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7967A -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exceelent orange peel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exceelent orange peel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7967A
KR20170117967A KR1020170127906A KR20170127906A KR20170117967A KR 20170117967 A KR20170117967 A KR 20170117967A KR 1020170127906 A KR1020170127906 A KR 1020170127906A KR 20170127906 A KR20170127906 A KR 20170127906A KR 20170117967 A KR20170117967 A KR 20170117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inless steel
austenitic stainless
grain size
orange peel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9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형구
김상훈
조규진
송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27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7967A/en
Publication of KR20170117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96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01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of specific alloys
    • B22D11/002Stainless st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22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two casting whee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오렌지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전체 두께에 대하여,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의 깊이에 해당하는 제1 영역에 포함되는 표면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s) 및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으로부터 10% 초과의 깊이에 해당하는 제2 영역에 포함되는 내부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i)의 비(Gs/Gi)가 0.5 이하이다. 따라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강도를 저감하기 위하여 결정립 크기를 증가시키면서 스테인리스강의 후가공에도 강판 표면의 오렌지 필에 의한 표면 조도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에어컨 냉매 배관으로 사용되는 동관 또는 알루미늄관을 스테인리스관으로 대체하여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orange peel resistanc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re disclosed. The disclosed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s an average grain size (Gs) of surface grains contained in a first region corresponding to a depth of 10% or less from the surfac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respect to the total thickness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And a ratio (Gs / Gi) of an average grain size (Gi) of the inner crystal grains contained in a second region corresponding to a depth of more than 10% from the surfac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is 0.5 or les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surface roughness caused by the orange peel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while increasing the grain size to reduce the strength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In addition, The cost can be reduced.

Description

오렌지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EXCEELENT ORANGE PEEL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orange fill resist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Austenitic stainless steels,

본 발명은 오렌지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강도를 저감하기 위하여 결정립 크기를 증가시키면서 강판의 두께 영역 별 평균 결정립 크기를 제어하여 스테인리스강의 후가공에도 강판 표면의 오렌지 필에 의한 표면 조도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오렌지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ustenitic stainless steels excellent in orange peel resistanc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ustenitic stainless steels having excellent orange peel resist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orange peel resistance which can prevent deterioration of surface roughness caused by orange peel on the surface of a steel sheet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종래 가정용 및 자동차용 에어컨 냉매 배관으로 스테인리스강을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이는 내식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비교적 소재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이다.Conventional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apply stainless steel to air conditioner refrigerant piping for domestic and automobile use. This is because it is not only excellent in corrosion resistance but also relatively low in material cost.

그러나, 에어컨 냉매 배관 시공 시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기 때문에, 많은 경우 배관을 시공함에 있어 인력으로 배관을 구부리는 등의 작업이 필수적으로 수반되는데, 종래의 동관 또는 알루미늄관은 그 재질이 충분이 연하여 문제가 없으나, 일반적인 스테인리스강은 배관 시공 시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가요성을 구비하지 못 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However, since air conditioning refrigerant piping construction is limited, installation work such as bending piping by manpower is essential in many cases of piping construction. Conventional copper pipes or aluminum pipes have sufficient materials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general stainless steel does not have the flexibility required to be provided at the time of piping construction.

금속재료는 인장 또는 압축 등 변형을 받으면 가공경화가 발생하여 변형을 받을수록 더욱 강해지는 특성이 있다. 배관을 구부리는 것은 인장과 압축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구부리는 정도가 심해짐에 따라 소재는 더욱 경질화된다. 특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304강은 가공경화의 정도가 심해 에어컨 배관 시공을 해야 하는 공간 내에서 인력으로 배관을 구부리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The metal material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subjected to deformation such as tensile or compression, work hardening occurs and the deformation becomes stronger as the metal material is deformed. The bending of the pipe is a complex action of tension and compression, and as the degree of bending increases, the material becomes harder. In particular, 304 steel, which is most widely used as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s a severe degree of work hardening, and it is very difficult to bend a pipe by manpower in a space where an air conditioner piping construction is required.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강도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결정립 크기, 즉 입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스테인리스강의 강도를 저감할 수 있다. 스테인리스강의 강도는 입도가 증가할수록 낮아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결정립 크기가 증가하면 가공 시 표면에 요철형태의 결함인 오렌지필이 나타나기 때문에 단순히 결정립의 크기를 증가시켜 스테인리스강의 강도를 저감하기는 어렵다. 이러한, 오렌지필은 미관상 좋지 않아 제거 대상이며, 이를 연마를 통한 제거하게 되면 추가적인 비용 및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As a method for reducing the strength to solve this problem, the strength of the stainless steel can be reduced by increasing the grain size, that is, the grain size. Strength of stainless steel decreases as the particle size increases. However, as the grain size increases,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strength of the stainless steel simply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grain because the orange peel, which is a defect of the concavo-convex shape, appears on the surface during processing. Such an orange fill is not a cosmetically good material to be removed, and if it is removed through polishing, it is costly and time consuming.

