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7852A - 상호 신호를 주고받아 디바이스끼리 서로 인식하여 특정 데이터를 주고 받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호 신호를 주고받아 디바이스끼리 서로 인식하여 특정 데이터를 주고 받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7852A
KR20170117852A KR1020160045840A KR20160045840A KR20170117852A KR 20170117852 A KR20170117852 A KR 20170117852A KR 1020160045840 A KR1020160045840 A KR 1020160045840A KR 20160045840 A KR20160045840 A KR 20160045840A KR 20170117852 A KR20170117852 A KR 20170117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rver
information
stand
install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선미
Original Assignee
울랄라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랄라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울랄라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5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7852A/ko
Priority to PCT/KR2016/003914 priority patent/WO2017179747A1/ko
Publication of KR20170117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04L63/084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using time-dependent-passwords, e.g. periodically changing passwords
    • H04L67/1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신호를 주고받아 디바이스끼리 서로 인식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서버(300)와 단말기와 근거리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는설치형단말기(100)와 설치형 단말기(100)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독립형단말기(200)를 포함하는데 설치형 단말기(100)는 외부의 서버에 직접연결되는 외부통신장치(1003)와 독립형단말기(200)하고만 연결되는 내부통신장치(1004)를 포함하고 독립형단말기(200)는 설치형단말기(100)와의 통신을 위한 내부통신장치(2003)와 독립형단말기(200)주위의 정보를 포착하기 위한 센서(2004)를 포함하여 독립형단말기(200)가 설치형 단말기(100)의 인식범위내에 들어오는 경우 독립형단말기(200)는 미리 저장된 인증정보를 설치형단말기를 통하여 서버로 전달하여 인증이 되는 경우에 설치형단말기(100)와 독립형 단말기(200)는 통신가능한상태로 설정되고 독립형단말기(200)의 작동을 설치형단말기(100)에서 제어하며 독립형단말기(200)에서 센싱되는 정보는 설치형단말기(100)를 통하여 서버로 전달되어 저장된다.

Description

상호 신호를 주고받아 디바이스끼리 서로 인식하여 특정 데이터를 주고 받는 시스템{INTERACTIONAL RECOGNIZING EACH DEVICE AND DATA EXCHANGING SYSTEM}
본 발명은 상호 신호를 주고받아 디바이스끼리 서로 인식하여 특정 데이터를 주고받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호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인증이나 명령을 수행하는 IOT모듈단말기로써 IOT모듈 단말기와 설치형단말기에서 등록한 독립형단말기를 인지하여 상호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로써 인지하는 방법은 통신신호나 패킷신호를 기반으로 단말기를 인증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설치형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신호규칙을 설정하여 해당 메모리에 통신규칙이나 신호를 저장하면 추후 독립형단말기(200)가 설치형단말기가 인지할 수 있는 거리에 있을 경우 설치형단말기가 인지하여 독립형단말기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인지할 수 없는 거리가 되면 제어를 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설치형단말기가 독립형단말기를 인지하여 작동이 시작되면 독립형단말기가 이동하는 경로나 위치 등의 정보를 서버(300)를 통하여 저장을 하게 되고, 이러한 정보는 유저가 요청할 시에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해당단말기의 정보가 많을 경우 어떠한 위치의 단말기를 인지하는지 특정단말기가 인지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신호규칙을 설정할 시에 해당단말기의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신호나 패킷신호를 기반으로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인증방법에 관한 것이다.
독립형단말기(200)는 설치형단말기(100)가 인식하는 범위에 들어가면 독립형단말기의 정보가 전송이 된다. 이후 서버를 통하여 해당정보가 전송이 되며, 해당 정보는 서버의 인증모듈을 통해 인증이 된다. 인증모듈에서 승인이 되면 설치형단말기(100)는 해당인증정보를 저장하게 되면, 독립형단말기(2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해당정보가 서버의 인증모듈을 통해서 인증을 요청했는데 승인이 되지 않으면 설치형단말기(100)는 독립형단말를 제어하는 동작은 실행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현재 무선통신과 관련하여 비콘관련통신기술, 블루투스기반관련통신기술 그리고 WSN(무선센서네트워크)기반 무선센서네트워크관련통신기술 등이 대표적으로 존재한다.
