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0755A - 망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 농작물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망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 농작물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755A
KR20170120755A KR1020160049015A KR20160049015A KR20170120755A KR 20170120755 A KR20170120755 A KR 20170120755A KR 1020160049015 A KR1020160049015 A KR 1020160049015A KR 20160049015 A KR20160049015 A KR 20160049015A KR 20170120755 A KR20170120755 A KR 20170120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nsor
management system
data
crop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9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3545B1 (ko
Inventor
김영민
김용광
김성광
이원규
정지훈
허도형
이선희
이석
송수현
권순범
조용진
윤용기
박지웅
이완주
박성훈
박슬기
유기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스피
Priority to KR1020160049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545B1/ko
Publication of KR20170120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04L67/1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 농작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며, 토양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센싱 유닛(100);과, 상기한 그룹 중 특정한 어느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상기 센싱 유닛(100)들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알에프아이디(RFID) 통신을 이용하여 각각 수집한 후, 망(mesh)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300)에 전달하는 정보 수집 중계 유닛(2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 농작물 관리 시스템(1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망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 농작물 관리 시스템{Argricultural System using mesh network}
본 발명은 망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 농작물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며, 토양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센싱 유닛(100);과, 상기한 그룹 중 특정한 어느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상기 센싱 유닛(100)들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알에프아이디(RFID) 통신을 이용하여 각각 수집한 후, 망(mesh)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300)에 전달하는 정보 수집 중계 유닛(2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 농작물 관리 시스템(10)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 및 수목의 관리는 관리자가 현장에 나가 농작물 및 수목의 생육 상태를 확인한 다음 사무실에 와서 자신이 확인한 생육 상태를 별도의 기록지에 기록하는 것으로 그 관리를 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다양한 전자기기의 도움으로 관리 방식이 간편해지고 단순해진 효과가 있게 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관리 방법은 농작물 및 수목의 관리를 위한 다양한 정보를 상호간 공유하기 어렵고, 해당 농작물에 대한 이력 관리와 생육 상황 관리를 위해서는 관리자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판단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관리 방법은 넓은 지역과 다수 작물 및 수목을 관리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한편, 대규모 농장 등에서 농작물 관리 시스템이 구현되는 경우, 토양의 함수비, 온도, 습도 등을 측정할 때 어느 위치에서 측정된 값인지를 명확히 구분하여 측정하는 것이 극히 중요하나, 기존의 발명에서는 측정 위치를 별도로 측정할 수 없기에 미리 정해진 센서 설치 위치에 따라 센서를 설치하고 그 위치를 등록하여두어야만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2-0052469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28103호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998-068917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84504호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이를 소정의 그룹으로 나누어 설치된 센싱 유닛에 의하여 다양한 위치에서의 토양의 함수비, 온도, 습도, 풍향 및 풍속 등 다양한 생장 환경에 관한 환경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 소정의 그룹에 속하는 센싱 유닛과 순차적으로 일대일 통신을 통하여 측정값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망(mesh)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위치정보 수집 중계 유닛(200)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농작물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또한, 각각의 센싱 유닛에서 자신의 설치 위치를 감지하여 함께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토지의 상태나 특성 등에 따라 자유롭게 센싱 유닛을 설치하여도 정확한 측정위치를 파악하여 효율적으로 측정값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한편, 각각의 센싱 유닛은 태양광 또는 알에프아이디 전력 변환을 통하여 자체적으로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망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 농작물 관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며, 토양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센싱 유닛(100);과, 상기한 그룹 중 특정한 어느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상기 센싱 유닛(100)들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알에프아이디(RFID) 통신을 이용하여 각각 수집한 후, 망(mesh)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300)에 전달하는 정보 수집 중계 유닛(2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싱 유닛(100)은, 토양에 삽입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토양 함수비 센서(121)와, 토양 밖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습도 센서(122), 기온 센서 및 풍향 풍속 센서(124)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서부(120);와, 상기 센서부(120)에서 각각 측정된 측정값들을 무선 송수신부(140)를 통하여 상기 정보 수집 중계 유닛(200)으로 송출하는 제어부(130);와, 상기 센서부(120), 제어부(130), 무선 송수신부(14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부(150)는,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발생한 전력을 배터리(152)에 저장하는 태양광 전지(153);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부(150)는, 상기 정보 수집 중계 유닛(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알에프아이디 신호를 수신하여 전력으로 바꾸어 배터리(152)에 저장하는 알에프 아이디 전력 변환부(151);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120)가 내장되는 센서 매설 지그(110);와, 상기 센서 매설 지그(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30), 상기 무선 송수신부(140) 및 상기 전원부(150)가 설치되는 케이스(170);와, 상기 케이스(170)의 상측을 덮도록 설치되는 투명 커버(171);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에 연결되며, 설치위치를 측정하여 전달하는 위치 감지부(16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 감지부(160)는 