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1076A -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 - Google Patents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1076A
KR20170121076A KR1020170051161A KR20170051161A KR20170121076A KR 20170121076 A KR20170121076 A KR 20170121076A KR 1020170051161 A KR1020170051161 A KR 1020170051161A KR 20170051161 A KR20170051161 A KR 20170051161A KR 20170121076 A KR20170121076 A KR 201701210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frame
shielding film
light shielding
gear
rotar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창
Original Assignee
이주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창 filed Critical 이주창
Publication of KR20170121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0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세워지는 복수의 기둥 프레임; 상기 기둥 프레임의 상단에 각각 결합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인출구가 형성된 복수의 지붕 프레임; 상기 지붕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축; 일단이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귄취되고, 타단이 상기 지붕 프레임의 인출구로 인출되는 차광막;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차광막을 상기 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인출하거나 상기 회전축에 귄취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APPARATUS FOR BLOCKING LIGHT IN OUTDOOR SPACE}
본 발명은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광 장치는 주택, 상가의 출입구, 창문의 외벽, 자전거 보관소, 옥외 휴식공간, 옥외 이동통로, 옥외 주차장 등에 설치되어, 인체에 해로운 자외선 차단과 주차된 차량에 복사열을 차단함으로 보다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함이다.
이러한 종래의 차광 장치는 철이나 알루미늄 재질의 섀시를 임의의 형태로 절단하여 요접작업을 통해 프레임을 형성하고, 그 위에 덮개로 합성 수지 또는 직물지, 비닐지를 씌워 프레임에 고정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43610호(발명의 명칭: 차양막 구조물)에서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통랭로 또는 휴식공간에 설치되며,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지되는 지주, 지주를 연결하는 지붕을 형성하는 지지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차양막 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차광 장치는 설치 및 분해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활용도가 우수하며, 분리 및 이동이 간편하여 이전 설치 및 겨울철 분리 보관이 용이한 차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광장치는 기둥 프레임 및 지붕 프레임에 익스테리어 자체 및 태양광 모듈을 이용한LED 조명, 스마트 기기 충전 단자, 응급호출 버튼, 화분을 적용하여 미적이고 실용적인 차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간용 차광장치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세워지는 복수의 기둥 프레임; 상기 기둥 프레임의 상단에 각각 결합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인출구가 형성된 복수의 지붕 프레임; 상기 지붕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축; 일단이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귄취되고, 타단이 상기 지붕 프레임의 인출구로 인출되는 차광막;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차광막을 상기 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인출하거나 상기 회전축에 귄취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활용도가 우수하며, 분리 및 이동이 간편하여 이전 설치 및 겨울철 분리 보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외 공간용 차광장치는 기둥 프레임 및 지붕 프레임에 익스테리어 자체 및 태양광 모듈을 이용한 LED 조명, 스마트 기기 충전 단자, 응급호출 버튼, 화분을 적용하여 미적이고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회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은 차광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 프레임(2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3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35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회전부(7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10)(이하, '차광 장치(10)'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차광 장치(10)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세워지는 복수의 기둥 프레임(100)과 기둥 프레임(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복수의 지붕 프레임(200)을 포함한다.
기둥 프레임(100)은 하단부가 지면에 고정되고, 상단부에 지붕 프레임(200)이 고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기둥 프레임(100)의 상단부에는 지붕 프레임(200)의 중앙부가 결합되거나 2개의 지붕 프레임(200)이 결합되어, 결합된 부분이 결합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또한, 기둥 프레임(100)에는 조명부(500) 및 USB 충전단자(600)가 구비되며, 조명부(500) 및 USB 충전단자(600)는 후술되는 태양광 모듈(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지붕 프레임(200)은 기둥 프레임(100)의 상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인출구(260)가 형성된다.
또한, 차광 장치(10)는 지붕 프레임(200)의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축(210), 일단이 회전축(210)에 고정되어 권취되고, 타단이 지붕 프레임(200)의 인출구(260)로 인출되는 차광막(220) 및 회전축(210)을 회전시켜, 차광막(220)을 인출구(260)로 인출하는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회전축(210)은 지붕 프레임(2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중앙 지지부(240) 및 측부 지지부(250)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중앙 지지부(240)는 회전축(210)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회전축(2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측부 지지부(250)는 회전축(210)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하고, 회전축(210)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회전축(210)에는 중앙 지지부(240)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차광막(220)이 권취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중앙 지지부(240) 및 측부 지지부(250)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회전축(210)이 베어링을 관통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회전축(210)은 측부 지지부(250)에 의해서만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될 수도 있다.