기존의 WSN(Wireless Sensor Network)는 물리적 또는 환경적 조건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센서를 사용하는 독자적인 디바이스로 구성된 무선 네트워크로 센서단말기와 연결을 위한 기술인 반면, 본 기술은 서버인증과 관련된 기술로써 단순히 조건을 모니터링을 넘어 다른 독자적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요구하고, 관련 데이터를 서버로 송신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또한 비콘에 관련한 기술도 유사할 수 있다고 보여 질 수 있는데, 비콘기술은 비콘이 설치된 곳에 단말기가 접근하여 인식하여 해당정보를 서버에 보내는 것으로 비콘은 상호통신이 가능한 것이 아닌 일방적인 정보를 전송할 뿐이었다.
이와 유사한 기술 중에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의 무선통신기술도 존재하는데, 이 또한, 위의 기술이 있는 장치가 다른 단말기를 통해 인지를 시키고 이후 다른 단말기가 통신범위에 들어오면 자동으로 인지를 하지만, 해당 데이터를 서버로 보내는 역할은 하지 않는다. 즉 단순인증을 하는 것에 비하여 본 기술이 적용된 설치형 혹은 독립형(IOT)단말기는 물리적 또는 환경적 공간에 설치된 설치형단말기가 다른 독립형단말기의 고유 ID를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인증서버에 승인을 받아 독립적 디바이스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설치형단말기는 특정한 공간에 설치되어야 하며 특정 범위 내에 신호를 송신하게 하며 독립형단말기가 신호 범위내에 들어오게 되면 설치형단말기가 독립형단말기에 고유 ID를 요청하고, 설치형단말기는 독립형단말기의 고유ID를 인증서버에 승인을 받은 뒤 독립적단말기를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제어신호를 받은 독립형단말기를 설치형단말기가 작동시키게 된다.
독립형단말기의 고유 ID가 없거나 인증서버를 통해 승인을 받지 못할 경우 설치형단말기는 제어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독립형단말기는 송신 받은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센서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기술은 설치형 또는 독립형(IOT)단말기 간 인식을 통신으로 고유ID를 인지하여 승인받아 자동 인증을 할 수 있으며, 인증정보를 사용자가 수시로 변경 가능하도록 세팅을 할 수 있으며, IOT단말기를 언제든지 제어 가능하도록 사용자가 설정을 할 수 있는 기술적 차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설치형 IoT 단말기(100)는 물리적, 환경적 장소에 설치되며 독립형 IoT 단말기(200)는 이동형으로 두 단말기가 특정 영역 및 거리에 도달하게 되면 상호 인식하고 독립형 단말기의 고유ID를 설치형 단말기에 송신하게 되며, 설치형 단말기는 고유ID를 인증서버(300)에 송신하여 승인 데이터를 받으면 독립형단말기를 제어 신호를 보내고, 이후 제어 신호를 받은 독립형 단말기는 센서를 수집한 데이터를 설치형단말기를 통하여 서버(300)에 전송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언제든지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종래에는 세콤 같은 시스템이 있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단순 출입 통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거나 CCTV가 지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일방적 영상 화면만 제공가능하며 출입한 사람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나 그 위치에서의 영상데이터등을 취득하는 것은 어려우며 보다 복합적이고 구체적인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호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인증이나 명령을 수행하는 IoT단말기로써 IoT 단말기와 설치형단말기 또는 서버에서 등록한 독립형단말기를 통신신호나 패킷신호를 기반으로 고유ID를 취득하고 인증서버의 승인을 통해 독립형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독립형단말기를 설치형단말기로 인증할 수 있는 방법을 통신신호를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호 신호를 주고받아 디바이스끼리 서로 인식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으로서, 외부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서버(300)와 단말기와 근거리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설치형단말기(100)와 설치형 단말기(100)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독립형단말기(200)를 포함하는데 설치형 단말기(100)는 외부의 서버에 직접연결되는 외부통신장치(1003)와 독립형단말기(200)하고만 연결되는 내부통신장치(1004)를 포함하고 독립형단말기(200)는 설치형단말기(100)와의 통신을 위한 내부통신장치(2003)와 독립형단말기(200)주위의 정보를 포착하기 위한 센서(2004)를 포함하여 독립형단말기(200)가 설치형 단말기(100)의 인식범위내에 들어오는 경우 독립형단말기(200)는 미리 저장된 인증정보를 설치형단말기를 통하여 서버로 전달하여 인증이 되는 경우에 설치형단말기(100)와 독립형 단말기(200)는 통신가능한상태로 설정되고 독립형단말기(200)의 작동을 설치형단말기(100)에서 제어하며 독립형단말기(200)에서 센싱되는 정보는 설치형단말기(100)를 통하여 서버로 전달되어 저장된다.
