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994B1 - Construction method using beam-reinforced deck plate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using beam-reinforced deck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994B1
KR102197994B1 KR1020180135780A KR20180135780A KR102197994B1 KR 102197994 B1 KR102197994 B1 KR 102197994B1 KR 1020180135780 A KR1020180135780 A KR 1020180135780A KR 20180135780 A KR20180135780 A KR 20180135780A KR 102197994 B1 KR102197994 B1 KR 102197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deck plate
beam reinforcement
longitudinal
trans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7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2638A (en
Inventor
권혁종
권민서
권민경
Original Assignee
㈜씨이에스 이노베이션
권혁종
권민서
권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70147834 external-priority
Application filed by ㈜씨이에스 이노베이션, 권혁종, 권민서, 권민경 filed Critical ㈜씨이에스 이노베이션
Priority to PCT/KR2018/01349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093772A1/en
Publication of KR20190052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6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9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58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using wire netting, a lattice or the like as form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11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 E04B2/861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both form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Abstract

본 발명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가 횡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돌출부의 측벽들을 관통하는 횡 방향 보강재 및 상기 돌출부의 벽면들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종 방향 보강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는 트러스, 빔, 파이프 등에 의해서 보강되므로, 일반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고속 시공에도 슬라브 형성용 수평 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슬라브의 형성하기 위한 수평 구조물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물을 한꺼번에 만들고 여기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수의 층을 동시에 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층의 건축물의 시공 기간을 단축시키고 시공에 소요되는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a lateral reinforcement material penetrating the side walls of the protrusion, and a longitudinal reinforcement material dispos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wall surfaces of the protrusion It provides a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including at least one. Since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inforced by trusses, beams, pipes, etc., it can be used as a horizontal member for slab formation even in high-speed construction using general concrete. Therefore, even when using general concrete, a multi-layered structure including a horizontal structure for forming a slab can be made at once, and a plurality of layers can be simultaneously constructed by pouring concrete therein.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of multi-storey buildings and reduce the cost required for construction.

Figure 112018110412372-pat00003
Figure 112018110412372-pat00003

Description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using beam-reinforced deck plate}Construction method using beam-reinforced deck plate}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using a deck plate. In more detail, it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using a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건축물의 구조는 주체 구조의 재료에 따라 목재 구조, 벽돌 구조, 시멘트 블록 구조, 석재 구조, 철근 콘크리트 구조, 철골 구조, 철골 철근 콘크리트 구조 등으로 나뉜다.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is divided into wood structure, brick structure, cement block structure, stone structur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steel frame structure, and steel frame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main structure.

이 중에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 철골 구조 및 철골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콘크리트가 갖는 인장 응력이 약하다는 약점을 철근이나 형강, 강판, 강관 등의 강재 골재로 보완하는 구조이다.Among them,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steel structures, and stee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re structures that compensate for the weakness of the tensile stress of concrete with steel aggregates such as reinforced bars, sections, steel plates, and steel pipes.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철근 구조물을 설치하고 그 외측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시공되며, 철골 구조는 중요한 뼈대 부분을 강재 부재로 조립하고 강재 부재를 거푸집으로 하거나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시공된다. 철골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와 철골 콘크리트 구조가 혼합된 방식으로 시공된다.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re constructed by installing a reinforced structure and installing a formwork outside it to pour concrete inside the formwork.In the steel structure, an important frame part is assembled with a steel member, and a steel member is used as a formwork or a separate formwork is used. It is installed and constructed by pouring concrete. Stee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re constructed in a way that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nd a steel concrete structure are mixed.

이와 같은 종래의 강재 보강 콘크리트 구조물은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에는 또다시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 거푸집을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건축물의 시공 기간이 매우 길고 인력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Such conventional stee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require a lot of time and cost to install the formwork, and after the concrete is cured,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formwork again with a great deal of time and cost, so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building is very long and manpower and cost There was a problem with this taking a lot.

