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0917A - 시분할 다중접속 기반의 측위 방법, 측위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프레임의 구조 - Google Patents

시분할 다중접속 기반의 측위 방법, 측위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프레임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917A
KR20170120917A KR1020160049462A KR20160049462A KR20170120917A KR 20170120917 A KR20170120917 A KR 20170120917A KR 1020160049462 A KR1020160049462 A KR 1020160049462A KR 20160049462 A KR20160049462 A KR 20160049462A KR 20170120917 A KR20170120917 A KR 20170120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s
station
satellite air
air relay
satell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9964B1 (ko
Inventor
임재성
이규만
김기형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49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964B1/ko
Priority to PCT/KR2017/004306 priority patent/WO2017183947A1/ko
Priority to US16/095,541 priority patent/US10965362B2/en
Publication of KR20170120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3Satellite systems for providing telephony service to a mobile station, i.e. mobile satellite service
    • H04B7/18545Arrangements for managing station mobility, i.e. for station registration or localisation
    • H04B7/18547Arrangements for managing station mobility, i.e. for station registration or localisation for geolocalisation of a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02Airborne stations
    • H04B7/18506Communications with or from aircraft, i.e. aeronautical mobile service
    • H04B7/18508Communications with or from aircraft, i.e. aeronautical mobile service with satellite system used as relay, i.e. aeronautical mobile satellite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1Systems using a satellite or space-based r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04B7/2046SS-TDMA, TDMA satellite switching
    • H04B7/2048Frame structure, synchronisation or frame acquisition in SS-TDMA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65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or structure of frame, bur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구조는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로부터 기준 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할당되는 송출구간, 송출된 상기 기준 신호를, 중심국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에 의해 중계하기 위한 중계구간 및 상기 중심국, 상기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 또는 상기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전송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송출구간, 상기 중계구간, 상기 데이터전송구간이 서로 시분할 다중화되어 구성된다.

Description

시분할 다중접속 기반의 측위 방법, 측위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프레임의 구조{POSITIONING METHOD BASED ON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POSITIONING SYSTEM, AND FRAME STRUCTURE USED THEREI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기반의 측위 방법, 측위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프레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심국이 선택한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에 의해 중계된 기준 신호를 수신국이 수신하고 수신된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국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기반의 측위 방법, 측위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프레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13년도 정부(미래창조과학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이다(No. 2013R1A2A1A01016423).
군사용 네트워크, 예컨대 링크 16(Link-16) 등은 군사 전술 자료 교환을 목적으로 하며, 항공기 등의 이동체에 대한 정확한 측위는 군사 전술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당히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지상기준점은 지상기준점으로부터 가시선이 보장되는 이동체에 대해서는 이동체로 측위를 위한 메시지를 직접 송신하며, 이의 전파 시간을 통하여 해당 이동체의 위치를 측정한다.
지상기준점으로부터 가시선이 보장되지 않는 이동체에 대해서는 가시선이 보장되는 이동체를 기준으로 하는 상대 항법에 의한 측위가 수행되며, 가시선이 보장되는 이동체가 상대 항법 좌표의 원점이 되어 해당 군사 장비의 상대적인 위치를 측정한다. 하지만, 측위의 대상이 되는 이동체는 계속하여 이동하며 측위를 위하여 송신되는 메시지들 간에는 시간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측위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기반의 측위 방법, 측위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프레임의 구조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중심국이 선택한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에 의해 중계된 기준 신호를 수신국이 수신하고 수신된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국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기반의 측위 방법, 측위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프레임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구조는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로부터 기준 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할당되는 송출구간, 송출된 상기 기준 신호를, 중심국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에 의해 중계하기 위한 중계구간 및 상기 중심국, 상기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 또는 상기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전송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송출구간, 상기 중계구간, 상기 데이터전송구간이 서로 시분할 다중화되어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송출구간은 상기 중심국에 의해 선택된 상기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지상 기준국들로 전송하기 위한 중심국 슬롯, 및 각각이, 상기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 각각의 기준 신호 송출을 위해 할당되는 복수의 기준국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중계구간은, 각각이 상기 중심국에 의해 선택된 상기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 각각의 기준 신호 중계를 위해 할당된 복수의 중계국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기반의 측위 방법은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 후보들 중에서,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로부터 송출된 기준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위성항공 중계국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로부터 송출되어 상기 선택된 위성항공 중계국들에 의해 중계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기준 