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450A - 광 혼합형 발광소자 패키지 - Google Patents

광 혼합형 발광소자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450A
KR20170122450A KR1020160051411A KR20160051411A KR20170122450A KR 20170122450 A KR20170122450 A KR 20170122450A KR 1020160051411 A KR1020160051411 A KR 1020160051411A KR 20160051411 A KR20160051411 A KR 20160051411A KR 20170122450 A KR20170122450 A KR 20170122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light
mixing
phosp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4876B1 (ko
Inventor
김천수
김영주
신민호
Original Assignee
루미마이크로 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미마이크로 주식회사,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루미마이크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1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876B1/ko
Publication of KR20170122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 H01L33/0062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 H01L33/0066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with a substrate not being a III-V compound
    • H01L33/007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with a substrate not being a III-V compound comprising nitride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5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e.g. plate or f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01L33/60Refle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1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다양한 색구현이 가능한 발광소자 패키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측은 개방되는 반사유닛; 상기 반사유닛 내 상기 수용공간내 실장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발광소자 및 제2발광소자와, 상기 제1발광소자 및 제2발광소자의 광출사면과 접촉하는 구조로 배치되는 서로 다른 제1형광체부 및 제2형광체부 및 상기 제1발광소자 및 제2발광소자를 매립하는 구조로 상기 수용공간 내를 충진하는 광혼합부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광 혼합형 발광소자 패키지{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다양한 색구현이 가능한 발광소자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출력 조명 장치, 광 조명 장비는 일반적으로 메탈 할라이드 방전 램프를 광원으로 이용한다. 메탈 할라이드 방전 램프가 백색 광원이므로, 컬러 광이 필요할 때, 메탈 할라이드 방전 램프 앞에 광 필터를 설치해야만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광원의 단점은 메탈 할라이드 방전 램프의 사용 수명이 짧아 수백 시간 내지 수천 시간 등 서로 다른 시간에 불과하며, 광 필터는 또한 프로젝션된 컬러 광의 포화도가 낮고 선명하지 않으며, 획득되는 램프 광의 컬러도 풍부하지 않다는 점이다.
고출력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는 안전하고 오염이 없으며, 사용 수명이 긴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이미 조명 분야에서 점차 개발 응용에서 우선 선택되는 장치가 되었으며, 그 사용 수명은 10만 시간에 달할 수 있다. 현재 고출력 LED를 무대 조명 광원으로 하는 것은 이미 가능해졌으며, 상기 고출력 LED는 사용 수명이 길고, 안전하고 오염이 없으며, 컬러 포화도가 높은 등의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하나의 LED 칩의 광속(luminous flux)에는 한계가 있어, 고휘도의 컬러 광 출력을 얻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모두 서로 다른 색상의 LED 칩을 어레이로 배열하여 고휘도의 광 출력을 구현한다.
흔히 사용되는 하나의 솔루션으로, 이방향 컬러 시트를 이용하여 적(R), 녹(G), 남(B)의 3원색 LED 어레이로부터 방출된 광에 대해 파장에 의한 합광을 진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일부 컬러 광 사이에 일부 스펙트럼이 중첩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또한 광 필터의 광 필터링 그래프가 가공 공정 및 비용 문제로 인해 매우 큰 구배를 가질 수 없으므로, 파장에 의한 합광 방법을 이용하면 상기 중첩 부분의 스펙트럼이 여과되어 손실된다. 특히 연색 지수를 향상하기 위해 그밖의 다른 색상의 LED를 추가하는 경우, 이방향 컬러 시트는 일부 중요한 스펙트럼을 여과할 수 있어 광 손실이 커지고 시스템의 연색성이 높지 않게 된다.
