터페이스부(32a)를 통해 식재료의 생산부터 배송까지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RFID 태그(71)가 부착되어 DNA 인증이 완료된 식재료만을 온라인 판매하는 마켓 플레이스수단(130)을 형성하여 그에 따른 주문, 정산, 배송이 될 수 있도록 제어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지원한다.
상기 RFID 태그 인증수단(50)은 각 클라이언트부의 휴대용 정보 입력 및 확인수단(13,23,32)을 통해 전송되는 RFID 태그(71)에 저장된 식재료에 관련된 정보 요청시, 상기 RFID 태그(71)에 저장된 EPC 코드정보를 분석하여 상세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EPC IS(EPC Information System) 기관을 통해 해당 식재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RFID 태그(71)에 저장된 식재료 정보를 태그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2)에 저장하여 등록한다.
상기 DNA 인증수단(60)은 DNA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3)를 검색하여 급식소 및 업소측 클라이언트부(30)의 DNA 정보 확인수단(32)을 통해 전송된 식재료의 DNA 정보와 식재료 생산 클라이언트부(10)의 DNA 정보 입력부(13b)를 통해 미리 등록된 식재료의 DNA 정보 중에 일치하는 DNA 정보를 확인하여 식재료의 대한 DNA 인증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히 한우의 경우 염색체 30쌍(약 30억개의 염기쌍)의 기초 유전자 정보를 토대로 한우 백혈구에서 채취된 15만 개의 한우 생물집단 중 2만 여개의 말단 염기서열을 밝혀 각 클론(한 개체로부터 무성생식으로 증식되어 같은 유전자형을 갖는 생물의 집단)에 ID를 부여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이를 통해 사람의 지문정보를 보관해 개인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한우 클론의 염기서열 일부를 분석, 보관함으로써, 염색체상에서 각 클론의 위치를 결정짓고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식재료 이력 생산정보 확인수단(70)은 단체 급식 또는 일반 쇠고기 전문점 등과 같은 업소에 제공되는 식재료로 사용되는 야채, 과일, 가축 등의 재배 및 사육현황과 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식재료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4)와 연동하여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동영상 정보는 식재료로 사용되는 야채, 과일, 가축 등의 재배 및 사육장소에서 UCC(User Created Contents)기술을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라인상 또는 무선 데이터망을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기술적인 설명은 도 9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식재료 가공정보 확인수단(80)은 단체 급식 또는 일반 쇠고기 전문점 등과 같은 업소에 제공되는 식재료로 사용되는 야채, 과일, 육고기, 생선 등의 가공상태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식재료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4)와 연동하여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동영상 정보는 식재료로 사용되는 야채, 과일, 육고기 및 수산물 등의 가공장소에서 UCC(User Created Contents)기술을 이용하여 해당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라인상 또는 무선 데이터망을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식중독 예방대응(HACCP)(90)수단은 각급 급식소 또는 업소에 설치되어 있는 식자재에 스마트 더스트센서 형태의 1㎜크기의 초소형 센서(91a)를 설치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되게 하여 식품을 보관,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세균증식 위험온도를 컴퓨터로 자동 조절 관리하며, 식품 조리에 필요한 각 식자재들의 적정온도와 조리시간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단체 급식 및 업소측의 업무효율을 향상시키고, 식중독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주방기기 오작동 또는 A/S 발생시 응급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되, 이에 대한 상세한 기술적인 구성은 도3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물류 및 배송수단(100)은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과 위치추적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원 식재료 및 가공된 식재료를 운송하는 배송차량의 이동경로에 대한 배송정보를 GPS 및 GIS 시스템을 통해 지도이미지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여 온라인 또는 이동 통신망으로 배송차량의 경로를 실시간으로 위치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기술적인 구성은 도4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VOD 컨텐츠 제공수단(110)은 각 급식소 또는 일반 쇠고기 전문점 등과 같은 업소에 공급되는 식재료의 재배 및 사육되는 현장, 원 식재료의 가공되는 현장, 보관 및 배송되는 현장 등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해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및 동영상의 형태로 변환하여 맞춤형 방송수단(120)을 통해 각 업소별로 특정된 프로그램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되, 이에 대한 상세한 기술적인 구성은 도 12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맞춤형 방송수단(120)은 오프라인상에서 