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1187A - 서비스 데이터 푸싱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서비스 데이터 푸싱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1187A
KR20170121187A KR1020177023732A KR20177023732A KR20170121187A KR 20170121187 A KR20170121187 A KR 20170121187A KR 1020177023732 A KR1020177023732 A KR 1020177023732A KR 20177023732 A KR20177023732 A KR 20177023732A KR 20170121187 A KR20170121187 A KR 20170121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formation
pushing
push information
service p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3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 정
팅멩 예
리앙핑 왕
Original Assignee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21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1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L67/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W76/02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원의 실시예들은 메시지 푸싱이 현재 디바이스에서 수행되고 있는 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서비스 데이터 푸싱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방법은,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시할 때, 지정된 동작의 기동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확립하는 단계,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및 관련 정보에 따라 서비스 푸시 정보에 대응하는 푸싱 페이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하고, 푸싱 페이지를 제시해서 상응하는 서비스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서비스 푸시 정보는 제 1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푸시되고 제 2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표시되므로, 제 1 디바이스에서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정보는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서비스 데이터 푸싱 방법, 장치, 및 시스템
본원은 모바일 단말기 기술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비스 데이터 푸싱 방법, 서비스 데이터 푸싱 장치, 및 서비스 데이터 푸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컴퓨터 단말기를 이용해서 비디오를 시청하거나, 게임을 플레이하거나, 또는 그 밖의 작업들을 수행하는 경우에, 때때로 사용자에게 일부 정보가 푸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정보에 관심이 있으면, 사용자는 클릭과 같은 동작을 통해 정보의 세부내용을 열도록 기동해서, 해당 정보에 대한 상응하는 작업들, 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제품의 구매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푸싱과 같은 상술한 방식으로 관심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는 현재 수행되고 있는 작업을 중지해야 하며, 예컨대 게임을 중지하거나 또는 비디오 시청을 중지해야 하며, 그에 따라 현재의 작업의 수행이 영향을 받게 된다.
본원의 실시예들에 의해 해결되어야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메시지 푸싱이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서비스 데이터 푸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응하게, 본원의 실시예들은 상기 방법의 구현 및 적용을 보장하는 서비스 데이터 푸싱 장치 및 서비스 데이터 푸싱 시스템을 추가로 제공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은,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시할 때, 지정된 동작의 기동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확립하는 단계,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및 관련 정보에 따라 서비스 푸시 정보에 대응하는 푸싱 페이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하고, 푸싱 페이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 푸싱 방법을 개시한다.
선택적으로, 지정된 동작의 기동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확립하는 단계는, 제 2 디바이스 상의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및 제 2 디바이스 상의 동작이 지정된 동작임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 2 디바이스와 제 1 디바이스간의 전송 채널의 확립을 기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 2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이고, 지정된 동작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흔드는 동작이다.
선택적으로, 제 2 디바이스와 제 1 디바이스간에 전송 채널의 확립을 기동하는 단계는,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된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디바이스를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하는 단계, 및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를 포함한다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제 1 디바이스와의 전송 채널을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는,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시하고 있는 지정된 기간 내에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데이터를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및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서비스 데이터를 파싱(parsing)해서, 파싱되는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관련 정보에 따라 서비스 푸시 정보에 대응하는 푸싱 페이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하고, 푸싱 페이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제시하는 단계는, 관련 정보를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비즈니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비즈니스 서버로부터 반환된 푸싱 페이지 어드레스 정보를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및 푸싱 페이지 어드레스 정보를 파싱함으로써 푸싱 페이지를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제시해서 상응하는 서비스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방법은, 사전 설정 기간 이후에 제 2 디바이스와 제 1 디바이스간에 전송되는 데이터가 없을 경우,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종료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방법은, 푸싱 페이지에 따라 반환되는 표시 정보를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취득하고, 표시 정보에 따라 상응하는 서비스 작업을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서비스 작업은 푸싱 페이지 상의 지정된 서비스 객체를 요청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본원의 실시예들은,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취득하는 단계, 제시를 위해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이미지에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부가하는 단계, 및 지정된 동작의 기동에 따라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의 확립을 완료한 후에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해서, 제 2 디바이스로 하여금 서비스 푸시 정보에 따라 상응하는 푸싱 페이지를 제시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 푸싱 방법을 추가로 개시한다.
선택적으로, 지정된 동작의 기동에 따라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의 확립을 완료한 후에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는, 제 2 디바이스가 지정된 동작에 따라 제 2 디바이스와 제 1 디바이스간의 전송 채널의 확립을 완료한 후에, 서비스 푸시 정보가 제시되고 있는 지정된 기간 내에,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를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방법은,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한 후에, 서비스 푸시 정보의 제시를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취소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원의 실시예들은,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시할 때, 지정된 동작의 기동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확립하도록 구성된 생성 모듈,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및 관련 정보에 따라 서비스 푸시 정보에 대응하는 푸싱 페이지를 결정하고 해당 푸싱 페이지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제시 모듈을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 푸싱 장치를 추가로 개시한다.
선택적으로, 생성 모듈은, 그것에 대한 동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서브-모듈, 및 그것에 대한 동작이 지정된 동작임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 1 디바이스와의 전송 채널의 확립을 기동하도록 구성된 생성 기동 서브-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 2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이고, 지정된 동작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흔드는 동작이다.
선택적으로, 생성 기동 서브-모듈은 그것에 의해 액세스된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디바이스를 검출하고,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를 포함한다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제 1 디바이스와의 전송 채널을 확립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전송 모듈은,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시하고 있는 지정된 기간 내에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서브-모듈, 및 서비스 데이터를 파싱해서, 파싱되는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파싱 서브-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시 모듈은 관련 정보를 비즈니스 서버에 전송하고, 비즈니스 서버로부터 반환된 푸싱 페이지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하고, 푸싱 페이지 어드레스 정보를 파싱함으로써 푸싱 페이지를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사전 설정 시간에 걸쳐 장치와 제 1 디바이스간에 전송되는 데이터가 없을 경우,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종료하도록 구성된 종료 모듈을 추가로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서비스 실행 모듈은 푸싱 페이지에 따라 반환되는 표시 정보를 취득하고, 표시 정보에 따라 상응하는 서비스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서비스 작업은 푸싱 페이지 상의 지정된 서비스 객체를 요청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본원의 실시예들은, 서비스 푸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 제시를 위해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이미지에 서비스 푸시 정보를 부가하도록 구성된 부가 및 제시 모듈, 및 지정된 동작의 기동에 따라 제 2 디바이스가 장치와의 통신 접속의 확립을 완료한 후에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해서, 제 2 디바이스로 하여금 서비스 푸시 정보에 대응하는 푸싱 페이지에 따라 상응하는 서비스 작업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전송 및 푸싱 모듈을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 푸싱 장치를 추가로 개시한다.