더욱이, 다층 건물을 시공하는 경우, 종래에는 한 층씩 순차적으로 시공할 수밖에 없었다. 즉, 최하층의 철근 또는 강재 구조물을 설치하고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가 양생된 다음에 그 상층에 다시 철근, 강재 구조물과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다층 건축물을 시공하였다. 이에 따라, 층수에 따라 건축물의 시공 기간이 배가되어 다층 건물을 시공하는데 매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Moreover, in the case of constructing a multi-story building, conventionally, it was only necessary to construct one floor sequentially. In other words, a multi-storey building by installing reinforcing bars or steel structures at the lowest level, placing concrete by installing a formwork, and then curing the concrete, then installing reinforcing bars and steel structures and formwork on the upper layer again, and repeating concrete placement and curing. Was constructe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building is doubl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floors, and it takes a lot of time and cost to construct a multi-story building.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한국 공개 특허 10-2016-0034136에는 복수의 빔을 결합하여 최하층의 하중 지지 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최하층의 하중 지지 구조물 상부에 복수의 빔을 결합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상층부를 이루는 하중 지지 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최하층 및 상층부의 하중 지지 구조물에 벽체의 형성을 위한 메시형 구조물(엑소-스켈리톤) 및 슬라브의 형성을 위한 데크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형 구조물(엑소-스켈리톤)의 내부 또는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6-0034136 includes the steps of installing a lowermost load-bearing structure by combining a plurality of beams; Installing a load supporting structure forming one or more upper layers by combining a plurality of beams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most load supporting structure; Installing at least one of a mesh-like structure (exo-skeleton) for forming a wall and a deck plate for forming a slab on the load-bearing structure of the lowermost layer and the upper layer; And pouring concrete into the mesh-like structure (exo-skeleton) o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eck plate is disclosed.

이러한 고속 시공방법에 의하면, 빔을 포함하는 인장 구조체로 이루어진 수직 구조물과 데크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수평 구조물을 조립/결합하여 다층 구조물을 만들고 여기에 경량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수의 층을 동시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층의 건축물의 시공 기간을 단축시키고 시공에 소요되는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is high-speed construction method, a vertical structure made of a tensile structure including a beam and a horizontal structure made of a deck plate are assembled/combined to form a multi-layered structure, and lightweight concrete is poured therein to simultaneously construct a plurality of layers. By doing so, there is an effect of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of a multi-storey building and reducing the cost required for construction.

그러나 이러한 고속 시공방법에서는 슬라브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타설(주입) 공정에서 데크 플레이트와 같은 수평 부재에 큰 하중이 걸린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특허에서는 경량 콘크리트를 사용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경량 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의 골재를 인공 경량 골재로 대체하여 중량을 감소시킨 것으로, 인공 경량 골재로는 발포 폴리스티렌과 같은 발포 합성수지를 이용한다.However, in this high-speed construction method, a large load is placed on a horizontal member such as a deck plate in the concrete pouring (injection) process forming the slab.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atent has a limitation that lightweight concrete must be used. Lightweight concrete is a weight reduction by replacing the aggregate of general concrete with an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 As the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 a foamed synthetic resin such as expanded polystyrene is used.

한국 공개 특허 10-2016-0034136Korean Patent Publication 10-2016-0034136 한국 공개 특허 10-2016-0034117Korean Patent Publication 10-2016-0034117 한국 공개 특허 10-2016-0034143Korean Patent Publication 10-2016-003414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시공에도 슬라브 형성용 수평 부재로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deck plate that can be used as a horizontal member for slab formation even in construction using general concrete,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종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가 횡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돌출부의 측벽들을 관통하는 횡 방향 보강재 및 상기 돌출부의 벽면들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종 방향 보강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a transverse reinforcement penetrating the side walls of the protrusion, and a space surrounded by the wall surfaces of the protrusion. It provides a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disposed on.

