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644A - Assembly of outside panels on the wall - Google Patents

Assembly of outside panels on the w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8644A
KR20170118644A KR1020170129631A KR20170129631A KR20170118644A KR 20170118644 A KR20170118644 A KR 20170118644A KR 1020170129631 A KR1020170129631 A KR 1020170129631A KR 20170129631 A KR20170129631 A KR 20170129631A KR 20170118644 A KR20170118644 A KR 20170118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lat plate
bent
extension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96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대
Original Assignee
(주)대호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호기업 filed Critical (주)대호기업
Priority to KR1020170129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8644A/en
Publication of KR20170118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6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17U- or C-shaped brackets and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벽의 마감과 장식을 위해 상기 건물벽의 외장에 사용되는 외장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건물벽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부; 상기 구조부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건물벽을 커버하는 패널부; 및 상기 구조부와 상기 패널부간의 고정을 매개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부는 높이 방향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구조부에 고정되는 제1 패널부 내지 제3 패널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패널부는 제1 평판부 및 상기 제2 패널부의 상부를 커버하며 상기 제1 평판부의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부터 내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하부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패널부는 제2 평판부, 상기 제3 패널부의 상부를 커버하며 상기 제2 평판부의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부터 상기 내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하부 절곡부 및 상기 제2 평판부의 하중을 상기 구조부로 전달하도록 상기 고정부가 삽입될 수 있는 상부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평판부 및 상기 제1 하부 절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상부 관통공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 관통공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ior assembly for use in the exterior of a building wall for finishing and decorating a building wall, the exterior assembly comprising: a structural part fixable to the building wall; A panel part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tructural part to cover the building wall; And a fixing part for mediating fixation between the structural part and the panel part, wherein the panel part has a first panel part to a third panel part which are sequentially fixed to the structural part in a downward direction in the height direction, And a first lower bend portion which is formed by folding the first flat plate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anel portion in an inward direction from a lower side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flat plate portion, A second lower bent portion formed to be bent in a direction from a lower side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econd flat plate portion to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lat plate portion and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panel port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flat plate portion and the first lower bent portion has an upper through hole, Fixing section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vers the upper through-hole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Description

외장 조립체{ASSEMBLY OF OUTSIDE PANELS ON THE WALL}[0001] ASSEMBLY OF OUTSIDE PANELS ON THE WALL [0002]

본 발명은 외장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벽의 마감과 장식을 위해 상기 건물벽의 외장에 사용되는 외장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ior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terior assembly used in the exterior of a building wall for finishing and decorating a building wall.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에 있어 외부의 시선에 노출되는 부위의 경우 그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 벽 구조체의 표면에 마감 공사를 실시하게 된다.Generally, in a wall of a building, the surface of the wall structure is subjected to finishing work so that the exterior of the wall can be decorated with a beautiful appearance when exposed to the outside.

이와 같은 벽체 마감 공사에 있어서는 종래로부터 다양한 방식의 마감이 알려져 행해지고 있었으며, 최근에는 천연석재 또는 인조석, 금속판재, 합성수지판재, 나무판 등과 같이 일정 크기의 사각 패널형태로 이루어진 단위 마감용 패널을 건축물의 벽체에 연속적으로 부착하여 시공하는 방식이 시공 능률 향상, 간편성 등의 관점에서 건축물의 벽체 마감 방식으로 널리 행해지고 있는 추세이다.In the wall finishing work, various finishing methods have conventionally been known, and in recent years, a unit finishing panel having a square panel shape of a certain size such as natural stone, artificial stone, metal plate, synthetic resin plate, It is a tendency that the method of continuously attaching to the wall is widely used as a wall finishing method of a building from the viewpoint of improvement of the construction efficiency and simplicity.

건축용 마감 패널의 부착 시공에 있어 콘크리트와 같은 벽체 표면에 시멘트 몰탈 등을 도포한 후 마감 패널을 압착(혹은 마감 패널 후면에 시멘트 몰탈을 도포한 후 벽체 표면에 압착)하여 부착시키는 습식시공방법이 주로 행해지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벽체에 먼저 금속 각파이프 등으로 지지프레임을 설치한 후 그 위에 마감 패널들을 스크류에 의해 고정시키는 건식시공방식에 대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In the construction of the finishing panel for construction, the wetting method in which the cement mortar or the like is applied to the wall surface such as concrete, and the finishing panel is pressed (or the cement mortar is appli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finishing panel and then pressed on the wall surface) However,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use of a dry type construction method in which a support frame is first installed on a wall of a wall by a metal square pipe, and then the finishing panels are fixed by screws on the support frame.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패널끼리의 결합이 구현되지 못하여 외부의 작은 충격으로 인해 쉽게 변형이 되거나 건축물의 벽체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since the panels are not coupled to each other, they are easily deformed due to a small external impact or are separated from the wall of the building.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은 공정 자체가 복잡하여 결국, 공사비가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Also, the above-described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process itself is complicated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또한, 도 1은 종래 기술인 외장 마감패널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a)는 종래 기술의 외장 마감패널의 사시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S-S' 단면도이다.1 (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terior finish panel of the prior art, and FIG. 1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S-S 'of FIG. 1 (a).

