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083A - 근접장 통신 포럼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 - Google Patents

근접장 통신 포럼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8083A
KR20170118083A KR1020177022854A KR20177022854A KR20170118083A KR 20170118083 A KR20170118083 A KR 20170118083A KR 1020177022854 A KR1020177022854 A KR 1020177022854A KR 20177022854 A KR20177022854 A KR 20177022854A KR 20170118083 A KR20170118083 A KR 20170118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ening
listening mode
nfc
mode profil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2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2708B1 (ko
Inventor
존 힐란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18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04B5/003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청취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NFC 디바이스들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또는 디바이스들이 개시된다. 몇몇 예들에서, NFC-가능 디바이스는, NFC-가능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정의하는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의 리스트로부터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의 리스트는, P2P(peer-to-peer) 청취 모드 프로파일, T3T(Type 3 Tag) 청취 모드 프로파일, T4AT(Type 4A Tag) 청취 모드 프로파일, 및 T4BT(Type 4B Tag) 청취 모드 프로파일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접장 통신 포럼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참조
[0001] 본 출원은, 2015년 9월 9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NEAR FIELD COMMUNICATION FORUM LISTEN MODE PROFILES"인 미국 정규 출원 일련번호 제 14/849,334호, 및 2015년 2월 19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NEAR FIELD COMMUNICATION FORUM LISTEN MODE PROFILES"인 미국 가출원 일련번호 제 62/118,215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며, 상기 출원들은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이로써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명백히 본원에 포함된다.
[0002] 개시된 양상들은 일반적은 근접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들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청취(listen) 모드 프로파일들에 기초하여 근접장 통신 디바이스들을 구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0003] 기술의 발전들은 더 소형이고 더 강력한(powerful) 개인용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초래했다. 예를 들어, 각각이 소형이고, 경량이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무선 텔레폰들,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들, 및 페이징(paging) 디바이스들과 같은 무선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휴대용 개인 컴퓨팅 디바이스들이 현재 존재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무선 텔레폰들은,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들을 통해 음성 및 데이터 패킷들을 통신하는 셀룰러 텔레폰들을 더 포함한다. 많은 이러한 셀룰러 텔레폰들은, 계속해서 증가된 컴퓨팅 능력들을 갖도록 제조되고 있으며, 이로써, 소형 개인용 컴퓨터들 및 핸드-헬드 PDA들과 동등해지고 있다. 추가로,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셀룰러 통신들,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통신들, NFC(near field communications) 등과 같은, 다양한 주파수들 및 적용가능한 커버리지 영역들을 사용하는 통신들을 가능하게 한다.
[0004] NFC 포럼(Forum)은 상이한 NFC 디바이스들 간의 글로벌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고, 다양한 벤더(vendor)들에 걸쳐 일치되어야 하는 공통 특성들의 세트를 정의한다. 일 예에서, NFC 포럼 규격은 NFC 디바이스의 폴링(polling) 동작 모드와 연관된 구성 파라미터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NFC 포럼이든 종래의 시스템들이든 어느 쪽도 청취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NFC 디바이스들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NFC 디바이스 구성의 개선들이 요구될 수 있다.
[0005] 다음은 그러한 양상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의 개요를 제시한다. 이러한 개요는, 고려되는 모든 양상들의 포괄적인 개관이 아니며, 모든 양상들의 핵심 또는 중요 엘리먼트들을 식별하도록 의도되지 않고, 임의의 양상들 또는 모든 양상들의 범위를 기술하도록 의도되지도 않는다. 그것의 목적은, 이후에 제시되는 더 상세한 설명에 대한 서론으로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의 형태의 일부 개념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0006] 본 개시내용의 설명된 특성들은 일반적으로, 청취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는 NFC 디바이스들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개선된 시스템들, 방법들, 및/또는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에 따른 NFC-가능 디바이스는, NFC-가능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정의하는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의 리스트로부터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의 리스트는, P2P(peer-to-peer) 청취 모드 프로파일, T3T(Type 3 Tag) 청취 모드 프로파일, T4AT(Type 4A Tag) 청취 모드 프로파일, 또는 T4BT(Type 4B Tag) 청취 모드 프로파일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07]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양상에 따르면, 근접장 통신을 위한 방법이 설명된다. 방법은, 청취 동작 모드로의 진입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추가로, 청취 동작 모드로의 진입을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로부터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식별하고, 청취 모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제 1 NFC 디바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0008]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양상에 따르면, 근접장 통신을 위한 장치가 설명된다. 장치는, 청취 동작 모드로의 진입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청취 동작 모드로의 진입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에 기초하여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로부터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청취 모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제 1 NFC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0009]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양상에 따르면, 근접장 통신을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개시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청취 동작 모드로의 진입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청취 동작 모드로의 진입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에 기초하여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로부터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 및 청취 모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제 1 NFC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0010]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양상에 따르면, 무선 통신을 위한 또 다른 장치가 개시된다. 장치는,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 및 버스를 통해 메모리 및 트랜시버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청취 동작 모드로의 진입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는 추가로, 청취 동작 모드로의 진입을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로부터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식별하고, 청취 모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제 1 NFC 디바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0011] 전술한 목적 및 관련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은, 아래에서 완전히 설명되고 특히 청구항들에서 지적되는 특성들을 포함한다. 다음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특성들을 상세히 기재한다. 그러나, 이들 특성들은,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이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단지 몇몇만을 표시하며, 이러한 설명은 모든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0012] 개시된 양상들은, 개시된 양상들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도록 제공되는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동일한 지정들은 동일한 엘리먼트들을 나타낸다.
[0013]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0014]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양상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0015]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양상에 따른 NFC 환경의 블록도이다.
[0016]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양상에 따른,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양상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0017]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양상에 따른 다른 NFC 환경의 블록도이다.
[0018]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양상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아키텍쳐의 기능 블록도이다.
[0019]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양상들이 설명된다. 다음의 설명에서,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한 세부사항들이 기재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들 특정한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양상에서,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컴포넌트"는, 시스템을 형성하는 부분들 중 하나일 수 있고, 하드웨어,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으며, 다른 컴포넌트들로 분할될 수 있다.
[0020] NFC 디바이스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NFC 동작 모드들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NFC 디바이스는 폴링 동작 모드 또는 청취 동작 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NFC 디바이스가 폴링 동작 모드에 따라 동작하고 있는지 또는 청취 동작 모드에 따라 동작하고 있는지를 식별하는 것은, NFC 디바이스를 예컨대 판독기/기입기로서 구성할지 또는 카드 에뮬레이터(card emulator)로서 구성할지를 좌우할 수 있다. 판독기/기입기로서 동작하는 동안, NFC 디바이스는 수동(passive) 트랜스폰더(transponder)/태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자기장을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몇몇 양상들에서, 판독기/기입기로서 동작하는 NFC 디바이스는, NFC 준수(compliant) 수동(예컨대, 배터리를 갖지 않음) 트랜스폰더/태그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 및 변경할 수 있다. 태그는, 판독기/기입기로서 동작하는 NFC 디바이스로 태그를 판독하는 것에 의해 부가적인 정보의 검색을 허용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카드 에뮬레이터로서 동작하는 NFC 디바이스는 스마트 카드(예컨대, ISO 14443)와 유사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에뮬레이팅된 스마트 카드는 이후 외부 NFC 판독기, 이를테면 NFC 판매 시점 관리(point-of-sale) 단말(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에 의해 액세스(access)될 수 있다.