또한, 상기 돌출부의 측벽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횡 방향 보강재는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측벽과 상기 횡 방향 보강재 사이의 틈에는 개스킷(gasket)이 설치되는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ide wall of the protrusion, the transverse reinforcing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a gasket is installed in the gap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transverse reinforcing material to provide a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

또한, 상기 종 방향 보강재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횡 방향 보강재는 상기 횡 방향 보강재의 개구를 통과하는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를 제공한다.In addition, an opening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reinforcing member, and the transverse reinforcing member provides a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passing through the opening of the transverse reinforcing memb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시공방법으로서, a) 하중 지지 구조물들을 설치하는 단계와, b) 상기 하중 지지 구조물들에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단계와, c)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a) installing load-bearing structures, b) fixing the beam reinforcing deck plate to the load-bearing structures, and c) reinforcing the beam It provides a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ouring concrete on the upper deck plate.

또한,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횡 방향 보강재와 상기 종 방향 보강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하중 지지 구조물과 상하연결보강재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a construc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necting at least one of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and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of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to the load-bearing structure positioned above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with a vertical connection reinforcement. to provide.

또한,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횡 방향 보강재와 상기 종 방향 보강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와 인접하는 다른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와 상하연결보강재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connecting at least one of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and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of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with another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adjacent to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with a vertical connection reinforcement. .

또한,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횡 방향 보강재와 상기 종 방향 보강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와 인접하는 다른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횡 방향 보강재와 상기 종 방향 보강재 중 적어도 하나에 상하연결보강재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and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of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is vertical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and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of another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adjacent to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It provides a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connecting with a reinforcing material.

또한, 상기 상하연결보강재는 인접하는 층에 설치되는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들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을 분할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벽체 안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stiffeners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in a wall installed to divide an inner space formed between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s installed on adjacent layers.

또한, 상기 하중 지지 구조물들은 수직 빔들과 상기 수직 빔들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 빔들과 수평 빔들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 빔을 포함하며,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횡 방향 보강재와 상기 종 방향 보강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와 인접하는 보강 빔과 상하연결보강재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load-bearing structures include vertical beams, horizontal beams installed between the vertical beams, and reinforcing beams installed between horizontal beams, and at least one of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and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of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It provides a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connecting a reinforcing beam adjacent to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and a vertical connection stiffener.

본 발명에 따른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는 트러스, 빔, 파이프 등에 의해서 보강되므로, 일반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고속 시공에도 슬라브 형성용 수평 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슬라브의 형성하기 위한 수평 구조물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물을 한꺼번에 만들고 여기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복수의 층을 동시에 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층의 건축물의 시공 기간을 단축시키고 시공에 소요되는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inforced by trusses, beams, pipes, etc., it can be used as a horizontal member for slab formation even in high-speed construction using general concrete. Therefore, even when using general concrete, a multi-layered structure including a horizontal structure for forming a slab can be made at once, and a plurality of layers can be simultaneously constructed by pouring concrete therein.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of multi-story buildings and reduce the cost required for construction.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과 7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1 to 3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shown in FIG. 2.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art of a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e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exemplifi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amples.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of disclosure,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can be named as the second component, and is similar. Thus,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ertain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for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that is, expressions such as "between" and "direct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implemented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preliminary exclus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to 3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하중 지지 구조물을 설치한다. 이 하중 지지 구조물은 기둥의 기능을 하는 복수의 수직 빔(1)을 포함한다. 수직 빔(1)은 트러스, H형 빔, I형 빔, L형 빔, 관형 빔 등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빔(1) 사이에는 수평 빔(2)이 설치된다. 수평 빔(2)도 수직 빔(1)과 마찬가지로 트러스, H형 빔, I형 빔, L형 빔, 관형 빔 등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 a load supporting structure of a building is installed. This load-bearing structure comprises a plurality of vertical beams 1 serving as columns. The vertical beam 1 may be a truss, an H-beam, an I-beam, an L-beam, a tubular beam, or the like. And between the vertical beams (1), a horizontal beam (2) is installed. As with the vertical beam 1, the horizontal beam 2 may be variously used, such as a truss, an H-beam, an I-beam, an L-beam, and a tubular beam.