선택적으로, 전송 및 푸싱 모듈은, 제 2 디바이스가 지정된 동작에 따라 제 2 디바이스와 장치간에 전송 채널의 확립을 완료한 후에, 서비스 푸시 정보가 제시되고 있는 지정된 기간 내에,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를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부가 및 제시 모듈은,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한 후에, 서비스 푸시 정보의 제시를 취소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원의 실시예들은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 푸싱 시스템을 추가로 개시하고, 제 2 디바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의 서비스 데이터 푸싱 장치를 포함하고, 제 1 디바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은 후자의 서비스 데이터 푸싱 장치를 포함한다.
기존의 기술들과 비교하면, 본원의 실시예들은 하기의 장점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은 다수의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서비스 데이터의 푸싱을 실현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시하기 위해 채용되고, 제 2 디바이스는 지정된 동작의 기동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확립하며, 이로써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간의 통신이 실현된다. 이후, 제 2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관련 정보에 따라 서비스 푸시 정보에 대응하는 푸싱 페이지를 결정하고, 푸싱 페이지를 제시해서 상응하는 서비스 작업을 수행하며, 이로써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서비스 푸시 정보가 푸싱되고 제 2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서비스 푸시 정보가 표시된다. 따라서, 제 1 디바이스에서 현재 재생되고 있는 비디오 정보는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데이터 푸싱 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도 2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서비스 데이터 푸싱 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 측의 다른 서비스 데이터 푸싱 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 측의 다른 서비스 데이터 푸싱 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데이터의 푸싱 상호작용들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데이터 푸싱 장치의 구조 블럭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서비스 데이터 푸싱 장치의 구조 블럭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서비스 데이터 푸싱 장치의 구조 블럭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데이터 푸싱 시스템의 구조 블럭도이다.
본원의 상기 목적, 특징, 및 장점에 대한 보다 명확하고 용이한 이해가 가능하도록,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들 및 상세한 구현예들을 참조해서 본원을 더욱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원의 실시예들의 핵심적인 사상들 중 하나는 메시지 푸싱이 디바이스에서 수행되고 있는 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서비스 데이터 푸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은 다수의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서비스 데이터의 푸싱을 달성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시하기 위해 채용되고, 제 2 디바이스는 지정된 동작의 기동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이로써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간의 통신이 실현된다. 이후, 제 2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관련 정보에 따라 서비스 푸시 정보에 대응하는 푸싱 페이지를 결정하고, 해당 푸싱 페이지를 제시해서 상응하는 서비스 작업을 수행한다. 이로써,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서비스 푸시 정보가 푸시되고, 서비스 푸시 정보는 제 2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표시된다. 따라서, 제 1 디바이스에서 현재 재생되고 있는 비디오 정보는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구체적으로 하기의 절차를 포함할 수 있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데이터 푸싱 방법의 플로차트를 도시한다.
스텝 102: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시하면, 제 2 디바이스는 지정된 동작의 기동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확립한다.
본원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는 모두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지능형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컨대,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는 텔레비전, 컴퓨터, 디스플레이, 모바일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로서, 제 1 디바이스는 텔레비전이고, 제 2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이다. 사용자가 텔레비전을 통해 TV 방송 프로그램 또는 네트워크 비디오를 시청하는 경우, 텔레비전은 게임,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및 상품 정보 등과 같은 서비스 푸시 정보를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이미지에서 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지정된 동작을 수행해서, 텔레비전과의 통신 접속을 확립하라고 모바일 디바이스에 지시하도록 상응하는 기동 지시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단말기에서 지정된 애플리케이션(APP)이 시작되고 나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지정된 동작을 검출한다. 예컨대, 지정된 동작은 "흔들기(shaking)", 즉 수평방향 흔들기 및 수직방향 흔들기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흔들기이다.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와 텔레비전간의 통신 접속이 확립된다.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와 텔레비전이 서로 통신할 수 있게, 블루투스,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등을 통해 통신 접속이 확립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지능형 단말기를 의미한다. 또한, 푸시되는 서비스 푸시 정보는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콘텐츠 또는 시간 정보에 따라 매칭 및 제시되는 서비스 푸시 정보와 같이, 텔레비전 상에서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와 관련될 수 있다.
스텝 104: 제 2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제 1 디바이스로서, 텔레비전은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시할 때 상응하는 서비스 데이터를 접속되어 있는 네트워크에 송신할 수 있다. 서비스 데이터는 서비스 푸시 정보의 식별자와 같이,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텔레비전이 제 2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확립하기 때문에, 모바일 디바이스는 텔레비전에 의해 전송되는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스텝 106: 제 2 디바이스는 해당 관련 정보에 따라 서비스 푸시 정보에 대응하는 푸싱 페이지를 결정하고, 그 푸싱 페이지를 제시한다.
제 2 디바이스는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푸시 정보의 푸싱 페이지를 취득하고 나서, 해당 푸싱 페이지를 제 2 디바이스에서 제시하므로, 상응하는 서비스 작업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페이지에서 서비스 객체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작업은 푸싱 페이지 상에서 지정된 서비스 객체를 요청하는 작업, 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딩, 다른 페이지로의 전환, 상품의 구매 등을 포함한다.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지정된 동작이 APP을 통해 결정되고, 모바일 디바이스와 텔레비전간의 통신 접속이 확립된 후에, APP은 관련 정보에 따라 서비스 푸시 정보에 대응하는 푸싱 페이지를 취득할 수 있다. 이후, APP은 푸싱 페이지를 제시하고 후속 서비스 작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서비스 푸시 정보가 텔레비전에 푸시되고, 텔레비전 상의 콘텐츠의 정상적인 재생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상응하는 서비스 작업이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표시되고 수행된다.
요컨대, 다수의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서비스 데이터가 푸시된다. 제 1 디바이스는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시하기 위해 채용되고, 제 2 디바이스는 지정된 동작의 기동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확립하며, 이로써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간의 통신이 실현된다. 이후, 제 2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관련 정보에 따라 서비스 푸시 정보에 대응하는 푸싱 페이지를 결정하고, 해당 푸싱 페이지를 제시해서 상응하는 서비스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서비스 푸시 정보는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푸시되고, 서비스 푸시 정보는 제 2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표시되며, 그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에서 현재 재생되고 있는 비디오 정보가 영향을 받는 것이 방지된다.
제 2 실시예
전술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실시예는 서비스 데이터 푸싱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도 2는 구체적으로 하기의 절차를 포함할 수 있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서비스 데이터 푸싱 방법의 플로차트를 도시한다.
스텝 202: 제 1 디바이스는 서비스 푸시 정보를 취득한다.
스텝 204: 제 1 디바이스는 제시를 위해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이미지에 서비스 푸시 정보를 부가한다.
TV 방송 프로그램 또는 네트워크 비디오와 같은 비디오의 재생시에, 제 1 디바이스는 서비스 푸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서비스 푸시 정보는 사전에 제 1 디바이스에서 캐시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로부터 취득될 수 있다. 이후, 제 1 디바이스는 재생중인 비디오의 데이터 스트림의 파싱시에 서비스 푸시 정보를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이미지에 부가한다. TV 방송 프로그램 또는 네트워크 비디오가 재생될 때, 상응하는 서비스 푸시 정보가 푸시 및 제시된다.