하나의 패키지 안에서 다양한 색구현이 가능한 발광소자 패키지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측은 개방되는 반사유닛과, 상기 반사유닛 내 상기 수용공간내 실장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발광소자 및 제2발광소자, 그리고 상기 제1발광소자 및 제2발광소자의 광출사면과 접촉하는 구조로 배치되는 서로 다른 제1형광체부 및 제2형광체부 및 상기 제1발광소자 및 제2발광소자를 매립하는 구조로 상기 수용공간 내를 충진하는 광혼합부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측은 개방되는 반사유닛; 상기 반사유닛 내 상기 수용공간내 실장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발광소자 및 제2발광소자; 상기 제1발광소자 및 제2발광소자의 광출사면과 접촉하는 구조로 배치되는 서로 다른 제1형광체부 및 제2형광체부; 및 상기 제1발광소자 및 제2발광소자를 매립하는 구조로 상기 수용공간 내를 충진하는 광혼합부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는, 상기 제1발광소자 및 제2발광소자 사이에 배치되는 돌출형 입체 구조의 광혼합패턴부를 더 포함하여 광의 반사를 증진시켜 광의 혼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상기 제1형광체부 및 상기 제2형광체부는, 서로 다른 농도를 가지는 발광소자 패키지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는, 상기 제1발광소자 및 제2발광소자의 광의 세기를 서로 다르게 제어하여, 상기 제1발광소자 및 제2발광소자에서 출사되는 두 광의 색을 조합하여 최종 색좌표를 결정하여 다양한 색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서의 상기 광혼합부는, 투명실리콘 내에 광분산제를 포함하는 수지층을 구비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혼합부는, 상기 제1발광소자 및 제2발광소자를 매립하는 투명실리콘을 포함하는 제1혼합부와, 상기 제1혼합부 상면에 배치되며, 투명실리콘 내에 분산제를 포함하며, 표면에 산란패턴을 포함하는 제2혼합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서의 상기 광혼합부 내에 상기 제1형광체 또는 상기 제2형광체와는 상이한 제3형광체를 포함하도록 구현하여 색 구현의 가능성을 더욱 높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상기 광혼합패턴부는, 상기 광혼합부의 전체 높이(d)의 1/2 이하의 높이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혼합패턴부는, 상기 제1발광소자 및 제2발광소자의 사이에 상기 반사유닛을 제1방향으로 구획하는 구조로 배치되며, 단면의 형상이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구현하여 반사효율 및 광을 상부로 유도하는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혼합패턴부의 단면의 구조에서, 측면과 상기 반사유닛의 하부면이 이루는 각도가 예각을 이루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패키지 내에 한 쌍의 발광소자를 배치하며, 각 발광소자 상에 서로 다른 종류 형광체를 적층하고,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빛의 세기를 다르게 제어하여 두 색의 혼합으로 최종 색좌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색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발광소자 사이에 광유도 및 분산을 구현하는 광 혼합패턴구조물과 광혼합물질층을 배치하여 한정된 영역 내에서 광의 혼합이 효율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의 단면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부 평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구조에서 광환합패턴부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이하, '본 발명'이라 한다.)의 단면 개념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상부 평면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구조에서 광혼합패턴부의 단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측은 개방되는 반사유닛(110);
상기 반사유닛 내 상기 수용공간 내 실장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발광소자(130A) 및 제2발광소자(130B)와, 상기 제1발광소자(130A) 및 제2발광소자(130B)의 광출사면과 접촉하는 구조로 배치되는 서로 다른 제1형광체부(140A) 및 제2형광체부(140B) 및 상기 제1발광소자(130A) 및 제2발광소자(130B)를 매립하는 구조로 상기 수용공간 내를 충진하는 광혼합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본 발명은 광혼합부(120) 내에서 서로 다른 2개의 광을 혼합하여 조합함으로써, 최종 색좌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발광소자(130A) 및 제2발광소자(130B)는 LED 소자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발광소자(130A) 및 제2발광소자(130B)는 서로 동일한 LED 소자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제1형광체부(140A) 및 제2형광체부(140B)를 서로 다른 형광체를 적용하거나 농도를 다르게 배치하고, 상기 제1발광소자(130A) 및 제2발광소자(130B)의 빛 세기를 다르게 제어하여 두색의 조합으로 최종 색좌표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광혼합부(120)를 상기 제1발광소자(130A) 및 제2발광소자(130B)의 상부 영역에 구현하여 두 가지의 광 색이 잘 혼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상기 제1 및 제2형광체부를 구성하는 형광체는 경화성 수지 및 형광체를 함유하는 형광 수지 조성물로, 파장 변환 기능을 갖고 있고, 예컨대, 청색 광을 황색 광으로 변환할 수 있는 황색 형광체, 청색 광을 적색 광으로 변환할 수 있는 적색 형광체 등을 들 수 있다. 황색 형광체로서는, 예컨대, Y3Al5O12: Ce(YAG(이트륨 알루미늄 가넷) : Ce), Tb3Al3O12: Ce(TAG(테르븀 알루미늄 가넷) : Ce) 등의 가넷형 결정 구조를 갖는 가넷형 형광체, 예컨대, Ca-α-SiAlON 등의 산질화물 형광체 등을 들 수 있다. 