한국 공개특허문헌 제10-2010-002044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20446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강도를 저감하기 위하여 결정립 크기를 증가시키면서 강판의 두께 영역 별 평균 결정립 크기를 제어하여 스테인리스강의 후가공에도 강판 표면의 오렌지 필에 의한 표면 조도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오렌지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공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average crystal grain size of the steel sheet by increasing the grain size in order to reduce the strength of the steel sheet and to prevent the degradation of the surface roughness due to the orange peel on the surface of the steel sheet in the post- And provides excellent austenitic stainless steel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트립 캐스팅(Strip Casting)에 의하여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주조하여 델타페라이트상의 함량을 제어하여 표면 결정립의 성장을 억제하여 오렌지 필에 의한 표면 조도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오렌지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surface roughness deterioration due to the orange peel by suppressing the growth of the surface crystal grains by controlling the content of the delta ferrite phase by casting austenitic stainless steel by strip casting Provided is a method for producing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orange peel resist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렌지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전체 두께에 대하여,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의 깊이에 해당하는 제1 영역에 포함되는 표면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s) 및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으로부터 10% 초과의 깊이에 해당하는 제2 영역에 포함되는 내부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i)의 비(Gs/Gi)가 0.5 이하이다.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orange peel res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s a thickness in a first region corresponding to a depth of 10% or less from the surfac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respect to the total thickness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Gs / Gi) of an average crystal grain size (Gs) of the surface grain included and an average crystal grain size (Gi) of the inner crystal grains contained in a second region corresponding to a depth greater than 10% from the surfac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Is 0.5 or les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로, 실리콘(Si): 0.1 내지 0.65%, 망간(Mn): 1.0 내지 3.0%, 니켈(Ni): 6.5 내지 10.0%, 크롬(Cr): 16.5 내지 18.5%, 구리(Cu): 6.0%이하(0은 제외), 탄소(C)+질소(N): 0.13% 이하(0은 제외),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may contain 0.1 to 0.65% silicon (Si), 1.0 to 3.0% manganese (Mn), and 6.5 to 6.5% nickel (Ni) 10.0%, Cr: 16.5 to 18.5%, Cu: not more than 6.0% (excluding 0), carbon (C) + nitrogen (N): not more than 0.13% It may contain unavoidable impuriti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면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s)는 100㎛ 이하일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verage grain size (Gs) of the surface grains may be 100 탆 or les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테인리스강은 스트립 캐스팅(Strip Casting)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inless steel may be manufactured by strip cast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립 캐스팅에 의하여 상기 스테인리스강의 주조에서 응고시 잔류하는 델타페라이트상의 함량이 5% 이상일 수 있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delta ferrite phase remaining in solidification in the casting of the stainless steel by strip casting may be 5% or mor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테인리스강의 냉간압연 조직은 델타페라이트상의 함량이 0.5% 이상일 수 있다.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d rolled structure of the stainless steel may have a content of delta ferrite phase of 0.5% or mo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렌지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스테인리스강의 주조시 회전하는 한쌍의 롤 사이를 통과하면서 고체로 냉각시키는 스트립 캐스팅에 의하여 제조되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주조하여 응고시 잔류하는 델타페라이트상의 함량(Delta)이 5% 이상이 되도록 하기 식(1)에 따라 성분을 제어하여 열연강판을 제조한다.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s excellent in orange peel res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anufactured by strip casting which is cooled to a solid while passing between a pair of rolls rotated during casting of the stainless steel, and austenitic stainless steels The hot-rolled steel sheet is manufactured by controlling the component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1) so that the content (Delta) of the delta ferrite phase remaining in the solidification during casting is 5% or more.

Delta=((Cr+Mo+1.5Mn+0.5Nb+2Ti+18)/(Ni+0.3Cu+30*(C+N)+0.5Mn+36)+0.262)×161-161 -------------------- 식(1)Delta = ((Cr + Mo + 1.5Mn + 0.5Nb + 2Ti + 18) / (Ni + 0.3Cu + 30 * (C + N) + 0.5Mn + 36) +0.262) --------------- Equation (1)

여기서, 상기 식(1)의 원소 기호는 해당 원소의 질량%이다.Here, the symbol of the element in the formula (1) is the mass% of the eleme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로, 실리콘(Si): 0.1 내지 0.65%, 망간(Mn): 1.0 내지 3.0%, 니켈(Ni): 6.5 내지 10.0%, 크롬(Cr): 16.5 내지 18.5%, 구리(Cu): 6.0%이하(0은 제외), 탄소(C)+질소(N): 0.13% 이하(0은 제외),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may contain 0.1 to 0.65% silicon (Si), 1.0 to 3.0% manganese (Mn), and 6.5 to 6.5% nickel (Ni) 10.0%, Cr: 16.5 to 18.5%, Cu: not more than 6.0% (excluding 0), carbon (C) + nitrogen (N): not more than 0.13% It may contain unavoidable impuriti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연강판을 열처리한 후, 총압하율 50%이상으로 냉간압연하여 냉연강판을 제조하며, 상기 냉연강판의 냉간압연 조직은 델타페라이트상의 함량이 0.5% 이상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t-rolled steel sheet is subjected to heat treatment and then cold-rolled to a total rolling reduction of 50% or more to produce a cold-rolled steel sheet. The cold rolled steel sheet has a content of delta ferrite of 0.5% Or mo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강도를 저감하기 위하여 결정립 크기를 증가시키면서 스테인리스강의 후가공에도 강판 표면의 오렌지 필에 의한 표면 조도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에어컨 냉매 배관으로 사용되는 동관 또는 알루미늄관을 스테인리스관으로 대체하여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deterioration of surface roughness due to orange peel on the surface of a steel sheet even after post-processing of stainless steel while increasing grain size to reduce the strength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 The cost can be reduced by replacing the tube with a stainless steel tub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스트립 캐스팅(Strip Casting)에 의하여 주조하여 델타페라이트상의 함량을 제어하여 표면 결정립의 성장을 억제하여 오렌지 필에 의한 표면 조도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surface roughness due to orange peel by suppressing the growth of surface crystal grains by controlling the content of delta ferrite phase by casting austenitic stainless steel by strip casting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하기 위한 스트립 캐스팅(Strip Casting)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냉연강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배관을 90° 굽힌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배관의 표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종래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배관의 표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배관의 단면 미세조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은 종래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배관의 단면 미세조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결정립의 크기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배관을 90° 굽힌 후 표면 조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n apparatus for explaining a strip casting process for manufacturing austenitic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cold 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at 90 °.
4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urfac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according to Fig.
5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urface of a conventional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Fig. 6 is a photograph showing the cross-sectional microstructur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according to Fig. 1;
7 is a photograph showing a cross-sectional microstructure of a conventional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8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grain siz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and the surface roughness after bending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by 9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For the sake of clarity, the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the size of the elements may be slightly exaggerat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렌지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로, 실리콘(Si): 0.1 내지 0.65%, 망간(Mn): 1.0 내지 3.0%, 니켈(Ni): 6.5 내지 10.0%, 크롬(Cr): 16.5 내지 18.5%, 구리(Cu): 6.0%이하(0은 제외), 탄소(C)+질소(N): 0.13% 이하(0은 제외),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orange peel res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0.1 to 0.65% of silicon (Si), 1.0 to 3.0% of manganese (Mn), 6.5% of nickel (Ni) (Excluding 0), and the remainder is Fe (Cr), 16.5 to 18.5%, Cu (Cu): not more than 6.0% And inevitable impuritie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요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수치한정 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reasons for limiting the numerical values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flexi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실리콘(Si)은 0.1 ~ 0.65 중량%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첨가한다.Silicon (Si) is added by adjusting within the range of 0.1 to 0.65 wt%.