[0021] 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시스템들은, NFC 디바이스가 폴링 모드 구성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구성되게 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폴링 모드 프로파일들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시스템들은 청취 동작 모드에서 NFC 디바이스들에 대해 유사한 구성 접근성(accessibility)을 제공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개시자(initiator) 디바이스가 타겟(target)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P2P(peer-to-peer) 통신에서, 현재 규격은, P2P 개시자 디바이스를 설정하기 위한 구성 파라미터들은 제공하지만 P2P 타겟 디바이스를 설정하기 위한 구성 파라미터들은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은,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에 기초하여 청취 동작 모드에서 NFC 디바이스들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몇몇 양상들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은, P2P 청취 모드 프로파일, T3T(Type 3 Tag) 청취 모드 프로파일, T4AT(Type 4A Tag) 청취 모드 프로파일, 또는 T4BT(Type 4B Tag)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0022]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NFC 통신들이 가능한 송신기(104) 및 수신기(108)를 포함하며, 여기서, 수신기(108)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에 기초하여 청취 동작 모드를 구성하기 위한 본원에 설명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을 구현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도 1은 송신기(104) 및 수신기(108)의 고-레벨 구현을 예시하며, 이들 각각은 NFC 디바이스의 일부일 수 있다. 송신기(104) 및/또는 수신기(108)로서 동작하는 NFC 디바이스(예컨대, 각각 원격 NFC 디바이스(350) 및/또는 NFC 디바이스(310))의 상세한 하드웨어 개략도가 도 7에 예시된다. 몇몇 양상들에서, 수신기(108)는 NFC 디바이스(310)(도 3)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송신기(104) 및/또는 수신기(108)는 트랜시버(360)(도 3)를 형성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의 일부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다른 식으로는, 송신 안테나가 안테나(345)(도 3)의 일부일 수 있다. 에너지 전달을 제공하기 위한 방사 유도 필드(106)를 생성하기 위해, 입력 전력(102)이 송신기(104)에 제공된다. 수신기(108)는 방사 유도 필드(106)에 커플링되고, 출력 전력(110)에 커플링되는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저장 또는 소모를 위한 출력 전력(110)을 생성한다. 송신기(104) 및 수신기(108) 양자는 거리(112)만큼 분리되고, 이러한 거리는 본원에서 OV(operating volume)로 또한 지칭된다. 일 예에서, 송신기(104) 및 수신기(108)는 상호 공진 관계에 따라 구성되며, 수신기(108)의 공진 주파수 및 송신기(104)의 공진 주파수가 임계 OV 내에 있는 경우, (예컨대, 수신기(108)가 방사 유도 필드(106)의 "근접장" 내에 로케이팅될 때) 송신기(104)와 수신기(108) 사이의 송신 손실들이 최소이다.
[0023] 송신기(104)는, 에너지 및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안테나(114)를 더 포함한다. 수신기(108)는, 신호들을 수신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에너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안테나(118)를 포함한다. 송신 안테나(114) 및 수신 안테나(118)는 그들과 연관된 애플리케이션들 및 디바이스들에 따라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효율적인 에너지 전달은, 전자기파의 대부분의 에너지를 원거리 장(far field)에 전파하기 보다는, 송신 안테나(114)의 근접장 내의 에너지의 많은 부분을 수신 안테나(118)에 커플링시킴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근접장 내에 있는 경우, 커플링 모드가 송신 안테나(114)와 수신 안테나(118) 사이에 전개될 수 있다. 안테나들(114 및 118) 주변의 이러한 근접장 커플링이 발생할 수 있는 영역은, 본원에서 커플링-모드 영역으로 지칭된다.
[0024] 몇몇 구성들에서, 송신기(104) 및 수신기(108)가 매우 가까이 근접해 있는 경우, 신호들을 프로세싱하는 안테나들(114, 118)에 관련된 매칭 네트워크들(도시되지 않음)은 송신기(104)와 수신기(108) 간에 통신되는 신호들에서의 높은 상호 커플링으로 인해 디튜닝(detune)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송신기(104)와 수신기(108) 간의 통신들이 실패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은 본원에서 오버-커플링(over-coupling)으로 지칭된다. 그러한 예들에서, 본원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송신기(104)는, 수신기(108) 또는 관련된 수신 안테나(118)와의 그러한 오버-커플링을 검출할 수 있고, 송신기(104)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및/또는 수신 파라미터들을 수정함으로써 조건을 완화시키려 시도할 수 있다.
[0025] 위에 논의된 바와 같이, NFC 디바이스(예컨대, 송신기(104) 및/또는 수신기(108))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NFC 동작 모드들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NFC 디바이스는 폴링 동작 모드 또는 청취 동작 모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몇몇 양상들에서, 송신기(104)는 폴링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수신기(108)는 청취 동작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송신기(104) 및 수신기(108) 각각은, 폴링 모드 또는 청취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각각의 NFC 디바이스(예컨대, 송신기(104) 및/또는 수신기(108))를 구성하기 위한 프로세서(606)(도 6)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프로세서는, NFC 디바이스(예컨대, 송신기(104) 및/또는 수신기(108)) 상에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애플리케이션들의 특성들에 기초하여 폴링 동작 모드 또는 청취 동작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 컴포넌트(315)(도 3)를 포함할 수 있다. 양상에서, 예를 들어, 모드 선택 컴포넌트(315)는, 하드웨어(예컨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606-a, 606-b 또는 606)(도 6 참조)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 모듈들), 및/또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예컨대, 메모리(608), 도 6 참조) 상에 저장되고 그리고 본원에 설명된 특별히 구성된 모드 선택 관련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 코드 또는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이 제한되진 않지만,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애플리케이션이, NFC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된 신용 카드 정보를 통해 벤더들(예컨대, 커피숍들)에 대한 결제(payment)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모바일 결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모드 선택 컴포넌트(315)는 NFC 디바이스에 대해 청취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애플리케이션이, NFC 디바이스 상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파일들(예컨대, 사진들 또는 연락처 정보)을 원격 NFC 디바이스와 공유하는 것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모드 선택 컴포넌트(315)는 공유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폴링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0026]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서(606)는, 복수의 폴 모드/청취 모드 프로파일들로부터 이용가능한 프로파일을 식별 및 선택하기 위해 프로파일 선택 컴포넌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양상에서, 예를 들어, 프로파일 선택 컴포넌트(320)는, 하드웨어(예컨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606-a, 606-b 또는 606)(도 6 참조)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 모듈들), 및/또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예컨대, 메모리(608), 도 6 참조) 상에 저장되고 그리고 본원에 설명된 특별히 구성된 모드 선택 관련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 코드 또는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송신기(104) 및/또는 수신기(108)는 각각, (예컨대, 모드 선택 컴포넌트(315)를 통해) 동작 모드를 선택할 시, 모드 선택에 기초하여 각각의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해, 일 세트의 폴 모드 프로파일들로부터 폴 모드 프로파일을 또는 일 세트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로부터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식별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에 따르면, 일 세트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은 적어도 하나의 청취 상태에 대한 구성 파라미터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세트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은, P2P(peer-to-peer) 청취 모드 프로파일, T3T(Type 3 Tag) 청취 모드 프로파일, T4AT(Type 4A Tag) 청취 모드 프로파일, 및 T4BT(Type 4B Tag)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 각각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은 도 3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0027] 몇몇 양상들에서, 프로세서(606)는 부가적으로, 프로파일 선택 컴포넌트(320)에 의해 선택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송신기(104) 및/또는 수신기(108)를 구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구성 컴포넌트(335)(도 3)를 포함할 수 있다. 양상에서, 예를 들어, 프로파일 선택 컴포넌트(320)는, 하드웨어(예컨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606-a, 606-b 또는 606)(도 6 참조)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 모듈들), 및/또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예컨대, 메모리(608), 도 6 참조) 상에 저장되고 그리고 본원에 설명된 특별히 구성된 모드 선택 관련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 코드 또는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NFC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것은, NFC 디바이스가 개시자 또는 타겟 디바이스로서 기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NFC 디바이스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을 수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2P(peer-to-peer) 통신이 선택되는 경우, 개시자 디바이스(예컨대, 송신기(104))는 P2P 폴 모드 프로파일에 의해 제공되는 값들을 활용하여 구성될 수 있는 한편, 타겟 디바이스(예컨대, 수신기(108))는 P2P 청취 모드 프로파일에서 제공되는 구성 값들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구성 파라미터들을 수정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예들에서, 일 세트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325) 중 하나를 선택 및 실행하는 것은 통신 설정 절차 동안 사용자의 개입 없이 발생할 수 있다.