신호의 수신시간차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위성항공 중계국들 각각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위성항공 중계국들 각각의 위치와 상기 수신된 기준 신호의 도달시간에 기초하여 수신국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신호가 송출되는 송출구간, 상기 기준 신호가 중계되는 중계구간은 서로 시분할 다중화된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송출구간은 상기 중심국에 의해 선택된 상기 위성항공 중계국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지상 기준국들로 전송하기 위한 중심국 슬롯 및 각각이, 상기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 각각의 기준 신호 송출을 위해 할당되는 복수의 기준국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중계구간은 각각이, 상기 중심국에 의해 선택된 상기 위성항공 중계국들 각각의 기준 신호 중계를 위해 할당된 복수의 중계국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위성항공 중계국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중심국과 상기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 후보들 각각의 수평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위성항공 중계국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위성항공 중계국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 후보들 중에서, 상기 중심국과 수평 거리가 가장 먼 제1위성항공 중계국과 상기 중심국과 수평 거리가 가장 가까운 제2위성항공 중계국을 선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위성항공 중계국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위성항공 중계국과 상기 중심국이 이루는 기준선으로부터 기준각의 정수배 만큼의 각도를 갖는 기준점들을 기준으로 하여, 추가적으로 위성항공 중계국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기반의 측위 시스템은 각각이 기준 신호를 송출하는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 상기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에 의해 송출된 기준 신호를 중계하는 위성항공 중계국들,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 후보들 중에서, 신호 중계를 위한 상기 위성항공 중계국들을 선택하는 중심국 및 상기 위성항공 중계국들에 의해 중계되어 수신된 기준 신호의 수신시간차를 이용하여 상기 위성항공 중계국들 각각의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된 위성항공 중계국들 각각의 위치와 상기 수신된 기준 신호의 도달시간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를 판단하는 수신국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 신호가 송출되는 송출구간, 상기 기준 신호가 중계되는 중계구간은 서로 시분할 다중화된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송출구간은 상기 위성항공 중계국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로 전송하기 위한 중심국 슬롯 및 각각이 상기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 각각의 기준 신호 송출을 위해 할당되는 복수의 기준국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중계구간은 각각이 상기 위성항공 중계국들 각각의 기준 신호 중계를 위해 할당된 복수의 중계국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중심국은 상기 중심국과 상기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 후보들 각각의 수평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위성항공 중계국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중심국은 상기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 후보들 중에서, 상기 중심국과 수평 거리가 가장 먼 제1위성항공 중계국과 상기 중심국과 수평 거리가 가장 가까운 제2위성항공 중계국을 선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중심국은 상기 제1위성항공 중계국과 상기 중심국이 이루는 기준선으로부터 기준각의 정수배 만큼의 각도를 갖는 기준점들을 기준으로 하여, 추가적으로 위성항공 중계국들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과 장치 및 프레임 구조는, 중심국이 분산된 위치의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을 효과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위성항공 중계국들에 의해 중계된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국의 위치를 판단함에 따라 측위의 정확도와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심국이 선택한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에 대하여 유동적으로 슬롯을 할당함에 따라, 프레임이 효과적으로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기반의 측위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기반의 측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기준국이 위성항공 중계국들을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서 기준국이 위성항공 중계국들을 추가적으로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서 위성항공 중계국들의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서 수신국의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유닛)", "~기", "~자",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기반의 측위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기반의 측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기준국이 위성항공 중계국들을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서 기준국이 위성항공 중계국들을 추가적으로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서 위성항공 중계국들의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서 수신국의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기반의 측위 시스템(10)은 중심국(100),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200-1 ~ 200-4),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300-1 ~ 300-8), 및 수신국(40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측위 시스템(10)은 군사용 네트워크에서의 측위 목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용도의 네트워크에서의 측위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중심국(100)은 측위 시스템(10)의 동작을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중심국(100)은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 후보들(300-1 ~ 300-8) 중에서 측위에 사용될 위성항공 중계국들(예컨대, 300-1 ~ 300-4)을 선택하고, 선택된 위성항공 중계국들(예컨대, 300-1 ~ 300-4)에 관한 정보를 지상 기준국들(200-1 ~ 200-4)에 공유할 수 있다.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200-1 ~ 200-4)은 측위의 기준이 되는 지점으로서, 지상 기준국들(200-1 ~ 200-4)의 위치에 관한 정보는 중심국(100) 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 후보들(300-1 ~ 300-8)은 지상에서 이격되어 위치하며 신호를 중계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컨대,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 후보들(300-1 ~ 300-8)은 정지궤도 통신위성, 포워딩/통신 기능을 갖춘 인공위성, 또는 포워딩/통신 기능을 갖춘 항공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수신국(400)은 측위의 대상이 되는 장치이며, 도 2에서는 지상에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수신국(40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상의 이동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중심국(100)은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 후보들(300-1 ~ 300-8) 중에서,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200-1 ~ 200-4)로부터 송출된 기준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예컨대, 300-1 ~ 300-4)을 선택할 수 있다(S10).
