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0395A -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395A
KR20170120395A KR1020160048832A KR20160048832A KR20170120395A KR 20170120395 A KR20170120395 A KR 20170120395A KR 1020160048832 A KR1020160048832 A KR 1020160048832A KR 20160048832 A KR20160048832 A KR 20160048832A KR 20170120395 A KR20170120395 A KR 20170120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valve
rotation
main shaft
shaf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3149B1 (ko
Inventor
김우진
Original Assignee
하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8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149B1/ko
Publication of KR20170120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with electric means, e.g. electric switches, to control the motor or to control a clutch between the valve and th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 신뢰성은 높이면서 소음이나 부품들 간의 마모나 마찰은 줄여 내구성 및 사용연한 늘릴 수 있도록, 전원 인가시 단방향으로 구동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의 단방향 회전을 정회전 및 역회전으로 변환하는 동시에 동력전달을 연직 방향으로 전환하는 주축 및 종축 기어, 그리고 본체케이스 내에서 외부로 관통되게 형성된 스크류 바에 나사 식으로 결합 되어 상호 맞물린 상기 종축 기어의 정역회전시 승강 작동되는 밸브구동 플런저가 포함된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A flow control valve actuators}
본 발명은 주거용 또는 상업용 건물의 냉난방 시 열원인 난방수나 냉방수의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방향 회전모터 적용하되, 소정의 베벨 기어로 정역회전 전환이 가능하면서 동시에, 스크류 작동 방식에 따른 상하 직선왕복 운동을 적용함으로써, 작동 소음은 줄이면서 신뢰성을 높이며, 마모 및 마찰과 같은 내구성 관련 저해 요인을 최소화하는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시스템의 경우, 도 1에서와 같이 연료를 연소시켜 물을 가열하는 보일러(1)를 구비하며, 이 보일러(1)에서 가열된 물은 소정의 분배기(3)를 통해 각 방이나 거실의 난방파이프(4)로 공급한 후, 다시 보일러(1) 측으로 환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분배기(3)는 보일러(1)의 급수관(2)과 연결되는 급수헤더(3a)와 보일러(1)의 환수관(6)과 연결되는 환수헤더(3b)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급수헤더(3a) 및 환수헤더(3b)는 각 방이나 거실의 난방파이프(4)와 연결되는 다수의 급수라인(3c) 및 회수라인(3d)을 갖는다.
또한, 상기 급수라인(3c) 상에는 각 방의 난방 파이프 길이에 따라 상기 난방 파이프에 공급되는 난방수의 공급 유량을 정하여 난방수가 각 방의 난방파이프(4)를 순환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같도록 하는 유량조절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회수라인(3d) 상에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서 회수라인에 대한 개폐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밸브 구동기(6)가 구비된다.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안방이나 거실과 같이 상대적으로 파이프의 길이가 길면 난방수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을 크게 하여 많이 흘려보내고, 반대로 파이프의 길이가 짧은 방의 경우에는 구멍의 크기를 작게 하여 적게 흘려보내는 식으로 각 방의 파이프에 공급되는 난방수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전반적인 난방의 균형을 맞추어 왔다.