[0028] 도 2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근접장 무선 통신 시스템(200)은, NFC 통신들이 가능한 송신기(104) 및 수신기(108)를 포함하며, 여기서, 수신기(108)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에 기초하여 청취 동작 모드를 구성하기 위한 본원에 설명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을 구현할 수 있다. 송신기(104)는, 오실레이터(222), 전력 증폭기(224), 및 필터 및 매칭 회로(226)를 포함한다. 몇몇 양상들에서, 송신기(104)는 NFC 디바이스(310)(도 3)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송신기(104)는 트랜시버(360)(도 3)를 형성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의 일부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송신 안테나는 안테나(345)(도 3)를 형성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의 일부일 수 있다. 오실레이터(222)는, 원하는 주파수의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원하는 주파수는, 조정 신호(223)에 대한 응답으로 조정될 수 있다. 오실레이터 신호는, 전력 증폭기(224)에 의해, 제어 신호(225)에 대한 응답으로의 증폭 양만큼 증폭될 수 있다. 필터 및 매칭 회로(226)는, 고조파들 또는 다른 원하지 않은 주파수들을 필터링 아웃(filter out)하고 그리고 송신기(104)의 임피던스를 송신 안테나(114)에 매칭시키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0029] 수신기(108)는, 수신기에 커플링되는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도 2에 도시된 배터리(236)를 충전하기 위한 DC 출력 전력을 생성하기 위해 정류기 및 스위칭 회로(234)를 그리고 매칭 회로(232)를 포함할 수 있지만, (예컨대, 피어-투-피어 통신들에서) 디바이스들 각각은 자기장에 의해 전력이 공급될 필요가 없을 수 있도록 배터리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매칭 회로(232)는, 수신기(108)의 임피던스를 수신 안테나(118)에 매칭시키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수신기(108)는 NFC 디바이스(310)(도 3)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수신기(108) 및 송신기(104)는, 일 예에서, 별개의 통신 채널(219)(예컨대, Bluetooth, WiFi, zigbee, 셀룰러 등)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0030] 도 3을 참조하면, 일 양상에서, 통신 네트워크(300)는 NFC 디바이스(310) 및 원격 NFC 디바이스(3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둘 모두는 NFC를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들 둘 모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에 기초하여 청취 동작 모드를 구성하기 위한 본원에 설명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원격 NFC 디바이스(350)는 송신기(104)로서 동작하고 송신기(104)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NFC 디바이스(310)는 수신기(108)로서 동작하고 수신기(108)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NFC 디바이스(310)는 트랜시버(340) 및 안테나(34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NFC를 사용하여 원격 NFC 디바이스(350)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NFC 디바이스(350)는, NFC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NFC 디바이스(310)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원격 디바이스, 카드, 또는 태그에 대응할 수 있다. 트랜시버(340)는,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송신기 라디오(342) 및 다운링크 데이터 수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수신기 라디오(3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0031]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NFC 디바이스(310)는, NFC 디바이스(310)를 구성하기 위해 디바이스 구성 컴포넌트(335)로부터 획득되는 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NFC 제어기(도 6)를 포함하는 NFC 모듈(343)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NFC 모듈(343)은 또한, NFC 디바이스(310) 및 임의의 주변기기들의 전체적인 관리를 담당하는 실행 환경일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디바이스 호스트(도 6)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NFC 제어기의 관리(예컨대, 초기화, 구성, 전력 관리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추가로, NFC 모듈(343)은 적어도 디바이스 호스트와 NFC 제어기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NCI(NFC controller interface)(도 6)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CI는 디바이스 호스트와 NFC 제어기 간의 로직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NFC 디바이스(310)는 부가적으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컴포넌트들(예컨대, 모드 선택 컴포넌트(315), 디바이스 구성 컴포넌트(335), NFC 모듈(343), 트랜시버(340), 안테나(345), 및 프로파일 선택 컴포넌트(320))을 커플링시키고 그리고 NFC 디바이스(310) 내부의 컴포넌트들 및 서브컴포넌트들 각각 간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버스(302)를 포함할 수 있다.
[0032] 몇몇 예들에서, NFC 디바이스(310)는, 폴링 동작 모드(316)에 진입할지 또는 청취 동작 모드(317)에 진입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모드 선택 컴포넌트(315)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모드 선택 컴포넌트(315)는, NFC 디바이스(310) 상에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애플리케이션들의 특성들에 기초하여 폴링 동작 모드 또는 청취 동작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이 제한되진 않지만,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애플리케이션이, NFC 디바이스(310)의 메모리에 저장된 신용 카드 정보를 통해 벤더들(예컨대, 커피숍들)에 대한 결제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모바일 결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모드 선택 컴포넌트(315)는 NFC 디바이스(310)에 대해 청취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애플리케이션이, NFC 디바이스(310) 상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파일들(예컨대, 사진들 또는 연락처 정보)을 원격 NFC 디바이스(350)와 공유하는 것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모드 선택 컴포넌트(315)는 공유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폴링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시된 예에서, NFC 디바이스(310)는 청취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한편, 원격 NFC 디바이스(350)는 폴링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원격 NFC 디바이스(350)와 연관된 트랜시버는, 근접장 통신으로 데이터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방사 유도 필드를 생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NFC(310)와 연관된 트랜시버(340)는, 원격 NFC 디바이스(350)로부터 신호들 및 에너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0033] NFC 디바이스(310)는 부가적으로, 프로파일 선택 컴포넌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프로파일 선택 컴포넌트(320)는, NFC 디바이스(310)의 메모리(608)(도 6)에 저장된 일 세트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325) 또는 일 세트의 폴 모드 프로파일들(330)로부터 각각 청취 모드 프로파일 또는 폴 모드 프로파일을 식별할 수 있다. 양상에서, 각각의 일 세트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325) 또는 일 세트의 폴 모드 프로파일들(330)은 각각,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파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프로파일 선택 컴포넌트(320)는, NFC 디바이스(310)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토콜들을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일 세트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325)로부터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식별할 수 있다.
