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9395A - Apparatus for User Based Document Edi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User Based Document Edi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9395A
KR20200139395A KR1020190065864A KR20190065864A KR20200139395A KR 20200139395 A KR20200139395 A KR 20200139395A KR 1020190065864 A KR1020190065864 A KR 1020190065864A KR 20190065864 A KR20190065864 A KR 20190065864A KR 20200139395 A KR20200139395 A KR 20200139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diting
document
document editing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8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04275B1 (en
Inventor
정경인
송상근
정서윤
Original Assignee
대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65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275B1/en
Publication of KR20200139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93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2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based document editing device and to a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based document editing device comprises: a storage unit which stores a different user-based work history for each user to be displayed on an editing screen where document editing is performed or around the editing screen;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storage unit to perform document editing based on the selected specified work,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ed work of the previously stored work history when the user works on a document.

Description

사용자 기반의 문서편집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Apparatus for User Based Document Edi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User-based document editing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Apparatus for User Based Document Edi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기반의 문서편집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문서 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문서 편집시에 사용자의 작업 이력을 별도로 관리하여 작업 이력을 통해 편리하게 문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사용자 기반의 문서편집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based document editing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device. More particularly, when editing a document through a document editing program, the user's work history is separately managed so that document work is conveniently performed through the work histor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based document editing device and a driving method of the device.

문서 편집기 또는 텍스트 에디터(text editor)는 단순한 문서 파일을 편집하기 위해 쓰이는 소프트웨어이다. 이진 형식이 아닌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텍스트 형식의 파일을 읽고 간단한 조작으로 편집하여 저장할 수 있는 컴퓨터의 가장 기본적인 소프트웨어 중의 하나이다. 텍스트 에디터로 생성된 일반 텍스트 파일과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워드퍼펙트, 또는 OpenOffice.org와 같은 워드 프로세서로 생성된 문서파일에는 기본적으로 중요한 차이가 있다. 일반 텍스트 파일은 파일에서 표현된 그대로를 보여줌으로써 편집하고 나타낼 수 있다. '표시'할 수 없는 유일한 문자는 사용된 문자 집합의 제어문자이다. 실질적으로 줄바꿈, 탭 그리고 폼 피드(formfeed)를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요즘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문자집합은 ASCII로 일반 텍스트 파일은 과거에 문서작성을 할 때(예를 들면 구체적인 사용설명, 혹은 사용 안내)보다, 프로그래밍과 구성을 하는데 더 자주 사용된다.A text editor or text editor is software used to edit simple text files. It is one of the most basic software of computers that can read, edit and save files in human-readable text format, not in binary format. There is a fundamentally important difference between a plain text file created with a text editor and a document file created with a word processor such as Microsoft Word, WordPerfect, or OpenOffice.org. Plain text files can be edited and displayed by showing them as they are expressed in the file. The only characters that cannot be'displayed' are the control characters of the character set used. Practical examples include line breaks, tabs, and formfeeds. In particular, the most commonly used character set these days is ASCII, and plain text files are more often used for programming and configuration than when writing documents in the past (for example, specific instructions or instructions).

문서는 일반적으로 문자 집합을 정의하는 것 이외에도 구체적인 파일 포맷 "제어문자"를 포함하고 있다. 이것은 굵게, 기울임꼴, 글꼴, 열, 표 등의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반 페이지 포맷 기호들이 일단 바탕화면에 연결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가장 간단한 워드 프로세서의 기본화면에서 볼 수 있다. 워드 프로세서 프로그램은 일반 텍스트 파일을 편집하며 기본 텍스트 파일 형식으로 저장한다. 하지만 프로그램 작성시 무엇을 요구하고 있는지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 작성해야 한다. 저장 형식을 지정할 때에, 특히 소스 코드, HTML, 그리고 구성, 제어 파일과 같이 특히 더 중요한 파일에는 더욱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만일 프로그램을 초기값으로 그대로 둘 경우, 파일은 "특수 문자"를 포함하게 될 것이며 파일이 의도하고자 했던 유틸리티를 정확히 표현할 수 없을 수도 있다.In addition to defining character sets in general, documents contain a specific file format "control characters". It can enable features such as bold, italic, font, column, and table. Also, other general page format symbols were once connected to the desktop, but now they can be viewed on the basic screen of the simplest word processor. Word processing programs edit plain text files and save them in the default text file format. However, you should pay attention to what you are asking for when writing a program. When specifying the storage format, pay more attention to the source code, HTML, and particularly more important files such as configuration and control files. If you leave the program at its default value, the file will contain "special characters" and may not accurately represent the utility the file intended to use.

그런데, 위에서와 같이 종래 전 세계의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워드 프로세서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문서 작업을 하는 중에 드래그(drag)를 이용한 페이지 이동, 복사, 붙여 넣기 등 다양한 편집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워드 상에서 제공되는 명령어의 경우 워드 편집시 유용하게 사용되기는 하나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일일이 단축키나 마우스를 이용해 클릭하는 경우 매우 불편점도 많이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 이동은 마우스 휠을 이용하거나 워드 문서 하단에 페이지 찾아가기 등을 눌러야 하고, 복사는 반복되는 문구나 단어를 복사한 후 붙여넣기를 할 수 있는데 직전에 복사된 문구나 단어만 붙여 넣기가 가능하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a word processor program used by many users around the world in the past requires various editing methods such as page movement, copying, and pasting using drag while the user is working on a document. In the case of such a command provided on a word, it is useful when editing a word, but there are many inconvenient points when clicking individually using a shortcut key or a mouse when performing repetitive tasks. For example, you need to use the mouse wheel or click Go to Page at the bottom of a word document to move the page, and to copy, you can copy and paste a repeated phrase or word. It is possible to put it.

