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9563A -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하강류 촉매 반응기 - Google Patents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하강류 촉매 반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9563A
KR20170119563A KR1020160047764A KR20160047764A KR20170119563A KR 20170119563 A KR20170119563 A KR 20170119563A KR 1020160047764 A KR1020160047764 A KR 1020160047764A KR 20160047764 A KR20160047764 A KR 20160047764A KR 20170119563 A KR20170119563 A KR 20170119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wncomer
flow guide
opening
fluid
lower downc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1903B1 (ko
Inventor
이준영
최준원
임예훈
유상민
박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047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903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00Feed or outlet devices; Feed or outlet control devices
    • B01J4/001Feed or outlet devices as such, e.g. feeding tubes
    • B01J4/004Sparger-typ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53Details of the re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24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flow within the bed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 B01J8/025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flow within the bed being predominantly vertical in a cylindrical shaped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278Feeding reactive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796Details of the reactor or of the particulate material
    • B01J2208/00938Flow distribution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evices And Processes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하강류 촉매 반응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분산 트레이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상부 하강관과, 상부 하강관에 장착된 캡 및 분산 트레이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상부 하강관과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하부 하강관을 포함하는 분배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하강류 촉매 반응기{Distributor and Down-flow catalytic reacto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하강류 촉매 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강류 촉매 반응기는 기체(gas)-액체(liquid)의 혼합 공정을 수반한다. 이러한 공정에서, 액체상이 기체(gas) 또는 증기(vapor) 상과 혼합되고, 혼합물은 반응기 내의 고체 충전층(packed bed) 상을 통과하면서 반응이 일어난다. 상기 반응기에서는, 기체 및 액체 상이 고체 상의 촉매 충전 층과 접촉하기 이전에 적절히 혼합되고, 균일하게 분배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하강류 촉매 반응기(10)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상기 반응기(10)는 유입구(11)를 갖는 하우징(12)과 하우징(12) 내에 배치된 분산 트레이(20)와 상기 분산 트레이(20)에 마련된 복수 개의 분배기(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산 트레이(20)는 액체 상이 통과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홀(hole)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분배기(30)는 침니(chimney)(또는 '하강관'이라고도 함)(31)와 상기 침니(31)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캡(cap)(32)을 포함한다. 상기 침니(31)는 상부를 통하여 기체 상이 들어갈 수 있는 중공부를 갖는 실린더형 구조를 갖는다.
도 2는 일반적인 분배기(4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분배기(40)는 분산 트레이(20)의 상부면(21, 도 1 참조)에 고정된 상부 하강관(41)과 분산 트레이(20)의 하부면(22)에 고정된 하부 하강관(42)과 상부 하강관(41)에 장착된 캡(4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하강관(41)과 상기 하부 하강관(42)은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전술한 침니를 구성한다. 또한, 상부 하강관(41)은 그 상부면과 캡(43)의 사이 공간을 통해 기체 상이 유입될 수 있는 실린더형 구조물이고, 기체 상은 상부 하강관(41)에서 하부 하강관(42)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부 하강관(41)의 측면에는 액체 상이 유동할 수 있는 홀(45)이 마련된다.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액체상은 분산 트레이(20)에 쌓이고 상부 하강관(41)의 홀(45)의 높이까지 도달하면, 상부 하강관(41)의 내부로 유입되고, 기체 상과 함께 촉매층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분배기(30)를 통과한 후 기체-액체의 혼합 및 분배가 잘될수록 반응이 잘 일어나고, 촉매 사용 효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상기 분배기(30)의 혼합 및 분배 성능은 하강류 촉매 반응기(10)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혼합 및 분배 효율이 높은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하강류 촉매 반응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분산 트레이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상부 하강관과, 상부 하강관에 장착된 캡 및 분산 트레이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상부 하강관과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하부 하강관을 포함하는 분배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하부 하강관은, 바닥면 및 바닥면과 분산 트레이를 연결하는 측면을 갖는다. 또한, 상기 측면의 상부 영역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떨어져 위치한 복수 개의 제1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개구부에는 하부 하강관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된 제1 유동 가이드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측면의 중간 영역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떨어져 위치한 복수 개의 제2 개구부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측면의 하부 영역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떨어져 위치한 복수 개의 제3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3 개구부에는 하부 하강관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된 제3 유동 가이드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하부 하강관은, 제1 개구부를 통과하여 측면 외부로 유출된 유체가 제2 개구부 측으로 안내되는 공간부를 제공하기 위하여 측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분배기에서, 상부 하강관을 통해 유체(액체 상과 기체 상의 혼합)가 하부 하강관 측으로 유입되면, 제1 개구부를 통해 하부 하강관의 측면과 커버 사이의 공간으로 유체가 유출된다. 