지피에스(16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 감지부(160)는 2개 이상의 상기 정보 수집 중계 유닛(200) 과의 알에프아이디 통신을 통한 삼각 측량방법에 의하여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이를 소정의 그룹으로 나누어 설치된 센싱 유닛에 의하여 다양한 위치에서의 토양의 함수비, 온도, 습도, 풍향 및 풍속 등 다양한 생장 환경에 관한 환경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 소정의 그룹에 속하는 센싱 유닛과 순차적으로 일대일 통신을 통하여 측정값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망(mesh)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로 전달하는 위치정보 수집 중계 유닛(200)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농작물 관리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센싱 유닛에서 자신의 설치 위치를 감지하여 함께 전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토지의 상태나 특성 등에 따라 자유롭게 센싱 유닛을 설치하여도 정확한 측정위치를 파악하여 효율적으로 측정값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한 것은 물론, 각각의 센싱 유닛은 태양광 또는 알에프아이디 전력 변환을 통하여 자체적으로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망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 농작물 관리 시스템의 전체구성 모식도.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망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 농작물 관리 시스템의 센싱 유닛의 구성 모식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망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 농작물 관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망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 농작물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도 1에서 일점 쇄선으로 구분하여 표현한 것처럼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며, 토양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센싱 유닛(100)과, 상기한 그룹 중 특정한 어느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상기 센싱 유닛(100)들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알에프아이디(RFID) 통신을 이용하여 각각 수집한 후, 망(mesh)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300)에 전달하는 정보 수집 중계 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센싱 유닛(10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토양에 삽입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토양 함수비 센서(121)와, 토양 밖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습도 센서(122), 기온 센서 및 풍향 풍속 센서(124)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서부(120)와, 상기 센서부(120)에서 각각 측정된 측정값들을 무선 송수신부(140)를 통하여 상기 정보 수집 중계 유닛(200)으로 송출하는 제어부(130)와, 상기 센서부(120), 제어부(130), 무선 송수신부(14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전원부(150)는 다수 개가 설치되는 상기 센싱 유닛(100)의 특성을 고려할 때 별도의 외부 전원 없이도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발생한 전력을 배터리(152)에 저장하는 태양광 전지(15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주기적/간헐적으로 측정을 수행하며,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도 전달되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이 적으므로 상기 정보 수집 중계 유닛(200)과 수동 알에프아이디(RFID) 통신으로도 충분한 통신이 가능한 상기 센싱 유닛(100)의 특성을 고려할 때, 상기 전원부(150)는 상기 정보 수집 중계 유닛(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알에프아이디 신호를 수신하여 전력으로 바꾸어 배터리(152)에 저장하는 알에프 아이디 전력 변환부(15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정보 수집 중계 유닛(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알에프아이디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후, 이와 같은 수신 신호의 일부를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152)에 저장한 후 작동에 필요한 전원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용이한 설치 및 관리를 위하여 상기 센싱 유닛(100)은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센서부(120)가 내장되는 센서 매설 지그(110)와, 상기 센서 매설 지그(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30), 상기 무선 송수신부(140) 및 상기 전원부(150)가 설치되는 케이스(170)와, 상기 케이스(170)의 상측을 덮도록 설치되는 투명 커버(17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대규모 농장 등에서 농작물 관리 시스템이 구현되는 경우, 많은 갯수의 상기 센싱 유닛(100)이 설치되어야 하는 바, 이 경우 미리 정해진 위치가 아니라 사용자가 자유로이 설치한 후 추 후 그 설치 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정보 수집 중계 유닛(200)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센싱 유닛(100)은 상기 제어부(130)에 연결되며, 설치위치를 측정하여 전달하는 위치 감지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위치 감지부(16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지피에스(16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위치 감지부(160)를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로, 상기 위치 감지부(160)는 2개 이상의 상기 정보 수집 중계 유닛(200) 과의 알에프아이디 통신을 통한 삼각 측량방법에 의하여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무선 통신을 통한 삼각 측량을 이용한 위치 측정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는 널리 알려져 실시되고 있는 수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망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 농작물 관리 시스템
100: 센싱 유닛
110: 센서 매설 지그
120: 센서부
121: 토양 함수비 센서 122: 습도 센서
123: 기온 센서 124: 풍향 풍속 센서
130: 제어부
140: 무선 송수신부
141: 알에프아이디(RFID) 송수신부 142: 블루투스 송수신부
150: 전원부
151: 알에프 아이디 전력 변환부 152: 배터리
153: 태양광 전지
160: 위치 감지부 161: 지피에스 유닛
170: 케이스 171: 투명 커버
200: 정보 수집 중계 유닛
300: 사용자 단말

Claims (8)

  1.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설치되며, 토양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센싱 유닛(100);
    상기한 그룹 중 특정한 어느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상기 센싱 유닛(100)들에서 측정한 측정값을 알에프아이디(RFID) 통신을 이용하여 각각 수집한 후, 망(mesh)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300)에 전달하는 정보 수집 중계 유닛(2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 농작물 관리 시스템(10).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유닛(100)은,
    토양에 삽입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토양 함수비 센서(121)와, 토양 밖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습도 센서(122), 기온 센서 및 풍향 풍속 센서(124)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센서부(120);
    상기 센서부(120)에서 각각 측정된 측정값들을 무선 송수신부(140)를 통하여 상기 정보 수집 중계 유닛(200)으로 송출하는 제어부(130);
    상기 센서부(120), 제어부(130), 무선 송수신부(14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5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 농작물 관리 시스템(10).
