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9486A - 로프 고정구 - Google Patents

로프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9486A
KR20170119486A KR1020160047566A KR20160047566A KR20170119486A KR 20170119486 A KR20170119486 A KR 20170119486A KR 1020160047566 A KR1020160047566 A KR 1020160047566A KR 20160047566 A KR20160047566 A KR 20160047566A KR 20170119486 A KR20170119486 A KR 20170119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wall
wall body
presen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동
Original Assignee
박기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동 filed Critical 박기동
Priority to KR1020160047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9486A/ko
Publication of KR20170119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4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로프가 벽체에 고정됨에 있어서 부품 수를 줄여 간편한 설치를 도모하고 헐겁게 고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로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벽체에 로프를 고정함에 있어서 별도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일방향 삽입시 타방향으로 빠질 수 없는 구조로 형성하여 로프를 벽체에 고정한 후 헛돌지 않도록 잡아줄 수 있어 견고한 고정이 되게 하는 로프 고정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로프 고정구{A ROPE FIXING TOOLS}
본 발명은 로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프가 벽체에 고정됨에 있어서 헐겁게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고 부품 수를 줄여 간편한 설치를 도모하는 로프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사무실의 각 컴퓨터들을 서로 연결하는 네트워크 배선이나 전화용 배선 등으로 인하여 각 책상에 연결되는 선의 수가 점차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선들을 정리하여 두지 않으면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정리되지 않은 여분의 전선들은 서로 뒤엉켜버리기 때문에 전기 제품들을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발생한다.
그리고 전선이 불규칙하게 배선된 상태로 방치하게 되면 전선들의 피복이 벗겨질 우려가 있으며, 이때 피복이 벗겨진 전선들이 다른 부품에 접촉하게 되면 합선되거나 누전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위험하다.
한편, 전기 및 전자제품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코드 이외에도 각 부품 간의 연결을 위한 연결코드 등이 있으며, 이러한 전선들은 통상 충분한 여유를 가지도록 길게 제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여분의 전선들은 별도로 관리하지 않을 시 전기, 전자제품 주변 바닥에 길게 늘어져서 방치되어 주변 미관을 해칠 뿐 아니라 안전한 이동에 방해되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늘어져 있는 전선을 천장 테두리를 따라 고정시키고 있는데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해 전선을 스트랩형의 밴드부재로 감싼 후 개방된 일 측을 나사와 같은 피스로 봉함과 동시에 바닥, 천장, 패널과 같은 벽체에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스트랩형의 밴드부재를 포함해 나사와 같은 피스부재가 추가로 필요로 하며 이를 설치하기 위한 장비가 필요하므로 작업상 번거로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3-0089826호(2003.11.28자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042058호(1998.09.25자 공개)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벽체에 로프를 고정함에 있어서 별도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일방향 삽입시 타방향으로 빠질 수 없는 구조로 형성하여 로프를 벽체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로프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로프를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로프 고정구에 있어서, 일 측이 상기 벽체에 삽입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 벽체에 형성된 구멍으로의 삽입 이후 상기 벽체의 내측과 맞닿도록 구성되고, 일정 탄력을 가지는 걸림부; 상기 연결부의 타 측에 형성되어 상기 로프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벽체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 이후 일 측은 상기 벽체의 외측과 맞닿고 타 측은 상기 헤드부와 맞닿게 구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로프 고정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걸림부, 헤드부 및 지지부는 일체로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일 측이 뾰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제1직경을 가지는 일 측보다 큰 제2직경을 가지는 타 측의 끝이 열린 화살표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벽체와 점점촉 또는 선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 측에서 상기 일 측을 중심으로 수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상기 벽체와 면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프를 삽입하기 위해 일 측이 개방된 로프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로프의 