또한, 상기 공간으로 유출된 유체는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하부 하강관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제2 개구부를 통해 하부 하강관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제3 개구부를 통해 하부 하강관 외부로 유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유입구를 갖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분산 트레이 및 상기 분산 트레이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분배기를 포함하는 하강류 촉매 반응기가 제공된다. 또한, 각각의 분배기는, 분산 트레이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상부 하강관과, 상부 하강관에 장착된 캡 및 분산 트레이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상부 하강관과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하부 하강관을 포함한다. 또한, 또한, 상기 하부 하강관은, 바닥면 및 바닥면과 분산 트레이를 연결하는 측면을 갖는다. 또한, 상기 측면의 상부 영역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떨어져 위치한 복수 개의 제1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개구부에는 하부 하강관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된 제1 유동 가이드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측면의 중간 영역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떨어져 위치한 복수 개의 제2 개구부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측면의 하부 영역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떨어져 위치한 복수 개의 제3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3 개구부에는 하부 하강관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된 제3 유동 가이드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하부 하강관은, 제1 개구부를 통과하여 측면 외부로 유출된 유체가 제2 개구부 측으로 안내되는 공간부를 제공하기 위하여 측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하강류 촉매 반응기는, 높은 혼합 및 분배 효율을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하강류 촉매 반응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분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분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부 하강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하부 하강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분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분배기의 단면도들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분배기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분배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하강류 촉매 반응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된 분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부 하강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하부 하강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하강류 촉매 반응기는 유입구(11, 도 1 참조)를 갖는 하우징(12, 도 1 참조)과 하우징(12) 내부에 배치된 분산 트레이(20) 및 상기 분산 트레이(20)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분배기(100)를 포함한다. 또한, 분산 트레이(20)는 복수 개의 유동홀(21)을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분배기(100)는 상기 분산 트레이(20)의 상부면(21)에 고정되는 상부 하강관(110)과 상기 상부 하강관(110)에 장착된 캡(130) 및 분산 트레이(20)의 하부면(22)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하강관(110)과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하부 하강관(1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하강관(110)은 분산 트레이(20) 상부면에 쌓이는 액체 상을 상부 하강관(110)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홀(111)을 갖는다.
또한, 상부 하강관(110)은 제1 직경 및 제1 높이를 갖는다. 또한, 상부 하강관(110)은 중공의 실린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상부 하강관(110)의 유동공간은 상부 하강관(110)의 높이방향(도 4의 y축 방향)을 따라 양 단부가 각각 개방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하부 하강관(120)은 제2 직경 및 제2 높이를 갖는다. 또한, 하부 하강관(120)은 중공의 실린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하부 하강관(120)의 유동공간은 상부 하강관(110) 측으로 개방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제2 높이는 제1 높이보다 작을 수 있고, 제1 직경과 제2 직경을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하강관(110)과 하부 하강관(120)은 각각 중공의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중심축이 동일 축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하강관(120)은, 바닥면(121) 및 바닥면(121)과 분산 트레이(20)를 연결하는 측면(122)을 갖는다. 또한, 상기 측면(122)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떨어져 위치한 복수 개의 개구부(123)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개구부(123)에는 하부 하강관(120)의 중심(C)을 향하여 연장된 유동 가이드(124)가 마련된다.
또한, 유동 가이드(124)는 개구부(123)에 대하여 하부 하강관(120)의 중심(C)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 가이드(124)는 상부 하강관(110)으로부터 하부 하강관(120)으로 유입된 유체(기체 상과 액체 상의 혼합)에 회전 운동을 부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 가이드(124)는 적어도 일부영역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 가이드(124)의 면적은 개구부(123)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개구부(123)들의 면적의 합은 하부 하강관(120)의 바닥면(121)의 면적과 같거나 클 수 있다.
한편, 상기 개구부(123)는 높이 방향(y축 방향)에 따른 길이가 폭 방향(x축 방향)에 따른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 가이드(124)는 개구부(123)의 장변 측과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분배기(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분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 및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분배기의 단면도들이다. 특히, 도 7은 하부 하강관에서, 제1 내지 제3 개구부(223, 225, 227)와 제1 내지 제3 유동 가이드(224, 226, 228)만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내지 제3 유동 가이드(224, 226, 228)는 전술한 유동 가이드(124)와 구조 및 기능 측면에서 동일하며, 해당 개구부에 대하여 기울어진 방향(도 4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에서만 차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분배기에서의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분배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6에 도시된 분배기(200)는 하부 하강관(220)의 구조에서만 도 3을 통해 설명한 분배기(100)와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이하 중복되는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하부 하강관(220)은, 바닥면(221) 및 바닥면(221)과 분산 트레이(20)를 연결하는 측면(222)을 갖는다.
