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059A - 에어포켓을 가진 완충재 - Google Patents

에어포켓을 가진 완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059A
KR20170122059A KR1020160051151A KR20160051151A KR20170122059A KR 20170122059 A KR20170122059 A KR 20170122059A KR 1020160051151 A KR1020160051151 A KR 1020160051151A KR 20160051151 A KR20160051151 A KR 20160051151A KR 20170122059 A KR20170122059 A KR 20170122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ase sheet
sheet
size
po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환 filed Critical 김동환
Priority to KR1020160051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2059A/ko
Publication of KR20170122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0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2Cellular or porous
    • B32B2305/028Hollow fillers; Syntac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6Damping, energy absorption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재에 관한 것으로, 바닥용 쿠션 매트, 침대용 매트리스, 신발용 깔창, 방석이나 의자용 쿠션 내장재 등과 같이 쿠션성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곳에 적용할 수 있는 동시에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크기의 에어포켓(공기층)을 가진 완충재를 제공할 목적으로, 유연성을 가진 연질의 베이스시트와,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시트의 일측 면상에 형성된 다수의 에어포켓을 포함하는 에어층; 상기 에어포켓의 외측에 부착되어 상기 베이스시트와 이격 설치되고 유연성을 가진 연질의 커버시트; 상기 베이스시트의 외면과 상기 커버시트의 외면 중 어느 하나의 면 또는 2개 면에 부착되고 탄성과 신축성을 가진 쿠션재; 로 이루어진 완충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포켓을 가진 완충재{CUSHION MATERIAL WITH AIR BAG}
본 발명은 에어포켓을 가진 완충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층간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바닥용 매트, 침대용 매트리스, 신발 착용시 쿠션성을 제공하는 신발용 깔창, 방석이나 의자용 쿠션 내장재 등과 같이 충격을 방지하고 쿠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 가능한 에어포켓을 가진 완충재에 관한 것이다.
바닥용 쿠션 매트, 신발용 깔창, 방석이나 의자용 쿠션 내장재 등과 같이 쿠션성을 제공하기 위한 시트에 관한 종래 기술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999-0081357호(특허문헌 1)에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25 ∼ 52중량%, 폴리에스테르 20 ∼ 47중량%, 원적외선 방사물질 15 ∼ 42중량%, 경탄 5 ∼ 32중량%, 카본블랙 7 ∼ 34중량%, 발포제 1 ∼ 28중량% 및 가교제 0.1 ∼ 27중량%로 구성되는 쿠션재 조성물을 이용하되 발포제를 제외한 상기 성분들을 균질하게 혼합하고 발포제를 첨가하여 발포시키는 방법으로 쿠션재를 제조하는 쿠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쿠션재의 제조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쿠션재 또는 완충재는 단순히 다양한 합성수지 물질을 발포제와 혼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발포 성형한 것으로, 발포 성형된 특성상 그 내부에 미세 에어포켓(공기층)을 형성하고 있기는 하나,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을 만큼 미세한 크기이므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쿠션성 또는 완충성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999-0081357호(1999.11.15 공개)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용 쿠션 매트, 침대용 매트리스, 신발용 깔창, 방석이나 의자용 쿠션 내장재 등과 같이 쿠션성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곳에 적용할 수 있는 동시에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크기의 에어포켓(공기층)을 가진 완충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양태는, 유연성을 가진 연질의 베이스시트와,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시트의 일측 면상에 형성된 다수의 에어포켓을 포함하는 에어층; 상기 에어포켓의 외측에 부착되어 상기 베이스시트와 이격 설치되고 유연성을 가진 연질의 커버시트; 상기 베이스시트의 외면과 상기 커버시트의 외면 중 어느 하나의 면 또는 2개 면에 부착되고 탄성과 신축성을 가진 쿠션재;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양태는, 유연성을 가진 연질의 베이스시트와,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시트의 일측 면상에 형성된 다수의 에어포켓을 포함하는 에어층; 상기 에어포켓의 외측에 부착되어 상기 베이스시트와 이격 설치되고 유연성을 가진 연질의 커버시트; 상기 베이스시트의 가장자리와 상기 커버시트의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상기 에어포켓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게 되고, 유연성을 가진 연질의 차단시트;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닥용 쿠션 매트, 침대용 매트리스, 신발용 깔창, 방석이나 의자용 쿠션 내장재 등, 쿠션성이나 완충성이 필요로 한 어느 곳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용도에 제한이 없고, 또한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크기(예를 들면 하나의 직경이 1mm 이상인 크기)의 에어포켓(공기층)을 가지고 있으므로 쿠션성이나 완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완충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완충재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완충재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변형 예를 보인 완충재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변형 