[0034]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일 세트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325)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청취 상태에 대한 구성 파라미터(예컨대, P2P 청취 프로파일 구성 파라미터(346))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예컨대, P2P 청취 프로파일 구성 파라미터(347))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세트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325)은, P2P(peer-to-peer) 청취 모드 프로파일(326), T3T(Type 3 Tag) 청취 모드 프로파일(327), T4AT(Type 4A Tag) 청취 모드 프로파일(328), 또는 T4BT(Type 4B Tag) 청취 모드 프로파일(329)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예들에서, 일 세트의 폴 모드 프로파일들(330)은, P2P(peer-to-peer) 폴 모드 프로파일(333), NDEF(NFC Data Exchange Format) 폴 모드 프로파일(334), 또는 P2PNDEF 폴 모드 프로파일(336)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에서, P2P 청취 모드 프로파일(326)은, P2P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346) 및 대응하는 값들(347)을 포함할 수 있다. P2P 청취 모드 프로파일(326)은, NFC-DEP(NFC data exchange protocol)를 사용하여 원격 NFC 디바이스(350)와의 통신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P2P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은 다음의 표 1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파라미터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은 다음의 표에 포함된다:
Figure pct00001
[0035] 추가로, 예를 들어, T3T 청취 모드 프로파일(327)은, T3T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348)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349)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T3T 청취 모드 프로파일(327)은, 타입 3 태그 동작을 구현하는 원격 NFC 디바이스(350)와의 통신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T3T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은 다음의 표 2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파라미터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은 다음의 표에 포함된다:
Figure pct00002
[0036] 또 다른 예에서, T4AT 청취 모드 프로파일(328)은, T4AT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350)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351)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T4AT 청취 모드 프로파일(328)은, NFC-A(NFC type-A) 라디오 주파수 기술을 사용하여 타입 4 태그 동작을 구현하는 원격 NFC 디바이스(350)와의 통신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4AT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은 다음의 표 3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파라미터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은 다음의 표에 포함된다:
Figure pct00003
[0037] 추가적인 예에서, T4BT 청취 모드 프로파일(329)은, T4BT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352)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353)을 포함할 수 있다. T4BT 청취 모드 프로파일(329)은, NFC-B(NFC type-B) 라디오 주파수 기술을 사용하여 타입 4 태그 동작을 구현하는 원격 NFC 디바이스(350)와의 통신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T4BT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은 다음의 표 4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파라미터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은 다음의 표에 포함된다:
Figure pct00004
[0038] 따라서, 디바이스 구성 컴포넌트(335)는, 프로파일 선택 컴포넌트(320)에 의해 식별되는 일 세트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325)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NFC 디바이스(310)를 구성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몇몇 예들에서, 일 세트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325) 중 하나를 선택 및 실행하는 것은 통신 프로세스 동안 사용자의 개입 없이 발생할 수 있다.
[0039] 도 4를 참조하여, 폴링 동작 모드에 진입할지 또는 청취 동작 모드에 진입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400)이 설명되며, 이는 NFC 디바이스, 이를테면 도 1 및 도 2의 송신기(104) 및/또는 수신기(108), 또는 이를테면 도 3의 NFC 디바이스(310) 및/또는 원격 NFC 디바이스(35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블록 405에서, 방법(400)은, 활성화되는 NFC와 연관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애플리케이션들에 기초하여 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된 신용 카드 정보를 통해 벤더들(예컨대, 커피숍들)에 대한 결제들을 가능하게 하는 모바일 결제 애플리케이션의 예시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 모바일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론칭(launch)하는 경우 NFC 구성이 활성화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NFC 디바이스 구성은, NFC 디바이스-투-디바이스(device-to-device) 데이터 전달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사진 공유 애플리케이션)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론칭되는 경우 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다른 디바이스와 물리적으로 접촉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의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할 수 있다. 물리적 접촉은, '탭(tap)' 또는 '탭핑(tapping)'으로 지칭되는 임의의 타입의 물리적 터치(touch)일 수 있다. 따라서, NFC 디바이스에 의해 "탭"이 검출되는 경우, NFC 디바이스는 다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 간의 데이터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NFC 구성을 개시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NFC 디바이스는 블록 405 이전에는 유휴 모드에 있거나 파워 오프(power off)되어 있을 수 있다.