또한, 상기 설치형단말기(100)는 최초 설치시에 외부네트워크와 연결하며 관리자에 의해 지정된 정보로 설치형단말기(100)에 접근하여 설치형단말기(100)를 서버에 인증시킨다.
외부통신장치는 모듈형으로 교환가능하며 독립형단말기의 센서장치도 모듈형으로 교환가능하다.
독립형단말기의 인증정보는 일정시간, 일정횟수의 인증후에 소멸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외부에서도 특정한 공간 내에서 통신을 통하여 디바이스간 상호 인식하여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를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 물류 시스템에서는 단순 통제를 넘어 특정 장소 안에서 세부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컨퍼런스, 학교, 박물관 등 특수 장소에는 B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들의 직접적인 인터렉션과 보안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다 . 종래에 스마트폰으로 하는 시스템이 있지만 스마트폰은 스마트폰 제조사에 의해 위 기능들이 개발했다고 하더라도 언제든지 변경 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성이 떨어지며 초기 애플 경우만 하더라도, 단말기의 고유 MAC 정보를 통해 한번 승인으로 사용자 위치 정보를 특정 단말기 또는 장치를 통해 자동 수집이 가능했지만 지금은 고유 MAC 정보를 다른 장치에서 획득하지 못하게 바뀌었으며 안드로이드도 앞으로는 차단될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은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내지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상호신호를 기반으로 외부에서도 특정한 공간 내에서 통신을 통하여 디바이스간 상호 인식하여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를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상호신호를 전달 할 수 있는 IoT단말기를 통하여 통신신호를 기반으로 한 인증을 통하여 명령을 수행하는 IoT단말기로써 IoT 단말기는 설치형 IoT 단말기와 독립형 IoT 단말기로 편의상 구별하며, 사용자에 의해 서버 혹은 설치형 IoT 단말기의 에서 등록한 독립형 IoT 단말기를 통신신호나 패킷신호를 기반으로 고유ID를 취득하고 인증서버의 승인을 통해 독립형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구성하기 위한 IoT 단말기는 설치형단말기과 독립형단말기로 구분이 되며,
설치형단말기(100)는 데이터처리장치(1001)와 통신장치(102) 그리고 저장장치(105)로 구성이 되며,
이때 통신장치(102)는 외부통신장치(1003)과 내부통신장치(1004)로 구성이 되어 진다. 외부통신장치(1003)는 설치공간의 조건에 따라서 교환하여 교체할 수 있으며 WIFI모듈, 3G CDMA, LTE-M, LORA등과 같이 무선으로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형태의 데이터 전송방식에 따라 다른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설치형 단말기는 와이파이 무선공유기와 달리 여러 가지 네트워크가 동시에 연결될 수 없으며 와이파이 및 일반 게이트웨이와 달리 관리자에 의해 승인된 독립형 단말기(B)만 연결이 가능한데 B에 대한 정보는 저장하지 않는다. 이것은 일반공유기가 연결된 장치의 MAC 주소를저장하는 것과 차이를 갖는다. 또한, WiFi와 LoRA 모듈을 설치할 경우 반드시 AP 또는 게이트웨이 장치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내부 통신 장치는 WiFi, BLE 네트워크망으로 구성된다.
설치형 단말기(A)는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관련정보를 수정할 수 없는데 일반사용자는 어떤형태로든 단말기를 설정하거나 제어할 수 없고 관리자에 의해서만 세팅이 가능하며 사용자는 설치형 단말기를 직접 자신의 공간에 설치할 때 WIFI 같은 외부통신장치에 대한 설정만 할 수 있다. 즉, 설치형 단말기는 사용자가 공간에서 설치하고 가까운 WIFI AP와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자는 관리자에 의해 지정된 아이디와 패스워드로 설치형단말기(A)에 접근가능하고 WIFI AP와 연결하는 설정을 하게 되며 WIFI AP 외에 현재 사용되는 다른 통신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독립형단말기(200)는 데이터처리장치(201)와 저장장치(202) 그리고 내부통신장치(203)와 센서장치(204)로 구성이 되어진다.