이와 같이, 문서 작업시 반복적으로 상하페이지 이동을 하는 경우 해당 페이지를 정확하게 찾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고, 워드 하단에 있는 페이지 찾아가기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해당 페이지를 기억해야 하는 단점도 있다. 또한 복사 및 붙여 넣기 등과 같은 명령어의 경우 직전에 복사한 단어 및 문구만 붙여넣기만 가능하여 이전에 사용한 복사된 단어 및 문구를 다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페이지를 찾아가서 다시 복사하여 붙여넣기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f the page is repeatedly moved up and down while working on a documen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find the page, and if the page navigation function at the bottom of the word is used, the page must be remembered. Also, in the case of commands such as copy and paste, only words and phrases copied just before can be pasted, so if you want to reuse the copied words and phrases used previously, you must go to the page and copy and paste again. There is discomfort.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9398호(2007.11.15.)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7-0109398 (2007.11.15.)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1161호(2013.06.28.)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3-0071161 (2013.06.28.)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문서 편집 프로그램을 통해 문서 편집시에 사용자의 작업 이력을 별도로 관리하여 작업 이력을 통해 편리하게 문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사용자 기반의 문서편집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based document editing device and a driving method of the device that allows a user's work history to be conveniently performed through the work history by separately managing a user's work history when editing a document through a document editing program. Has its purpos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반의 문서편집장치는, 문서 편집이 이루어지는 편집 화면상 또는 상기 편집 화면의 주변에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자마다 다른 사용자 기반의 작업 이력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가 문서 작업시 상기 저장한 작업 이력의 지정 작업을 선택할 때, 상기 선택한 지정 작업에 근거한 문서 편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user-based document edi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different user-based work history for each user to be displayed on an editing screen in which document editing is performed or around the editing screen, and the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torage unit to perform document editing based on the selected specified job when selecting a specified job of the stored job history when working on a document.

상기 문서편집장치는, 상기 작업 이력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작업 이력을 처리하는 외부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cument editing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mage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the work history and an external device that processes the work history in connection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상기 저장부는, 상기 작업 이력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반복하여 사용하는 작업 명령어 및 작업 문구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may store at least one of a work command and a work phrase repeatedly used by the user as the work history.

상기 사용자 기반의 문서편집장치는, 상기 작업 이력이 포함되는 UI(User Interface) 창을 상기 편집 화면상 또는 주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ser-based document edit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 user interface (UI) window including the work history on or around the editing scree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에 표시되는 상기 UI 창을 사용자 조작에 의해 이동 가능한 OSD(On Screen Display)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isplay the UI window displayed around the periphery in the form of an On Screen Display (OSD) movable by user manipulation.

상기 사용자 기반의 문서편집장치는, 상기 선택한 지정 작업의 음성어를 처리하는 음성어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한 음성어에 해당하는 상기 지정 작업의 문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The user-based document edit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voice language processing unit that processes a voice language of the selected designated task, and the control unit may edit a document of the designated task corresponding to the processed voice language. .

상기 저장부는, 동일 사용자의 서로 다른 문서마다 상기 작업 이력을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may match and store the work history for different documents of the same us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반의 문서편집장치의 구동방법은,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반의 문서편집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문서 편집이 이루어지는 편집 화면상 또는 상기 편집 화면의 주변에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자마다 다른 사용자 기반의 작업 이력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가 문서 작업시 상기 저장한 작업 이력의 지정 작업을 선택할 때, 상기 선택한 지정 작업에 근거한 문서 편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method of driving a user-based document edi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iving method of a user-based document editing apparatus including a storage unit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document editing is performed on the editing screen or the editing screen. Storing a different user-based work history for each user in the storage unit for display in the vicinity, and when the control unit selects a designated task of the stored work history when the user works on a document, the selected designated task And controlling the storage unit so that based document editing is performed.