스텝 206: 지정된 동작의 기동에 따라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의 확립을 완료한 후에 제 1 디바이스는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해서, 제 2 디바이스로 하여금 서비스 푸시 정보에 따라 상응하는 푸싱 페이지를 제시하게 한다.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푸시 정보를 푸싱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기는 지정된 동작의 기동을 통해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가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성공적으로 확립한 후에, 제 1 디바이스는 서비스 푸시 정보를 네트워크 경유로 전송하고,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예를 들면, 서비스 푸시 정보의 식별자)를 통신 접속을 통해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제 2 디바이스는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푸시 정보에 대응하는 푸싱 페이지를 후속하여 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상응하는 서비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다중-단말기 서비스 데이터 푸싱은 제 2 디바이스 및 제 1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실현된다. 제 1 디바이스가 제시를 위해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이미지에 서비스 푸시 정보를 부가한 후에, 제 2 디바이스는 지정된 동작의 기동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성공적으로 확립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통신 접속을 통해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해서, 서비스 푸시 정보에 대응하는 푸싱 페이지가 제 2 디바이스에 제시되게 하는 한편, 상응하는 서비스 작업이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 수행되게 한다. 이렇게 해서, 제 1 디바이스 상에 푸시된 서비스 푸시 정보가 제 2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표시되고, 제 1 디바이스 상에서 현재 재생되고 있는 비디오가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 3 실시예
전술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실시예는 제 1 디바이스와 모바일 단말기간의 상호작용에 기초하여 서비스 데이터 푸싱 방법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3은 구체적으로 하기의 절차를 포함할 수 있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 측의 다른 서비스 데이터 푸싱 방법의 플로차트를 도시한다.
스텝 302: 제 1 디바이스는 서비스 푸시 정보를 취득한다.
스텝 304: 제 1 디바이스는 제시를 위해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이미지에 서비스 푸시 정보를 부가한다.
스텝 306: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는 지정된 기간 내에 제 2 디바이스에 전송된다.
본원의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디바이스가 지정된 동작의 기동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성공적으로 확립한 후에, 제 1 디바이스는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이는, 제 2 디바이스가 제 2 디바이스와 제 1 디바이스간의 전송 채널을 지정된 동작에 따라 성공적으로 확립하고 나서, 서비스 푸시 정보가 제시되고 있는 지정된 기간 내에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를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서비스 푸시 정보를 취득한 후에, 제 1 디바이스는 서비스 푸시 정보를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이미지에 부가할 수 있고, 이로써 비디오 이미지가 재생될 때 서비스 푸시 정보가 제시된다. 이후, 제 1 디바이스는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이용해서 서비스 데이터를 형성하고, 제 1 디바이스의 통신 접속을 통해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리소스의 낭비를 줄이기 위해, 서비스 데이터의 전송에 대하여 시간 임계치, 즉 3분과 같은 지정된 기간이 설정될 수 있다. 서비스 푸시 정보가 제시된 후에 타이머가 시작되고,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가 해당 지정된 기간 내에 전송된다. 지정된 기간이 지나면,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의 전송이 중지된다.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시할 때, 제 2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간의 전송 채널을 확립해서 푸시된 서비스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디바이스는 서비스 데이터를 지정된 기간 내에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간의 전송 채널에 전송하므로, 제 2 디바이스가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간의 전송 채널의 확립을 완료한 후에는, 확립이 완료되었기 때문에, 시간이 지정된 기간을 초과하면, 제 2 디바이스가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 채널로부터 수신하지 않게 된다.
본원의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한 후에, 방법은,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서비스 푸시 정보의 제시를 취소하는 절차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한 후에, 제 2 디바이스는 서비스 푸시 정보에 대응하는 푸싱 페이지를 제시해서 사용자가 후속 서비스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 1 디바이스는 서비스 푸시 정보의 푸싱을 끝마쳤고, 그러므로 서비스 푸시 정보의 제시를 취소할 수 있으며, 즉 더 이상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분명하게는, 본원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서비스 푸시 정보의 제시 기간은 사전에 추가로 설정될 수 있다. 제시 기간이 끝나면, 서비스 푸시 정보의 제시는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가 제 2 디바이스에 전송되었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취소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제시를 위해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제 2 디바이스에 푸싱하는 것을 실현한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2 디바이스에서 제시된 정보가 제시를 위해 자동으로 제 1 디바이스에 전송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프로세스의 세부내용은 스텝 308 내지 스텝 310에서 도시된다.
스텝 308: 제 1 디바이스는 제 2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서비스 객체의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스텝 310: 제 1 디바이스는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객체 정보를 비즈니스 서버로부터 취득하고, 제시를 위해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이미지에 서비스 객체 정보를 부가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기는 제 1 디바이스에서 푸시되는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는 또한, 제 1 디바이스에 표시되도록 서비스 객체의 관련 정보를 전송해서 제 1 디바이스를 통한 관련 정보의 제시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 2 디바이스와 제 1 디바이스간의 전송 채널이 확립된 후에, 제 2 디바이스와 제 1 디바이스는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는 통신 채널을 통해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서비스 객체의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관련 정보를 비즈니스 서버에 송신하고, 해당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객체 정보를 비즈니스 서버로부터 취득하고, 제시를 위해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이미지에 서비스 푸시 정보를 부가한다.
현재 비디오가 재생되고 있을 때, 제 1 디바이스는 비디오의 재생과 동시에 제시되도록 서비스 객체 정보를 비디오의 비디오 이미지에 부가한다. 비디오가 현재 재생되고 있지 않으면, 제 1 디바이스는 서비스 객체 정보를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이미지로서 제시할 수 있다. 분명하게는, 경우에 따라, 비디오가 현재 제 1 디바이스에서 재생될 수 있으며, 서비스 객체 정보가 표시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비디오의 재생은 중지될 수 있으며, 서비스 객체 정보가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이미지로서 제시된다.
이렇게 해서, 제 2 디바이스와 제 1 디바이스간에 전송 채널을 확립함으로써, 제 2 디바이스와 제 1 디바이스간의 양방향 데이터 통신이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푸시된 서비스 푸시 정보가 표시되고 상응하는 서비스 작업이 수행된다. 또한, 제 2 디바이스의 서비스 객체 정보도 제시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객체 정보가 제 1 디바이스의 대형 스크린을 이용해서 더욱 명확하게 제시될 수 있다.
도 4는 구체적으로 하기의 절차를 포함할 수 있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 측의 다른 서비스 데이터 푸싱 방법의 플로차트를 도시한다.
스텝 402: 제 2 디바이스 상의 동작이 검출된다.
스텝 404: 제 2 디바이스와 제 1 디바이스간의 전송 채널의 확립은 제 2 디바이스 상의 동작이 지정된 동작임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기동된다.
