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7964A - 구동부 이동 방식의 조타 장치 - Google Patents

구동부 이동 방식의 조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7964A
KR20170117964A KR1020170127798A KR20170127798A KR20170117964A KR 20170117964 A KR20170117964 A KR 20170117964A KR 1020170127798 A KR1020170127798 A KR 1020170127798A KR 20170127798 A KR20170127798 A KR 20170127798A KR 20170117964 A KR20170117964 A KR 20170117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ler
driving
outer ring
swing bearing
inn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0707B1 (ko
Inventor
박성하
강남식
윤영호
Original Assignee
훌루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훌루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훌루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7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707B1/ko
Publication of KR20170117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08Steering gear
    • B63H25/14Steering gear power assisted; power driven, i.e. using steering engine
    • B63H25/26Steering eng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타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틸러 구동부의 회전 각도를 벗어나는 미 사용 지점에 예비 장착부를 설치한 후 상기 틸러 구동부의 일 구간이 마모 또는 파손된 경우 상기 예비 장착부에 구동부를 이전 설치하여 틸러 구동부의 모든 부분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 연한을 증가시킴은 물론 교체 주기를 연장하여 교체를 위한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구동부 이동 방식의 조타 장치이다.

Description

구동부 이동 방식의 조타 장치{STEERING APPARATUS WITH MOVABLE DRIVING MEMBER}
본 발명은 조타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틸러 구동부의 회전 각도를 벗어나는 미 사용 지점에 예비 장착부를 설치한 후 상기 틸러 구동부의 일 구간이 마모 또는 파손된 경우 상기 예비 장착부에 구동부를 이전 설치하여 틸러 구동부의 모든 부분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 연한을 증가시킴은 물론 교체 주기를 연장하여 교체를 위한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구동부 이동 방식의 조타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등에 사용되는 조타 장치는 도 2에 일부 도시된 바와 같이 러더(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러더가 장치되는 러더 스톡(RS)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러더 스톡(RS)은 틸러(T)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조타각 변경시 상기 틸러(T)를 작동시켜 러더 스톡(RS)을 회전시키고 이에 의해 러더의 각도를 변경하여 상기 조타각을 변경하게 된다.
한편, 상기 틸러(T)를 작동하기 위해서 틸러 구동부(TD)가 상기 틸러(T)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틸러 구동부(TD)는 구동부(100)에 의해 회전된다.
즉, 상기 구동부(100)에 의해 틸러 구동부(TD)가 회전되면 상기 틸러 구동부(TD)에 연동되는 틸러(T)가 회전되며 이에 의해 러더 스톡(RS)이 회전되어 최종적으로 러더의 각도가 변경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선박의 조타 범위는 -35도 내지 +35도로서 70도 구간이 되며 상기 70도 구간을 제외한 110도의 구간은 미 사용구간이 된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 기술의 경우 틸러 구동부(TD)의 일 구간만 반복 사용하게 되어 사용 연한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틸러 구동부(TD)의 사용 연한 감소로 교체 주기가 짧아져서 교체를 위한 비용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술한 조타 장치 자체는 널리 알려진 기술로서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일본 공개 특허 제2002-211490호 일본 공개 특허 제2001-018893호 일본 공개 특허 제2001-055196호 일본 공개 특허 제1996-034396호 일본 공개 특허 제1996-207894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433835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431931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422499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1313162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0700057호 한국 등록 특허 제10-042906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틸러 구동부의 회전 각도를 벗어나는 미 사용 지점에 예비 장착부를 설치한 후 상기 틸러 구동부의 일 구간이 마모 또는 파손된 경우 상기 예비 장착부에 구동부를 이전 설치하여 틸러 구동부의 모든 부분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 연한을 증가시킴은 물론 교체 주기를 연장하여 교체를 위한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구동부 이동 방식의 조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러더가 장착되는 러더 스톡(RS)과 상기 러더 스톡(RS)이 연동되는 틸러(T)와, 상기 틸러(T)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틸러(T)를 구동하는 틸러 구동부(TD)와, 상기 틸러 구동부(TD)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틸러 구동부(TD)를 일정 범위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동부(100)를 포함하는 조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틸러 구동부(TD) 일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틸러 구동부(TD)의 회전 각도를 벗어나는 미 사용 구간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100)가 이전 설치되는 예비 장착부(S)를 포함하는 구동부 이동 방식의 조타 장치에 일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예비 장착부(S)에 이전 설치되는 구동부(100)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110)와, 상기 