이때 내부통신장치는 설치형단말기(100)의 내부통신장치(1004)와 독립형단말기(200)의 내부통신장치(203)과 상호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증 및 사용자에 정보전달 그리고 각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서버는 상호인증을 제어하는 인증서버(201); 와
인증된 정보 및 설치형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독립형단말기의 상태를 저장하는 데이터서버(302); 와
해당데이터를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수신 및 제어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전해주는 Application 서버(303)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독립형단말기(B)는 AP, 공유기 등에 연결되지 않고 설치형 단말기(A)에만 연결되며 이를 위해서 설치형 단말기와 독립형 단말기간의 인증승인을 위해서 두단말기의 상호 인식을 위한 패킷형태로만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아래표는 A-B간에 사용되는 데이터 패킷의 일예를 도시한다.
Figure pat00001
또한, B는 장착된 센서에 의해서 서버에 전송할 데이터를 수집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설치이후 사용자는 인증서버를 통해 독립형 단말기(B)에 대한 인증정보를 사전에 등록하면 이후 사용자나 관리자의 별도 작업 없이 A,B 단말기 간 자동으로 인식하고, 서버에 인증하고 B의 작동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B가 작동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B에 대한 인증승인 정보는 1회성 또는 기간에 따른 정기적 승인 등록을 한다. 사용자 인증승인 정보가 등록되지 않으며 이후 A에 접근한 B는 인증을 받을 수 없다.
기존에 있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스마트폰, PC, Tablet)에 직업 인증승인 정보를 가지고 사용자의 단말기와 블루투스, 와이파이등의 단말기에 연결되는 반면 본 발명은 서버에 자신의 단말기의 인증정보가 아닌 다 단말기에 대한 인증승인 정보를 등록하는 것에 차이가 있고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은 사용자가 장치간 통신을 한번 등록하면 이후 사용자가 스마트폰 또는 PC 등 자신이 직접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의 승인 정보를 삭제하기 이전에는 지속적으로 연결되지만 본 발명은 처음 사용자가 서버를 통해 3자의 다른 단말기에 대해 1회성 또는 시간에 따른 반복적 승인에 대한 정보를 입력해 놓고 등록된 정보에 따라 B 단말기 승인이 이뤄지고, 이후 서버에서 자동 삭제 된다.
블루투스, 와이파이는 자신의 단말기를 다른 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설정을 한다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가 아닌 제 3의 단말기인 B가 다른 장치 A와 연결되도록 정보를 보내고 한번 등록으로 지속적인 승인이 아닌 B가 연결되어 일정 시간, 횟수가 지나면 서버에서 인증 정보가 삭제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인 예시로 독립형 단말기가 설치형단말기의 수신영역으로 이동을 하면, 설치형단말기는 독립형단말기를 인식하고 독립형 단말기는 고유ID를 설치형단말기에 송수신한다. 이후 제공받은 고유ID는 서버를 통하여 ID인증요청을 하게 되고, 서버내의 인증서버는 승인여부를 결정하여 설치형단말기에 전송을 한다. 이때 독립형단말기의 고유ID를 서버에서 인증승인을 하게 되면 설치형 단말기는 해당정보를 저장하고, 독립형단말기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독립형단말기는 고유ID를 제공받은 설치형단말기가 서버에 정보를 제공하여 서버에서 승인인증을 하지 않으면, 설치형단말기는 해당정보를 제공받고, 독립형단말기에 어떤 제어를 할 수 없게 된다. 이때 독립형단말기와 설치형단말기는 서로의 고유ID를 가지며, 이를 상호 확인할 수 있으며 위의 예시와 같이 한쪽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사용예시로 집이나 사무실 등의 공간을 정리하거나 사물이나 동물 또는 사람을 보호를 할 경우에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서 제3자에게 의뢰할 경우 공간에 있는 것의 도난이나 파손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제3자가 공간의 근처에서 특정한 앱에 접속을 하여 사용자를 호출하여 제3자가 해당 공간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고, 공간에 진입한 제2자는 사용자가 배치한 특정한 기기를 신체에 부착하여 사용자가 지시하는 것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특정단말기는 제3자가 지급하거나 착용을 해야 하며, 독립형단말기를 착용을 하면 사용자에게 해당착용정보가 전송이 된다. 이때 제3자가 착용을 하지 않았을 경우, 해당정보가 사용자에게 전송이 되거나 해당알람이 울리게 하여 제3자가 반드시 착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이때부터 분실 및 파손에 관한 것은 제3자가 모든 책임을 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제3자에 대한 관리뿐만 아니라 제3자가 당할 수 있는 부당한 의심을 제거할 수 있기도 하다.
