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667A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ipboard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ipboard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8667A
KR20170118667A KR1020170134085A KR20170134085A KR20170118667A KR 20170118667 A KR20170118667 A KR 20170118667A KR 1020170134085 A KR1020170134085 A KR 1020170134085A KR 20170134085 A KR20170134085 A KR 20170134085A KR 20170118667 A KR20170118667 A KR 20170118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lip
clipboard
clip data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0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명규
한현규
강연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4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8667A/en
Publication of KR20170118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66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2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3User-generated data transfer, e.g. clipboards, dynamic data exchange [DDE], object linking and embedding [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클립 데이터들을 복사하여 모아둔 뒤 필요할 때마다 붙여넣기 할 수 있는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클립보드가 제공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부 영역에 클립보드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클립보드 영역에 표시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클립 데이터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클립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clipboard function capable of copying and pasting one or more clip data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n a portable terminal and then pasting the clip data whenever necessary, and a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clipboard function. A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a board, comprising: a touch screen; Displaying a display area for displaying a screen corresponding to a user's command on the touch screen in response to execution of at least one application, displaying a clipboard area in a part of the touch screen by a user's command, And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clip data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one or more clip data displayed in the area on the display area.

Description

휴대단말에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IPBOARD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lipboard function in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텍스트와 멀티미디어 데이터 조합을 복사하여 클립보드에 클립 데이터로 저장하고, 사용자 필요에 따라 저장된 클립 데이터를 호출하여 수시로 붙여 넣기 할 수 있는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clipboard function and a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pying text and multimedia data and storing the same in a clipboard as clip data, And a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clipboard function.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신 및 개인정보 처리가 가능한 휴대단말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은 급속한 기술 발전을 통해 초기의 단순한 음성 통화 및 단문메시지 전송 기능에서 영상통화, 전자수첩기능, 문서 기능, 이메일 기능, 인터넷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various portable terminals capable of mobile communic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 electronic notebook, a smart phone, a tablet PC, Such a mobile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such as a video call, an electronic note function, a document function, an e-mail function, and an internet function in the initial simple voice call and short message transmission function through rapid technology development.

한편, 최근 휴대단말에서는 소정의 데이터를 복사하여 붙여넣기할 수 있는 클립보드(clipboard)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단말에서 클립보드 기능은 한 번에 하나의 데이터만 복사 및 붙여넣기를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여러 데이터들을 복사하여 붙여넣기 하고자 할 경우 매번 원본 데이터(source data)가 있는 화면으로 이동하여 복사하고, 다시 붙여넣기할 화면으로 전환하여 복사된 텍스트를 붙여 넣는 동작을 반복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recently, a portable terminal supports a clipboard function for copying and pasting predetermined data. However,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the clipboard function supports copying and pasting only one data at a time. Therefore, when a user wishes to copy and paste multiple data, it is necessary to repeat the operation of moving to the screen having the source data every time, copying it, switching to the screen to paste again, and pasting the copied text .

또한, 기존의 클립보드 기능은 복사하여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종류가 텍스트 또는 이미지와 같이 독립적인 객체만을 하나씩 복사하여 붙여넣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 기능과 연동에 의해 제공되는 웹 브라우징(Web Browsing) 화면 등에서 텍스트와 이미지 등을 동시에 복사하여 붙여넣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clipboard function can copy and paste only one independent object such as text or image, which can be copied and stor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ext and image can not be copied and pasted at the same time on a web browsing screen provided by interworking with the Internet function.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클립보드 기능 지원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을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a clipboard function capable of implementing an optimal environment for supporting a clipboard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다수개의 데이터들을 미리 복사하여 각각의 클립 데이터로서 클립보드에 저장하고, 사용자 희망에 따라 저장된 클립 데이터를 클립보드 윈도우를 통해 호출하여 선택적으로 붙여넣기할 수 있는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ipboard capable of copying a plurality of data in advance in a portable terminal and storing the clip data in the clipboard as respective clip data, A function providing method and a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텍스트 데이터의 조합을 복사하여 붙여넣기할 수 있는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a clipboard function capable of copying and pasting a combination of multimedia data such as image, sound, and moving picture and text data, and a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의 클립보드 기능 지원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하여 사용자 편의성, 휴대단말의 사용성, 휴대단말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ipboard function providing method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 usability of a portable terminal, competitiveness of a portable terminal by implementing an optimal environment for supporting a clipboard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클립보드가 제공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응답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부 영역에 클립보드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클립보드 영역에 표시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클립 데이터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클립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clipboard, the apparatus comprising: a touch screen; Displaying a display area for displaying a screen corresponding to a user's command on the touch screen in response to execution of at least one application, displaying a clipboard area in a part of the touch screen by a user's command, And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clip data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one or more clip data displayed in the area on the display area.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클립보드가 제공되는 휴대단말에서 클립보드 운용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부 영역에 클립보드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클립보드 영역에 표시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클립 데이터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클립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clipboard in a portable terminal provided with a clipboard, the method comprising: executing at least one application; Displaying a display area on a touch screen for displaying a screen corresponding to a user command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Displaying a clipboard area on a part of the touch screen by an instruction of the user; And displaying clip data selected by a user among one or more clip data displayed in the clipboard area on the display area.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복사를 위한 원본 데이터의 제1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원본 데이터에서 지정되는 영역을 복사하여 클립 데이터로 저장하는 과정과, 클립 데이터를 입력하고자 하는 제2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클립보드 윈도우를 상기 제2화면 상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른 클립 데이터를 호출하여 상기 제2화면 상에 붙여넣기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clipboard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first screen of original data for data copy; Displaying a second screen for inputting clip data, displaying a clipboard window on the second screen, selecting a user selected in the clipboard window, And then pasting the clip data on the second screen.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원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원본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1 이벤트에 따라 복사 데이터를 지정하는 과정과, 상기 복사 데이터가 지정된 상태에서 제2 이벤트에 따라 상기 복사 데이터를 복사하여 클립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클립 데이터와 상기 클립 데이터에 대응하는 프리뷰 데이터를 클립보드에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clipboard function of a mobi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screen including original data; displaying a screen including the original data;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ssigning copying data according to a first event in a state where copying data is designated; copying the copying data according to a second event in a state where the copying data is designated to generate clip data; And storing the preview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view data in the clipboard.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클립보드에 저장된 클립 데이터 호출 이벤트에 따라 클립보드 윈도우를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의 프리뷰 데이터 중 선택 이벤트에 따른 프리뷰 데이터의 클립 데이터를 클립보드로부터 호출하는 과정과, 상기 호출된 클립 데이터를 상기 화면에서 상기 선택 이벤트에 따라 지정된 영역에 붙여넣기 하는 과정과, 상기 클립 데이터의 붙여넣기 후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를 상기 화면 상에서 유지하거나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clipboard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teps of: displaying a screen capable of inputting predetermined data; Displaying clipboard windows according to a clip data call event stored in a clipboard on the screen; calling clip data of preview data according to a selection event among preview data of the clipboard window from a clipboard; Pasting the called clip data into the area designa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event on the screen, and maintaining or removing the clipboard window on the screen after pasting the clip data.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리뷰 데이터를 포함하는 클립보드 윈도우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가 표시된 상태에서 소정의 프리뷰 데이터에 의한 클립 데이터의 붙여넣기를 명령하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이벤트 감지 시 어플리케이션의 타입을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웹 언어 지원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웹 언어 기반으로 클립 데이터를 상기 화면 상에 붙여넣기 하는 과정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타입이 웹 언어 미지원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지원 포맷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클립 데이터의 포맷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지원 포맷에 대응하도록 변환하여 상기 화면 상에 붙여넣기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clipboard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screen on which a user can input predetermined data; Displaying a clipboard window including at least one preview data, detecting an event instructing to paste clip data by predetermined preview data while the clipboard window is displaye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type of the application is a web-language-supported application, determining whether the type of the application is a web-language-supported application, Confirming the support format, Converting the format of the data to correspond to the support format of the application, and pasting the converted data on the screen.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causing a processor to execute the method.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The foregoing is a somewhat broad summary of features and technic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better able to understand i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form the subject matter of the claims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to those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better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단말에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휴대단말에서 클립보드 기능 지원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모바일 환경에서 다양한 데이터를 갈무리해서 모아둔 뒤 필요할 때마다 클립보드 윈도우를 통해 원하는 클립 데이터를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언제든지 붙여 넣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다른 데이터들을 복사하여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붙여 넣고자 할 시 각 데이터마다 매번 어플리케이션 전환을 통해 하나씩 붙여 넣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he clipboard fun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optimal environment for supporting the clipboard fun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collect various data in a mobile environment and then paste the desired clip data through the clipboard window at any time without any time and space restrictions,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for the user.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copying a plurality of different data and pasting them one by one through application switching for each data when pasting on the execution screen of another applic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에서 다수개의 데이터들을 미리 복사하여 각각의 클립 데이터로서 클립보드에 저장하고, 사용자 희망에 따라 저장된 클립 데이터를 클립보드 윈도우를 통해 호출하여 수시로 붙여넣기를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텍스트 데이터의 조합을 복사하여 붙여넣기를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클립보드 기능은 모든 형태의 휴대단말 및 그에 대응하는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에서 클립보드 기능 지원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휴대단말에서 클립보드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휴대단말의 사용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can copy a plurality of data in advance, store the clip data in the clipboard as respective clip data, and call the stored clip data through the clipboard window according to a user's desire to support pasting at any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py and paste a combination of multimedia data such as image, sound, and moving picture data and text data. The clipboard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ll types of portable terminals and various devices corresponding theret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n optimal environment for supporting the clipboard fun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n the clipboard fun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improving the usability and competitiveness of the portable terminal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데이터를 복사하여 클립 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클립 데이터 생성 동작의 예시를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프리뷰 데이터 생성 동작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클립보드에 저장된 클립 데이터를 붙여넣기 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클립보드 윈도우가 나타난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붙여넣기된 클립 데이터가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클립보드 기능을 운용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클립보드에 저장된 클립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별 포맷에 따라 붙여넣기 하는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copying data and generating and storing clip data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lip data generation operation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eview data generation operation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pasting clip data stored in a clipboar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a clipboard window is displayed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on which clip data pasted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8A and 8B are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of operating a clipboard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pasting clip data stored in a clipboar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application-specific form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struc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n other words,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urb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안하는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클립 데이터들을 복사하여 모아둔 뒤 필요할 때마다 붙여넣기할 수 있는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단말은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예컨대, 웹 페이지 화면)에서 텍스트와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조합된 복사 데이터를 복사하여 클립보드에 클립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서 클립보드 윈도우를 통해 저장된 하나 이상의 클립 데이터를 호출하여 사용자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붙여넣기할 수 있는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clipboard function capable of copying and pasting one or more clip data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in a portable terminal, and then pasting the clip data whenever necessary, and a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can copy the copy data in which text and multimedia data are combined on a predetermined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for example, a web page screen) and store the copied data as clip data in the clipboar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clipboard function capable of calling one or more clip data stored in a clipboard window on a new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and pasting the clip data at any time according to a user's need, and a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 및 그의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or limited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us can be applied to various embodiments based on the following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은 통신모듈(110), 표시부(120), 저장부(130), 그리고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밖에도 상기 휴대단말은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하는 오디오처리부, 디지털 방송(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의 수신과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모듈, 터치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기 위한 터치패드 및 터치스크린, 물리적인 키 입력을 지원하는 입력부,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들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battery)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1,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110, a display unit 120, a storage unit 130, and a controller 150. [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may include an audio processing unit including a microphone and a speaker, a digital broadcasting module for performing reception and reproduction of digital broadcasting (e.g., mobile broadcasting such as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At least on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support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ased communication functions such as Bluetooth (BLUETOOTH) communicatio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ommunication, NFC A touch pad and a touch screen for supporting touch-based input, an input unit for supporting a physical key input, and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통신모듈(110)은 이동통신 기반의 이동통신 서비스,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기반의 인터넷 서비스(예컨대, Wi-Fi 서비스) 등과 같은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모듈을 나타낸다. 상기 통신모듈(110)은 상기 휴대단말이 속하는 망(network)과 설정된 통신채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채널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모듈(110)은 웹 기반의 데이터(예컨대, 웹 언어로 작성된 웹 페이지)를 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represents a module for supporting services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bas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based Internet service (e.g., Wi-Fi service)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established with a network to which the mobile terminal belongs, and can process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through the formed communication channel. 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can receive web-based data (for example, a web page written in a web language).