상기 밸브 구동기(6)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구동기(7)에 밸브체(8)가 결합 된 형태로, 상기 밸브체(8)는 상기 구동기(7)로부터 인가되는 소정의 동력으로 특정 형태의 밸브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기(7)는 케이스(9)의 내부에 소정의 회전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밸브체(8)의 개폐 동작에 필요한 소정의 패턴으로 전환하기 위한 각종 기어나 축 및 캠 구조와 같은 작동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6683호(2012.01.19., 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나 제8536호(2015.01.23., 이하 '종래기술 2'라 함)와 같은 기술을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 1은 소정의 회전플랜지를 적용한 형태인 데 비해 상기 종래기술 2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소정의 왕복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캠 구동 방식을 적용한 형태라 할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 1이나 2는 단순 온/오프 기능만을 갖추고 있는 이전 밸브 구동기의 문제점, 즉 각 방의 난방수 공급량을 조절하기가 곤란한 데 따른 별도의 유량조절밸브를 더 구비하여야 하는 등 설치에 따른 비용부담이 생기는 문제 또는, 수동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통상의 유량조절밸브에서 자동제어가 곤란한데 따른 사용상의 불편이 야기되는 문제와 더불어 난방시스템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 등에 대한 부분적인 해결책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일부 기술적 의의를 가진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 1이나 2와 같은 경우, 단방향 회전모터를 밸브 개폐용 구동기에 적용하기 위해 캠 구동 방식을 채택한 데 따른 문제점과, 이를 개선하기 위해 양방향 회전 모터나 전기적 제어 회로를 추가로, 더 적용하는 데 따른 경제적 부담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 회전모터의 회전 운동을 왕복 직선 또는 승강 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캠 구동 방식은 작동시 서로 맞부디치는 기술구성들 간의 마찰력이나 반발력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지 못할 경우, 상기 회전모터의 기어 치차에 영향을 주어 기어가 마모되거나 부러지는 등 구동기(7)의 고장을 막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귀에 거슬리는 작동 소음으로 인해 쾌적한 주거환경을 저해하는 공해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캠 구동 방식의 작동에 따른 기술구성 상호 간의 마찰력 및 반발력은 상기 구동기(7)를 형성하는 몸체와 커버 간의 결합 상태를 흐트러뜨림으로써, 외부 습기와 같은 물기가 침투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하는 등 각종 전기 고장의 주요 요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실시 예로, 양방향 회전 모터나 전기적 제어 회로를 추가로 더 구비하는 경우에는 완제품의 단가 상승이 불가피해짐과 동시에 제품의 크기가 비대해지는 데 따른 생산성 및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에 봉착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부터 착안 된 것으로, 단방향 회전모터 적용하되, 베벨 기어 조합을 이용하여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조 단가에 따른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회전모터와 기어 조합에 의한 정역회전 구동력을 스크류 작동방식의 직선운동으로 전환 적용함으로써, 작동 소음을 줄이는 것은 물론, 기능 및 작동 상의 신뢰성을 높이면서 마모 및 마찰에 따른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기술구성 및 상호 간의 유기적인 작동에 대한 설명을 통해 보다 더 분명히 밝혀질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는 전원 인가시 단방향으로 구동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의 단방향 회전을 정회전 및 역회전으로 변환하는 동시에 동력전달을 연직 방향으로 전환하는 주축 및 종축 기어, 그리고 본체케이스 내에서 외부로 관통되게 형성된 스크류 바에 나사 식으로 결합 되어 상호 맞물린 상기 종축 기어의 정역회전시 승강 작동되는 밸브구동 플런저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축 기어 및 종축 기어는 소정의 베벨 기어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축 기어는 몸체 둘레의 상반된 양 끝단을 따라 서로 엇갈린 부채꼴로 마주 형성된 제1 및 제2 치열을 포함하는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밸브구동 플런저는 다시 상기 종축 기어에 맞물려 연동 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커버 내부 천장에 매단 플라잉 기어와, 상기 플라잉 기어의 중앙으로 형성된 내치형 링크 홀에 치합되는 동시에 상기 스크류 바 속으로 결합되는 나사 산이 형성되어 위아래로 가동되는 승강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의 작동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케이스의 하단 부위 체결너트로 연결되는 밸브체 속 개폐 플런저를 눌러주거나 들이 올리는 접지단를 포함하는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와 접지단 사이에는 오버로드 스프링이 더 구비된 형태, 상기 플라잉 