한편,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4개의 수직 빔(1)이 설치된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축물의 넓이와 요구 조건에 따라 수직 빔(1)들 사이사이에 추가로 수직 빔(1)을 설치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structure in which four vertical beams 1 are installed is illustrated, but the struct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additional vertical beams 1 between the vertical beams 1 according to the width and requirements of the building ) Can also be installed.

그리고 최상부 및 최하부의 수평 빔(2)들 사이에는 보강 빔(3)들이 설치된다. 보강 빔(2)도 수직 빔(1)과 마찬가지로 트러스, H형 빔, I형 빔, L형 빔, 관형 빔 등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And reinforcing beams 3 are installed between the uppermost and lowermost horizontal beams 2. Like the vertical beam 1, the reinforcing beam 2 may be variously used, such as a truss, an H-beam, an I-beam, an L-beam, and a tubular beam.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들을 하중 지지 구조물에 설치한다.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는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의 끝단들을 수평 빔(2)들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하중 지지 구조물에 설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빔(2) 위에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를 올린 후 볼트로 고정하거나, 용접하여 고정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2,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s 10 are installed on the load supporting structure.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0 may be installed on the load-bearing structure by fixing the ends of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0 to the horizontal beams 2. As shown in FIG. 2,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0 is mounted on the horizontal beam 2 and then fixed with bolts or weldin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shown in FIG. 2.

도 2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는 플레이트(11), 종 방향 보강재(12), 횡 방향 보강재(13) 및 개스킷(14)을 포함한다.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는 횡 방향 보강재(13) 및 종 방향 보강재(12)에 의해서 보강되므로, 비중 2.5 수준의 무거운 콘크리트의 타설에도 견딜 수 있다.2 and 4,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0 includes a plate 11, a longitudinal reinforcement 12, a transverse reinforcement 13, and a gasket 14. Since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0 is reinforced by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13 and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12, it can withstand the pouring of heavy concrete with a specific gravity of 2.5.

플레이트(11)에는 종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15)가 횡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플레이트(11)는 강철, 플라스틱, 유리 섬유 보강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On the plate 11, a plurality of protrusions 15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plate 11 can be made of steel, plastic,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or the like.

플레이트(11)의 돌출부(15)를 형성하는 측벽들에는 횡 방향 보강재(13)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구멍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관통구멍에는 플레이트(11)와 횡 방향 보강재(13)의 이음매에서 콘크리트가 새어나오지 않도록 개스킷(14)이 끼워져 있다.The sidewalls forming the protrusion 15 of the plate 11 are formed with through-holes into which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13 can be inserted. In this through hole, a gasket 14 is fitted so that concrete does not leak from the joint between the plate 11 and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13.

종 방향 보강재(12)는 돌출부(15)의 벽면들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된다. 종 방향 보강재(12)로는 H형 빔, 트러스, 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12 is dispos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wall surfaces of the protrusion 15. As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12, an H-shaped beam, a truss, or a pipe may be used.

그리고 종 방향 보강재(12)에는 횡 방향 보강재(13)가 끼워질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longitudinal reinforcing material 12 has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transverse reinforcing material 13 can be fitted.

