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211A - 승강기용 대화식 게시판 시스템 - Google Patents

승강기용 대화식 게시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211A
KR20170122211A KR1020177025919A KR20177025919A KR20170122211A KR 20170122211 A KR20170122211 A KR 20170122211A KR 1020177025919 A KR1020177025919 A KR 1020177025919A KR 20177025919 A KR20177025919 A KR 20177025919A KR 20170122211 A KR20170122211 A KR 20170122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bulletin board
display
image dat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5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르완 오디에
프랑크 제이. 데트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70122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2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wherein the security policies are location-dependent, e.g. entities privileges depend on current location or allowing specific operations only from locally connect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8Authentication using credential vaults, e.g. password manager applications or one time password [OTP]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대화식 게시판 시스템은 스마트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주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주 제어 모듈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이미지 데이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모듈,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인증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인증 모듈, 및 인증된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콘텐츠 정보를 승강기 칸에 위치결정된 디스플레이에 송신하는 콘텐츠 모듈을 갖는다.

Description

승강기용 대화식 게시판 시스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주제 사항은 대화식 게시판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대화식 게시판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 칸의 실내는 승객에게 정보를 전할 공간일 수 있다. 승객은 물리적 문서를 게시할 수 있지만, 이들 문서는 실내를 어수선하게 할 수 있거나 또는 시간에 걸쳐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부가적으로, 물리적 문서를 게시할 공간은, 승객이 정보를 게시하도록 허용되는지에 무관하게, 승강기의 어느 승객이라도 정보를 게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승강기 내 게시판에 게시되는 정보를 동적으로 그리고 대화식으로 통제할 필요가 있다.
일 태양에서, 대화식 게시판 시스템은 스마트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주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주 제어 모듈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이미지 데이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모듈,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인증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인증 모듈, 및 인증된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콘텐츠 정보를 승강기 칸에 위치결정된 디스플레이에 송신하는 콘텐츠 모듈을 포함한다.
다른 태양에 있어서, 콘텐츠를 승강기 게시판에 대화식으로 게시하는 방법은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이미지 데이터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인증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단계, 인증된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콘텐츠 정보를 승강기 칸에 위치결정된 디스플레이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라고 여겨지는 주제 사항은 명세서의 끝에 있는 청구범위에서 구체적으로 지적되고 그리고 분명하게 청구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수반 도면과 함께 취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대화식 게시판 시스템의 예시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대화식 게시판 시스템을 위한 인증 방법의 예시도.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블록 선도는 정보를 위치 결정 및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대화식 게시판 시스템(100)의 일 실시형태를 예시한다. 대화식 게시판 시스템(100)은 스마트 디바이스(104)에 의해 액세스되는 하나 이상의 식별(ID) 이미지(102)를 포함한다. 대화식 게시판 시스템(100)은 주 제어 모듈(106)을 더 포함한다. 스마트 디바이스(104)는 이미지(102)와 같은 데이터를 검출하고 그리고 이미지 데이터를 주 제어 모듈(106)에 전기적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미지 데이터에 기반하여, 주 제어 모듈(106)은,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마트 디바이스(104)를 자동으로 인증하는 것, 로그인 정보에 대해 스마트 디바이스(104)에 프롬프트하는 것, 또는 콘텐츠 정보에 대해 스마트 디바이스(104)에 프롬프트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주 제어 모듈(106)의 동작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된다.
이미지(102)는 식별(ID) 정보를 주 제어 모듈(106)에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ID 정보는,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미지가 형성되는 곳의 위치, 이미지(102)와 페어링된 디스플레이의 유형, 및 승강기 칸에 존재하는 디스플레이의 수를 포함한다. 이미지(102)는 표면 및/또는 컴포넌트에 부착될 수 있는 광학적으로 기계-판독가능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적으로 기계-판독가능한 이미지는 그것이 부착되는 표면 또는 컴포넌트와 관련된 정보를 기록한다. 예컨대, 광학적으로 기계-판독가능한 이미지는 특정 승강기 칸을 식별시키기 위한 정보로 기록될 수 있다.
그 후, 광학적으로 기계-판독가능한 이미지는 승강기 칸의 벽 상에 놓일 수 있거나, 또는 승강기 칸의 컴포넌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광학적으로 기계-판독가능한 이미지는 QR(quick response) 코드, 바 코드, 비트맵 이미지, 또는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있는 대응하는 승강기 칸 및/또는 구역을 식별시키는 그리고/또는 정보를 식별시킬 수 있는 어느 다른 이미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이미지(102)는 표준 인쇄 기술, 기계적 형성, 레이저 형성, 화학적 식각, 또는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미지(102)는 또한 홀로그램 이미지 또는 3-차원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QR 코드의 경우에, 예컨대, 복수의 흑색 모듈(정사각형 점)은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백색 배경 상의 정사각형 격자에 배열될 수 있다. 이미지는,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치, 영숫자, 바이트/2진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는 QR 코드에 의해 인코딩된 정보를 표시한다. 이미지(102)는 스마트 디바이스(104)에 의해 캡처링 및/또는 프로세싱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는 스마트 디바이스가 주 제어 모듈(106)과 전기적으로 통신하기 위해 액세스할 수 있는 웹 주소를 제공하도록 프로세싱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104)와 주 제어 모듈(106) 간 전기적 통신은 근거리 통신망, 광역 통신망, 인터넷 등을 통하여 일어날 수 있다.