[0040] 블록 410에서, 방법(400)은, 폴링 모드에 진입할지 또는 청취 모드에 진입할지를 NFC 디바이스가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상에서, 폴링 모드에 진입할지 또는 청취 모드에 진입할지를 모드 선택 컴포넌트(315)가 결정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NFC 디바이스는, NFC 디바이스 상의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을 식별함으로써 폴링 동작 모드에 진입할지 또는 청취 동작 모드에 진입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NFC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에 기초하여 청취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 논의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애플리케이션이, NFC 디바이스의 메모리에 저장된 신용 카드 정보를 통해 벤더들(예컨대, 커피숍들)에 대한 결제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모바일 결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NFC 디바이스는 NFC 디바이스에 대해 청취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애플리케이션이, NFC 디바이스 상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파일들(예컨대, 사진들 또는 연락처 정보)을 원격 NFC 디바이스와 공유하는 것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데이터 공유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NFC 디바이스는 공유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폴링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0041] 블록 410에서, 방법(400)이 폴링 동작 모드로의 진입을 결정하면, NFC 디바이스는, 블록(415)에서, 이를테면 NFC 포럼 규격에 의해 정의되는 하나 또는 일 세트의 폴 모드 프로파일들(330)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상에서, 프로파일 선택 컴포넌트(320)는 NFC 디바이스 구성을 위한 하나 또는 일 세트의 폴 모드 프로파일들(330)을 선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블록 410에서, 방법이 청취 동작 모드로의 진입을 결정하면, NFC 디바이스는, 블록(420)에서, 위에서 식별된 일 세트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325) 또는 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블록 420의 양상들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프로파일 선택 컴포넌트(3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42] 블록(425)에서, NFC 디바이스는 선택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상에서, 디바이스 구성 컴포넌트(335)는 선택된 하나 또는 일 세트의 폴 모드 프로파일(들) 또는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에 기초하여 NFC 디바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디바이스가 청취 모드 프로파일에 진입하는 경우, NFC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청취 상태에 대한 표 1-4에서 위에 설명된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구성 값들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0043] 도 5를 참조하면, 양상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500)는, NFC를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NFC 디바이스(502) 및 원격 NFC 디바이스(504)를 포함할 수 있다. NFC 디바이스(502) 및 원격 NFC 디바이스(504)는, 도 5가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부가적인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도록, 도 3의 NFC 디바이스(310) 및 원격 NFC 디바이스(350)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는 것이 유의되어야 한다. NFC 디바이스(502)는 원격 NFC 디바이스(504)와의 NFC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NFC 안테나 코일(50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격 NFC 디바이스(504)는 유사한 NFC 코일(526)을 가질 수 있다. NFC 디바이스(502)는 NFC 디바이스(310)(도 3)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디바이스(502)는 모드 선택 컴포넌트(315)(도 3), 프로파일 선택 컴포넌트(320)(도 3), 및 디바이스 구성 컴포넌트(335)(도 3), 및 NFC 모듈(343)(도 3)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원격 NFC 디바이스(504)는 원격 NFC 디바이스(350)(도 3)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0044] NFC 통신들의 일부로서, NFC 안테나 코일(506)은 NFC 안테나 코일(506) 주변 영역에 전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필드의 강도는 전력 소스, 및 NFC 안테나 코일(506)의 사이즈 및 권수(number of turns)에 의존할 수 있다. 추가로, 임피던스 미스매치(impedance mismatch)들은, NFC 안테나 코일(506)의 사이즈 및 인덕턴스에 의존하여 다양한 진폭/위상 변화들을 자기장(528)에서 야기할 수 있다. NFC 안테나 코일(506)과 병렬로 커패시터(518)가 연결될 수 있으며, 여기서, 송신기 컴포넌트(512) 및 커패시터들(518)은, NFC 디바이스(502)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송신 주파수들에 대응하는 주파수로 공진 회로를 설정하는 RLC 오실레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0045] 사용되는 주파수의 파장이 NFC 안테나 코일(506)과 원격 NFC 디바이스(304)의 안테나 코일(526) 간의 매우 근접한 거리보다 수 배나 크기 때문에, 전자기장은 교번(alternating) 자기장(528)으로서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매우 근접한 영역은 근접장 영역으로 지칭된다. NFC 디바이스(502) 및 원격 NFC 디바이스(504)는, 공심 변압기(air core transformer)에서와 같이 그들의 상호 인덕턴스에 의해 링크될 수 있으며, 1차 코일은 NFC 안테나 코일(506)이고, 2차 코일은 원격 NFC 디바이스(504)의 안테나 코일(526)이다. 교번 자기장(528)은 원격 NFC 디바이스(304)의 안테나 코일(526)이 근접장 영역 내에 있는 경우에 그를 관통하여, 원격 NFC 디바이스(504)의 안테나 코일(526)에 교류 전류(alternating current)를 유도한다.
[0046] 청취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NFC 안테나 코일(506), 커패시터들(520), 선택적 EH(energy harvester)(516), 및 수신기 컴포넌트(514)는 공진 회로(이를 통해, 원격 NFC 디바이스(504)에 의한 신호의 변조가 검출될 수 있음)를 설정하는 RLC 오실레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송신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NFC 디바이스(502)는 NFC 안테나 코일(506)에 가변 로드 저항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원격 NFC 디바이스(504)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송신되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자기장(528)을 변조시킨다.
[0047] 도 6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600)는 NFC 디바이스(310, 502), 원격 NFC 디바이스(350, 504) 등의 예를 표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그들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위에 설명된 연관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600)는, 예컨대 수신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대하여 통상적인 동작들(예컨대, 필터링하고, 증폭하고, 하향변환하는 등)을 수행하고, 그리고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획득하는 수신기(602)를 포함한다. 수신기(602)는, 수신된 심볼들을 복조하고 그들을 채널 추정을 위해 프로세서(606)에 제공할 수 있는 복조기(604)를 포함할 수 있다.
[0048] 몇몇 양상들에서, 프로세서(606)는, 수신기(602)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고 그리고/또는 송신기(620)에 의한 송신을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데 전용되는 프로세서, 통신 디바이스(600)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또는 수신기(602)에 의해 수신되는 정보를 분석하고 송신기(620)에 의한 송신을 위한 정보를 생성할 뿐만 아니라 통신 디바이스(600)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추가로, 신호들은, 프로세서(606)에 의해 프로세싱되는 신호들을 변조할 수 있는 변조기(617)를 통해, 송신기(620)에 의한 송신을 위해 준비될 수 있다.
[0049] 통신 디바이스(600)는 부가적으로, 프로세서(606)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송신될 데이터, 수신된 데이터, 가용 채널들에 관련된 정보, TCP 흐름들, 분석된 신호 및/또는 간섭 강도와 연관된 데이터, 할당된 채널, 전력, 레이트 등에 관련된 정보, 및 채널을 추정하고 그 채널을 통해 통신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608)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위에 설명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325) 또는 폴 모드 프로파일들(330)은 메모리(708)에 저장될 수 있다.
[0050] 추가로, 송신기(620)는 송신 회로에서 송신되는 캐리어에 대한 송신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수신기(602)는 수신 회로에서 수신되는 캐리어를 수신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송신기(620)가 수신기(602)로 루프 백(loop back)될 수 있어서 수신기(602)는 비변조(un-modulated) 캐리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606)는, 수신된 비변조 캐리어를 송신기(620)에 의해 생성되는 송신 신호에 비교하는 것에 기초하여, 다른 통신 디바이스와의 오버-커플링(over-coupling) 조건을 검출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오버-커플링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 이는 수신된 캐리어와 송신 신호의 위상, 진폭, DC 레벨, 또는 다른 메트릭(metric) 간의 임계 차이에 기초하여 검출될 수 있다. 오버-커플링 조건이 검출되는 경우, 프로세서(606)는, 오버-커플링 조건을 완화하기 위해, 설명된 바와 같이, 송신기(620) 또는 수신기(602)의 송신 또는 수신 메트릭을 수정하기 위한 Tx/Rx 파라미터 컴포넌트(652)를 포함할 수 있거나 구현할 수 있다.
[0051] 본원에 설명된 데이터 저장소(예컨대, 메모리(608))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거나,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메모리로서 동작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RAM은, SRAM(synchronous RAM), DRAM(dynamic RAM), SDRAM(synchronous DRAM), DDR SDRAM(double data rate SDRAM), ESDRAM(enhanced SDRAM), SLDRAM(Synchlink DRAM), 및 DRRAM(direct Rambus RAM)과 같은 많은 형태들로 이용가능하다. 본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메모리(608)는, 이들 및 임의의 다른 적절한 타입들의 메모리(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608)는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컴포넌트들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52] 통신 디바이스(600)는 부가적으로, 폴링 동작 모드에 진입할지 또는 청취 동작 모드에 진입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모드 선택 컴포넌트(315)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통신 디바이스(600)는, 메모리(608)에 저장된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프로파일 선택 컴포넌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통신 디바이스(600)는 디바이스 구성 컴포넌트(335)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 구성 컴포넌트(335)는, 프로파일 선택 컴포넌트(320)에 의해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통신 디바이스(600)를 구성할 수 있다.