S 10 단계에 대해서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중심국(100)은 도 2와 같이 중심국(100)과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 후보들(300-1 ~ 300-8) 간의 수평 거리를 계산하기 위하여, 중심국(100)과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 후보들(300-1 ~ 300-8)을 2차원 평면 상에 나타낼 수 있다.
중심국(100)은 중심국(100)과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 후보들(300-1 ~ 300-8) 각각의 수평 거리에 기초하여, 기준 신호 중계에 사용할 위성항공 중계국들(예컨대, 300-1, 300-2)을 선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중심국(100)은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 후보들(300-1 ~ 300-8) 중에서, 중심국(100)과 수평 거리(d1)가 가장 먼 제1위성항공 중계국(300-1)과 중심국(100)과 수평 거리(d2)가 가장 가까운 제2위성항공 중계국(300-2)을 선택할 수 있다.
중심국(100)은 제1위성항공 중계국(300-1)과 제2위성항공 중계국(300-2)에 추가적으로 위성항공 중계국들을 선택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중심국(100)은 제1위성항공 중계국(300-1)과 중심국(100)이 이루는 기준선(RL)으로부터 기준각(θ1)의 정수배(예컨대, θ2는 기준각(θ1)의 2배의 크기를 가짐) 만큼의 각도를 갖는 기준점들(P1, P2)을 기준으로 하여, 추가적으로 위성항공 중계국(예컨대, 300-3, 300-4)를 선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중심국(100)은 제1기준점(P1)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d3)의 위성항공 중계국(300-3)과 제2기준점(P2)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d4)의 위성항공 중계국(300-4)를 추가적으로 중계에 사용할 위성항공 중계국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로 돌아와서,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200-1 ~ 200-4) 각각은 중심국(100)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예컨대, 300-1 ~ 300-4)로 기준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S12).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200-1 ~ 200-4)로부터 송출된 기준 신호는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300-1 ~ 300-4)에 의해 중계되어 수신국(40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S14).
먼저, 수신국(400)은 수신된 기준 신호의 수신시간차를 이용하여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300-1 ~ 300-4) 각각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S16).
S16 단계에 대해서는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수신국(400)은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200-1 ~ 200-4)로부터 송출되어 제1위성항공 중계국(300-1)에 의해 중계된 기준 신호들(S11, S21, S31, S41)을 수신하고, 수신된 기준 신호들(S11, S21, S31, S41)의 시간차(Time Difference Of Arriaval(TDOA))를 이용하여 제1위성항공 중계국(300-1)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제1위성항공 중계국(300-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신국(400)은 위성항공 중계국들(300-1 ~ 300-4)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신국(400)은 S16 단계에서 판단된 위성항공 중계국들(300-1 ~ 300-4) 각각의 위치와, 수신된 기준 신호의 도달시간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S18).
S18 단계에 대해서는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수신국(400)은 지상 기준국(예컨대, 200-1)으로부터 송출되어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300-1 ~ 300-4)에 의해 중계된 기준 신호들(S11, S12, S13, S14)을 수신하고, 수신된 기준 신호들(S11, S12, S13, S14)의 도달 시간(Time Of Arriaval(TOA))를 이용하여 수신국(400) 자신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도 2,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은 크게 송출구간, 중계구간, 데이터전송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송출구간은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200-1 ~ 200-4)로부터 기준 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할당되며, 중계구간은 송출된 상기 기준 신호를 중심국(100)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예컨대, 300-1 ~ 300-4)에 의한 중계 신호 전송에 할당되며, 데이터전송구간은 중심국(100),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200-1 ~ 200-4),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예컨대, 300-1 ~ 300-4), 또는 그 이외의 네트워크에 가입된 모든 노드들(미도시)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할당된다.
송출구간, 중계구간, 데이터전송구간은 서로 시분할 다중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송출구간, 중계구간, 데이터전송구간 각각은 프레임의 효율적인 할당을 위하여 세부 슬롯들로 구성될 수 있다.
송출구간은 중심국(100)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예컨대, 300-1 ~ 300-4)에 관한 정보를 지상 기준국들(200-1 ~ 200-4)로 전송하기 위한 중심국 슬롯과 각각이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200-1 ~ 200-4) 각각의 기준 신호 송출을 위해 할당되는 복수의 기준국 슬롯들로 구성될 수 있다.