삽입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일정 탄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양단이 상기 벽체의 외측과 맞닿도록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로프 고정구는 별도의 부품 없이 손쉽게 로프를 벽체에 견고히 고정시킴으로써 비용 절감 및 설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 고정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 고정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 고정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 고정구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로프 고정구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 고정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 고정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프 고정구(100)는 벽체(1)에 형성되는 구멍에 삽입 설치되어 로프(2)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벽체(1)에 삽입되어 다시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형성되는 걸림부(120)와 로프(2)가 삽입되는 헤드부(130)를 일체로 구성하여 별도의 부재들 없이 로프(2)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로프 고정구는, 로프(2)를 벽체(1)에 고정하기 위한 로프 고정구에 있어서, 막대형으로 형성되어 일 측이 벽체(1)로 삽입되는 연결부(110); 연결부(110)의 일 측에 형성되어 삽입 이후 벽체(1)의 내측과 맞닿도록 구성되고, 벽체(1)에 형성된 구멍으로의 삽입을 위하여 일정 탄력을 가지는 걸림부(120); 연결부(110)의 타 측에 형성되어 로프(2)의 내재공간을 포함하는 헤드부(130); 및 벽체(1)와 헤드부(130) 사이에 형성되어 삽입 이후 일 측은 벽체(1)의 외측과 맞닿고 타 측은 헤드부(130)와 맞닿게 구성되는 지지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벽체(1)는 로프(2)가 지나가는 판넬, 패널, 벽과 같은 면상부재들을 지칭하고, 로프(2)는 전선, 케이블, 줄과 같은 각종 선형부재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들은 공지의 것을 사용하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연결부(110)는 로프(2)가 있는 일 측에서 로프(2)가 고정될 벽체(1)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이며, 그 형상은 벽체(1)에 형성되는 구멍의 모양과 대응되게 구성될 수 있다. 가령, 구멍이 원형이면 연결부(110)는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구멍이 직선형이면 연결부(110)는 사각 기둥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110)는 벽체(1)의 구성과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면서 그 전체적인 형상이 막대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120)는 연결부(110)가 벽체(1)에 삽입될 시 그 작업을 용이하게 해주고, 벽체(1)에 기형성되는 구멍에 연결부(110)가 삽입된 이후 구멍으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걸림부(120)는 벽체(1)에 삽입되는 연결부(110)의 일 측에 형성되며, 걸림부(120)는 벽체(1)에 삽입되는 일 측에서 삽입 후 벽체(1)와 맞닿는 타 측으로 확대 전개되는 화살표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걸림부(120)는 일 측에서 타 측으로 확대 전개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대적으로 넓은 직경을 가지는 타 측이 벽체(1)와 맞닿게 되어 연결부(110)가 벽체(1)에 삽입될 시 구멍 밖으로 탈락되기 어렵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걸림부(12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벽체(1)로의 삽입을 보다 원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걸림부(120)는 벽체(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벽체(1)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걸림부(120)는 벽체(1) 삽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일단부의 모양을 뾰족하게 형성하여 연결부(110)가 구멍을 향해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걸림부(120)의 일단은 벽체(1)에 기형성된 구멍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로프 고정구(100)는 일정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므로 벽체(1)에 형성된 구멍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삽입 이후 구멍을 다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걸림부(120)는 타 측이 연결부(110)의 축방향으로 일부 절개된 화살표 형상을 가질 시 그 타 측에 한 쌍의 걸림고리(1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고리(121)는 연결부(110)로부터 일정 간격을 가지게 되어 그 직경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걸림부(120)는 벽체(1)로 삽입할 시 탄력적으로 직경의 변화를 가질 수 있게 되어 벽체(1)로 연결부(110)의 삽입이 진행될 때는 오므려졌다가 삽입이 완료되면 다시 벌어지게 되어 보다 원활한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계속해서 헤드부(130)는 연결부(110)의 타 측에 형성되어 로프(2)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 링형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그 모양은 사각링, 오각링 등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헤드부(130)의 내부 직경은 내부에 삽입되는 로프(2)의 직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로프(2)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일 측을 절개하여 로프삽입부(131)를 형성할 수 있다.