상기 문서편집장치는, 상기 작업 이력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작업 이력을 처리하는 외부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cument editing devi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mage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the work history and an external device that processes the work history in connection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 이력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반복하여 사용하는 작업 명령어 및 작업 문구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The storing may include storing at least one of a work command and a work phrase repeatedly used by the user as the work history.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작업 이력이 포함되는 UI 창을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편집 화면상 또는 주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a UI window including the work history on or around the editing screen of the display unit.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에 표시되는 상기 UI 창을 사용자 조작에 의해 이동 가능한 OSD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ing may include displaying the UI window displayed around the periphery in the form of an OSD that can be moved by a user manipulation.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선택한 지정 작업의 음성어를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처리한 음성어에 해당하는 상기 지정 작업의 문서 편집을 수행할 수 있다.The driv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ocessing a voice language of the selected designated task, and the controlling may perform document editing of the designated task corresponding to the processed voice language.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동일 사용자의 서로 다른 문서마다 상기 작업 이력을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The storing may include matching and storing the work history for different documents of the same us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들은 문서 편집시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반복되는 명령에 대한 보다 편한 사용법(예: UI 창)이 제안됨에 따라 이를 통해 문서 작업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rs may more conveniently perform work when editing a document. For example, as more convenient usage (eg, UI window) for repeated commands is proposed, document work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편집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에 구현되는 편집 화면의 예시도,
도 3은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 또는 문서편집서비스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반의 문서편집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document edi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of an editing screen implement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of FIG. 1;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user terminal device or document editing service device of FIG. 1, and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process of a user-based document edi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편집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에 구현되는 편집 화면의 예시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ocument edi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emplary view of an editing screen implemented in a user terminal device of FIG.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서편집시스템(90)은 사용자 단말장치(100), 통신망(110) 및 문서편집서비스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document editing system 9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art or all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and the document editing service device 120. .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망(110)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문서편집서비스장치(120)와 다이렉트 통신(예: P2P 통신)을 수행하거나,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스탠드얼론(stand alone) 즉 독립된 형태로 동작을 수행하거나, 문서편집서비스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10) 내의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 "including some or all" means that some components such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are omitted so that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performs direct communication (eg, P2P communication) with the document editing service device 120 ,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a stand alone (stand alone), that is, performs an operation in an independent form, or a part or all of the document editing service device 120 is a network device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for example, a wireless switching device, etc.) It is intended to mean something that can be integrated and configured in, and will be described as including all in order to help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태블릿PC, 스마트폰, 스마트TV와 같은 영상표시장치를 포함하며, 그 주변장치로서 인공지능(AI) 스피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서편집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단말장치가 바람직하다. 가령,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클라우드 형태로 동작하여 문서편집서비스장치(120)에서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고,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화면상에 편집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작업명령에 따라 실시간으로 문서편집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편집 작업을 위한 최소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만을 구비하고, 나머지는 문서편집서비스장치(120) 등의 클라우드 자원을 이용하는 것이다. 위의 단말장치들로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컴퓨터와 같이 모니터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예: 키보드 등)가 이원화되어 있는 단말장치, 가령 스마트TV와 같이 주변의 AI 스피커나, 스마트폰으로 원격 제어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a smart phone, and a smart TV, and may further include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speaker as a peripheral device thereof. Of cours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preferably a terminal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 program for document edi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operates in a cloud form to process all data in the document editing service device 120,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displays an editing screen on the screen, and responds to a work command from the user. Accordingly, it may be possible to perform a document editing service in real time. That is,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provided with only a minimum of hardware and software for editing, and the rest uses cloud resources such as the document editing service device 120. Any number of these terminal devices can be possible.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a terminal device in which a monitor and a user interface unit (eg, a keyboard, etc.) are dualized, such as a computer, for example, a peripheral AI speaker such as a smart TV, or a smart phone for remote control. It could include any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반의 문서편집장치에 포함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내부에 편집기와 같은 문서편집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문서 편집을 위해 이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은 화면을 모니터에 표시할 수 있다. 물론 편집 프로그램은 워드 프로세서로서 한글워드나 MS워드와 같이 문서 작성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제작사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사용할 수 있지만, 별도의 이동매체(예: USB, CD 등)를 구매하여 이를 통해 실행시킬 수도 있다. 이때, 해당 편집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반의 편집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반의 편집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의 형태로 위의 프로그램 제작사의 편집기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물론 위의 제작사의 프로그램도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운영체제(OS)에 연동하여 동작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은 편집 프로그램(예: 한글, MS워드 등)이 동작할 때 함께 동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사용자가 워드와 같은 편집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앱을 함께 실행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프로그램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included in a user-based document edi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 document editing program such as an editor therein and executes it for document editing, the screen as shown in FIG. 2 may be displayed on the monitor. Of course, the editing program is a word processor and includes programs that can write documents such as Korean Word or MS Word. These programs can be downloaded from the program maker's server and used, but a separate mobile medium (eg, USB, CD, etc.) can be purchased and executed through it. In this case, the corresponding editing program may include a user-based edi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ernatively, the user-based editing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rate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pplic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editor of the above program maker. Of course, the above manufacturer's program is also an application program and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an operating system (OS), but the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together when an editing program (eg, Korean, MS Word, etc.) is operated.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executes an editing program such as Word,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executes another app in accordance wit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ogram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s described above, it will not be specifically limited to any one form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도 2에서와 같이, 편집기가 화면에 표시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반의 UI 창(200)를 일측 영역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 창(200)은 매번 문서편집이 이루어질 때마다 새로운 작업 이력이 담긴 UI 창(200)을 화면에 표시하지만, 연속성이 있는 작업의 문서는 동일한 작업 이력을 담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다른 문서 작업에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나 복사문구, 다시 말해 단축키나 자주 복사했던 문서의 특정 문구나 문장, 구문 등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이는 시스템 설계자가 어떠한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설계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문서편집기를 실행해 새문서를 작성하거나 하면서 반복 작업을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 기준값 이상이 되는 반복 작업과 관련되는 단축키, 복사문구 등을 표시해 줄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when the editor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display a user-based UI window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in one area. For example, the UI window 200 displays a UI window 200 containing a new job history on the screen every time a document is edited, but a document of a continuous job may contain the same job history, and the user It can display commands or phrases that are frequently used in other document work, that is, shortcuts or specific phrases, sentences, and phrases from documents that have been copied frequently. This may depend on how the system designer designs the program. In other words,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may monitor the repetitive task while creating a new document by executing the document editor, and as a result, display a shortcut key, a copy phrase, etc. related to the repetitive task that exceeds a reference value.