제 2 디바이스 상의 동작은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확립하기 위해 검출된다.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되고 나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시하는 경우, 제 2 디바이스는 해당 서비스 푸시 정보를 표시하고 제 2 디바이스 상의 지정된 동작에 의해 서비스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제 2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이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지정된 APP이 시작된 후에, APP은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동작을 검출하고 해당 동작이 지정된 동작인지,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를 수직방향으로 또는 수평방향으로 흔드는 동작인지 또는 손으로 모바일 디바이스의 스크린 상을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인지 등의 여부를 결정한다. 이 경우에, 상응하는 기동 지시가 생성되고 나서, 해당 기동 지시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와 제 1 디바이스간에 전송 채널이 확립된다.
본원의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디바이스와 제 1 디바이스간의 전송 채널의 확립을 기동하는 것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된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디바이스를,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하는 것, 및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를 포함한다는 것이 검출되면 제 1 디바이스와의 전송 채널을,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확립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컨대, 제 2 디바이스는 와이파이 접속을 통해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거나, 또는 블루투스를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되거나 한다. 와이파이는 개인용 컴퓨터 및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은 지능형 단말기들을 무선으로 서로 접속할 수 있는 기술이다. 블루투스는 디바이스들의 단거리 통신(통상적으로 10m 이내)을 지원하는 무선 기술이다.
제 2 디바이스는 먼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되는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디바이스를 검출해서, 해당 네트워크에서 접속된 액세스 디바이스를 결정한다.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를 포함한다는 검출에 응답하여, 제 2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와의 전송 채널을 확립한다. 예컨대, 제 2 디바이스와 제 1 디바이스간의 전송 채널은 와이파이를 통해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에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제 2 디바이스와 제 1 디바이스간의 전송 채널은 블루투스를 통해 확립될 수 있다.
스텝 406: 제 2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시하고 있는 지정된 기간 내에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한다.
스텝 408: 제 2 디바이스는 해당 서비스 데이터를 분석해서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취득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지정된 기간 내에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된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한다. 서비스 데이터는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통신 채널을 성공적으로 확립한 후에, 지정된 기간이 지나지 않았다면, 상응하는 모바일 단말기는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당 서비스 데이터를 파싱해서 상응하는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스텝 410: 제 2 디바이스는 해당 관련 정보를 비즈니스 서버에 전송한다.
스텝 412: 제 2 디바이스는 비즈니스 서버에 의해 반환되는 푸싱 페이지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한다.
스텝 414: 제 2 디바이스는 푸싱 페이지 어드레스 정보를 파싱함으로써 푸싱 페이지를 제시한다.
스텝 416: 푸싱 페이지에 따라 반환되는 표시 정보가 취득되고, 해당 표시 정보에 따라 상응하는 서비스 작업이 수행된다.
제 2 디바이스는 관련 정보를 비즈니스 서버에 전송한다. 비즈니스 서버는, 관련 정보를 수신한 후에, 서비스 푸시 정보에 대응하는 푸싱 페이지 어드레스 정보를 검색하고 나서, 푸싱 페이지 어드레스 정보를 제 2 디바이스에 반환한다.
제 2 디바이스는 푸싱 페이지 어드레스 정보에 대한 요청을 송신해서 푸싱 페이지의 페이지 정보를 요청하고, 푸싱 페이지를 파싱하고, 서비스 푸시 정보의 푸싱 페이지를 제시한다. 사용자가 푸싱 페이지 상의 정보에 관심이 있으면, 사용자는 관심 정보에 대한 표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디바이스는 표시 정보에 따라 상응하는 서비스 작업, 즉 상응하는 상품의 구매, 상응하는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딩 등과 같이, 푸싱 페이지 상의 지정된 서비스 객체를 요청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스텝 418: 제 2 디바이스는 사전 설정 시간 내에 제 2 디바이스와 제 1 디바이스간에 전송되는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디바이스와 제 1 디바이스간의 통신 채널은 접속 상태가 항상 유지되는 것이 아니어서, 리소스의 낭비를 줄인다. 구체적으로, 제 2 디바이스는 사전 설정 시간 내에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가 없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사전 설정 시간이 지나지 않았다면, 통신 채널을 계속해서 유지한다. 사전 설정 시간 내에 전송되는 데이터가 없다면, 제 2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종료한다.
본원의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디바이스는 서비스 객체의 관련 정보를 취득하고, 서비스 객체의 관련 정보를 제 1 디바이스에 전송해서, 서비스 객체의 상응하는 정보를 제 1 디바이스 상에 제시한다.
제 2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제시될 필요가 있는 서비스 객체 정보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제 2 디바이스도 마찬가지로 검출된 지정된 동작의 기동을 통해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간의 전송 채널을 확립할 수 있다. 이후, 제 2 디바이스는 서비스 객체의 관련 정보를 취득하고 해당 관련 정보를 전송 채널을 통해 제 1 디바이스에 전송하며, 이로써 서비스 객체의 상응하는 정보가 제 1 디바이스의 대형 스크린을 통해 제시되게 된다.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간의 서비스 푸싱 방법을 위에서 기술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쇼핑 상황을 예시로서 이용하여 다중-디바이스 푸싱 방법을 기술한다.
도 5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데이터와 연관된 푸싱 상호작용들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제 1 디바이스로서는 텔레비전이 상정되고, 제 2 디바이스로서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상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 디바이스 상에 제시된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 2 디바이스에 제시를 위해 전송하는 한편, 상응하는 서비스 작업을 수행하는 프로세스가 스텝 5.02 내지 스텝 5.20을 통해 기술된다. 그 세부내용은 다음을 포함한다.
5.02: 텔레비전은 서비스 푸시 정보를 취득한다.
5.04: 텔레비전은 제시를 위해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이미지에 서비스 푸시 정보를 부가한다.
5.06: 텔레비전은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를 지정된 기간 내에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5.08: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동작이 검출된다.
5.10: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동작이 지정된 동작임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와 텔레비전간의 전송 채널이 확립되도록 기동한다.
5.12: 모바일 디바이스는 서비스 데이터를 파싱해서, 파싱되는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취득한다.
5.14: 모바일 디바이스는 관련 정보를 비즈니스 서버에 전송한다.
5.16: 비즈니스 서버는 관련 정보에 따라 푸싱 페이지 어드레스 정보를 검색한다.
5.18: 비즈니스 서버는 푸싱 페이지 어드레스 정보를 반환한다.
5.20: 모바일 디바이스는 푸싱 페이지 어드레스 정보를 파싱함으로써 푸싱 페이지를 제시해서 상응하는 서비스 작업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텔레비전에 대하여 푸시된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쇼핑 상황에서, 비디오 또는 TV 방송 프로그램이 텔레비전에서 재생되는 경우, 텔레비전의 후위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의 콘텐츠 및 시간과 같은 정보에 따라 서비스 푸시 정보로서 푸시될 상품 정보를 생성하고 나서, 제시를 위해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이미지에 상품 정보를 부가할 수 있다. 텔레비전은, 후속하여 텔레비전에 의해 액세스된 네트워크에 상품 정보를 지정된 기간 내에 푸시한다.