차광막(220)은 회전축(210)에 권취되어 있으며, 차광막(220)을 잡아 당김으로 회전축(210)이 회전되며, 인출구(260)를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인출된 차광막(220)은 제2 지붕 프레임(202)의 회전축(210)에 일단부가 체결되며, 제2 지붕 프레임(202)의 회전축(210)을 회전시킴에 따라 차광막(220)이 처짐이 없이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차광막(220)의 일측면에는 차광막(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부(230)가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와이어부(2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광막(220)의 길이방향(차광막(220)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길게 위치하고, 차광막(220)의 폭방향(길이방향의 수직된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복수가 위치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와이어부(230)는 차광막(220)의 하부에 X자형태로 교차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차광막(220)은 와이어부(230)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차광막(220)은 PVC 메쉬 원단일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구동부(300)는 회전축(210)을 회전시켜, 차광막(220)을 회전축(210)에 권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300)는 회전축(210)의 일단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기어(310), 회전축(210)의 일단부에 삽입되고, 제1 기어(310)에 치합되는 제2 기어(320), 제2 기어(320)를 회전시키는 모터부(330), 및 모터부(3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부(340)는 모터부(330)를 제어하여, 회전축(21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부(3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부(330)와 인접한 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기둥 프레임(100)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컨트롤부(340)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300)는 일측에 제2 기어(320)가 형성된 손잡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술한 바와 같이, 차광막(220)을 모터부(330)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권취하거나, 손잡이부(350)를 회전시켜 차광막(220)을 수동으로 권취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350)를 사용할 경우, 손잡이부(350)의 일측에 형성된 제2 기어(320)를 제1 기어(310)에 삽입하여, 사용자기 손잡이부(35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차광막(220)을 인출구(260)를 통해 회전축(210)에 권취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350)의 제2 기어(320)와 회전축(210)의 제1 기어(310)가 작동 중 이탈되지 않도록 록킹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작업을 종료하여 손잡이부(350)를 탈거시, 사용자는 록킹버튼을 눌러 손잡이부(350)의 기어부를 탈거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300)는 차광막(220)이 처지지 않고 전개될 수 있도록 차광막(22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10)의 지붕 프레임(200)은 일단이 기둥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메인 지붕 프레임(203) 및 일단이 메인 지붕 프레임(203)의 단부에 결합되고, 지면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된 서브 지붕 프레임(20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10)는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고정된 서브 지붕 프레임(204)을 통해, 햇빛을 좀 더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차광 장치(10)는 지붕 프레임(200)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양광 모듈(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태양광 모듈(400)이란 태양빛을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서, 태양전기, 축전지, 전력변환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모듈(400)은 차광막(220)의 상부면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이때 태양전지는 플렉시블 태양전지일 수 있다.
또한, 차광 장치(10)는 태양광 모듈(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조명부(500) 및 USB 충전단자(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500)는 태양광 모듈(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할 수 있으며, 기둥 프레임(100)에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조명부(500)는 지붕 프레임(200)의 하부면 또는 차광막(220)의 하부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조명부(500)는 차광막(220)의 하부면에 위치할 경우, 플렉시블 LED일 수 있다.