도 1에 볼 수 있듯이, 종래 기술의 외장 마감패널은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패널(2)과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패널(3) 간의 연결이 서로 맞물리게 구현됨에 따라, 하부패널(3)의 하중이 온전히 상부패널(2)로 전달되어 상부패널(2)에 작은 충격에도 낙하할 우려가 있다.As shown in FIG. 1, the external finishing panel of the prior art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panel 2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anel 3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is made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There is a fear of being completely transmitted to the top panel 2 and falling on the top panel 2 even with a small impact.

또한, 상부패널(2)의 파손 등으로 교체가 필요한 경우, 하부패널(3)이 상부패널(2)과 맞물려 있어 하부패널(3)을 별개로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Further, when the upper panel 2 needs to be replaced due to breakage or the like, the lower panel 3 is engaged with the upper panel 2, so that it is troublesome to fix the lower panel 3 separate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사 시간이 단축되고, 각각의 패널이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용이하게 패널의 수리 및 교체를 구현할 수 있는 외장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ternal assembly capable of shortening the construction time, allowing each panel to be easily fixed, and easily repairing and replacing the pan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조립체는 건물벽의 마감과 장식을 위해 상기 건물벽의 외장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건물벽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부; 상기 구조부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건물벽을 커버하는 패널부; 및 상기 구조부와 상기 패널부간의 고정을 매개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부는, 높이 방향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구조부에 고정되는 제1 패널부 내지 제3 패널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패널부는, 제1 평판부 및 상기 제2 패널부의 상부를 커버하며 상기 제1 평판부의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부터 내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하부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패널부는, 제2 평판부, 상기 제3 패널부의 상부를 커버하며 상기 제2 평판부의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부터 상기 내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하부 절곡부 및 상기 제2 평판부의 하중을 상기 구조부로 전달하도록 상기 고정부가 삽입될 수 있는 상부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평판부 및 상기 제1 하부 절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상부 관통공에 삽입되는 연결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 관통공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 exteri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n exterior of a building wall for finishing and decorating a building wall, and includes a structural part that can be fixed to the building wall; A panel part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tructural part to cover the building wall; And a fixing part for mediating fixation between the structural part and the panel part, wherein the panel part has a first panel part to a third panel part sequentially fixed to the structural part in the height direction lower side, Wherein the second panel portion has a first flat plate portion and a first lower bent portion which covers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anel portion and is bent in an inner surface direction from a lower side of the first flat plate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A second lower bent portion formed to be bent from a lower side of the second flat plate portion in a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to the inner side and covering a top portion of the third panel portion and a second lower bent portion formed in the fixing portion to transmit a load of the second flat plate portion to the structure port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flat plate portion and the first lower ben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upper through hole The associated can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vers the upper through-hole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조립체의 상기 제1 하부 절곡부에 의해 커버되는 상기 제2 평반부로부터 상기 제1 평반부까지의 외면 방향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하부 절곡부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istance in the outer surface direction from the second flat portion to the first flat portion covered by the first lower bent portion of the external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first lower bent portio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조립체의 상기 제1 하부 절곡부로부터 상기 제1 평판부까지의 외면 방향 이격 거리는 상기 제2 평판부의 두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istance in the outer surface direction from the first lower bent portion to the first flat plate portion of the externa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second flat plate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조립체의 상기 패널부는 상기 제2 패널부로부터 너비 방향으로 상기 제2 패널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4 패널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패널부와 상기 제4 패널부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anel assembly of the externa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ourth panel part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panel part in a width direction from the second panel part, And a connection part for mediating connection between the panel par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조립체의 상기 제4 패널부는 제4 평판부 및 상기 제4 평판부의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부터 내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4 하부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패널부 및 상기 제4 패널부 각각은 상기 제2 평판부 및 상기 제4 평판부의 상기 너비 방향 측부로부터 외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측부 절곡부 및 제4 측부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조부에 연결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외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측부 절곡부 및 상기 제4 측부 절곡부의 연결을 매개하는 매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ourth panel part of the externa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urth flat plate part and a fourth lower bent part bent from the lowe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ourth flat plate part in the inner surface direction, And each of the fourth panel portions has a second side bent portion and a fourth side bent portion bent outwardly from the widthwise side portion of the second flat plate portion and the fourth flat plate portion, And a medial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ttom portion in the outer surface direction to mediat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side bent portion and the fourth side bent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조립체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바닥부와 상기 매개부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면적증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ou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rea increasing portion for increasing a contact area between the bottom portion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조립체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바닥부와 상기 제2 측부 절곡부 및 상기 제4 측부 절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간의 연결을 매개하도록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ou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ttom portion to mediate connection between the bottom portion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side bent portion and the fourth side bent por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electro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조립체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외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의 상기 외면 방향 길이는, 상기 매개부의 상기 외면 방향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extension part of the externa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bottom part in the outer surface direction and the outer direction length of the extension part is smaller than the outer direction length of the intermediate part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조립체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매개부와 이격되어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extension part of the out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bottom part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termediate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조립체의 상기 연장부는,The extension of the enclo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바닥부와 상기 제2 측부 절곡부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바닥부와 상기 제4 측부 절곡부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제2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first extension for mediating connection between the bottom and the second side bend, and a second extension for mediating connection between the bottom and the fourth side be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조립체의 상기 제2 측부 절곡부 및 상기 제4 측부 절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연장부가 관통할 수 있는 절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second side bend portion and the fourth side bend portion of the externa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utout portion through which the extension portion can penetrate.