실리콘(Si)은 탈산을 위해 필수적으로 첨가되는 원소이므로, 0.1% 이상이 첨가된다.Since silicon (Si) is an essential element added for deoxidation, 0.1% or more is added.

그러나 과도하게 높은 함량의 Si를 첨가하는 경우 소재가 경질화되며, 산소와 결합하여 개재물을 형성함으로써 내식성이 저하되므로 상한을 0.65%로 제한한다.However, when an excessively high content of Si is added, the material is hardened and the upper limit is limited to 0.65% because the corrosion resistance is lowered by forming inclusions in combination with oxygen.

망간(Mn)은 1.0 ~ 3.0 중량%의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첨가한다.Manganese (Mn) is added in a controlled amount within a range of 1.0 to 3.0% by weight.

망간(Mn)은 탈산을 위해 필수적으로 첨가 될 뿐만 아니라 오스테나이트상의 안정화도를 증가시키는 원소로써 오스테나이트 밸런스 유지를 위해서는 1.0% 이상을 첨가한다. 그러나, 과도하게 높은 함량의 Mn 첨가는 소재의 내식성을 저하시키므로 그 상한은 3.0%로 제한한다.Manganese (Mn) is not only essential for deoxidation but also increases the stability of the austenite phase and is added in an amount of 1.0% or more to maintain the austenite balance. However, the addition of Mn in an excessively high content reduces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material, so the upper limit is limited to 3.0%.

니켈(Ni)은 6.5 ~ 10.0 중량%의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첨가한다.Nickel (Ni) is added in a controlled amount within a range of 6.5 to 10.0 wt%.

니켈(Ni)은 크롬(Cr)과 복합 첨가함으로써 내공식성과 같은 내식성의 개선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그 함유량이 증가하면 오스테나이트강의 연질화를 도모할 수 있다.Nickel (Ni) is added not only to chromium (Cr) but also to corrosion resistance such as corrosion resistance. When the content of Ni is increased, softening of austenite steel can be achieved.

또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상안정화도 개선에도 기여하는 원소에 해당하는바, 오스테나이트 밸런스 유지를 위하여 6.5% 이상을 첨가한다. 그러나, 과도하게 높은 함량의 니켈(Ni) 첨가는 강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므로 상한을 10.0%로 제한한다.It is also an element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phase stabilization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In order to maintain the austenite balance, at least 6.5% is added. However, the addition of an excessively high content of nickel (Ni) leads to an increase in the cost of the steel, thus limiting the upper limit to 10.0%.

크롬(Cr)은 16.5 ~ 18.5 중량%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첨가한다.Chromium (Cr) is added by adjusting within the range of 16.5 to 18.5 wt%.

크롬(Cr)은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필수적인 원소로서 범용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16.5% 이상이 첨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과도하게 높은 함량의 크롬(Cr) 첨가는 오스테나이트상의 경질화를 유발하고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므로 상한을 18.5%로 제한한다.Chromium (Cr) is an essential element for improving corrosion resistance, and in order to be used for general purpose, 16.5% or more should be added. However, the addition of an excessively high content of chromium (Cr) causes an austenite phase hardening and increases the cost, thus limiting the upper limit to 18.5%.

구리(Cu)는 6.0 중량% 이하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첨가한다.Copper (Cu) is added in a controlled amount within a range of 6.0 wt% or less.

구리(Cu)는 오스테나이트강의 연질화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과도하게 높은 함량의 구리(Cu) 첨가는 열간 가공성을 저하시키고, 오히려 오스테나이트상을 경질화시킬 수 있으므로 그 상한을 6.0%로 제한한다.Copper (Cu) may cause softening of the austenitic steel. However, the addition of an excessively high content of copper (Cu) deteriorates the hot workability and can rather harden the austenite phase, so that the upper limit is limited to 6.0%.

탄소(C)+질소(N)는 0.13 중량% 이하로 첨가되어야 한다.Carbon (C) + nitrogen (N) should be added in an amount of 0.13 wt% or less.

탄소(C)와 질소(N)는 침입형 고용강화 원소로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경질화 시킬 뿐만 아니라 그 함량이 높으면 가공 시 발생하는 변형유기 마르텐사이트를 경질화하여 소재의 가공 경화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탄소(C) 및 질소(N)의 함량을 제한할 필요성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C+N의 함량을 0.13% 이하로 제한한다.Carbon (C) and nitrogen (N) not only harden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as an interstitial solid solution strengthening element but also increase the work hardening degree of the material by hardening the modified organic martensite generated at the processing do.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limit the content of carbon (C) and nitrogen (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C + N is limited to 0.13% or les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렌지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전체 두께에 대하여,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의 두께에 해당하는 제1 영역에 포함되는 표면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s) 및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으로부터 10% 초과의 두께에 해당하는 제2 영역에 포함되는 내부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i)의 비율(Gs/Gi)이 0.5 이하이다.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orange peel res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a thickness of 10% or less from the surfac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respect to the total thickness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Gs / Gi) of the average crystal grain size (Gs) of the surface grain included and the average crystal grain size (Gi) of the inner crystal grains contained in the second region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exceeding 10% from the surfac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Is 0.5 or less.

즉,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에 인접한 제1 영역에 분포된 표면 결정립의 크기를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내부 결정립보다 작게 유지하여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배관의 굽힘에도 표면에 오렌지필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size of the surface crystal grains distributed in the first region adjacent to the surfac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is kept smaller than the inner crystal grains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so that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is prevented from having an orange peel can do.