횡 방향 보강재(13)로는 H형 빔, 트러스, 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횡 방향 보강재(13)는 플레이트(11)의 관통구멍과 종 방향 보강재(12)를 개구를 번갈아가며 통과한다.As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13, an H-beam, a truss, or a pipe may be used. The transverse reinforcing member 13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plate 11 and the longitudinal reinforcing member 12 alternately through the openings.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는 종 방향 보강재(12)들을 수평 빔(2)에 고정한 후에 종 방향 보강재 위(12)에 플레이트(11)를 배치하고, 볼트 등을 이용하여 수평 빔(2)과 플레이트(11)를 결합한 후, 횡 방향 보강재(13)들을 끼워넣는 방법으로 하중 지지 구조물에 설치할 수 있다.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0 is arranged with the plate 11 on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12 after fixing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12 to the horizontal beam 2, and the horizontal beam 2 and the horizontal beam 2 using bolts, etc. After the plate 11 is joined, it can be installed on the load-bearing structure by inserting the transverse reinforcing members 13.

경우에 따라서는 미리 조립된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를 수평 빔(2)에 고정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는 각각의 돌출부(15)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종 방향 보강재(12)들의 위에 플레이트(11)를 올리고, 플레이트(11)의 관통구멍과 종 방향 보강재(12)들의 개구를 통과하도록 횡 방향 보강재(13)를 끼우는 방법으로 조립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pre-assembled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0 may be fixed to the horizontal beam 2 and installed.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0 has a plate 11 on top of the longitudinal stiffeners 12 arrang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rotrusions 15, and the through-holes of the plate 11 and the longitudinal stiffener 12 It can be assembled by inserting the transverse reinforcing material 13 so as to pass through the openings.

도 2에서는 두 개의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층수에 따라서 더 많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 중에서 하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는 2층 바닥이 되며, 상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는 옥상 바닥이 된다.In FIG. 2, two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s 10 are shown, but mor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s 10 may be install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floors. Among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s 10 shown in FIG. 2, the lower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0 serves as a two-story floor, and the upper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0 serves as a rooftop floor.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의 횡 방향 보강재(13)를 바로 위층의 다른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에 상하연결보강재(18)를 통해서 연결한다. 상하연결보강재(18)는 위층의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의 횡 방향 보강재(13)에 연결될 수 있다. 약간 사선으로 연결할 수도 있으나, 위층의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의 위치를 돌출부(15)의 너비 정도 이동시켜 설치하여, 상하연결보강재(18)가 수직이 되도록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 방향 보강재(12)에 연결할 수도 있다.Next, as shown in FIG. 3,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13 of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0 is connected to the other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0 on the upper layer through the vertical connection reinforcement 18. The vertical connection stiffener 18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verse stiffener 13 of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0 on the upper floor. Although it may be connected in a slightly oblique line, it is preferable to connect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stiffeners 18 to be vertical by moving the position of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0 on the upper floor about the width of the protrusion 15. It can also be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12.

상하연결보강재(18)는 서로 연결된 한 쌍의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 사이의 층(도 2에서는 2층)의 내부공간을 분할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벽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건물 완공 후에는 상하연결보강재(18)가 벽체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다.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stiffeners 18 may be disposed at a wall position installed to divide the inner space of the layer (the second floor in FIG. 2) between the pair of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s 10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fore, after the building is completed,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stiffeners 18 are located inside the wall, so they are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위층의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는 최상부의 보강 빔(3)에 상하연결보강재(18)를 통해서 연결된다. 그리고 하층의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는 최하부의 보강 빔(3)에 상하연결보강재(18)를 통해서 연결된다. 결국, 위층과 아래층의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들은 최상부 및 최하부의 보강 빔(3)들에 의해서 위아래로 지지가 되는 구조가 된다.The upper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0 is connected to the uppermost reinforcing beam 3 through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reinforcements 18. And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0 of the lower layer is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eam 3 of the lowermost part through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stiffeners 18. As a result, the upper and lower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s 10 are supported up and down by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beams 3.

상하연결보강재(18)로는 H형 빔, 트러스, 파이프, 와이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H-beam, truss, pipe, wire, etc. may be used as the vertical connection stiffener 18.