액츄에이터(110)에 결합되는 감속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감속부(120)는 상기 틸러 구동부(TD)와 치차 결합하는 출력 피니언(130)을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틸러 구동부(TD)는 선회 베어링(200)을 이용하되, 상기 선회 베어링(200)은 외륜(210) 회전 방식을 취하고, 상기 예비 장착부(S)는 상기 외륜(210) 외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부(100)가 상기 외륜(210) 외측에 결합하도록 지지하는 분리형 예비 장착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분리형 예비 장착부(300)는 상기 외륜(210) 외측의 베이스(B)상에 배치되는 지지 브라켓(310)과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내륜(220)을 지지하는 지지부(33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틸러 구동부(TD)는 선회 베어링(200)을 이용하되, 상기 선회 베어링(200)은 내륜(220) 회전 방식을 취하고, 상기 틸러(T)는 상기 러더 스톡(RS)이 삽입되는 틸러 본체(T1)와, 상기 틸러 본체(T1)의 외측에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장착판(T2)을 포함하며, 상기 예비 장착부(S)는 상기 구동부(100)가 상기 틸러(T)의 장착판(T2) 일 측에 설치되는 틸러 일체형 예비 장착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틸러 일체형 예비 장착부(400)는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외륜(210)을 지지하는 지지부(430)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구동부(100)의 액츄에이터(110)와 감속기(120)는 장착판(T2) 일 측에 설치되고 출력 피니언(130)은 상기 장착판(T2) 저면으로 노출된 후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외륜(210) 외측과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내륜(220)은 상기 장착판(T2)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틸러 구동부(TD)는 선회 베어링(200)을 이용하되, 상기 선회 베어링(200)은 내륜(220) 회전 방식을 취하고, 상기 예비 장착부(S)는 상기 내륜(220) 일 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부(100)가 상기 내륜(220) 내측에 결합하도록 지지하는 분리형 예비 장착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분리형 예비 장착부(500)는 상기 외륜(210) 일 측의 베이스(B)상에 배치되는 지지 브라켓(510)과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외륜(210)을 지지하는 지지부(53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브라켓(510)은 상기 지지부(530)상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직부(511)와, 상기 제1수직부(511) 일 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구동부(100)의 액츄에이터(110)와 감속기(120)가 설치되는 한편 출력 피니언(130)이 저면으로 노출된 후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내륜(220)과 결합되도록 하는 수평부(512)를 포함하며, 상기 내륜(220)은 상기 틸러(T)의 장착판(T2)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틸러 구동부(TD)는 선회 베어링(200)을 이용하되, 상기 선회 베어링(200)은 내륜(220) 회전 방식을 취하고, 상기 예비 장착부(S)는 상기 내륜(220) 일 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부(100)가 상기 내륜(220) 내측에 결합하도록 지지하는 분리형 예비 장착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분리형 예비 장착부(500)는 상기 외륜(210) 일 측의 베이스(B)상에 배치되는 지지 브라켓(510)과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외륜(210)을 지지하는 지지부(53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브라켓(510)은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외륜(210)상에 배치되는 제2수직부(513)와, 상기 제2수직부(513) 일 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구동부(100)의 액츄에이터(110)와 감속기(120)가 설치되는 한편 출력 피니언(130)이 저면으로 노출된 후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내륜(220)과 결합되도록 하는 수평부(512)를 포함하며, 상기 내륜(220)은 상기 틸러(T)의 장착판(T2)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틸러 구동부(TD)는 선회 베어링(200)을 이용하되, 상기 선회 베어링(200)은 외륜(210) 회전 방식을 취하고, 상기 틸러(T)는 상기 러더 스톡(RS)이 삽입되는 틸러 본체(T1)와, 상기 틸러 본체(T1)의 외측에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장착판(T2)을 포함하며, 상기 예비 장착부(S)는 상기 구동부(100)가 상기 틸러(T)의 장착판(T2) 일 측에 설치되는 틸러 일체형 예비 장착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틸러 일체형 예비 장착부(600)는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내륜(220)을 지지하는 지지부(630)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구동부(100)의 액츄에이터(110)와 감속기(120)는 상기 장착판(T2) 일 측에 설치되고 출력 피니언(130)은 저면으로 노출된 후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내륜(220)과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외륜(210)은 상기 장착판(T2)과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틸러 구동부의 모든 부분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 연한을 증가시킴은 물론 교체 주기를 연장하여 교체를 위한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타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타 장치로서 예비 장착부에 의해 구동부가 선회 베어링의 외륜에 접하는 방식이며, 상기 예비 장착부는 별도의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타 장치로서 예비 장착부에 의해 구동부가 선회 베어링의 외륜에 접하는 방식이며, 상기 예비 장착부는 틸러의 장착판을 이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타 장치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타 장치로서 예비 장착부에 의해 구동부가 선회 베어링의 내륜에 접하는 방식이며, 상기 예비 장착부는 별도의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타 장치로서 예비 장착부에 의해 구동부가 선회 베어링의 내륜에 접하는 방식이며, 상기 예비 장착부는 