적색 형광체로서는, 예컨대, CaAlSiN3:Eu2CaSiN2:Eu등의 질화물 형광체 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형광체부(140A) 및 제2형광체부(140B)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발광소자 및 제2발광소자(130A, 130B)의 상부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발광소자 및 제2발광소자(130A, 130B)의 상부면은 LED 구조가 탑뷰(Top-view) 타입인 경우 광출사면에 직접 접촉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좌우 이웃하는 한 쌍의 발광소자간의 출사광의 혼합을 위해서는, 발광소자의 측면부로 출사하는 광 역시 형광체를 통해 광색의 변환이 이루어져야 하는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발광소자의 측면부를 커버하는 측면형광체부(142, 148)를 배치하여 측면부로 경유하는 광역시 형광체층을 통해 광변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측면형광체부(142, 148)의 배치는, LED가 탑뷰(Top-view) 뿐만 아니라 사이드뷰(side-view) 타입의 경우에도 누수되는 광없이 광변환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바, 광 변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LED는 발광다이오드 소자라고 하며, 반도체의 p-n 접합구조를 이용하여 주입된 소수캐리어를 만들어내고 이들의 재결합에 의해 발광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 재료는 발광파장이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 영역에 존재하고 p-n 접합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비소갈륨, 인화갈륨, 갈륨-비소-인, 갈륨-알루미늄-비소, 인화인듐, 인듐-갈륨-인 등 3B 및 5B족인 2원소 또는 3원소 화합물 반도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엘이디 칩의 발광은 자유캐리어의 재결합에 의하거나, 불순물 발광중심에서의 재결합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의 저면에는 방열부가 구성되어 상기 엘이디 칩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되어 상기 엘이디 칩의 내부 회로를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반사유닛(110)의 상면에 발광소자가 실장되는 경우,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LED는 적색광을 발생하는 레드 LED 칩, 청색광을 발생하는 블루 LED 칩, 녹색광을 발생하는 그린LED 칩과 같은 유색의 LED 칩으로 구현되거나, UV LED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PCB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칩들이 탑재될 수 있으며, LED 칩의 종류 및 탑재 개수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LED(Twin type)가 한의 반사유닛 내에 배치되는 구조로 구현하여 가장 경제적이면서도 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또한, 발광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소자(예: 제너 다이오드)가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광소자를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기판 상에 회로패턴이 형성된 기판, 즉 PCB를 의미하며, 불투명한 기판 뿐만아니라, 투명 재질의 인쇄회로기판, 플렉시블(flexible)한 기판을 포함하여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FR4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하여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연성을 가지는 PET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절곡면의 배치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는 일정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으로 형성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메탈 코어(metal core) PCB(Printed Circuit Board), FR-4 PCB, 및 일반 PCB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소자 패키지는, 상기 제1발광소자(130A) 및 제2발광소자(130B) 사이에 배치되는 돌출형 입체 구조의 광혼합패턴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광혼합패턴부(17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발광소자(130A) 및 제2발광소자(130B) 사이에 이격되는 구조로 배치되며, 좌우 양쪽에서 입사하는 광을 상부 또는 상측부 방향으로 반사하여 유도함으로써, 광의 혼합이 원활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광혼합패턴부(170)는 수직 단면의 형상이 반사유닛의 하면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일 실시예로서 사다리꼴 구조로 단면의 형상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는, 양쪽에 배치되는 LED와 같은 발광소자에서 출사된 광 중 측면으로 이동하는 광을 반사시켜 상부 방향으로 유도하여 광의 혼합이 더욱 많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광혼합패턴부(170)의 단면의 구조에서, 측면과 상기 반사유닛의 하부면이 이루는 각도(θ)가 예각을 이루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광혼합패턴부(170)는, 상기 광혼합부의 전체 높이(d)의 1/2 이하의 높이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하여, 광혼합부(120)의 영역을 차단하지 않도록 해, 광혼합부 내에서 자유롭게 광의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광혼합부의 전체의 높이(d)를 고려할 때, 광혼합패턴부(170)의 높이(d3)는 상기 광혼합부의 전체 높이(d)의 1/2 이하에서 발광소자의 높이의 1/2 이상의 범위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더 낮은 높이를 가지는 경우, 반사 및 광 가이드 효율이 떨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광혼합부의 전체 높이(d)의 1/2 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가지는 경우에는 광혼합패턴부를 중심으로 좌우에서 반사되는 광을 차단하는 기능이 강해져 혼합율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광혼합효율을 높이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광혼합패턴부(170)의 배치 구조를 반사유닛 내에 다양하게 변형 배치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것과 