도 2에서는 이동페이지나 기타 명령어(예: 복사문구 등)를 예시하고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문서 작업을 위해 특정 페이지로 이동하는 것이 감지되면 해당 페이지를 UI 창(200)에 표시해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반복되는 작업에 대한 단축키, 명령어(예: 페이지 이동) 등을 UI 창(200)에 표시해 주면, 사용자는 UI 창(200)의 특정 작업을 실행시켜 문서작업시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UI 창(200)은 문서의 편집 화면 주변에 표시해 줌으로써 사용자의 작업성이 편리해지는 것이다. 물론 UI 창(200)의 표시 형태는 다양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가령, 제1 단락을 기술하고, 제2 단락을 기술할 때, 기존과 같이 제1 단락의 일부를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복사하고 붙여넣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UI 창(200)에 해당 문구가 있다면 단순히 선택하는 하나의 동작만으로서 문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정 페이지로 이동할 때, 가령 167 페이지로 이동이 잦을 때, 매번 마우스를 스크롤하기보다는 이동 페이지 카테고리에서 167이라는 숫자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페이지로 바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In FIG. 2, a moving page or other commands (eg, copy text) are illustrated. In other words,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moves to a specific page for document work, the corresponding page is displayed on the UI window 200. When a shortcut key for a repetitive task, a command (for example, page movement), etc. are displayed on the UI window 200, the user can conveniently perform a document operation by executing a specific task in the UI window 200. The UI window 200 is displayed around the editing screen of the document, thereby enhancing the user's workability. Of course, since the display form of the UI window 200 may be various, it will not be specifically limited to any one form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hen describing the first paragraph and the second paragraph, instead of dragging a part of the first paragraph to copy and paste as before, if there is a corresponding phrase in the UI window 200, simply Document work is done with just one action you choose. When moving to a specific page, for example, when frequently moving to page 167, rather than scrolling the mouse every time, by selecting the number 167 from the moving page category, it is possible to move directly to the page.

도 2에서 볼 때, UI 창(200)에는 작업 이력 중 특정 작업을 음성어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음성인식아이콘(혹은 음성인식버튼)(211)이 표시되어 있다. 가령 컴퓨터와 같은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마이크로폰을 통해 음성으로 명령어를 실행하여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문서 편집시에 특정 작업에 대하여 음성어를 발화함으로써 이를 통해서도 문서 편집이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167 페이지 이동"이라고 사용자가 발화하면 음성인식을 통해 해당 페이지로의 이동이 바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외에도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사용자가 반복 작업하는 명령어를 가령 기준값(예: 반복 횟수 등)을 근거로 UI 창(200)에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을 시작하거나 수행하는 중에 작업자가 특정 명령어를 지정된 카테고리에 설정하는 방식으로도 얼마든지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현재 자주 이동하는 페이지가 167 페이지이므로 이동 페이지 카테고리에 사용자가 167을 입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UI 창(200)을 이용해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As shown in FIG. 2, a voice recognition icon (or voice recognition button) 211 is displayed on the UI window 200 to indicate that a specific task can be performed through voice language. For example, a command may be executed by voice through a microphone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such as a computer, so that a task can be performed. That is, the user may utter a spoken language for a specific task when editing a document, thereby enabling document editing through this.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utters "Move to page 167", the user immediately moves to the page through voice recognition. 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does not display a command that the user repeats on the UI window 200 based on, for example, a reference value (for example, the number of repetitions), but allows an operator to execute a specific command while starting or performing a task. Any number of operations can be performed by setting them in a designated category. In other words, since the currently frequently moved page is 167 pages, the user enters 167 in the moving page category. As described above, since a method of performing a task using the UI window 200 may be variou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method.

도 2에서는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OSD(On Screen Display) 방식으로 즉 서로 다른 레이어(layer)에 담위 프레임 영상을 각각 표시하는 방식으로 UI 창(200)을 표시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마우스 등을 통해 UI 창(200)을 화면상에서 자신이 원하는 곳으로 자유자재로 움직이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가장 편한 곳에 위치시킨 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화면에 중첩되는 방식이 아닌, 화면의 일부에 삽입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특정 단위 프레임의 특정 영역에 UI 창(200), 또는 영역이 삽입되도록 영상을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이는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도 2에서와 같은 정지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때, UI 창(200)을 합성하여 표시하게 된다. 즉 편집 화면과 동일 레이어에 UI 창(200)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화면 구성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다양한 처리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In FIG. 2, it is illustrated that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displays the UI window 200 in an OSD (On Screen Display) method, that is, in a manner in which each frame image is displayed on different layers. In this case, the user can perform a task while moving the UI window 200 to a desired place on the screen using a mouse or the like. Therefore, you can perform work after placing it in the most convenient place. For example, i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not superimposed on the screen but is inserted in a part of the screen, the UI window 200 or the image is processed so that the area is inserted in a specific area of a specific unit frame. Display on the screen. When image processing is performed to display a still image as shown in FIG. 2 on the screen, the UI window 200 is synthesized and displayed. That is, the UI window 200 is formed on the same layer as the editing screen. Since various processes are possible in the method of configuring a screen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form.

다시 정리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반의 문서편집은 문서편집서비스장치(120)에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컴퓨터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직접 설치되어 사용이 가능하다. 우선 워드 문서를 실행한다. 워드문서를 실행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가령 앱을 실행한다. 물론 워드문서를 실행할 때 이를 인식하여 앱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이하, 제2 프로그램)은 별도의 창을 통해 각 실행된 워드 문서의 명령어를 표시된다. 이때 표시되는 워드 문서의 명령어는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명령어만을 편집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표시된 명령어를 클릭하여 사용하거나 음성을 통해 해당 명령어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반복적인 단어 또는 문구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복사된 문구를 각각 저장한다.In summary, user-based document edi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in the document editing service device 120, but may be installed and used directly i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like a computer. First, run the word document. After executing the word document, a program, such as an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Of cours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it when executing a word document and automatically launch the app. In addition, the progr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commands of each executed word document through a separate window. At this time, the command of the displayed word document can be used by editing only the commands mainly used by the user. And you can click the displayed command to use it or use the command through voice. Also, when repeated use of words or phrases is required, each copied phrase is stored.