  3. 청구항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150)는,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발생한 전력을 배터리(152)에 저장하는 태양광 전지(153);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 농작물 관리 시스템(10).
  4. 청구항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150)는,
    상기 정보 수집 중계 유닛(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알에프아이디 신호를 수신하여 전력으로 바꾸어 배터리(152)에 저장하는 알에프 아이디 전력 변환부(151);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 농작물 관리 시스템(10).
  5. 청구항 제 2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20)가 내장되는 센서 매설 지그(110);
    상기 센서 매설 지그(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130), 상기 무선 송수신부(140) 및 상기 전원부(150)가 설치되는 케이스(170);
    상기 케이스(170)의 상측을 덮도록 설치되는 투명 커버(171);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 농작물 관리 시스템(10).
  6.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에 연결되며, 설치위치를 측정하여 전달하는 위치 감지부(16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 농작물 관리 시스템(10).
  7. 청구항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부(160)는 지피에스(16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 농작물 관리 시스템(10).
  8. 청구항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부(160)는 2개 이상의 상기 정보 수집 중계 유닛(200) 과의 알에프아이디 통신을 통한 삼각 측량방법에 의하여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 농작물 관리 시스템(10).
KR1020160049015A 2016-04-22 2016-04-22 망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 농작물 관리 시스템 KR101873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015A KR101873545B1 (ko) 2016-04-22 2016-04-22 망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 농작물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9015A KR101873545B1 (ko) 2016-04-22 2016-04-22 망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 농작물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755A true KR20170120755A (ko) 2017-11-01
KR101873545B1 KR101873545B1 (ko) 2018-07-02

Family

ID=60383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9015A KR101873545B1 (ko) 2016-04-22 2016-04-22 망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 농작물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5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081B1 (ko) * 2022-12-06 2023-09-07 정성권 스마트 가로수 관리기 통신 제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5081B1 (ko) * 2022-12-06 2023-09-07 정성권 스마트 가로수 관리기 통신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545B1 (ko) 201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65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remote monitoring of potted plants
Li et al. Practical deployment of an in-field soil property wireless sensor network
O'Shaughnessy et al. Developing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monitoring crop canopy temperature using a moving sprinkler system as a platform
CN103344283A (zh) 北方草原荒漠化的自动化监测装置
CN206945062U (zh) 一种土壤监测装置
KR100951775B1 (ko) 위치 기반 완전 자동 농지 경작 시스템
Kim et al. Study on IoT based wild vegetation community ecological monitoring system
KR100767765B1 (ko) 환경 파라미터 취합 시스템
Pusatkar et al. Implementation of wireless sensor network for real time monitoring of agriculture
CN109076637A (zh) 森林监测系统与方法
EP3201892A1 (en) A sensor for monitoring ambient characteristics
Gaikwad et al. Monitoring of smart greenhouse
CN104280533A (zh) 基于蓝牙的土壤湿度监测传感器
KR20100023443A (ko) 대체 에너지를 이용한 상황인지 생육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73545B1 (ko) 망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연계 농작물 관리 시스템
CN103676858A (zh) 植物监控装置及植物监控系统
CN202395897U (zh) 植物生长信息远程监测系统
CN206710926U (zh) 一种花卉温室监控系统
KR101632737B1 (ko) 식물의 굴광성 방지를 위한 광센서기반 자동 식물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01065B1 (ko) 극지방 적응형 환경 통합 계측 시스템
CN103925949A (zh) 农业检测装置
CN215727476U (zh) 土壤含水率实时检测装置
CN203415085U (zh) 山区茶园远程环境监测系统
US11674944B2 (en) In-ground wireless soil moisture sensor
CN203798384U (zh) 一种便携式开放农田环境温湿度远距离无线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