예를 들어, 상기 표면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s)는 100㎛ 이하일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내부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i)는 스테인리스 강판의 강도를 저감하기 위하여 100㎛ 초과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average grain size (Gs) of the surface grains may be 100 탆 or less. 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grain size Gi of the inner crystal grains may be more than 100 mu m to reduce the strength of the stainless steel shee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렌지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스테인리스강의 주조시 회전하는 한쌍의 롤 사이를 통과하면서 고체로 냉각시키는 스트립 캐스팅(Strip Casting)에 의하여 제조된다.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orange peel res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strip casting which is cooled to a solid while passing between a pair of rolls rotated during casting of stainless stee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하기 위한 스트립 캐스팅(Strip Casting)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of an apparatus for explaining a strip casting process for manufacturing austenitic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스트립 캐스팅 공정은 용강으로부터 직접 박물의 열연스트립을 생산하는 공정으로서, 열간 압연공정을 생략하여 제조원가, 설비 투자비용, 에너지 사용량, 공해가스 배출량 등을 획기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철강공정 프로세스이다.The strip casting process is a process of producing a hot rolled strip of a steel product directly from a molten steel and is a steel process process capable of drasticall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facility investment cost, energy consumption, pollution gas discharge, etc. by omitting the hot rolling process.

상기 스트립 캐스팅 공정에 사용되는 쌍롤형 박판주조기는 도 1을 참조하면, 용강을 래들(2)에 수용시키고, 노즐을 따라 턴디쉬(3)로 유입되며, 턴디쉬(3)로 유입된 용강은 주조 롤(1) 양 끝단부에 설치된 에지 댐(6)의 사이, 그리고 주조 롤(1)의 사이로 용강 주입노즐(4)을 통해 공급되어 응고가 개시된다. 이때 주조 롤(1) 사이의 용탕부에는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메니스커스 쉴드(5)로 용탕면을 보호하고 적절한 가스를 주입하여 분위기를 적절히 조절하게 된다. 양 롤이 만나는 롤 닙을 빠져나오면서 박판(7)이 제조되어 인발되면서 압연기(8)를 거쳐 압연이 된 후 냉각공정을 거쳐 권취 설비(9)에서 권취된다.1, the molten steel is received in the ladle 2, flows into the tundish 3 along the nozzle, and the molten steel introduced into the tundish 3 is fed into the tundish 3, The molten steel is supplied through the molten steel injection nozzle 4 between the edge dams 6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asting roll 1 and between the casting rolls 1 to start solidification.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oxidation, the molten metal between the casting rolls 1 is protected with a meniscus shield 5 and an appropriate gas is injected to appropriately control the atmosphere. The thin plate 7 is manufactured while being pulled out from the roll nip where both rolls meet, rolled through the rolling machine 8 while being pulled out, then cooled, and wound around the winding machine 9.

상기 스트립 캐스팅 공정은 액상의 용강을 1 내지 5mm 두께의 판재로 직접 주조하면서, 주조판에 빠른 냉각 속도를 인가하는 것으로, 쌍롤형 스트립캐스터를 이용하여 열연코일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쌍롤형 스트립 캐스터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주조 롤(1)과 측면에 설치된 에지 댐(6) 사이로 용강을 공급하고, 수냉되는 롤 표면을 통해 많은 열량을 방출시키면서 주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롤 표면에서 빠른 냉각속도로 응고셀을 형성되며, 주조 후 연속적으로 행하여지는 인 라인 롤링(in-line rolling)에 의하여 1 내지 5mm의 얇은 열연 강판이 제조된다. 상기 스트립 캐스팅 공정에서는 박판을 직접 주조하므로 연속 주조에 의한 슬라브 제조 및 열간 압연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strip casting process, a hot-rolled coil is manufactured using a twin-roll type strip castor by directly casting molten steel of liquid phase into a plate of 1 to 5 mm thickness and applying a rapid cooling rate to the casting plate. The double-roll type strip casters are characterized in that molten steel is supplied between a casting roll (1)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and an edge dam (6) provided on a side and casting while releasing a large amount of heat through a water- At this time. A solidification cell is formed at a rapid cooling rate on the roll surface, and a thin hot-rolled steel sheet having a thickness of 1 to 5 mm is produced by in-line rolling performed continuously after casting. In the strip casting process, since the thin plate is directly ca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lab production by the continuous casting and the hot rolling process can be omitted.

특히,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통상의 연속주조 시 응고상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응고 초기에는 델타페라이트상부터 생성이 되고 이후에 오스테나이트상으로의 응고가 이루어진다. 이때 주조 시 잔류하는 델타페라이트상의 함량은 강종 별로 1 내지 10% 전후이다. 즉, 통상적인 슬라브 주조시, 슬라브 내에 델타페라이트상이 잔류한다.In particular,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is produced from the delta ferrite phase at the initial stage of solidification and then solidified into the austenite phase in order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solidification phase in the continuous casting under normal conditions. At this time, the content of residual delta ferrite phase in the casting is about 1 to 10% for each type of steel. That is, in a typical slab casting, a delta ferrite phase remains in the slab.

다만, 이후, 상기 슬라브를 열간 압연을 위해 재가열로에서 2시간 이상 가열을 하는데, 이때 대부분의 델타페라이트상은 고상변태에 의해 오스테나이트상으로 분해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후 열간 압연 역시 고온에서 이루어지므로 슬라브 주조 조직에 존재하던 델타페라이트상은 대부분 분해된다. 따라서, 통상적인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의 델타페라이트 함량은 0.5% 미만이다.However, since the slab is heated in a reheating furnace for 2 hours or more for hot rolling, most of the delta ferrite phase is decomposed into austenite phase due to solid phase transformation and then hot rolling is also performed at a high temperature, The delta ferrite phase present in the cast structure is mostly decomposed. Therefore, the delta ferrite content of a typical austenitic stainless steel hot-rolled coil is less than 0.5%.

상기 스트립 캐스팅 공정은 수냉 롤을 이용하여 용강으로부터 직접 박판을 주조하므로, 슬라브의 재가열 및 열간 압연 공정이 생략되므로, 델타페라이트상의 함량이 5%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며, 상기 델타페라이트상은 스테인리스 강판의 표면에 주로 잔류하여 상기 델타페라이트상의 존재는 결정립의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Since the strip casting process casts a thin plate directly from molten steel using a water-cooled roll, the content of the delta ferrite phase is higher than 5% because the reheating and hot rolling process of the slab is omitted, and the delta ferrite phas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plate And the presence of the above-mentioned delta ferrite phase can suppress the growth of the crystal grains.