본 발명에 따른 외장 조립체에 의하면, 공사 시간이 단축되고, 각각의 패널이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용이하게 패널의 수리 및 교체를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xterna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time is shortened, each panel can be easily fixed, and the repair and replacement of the panel can be easily realized.

도 1은 종래의 외장 마감패널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조립체의 개략 조립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조립체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부의 개략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조립체의 개략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개략 사시도 및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조립체의 개략 단면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xterior finishing panel;
2 is a schematic assembly flow diagram of an exterior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xterior assembly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nel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an exteri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nd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xterior assembly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readily be suggested, but are also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components 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of the embodiment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조립체의 개략 조립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조립체의 개략 사시도이다. FIG. 2 is a schematic assembly flow diagram of an externa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xterna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널부의 개략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조립체의 개략 단면도로써 도 3의 A-A' 단면의 일부이다.
FIG.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ne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xteri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part of FIG.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자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의 상하 방향이 높이 방향이며, 상기 높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이 너비 방향일 수 있다.3,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3 is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eight direction may be the width direction.

또한, 내면 방향은 패널부(200)로부터 구조부(100)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외면 방향은 상기 내면 방향과 반대 방향인 상기 구조부(100)로부터 상기 패널부(200)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The inner surface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from the panel unit 200 toward the structural member 100 and the outer surface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from the structural member 100 toward the panel unit 20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inner surface direction .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조립체(10)는 건물벽(W)의 마감과 장식을 위해 상기 건물벽(W)의 외장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건물벽(W)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부(100), 상기 구조부(100)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건물벽(W)을 커버하는 패널부(200) 및 상기 구조부(100)와 상기 패널부(200)간의 고정을 매개하는 고정부(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패널부(200)는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구조부(100)에 고정되는 제1 패널부(210) 내지 제3 패널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1 to 5, an external assembl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wall W for finishing and decorating the building wall W, A panel part 200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tructure part 100 to cover the building wall W and a panel part 200 covering the building wall W, The panel unit 200 may include a first panel unit 200 fixed to the structural unit 100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height of the panel unit 200, 210 to the third panel unit 230. [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상기 구조부(100)는 상기 건물벽(W)에 고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 the structural part 100 may be fixed to the building wall W at first.

일례로, 상기 구조부(100)는 가로축과 세로축을 구비하는 격자형의 파이프일 수 있으며, 볼트 등에 의해 상기 건물벽(W)에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ructure 100 may be a grid-like pipe having a horizontal axis and a vertical axis, and may be fixed to the building wall W by bolts or the like.

상기 구조부(100)는 상기 패널부(20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패널부(200)의 하중을 상기 건물벽(W) 또는 지면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structural part 100 can support the panel part 200 and can transmit the load of the panel part 200 to the building wall W or the ground.

상기 구조부(100)의 크기, 격자의 수 및 재질은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The size, the number of lattices, and the material of the structure 100 may be variously changed from the viewpoi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 패널부(200)는 상기 건물벽(W)의 외장을 구현하는 것으로서 나무패널, 철판패널 등일 수 있으나, 당업자의 입장에서 재질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panel unit 200 may be a wood panel, an iron plate panel, or the like that implements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wall W. However, the material of the panel unit 200 may be variously changed from the viewpoin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패널부(210)가 상기 고정부(300)에 의해 상기 구조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panel part 210 may be fixed to the structural part 100 by the fixing part 300 as shown in FIG. 2 (b).