상기 표시부(120)는 휴대단말의 동작 상태 및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20)는 휴대단말의 홈스크린(home screen), 메시지 기능, 이메일 기능, 인터넷 기능, 검색 기능, 통신 기능, 전자책(예컨대, e-book) 기능, 사진/동영상 촬영 기능, 사진/동영상 재생 기능, 이동 방송 재생 기능, 음악 재생 기능, 게임 기능 등 휴대단말에서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상기 표시부(12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사용자 명령에 의해 호출되는 클립보드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20)는 상기 통신모듈(110)에서 수신하는 웹 페이지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20)는 상기 웹 페이지 화면에서 사용자 선택에 대응되는 부분을 블록 지정하여 나타내고, 다른 화면에서 사용자 지정에 따른 위치의 텍스트와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클립 데이터를 붙여넣기 하여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복사되어 지정된 클립 데이터에 따른 프리뷰 데이터를 나타내는 클립보드 윈도우(Clipboard Window)를 상기 클립보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가 표시된 화면 예시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Th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data related to an operation state and an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20 may include a home screen, a message function, an email function, an internet function, a search function, a communication function, an electronic book (e. Function, a photo / video playback function, a mobile broadcast playback function, a music playback function, a game function,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a display area for displaying a screen capable of inputting predetermined data according to a user command, and a clipboard area called by a user command. Th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a web page scree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module 110 in the display area. The display unit 120 display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selection on the web page screen in a block designation and pastes clip data including at least one of text and multimedia data in a position specified by a user in another screen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20 may display a clipboard window, which is copied by a user and indicates preview data according to designated clip data, in the clipboard area. A screen example in which the clipboard window is displayed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12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등과 같은 다른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20)는 앞서와 같은 실행화면(예컨대, 디스플레이 영역, 클립보드 영역 등)을 표시할 때 상기 휴대단말의 회전 방향(또는 놓인 방향)에 따라 가로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세로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표시부(120)는 터치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20)는 터치스크린 구성에 의해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 입력을 지원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 입력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2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an active OLED , Active Matrix OLED) or the like may be used. The display unit 120 may provide a horizontal mode or a vertical mode according to the rotating direction (or the loaded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displaying the execution screen (for example, a display area, a clipboard area, can do.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20 may include an interface for supporting touch-based input.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20 may support a touch-based user interaction input by touch screen configuration, and may generate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user interaction input and transmit the input signal to the controller 150.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에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휘발성 메모리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상기 휴대단말의 운영체제, 상기 표시부(120)의 표시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상기 표시부(120)를 이용한 입력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휴대단말의 클립보드 기능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클립 데이터 및 프리뷰 데이터 생성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various programs and data to be executed and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and may include one or more nonvolatile memories and volatile memorie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volatile memory may correspond to a ROM (Read Only Memory), a flash memory, or the like, and the volatile memory may correspond to a RAM (Random Access Memory) or the like. The storage unit 130 stores programs and data related to the operating system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display control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120, a program and data related to the input control operation using the display unit 120, The program and data related to the control operation, the clip data, and the program and data related to the preview data generating operation can be continuously or temporarily stored.