주 제어 모듈(106)은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08) 및 스마트 디바이스 데이터베이스(110)와 통신하고 있는 위치 모듈(107)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위치 모듈(107)은 스마트 디바이스(104)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프로세싱하고 그리고 이미지 신호를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08)에 저장된 이미지에 비교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베이스(108)에 저장된 이미지는 특정 위치(즉, 승강기 칸)에 대응할 수 있다. 위치 모듈(107)은 송신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이미지 신호를 분석한다.
스마트 디바이스(104)는 이미지 신호와 인증 토큰을 송신할 수 있다. 위치 모듈(107)은 인증 토큰을 분석하기 위한 인증 모듈(112)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인증 토큰은 이미지 신호를 송신하는 스마트 디바이스(104)를 고유하게 식별시킬 수 있다. 인증 모듈(112)은 인증 토큰을 권한 부여된 스마트 디바이스와 비교하기 위해 스마트 디바이스 데이터베이스(110)에 액세스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 데이터베이스(110)는, 등록된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룩-업 테이블(LUT)을 포함할 수 있다. 등록된 스마트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또는 게시판에 게시할 수 있는 사용자를 식별시키는 디바이스이다.
인증 모듈(112)이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이미지 신호와 인증 토큰을 수신하지 않으면, 인증 모듈(112)은 수동 인증 정보에 대해 스마트 디바이스(104)에 프롬프트할 수 있다. 수동 인증 정보는,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마트 디바이스 상의 웹 브라우저 형태에 입력되는 수치 코드 또는 사용자명/패스워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모듈(114)은 인증 모듈(112)과 통신하고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104)로부터의 인증 토큰 또는 수동 인증 정보의 유효성 검증은 콘텐츠 모듈(114)이 스마트 디바이스(104)와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콘텐츠 모듈(114)은 인증 다음에 스마트 디바이스(104)로부터 게시판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104)의 사용자는 스마트 디바이스(104) 상에 콘텐츠 정보를 입력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는, 그림 또는 텍스트 파일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104) 상에 저장된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콘텐츠 모듈(114)은 스마트 디바이스(104)로부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콘텐츠 정보를 승강기 칸에 위치결정된 디스플레이 또는 게시판(116)에 송신한다.
부가적으로, 콘텐츠 모듈(114)은 인증된 스마트 디바이스(104)와 연관된 이전에-게시된 콘텐츠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디바이스(104)는 이전의 디스플레이 세션 동안 정보를 게시하였을 수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104)의 사용자는 인증된 스마트 디바이스(104)와 연관된 이전에-게시된 콘텐츠를 제거하거나 이전에-게시된 콘텐츠를 수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전에-게시된 콘텐츠를 제거 또는 편집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승강기 칸의 승객을 위해 디스플레이 또는 게시판 상에 최신 콘텐츠를 용이하게 한다.
디스플레이 또는 게시판(116)은 콘텐츠 모듈(114) 및 주 제어 모듈(116)의 콘텐츠 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고 있을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같은 전자 디스플레이이지만, 다른 유형의 전자 디스플레이가 고려된다.
일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디스플레이 정면에 반투명 거울(one-way mirror)이 입혀져, 전자 디스플레이와 객실 사이에 반투명 거울을 위치결정시킨다. 반투명 거울은 부분적으로는 반사성이고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투과적인 일편의 유리이다. 반투명 거울은 디스플레이가 동작하고 있지 않을 때(즉, 디스플레이가 빛을 내고 있지 않을 때) 디스플레이의 보임을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디스플레이가 동작하고 있거나 빛을 내고 있을 때, 반투명 거울은 더 투과적으로 되어, 승객이 디스플레이 및 어느 연관된 콘텐츠라도 볼 수 있게 한다. 더 시각적으로 즐거운 객실을 창출하는 것에 부가하여, 반투명 거울은 또한 디스플레이를 보호할 수 있다.
주 제어 모듈은 유지보수 모듈(1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지보수 모듈은 업데이트가능한 규칙 데이터베이스(120)에 액세스할 수 있다. 업데이트가능한 규칙 데이터베이스(120)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날 수 있는 시간 길이를 지시하는 규칙, 또는 디스플레이 또는 게시판(116)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 특정 구절을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모듈(114)은 주기적으로 유지보수 모듈(118)과 통신할 수 있거나, 또는 유지보수 모듈(118)은 디스플레이로의 송신 전에 콘텐츠를 검증하기 위해 콘텐츠 모듈에 의해 폴링될 수 있다. 폴링 및 검증은 부적합한 메시지 및 만료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상에 나타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당해 발명에 따른 방법(200)을 예시한다. 단계(202)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이미지 데이터의 위치가 결정된다. 단계(204)에서, 스마트 디바이스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인증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인증된다. 단계(206)에서는, 인증된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 정보가 수신된다. 단계(208)에서, 콘텐츠 정보는 승강기 칸에 위치결정된 디스플레이에 송신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는 전자 디스플레이 상에 입혀진 반투명 거울을 갖는 전자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이 단지 한정된 수의 실시형태와 연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을 뿐이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개시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음을 쉽게 이해해야 한다. 그보다는, 본 발명은 지금까지 설명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와 상응하는 어떠한 수의 변형, 개조, 대체 또는 균등한 배열이라도 편입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태양은 설명된 실시형태 중 일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보이려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에 의해서 한정될 뿐이다.