예를 들어 프로그램 창 즉 UI 창(200)에 자신이 이동하고자 하는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페이지를 입력하는 창을 표시하고 (기존 워드의 경우 페이지 찾기 창을 띄워 놓으면 다른 작업은 불가) 언제든 해당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으며, 복사한 문구나 단어들은 별도로 저장되어 붙여넣기가 필요한 경우 해당 문구나 단어들을 프로그램 창에서 드래그하여 바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워드 편집시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를 해당 프로그램 창에 띄어 놓고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메모장과 같이 필요한 편집용 명령어 창을 펼쳐 놓고 작업하는 창을 제공하되, 사용자의 작업이 모니터링되어 반복 작업에 대한 명령어나 문구, 나아가 작업자가 직접 반복하는 작업에 대한 명령어나 문구를 기록함으로써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 편집기에서 편집을 위해 상단 메뉴바에서 해당 메뉴를 찾거나 또는 단축키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n the program window, that is, the UI window 200, a window for entering a page so that you can move to the page you want to move is displayed (in the case of existing Word, other operations are not possible if the page finder window is opened). It can be moved, and copied phrases or words are stored separately and can be used immediately by dragging the phrases or words from the program window when pasting is necessary. In other words, when editing a word, you can work with the commands you use frequently in the corresponding program window. Provides a window to open and work with the necessary editing command window like a notepad, but the user's work is monitored and the command or phrase for the repetitive task, and further, the command or phrase for the task that the operator directly repeats, is recorded. Can be done. This makes it possible to improve the inconvenience of finding the corresponding menu in the top menu bar or using a shortcut key for editing in the existing editor.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1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includes all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or example,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network may be used or interlocked. Here, the wired network includes an Internet network such as a cable network or a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CDMA, WCDMA, GSM, Evolved Packet Core (EPC), Long Term Evolution (LTE), and Wibro networks. It is meant to include. Of course,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as an access network for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for example, a cloud computing network or a 5G network under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For example, if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i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the access point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can be connected to the switching center of the telephone office, but in the cas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ata is accessed by accessing SGSN or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operated by the communication company. Alternatively, data can be processed by accessing various repeaters such as BTS (Base Station Transmission), NodeB, and e-NodeB.

통신망(11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문서편집서비스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may include an access point. Here, the access point includes a small base station such as a femto or pico base station that is frequently installed in a building. Here, the femto or pico base station is classified according to how many user terminal devices 100 can be access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small base station. Of course, the access point includ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and Wi-Fi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he access point may use TCP/IP or Real-Time Streaming Protocol (RTSP) for wireless communication. Here, short-range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in various standards such as Bluetooth, Zigbee, infrared, radio frequency (RF) such as ultra high frequency (UHF) and very high frequency (VHF), and ultra wideband communication (UWB) in addition to Wi-Fi. Accordingly, the access point may extract the location of the data packet, designate the best communication path for the extracted location, and transmit the data packet to the next device, for example, the document editing service device 120 along the designated communication path. The access point can share several lines in a general network environment, and includes, for example, a router, a repeater, and a repeater.

문서편집서비스장치(1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반의 문서편집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물론 문서편집서비스장치(120)는 여러 가지 형태로 동작할 수 있다. 단순히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고, 또 처리된 데이터를 DB(120a)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가령, 클라우드 서버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 등의 제2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동작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는, 제2 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작업이 완료될 때, 관련 데이터를 제공받아 관리해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문서편집서비스장치(120)는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동작할 수 있는 것이다.The document editing service device 120 may be included in a user-based document edi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the document editing service device 120 may operate in various forms. It can operate by simply interworking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o process data and to store the processed data in the DB 120a. For example, it can operate as a cloud server. Alternatively, only the operation of providing a second program such as an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Furthermore, after providing the second program, when a task is completed, it may perform a role of receiving and managing related data. In this way, the document editing service device 120 can operate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system designer.

예를 들어, 문서편집서비스장치(120)가 특정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가령 앱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앱을 통해 전 지역에 위치하는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DB(120a)에 해당 데이터를 저장하고, 가령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사용자가 편집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저장한 데이터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문서편집서비스장치(120)는 로컬(local)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요청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document editing service device 120 does not play a role of providing an app to a specific user terminal device 100, but needs to manage data for a plurality of users located in all regions through the app. In this case, the data may be stored in the DB 120a, and the data may be transmitted when the user requests the stored data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when executing the editing program. In this way, the document editing service device 120 may be able to operate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located locally.

도 3은 사용자 기반의 문서편집장치의 세부 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으로서,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 또는 문서편집서비스장치의 세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설명한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user-based document editing device, and may include a detailed structure of the user terminal device or the document editing service device of FIG. 1.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of FIG. 1 will be describ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편집이력처리부(320) 및 저장부(3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나아가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art or all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00, the control unit 310, the editing history processing unit 320, and the storage unit 330. It includes, and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a user interface unit, and the like.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나 저장부(3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구성되거나 편집이력처리부(3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3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 "including some or all" means that some components such as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00 or the storage unit 330 are omitted, so that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configured or a part such as the editing history processing unit 320 It will be described as meaning that the components can be integrated into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control unit 310 to be configured, and includes all components to aid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가령 도 1의 통신망(110)을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문서편집서비스장치(120)가 통신을 수행위해 필요할 수 있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변/복조, 인코딩/디코딩, 먹싱/디먹싱, 스케일링, 암호화/복호화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00 may be necessary for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document editing service device 120 to communicat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10 of FIG. 1, for example. Various operations, such as modulation/demodulation, encoding/decoding, muxing/demuxing, scaling, encryption/decryption, etc., can be perform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communication, which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o further descriptions are omitted.

가령,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문서편집서비스장치(120)로부터 워드 작성을 위한 편집 프로그램 즉 제1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고,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용자 기반의 작업 이력을 실행하기 위한 앱 즉 제2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제어부(310)로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00 may download an editing program for word writing, that is, a first program, from the document editing service device 120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In addition,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based An app for executing the job history, that is, a second program may be download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10.