특히, 상기 저장부(130)는 본 발명의 클립보드 기능 운용을 위한 다양한 설정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설정정보는 클립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식에 대한 정보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다운로드 방식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클립 데이터들 및 그에 대응하는 프리뷰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클립 데이터 및 프리뷰 데이터는 클립보드(140)에 저장되며, 클립보드(140)에 저장된 클립 데이터 및 프리뷰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한 삭제 이전까지 지속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various configuration information for operating the clipboard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method of generating clip data and information on a method of downloading multimedia data. The storage unit 130 may store one or more clip data selected by a user and corresponding preview data.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p data and the preview data are stored in the clipboard 140, and the clip data and preview data stored in the clipboard 140 can be continuously stored until deletion by the user.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휴대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50)는 본 발명의 클립보드 기능 운용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50)는 복사 명령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예컨대, 텍스트,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텍스트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복사하고, 복사된 데이터에 대한 클립 데이터 생성 및 그의 프리뷰 데이터 생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150)는 클립 데이터 생성 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및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등의 웹 언어(Web Language) 기반으로 변환하여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클립 데이터 생성 시 클립 데이터에 대응하는 대표 데이터(typical data) 또는 캡쳐 데이터(capture data)를 이용한 프리뷰 데이터 생성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operations related to clipboard function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copies predetermined data (e.g., text, multimedia data, or text and multimedia data) according to a copy command, and controls generation of clip data and generation of preview data of the copied data can d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50 may generate and convert clip data based on a Web Language such as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and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And generation of preview data using representative data (typical data) or capture data corresponding to the clip data can be controlled when clip data is generated.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클립보드 운용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하는 화면(예컨대, 웹 페이지 화면, 이메일 작성 화면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상기 표시부(120)에 표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상기 표시부(120)의 일부 영역에 클립보드 윈도우(클립보드 영역)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에 표시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클립 데이터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클립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50)의 상세 제어 동작에 대해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한 휴대단말의 동작 예시 및 그의 제어 방법에서 설명될 것이다.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operations related to clipboard operation.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may display a display area for displaying a screen (e.g., a web page screen, an e-mail creation screen, etc.) corresponding to a user command at the time of executing at least one application according to a user request, As shown in FIG. Also,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display of the clipboard window (clipboard area) in a part of the display unit 120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display of clip data selected by a user from among one or more clip data displayed in the clipboard window on the display area. The detailed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50 will be described in the operation example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described later.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의 기능 외에 상기 휴대단말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5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그의 운용 및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입력 방식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기능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유선통신 기반 또는 무선통신 기반으로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various operations related to the normal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may control its operation and screen display when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0 can receive input signals corresponding to various input methods supported by the touch-based input interface and control the function operation accordingly.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0 can contro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arious data based on a wired communicatio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한편, 상기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바 타입,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플립 타입 등 모든 타입의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본 발명의 클립보드 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대응되는 각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하여,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클립보드 기능 운용 방법은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게임단말, TV(Television), LFD(Large Format Display), DS(Digital Signage), 미디어 폴(media pole) 등의 디바이스에 적용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devices such as a bar type, a folder type, a slide type, a swing type, and a flip type.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ll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multimedia devices and application devices supporting the clipboard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rating based on communication protocols correspon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ystems, a device such as a tablet PC, a smart phone, . The method of operating the clipboard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digital broadcast player,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ortable game terminal, a television (TV), a large format display (LFD) And may be applied to a device such as a media pol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히, 상기 도 2는 소정 데이터를 복사하여 클립 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clipboard function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FIG. 2 illustrates an operation of copying predetermined data and generating and storing clip data.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소정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20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제어부(15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에 따라 접속되는 소정의 웹 서버에 해당하는 화면(웹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소정의 데이터는 텍스트를 비롯하여, 정적 이미지와 동적 이미지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특정 오디오파일 재생과 관련된 사운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텍스트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통칭하여 원본 데이터(source data)라 칭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screen display including predetermined data (operation 201).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may execute a predetermined application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and may control screen display of the executed application. In one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may execute a web browsing application according to a user request, and may control the display of a screen (web scree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web server connected theret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determined data displayed on the screen includes text, multimedia data such as static images and dynamic images. In addition, the multimedia data may include sound data related to reproduction of a specific audio file. Hereinaft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xt and multimedia data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source data.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제1 이벤트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20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상기와 같이 소정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화면 내의 일부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을 선택하는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이벤트는 터치 기반으로 입력하거나, 또는 물리적인 키 입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이벤트는 상기 화면을 구성하는 원본 데이터 중 클립보드 기능에 따라 복사하여 저장하고자 하는 원본 데이터의 일부 또는 원본 데이터의 전체를 블록 지정하여 선택하는 선택 이벤트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상기 화면에서 제1 이벤트에 따라 영역을 지정하여 나타낼 수 있다(205단계). Next, the controller 150 can detect the first event input (step 203).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may input an event for selecting a part of the screen or an entire area in a state where a screen including predetermined data is displayed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vent may be input based on a touch or physical key inp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vent may correspond to a selection event for selecting a part of original data or original data to be copied and stored according to a clipboard function among blocks constituting the screen.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50 may designate an area according to the first event on the screen (step 205).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상기 화면에서 원본 데이터에 대한 소정의 영역이 지정된 상태에서 제2 이벤트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207단계).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이벤트는 상기 제1 이벤트(선택 이벤트)에 따라 선택된 데이터(즉, 상기 블록 지정된 데이터)에 대해 복사를 명령하는 복사 이벤트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벤트는 터치 기반으로 입력하거나, 또는 물리적인 키 입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Next, the controller 150 may detect a second event input in a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region of original data is designated on the screen (Step 207).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vent may correspond to a copy event that instructs the copying of the selected data (i.e., the block designated data) according to the first event (selection event). The second event may be input based on a touch or physical key input.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상기 제2 이벤트(복사 이벤트)에 따라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복사하여(209단계) 클립 데이터(Clip data)를 생성할 수 있다(21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상기 제2 이벤트를 감지할 시 블록 지정된 영역 내의 데이터에 대한 복사 명령을 실행하고, 그에 따라 복사된 데이터를 클립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50)는 제2 이벤트에 따른 복사 시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HTML 및 XML 등의 웹 언어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웹 언어는 웹 문서(예컨대, 웹 페이지)를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기본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를 나타낼 수 있다. Next, in step 211, the control unit 150 copies the selected data according to the second event (copy event) (step 209) and generates clip data (step 211). For example, when detecting the second event, the control unit 150 may execute a copy command for data in a block designated area, and generate copied data as clip data.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50 may generate the selected data in a web language such as HTML and XML when copying according to the second event. The web language may represent a basic programming language used to create a web document (e.g., a web pag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클립 데이터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즉, 원본 데이터)의 글자크기, 글자색, 글자모양, 정적 이미지, 동적 이미지, 사운드 데이터, 하이퍼링크 등을 정의하는 명령어(예컨대, 태그(tag))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된 클립 데이터를 특정 화면의 다른 데이터에 붙이기할 시 붙여넣기 되는 클립 데이터는 그의 원본 데이터의 형식과 동일한 형태(형식)를 유지하면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붙여넣기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p data includes a command (e.g., a tag) defining a character size, a color of a character, a shape of a character, a static image, a dynamic image, sound data, a hyperlink, ). Therefore, the clip data to be pasted when pasting the stored clip data to other data of a specific screen may appear while maintaining the same form (format) as that of the original data. The past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상기 도 2에서는 생략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이벤트에 따른 클립 데이터 생성 시 상기 클립 데이터에 대응되는 프리뷰 데이터(preview data)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프리뷰 데이터 생성 및 저장 동작에 대해 후술될 것이다.Although not shown in FIG.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iew data corresponding to the clip data can be generated and stored when clip data according to the second event is generated. Such preview data generation and storage operations will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생성된 클립 데이터의 저장을 제어할 수 있다(213단계).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클립 데이터를 저장부(130) 내 클립보드(140)에 저장하며, 상기 클립 데이터는 클립보드(140) 내 저장된 다른 클립 데이터와 구분하여 누적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클립 데이터 저장 시 상기 클립 데이터에 대응되는 프리뷰 데이터를 연결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립 데이터와 그에 대응되는 프리뷰 데이터를 메타정보에 의해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되는 클립보드 윈도우에 제공된 프리뷰 데이터 선택 시 그에 연결된 클립 데이터가 호출되어 사용자 선택에 따른 위치에 붙여넣기 되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운용 동작에 대해 후술될 것이다.Next, the control unit 150 can control the storage of the generated clip data (step 213). The controller 150 may store the clip data in the clipboard 140 in the storage unit 130 and the clip data may be stored separately from other clip data stored in the clipboard 140 . 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preview data corresponding to the clip data can be connected and stored when clip data is stored. For example, the clip data and the corresponding preview data can be matched and stored according to the meta information. Therefore, when preview data provided in the clipboard window described later is selected, the clip data linked to the selected clip data is called and may be pas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is ope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도 2에서는 그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이벤트에 따른 영역 지정 및 제2 이벤트에 따른 데이터 복사 동작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여러 번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클립보드에 저장되는 클립 데이터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클립 데이터들이 다수개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클립보드에 저장된 데이터는 사용자의 설정 또는 관리에 따라 일시적, 반영구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Although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thereof are omitted in FIG. 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design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vent and the data copy oper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vent can be repeatedly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have. Accordingly, the clip data stored in the clipboard can store a plurality of different clip data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data stored in the clipboard can be stored temporarily, semi-permanently or permanently according to the setting or management of the user.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클립보드 기능 운용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히, 상기 도 3은 상기 도 2에 따른 클립 데이터 생성 동작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lipboard function operating metho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lip data generation operation according to FIG.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데이터 복사에 따른 클립 데이터 생성 시 상기 제1 이벤트에 따라 지정된 영역 내의 데이터(이하, 복사 데이터)에 대한 타입을 구분하고(301단계), 그에 따라 상기 데이터가 웹 언어 기반으로 이루어진 데이터인지 또는 일반적인 데이터인지 판단할 수 있다(30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지정된 영역의 데이터가 웹 기반으로 특정 서버에서 제공되는 데이터(이하, 웹 언어 형식 데이터)인지 휴대단말에 저장되어 제공되는 데이터(이하, 일반 형식 데이터)인지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구분은 현재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인터넷 망 또는 이동통신 망에 연결되어 특정 서버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등)인지 또는 휴대단말 자체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워드 어플리케이션 등)인지에 의해 구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ontrol unit 150 distinguishes types of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py data) in a designated area according to the first event when generating clip data according to data copying (step 301)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data is data based on the web language or general data (step 303).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can discriminate whether the data of the designated area is data (hereinafter, web language format data) provided by a specific server on the web or data (general format data) have. The division may be performed by an application (e.g., a web browsing application) or the like (for example, a word application or the like)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itself, which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or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displays data provided by a specific server ).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상기 복사 데이터가 일반 형식 데이터이면(303단계의 NO) 설정 방식에 따른 클립 데이터 생성을 제어할 수 있다(305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복사 데이터가 일반 형식 데이터일 시 상기 복사 데이터를 원본 형태로 그대로 복사하여 클립 데이터로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복사 데이터를 웹 언어(예컨대, HTML 또는 XML 등)로 변환하여 클립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복사 데이터가 텍스트를 비롯하여, 정적 이미지와 같은 멀티미디 데이터를 포함할 시 텍스트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모두 복사하여 클립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Next, if the copy data is the general format data (NO in step 303), the control unit 150 can control generation of clip data according to the setting method (step 305). For example, when the copy data is the general format data, the control unit 150 copies the copy data as it is in the original form to generate clip data, or converts the copy data into a web language (e.g., HTML or XML) And can be generated as clip data. At this time, when the copy data includes text and multimedia data such as a static image, the control unit 150 may copy both text and multimedia data to generate clip data.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상기 복사 데이터가 웹 언어 형식 데이터이면(303단계의 YES) 상기 복사 데이터에 대한 소스(source)를 추출할 수 있다(30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원본 데이터 중 상기 복사 데이터를 구성하는 웹 언어(예컨대, HTML 또는 XML 등)의 태그(tag)를 추출할 수 있다.Next, if the copy data is web language format data (YES in step 303), the controller 150 may extract a source of the copy data (step 307).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may extract a tag of a web language (e.g., HTML or XML) constituting the copy data among the original data.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상기 추출된 소스를 기반으로 상기 복사 데이터에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309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상기 복사 데이터의 소스 분석에 의해 정적 이미지, 동적 이미지, 사운드 데이터 등과 관련하여 하이퍼링크를 정의하는 태그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ler 150 may determine whether multimedia data is included in the copy data based on the extracted source (step 309).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tag that defines a hyperlink with respect to static images, dynamic images, sound data, and the like by analyzing the source of the copy data.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상기 복사 데이터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을 시(309단계의 NO) 상기 복사 데이터를 구성하는 텍스트를 기반으로 클립 데이터 생성을 제어할 수 있다(313단계). 이때, 제어부(150)는 상기 복사 데이터가 텍스트만을 포함할 시 설정 방식에 따라 순수 텍스트만을 복사하여 클립 데이터로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복사 데이터를 웹 언어(예컨대, HTML 또는 XML 등) 형태 그대로 유지 즉, 웹 언어 기반의 클립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웹 언어 기반의 클립 데이터로 생성 시 상기 클립 데이터는 상기 복사 데이터를 이루는 텍스트의 글자크기, 글자색, 글자모양, 하이퍼링크 등을 정의하는 태그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If the copy data does not include the multimedia data (NO in step 309),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generation of the clip data based on the text of the copy data (step 313).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50 copies only the pure text according to the setting method when the copy data includes only text, generates clip data, or maintains the copy data in the form of a web language (e.g., HTML or XML) , And clip language data based on the web language. Here, when generating clip data based on the web language, the clip data may be configured by a tag that defines a character size, a color, a character shape, a hyperlink, and the like of a text that forms the copy data.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상기 복사 데이터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할 시(309단계의 YES) 설정 방식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고(311단계), 그에 따른 클립 데이터 생성을 제어할 수 있다(313단계).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다운로드 방식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자체를 다운로드 하여 복사하는 제1다운로드 방식과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저장된 웹 서버의 링크정보(또는 주소정보)를 복사하는 제2다운로드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Next, the controller 150 downloads the multimedia data according to the setting method when the copy data includes the multimedia data (YES in step 309) (step 311), and controls the creation of the clip data according to the download method step).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download method for multimedia data includes a first download method for downloading and copying multimedia data itself, and a second download method for copying link information (or address information) of a web server storing multimedia data Can be set in one manner.