같이, 반사유닛 내의 폭 보다 작은 길이를 구비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의 구조에서와 같이, 상기 제1발광소자(130A) 및 제2발광소자(130B)의 상면에 광혼합부(120)을 배치하고, 상기 광혼합부(120)에는 색혼합물질층을 충진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색혼합물질층은 광투과 및 분산 기능을 가지는 투명 수지 조성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일예로 투명 실리콘 수지를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투명 실리콘 수지에 산화규소(SiO2)와 같은 분산제를 혼합하여 광 분산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해, 광혼합율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그 외에도 분산제로 적용될 수 있는 물질은 SiO2, Al2O3, ZrO2, ZnO 및 유기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혼합부(120) 내에 색혼합물질층을 하나의 단일 층으로 구현하는 외에, 2개 이상의 층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예로 도 1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상기 광혼합부(140)는, 상기 제1발광소자(130A) 및 제2발광소자(130B)를 매립하는 투명실리콘을 포함하는 제1혼합부(150)와 상기 제1혼합부(150) 상면에 배치되며, 투명실리콘 내에 분산제를 포함하며, 표면에 산란패턴을 포함하는 제2혼합부(160)를 포함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1혼합부(150)은 광의 분산과 확산이 잘 이루어지도록 투명 실리콘을 포함하도록 하며, 제2혼합부(160)은 투명실리콘 내에 SiO2, Al2O3, ZrO2, ZnO 및 유기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산제를 더 포함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혼합부(160)의 하부면은 표면 텍스처링 처리를 통해 광의 산란과 분산을 더욱 촉진 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색 구현을 위해서는, 상기 광혼합부(120) 내에 상기 제1형광체 또는 상기 제2형광체와는 상이한 제3형광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도 1에서의 반사유닛(110)의 구조물은 광혼합율을 높일 수 있는 차원에서 유닛 자체의 재질을 반사재질로 구현하거나, 열투과율이 높은 물질로 반사유닛을 구현한 후, 내측면(광혼합부 형성 공간)에 반사물질을 코팅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반사유닛(110)의 일예로 Al, PC, PP, ABS, PBT 중 어느 하나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하여 그 자체로 반사특성을 가지도록 구현하거나, 합성수지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내표면에 Al 증착이나 Al 시트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반사유닛의 다른 구현예로는,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수지재 또는 표면에 반사물질이 코팅된 구조물을 사용하여 반사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재질은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 부재, 예컨대, 수지 재질, 금속 재질, 비금속 재질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반사부재 또는 상기 반사물질은, 은(Ag), 알루미늄(Al), 백금(Pt), 크롬(Cr), 니켈(Ni), 티타늄 산화물, 규소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마그네슘 불화물, 탄탈륨 산화물 및 아연 산화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반사층의 구현재료는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시트나 필름 형태가 아니라 증착형 박막형태나 반사패턴 형태도 가능하며, 빛의 반사특성 및 빛의 분산을 촉진하는 특성을 구현하여 위하여 백색안료를 분산 함유하는 합성 수지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는 백색안료로서는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탄산연, 황산바륨, 탄산칼슘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합성 수지로서는 폴리에틸엔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아크릴수지, 콜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 셀룰로소스 아세테이트, 내후성 염화비닐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는, 반사유닛의 내표면에 TiO2, CaCo3, BaSo4, Al2O3, Silicon, PS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반사잉크를 이용하여 패터닝하거나, 상술한 시트나 코팅 등의 반사층 표면에 패터닝함으로써, 반사효율을 더욱 높이는 구조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술한 광혼합패턴부와 반사유닛은 동일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반사유닛도 동일한 재질로 구현하되, 일체형 구조로 사출 등을 통해 구현하는 경우 제조의 효율성이 높아지게 되어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나아가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구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반사유닛
120: 광혼합부
130A: 제1발광소자
130B: 제발광소자
140A: 제1형광체부
140B: 제2형광체부
150: 제1혼합부
160: 제2혼합부
170: 광혼합패턴부

Claims (10)

  1.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측은 개방되는 반사유닛;
    상기 반사유닛 내 상기 수용공간내 실장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발광소자 및 제2발광소자;
    상기 제1발광소자 및 제2발광소자의 광출사면과 접촉하는 구조로 배치되는 서로 다른 제1형광체부 및 제2형광체부; 및
    상기 제1발광소자 및 제2발광소자를 매립하는 구조로 상기 수용공간 내를 충진하는 광혼합부;
    를 포함하는 광 혼합형 발광소자 패키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는,
    상기 제1발광소자 및 제2발광소자 사이에 배치되는 돌출형 입체 구조의 광혼합패턴부;