다음으로, 하중 지지 구조물인 수직 빔(1) 사이에 메시형 구조물(엑소-스켈리톤, 미도시)을 설치한다. 이러한 메시형 구조물(엑소-스켈리톤)은 소정 두께를 갖는 망형 구조의 벽체 형태를 이룬다. 필요한 경우에는 메시형 구조물의 실내 및 실외 측 표면에 각각 외장재와 내장재를 부착할 수도 있다.Next, a mesh-like structure (exo-skeleton, not shown) is installed between the vertical beams 1 which are load-bearing structures. Such a mesh-like structure (exo-skeleton) forms a wall shape of a mesh-like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f necessary, exterior and interior materials may be attached to the interior and exterior surfaces of the mesh structure, respectively.

이 상태에서,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공급한다. 그러면, 콘크리트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를 따라서 흘러내려서 수직 빔(1) 사이의 메시형 구조물을 따라서 내려온다. 따라서 슬라브와 벽체 콘크리트를 한꺼번에 타설할 수 있다. 고층 건물은 5개 층 정도씩 분할해서 한꺼번에 타설할 수도 있다.In this state, concrete is su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0. Then, the concrete flows down along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0 and descends along the mesh-like structure between the vertical beams 1. Therefore, slab and wall concrete can be poured at the same time. High-rise buildings can be divided into 5 floors and poured at once.

이러한 방식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메시형 구조물(엑소-스켈리톤)에 타설된 콘크리트의 대부분은 메시형 구조물(엑소-스켈리톤)과 함께 건축물의 벽체를 이루고,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에 타설된 콘크리트는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와 함께 건축물의 바닥과 천장(슬래브)을 이룬다.When concrete is poured in this way, most of the concrete poured into the mesh-type structure (exo-skeleton) forms the wall of the building together with the mesh-type structure (exo-skeleton), and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0) The concrete poured into the floor and the ceiling (slab) of the building together with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0 are formed.

또한, 메시형 구조물(엑소-스켈리톤)에 미리 창문틀이나 문틀을 설치하여 시공 시간을 줄이고 시공 편의성을 높일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construction time and increase construction convenience by installing a window frame or door frame in advance on a mesh-like structure (exo-skeleton).

도 5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도 1과 2에 도시된 단계 후에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를 보강하는 단계에서 도 3에 도시된 방법과 다른 방법을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철 와이어나 파이프 등의 상하연결보강재(19)를 이용해서 횡 방향 보강재(13)들을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직 빔(1)에 고정한다. 이러한 강철 와이어나 파이프는 중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강철 와이어나 파이프는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 제거한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embodiment uses a method different from the method shown in FIG. 3 in the step of reinforcing the beam reinforcing deck plate 10 after the steps shown in FIGS. 1 and 2.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5, using the vertical connection stiffeners 19 such as steel wires or pipes, the transverse reinforcing members 13 are vertical beams 1 positioned on the top of the beam reinforcing deck plate 10. ). Steel wires or pipe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se steel wires or pipes are removed after the concrete is hardened.

도 6과 7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들이다.6 and 7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art of a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20)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횡 방향 보강재만(23)을 구비하며, 도 7에 도시된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30)는 종 방향 보강재(32)만을 구비한다. 건물의 면적이 크지 않을 경우에는 도 6이나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방향 보강재만을 구비한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Unlike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20 shown in FIG. 6 includes only a transverse reinforcement material 23, and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30 shown in FIG. 7 is a longitudinal reinforcement material. It has only (32). When the area of the building is not large, as shown in FIGS. 6 or 7, a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provided with only one-way reinforcement may be used.