상기 제1다운로드 방식의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복사 데이터의 복사 시 복사 데이터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해당 웹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할 수 있다(311단계). 그리고 제어부(150)는 복사 데이터의 텍스트와 다운로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웹 언어 기반의 클립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313단계). 즉, 제어부(150)는 클립 데이터 생성 시 상기 복사 데이터 중 텍스트를 정의하는 태그와, 상기 복사 데이터 중 다운로드 후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예컨대, 정적 이미지, 동적 이미지, 사운드 데이터)를 정의하는 태그의 조합으로 클립 데이터 생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상기 복사 데이터 중 텍스트에 대한 글자크기, 글자색, 글자모양, 및 텍스트에 링크된 하이퍼링크(예컨대, 해당 웹 서버 접속을 위한 링크) 등을 정의하는 태그와, 상기 복사 데이터 중 다운로드 후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링크된 하이퍼링크(예컨대, 다운로드 되어 휴대단말 내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호출할 수 있는 메타정보(또는 링크))를 정의하는 태그로 조합된 클립 데이터 생성을 제어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first download method, the controller 150 may download the multimedia data included in the copy data when copying the copy data from the corresponding web server (step 311). In step 313, the control unit 150 may generate clip data based on the web language using the text of the copy data and the downloaded multimedia data. That is, the control unit 150 generates a combination of a tag for defining a text in the copy data and a tag for defining multimedia data (for example, static image, dynamic image, sound data) Clip data generation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may include a tag that defines a character size, a color, a letter, and a hyperlink (e.g., a link for accessing the corresponding web server) linked to the text in the copy data, (E.g., meta information (or link) that can be downloaded and called multimedia data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linked to the downloaded multimedia data among the copied data is controlled can do.