진행되는 식재료의 공급되는 전과정을 급식소별 또는 업소별로 분류하되, 식재료에 대한 정보, 즉 특정 급식소 또는 업소에 공급되는 식재료의 재배 및 사육되는 현장, 식재료의 가공되는 현장, 보관 및 배송되는 현장 또는 이를 관리하는 작업자의 인터뷰 현장 등의 영상을 각 급식소 또는 업소별로 별도로 제작 편성하여 인터넷망과 이동 통신망을 통해 해당 영상을 시간별로 또는 클라이언트부의 요청에 따라 식재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켓 플레이스수단(130)은 식재료 생산 클라이언트부(10)와 식재료 가공 클라이언트부(20)를 통해 생산 및 가공된 식재료 중 식재료 정보가 저장된 RFID 태그(71)가 부착되고, DNA 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 식재료에 한해서만 인터넷 또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판매 및 구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기술적인 구성은 도6에서 설명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수단(140)은 시스템 운영수단(43)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 저장수단(15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추출 및 저장할 수 있도록 제어하되, CGI(Common Gateway Interface), ASP(Active Server Pages), PHP(Personal Home Page) 등의 스크립트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저장수단(150)에 접근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부에서 전송되는 명령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 및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데이터를 삭제, 처리하는 기능을 제어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저장수단(150)은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1), 태그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2), DNA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3), 식재료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4), 식자재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5), 배송차량 데이터베이스부(156), VOD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157)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1)는 클라이언트부로부터 전송되는 요청신호를 접속수단에서 수신하여 소정의 회원 가입절차를 거쳐 사용자의 개인정보 또는 각 급식소 및 업소측의 정보를 소정의 분류체계에 따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상기 태그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2)는 식재료 생산 클라이언트부(10)와 식재료 가공 클라이언트부(20)와 급식소 및 업소측 클라이언트부(30)를 통해 전송되는 RFID 태그(71)에 저장된 식재료 관련 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RFID 태그(71)에 저장된 EPC 코드정보를 통해 EPC IS기관을 통해 해당 식재료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받아 소정의 분류체계에 따라 분유하여 카테고리별로 저장한다.
상기 DNA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3)는 식재료 생산 클라이언트부(10)의 DNA 정보 입력부(13b)를 통해 DNA를 추출, 분석하여 만들어진 각 식재료의 DNA 정보를 소정의 분류체계에 따라 분류하여 카테고리별로 저장하고, 각 클라이언트부를 통해 식재료에 대한 DNA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 등록된 식재료의 DNA 정보와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도록 한다.
상기 식재료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4)는 곡류, 채소류, 과일류, 해조류 등의 식물성 식품과 수조육류, 우류, 알류, 어패류 등의 동물성 식품과 식물성 유지, 동물성 유지와 같은 유지식품과 감미료, 조미료, 향신료, 기호음료, 주류, 냉동식품 및 냉동 요리식품, 다양한 가공식품 등을 소정의 분류체계에 따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되, 상기 식재료의 재배되는 과정, 식재료의 가공되는 과정 및 식재료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는 분류내용을 살펴보면, 농가명(가공업체명), 생산자명(가공자명), 주소, 전화번호, 상품종목, 작기, 품종명, 상품명, 원산지, 재배지주소 및 일자별 상세 재배일지 등의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한다.
상기 식자재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5)는 급식소 또는 업소의 주방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식자재, 즉 냉장고, 냉동고, 튀김기, 오븐, 부침기, 소독고 등의 각종 설비에 대한 온도값, 습도값, 압력값 등에 대한 정보를 기설정하여 소정의 분류체계에 따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상기 배송차량 데이터베이스부(156)는 각 급식소 또는 음식점이 속해있는 지역별로 배차되는 차량 및 지역별 지리에 대한 정보를 소정의 분류체계에 따른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으로, 물류 및 배송수단(100)과 연동하여 각 차량들에 대한 기본 정보 및 차량 운행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는 분류내용을 살펴보면, 차량번호, 차종, 톤수, 방식, 속도(㎞/h), 운전자명, 운전자 연락 전화번호, 최종 추적위치, 최종 추적일시, 운행상태, 식재료를 운반하는 차량 운반탑 내의 온도상태 등의 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한다.