로프삽입부(131)는 헤드부(130)의 일 측을 최소한으로 절개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헤드부(130)는 일정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데 즉, 로프삽입부(131)는 로프(2)가 헤드부(130)의 내부로 삽입될 시에 일정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외부로 빠져 나오기 어려울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지지부(140)는 헤드부(130)에 로프(2)가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부(11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40)는 벽체(1)와 헤드부(130) 사이에 형성되며 연결부(110)의 타 측에 일 측이 접하는 헤드부(130)와 그 중심부가 맞닿게 구비되는 것으로 벽체(1)와 지지부(140) 각각의 양단이 맞닿을 수 있도록 중심부가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지지부(140)는 헤드부(130)의 일 측과 접하도록 구성되어 헤드부(130)가 로프(2)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벽체(1)를 견고하게 잡아줌과 동시에 헤드부(130)가 벽체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40)는 로프 고정구(100)가 걸림부(120)에 의해 벽체(1)에 고정되고, 헤드부(130)에 로프(2)의 삽입까지 완료된 상태에서 걸림고리(121)와 협력하여 로프 고정구(100)가 벽체(1)에 밀착되도록 하여 헤드부(130)가 헛돌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부(140)는 양단부가 벽체(1)와 맞닿도록 중심부가 U자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부분에 헤드부(130)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벽체(1)에 삽입된 걸림고리(121)와 지지부(140)의 양단부가 벽체(1)를 잡아주게 되어 로프(2)의 무게로 인해 걸림고리(121)가 로프(2)방향으로 당겨지지 않도록 하고, 연결부(110)로 로프(2)의 무게가 전달되지 않게 하여 로프(2)가 벽체(1)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걸림고리(121)의 단부 면적에 따라서 벽체의 타 측에서 점접촉 또는 선접촉으로 맞닿게 되며, 걸림부(120)가 원뿔형상으로 구성될 시에는 그 내부가 비어있을 땐 벽체(1)와 원형의 선접촉을 하게 되고 그 내부가 채워진 형상일 때는 벽체(1)와 면접촉을 하게 되어 표면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로프 고정구(100)의 사용동작을 상세히 설명하자면, 먼저 로프(2)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의 헤드부(130)를 파지한 상태에서 걸림부(120)가 벽체(1)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될 수 있도록 위치시킨다. 그 다음 벽체(1) 방향으로 걸림부(120)를 가압하여 벽체(1) 내부로 삽입시키게 된다. 그리고 벽체(1)에 고정된 로프 고정구(100)의 헤드부(130)에 로프(2)를 삽입하여 로프(2) 정리를 간단히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연결부(110)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10)가 나선형으로 구성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로프고정구(100)를 벽체(1)에 삽입할 시에 나선을 따라 벽체(1) 방향으로 돌리는 동작을 통해 삽입할 수 있으며, 이때 나선형으로 구성되는 연결부(110)는 나선형의 표면이 벽체(1)와 맞닿아 걸림부(120) 역할을 대신해주므로 걸림부(120)가 없어도 된다.
즉, 나선형의 연결부(110)와 지지부(140) 및 헤드부(130)의 구성만으로 로프(2)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 로프 고정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 고정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 고정구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 고정구는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 고정구(200)는 벽체(1)에 형성되는 구멍에 삽입 설치되어 로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벽체(1)에 삽입되어 다시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형성되는 걸림부(220)와 로프가 삽입되는 헤드부(230)를 일체로 구성하여 별도의 부재들 없이 로프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 고정구는 로프를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로프 고정구에 있어서, 막대형으로 형성되어 일 측이 벽체(1)에 삽입되는 연결부(210); 연결부(210)의 일 측에서 상기 일 측을 중심으로 수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삽입 이후 벽체(1)의 내측과 맞닿도록 구성되고, 벽체(1)에 형성된 구멍으로의 삽입을 위하여 일정 탄력을 가지는 걸림부(220); 연결부(210)의 타 측에 형성되어 로프의 내재공간을 포함하는 헤드부(230); 및 벽체(1)와 헤드부(230) 사이에 형성되어 삽입 이후 일 측은 벽체(1)의 외측과 맞닿고 타 측은 헤드부(230)와 맞닿게 구성되는 지지부(240)를 포함한다.
이때, 연결부(210)와 헤드부(230)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도 1 및 도 2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220)는 연결부(210)와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며,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어 벽체(1)에 삽입될 시 양단부가 연결부(210)측으로 오므려졌다가 다시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연결부(210)는 벽체(1)에 기형성된 구멍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며, 연결부(210)의 일단에서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는 걸림부(220)가 연결부(210)에 밀착되어 구멍에 삽입된다.
즉, 걸림부(220)의 양측이 오므려진 상태에서 벽체(1) 내부로 걸림부(220)의 길이만큼 완전히 삽입되면 오므려졌던 양측이 탄성에 의해 다시 펼쳐지게 되고, 펼쳐진 걸림부(220)의 양측 직경은 구멍의 크기보다 커지므로 벽체(1) 외부로 탈락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걸림부(220)는 벽체(1)에 삽입 후 벽체(1)와 면접촉하게 되므로 헤드부(230)가 회전하려고 할 때 벽체(1)와 표면 마찰력이 증가하여 더욱 견고한 고정을 구현할 수 있게 해준다.