여기서,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패널부(200)와 상기 구조부(100)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것으로서, 일례로 볼트, 핀 등일 수 있으나,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300 mediat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panel part 200 and the structural part 100. The fixing part 300 may be a bolt, a pin, or the like, but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in the light of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패널부(220)가 상기 제1 패널부(210)의 상기 높이 방향 하측에 상기 고정부(300)에 의해 상기 구조부(1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 패널부(230)가 상기 제2 패널부(220)의 상기 높이 방향 하측에 상기 고정부(300)에 의해 상기 구조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2 (c), the second panel part 220 is fixed to the structural part 100 by the fixing part 300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panel part 210 in the height direction, The third panel part 23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second panel part 220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tructure 100 by the fixing part 300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상기 구조부(100)에 대하여 상기 제1 패널부(210) 내지 상기 제3 패널부(230)의 고정 순서는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The fixing order of the first panel part 210 to the third panel part 230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part 100 can be variously changed from the viewpoi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즉, 상기 제2 패널부(220)가 먼저 상기 구조부(100)에 고정된 후 상기 제1 패널부(210)가 상기 구조부(100)에 고정될 수도 있다.That is, the first panel part 210 may be fixed to the structural part 100 after the second panel part 220 is fixed to the structural part 100 first.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공정으로 상기 구조부(100)에 상기 패널부(200)를 모두 고정한 경우, 상기 패널부(200)는 상기 구조부(100)를 커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when the panel unit 200 is fixed to the structure unit 100 in this process, the panel unit 200 can cover the structure unit 100.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제1 패널부(210)는 제1 평판부(211) 및 상기 제2 패널부(220)의 상부를 커버하며 상기 제1 평판부(211)의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부터 내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하부 절곡부(213) 및 상기 제1 평판부(211)의 하중을 상기 구조부(100)로 전달하도록 상기 고정부(300)가 삽입될 수 있는 상부 관통공(215)을 구비할 수 있다.4, for example, the first panel part 210 covers the first flat plate part 211 and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panel part 220, A first lower bent portion 213 bent from the lowe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to an inner side direction and a fixing portion 300 to be inserted to transmit the load of the first flat plate portion 211 to the structure 100 And an upper through-hole 215 having a through-hole.

상기 제2 패널부(220)는 상기 제1 패널부(210)와 마찬가지로, 제2 평판부(221), 상기 제3 패널부(230)의 상부를 커버하며 상기 제2 평판부(221)의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부터 상기 내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하부 절곡부(223) 및 상기 제2 평판부(221)의 하중을 상기 구조부(100)로 전달하도록 상기 고정부(300)가 삽입될 수 있는 상부 관통공(225)을 구비할 수 있다.Like the first panel part 210, the second panel part 220 covers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panel part 221 and the upper part of the third panel part 230, A second lower bent portion 223 bent from the lowe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to the inner side and a fixing portion 300 inserted to transmit the load of the second flat plate portion 221 to the structure 100 And an upper through hole 225 which can b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210.

즉, 상기 제1 패널부(210)와 상기 제2 패널부(220)의 형상 및 구조는 동일할 수 있다.That is, the shape and structure of the first panel part 210 and the second panel part 220 may be the same.

여기서, 상기 제1 패널부(210) 및 상기 제2 패널부(220) 각각의 하중은 상기 상부 관통공(215, 225)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부(300)에 의해 상기 구조부(100)로 전달될 수 있다.The load of each of the first panel part 210 and the second panel part 220 is transmitted to the structural part 100 by the fixing part 300 inserted into the upper through holes 215, .

즉, 상기 제1 패널부(210)와 상기 제2 패널부(220)간은 자신의 하중이 상호 전달되지 않으며 상기 구조부(100)로 자신의 하중이 전달될 수 있다.That is, the load between the first panel part 210 and the second panel part 220 is not transmitted to each other, and the load of the first panel part 210 and the second panel part 220 can be transmitted to the structure part 100.

특히, 상기 제1 패널부(210)의 파손에 의해 상기 제1 패널부(210)의 교체가 필요할 시, 상기 제1 패널부(210)는 상기 제2 패널부(220)로부터 독립적으로 상기 구조부(100)에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상기 제2 패널부(220)는 그대로 두고 상기 제1 패널부(210)만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
Particularly, when the first panel part 210 needs to be replaced due to breakage of the first panel part 210, the first panel part 210 can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panel part 220, Only the first panel unit 210 can be replaced with the second panel unit 220 as it is.