상기 VOD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157)는 오프라인상에서 진행되는 식재료의 공급되는 전과정에 대한 정보를 단계별로 분류하여 각 식재료의 단계별 공급되는 정보, 즉 상기 VOD 컨텐츠 제공수단(110)에 의해 공급되는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정보를 일정기간 저장하여 두고, 맞춤형 방송수단(120)에 의해 요구되는 데이터를 공급하여 급식소 또는 업소별로 공급되는 특정 식재료에 관련된 정보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등급판정수단(160)은 식재료 생산 클라이언트부(10) 및 식재료 가공 클라이언트부(20)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식재료에 대한 등급 판정정보를 요청할 경우 그에 따른 식재료 등급을 판정하여 제공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생체방어 융합 식품 모니터링시스템부의 식재료 이력 생산정보 확인수단(70)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료를 식별할 수 있는 DNA 정보 및 식재료 정보가 내장된 RFID 태그(71)를 각 식재료에 부착하되, RFID 태그 인증 연동부(72)를 통해 각 RFID 태그(71)에 부여된 고유한 EPC 코드정보를 이용하여 식재료에 대한 식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DNA 인증 연동부(73)를 통해 각 식재료의 분석된 DNA 정보를 이용하여 식재료에 대한 식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RFID 태그 및 DNA 정보제공부(74)를 통해 각 식재료가 유통될 때, 해당 식재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동일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RFID 태그는(71) 각 식재료의 소정의 부위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고유의 EPC 코드정보를 저장하고 있는데, 상기 EPC 코드정보는 EPC IS기관을 통해 식재료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RFID 태그(71)는 외부신호에 자동적으로 신호를 되보내는 송수신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비활성장치이므로 별도의 배터리가 필요없고, 리더기가 닿게 되면, 활성화되어 각 식재료에 대한 EPC 코드정보를 통해 상세한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게 된다.
상기 RFID 태그 인증 연동부(72)는 RFID 태그 인증수단(50)과 연동하여 각 식재료에 RFID 태그 부착을 요청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식재료를 식별할 수 있도록 RFID 태그(71)에 고유한 EPC 코드를 부여한 후, 각 식재료에 RFID 태그(71)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RFID 태그(71)가 부착된 식재료의 정보는 식재료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4)에 등록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RFID 태그 인증서를 발행하여 인터넷 또는 이동 통신망으로 신청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DNA 인증 연동부(73)는 DNA 인증수단(60)과 연동하여 식재료 생산 클라이언트부(10) 및 식재료 가공 클라이언트부(20)를 통해 전송된 가축 또는 육류의 DNA 분석에 따른 정보를 식재료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4)에 등록하여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DNA 정보는 각 식재료에 부착되는 RFID 태그(71)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에 해당하는 DNA 혈통서를 발행하여 인터넷 또는 이동 통신망으로 신청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RFID 태그 및 DNA 정보제공부(74)는 식재료에 대한 DNA 정보의 확인이 가능한 RFID 태그(71)가 부착된 식재료가 유통될 때, 식재료에 대한 개체 식별이 가능하도록 개체의 식별번호와 DNA 분석결과를 표시되게 하고, 상기 식재료에 대한 개체 식별을 요구하게 될 때, 데이터베이스 저장수단(150)에 저장된 해당 식재료에 대한 RFID 태그 및 DNA 정보를 제공하여 식재료에 대한 개체 식별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생체방어 융합 식품 모니터링시스템부의 식중독 예방대응(HACCP)수단(90)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체 급식소 또는 일반 쇠고기 전문점 등과 같은 업소에 설치된 다양한 형태의 식자재에 온도, 습도, 압력 및 식중독균 등을 측정하는 식자재 측정부(91)를 형성하여 컨트롤장치(91c)에서 일괄적으로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컨트롤장치(91c)에서 각 식자재 측정부(91)에서 감지된 데이터는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의 식중독 예방대응수단(90)에서 수신되고, 상기 식중독 예방대응수단(90)의 식자재 감지부(92)는 해당 식자재의 기설정된 수치를 벗어나는 지를 감지하여 식자재 제어부(93)에서 이에 따라 급식소 또는 업소에 설치된 식자재에 대해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며, 각종 식자재인 주방기기들의 정상가동 여부를 365일 모니터링하여 이상여부가 감지되면 즉시 알람식으로 알려주게 되고, 외부 A/S센터와 연계하여 이상여부가 감지된 식자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식중독 예방대응(HACCP)수단은 식품 위해요소 관리기준에 따라 식품의 가공, 제조 등에서 발생하는 미생물적 위해요소를 조리공정별로 파악하여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서, 급식소 또는 업소의 주방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식자재를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에서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네트웍망으로 하나로 연결되게 구성한다.
상기 식자재 측정부(91)는 초소형 센서(91a), 게이트웨이(91b) 및 컨트롤장치(91c)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초소형 센서(91a)는 1㎜크기 정도의 스마트 더스트센서들로 이루어져 상호간의 무선통신을 위한 네트워크를 적용하여 각 초소형 센서(91a)를 감지하고 서로 효율적으로 컴퓨팅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초소형 센서(91a)를 이용하여 주방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식자재, 즉 냉장고, 냉동고, 튀김기, 오븐, 부침기, 소독고 등의 각종 설비에 온도값, 습도값, 압력값 및 음식물을 상하게 하는 미생물에서 발생하는 식중독균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초소형 센서(91a)를 통해 감지된 데이터는 이미 형성된 최적의 경로를 따라 게이트웨이(91b)를 통해 컨트롤장치(91c)로 전송되고, 상기 컨트롤장치(91c)는 각 초소형 센서(91a)들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값을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의 식중독 예방대응수단(90)으로 전송한다.