[0053]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통신 디바이스(600)는, NFC 디바이스(310)를 구성하기 위해 디바이스 구성 컴포넌트(335)로부터 획득되는 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NFC 제어기(648)를 포함하는 NFC 모듈(343)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NFC 모듈(343)은 또한, NFC 디바이스(310) 및 임의의 주변기기들의 전체적인 관리를 담당하는 실행 환경의 형태일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그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디바이스 호스트(6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NFC 제어기의 관리(예컨대, 초기화, 구성, 전력 관리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추가로, NFC 모듈(343)은 적어도 디바이스 호스트와 NFC 제어기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NCI(64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CI는 디바이스 호스트와 NFC 제어기 간의 로직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0054] 더 추가적인 예들에서, 통신 디바이스(600)는, 통신 디바이스(600)에 대한 입력들을 생성하기 위한 입력 메커니즘들(642) 및 통신 디바이스(600)의 사용자에 의해 소비되는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출력 메커니즘(644)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메커니즘(642)은, 키 또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마이크로폰 등과 같은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예를 들어, 출력 메커니즘(644)은, 디스플레이, 오디오 스피커, 햅틱 피드백 메커니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양상들에서, 출력 메커니즘(644)은, 이미지 또는 비디오 포맷으로 되어 있는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또는 오디오 포맷으로 되어 있는 미디어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0055]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들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펌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소프트웨어와 같은(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프로세서, 오브젝트, 실행가능한 것,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로서,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디바이스 둘 모두가 컴포넌트일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컴포넌트들은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 스레드 내에 상주할 수 있고, 컴포넌트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 로컬화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둘 또는 그 초과의 컴퓨터들 사이에 분산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이들 컴포넌트들은, 다양한 데이터 구조들이 저장된 다양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은, 이를테면, 로컬 시스템에서, 분산 시스템에서 그리고/또는 신호에 의한 다른 시스템들과의 네트워크(이를테면, 인터넷)를 통해 다른 컴포넌트와 상호 작용하는 하나의 컴포넌트로부터의 데이터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패킷들을 갖는 신호에 따라 로컬 및/또는 원격 프로세스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0056] 또한, 다양한 양상들은, 유선 단말 또는 무선 단말일 수 있는 단말과 관련하여 본원에서 설명된다. 단말은 또한, 시스템, 디바이스, 가입자 유닛, 가입자 스테이션, 모바일 스테이션, 모바일, 모바일 디바이스, 원격 스테이션, ME(mobile equipment), 원격 단말, 액세스 단말, 사용자 단말, 단말,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UE(user equipment)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단말은, 셀룰러 텔레폰, 위성 폰, 코드리스 텔레폰,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폰, WLL(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연결 능력을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은 기지국과 관련하여 본원에서 설명된다. 기지국은 무선 단말(들)과 통신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고, 또한 액세스 포인트, Node B 또는 몇몇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0057] 또한, 용어 "또는"은, 배타적인 "또는"이 아니라 포괄적인 "또는"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즉, 달리 명시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라는 구문은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들 중 임의의 치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라는 구문은, 다음의 예시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둘 모두를 이용하는 예시들 중 어느 것에 의해서도 충족된다. 게다가, 본 출원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들은 달리 명시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로 지시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다면,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0058] NFC 통신들과 관련하여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다양한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들, 이를테면 CDMA, TDMA, FDMA, OFDMA, SC-FDMA, LTE, 및 다른 시스템들(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 않음)을 사용하는 부가적인 통신을 위해 구성되는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시스템" 및 "네트워크"는 종종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은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는 W-CDMA(Wideband-CDMA) 및 CDMA의 다른 변형들을 포함한다. 추가로, cdma2000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들을 커버한다. TDMA 시스템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OFDMA 시스템은, E-UTRA(Evolved UTRA),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플래시-OFDMA 등과 같은 라디오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UTRA 및 E-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일부이다. 3GPP LTE(Long Term Evolution)는, 다운링크에서 OFDMA를 사용하고 업링크에서 SC-FDMA를 사용하는 E-UTRA를 이용하는 UMTS의 릴리스이다. UTRA, E-UTRA, UMTS, LTE 및 GSM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 설명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cdma2000 및 UMB는 "3GPP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로 명명된 조직으로부터의 문헌들에 설명되어 있다. 추가로,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종종, 언페어링된(unpaired) 미승인 스펙트럼들, 802.xx 무선 LAN, BLUETOOTH, 근접장 통신들(NFC-A, NFC-B, NFC-f 등) 및 임의의 다른 단거리 또는 장거리 무선 통신 기술들을 이용하는 피어-투-피어(예컨대, 모바일-투-모바일) 애드 혹(ad hoc) 네트워크 시스템들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0059] 위의 개시내용의 양상들은, 본원에 설명된 동작들 또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컴포넌트들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방법들을 참조하여 도시된다. 양상에서, 위에서 사용된 용어 "컴포넌트"는, 시스템을 형성하는 부분들 중 하나일 수 있고,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어떤 결합일 수 있으며, 다른 컴포넌트들로 분할될 수 있다. 설명된 동작들은 특정 순서로 제시되고 그리고/또는 예시적인 컴포넌트에 의해 수행되지만, 동작들의 순서 및 동작들을 수행하는 컴포넌트들은 구현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설명된 동작들 또는 기능들은, 특수하게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 특수하게 프로그래밍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 또는 설명된 동작들 또는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하드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임의의 다른 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0060] 위에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들,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이 범용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위에 설명된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61] 추가로, 본원에 개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알고리즘 또는 방법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직접적으로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추가로, 몇몇 양상들에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ASIC는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서 이산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몇몇 양상들에서, 알고리즘 또는 방법의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통합될 수 있는 비-일시적인 머신 판독가능 매체 및/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명령들 및/또는 코드들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 또는 이들의 세트로서 상주할 수 있다.