제3자가 독립형단말기를 착용을 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지역에 들어 갈 경우 특정공간에 설치된 설치형단말기가 독립형단말기를 인식하도록하며 이때부터 단말기가 작동을 한다.
이때부터 제3자가 이동한 경로 및 사용자가 지시한 내용을 수행내용이 설치형단말기를 통하여 서버로 전송이 된다.
이때 사용자는 제3자가 공간에서 벗어날 경우 전 제3자가 들어간 시간과 나오는 시간 그리고 이동경로 등이 단말기를 통하여 서버로 전송이 되며 해당 정보는 사용자에게 제공을 한다.
또한, 설치형 단말기는 최초 설치시에 인증을 한후에 독립형단말기에 대한 정보나 인증정보는 포함하고 있지 않고 서버에만 저장이 되며 독립형 단말기를 인식하여 독립형 단말기가 서버로부터 인증승인확인 메시지를 받게 되면 설치형단말기는 제어권을 획득하고 독립형단말기로부터 취득되는 정보 또한 설치형 단말기에 저장되지 않고 서버로 전달이 되기 때문에 중간에 정보가 유출되거나 해킹될 위험성이 줄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한 단말기의 구성도이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본 발명을 구성하기 위한 IoT 단말기는 설치형단말기과 독립형단말기로 구분이 되며, 설치형단말기(100)는 데이터처리장치(1001)와 통신장치(102) 그리고 저장장치(105)로 구성이 되며, 이때 통신장치(102)는 외부통신장치(1003)과 내부통신장치(1004)로 구성이 되어 진다.
독립형단말기(200)는 데이터처리장치(201)와 저장장치(202) 그리고 내부통신장치(203)와 센서장치(204)로 구성이 되어진다. 독립형단말기의 저장장치에는 독립형단말기의 고유ID와 네트워크정보등의 고유통신ID가 저장되어 있으며, 해당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서 원격으로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내부통신장치는 설치형단말기(100)의 내부통신장치(1004)와 독립형단말기(200)의 내부통신장치(203)과 상호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인증 및 사용자에 정보전달 그리고 각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서버는 상호인증을 제어하는 인증서버(201); 와
인증된 정보 및 설치형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독립형단말기의 상태를 저장하는 데이터서버(302); 와
해당데이터를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수신 및 제어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전해주는 Application 서버(303) 으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단말기 모듈별 통신신호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한 일례로 각 단말기별 통신신호의 흐름과 서버와의 통신방법에 대한 예시도이다.
설치형단말기(100)의 내부통신장치(1004)와 독립형 통신모듈의 내부통신장치(203)은 상호신호를 교환하게 되는데 이때 통신신호는 설치형 단말기 혹은 독립형단말기가 통신신호를 인지할 수 있을 때 상호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이후 설치형단말기의 내부통신장치는 독립형단말기의 통신신호의 고유id를 저장장치(105)에 저장을 하게 되고, 저장된 정보는 외부통신장치(1003)을 통하여 서버(300)의 인증서버(301)로 전송이 된다. 이후 인증서버는 해당 정보를 인증을 하게 되는데, 이때 인증은 YES/NO로 할 수 있다. 즉, 인증을 했는데 해당정보가 서버에 등록된 정보일 경우 인증서버는 해당 승인정보를 설치형단말기(100)의 외부통신장치(1003)을 통하여 저장장치에 저장된 독립형단말기의 ID정보를 매칭하여 정보가 맞으면 내부통신장치(1004)를 통하여 독립형단말기(200)의 내부통신장치(203)을 통하여 독립형단말기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이때 저장장치는 처리장치를 통하여 이동형단말기와 센서장치(2004)등 독립형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동작이 되는 독립형단말기(200)은 내부통신장치(203)에 통하여 설치형단말기(100)의 내부통신장치(1004)와 저장장치(105)와 외부통신장치(1003)을 통하여 해당 정보를 서버(300)의 데이터서버로 보내주게 된다. 이렇게 전달된 정보는 Application서버(303)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설치형단말기(100)의 저장장치(105)와 이동형단말기(200)의 저장장치(202) 그리고 서버(300)의 인증서버는 서로 부여한 통신의 제어신호 값을 가지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설정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유무선을 통하여 설정 값은 수시로 변경이 가능하다. 해당단말기의 제어신호 및 인증에 필요한 값은 고유id와 네트워크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도3는 설치형단말기와 독립형단말기가 통신신호에 의해서 상호인지하여 상호제어를 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서버(300)내에는 인증을 위한 인증서버(301) 도 포함이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예시를 나타낸 도면으로 인증을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독립형 단말기가 설치형단말기의 수신영역으로 이동을 하면, 설치형단말기는 독립형단말기를 인식하고 독립형단말기의 고유ID를 설치형단말기가 송수신한다. 이후 제공받은 고유ID는 서버를 통하여 ID인증요청을 하게 되고, 서버내의 인증서버는 승인여부를 결정하여 설치형단말기에 전송을 한다. 이때 독립형단말기의 고유ID를 서버에서 인증승인을 하게 되면 설치형 단말기는 해당정보를 저장하고, 독립형단말기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고유ID를 제공받은 설치형단말기가 서버에 정보를 제공하여 서버에서 승인인증을 하지 않으면, 설치형단말기는 해당정보를 제공받고, 독립형단말기에 어떤 제어를 할 수 없게 된다. 이때 독립형단말기와 설치형단말기는 서로의 고유ID를 가지며, 이를 상호 확인할 수 있으며 위의 예시와 같이 한쪽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5은 본 발명을 응용한 사용예시에 대하여 동작순서를 나타낸 것으로, B가 A가 인지할 수 있는 거리가 되면 A는 B를 인지하게 된다.