제어부(31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편집이력처리부(320) 및 저장부(330), 나아가서는 디스플레이부 등을 제어하는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워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경우, 해당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편집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상에 표시해 주고, 동시에 제2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가령 OSD 기반으로 도 2의 UI 창(200)을 화면에 함께 표시해 줄 수 있다. 가령, 제어부(310)는 저장부(330)를 구성하는 HDD 등에 저장되어 있는 워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편집이력처리부(320)에 포함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UI 창(200)에는 이전 작업에서의 다양한 작업 이력이 기록되어 있을 수 있다. 동일 문서에 대하여 수일에 걸쳐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전 작업에서의 작업 이력, 가령 명령어나 문구들이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 The control unit 310 is in charge of a control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00, the editing history processing unit 320 and the storage unit 330, and furthermore, the display unit constituting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For example, when a user executes a word program, an edit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and at the same time, a second program is executed to display the UI window 200 of FIG. 2 on the screen based on the OSD. You can mark it together.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10 can execute a word program stored in the HDD constituting the storage unit 330, and execute the second progra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d in the editing history processing unit 320. will be. Of course, various work histories in previous work may be recorded in the UI window 200. When a work is performed on the same document over several days, the work history of the previous work, such as commands or phrases, has been set.

만약 새로운 문서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 등의 정보는 디폴트(default)로 설정해 주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사용자의 문서 작업을 모니터링하고, 활용이 많은 단축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지만, 이러한 정보의 추천은 인공지능(AI)의 딥러닝과 같은 동작에 의해 주기적으로 갱신이 이루어져 추천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UI 창(200)에 작업 이력을 표시하되, 표시하는 방법은 다양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When creating a new document, it may be possible to set information such as shortcut keys frequently used by the user as default. Of course, this monitors the user's document work and provides information on shortcuts that are often used, but the recommendation of this information is periodically updated by actions such as deep learn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Can be. As described above, the work history is displayed on the UI window 200, but since the display method is various, it will not be specifically limited to any one form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제어부(310)는 편집이력처리부(320)와 연동하여 작업자의 문서 편집 작업을 모니터링하고, 반복 작업이 이루어지는 명령어, 또는 문구를 도출하고, 가령 이의 과정에서 기준값 이상이 되는 명령어나 문구 등은 저장부(330)에 저장한 후, UI 창(2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제어부(310)는 사용자가 단축키 F5를 반복 클릭할 때, 해당 제어신호 즉 2진 비트정보에 카운팅을 하여 횟수를 부여할 수 있고, 또 해당 2진 비트정보가 어떠한 정보인지 명령어해석부 등을 통해 해석하여 작업 이력을 생성해 저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10 interlocks with the editing history processing unit 320 to monitor the operator's document editing work, and derives a command or a phrase in which the repetitive work is performed, for example, a command or a phrase that exceeds a reference value in the process thereof. After being stored in the storage unit 330, it may be displayed on the UI window 200. For example, when the user repeatedly clicks the shortcut key F5, the control unit 310 may count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hat is, binary bit information, to give the number of times, and the command interpreter, etc. It will be possible to generate and save the work history by analyzing through.

상기한 내용에 근거해 볼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10)는 영상을 혼합(mixing)하는 등의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워드 프로그램을 위해 구현되는 화면과 UI 창(200)을 구현하기 위한 화면을 서로 동일 레이어에서 혼합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레이어에서 동작하도록 관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업자의 편의를 위해 후자의 경우가 더욱 바람직하다. 즉, UI 창(200)은 OSD 기반으로 화면에 구현되는 것이 사용자의 작업에 유용하다.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the controller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perform an operation such as mixing an image. In other words, a screen implemented for a word program and a screen implemented for the UI window 200 may be mixed with each other in the same layer or a related operation may be performed so as to operate in different layer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ter case is more preferable for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That is, it is useful for the user's work that the UI window 200 is implemented on the screen based on the OSD.

한편, 제어부(3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CPU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CPU와 메모리는 원칩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CPU는 편집이력처리부(320)의 제2 프로그램을 구동 초기에 복사하여 메모리에 로딩하는 것이다.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연산부는 2진 비트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기계어의 해석 동작을 담당한다. 제어회로는 해석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310 may include a CPU and a memory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PU and memory may be formed into a single chip. The CPU copies the second program of the editing history processing unit 320 at the initial driving stage and loads the second program into the memory. The memory may include RAM. This can quickly increase the data processing speed. The CPU includes a control circuit, an operation unit (ALU), an instruction analysis unit and a registry, and the like. The control circuit is in charge of a control operation, the operation unit is in charge of operation of binary bit information, and the instruction analysis unit is in charge of interpreting machine language. The control circuit can perform the interpreted operation. The registry could be involved in software data storage.

편집이력처리부(3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반의 작업 이력을 생성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대표적으로, 편집 화면상에 OSD 기반으로 동작하는 UI 창(200)을 구현한다. 이에 더하여, 편집이력처리부(320)는 UI 창(200)에 작업 이력을 포함시키며, 이러한 이력은 문서 편집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반복 작업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삽입할 수 있지만, 사용자의 특별한 요청이 있을 때 삽입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문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자가 자주 사용했던 단축키와 같은 정보를 삽입해 줄 수도 있다. 물론, 편집이력처리부(320)는 외부 서버, 가령 검색포털이 가능한 서버로부터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기반으로 정보를 삽입해 주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편집이력처리부(320)가 사용자의 문서편집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명령어를 처리해 준다는 것으로 이해하면 좋다. 따라서, 위에서와 같이 다양하게 열거한 방식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The editing history processing unit 320 performs an operation for generating a user-based work hist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ypically, a UI window 200 that operates based on OSD is implemented on the editing screen. In addition, the editing history processing unit 320 includes a work history in the UI window 200, and this history can be inserted by monitoring information on the repetitive work of a worker performing document editing, but a special request from the user It can be inserted when there is, and information such as shortcut keys used by users in common in different documents can be inserted. Of course, the editing history processing unit 320 may be capable of acquiring information in various forms, such as collecting big data from an external server, for example, a server capable of a search portal, and inserting information based thereon.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editing history processing unit 320 processes a command for facilitating the user's document editing. Therefore, it will not be specifically limited to the manners listed in various ways as above.