상기 제2다운로드 방식의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복사 데이터의 복사 시 복사 데이터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다운로드는 생략하고, 복사 데이터의 텍스트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저장된 웹 서버의 링크정보(또는 주소정보)만을 이용하여 웹 언어 기반의 클립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313단계). 즉, 제어부(150)는 클립 데이터 생성 시 상기 복사 데이터 중 텍스트를 정의하는 태그와, 상기 복사 데이터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저장된 웹 서버의 링크정보(주소정보)를 정의하는 태그의 조합으로 클립 데이터 생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상기 복사 데이터 중 텍스트에 대한 글자크기, 글자색, 글자모양, 및 텍스트에 링크된 하이퍼링크(예컨대, 해당 웹 서버 접속을 위한 링크) 등을 정의하는 태그와, 상기 복사 데이터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링크된 하이퍼링크(예컨대, 웹 서버 접속을 통해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저장된 웹 서버 접속을 통해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재생하기 위한 즉, 해당 웹 서버의 접속을 위한 링크)를 정의하는 태그로 조합된 클립 데이터 생성을 제어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econd download method, the controller 150 skips the download of the multimedia data included in the copy data when copying the copy data, and outputs the text of the copy data and the link information (or address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using only the web language-based clip data (Step 313). That is, when the clip data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150 generates a clip data by a combination of a tag that defines text in the copy data and a tag that defines link information (address information) of the web server in which the multimedia data is stored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may include a tag that defines a character size, a color, a letter, and a hyperlink (e.g., a link for accessing the corresponding web server) linked to the text in the copy data, A hyperlink to which the multimedia data is linked (for example, a link for accessing the corresponding web server for displaying or reproducing the corresponding multimedia data through a web server connection through which the corresponding multimedia data is stored through a web server connection) You can control the creation of combined clip data with the tags you define.

한편, 상기 도 3에서는 그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상기 도 3에서는 휴대단말이 인터넷 망 또는 이동통신 망에 연결되어 소정의 웹 서버에 접속된 상태에서 웹 기반의 화면을 표시하는 상태를 가정할 수 있다. 이때, 만약 휴대단말이 인터넷 망 또는 이동통신 망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앞선 멀티미디어 데이터 다운로드 단계 등에서 망 연결 상태를 체크하고 그에 따라 소정의 망에 연결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3, it is assumed that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or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is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web server to display a web-based screen . At this time, if the mobile terminal is not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or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check the network connection state in the previous multimedia data downloading step and connect to the predetermined network accordingly.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클립보드 기능 운용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4는 상기 도 2에 따른 프리뷰 데이터 생성 동작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lipboard function operating method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preview data generation operation according to FIG.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프리뷰 데이터 생성은 앞서 도 2에 나타난 단계 중 제2 이벤트 입력 과정(207단계) 또는 클립 데이터 생성 단계(211단계)에서 생성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앞서 설명한 도 2의 207단계와 같이 복사 데이터의 복사를 명령하는 제2 이벤트의 입력 시점에서 프리뷰 데이터 생성을 제어할 수 있다(410단계). 또는 제어부(150)는 앞서 설명한 도 2의 211단계와 같이 클립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점에서 프리뷰 데이터 생성을 제어할 수 있다(410단계).Referring to FIG. 4, the preview data may be generated in the second event input step (step 207) or the clip data generation step (step 211) of FIG. 2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generation of the preview data at the input time of the second event for instructing the copying of the copy data as in step 207 of FIG. 2 described above.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50 may control generation of preview data at the time of generating the clip data as in step 211 of FIG. 2 described above (operation 410).

그리고 제어부(150)는 상기 프리뷰 데이터 생성 시 대표 데이터를 이용하는 제1방식과 캡쳐 데이터를 이용하는 제2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제1방식에서 복사 데이터가 텍스트인 경우 복사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체를 이용한 프리뷰 데이터 생성, 복사 데이터가 하나 이상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예컨대, 정적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첫 번째 정적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정적 이미지를 이용한 프리뷰 데이터 생성, 또는 복사 데이터의 텍스트와 다운로드하여 저장된 정적 이미지 조합을 이용한 프리뷰 데이터 생성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may generate the preview data using a first method using representative data and a second method using captured data when the preview data is generated. For example, when the copy data is text in the first scheme, the control unit 150 generates preview data using a part or all of the copy data. If the copy data includes one or more multimedia data (for example, a static image) And generating preview data using the stored static image or generating preview data using a combination of the text of the copy data and the downloaded static image combination.

또는 제어부(150)는 제2방식에서 제2이벤트에 따라 지정된 영역을 내부적으로 자동 캡쳐하여 캡쳐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캡쳐 이미지를 저장하여 프리뷰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150 can internally automatically capture an area designated according to the second event in the second method to generate a captured image, and generate and save the generated captured image as preview data.

한편, 상기 제어부(150)는 프리뷰 데이터 생성 후 저장 시 해당 프리뷰 데이터와 연결되는 실제 클립 데이터를 상호 연동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뷰 데이터의 헤더(header)에 각 프리뷰 데이터에 대응하는 실제 클립 데이터를 호출할 수 있는 메타정보 등이 설정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150 may store actual clip data linked with the preview data when the preview data is generated and stored. For example, meta information or the like capable of calling actual clip data corresponding to each preview data may be set in the header of the preview data.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히, 상기 도 5는 클립보드에 저장된 클립 데이터를 붙여넣기 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clipboard function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pasting clip data stored in the clipboard.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소정의 데이터(예컨대, 텍스트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등)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50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은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문서 어플리케이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a screen display in which a user can input predetermined data (e.g., text and multimedia data) (operation 501).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may execute an application capable of inputting data of a user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and may control screen display of an executed applic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capable of inputting a user's data may include an e-mail application, a document application, a message application, a web browsing application, and a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application.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제3 이벤트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50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상기와 같은 실행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보드에 저장된 클립 데이터 호출을 위한 호출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3 이벤트는 터치 기반으로 입력하거나, 또는 물리적인 키 입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Next, the controller 150 may detect a third event input (step 503).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may input a call event for calling clip data stored in the clipboard in a state where a screen of the execution application is display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event may be input based on a touch or physical key input.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상기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제3 이벤트 입력을 감지할 시 상기 화면 상에 클립보드 윈도우(Clipboard Window)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505단계). 본 발명에서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는 사용자에 의해 이전에 복사되어 저장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클립 데이터를 각각의 프리뷰 데이터로 나타내어, 사용자의 클립보드 기능(특히, 붙여넣기) 운용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클립보드 윈도우에 대해 도 6에서 후술될 것이다.Next, in step 505,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display of the clipboard window on the screen when the third event input is detected while the screen is display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lipboard window displays one or more clip data previously copied and stored by a user as preview data,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of the user's clipboard function (especially, pasting). This clipboard window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4 이벤트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507단계). 본 발명에서 상기 제4 이벤트는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에 나타난 프리뷰 데이터 중 사용자 선택에 따른 특정 프리뷰 데이터를 화면 상의 일 영역에 붙여넣기를 명령하는 붙여넣기 이벤트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4 이벤트는 터치 기반으로 입력(예컨대, 드래그앤드롭 입력)하거나, 또는 물리적인 키 입력(예컨대, 방향키 조정에 의한 프리뷰 데이터 선택 후 붙여넣기를 명령하는 키 입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Next, the controller 150 may detect a fourth event input when the clipboard window is displayed (step 507).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event may correspond to a pasting event for instructing pasting of specific preview data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mong the preview data displayed in the clipboard window to one area on the screen. The fourth event may be input by a touch-based input (e.g., drag and drop input) or by a physical key input (e.g., key input for commanding paste after selection of preview data by direction key adjustment).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상기 제4 이벤트(붙여넣기 이벤트)에 따라 상기 선택된 프리뷰 데이터에 대응되는 클립 데이터를 클립보드로부터 호출하고(509단계), 호출된 클립 데이터를 상기 화면에서 상기 제4 이벤트에 따라 지정된 영역에 붙이기하여 나타낼 수 있다(511단계). 이때, 제어부(1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포함된 클립 데이터의 경우 멀티미디어 데이터 다운로드 방식에 따라 붙여넣기된 클립 데이터의 표시를 다르게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이 특정 망(예컨대, 인터넷 망 또는 이동통신 망)과의 연결 상태에 따라 붙여넣기된 클립 데이터의 표시를 다르게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붙여넣기 동작에 대해 도 7에서 후술될 것이다.Next, the control unit 150 calls the clip dat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preview data from the clipboard according to the fourth event (pasting event) (step 509), and transmits the called clip data to the fourth It can be displayed by pasting in a designated area according to an event (step 511).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50 may display clip data pasted according to the multimedia data download method in the case of clip data including multimedia data.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display the pasted clip data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specific network (e.g., the Internet network or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past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붙여넣기 동작에 대한 작업 완료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513단계). 그리고 제어부(150)는 작업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513단계의 NO) 507단계로 진행하여 그 이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그에 따른 화면을 표시한 후 앞서와 같은 동작에 의해 클립 데이터를 붙여넣기 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반면, 제어부(150)는 작업이 완료된 경우(513단계의 YES)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의 표시를 생략할 수 있다(515단계). 즉, 제어부(150)는 상기 화면 상에서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를 제거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150 can determine whether the paste operation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step 513). If the operation is not completed (NO in step 513), the controller 150 proceeds to step 507 and controls the operations below.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50 may execute another application in response to a user request, display a screen corresponding thereto, and then control the operation of pasting the clip data by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On the other hand, if the operation is completed (YES in step 513), the control unit 150 may omit the display of the clipboard window (step 515). That is, the control unit 150 can remove the clipboard window on the scree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클립보드 윈도우가 나타난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a clipboard window is displayed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6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 영역(610)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클립 데이터 호출을 위한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참조번호 <6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610) 상의 일 영역에 클립보드 윈도우(클립보드 영역)(630)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630)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610) 상에 오버레이(overlay)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630)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610)을 밀어내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610)과 분리되어 표시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610)이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630) 크기(특히, 높이)만큼 일정 영역이 축소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610)이 축소된 영역에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630)가 나타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 user can input an event for calling clip data in a state in which a screen corresponding to an execution application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610,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601. FIG. Then, a clipboard window (clipboard area) 630 may appear in one area on the display area 610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603. The clipboard window 630 may be overlai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area 610. Alternatively, the clipboard window 630 may be displayed separately from the display area 610 while pushing the display area 610. In the latter case, the display area 610 is reduced in size by the size of the clipboard window 630, and the clipboard window 630 is placed in the reduced area of the display area 610 .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630)는 설정된 소정 개수의 영역들로 구분되어 나타날 수 있으며, 각 영역들에는 사용자에 의해 복사되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클립 데이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뷰 데이터(635)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도 6에서는 클립보드 윈도우(630)가 4개의 영역들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시로 나타내었으나, 상기 영역들은 사용자 정의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lipboard window 630 may be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regions and at least one preview data 635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clip data copied and stored by the user may be displayed in each region have. In FIG. 6, the clipboard window 630 has four regions. However, the regions may be composed of more than one according to the user definition.