따라서, 상기 스트립 캐스팅 공정에 따라 제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열연 강판의 조직 내 잔류하는 델타페라이트상의 함량을 5% 이상으로 제어하여, 최종 제품에 잔류하는 조직 내 델타페라이트상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에 인접한 영역에 분포된 표면 결정립의 크기를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내부 결정립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ntent of the delta ferrite phase remaining in the final product can be increased by controlling the content of the delta ferrite phase remaining in the structur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hot-rolled steel sheet produced according to the strip casting process to 5% Accordingly, the size of the surface crystal grains distributed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surfac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can be smaller than that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열연강판에 잔류하는 델타페라이트상의 함량은 5% 이상일 수 있다.That is, the content of the delta ferrite phase remaining on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hot-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5% or more.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주조하여 응고시 잔류하는 델타페라이트상의 함량(Delta)이 5% 이상이 되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하기 식(1)에 따라 성분을 제어할 수 있다.In order to control the content (Delta) of the delta ferrite phase remaining in solidification during casting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to be 5% or more, the component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1).

Delta=((Cr+Mo+1.5Mn+0.5Nb+2Ti+18)/(Ni+0.3Cu+30*(C+N)+0.5Mn+36)+0.262)×161-161 -------------------- 식(1)Delta = ((Cr + Mo + 1.5Mn + 0.5Nb + 2Ti + 18) / (Ni + 0.3Cu + 30 * (C + N) + 0.5Mn + 36) +0.262) --------------- Equation (1)

여기서, 상기 식(1)의 원소 기호는 해당 원소의 질량%이다.Here, the symbol of the element in the formula (1) is the mass% of the element.

이후, 상기 열연강판을 열처리한 후, 총압하율 50%이상으로 냉간 압연하여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냉연 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Thereafter, the hot-rolled steel sheet is subjected to heat treatment and then cold rolled at a total reduction ratio of 50% or more to produce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cold-rolled steel sheet.

상기 냉간 압연 공정을 거쳐 냉간 압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냉연강판의 냉간압연 조직은 델타페라이트상의 함량이 0.5% 이상일 수 있다.The cold rolled steel sheet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cold 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ld rolled through the cold rolling process may have a content of delta ferrite phase of 0.5% or more.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표 1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스트립 캐스팅(Strip Casting) 공법으로 제조하여 주조된 열연강판의 델타페라이트상의 함량(Delta)이 5 이상이 되도록 제어하여,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하였다. 이후, 50% 총압하율로 냉간 압연을 거쳐, 냉연 강판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15% 인장한 후 표면 조도(오렌지필)를 측정하였다. 인장 시에는 JIS13B와 같이 표준 인장시편을 제조하여도 좋고, 판재를 그대로 인장하여도 좋다. 15%는 동일한 조건에서 비교하기 위함이며, 반드시 15% 인장에서만 본 발명이 특성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In Table 1, austenitic stainless steels were produced by controlling the content (Delta) of the delta ferrite phase of the hot-rolled steel sheet manufactured and cast by a strip casting method to be 5 or more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after, the cold rolled steel sheet was subjected to cold rolling at a total rolling reduction of 50%, and a cold rolled steel sheet was prepared, and the surface roughness (orange fill) was measured after 15% stretching. In tension, standard tensile specimens may be prepared as in JIS13B, or the sheet may be directly stretched. 15% is for comparison under the same condi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exhibited only at 15% tensile.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전체 두께에 대하여,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의 깊이에 해당하는 영역에 포함되는 표면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s) 및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으로부터 10% 초과의 깊이에 해당하는 영역에 포함되는 내부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i)를 측정하여 이의 비율(Gs/Gi)을 나타내었다.(Gs) of surface grains contain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a depth of 10% or less from the surfac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respect to the total thickness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and an average grain size (Gs / Gi) of the average crystal grain size (Gi) of the inner crystal grains contained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epth exceeding the crystal grain size was measured.

여기서, 표면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s)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전체 두께에 대하여,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의 깊이에 해당하는 영역에 포함되는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를 의미한다. 또한, 내부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i)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전체 두께에 대하여,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으로부터 10% 초과의 깊이에 해당하는 영역에 포함되는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를 의미한다.Here, the average grain size (Gs) of the surface grains means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grains contained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10% or less from the surfac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respect to the total thickness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 The average grain size Gi of the inner crystal grains means the average grain size of the grains contained in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more than 10% from the surfac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with respect to the total thickness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

DeltaDelta 공정fair Gs/GiGs / Gi 오렌지필 여부Whether orange peel 실시예 1Example 1 5.15.1 스트립 캐스팅Strip casting 0.470.47 실시예 2Example 2 6.26.2 스트립 캐스팅Strip casting 0.420.42 실시예 3Example 3 7.27.2 스트립 캐스팅Strip casting 0.370.37 실시예 4Example 4 8.58.5 스트립 캐스팅Strip casting 0.420.4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5.55.5 연속 주조Continuous casting 1.031.03 ××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6.46.4 연속 주조Continuous casting 0.950.95 ××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4.14.1 스트립 캐스팅Strip casting 0.740.74 ××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6.26.2 연속 주조Continuous casting 0.970.97 ××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스트립 캐스팅 공정으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하고, 델타페라이트상의 함량을 5% 이상으로 제어한 경우, 최종 제품에 오렌지필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델타페라이트상의 함량을 5% 이상으로 제어한 경우, 표면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s) 및 내부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i)의 비율(Gs/Gi)이 0.5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when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is manufactured by the strip casting process and the content of the delta ferrite phase is controlled to 5% or more, it can be seen that orange peel does not occur in the final product. It can also be seen that the ratio (Gs / Gi) of the mean grain size (Gs) of the surface grains and the average grain size (Gi) of the inner grains is 0.5 or less when the content of the delta ferrite phase is controlled to 5% or more.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표면 입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The surface particle sizes of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2 below.