도 8은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플레이트(41)의 돌출부(45)들의 상면에 연결구(46)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 방향 보강재(42)가 연결구(46)를 통해서 상부로 노출된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unlike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connectors 46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protrusions 45 of the plate 41. Accordingly, the longitudinal reinforcing material 42 is exposed upwardly through the connector 46.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횡 방향 보강재(13)들을 상하연결보강재(18)로 연결하거나, 하부 횡 방향 보강재(13)를 상부 종 방향 보강재(12)에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40)를 사용하면 연결구(46)를 통해서 하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40)의 종 방향 보강재(42)와 상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40)의 종 방향 보강재(42)를 상하연결보강재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1 to 3,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transverse reinforcing members 13 are connected with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stiffeners 18, or the lower transverse stiffener 13 is connected to the upper longitudinal reinforcement 12, but this If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40 of the embodiment is used,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42 of the lower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40 and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42 of the upper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40 are formed through the connector 46. They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stiffener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예를 들어, 최상부와 최하부에는 보강 빔(3)들을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들을 설치할 수도 있다.For exampl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reinforcing beams 3 are installed at the top and bottom,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s may be installed.

또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최상부와 최하부의 보강 빔(3)들에 의해서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들이 상하로 지지가 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최상부 또는 최하부에만 보강 빔(3)들을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최상부의 보강 빔(3)에 상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가 연결되고, 하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는 상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와 연결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또한, 반대로 하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가 최하부의 보강 빔(3)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를 하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0)에 상하연결보강재(18)로 연결하여 상부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18)를 지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1 to 3,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s 10 are supported vertically by the reinforcement beams 3 at the uppermost and the lowermost portions, but the reinforcing beam 3 is only at the uppermost or lowermost portions. You can also install them. For example, the upper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most reinforcing beam 3, and the lower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0 may be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upper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0. In addition, on the contrary, the lower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0 is supported by the lowermost reinforcement beam 3, and the upper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0 is connected to the lower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0 with a vertical connection stiffener 18. Thus, the upper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8 may be supported.

1: 수직 빔
2: 수평 빔
3: 보강 빔
10, 20, 30, 40: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
11: 플레이트
12, 32, 42: 종 방향 보강재
13, 23: 횡 방향 보강재
14: 개스킷
18, 19: 상하연결보강재
1: vertical beam
2: horizontal beam
3: reinforcement beam
10, 20, 30, 40: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11: plate
12, 32, 42: longitudinal reinforcement
13, 23: transverse reinforcement
14: gasket
18, 19: upper and lower connecting stiffener

Claims (11)

a) 하중 지지 구조물들을 설치하는 단계와,
b) 상기 하중 지지 구조물들에, 종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가 횡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돌출부의 측벽들을 관통하는 횡 방향 보강재 및 상기 돌출부의 벽면들에 의해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되는 종 방향 보강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단계와,
c)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횡 방향 보강재와 상기 종 방향 보강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와 인접하는 다른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횡 방향 보강재와 상기 종 방향 보강재 중 적어도 하나에 상하연결보강재로 연결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 후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시공방법.
a) installing load-bearing structures, and
b) In the load-bearing structures, in a space surrounded by a plate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a lateral reinforcement penetrating the sidewalls of the protrusion, and the wall surfaces of the protrusion. Fixing a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longitudinal reinforcing materials disposed,
c) vertically connecting at least one of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and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of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to at least one of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and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of another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adjacent to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Connecting with reinforcement, and
d) After the step c), a construction method using a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comprising the step of pouring concrete on the top of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전에,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횡 방향 보강재와 상기 종 방향 보강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하중 지지 구조물과 상하연결보강재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Before step d),
A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necting at least one of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material and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material of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to the load-bearing structure positioned above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with a vertical connection reinforcement Construction method u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연결보강재는 인접하는 층에 설치되는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들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을 분할하기 위해서 설치되는 벽체 안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vertical connection stiffener is a construction method using a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that is installed to be located in a wall that is installed to divide an inner space formed between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s installed on an adjacent flo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지지 구조물들은 수직 빔들과 상기 수직 빔들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 빔들과 수평 빔들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 빔을 포함하며,
상기 d) 단계 전에,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의 상기 횡 방향 보강재와 상기 종 방향 보강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와 인접하는 보강 빔과 상하연결보강재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빔 보강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load-bearing structures include vertical beams and horizontal beams installed between the vertical beams and reinforcing beams installed between horizontal beams,
Before step d),
Construction method using a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comprising the step of connecting at least one of the transverse reinforcement and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of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with a reinforcing beam adjacent to the beam reinforcement deck plate and a vertical connection reinforcem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135780A 2017-11-08 2018-11-07 Construction method using beam-reinforced deck plate KR1021979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3499 WO2019093772A1 (en) 2017-11-08 2018-11-08 Beam-reinforced deck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47834 2017-11-08
KR1020170147834 2017-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638A KR20190052638A (en) 2019-05-16
KR102197994B1 true KR102197994B1 (en) 2021-01-18