편집이력처리부(320)에 저장되는 제2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제품 출고시에 내부에 디폴트로 저장되어 출고될 수 있다. 물론 이의 경우가 아니라면, 사용자는 도 1의 통신망을 통해 문서편집서비스장치(120)로부터 다운로드받아 저장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The second program stored in the editing history processing unit 320 may be stored and shipped as a default when a product is shipp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Of course, if this is not the case, the user may download and store the document editing service device 12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of FIG. 1 to perform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저장부(330)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란 단순한 제어명령이나 응답명령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는 화면을 구성하는 실질적인 적(R), 녹(G), 청(B)의 화소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 컴퓨터 모니터의 경우에는 패널 자체적으로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 본체의 경우 제어부(310)는 해당 구동부와 연동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화소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반면, 태블릿PC나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영상표시장치는 일체화하여 형성되므로 조금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지만, 저장부(330)는 이러한 장치들의 화면 구성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한다고 볼 수 있다.The storage unit 330 may stor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r data process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10. Here, the information may include a simple control command or a response command, and the data may include actual pixel data of red (R), green (G), and blue (B) constituting the screen. In the case of a typical computer monitor, the panel itself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computer main body, the control unit 310 may process pixel data constituting the screen by interlocking with the corresponding driving unit. On the other hand, since a small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tablet PC or a smart phone is integrally formed, it may have a slightly different configuration, but the storage unit 330 can be regarded as storing data for screen configuration of these devices.

또한, 저장부(33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I 창(200)에 기록하기 위한 작업 이력에 대한 데이터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10)의 요청이 있을 때, 해당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이력 데이터는 편집이력처리부(320)의 프로그램 내에 구성되는 레지스트리에 저장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330 may further store data on a work history for recording in the UI window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controller 310, it may be possible to output the corresponding data. Of course, since such history data can be stored in a registry configured in the program of the editing history processing unit 320,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typ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반의 문서편집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process of a user-based document edi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기반의 문서편집장치(100, 120)는 문서 편집이 이루어지는 편집 화면상 또는 편집 화면의 주변에 표시하기 위해 사용자마다 다른 사용자 기반의 작업 이력을 저장부에 저장한다(S400). 여기서, 저장되는 작업 이력은 사용자가 문서 작업시 자주 사용하는 단축키 정보를 포함하며, 나아가서는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작업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빈번한 작업으로서 페이지 이동 등을 포함한다. 또한, 특정 문서의 복사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기반의 작업 이력을 저장하면서, 동시에 문서별로 작업 이력을 저장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A라는 문서의 작업이 완료되면, A 문서와 매칭되어 작업 이력이 저장되는 것이다. 따라서, 문서 작업에 연속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referring to FIG. 4 along with FIG. 1, the user-based document editing apparatuses 100 and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for each user to display on or around the editing screen in which document editing is performed. Other user-based work history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S400). Here, the stored job history includes information on shortcut keys frequently used by the user when working on documents, and further includes information on frequently performed jobs. For example, it includes moving a page as a frequent task. In addition, a copy phrase of a specific document may be included. For examp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storing a user-based work history, it is also possible to store the work history for each document. In other words, when the work of the document A is completed, the work history is saved by matching with the document A. Therefore, it is possible to have continuity in document work.

또한, 사용자 기반의 문서편집장치(100, 120)는 사용자가 문서 작업시 (기)저장한 작업 이력의 지정 작업을 선택할 때, 선택한 지정 작업에 근거한 문서 편집이 이루어지도록 저장부를 제어한다(S410).In addition, the user-based document editing apparatuses 100 and 120 control the storage unit to perform document editing based on the selected specified job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ed job of (pre)stored job history when working on a document (S410). .

상기의 동작은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00)로서 사용자의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등에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서버와 같은 외부장치의 문서편집서비스장치(120)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연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사용자 기반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 이력을 저장하여 문서의 편집작업이 이루어지되, 각 사용자들은 또 문서별로 작업 이력을 저장함으로써 문서 편집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이의 과정에서, 문서 편집과 관련한 데이터는 문서편집서비스장치(120)로 제공하여 DB(120a)에 저장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문서편집서비스장치(120)의 경우 문서편집 서비스를 제공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요청하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업 이력을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동작이 가능하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The above operation may be performed in the user's desktop computer, laptop computer, etc. as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of FIG. 1, but may be performed in the document editing service device 120 of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server, and may be performed by interlocking with it. have.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stores the work histor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a user-based basis to edit the document, but each user also stores the work history for each document, thereby facilitating the document editing work. Can be done. For example, in this process, various operations may be performed such as providing data related to document editing to the document editing service device 120 and storing it in the DB 120a. In addition, the document editing service device 120 may provide a document editing service to perform various operations request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of a plurality of users.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various operations for processing the work history are possible, there will be no particular limitation to the above contents.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기타 도 4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other details related to FIG. 4 have been sufficiently described above and will be replaced with the content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if all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being combined into one or operating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operated in one or more. In addition, although all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a program module that performs some or all functions combined in one or more hardware by selectively combining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may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and is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is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but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programs may be provided by being stored in a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or the lik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s general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urs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사용자 단말장치 110: 통신망
120: 문서편집서비스장치 200: UI 창
211: 음성인식아이콘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제어부 320: 편집이력처리부
330: 저장부
100: user terminal device 110: communication network
120: document editing service device 200: UI window
211: voice recognition icon 300: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310: control unit 320: editing history processing unit
330: storage unit

