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349A - deck for wall form - Google Patents

deck for wall 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8349A
KR20170118349A KR1020160045996A KR20160045996A KR20170118349A KR 20170118349 A KR20170118349 A KR 20170118349A KR 1020160045996 A KR1020160045996 A KR 1020160045996A KR 20160045996 A KR20160045996 A KR 20160045996A KR 20170118349 A KR20170118349 A KR 20170118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ll
metal bridge
flow passag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9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명환
박운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Priority to KR1020160045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8349A/en
Publication of KR20170118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3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27Three-dimensional reinforcements composed of a prefabricated reinforcing mat combined with reinforcing elements protruding out of the plane of the ma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층 외벽 시공시 콘크리트 외면과 주근 사이의 피복 거리를 확보하면서도 상부에서 콘크리트 타설 시 굵은 골재의 자갈 통과가 용이한 스페이서를 적용한 벽체 거푸집용 데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k for a wall formwork to which a spacer capable of easily passing a gravel through a coarse aggregate is applied when the concrete is laid at the upper portion while ensuring a covering distan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and the main wall when the outer wall is constructed.

Description

벽체 거푸집용 데크{deck for wall form}Deck for wall form}

본 발명은 지하층 외벽 시공시 콘크리트 외면과 주근 사이의 피복 거리를 확보하면서도 상부에서 콘크리트 타설 시 굵은 골재의 자갈 통과가 용이한 스페이서를 적용한 벽체 거푸집용 데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k for a wall formwork to which a spacer capable of easily passing a gravel through a coarse aggregate is applied when the concrete is laid at the upper portion while ensuring a covering distan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and the main wall when the outer wall is constructed.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은 건물의 기본 골격 구조와 건물의 종류와 용도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채택되고 있다. Generally,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wall of the building is variously adopted depending on the basic skeleton structure of the building, the kind of the building, the usage and the size of the building.

도 1은 종래의 유로폼이 설치된 건물 벽체 시공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1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nstruction of a building wall body in which a conventional euro foam is installed.

도 1에 도시된 건물 벽체 시공 방법(특허문헌 1 참조)은 통상적인 철근 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 구조의 건물에 주로 이용되는 방법으로서, 먼저, 건물의 기둥과 보(beam) 및 슬래브(slab) 구조 사이에 벽체를 구성하기 위한 유로폼(13)들을 설치한다. 이어, 서로 마주하는 유로폼(13)들 사이에 철근(11)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12)를 타설한다. 일정 기간의 콘크리트 양생 과정을 거친 후 유로폼(13)을 해체하여 철근 콘크리트 벽체를 완성한다. 이후, 내부 마감을 위해 철근 콘크리트 벽체에 미장 및 도장 등으로 마감한다.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building wall shown in FIG. 1 (see Patent Document 1) is a method mainly used for a building having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First, a structure of a building, a beam and a slab structure (13) for constituting a wall are provided between them. Then, the reinforcing bars 11 are laid between the euro foams 13 facing each other, and then the concrete 12 is laid. After a certain period of concrete curing, the Euroform (13) is disassembled to complete the reinforced concrete wall. Thereafter, the interior walls of the reinforced concrete walls are finished with plaster and paint for internal finishing.

하지만, 지하층 외벽 등을 시공할 때에는 그 층고가 매우 높기 때문에 유로폼(13)을 대고 그 내부에 철근(11)을 개별적으로 수직, 수평으로 배근한 뒤 다시 유로폼(13)을 맞대어 설치하기가 시간적으로도 시공적으로도 매우 곤란한 실정이다. However, when constructing the basement wall, etc., it is very difficult to install the reinforcing bars 11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side the reinforcing bars 13, It is also a very difficult situation in terms of construction.

이러한 시공 곤란을 극복하기 위해 특허문헌 2의 슬라브 거푸집용 탈형 데크를 벽체 거푸집 특히 지하층 외벽용 벽체 거푸집으로 적용하려면, 강판과 하현재 사이의 피복 거리(50mm)가 맞지 않아 시공에 부적합하여 사용할 수 없다. In order to overcome the difficulty of such construction, if the decking deck for slab formwork of Patent Document 2 is applied to a wall formwork, especially a wall formwork for a basement wall, the coating distance (50 mm) between the steel plate and the bottom floor is not suitable, .