예를 보인 완충재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완충재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완충재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이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기술이거나 용이하게 도출되는 정도의 기술에 대해서는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완충재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완충재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완충재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완충재는, 크게 에어층(10), 커버시트(20) 및 쿠션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어층(10)은, 비닐과 같이 유연성을 가진 연질의 베이스시트(11)와,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시트(11)의 일측 면상에 형성된 다수의 에어포켓(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버시트(20)는, 상기 에어포켓(12)의 외측에 부착되고, 상기 베이스시트(11)와 일정 거리[에어포켓(12)의 높이만큼] 이격 설치되며, 비닐과 같이 유연성을 가진 연질의 재료로서 상기 베이스시트(11)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으나, 그 소재(재료)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베이스시트(11)와 상기 커버시트(20) 사이에 에어포켓(12)에 의한 공기층이 형성되므로 완충재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쿠션재(30)는 고무, 실리콘, 라텍스, 메모리 폼, 발포 합성수지와 같이 탄성과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제조된 것으로, 도 1의 (a)와 같이 상기 커버시트(20)의 외면에 부착되거나, 도 1의 (b)와 같이 상기 커버시트(20)의 외면을 비롯하여 상기 베이스시트(11)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베이스시트(11)의 외면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쿠션재(30)는 상기 베이스시트(11)의 외면과 상기 커버시트(20)의 외면 중 어느 하나의 면 또는 2개 면에 부착될 수 있는 것으로 탄성과 신축성을 가진 소재라면 그 두께와 재질(소재)에는 제한이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에어층(10)은 복수 개가 적층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시트(11)의 외면에는 제1베이스시트(11') 및 제1에어포켓(12')으로 이루어진 제1에어층(10')이 더 구비됨으로써 2개의 에어층(10)(10')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1에어층(10')의 외측에는 제2베이스시트(11") 및 제2에어포켓(12")으로 이루어진 제2에어층(10")이 구비됨으로써 3개의 에어층(10)(10')(1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에어층(10)은 4개 이상이 적층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에어층(10)이 복수 개인 경우 완충 성능이 향상된다.
도 4는 도 2의 변형 예를 보인 완충재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변형 예를 보인 완충재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에어층(10)(10') 중 에어층(10) 내의 에어포켓(12)들의 크기는 상호 균일하고, 또한 제1에어층(10') 내의 제1에어포켓(12')들의 크기도 상호 균일할 수 있지만, 도 4a와 같이 에어포켓(12)의 크기보다 제1에어포켓(12')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도 4b와 같이 에어포켓(12)의 크기가 제1에어포켓(12')이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에어층의 에어포켓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다이나믹한 완충성능을 나타낸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에어포켓이 3개의 층을 이룬 경우, 도 5a와 같이 제2에어포켓(12")의 크기가 나머지 에어포켓(12) 및 제1에어포켓(1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도 5b와 같이 제1에어포켓(12')의 크기가 나머지 에어포켓(12) 및 제2에어포켓(1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 5c와 같이 에어포켓(12)과 제2에어포켓(12")의 크기가 동일하고 제1에어포켓(12')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는 바, 그 외에도 이웃한 에어층의 에어포켓 크기는 다양한 형태로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완충재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른 완충재는, 크게 에어층(10), 커버시트(20) 및 차단시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의 (a)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에어층(10)은, 비닐과 같이 유연성을 가진 연질의 베이스시트(11)와,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시트(11)의 일측 면상에 형성된 다수의 에어포켓(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버시트(20)는, 상기 에어포켓(12)의 외측에 부착되고, 상기 베이스시트(11)와 일정 거리[에어포켓(12)의 높이만큼] 이격 설치되며, 비닐과 같이 유연성을 가진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단시트(40)는 상기 베이스시트(11)와 커버시트(20)와 함께 비닐과 같이 유연성을 가진 연질의 합성수지 재료로 제조된 것으로, 상기 베이스시트(11)의 가장자리와 상기 커버시트(20)의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상기 에어포켓(12)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폐쇄공간(41)을 형성한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시트(11)와 커버시트(20) 사이에는 에어포켓(10)에 의한 공기층 외에, 에어포켓(10)들 사이의 공간도 차단시트(40)에 의해 밀폐되어 폐쇄공간(41)을 가지며, 그에 따라 밀폐된 공기층을 2중으로 형성하므로 완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더욱이, 도 6의 (b)와 같이 상기 에어층(10)의 외면에는 제1에어층(10')이 더 구비되어 2개의 에어층(10)(10')을 형성할 수 있고, 각 에어층(10)(10')의 가장자리에는 차단시트(40)가 형성되며, 베이스시트(11)의 가장자리와 제1베이스시트(11') 가장자리는 모두 상기 차단시트(40)에 접하게 구성됨으로써 각 에어층(10)(10') 내에 폐쇄공간(41)이 형성된다.