틸러의 장착판을 이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타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타 장치로서 예비 장착부에 의해 구동부가 선회 베어링의 외륜에 접하는 방식이며, 상기 예비 장착부는 별도의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타 장치로서 예비 장착부에 의해 구동부가 선회 베어링의 외륜에 접하는 방식이며, 상기 예비 장착부는 틸러의 장착판을 이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타 장치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타 장치로서 예비 장착부에 의해 구동부가 선회 베어링의 내륜에 접하는 방식이며, 상기 예비 장착부는 별도의 지지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타 장치로서 예비 장착부에 의해 구동부가 선회 베어링의 내륜에 접하는 방식이며, 상기 예비 장착부는 틸러의 장착판을 이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타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더가 장착되는 러더 스톡(RS)과 상기 러더 스톡(RS)이 연동되는 틸러(T)와, 상기 틸러(T)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틸러(T)를 구동하는 틸러 구동부(TD)와, 상기 틸러 구동부(TD)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틸러 구동부(TD)를 일정 범위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동부(100)를 포함하며 이는 종래기술과 동일하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구동부(100)에 의해 틸러 구동부(TD)가 회전하고, 상기 틸러 구동부(TD)에 연동되는 틸러(T)가 이에 의해 회전되며, 그 결과 러더 스톡(RS)이 회전되어 러더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틸러 구동부(TD) 일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틸러 구동부(TD)의 회전 각도를 벗어나는 미 사용 구간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100)가 이전 설치되는 예비 장착부(S)를 포함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틸러 구동부(TD)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간(θ1)만을 반복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구간(θ1)이 반복된 사용에 의해 마모가 진행되고 이에 따라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틸러 구동부(TD)의 회전 각도를 벗어나는 미 사용 구간 즉, 제2구간(θ2)에 상기 구동부(100)를 설치하여 상기 틸러 구동부(TD)를 보다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구동부(100)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예비 장착부(S)를 상기 미 사용 구간(θ2)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틸러 구동부(TD)의 모든 구간을 사용할 수 있어 상기 틸러 구동부(TD)의 사용 연한을 증가시킴은 물론 상기 틸러 구동부(TD)의 교체 주기를 연장하여 교체를 위한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예비 장착부(S)에 이전 설치되어 틸러 구동부(TD)를 구동하는 구동부(100)는 다양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력을 발생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전동 모터 등을 이용하는 액츄에이터(110)와, 상기 액츄에이터(11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틸러 구동부(TD)와 치차 결합하는 출력 피니언(130)을 회전하는 감속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틸러 구동부(TD)는 상기 구동부(100)와 틸러(T)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인 한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 베어링(200)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선회 베어링(200)이라고 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내측 또는 외측에 기어가 존재해서 상기 기어의 치차 결합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선회 베어링(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륜(220)과 외륜(2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내륜(220)과 외륜(210)사이에 스틸 볼(230) 등이 개제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선회 베어링 자체는 널리 알려진 기술인 관계로 중복되는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틸러 구동부(TD)는 선회 베어링(200)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하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종류에 따라 본 발명의 예비 장착부(S)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틸러 구동부(TD)는 선회 베어링(200)을 이용하되, 상기 선회 베어링(200)은 외륜(210) 회전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예비 장착부(S)는 상기 외륜(210) 외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부(100)가 상기 외륜(210) 외측에 결합하도록 지지하는 분리형 예비 장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형 예비 장착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륜(210) 외측의 베이스(B)상에 배치되는 지지 브라켓(310)과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내륜(220)을 지지하는 지지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선회 베어링(200) 중 미 사용 구간(θ2, 도 1참조)에 상기 분리형 예비 장착부(300)를 설치하되, 지지 브라켓(310)을 선회 베어링(200) 외측의 베이스(B)에 설치한 후 상기 지지 브라켓(310)에 상기 구동부(100)를 설치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구동부(100)가 선회 베어링(200)의 외륜(210)에 결합되어 상기 외륜(210)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외륜(210)은 상기 틸러(T)의 장착판(T2)에 연결되어 상기 틸러(T)를 구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 브라켓(310)은 상기 베이스(B)상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부(311)와, 상기 수직부(311) 일 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부(312)에 구동부(100)의 액츄에이터(110)와 감속기(120)가 설치되는 한편 출력 피니언(130)이 저면으로 노출된다.