    를 더 포함하는 광 혼합형 발광소자 패키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형광체부 및 상기 제2형광체부는,
    서로 다른 농도를 가지는 광 혼합형 발광소자 패키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 패키지는,
    상기 제1발광소자 및 제2발광소자의 광의 세기를 서로 다르게 제어하여,
    상기 제1발광소자 및 제2발광소자에서 출사되는 두 광의 색을 조합하여 최종 색좌표를 결정하는 광 혼합형 발광소자 패키지.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혼합부는,
    투명실리콘 내에 광분산제를 포함하는 수지층인, 광 혼합형 발광소자 패키지.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광혼합부는,
    상기 제1발광소자 및 제2발광소자를 매립하는 투명실리콘을 포함하는 제1혼합부;
    상기 제1혼합부 상면에 배치되며, 투명실리콘 내에 분산제를 포함하며, 표면에 산란패턴을 포함하는 제2혼합부;
    를 포함하는 광 혼합형 발광소자 패키지.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광혼합부 내에 상기 제1형광체 또는 상기 제2형광체와는 상이한 제3형광체를 포함하는 광 혼합형 발광소자 패키지.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광혼합패턴부는,
    상기 광혼합부의 전체 높이(d)의 1/2 이하의 높이를 구비하는 광 혼합형 발광소자 패키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광혼합패턴부는,
    상기 제1발광소자 및 제2발광소자의 사이에 상기 반사유닛을 제1방향으로 구획하는 구조로 배치되며,
    단면의 형상이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인,
    발광소자 패키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광혼합패턴부의 단면의 구조에서,
    측면과 상기 반사유닛의 하부면이 이루는 각도가 예각을 이루는 구조의 광 혼합형 발광소자 패키지.
KR1020160051411A 2016-04-27 2016-04-27 광 혼합형 발광소자 패키지 KR101874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411A KR101874876B1 (ko) 2016-04-27 2016-04-27 광 혼합형 발광소자 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411A KR101874876B1 (ko) 2016-04-27 2016-04-27 광 혼합형 발광소자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450A true KR20170122450A (ko) 2017-11-06
KR101874876B1 KR101874876B1 (ko) 2018-08-09

Family

ID=60384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411A KR101874876B1 (ko) 2016-04-27 2016-04-27 광 혼합형 발광소자 패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8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5156A (ko) * 2007-01-22 2009-11-04 크리, 인코포레이티드 웨이퍼 레벨 형광체 코팅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소자
KR20110125070A (ko) * 2010-05-12 2011-1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KR20110126431A (ko) * 2010-05-17 2011-11-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JP2016115934A (ja) * 2014-12-11 2016-06-23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5156A (ko) * 2007-01-22 2009-11-04 크리, 인코포레이티드 웨이퍼 레벨 형광체 코팅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소자
KR20110125070A (ko) * 2010-05-12 2011-1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KR20110126431A (ko) * 2010-05-17 2011-11-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JP2016115934A (ja) * 2014-12-11 2016-06-23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876B1 (ko)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0917B (zh) 發光裝置
US20100059771A1 (en) Multi-layer led phosphors
US10648642B2 (en) LED apparatus employing tunable color filtering using multiple neodymium and fluorine compounds
US8039850B2 (en) White light emitting device
KR100654287B1 (ko) 발광 디바이스 및 차량용 등기구
JP5736218B2 (ja) 光源装置
US11692683B2 (en) Lighting apparatus
JP2012531047A (ja) Led型ランプおよび光放出サイネージ
KR20110129968A (ko) 원격 발광성 재료를 갖는 조명 장치
US20140191273A1 (en) Light-emitting arrangement
US9423084B2 (en) Indirect lighting apparatus
CN103562624A (zh) 具有纹理化透镜的基于led的照明器材
CA3007011C (en) Led apparatus employing tunable color filtering using multiple neodymium and fluorine compounds
JP2022500816A (ja) 照明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照明アセンブリ
KR101874876B1 (ko) 광 혼합형 발광소자 패키지
US10168007B2 (en) Light-emitting device and illuminating apparatus
KR100574628B1 (ko) 색 필름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 모듈
KR102400249B1 (ko) 발광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7349451B2 (ja) 照明装置
KR20200126290A (ko)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KR101785493B1 (ko) 광손실 방지형 발광소자 패키지
US20240093846A1 (en) Vehicle light-emitting device and vehicle lighting device
KR101783200B1 (ko) 색편차 개선형 발광소자패키지
US20240159375A1 (en) Vehicle lamp
US20240072220A1 (en) Planar light-emi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