피복 거리는 지상 외벽 또는 슬래브(천장 또는 바닥)인 경우 습기에 대해 큰 영향을 덜 받아 20mm 기준이지만, 지하 외벽에서는 습기에 대한 영향으로 주근이 부식될 우려가 있어 콘크리트 외면에서 주근 간의 걸리가 최소 50mm 기준이다. The coating distance is based on 20mm because it is less affected by humidity when the outer wall or slab (ceiling or floor) is ground. However, there is a risk of corrosion of the main beam due to the influence of moisture on the underground outer wall. to be.

한편, 골재의 크기는 건축공사 표준시방서에 의하면, 굵은 골재(40mm 이하, 25mm 이하, 20mm 이하, 15mm 이하)와 잔골재(5mm 이하, 2.5mm, 이하, 1.2mm 이하)로 나뉜다. On the other hand, the aggregate size is divided into coarse aggregate (less than 40mm, less than 25mm, less than 20mm, less than 15mm) and fine aggregate (less than 5mm, 2.5mm, less than 1.2mm) according to the standard specification of building construction.

또한, 기둥, 보, 슬래브, 벽 등의 시공에서는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mm) 자갈은 20mm, 25mm 이고, 기초 공사에서는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mm) 자갈은 20mm, 25mm, 40mm가 사용된다. The maximum size (mm) of the coarse aggregate is 20mm and 25mm in the construction of the column, beam, slab, and wall, and the maximum dimension (mm) of the coarse aggregate is 20mm, 25mm and 40mm in the foundation work.

따라서, 벽 시공인 경우 굵은 골재의 자갈이 아무리 작아도 20mm 이기 때문에 종래의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의 하측과 강판 사이로 통과되지 못하게 된다. Therefore, even if the gravel of the coarse aggregate is small, it is 20 mm in case of wall construction, so that it can not pass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conventional deformation-type spacer and the steel plate.

이와 같이 스페이서와 강판 사이로 자갈이 통과되지 못하면, 대체로 자갈이 트러스 거더와 트러스 거더 사이로만 유동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내의 자갈이 한쪽으로 치우쳐 균일한 압축강도를 받지 못하는 결함이 생기게 된다. If the gravel is not passed between the spacer and the steel plate, the gravel usually flows only between the truss girder and the truss girder, so that the gravel in the concrete is shifted to one side, resulting in a defect that the uniform compressive strength is not received.

이를 정리하며, 기존 탈형 데크의 스페이서로는 피복거리와 굵은 골재 유동 모두를 만족시킬 수 없다. As a result, it is impossible to satisfy both the coverage distance and the coarse aggregate flow as a spacer of the existing deformation type deck.