표면 입도(Gs, ㎛)Surface size (Gs, μm) 오렌지필 여부Whether orange peel 실시예1Example 1 1414 실시예2Example 2 4040 실시예3Example 3 5858 실시예4Example 4 8585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105105 ××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145145 ××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192192 ××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280280 ××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표면 입도 Gs가 100㎛ 이하인 스테인리스강 판재에서는 오렌지필이 양호하였으며, 비교예와 같이 표면 입도 100㎛ 초과인 스테인리스강 판재에서는 오렌지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Referring to Table 2, the orange peel was good in a stainless steel plate having a surface particle size Gs of 100 탆 or less, and orange peel was apparent in a stainless steel plate having a surface grain size of more than 100 탆 as in Comparative Example.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표면 입도 및 내부 입도를 측정하고 이들의 비율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The surface particle size and internal particle size of the above-mentioned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ere measured, and the ratios thereof are shown in Table 3 below.

표면 입도(Gs, ㎛)Surface size (Gs, μm) 내부 입도(Gi, ㎛)Internal size (Gi, 탆) Gs/GiGs / Gi 오렌지필 여부Whether orange peel 실시예1Example 1 1414 3030 0.470.47 실시예2Example 2 4040 9595 0.420.42 실시예3Example 3 5858 155155 0.370.37 실시예4Example 4 8585 201201 0.420.42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105105 102102 1.031.03 ××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145145 153153 0.950.95 ××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192192 260260 0.740.74 ××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280280 290290 0.970.97 ××

상기 표 3에서는, 표면 입도(Gs)가 100㎛ 이하를 만족하며, 표면 입도(Gs)와 내부 입도(Gi)의 비율(Gs/Gi)이 0.5 이하인 조건에서 오렌지필 저항 특성이 양호함을 나타낸다.Table 3 shows that the orange fill resistance characteristic is goo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urface particle size Gs satisfies 100 탆 or less and the ratio (Gs / Gi) of the surface particle size Gs to the internal size Gi is 0.5 or less .

하기 표 4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스트립 캐스팅(Strip Casting) 공법으로 제조하여 주조된 열연강판의 델타페라이트상의 함량(Delta)이 5 이상이 되도록 제어하여,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조하였다.In the following Table 4, austenitic stainless steels were produced by controlling the content (Delta) of the delta ferrite phase of the hot-rolled steel sheet manufactured and cast by the strip casting method to be 5 or more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후, 50% 총압하율로 냉간 압연을 거쳐,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배관을 제작하였으며, 이를 핸드 벤더를 이용하여 90° 벤딩하고, 굽힘 부의 표면 조도(오렌지필)를 관찰하였다. 핸드 벤더는 균일한 곡률반경으로 변형을 가하기 위해서 사용된 것이며, 반드시 핸드 벤더일 필요는 없다. 또한, 90°의 각도는 공통된 변형량을 가하기 위함이며 반드시 해당 각도에서만 본 발명의 특성이 얻어지는 것은 아니다.Thereafter,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was produced by cold rolling at a total reduction of 50%. The stainless steel pipe was bent by 90 ° using a hand bender, and the surface roughness (orange peel) of the bent portion was observed. Handbenders are used to impart strain to a uniform radius of curvature, and need not necessarily be a handbender. Further, the angle of 90 [deg.] Is for applying a common amount of deform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always be obtained only at this angl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냉연강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배관을 90° 굽힌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cold rolled steel she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nt at 90 °.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100) 전체 두께에 대하여,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100)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의 깊이에 해당하는 제1 영역(A1)에 포함되는 표면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s) 및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으로부터 10% 초과의 깊이에 해당하는 제2 영역(A2)에 포함되는 내부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i)를 측정하여 이의 비율(Gs/Gi)을 나타내었다.The average grain size Gs of the surface grains contained in the first region A1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10% or less from the surfac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100 with respect to the total thickness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100, ) And the average grain size Gi of the inner crystal grains contained in the second region A2 corresponding to the depth of more than 10% from the surfac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were measured and the ratio (Gs / Gi) thereof was shown.

표면 입도(Gs, ㎛)Surface size (Gs, μm) 오렌지필 여부Whether orange peel 실시예 1Example 1 3535 실시예 2Example 2 5050 실시예 3Example 3 6969 실시예 4Example 4 9595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110110 ××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150150 ××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170170 ××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250250 ××

상기 표 4의 실시예와 같이 표면 입도(Gs)가 100㎛ 이하인 배관에서는 오렌지필이 양호하였으며, 비교예와 같이 표면 입도(Gs) 100㎛ 초과인 배관에서는 오렌지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As shown in Table 4, orange peel was good in a pipe having a surface particle size (Gs) of 100 m or less, and orange peel was apparent in a pipe having a surface particle size (Gs)

따라서, 표면입도가 100㎛ 초과인 배관에서 오렌지필이 발생하는 바 표면 입도(Gs)는 100㎛ 이하로 유지하되, 스테인리스강의 결정립의 크기를 증대를 통한 스테인리스강의 강도의 저감화를 위하여 내부 결정립(Gi)의 크기를 증가시킨다.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strength of the stainless steel by increasing the grain size of the stainless steel while maintaining the surface grain size (Gs) of 100 탆 or less as the orange peel occurs in the pipe having the surface grain size exceeding 100 탆, ).

예를 들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내부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i)는 100㎛ 초과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average grain size Gi of the inner crystal grains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may be more than 100 mu m.

표면입도(Gs, ㎛)Surface size (Gs, μm) 내부입도(Gi, ㎛)Internal size (Gi, 탆) Gs/GiGs / Gi 오렌지필 여부Whether orange peel 실시예 1Example 1 3535 101101 0.350.35 실시예 2Example 2 5050 152152 0.330.33 실시예 3Example 3 6969 169169 0.410.41 실시예 4Example 4 9595 210210 0.450.45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110110 102102 1.081.08 ××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150150 153153 0.980.98 ××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170170 260260 0.650.65 ××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250250 201201 1.241.24 ××

상기 표 5의 실시예와 같이 표면 입도(Gs)가 100㎛ 이하를 만족하며, 표면 입도(Gs)와 내부 입도(Gi)의 비율(Gs/Gi)이 0.5 이하인 경우, 오렌지필 저항성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When the surface particle size (Gs) satisfies 100 탆 or less and the ratio (Gs / Gi) of the surface particle size (Gs) to the internal size (Gi) is 0.5 or less as in the embodiment of Table 5, .