상기 노출된 출력 피니언(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 베어링(200)의 외륜(210)과 결합되고, 상기 외륜(210)은 상기 틸러(T)의 장착판(T2)에 연결된다.
따라서 출력 피니언(130)에 의해 외륜(210)이 회전되면, 상기 외륜(210)은 지지부(33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내륜(220)에 대해 회전하므로 상기 외륜(210)이 회전(자전)하게 된다.
상기 외륜(210)의 회전(자전)에 의해 상기 외륜(210)에 연결되는 장착판(T2)이 회전되고 그 결과 상기 장착판(T2)에 설치되는 러더 스톡(RS)이 회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외륜(210)은 상기 장착판(T2)에 연결되어 지지되나, 내륜(220)이 지지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지지부(330)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 지지 브라켓(310)과 지지부(330)는 베이스(B)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B)는 지면 또는 별도의 구조물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예비 설치부(S)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회 베어링(200)은 내륜(220) 회전 방식을 취하되, 상기 예비 장착부(S)는 상기 구동부(100)가 상기 틸러(T)의 장착판(T2) 일 측에 설치되는 틸러 일체형 예비 장착부(400)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틸러(T)는 상기 러더 스톡(RS)이 삽입되는 틸러 본체(T1)와, 상기 틸러 본체(T1)의 외측에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장착판(T2)을 포함할 수 있음은 동일하다.
이러한 경우의 예비 장착부(400)는 상기 틸러 일체형 예비 장착부(400)는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외륜(210)을 지지하는 지지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예비 장착부(400)에 의한 경우 상기 구동부(100)는 장착판(T2)에 설치되는 한편 지지부(430)에 의해 외륜이 지지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동부(100)의 액츄에이터(110)와 감속기(120)는 장착판(T2) 일 측(예를 들어 장착판 상면)에 설치되고, 출력 피니언(130)은 상기 장착판(T2) 저면으로 노출된 후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외륜(210) 외측과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내륜(220)은 상기 장착판(T2)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외륜(210)은 베이스(B)에 배치되는 지지부(430)에 의해 지지되며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출력 피니언(130)이 회전되면 상기 외륜(210)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출력 피니언(130)을 포함하는 구동부(100) 자체가 선회(공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부(100)는 장착판(T2)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틸러(T)가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내륜(220)은 상기 틸러(T)의 장착판(T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동되어 회전되며 이에 의해 상기 내륜(220)은 별도의 지지부는 필요 없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러 구동부(TD)는 선회 베어링(200)을 이용하되, 예비 장착부(300,400)는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외륜(210)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비 장착부(500,600)는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내륜(220)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예비 장착부(500,600)가 내륜(220) 내측에 설치되되 상술된 바와 같이 미 사용 구간(θ2)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예비 장착부(500)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틸러 구동부(TD)는 선회 베어링(200)을 이용하되, 상기 선회 베어링(200)은 내륜(220) 회전 방식을 취하고, 상기 예비 장착부(S)는 상기 내륜(220) 일 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부(100)가 상기 내륜(220) 내측에 결합하도록 지지하는 분리형 예비 장착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형 예비 장착부(500)에 의해 구동부(100)가 선회 베어링(200)의 내륜(220) 내측에 접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분리형 예비 장착부(500)는 상기 외륜(210) 일 측의 베이스(B)상에 배치되는 지지 브라켓(510)과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외륜(120)을 지지하는 지지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 브라켓(510)에 의해 상기 구동부(100)가 상기 내륜(220) 내측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외륜(210)은 상기 지지부(530)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상기 지지 브라켓(510)은 상기 지지부(530)상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직부(511)와 상기 제1수직부(511) 일 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부(512)에 구동부(100)의 액츄에이터(110)와 감속기(120)가 설치되는 한편 출력 피니언(130)이 수평부(512) 저면으로 노출된 후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내륜(220)과 결합되며, 상기 내륜(220)은 상기 틸러(T)의 장착판(T2)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구동부(100)에 의해 출력 피니언(130)이 회전되면 상기 내륜(220)이 회전된다.