A는 인지된 정보를 C에 인증을 요청하게 되고, C는 A가 인증요청한 정보를 승인하게 된다. 이후부터 A는 B의 움직임이나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정보를 체크하여 C로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별도의 웹이나 APP을 통하여 B의 상태를 확인이 가능하다.
이때 사용자는 B가 가지는 특정기능의 수행을 명령할 수 있다. B가 사용자의 필요에 의하여 각종센서인 카메라모듈,GPS,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 수신모듈 등의 모듈센서를 내장하고 있을 경우, 해당모듈을 ON/OFF 시킬 것을 C를 통하여 기능신호를 주게 되면, C는 사용자가 요청한 기능신호를 A에게 전송하여 A는 B가 가지고 있는 특정기능모듈을 ON/OFF 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6은 사용자가 A에게 거리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B가 활동 가능한 영역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사용자는 A의 메모리 또는 C를 통하여 공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여 B가 이동할 수 있는 곳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4에서, 금지구역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 전체적인 동작순서를 나타낸 것으로, B가 A가 인지할 수 있는 거리가 되면 A는 B를 인지하게 된다. A는 인지된 정보를 C에 인증을 요청하게 되고, C는 A가 인증요청한 정보를 승인하게 된다.
이후부터 A는 B의 움직임이나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정보를 체크하여 C로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별도의 웹이나 APP을 통하여 B의 상태를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A는 사용자에 의해서 특정공간에 대하여 이동 및 출입이 금지가 된 정보는 A에게 직접입력하거나 C를 통하여 이동 및 출입제한을 지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공간에 이동제한을 설정을 하려고 하면, 사용자는 해당좌표 혹은 신호의 거리를 측정하여 A에 해당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또는 사용자는 이동제한정보를 C를 통하여 이동 및 출입제한정보를 설정을 하게 되면 C는 A에 해당 정보를 전송하여 작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B가 여럿일 경우, 매칭된 B의 개별네임을 통하여 각각에 출입권한을 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설치형 단말기는 설치되어 있는 내부공간의 배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금지구역등을 설치하여 이동금지구역으로의 이동시 경고메세지, 경고음을 발신할 수 있다.
도7,8은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제어 및 데이터취득에 관련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기존방법 의 도시예에서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스마트폰, PC, Tablet)에 직업 인증승인 정보를 가지고 사용자의 단말기와
블루투스, 와이파이등의 단말기에 연결되는 반면, 본 발명은 서버에 자신의 단말기의 인증정보가 아닌 단말기에 대한 인증승인 정보를 등록하는 것에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기존방법의 도시 예에서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은 사용자가 장치 간 통신을 한번 등록하면 이후 사용자가 스마트폰 또는 PC 등 자신이 직접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의 승인 정보를 삭제하기 이전에는 지속적으로 연결되지만 본 발명은 처음사용자가 서버를 통해 3자의 다른 단말기에 대해 1회성 또는 시간에 따른 반복적 승인에 대한 정보를 입력해 놓고 등록된 정보에 따라 B 단말기 승인이 이뤄지고, 이후 서버에서 자동 삭제 된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와이파이는 자신의 단말기를 다른 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설정을 한다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가 아닌 제 3의 단말기인 B가 다른 장치 A와 연결하는 것과, 한번 등록으로 지속적인 승인이 아닌 B가 연결되어 일정 과정이 지나면 서버에서 인증 정보가 삭제된다는 것이 기존발명과 본 발명의 차이가 될 것이다.