사용자가 TV 시청시에 푸시된 상품 정보에 관심이 있으면,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응하는 쇼핑 APP을 시작하고, 흔들기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 상의 지정된 동작을 수행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지정된 동작에 의해 기동되고 나서, 모바일 디바이스와 텔레비전간의 전송 채널을 확립하고, 텔레비전에 의해 전송되는 상품 정보의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관련 정보는, 상품 ID, 또는 푸시된 활동의 활동 페이지 식별자 등과 같이, 추천된 상품을 식별하는데 이용된다.
이어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관련 정보를 쇼핑 웹사이트의 서버에 전송한다. 서버는 관련 정보에 따라 상응하는 푸싱 페이지 어드레스 정보를 검색하고, 푸싱 페이지 어드레스 정보를 제 2 디바이스에 반환한다. 제 2 디바이스는 푸싱 페이지 어드레스 정보에 따라 상품 페이지의 페이지 정보를 요청하고, 페이지 정보를 파싱함으로써, 해당 페이지가 쇼핑 APP에 제시된다. 상품의 상세한 정보는 사용자의 작업에 따라 제시되고, 상품을 주문 및 구매하는 등의 서비스 작업이 수행된다.
따라서,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시한 후에, 텔레비전은 단지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액세스된 네트워크에 전송할 필요가 있을 뿐이다. 서비스 푸시 정보의 후속 표시 및 그 밖의 서비스 작업들은 모두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므로, 텔레비전은 비디오를 계속해서 정상 재생할 수 있고, 사용자는 비디오를 시청하면서 관심 있는 서비스 푸시 정보에 대한 서비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전술한 쇼핑 상황에서 텔레비전을 이용해서 TV 프로그램을 시청할 때, 텔레비전의 단말기는 TV 프로그램의 콘텐츠 및 시간과 같은 정보에 따라 관련 상품이 배경에 푸시된 후에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단거리 네트워크(예를 들면,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를 통해 외부로 방송한다. 동일한 네트워크 환경하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면 지정된 동작을 통해 텔레비전에 접속할 수 있다. 예컨대, 지정된 동작은 흔들기일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은 이 지정된 동작을 검출한다. 이 경우에, 텔레비전과의 통신 채널이 즉시 확립되도록 시작된다. 성공적으로 확립된 후에, 모바일 디바이스는 텔레비전에 의해 방송된 상품의 정보를 취득하고, 해당 상품의 상세한 정보를 직접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는 빠르고 편리하며, 정상 조건하에서 1초 내지 3초 이내에 종료될 수 있다.
이후, 일정한 시간 안에 텔레비전 상의 서비스 푸시 정보의 신속한 디스플레이 페이지가 숨겨질 수 있다. 대안으로서, 서비스 푸시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수신한 후에 숨겨진다. 이 프로세스에 있어서는, 텔레비전이 TV 프로그램의 재생을 유지하는 동안,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상품이 제시되어 있다. 쇼핑 작업들의 프로세스가 후속하여 완료되도록 계속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텔레비전은 지정된 시간 범위 내에 푸시되는 정보를 재생하고, 사전 설정 기간 내에 제시된 상품은 상기 프로세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지정된 동작에 의해 기동되기 때문에, 새로운 쇼핑 해법: 즉 시청하면서 쇼핑하기가 실현된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디바이스로부터 제 2 디바이스까지 푸싱하는 것에 더하여, 제 2 디바이스 상에 제시된 정보가 제시를 위해 제 1 디바이스에 푸시될 수도 있다. 해당 절차의 세부내용은 5.22 내지 5.34로서 도시된다.
5.22: 모바일 디바이스는 서비스 객체의 관련 정보를 취득한다.
5.24: 모바일 디바이스는 서비스 객체의 관련 정보를 텔레비전에 전송한다.
5.26: 텔레비전은 관련 정보에 따라 비즈니스 서버에 요청한다.
5.28: 비즈니스 서버는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객체 정보를 취득한다.
5.30: 비즈니스 서버는 서비스 객체 정보를 텔레비전에 반환한다.
5.32: 서비스 객체 정보는 제시를 위해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이미지에 부가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다중-디바이스 상호작용은 텔레비전 상의 서비스 푸싱 콘텐츠에 따라 수행될 수 있고, 또한 다중-디바이스 상호작용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기동될 수도 있으며, 즉 모바일 디바이스는 텔레비전 상에 디스플레이될 필요가 있는 서비스 객체 정보를 갖는다. 예컨대, 사용자는 쇼핑 상황에서 텔레비전 상에 구매될 상품을 디스플레이해서 상품의 세부내용을 더욱 명확하게 표시하고 싶어한다.
이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는 먼저 텔레비전과의 전송 채널을 확립하고, 상품 페이지의 페이지 어드레스와 같은 서비스 객체의 관련 정보를 취득하고, 페이지 어드레스를 텔레비전에 전송할 수 있다. 텔레비전은, 페이지 어드레스를 수신한 후에, 쇼핑 웹사이트의 서버로부터 페이지 어드레스의 페이지 정보를 요청하고, 서버로부터 반환되는 페이지 정보를 수신하고 나서 페이지 정보를 파싱해서 상응하는 상품을 제시한다.
상품 콘텐츠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제시된 서비스 객체는 텔레비전의 대형 스크린에 동기하여 푸시된다. 상품의 주문과 같은 서비스 작업들은 계속해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완료된다. 따라서, 상품은 텔레비전의 대형 스크린을 통해 더욱 명확하게 제시된다.
5.34: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전 설정 기간 내에 모바일 디바이스와 텔레비전간에 전송되는 데이터가 없을 경우에, 텔레비전과의 통신 접속을 종료한다.
실시예들에 있어서, 사전 설정 기간 내에 모바일 디바이스와 텔레비전간에 전송되는 데이터가 없을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는 텔레비전과의 통신 접속을 종료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비디오 프로그램이 텔레비전 등을 이용하여 대형 스크린 상에서 시청되는 동안, 프로그램을 중단시키는 일 없이 쇼핑을 완수할 수 있고, 즉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쇼핑 작업이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 스크린은 사이즈가 제한되기 때문에, 상품의 상세한 정보는 텔레비전의 대형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그에 따라 다중-디바이스 상호작용의 쇼핑 해법이 실현된다.
방법 실시예들은 설명의 편의상 일련의 동작 조합들로 표현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일부 스텝들이 본원의 실시예들에 따라 다른 순서로 또는 병렬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본원의 실시예들은 기술된 동작 순서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다음으로, 당업자라면 또한,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들이 모두 바람직한 실시예이고, 수반된 동작들이 본원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의무적인 것은 아닐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제 4 실시예
전술한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실시예들은 서비스 데이터 푸싱 장치를 추가로 개시하고, 해당 장치는 제 2 디바이스 측에 위치된다.