예를 들어, 한 줄에 5개의 영역으로 구분되거나 또는 두 줄에 8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각 영역들은 사용자가 이전에 복사하여 저장된 클립 데이터의 수에 따라 구분된 모든 영역들에 프리뷰 데이터(635)가 나타나거나 일부 영역에만 클립 데이터가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된 영역들보다 많은 클립 데이터들이 클립보드에 저장된 경우 사용자는 클립보드 윈도우(630)의 스크롤(또는 터치 기반의 스윕 등) 제어에 의해 화면 상에서는 숨겨진 영역들로의 이동이 가능하다.For example, they can be separated into five areas on one line or eight areas on two lines. In each of the areas, preview data 635 may be displayed in all are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lip data previously copied and stored by the user, or clip data may be displayed only in some areas. If more clip data than the displayed areas are stored in the clipboard, the user can move to the hidden areas on the screen by controlling the clipboard window 630 by scrolling (or by touch-based sweeping).

그리고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표시부(12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를 지정하여 복사할 수 있는 화면 및 사용자 명령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영역(610), 사용자 명령에 따라 누적 저장되는 클립 데이터에 따른 프리뷰 데이터가 포함된 클립보드 윈도우(클립보드 영역)(630)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6의 참조번호 <6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630)는 휴대단말의 다양한 상태(예컨대, 수신전계상태, 메시지 수신상태, 배터리 상태 등)를 알리는 스테이터스 바(status bar)가 제공되는 상단의 영역과 반대되는 하단의 영역에 배치되어 제공될 수 있다.6, the display unit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screen on which predetermined data can be specified and copied according to a user command, and a screen capable of inputting predetermined data according to a user command And a clipboard window (clipboard area) 630 including preview data according to clip data cumulatively stored according to a user command. As shown in FIG. 6, the clipboard window 630 includes a status bar (not shown) indicating various states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a received electric field state, a message reception state, a battery state, May be provided in the region of the lower end opposite to the upper end of the region provid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클립보드 기능 운용 방법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붙여넣기된 클립 데이터가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lipboard function operating method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on which clip data pasted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70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다운로드 방식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링크정보만을 이용하여 클립 데이터가 생성된 상태에서 휴대단말이 특정 망(예컨대, 인터넷 망 또는 이동통신 망)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참조번호 <7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붙여넣기된 클립 데이터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710) 부분에 정적 이미지 표시, 동적 이미지 재생 또는 사운드 데이터 재생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즉, 붙여넣기된 클립 데이터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배치된 부분이 그의 표시 또는 재생이 생략됨을 나타내는 마크로 나타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reference numeral 701 denotes a mobile terminal in which clip data is generated using only link information of multimedia data according to a first download method, as described abov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static image display, the dynamic image reproduction or the sound data reproduction is not performed on the portion of the multimedia data 710 among the pasted clip data as shown in the reference numeral 701. [ That is, the portion of the pasted clip data where the multimedia data is arranged may appear as a mark indicating that the display or reproduction thereof is omitted.

반면, 참조번호 <703>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다운로드 방식에 따라 다운로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클립 데이터가 생성되거나, 제1다운로드 방식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링크정보만을 이용하여 클립 데이터가 생성된 상태에서 휴대단말이 특정 망에 연결된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상기 참조번호 <7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붙여넣기된 클립 데이터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730) 부분에 정적 이미지 표시, 동적 이미지 재생 또는 사운드 데이터 재생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즉, 붙여넣기된 클립 데이터 중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배치된 부분이 그의 표시 또는 재생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clip data is generated using the multimedia data downloaded according to the second downloading method, or the clip data is generated using only the link information of the multimedia data according to the first downloading method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a specific network. Dynamic image reproduction or sound data reproduction is performed in the multimedia data 730 part of the pasted clip data as shown in the reference numeral 703. That is, the portion of the pasted clip data where the multimedia data is arranged may indicate that its display or reproduction is being performed.

그리고 만약, 클립 데이터 중 텍스트 부분에 소정의 하이퍼링크가 존재하는 경우 참조번호 <701>에서는 해당 텍스트에 의한 웹 접속이 불가하지만, 참조번호 <703>에서는 해당 텍스트에 의한 웹 접속이 가능하다. If there is a predetermined hyperlink in the text portion of the clip data, the web access by the corresponding text is impossible in the reference numeral 701, but the web access by the corresponding text is possible in the reference numeral 703.

아울러, 상기 도 7에서는 그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클립 데이터는 웹 언어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붙여넣기 되는 클립 데이터는 원본 데이터에서 복사되는 복사 데이터와 동일한 형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글자크기, 글자색, 글자모양, 문단모양, 멀티미디어 데이터 배치 등이 동일하게 적용되어 나타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thereof are omitted in FIG. 7, clip data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based on a web language. Therefore, the clip data to be pasted can be provided while maintaining the same form as the copy data copied from the original data. For example, letter size, letter color, letter shape, paragraph shape, and arrangement of multimedia data can be applied equally.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클립보드 기능을 운용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8A and 8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example of operating a clipboard function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8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데이터(텍스트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된 상태를 가정한다. 특히, 상기 참조번호 <801>에서는 휴대단말이 인터넷 망을 통해 특정 서버에 접속하고, 해당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언어 기반의 화면(예컨대, 웹 페이지)이 표시된 상태를 가정한다.Referring to FIGS. 8A and 8B, it is assumed that a screen including predetermined data (text and multimedia data) is displayed in a display area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801. FIG. In particular, in the above reference numeral 801, it is assumed that a mobile terminal accesses a specific server through an Internet network and a web language-based screen (for example, a web page) provided by the server is displayed.