Family

ID=6667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780A KR102197994B1 (en) 2017-11-08 2018-11-07 Construction method using beam-reinforced deck pl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99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047B1 (en) * 2019-10-22 2019-12-06 지엔씨건설 주식회사 Chalice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914B1 (en) * 2017-10-19 2018-03-13 황사석 Composite beam beam including reinforcing par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318B1 (en) * 2002-06-18 2006-01-23 (주) 선암기술연구소 Corrugated Board Type Deck Plate
KR101005788B1 (en) * 2008-09-30 2011-01-06 배형진 Corrugated Board Type Composition Deck Plate System having Utility-Pipe Conduit in Flute
KR20160034143A (en) 2014-09-19 2016-03-29 주식회사 동보지에스 Construction method for composite structure usingb light concrete and strength member
KR20160034136A (en) 2014-09-19 2016-03-29 주식회사 동보지에스 High-speed construction method for quake-proof building structure using beam and super light concrete
KR20160034117A (en) 2014-09-19 2016-03-29 주식회사 동보지에스 High-spee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b light concrete and strength memb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914B1 (en) * 2017-10-19 2018-03-13 황사석 Composite beam beam including reinforcing p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638A (en)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22374B (en) Composite structural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9683361B2 (en) Method and system for rapid construction of structurally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using prefabricated assembli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9388561B2 (en) Modular construction mol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s and structures
CN113818556A (en) Precast concrete truss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101903628B1 (en) Precast Double Wall Structure with Enhanced Seismic Performan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3850363B (en) Prefabricated through hole assembly type reinforced concrete shear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through hole assembly type reinforced concrete shear wall
KR101658648B1 (en) Beam-column joint and simultaneous construction method of upper and lower part of building using thereof
KR20070097891A (en) Precast concrete panel with mortar and its method of construction
KR101663132B1 (en) Self-supporting type column structure
CN112681511B (e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section steel to replace part of reinforcing steel bars
KR100830240B1 (en) Method for hybridizing light-weight composite wall and concrete floor in light-weight composite structure using adapter
KR102197994B1 (en) Construction method using beam-reinforced deck plate
US9487943B2 (en) Component building system
CN110656716A (en) Building structure with prefabricated wall boards connected in dense ribs and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structure
CN113374171B (en) Recycled block concrete prefabricated assembled ring beam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830241B1 (en) Method for hybridizing light-weight composite wall and concrete floor in light-weight composite structure using adapter
CN203769116U (en) Prefabricated through hole assembly type reinforced concrete shear wall
WO2020214086A1 (en) Precast building
KR100619233B1 (en) Post-tensioned precast concrete structure and a building constructed by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building
KR101576865B1 (en) Construction method of slab for bridge without support bar using converse T-type beams
RU2323307C2 (en) Construction method for double-sided mutually stressed reinforced concrete wall structure with heat-insulation voids
KR102028828B1 (en) Post tension flat slab stur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rib type slab and waffle type drop
CN111962666B (en)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internal structure
CN217299310U (en) Prefabricated floor and prefabricated floor connected node
TWI736482B (en) Construction method of architectural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