여기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평판부(211) 및 상기 제1 하부 절곡부(2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2 패널부(220)의 상기 상부 관통공(225)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부(3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2 패널부(220)의 상기 상부 관통공(225)을 커버할 수 있다.5, at least one of the first flat plate portion 211 and the first lower folding portion 213 is formed in the upper through hole 225 of the second panel portion 220, It is possible to cover the upper through hole 225 of the second panel part 220 so that the fixing part 300 to be inserte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즉, 상기 제1 패널부(210)가 상기 제2 패널부(220)의 상기 상부 관통공(225) 및 상기 상부 관통공(225)에 삽입된 상기 고정부(300)를 커버함에 따라 상기 제2 패널부(220)의 상기 상부 관통공(225) 및 상기 고정부(3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That is, as the first panel part 210 covers the fixing part 300 inserted into the upper through hole 225 and the upper through hole 225 of the second panel part 220, The upper through hole 225 and the fixing portion 300 of the two panel portion 220 can be prot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일례로, 상기 제1 하부 절곡부(213)에 의해 커버되는 상기 제2 평판부(221)로부터 상기 제1 평판부(211)까지의 상기 외면 방향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하부 절곡부(213)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The outer circumferential distance from the second flat plate 221 to the first flat plate 211 covered by the first lower bent portion 213 is lar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lower bent portion 213 ). ≪ / RTI >

즉, 상기 제2 평판부(221)로부터 상기 외면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제1 평판부(211)의 돌출 거리는 상기 제1 평판부(211)로부터 휘어진 상기 제1 하부 절곡부(213)에 의해서만 결정된다는 점에서, 상기 제2 평판부(221)로부터 상기 제1 평판부(211)의 상기 외면 방향 돌출 거리를 최소화 할 수 있다.
That is, the protruding distance of the first flat plate portion 211 projecting from the second flat plate portion 221 in the outer surface direction is determined only by the first lower bent portion 213 bent from the first flat plate portion 211 The protruding distance of the first flat plate portion 211 from the second flat plate portion 221 in the outer surface direction can be minimized.

또한, 일례로, 상기 제1 하부 절곡부(213)로부터 상기 제1 평판부(211)까지의 상기 외면 방향 이격 거리(d')는 상기 제2 평판부(221)의 두께(d) 이하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er distance d 'from the first lower bent portion 213 to the first flat plate portion 211 may be less than the thickness d of the second flat plate portion 221 have.

즉, 상기 제1 하부 절곡부(213)로부터 상기 제1 평판부(211)까지의 상기 외면 방향 이격 거리를 최소화하여 상기 제2 평판부(221)로부터 상기 제1 평판부(211)의 상기 외면 방향 돌출 거리를 최소화 할 수 있다.
That is, the distance from the first lower bent portion 213 to the first flat plate portion 211 is minimized, and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flat plate portion 221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lat plate portion 211 The directional protrusion distance can be minimiz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조립체의 개략 단면도로써 도 3의 B-B' 단면의 일부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400)의 개략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 조립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xternal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part of BB 'section of FIG. 3, and FIG.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and a 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par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xterio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패널부(200)는 상기 제2 패널부(220)로부터 너비 방향으로 상기 제2 패널부(220)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4 패널부(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3, 6 to 8, the panel unit 200 includes a fourth panel unit 220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panel unit 220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second panel unit 220, (240).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4 패널부(240)는 상기 제2 패널부(220)와 마찬가지로 제4 평판부(241) 및 상기 제4 평판부(241)의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부터 내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4 하부 절곡부(243)를 구비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ourth panel part 240 is bent in the inner surface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fourth plate part 241 and the fourth flat plate part 241 like the second panel part 220, And a fourth lower bent portion 243 formed in the lower portion.

또한, 일례로,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패널부(220) 및 상기 제4 패널부(240) 각각은 상기 제2 평판부(221) 및 상기 제4 평판부(241)의 상기 너비 방향 측부로부터 상기 외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측부 절곡부(227) 및 제4 측부 절곡부(247)를 구비할 수 있다.4 and 6, each of the second panel unit 220 and the fourth panel unit 240 includes the second flat plate unit 221 and the fourth flat plate unit 240. In addition, 241 may include a second side bending portion 227 and a fourth side bending portion 247 that are bent in the outer surface direction from the widthwise side portion.

즉, 상기 제4 패널부(240)는 상기 제2 패널부(220)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일 수 있다.
That is, the fourth panel part 240 may have the same shape and structure as the second panel part 220.