특허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1286016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1286016 특허문헌 2 : 한국등록특허 제10-1237325호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No. 10-123732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하층 외벽 시공시 강판(콘크리트 외면)과 주근 사이의 피복 거리를 확보하면서도 상부에서 콘크리트 타설 시 굵은 골재의 자갈 통과가 용이하여 굵은 골재의 자갈이 그 벽체 내부에 골고루 분포시켜 시공성이 매우 우수한 벽체 거푸집용 데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underfloor, which is capable of securing a covering distance between a steel plate (concrete outer surfac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ck for wall dies which is very uniformly distributed inside the wall.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벽체용 데크는, 벽체의 외면을 형성하는 수직 강판; 상기 수직 강판의 내측에 배치되는 주근과 보조근, 상기 주근과 상기 보조근을 연결하는 래티스근로 구성되는 수직 트러스 거더; 상기 주근이 용접되는 다수의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 각각을 상기 수직 강판에 지지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서 각각은 상단에 상기 주근의 밑면이 용접되는 금속 브리지와, 상기 금속 브리지의 양쪽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가 결합되는 수지몸체로 구성되되, 상기 금속 브리지의 하측에는 콘크리트 유동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수지몸체의 하단과 상기 금속 브리지의 상단 사이의 거리는 적어도 50mm 이고, 상기 수지몸체의 하단과 상기 콘크리트 유동 통로 사이의 거리는 20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all deck according to claim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ertical steel plate forming an outer surface of a wall; A vertical truss girder formed of a main muscle and an auxiliary muscle disposed inside the vertical steel plate, and a lattice work connecting the main muscle and the auxiliary muscle; A plurality of spacers to which said main rods are welded; And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each of the spacers on the vertical steel plate, wherein each of the spacers includes a metal bridge to which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muscle is weld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resin body coupled to both lower sides of the metal bridge, Wherein a distance between a lower end of the resin body and an upper end of the metal bridge is at least 50 mm and a distance between a lower end of the resin body and the concrete flow passage is 20 mm or more .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벽체용 데크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유동 통로는 아치형상이 바람직하다. In the wall deck according to claim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flow passage is preferably an arcuate shape.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벽체용 데크에 있어서, 상기 금속 브리지는 제1판과 제2판,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의 상단을 절곡하여 연결한 절곡반환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유동 통로는 상기 제1판과 제2판의 하측을 따낸 홈으로 이루어진다. In the wall deck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 bridge is composed of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a first plate and a bent return plate bent and connected to the upper ends of the second plate, The flow passage is formed by the grooves which take the lower sid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수지몸체의 하단과 금속 브리지의 상단 사이의 거리가 적어도 50mm 이고, 수지몸체의 하단과 콘크리트 유동 통로 사이의 거리가 20mm인 스페이서를 적용함으로써, 양생 후의 콘크리트 외면과 주근 간의 피복 거리, 예컨대 50mm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마치 강을 건너는 다리처럼 그 아래로 콘크리트의 굵은 골재(예컨대 20mm~40mm)도 잘 통과시킬 수 있어 시공성이 매우 우수하다.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resin body and the upper end of the metal bridge is at least 50 m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resin body and the concrete flow passage is 20 mm, (20mm ~ 40mm) of concrete as well as a bridge crossing a river while securing it. Therefore, the workability is excellent.

또한, 콘크리트 유동 통로가 아치형상으로 함으로써, 주근과 용접되는 금속 브리지의 양측 부분은 단면계수가 크고, 중앙 부분이 상대적으로 단면계수를 적게 하여 필요한 위치에 따른 강도를 유지(주근을 눌러 용접할 때 금속 브리지의 좌굴을 방지하는 강도 유지)하면서도 굵은 골재의 자갈이 원활한 유동하는 통로도 동시에 확보하게 된다. In addition, by forming the concrete flow passage in an arch shape, both side portions of the metal bridge to be welded to the main body have a large sectional modulus, and the center portion has a relatively small sectional modulus to maintain the strength according to the required position While maintaining the strength to prevent buckling of the metal bridge), the gravel of the coarse aggregate flows smoothly at the same time.

도 1은 종래의 유로폼을 이용한 건물 벽체 시공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 거푸집용 데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스페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nstruction of a building wall body using a conventional euro foam;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ll form de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Figure 2;
Figs. 4 and 5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the space of Fig. 2;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 거푸집용 데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스페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ck for a wall mol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FIG. 2, and FIGS. 4 and 5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the space of FIG.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벽체 거푸집용 데크(100)는 수직 강판(200)과, 수직 강판(200)의 내측에 배치되는 수직 트러스 거더(400)와, 수직 강판(200)과 수직 트러스 거더(400) 사이에 연결시키는 연결부재(600)로 이루어진다. 2 and 3, the wall form dec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vertical steel plate 200, a vertical truss girder 400 disposed inside the vertical steel plate 200, And a connecting member 600 connecting between the steel plate 200 and the vertical truss girder 400.

수직 강판(200)은 아연 도금 강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vertical steel sheet 200 is preferably a galvanized steel sheet.

수직 트러스 거더(400)는 수직 강판(200)에 1개 또는 소정 간격으로 2개 이상 배치된다. Two or more vertical truss girders 400 are arranged on the vertical steel plate 200 or at predetermined intervals.

수직 트러스 거더(400)는 주근(410)과 보조근(430), 주근(410)과 보조근(430)을 연결하는 래티스근(450)로 구성되어 있다. The vertical truss girder 400 includes a main muscle 410 and an auxiliary muscle 430 and a lattice muscle 450 connecting the main muscle 410 and the auxiliary muscle 430.