기어는 상기 밸브체의 유량조절을 위한 소정의 다이얼조정기가 결합된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는 상기 종축 기어의 회전 각도나 상기 밸브구동 플런저의 승강 정도에 따라 전원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에는 작동 상태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작동램프가 더 구비된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에 의하면, 베벨 기어 형태의 조합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단방향 회전모터로 양방향 회전모터를 적용한 기술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제조 단가를 낮춰 가격 경쟁력을 갖추는 등 경제적 부가가치가 높이는 기술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에 의하면, 회전모터와 모종의 기어 조합에 의한 정역회전 구동력을 스크류 작동방식의 직선운동으로 전환함으로써, 작동 소음을 혁신하는 것은 물론, 기술구성 간의 마모 및 마찰을 줄임으로써, 내구성의 향상과 함께 고장을 방지하는 등의 기술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는 승강부재와 접지단 사이에 소정의 오버로드 스프링을 적용하여 플런저의 상하운동부위 부품 간의 조립공차를 훨씬 더 치밀하게 하므로 방수 및 방진을 포함한 완제품의 고품질을 달성하는 동시에 정확한 작동 신뢰성을 높이는 기술효과를 얻는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기계적인 캠 구동 방식에 비해 스크류 작동방식으로 자체의 구동 반력을 혁신하는가 하면, 단방향 회전모터에 따른 경량화 및 콤팩트한 제품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등의 기술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난방시스템의 구성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 전동식 밸브의 구동기에 대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를 분해 상태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의 본체케이스 내부 조립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의 개폐 플런저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도면에서의 도면부호는 구성요소들 간의 관련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나름의 관련도에 따라 구분하여 붙이되 상호 간의 관련도가 긴밀한 기술요소들에 대해서는 되도록 동일한 일련번호를 적용하였다.
또, 제1이나 제2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 외에 별다른 목적이 없음을 밝혀둔다.
여기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에 대한 이해를 돕는 차원에서 특정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 예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별다른 뜻을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까지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와 같은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까지 배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의 기술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는 도 3 내지 4에서 도시한 것처럼 단방향 회전모터(11)와 베벨 기어 형태의 주축 및 종축 기어(20)(20a) 그리고, 소정의 밸브구동 플런저(30)가 콤팩트한 본체케이스(10) 및 본체커버(10a) 내에 구비된 형태라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11)는 소정의 전원 인가시 단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으로, 양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에 비해 전력소모가 적어 경제적일 뿐 아니라, 가볍고 크기가 작으므로 콤팩트한 제품의 경량화 및 소형화를 도모하는 등의 기술효과를 달성하는 데 있어 매우 유용하다.
상기 주축 기어(20) 및 종축 기어(20a)는 상기 회전모터(11)에 의한 구동 상태를 각각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번갈아 가며 변환할 수 있는 형태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주축 기어(20) 및 종축 기어(20a)는 모종의 베벨 기어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주축 기어(20)는 상기 회전모터(11)의 샤프트 상에 결합 되어 단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회전모터(11)의 구동상태를 그대로 따라 회전하도록 실시된다.
상기 종축 기어(20a)는 본체커버(10a)의 내부 천장에 매달린 형태로 실시된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커버(10a) 상단 소정의 위치에 관통된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에 소정의 종축(20b)을 설치한 후 상기 종추 기어(20a)를 상기 종축(20b) 상에 장착하여 실시할 수 있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종축(20b)은 상기 주축 기어(20) 또는 상기 회전모터(11)의 샤프트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설치하여, 상기 주축 기어(20)에 대해 상기 종축 기어(20b)가 연직 방향으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실시한다.
또한, 상기 종축 기어(20a)는 상기 회전모터(11)에 의한 상기 주축 기어(20)의 단방향 회전을 정회전 및 역회전으로 각각 변환할 수 있는 형태로 실시한다.