도 4는 도 1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배관의 표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종래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배관의 표면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배관의 단면 미세조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은 종래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배관의 단면 미세조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4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urfac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according to Fig. 5 is a photograph showing the surface of a conventional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Fig. 6 is a photograph showing the cross-sectional microstructur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according to Fig. 1; 7 is a photograph showing a cross-sectional microstructure of a conventional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6은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배관의 표면 및 단면 미세조직이며, 도 5 및 도 7은 상기 비교예 3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배관의 표면 및 단면 미세조직이다.4 and 6 are surface and cross-sectional microstructures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s. 5 and 7 are graphs showing the surface and the cross-sectional microstructur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according to the third comparative example and Figs. Sectional microstructure.

상기 표 4, 표 5,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배관의 표면에 오렌지필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으며, 단면 미세조직에서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에 인접한 영역의 결정립들은 평균적으로 100㎛이하의 크기를 가지며, 스테인리스강의 내부의 결정립들은 평균적으로 100㎛ 초과의 크기를 가져,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에 인접한 영역의 결정립들의 크기가 보다 미세하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배관의 표면에 오렌지필이 발생하여 미관이 열위함을 알 수 있으며, 단면 미세조직에서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에 인접한 영역의 결정립들의 크기가 스테인리스강의 내부의 결정립들에 비하여 다소 미세하게 형성되긴 하나,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에 인접한 영역의 결정립들은 평균적으로 100㎛초과의 크기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4, Table 5 and FIG. 4 to FIG. 7, it can be seen that orange peel does not occur on the surfac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ains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surface have an average size of 100 mu m or less and the grains inside the stainless steel have an average size exceeding 100 mu m so that the size of the grains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is finer .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orange peel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aesthetic pipe is in the open state. In the cross-sectional microstructure, the grain size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surface of stainless steel, , It can be seen that the grains in the region adjacent to the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have an average size exceeding 100 mu m.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결정립의 크기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배관을 90° 굽힌 후 표면 조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8 is a graph for explaining the grain siz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and the surface roughness after bending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by 9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하여 표면의 결정립 크기(Gs)를 제한하여, 스테인리스강 소재의 강도 저감을 위해 스테인리스강 전체의 평균 결정립 크기는 증가시키면서도 오렌지필이 억제되는 스테인리스강 배관을 제조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즉, 도 8에서 비교예들은 표면조도(RZ)가 10㎛를 초과하여 오렌지필이 발생하는 반면, 실시예들은 내부의 결정립 크기(Gi)가 비교예들과 마찬가지로 증가함에도 표면조도(RZ)가 10㎛ 이하 수준으로 오렌지필이 억제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grain size (Gs) of the surface is limited by the present invention to produce a stainless steel pipe in which orange peel is suppressed while increasing the average crystal grain size of the entire stainless steel in order to reduce the strength of the stainless steel material . That is, in the comparative examples of FIG. 8, the orange peel occurs when the surface roughness (R Z ) exceeds 10 μm, whereas in the embodiments, the surface roughness R Z ) Is less than 10 탆, the orange peel is suppressed.

구체적으로, 도 8에서, 내부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i)가 100㎛인 실시예은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배관으로 표면조도(RZ)가 약 4.5㎛로 오렌지필이 발생하지 않으며, 내부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i)가 150㎛인 실시예은 상기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배관으로 표면조도(RZ)가 약 4.8㎛로 오렌지필이 발생하지 않으며, 내부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i)가 200㎛인 실시예은 상기 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배관으로 표면조도(RZ)가 약 5.2㎛로 오렌지필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8, an example in which the average grain size Gi of the inner crystal grains is 100 탆 is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Example 1, and has a surface roughness (R Z ) And the average grain size Gi of the inner crystal grains is 150 탆 is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bove Example 2. The surface roughness R Z is about 4.8 탆 and orange peel is generated And the average crystal grain size Gi of the inner crystal grains is 200 탆 is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bove Example 4, and the surface roughness (R Z ) is about 5.2 탆, .

이와 달리, 내부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i)가 100㎛인 비교예는 상기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배관으로 표면조도(RZ)가 약 12㎛로 오렌지필이 발생하며, 내부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i)가 150㎛인 비교예는 상기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배관으로 표면조도(RZ)가 약 19㎛로 오렌지필이 발생하며, 내부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i)가 200㎛인 비교예는 상기 비교예 4에 따라 제조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배관으로 표면조도(RZ)가 약 22㎛로 오렌지필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average crystal grain size Gi of the inner crystal grains is 100 탆,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manufactured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has an orange peel with a surface roughness (R Z ) of about 12 탆 And an average crystal grain size Gi of the inner crystal grains of 150 mu m is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manufactured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2, an orange fill is generated with a surface roughness (R Z ) of about 19 mu m, In the comparative example in which the average crystal grain size Gi of the crystal grains is 200 탆,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pipe produced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4 has an orange peel with a surface roughness (R Z ) of about 22 탆 .

상술한 바에 있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obviat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 주조 롤 2: 래들
3: 턴디쉬 4: 용강 주입노즐
5: 메니스커스 쉴드 6: 에지 댐
7: 박판 8: 압연기
9: 권취 설비 100: 스테인리스 강판
1: casting roll 2: ladle
3: Tundish 4: Molten steel injection nozzle
5: Meniscus Shield 6: Edge Dam
7: Sheet metal 8: Rolling machine
9: Winding equipment 100: Stainless steel plate