도 6은 구체적으로 하기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데이터 푸싱 장치의 구조 블럭도를 도시한다.
생성 모듈(602)은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시할 때 지정된 동작의 기동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확립하도록 구성된다.
전송 모듈(604)은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시 모듈(606)은 관련 정보에 따라 서비스 푸시 정보에 대응하는 푸싱 페이지를 결정하고 해당 푸싱 페이지를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요컨대, 다수의 디바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서비스 데이터가 푸시된다. 제 1 디바이스는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시하기 위해 채용되고, 제 2 디바이스는 지정된 동작의 기동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확립하며, 이로써 제 1 디바이스와 제 2 디바이스간의 통신이 실현된다. 제 2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관련 정보에 따라 서비스 푸시 정보에 대응하는 푸싱 페이지를 결정하고, 해당 푸싱 페이지를 제시해서 상응하는 서비스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서비스 푸시 정보는 제 1 디바이스를 통해 푸시되고, 서비스 푸시 정보는 제 2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표시된다. 따라서, 제 1 디바이스에서 현재 재생되고 있는 비디오 정보는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도 7은 구체적으로 하기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서비스 데이터 푸싱 장치의 구조 블럭도를 도시한다.
생성 모듈(702)은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시할 때 지정된 동작의 기동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확립하도록 구성된다.
전송 모듈(704)은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시 모듈(706)은 관련 정보에 따라 서비스 푸시 정보에 대응하는 푸싱 페이지를 결정하고 해당 푸싱 페이지를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서비스 실행 모듈(708)은 푸싱 페이지에 따라 반환되는 표시 정보를 취득하고, 표시 정보에 따라 상응하는 서비스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종료 모듈(710)은, 사전 설정 시간 이후에 장치 자체와 제 1 디바이스간에 전송되는 데이터가 없을 경우,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종료하도록 구성된다.
본원의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생성 모듈(702)은 장치 상의 동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서브-모듈(70202), 및 장치 상의 동작이 지정된 동작임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 1 디바이스와의 전송 채널의 확립을 기동하도록 구성된 생성 기동 서브-모듈(70204)을 포함한다.
본원의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이고, 지정된 동작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흔드는 동작이다.
생성 기동 서브-모듈(70204)은 장치에 의해 액세스된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디바이스를 검출하고, 액세스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검출되면 제 1 디바이스와의 전송 채널을 확립하도록 구성된다.
본원의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전송 모듈(704)은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시하고 있는 지정된 기간 내에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서브-모듈(70402), 및 서비스 데이터를 파싱해서, 파싱되는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파싱 서브-모듈(70404)을 포함한다.
제시 모듈(706)은 관련 정보를 비즈니스 서버에 전송하고, 비즈니스 서버에 의해 반환된 푸싱 페이지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하고, 푸싱 페이지 어드레스 정보를 파싱함으로써 푸싱 페이지를 제시해서 상응하는 서비스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원의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작업은 푸싱 페이지 상의 지정된 서비스 객체를 요청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전송 모듈(704)은 서비스 객체의 관련 정보를 취득하고, 상응하는 서비스 객체 정보를 제 1 디바이스 상에 제시하기 위해 서비스 객체의 관련 정보를 제 1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 5 실시예
전술한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본 실시예는 서비스 데이터 푸싱 장치를 추가로 제공하고, 해당 장치는 제 1 디바이스 측에 위치된다.
도 8은 구체적으로 하기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서비스 데이터 푸싱 장치의 구조 블럭도이다.
획득 모듈(802)은 서비스 푸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부가 및 제시 모듈(804)은 제시를 위해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이미지에 서비스 푸시 정보를 부가하도록 구성된다.
전송 및 푸싱 모듈(806)은, 지정된 동작의 기동에 따라 제 2 디바이스가 장치와의 통신 접속을 성공적으로 확립한 후에,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해서, 제 2 디바이스로 하여금 서비스 푸시 정보에 따라 상응하는 푸싱 페이지를 제시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중-단말기 서비스 데이터 푸싱이 제 2 디바이스 및 제 1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실현된다. 제 1 디바이스가 제시를 위해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이미지에 서비스 푸시 정보를 부가한 후에, 제 2 디바이스는 지정된 동작의 기동에 따라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의 확립을 완료한다. 제 1 디바이스는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통신 접속을 통해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해서, 서비스 푸시 정보에 대응하는 푸싱 페이지가 제 2 디바이스 상에 제시되게 하고,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 상응하는 서비스 작업이 수행되게 한다. 이렇게 해서, 제 1 디바이스 상에 푸시된 서비스 푸시 정보는 제 2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표시되고, 그에 따라 제 1 디바이스 상에서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가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원의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전송 및 푸싱 모듈(806)은, 제 2 디바이스가 지정된 동작에 따라 제 2 디바이스와 장치간의 전송 채널을 성공적으로 확립한 후에,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를 서비스 푸시 정보가 제시되고 있는 지정된 기간 내에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원의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전송 및 푸싱 모듈은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서비스 객체의 관련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부가 및 제시 모듈은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객체 정보를 비즈니스 서버로부터 취득하고, 제시를 위해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이미지에 서비스 객체 정보를 부가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원의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부가 및 제시 모듈은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가 제 2 디바이스에 전송된 후에 서비스 푸시 정보의 제시를 취소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 6 실시예
전술한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본 실시예는 서비스 데이터 푸싱 시스템을 추가로 개시한다.
도 9는 구체적으로 하기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는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데이터 푸싱 시스템의 구조 블럭도를 도시한다.
서비스 데이터 푸싱 시스템은 제 2 디바이스(902) 및 제 1 디바이스(904)를 포함한다.
제 2 디바이스(902)는 제 4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서비스 데이터 푸싱 장치를 포함하고, 제 1 디바이스(904)는 제 5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서비스 데이터 푸싱 장치를 포함한다. 그 세부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반복하여 기술되지 않는다.
장치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방법 실시예들과 유사하고, 따라서 그 기재는 비교적 단순하다. 관련 부분들은 방법 실시예들의 각각의 기재 부분들에 대하여 참조될 수 있다.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진행형으로 기술된다. 각각의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들과는 다르게 강조한다. 실시예들의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분들은 서로 참조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원의 실시예들이 방법, 장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원의 실시예들은 완전한 하드웨어 실시예로서, 완전한 소프트웨어 실시예로서,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인 실시예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들은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컴퓨터 사용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가능한 스토리지 매체(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CD-ROM, 광 메모리 등을 포함) 상에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될 수 있다.