도 6의 (c)와 같이 제1에어포켓(12')의 크기는 에어포켓(12)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반대로 도 6의 (d)와 같이 에어포켓(12)의 크기가 제1에어포켓(12')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의 (a)와 같이 에어층(10) 일측에 제1에어층(10') 및 제2에어층(1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3개의 에어층(10)(10')(10")을 형성할 수 있고, 각 에어층(10)(10')(10")의 가장자리에는 차단시트(40)가 형성되며, 베이스시트(11)의 가장자리, 제1베이스시트(11')의 가장자리 및 제2베이스시트(11")이 가장자리는 모두 상기 차단시트(40)에 접하게 구성됨으로써 각 에어층(10)(10')(10") 내에 폐쇄공간(41)이 형성된다.
에어층이 3개의 층을 이룬 경우, 도 7의 (b)와 같이 제2에어포켓(12")의 크기가 나머지 에어포켓(12) 및 제1에어포켓(1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도 7의 (c)와 같이 제1에어포켓(12')의 크기가 나머지 에어포켓(12) 및 제2에어포켓(1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 7의 (d)와 같이 에어포켓(12)과 제2에어포켓(12")의 크기가 동일하고 제1에어포켓(12')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는 바, 그 외에도 이웃한 에어층의 에어포켓 크기는 다양한 형태로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완충재의 단면도이다.
도 8의 (a)와 같이 상기 커버시트(20) 외면에는 탄성과 신축성을 가진 쿠션재(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쿠션재(30)는 고무, 실리콘, 라텍스, 메모리 폼, 발포 합성수지와 같이 탄성과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제조된 것으로, 도 8의 (b)와 같이 커버시트(20)의 외면을 비롯하여 베이스시트(11)의 외면에도 부착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베이스시트(11)의 외면에만 부착되는 것도 가능한바, 이 같이 상기 쿠션재(30)는 상기 베이스시트(11)의 외면과 상기 커버시트(20)의 외면 중 어느 하나의 면 또는 2개 면에 부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쿠션재(30)는 상기 에어층(10)이 복수 개가 적층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8의 (c)와 같이 2개의 에어층이 형성된 경우 커버시트(20)의 외면에 쿠션재(30)가 부착되거나, 도 8의 (d)와 같이 커버시트(20)의 외면을 비롯하여 제1베이스시트(11')의 외면에도 쿠션재(30)가 부착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3개 이상의 에어층이 형성된 경우에도 쿠션재(30)가 적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에어층 10': 제1에어층 10": 제2에어층
11: 베이스시트 11': 제1베이스시트 11": 제2베이스시트
12: 에어포켓 12': 제1에어포켓 12": 제2에어포켓
20: 커버시트
30: 쿠션재
40: 차단시트
41: 폐쇄공간

Claims (7)

  1. 유연성을 가진 연질의 베이스시트와,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시트의 일측 면상에 형성된 다수의 에어포켓을 포함하는 에어층;
    상기 에어포켓의 외측에 부착되어 상기 베이스시트와 이격 설치되고 유연성을 가진 연질의 커버시트;
    상기 베이스시트의 외면과 상기 커버시트의 외면 중 어느 하나의 면 또는 2개 면에 부착되고 탄성과 신축성을 가진 쿠션재;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포켓을 가진 완충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층은 복수 개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포켓을 가진 완충재.