Claims (8)

문서 편집이 이루어지는 편집 화면상 또는 상기 편집 화면의 주변에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자마다 다른 사용자 기반의 작업 이력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가 문서 작업시 상기 저장한 작업 이력의 지정 작업을 선택할 때, 상기 선택한 지정 작업에 근거한 문서 편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반의 문서편집장치.
A storage unit for storing different user-based work histories for each user to display on the editing screen in which document editing is performed or around the editing scree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torage unit to perform document editing based on the selected specified job when the user selects a job for specifying the stored job history when working on a document;
User-based document editing device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편집장치는, 상기 작업 이력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작업 이력을 처리하는 외부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반의 문서편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ocument editing devic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mage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the work history and an external device that processes the work history in connection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작업 이력으로서 상기 사용자가 반복하여 사용하는 작업 명령어 및 작업 문구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사용자 기반의 문서편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rage unit stores at least one of a work command and a work phrase repeatedly used by the user as the work histo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이력이 포함되는 UI(User Interface) 창을 상기 편집 화면상 또는 주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기반의 문서편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user-based document editing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UI (User Interface) window including the work history on or around the editing scree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에 표시되는 상기 UI 창을 사용자 조작에 의해 이동 가능한 OSD(On Screen Display) 형태로 표시하는 사용자 기반의 문서편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is a user-based document editing device that displays the UI window displayed around the periphery in the form of an On Screen Display (OSD) that can be moved by user manipul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한 지정 작업의 음성어를 처리하는 음성어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한 음성어에 해당하는 상기 지정 작업의 문서 편집을 수행하는 사용자 기반의 문서편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voice language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the voice language of the selected designated task,
The control unit is a user-based document editing device that edits a document of the designated task corresponding to the processed voice langu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동일 사용자의 서로 다른 문서마다 상기 작업 이력을 매칭시켜 저장하는 사용자 기반의 문서편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torage unit is a user-based document editing device that matches and stores the work history for different documents of the same user.
저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반의 문서편집장치의 구동방법으로서,
문서 편집이 이루어지는 편집 화면상 또는 상기 편집 화면의 주변에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자마다 다른 사용자 기반의 작업 이력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가 문서 작업시 상기 저장한 작업 이력의 지정 작업을 선택할 때, 상기 선택한 지정 작업에 근거한 문서 편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반의 문서편집장치의 구동방법.
A method of driving a user-based document editing apparatus including a storage unit and a control unit,
Storing a different user-based work history for each user in the storage unit for display on an editing screen in which document editing is performed or around the editing screen; And
Controlling, by the control unit, the storage unit to perform document editing based on the selected specified job when the user selects a job for specifying the stored job history when working on a document;
A method of driving a user-based document editing device including.
KR1020190065864A 2019-06-04 2019-06-04 Apparatus for User Based Document Edi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3042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864A KR102304275B1 (en) 2019-06-04 2019-06-04 Apparatus for User Based Document Edi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864A KR102304275B1 (en) 2019-06-04 2019-06-04 Apparatus for User Based Document Edi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9395A true KR20200139395A (en) 2020-12-14
KR102304275B1 KR102304275B1 (en) 2021-09-17

Family

ID=7377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864A KR102304275B1 (en) 2019-06-04 2019-06-04 Apparatus for User Based Document Edi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27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9398A (en) 2006-05-11 2007-11-15 김선권 Document editing program of tree-structure and method thereof
KR20130071161A (en) 2011-12-20 2013-06-28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unction activating method of word processor using speech recognition
JP2017033288A (en) * 2015-07-31 2017-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Document crea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KR20170085221A (en) * 2016-01-14 2017-07-24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Cloud server, terminal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managing document and metohd for controlling pri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9398A (en) 2006-05-11 2007-11-15 김선권 Document editing program of tree-structure and method thereof
KR20130071161A (en) 2011-12-20 2013-06-28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Function activating method of word processor using speech recognition
JP2017033288A (en) * 2015-07-31 2017-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Document crea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KR20170085221A (en) * 2016-01-14 2017-07-24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Cloud server, terminal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managing document and metohd for controlling pri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275B1 (en) 202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2819B2 (en) Method and system of automated generation of user form interface
US10671357B2 (en) Preview changes to mobile applications at different display resolutions
US20100064249A1 (en) Visual indicator in GUI system for notifying user of data storage device
KR20120107356A (en) Method for providing clipboard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US20070061732A1 (en) User interface options of an impact analysis tool
CN106844181B (en) Method, system and mobile terminal for recording user behavior
CN112540763A (en) Front-end page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platform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07272870A (en) Printing controller, gui display method, printer driver, and storage medium
CN111596911B (en)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control
US20170024368A1 (en) Multi-View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Editing A Base Document With Highlighting Feature
JP2007323234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2202837A (en) Information processor, device list display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304275B1 (en) Apparatus for User Based Document Edition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160320948A1 (en) Document and object manipulation
US20150089356A1 (en) Text Selection
US2022040571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627426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WO2020086626A1 (en) Fluid design keyframes for contents
KR102382703B1 (en) Multi-Channel Integration Platform Authoring Device and Method Thereby
KR10133798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ocument of web page
KR102053455B1 (en) Apparatus for editing object with multiple paste
KR20180090415A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or viewing design guide file
JP2019082948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742113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6080029A1 (en) 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device, 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system, and 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