전형적인 구성에 있어서, 컴퓨팅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CPU), 입력/출력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예컨대 리드-온리 메모리(ROM) 또는 플래시 RAM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의 일례이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을 이용해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타입의 착탈식 또는 비-착탈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는 컴퓨터-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그 밖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스토리지 매체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PRAM(phase-change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다른 타입의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신속 플래시 메모리(quick flash memory) 또는 그 밖의 내부 스토리지 기술, CD-ROM(compact disk read-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또는 그 밖의 광학 스토리지, 자기 카세트 테이프,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그 밖의 자기 스토리지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비-전송 매체(non-transmission media)를 예로서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규정된 바와 같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변조 데이터 신호 및 반송파와 같은 일시적인 매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개시물은 본 개시물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플로차트 및/또는 블럭도를 참조로 기술된다. 플로차트 및/또는 블럭도에서 각각의 프로세스 및/또는 블럭을, 또한 플로차트 및/또는 블럭도에서 프로세스(들) 및/또는 블럭(들)의 조합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머신을 생성하기 위해 범용 컴퓨터, 특수-목적 컴퓨터, 내장형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 단말기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제공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에 의해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 단말기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명령어는 플로차트에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및/또는 블럭도에서의 하나 이상의 블럭에서 지정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생성한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또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 단말기 디바이스에 특정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도 있으므로, 컴퓨터 판독가능 스토리지 디바이스에 저장된 명령어는 지시 장치를 포함하는 제조품을 생성한다. 지시 장치는 플로차트에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및/또는 블럭도에서의 하나 이상의 블럭에서 지정되는 기능(들)을 구현한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는 일련의 작업이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단말기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도록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데이터 처리 단말기 디바이스에 로딩될 수도 있으며, 이로써 컴퓨터 구현 처리가 생성된다. 따라서,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단말기 디바이스에서 실행된 명령어는 플로차트에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및/또는 블럭도에서의 하나 이상의 블럭에서 지정된 기능(들)을 구현하는 절차를 제공한다.
본원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기본적인 발명 개념을 이해한 후에 이들 실시예에 대하여 다른 변경 및 수정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은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본원의 실시예들의 범위 안에서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게 하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제 1(first)" 및 "제 2(second)"와 같은 관계어는 하나의 엔티티 또는 작업을 다른 엔티티 또는 작업과 구별하는 데에만 사용되고, 실제로 이들 엔티티들 또는 작업들 사이의 이들 중 어느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필요로 하거나 또는 나타내는 것이 아님을 또한 유의해야 한다. 또한, "포함하는(include)", "구성하는(comprise)"과 같은 용어 또는 그 밖의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커버하려는 것이므로,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는 해당 요소들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은 다른 요소들도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의 고유한 요소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다. 추가로 제한하지 않더라도, "…를 포함하는(include a/an…)"이라는 구문에 의해 정의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단말기 디바이스에 존재하도록 다른 동일 요소들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원에 제공된 서비스 데이터 푸싱 방법, 서비스 데이터 푸싱 장치, 및 서비스 데이터 푸싱 시스템이 위에서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원의 원리 및 구현을 설명하기 위해 특정한 예시들이 이용되고, 상기 실시예들의 설명은 본원의 방법 및 그 핵식적인 사상을 이해하는 것을 돕는 데에만 사용된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원의 사상에 기초하여 특정한 구현예 및 적용 범위를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요컨대, 명세서의 내용은 본원에 대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25)

  1. 서비스 데이터 푸싱 방법으로서,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시할 때, 지정된 동작의 기동(triggering)에 따라 상기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확립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푸시 정보에 대응하는 푸싱 페이지(pushing page)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하고, 상기 푸싱 페이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정된 동작의 기동에 따라 상기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확립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디바이스 상의 동작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 상의 동작이 지정된 동작임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상기 제 1 디바이스간에 전송 채널을 확립하도록 기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이고, 상기 지정된 동작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흔드는 동작인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상기 제 1 디바이스간에 전송 채널을 확립하도록 기동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된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디바이스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포함한다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와의 전송 채널을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시하고 있는 지정된 기간 내에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파싱해서, 파싱되는 상기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푸시 정보에 대응하는 푸싱 페이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하고, 상기 푸싱 페이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제시하는 단계는,
    상기 관련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비즈니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비즈니스 서버로부터 반환된 푸싱 페이지 어드레스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푸싱 페이지 어드레스 정보를 파싱함으로써 상기 푸싱 페이지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전 설정 기간 이후에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상기 제 1 디바이스간에 전송되는 데이터가 없을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종료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 페이지에 따라 반환되는 표시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취득하고, 상기 표시 정보에 따라 상응하는 서비스 작업을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작업은 상기 푸싱 페이지 상의 지정된 서비스 객체를 요청하는 작업을 포함하는
    방법.
  10. 서비스 데이터 푸싱 방법으로서,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취득하는 단계,
    제시를 위해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이미지에 상기 서비스 푸시 정보를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부가하는 단계, 및
    지정된 동작의 기동에 따라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성공적으로 확립한 후에 상기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푸시 정보에 따라 상응하는 푸싱 페이지를 제시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지정된 동작의 기동에 따라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성공적으로 확립한 후에 상기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지정된 동작에 따라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상기 제 1 디바이스간에 전송 채널을 성공적으로 확립한 후에, 상기 서비스 푸시 정보가 제시되고 있는 지정된 기간 내에, 상기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한 후에, 상기 서비스 푸시 정보의 제시를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취소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3. 서비스 데이터 푸싱 장치로서,
    제 1 디바이스가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시할 때 지정된 동작의 기동에 따라 상기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확립하도록 구성된 생성 모듈,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전송 모듈, 및
    상기 관련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푸시 정보에 대응하는 푸싱 페이지를 결정하고 해당 푸싱 페이지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제시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모듈은,
    상기 장치 상의 동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서브-모듈, 및
    상기 장치 상의 동작이 상기 지정된 동작임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장치와 상기 제 1 디바이스간에 전송 채널의 확립을 기동하도록 구성된 생성 기동 서브-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이고, 상기 지정된 동작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흔드는 동작인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기동 서브-모듈은 상기 장치에 의해 액세스된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디바이스를 검출하고, 상기 액세스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디바이스를 포함한다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와의 전송 채널을 확립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모듈은,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서비스 푸시 정보를 제시하고 있는 지정된 기간 내에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서브-모듈, 및
    상기 서비스 데이터를 파싱해서, 파싱되는 상기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파싱 서브-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 모듈은 상기 관련 정보를 비즈니스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비즈니스 서버에 의해 반환된 푸싱 페이지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푸싱 페이지 어드레스 정보를 파싱함으로써 상기 푸싱 페이지를 제시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9. 제 13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전 설정 기간 이후에 상기 장치와 상기 제 1 디바이스간에 전송되는 데이터가 없을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와의 통신 접속을 종료하도록 구성된 종료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20.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 페이지에 따라 반환되는 표시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표시 정보에 따라 상응하는 서비스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서비스 실행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작업은 상기 푸싱 페이지 상의 지정된 서비스 객체를 요청하는 작업을 포함하는
    장치.