이때, 상기 외륜(210)은 지지부(530)에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내륜(220) 자체가 회전(자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내륜(220)은 상기 틸러(T)의 장착판(T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내륜(220)의 회전(자전)에 의해 틸러(T)가 회전되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직부(511)는 지지부(530)상에 배치될 수 있으나 상기 외륜(210)상에 배치되는 제2수직부(513)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수평부(512)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외륜(210)상에 제2수직부(513)가 배치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타 장치를 보다 컴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수직부(513)는 상기 외륜(210)상에 볼팅에 의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예비 장착부(600)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틸러 구동부(TD)는 선회 베어링(200)을 이용하되, 상기 선회 베어링(200)은 외륜(210) 회전 방식을 취하는 한편, 상기 예비 장착부(S)는 상기 구동부(100)가 상기 틸러(T)의 장착판(T2) 일 측에 설치되는 틸러 일체형 예비 장착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틸러(T)는 상기 러더 스톡(RS)이 삽입되는 틸러 본체(T1)와, 상기 틸러 본체(T1)의 외측에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장착판(T2)을 포함하는 점은 동일하다.
한편, 상기 틸러 일체형 예비 장착부(600)의 경우 베이스(B)에 배치되어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내륜(220)을 지지하는 지지부(6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구동부(100)의 액츄에이터(110)와 감속기(120)는 장착판(T2) 일 측(예를 들어 상면)에 설치되고, 출력 피니언(130)은 장착판(T2) 저면으로 노출된 후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내륜(220)과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출력 피니언(130)이 회전되면 상기 출력 피니언(130)은 상기 지지부(63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내륜(220)에 대해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출력 피니언(130)을 포함하는 구동부(100) 자체가 선회(공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틸러(T)의 장착판(T2)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동부(100)의 선회(공전)에 의해 상기 틸러(T)가 회전되어 러더 스톡(RS)을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경우 상기 외륜(210)은 상기 장착판(T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외륜(210)의 장착판(T2)에 연동되어 선회(공전)하게 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되지 않은 조임부(N)는 상기 러더 스톡(RS)과 틸러(T)를 보다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널리 알려진 기술인 관계로 자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또한,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 F는 상기 출력 피니언(130)과 선회 베어링(200)에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구동부 110 : 액츄에이터
120 : 감속부 130 : 출력 피니언
200 : 선회 베어링 210 : 외륜
300,400,500,600 : 예비 장착부 B : 베이스
T : 틸러 T1 : 틸러 본체
T2 : 장착판 RS : 러더 스톡
TD : 틸러 구동부

Claims (4)

  1. 상기 틸러 구동부(TD) 일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틸러 구동부(TD)의 상기 사용구간이 반복 사용됨에 따라 상기 사용구간이 마모 또는 파손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상기 틸러 구동부(TD)중에 상기 사용구간을 벗어나는 미 사용구간에 상기 2개의 구동부(100)가 이전 설치될 수 있는 예비 장착부(S)를 구비하되
    상기 예비 장착부(S)에 이전 설치되는 상기 구동부(100)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액츄에이터(110)와, 상기 액츄에이터(110)에 결합되는 감속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감속부(120)는 상기 틸러 구동부(TD)와 치차 결합하는 출력 피니언(130)을 구비하고, 상기 사용구간이 마모 또는 파손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100)을 미리 구비된 상기 예비 장착부로 이전 설치하여 상기 미사용구간을 사용함으로서, 상기 틸러 구동부(TD)의 모든 구간을 사용함에 따라 상기 틸러 구동부(TD)의 사용 연한을 증가시켜 상기 틸러 구동부(TD)의 교체 주기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부 이동 방식의 조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러 구동부(TD)는 선회 베어링(200)을 이용하되, 상기 선회 베어링(200)은 외륜(210) 회전 방식을 취하고,
    상기 예비 장착부(S)는 상기 외륜(210) 외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부(100)가 상기 외륜(210) 외측에 결합하도록 지지하는 분리형 예비 장착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분리형 예비 장착부(300)는 상기 외륜(210) 외측의 베이스(B)상에 배치되는 지지 브라켓(310)과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내륜(220)을 지지하는 지지부(330)를 포함하는 구동부 이동 방식의 조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러 구동부(TD)는 선회 베어링(200)을 이용하되, 상기 선회 베어링(200)은 내륜(220) 회전 방식을 취하고,