또한, 하부 하강관(220)의 측면(222)의 상부 영역(222a)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떨어져 위치한 복수 개의 제1 개구부(223)가 마련되고, 상기 제1 개구부에는 하부 하강관(220)의 중심(C)을 향하여 연장된 제1 유동 가이드(224)가 마련된다. 또한, 하부 하강관(220)의 측면(222)의 중간 영역(222b)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떨어져 위치한 복수 개의 제2 개구부(225)가 마련된다. 또한, 하부 하강관(220)의 측면(222)의 하부 영역(222c)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떨어져 위치한 복수 개의 제3 개구부(227)가 마련되고, 상기 제3 개구부(227)에는 하부 하강관(220)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된 제3 유동 가이드(228)가 마련되며,
또한, 하부 하강관(220)은, 제1 개구부(223)를 통과하여 측면(222) 외부로 유출된 유체가 제2 개구부(225) 측으로 안내되는 공간부를 제공하기 위하여 측면(222)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커버(230)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하강관(110)과 하부 하강관(220)은 각각 중공의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커버(230)는 하부 하강관(220)보다 큰 직경을 갖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을 가지고, 상부 하강관(110)과 하부 하강관(220) 및 커버(230)는 각각의 중심축이 동일 축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분배기(200)는 하부 하강관(220)의 상부 영역(222a)과 중간 영역(222b)을 구획하도록 마련되는 분리판(229)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판(229)은 하부 하강관(220)의 상부 영역(222a)과 중간 영역(222b)이 유체 이동 가능하지 않도록 분리시키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하강관(220)의 상부 영역(222a)으로 유입된 유체(M)(액체 상과 기체 상의 혼합)는 분리판(229)에 의하여, 바로 중간 영역(222b)으로 하강하지 못하고, 상기 유체(M)는 제1 개구부(223)를 통해 하부 하강관(220)과 커버(230) 공간으로 유출된다. 이때, 상기 공간에서 유체(M)는 제2 개구부(225)를 통해 하부 하강관(22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유체(M)는 하부 하강관(220)의 하부 영역(222c)으로 하강하며, 제3 개구부(227)를 통해 하부 하강관(220) 외부로 유출된다. 이때, 상기 하부 하강관(220) 내부에서 유체(M)의 이동에 따라 유체의 혼합 및 분배가 이루어진다.
또한, 제1 및 제3 유동 가이드(224, 228)는 각각 제1 및 제3 개구부(223, 227)에 대하여 하부 하강관(220)의 중심(C)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동 가이드(224)는 상부 하강관(110)으로부터 하부 하강관(220)으로 유입된 유체에 회전 운동을 부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유동 가이드(228)는 제2 개구부(225)를 통해 유입된 유체에 회전 운동을 부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3 유동 가이드(224, 228)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유동 가이드 및 제3 유동 가이드(224, 228)는 유체에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부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하강관(220)의 중심(C)을 기준으로, 제1 유동 가이드 및 제3 유동 가이드(224, 228)는 유체에 각각 시계방향(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량이 부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제1 유동 가이드 및 제3 유동 가이드(224, 228)는 유체에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부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유동 가이드(224)가 유체에 시계방향으로 회전 운동량이 부여되도록 마련되는 경우, 제3 유동 가이드(228)는 유체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량이 부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2 개구부(225)에는 하부 하강관(220)의 중심(C)을 향하여 연장된 제2 유동 가이드(226)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유동 가이드(224, 226, 228)는 하부 하강관(220) 내의 유체에 각각 회전 운동을 부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내지 제3 유동 가이드(224, 226, 228) 중 적어도 2개의 유동 가이드는 유체에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부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동 가이드(224) 및 제3 유동 가이드(228)는 유체에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부여하도록 마련되고,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유동 가이드(224) 및 제2 유동 가이드(226)는 유체에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부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개구부(223, 225, 227)는 높이 방향에 따른 길이가 폭 방향에 따른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3 유동 가이드(224, 226, 228)는 각각 제1 내지 제3 개구부(223, 225, 227)의 장변 측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구부(223, 225, 227)는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적어도 2개의 개구부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갖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유체(M)를 하부 하강관(220)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제3 개구부(227)들의 면적의 합은 바닥면(221)의 면적과 같거나 클 수 있다. 또한, 하부 하강관(220)의 바닥면(221)에는 상기 개구부(223, 225, 227)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의 (a)는 도 2에 도시된 분배기(40)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이고, 도 11의 (b)는 도 6에 도시된 분배기(200)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11은 분산 트레이(20) 통과 후, 액체 상의 흐름을 나타내며, 본 발명의 분배기(200)가 종래 분배기(40)에 비해 기체-액체의 분배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Mf(Maldistribution Factor)값을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분배기(200)가 종래 분배기(40)에 비해 낮은 MF값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하강류 촉매 반응기
11: 유입구
20: 분산 트레이
30, 100, 200: 분배기
31: 침니
32: 캡
110: 상부 하강관
120, 220: 하부 하강관
130: 캡
230: 커버

Claims (22)

  1. 분산 트레이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상부 하강관;
    상부 하강관에 장착된 캡; 및