  22. 서비스 데이터 푸싱 장치로서,
    서비스 푸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
    제시를 위해 현재 재생중인 비디오 이미지에 상기 서비스 푸시 정보를 부가하도록 구성된 부가 및 제시 모듈, 및
    지정된 동작의 기동에 따라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장치와의 통신 접속을 성공적으로 확립한 후에 상기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해서, 상기 제 2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서비스 푸시 정보에 대응하는 푸싱 페이지에 따라 상응하는 서비스 작업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 전송 및 푸싱 모듈을 포함하는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및 푸싱 모듈은, 상기 제 2 디바이스가 상기 지정된 동작에 따라 상기 제 2 디바이스와 상기 장치간에 전송 채널을 성공적으로 확립한 후에, 상기 서비스 푸시 정보가 제시되고 있는 지정된 기간 내에, 상기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및 제시 모듈은, 상기 서비스 푸시 정보의 관련 정보를 상기 제 2 디바이스에 전송한 후에, 상기 서비스 푸시 정보의 제시를 취소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장치.
  25. 서비스 데이터 푸싱 시스템으로서,
    제 1 디바이스 및 제 2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디바이스는 제 13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서비스 데이터 푸싱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서비스 데이터 푸싱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177023732A 2015-02-26 2016-02-05 서비스 데이터 푸싱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1701211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088747.1A CN105992046B (zh) 2015-02-26 2015-02-26 一种业务数据的推送方法、装置和系统
CN201510088747.1 2015-02-26
PCT/CN2016/073591 WO2016134636A1 (zh) 2015-02-26 2016-02-05 一种业务数据的推送方法、装置和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187A true KR20170121187A (ko) 2017-11-01

Family

ID=56787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3732A KR20170121187A (ko) 2015-02-26 2016-02-05 서비스 데이터 푸싱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353756A1 (ko)
EP (1) EP3264781A4 (ko)
JP (1) JP2018512105A (ko)
KR (1) KR20170121187A (ko)
CN (1) CN105992046B (ko)
WO (1) WO20161346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03392B (zh) * 2017-01-02 2021-04-06 郑洪� 信息推送方法、信息推送装置及信息推送系统
CN106572005B (zh) * 2017-01-02 2021-04-06 郑洪� 信息推送方法、装置及系统
CN109327709B (zh) * 2018-11-23 2021-02-12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道具投放方法及装置、计算机存储介质、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3783B2 (en) * 1998-12-14 2006-04-25 Immunex Corp. Polynucleotide encoding IL-1 zeta polypeptide
US8443087B2 (en) * 2003-10-09 2013-05-14 Rockstar Consortium Us Lp System for managing sessions and connections in a network
WO2007034787A1 (ja) * 2005-09-26 2007-03-29 Nec Corporation 携帯電話端末、データ処理開始方法、データ伝送方法
WO2009076474A2 (en) * 2007-12-10 2009-06-18 Deluxe Digital Studio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e in coordinating multimedia devices
US8607137B2 (en) * 2008-07-05 2013-12-10 Exceedland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information accessibility via a global communications network
JP2013509803A (ja) * 2009-10-29 2013-03-14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マルチスクリーンの双方向性スクリーン・アーキテクチャ
US20120017237A1 (en) * 2010-07-17 2012-01-19 Yang Pan Delivering Advertisements Based on Digital Televis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30247121A1 (en) * 2010-11-26 2013-09-19 Ming Yuan Interaction method between digital television reception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erminal and system
US8863196B2 (en) * 2010-11-30 2014-10-14 Sony Corporation Enhanced information on mobile device for viewed program and control of internet TV device using mobile device
KR101996098B1 (ko) * 2011-06-15 2019-10-01 소니 주식회사 수신 장치, 단말 장치, 제어 방법, 프로그램 및 통신 시스템
US9524609B2 (en) * 2011-09-30 2016-12-20 Igt Gaming system, gaming device and method for utilizing mobile devices at a gaming establishment
WO2013103581A1 (en) * 2012-01-06 2013-07-11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sing social messages with a content timeline
KR101971624B1 (ko) * 2012-07-25 2019-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의 정보 표시 방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 이동 단말의 제어 신호 생성 방법
CN104641357B (zh) * 2012-09-28 2018-07-06 索尼公司 信息处理设备、移动终端、信息处理方法、程序和信息处理系统
FR3006525B1 (fr) * 2013-06-04 2016-10-14 Visiware Synchronisation de contenus multimedia sur deuxieme ecran
KR102142067B1 (ko) * 2013-07-12 2020-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CN103763626B (zh) * 2013-12-19 2017-11-21 华为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推送方法、设备和系统
CN104135776B (zh) * 2014-02-25 2016-01-0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跨终端建立连接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3997676A (zh) * 2014-04-28 2014-08-2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显示方法、装置和系统
CN103997688B (zh) * 2014-04-28 2018-09-0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交互系统、装置和方法
CN103929667A (zh) * 2014-04-30 2014-07-16 北京融合视讯科技有限公司 一种多屏互动方法、服务器及多屏互动系统
CN104270665A (zh) * 2014-09-18 2015-01-07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辅助信息的显示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64781A1 (en) 2018-01-03
WO2016134636A1 (zh) 2016-09-01
CN105992046A (zh) 2016-10-05
EP3264781A4 (en) 2018-10-24
JP2018512105A (ja) 2018-05-10
CN105992046B (zh) 2020-07-07
US20170353756A1 (en)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17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data by using NFC
US10529384B2 (en) Video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KR102277606B1 (ko) 정보 푸시 방법 및 디바이스
US11093981B2 (en) Smart broadcasting device
TWI495332B (zh) 經由動態矩陣編碼產生之下訂
US2017033922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nd Content Transmission for Multi-Display
CN108933948B (zh) 一种视频播放进度同步方法及装置
JP6383109B2 (ja) 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ネットワーク接続機器、端末、通信機器、ネットワーク接続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700787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ommerce events
CN106534910B (zh) 一种多媒体播放控制系统、方法及装置
WO2015058623A1 (zh) 一种多媒体数据共享方法和系统、及电子设备
JP2018522299A (ja) 無線モバイル決済デバイス
CN111240614B (zh) 投屏处理方法、装置和设备
US20170171571A1 (en) Push Video Documentation Methods and Appliances
CN112312222A (zh) 视频发送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20170353756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ushing service data
TW201712575A (zh) 數位物件標識符(doi)顯示方法及裝置
WO2015196656A1 (zh) 通知消息处理方法、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US10382607B2 (en) Switching TV channels using a mobile device and a set-top box
WO2017166297A1 (zh) WiFi热点Portal认证方法和装置
CN104639973B (zh) 一种信息推送方法及装置
CN106211353B (zh) 数据获取方法、装置和系统
KR101779973B1 (ko) 영상 컨텐츠의 정지영상을 이용하여 커머스 광고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N110830527A (zh) 一种网络间数据通信的方法、装置及数据通信系统
CN113220654A (zh) 内容分享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