또한,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외장 조립체(10)는 상기 제2 패널부(220)와 상기 제4 패널부(240)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exterior assembl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part 400 that mediates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panel part 220 and the fourth panel part 240 .

여기서, 도 6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구조부(100)에 연결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바닥부(410) 및 상기 바닥부(410)로부터 상기 외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측부 절곡부(227) 및 상기 제4 측부 절곡부(247)의 연결을 매개하는 매개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6 and 7, for example, the connection unit 400 includes a bottom 410 providing a region connected to the structure 100, and a bottom portion 410 extending from the bottom 410 toward the outer side And an intermediate portion 420 extending from the first side bending portion 227 to the second side bending portion 227 and mediating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side bending portion 227 and the fourth side bending portion 247.

일례로,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바닥부(410)에 형성된 연결공을 통하여 볼트 등으로 상기 구조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nection part 400 may be fixed to the structural part 100 with a bolt or the like through a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bottom part 410.

일례로, 상기 매개부(420)는 일면에 상기 제2 측부 절곡부(227)가 접하고, 타면에 상기 제4 측부 절곡부(247)가 접하여 상기 제2 측부 절곡부(227) 및 상기 제4 측부 절곡부(247)간의 연결을 매개할 수 있다.The second side bending portion 227 and the fourth side bending portion 247 abut on the other sid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420 so that the second side bending portion 227 and the fourth And the side bent portions 247 can be mediated.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매개부(420)의 일면에 상기 제2 측부 절곡부(227)가 접하고 타면에 상기 제4 측부 절곡부(247)가 접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상기 매개부(420), 상기 제2 측부 절곡부(227) 및 상기 제4 측부 절곡부(247)는 변형될 수 있으며, 변형된 상태에서 상호 마찰 결합이 구현될 수 있다.The second side bending portion 227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420 and the fourth side bending portion 247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420, , The second side bend portion 227 and the fourth side bend portion 247 may be deformed and mutual frictional engagement may be realized in a deformed state.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제2 패널부(220) 및 상기 제4 패널부(240) 간의 연결을 구현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제2 패널부(220) 및 상기 제4 패널부(240)의 하중을 상기 구조부(100)로 전달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connection unit 400 can realize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panel unit 220 and the fourth panel unit 240, while the second panel unit 220 and the fourth panel unit 240 Can be transferred to the structure 100.

여기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바닥부(410)와 상기 매개부(420)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면적증가부(4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7, the connection part 400 may further include an area increasing part 430 for increasing a contact area between the bottom part 410 and the medial part 420. As shown in FIG.

상기 면적증가부(430)에 의해 상기 매개부(420)는 상기 바닥부(410)에 더욱 견고히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바닥부(410)로부터 회전되는 변형이 줄어들 수 있다.
The intermediate portion 420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bottom portion 410 by the area increasing portion 430 and the deformation to be rotated from the bottom portion 410 can be reduced.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례로,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바닥부(410)와 상기 제2 측부 절곡부(227) 및 상기 제4 측부 절곡부(247)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간의 연결을 매개하도록 상기 바닥부(4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4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7 and 8, for example, the connection portion 4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bottom portion 410, the second side bend portion 227, and the fourth side bend portion 247, And an extension part 440 extending from the bottom part 410 so as to mediate connection between any one of them.

일례로, 상기 연장부(440)는 상기 바닥부(410)로부터 상기 외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440)의 상기 외면 방향 길이는 상기 매개부(420)의 상기 외면 방향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extending portion 44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bottom portion 410 in the outer surface direction, and the outer direction length of the extending portion 440 is longer than the outer direction length of the intermediate portion 420 Can be small.

여기서, 일례로, 상기 연장부(440)는 상기 매개부(420)와 이격되어 상기 바닥부(4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extension part 440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bottom part 41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termediate part 420.

즉, 상기 연장부(440)는 상기 매개부(420)와 독립적일 수 있으며, 상기 매개부(420)는 그대로 있되 상기 연장부(440)는 외력에 의해 상기 바닥부(410)로부터 회전 변형될 수 있다.That is, the extension part 440 may be independent of the intermediate part 420 and the intermediate part 420 may be left as it is, and the extension part 440 may be rotated and deformed from the bottom part 410 by an external force .

일례로, 상기 연장부(440)는 상기 바닥부(410)와 상기 제2 측부 절곡부(227)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제1 연장부(441) 및 상기 바닥부(410)와 상기 제4 측부 절곡부(247)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제2 연장부(443)를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xtension 440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441 that mediates connection between the bottom 410 and the second side bend 227,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443 for media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bent portions 247.