상기 식자재 감지부(92)는 급식소 또는 업소의 네트웍망으로 연결된 식자재 측정부(91)의 컨트롤장치(91c)에서 전송되는 식자재에 대한 온도값, 습도값, 압력값, 식중독균의 존재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후, 데이터베이스 저장수단(150)의 식자재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5)에 저장된 각 식자재에 대한 적정 온도값, 습도값, 압력값 등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적정 수치를 벗어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식자재 제어부(93)는 식자재 감지부(92)를 통해 급식소 또는 업소에 설치된 특정 식자재가 적정 온도값, 습도값, 압력값 등의 범위를 벗어나고 있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급식소 또는 업소에 설치된 컨트롤장치(91c)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해당 식자재가 식자재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5)의 기설정된 온도값, 습도값, 압력값의 적정 수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여 관리하고, 각 주방에 설치된 식자재, 즉 주방기기에서 음식물을 상하게 하는 미생물에서 발생하는 식중독균을 감지하거나 오작동, 고장으로 인해 컨트롤장치(91c)에 의해 제어되지 않을 경우 방역기관 또는 A/S센터와 연계하여 식중독균이 감지되거나 오작동, 고정이 발생된 주방기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연동부(94)는 식중독 예방대응수단(90)의 식자재 감지부(92)에서 수신된 각 급식소 또는 업소에 설치된 식자재의 온도값, 습도값, 압력값 등의 적정 수치를 유지하고 있는 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식자재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5)와 연동하여 해당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생체방어 융합 식품 모니터링시스템부(40)의 물류 및 배송수단(100)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RFID 태그(71)가 부착된 식재료를 급식소 또는 업소로 운송하는 배송차량에 대한 정보 검색을 물류배송 차량검색부(101)를 통해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되, 검색된 배송차량은 물류배송 차량정보제공부(102)에 의해 배송차량 데이터베이스부(156)에 저장된 배송차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GPS/GP시스템제공부(103)를 통해 해당 배송차량의 운행경로를 지도이미지상에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물류배송 차량검색부(101)는 클라이언트부의 휴대용 정보 확인수단(32)에 설치된 U-RTBD(Ubiquitous-Real Time Bio Defense) 인페이스부(32a)를 통해 접속되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송차량의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배송차량에 대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물류배송 차량정보제공부(102)는 물류배송 차량검색부(101)를 통해 검색된 차량번호를 통해 배송차량 데이터베이스부(156)에 저장된 해당 배송차량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어언트부를 통해 검색된 배송차량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GPS/GP시스템제공부(103)는 GPS시스템과 연계하여 물류배송 차량검색부를 통해 검색된 배송차량의 운행경로를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이미지상에 표시되어 배송차량의 운행경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생체방어 융합 식품 모니터링시스템부(40)의 VOD 컨텐츠 제공수단(110) 및 맞춤형 방송수단(120)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급식소 또는 업소에 공급되는 식재료의 재배 및 사육되는 과정에서부터 식재료의 가공, 보관 및 배송되어 조리되는 과정에 대한 오프라인상의 현장정보를 VOD 컨텐츠 제공수단(110)을 통해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및 동영상형태로 구현하되, 맞춤형 방송수단(120)을 통해 제작된 맞춤형 프로그램을 각 급식소 또는 업소별로 특정하여 식재료에 대한 정보를 인터넷으로 급식소 및 업소측 클라이언트부(30)에 설치된 출력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방영되거나 휴대용 정보 확인수단(32)을 통해 이동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방영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VOD 컨텐츠 제공수단(110)은 캡처지원모듈(111), 문자지원모듈(112), 동영상지원모듈(113), UCC지원모듈(114)로 이루어져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시스템 운영수단(43)의 제어를 받아 실행되는데, 상기 캡처지원모듈(111)은 식재료로 사용되는 야채, 과일, 육고기, 생선 등의 실물 이미지를 저장하고, 재배 및 사육되는 현장, 가공되는 현장, 보관 및 배송되는 현장 등의 영상을 캡처하여 인식하도록 지원하는 멀티미디어모듈이고, 상기 문자지원모듈(112)은 식재료가 공급되는 전과정에 대한 정보를 단계별로 분류하고, 식재료에 대한 단계별 중요한 정보를 문자로 지원하는 멀티미디어모듈이고, 상기 동영상지원모듈(113)은 웹카메라에 의해 식재료가 재배 또는 사육, 가공, 보관 및 배송되는 정형화된 영상 또는 식재료의 재배 및 사육, 가공, 보관 및 배송하는 작업자의 현장 인터뷰하는 영상, 단계별로 식재료가 공급되는 과정에 대한 영상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모듈이고, 상기 UCC지원모듈(114)은 사용자들이 직접 촬영한 식재료가 재배 또는 사육, 가공, 보관 및 배송되는 과정의 영상 컨텐츠, 단계별로 식재료가 공급되는 과정에 대한 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아 해당 영상 컨텐츠를 요청한 클라이언트부에 지원하는 멀티미디어모듈이다.