예를 들면, 상기 주축 기어(20)는 몸체 둘레의 상반된 양 끝단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엇갈린 부채꼴로 마주 형성된 제1 및 제2 치열(21)(22)이 구비된 형태로 실시하고, 상기 종축 기어(20a)는 상기 회전모터(1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주축 기어(20)의 제1 치열(21) 및 제2 치열(22)와 맞물릴 때마다 정회전 및 역회전을 번복할 수 있도록 된 적어도 2개인 복수 개의 기어가 조합된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종축 기어(20a)는 상기 주축 기어(20)의 제1 치열(21)과 맞물려 회전하는 방향을 정회전이라고 한다면, 상기 주축 기어(20)의 제2 치열(22)과 맞물려 회전하는 방향이 역회전이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종축 기어(20a)는 상기 주축 기어(20)의 몸체 둘레에 형성된 상기 제1 및 제2 치열(21)(22)과 맞물릴 때마다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회전모터(11)에 의한 단방향 회전을 정회전 및 역회전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밸브구동 플런저(30)는 상기 종축 기어(20a)의 정역회전에 연동되는 것으로, 본체케이스(10) 내에서 위아래로 움직이는 승강 작동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밸브구동 플런저(30)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하단 부위 바닥 외면 상에 마련된 체결너트(13)에 의해 결합, 사용되는 소정의 밸브체(50) 속 개폐 플런저(51)를 작동에 관계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케이스(10) 내에 마련된 일련의 직선 왕복 운동 모듈에 해당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밸브구동 플런저(30)는 한쪽이 상기 종축 기어(20a)와 상호 맞물리게 구성되는 동시에 다른 한쪽은 상기 본체케이스(10) 내에 마련된 소정의 스크류 바(12)에 나사 식으로 결합, 구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스크류 바(12)의 관통 구멍은 상기 체결너트(13)에 의해 결합되는 상기 밸브체(50)의 개폐 플런저(51)와 연계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케이스(10) 내에서 외부로 관통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구동 플런저(30)의 주요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크게 플라잉 기어(31)와 승강부재(32) 및 접지단(33) 정도로 나눠 설명할 수 있다.
상기 플라잉 기어(31)는 상기 회전모터(11)의 단방향 회전을 정회전 및 역회전으로 전환하는 상기 종축 기어(20a)에 맞물려 연동 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특히, 상기 플라잉 기어(31)는 상기 종축 기어(31)와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커버(10a)의 내부 천장에 매달린 상태로 구비되며, 상기 종축 기어(31)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연동되어 소정의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승강부재(32)는 상기 플라잉 기어(31)의 회전방향에 따라 위 또는 아래로 가동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한쪽 끝단은 상기 플라잉 기어(31)에 삽입, 고정되는가 하면, 다른 한쪽은 상기 스크류 바(12) 속으로 함입, 결합된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라잉 기어(31)는 중앙으로 관통된 링크 홀(31a)을 구비하여 상기 승강부재(32)의 한쪽 끝단을 결합할 수 있도록 실시한다. 특히, 상기 링크 홀(31a)의 내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소정의 치열이 형성된 내치형으로 실시하여 상기 승강부재(32)로 소정의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실시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스크류 바(12) 속으로 함입되는 상기 승강부재(32)의 외면에는 부분적으로 상기 스크류 바(12)의 관통공 내주면에 형성된 소정의 나사 홈에 맞물리는 나사 산(32a)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부재(32)의 나사 산(32a)은 상기 플라잉 기어(13)로부터 상기 승강부재(32)에 소정의 회전력이 인가될 때, 상기 스크류 바(12) 속의 나사 홈을 따라 상기 나사 산(32a)이 이동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상기 승강부재(32)가 위 또는 아래로 움직으로 승강 작동을 유발시키는 역할을 맡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지단(33)은 위 또는 아래로 움직이는 상기 승강부재(32)의 작동 방향에 따라 상기 밸브체(50) 속 개폐 플런저(51)와 맞닿아 소정 간격으로 눌러주거나 들어 올려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맡는다.
상기 접지단(33)은 상기 승강부재(32)의 말단에 일체로 구비된 형태 또는 상기 승강부재(32)와는 별개인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32)와 별개로 구비되는 상기 접지단(33)의 경우에는, 상기 승강부재(32)와 접지단(33) 사이에 소정의 오버로드 스프링(34)이 더 구비된 형태로도 실시 가능하다.
상기 오버로드 스프링(34)의 경우, 작동 상의 완충 기능은 물론, 과도하게 되거나 다소 부족해 질 수 있는 상기 승강부재(32)의 상하운동을 효과적으로 보완함으로써, 상기 승강부재(32)의 상하 유격 공차를 어느 정도 넉넉하게 허용할 수 있는 등의 기술효과를 얻는다.