주근(410)은 전후로 2개로서 수직 강판(200)에 가까이 배치되어 있다. The main rods 410 are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near the vertical steel plate 200 as two pieces.

따라서, 주근(410)은 콘크리트 양생 후 벽체의 외면 가까이에 배근되게 된다. Accordingly, the main rope 410 is disposed near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after concrete curing.

보조근(430)은 주근(4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수직 강판(200)에서 더 멀리 배치되어 있다.The auxiliary muscles 430 are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rope 410 and disposed farther from the vertical steel plate 200.

따라서, 보조근(430)은 콘크리트 타설 시 래티스근(450)와 더불어 측압에 따른 데크의 변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Accordingly, the auxiliary muscle 430 plays a role of catching the deformation of the deck due to the side pressure together with the lattice muscle 450 when the concrete is poured.

연결부재(600)는 스페이서(700)와 지지부(800)로 구성되어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600 is composed of a spacer 700 and a supporting portion 800.

스페이서(7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브리지(710)와, 금속 브리지(710)의 전후 양쪽에 형성되는 수지 몸체(730)로 구성되어 있다. 4 and 5, the spacer 700 is composed of a metal bridge 710 and a resin body 730 formed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etal bridge 710.

금속 브리지(710)의 상단(711)에는 주근(410)의 밑면(411)이 용접 고정된다. The bottom surface 411 of the main shaft 410 is welded to the upper end 711 of the metal bridge 710.

주근(410)이 전후 2개인 경우 수지 몸체(730)에 가까운 위치에 해당되는 금속 브리지(710)의 상단(711) 측에 용접 고정된다. And is welded and fixed to the upper end 711 side of the corresponding metal bridge 710 at a position close to the resin body 730 when the main windings 410 are two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이때, 수지몸체(730)의 하단(731)과 금속 브리지(710)의 상단(711) 사이의 거리는 적어도 50mm가 되어, 주근(410)과 콘크리트 외면 사이 또는 주근(410)과 수직 강판(200) 사이의 피복거리(D)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731 of the resin body 730 and the upper end 711 of the metal bridge 710 is at least 50 m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rope 410 and the concrete outer surface or between the main rope 410 and the vertical steel plate 200,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fficient covering distance D between the two.

이러한 비교적 큰 피복거리를 확보에 따른 굵은 골재의 원활한 유동을 위해, 수지 몸체(730)의 사이의 금속 브리지(710) 하측에는 콘크리트 유동 통로(720)가 형성되어 있다. A concrete flow passage 720 is formed below the metal bridge 710 between the resin bodies 730 in order to smoothly flow the coarse aggregate with the relatively large coating distance.

즉, 콘크리트 유동 통로(720)는 하부 및 전후면이 관통된 홈 형상이다. That is, the concrete flow passage 720 has a groove shape in which the lower portion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penetrated.

이러한 콘크리트 유동 통로(720)는 콘크리트 타설 시 굵은 골재의 자갈이 잘 통과되게 하는 콘크리트 유동 통로의 역할을 한다. The concrete flow passage 720 serves as a concrete flow passage for allowing the gravel of the coarse aggregate to pass through when the concrete is poured.

이를 위해, 수지몸체(730)의 하단(731)과 콘크리트 유동 통로(720) 사이의 거리는 거리(d)는 20mm 이상 바람직하게는 20mm~40mm되게 홈이 형성되어 있다. For this,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731 of the resin body 730 and the concrete flow passage 720 is formed such that the distance d is 20 mm or more, preferably 20 mm to 40 mm.

이러한 거리(d)는 기둥, 보, 슬래브, 벽 시공의 굵은 골재(40mm 이하, 25mm 이하, 20mm 이하, 15mm 이하) 중 20mm, 25mm 자갈의 유동이 매우 원활하게 제공한다. This distance (d) provides a very smooth flow of 20mm and 25mm gravel among the coarse aggregates (40mm or less, 25mm or less, 20mm or less, 15mm or less) of columns, beams, slabs or walls.

콘크리트 유동 통로(720)는 다각형(사각, 삼각) 또는 아치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ncrete flow passage 720 may be implemented in a polygonal (square, triangular) or arch shape.