USB 충전단자(600)는 기둥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차광막(220)에 의해 형성된 그늘에서 쉬고 있는 사람들에게 휴대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10)는 지붕 프레임(200)을 지면과 수직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프레임 회전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말해, 프레임 회전부(700)는 기둥 프레임(100)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지붕 프레임(20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차광막(220)이 전개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붕 프레임(201)은 하부에 프레임 회전부(700)가 위치하여, 기둥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붕 프레임(201)의 차광막(220)은 단부가 제2 지붕 프레임(202)에 고정되어, 제1 지붕 프레임(201)과 제2 지붕 프레임(202) 사이의 공간에 그늘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붕 프레임(201)을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후, 제1 지붕 프레임(201)의 차광막(220)을 제3 지붕 프레임(203)에 고정시켜, 제1 지붕 프레임(201)과 제3 지붕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그늘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차광 장치
100 : 기둥 프레임
200 : 지붕 프레임
201 : 제1 지붕 프레임 202 : 제2 지붕 프레임
203 : 메인 지붕 프레임 204 : 서브 지붕 프레임
210 : 회전축 220 : 차광막
230 : 와이어부 240 : 중앙 지지부
250 : 측부 지지부 260 : 인출구
300 : 구동부
310 : 제1 기어 320 : 제2 기어
330 : 모터부 340 : 컨트롤부
350 : 손잡이부
400 : 태양광 모듈 500 : 조명부
600 : USB 충전단자
700 : 프레임 회전부

Claims (11)

  1. 실외 공간 차광 장치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세워지는 복수의 기둥 프레임;
    상기 기둥 프레임의 상단에 각각 결합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인출구가 형성된 복수의 지붕 프레임;
    상기 지붕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축;
    일단이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귄취되고, 타단이 상기 지붕 프레임의 인출구로 인출되는 차광막;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차광막을 상기 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인출하거나 상기 회전축에 귄취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실외 공간 차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의 일측면에 상기 차광막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부를 더 포함하는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기둥 프레임에 결합되는 메인 지붕 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메인 지붕 프레임의 타단에 결합되고, 지면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된 서브 지붕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인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프레임은
    상기 회전축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앙 지지부; 및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측부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중앙 지지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상기 차광막이 권취되어 있는 것인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기어;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기어에 치합되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인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의 내부면에 형성된 제1 기어;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기어에 치합되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에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인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은 PVC 메쉬 원단 인 것인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프레임의 상부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양광 모듈을 더 포함하는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조명부을 더 포함하는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태양광 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USB 충전단자를 포함하는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프레임을 지면과 수직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프레임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
KR1020170051161A 2016-04-22 2017-04-20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 KR201701210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49550 2016-04-22
KR1020160049550 2016-04-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076A true KR20170121076A (ko) 2017-11-01

Family

ID=60382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161A KR20170121076A (ko) 2016-04-22 2017-04-20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10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634B1 (ko) 2018-09-17 2019-05-21 세현산업 주식회사 갱폼 건축현장용 작업효율 증진을 위한 슬라브 차광망 시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634B1 (ko) 2018-09-17 2019-05-21 세현산업 주식회사 갱폼 건축현장용 작업효율 증진을 위한 슬라브 차광망 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202B1 (ko) 스마트 횡단보도 그늘막
US6812397B2 (en) Photocurrent-generating fabric and support for such a fabric
KR102012748B1 (ko) 아치형 개폐식 지붕장치
KR101982972B1 (ko) 원격제어 기능을 가지는 파라솔
KR101122713B1 (ko) 높이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캠핑트레일러를 구비한 이동식 펜션
KR102277067B1 (ko) 지붕 개폐형 차양 시설
KR101281265B1 (ko) 지하공간 출입구의 환기 및 채광제어장치
KR101420375B1 (ko) 파라솔이 마련된 가로등
CN107355177A (zh) 一种智能化的窗檐遮阳避雨装置
KR100920492B1 (ko) 이동 차양막판을 구비한 케노피 구조물
KR101388006B1 (ko) 차량용 차양장치
CA2333458A1 (en) Awning with flexible solar modules
KR20170121076A (ko) 실외 공간용 차광 장치
KR101896736B1 (ko) 결로방지 롤 블라인드 창호 시스템
WO2013121448A1 (en) Folding outdoor awning
KR102311265B1 (ko) 텐션 시스템을 활용한 가든 하우스
JP2000096877A (ja) オーニング装置
US20050279393A1 (en) Tent with a skylight opening
KR102243107B1 (ko) 횡단보도용 스마트 쉘터
KR20190004884A (ko) 이동식 회전 가변주택
KR101445836B1 (ko) 기존 정자 구조를 유지한 채 차광막 및 비가림막이 설치된 구조를 갖는 정자
KR101470606B1 (ko) 간이주택의 차양 회전장치
KR20140012907A (ko) 자동차유리 차광용 롤블라인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실내 환기장치
CN2248209Y (zh) 伸缩式玻璃钢雨阳篷
KR20210111596A (ko) 스마트 전자동 개폐형 그늘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