상기 맞춤형 방송수단(120)은 각 급식소 또는 일반 쇠고기 전문점 등과 같은 업소에 공급되는 식재료를 단계별, 업소별로 분류하되, 식재료에 대한 정보, 즉 각 급식소 또는 업소에 공급되는 식재료에 대한 맞춤형 정보인 식재료의 재배 또는 사육되는 현장, 식재료의 가공되는 현장, 식재료의 보관 및 배송되는 현장 또는 이를 관리하는 작업자의 인터뷰 현장 등의 정보와 식재료의 공급되는 각 단계별로 사용자들이 직접 촬영한 영상 컨텐츠인 UCC(User Created Contents) 동영상을 각 급식소 또는 업소별로 별도로 제작 편성하고, 상기 급식소 또는 업소별로 제작된 식재료에 대한 정보가 해당 급식소 및 업소측 클라이언트부(30)에 설치된 출력부 또는 휴대용 정보 확인수단(32)을 통해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형태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생체방어 융합 식품 모니터링시스템부(40)의 마켓 플레이스수단(130)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료를 사용하려는 사용자는 클라이언트부(1)를 통해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와 무선 인터넷으로 세션을 형성하여 접속수단(41)에 접속한 후, RFID 태그(71)가 부착되고, DNA 인증이 완료된 식재료에 한 해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 연동부(133)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저장수단(150)과 연계하여 키워드방식과 카테고리방식으로 식재료 정보에 대한 검색이 이루어지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저장수단(150)을 통해 식재료 관련 정보를 검색한 후, 주문수단(132)을 통해 해당 식재료에 대한 주문이 이루어지고, 주문정보 제공수단(134)을 통해 메일이나 문자서비스를 이용하여 주문 처리내역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검색수단(131)은 클라이언트부(1)로부터 전송되는 식재료 관련 정보검색 요청신호를 수신한 후, 데이터베이스 연동부(133)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저장수단(150)의 키워드 항목 및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연동하여 RFID 태그(71)가 부착되고, DNA 인증이 완료된 식재료와 관련된 정보데이터를 검색하되, 데이터베이스 저장수단(150)의 식재료 데이터베이스부(154), 태그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1), DNA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2), VOD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157)는 소정의 분류체계에 따른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여 각 카테고리별로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식재료 목록을 통해 RFID 태그정보, DNA 정보, VOD 컨텐츠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검색된 데이터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클라이언트부(1)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상기 주문수단(132)은 클라이언트부(1)로부터 전송되는 식재료 주문 요청 신호를 수신한 후, 데이터베이스 연동부(133)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저장수단(150)의 식재료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4)와 연계하여 해당 식재료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식재료를 주문할 수 있도록 하되, 주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주문 요청에 따른 주문내역을 작성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주문한 식재료에 대한 결제방식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온라인상의 대금결제방식인 무통장입금이나 신용카드 결제방식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연동부(133)는 사용자 클라이언트부(1)에서 전송되는 식재료 검색 또는 주문 요청신호를 수신한 후, 해당 식재료 정보를 이용하여 RFID 태그정보, DNA 정보, VOD 컨텐츠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게 데이터베이스 저장수단(150)과 연동하여 해당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주문정보 제공수단(134)은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받음에 있어 숙지해야 할 공지사항을 문자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송하고, 사용자가 클라이언트부(1)를 통해 특정 식재료를 주문한 경우에는 주문 처리내역을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문자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모바일 RFID/USN 환경에 의한 생체방어 융합 식품 모니터링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식재료 생산 클라이언트부(10)는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등급판정기관(160)을 통해 식재료에 대한 등급 판정정보를 제공받은 후, RFID 태그 발행기(12)를 통해 RFID 태그(71)를 해당 식재료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용 정보입력수단(13)의 태그정보 입력부(13a)를 통해 RFID 태그(71)에 담겨진 EPC 코드정보를 읽어들인 후, 상기 RFID 태그(71)에 담겨진 