본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유동 통로(720)가 아치 형상으로 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ncrete flow passage 720 has an arch shape.

따라서, 콘크리트 유동은 콘크리트 유동 통로(720)와 수지몸체(730) 및 수직 강판(200)으로 둘러싸인 폐곡선을 이룬다. Thus, the concrete flow forms a closed curve surrounded by the concrete flow passage 720, the resin body 730 and the vertical steel plate 200.

아치형상의 콘크리트 유동 통로(720)로 인해, 주근(410)과 용접되는 양측 부분은 단면계수가 크고, 중앙 부분이 상대적으로 단면계수가 적어 필요한 위치에 따른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굵은 골재의 자갈이 원활한 유동하는 통로도 동시에 확보하게 된다. Due to the arcuate-shaped concrete flow passage 720, both side portions welded to the main shaft 410 have a large section modulus, a relatively small section modulus at the center portion, and a smooth flow of gravel of coarse aggregate Thereby securing the passage at the same time.

한편, 금속 브리지(710)는 제1판(710a)과 제2판(710b), 제1판(710a)과 제2판(710b)의 상단을 절곡하여 연결한 절곡반환판(710c)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metal bridge 710 includes a first plate 710a and a second plate 710b and a bent return plate 710c formed by bending the upper ends of the first plate 710a and the second plate 710b .

또한, 제1판(710a)과 제2판(710b)의 하단에는 절곡된 플랜지판(p)이 성형되어, 수지몸체(730)가 인서트 사출되면 빠지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A bent flange plate p is formed at the lower ends of the first plate 710a and the second plate 710b to hold the resin body 730 so that the resin body 730 does not fall out when the insert is injected.

이러한 금속 브리지(710)를 전후에서 보면 삼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The metal bridge 710 has a tri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rear.

수지몸체(730)가 인서트 사출되는 부분의 제1판(710a)과 제2판(710b)에는 플랜지(711a)(711b)가 형성되어, 수지몸체(730)의 이탈을 더욱더 방지하게 된다. Flanges 711a and 711b are formed on the first plate 710a and the second plate 710b where the resin body 730 is insert-injected to further prevent the resin body 730 from being separated.

다른 한편, 절곡반환판(710c)의 상측에도 타낸 부분인 관통공(711c)이 형성되어, 콘크리트가 이 관통공(711c)을 통해 유동할 수 있게 하여, 제1판(710a)과 제2판(710b) 사이의 공간에도 잘 채워지게 한다. On the other hand, a through hole 711c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ending return plate 710c to allow the concrete to flow through the through hole 711c, so that the first plate 710a and the second plate So that the space between the first electrode 710a and the second electrode 710b is also filled.

콘크리트 유동 통로(720)는 제1판(710a)과 제2판(710b)의 하측을 따낸 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concrete flow passage 720 is constituted by the grooves drawn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plate 710a and the second plate 710b.

지지부(800)는 볼트로 구현되는 게 바람직하다. It is preferred that the support portion 800 be implemented as a bolt.

볼트는 수지 몸체(730)의 하단 밑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나사로 파고들어가 결합 지지되게 된다. The bolt is screwed into the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lower bottom surface of the resin body 730 to be coupled and supported.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0 : 벽체 거푸집용 데크 200 : 수직 강판
400 : 수직 트러스 거더 410 : 주근
430 : 보조근 450 : 래티스근
600 : 연결부재 700 : 스페이서
710 : 금속 브리지 720 : 콘크리트 유동 통로
730 : 수지 몸체 800 : 지지부(볼트)
100: Deck for wall formwork 200: Vertical steel plate
400: vertical truss girder 410: main girder
430: Auxiliary muscle 450: Lattice muscle
600: connecting member 700: spacer
710: metal bridge 720: concrete flow passage
730: Resin body 800: Support part (bolt)

Claims (3)