기존방법에서 일반 사용자는 설치형 단말기(A)가 Wifi 또는 LoRA 통신 모듈을 사용할 경우 WiFi AP 또는 Gateway 연결을 위해 접근 권한(Access 권한)을 설정할 수 있으나 다른 정보는 설정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iot모듈단말기를 설치이후 사용자는 인증서버를 통해 독립형 단말기(B)에 대한 인증정보를 사전에 등록하면 이후 사용자나 관리자의 별도 작업 없이 A,B 단말기 간 자동으로 인식하고, 서버에 인증하고 B의 작동 제어 신호를 전달하여 B가 작동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B에 대한 인증승인 정보는 1회성 또는 기간에 따른 정기적 승인 등록을 한다. 사용자 인증승인 정보가 등록되지 않으며 이후 A에 접근한 B는 인증을 받을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 자신의 단말기 또는 자신을 인증받기 위한 것이 아니라, 제 3의 단말기 B와 설치형 단말기(A) 간에 승인하고, 제어, 데이터를 취득하는 iot모듈단말기에 대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관리자에 의한 iot모듈단말기의 설정방법과 연결방법을 나타낸 도시예이다.
일반 사용자는 어떤 형태로든 단말기를 설정하거나 제어할 수 없고 단지 관리자에 의해서만 기본 셋팅을 하게 된다. 단지, 사용자는 설치형 단말기를 직접 자신의 공간(장소)에 설치 할때 WiFi 설정만 할 수 있을 수 있다. 즉 설치형 단말기는 사용자가 공간에서 설치하고 가까운 WIFi AP와 접속할 수 있는 것이 전부인 경우다. 이때 사용자는 관리자에 의해 지정된 ID/PWD으로 단말기(A)에 접근 가능하고 WiFi AP와 연결하는 설정을 할 수 있다.
이때 A는 기본적으로 WiFi 모듈을 이용하여 WiFi AP와 연결하지만, 3G, LTE, LET-M, LoRa 같은 모듈형 보드를 교체 함으로써 WiFi AP와 연결하지 않고 공중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 단말기의 네트워크 연결에 관련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외부통신 장치는 모듈형으로 설치 공간(장소)의 환경적 요건에 의해 모듈형 통신 장치를 교환 형식으로 교체 할 수 있으며, 이 방법은 기존의 위콘의 기본 개념과 비슷하다.
단, WiFi와 LoRA 모듈을 설치할 경우 반드시 AP 또는 게이트웨이 장치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야 하며, 본 iot모듈단말기는 내부 통신 장치는 WiFi, BLE 네트워크망으로 구성이 될 수 있다.
설치형iot단말기는 와이파이 무선공유기와 달리 여러가지 네트워크가 동시에 연결 될 수 없으며, 와이파이 및 일반 게이트웨이와 달리 관리자에 의해 승인된 독립형 단말기(B)만 연결이 가능하고, 또한 B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다.(일반 공유기는 연결된 MAC 주소 등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200:독립형단말기 100: 설치형IOT단말기
300: 서버

Claims (4)

  1. 상호 신호를 주고받아 디바이스끼리 서로 인식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으로서, 외부의 네트워크와 연결된 서버(300)와 단말기와 근거리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설치형단말기(100)와 설치형 단말기(100)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독립형단말기(200)를 포함하는데
    설치형 단말기(100)는 외부의 서버에 직접연결되는 외부통신장치(1003)와 독립형단말기(200)하고만 연결되는 내부통신장치(1004)를 포함하고
    독립형단말기(200)는 설치형단말기(100)와의 통신을 위한 내부통신장치(2003)와 독립형단말기(200)주위의 정보를 포착하기 위한 센서(2004)를 포함하여
    독립형단말기(200)가 설치형 단말기(100)의 인식범위내에 들어오는 경우 독립형단말기(200)는 미리 저장된 인증정보를 설치형단말기를 통하여 서버로 전달하여 인증이 되는 경우에 설치형단말기(100)와 독립형 단말기(200)는 통신가능한상태로 설정되고 독립형단말기(200)의 작동을 설치형단말기(100)에서 제어하며
    독립형단말기(200)에서 센싱되는 정보는 설치형단말기(100)를 통하여 서버로 전달되어 저장되는, 상호 신호를 주고받아 디바이스끼리 서로 인식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형단말기(100)는 최초 설치시에 외부네트워크와 연결하며 관리자에 의해 지정된 정보로 설치형단말기(100)에 접근하여 설치형단말기(100)를 서버에 인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신호를 주고받아 디바이스끼리 서로 인식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외부통신장치는 모듈형으로 교환가능하며 독립형단말기의 센서장치도 모듈형으로 교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신호를 주고받아 디바이스끼리 서로 인식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독립형단말기의 인증정보는 일정시간, 일정횟수의 인증후에 소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신호를 주고받아 디바이스끼리 서로 인식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

KR1020160045840A 2016-04-14 2016-04-14 상호 신호를 주고받아 디바이스끼리 서로 인식하여 특정 데이터를 주고 받는 시스템 KR20170117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840A KR20170117852A (ko) 2016-04-14 2016-04-14 상호 신호를 주고받아 디바이스끼리 서로 인식하여 특정 데이터를 주고 받는 시스템