여기서, 상기 연장부(440)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측부 절곡부(227) 및 상기 제4 측부 절곡부(24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연장부(440)가 관통할 수 있는 절개부(229)를 구비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second side bending portion 227 and the fourth side bending portion 247 corresponds to the extending portion 440 so that the cut portion 229 ).

즉, 상기 제2 패널부(220) 및 상기 제4 패널부(240)는 상기 제2 측부 절곡부(227) 및 상기 제4 측부 절곡부(247)에 형성된 상기 절개부(229)에 의해 상기 연장부(440)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panel part 220 and the fourth panel part 24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cut part 229 formed in the second side bend part 227 and the fourth side bend part 247, And can be fixed to the extension portion 440.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7(a)는 상기 절개부(229)에 상기 연장부(440)가 끼워지기 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b)는 상기 절개부(229)에 상기 연장부(440)가 끼워진 후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상기 연결부(400)가 상기 구조부(100)에 먼저 고정된 후, 상기 제2 패널부(220)를 상기 연결부(400)에 고정할 시, 상기 제2 패널부(220)의 상기 절개부(229)에 상기 연결부(400)의 상기 연장부(440)가 끼워지도록 상기 제2 패널부(220)를 위치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440)가 상기 절개부(229)에 끼워진 경우 상기 제2 패널부(220)는 상기 연장부(440)에 의해 낙하하지 않고 위치 고정될 수 있다.7 (a) is a view showing the state before the extension portion 440 is fitted to the cut-away portion 229, and FIG. 7 (b) When the second panel part 220 is fixed to the connection part 400 after the connection part 400 is first fixed to the structure part 100 and the second panel part 220 is fixed to the connection part 400, The second panel part 220 may be positioned so that the extension part 440 of the connection part 400 is fitted to the cutout part 229 of the panel part 220, The second panel part 220 can be fixed by the extension part 440 without dropping.

여기서, 상기 연장부(440)는 상기 절개부(229)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외력에 의해 상기 바닥부(410)로부터 회전 변형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매개부(420)는 상기 연장부(440)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다는 점에서 상기 연장부(440)와 관계없이 회전 변형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Here, the extension part 440 may be rotationally deformed from the bottom part 410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extension part 440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cut part 229.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tation deformation from being generated regardless of the extension part 440 in that it is formed apart from the extension part 440.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 건물벽
100: 구조부
200: 패널부
300: 고정부
400: 연결부
W: Building wall
100:
200:
300:
400: Connection

Claims (11)