무엇보다도, 스크류 방식을 응용한 상기 승강부재(32)와 함께 상기 오버로드 스프링(34)은 상기 밸브체(50) 속 유량조절을 위한 개폐 플런저(51)를 구동시키기 위한 작동 소음을 현저하게 개선하는 것은 물론, 진동 및 충격을 없앰으로써 고장으로 인한 사용연한을 늘리는 등 내구성 향상을 도모하는 기술효과 또한 얻는다.
상기 플라잉 기어(31)는 상기 밸브체(50)의 유량조절을 위한 다이얼조정기(35)와 연계되는 형태로도 실시 가능하다.
이때, 상기 다이얼조정기(35)는 도 3 내지 5에서처럼 상기 본체커버(10a)의 상단 외부에 마련되어 상기 플라잉 기어(31)와 연계된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다이얼조정기(35)는 상기 밸브체(50)의 유량을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한 일종의 설정 수단과 같다고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는 기본적으로 상기 다이얼조정기(35)의 설정 상태에 따라 상기 밸브체(50)의 유량 조절 범위가 한정될 수도 있지만,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회전모터(11)의 단방향 회전만으로 상기 밸브체(50)의 개폐 플런저(51)을 얼마든지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밸브체(50)의 유량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형태로도 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모터(11)에 인가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 스위치(40)가 더 구비된 형태를 들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40)는 상기 종축 기어(20a)의 회전 각도나 상기 밸브구동 플런저(30)의 승강 정도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11)의 전원 인가를 소정 패턴별로 프로그램화하여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식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40)는 사용자가 작동 상태를 가시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소정의 작동램프(41)가 더 구비된 형태로도 실시 가능하다.
상기 작동램프(41)는 엘이디(LED) 등의 형태로 적용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의 작동 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실시하는 것이 좋다.
10 : 본체케이스 10a: 본체커버 11 : 회전모터
12 : 스크류 바 13 : 체결너트 20 : 주축 기어
20a: 종축 기어 20b: 종축 21 : 제1 치열
22 : 제2 치열 30 : 밸브구동 플런저 31 : 플라잉 기어
31a: 링크 홀 32 : 승강부재 32a: 나사 산
33 : 접지단 34 : 오버로드 스프링 35 : 다이얼조정기
40 : 마이크로 스위치 41 : 작동램프 50 : 밸브체
51 : 개폐 플런저

Claims (9)

  1. 전원 인가시 단방향으로 구동되는 회전모터와;
    상기 회전모터의 샤프트 상에 결합 되어 회전하는 주축 기어;
    상기 주축 기어에 대해 연직 방향으로 맞물리도록 본체커버 내부 천장에 매달린 종축 상에 구비되어 상기 주축 기어의 단방향 회전을 정회전 및 역회전으로 각각 변환하는 종축 기어; 및
    본체케이스 내에서 외부로 관통되게 형성된 스크류 바에 나사 식으로 결합 되고, 상호 맞물린 상기 종축 기어의 정역회전시 승강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밸브구동 플런저를 포함하는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 기어 및 종축 기어는 상기 회전모터에 의한 구동 상태를 각각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번갈아 가며 변환할 수 있는 베벨 기어인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 기어는 몸체 둘레의 상반된 양 끝단을 따라 서로 엇갈린 부채꼴로 마주 형성된 제1 및 제2 치열을 포함하는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구동 플런저는,
    상기 종축 기어에 맞물려 연동 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커버 내부 천장에 매단 플라잉 기어와;
    상기 플라잉 기어의 중앙으로 형성된 내치형 링크 홀에 치합되는 동시에 상기 스크류 바 속으로 결합되는 나사 산이 형성되어 위아래로 가동되는 승강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의 작동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케이스의 하단 부위 체결너트로 연결되는 밸브체 속 개폐 플런저를 눌러주거나 들이 올려 주는 접지단를 포함하는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단은 상기 승강부재의 말단에 일체로 구비된 형태 또는 상기 승강부재와는 별개의 형태인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잉 기어는 상기 밸브체의 유량조절을 위해 상기 본체커버 외부에 마련된 다이얼조정기와 결합된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와 접지단 사이에는 오버로드 스프링이 더 구비된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