다음으로, 상기 참조번호 <801>과 같이 웹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복사하고자 하는 복사 데이터를 선택하는 제1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웹 페이지가 표시된 화면 상에서 복사를 희망하는 시작부분을 터치한 상태에서 복사를 희망하는 종료부분까지 드래그하는 터치 기반의 제1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참조번호 <8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벤트에 대응하는 영역을 블록 지정하여 나타낼 수 있다. Next, in a state where the web page is displayed as in the reference numeral 801, the user can input a first event for selecting copy data to be copied. For example, a user may input a first touch-based event that is dragged to a desired end portion of a copy in a state in which a start portion desired to be copied is touched on the screen on which the web page is displayed. Then, the control unit 150 may block and indicate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event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 803 >.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번호 <8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벤트에 따라 복사 데이터를 선택한 후 복사 데이터의 복사를 명령하는 제2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상기 제2 이벤트를 감지할 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벤트에 의해 블록 지정된 복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클립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클립 데이터를 클립보드(140)에 저장하는 동작을 내부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이벤트와 제2 이벤트를 구분하여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단말의 지원 방식에 따라 제1 이벤트와 제2 이벤트를 하나의 이벤트로 통합하여 복사 데이터 지정 및 클립 데이터 생성을 하나의 동작으로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Next, the user may select the copy data according to the first event and input the second event for instructing the copying of the copy data, as shown in the reference numeral < 803 >. When detecting the second event, the control unit 150 generates clip data using the copy data specified by the first event and stores the generated clip data in the clipboard 140 Can be handled internal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The first event and the second event may be classified into one event according to the support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opy data designation and the clip data generation can be performed in one operation by integrating.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웹 페이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다른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명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명령하면, 제어부(150)는 참조번호 <8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화면(예컨대, 이메일 작성 화면)을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Next, the user can instruct execution of another application while the web page is displayed. For example, when the user instructs the execution of the e-mail application, the control unit 150 may display a screen corresponding to the e-mail application (for example, an e-mail creation screen) on the display area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805.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8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이메일 작성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참조번호 <8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에서 지원하는 이메일 작성 기능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예컨대,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Next,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 805 >, in a state in which an e-mail creation scree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e-mail application is displayed, the user displays predetermined data (E.g., text) can be input.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번호 <807>과 같이 이메일 작성 중에 클립 데이터 호출 즉, 클립보드 윈도우를 나타내기 위한 제3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참조번호 <8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20)의 일부 영역에 클립보드 윈도우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8a 및 도 8b의 예시에서는 이전에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3개의 클립 데이터들이 클립보드에 저장된 경우를 가정한다. 여기서, 상기 3개의 클립 데이터들 중 마지막으로 저장된 클립 데이터는 상기 참조번호 <801> 및 참조번호 <803>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클립 데이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참조번호 <8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는 구분된 영역들 중 3개의 영역들에 상기 3개의 클립 데이터들에 대응되는 각각의 프리뷰 데이터가 배치되어 나타나고, 나머지 다른 영역에는 공란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8a 및 도 8b에서는 참조번호 <809> 내지 참조번호 <8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밀어내면서 상기 클립보두 윈도우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이 분리되어 제공되는 것을 예시로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참조번호 <80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단 영역이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 크기만큼 축소되고, 상기 축소에 따라 발생되는 빈 영역에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가 나타날 수 있다. 이때, 상기 참조번호 <809> 내지 참조번호 <813>에 나타낸 예시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610) 내의 입력된 데이터들의 변경(예컨대, 글자크기, 배치 등)은 없으며, 디스플레이 영역(610)의 길이만 변경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8a 및 도 8b에서는 생략되었으나,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는 앞서 도 6의 참조번호 <6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오버레이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Next, the user can input a clip data call, that is, a third event for displaying a clipboard window, during the creation of an email, as in the reference numeral. Then, the control unit 150 may display a clipboard window in a part of the display unit 120,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 809 >. Here, in the example of FIGS. 8A and 8B, it is assumed that three clip data previously generated by the user are stored in the clipboard. Here, the last stored clip data among the three clip data may be clip data generated by the operations of the reference numeral and the reference numeral. Therefore, as shown in the reference numeral, the clipboard window displays the preview data corresponding to the three clip data in three of the divided regions, and the remaining regions are blank . 8A and 8B illustrate that the clipboard window and the display area are separately provided while the clipboard window pushes the display area,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s < 809 > to < 813 >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lower area of the display area may be reduced by the size of the clipboard window, and the clipboard window may be displayed in an empty area generated according to the reduction, as shown in the reference numeral. At this time, there is no change (for example, font size, arrangement, etc.) of the input data in the display area 610 as shown in the reference numerals 809 to 813, Can only have changed forms. Although not shown in FIGS. 8A and 8B, the clipboard window may be provided as an overlay on the display area as shown in FIG. 6.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참조번호 <809>와 같이 클립보드 윈도우가 나타난 상태에서 참조번호 <8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프리뷰 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이메일 작성 화면 상에 붙여넣기 하는 제4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참조번호 <8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프리뷰 데이터를 선택하여 이메일 작성 화면으로 드래그하여 붙여넣기를 희망하는 위치에 드롭하는 드래그앤드롭 하는 것과 같은 터치 기반의 제4 이벤트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4 이벤트를 물리적인 키 입력에 따라 프리뷰 데이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프리뷰 데이터를 물리적인 키 입력에 따라 이메일 작성 화면에서 커서가 위치하는 부분에 붙여넣기를 명령할 수도 있다.Next,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preview data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 811 > in a state in which the clipboard window is displayed as shown in the reference number < 809 >, and pastes the fourth event Can be input. For example,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 811 >, the user can select a predetermined preview data and drag it to an email creation screen to drop and drop the preview data to a desired location, Can be input.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event may be instructed to select preview data according to a physical key input, and to paste the selected preview data to a portion where a cursor is positioned on an e-mail creation screen according to a physical key input.

다음으로, 상기 참조번호 <8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제4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어부(150)는 상기 제4 이벤트에 의해 선택된 프리뷰 데이터에 대응되는 클립 데이터를 추적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참조번호 <8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적된 클립 데이터를 붙여넣기 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참조번호 <8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와 이미지가 조합된 클립 데이터를 붙여넣기 하여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립 데이터는 이전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예컨대, 참조번호 <807>에서 입력된 텍스트)와 함께 나타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립 데이터는 웹 언어 기반으로 구성되어 저장된 경우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원본의 복사 데이터의 모든 형식(예컨대, 글자크기, 글자색, 문단모양, 이미지 데이터 배치, 하이퍼링크 등)을 유지하는 상태로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참조번호 <8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이벤트에 따른 클립 데이터를 표시할 시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동일한 클립 데이터 또는 다른 클립 데이터를 계속하여 붙여넣기할 수 있다.Next, when the fourth event of the user is generated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811, the controller 150 may track the clip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view data selected by the fourth event. The control unit 150 may paste and display the track data,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 813 >. 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ip data in which text and image are combined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 813 > can be pasted and displayed. And the clip data may appear with data previously entered by the user (e.g., text entered at reference numeral 807). In this case, the clip data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a web language. In this case, all the types of copy data (for example, font size, font color, paragraph shape, image data arrangement, hyperlink, etc.) State. In addition, when the clip data according to the fourth event is displayed as shown in the reference numeral 813, the clipboard window can be maintained as it is. Thereby, the user can continue to paste the same clip data or other clip data.

다음으로, 상기 참조번호 <813>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붙여넣기 작업을 완료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작업 완료 명령은 작업 완료를 위해 설정된 소정의 터기 기반의 입력 또는 물리적인 키 입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50)는 참조번호 <8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데이터와 상기 클립 데이터가 결합된 이메일 작성 화면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를 제거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가 종료되더라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3개의 클립 데이터들 및 그들에 대응하는 프리뷰 데이터들은 클립보드 상에 계속하여 유지된다.Next,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to complete the paste operation in the same state as the reference numeral < 813 >. The job completion command may be made by a predetermined button-based input or physical key input set for completion of the job. Then, the control unit 150 may display the clipboard window by removing the clipboard window in a state in which the data created by the user and the clip data are combined as shown in reference numeral < 815 >. At this time, even if the clipboard window is terminated, the three clip data and the corresponding preview data as described above are continuously held on the clipboard.