[0062]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들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그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CD(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disc), 광학 디스크(disc),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일반적으로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또한, 상기의 것들의 결합들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0063] 전술한 개시내용은 예시적인 양상들 및/또는 양상들을 논의하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양상들 및/또는 설명된 양상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원에서 다양한 변경들 및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유의되어야 한다. 또한, 설명된 양상들 및/또는 양상들의 엘리먼트들이 단수로 설명되거나 청구될 수 있지만, 단수에 대한 제한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으면 복수가 고려된다. 부가적으로, 임의의 양상 및/또는 양상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달리 언급되지 않으면, 임의의 다른 양상 및/또는 양상의 전부 또는 일부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Claims (38)

  1.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위한 방법으로서,
    청취 동작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청취 동작 모드로의 진입을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로부터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청취 모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제 1 NFC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청취 동작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NFC 디바이스 상의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특성들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특성들에 기초하여 상기 청취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NFC를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로부터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NFC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토콜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NFC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토콜들과 연관된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NFC를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은 적어도 하나의 청취 상태에 대한 구성 파라미터 값들을 포함하는, NFC를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은, P2P(peer-to-peer) 청취 모드 프로파일, 타입 3 태그(T3T; Type 3 Tag) 청취 모드 프로파일, 타입 4A 태그(T4AT; Type 4A Tag) 청취 모드 프로파일, 또는 타입 4B 태그(T4BT; Type 4B Tag) 청취 모드 프로파일 중 2개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하는, NFC를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은, P2P(peer-to-peer)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을 갖는 P2P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포함하며,
    상기 P2P 청취 모드 프로파일은, NFC-DEP(NFC data exchange protocol)를 사용하여 제 2 NFC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NFC를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P2P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은 하기 표:
    Figure pct00005

    에 포함되는, NFC를 위한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은, 타입 3 태그(T3T)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을 갖는 T3T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포함하며,
    상기 T3T 청취 모드 프로파일은 타입 3 태그 동작을 구현하는 제 2 NFC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NFC를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T3T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은 하기 표:
    Figure pct00006

    에 포함되는, NFC를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은, 타입 4A 태그(T4AT)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을 갖는 T4AT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포함하며,
    상기 T4AT 청취 모드 프로파일은, NFC-A(NFC type-A) 라디오 주파수 기술을 사용하여 타입 4 태그 동작을 구현하는 제 2 NFC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NFC를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T4AT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은 하기 표:
    Figure pct00007

    에 포함되는, NFC를 위한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은, 타입 4B 태그(T4BT)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을 갖는 T4BT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포함하며,
    상기 T4BT 청취 모드 프로파일은, NFC-B(NFC type-B) 라디오 주파수 기술을 사용하여 타입 4 태그 동작을 구현하는 제 2 NFC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NFC를 위한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T4BT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은 하기 표:
    Figure pct00008

    에 포함되는, NFC를 위한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 모드 프로파일은 통신 프로세스 동안 사용자의 개입 없이 실행되는, NFC를 위한 방법.
  14.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디바이스를 위한 장치로서,
    청취 동작 모드로의 진입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청취 동작 모드로의 진입을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로부터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청취 모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NFC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청취 동작 모드로의 진입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NFC 디바이스 상의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특성들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특성들에 기초하여 상기 청취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NFC 디바이스를 위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로부터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NFC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토콜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NFC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토콜들과 연관된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NFC 디바이스를 위한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은 적어도 하나의 청취 상태에 대한 구성 파라미터 값들을 포함하는, NFC 디바이스를 위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은, P2P(peer-to-peer) 청취 모드 프로파일, 타입 3 태그(T3T) 청취 모드 프로파일, 타입 4A 태그(T4AT) 청취 모드 프로파일, 또는 타입 4B 태그(T4BT) 청취 모드 프로파일 중 2개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하는, NFC 디바이스를 위한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은, P2P(peer-to-peer)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을 갖는 P2P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포함하며,
    상기 P2P 청취 모드 프로파일은, NFC-DEP(NFC data exchange protocol)를 사용하여 제 2 NFC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NFC 디바이스를 위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P2P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은 하기 표:
    Figure pct00009

    에 포함되는, NFC 디바이스를 위한 장치.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은, 타입 3 태그(T3T)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을 갖는 T3T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포함하며,
    상기 T3T 청취 모드 프로파일은 타입 3 태그 동작을 구현하는 제 2 NFC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NFC 디바이스를 위한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T3T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은 하기 표:
    Figure pct00010

    에 포함되는, NFC 디바이스를 위한 장치.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은, 타입 4A 태그(T4AT)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을 갖는 T4AT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포함하며,
    상기 T4AT 청취 모드 프로파일은, NFC-A(NFC type-A) 라디오 주파수 기술을 사용하여 타입 4 태그 동작을 구현하는 제 2 NFC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NFC 디바이스를 위한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T4AT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은 하기 표:
    Figure pct00011

    에 포함되는, NFC 디바이스를 위한 장치.
  24.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은, 타입 4B 태그(T4BT)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을 갖는 T4BT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포함하며,
    상기 T4BT 청취 모드 프로파일은, NFC-B(NFC type-B) 라디오 주파수 기술을 사용하여 타입 4 태그 동작을 구현하는 제 2 NFC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NFC 디바이스를 위한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T4BT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은 하기 표:
    Figure pct00012

    에 포함되는, NFC 디바이스를 위한 장치.
  2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 모드 프로파일은 통신 프로세스 동안 사용자의 개입 없이 실행되는, NFC 디바이스를 위한 장치.
  27.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 코드를 저장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코드는,
    청취 동작 모드로의 진입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
    상기 청취 동작 모드로의 진입을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로부터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청취 모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NFC 디바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코드
    에 대해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며,
    상기 청취 동작 모드로의 진입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는,
    상기 NFC 디바이스 상의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특성들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특성들에 기초하여 상기 청취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코드
    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로부터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는,
    상기 NFC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토콜들을 결정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NFC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토콜들과 연관된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코드
    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은 적어도 하나의 청취 상태에 대한 구성 파라미터 값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은, P2P(peer-to-peer) 청취 모드 프로파일, 타입 3 태그(T3T) 청취 모드 프로파일, 타입 4A 태그(T4AT) 청취 모드 프로파일, 또는 타입 4B 태그(T4BT) 청취 모드 프로파일 중 2개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1.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디바이스로서,
    데이터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방사 유도 필드(radiated inductive field)를 생성하기 위한 송신 안테나, 및 신호들 및 에너지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트랜시버;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 및
    버스를 통해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트랜시버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청취 동작 모드로의 진입을 결정하고;
    상기 청취 동작 모드로의 진입을 결정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로부터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식별하고, 그리고
    상기 청취 모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NFC 디바이스를 구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청취 동작 모드로의 진입을 결정하는 것은,
    상기 NFC 디바이스 상의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특성들을 식별하는 것,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특성들에 기초하여 상기 청취 동작 모드를 선택하는 것
    을 포함하는, NFC 디바이스.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추가로,
    상기 NFC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토콜들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NFC 디바이스에 의해 지원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토콜들과 연관된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NFC 디바이스.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NFC 디바이스는 NFC 모듈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청취 모드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NFC 모듈을 구성하는, NFC 디바이스.
  34.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은, P2P(peer-to-peer) 청취 모드 프로파일, 타입 3 태그(T3T) 청취 모드 프로파일, 타입 4A 태그(T4AT) 청취 모드 프로파일, 또는 타입 4B 태그(T4BT) 청취 모드 프로파일 중 2개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하는, NFC 디바이스.
  35.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은, P2P(peer-to-peer)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을 갖는 P2P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포함하며,
    상기 P2P 청취 모드 프로파일은, NFC-DEP(NFC data exchange protocol)를 사용하여 제 2 NFC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NFC 디바이스.
  36.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은, 타입 3 태그(T3T)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을 갖는 T3T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포함하며,
    상기 T3T 청취 모드 프로파일은 타입 3 태그 동작을 구현하는 제 2 NFC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NFC 디바이스.