건물벽의 마감과 장식을 위해 상기 건물벽의 외장에 사용되는 외장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건물벽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부;
상기 구조부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건물벽을 커버하는 패널부; 및
상기 구조부와 상기 패널부간의 고정을 매개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널부는,
높이 방향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구조부에 고정되는 제1 패널부 내지 제3 패널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패널부는,
제1 평판부 및 상기 제2 패널부의 상부를 커버하며 상기 제1 평판부의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부터 내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하부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패널부는,
제2 평판부, 상기 제3 패널부의 상부를 커버하며 상기 제2 평판부의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부터 상기 내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하부 절곡부 및 상기 제2 평판부의 하중을 상기 구조부로 전달하도록 상기 고정부가 삽입될 수 있는 상부 관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평판부 및 상기 제1 하부 절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상부 관통공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상부 관통공을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조립체.
An exterior assembly for use in an exterior of a building wall for finishing and decorating a building wall,
A structural part fixable to the building wall;
A panel part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tructural part to cover the building wall; And
And a fixing unit for mediating fixing between the structural part and the panel part,
The panel unit includes:
And a first panel portion to a third panel portion which are sequentially fixed to the structure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lower side,
Wherein the first panel unit comprises:
And a first lower bent portion which is formed by folding the first flat plate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panel por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flat plate portion to the inner surface direction,
Wherein the second panel portion comprises:
A second lower bent portion formed to be bent from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flat plate portion in the height direction to the inner surface side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panel portion and to transmit the load of the second flat plate portion to the structural portion And an upper through hole into which the fixing portion can be inserted,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flat plate portion and the first lower bent portion is formed of a flat plate-
And the upper through hole is covered so that the fixing part inserted into the upper through hol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절곡부에 의해 커버되는 상기 제2 평반부로부터 상기 제1 평반부까지의 외면 방향 이격 거리는 상기 제1 하부 절곡부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outer distance from the second flat portion to the first flat portion covered by the first lower bent portion is defined by the first lower ben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절곡부로부터 상기 제1 평판부까지의 외면 방향 이격 거리는 상기 제2 평판부의 두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istance in the outer surface direction from the first lower bent portion to the first flat plate portion is less than a thickness of the second flat plat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상기 제2 패널부로부터 너비 방향으로 상기 제2 패널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4 패널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패널부와 상기 제4 패널부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nel portion further includes a fourth panel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panel portion in a width direction from the second panel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part for mediating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panel part and the fourth panel pa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패널부는 제4 평판부 및 상기 제4 평판부의 상기 높이 방향 하측으로부터 내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4 하부 절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패널부 및 상기 제4 패널부 각각은 상기 제2 평판부 및 상기 제4 평판부의 상기 너비 방향 측부로부터 외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측부 절곡부 및 제4 측부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조부에 연결되는 영역을 제공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외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측부 절곡부 및 상기 제4 측부 절곡부의 연결을 매개하는 매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조립체.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ourth panel portion has a fourth flat plate portion and a fourth lower bent portion bent from the lower sid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ourth flat plate portion in an inner surface direction,
Each of the second panel portion and the fourth panel portion has a second side bent portion and a fourth side bent portion formed by being bent in the outer surface direction from the widthwise side portion of the second flat plate portion and the fourth flat plate portion,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bottom portion providing a region connected to the structural portion and an intermediate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ttom portion in the outer surface direction and mediating the connection of the second side bent portion and the fourth side bent portion, External assembl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바닥부와 상기 매개부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면적증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조립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necting portion
Further comprising an area increasing portion for increasing a contact area between the bottom portion and the intermediate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바닥부와 상기 제2 측부 절곡부 및 상기 제4 측부 절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간의 연결을 매개하도록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조립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necting portion
Further comprising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ttom portion to mediate connection between the bottom portion and at least one of the second side bend portion and the fourth side bend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기 외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의 상기 외면 방향 길이는,
상기 매개부의 상기 외면 방향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조립체.
8. The method of claim 7,
The extension
And extending from the bottom portion in the outer surface direction,
The length of the extended portion in the outer surface direction is preferably,
Wherein the length of the medial portion is less than the length of the medial portion in the outer surface dir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매개부와 이격되어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조립체.
8. The method of claim 7,
The extension
And a bottom portion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intermediate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바닥부와 상기 제2 측부 절곡부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바닥부와 상기 제4 측부 절곡부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제2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조립체.
8. The method of claim 7,
The extension
A first extension for mediating connection between the bottom and the second side bend, and a second extension for mediating connection between the bottom and the fourth side ben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부 절곡부 및 상기 제4 측부 절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연장부가 관통할 수 있는 절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 조립체.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t least one of the second side bend portion and the fourth side bend portion includes:
And a cutout portion through which said extension portion can pass.
KR1020170129631A 2017-10-11 2017-10-11 Assembly of outside panels on the wall KR201701186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631A KR20170118644A (en) 2017-10-11 2017-10-11 Assembly of outside panels on the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631A KR20170118644A (en) 2017-10-11 2017-10-11 Assembly of outside panels on the wal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238A Division KR101787246B1 (en) 2016-04-11 2016-04-11 Assembly of outside panels on the w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644A true KR20170118644A (en) 2017-10-25

Family

ID=60300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9631A KR20170118644A (en) 2017-10-11 2017-10-11 Assembly of outside panels on the w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864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1868B2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KR100916568B1 (en) A frame structure for wall panel and wall panel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721211B1 (en) A pannel in use interior and exterior finishing and working method therof
KR101045820B1 (en) Support member of building pillar
KR102299991B1 (en) Do not dismantle beam structural prefabricated formwork
KR200389801Y1 (en) Deck System for Floor
KR101787246B1 (en) Assembly of outside panels on the wall
KR20090020294A (en) Bracket for facing material of building
JP2000145092A (en) Finish material fitting structure to extruded cement board
KR20170118644A (en) Assembly of outside panels on the wall
JP5718624B2 (en) Waist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KR100978389B1 (en) an assembly for installation the decoration panel
KR100996345B1 (en) A fixing device for a out side panel of building
KR200294360Y1 (en) A fixing apparatus for building decoration plate stone
KR102011987B1 (en) Fireproof structure between floors using the precast concrete member with embedded support frame
KR20190136838A (en) Support angles for building finishing panels
KR0112463Y1 (en) 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for ceiling
KR200327601Y1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ceiling
KR20090008735U (en) Structure of wall assembly
KR101336669B1 (en) Construction type pannel for the surface of a wallcarrying out of a building
JP6850071B2 (en) Exterior structure
KR20090009275U (en) Structure of wall assembly
KR102459251B1 (en) Fixing Equipment Of Building Finish Panel
KR101063630B1 (en) The ceiling closing equipment using a ceiling panel and a frame,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0373842Y1 (en) Assembly structure of partition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