PCT/KR2016/003914 WO2017179747A1 (ko) 2016-04-14 2016-04-15 상호 신호를 주고받아 디바이스끼리 서로 인식하여 특정 데이터를 주고 받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840A KR20170117852A (ko) 2016-04-14 2016-04-14 상호 신호를 주고받아 디바이스끼리 서로 인식하여 특정 데이터를 주고 받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852A true KR20170117852A (ko) 2017-10-24

Family

ID=60041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840A KR20170117852A (ko) 2016-04-14 2016-04-14 상호 신호를 주고받아 디바이스끼리 서로 인식하여 특정 데이터를 주고 받는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117852A (ko)
WO (1) WO20171797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642A1 (ko) 2017-09-14 2019-03-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파우치 필름 포밍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868B1 (ko) * 2012-07-11 2014-05-09 전자부품연구원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
KR20140129944A (ko) * 2013-04-30 2014-11-0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스마트 가전 장치 및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US9451462B2 (en) * 2014-08-10 2016-09-20 Belkin International Inc. Setup of multiple IoT network devices
US9224277B1 (en) * 2014-08-06 2015-12-29 Belkin International, Inc. Detector devices for presenting notifications and supporting context inferences
KR102457809B1 (ko) * 2014-09-24 2022-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통신 보안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642A1 (ko) 2017-09-14 2019-03-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파우치 필름 포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79747A1 (ko) 201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82551T3 (es) Método para proporcionar a un visitante acceso controlado a un edificio
CN105228093B (zh) 基于低功耗蓝牙的智能移动终端管控系统
US20120044354A1 (en) Versatile dual mode wireless camera hotspot device
KR101608639B1 (ko) 스마트 정보 보안 통합 시스템
US2014001022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distributed wireless network service
CN104123766A (zh) 使用近场通讯的门禁系统
CN104270758A (zh) 通过wifi与服务器安全建立连接并授权的方法
US20160364579A1 (en) Privacy Zone
CN107733858A (zh) 一种智能保护摄像头信息的监控设备及方法
CN105430596A (zh) 基于虚拟sim卡的通信方法及通信装置
KR101751910B1 (ko) 사물 인터넷 장치에 대한 권한 위임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사물 인터넷 장치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117852A (ko) 상호 신호를 주고받아 디바이스끼리 서로 인식하여 특정 데이터를 주고 받는 시스템
KR20140039808A (ko) 선박의 Wifi 환경의 무선 통신 시스템
CN204906719U (zh) 空间微定位移动装置管理装置
KR102645447B1 (ko) 카메라장치 등록 방법
JP2015126503A (ja) 無線lanルータ及び無線lanルータ制御方法
JPWO2018116494A1 (ja) 監視カメラ、監視システム、監視カメラ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78472B1 (ko) 사설망 접속 관리 장치 및 이에 의한 사설망 접속 관리 방법, 이동통신 단말 및 이에 의한 사설망 접속 방법
JP2015162235A (ja) 認証システム
US20220188443A1 (en) A computing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accessibility of data
EP2683128A1 (en) A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between a first device and a second device, corresponding second device and system
JP2016177783A (ja) 通信制御システム、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2006314138A (ja) 無線lan端末の無線lanへの参加制御方法及び無線lan基地局装置並びに無線lan端末装置
KR102350276B1 (ko) 인증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방법과, 그 제어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그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CN109429228A (zh) 一种无线接入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