  8. 제 1 내지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터는 상기 종축 기어의 회전 각도나 상기 밸브구동 플런저의 승강 정도에 따라 전원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하는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작동 상태를 가시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작동램프를 포함하는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
KR1020160048832A 2016-04-21 2016-04-21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 KR101813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832A KR101813149B1 (ko) 2016-04-21 2016-04-21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832A KR101813149B1 (ko) 2016-04-21 2016-04-21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395A true KR20170120395A (ko) 2017-10-31
KR101813149B1 KR101813149B1 (ko) 2017-12-28

Family

ID=60301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832A KR101813149B1 (ko) 2016-04-21 2016-04-21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14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980B1 (ko) * 2018-05-21 2019-04-17 제이에스정밀 주식회사 바닥 난방 분배시스템
KR101974937B1 (ko) * 2018-05-21 2019-05-03 제이에스정밀 주식회사 바닥 난방 분배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017189B1 (ko) * 2018-11-07 2019-10-14 제이에스정밀 주식회사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
KR102117820B1 (ko) 2019-10-10 2020-06-02 (주)코사플러스 잔량유량조절형 밸브 개폐장치
KR20210042543A (ko) 2019-10-10 2021-04-20 (주)코사플러스 잔량유량조절형 투스탭 밸브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900B1 (ko) * 2013-07-15 2014-12-23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비례제어밸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5980B1 (ko) * 2018-05-21 2019-04-17 제이에스정밀 주식회사 바닥 난방 분배시스템
KR101974937B1 (ko) * 2018-05-21 2019-05-03 제이에스정밀 주식회사 바닥 난방 분배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017189B1 (ko) * 2018-11-07 2019-10-14 제이에스정밀 주식회사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
KR102117820B1 (ko) 2019-10-10 2020-06-02 (주)코사플러스 잔량유량조절형 밸브 개폐장치
KR20210042543A (ko) 2019-10-10 2021-04-20 (주)코사플러스 잔량유량조절형 투스탭 밸브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3149B1 (ko) 201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149B1 (ko)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
US7097148B2 (en) Scissor thrust valve actuator
KR101847868B1 (ko) 밸브 구동장치
GB2189871A (en) Valve actuator for a plug valve
KR101847869B1 (ko) 밸브 구동장치
US11719443B2 (en) Regulating mechanism for regulating the flows from a plurality of gas outlets in a fuel gas valve
KR101566635B1 (ko) 밸브 구동기
KR200387231Y1 (ko) 온도조절밸브의 컨트롤 장치
KR102053031B1 (ko) 밸브 구동 장치
KR102053032B1 (ko) 밸브 구동 장치
RU2350816C1 (ru) Линейный исполнительный механизм с приводом от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для трехпозиционного клапана
KR101093178B1 (ko) 밸브 작동 액츄에이터
KR102017189B1 (ko) 유량조절용 밸브 구동장치
CN1135327C (zh) 恒温调节阀附件
KR200276160Y1 (ko) 피드백 샤프트 회전 검출기구가 내장된 전공식 밸브개폐자동 위치제어장치
JPS5926134Y2 (ja) バルブの駆動装置
CN106298304A (zh) 一种液压弹簧操动机构及其行程开关组件
KR101239384B1 (ko) 밸브 작동 액츄에이터
US20120042747A1 (en) Controller for rotation and movement motion
JPWO2007135721A1 (ja) 弁駆動装置
KR101102063B1 (ko) 밸브 작동 액츄에이터
KR101134628B1 (ko) 밸브 작동 액츄에이터
KR20090090442A (ko) 온수 조절밸브
KR200368370Y1 (ko) 온도조절밸브의 컨트롤 장치
KR20080004187U (ko) 난방 온수분배기용 밸브의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