Claims (15)

  1. 대화식 게시판 시스템으로서,
    스마트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주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주 제어 모듈은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이미지 데이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모듈;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인증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인증 모듈; 및
    인증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콘텐츠 정보를 승강기 칸에 위치결정된 디스플레이에 송신하는 콘텐츠 모듈을 포함하는, 대화식 게시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모듈은 상기 콘텐츠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송신하는 등록된 스마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는, 대화식 게시판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송신된 인증 토큰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대화식 게시판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인증 모듈에 의해 제공된 프롬프트에 응답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 수동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대화식 게시판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모듈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상기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승강기 칸에 위치결정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대화식 게시판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연관되는, 대화식 게시판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식별시키는 QR(quick response) 코드에 대응하는, 대화식 게시판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정보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된 그림을 포함하는, 대화식 게시판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 모듈은 상기 콘텐츠 모듈과 통신하고 있는 유지보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보수 모듈은 디스플레이 시간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콘텐츠 정보를 평가하는, 대화식 게시판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보수 모듈은 상기 콘텐츠 정보를 검증하기 위해 업데이트가능한 규칙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는, 대화식 게시판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전자 디스플레이이되,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반투명 거울이 입혀지는, 대화식 게시판 시스템.
  12. 콘텐츠를 승강기 게시판에 대화식으로 게시하는 방법으로서,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이미지 데이터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된 인증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반하여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를 인증하는 단계;
    인증된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콘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정보를 승강기 칸에 위치결정된 디스플레이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승강기 게시판에 대화식으로 게시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시간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해 수신된 상기 콘텐츠 정보를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를 승강기 게시판에 대화식으로 게시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상기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승강기 칸에 위치결정된 상기 디스플레이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승강기 게시판에 대화식으로 게시하는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송신된 인증 토큰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는, 콘텐츠를 승강기 게시판에 대화식으로 게시하는 방법.
KR1020177025919A 2015-03-04 2015-03-04 승강기용 대화식 게시판 시스템 KR201701222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5/001019 WO2016139502A1 (en) 2015-03-04 2015-03-04 Interactive billboard system for an elev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211A true KR20170122211A (ko) 2017-11-03