정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로 전송하여 태그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휴대용 정보입력수단(13)의 DNA 정보 입력부(13b)를 통해 식재료의 DNA를 분석한 후, 분석된 식재료의 DNA 정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로 전송하여 DNA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식재료 가공 클라이언트부(20)는 식재료 생산 클라이언트부(10)에서 이송된 식재료를 다양한 형태의 식재료로 가공을 하는데, 가공된 식재료에 대한 등급 판정정보는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등급판정기관(160)을 통해 제공받은 후, RFID 태그 발행기(22)를 통해 RFID 태그를 가공된 식재료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고, 휴대용 정보입력수단(23)인 태그정보 입력부(23a)를 통해 RFID 태그(71)에 담겨진 EPC 코드정보를 읽어들인 후, 상기 RFID 태그(71)에 담겨진 정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로 전송하여 태그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휴대용 정보입력수단(23)인 DNA 정보 입력부(23b)를 통해 가공된 식재료의 DNA를 분석한 후, 정보관리부(23c)를 통해 메모리부(24d)에 저장되어 있는 분석된 가공 식재료의 DNA 정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로 전송하여 DNA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식재료 생산 클라이언트부(10)와 식재료 가공 클라이언트부(20)를 통해 생산 또는 가공된 식재료는 배송차량을 통해 해당 급식소 또는 음식점으로 배송하게 되는데, 상기 배송차량이 식재료를 적재하여 배송이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에는 배송차량에 대한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11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송차량의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배송차량을 특정할 수 있도록 하고, 배송차량이 지정되면, 그에 따른 차량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배송차량의 운행 경로를 확인할 수 있도록 GPS/GP시스템제공부(103)를 통해 지도이미지상에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배송차량의 식재료를 보관하는 냉동탑 내부의 온도 또한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송차량을 통해 식재료가 각 급식소 또는 업소에 배송이 되면, 급식소 및 업소측 클라이언트부(30)는 휴대용 정보확인수단(32)을 통해 식재료에 부착된 RFID 태그 정보와 DNA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휴대용 정보확인수단(32)의 태그정보 확인부(32b)를 통해 해당 식재료에 부착되어 있는 RFID 태그(71)에 담겨진 정보를 읽어들여 상기 식재료에 대한 원산지, 품질, 유통경로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되,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의 RFID 태그 인증수단(50)을 통해 식재료에 부착된 RFID 태그에 대한 인증을 거치도록 한다.
즉, 상기 RFID 태그 인증수단(50)은 식재료 이력 생산정보 확인수단(70)과 연동하여 휴대용 정보확인수단(32)의 태그정보 확인부(32b)를 통해 전송된 식재료에 부착된 RFID 태그(71)에 담겨진 정보인 EPC 코드정보를 확인한 후, 태그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2)에 저장된 RFID 태그정보와 일치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휴대용 정보확인수단(32)의 DNA 정보 확인부(32c)를 통해 해당 식재료의 DNA 정보를 분석한 후, 이동 통신망으로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로 전송하여 DNA 인증수단을 통해 분석된 DNA 정보에 대한 인증을 거치도록 한다.
즉, 상기 DNA 인증수단(60)은 식재료 이력 생산정보 확인수단(70)과 연동하여 휴대용 정보확인수단(32)의 DNA 정보 확인부(32c)를 통해 전송된 식재료의 분석된 DNA 정보를 확인한 후, DNA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3)에 저장된 해당 식재료의 DNA 정보와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여 상기 식재료가 원산지에서 배송된 식재료인지를 인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급식소 및 업소는 식재료 생산 및 가공 클라이언트부(10,20)를 통해 배송된 RFID 태그 및 DNA 정보가 인증된 식재료를 가지고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를 하게 되는데, 이 때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의 식중독 예방대응수단(90)을 통해 급식소 또는 업소 주방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식자재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주방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식자재 주위에 다수 개의 초소형 센서(91a)를 형성하여 온도값, 습도값, 압력값 및 음식물을 상하게 하는 식중독균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게이트웨이(91b)를 통해 컨트롤장치(91c)로 전송하고, 상기 컨트롤장치(91c)는 초소형 센서(91a)를 통해 감지된 데이터값을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로 전송한다.