    상기 틸러(T)는 상기 러더 스톡(RS)이 삽입되는 틸러 본체(T1)와, 상기 틸러 본체(T1)의 외측에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장착판(T2)을 포함하며,
    상기 예비 장착부(S)는 상기 구동부(100)가 상기 틸러(T)의 장착판(T2) 일 측에 설치되는 틸러 일체형 예비 장착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틸러 일체형 예비 장착부(400)는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외륜(210)을 지지하는 지지부(430)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구동부(100)의 액츄에이터(110)와 감속기(120)는 장착판(T2) 일 측에 설치되고 출력 피니언(130)은 상기 장착판(T2) 저면으로 노출된 후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외륜(210) 외측과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내륜(220)은 상기 장착판(T2)에 연결되는 구동부 이동 방식의 조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러 구동부(TD)는 선회 베어링(200)을 이용하되, 상기 선회 베어링(200)은 내륜(220) 회전 방식을 취하고,
    상기 예비 장착부(S)는 상기 내륜(220) 일 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동부(100)가 상기 내륜(220) 내측에 결합하도록 지지하는 분리형 예비 장착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분리형 예비 장착부(500)는 외륜(210) 일 측의 베이스(B)상에 배치되는 지지 브라켓(510)과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외륜(210)을 지지하는 지지부(53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브라켓(510)은 상기 지지부(530)상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수직부(511)와, 상기 제1수직부(511) 일 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구동부(100)의 액츄에이터(110)와 감속기(120)가 설치되는 한편 출력 피니언(130)이 저면으로 노출된 후 상기 선회 베어링(200)의 내륜(220)과 결합되도록 하는 수평부(512)를 포함하며,
    상기 내륜(220)은 상기 틸러(T)의 장착판(T2)에 연결되는 구동부 이동 방식의 조타 장치.
KR1020170127798A 2017-09-29 2017-09-29 구동부 이동 방식의 조타 장치 KR101830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798A KR101830707B1 (ko) 2017-09-29 2017-09-29 구동부 이동 방식의 조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798A KR101830707B1 (ko) 2017-09-29 2017-09-29 구동부 이동 방식의 조타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390A Division KR20170030895A (ko) 2015-09-10 2015-09-10 구동부 이동 방식의 조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964A true KR20170117964A (ko) 2017-10-24
KR101830707B1 KR101830707B1 (ko) 2018-02-21

Family

ID=60299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798A KR101830707B1 (ko) 2017-09-29 2017-09-29 구동부 이동 방식의 조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70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895B1 (ko) * 2014-12-15 2015-07-22 훌루테크 주식회사 치차 결합 방식의 조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0707B1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8895B1 (ko) 치차 결합 방식의 조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타 방법
US8220571B2 (en) Frictional drive device and inverted pendulum type vehicle using the same
CN101389419B (zh) 立式旋转器
CN104117719B (zh) 一种螺旋铣孔装置
CN103962920B (zh) 胶辊砂带抛光机
RU2006117239A (ru) О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цилиндрического тела
JP7117832B2 (ja) ポリッシャ
RU2014144421A (ru) Печатная машина глубокой печати
KR101830707B1 (ko) 구동부 이동 방식의 조타 장치
US20210261052A1 (en) Vehicle mirror surface angle adjusting device, and vehicle mirror device
CN103056184A (zh) 挤压筒组件更换装置
KR20170030895A (ko) 구동부 이동 방식의 조타 장치
CN107322458B (zh) 一种大型砂磨机
JP2008272462A (ja) 床手入れ機
KR20130090026A (ko) 틸팅 가능한 고효율 스러스터
JP2013159161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04455286A (zh) 一种螺旋升降机构
KR102189712B1 (ko)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용 감속장치
US11458793B2 (en) Vehicle height adjustment device
JP3168462B2 (ja) 旋動式破砕機のセット調整装置
JP6463158B2 (ja) 車両用視認装置
CN203265658U (zh) 一种加工球弧面用的刀具
CN109532335A (zh) 一种汽车后驱动桥总成
KR100925202B1 (ko) 전동차 지붕 가공장치용 스핀들부재
KR101095170B1 (ko) 모터와 캠 방식을 이용한 위빙 토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