중심국(100)에 의해 선택되는 지상 기준국들의 개수에 따라 송출구간의 크기는 유동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중계구간은 중심국(100)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예컨대, 300-1 ~ 300-4) 각각의 기준 신호 중계를 위해 할당된 복수의 중계국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중심국(100)에 의해 선택되는 위성항공 중계국들의 개수에 따라 중계구간의 크기는 유동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기반의 측위 시스템
100 : 중심국
200-1 ~ 200-4 : 지상 기준국
300-1 ~ 300-8 : 위성항공 중계국
400 : 수신국

Claims (15)

  1.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로부터 기준 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할당되는 송출구간;
    송출된 상기 기준 신호를, 중심국에 의해 선택된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에 의해 중계하기 위한 중계구간; 및
    상기 중심국, 상기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 또는 상기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전송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송출구간, 상기 중계구간, 상기 데이터전송구간이 서로 시분할 다중화되어 구성되는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구간은,
    상기 중심국에 의해 선택된 상기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지상 기준국들로 전송하기 위한 중심국 슬롯; 및
    각각이, 상기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 각각의 기준 신호 송출을 위해 할당되는 복수의 기준국 슬롯들을 포함하는,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구간은,
    각각이, 상기 중심국에 의해 선택된 상기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 각각의 기준 신호 중계를 위해 할당된 복수의 중계국 슬롯들을 포함하는,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구조.
  4.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 후보들 중에서,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로부터 송출된 기준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위성항공 중계국들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로부터 송출되어 상기 선택된 위성항공 중계국들에 의해 중계된 기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기준 신호의 수신시간차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 각각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위성항공 중계국들 각각의 위치와 상기 수신된 기준 신호의 도달시간에 기초하여 수신국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 신호가 송출되는 송출구간, 상기 기준 신호가 중계되는 중계구간은 서로 시분할 다중화된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기반의 측위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구간은,
    상기 중심국에 의해 선택된 상기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지상 기준국들로 전송하기 위한 중심국 슬롯; 및
    각각이, 상기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 각각의 기준 신호 송출을 위해 할당되는 복수의 기준국 슬롯들을 포함하는,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기반의 측위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구간은,
    각각이, 상기 중심국에 의해 선택된 상기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들 각각의 기준 신호 중계를 위해 할당된 복수의 중계국 슬롯들을 포함하는,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기반의 측위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항공 중계국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중심국과 상기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 후보들 각각의 수평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위성항공 중계국들을 선택하는,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기반의 측위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항공 중계국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 후보들 중에서, 상기 중심국과 수평 거리가 가장 먼 제1위성항공 중계국과 상기 중심국과 수평 거리가 가장 가까운 제2위성항공 중계국을 선택하는,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기반의 측위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성항공 중계국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제1위성항공 중계국과 상기 중심국이 이루는 기준선으로부터 기준각의 정수배 만큼의 각도를 갖는 기준점들을 기준으로 하여, 추가적으로 위성항공 중계국들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기반의 측위 방법.
  10. 각각이 기준 신호를 송출하는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
    상기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에 의해 송출된 기준 신호를 중계하는 위성항공 중계국들;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 후보들 중에서, 신호 중계를 위한 상기 위성항공 중계국들을 선택하는 중심국; 및
    상기 위성항공 중계국들에 의해 중계되어 수신된 기준 신호의 수신시간차를 이용하여 상기 위성항공 중계국들 각각의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된 위성항공 중계국들 각각의 위치와 상기 수신된 기준 신호의 도달시간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를 판단하는 수신국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 신호가 송출되는 송출구간, 상기 기준 신호가 중계되는 중계구간은 서로 시분할 다중화된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기반의 측위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구간은,
    상기 위성항공 중계국들에 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로 전송하기 위한 중심국 슬롯; 및
    각각이, 상기 복수의 지상 기준국들 각각의 기준 신호 송출을 위해 할당되는 복수의 기준국 슬롯들을 포함하는,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기반의 측위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구간은,
    각각이, 상기 위성항공 중계국들 각각의 기준 신호 중계를 위해 할당된 복수의 중계국 슬롯들을 포함하는,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기반의 측위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국은,
    상기 중심국과 상기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 후보들 각각의 수평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위성항공 중계국들을 선택하는,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기반의 측위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국은,
    상기 복수의 위성항공 중계국 후보들 중에서, 상기 중심국과 수평 거리가 가장 먼 제1위성항공 중계국과 상기 중심국과 수평 거리가 가장 가까운 제2위성항공 중계국을 선택하는,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기반의 측위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국은,
    상기 제1위성항공 중계국과 상기 중심국이 이루는 기준선으로부터 기준각의 정수배 만큼의 각도를 갖는 기준점들을 기준으로 하여, 추가적으로 위성항공 중계국들을 선택하는, 시분할 다중접속 프레임 기반의 측위 시스템.