상기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의 식자재 감지부(92)는 식자재 측정부(91)의 컨트롤장치(91c)에서 전송된 식자재의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식자재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5)에 저장된 해당 식자재에 대한 적정 데이터값을 검색하여 적정 수치를 벗어나는 지를 판단하되, 적정 수치를 벗어나는 경우 식자재 제어부(93)는 상기 컨트롤장치(91c)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해당 식자재가 식자재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5)에 저장된 적정 수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는 맞춤형 방송수단(120)을 통해 각 급식소 또는 업소별로 제작 편성된 식재료에 대한 정보, 즉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및 동영상 형태의 정보를 급식소 및 업소측 클라이언트부(30)로 전송하여 출력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어 소비자들이 자신들이 섭취하는 음식물의 식재료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맞춤형 방송수단(120)은 VOD 컨텐츠 제공수단(110)의 각 구성요소인 캡처지원모듈(111), 문자지원모듈(112), 동영상지원모듈(113), UCC지원모듈(114)을 통해 각 급식소 또는 업소별로 공급되는 식재료에 대한 프로그램을 제작하되, VOD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157)와 연동하여 저장된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및 동영상 정보를 통해 각 급식소 또는 업소마다 공급되는 식재료에 대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작 편성한 후, 해당 급식소 또는 업소측 클라이언트부(30)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방영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한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의 마켓 플레이스수단(130)을 통해 RFID 태그(71)가 부착되어 RFID 태그 및 DNA 인증이 완료된 식재료에 한 해 검색 및 주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검색 및 주문과정을 살펴보면, 도 14,1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에 접속하여 회원권한을 부여받은 후, 마켓 플레이스수단(130)에서 제공하는 식재료 관련 정보에 대한 검색 및 주문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만일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신규회원으로 등록하는 절차를 거치도록 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 클라이언트부(1)에 회원권한이 부여되면, 식재료를 중심으로 한 RFID 태그정보, DNA 정보, VOD 컨텐츠 정보에 대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데, 상기 검색은 식재료를 입력하여 검색하는 키워드방식과 카테고리별로 분류한 디렉토리방식을 통해 식재료 관련 정보에 대한 검색을 실시한다.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부(1)는 식재료 관련 정보에 대한 검색을 실시함에 있어 키워드방식을 이용할 지, 디렉토리방식을 이용할 지를 선택하여 검색하는데, 상기 키워드방식을 이용하는 경우는 검색입력창에 식재료에 대한 키워드를 입력하여 검색하되, 식재료 목록을 중심으로 삼각형의 구도로 RFID 태그정보, DNA 정보, VOD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157)와 연동하여 상기 식재료를 통해 다양한 식재료 관련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사용자 클라이언트(1)부를 통해 식재료에 대한 소정의 키워드를 입력하면, 마켓 플레이스수단(130)의 검색수단(131)에서 상기 키워드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수단(140)을 통해 식재료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4)에 저장되어 있는 식재료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키워드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한 후, 클라이언트부(1)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디스플레이되게 하고, 상기 식재료에 관련된 RFID 태그정보, DNA 정보 및 VOD 컨텐츠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베이스부와 연동하여 해당 정보를 클라이언트부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디렉토리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식재료별로 분류하여 구성된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상위 디렉토리에서 하위 디렉토리로 내려가는 방식으로 검색을 할 수 있는데, 사용자 클라이언트부(1)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카테고리별 검색화면상에서 RFID 태그정보, DNA 정보, VOD 컨텐츠정보 메뉴 중 검색하고자 하는 메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메뉴에서 해당 디렉토리를 선택하면, 그에 대한 하위 디렉토리를 디스플레이 되게 하여 상세한 RFID 태그정보, DNA 정보, VOD 컨텐츠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에 접속하여 회원권한을 부여받은 후, 마켓 플레이스수단(130)에서 제공하는 식재료 관련 정보에 대한 주문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만일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신규회원으로 등록하는 절차를 거치도록 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 클라이언트부(1)에 회원권한이 부여되면, 검색수단(131)을 통해 식재료를 중심으로 RFID 태그정보, DNA 정보, VOD 컨텐츠정보를 검색한 후, 주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자가 식재료를 주문하기 위해서는 검색수단(131)을 통한 키워드방식이나 디렉토리방식을 이용하여 카테고리별로 분류되어 있는 식재료 목록을 검색한 후, 식재료 정보 데이터베이스부(154)와 연동되어 있는 RFID 태그, DNA 정보, VOD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부(151,152,157)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를 통해 식재료 관련 정보를 검색하게 되면, 검색된 식재료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웹페이상의 주문 인터페이스로 이동하여 주문을 할 수 있는데, 사용자는 클라이언트부(1)를 통해 주문 인터페이스상에서 구매하기 원하는 수량을 입력한 후, 상기 식재료에 대한 주문 요청신호를 식품 모니터링서버시스템부(40)의 주문수단(132)으로 전송한다.