Family

ID=56848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919A KR20170122211A (ko) 2015-03-04 2015-03-04 승강기용 대화식 게시판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063712A1 (ko)
EP (1) EP3265983A4 (ko)
KR (1) KR20170122211A (ko)
CN (1) CN107408257A (ko)
AU (1) AU2015385117A1 (ko)
WO (1) WO20161395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3114B (zh) * 2017-12-11 2022-03-08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梯内信息触发响应的方法及装置
DE102019106799A1 (de) * 2019-03-18 2020-09-24 Homag Gmbh Kennzeichnung eines Werkstück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0279804A1 (en) * 2000-10-03 2002-04-15 Kent Ridge Digital Labs A system for interactive information display on a billboard
KR20080020062A (ko) * 2006-08-30 2008-03-05 한국미디어렙(주) 옥외 게시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TWI576721B (zh) * 2011-07-25 2017-04-01 宏正自動科技股份有限公司 數位看板裝置、數位看板系統及其操作方法
KR101984570B1 (ko) * 2011-12-09 2019-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WO2013187870A1 (en) * 2012-06-11 2013-12-19 Intel Corporation Digital signage management system
IN2014DN09110A (ko) * 2012-06-22 2015-05-22 Otis Elevator Co
CA2786205A1 (en) * 2012-08-17 2014-02-17 Modooh Inc.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transit vehicles
KR20140031457A (ko) * 2012-08-31 2014-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고 서비스 서버 및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US20140337137A1 (en) * 2013-05-07 2014-11-13 Fliphound LLC Digital Billboard Advertising
CN104156191A (zh) * 2014-08-22 2014-11-19 沈炜 将移动电子设备扩展为pc机显示器的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65983A4 (en) 2018-07-25
US20180063712A1 (en) 2018-03-01
EP3265983A1 (en) 2018-01-10
AU2015385117A1 (en) 2017-09-14
WO2016139502A1 (en) 2016-09-09
CN107408257A (zh)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0945B (zh) 身份登录方法及设备
CN107104996B (zh) 用户位置校验方法和装置、受控设备访问方法和装置
AU2010230205A1 (en) Method and device for access control
CN102841997A (zh) 一种利用移动终端实现智能设备上身份验证的方法及装置
KR101202295B1 (ko) 고유키 값을 이용한 간편 결제 방법 및 그 장치
CN104488245A (zh) 使用行动装置对安全性方法进行的改善
US10719844B2 (en) Service processing method, terminal and server
CN111105547B (zh) 彩票投注系统和方法
KR20170122211A (ko) 승강기용 대화식 게시판 시스템
CN111275601A (zh) 彩票兑奖服务系统和方法
KR20180096887A (ko) 주기적으로 변경되는 동적 코드 생성 방법과 그러한 동적 코드의 인증 방법
KR20170001416A (ko) 원격 계좌 개설 시스템
CN112530067A (zh) 访客管理方法、相关设备、存储介质及及系统
CN104463333B (zh) 基于网络通讯和图像识别的印章认证信息处理系统
CN112138404A (zh) 游戏app登录验证方法及系统
US20210407238A1 (en) Self-directed access card issuance system
JP2017076254A (ja) 携帯端末上の特定アプリとインターネット上の特定サーバーとが通信するクラウドサービスにおいて携帯端末の利用者が指定場所でした手続きの正当性を認証するコンピューティング
CN112702169B (zh) 一种可视化数字证书申请方法
CN112583816B (zh) 登录验证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1268092B1 (ko) 아이디카드 발급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9277051A (ja) 認証システム、認証サーバ、サービス提供装置及びサービス提供方法
JP5649754B1 (ja) 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CA3014706A1 (en) Checking access authorizations using mobile control devices
US20160342783A1 (en) Visual obfuscation security device, method and system
CN110503759B (zh) 一种基于微信公众平台的门禁控制方法及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