KR1020160049462A 2016-04-22 2016-04-22 시분할 다중접속 기반의 측위 방법, 측위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프레임의 구조 KR101839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462A KR101839964B1 (ko) 2016-04-22 2016-04-22 시분할 다중접속 기반의 측위 방법, 측위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프레임의 구조
PCT/KR2017/004306 WO2017183947A1 (ko) 2016-04-22 2017-04-21 시분할 다중접속 기반의 측위 방법, 측위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프레임의 구조
US16/095,541 US10965362B2 (en) 2016-04-22 2017-04-21 Positioning method based on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positioning system, and frame structure used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462A KR101839964B1 (ko) 2016-04-22 2016-04-22 시분할 다중접속 기반의 측위 방법, 측위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프레임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917A true KR20170120917A (ko) 2017-11-01
KR101839964B1 KR101839964B1 (ko) 2018-03-20

Family

ID=60116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462A KR101839964B1 (ko) 2016-04-22 2016-04-22 시분할 다중접속 기반의 측위 방법, 측위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프레임의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65362B2 (ko)
KR (1) KR101839964B1 (ko)
WO (1) WO20171839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9437A (zh) * 2018-11-07 2018-12-18 北京和协导航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区域组网系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731B1 (ko) * 2001-12-28 2004-08-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 시분할다중접속망의 유니캐스팅/멀티캐스팅 전송 및프레임 효율 향상을 위한 프레임 구조 및 제어 방법
US20050108374A1 (en) * 2003-11-14 2005-05-19 Pierzga Wayne F. Airborne radio relay system
KR101075098B1 (ko) 2009-07-21 2011-10-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계국 및 디코딩 후 전달 릴레이 시스템에서 처리율 향상 방법
KR101219467B1 (ko) * 2011-12-28 2013-01-1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지상기준국 기반 우주항공 노드중계 측위 시스템
WO2013100574A1 (ko) * 2011-12-28 2013-07-0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지상 조정통제국 기반 우주항공노드 통신중계 측위 시스템
KR101585540B1 (ko) * 2014-05-23 2016-01-14 국방과학연구소 폐쇄형 궤한 루프 위성 시분할 다중 접속방식 통신 네트워크를 위한 기준노드 다중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9437A (zh) * 2018-11-07 2018-12-18 北京和协导航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区域组网系统
CN109039437B (zh) * 2018-11-07 2023-08-25 北京和协导航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区域组网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65362B2 (en) 2021-03-30
KR101839964B1 (ko) 2018-03-20
WO2017183947A1 (ko) 2017-10-26
US20200358520A1 (en)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007185B (zh) 基于侧链路接口定位用户设备的方法
US9851445B2 (en) Real-time locating system using GPS time difference of arrival with digital off-air access units and remote units
US91919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determination
US109590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location tracking of multiple wireless terminals
US87918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door location tracking using pseudo GPS signal transmitter
US10838069B2 (en) Method to increase positioning accuracy of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by integration of correction service wi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02084700A (zh) 移动通信和定位设备
US11917504B2 (en) Remote identification system for the remote identification of an object
KR101839964B1 (ko) 시분할 다중접속 기반의 측위 방법, 측위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프레임의 구조
KR20120035840A (ko) 의사 gps 신호를 이용한 단말의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US10684351B2 (en) Terminal device and positioning system
US9066321B1 (en) Proxy-based establishment of a communication session
RU2505929C1 (ru) Система радиосвязи с подвижными объектами
US85602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mass transit vehicles
KR101468934B1 (ko) 시간 동기 획득 방법 및 그 장치
WO20160483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determination
KR101575885B1 (ko) 도달 시간 기반의 시간 동기 및 위치 획득 방법과 그 장치
KR102155910B1 (ko) Tdoa 시간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80506A (ko) 무인 물류 이송 장치 및 이를 지원하는 통신 장치
KR101468936B1 (ko) 노드들 간의 전파 지연 시간을 이용한 시간 동기 획득 방법 및 그 장치
KR101627579B1 (ko) 도달 시간 차이 기반의 위치 및 시간 동기 획득 방법과 그 장치
US20240196174A1 (en) Remote identification system for the remote identification of an object
WO2022207880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a beam direction configuration
RU2572829C1 (ru) Система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онахождения подвижных объектов
KR20090029456A (ko) 위성 통신 시스템에서 메시지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