  37.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은, 타입 4A 태그(T4AT)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을 갖는 T4AT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포함하며,
    상기 T4AT 청취 모드 프로파일은, NFC-A(NFC type-A) 라디오 주파수 기술을 사용하여 타입 4 태그 동작을 구현하는 제 2 NFC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NFC 디바이스.
  38.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은, 타입 4B 태그(T4BT) 청취 상태에 대한 일 세트의 구성 파라미터들 및 대응하는 파라미터 값들을 갖는 T4BT 청취 모드 프로파일을 포함하며,
    상기 T4BT 청취 모드 프로파일은, NFC-B(NFC type-B) 라디오 주파수 기술을 사용하여 타입 4 태그 동작을 구현하는 제 2 NFC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NFC 디바이스.
KR1020177022854A 2015-02-19 2016-01-22 근접장 통신 포럼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 KR1024227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18215P 2015-02-19 2015-02-19
US62/118,215 2015-02-19
US14/849,334 2015-09-09
US14/849,334 US9647884B2 (en) 2015-02-19 2015-09-09 Near field communication forum listen mode profiles
PCT/US2016/014435 WO2016133645A1 (en) 2015-02-19 2016-01-22 Near field communication forum listen mode profi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083A true KR20170118083A (ko) 2017-10-24
KR102422708B1 KR102422708B1 (ko) 2022-07-18

Family

ID=55436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2854A KR102422708B1 (ko) 2015-02-19 2016-01-22 근접장 통신 포럼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647884B2 (ko)
EP (2) EP4220981A1 (ko)
JP (1) JP6728204B2 (ko)
KR (1) KR102422708B1 (ko)
CN (2) CN107251447A (ko)
BR (1) BR112017017738A2 (ko)
CA (1) CA2972915A1 (ko)
TW (1) TW201631914A (ko)
WO (1) WO20161336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8869A (en) * 2014-07-31 2016-02-10 Mastercard International Inc Payment mode selection
US9826364B2 (en) * 2015-04-03 2017-11-2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based tuning
US10205768B2 (en) * 2017-01-25 2019-02-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acility for initiating automatic exchange of file(s) between mobile devices
CA3088084A1 (en) * 2018-01-12 2019-07-18 Natural Gas Solutions North America, Llc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to maintain intrinsic safety of a gas meter
US10813169B2 (en) 2018-03-22 2020-10-20 GoTenna, Inc. Mesh network deployment kit
CN109302669B (zh) * 2018-09-13 2021-04-13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轮询机制的设置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7215055B2 (ja) * 2018-10-04 2023-01-3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828176A (zh) * 2022-04-14 2022-07-2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降低nfc功耗的方法、系统、存储介质及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6567A (ko) * 2008-03-27 2010-12-01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전자 장치에서 근접장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자동 선택 방법 및 장치
JP2011509006A (ja) * 2007-12-20 2011-03-1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複数の結合モードの間の切り替え
JP2012118569A (ja) * 2010-11-29 2012-06-21 Sony Corp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4001251A1 (en) * 2012-06-28 2014-01-03 St-Ericsson Sa Emulation of multiple nfc devices inside a communication device
EP2782400A1 (en) * 2013-03-21 2014-09-24 ST-Ericsson SA NFC controller architecture for simultaneous emulation of multiple NFC technologies in one NFC liste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1645B2 (ja) * 2006-01-30 2010-10-13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データ処理装置、近接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R2904741B1 (fr) * 2006-08-04 2009-10-02 Inside Contactless Sa Procede de routage de donnees d'application entrantes dans un chipset nfc, par identification de l'application.
FR2914458B1 (fr) * 2007-03-28 2009-06-26 Inside Contactless Sa Procede de couplage d'un circuit integre sans contact a un composant nfc.
EP2239926A1 (en) * 2009-04-09 2010-10-13 Gemalto SA Method of detecting a NFC device emulating several contactless cards which may use a plurality of protocols
JP5641323B2 (ja) * 2010-11-29 2014-12-17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026047B2 (en) * 2011-06-29 2015-05-05 Broadcom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FC secure application support in battery-off mode when no nonvolatile memory write access is available
JP6141034B2 (ja) * 2012-01-31 2017-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4428796B (zh) * 2012-03-07 2017-09-01 飞力凯网路股份有限公司 通信设备、控制方法、程序和前端
US9054750B2 (en) * 2012-04-23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F discovery for peer mode communications
US8923761B2 (en) 2012-05-17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NFC RF discovery loop tuning based on device sensor measurements
JP5983073B2 (ja) * 2012-06-15 2016-08-3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14067547A1 (en) 2012-10-29 2014-05-08 St-Ericsson Sa Nfc controller architecture for emulation of multiple nfc-a devices
CN104125592A (zh) * 2013-04-29 2014-10-29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控制近距离通信装置的天线网络质量因子的方法以及设备
EP2801930B1 (en) * 2013-05-09 2016-07-27 ST-Ericsson SA A near field communication reader adapted for NFC A anti collision and a method of NFC A anti collision
EP2827280B1 (en) 2013-07-17 2015-11-04 ST-Ericsson SA System and method for polling NFC-A devices alongside RF barcod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9006A (ja) * 2007-12-20 2011-03-1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複数の結合モードの間の切り替え
KR20100126567A (ko) * 2008-03-27 2010-12-01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전자 장치에서 근접장 통신 애플리케이션의 자동 선택 방법 및 장치
JP2012118569A (ja) * 2010-11-29 2012-06-21 Sony Corp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4001251A1 (en) * 2012-06-28 2014-01-03 St-Ericsson Sa Emulation of multiple nfc devices inside a communication device
EP2782400A1 (en) * 2013-03-21 2014-09-24 ST-Ericsson SA NFC controller architecture for simultaneous emulation of multiple NFC technologies in one NFC liste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72915A1 (en) 2016-08-25
US9647884B2 (en) 2017-05-09
US20160248627A1 (en) 2016-08-25
JP2018512104A (ja) 2018-05-10
EP3259852A1 (en) 2017-12-27
TW201631914A (zh) 2016-09-01
JP6728204B2 (ja) 2020-07-22
CN107251447A (zh) 2017-10-13
BR112017017738A2 (pt) 2018-04-03
WO2016133645A1 (en) 2016-08-25
EP4220981A1 (en) 2023-08-02
CN114928380A (zh) 2022-08-19
KR102422708B1 (ko) 2022-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2708B1 (ko) 근접장 통신 포럼 청취 모드 프로파일들
US9998176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 mode adjustment based on a screen state
US9960812B2 (en) Advanced routing mechanisms for secure elements
US20160174267A1 (en) Proprietary packet exchange for enhanced nfc communication
JP5760151B2 (ja) Nfcee発見プロセスを改善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60127857A1 (en) Enhanced interoperability between host card emulation and a secure element
US20160241380A1 (en) Active load modulation in near field communication
US988774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tag talks first devices
EP3008658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e-activation of a nfc-f based remote nfc device
CN107113030B (zh) 实现在近场通信设备中对保持安静请求的使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