  3. 제 2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에어층 중 각 층 내에 형성된 에어포켓의 크기는 상호 균일하고, 이웃한 에어층의 에어포켓 크기는 상대적으로 다른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포켓을 가진 완충재.
  4. 유연성을 가진 연질의 베이스시트와,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시트의 일측 면상에 형성된 다수의 에어포켓을 포함하는 에어층;
    상기 에어포켓의 외측에 부착되어 상기 베이스시트와 이격 설치되고 유연성을 가진 연질의 커버시트;
    상기 베이스시트의 가장자리와 상기 커버시트의 가장자리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에어포켓 사이의 공간이 밀폐된 폐쇄공간을 형성하고, 유연성을 가진 연질의 차단시트;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포켓을 가진 완충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시트의 외면과 상기 커버시트의 외면 중 어느 하나의 면 또는 2개 면에 부착되고 탄성과 신축성을 가진 쿠션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포켓을 가진 완충재.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층은 복수 개가 적층되고, 각 에어층의 베이스시트 가장자리는 상기 차단시트와 접하게 되어 각 에어층의 에어포켓 사이에 폐쇄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포켓을 가진 완충재.
  7. 제 6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에어층 중 각 층 내에 형성된 에어포켓의 크기는 상호 균일하고, 이웃한 에어층의 에어포켓 크기는 상대적으로 다른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포켓을 가진 완충재.
KR1020160051151A 2016-04-26 2016-04-26 에어포켓을 가진 완충재 KR201701220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151A KR20170122059A (ko) 2016-04-26 2016-04-26 에어포켓을 가진 완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151A KR20170122059A (ko) 2016-04-26 2016-04-26 에어포켓을 가진 완충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059A true KR20170122059A (ko) 2017-11-03

Family

ID=60383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151A KR20170122059A (ko) 2016-04-26 2016-04-26 에어포켓을 가진 완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20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592A (ko) * 2018-08-07 2020-02-17 주식회사 우레나 탄성섬유 패브릭을 이용한 에어셀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에어셀 구조 및 온열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592A (ko) * 2018-08-07 2020-02-17 주식회사 우레나 탄성섬유 패브릭을 이용한 에어셀 제조 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에어셀 구조 및 온열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93391B (zh) 包括弹性体缓冲元件和袋装弹簧层的床垫及相关方法
ES2441976T3 (es) Soporte de cuerpo con capas finas de materiales alternos y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l mismo
US10286626B2 (en) Pressure distributing aligned arrays of cushioning void cells
ES2558537T3 (es) Soporte amortiguador
US9955804B2 (en) Latex foam pillow
KR101641838B1 (ko) 에어포켓을 가진 완충재
AU2017332148A1 (en) Pillow including gelatinous elastomer cushion having deformable wall members and related methods
US20120031800A1 (en) Gel putties, articles comprising same, and methods of forming such gel putties and articles
US20140130265A1 (en) All-foam mattress assemblies with foam engineered cores having thermoplastic and thermoset materials,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WO2005074544A3 (en) Particulate filler mattress
KR101745862B1 (ko) 층간소음방지용 에어캡 매트
US20200378544A1 (en) Vacuum insulation panel arrangement
KR20170122059A (ko) 에어포켓을 가진 완충재
JP2009165570A (ja) 形状保持クッション
TW201628840A (zh) 具有改良式降噪及吸震的多層墊
KR101911148B1 (ko) 소음방지용 에어포켓을 갖는 쿠션 매트
KR102251292B1 (ko) Tpu 필름층을 구비한 기능성 매트
KR102162489B1 (ko) 고충격용 공기캡 제조방법
US20210368911A1 (en) An insulative material
KR20170000971U (ko) 발포소재 접이식 매트리스
JP2004236857A (ja) クッション材
KR101674174B1 (ko) 안전 방음 매트 소재의 제조 방법
KR102274040B1 (ko) 층간 소음방지 매트
KR20160132252A (ko) 항균 매트
JP2004089594A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