    분산 트레이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상부 하강관과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하부 하강관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하강관은, 바닥면 및 바닥면과 분산 트레이를 연결하는 측면을 가지고,
    상기 측면의 상부 영역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떨어져 위치한 복수 개의 제1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개구부에는 하부 하강관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된 제1 유동 가이드가 마련되고,
    상기 측면의 중간 영역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떨어져 위치한 복수 개의 제2 개구부가 마련되며,
    상기 측면의 하부 영역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떨어져 위치한 복수 개의 제3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3 개구부에는 하부 하강관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된 제3 유동 가이드가 마련되며,
    상기 하부 하강관은, 제1 개구부를 통과하여 측면 외부로 유출된 유체가 제2 개구부 측으로 안내되는 공간부를 제공하기 위하여 측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분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3 유동 가이드는 개구부에 대하여 하부 하강관의 중심으로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마련된 분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 가이드는 상부 하강관으로부터 하부 하강관으로 유입된 유체에 회전 운동을 부여하도록 마련된 분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동 가이드는 제2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유체에 회전 운동을 부여하도록 마련된 분배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3 유동 가이드는 적어도 일부영역이 곡면으로 형성된 분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제1 유동 가이드 및 제3 유동 가이드는 유체에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부여하도록 마련된 분배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제1 유동 가이드 및 제3 유동 가이드는 유체에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부여하도록 마련된 분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에는 하부 하강관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된 제2 유동 가이드가 마련된 분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유동 가이드는 하부 하강관 내의 유체에 각각 회전 운동을 부여하도록 마련된 분배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유동 가이드 중 적어도 2개의 유동 가이드는 유체에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부여하도록 마련된 분배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제1 유동 가이드 및 제3 유동 가이드는 유체에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부여하도록 마련되고,
    제1 유동 가이드 및 제2 유동 가이드는 유체에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부여하도록 마련된 분배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개구부는 높이 방향에 따른 길이가 폭 방향에 따른 길이보다 크게 형성된 분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3 유동 가이드는 개구부의 장변 측과 연결되는 분배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제3 개구부들의 면적의 합은 바닥면의 면적과 같거나 큰 분배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 하강관의 바닥면에는 상기 개구부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관통홀이 형성된 분배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 하강관과 하부 하강관은 각각 중공의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커버는 하부 하강관보다 큰 직경을 갖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을 가지고,
    상부 하강관과 하부 하강관 및 커버는 각각의 중심축이 동일 축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분배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 하강관의 상부 영역과 중간 영역을 구획하도록 마련되는 분리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분배기.
  18. 유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분산 트레이; 및
    상기 분산 트레이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분배기를 포함하며,
    각각의 분배기는, 분산 트레이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상부 하강관;
    상부 하강관에 장착된 캡; 및
    분산 트레이의 하부면에 고정되며, 상부 하강관과 유체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하부 하강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강관은, 바닥면 및 바닥면과 분산 트레이를 연결하는 측면을 가지며,
    상기 측면의 상부 영역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떨어져 위치한 복수 개의 제1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1 개구부에는 하부 하강관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된 제1 유동 가이드가 마련되고,
    상기 측면의 중간 영역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떨어져 위치한 복수 개의 제2 개구부가 마련되며,
    상기 측면의 하부 영역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떨어져 위치한 복수 개의 제3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3 개구부에는 하부 하강관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된 제3 유동 가이드가 마련되며,
    상기 하부 하강관은, 제1 개구부를 통과하여 측면 외부로 유출된 유체가 제2 개구부 측으로 안내되는 공간부를 제공하기 위하여 측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하강류 촉매 반응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에는 하부 하강관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된 제2 유동 가이드가 마련된 하강류 촉매 반응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유동 가이드는 하부 하강관 내의 유체에 각각 회전 운동을 부여하도록 마련된 하강류 촉매 반응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제1 내지 제3 유동 가이드 중 적어도 2개의 유동 가이드는 유체에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부여하도록 마련된 하강류 촉매 반응기.