벽체의 외면을 형성하는 수직 강판;
상기 수직 강판의 내측에 배치되는 주근과 보조근, 상기 주근과 상기 보조근을 연결하는 래티스근로 구성되는 수직 트러스 거더;
상기 주근이 용접되는 다수의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 각각을 상기 수직 강판에 지지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서 각각은 상단에 상기 주근의 밑면이 용접되는 금속 브리지와, 상기 금속 브리지의 양쪽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가 결합되는 수지몸체로 구성되되,
상기 금속 브리지의 하측에는 콘크리트 유동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수지몸체의 하단과 상기 금속 브리지의 상단 사이의 거리는 적어도 50mm 이고,
상기 수지몸체의 하단과 상기 콘크리트 유동 통로 사이의 거리는 20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거푸집용 데크.
A vertical steel plate forming an outer surface of the wall;
A vertical truss girder formed of a main muscle and an auxiliary muscle disposed inside the vertical steel plate, and a lattice work connecting the main muscle and the auxiliary muscle;
A plurality of spacers to which said main rods are welded;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each of the spacers on the vertical steel plate,
Wherein each of the spacers comprises a metal bridge having an upper end weld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resin body coupled to both lower sides of the metal bridge,
A concrete flow passage is formed below the metal bridge,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resin body and the upper end of the metal bridge is at least 50 mm,
And a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resin body and the concrete flow passage is 20 mm or mo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유동 통로는 아치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거푸집용 데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crete flow passage is an arcuate shap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금속 브리지는 제1판과 제2판, 상기 제1판과 상기 제2판의 상단을 절곡하여 연결한 절곡반환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유동 통로는 상기 제1판과 제2판의 하측을 따낸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거푸집용 데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etal bridge comprises a first plate and a second plate, and a bent return plate formed by bending the upper ends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Wherein the concrete flow passage is a groove formed in a lower side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KR1020160045996A 2016-04-15 2016-04-15 deck for wall form KR201701183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996A KR20170118349A (en) 2016-04-15 2016-04-15 deck for wall 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996A KR20170118349A (en) 2016-04-15 2016-04-15 deck for wall fo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349A true KR20170118349A (en) 2017-10-25

Family

ID=60300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996A KR20170118349A (en) 2016-04-15 2016-04-15 deck for wall 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834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766B1 (en) 2020-12-04 2021-04-23 (주)세종윈텍 Aggregate mortar deck
KR20230096674A (en) * 2021-12-23 2023-06-30 조정혜 Seismic resistant slurry wall with joint pilas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766B1 (en) 2020-12-04 2021-04-23 (주)세종윈텍 Aggregate mortar deck
KR20230096674A (en) * 2021-12-23 2023-06-30 조정혜 Seismic resistant slurry wall with joint pilas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419B1 (en) Joint structure of vertical member and horizontal member
KR101301076B1 (en) Wall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front wall panel and precast back wall panel
KR101286557B1 (en) Steel-concrete composite beam for reducing story height and flatplate structure
KR101663132B1 (en) Self-supporting type column structure
KR20090068536A (en) Concrete-composite crossbeam and construction methods of slab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355926B1 (en) Reusable waffle type slab form assembly
KR20100065245A (en) 2-way light weight materials for constructing hollow core slab
KR101018411B1 (en) Beam side form for deep deck and joi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 concrete beam and slab for deep deck floor system thereof
KR100343960B1 (en) Steel concrete structure
KR20190050550A (en) Textile reinforcing panel of high durability for combined usage of permanent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70118349A (en) deck for wall form
KR102314546B1 (en) Reinforcing structure for Column and Beam
JP2016079585A (en) Reinforcement member and reinforcement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reinforcement member
JP6552863B2 (en) How to beat the outer wall
KR102197994B1 (en) Construction method using beam-reinforced deck plate
KR20210079000A (en) π-TYPED HOLLOW PRECAST CONCRETE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SIDE CONNECTION MEMBER
KR20180094672A (en) Precast Concrete(PC) deck plate having attachment and shear performance
KR101311207B1 (en) Column of steel framed reinforced precast concrete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s for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s for the same
KR20100101398A (en) Spacer inserted in slab and method using it
KR101802971B1 (en) deck structure for wall form
KR101051374B1 (en) Fireproof concrete columns
KR100768081B1 (en) Columnless structure of apartment buildings
KR100579586B1 (en) System for constructing composite reinforced concrete girders and beams using frp
KR20200098226A (en)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using i type steel band
KR20110124005A (en) Improved steel beam having through-hole, shear reinforcing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