상기 주문수단(132)은 클라이언트부(1)에서 전송된 주문 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주문요청에 따른 데이터 프로세싱 과정을 거쳐 소정의 주문내역을 작성하고, 주문요청에 따른 처리과정은 이메일 또는 문자 서비스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클라이언트부(1)로 전송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주문 처리내역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 생산이력 관리 시스템
2000 : 물류관제 시스템
3000 : 조리공정 관리 시스템
4000 :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
5000 : 진료 시스템

Claims (8)

  1. 사용자의 키, 몸무게 및 병력정보를 고려하여 예방 차원의 식단을 제공하는 프리 케어(Pre Care)와,
    상기 사용자를 원격진료 하는 케어(Care)와,
    상기 원격진료의 결과를 토대로 관리 차원의 식단을 제공하고, 치료과정을 추천하는 포스트 케어(Post Care)를 제공하는 진료 시스템;을 포함하는 생체방어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의학용 원격진료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병력정보는 비만, 고혈압 및 당뇨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방어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의학용 원격진료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 시스템은,
    치료과정을 추천함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거주지 및 근무지와,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치료비용을 토대로 적어도 하나의 병원과 진료과정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방어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의학용 원격진료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식기에 음식물의 정보가 저장된 RFID 태그가 부착되며, 상기 사용자가 개인정보 - 키, 몸무게, 병력정보, 진료정보 - 가 저장된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시, 상기 RFID 태그의 정보를 토대로 음식물의 칼로리 정보를 제공하는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방어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의학용 원격진료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은,
    상기 RFID 태그의 정보를 토대로, 선택된 음식물이 추천식품, 주의식품 및 제한식품 중 어느 식품에 포함되는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방어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의학용 원격진료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은,
    제한식품에 포함되는 음식물의 결제를 자동으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방어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의학용 원격진료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섭취 관리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개인정보 - 키, 몸무게, 병력정보, 진료정보 - 를 토대로 추천 칼로리를 파악하여, 선택된 음식물의 총 칼로리 정보와 비교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방어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의학용 원격진료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생산이력 관리 시스템, 물류관제 시스템 및 조리공정 관리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진료 시스템의 상기 원격진료의 결과를 토대로 상기 생산이력 관리 시스템에 생산 요구사항이 전달되고, 상기 물류관제 시스템에 물류정보 변경사항이 전달되며, 상기 조리공정 관리 시스템에 조리공정 변경사항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방어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의학용 원격진료시스템.
KR1020160051862A 2016-04-28 2016-04-28 생체방어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의학용 원격진료시스템 KR101822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862A KR101822421B1 (ko) 2016-04-28 2016-04-28 생체방어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의학용 원격진료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862A KR101822421B1 (ko) 2016-04-28 2016-04-28 생체방어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의학용 원격진료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913A true KR20170122913A (ko) 2017-11-07
KR101822421B1 KR101822421B1 (ko) 2018-01-26

Family

ID=60384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862A KR101822421B1 (ko) 2016-04-28 2016-04-28 생체방어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의학용 원격진료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42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421B1 (ko) 2018-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93638A1 (en) Blood and saliva biomarker optimized food consumption and deliver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US8219584B2 (en) User access to item information
KR102005195B1 (ko) 건강관리 시스템
KR102606359B1 (ko) 급식관리 시스템
CN102768712A (zh) 用于安排信息服务以确定营养和/或药物的方法和装置
KR101552339B1 (ko) 피드백이 가능한 맞춤형 식단 및 식재료 구매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592021B1 (ko) 개인화된 임신, 출산, 산후조리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3179661A (zh) 控制方法、信息终端、程序以及记录介质
JP2005276148A (ja) サプリメント問診システムの提供及びサプリメント供給装置
Byker Shanks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farmers’ market audit tool in rural and urban communities
CN114730449A (zh) 信息提供方法
KR100652510B1 (ko) e-ERP개념에 의한 RTBD기술을 이용한식품모니터링시스템
CN114730448A (zh) 控制方法、信息终端、程序、记录介质以及信息提供方法
US20070143217A1 (en) Network access to item information
KR100865606B1 (ko) 모바일 rfid/usn 환경에 의한 생체방어 융합 식품모니터링시스템
CN115315718A (zh) 信息提供方法
US20230245251A1 (en) Method, information terminal,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200391B1 (ko) 사용자 식습관 분석 기반의 식품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22421B1 (ko) 생체방어기술을 활용한 개인별 맞춤의학용 원격진료시스템
JP2014164411A (ja) 健康管理支援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13032460B (zh) 一种全过程数据分析的食堂点餐备餐系统及数据分析方法
KR20050123350A (ko) 학교 급식의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CN114746891A (zh) 控制方法、信息终端、程序以及记录介质
JP2020197888A (ja) 飲食支援システム
KR102395631B1 (ko) 스마트 트레이 기반의 개인 섭생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