지지부(240)는 걸림부(220)가 벽체(1)에 삽입되는 상태에 따라 그 형상이 탄력적으로 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240)는 걸림부(220)가 벽체(1)에 삽입되는 상태일 때, 걸림부(220) 양측이 펼쳐질 때까지 벽체(1)에 가까이 밀착되었다가(a) 걸림부(220)의 양측이 펼쳐지고 걸림부(220)의 양측 길이만큼 삽입되었던 연결부(210)의 일부분이 걸림부(220)가 펼쳐짐과 동시에 외측으로 밀려나면서 걸림부(220)의 일면이 벽체(1)에 밀착될 수 있도록 당겨주는 역할(b)을 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로프
2: 벽체
100, 200: 로프 고정구
110, 210: 연결부
120, 220: 걸림부
121: 걸림고리
130, 230: 헤드부
131, 231: 로프삽입부
140, 240: 지지부

Claims (8)

  1. 로프를 벽체에 고정하기 위한 로프 고정구에 있어서,
    일 측이 상기 벽체에 삽입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일 측에 형성되어 상 벽체에 형성된 구멍으로의 삽입 이후 상기 벽체의 내측과 맞닿도록 구성되고, 일정 탄력을 가지는 걸림부;
    상기 연결부의 타 측에 형성되어 상기 로프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벽체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 이후 일 측은 상기 벽체의 외측과 맞닿고 타 측은 상기 헤드부와 맞닿게 구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로프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 걸림부, 헤드부 및 지지부는 일체로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고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단부가 뾰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 고정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제1직경을 가지는 일 측보다 큰 제2직경을 가지는 타 측의 끝이 열린 화살표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벽체와 점점촉 또는 선접촉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타 측의 끝이 닫힌 화살표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벽체와 면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로프 고정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 측에서 상기 일 측을 중심으로 수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상기 걸림부 삽입 이후 타 측과 상기 벽체가 맞닿는 부분이 면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로프 고정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로프를 삽입하기 위해 일 측이 개방된 로프삽입부가 형성되는
    로프 고정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로프의 삽입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일정 탄력을 가지는
    로프 고정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양단이 상기 벽체의 외측과 맞닿도록 만곡지게 형성되는
    로프 고정구.
KR1020160047566A 2016-04-19 2016-04-19 로프 고정구 KR201701194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566A KR20170119486A (ko) 2016-04-19 2016-04-19 로프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566A KR20170119486A (ko) 2016-04-19 2016-04-19 로프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486A true KR20170119486A (ko) 2017-10-27

Family

ID=60300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566A KR20170119486A (ko) 2016-04-19 2016-04-19 로프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94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6297B1 (en) Grounded conduit bushing
US9879803B2 (en) Connectable cable organizer
US9709192B1 (en) Strap for suspending wires that is reconfigurable for various attachment systems
KR101463167B1 (ko) 와이어링 밴드케이블
US20140266014A1 (en) Embedded Power Supplying Device Using in Desk
EP2448386A3 (en) Power-supply cord arrangement structure
US7028939B2 (en) Assembled windlass structure
JP5484202B2 (ja) フック
JP6876963B2 (ja) 吊下型コンセントシステム
KR20170119486A (ko) 로프 고정구
JP5277323B2 (ja) 屋外架空ケーブルへの装着品固定装置
CN109230886B (zh) 一种具有复用接口的便携伸缩式电缆绕线器及其绕线方法
EP1361635A1 (en) Cable-securing device
CN104051916A (zh) 一种带环形缠线槽的排插
EP3021440B1 (en) A connection device for an electrical device
KR200375486Y1 (ko) 전선 정리기
KR200429439Y1 (ko) 밴드 케이블
KR200259384Y1 (ko) 전선 고정구
RU166062U1 (ru) Дистанцер
JPH0219072Y2 (ko)
JP2007229380A (ja) 家具類の転倒防止給電装置
CN202817421U (zh) 一种数据接口插座
CN208445240U (zh) 一种电缆保护管连接固定件
CN210517185U (zh) 防拽装置
JP5694438B2 (ja) 引下線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