한편, 상기 도 8에서는 그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예를 들어 상기 참조번호 <811>에서 프리뷰 데이터를 붙여넣기할 때 그 방식이 복사하여 붙여넣기 방식이 아닌 잘라내기 하여 붙여넣기 하는 방식인 경우 상기 프리뷰 데이터는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리뷰 데이터는 클립보드 상에서 삭제되며, 아울러 상기 프리뷰 데이터에 대응되는 클립 데이터 역시 클립보드 상에서 삭제될 수 있다. 또한, 프리뷰 데이터 및 클립 데이터의 삭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붙여넣기 하기 전에 편집 동작에 의해 삭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8, although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thereof are omitted, for example, when preview data is pasted at the reference numeral < 811 >, the method is a method of cutting and pasting instead of copying and pasting The preview data may be removed from the clipboard window. At this time, the preview data is deleted on the clipboard, and clip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view data can also be deleted on the clipboar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letion of the preview data and the clip data can be deleted by an editing operation before pasting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클립보드 기능 운용 방법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9는 클립보드에 저장된 클립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별 포맷에 따라 붙여넣기 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clipboard function operating metho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9 illustrates an operation of pasting clip data stored in the clipboard according to a format for each application.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901단계). 그리고 제어부(1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클립보드 윈도우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903단계). 이때,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뷰 데이터를 포함하여 나타낼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display of a screen on which a user can input predetermined data (operation 901). In step 903,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clipboard window display in response to the user request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clipboard window may include at least one preview data.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상기 클립보드 윈도우가 표시된 상태에서 소정의 프리뷰 데이터에 의한 클립 데이터의 붙여넣기를 명령하는 제4 이벤트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905단계). Next, in step 905, the control unit 150 may detect a fourth event input for instructing paste of clip data by predetermined preview data in a state where the clipboard window is displayed.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상기 제4 이벤트 입력을 감지할 시 실행되어 현재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타입을 판별할 수 있다(90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어플리케이션의 타입이 웹 언어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예컨대, 웹 브라우징 어플리케이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웹 언어 지원하는 문서 어플리케이션 등)인지 또는 웹 언어를 지원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예컨대,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웹 언어 미지원 문서 어플리케이션 등)인지 구분할 수 있다.Next, in operation 907,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the type of the currently activated application when the fourth event input is sensed.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he type of the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supporting the web language (for example, a web browsing application, a social network service application, an e-mail application, a web application supporting a web language, Application (e.g., a message application, a web language non-supporting document application, etc.).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어플리케이션의 타입이 웹 언어 지원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웹 언어 기반으로 클립 데이터를 상기 화면 상에 붙여넣기 하여 나타낼 수 있다(909단계).If the type of the application is a web-language-supporting application, the control unit 150 may paste the clip data on the screen based on the web language as described above (Step 909).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어플리케이션의 타입이 웹 언어 미지원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지원 포맷을 확인할 수 있다(911단계). Next, the controller 150 can confirm the support format of the application when the type of the application is a web-language non-supported application (step 911).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웹 언어 기반의 클립 데이터의 포맷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지원 포맷에 대응하도록 변환한다(91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웹 언어 기반의 클립 데이터를 상기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에서 지원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5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문서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웹 언어 기반의 클립 데이터를 상기 문서 어플리케이션에서 지원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맷 변환 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웹 언어 기반의 클립 데이터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부분을 삭제하거나 유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상기 클립 데이터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유지한 상태에서 포맷 변환을 제어할 수 있다.Next, the controller 150 converts the format of clip data based on the web language to correspond to the support format of the application (step 913). For example, when the application is a message application, the control unit 150 may convert the web language-based clip data into a format that can be supported by the message application. Alternatively, if the application is a document application, the control unit 150 may convert clip data based on the web language into a format that can be supported by the document application. At this time, the multimedia data portion included in clip data based on the web language can be deleted or mainta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can display the multimedia data during the format conversion. That is, the control unit 150 can control the format conversion in a state where the multimedia data included in the clip data is deleted or maintained.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변환된 클립 데이터를 상기 화면 상에 붙여넣기 하여 나타낼 수 있다(915단계). 이때, 제어부(15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변환된 클립 데이터를 붙여넣기할 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여 붙여넣기하거나 또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생략되고 텍스트만을 붙여넣기할 수 있다. Next, the control unit 150 can display the converted clip data by pasting on the screen (Step 915). At this time, depending on whether the application can display multimedia data, the control unit 150 may paste the converted clip data including the multimedia data, or may paste the text data, omitting the multimedia data .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클립보드 기능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Meanwhile, the clipboard function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can be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t this tim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 program command, a data file, a data structure,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On the other hand,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로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a magnetic medium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 CD-ROM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a DVD (Digital Versatile Disc) ), A magneto-optical medium such as a Floptical Disk, and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ead Only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flash memory, Hardware devices. The program instructions also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the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10: 통신모듈 120: 표시부
130: 저장부 140: 클립보드
150: 제어부
610: 디스플레이 영역 630: 클립보드 윈도우(클립보드 영역)
635: 프리뷰 데이터
110: Communication module 120: Display
130: storage unit 140: clipboard
150:
610: Display area 630: Clipboard window (clipboard area)
635: Preview data

Claims (1)

클립 데이터를 제공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데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클립 데이터로서 복사하기 위한 제2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클립 데이터로 저장할 것인지 또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에 상응하는 링크 주소를 상기 클립 데이터로 저장할 것인지의 판단에 기반하여, 상기 클립 데이터를 저장하고,
클립 데이터 호출 이벤트에 응답하여, 복수의 클립 데이터를 프리뷰 데이터로서 표시하는 클립 데이터 윈도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의 상기 클립 데이터 윈도우에서 선택된 클립 데이터를 붙여 넣도록 제어하고,
상기 선택된 데이터가 링크 정보(link information)를 포함하는 웹 기반 데이터(web based data)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웹 기반 데이터의 콘텐츠 또는 상기 웹 기반 데이터에 상응하는 링크 주소를 상기 선택된 데이터로서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클립 데이터로 저장하고,
상기 링크 주소를 상기 클립 데이터로 저장하도록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상기 웹 기반 데이터의 상기 링크 주소를 포함하는 상기 클립 데이터로 저장하고,
상기 링크 주소를 상기 클립 데이터로 저장하도록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립 데이터 호출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웹 기반 데이터의 상기 링크 주소를 상기 복수의 클립 데이터 중 하나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데이터를 제공하는 휴대단말.
A portable terminal that provides clip data,
A display section; And
And a control unit,
Displaying data on the display unit,
Receiving a first input for selecting one of the displayed data,
A second input for copying the selected data as clip data,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second input, storing the clip data based on a determination whether to store the selected data as the clip data or the link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ata as the clip data,
A clip data window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clip data as preview dat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response to a clip data call event,
Controls to paste the clip data selected in the clip data window of the display unit,
If the selected data is web based data including link information, the controller selects a link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of the web based data or the web based data as the selected data Storing the selected data as the clip data,
The control unit stores the selected data as the clip data including the link address of the web-based data when the link address is selected to be stored as the clip data,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display the link address of the web-based data in one of the plurality of clip data in response to the clip data call event when the link address is selected to be stored as the clip data A portable terminal providing clip data.
KR1020170134085A 2017-10-16 2017-10-1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ipboard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KR2017011866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085A KR20170118667A (en) 2017-10-16 2017-10-1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ipboard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085A KR20170118667A (en) 2017-10-16 2017-10-1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ipboard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008A Division KR20120107356A (en) 2011-03-21 2011-03-21 Method for providing clipboard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667A true KR20170118667A (en) 2017-10-25

Family

ID=60299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085A KR20170118667A (en) 2017-10-16 2017-10-1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ipboard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866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0674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ipboard function in mobile terminal
KR1017606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home screen in a touch device
KR101601049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dual display unit and method for providing clipboard function therefor
JP59687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 information
EP2763387B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web page information
JP58722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lectronic book service in portable terminal
JP2012243316A (en) Media file splitting method and device for the same
KR201200488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a web page
US10939171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automatic grouping and management of content in real-time
KR20130024255A (en) Providing method for data complex recording and portable device thereof
KR20190021016A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170908A1 (en) Video reproduc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9436289B2 (en) Transmitting device, display control device, content transmitting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KR20110052817A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to external apparatus
US201201271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 electronic book function in a mobile device
JPWO2012085993A1 (en) Image folder transmission reproduction apparatus and image folder transmission reproduction program
KR2017011866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lipboard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US20210365163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text in electronic terminal
JP5263851B1 (en) Document conversion method and document conversion program
KR20200139395A (en) Apparatus for User Based Document Edi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