Claims (7)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전체 두께에 대하여,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으로부터 10% 이하의 깊이에 해당하는 제1 영역에 포함되는 표면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s) 및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으로부터 10% 초과의 깊이에 해당하는 제2 영역에 포함되는 내부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i)의 비(Gs/Gi)가 0.5 이하이고,
상기 표면 결정립의 평균 결정립 크기(Gs)는 스트립 캐스팅(Strip Casting)에 의하여 100㎛ 이하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렌지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With respect to the total thickness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An average grain size (Gs) of surface grains contained in a first region corresponding to a depth of 10% or less from the surfac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and a second grain size (Gs) corresponding to a depth of 10% or more from the surface of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Gs / Gi) of the average crystal grain size (Gi) of the inner crystal grains contained in the region is 0.5 or less,
Wherein an average grain size (Gs) of the surface crystal grains is limited to 100 탆 or less by strip casting.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orange peel res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로, 실리콘(Si): 0.1 내지 0.65%, 망간(Mn): 1.0 내지 3.0%, 니켈(Ni): 6.5 내지 10.0%, 크롬(Cr): 16.5 내지 18.5%, 구리(Cu): 6.0%이하(0은 제외), 탄소(C)+질소(N): 0.13% 이하(0은 제외),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렌지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0.1 to 0.65% of silicon (Si), 1.0 to 3.0% of manganese (Mn), 6.5 to 10.0% of nickel (Ni), and 16.5 to 18.5 (Excluding 0), copper (Cu): not more than 6.0% (excluding 0), carbon (C) + nitrogen (N): not more than 0.13% (excluding 0), and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Austenitic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res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스트립 캐스팅에 의하여 상기 스테인리스강의 주조에서 응고시 잔류하는 델타페라이트상의 함량이 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렌지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of the delta ferrite phase remaining during solidification in the casting of the stainless steel by strip casting is 5%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인리스강의 냉간압연 조직은 델타페라이트상의 함량이 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렌지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ld rolled structure of the stainless steel has a content of delta ferrite phase of 0.5% or more. Austenitic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orange peel resistance.
스테인리스강의 주조시 회전하는 한쌍의 롤 사이를 통과하면서 고체로 냉각시키는 스트립 캐스팅에 의한 오렌지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주조하여 응고시 잔류하는 델타페라이트상의 함량(Delta)이 5% 이상이 되도록 하기 식(1)에 따라 성분을 제어하여 열연강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렌지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
Delta=((Cr+Mo+1.5Mn+0.5Nb+2Ti+18)/(Ni+0.3Cu+30*(C+N)+0.5Mn+36)+0.262)×161-161 -------------------- 식(1)
여기서, 상기 식(1)의 원소 기호는 해당 원소의 질량%이다.
A method for producing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orange peel resistance by strip casting which is cooled to a solid state while passing between a pair of rolls rotated during casting of stainless steel,
Comprising the step of preparing a hot-rolled steel sheet by controlling the component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1) so that the content (Delta) of the delta ferrite phase remaining during solidification after casting austenitic stainless steel is not less than 5%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Delta = ((Cr + Mo + 1.5Mn + 0.5Nb + 2Ti + 18) / (Ni + 0.3Cu + 30 * (C + N) + 0.5Mn + 36) +0.262) --------------- Equation (1)
Here, the symbol of the element in the formula (1) is the mass% of the elem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로, 실리콘(Si): 0.1 내지 0.65%, 망간(Mn): 1.0 내지 3.0%, 니켈(Ni): 6.5 내지 10.0%, 크롬(Cr): 16.5 내지 18.5%, 구리(Cu): 6.0%이하(0은 제외), 탄소(C)+질소(N): 0.13% 이하(0은 제외), 나머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렌지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austenitic stainless steel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0.1 to 0.65% of silicon (Si), 1.0 to 3.0% of manganese (Mn), 6.5 to 10.0% of nickel (Ni), and 16.5 to 18.5 (Excluding 0), copper (Cu): not more than 6.0% (excluding 0), carbon (C) + nitrogen (N): not more than 0.13% (excluding 0), and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A method for producing an austenitic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resistan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연강판을 열처리한 후, 총압하율 50%이상으로 냉간압연하여 냉연강판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연강판의 냉간압연 조직은 델타페라이트상의 함량이 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렌지필 저항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subjecting the hot-rolled steel sheet to heat treatment, followed by cold rolling at a total reduction ratio of 50% or more to produce a cold-rolled steel sheet,
Wherein the cold rolled steel sheet has a content of delta ferrite phase of 0.5% or more.



KR1020170127906A 2017-09-29 2017-09-29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exceelent orange peel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7011796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906A KR20170117967A (en) 2017-09-29 2017-09-29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exceelent orange peel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906A KR20170117967A (en) 2017-09-29 2017-09-29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exceelent orange peel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665A Division KR20170056047A (en) 2015-11-12 2015-11-12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exceelent orange peel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967A true KR20170117967A (en) 2017-10-24

Family

ID=60299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906A KR20170117967A (en) 2017-09-29 2017-09-29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exceelent orange peel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796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826B1 (en) Martensitic stainless steel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23290B1 (en) High strength austenitic stainless stee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EP3239344B1 (en) Method for producing a lean duplex stainless steel
KR101239589B1 (en) High corrosion resistance martensite stainless ste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04401B1 (en) Super ductile lean duplex stainless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10071517A (en) Martensitic stainless steel and method of the manufacture the same containing 0.1~0.5% carbon
EP3647455B1 (en) Cold-rolled annealed dual-phase steel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674762B1 (en) Twin roll strip caster, method for manufacturing duplex stainless thin steel sheet by using the same and duplex stainless thin steel sheet
KR20070085757A (en) High-strength steel strip or sheet exhibiting twip properti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strip by direct strip casting
US967715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martensitic stainless steel sheet using twin roll strip caster
KR20170056047A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exceelent orange peel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43834B1 (en) Thin, hot-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net workability and anti-aging properti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95871B1 (en) Mathod for manufacturing high copper stainless steel with twin roll strip casting apparatus
KR20170117967A (en)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exceelent orange peel resistan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60875B1 (en) Formable hot-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formability and anti-aging properti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38588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ferritic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ridging property
JP2013032596A (en) Hot-rolled steel sheet used for base material of steel sheet for can,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1560948B1 (en) High strength multi-matrix hot 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nd formability of edge par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4720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hin martensitic stainless steel sheet using strip caster with twin roll and thin martensitic stainless steel sheet produced uising the same
KR100992317B1 (en) High Yield Ratio Hot Rolled Steel Sheet and Hot Rolled Pickl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Descal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00066102A (en) Method for drawing steel wire rod for manufacturing steel wire having excellent torsional property and high strength
JP4151443B2 (en) Thin steel plate with excellent flatness after punch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726129B1 (en) Wire rod and steel wire having excellent elonga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1758476B1 (en) Mathod for manufacturing high copper stainless steel with twin roll strip casting apparatus and high copper stainless steel manufactured thereby
KR101439607B1 (en) Martensitic stainless steels by twin roll strip casting proc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