  22. 제 20 항에 있어서,
    제1 유동 가이드 및 제3 유동 가이드는 유체에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부여하도록 마련되고,
    제1 유동 가이드 및 제2 유동 가이드는 유체에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부여하도록 마련된 하강류 촉매 반응기.
KR1020160047764A 2016-04-19 2016-04-19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하강류 촉매 반응기 KR102071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764A KR102071903B1 (ko) 2016-04-19 2016-04-19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하강류 촉매 반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764A KR102071903B1 (ko) 2016-04-19 2016-04-19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하강류 촉매 반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563A true KR20170119563A (ko) 2017-10-27
KR102071903B1 KR102071903B1 (ko) 2020-01-31

Family

ID=60300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764A KR102071903B1 (ko) 2016-04-19 2016-04-19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하강류 촉매 반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4584A (zh) * 2019-09-27 2019-12-20 南京海陆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小孔进液槽管式液体分布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05893A1 (en) * 1993-08-27 1995-03-02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mpany Mixed phase fixed bed reactor distributor
JP2001347158A (ja) * 2000-04-17 2001-12-18 Inst Fr Petrole 多孔性噴流擾乱要素を備えた多相混合物の粒状固体床上への分配装置
KR20110044837A (ko) * 2008-08-13 2011-05-02 코크-글리취, 엘피 횡류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
KR20120024491A (ko) * 2010-09-03 2012-03-14 아이에프피 에너지스 누벨 상이한 타입의 구멍으로 천공된 젯 브레이커 트레이를 포함하는 다상 혼합물의 분배 장치
JP2014240066A (ja) * 2013-06-11 2014-12-25 アクセンス 流体分配装置
WO2017039207A1 (ko) * 2015-08-28 2017-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하강류 촉매 반응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05893A1 (en) * 1993-08-27 1995-03-02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mpany Mixed phase fixed bed reactor distributor
JP2001347158A (ja) * 2000-04-17 2001-12-18 Inst Fr Petrole 多孔性噴流擾乱要素を備えた多相混合物の粒状固体床上への分配装置
KR20110044837A (ko) * 2008-08-13 2011-05-02 코크-글리취, 엘피 횡류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
KR20120024491A (ko) * 2010-09-03 2012-03-14 아이에프피 에너지스 누벨 상이한 타입의 구멍으로 천공된 젯 브레이커 트레이를 포함하는 다상 혼합물의 분배 장치
JP2014240066A (ja) * 2013-06-11 2014-12-25 アクセンス 流体分配装置
WO2017039207A1 (ko) * 2015-08-28 2017-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하강류 촉매 반응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4584A (zh) * 2019-09-27 2019-12-20 南京海陆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小孔进液槽管式液体分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903B1 (ko) 2020-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254B1 (ko) 분할벽으로 이루어진 컬럼 어플리케이션용 반경 방향 교차흐름식 증류 트레이
CA3003615C (en) Multiple pass, parallel flow downcomer tray for a mass transfer column
CA2756974C (en) Improved contacting stages for co-current contacting apparatuses
KR101351637B1 (ko) 액체 분배장치
US6682633B1 (en) Apparatus for cocurrent fractional distillation
US20100162891A1 (en) Vapor-liquid contacting in co-current contacting apparatuses
JP6526314B2 (ja) 分配器及びこれを含む下降流触媒反応器
US20100162890A1 (en) De-entrainment device
CN111989144B (zh) 采用偏移接触模块的蒸气-液体接触装置和方法
CN112533682B (zh) 用于传质塔的包括固定阀和可动阀的多程接触托盘和涉及该多程接触托盘的方法
EP2414090A2 (en) Improved fluid distribution to parallel flow vapor-liquid contacting trays
KR20170119563A (ko)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하강류 촉매 반응기
EP3773962B1 (en) Vapor-liquid contacting apparatus and process with cross contacting
KR101977810B1 (ko)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하강류 촉매 반응기
US20150352462A1 (en) Hybrid Contact Tray for a Mass Transfer Column
KR20170119186A (ko) 분배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하강류 촉매 반응기
EP2919877A1 (en) Hybrid contact tray for a mass transfer column
KR102468098B1 (ko) 쉘에서 다운커머를 갖는 증기-액체 접촉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